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0840B1 - 출력 버퍼 회로 및 그것을 포함하는 메모리 장치 - Google Patents

출력 버퍼 회로 및 그것을 포함하는 메모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0840B1
KR101870840B1 KR1020160145378A KR20160145378A KR101870840B1 KR 101870840 B1 KR101870840 B1 KR 101870840B1 KR 1020160145378 A KR1020160145378 A KR 1020160145378A KR 20160145378 A KR20160145378 A KR 20160145378A KR 101870840 B1 KR101870840 B1 KR 1018708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
emphasis
data
output
resistance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5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9483A (ko
Inventor
최훈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45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0840B1/ko
Priority to US15/688,532 priority patent/US9998121B2/en
Publication of KR20180049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94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0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08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51Data output circuits, e.g. read-out amplifiers, data output buffers, data output registers, data out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175Coupling arrangements; Interface arrangements
    • H03K19/0185Coupling arrangements; Interface arrangements using field effect transistors only
    • H03K19/018557Coupling arrangements; Impedance matching circuits
    • H03K19/018564Coupling arrangements; Impedance matching circuits with at least one differential stag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02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auxiliary circuits, e.g. defective refresh counters
    • G11C29/022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auxiliary circuits, e.g. defective refresh counters in I/O circuitr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02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auxiliary circuits, e.g. defective refresh counters
    • G11C29/028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auxiliary circuits, e.g. defective refresh counters with adaption or trimming of paramet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04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memory elements, e.g. cell constructio details, timing of test signals
    • G11C29/50Marginal testing, e.g. race, voltage or current testing
    • G11C29/50008Marginal testing, e.g. race, voltage or current testing of impedanc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02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with means for avoiding parasitic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51Data output circuits, e.g. read-out amplifiers, data output buffers, data output registers, data out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11C7/1057Data output buffers, e.g. comprising level conversion circuits, circuits for adapting load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16Modifications for eliminating interference voltages or curren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175Coupling arrangements; Interface arrangements
    • H03K19/0185Coupling arrangements; Interface arrangements using field effect transistors only
    • H03K19/018507Interface arrangements
    • H03K19/018521Interface arrangements of complementary type, e.g. CMO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175Coupling arrangements; Interface arrangements
    • H03K19/0185Coupling arrangements; Interface arrangements using field effect transistors only
    • H03K19/018557Coupling arrangements; Impedance matching circuits
    • H03K19/018571Coupling arrangements; Impedance matching circuits of complementary type, e.g. CMO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175Coupling arrangements; Interface arrangements
    • H03K19/0185Coupling arrangements; Interface arrangements using field effect transistors only
    • H03K19/018585Coupling arrangements; Interface arrangements using field effect transistors only programmabl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2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using specified components
    • H03K19/08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using specified compon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H03K19/094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using specified compon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field-effect transisto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3/00Circuits for generating electric pulses; Monostable, bistable or multistable circuits
    • H03K3/01Details
    • H03K3/012Modifications of generator to improve response time or to decrease power consumption

Abstract

본 발명에 실시 예에 따른 출력 버퍼 회로는 펄스 생성기, 송신기, 그리고 엠퍼시스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펄스 생성기는 엠퍼시스(emphasis)의 수행 구간을 결정하는 펄스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송신기는 펄스 신호에 따라, 저항 보정 코드를 제공받아 저항 보정 코드에 의해 결정되는 제 1 출력 저항 값을 제공하거나, 엠퍼시스의 수행 구간 동안 엠퍼시스 동작를 수행하기 위한 엠퍼시스 코드를 제공받아 엠퍼시스 코드에 의해 결정되는 제 2 출력 저항 값을 제공하여 엠퍼시스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엠퍼시시스 컨트롤러는 펄스 신호에 따라, 저항 보정 코드 또는 엠퍼시스 코드를 송신기에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출력 버퍼 회로 및 그것을 포함하는 메모리 장치{OUTPUT BUFFER CIRCUIT AND MEMORY DEVICE COMPRISING THAT}
본 발명은 반도체 회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엠퍼시스를 수행하는 출력 버퍼 회로 및 그것을 포함하는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메모리 장치는 컴퓨터, 휴대폰, 스마트폰, PDA, 디지털카메라, 캠코더, 보이스 리코더, MP3 플레이어, 개인용 휴대 단말기(PDA), 휴대용 컴퓨터(Handheld PC), 게임기, 팩스, 스캐너, 프린터 등과 같은 정보기기들의 음성 및 영상 데이터 저장 매체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메모리 장치가 다양한 장치의 저장 매체로 사용됨에 따라, 메모리 장치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가 다양화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따라, 메모리 장치의 대용량, 고속화, 저전력화 기술들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장치들의 처리 데이터가 증가함에 따라, 메모리 장치의 대용량화가 가속화되고 있다. 메모리 장치의 대용량에 따라, 복수의 다양한 메모리 장치가 하나의 메모리 시스템 내에 집적될 수 있다. 따라서, 메모리 장치 각각의 출력 버퍼 회로의 로드(load)가 증가하여 출력 데이터의 품질을 악화될 수 있다.
또한, 고속화된 메모리 장치가 매우 빠른 작동 속도를 가지게 되면서, 더 높은 신호 품질과 안정성이 요구된다. 메모리 장치의 출력 데이터가 고속화 됨에 따라, ISI(Inter Symbol Interference) 현상이 심화되어 신호의 품질이 저하된다. ISI 현상은 인접 부호 간의 간섭으로 인해 출력 데이터의 파형이 왜곡되는 현상이다. 따라서, 메모리 장치의 대용량화 및 고속화와 동시에 신호 품질을 개선하기 위해 ISI에 따른 출력 데이터의 왜곡 현상을 개선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프리 엠퍼시스(pre-emphasis) 또는 디 엠퍼시스(de-emphasis)를 수행하는 출력 버퍼 회로 및 그것을 포함하는 메모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실시 예에 따른 출력 버퍼 회로는 펄스 생성기, 송신기, 그리고 엠퍼시스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펄스 생성기는 엠퍼시스(emphasis)의 수행 구간을 결정하는 펄스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송신기는 펄스 신호에 따라, 저항 보정 코드를 제공받아 저항 보정 코드에 의해 결정되는 제 1 출력 저항 값을 제공하거나, 엠퍼시스의 수행 구간 동안 엠퍼시스 동작를 수행하기 위한 엠퍼시스 코드를 제공받아 엠퍼시스 코드에 의해 결정되는 제 2 출력 저항 값을 제공하여 엠퍼시스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엠퍼시시스 컨트롤러는 펄스 신호에 따라, 저항 보정 코드 또는 엠퍼시스 코드를 송신기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장치는 코드 생성 회로 및 출력 버퍼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코드 생성 회로는 출력 저항 값을 결정하는 저항 보정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출력 버퍼 회로는 저항 보정 코드를 제공받고, 데이터 전송 시에 저항 보정 코드에 의해 결정되는 제 1 출력 저항 값을 제공하고 데이터 전송 시의 엠퍼시스 수행 구간에서 엠퍼시스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엠퍼시스 코드에 의해 결정되는 제 2 출력 저항 값을 제공하는 메인 드라이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출력 버퍼 회로 및 메모리 장치는 엠퍼시스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별도의 메인 드라이버를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출력 단의 기생 캐패시턴스(capacitance)가 증가되는 것이 방지함과 동시에 전송 데이터 신호의 ISI를 보상하기 위한 프리 엠퍼시스 또는 디 엠퍼시스를 구현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출력 데이터 신호의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출력 버퍼 회로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리 엠퍼시스 동작을 수행하는 도 1에 도시된 송신기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메인 드라이버를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풀 업 프리 드라이버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 1 풀 업 프리 드라이버 유닛을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풀 다운 프리 드라이버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 1 풀 다운 프리 드라이버 유닛을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도 1에 도시된 펄스 생성기의 회로도와 펄스 생성기의 출력 신호를 보여주는 그림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엠퍼시스 컨트롤러를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엠퍼시스 크기 컨트롤러를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도 1의 출력 버퍼 회로의 프리 엠퍼시스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와 타이밍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 엠퍼시스 동작을 수행하는 도 4에 도시된 제 1 풀 업 프리 드라이버 유닛 및 도 6에 도시된 제 1 풀 다운 프리 드라이버 유닛을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 엠퍼시스 동작을 수행하는 도 1에 도시된 엠퍼시스 컨트롤러 및 엠퍼시스 크기 컨트롤러를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 엠퍼시스 동작을 수행하는 도 1의 출력 버퍼 회로의 디 엠퍼시스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도 18은 도 1의 출력 버퍼 회로가 적용된 메모리 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명확하고 상세하게 기재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출력 버퍼 회로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출력 버퍼 회로(1000)는 송신기(1100), 펄스 생성기(1200), 엠퍼시스 컨트롤러(1300), 그리고 엠퍼시스 크기 컨트롤러(1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출력 버퍼 회로(1000)는 출력되는 데이터 신호(DATA)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프리 엠퍼시스(pre-emphasis) 또는 디 엠퍼시스(de-emphasis)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출력 버퍼 회로(1000)가 데이터 신호(DATA)를 채널(미도시)를 통해 외부의 장치에 송신하는 경우, 채널(미도시)의 대역폭 제한에 의해 데이터 신호(DATA)의 인접 데이터의 부호들 간에 ISI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ISI 현상에 의해, 데이터 신호(DATA)의 고주파 성분의 감쇄가 발생하고, 데이터 신호(DATA)의 파형에 왜곡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 신호(DATA)의 왜곡에 인해, 원하는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전송되지 못할 수 있다.
상술한 데이터 신호(DATA)의 ISI를 보상하기 위해, 본 발명의 출력 버퍼 회로(1000)는 엠퍼시스 동작을 수행한다. 엠퍼시스 동작에 의해 생성되는 데이터 신호(DATA)의 파형은 데이터가 천이하는 구간의 전압 레벨이 데이터가 유지되는 구간의 전압 레벨보다 높은 형태의 파형으로 구성된다. 이하에서, 이러한 데이터 파형을 엠퍼시스 파형이라 지칭한다. 이러한 엠퍼시스 파형에 의해, 상술한 채널 대역폭 제한에 따른 데이터 신호(DATA)의 ISI가 개선될 수 있다.
상술한 엠퍼시스 동작에 따른 데이터 신호(DATA)의 엠퍼시스 파형을 생성하는 방법으로 프리 엠퍼시스(pre-emphasis)의 방법과 디 엠퍼시스(de-emphasis)의 방법이 있다. 프리 엠퍼시스 방법은 데이터가 천이하는 구간의 전압 레벨을 정상적인 데이터 신호(DATA)의 출력 전압 레벨보다 높도록 구성하여 엠퍼시스 파형을 생성하는 방법이다. 즉, 데이터의 전압 레벨이 유지되는 구간에서, 데이터 신호(DATA)의 전압 레벨은 정상적인 데이터 신호(DATA)의 출력 전압 레벨을 유지한다.
반면, 디 엠퍼시스 방법은 데이터가 유지되는 구간의 전압 레벨을 정상적인 데이터 신호(DATA)의 출력 전압 레벨보다 낮도록 구성하여 엠퍼시스 파형을 생성하는 방법이다. 즉, 데이터가 천이하는 구간에서, 데이터 신호(DATA)의 전압 레벨은 정상적인 데이터 신호(DATA)의 출력 전압 레벨을 유지한다.
