KR101873269B1 - 착탈식 그라인더 레일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착탈식 그라인더 레일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3269B1
KR101873269B1 KR1020160145486A KR20160145486A KR101873269B1 KR 101873269 B1 KR101873269 B1 KR 101873269B1 KR 1020160145486 A KR1020160145486 A KR 1020160145486A KR 20160145486 A KR20160145486 A KR 20160145486A KR 101873269 B1 KR101873269 B1 KR 1018732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grinder
bearing
rail
rail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5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9500A (ko
Inventor
조규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볼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볼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볼트
Priority to KR1020160145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3269B1/ko
Priority to PCT/KR2017/010045 priority patent/WO2018084422A1/ko
Publication of KR20180049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95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3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32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3/00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Accessories therefor
    • B24B23/02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Accessories therefor with rotating grinding tool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3/00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Accessories therefor
    • B24B23/08Portable grinding machines designed for fastening on workpieces or other parts of particular section, e.g. for grinding commut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1/00Component parts such as frames, beds, carriages, headstocks
    • B24B41/02Frames; Beds; Carriages

Abstract

본 발명은 그라인더를 이용한 작업시 사용되는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그라인더의 거치면에 대응하는 거치 공간을 마련하고 상기 그라인더를 거치하여 고정 결합하기 위한 거치 유닛, 상기 거치 유닛을 슬라이딩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유닛, 및 상기 이동 유닛을 예정된 방향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레일 유닛을 포함하는 착탈식 그라인더 레일 어셈블리가 제공되며, 그라인더의 착탈이 자유롭고 그라인딩 작업시 정확성, 안정성, 작성업을 높여주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착탈식 그라인더 레일 어셈블리{ATTACHING AND DETACHING GRINDER RAIL ASSEMBLY}
본 발명은 그라인더를 이용한 작업시 사용되는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그라인딩 작업시 정확성, 안정성, 작업성을 높여줄 수 있는 착탈식 그라인더 레일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그라인더(Grinder)는 고속으로 회전하는 연삭숫돌을 사용하여 공작물의 면을 깎는 기계로 연삭기라고도 하며, 용접 공정이 완료된 거칠거칠한 가공 표면을 깨끗하게 성형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라인더는 원하는 공정 작업에 따라 날을 바꾸어 끼우는 것이 가능하며, 장착된 날에 따라 돌이나 철, 나무 등을 갈거나 자르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요즈음 환경 호르몬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짐에 따라 원목 가구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원목 가구는 비교적 높은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쉽사리 구매하기가 어려운 상황이다. 따라서, 간단한 집안 가구의 경우 일반 사용자가 직접 제작하는 일이 많아지고 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원목을 자르거나 원목 표면을 마름질을 하기 위하여 그라인더의 사용 빈도수는 늘어나고 있으며, 이와 함께 그라인더의 판매율까지도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3-0003325 (2013.06.25.)에는 그라인더 고정지그가 개시되어 있다. 여기에는 그라인더(10)를 고정 장착하는 그라인더장착부(110);와, 상기 그라인더장착부(110)의 상부에 결합된 후 상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지그조정부(120);와, 상기 지그조정부(120)의 저면에 장착되어 그라인더 고정지그(100)를 이동시키도록 지지하는 지그이송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인더 고정지그가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07389 (2011.07.27.)에는 모터와 그라인더숫돌 및 그라인더 숫돌커버로 구성된 그라인더본체가 캐비넷의 위에 장착되어 그라인더숫돌로부터 발생하는 분진 등이 캐비넷내로 집진되도록 함에 있어서, 상기 캐비넷(200)내에 터보블로워(310)가 장착되는 블로워장착캐비넷(200)이 형성되고, 상기 블로워장착캐비넷(200)의 저면에 형성한 개구부(400)에 프리필터(410)가 프리필터브라켓(420)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터보블로워(310)의 흡입력에 의하여 그라인더본체(100)로부터 발생하는 분진이 캐비넷(200)내의 더스트박스(240)에 포집되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인더 작업대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두 실용신안 모두 그라인더가 일체형으로 고정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라인더의 원래 목적인 휴대성과 편의성이 사라졌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그라인더의 휴대성과 편의성을 유지하면서 그라인딩 작업시 정확성, 안정성, 작업성을 높여줄 수 있는 착탈식 그라인더 레일 어셈블리를 제안하고자 한다.
(문헌 1)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3-0003325 (2013.06.25.) (문헌 2)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07389 (2011.07.27.)
따라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그라인더의 종류와 상관없이 그라인더를 자유롭게 장착 또는 분리할 수 있는 착탈식 그라인더 레일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그라인더가 예정된 이동 경로를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착탈식 그라인더 레일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레일의 폭이 일정하지 않더라도 레일과 베어링이 서로 밀착되도록 간격을 조절하여 레일에서의 슬라이딩 이동 동작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착탈식 그라인더 레일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그라인더의 거치면에 대응하는 거치 공간을 마련하고, 상기 거치 공간에 상기 그라인더를 거치하여 고정 결합하기 위한 거치 유닛; 상기 거치 유닛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거치 유닛을 슬라이딩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유닛; 및 상기 이동 유닛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이동 유닛을 예정된 방향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레일 유닛을 포함하는 착탈식 그라인더 레일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거치 유닛은, 상기 이동 유닛 일측에 일정 높이로 형성되어 고정 결합되는 고정 지지부; 및 상기 고정 지지부에 형성되는 관통구를 통해 조임 연결되며, 상기 그라인더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부에 연결되며, 상기 거치 공간에 대응하는 결합 각도를 형성하기 위한 각도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부는, 상기 고정 지지부의 일면에 접촉 배치되며, 상기 각도 조절부와 고정 연결되고 상기 그라인더의 높낮이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고정 부재; 및 상기 고정 지지부의 다른 일면에 접촉 배치되며, 상기 관통구를 통해 상기 가이드 고정 부재와 연결되어 조임 고정을 위한 조임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고정 부재와 상기 각도 조절부는 볼트와 너트로 결합 고정되며, 상기 볼트의 머리는 상기 고정 지지부의 일면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에 안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부는, 상기 가이드 고정 부재와 결합 고정되며, 상기 그라인더의 거치면에 대응하도록 폭을 조절하기 위한 제1 장공이 형성되는 제1 연결 부재; 및 상기 제1 연결 부재와 절곡되어 연장되며, 상기 그라인더의 날이 배치되는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제2 장공이 형성되는 제2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동 유닛은, 상기 거치 유닛과 결합되는 플레이트 부재; 및 상기 플레이트 부재 하부에 결합되는 다수의 베어링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부재는, 상기 플레이트 부재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거치 유닛을 고정 결합하기 위한 다수의 고정 결합공; 및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각 모서리 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베어링 부재를 고정 결합하기 위한 다수의 베어링 결합공을 포함하되, 상기 다수의 베어링 결합공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플레이트 부재를 편(片) 형상으로 일부 절개한 탄성편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베어링 부재 중 동일한 레일에 접하는 베어링 부재는 상기 탄성편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베어링 결합공은 타원 형상을 가지며, 상기 다수의 베어링 결합공의 타원의 장축 길이가 서로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베어링 부재 각각은, 축을 중심으로 외륜과 내륜 사이에 볼이 안착되며 외측면에 상기 레일 유닛에 대응하는 형상의 홈이 형성되는 베어링 본체; 상기 베어링 본체의 선단에 형성되며, 해당 베어링 결합공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돌출되어 해당 베어링 결합공에 끼움 고정되는 단턱; 및 상기 단턱의 선단에 형성되며 해당 베어링 결합공을 관통하여 고정 결합되는 결합봉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동 유닛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그라인더의 날을 감싸며, 일측에 형성되는 흡입구를 통해 그라인딩 동작시 발생하는 이물질을 흡입하기 위한 집진 유닛; 및 상기 레일 유닛 말단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 유닛이 상기 레일 유닛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막아주기 위한 이탈 방지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따르면,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플레이트 부재; 상기 플레이트 부재와 상기 레일 사이의 유격을 조절하는 하나 이상의 유격조절부; 및 상기 플레이트 부재 및 상기 유격조절부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베어링을 포함하는 슬라이딩 레일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격조절부는 상기 플레이트 부재를 편(片) 형상으로 일부 절개 하여 형성되는 탄성편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은 상기 유격조절부에 구비되는 유격조절베어링과, 상기 플레이트 부재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플레이트베어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격조절베어링은 상기 다수개의 플레이트베어링의 중심을 연결하는 중심축에서 벗어나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그라인더 레일 어셈블리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그라인더의 착탈이 자유롭기 때문에 그라인더를 분리하여 그라인더의 휴대성과 편의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그리인더를 장착하여 그라인더의 정확성, 안정성, 작업성을 높여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그라인더의 종류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거치 공간을 확보하여 그라인더를 고정 결합할 수 있기 때문에 착탈식 그라인더 레일 어셈블리의 호환성을 높여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강재로 형성되는 레일의 폭이 일정하지 않더라도 안정적이고 자연스러운 슬라이딩 이동 동작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그라인더 레일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 은 도 1 및 도 2 의 플레이트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4 는 도 1 및 도 2 의 베어링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와 평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레일 어셈블리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레일 어셈블리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레일 어셈블리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레일 어셈블리의 개략적인 작용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히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그라인더 레일 어셈블리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4 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그라인더 레일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로써, 도 1 은 조립이 완료된 상태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2 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 착탈식 그라인더 레일 어셈블리는 그라인더 유닛(10)의 거치면에 대응하는 거치 공간을 마련하고, 상기 거치 공간에 상기 그라인더 유닛(10)를 거치하여 고정 결합하기 위한 거치 유닛(20); 상기 거치 유닛(20)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거치 유닛(20)을 슬라이딩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유닛(30); 및 상기 이동 유닛(30)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이동 유닛(30)을 예정된 방향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레일 유닛(40)을 포함한다.
이때, 작업 대상은 레일 유닛(40) 하면 또는 측면에 위치할 수 있으며, 그라인더 유닛(10)를 레일 유닛(4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시켜 줌으로써 작업 대상물을 자르거나 연마하는 것이 가능하다. 참고적으로, 여기서는 레일 유닛(40)이 일직선으로 형성되는 것을 일례로 하였지만, 레일 유닛(40)의 형태는 작업하고자 하는 의도에 따라 곡선 등으로 달라질 수 있다.