본 발명의 출력 버퍼 회로(1000)는 상술한 프리 엠퍼시스 방법 및 디 엠퍼시스 방법에 의한 엠퍼시스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엠퍼시스 방법에 따라, 송신기(1100)에 포함되는 회로의 일부 구성이 달라질 수 있다.
송신기(1100)는 내부 회로(미도시)로부터 풀 업 및 풀 다운 데이터(Dout_pu, Dout_pd)를 제공받고, 풀 업 및 풀 다운 데이터(Dout_pu, Dout_pd)를 기초로 데이터 신호(DATA)를 생성하여 채널(미도시)에 전송한다. 데이터 신호(DATA)를 채널(미도시)에 전송 시, 송신기(1100)는 데이터 신호의 반사를 줄이고 데이터 신호의 품질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출력 저항 값이 채널(미도시)의 임피던스와 매칭(matching)되도록 출력 저항 값을 제어한다. 송신기(1100)는 저항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 회로(미도시)로부터 채널(미도시)과의 임피던스를 매칭을 위한 풀 업 및 풀 다운 저항 보정 코드(ZQ_P, ZQ_N)를 엠퍼시스 컨트롤러(1300) 및 엠퍼시스 크기 컨트롤러(1400)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다.
송신기(1100)의 데이터(DATA) 출력 시, 송신기(1100)는 풀 업 및 풀 다운 드라이빙 신호(DRV_pu, DRV_pd)와 풀 업 및 풀 다운 보조 드라이빙 신호(DRVst_pu, DRVst_pd)를 통해 풀 업 및 풀 다운 저항 보정 코드(ZQ_P, ZQ_N)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송신기(1100)의 엠퍼시스 수행 구간에서, 송신기(1100)는 풀 업 및 풀 다운 드라이빙 신호(DRV_pu, DRV_pd)와 풀 업 및 풀 다운 보조 드라이빙 신호(DRVst_pu, DRVst_pd)를 통해 엠퍼시스 코드(미도시)를 제공받을 수 있다.
엠퍼시스 코드(미도시)는 상술한 엠퍼시스 파형을 생성하기 위한 출력 저항 값을 결정하는 코드이다. 엠퍼시스 코드(미도시)는 풀 업 엠퍼시스 코드 및 풀 다운 엠퍼시스 코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풀 업 엠퍼시스 코드(미도시)는 상술한 풀 업 저항 보정 코드(ZQ_P)의 최대 값 또는 최소 값에 대응한다. 또한, 풀 다운 엠퍼시스 코드(미도시)는 상술한 풀 다운 저항 보정 코드(ZQ_N)의 최대 값 또는 최소 값에 대응한다.
펄스 생성기(1200)는 내부 회로(미도시)로부터 풀 업 및 풀 다운 데이터(Dout_pu, Dout_pd)를 제공받고, 풀 업 및 풀 다운 데이터(Dout_pu, Dout_pd)를 기초로 엠퍼시스 수행 구간을 결정하는 풀 업 및 풀 다운 펄스(Pul_pu, Pul_pd)를 생성한다. 펄스 생성기(1200)는 엠퍼시스 제어 신호(EMP_en)에 따라 엠퍼시스 동작을 수행하거나 수행하지 않는다. 펄스 생성기(1200)의 구성 및 동작은 도 8a 내지 도 8b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엠퍼시스 컨트롤러(1300)는 풀 업 및 풀 다운 펄스(Pul_pu, Pul_pd)에 따라, 풀 업 및 풀 다운 저항 보정 코드(ZQ_P, ZQ_N)를 풀 업 및 풀 다운 드라이빙 신호(DRV_pu, DRV_pd)로서 출력하거나, 풀 업 및 풀 다운 엠퍼시스 코드(미도시)를 풀 업 및 풀 다운 드라이빙 신호(DRV_pu, DRV_pd)로서 출력한다.
엠퍼시스 크기 컨트롤러(1400)는 엠퍼시스 컨트롤러(1300)와 유사하게 동작한다. 다만, 엠퍼시스 컨트롤러(1300)와 비교하여, 엠퍼시스 크기 컨트롤러(1400)는 크기 조절 신호(EMP_st)를 더 제공받는다. 크기 조절 신호(EMP_st)가 활성화 되는 경우, 엠퍼시스 크기 컨트롤러(1400)는 풀 업 및 풀 다운 펄스(Pul_pu, Pul_pd)에 따라, 풀 업 및 풀 다운 저항 보정 코드(ZQ_P, ZQ_N)를 풀 업 및 풀 다운 드라이빙 신호(DRV_pu, DRV_pd)로서 출력하거나, 풀 업 및 풀 다운 엠퍼시스 코드(미도시)를 풀 업 및 풀 다운 드라이빙 신호(DRV_pu, DRV_pd)로서 출력한다.
또는, 크기 조절 신호(EMP_st)가 비활성화 되는 경우, 엠퍼시스 크기 컨트롤러(1400)는 풀 업 및 풀 다운 펄스(Pul_pu, Pul_pd)와 관계없이, 풀 업 및 풀 다운 저항 보정 코드(ZQ_P, ZQ_N)를 풀 업 및 풀 다운 드라이빙 신호(DRV_pu, DRV_pd)로서 출력한다. 즉, 엠퍼시스 크기 컨트롤러(1400)는 크기 조절 신호(EMP_st)에 따라, 송신기(1100)가 엠퍼시스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에 엠퍼시스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엠퍼시스 동작을 수행하는 출력 버퍼 회로(1000)의 구성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되었다. 상술한 구성들을 통해, 본 발명의 출력 버퍼 회로(1000)는 송신기(1100)에 포함되는 메인 드라이버(미도시)에 제공되는 저항 보정 코드 값을 변경하여 엠퍼시스 동작을 수행한다. 즉, 출력 버퍼 회로(1000)는 엠퍼시스 동작을 위한 별도의 메인 드라이버(미도시)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별도의 메인 드라이버(미도시)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출력 단의 기생 캐패시턴스(capacitance)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출력 버퍼 회로(1000)는 기생 캐패시턴스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엠퍼시스 기능을 제공하여 출력 신호의 품질을 개선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2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프리 엠퍼시스를 수행하기 위한 출력 버퍼 회로(1000)의 구성 및 동작 방법이 설명될 것이고, 도 13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디 엠퍼시스를 수행하기 위한 출력 버퍼 회로(1000)의 구성 및 동작 방법이 설명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리 엠퍼시스 동작을 수행하는 도 1에 도시된 송신기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의 블록도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송신기(1100)는 메인 드라이버(1110), 풀 업 프리 드라이버(1120), 그리고 풀 다운 프리 드라이버(1130)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기(1100)는 내부 회로(미도시)로부터 제공된 풀 업 및 풀 다운 데이터(Dout_pu, Dout_pd)를 기초로 데이터 신호(DATA)를 생성하여 채널(미도시)를 통해 외부 장치(미도시)에 제공한다.
메인 드라이버(1110)는 풀 업 프리 드라이버(1120) 및 풀 다운 프리 드라이버(1300)로부터 각각 제공된 제 1 내지 제 3 풀 업 구동 신호(PU_out1[N:0], PU_out2[N:0], PU_out3[N:0]) 및 제 1 내지 제 3 풀 다운 구동 신호(PD_out1[N:0], PD_out2[N:0], PD_out3[N:0])에 의해 출력 데이터(DATA) 신호를 생성한다. 메인 드라이버(1110)는 다양한 출력 저항 값을 제공하기 위해 복수의 풀 업 유닛(미도시) 및 풀 다운 유닛(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3 풀 업 구동 신호(PU_out1[N:0], PU_out2[N:0], PU_out3[N:0]) 및 제 1 내지 제 3 풀 다운 구동 신호(PD_out1[N:0], PD_out2[N:0], PD_out3[N:0])는 각각 메인 드라이버(1110)의 복수의 풀 업 유닛(미도시) 및 풀 다운 유닛(미도시)을 구동한다.
메인 드라이버(1110)는 데이터를 외부에 전달하는 경우, 외부의 채널과 연결된다. 따라서, 데이터의 송신 시에 발생할 수 있는 채널과의 반사파를 방지하기 위해, 메인 드라이버(1110)의 출력 저항 값은 채널과의 임피던스 매칭이 되는 저항 값으로 결정된다. 메인 드라이버(1110)는 채널과의 임피던스 매칭을 위한 복수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제 1 내지 제 3 풀 업 구동 신호(PU_out1[N:0], PU_out2[N:0], PU_out3[N:0]) 및 제 1 내지 제 3 풀 다운 구동 신호(PD_out1[N:0], PD_out2[N:0], PD_out3[N:0]) 각각의 비트 수 'N'은 메인 드라이버(1110)에 포함된 복수의 트랜지스터의 수에 의해 결정된다. 메인 드라이버(1110)의 예시적인 구성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풀 업 프리 드라이버(1120)는 내부 회로(미도시)로부터 풀 업 데이터(Dout_pu)를 제공받는다. 또한, 풀 업 프리 드라이버(1120)는 엠퍼시스 컨트롤러(1300) 및 엠퍼시스 크기 컨트롤러(1400)로부터 각각 풀 업 드라이빙 신호(DRV_pu[N-1:0])와 풀 업 보조 드라이빙 신호(DRVst_pu[N-1:0])를 제공받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풀 업 프리 드라이버(1120)가 풀 업 드라이빙 신호(DRV_pu[N-1:0]) 및 풀 업 보조 드라이빙 신호(DRVst_pu[N-1:0])를 통해 풀 업 저항 보정 코드(ZQ_P)를 제공받는 경우, 풀 업 프리 드라이버(1120)는 풀 업 저항 보정 코드(ZQ_P)에 따른 출력 저항 값을 제공하도록 메인 드라이버(1110)를 구동하기 위한 제 1 내지 제 3 풀 업 구동 신호(PU_out1[N:0], PU_out2[N:0], PU_out3[N:0])를 생성한다.
또는, 프리 엠퍼시스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풀 업 프리 드라이버(1120)는 풀 업 드라이빙 신호(DRV_pu[N-1:0])를 통해 엠퍼시스 코드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엠퍼시스 크기 컨트롤러(1400)가 크기 조절 신호(EMP_st)에 따라 엠퍼시스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풀 업 프리 드라이버(1120)는 풀 업 보조 드라이빙 신호(DRV_pu[N-1:0])를 통해 엠퍼시스 코드를 제공받을 수 있다. 풀 업 프리 드라이버(1120)가 프리 엠퍼시스 동작을 수행을 수행하는 경우, 풀 업 프리 드라이버(1120)는 제공된 엠퍼시스 코드에 따른 출력 저항 값을 제공하도록 메인 드라이버(1110)를 구동하기 위한 제 1 내지 제 3 풀 업 구동 신호(PU_out1[N:0], PU_out2[N:0], PU_out3[N:0])를 생성한다.