상기 그라인더 유닛(10)은 돌이나 철, 나무 등을 갈거나 자르기 위한 전동 장치이다. 그라인더 유닛(10)은 전기나 베터리로 회전 운동되는 구동부를 가지고 있으며, 구동부에 장착되는 날(K)의 종류에 따라 절삭 동작 또는 연마 동작 등이 가능하다.
한편, 그라인더 유닛(10)은 이를 생산하는 제조 회사에 따라 그 외형이 다르며, 동일한 제조 회사의 제품이라 하더라도 그 외형은 조금씩 다를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그라인더 레일 어셈블리는 이후 설명될 거치 유닛(20)에 그라인더 유닛(10)의 외형에 대응하는 거치 공간을 마련하고 이 거치 공간에 그라인더 유닛(10)을 고정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거치 유닛(20)은 그라인더 유닛(10)의 거치면에 대응하는 거치 공간을 마련하고 거치 공간에 그라인더 유닛(10)을 거치하여 고정 결합하기 위한 구성으로써, 고정 지지부(210)와, 높이 조절부(220), 및 각도 조절부(23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 지지부(210)는 이동 유닛(30) 일측에 일정 높이로 형성되어 고정 결합되는 구성이다. 고정 지지부(210)는 대략 장방형으로 중앙에 세로 방향으로 관통구(GT)가 형성되고 좌우 양측에 움푹 패인 형상으로 가이드 홈(SC)이 형성된다. 여기서, 관통구(GT)는 높이 조절부(220)의 이탈 방지 및 조임 고정시 조임 부재(222)가 관통하기 위한 구성이며, 가이드 홈(SC)은 높이 조절부(220)의 높이 조절시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각도 조절부(230)의 연결 구조에 대한 설명과 함께 다시 하기로 한다.
상기 높이 조절부(220)는 고정 지지부(210)에 형성되는 관통구(GT)를 통해 조임 연결되며, 그라인더 유닛(10)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으로써, 가이드 고정 부재(221)와, 조임 부재(222)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고정 부재(221)는 고정 지지부(210)의 일면에 접촉 배치되며, 각도 저절부(230)와 고정 연결되고 그라인더 유닛(10)의 높낮이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기 위한 구성이다. 가이드 고정 부재(2210)의 중심에는 관통구(GT)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1 구멍(G1)과 제2 구멍(G2)이 형성되며, 양측에는 각도 조절부(230)와 볼트와 너트로 결합 고정을 위한 제3 및 제4 구멍(G3, G4)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1 구멍(G1)은 이후 설명될 조임 부재(222)의 볼트(B)가 결합되어 가이드 고정 부재(221)와 조임 부재(222)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구성이며, 제2 구멍(G2)은 예정된 길이의 돌출 부재(도시되지 않음)가 결합되어 가이드 고정 부재(221)가 상하로 이동함에 있어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조임 부재(222)는 고정 지지부(210)의 다른 일면에 접촉 배치되며, 관통구(GT)를 통해 가이드 고정 부재(221)와 연결되어 조임 고정을 위한 구성이다. 조임 부재(222)는 사용자가 그라인더 유닛(10)을 고정하고자 할 때 조정이 가능한 손잡이(H)와, 손잡이(H)에 연결된 볼트(B)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볼트(B)는 고정 지지부(210)의 관통구(GT)을 통해 가이드 고정 부재(221)의 제1 구멍(G1)에 나사 결합된다. 결국, 가이드 고정 부재(221)와 조임 부재(222)는 고정 지지부(210)를 사이에 두고 조임 고정이 가능하다.
여기서는, 손잡이(G)를 예컨대 시계 반대 방향으로 돌려 고정력을 풀어 가이드 고정 부재(221)를 상하 방향으로 조절가능하며, 손잡이(G)를 시계 방향으로 돌려 가이드 고정 부재(221)를 단단하게 조여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제2 구멍(G)에 삽입 고정된 돌출 부재에 의하여 가이드 고정 부재(221)는 좌우 이탈 방지가 가능하다.
이어서, 상기 각도 조절부(230)는 높이 조절부(220)에 연결되며, 그라인더 유닛(10)이 거치되는 거치 공간에 대응하는 결합 각도를 형성하기 위한 구성이다. 여기서는 그라인더 유닛(10)를 기준으로 앞쪽과 뒤쪽에 각도 조절부(230)가 형성되는 것을 일례로 하였으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앞쪽에 배치되는 각도 조절부(230)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각도 조절부(230)는 가이드 고정 부재(221)와 결합 고정되며, 그라인더 유닛(10)의 거치면에 대응하도록 각도 조절부(230) 사이의 폭을 조절하기 위한 제1 장공(LG1)이 형성되는 제1 연결 부재(231)와, 제1 연결부재(231)와 절곡되어 연장되며, 그라인더 유닛(10)의 날(K)이 배치되는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제2 장공(LG2)이 형성되는 제2 연결 부재(232)를 포함한다.
특히, 제1 연결 부재(231)와 가이드 고정 부재(221)는 볼트와 너트로 결합 고정되며, 이때 볼트 머리는 고정 지지부(210)의 가이드 홈(SC)에 안착된다. 이러한 구조는 가이드 고정 부재(221)의 상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해 주는 것이 가능하다. 참고적으로, 가이드 홈(SC)을 볼트 머리에 대응하는 폭으로 형성하여 가이드 고정 부재(221)의 상하 이동시 흔들림 현상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제1 연결 부재(231)에는 제1 장공(LG1)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2 연결 부재(232)에는 제2 장공(LG2)이 형성되어 있다. 위에서 설명하였듯이, 제1 연결 부재(231)는 가이드 고정 부재(221)와 나사 결합이 가능하며, 이는 나사 결합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각도 조절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제1 장공(LG1)의 경우 나사 결합시 그 위치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는 제1 연결 부재(231)를 제1 장공(LG1) 방향으로 앞뒤로 조절하여 그라인더 유닛(10)이 안착되는 안착 공간을 넓히거나 좁히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국, 이와 같은 결합 각도 조절을 통해 각도 조절부(230)는 그라인더 유닛(10)이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는 것이 가능하다.
참고적으로, 그라인더 유닛(10)은 작업시 주위를 요하는 위험한 작업 도구이다. 따라서, 그라인더 유닛(10)에는 양 손 작업을 위한 손잡이 또는 날(K)로부터 접근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대가 장착될 수 있도록 나사 결합공이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여기서, 각도 조절부(230)는 이 결합공에 연결이 가능하도록 결합 각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만약, 그라인더 유닛(10)에 해당 결합공이 설계되어 있지 않은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그라인더 레일 어셈블리는 각도 조절부(230)와 연결되고 그라인더 유닛(10)을 고정 결합하기 위한 부재가 추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그라인더 레일 어셈블리는 그라인더 유닛(10)의 거치면이 제조사에 따라 달라지더라도 그라인더 유닛(10)의 거치면에 대응하도록 결합 각도를 조절하여 안착 공간을 마련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안착 공간에 그라인더 유닛(10)를 자유롭게 장착하거나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그라인더 유닛(10)의 장착을 통해 그라인딩 작업의 정확성, 안정성, 작업성을 높여주며, 그라인더 유닛(10)의 분리를 통해 편의성과 휴대성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이동 유닛(30)은 거치 유닛(20) 하부에 결합되며, 거치 유닛(20)을 예정된 방향으로 이동시켜주기 위한 구성으로써, 플레이트 부재(310)와, 다수의 베어링 부재(320)를 포함한다.
상기 플레이트 부재(310)는 일측에 거치 유닛(20)이 결합되는 다수의 고정 결합공(F)이 형성된다. 그래서, 거치 유닛(20) 하부에는 플레이트 부재(310)에 형성되는 다수의 고정 결합공(F)에 대응하는 위치에 볼트 결합이 가능한 나사 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는 3 개의 고정 결합공(F)을 통해 플레이트 부재(310)의 일측 상부에 거치 유닛(20)을 단단하게 고정 결합하는 것을 일례로 하였다.
이하, 도 3 을 통해 플레이트 부재(310)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알아보기로 한다.
도 3 은 도 1 및 도 2 의 플레이트 부재(310)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3 을 참조하면, 플레이트 부재(310)는 그라인더 유닛(10)를 하방으로 움직이는 경우 그라인더 유닛(10)의 이동 경로를 확보하기 위한 이동 공간(NS)이 형성된다. 만약 그라인더 유닛(10) 이외에 다른 장비가 거치되어 이동 공간(NS)이 필요하지 않는 경우 이동 공간(NS)의 존재 여부와 모양은 설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한편, 플레이트 부재(310)의 하부에는 다수의 베어링 부재(320)가 결합되어 있으며, 플레이트 부재(310)에는 이 다수의 베어링 부재(320)를 결합하기 위한 다수의 베어링 결합공(TW1, TW2, TW3, TW4)이 형성된다. 여기서는 플레이트 부재(310)의 각 모서리 부분에 제1 내지 제4 베어링 결합공(TW1, TW2, TW3, TW4)이 형성되는 것을 일례로 하였지만, 제1 내지 제4 베어링 결합공(TW1, TW2, TW3, TW4) 각각의 위치는 레일 유닛(40)의 폭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참고로, 제1 내지 제4 베어링 결합공(TW1, TW2, TW3, TW4)은 타원 형상을 가지며, 이 형상에 대한 설명은 도 4 에서 다시 하기로 한다.