풀 다운 프리 드라이버(1130)는 내부 회로(미도시)로부터 풀 다운 데이터(Dout_pd)를 제공받는다. 또한, 풀 다운 프리 드라이버(1130)는 엠퍼시스 컨트롤러(1300) 및 엠퍼시스 크기 컨트롤러(1400)로부터 각각 풀 다운 드라이빙 신호(DRV_pd[N-1:0])와 풀 다운 보조 드라이빙 신호(DRVst_pd[N-1:0])를 제공받는다
풀 다운 프리 드라이버(1130)는 풀 업 프리 드라이버(1120)와 유사하게 동작한다. 즉, 풀 다운 프리 드라이버(1130)는 풀 다운 드라이빙 신호(DRV_pd[N-1:0]) 및 풀 다운 보조 드라이빙 신호(DRVst_pd[N-1:0])를 통해 풀 다운 저항 보정 코드(ZQ_N) 또는 엠퍼시스 코드를 제공받는다. 풀 다운 프리 드라이버(1130)는 제공된 풀 다운 저항 보정 코드(ZQ_N) 또는 엠퍼시스 코드에 따른 출력 저항 값을 제공하도록 메인 드라이버(1110)를 구동하기 위한 제 1 내지 제 3 풀 다운 구동 신호(PD_out1[N:0], PD_out2[N:0], PD_out3[N:0])를 생성한다.
풀 업 및 풀 다운 프리 드라이버(1120, 1130) 각각은 생성한 제 1 내지 제 3 풀 업 구동 신호(PU_out1[N:0], PU_out2[N:0], PU_out3[N:0]) 및 제 1 내지 제 3 풀 다운 구동 신호(PD_out1[N:0], PD_out2[N:0], PD_out3[N:0])를 메인 드라이버(1110)에 제공한다. 풀 업 및 풀 다운 데이터(Dout_pu, Dout_pd)를 채널에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 신호(DATA)가 풀 업 및 풀 다운 저항 보정 코드(ZQ_P, ZQ_N) 또는 엠퍼시스 코드에 따라 결정되는 출력 저항 값에 의해 구동되도록, 메인 드라이버(1110)는 데이터 신호(DATA)를 생성한다.
제 1 내지 제 3 풀 업 구동 신호(PU_out1[N:0], PU_out2[N:0], PU_out3[N:0]) 및 제 1 내지 제 3 풀 다운 구동 신호(PD_out1[N:0], PD_out2[N:0], PD_out3[N:0])는 각각 메인 드라이버(1110)의 구성에 따라 동일한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구동 신호로 구성되거나, 서로 반대의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구동 신호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 제 1 내지 제 3 풀 업 구동 신호(PU_out1[N:0], PU_out2[N:0], PU_out3[N:0]) 및 제 1 내지 제 3 풀 다운 구동 신호(PD_out1[N:0], PD_out2[N:0], PD_out3[N:0])는 각각 메인 드라이버(1110)에 동일한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구동 신호로 구성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메인 드라이버를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도 3의 회로도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메인 드라이버(1110)는 제 1 내지 제 3 풀 업 드라이버 유닛(1111~1113) 및 제 1 내지 제 3 풀 다운 드라이버 유닛(1114~1116)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3 풀 업 드라이버 유닛(1111~1113)은 구동 전압(VDDQ)과 노드(n1) 사이에 병렬로 연결된다. 제 1 풀 업 드라이버 유닛(1111)은 하나의 풀 업 유닛을 포함한다. 제 2 풀 업 드라이버 유닛(1112)은 병렬로 연결된 두 개의 풀 업 유닛을 포함하고, 제 3 풀 업 드라이버 유닛(1113)은 병렬로 연결된 4 개의 풀 업 유닛을 포함한다. 제 1 풀 업 드라이버 유닛(1111)에 포함된 풀 업 유닛은 제 1 풀 업 구동 신호(PU_out1[N:0])에 의해 구동된다. 제 2 풀 업 드라이버 유닛(1112)에 포함된 두 개의 풀 업 유닛은 각각 제 2 풀 업 구동 신호(PU_out2[N:0])에 의해 구동되고. 제 3 풀 업 드라이버 유닛(1113)에 포함된 네 개의 풀 업 유닛은 각각 제 3 풀 업 구동 신호(PU_out3[N:0])에 의해 구동된다.
제 1 풀 업 드라이버 유닛(1111)에 포함된 풀 업 유닛은 복수의 트랜지스터(MP1) 및 메인 트랜지스터(MP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트랜지스터(MP1)에 포함된 각각의 트랜지스터 및 메인 트랜지스터(MP2)는 제 1 풀 업 구동 신호(PU_out1[N:0])에 의해 턴 온 또는 턴 오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풀 업 구동 신호(PU_out1[N:0])의 각 비트의 값에 기초하여, 복수의 트랜지스터(MP1)에 포함되는 각각의 트랜지스터 및 메인 트랜지스터(MP2)가 턴 온 또는 턴 오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7비트의 제 1 풀 업 구동 신호(PU_out1[N:0])가 사용되는 경우 복수의 트랜지스터(MP1)는 6개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6개의 트랜지스터 각각은 제 1 풀 업 구동 신호(PU_out1[5:0])의 각 비트의 값에 의해 턴 온 또는 턴 오프될 수 있다. 다만, 제 1 풀 업 구동 신호(PU_out1[5:0])를 형성하는 비트의 수와 복수의 트랜지스터(MP)에 포함되는 트랜지스터의 수는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또한, 터미네이션 형태 또는 드라이빙 형태에 따라, 복수의 트랜지스터(MP1) 및 메인 트랜지스터(MP2)는 PMOS 트랜지스터가 아닌 복수의 N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트랜지스터(MP1)에 포함되는 각각의 트랜지스터의 턴 온 또는 턴 오프에 따라, 제 1 풀 업 저항(R_pu1)에 전류가 흐르거나 흐르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풀 업 유닛의 등가 저항 값이 변경될 수 있다. 즉, 제 1 풀 업 구동 신호(PU_out1[5:0])에 의해 풀 업 유닛의 등가 저항 값이 변경될 수 있다. 메인 트랜지스터(MP2)는 메인 드라이버(1110)가 데이터 신호(DATA)를 구동하는 경우에 항상 구동된다. 메인 트랜지스터(MP2) 및 제 2 풀 업 저항(R_pu2)은 구동 전압(VDDQ)와 노드(n1)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다. 메인 트랜지스터(MP2) 및 제 2 풀 업 저항(R_pu2)은 메인 드라이버(1110)의 등가 저항 값의 최대 저항 값을 결정한다. 이하에서, 복수의 트랜지스터(MP1)는 6개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제 1 풀 업 구동 신호(PU_out1[N:0])는 7비트의 신호를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제 1 내지 제 3 풀 다운 드라이버 유닛(1114~1116)은 노드(n1)와 접지 전압(GND) 사이에 병렬로 연결된다. 제 1 풀 다운 드라이버 유닛(1114)은 하나의 풀 다운 유닛을 포함한다. 제 2 풀 다운 드라이버 유닛(1115)은 병렬로 연결된 두 개의 풀 다운 유닛을 포함하고, 제 3 풀 다운 드라이버 유닛(1116)은 병렬로 연결된 4 개의 풀 다운 유닛을 포함한다. 제 1 풀 다운 드라이버 유닛(1114)에 포함된 풀 다운 유닛은 제 1 풀 다운 구동 신호(PD_out1[N:0])에 의해 구동된다. 제 2 풀 다운 드라이버 유닛(1115)에 포함된 두 개의 풀 다운 유닛은 각각 제 2 풀 다운 구동 신호(PD_out2[N:0])에 의해 구동되고. 제 3 풀 다운 드라이버 유닛(1116)에 포함된 네 개의 풀 다운 유닛은 각각 제 3 풀 다운 구동 신호(PD_out3[N:0])에 의해 구동된다.
제 1 풀 다운 드라이버 유닛(1114)에 포함된 풀 다운 유닛은 복수의 트랜지스터(MN1) 및 메인 트랜지스터(MN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트랜지스터(MN1)에 포함되는 각각의 트랜지스터 및 메인 트랜지스터(MN2)는 제 1 풀 다운 구동 신호(PD_out1[N:0])에 의해 턴 온 또는 턴 오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풀 다운 구동 신호(PD_out1[N:0])의 각 비트의 값에 기초하여, 복수의 트랜지스터(MN1)에 포함되는 각각의 트랜지스터 및 메인 트랜지스터(MN2)가 턴 온 또는 턴 오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7비트의 제 1 풀 다운 구동 신호(PD_out1[N:0])가 사용되는 경우 복수의 트랜지스터(MN1)는 6개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6개의 트랜지스터 각각은 제 1 풀 다운 구동 신호(PD_out1[5:0])의 각 비트의 값에 의해 턴 온 또는 턴 오프될 수 있다. 다만, 제 1 풀 다운 구동 신호(PD_out1[5:0])를 형성하는 비트의 수와 복수의 트랜지스터(MN1)에 포함되는 트랜지스터의 수는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또한, 터미네이션 형태 또는 드라이빙 형태에 따라, 복수의 트랜지스터(MN1) 및 메인 트랜지스터(MN2)는 NMOS 트랜지스터가 아닌 복수의 P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트랜지스터(MN1)에 포함되는 각각의 트랜지스터의 턴 온 또는 턴 오프에 따라, 제 1 풀 다운 저항(R_pd1)에 전류가 흐르거나 흐르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풀 다운 유닛의 등가 저항 값이 변경될 수 있다. 즉, 제 1 풀 다운 구동 신호(PD_out1[5:0])에 의해 풀 다운 유닛의 등가 저항 값이 변경될 수 있다. 메인 트랜지스터(MN2)는 메인 드라이버(1110)가 데이터 신호(DATA)를 구동하는 경우에 항상 구동된다. 메인 트랜지스터(MN2) 및 제 2 풀 다운 저항(R_pd2)은 노드(n1)와 접지 전압(GND)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다. 메인 트랜지스터(MN2) 및 제 2 풀 다운 저항(R_pd2)은 메인 드라이버(1110)의 등가 저항 값의 최대 저항 값을 결정한다. 이하에서, 복수의 트랜지스터(MN1)는 6개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제 1 풀 다운 구동 신호(PD_out1[N:0])는 7비트의 신호를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풀 업 프리 드라이버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풀 업 프리 드라이버(1120)는 제 1 내지 제 3 풀 업 프리 드라이버 유닛(1121~11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3 풀 업 프리 드라이버 유닛(1121~1123)은 각각 동일한 구성을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풀 업 프리 드라이버 유닛(1121, 1122)은 각각 풀 업 데이터(Dout_pu) 및 풀 업 드라이빙 신호(DRV_pu[5:0])를 제공받는다. 제 1 및 제 2 풀 업 프리 드라이버 유닛(1121, 1122)은 제공된 데이터 및 신호를 기초로 각각 제 1 및 제 2 풀 업 구동 신호(PU_out1[6:0], PU_out2[6:0])를 생성한다.