우선, 제1 베어링 결합공(TW1)는 플레이트 부재(310)를 편(片) 형상으로 일부 절개한 제1 탄성편(P1)에 형성되며, 2 베어링 결합공(TW2) 역시 제2 탄성편(P2)에 형성된다. 제1 탄성편(P1)과 제2 탄성편(P2)은 모양과 기능이 서로 유사하기 때문에 제1 탄성편(P1)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플레이트 부재(310)에 형성되는 제1 탄성편(P1)은 일단이 플레이트 부재(310)와 연결되고 나머지 모서리 부분은 모두 플레이트 부재(310)와 일정 간격(RS)만큼 이격되어 형성된다. 때문에, 제1 탄성편(P1)에 연결되는 베어링 부재(320)에 외력이 가해지면 해당 외력은 제1 탄성편(P1)으로 전달되고 제1 탄성편(P1)은 해당 외력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베어링 결합공(TW1)와 제2 베어링 결합공(TW2)은 타원의 형태를 가지며, 제3 베어링 결합공(TW3)과 제4 베어링 결합공(TW4)은 제1 베어링 결합공(TW1)과 제2 베어링 결합공(TW2) 보다 긴 타원 형태를 가진다. 즉, 제1 베어링 결합공(TW1)의 장축 길이보다 제4 베어링 결합공(TW4)의 장축 길이가 길다. 이는 제3 베어링 결합공(TW3)과 제4 베어링 결합공(TW4)에 연결되는 베어링 부재(320)의 위치를 조절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며, 이러한 구조를 통해 제1 베어링 결합공(TW1)과 제4 베어링 결합공(TW4)의 폭과 제2 베어링 결합공(TW2)과 제3 베어링 결합공(TW3)의 폭을 레일 유닛(40)의 폭보다 약간 크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조절을 통해 다수의 베어링 부재(320) 각각은 레일 유닛(40)의 레일에 최대한 밀착하여 끼워질 수 있으며, 이는 제1 탄성편(P1)과 제2 탄성편(P2)의 탄성력을 최대한으로 이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강재로 형성되는 레일 유닛(40)의 레일 폭이 균일하지 않더라도 탄성력을 가지는 제1 탄성편(P1)과 제2 탄성편(P2)에 의하여 베어링 부재(320)와 레일 유닛(40)의 레일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지 않아 그라인더 유닛(10)을 슬라이딩 이동하는데 있어서 정확성과 안정성을 높여주는 것이 가능하다.
참고적으로, 제1 탄성편(P1)과 제2 탄성편(P2)은 동일한 레일에 접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제1 탄성편(P1)과 제2 탄성편(P2)이 접한 레일이 불규칙하더라도 제1 탄성편(P1)과 제2 탄성편(P2)의 탄성력에 의한 유동성으로 이를 보완해 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이는 레일이 불규칙하더라도 날(K)의 이동 경로가 변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를 통해 그라인딩 작업의 정확성, 안정성, 작업성을 높여주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다수의 베어링 부재(320)는 제1 베어링 결합공(TW1)과 제2 베어링 결합공(TW2)과 제3 베어링 결합공(TW3), 및 제4 베어링 결합공(TW4) 각각의 하단에 연결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다수의 베어링 부재(320) 중 하나의 베어링 부재를 대표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는 도 1 및 도 2 의 베어링 부재(320)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와 평면도이다.
도 4 를 참조하면, 베어링 부재(320)는 축을 중심으로 외륜과 내륜 사이에 볼(G)이 안착되며, 외측면에 레일 유닛(40)에 대응하는 형상의 홈(H)이 형성되는 베어링 본체와, 베어링 본체의 선단에 형성되며 제1 베어링 결합공(TW1) 또는 제2 베어링 결합공(TW2)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돌출되어 끼움 고정되는 단턱(T), 및 단턱(T)의 선단에 형성되며 다수의 베어링 결합공(TW1, TW2, TW3, TW4)을 관통하여 고정 결합이 가능한 결합봉(N)을 포함한다.
여기서, 단턱(T)은 제1 베어링 결합공(TW1)과 제2 베어링 결합공(TW2)에 대응하는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봉(N)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베어링 결합공(TW1)와 제2 베어링 결합공(TW2) 각각은 타원형의 돌출된 단턱(T)을 끼워 고정시킨 이후 너트 등을 이용하여 베어링 부재(320)를 고정 결합 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참고적으로, 타원형의 돌출된 단턱(T)은 제1 베어링 결합공(TW1)에 고정되어 결합되기 때문에 제1 베어링 결합공(TW1)에 베어링 부재(320)를 고정 결합하는 데에는 결합봉(N)에 너트를 결합하기 위한 최소한의 도구만을 필요로 한다. 또한, 여기서 단턱(T)은 타원형을 일례로 하였지만 제1 베어링 결합공(TW1)에 끼워져서 회전하지 않는 형상이라면 타원형 이외에도 다각형과 같은 형상도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제3 베어링 결합공(TW3)와 제4 베어링 결합공(TW4)은 제1 탄성편(P1)과 제2 탄성편(P2)의 탄성력을 최대화할 수 있는 위치를 선정하고 해당 위치에 돌출된 단턱(T)를 끼운 후 동일하게 너트 등을 이용하여 베어링 부재(320)를 고정 결합 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다시 도 1 을 참조하면, 상기 레일 유닛(40)은 이동 유닛(30) 하부에 배치되며, 이동 유닛(30)을 단면이 "
Figure 112016107356698-pat00001
"와 같이 형성되는 레일의 내측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가이드 하기 위한 구성이다.
여기서, 플레이트 부재(310)의 제1 탄성편(P1)과 제2 탄성편(P2) 각각에 결합되는 즉, 제1 베어링 결합공(TW1)과 제2 베어링 결합공(TW2) 각각에 결합되는 베어링 부재(320)는 레일 유닛(40)의 일측 레일에 접하고, 제3 베어링 결합공(TW3)과 제4 베어링 결합공(TW4) 각각에 결합되는 베어링 부재(320)는 레일 유닛(40)의 다른 일측 레일에 접한다.