또한, 제 3 풀 업 프리 드라이버 유닛(1123)은 풀 업 데이터(Dout_pu) 및 풀 업 보조 드라이빙 신호(DRVst_pu[5:0])을 제공받는다. 제 3 풀 업 프리 드라이버 유닛(1123)은 제공된 데이터 및 신호를 기초로 제 3 풀 업 구동 신호(PU_out3[6:0])를 생성한다. 도 5를 참조하여, 제 1 풀 업 프리 드라이버 유닛(1121)의 예시적인 구성이 설명될 것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 1 풀 업 프리 드라이버 유닛을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도 5의 회로도는 도 3 및 4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 1 풀 업 프리 드라이버 유닛(1121a)은 인버터(INV) 및 제 1 내지 제 6 노어(NOR) 로직(NR1~NR6)을 포함할 수 있다.
인버터(INV)는 풀 업 데이터(Dout_pu)를 반전하여 제 1 풀 업 구동 신호(PU_out1[6])로 출력한다. 제 1 풀 업 구동 신호(PU_out1[6])는 메인 드라이버(1110)의 메인 트랜지스터(MP2)에 제공된다.
제 1 내지 제 6 노어 로직(NR1~NR6)은 각각 제 1 풀 업 드라이빙 신호(PU_out1[5:0])를 반전하여 제 1 풀 업 구동 신호(PU_out1[5:0])로서 출력한다. 제 1 풀 업 구동 신호(PU_out1[5:0])는 각각 메인 드라이버(1110)의 제 1 내지 제 3 풀 업 드라이버 유닛(1111~1113)의 복수의 트랜지스터(MP1)에 제공된다.
예를 들어, 풀 업 프리 드라이버(1120)가 풀 업 드라이빙 신호(DRV_pu[5:0])를 통해 풀 업 저항 보정 코드(ZQ_P)를 제공받는 경우, 제 1 풀 업 구동 신호(PU_out1[5:0])는 각각 풀 업 저항 보정 코드(ZQ_P)에 따른 출력 저항 값을 제공하기 위한 로직 레벨을 출력한다. 반면에, 풀 업 프리 드라이버(1120)가 풀 업 드라이빙 신호(DRV_pu[5:0])를 통해 비트의 로직 레벨이 모두 로직 '1'인 엠퍼시스 코드를 제공받는 경우, 제 1 풀 업 구동 신호(PU_out1[5:0]) 각각은 로직 '0'을 출력한다. 비트의 로직 레벨이 모두 로직 '0'인 제 1 풀 업 구동 신호(PU_out1[5:0])를 제공받은 제 1 내지 제 3 풀 업 드라이버 유닛(1111~1113)에 포함된 복수의 트랜지스터(MP1)는 모두 턴 온되고, 제 1 내지 제 3 풀 업 드라이버 유닛(1111~1113)은 최소의 출력 저항 값을 제공한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풀 다운 프리 드라이버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풀 다운 프리 드라이버(1130)는 제 1 내지 제 3 풀 다운 프리 드라이버 유닛(1131~1133)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3 풀 다운 프리 드라이버 유닛(1131~1133)은 각각 동일한 구성을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풀 다운 프리 드라이버 유닛(1131, 1132)은 각각 풀 다운 데이터(Dout_pd) 및 풀 다운 드라이빙 신호(DRV_pd[5:0])를 제공받는다. 제 1 및 제 2 풀 다운 프리 드라이버 유닛(1131, 1132)은 제공된 데이터 및 신호를 기초로 각각 제 1 및 제 2 풀 다운 구동 신호(PD_out1[6:0], PD_out2[6:0])를 생성한다.
또한, 제 3 풀 다운 프리 드라이버 유닛(1133)은 풀 다운 데이터(Dout_pd) 및 풀 다운 보조 드라이빙 신호(DRVst_pd[5:0])를 제공받는다. 제 3 풀 다운 프리 드라이버 유닛(1133)은 제공된 데이터 및 신호를 기초로 제 3 풀 다운 구동 신호(PD_out3[6:0])를 생성한다. 도 7을 참조하여, 제 1 풀 다운 프리 드라이버 유닛(1131)의 예시적인 구성이 설명될 것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 1 풀 다운 프리 드라이버 유닛을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도 7은 도 3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 1 풀 다운 드라이버 유닛(1131a)은 인버터(INV) 및 제 1 내지 제 6 낸드(NAND) 로직(ND1~ND6)을 포함할 수 있다.
인버터(INV)는 풀 다운 데이터(Dout_pd)를 반전하여 제 1 풀 다운 구동 신호(PD_out1[6])로 출력한다. 제 1 풀 다운 구동 신호(PD_out1[6])는 메인 드라이버(1110)의 제 1 내지 제 3 풀 다운 드라이버 유닛(1114~1116)의 메인 트랜지스터(MN2)에 제공된다.
제 1 내지 제 6 낸드 로직(ND1~ND6)은 각각 제 1 풀 다운 구동 신호(PD_out1[5:0])를 반전하여 제 1 풀 다운 구동 신호(PD_out1[5:0])로서 출력한다. 제 1 풀 다운 구동 신호(PD_out1[5:0])는 각각 메인 드라이버(1110)의 제 1 내지 제 3 풀 다운 드라이버 유닛(1114~1116)의 복수의 트랜지스터(MN1)에 제공된다.
예를 들어, 풀 다운 프리 드라이버(1130)가 풀 다운 드라이빙 신호(DRV_pd[5:0])를 통해 풀 다운 저항 보정 코드(ZQ_N)를 제공받는 경우, 제 1 풀 다운 구동 신호(PD_out1[5:0]) 각각은 풀 다운 저항 보정 코드(ZQ_N)에 따른 출력 저항 값을 제공하기 위한 로직 레벨을 출력한다. 반면에, 풀 다운 프리 드라이버(1130)가 풀 다운 드라이빙 신호(DRV_pd[5:0])를 통해 비트의 로직 레벨이 모두 로직 '0'인 엠퍼시스 코드를 제공받는 경우, 제 1 풀 다운 구동 신호(PD_out1[5:0]) 각각은 로직 '1'을 출력한다. 비트의 로직 레벨이 모두 로직 '0'인 제 1 풀 다운 구동 신호(PD_out1[5:0])를 제공 받은 제 1 내지 제 3 풀 다운 드라이버 유닛(1114~1116)에 포함된 복수의 트랜지스터(MN1)는 모두 턴 온되고, 제 1 내지 제 3 풀 다운 드라이버 유닛(1114~1116)은 최소의 출력 저항 값을 제공한다.
도 8a 내지 도 8c는 도 1에 도시된 펄스 생성기의 회로도와 펄스 생성기의 출력 신호를 보여주는 그림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펄스 생성기(1200)는 풀 업 펄스 생성기(1210) 및 풀 다운 펄스 생성기(1220)를 포함할 수 있다. 풀 업 펄스 생성기(1210) 및 풀 다운 펄스 생성기(1220)는 각각 풀 업 펄스(Pul_pu) 및 풀 다운 펄스(Pul_pd)를 생성한다.
풀 업 펄스 생성기(1210)는 제 1 낸드 로직(ND1), 제 1 노어 로직(NR1), 그리고 제 1 인버터(INV1)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낸드 로직(ND1)은 풀 업 데이터(Dout_pu) 및 엠퍼시스 제어 신호(EMP_en)를 제공받는다.
제 1 낸드 로직(ND1)이 로직 '1'의 엠퍼시스 제어 신호(EMP_en)를 제공 받는 경우, 제 1 낸드 로직(ND1)은 풀 업 데이터(Dout_pu)를 반전하여 제 1 데이터(D1)로 출력한다. 제 1 데이터(D1)는 제 1 인버터(INV1)를 통해 제 1 딜레이(tD1) 이후에 제 2 데이터(D2)로서 출력된다. 제 1 노어 로직(NR1)은 제 1 및 제 2 데이터(D1, D2)를 제공받는다. 이어, 제 1 노어 로직(NR1)은 제 1 및 제 2 데이터(D1, D2)를 기초로 풀 업 펄스(Pul_pu)를 생성한다. 풀 업 펄스(Pul_pu)는 제 1 딜레이(tD1) 만큼의 구간을 로직 '1'의 펄스 구간으로 포함한다.
또한, 제 1 낸드 로직(ND1)이 로직 '0'의 엠퍼시스 제어 신호(EMP_en)를 제공받는 경우, 제 1 낸드 로직(ND1)은 풀 업 데이터(Dout_pu)와 관계 없이 로직 '1'을 제 1 데이터(D1)로서 출력한다. 로직 '1'을 입력받은 제 1 노어 로직(NR1)은 제 2 데이터(D2)와 관계 없이 로직 '0'을 풀 업 펄스(Pul_pu)로 출력한다. 즉, 로직 '0'의 엠퍼시스 제어 신호(EMP_en)를 제공받는 경우, 풀 업 펄스 생성기(1210)는 펄스 신호를 생성하지 않는다. 따라서, 풀 업 생성기(1210)는 엠퍼시스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
풀 다운 펄스 생성기(1220)는 제 2 노어 로직(NR2), 제 2 낸드 로직(ND2), 그리고 제 2 인버터(INV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노어 로직(NR1)은 풀 다운 데이터(Dout_pd) 및 엠퍼시스 제어 바 신호(EMP_en')를 제공받는다.
제 2 노어 로직(NR2)이 로직 '0'의 엠퍼시스 제어 바 신호(EMP_en')를 제공 받는 경우, 제 2 노어 로직(NR1)은 풀 다운 데이터(Dout_pd)를 반전하여 제 3 데이터(D3)로 출력한다. 제 3 데이터(D3)는 제 2 인버터(INV2)를 통해 제 2 딜레이(tD2) 이후에 제 4 데이터(D4)로서 출력된다. 제 2 낸드 로직(ND2)은 제 3 및 제 4 데이터(D3, D4)를 제공받는다. 이어, 제 2 낸드 로직(ND2)은 제 3 및 제 4 데이터(D3, D4)를 기초로 풀 다운 펄스(Pul_pd)를 생성한다. 풀 다운 펄스(Pul_pd)는 제 2 딜레이(tD2) 만큼의 구간을 로직 '0'의 펄스 구간으로 포함한다.
또한, 제 2 노어 로직(NR2)이 로직 '1'의 엠퍼시스 제어 바 신호(EMP_en')를 제공받는 경우, 제 2 노어 로직(NR2)은 풀 다운 데이터(Dout_pd)와 관계 없이 로직 '0'을 제 3 데이터(D3)로 출력한다. 로직 '0'을 입력받은 제 2 낸드 로직(ND2)은 제 4 데이터(D4)와 관계 없이 로직 '1'을 풀 다운 펄스(Pul_pd)로 출력한다. 즉, 로직 '1'의 엠퍼시스 제어 바 신호(EMP_en')를 제공받는 경우, 풀 다운 펄스 생성기(1220)는 펄스 신호를 생성하지 않는다. 따라서, 풀 다운 생성기(1220)는 엠퍼시스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
도 8b를 참조하면, 풀 업 펄스 생성기(1210)에 의해 생성된 풀 업 펄스(Pul_pu)의 파형이 도시되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풀 업 펄스(Pul_pu)는 제 1 및 제 2 데이터(D1, D2)가 모두 로직 '0'인 구간에서 생성된 로직 '1'의 펄스를 포함한다. 해당 펄스는 제 1 딜레이(tD1) 만큼의 구간 동안 유지된다.
도 8c를 참조하면, 풀 다운 펄스 생성기(1220)에 의해 생성된 풀 다운 펄스(Pul_pd)의 파형이 도시되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풀 다운 펄스(Pul_pd)는 제 3 및 제 4 데이터(D3, D4)가 모두 로직 '1'인 구간에서 생성된 로직 '0'의 펄스를 포함한다. 해당 펄스는 제 2 딜레이(tD2) 만큼의 구간 동안 유지된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엠퍼시스 컨트롤러를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도 9의 회로도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풀 업 엠퍼시스 컨트롤러(1300a)는 풀 업 및 풀 다운 엠퍼시스 컨트롤 유닛(1310a, 1320a)을 포함할 수 있다.
풀 업 엠퍼시스 컨트롤 유닛(1310a)은 제 1 인버터(INV1)와 제 1 내지 제 6 낸드 로직(ND1~ND6)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인버터(INV1)는 펄스 생성기(1200)로부터 제공된 풀 업 펄스(Pul_pu)를 반전하여 출력한다.
제 1 내지 제 6 낸드 로직(ND1~ND6)은 각각 제 1 인버터(INV1)의 출력 신호와 풀 업 저항 보정 코드(ZQ_P[5:0])를 제공받는다. 제 1 인버터(INV1)의 출력 신호가 로직 '1'인 경우, 제 1 내지 제 6 낸드 로직(ND1~ND6)은 각각 풀 업 저항 보정 코드(ZQ_P[5:0])를 반전하여 풀 업 드라이빙 신호(DRV_pu[5:0])로서 출력한다. 제 1 인버터(INV1)의 출력 신호가 로직 '0'인 경우, 제 1 내지 제 6 낸드 로직(ND1~ND6)은 각각 로직 '1'을 풀 업 드라이빙 신호(DRV_pu[5:0])로서 출력한다.
풀 다운 엠퍼시스 컨트롤 유닛(1320a)은 제 2 인버터(INV1)와 제 1 내지 제 6 노어 로직(NR1~NR6)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인버터(INV2)는 펄스 생성기(1200)로부터 제공된 풀 다운 펄스(Pul_pd)를 반전하여 출력한다.
제 1 내지 제 6 노어 로직(NR1~NR6)은 각각 제 2 인버터(INV2)의 출력 신호와 풀 다운 저항 보정 코드(ZQ_N[5:0])를 제공받는다. 제 2 인버터(INV2)의 출력 신호가 로직 '0'인 경우, 제 1 내지 제 6 노어 로직(NR1~NR6)은 각각 풀 다운 저항 보정 코드(ZQ_N[5:0])를 반전하여 풀 다운 드라이빙 신호(DRV_pd[5:0])로서 출력한다. 제 2 인버터(INV2)의 출력 신호가 로직 '1'인 경우, 제 1 내지 제 6 노어 로직(NR1~NR6)은 각각 로직 '0'을 풀 다운 드라이빙 신호(DRV_pd[5:0])로서 출력한다.
모든 비트가 로직 '1'인 풀 업 드라이빙 신호(DRV_pu[5:0])와 모든 비트가 로직 '0'인 풀 다운 드라이빙 신호(DRV_pd[5:0])는 상술한 프리 엠퍼시스 동작을 위한 엠퍼시스 코드가 된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엠퍼시스 크기 컨트롤러를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도 10의 회로도는 도 1, 도 2, 도 3, 그리고 도 9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엠퍼시스 크기 컨트롤러(1400a)는 풀 업 및 풀 다운 크기 컨트롤러(1410a, 1420a)를 포함할 수 있다. 크기 조절 신호(EMP_st)를 더 제공받는다는 것을 제외하고, 엠퍼시스 크기 컨트롤러(1400a)의 동작 및 구성은 엠퍼시스 컨트롤러(1300a)와 유사하다.
풀 업 크기 컨트롤러(1410a)는 제 1 내지 제 7 낸드 로직(ND1~ND7)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낸드 로직(ND1)은 풀 업 펄스(Pul_pu) 및 크기 조절 신호(EMP_st)를 제공받는다. 크기 조절 신호(EMP_st)가 로직 '1'인 경우, 풀 업 엠퍼시스 컨트롤러(1310a)와 동일하게, 풀 업 크기 컨트롤러(1410a)의 제 2 내지 제 7 낸드 로직(ND2~ND7)은 각각 풀 업 펄스(Pul_pu)에 따라 풀 업 저항 보정 코드(ZQ_P[5:0]) 또는 엠퍼시스 코드를 풀 업 보조 드라이빙 신호(DRVst_pu[5:0])로서 출력한다. 즉, 크기 조절 신호(EMP_st)가 로직 '1'인 경우, 풀 업 보조 드라이빙 신호(DRVst_pu[5:0])를 제공받는 제 3 풀 업 프리 드라이버 유닛(1123)은 프리 엠퍼시스 동작을 수행한다.
크기 조절 신호(EMP_st)가 로직 '0'인 경우, 제 1 낸드 로직(ND1)은 풀 업 펄스(Pul_pu)와 관계 없이 로직 '1'을 출력한다. 따라서, 풀 업 크기 컨트롤러(1410a)의 제 2 내지 제 7 낸드 로직(ND2~ND7)은 각각 풀 업 펄스(Pul_pu)와 관계없이 풀 업 저항 보정 코드(ZQ_P[5:0])를 풀 업 보조 드라이빙 신호(DRVst_pu[5:0])로서 출력한다. 즉, 크기 조절 신호(EMP_st)가 로직 '0'인 경우, 제 3 풀 업 프리 드라이버 유닛(1123)은 프리 엠퍼시스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
풀 다운 크기 컨트롤러(1420a)는 제 1 내지 제 7 노어 로직(NR1~NR7)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노어 로직(NR1)은 풀 다운 펄스(Pul_pd) 및 크기 조절 바 신호(EMP_st')를 제공받는다. 크기 조절 바 신호(EMP_st')가 로직 '0'인 경우, 풀 다운 엠퍼시스 컨트롤러(1320a)와 동일하게, 풀 다운 크기 컨트롤러(1420a)의 제 2 내지 제 7 노어 로직(NR2~NR7)은 각각 풀 다운 펄스(Pul_pd)에 따라 풀 다운 저항 보정 코드(ZQ_N[5:0]) 또는 엠퍼시스 코드를 풀 다운 보조 드라이빙 신호(DRVst_pd[5:0])로서 출력한다. 즉, 크기 조절 바 신호(EMP_st')가 로직 '0'인 경우, 풀 다운 보조 드라이빙 신호(DRVst_pd[5:0])를 제공받는 제 3 풀 다운 프리 드라이버 유닛(1133)은 프리 엠퍼시스 동작을 수행한다.
크기 조절 바 신호(EMP_st')가 로직 '1'인 경우, 제 1 노어 로직(NR1)은 풀 다운 펄스(Pul_pd)와 관계 없이 로직 '0'을 출력한다. 따라서, 풀 다운 크기 컨트롤러(1420)의 제 2 내지 제 7 노어 로직(NR2~NR7)은 각각 풀 다운 펄스(Pul_pd)와 관계없이 풀 다운 저항 보정 코드(ZQ_N[5:0])를 풀 다운 보조 드라이빙 신호(DRVst_pd[5:0])로서 출력한다. 즉, 크기 조절 바 신호(EMP_st')가 로직 '1'인 경우, 제 3 풀 다운 프리 드라이버 유닛(1133)은 프리 엠퍼시스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
도 11 및 도 12는 도 1의 출력 버퍼 회로의 프리 엠퍼시스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와 타이밍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도 1, 도 2, 그리고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출력 버퍼 회로(1000)는 출력 패드(2000), 채널(channel), 그리고 입력 패드(3000)를 통해 외부 장치(4000)의 입력 버퍼(4100)에 연결된다. 입력 버퍼(4100)는 노드(n1)를 통해 풀 업 저항(Ru) 및 풀 다운 저항(Rd)과 연결된다. 풀 업 저항(Ru)은 구동 전압(VDDQ)과 노드(n1) 사이에 연결된다. 풀 다운 저항(Rd)은 노드(n1)와 접지 전압(GND) 사이에 연결된다. 풀 업 및 풀 다운 저항(Ru, Rd)은 외부 장치(4000)의 온 다이 터미네이션 회로로서 기능한다. 온 다이 터미네이션 회로는 데이터 전송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외부 장치(4000)가 채널(channel)과 임피던스 매칭을 하기 위한 회로이다. 도 11에 도시된 풀 업 및 풀 다운 저항(Ru, Rd)으로 구성된 외부 장치(4000)의 온 다이 터미네이션 회로는 CTT(Center Tap Termination)의 형태로 구성된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외부 장치(4000)의 온 다이 터미네이션 회로는 어떠한 형태의 온 다이 터미네이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장치(4000)의 온 다이 터미네이션 회로가 CTT(Center Tap Termination) 형태의 회로로 구성되는 경우, 일반적으로, 풀 업 및 풀 다운 저항(Ru, Rd)의 저항 값은 각각 동일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구동 전압(VDDQ)의 중간 레벨을 기준으로 데이터 신호의 레벨이 천이한다. 즉, 출력 버퍼 회로(1000)에서 외부 장치(4000)에 전송되는 데이터 신호의 전압 레벨은 출력 버퍼 회로(1000)의 출력 저항 값과 풀 업 및 풀 다운 저항(Ru, Rd)의 저항 분배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프리 엠퍼시스 동작에 따라 출력 버퍼 회로(1000)의 출력 저항 값이 작아지는 경우, 출력 버퍼 회로(1000)에서 외부 장치(4000)에 전송되는 데이터 신호의 전압 레벨이 정상적인 전압 레벨보다 높아진다.
도 12를 참조하면, 출력 버퍼 회로(1000)의 프리 엠퍼시스 동작에 따른 내부 신호들 및 출력된 데이터 신호(DATA)가 도시되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풀 업 및 풀 다운 데이터(Dout_pu, Dout_pd)는 각각 동일한 데이터를 포함한다. 여기서 풀 업 저항 보정 코드(ZQ_P)는 '001100' 이고, 풀 다운 저항 보정 코드(ZQ_N)는 '001100' 이라 가정한다. 출력 버퍼 회로(1000)가 프리 엠퍼시스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 데이터 신호(DATA)는 'Vs'의 진폭으로 t1, t2, 그리고 t3 시점에서 각각 천이한다.
출력 버퍼 회로(1000)가 프리 엠퍼시스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출력 버퍼 회로(1000)는 데이터 신호(DATA)가 천이하는 t1 시점, t2 시점, 그리고 t3 시점에서 프리 엠퍼시스 동작에 따라 출력 저항 값을 가변한다. 즉, 데이터 신호(DATA)가 로직 '0'에서 로직 '1'로 가변되는 t1 시점 및 t3 시점에서, 풀 업 펄스(Pul_pu)가 로직 '1'의 펄스를 출력한다. 풀 업 펄스(Pul_pu)의 펄스 구간 동안, 출력 버퍼 회로(1000)는 메인 드라이버(1110)의 제 1 내지 제 3 풀 업 드라이버 유닛(1111~1113)에 '111111'의 엠퍼시스 코드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111111'의 엠퍼시스 코드는 제 1 내지 제 3 풀 업 드라이버 유닛(1111~1113)의 출력 저항 값이 최소가 되게 하는 저항 보정 코드이다. 엠퍼시스 코드가 제공됨에 따라, 제 1 내지 제 3 풀 업 드라이버 유닛(1111~1113)의 출력 저항 값이 최소가 된다. 따라서, 출력 버퍼 회로(1000)의 풀 업 출력 저항 값이 최소가 됨에 따라, 도 11에 도시된 외부 장치(4000)의 풀 업 및 풀 다운 저항(Ru, Rd)과의 전압 분배에 의해 출력되는 데이터 신호(DATA)의 전압 레벨이 증가한다.