여기서, 레일 유닛(40)의 레일은 다수의 베어링 부재(320)의 홈(H)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레일 유닛(40)의 제작시 원치않는 공차가 발생할 수 있으나 제1 및 제2 탄성편(P1, P2)에 의한 탄성력에 의하여 다수의 베어링 부재(320)와 레일 유닛(40)은 항상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어서, 이동 유닛(30) 일측에는 집진 유닛(50)이 연결된다. 집진 유닛(50)은 그라인더 유닛(10)의 날(K)을 감싸며, 일측에 형성되는 흡입구(510)을 통해 그라인딩 동작시 발생하는 이물질을 흡입하기 위한 구성이다. 집진 유닛(50)은 도 3 의 고정공(TW5)에 연결되어 고정 결합이 가능하고, 날(K)을 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전면부에 개방이 가능한 덮개(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될 수 있다.
참고적으로, 시중에 사용되는 그라인더는 날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날을 감싸는 보호대가 장착되어 있다. 하지만, 이 보호대의 경우 그라인딩 작업시 발생하는 이물질을 일차적으로 막아주는 역할을 할 뿐 이를 흡입하여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그라인더 레일 어셈블리는 집진 유닛(50)을 추가로 구성하여 쾌적한 환경의 그라인딩 작업을 보장해 줄 수 있다.
이어서, 레일 유닛(40)의 말단에는 이탈 방지 유닛(60)이 배치된다. 이탈 방지 유닛(60)은 이동 유닛(30)이 레일 유닛(40)을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막아주기 위한 구성이다. 이탈 방지 유닛(60)은 사용자에 의하여 장착 또는 제거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그라인더 레일 어셈블리는 그라인더 유닛(10)가 분리될 뿐만 아니라, 거치 유닛(20)의 각 구성과, 이동 유닛(30)의 각 구성과, 레일 유닛(40)과, 집진 유닛(50), 및 이탈 방지 유닛(60)이 모두 분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별도의 수납 상자에 보관이 가능하다. 이렇게 조립과 분리가 가능하다는 것은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참고적으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플레이트 부재(310)의 다수의 고정 결합공(F)에는 거치 유닛(20)이 결합되는 길이 방향으로 평행 눈금이 표시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이 평행 눈금을 기준으로 거치 유닛(20)의 위치를 정확하게 설정하여 고정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거치 유닛(20)의 고정 지지부(210)의 관통구(GT)에도 평행 눈금이 표시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이 평행 눈금을 기준으로 가이드 고정 부재(221)의 위치를 정확하게 설정하여 고정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플레이트 부재(310)의 제3 베어링 결합공(TW3)과 제4 베어링 결합공(TW4) 주위에도 평행 눈금이 표시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베어링 부재(320)의 위치를 정확하게 설정하여 고정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레일 유닛(40)은 설계자에 따라 그 폭을 달리하여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레일 유닛(40)의 폭에 따른 이동 유닛(30)의 다른 실시예를 보다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폭이 좁아진 레일 유닛에 41 도면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폭이 좁아진 레일 유닛(41)과 여기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구성을 합하여 슬라이딩 레일 어셈블리라고 하고 100 도면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내지 도 7 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레일 어셈블리(100)를 설명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레일 어셈블리(100)는 플레이트 부재(110);와 상기 플레이트 부재(110)와 상기 레일 사이의 유격을 조절하는 하나 이상의 유격조절부(120); 및 상기 플레이트 부재(110) 및 상기 유격조절부(120)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베어링(130)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유격조절부(120)는 상기 플레이트 부재(110)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레일 유닛(41)과 아래에서 설명할 베어링(130) 사이에서 발생되는 유격을 조절해주며 상기 플레이트 부재(110)에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 에 일 예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유격조절부(120)는 상기 플레이트 부재(110)를 편(片) 형상으로 일부 절개하여 형성되는 탄성편(121)과, 상기 탄성편(121)의 선단에 형성되는 제1 체결공(111A)을 포함한다.
상기 탄성편(121)은 일단이 플레이트 부재(110)와 연결되고, 나머지 모서리 부분은 모두 플레이트 부재(110)와 일정간격만큼 이격되어 외력이 가해지면 탄성적으로 변형됨으로써 본 발명의 플레이트 부재(110)와 레일 유닛(40) 간의 유격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탄성편(121)의 선단에는 베어링(130)이 연결되기 위한 제1 체결공(111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 부재(110)에도 베어링(130)이 연결되기 위한 다수개의 제2 체결공(112A)이 형성된다.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제2 체결공(112A)은 동일한 중심선(A-A') 상에 위치하지만, 제1 체결공(111A)은 상기 중신선(A-A') 상에 위치하지 않고 어느 일방으로 벗어난다.
따라서, 상기 탄성편(121)에 형성되는 제1 체결공(111A)에 체결되는 베어링(130)은 레일 유닛(41) 의 일단에 접하게 되고, 상기 플레이트 부재(110)에 형성되는 제2 체결공(112A)에 체결되는 베어링(130)은 레일 유닛(41)의 타단에 접하게 됨으로써 레일 유닛(41) 자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제조공차에 의한 베어링(130)과의 유격을 잡아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레일 유닛(41)과 베어링(130)과의 유격 거리에 따라 다수개의 제2 체결공(112A)의 중심선 상에서 상기 제1 체결공(111A)이 이격된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베어링(130)은 상기 제1 체결공(111A)에 결합되는 유격조절베어링(131)과, 상기 제2 체결공(112A)에 결합되는 플레이트베어링(132)을 포함한다.