또한, 데이터 신호(DATA)가 로직 '1'에서 로직 '0'로 가변되는 t0 시점 및 t2 시점에서, 풀 다운 펄스(Pul_pd)가 로직 '0'의 펄스를 출력한다. 풀 다운 펄스(Pul_pd)의 펄스 구간 동안, 출력 버퍼 회로(1000)는 메인 드라이버(1110)의 제 1 내지 제 3 풀 다운 드라이버 유닛(1114~1116)에 '000000'의 엠퍼시스 코드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000000'의 엠퍼시스 코드는 제 1 내지 제 3 풀 다운 드라이버 유닛(1114~1116)의 출력 저항 값이 최소가 되게 하는 저항 보정 코드이다. 엠퍼시스 코드가 제공됨에 따라, 제 1 내지 제 3 풀 다운 드라이버 유닛(1114~1116)의 출력 저항 값이 최소가 된다. 따라서, 출력 버퍼 회로(1000)의 풀 다운 출력 저항 값이 최소가 됨에 따라, 도 11에 도시된 외부 장치(4000)의 풀 업 및 풀 다운 저항(Ru, Rd)과의 전압 분배에 의해 출력되는 데이터 신호(DATA)의 전압 레벨이 감소한다.
결과적으로, 출력 버퍼 회로(1000)는 프리 엠퍼시스 구간에서 'Vs' 보다 큰 진폭을 갖는 데이터 신호(DATA)를 출력한다. 즉, 출력 버퍼 회로(1000)는 도 1에서 상술한 프리 엠퍼시스에 따른 엠퍼시스 파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는 프리 엠퍼시스를 수행하는 도 1의 출력 버퍼 회로(1000)의 구성 및 동작이 설명되었다. 이하에서, 디 엠퍼시스를 수행하는 도 1의 출력 버퍼 회로(1000)의 구성이 설명될 것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 엠퍼시스 동작을 수행하는 도 4에 도시된 제 1 풀 업 프리 드라이버 유닛 및 도 6에 도시된 제 1 풀 다운 프리 드라이버 유닛을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 1 풀 업 프리 드라이버 유닛(1121b)은 인버터(INV) 및 제 1 내지 제 6 낸드 로직(ND1~ND6)을 포함할 수 있다. 인버터(INV)는 풀 업 데이터(Dout_pu)를 반전하여 제 1 풀 업 구동 신호(PU_out1[6])로 출력한다. 제 1 풀 업 구동 신호(PU_out1[6])는 메인 드라이버(1110)의 제 1 내지 제 3 풀 업 드라이버 유닛(1111~1113)의 메인 트랜지스터(MP2)에 제공된다.
제 1 내지 제 6 낸드 로직(ND1~ND6)은 각각 제 1 풀 업 구동 신호(PU_out1[5:0])를 반전하여 제 1 풀 업 구동 신호(PU_out1[5:0])로서 출력한다. 제 1 풀 업 구동 신호(PU_out1[5:0])는 각각 메인 드라이버(1110)의 제 1 내지 제 3 풀 업 드라이버 유닛(1111~1113)의 복수의 트랜지스터(MP1)에 제공된다.
예를 들어, 풀 업 프리 드라이버(1120)가 풀 업 드라이빙 신호(DRV_pu[5:0])를 통해 풀 업 저항 보정 코드(ZQ_P)를 제공받는 경우, 제 1 풀 업 구동 신호(PU_out1[5:0]) 각각은 풀 업 저항 보정 코드(ZQ_P)에 따른 출력 저항 값을 제공하기 위한 로직 레벨을 출력한다. 반면에, 풀 업 프리 드라이버(1120)가 풀 업 드라이빙 신호(DRV_pu[5:0])를 통해 비트의 로직 레벨이 모두 로직 '0'인 디 엠퍼시스 수행을 위한 엠퍼시스 코드를 제공받는 경우, 제 1 풀 업 구동 신호(PU_out1[5:0]) 각각은 로직 '1'을 출력한다. 비트의 로직 레벨이 모두 로직 '1'인 제 1 풀 업 구동 신호(PU_out1[5:0])를 제공 받은 제 1 내지 제 3 풀 업 드라이버 유닛(1111~1113)에 포함된 복수의 트랜지스터(MP1)는 모두 턴 오프되고, 제 1 내지 제 3 풀 업 드라이버 유닛(1111~1113)은 최대의 출력 저항 값을 제공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 1 풀 다운 프리 드라이버 유닛(1131b)은 인버터(INV) 및 제 1 내지 제 6 노어 로직(NR1~NR6)을 포함할 수 있다. 인버터(INV)는 풀 다운 데이터(Dout_pd)를 반전하여 제 1 풀 다운 구동 신호(PD_out1[6])로 출력한다. 제 1 풀 다운 구동 신호(PD_out1[6])는 메인 드라이버(1110)의 제 1 내지 제 3 풀 다운 드라이버 유닛(1114~1116)의 메인 트랜지스터(MN2)에 제공된다.
제 1 내지 제 6 노어 로직(NR1~NR6)은 각각 제 1 풀 다운 구동 신호(PD_out1[5:0])를 반전하여 제 1 풀 다운 구동 신호(PD_out1[5:0])로서 출력한다. 제 1 풀 다운 구동 신호(PD_out1[5:0])는 각각 메인 드라이버(1110)의 제 1 내지 제 3 풀 다운 드라이버 유닛(1114~1116)의 복수의 트랜지스터(MN1)에 제공된다.
예를 들어, 풀 다운 프리 드라이버(1130)가 풀 다운 드라이빙 신호(DRV_pd[5:0])를 통해 풀 다운 저항 보정 코드(ZQ_N)를 제공받는 경우, 제 1 풀 다운 구동 신호(PD_out1[5:0]) 각각은 풀 다운 저항 보정 코드(ZQ_N)에 따른 출력 저항 값을 제공하기 위한 로직 레벨을 출력한다. 반면에, 풀 다운 프리 드라이버(1130)가 풀 다운 드라이빙 신호(DRV_pd[5:0])를 통해 비트의 로직 레벨이 모두 로직 '1'인 디 엠퍼시스 수행을 위한 엠퍼시스 코드를 제공받는 경우, 제 1 풀 다운 구동 신호(PD_out1[5:0]) 각각은 로직 '0'을 출력한다. 비트의 로직 레벨이 모두 로직 '0'인 제 1 풀 다운 구동 신호(PD_out1[5:0])를 제공받은 제 1 내지 제 3 풀 다운 드라이버 유닛(1114~1116)에 포함된 복수의 트랜지스터(MN1)는 모두 턴 온되고, 제 1 내지 제 3 풀 다운 드라이버 유닛(1114~1116)은 최소의 출력 저항 값을 제공한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 엠퍼시스 동작을 수행하는 도 1에 도시된 엠퍼시스 컨트롤러 및 엠퍼시스 크기 컨트롤러를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도 15 및 도 16은 도 1, 도 2, 도 9, 그리고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풀 업 엠퍼시스 컨트롤러(1300b)는 풀 업 및 풀 다운 엠퍼시스 컨트롤 유닛(1310b, 1320b)을 포함할 수 있다.
풀 업 엠퍼시스 컨트롤 유닛(1310b)은 제 1 인버터(INV1)와 제 1 내지 제 6 노어 로직(NR1~NR6)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인버터(INV1)는 펄스 생성기(1200)로부터 제공된 풀 다운 펄스(Pul_pd)를 반전하여 출력한다.
제 1 내지 제 6 노어 로직(NR1~NR6)은 각각 제 1 인버터(INV1)의 출력 신호와 풀 업 저항 보정 코드(ZQ_P[5:0])를 제공받는다. 제 1 인버터(INV1)의 출력 신호가 로직 '0'인 경우, 제 1 내지 제 6 노어 로직(NR1~NR6)은 각각 풀 업 저항 보정 코드(ZQ_P[5:0])를 반전하여 풀 업 드라이빙 신호(DRV_pu[5:0])로서 출력한다. 제 1 인버터(INV1)의 출력 신호가 로직 '1'인 경우, 제 1 내지 제 6 노어 로직(NR1~NR6)은 각각 로직 '0'을 풀 업 드라이빙 신호(DRV_pu[5:0])로서 출력한다.
풀 다운 엠퍼시스 컨트롤 유닛(1320b)은 제 2 인버터(INV2)와 제 1 내지 제 6 낸드 로직(ND1~ND6)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인버터(INV2)는 펄스 생성기(1200)로부터 제공된 풀 다운 펄스(Pul_pd)를 반전하여 출력한다.
제 1 내지 제 6 낸드 로직(ND1~ND6)은 각각 제 2 인버터(INV2)의 출력 신호와 풀 다운 저항 보정 코드(ZQ_N[5:0])를 제공받는다. 제 2 인버터(INV2)의 출력 신호가 로직 '1'인 경우, 제 1 내지 제 6 낸드 로직(ND1~ND6)은 각각 풀 다운 저항 보정 코드(ZQ_N[5:0])를 반전하여 풀 다운 드라이빙 신호(DRV_pd[5:0])로서 출력한다. 제 2 인버터(INV2)의 출력 신호가 로직 '0'인 경우, 제 1 내지 제 6 낸드 로직(ND1~ND6)은 각각 로직 '1'을 풀 다운 드라이빙 신호(DRV_pd[5:0])로서 출력한다.
모든 비트가 로직 '0'인 풀 업 드라이빙 신호(DRV_pu[5:0])와 모든 비트가 로직 '1'인 풀 다운 드라이빙 신호(DRV_pd[5:0])은 상술한 디 엠퍼시스 동작을 위한 엠퍼시스 코드가 된다.
도 16을 참조하면, 엠퍼시스 크기 컨트롤러(1400b)는 풀 업 크기 컨트롤러(1410b) 및 풀 다운 크기 컨트롤러(1420b)를 포함할 수 있다. 크기 조절 신호(EMP_st)를 더 제공받는다는 것을 제외하고, 엠퍼시스 크기 컨트롤러(1400b)의 동작 및 구성은 도 15의 엠퍼시스 컨트롤러(1300b)와 유사하다. 또한, 엠퍼시스 크기 컨트롤러(1400b)는 도 10의 엠퍼시스 크기 컨트롤러(1400a)의 동작 및 구성과 유사하다.