상기 유격조절베어링(131)은 상기 제1 체결공(111A)을 통하여 탄성편(121)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탄성편(121)의 탄성력에 의해 유동성을 가지게 된다.
상기 플레이트베어링(132)은 상기 제2 체결공(112A)을 통하여 상기 플레이트 부재(110)에 고정 결합되는 것이다.
즉, 상기 베어링(130)은 유동성 있는 적어도 하나의 유격조절베어링(131)과 고정된 다수의 플레이트베어링(132)이 상기 레일 유닛(41)의 양면에 각각 맞닿을 수 있도록 상기 플레이트 부재(110)의 동일 중심선 상에 위치하지 않도록 교호하게 구비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베어링(130)의 구성으로 인하여 상기 레일 유닛(41)의 간격이 균일하지 못할 시에도 상기 유격조절부(120)에 결합된 상기 유격조절베어링(131)이 탄성편(121)의 탄성력에 의해 유동성을 가지게 됨으로써 레일 유닛(41)과 베어링(130) 사이의 유격을 잡아줄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중심축을 가지는 베어링(130)을 교호하게 배치함으로써 플레이트 부재(310)가 레일 유닛(41)에 밀착되어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유격조절부(120)에 구비된 제1 탄성편(121)에 의해 베어링(130)이 유동함으로써 제조공차에 의해 균일하게 제조되지 못한 레일 유닛(41)과 베어링(130)과의 유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8 은 유격조절부(120)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략적인 작용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상기 레일 유닛(41)이 곡선형일 때를 도시한 것이다.
도 8 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유격조절부(120)는 곡선형의 레일(42)에 대응될 수 있는 곡선형의 탄성편(1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레일 어셈블리(100)는 별도의 구성품 필요 없이 기존의 구성에서의 일부 변형을 통한 구현으로 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그라인더 유닛
20 : 거치 유닛
30 : 이동 유닛
40 : 레일 유닛
50 : 집진 유닛
60 : 이탈 방지 유닛

Claims (16)

  1. 그라인더의 거치면에 대응하는 거치 공간을 마련하고, 상기 거치 공간에 상기 그라인더를 거치하여 고정 결합하기 위한 거치 유닛;
    상기 거치 유닛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거치 유닛을 슬라이딩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유닛; 및
    상기 이동 유닛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이동 유닛을 예정된 방향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레일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거치 유닛은,
    상기 이동 유닛 일측에 일정 높이로 형성되어 고정 결합되는 고정 지지부;
    상기 고정 지지부에 형성되는 관통구를 통해 조임 연결되며, 상기 그라인더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 조절부; 및
    상기 높이 조절부에 연결되며, 상기 거치 공간에 대응하는 결합 각도를 형성하기 위한 각도 조절부를 포함하는
    착탈식 그라인더 레일 어셈블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부는,
    상기 고정 지지부의 일면에 접촉 배치되며, 상기 각도 조절부와 고정 연결되고 상기 그라인더의 높낮이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고정 부재; 및
    상기 고정 지지부의 다른 일면에 접촉 배치되며, 상기 관통구를 통해 상기 가이드 고정 부재와 연결되어 조임 고정을 위한 조임 부재를 포함하는
    착탈식 그라인더 레일 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고정 부재와 상기 각도 조절부는 볼트와 너트로 결합 고정되며, 상기 볼트의 머리는 상기 고정 지지부의 일면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에 안착되는
    착탈식 그라인더 레일 어셈블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부는,
    상기 가이드 고정 부재와 결합 고정되며, 상기 그라인더의 거치면에 대응하도록 폭을 조절하기 위한 제1 장공이 형성되는 제1 연결 부재; 및
    상기 제1 연결 부재와 절곡되어 연장되며, 상기 그라인더의 날이 배치되는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제2 장공이 형성되는 제2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착탈식 그라인더 레일 어셈블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유닛은,
    상기 거치 유닛과 결합되는 플레이트 부재; 및
    상기 플레이트 부재 하부에 결합되는 다수의 베어링 부재를 포함하는
    착탈식 그라인더 레일 어셈블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부재는,
    상기 플레이트 부재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거치 유닛을 고정 결합하기 위한 다수의 고정 결합공; 및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각 모서리 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베어링 부재를 고정 결합하기 위한 다수의 베어링 결합공을 포함하되,
    상기 다수의 베어링 결합공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플레이트 부재를 편(片) 형상으로 일부 절개한 탄성편에 형성되는
    착탈식 그라인더 레일 어셈블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베어링 부재 중 동일한 레일에 접하는 베어링 부재는 상기 탄성편에 형성되는
    착탈식 그라인더 레일 어셈블리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베어링 결합공은 타원 형상을 가지며,
    상기 다수의 베어링 결합공의 타원의 장축 길이가 서로 다른
    착탈식 그라인더 레일 어셈블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베어링 부재 각각은,
    축을 중심으로 외륜과 내륜 사이에 볼이 안착되며 외측면에 상기 레일 유닛에 대응하는 형상의 홈이 형성되는 베어링 본체;
    상기 베어링 본체의 선단에 형성되며, 해당 베어링 결합공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돌출되어 해당 베어링 결합공에 끼움 고정되는 단턱; 및
    상기 단턱의 선단에 형성되며 해당 베어링 결합공을 관통하여 고정 결합되는 결합봉을 포함하는
    착탈식 그라인더 레일 어셈블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유닛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그라인더의 날을 감싸며, 일측에 형성되는 흡입구를 통해 그라인딩 동작시 발생하는 이물질을 흡입하기 위한 집진 유닛; 및
    상기 레일 유닛 말단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 유닛이 상기 레일 유닛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막아주기 위한 이탈 방지 유닛을 더 포함하는
    착탈식 그라인더 레일 어셈블리.