풀 업 크기 컨트롤러(1410b)는 제 1 내지 제 7 노어 로직(NR1~NR7)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노어 로직(NR1)은 풀 업 펄스(Pul_pu) 및 크기 조절 바 신호(EMP_st')를 제공받는다. 크기 조절 바 신호(EMP_st')가 로직 '0'인 경우, 풀 업 크기 컨트롤러(1410b)의 제 2 내지 제 7 노어 로직(NR2~NR7)은 각각 풀 업 펄스(Pul_pu)에 따라 풀 업 저항 보정 코드(ZQ_P[5:0]) 또는 디 엠퍼시스 동작을 위한 엠퍼시스 코드를 풀 업 보조 드라이빙 신호(DRVst_pu[5:0])로서 출력하여 디 엠퍼시스 동작을 수행한다.
크기 조절 바 신호(EMP_st')가 로직 '1'인 경우, 제 1 노어 로직(NR1)은 풀 업 펄스(Pul_pu)와 관계 없이 로직 '0'을 출력한다. 따라서, 풀 업 크기 컨트롤러(1410b)의 제 2 내지 제 7 노어 로직(NR2~NR7)은 각각 풀 업 펄스(Pul_pu)와 관계없이 풀 업 저항 보정 코드(ZQ_P[5:0])를 풀 업 보조 드라이빙 신호(DRVst_pu[5:0])로서 출력하고, 따라서 풀 업 크기 컨트롤러(1410b)는 디 엠퍼시스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
풀 다운 크기 컨트롤러(1420b)는 제 1 내지 제 7 낸드 로직(ND1~ND7)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낸드 로직(ND1)은 풀 다운 펄스(Pul_pu) 및 크기 조절 신호(EMP_st)를 제공받는다. 크기 조절 신호(EMP_st)가 로직 '1'인 경우, 풀 다운 크기 컨트롤러(1420b)의 제 2 내지 제 7 낸드 로직(ND2~ND7)은 각각 풀 다운 펄스(Pul_pd)에 따라 풀 다운 저항 보정 코드(ZQ_N[5:0]) 또는 디 엠퍼시스를 수행하기 위한 엠퍼시스 코드를 풀 다운 보조 드라이빙 신호(DRVst_pd[5:0])로서 출력하여 디 엠퍼시스 동작을 수행한다.
크기 조절 신호(EMP_st)가 로직 '0'인 경우, 제 1 낸드 로직(ND1)은 풀 다운 펄스(Pul_pd)와 관계 없이 로직 '1'을 출력한다. 따라서, 풀 다운 크기 컨트롤러(1420b)의 제 2 내지 제 7 낸드 로직(ND2~ND7)은 각각 풀 다운 펄스(Pul_pd)와 관계없이 풀 다운 저항 보정 코드(ZQ_N[5:0])를 풀 다운 보조 드라이빙 신호(DRVst_pd[5:0])로서 출력하고, 따라서 풀 다운 크기 컨트롤러(1420b)는 디 엠퍼시스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 엠퍼시스 동작을 수행하는 도 1의 출력 버퍼 회로의 디 엠퍼시스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여기서, 풀 업 저항 보정 코드(ZQ_P)는 '001100' 이고, 풀 다운 저항 보정 코드(ZQ_N)는 '001100' 이라 가정한다.
출력 버퍼 회로(1000)가 디 엠퍼시스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 데이터 신호(DATA)는 'Vs'의 진폭으로 천이한다. t1 시점, t2 시점, 그리고 t3 시점은 디 엠퍼시스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 출력 버퍼 회로(100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 신호(DATA)가 전압 레벨을 유지하는 구간의 시작 시점에 해당된다.
출력 버퍼 회로(1000)가 디 엠퍼시스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출력 버퍼 회로(1000)는 데이터 신호(DATA)의 전압 레벨이 유지되는 t1 시점, t2 시점, 그리고 t3 시점에서 디 엠퍼시스 동작에 따라 출력 저항 값을 가변한다. t0 시점 및 t2 시점에서, 풀 다운 펄스(Pul_pd)가 로직 '1'의 펄스를 출력한다. 풀 다운 펄스(Pul_pd)의 펄스 구간 동안, 출력 버퍼 회로(1000)는 메인 드라이버(1110)의 제 1 내지 제 3 풀 다운 드라이버 유닛(1114~1116)에 '000000'의 엠퍼시스 코드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000000'의 엠퍼시스 코드는 제 1 내지 제 3 풀 다운 드라이버 유닛(1114~1116)의 출력 저항 값이 최대가 되게 하는 저항 보정 코드이다. 엠퍼시스 코드가 제공됨에 따라, 제 1 내지 제 3 풀 다운 드라이버 유닛(1114~1116)의 출력 저항 값이 최대가 된다. 따라서, 출력 버퍼 회로(1000)의 풀 다운 출력 저항 값이 최대가 됨에 따라, 도 11에 도시된 외부 장치(4000)의 풀 업 및 풀 다운 저항(Ru, Rd)과의 전압 분배에 의해 출력되는 데이터 신호(DATA)의 전압 레벨이 증가한다.
또한, 데이터 신호(DATA)가 t1 시점 및 t3 시점에서, 풀 업 펄스(Pul_pu)가 로직 '0'의 펄스를 출력한다. 풀 업 펄스(Pul_pu)의 펄스 구간 동안, 출력 버퍼 회로(1000)는 메인 드라이버(1110)의 제 1 내지 제 3 풀 업 드라이버 유닛(1111~1113)에 '111111'의 엠퍼시스 코드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111111'의 엠퍼시스 코드는 제 1 내지 제 3 풀 업 드라이버 유닛(1111~1113)의 출력 저항 값이 최대가 되게 하는 저항 보정 코드이다. 엠퍼시스 코드가 제공됨에 따라, 제 1 내지 제 3 풀 업 드라이버 유닛(1111~1113)의 출력 저항 값이 최대가 된다. 따라서, 출력 버퍼 회로(1000)의 풀 업 출력 저항 값이 최대가 됨에 따라, 도 11에 도시된 외부 장치(4000)의 풀 업 및 풀 다운 저항(Ru, Rd)과의 전압 분배에 의해 출력되는 데이터 신호(DATA)의 전압 레벨이 감소한다.
결과적으로, 출력 버퍼 회로(1000)는 디 엠퍼시스 수행 구간에서 'Vs' 보다 작은 진폭을 갖는 데이터 신호(DATA)를 출력한다. 즉, 출력 버퍼 회로(1000)는 도 1에서 상술한 디 엠퍼시스 수행에 의한 엠퍼시스 파형을 제공한다.
도 18은 도 1의 출력 버퍼 회로가 적용된 메모리 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메모리 장치(10000)는 휘발성 메모리나, 불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하는 메모리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 장치(10000)가 휘발성 메모리인 경우, 메모리 장치(10000)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TRAM(Thyristor RAM), Z-RAM(Zero capacitor RAM), 또는 TTRAM(Twin transistor RAM), MRAM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 장치(10000)가 불휘발성 메모리인 경우, 메모리 장치(10000)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플래시(Flash) 메모리, MRAM(Magnetic RAM), 스핀전달토크 MRAM (Spin-Transfer Torque MRAM), Conductive bridging RAM(CBRAM), FeRAM (Ferroelectric RAM), PRAM(Phase change RAM), 저항 메모리(Resistive RAM: RRAM), 나노튜브 RRAM(Nanotube RRAM), 폴리머 RAM(Polymer RAM: PoRAM), 나노 부유 게이트 메모리(Nano Floating Gate Memory:NFGM), 홀로그래픽 메모리 (holographic memory), 분자 전자 메모리 소자(Molecular Electronics Memory Device), 또는 절연 저항 변화 메모리(Insulator Resistance Change Memory)일 수 있다.
메모리 장치(10000)는 종단 저항 보정 회로(11000), 모드 레지스터(12000), 출력 버퍼 회로(13000), 메모리 셀 어레이(14000), 센스 앰프(14100), 로우 디코더(14200), 칼럼 디코더(14300), 커맨드/어드레스 래치(15000), 입력 버퍼 회로(16000), 그리고 커맨드 디코더(17000)를 포함할 수 있다.
종단 저항 보정 회로(11000)는 종단 저항을 목표 저항 값과 매칭을 위한 보정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보정 연산을 통해, 종단 저항 보정 회로(11000)는 풀 업 및 풀 다운 저항 보정 코드(ZQ_P, ZQ_N)를 생성할 수 있다. 풀 업 및 풀 다운 저항 보정 코드(ZQ_P, ZQ_N)는 출력 버퍼 회로(13000)에 제공된다. 제공된 풀 업 및 풀 다운 저항 보정 코드(ZQ_P, ZQ_N)에 의해, 출력 버퍼 회로(13000)의 출력 저항 값이 목표 저항 값과 매칭될 수 있다.
모드 레지스터(12000)는 커맨드 디코더(17000)로부터 출력 버퍼 회로(13000)의 엠퍼시스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제공받아 저장할 수 있다. 모드 레지스터(12000)는 상술한 명령을 통해 저장된 엠퍼시스 제어 신호(EMP_en) 및 크기 조절 신호(EMP_st)를 출력 버퍼 회로(13000)에 제공할 수 있다.
출력 버퍼 회로(13000)는 DQ 패드(DQ)를 통해 메모리 셀 어레이(14000)에 저장된 데이터를 메모리 장치(10000)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메모리 셀 어레이(14000)에 저장된 데이터는 센스 앰프(14100)를 통해 출력 버퍼 회로(13000)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로우 디코더(14200)와 칼럼 디코더(14300)는 출력될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 셀의 어드레스(ADDR)를 메모리 셀 어레이(14000)로 제공할 수 있다.
출력 버퍼 회로(13000)는 제공된 풀 업 및 풀 다운 저항 보정 코드(ZQ_P, ZQ_N), 엠퍼시스 제어 신호(EMP_en), 그리고 크기 조절 신호(EMP_st)를 기초로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된 프리 엠퍼시스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제공된 코드들 및 신호들을 기초로, 출력 버퍼 회로(13000)는 도 1, 도 13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된 디 엠퍼시스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커맨드/어드레스 래치(15000)는 호스트(미도시)로부터 커맨드(CMD) 및 어드레스(ADDR)를 수신한다. 커맨드 어드레스 래치(15000)는 수신된 커맨드(CMD)를 커맨드 디코더(17000)에 제공한다. 또한, 커맨드/어드레스 래치(15000)는 수신된 메모리 셀의 어드레스(ADDR)를 로우 디코더(14200)와 칼럼 디코더(14300)로 제공한다.
메모리 장치(10000) 외부의 데이터는 DQ 패드(DQ)를 통해 입력 버퍼 회로(16000)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출력 버퍼 회로(13000)는 온-다이 터미네이션 회로로서 동작할 수 있다. 입력 버퍼 회로(16000)로 제공된 데이터는 센스 앰프(14100)를 통해 메모리 셀 어레이(14000)에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 장치(10000) 외부로부터 제공된 데이터가 저장될 메모리 셀의 어드레스(ADDR)는 커맨드/어드레스 래치(15000), 로우 디코더(14200), 및 칼럼 디코더(14300)를 통해 메모리 셀 어레이(14000)로 제공될 수 있다.
커맨드 디코더(17000)는 커맨드/어드레스 래치(15000)를 통해 다양한 명령층D)을 제공받는다. 커맨드 디코더(17000)는 로우 디코더(14200), 칼럼 디코더(14300), 그리고 저항 보정 회로(11000) 등의 구성 요소로 명령(CMD)을 제공한다.