  13.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플레이트 부재;
    탄성력을 가지며 상기 플레이트 부재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유격조절부; 및
    상기 플레이트 부재 및 상기 유격조절부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베어링을 포함하되,
    상기 유격조절부는 상기 레일과 상기 베어링 사이의 유격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레일 어셈블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유격조절부는
    상기 플레이트 부재를 편(片) 형상으로 일부 절개 하여 형성되는 탄성편을 포함하는
    슬라이딩 레일 어셈블리.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은
    상기 유격조절부에 구비되는 유격조절베어링과,
    상기 플레이트 부재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플레이트베어링을 포함하는
    슬라이딩 레일 어셈블리.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유격조절베어링은
    상기 다수개의 플레이트베어링의 중심을 연결하는 중심축에서 벗어나서 배치되는
    슬라이딩 레일 어셈블리.
KR1020160145486A 2016-11-03 2016-11-03 착탈식 그라인더 레일 어셈블리 KR1018732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5486A KR101873269B1 (ko) 2016-11-03 2016-11-03 착탈식 그라인더 레일 어셈블리
PCT/KR2017/010045 WO2018084422A1 (ko) 2016-11-03 2017-09-13 착탈식 그라인더 레일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5486A KR101873269B1 (ko) 2016-11-03 2016-11-03 착탈식 그라인더 레일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9500A KR20180049500A (ko) 2018-05-11
KR101873269B1 true KR101873269B1 (ko) 2018-07-04

Family

ID=62076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5486A KR101873269B1 (ko) 2016-11-03 2016-11-03 착탈식 그라인더 레일 어셈블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73269B1 (ko)
WO (1) WO20180844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48831B (zh) * 2019-01-31 2021-07-09 浙江铭度家具集团有限公司 一种铝合金管材抛光装置
CN113231932B (zh) * 2021-04-01 2022-08-16 晟通科技集团有限公司 打磨定位工装和模板打磨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1599A (ja) * 2002-04-20 2003-11-05 Michiaki Yoshida 固定バイススライド式切断機
KR20070112519A (ko) * 2006-05-22 2007-11-27 주식회사 위너스기술 캐리어의 예압량 조절이 용이한 리니어 모션 가이드
KR20130006858U (ko) * 2012-05-21 2013-11-2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토우 그라인딩 자동머신
KR101466000B1 (ko) * 2013-03-25 2014-11-26 조규오 휴대용 그라인더
KR101546414B1 (ko) * 2013-09-26 2015-08-25 주식회사 대광이엔지 기초공사용 콘크리트 파일 절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9500A (ko) 2018-05-11
WO2018084422A1 (ko) 2018-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70839C (en) Sanding device, and sanding assembly including the same
KR101873269B1 (ko) 착탈식 그라인더 레일 어셈블리
US20120000339A1 (en) Modular table system for table saws
WO2013096936A3 (en) Table saw dust cover
CN101218077A (zh) 刳刨机
US9114502B2 (en) Grinder safety rest with special shape adjustment apparatus
CN102873618B (zh) 大工件砂带抛光机
KR200484009Y1 (ko) 전동기용 기어커플링 취외장치
US11826877B2 (en) Wheel grinder
JP2005288566A (ja) ディスクサンダー
US20090280733A1 (en) Assembly/disassembly structure of upstanding grinding axle
US20080268755A1 (en) Motorized Tool and Support Table Therefore
KR101220750B1 (ko) 위치 조절이 용이한 더스트 후드 조립체 및 이러한 더스트 후드 조립체를 구비한 전동공구
CN204868459U (zh) 一种倒角机
CN211681494U (zh) 一种双砂轮切割机
RU2555290C1 (ru) Универсальный ленточно-шлифовальный станок
US20130098502A1 (en) Edge-band chamfering device
KR20130115806A (ko) 용접부 가공 장치
CN209887321U (zh) 一种用于骨架油封部位的磨削工装
CN207806745U (zh) 一种用于金属尾座生产用切割机
KR101906224B1 (ko) 연마석이 교체 가능한 연마장치
CN201511419U (zh) 一种多功能木工机械
JP2020023006A (ja) カバーおよび工具
JP3201761U (ja) ディスクグラインダ及びその切断作業用補助具
CN101829908A (zh) 用于加工中心的多功能角度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