위에서 설명한 내용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예들이다. 본 발명에는 위에서 설명한 실시 예들뿐만 아니라, 단순하게 설계 변경하거나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실시 예들도 포함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는 위에서 설명한 실시 예들을 이용하여 앞으로 용이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기술들도 포함될 것이다.

Claims (10)

  1. 데이터에 기초하여, 엠퍼시스(emphasis)의 수행 구간을 결정하는 펄스 신호를 생성하는 펄스 생성기;
    상기 펄스 신호에 따라, 저항 보정 코드를 제공받아 상기 저항 보정 코드에 의해 결정되는 제 1 출력 저항 값을 제공하거나, 상기 엠퍼시스의 상기 수행 구간 동안 상기 저항 보정 코드의 최대 값 또는 최소 값에 대응하는 엠퍼시스 코드를 제공받아 상기 엠퍼시스 코드에 의해 결정되는 제 2 출력 저항 값을 제공하여 상기 데이터에 대한 엠퍼시스 동작을 수행하고, 그리고 상기 데이터를 출력하는 송신기; 그리고
    상기 펄스 신호에 따라, 상기 데이터 출력 시 상기 엠퍼시스의 상기 수행 구간에서는 상기 엠퍼시스 코드를 상기 송신기에 제공하고 그리고 상기 데이터 출력 시 상기 엠퍼시스의 상기 수행 구간 이외에서는 상기 저항 보정 코드를 상기 송신기에 제공하는 엠퍼시스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출력 버퍼 회로.
  2. 제 1 항에 있어,
    상기 송신기는:
    상기 펄스 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출력 저항 값을 제공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하거나 상기 제 2 출력 저항 값을 제공하기 위한 상기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프리 드라이버; 그리고
    상기 구동 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출력 저항 값 또는 상기 제 2 출력 저항 값을 제공하는 메인 드라이버를 포함하는 출력 버퍼 회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
    상기 엠퍼시스 컨트롤러는 상기 제 1 출력 저항 값보다 작은 상기 제 2 출력 저항 값을 결정하는 상기 엠퍼시스 코드를 상기 송신기에 제공하는 출력 버퍼 회로.
  5. 제 4 항에 있어,
    상기 펄스 신호의 활성화 구간에 의해 결정되는 상기 엠퍼시스의 상기 수행 구간은 상기 송신기의 출력 신호가 천이하는 구간을 포함하는 출력 버퍼 회로.
  6. 제 4 항에 있어,
    크기 조절 신호에 따라, 상기 제 2 출력 저항 값보다 작은 제 3 출력 저항 값을 제공하도록 상기 송신기를 제어하는 엠퍼시스 크기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출력 버퍼 회로.
  7. 제 1 항에 있어,
    상기 엠퍼시스 컨트롤러는 상기 제 1 출력 저항 값보다 큰 상기 제 2 출력 저항 값을 결정하는 상기 엠퍼시스 코드를 상기 송신기에 제공하는 출력 버퍼 회로.
  8. 삭제
  9. 제 7 항에 있어,
    크기 조절 신호에 따라, 상기 제 2 출력 저항 값보다 큰 제 3 출력 저항 값을 제공하도록 상기 송신기를 제어하는 엠퍼시스 크기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출력 버퍼 회로.
  10. 출력 저항 값을 결정하는 저항 보정 코드를 생성하는 코드 생성 회로;
    데이터에 기초하여, 엠퍼시스(emphasis)의 수행 구간을 결정하는 펄스 신호를 생성하는 펄스 생성기;
    상기 펄스 신호에 따라, 상기 저항 보정 코드에 의해 결정되는 제 1 출력 저항 값을 제공하거나 상기 엠퍼시스의 상기 수행 구간 동안 상기 저항 보정 코드의 최대 값 또는 최소 값에 대응하는 엠퍼시스 코드를 제공받아 상기 엠퍼시스 코드에 의해 결정되는 제 2 출력 저항 값을 제공하여 상기 데이터에 대한 엠퍼시스 동작을 수행하고, 그리고 상기 데이터를 출력하는 송신기; 및
    상기 펄스 신호에 따라, 상기 데이터 출력 시 상기 엠퍼시스의 상기 수행 구간에서는 상기 엠퍼시스 코드를 상기 송신기에 제공하고 그리고 상기 데이터 출력 시 상기 엠퍼시스의 상기 수행 구간 이외에서는 상기 저항 보정 코드를 상기 송신기에 제공하는 엠퍼시스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메모리 장치.
KR1020160145378A 2016-11-02 2016-11-02 출력 버퍼 회로 및 그것을 포함하는 메모리 장치 KR101870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5378A KR101870840B1 (ko) 2016-11-02 2016-11-02 출력 버퍼 회로 및 그것을 포함하는 메모리 장치
US15/688,532 US9998121B2 (en) 2016-11-02 2017-08-28 Output buffer circuit and memory devic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5378A KR101870840B1 (ko) 2016-11-02 2016-11-02 출력 버퍼 회로 및 그것을 포함하는 메모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9483A KR20180049483A (ko) 2018-05-11
KR101870840B1 true KR101870840B1 (ko) 2018-06-26

Family

ID=62021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5378A KR101870840B1 (ko) 2016-11-02 2016-11-02 출력 버퍼 회로 및 그것을 포함하는 메모리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998121B2 (ko)
KR (1) KR1018708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03337B2 (en) 2017-08-07 2019-09-03 Micron Technology, Inc. Output driver for multi-level signaling
US10447512B2 (en) 2017-08-07 2019-10-15 Micron Technology, Inc. Channel equalization for multi-level signaling
US10425260B2 (en) 2017-08-07 2019-09-24 Micron Technology, Inc. Multi-level signaling in memory with wide system interface
US10277441B2 (en) 2017-08-07 2019-04-30 Micron Technology, Inc. Uniformity between levels of a multi-level signal
US10530617B2 (en) 2017-08-07 2020-01-07 Micron Technology, Inc. Programmable channel equalization for multi-level signaling
US10277435B2 (en) 2017-08-07 2019-04-30 Micron Technology, Inc. Method to vertically align multi-level cells
KR20190036259A (ko) 2017-09-27 2019-04-04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캘리브레이션 회로를 이용하는 전송 장치,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및 시스템
KR20190051314A (ko) * 2017-11-06 2019-05-15 삼성전자주식회사 포스트 엠퍼시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전자 회로
KR102526256B1 (ko) * 2018-03-06 2023-04-28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데이터 출력 버퍼
US10128842B1 (en) * 2018-03-23 2018-11-13 Micron Technology, Inc. Output impedance calibration for signaling
KR102547658B1 (ko) * 2018-05-29 2023-06-27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데이터 출력 버퍼 및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 장치
KR102598741B1 (ko) * 2018-07-17 2023-11-07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데이터 출력 버퍼
KR20200016667A (ko) * 2018-08-07 2020-02-17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입출력 회로와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US10673434B2 (en) * 2018-09-28 2020-06-02 Sandisk Technologies Llc Auto-corrected IO driver architecture
US10951206B1 (en) * 2020-08-05 2021-03-16 Nanya Technology Corporation Off chip driving system and signal compensation method
US11695411B2 (en) 2020-11-18 2023-07-04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Transmitter and operating method of transmitter
KR20220132364A (ko) 2021-03-23 2022-09-30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데이터 출력 버퍼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US11626886B2 (en) * 2021-07-21 2023-04-11 Micron Technology, Inc. Thermometer coding for driving non-binary signals
CN114024545B (zh) 2022-01-06 2022-04-26 长鑫存储技术有限公司 一种驱动调整电路和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4301B1 (ko) 2005-05-12 2007-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리 엠파시스 신호 발생기를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0771868B1 (ko) * 2006-02-28 2007-11-01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이내믹 출력버퍼회로
KR100902104B1 (ko) * 2007-06-08 2009-06-0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장치
JP4939327B2 (ja) 2007-07-10 2012-05-23 エルピーダメモリ株式会社 キャリブレーション回路及びこれを備える半導体装置、並びに、メモリモジュール
US7991573B2 (en) 2007-12-19 2011-08-02 Qimonda Ag Integrated circuit including calibration circuit
KR100940854B1 (ko) * 2008-09-10 2010-02-0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데이터 출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US8125241B2 (en) * 2009-10-07 2012-02-28 Lsi Corporation Automatic de-emphasis setting for driving capacitive backplane
US7863936B1 (en) 2009-12-01 2011-01-04 Himax Imaging, Inc. Driving circuit with impedence calibration and pre-emphasis functionalities
KR20110107995A (ko) * 2010-03-26 2011-10-05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데이터 전송회로 및 데이터 전송방법
KR101116362B1 (ko) * 2010-04-30 2012-03-0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장치
KR101697358B1 (ko) * 2010-11-03 2017-01-18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출력버퍼
KR101854232B1 (ko) * 2010-11-09 2018-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엠퍼시스 기능을 갖는 의사 오픈 드레인 방식의 출력 드라이버,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것의 제어 방법
JP5664295B2 (ja) * 2011-02-03 2015-02-04 富士通株式会社 通信装置および通信装置設定方法
JP5635459B2 (ja) * 2011-07-11 2014-12-03 ピーエスフォー ルクスコ エスエイアールエルPS4 Luxco S.a.r.l. 半導体装置
US8581619B2 (en) * 2011-08-25 2013-11-12 Stmicroelectronics International N.V. Impedance calibration circuit and method
TWI447588B (zh) * 2011-10-07 2014-08-01 Asmedia Technology Inc 適應性驅動傳送資料的方法及其通信裝置
US8896353B2 (en) * 2012-08-01 2014-11-2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tant output impedance, variable pre-emphasis drive
US8947133B2 (en) 2013-02-04 2015-02-03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level termination calibration for voltage mode drivers
KR102083005B1 (ko) * 2013-10-31 2020-02-28 삼성전자주식회사 종단 저항을 보정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것의 종단 저항 보정 방법
US9722582B2 (en) * 2014-05-21 2017-08-01 SK Hynix Inc. Semiconductor device with output driver pre-emphasis scheme
KR20150134002A (ko) * 2014-05-21 2015-12-01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US9369128B1 (en) * 2014-08-15 2016-06-14 Altera Corporation Circuits and methods for impedance calibration
US9337807B2 (en) 2014-09-30 2016-05-10 Qualcomm Incorporated Output driver circuit with auto-equalization based on drive strength calibration
KR102226370B1 (ko) * 2015-01-13 2021-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집적 회로 및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스토리지 장치
US9721588B2 (en) * 2015-12-28 2017-08-01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Magnetic recording system including differentiated write current emphasis signal generator circuit
KR102529968B1 (ko) * 2016-05-11 2023-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임피던스 조정 회로,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동작 방법
KR20170143127A (ko) * 2016-06-20 2017-12-29 삼성전자주식회사 터미네이션 저항을 보정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것의 터미네이션 저항 보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123593A1 (en) 2018-05-03
KR20180049483A (ko) 2018-05-11
US9998121B2 (en) 2018-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0840B1 (ko) 출력 버퍼 회로 및 그것을 포함하는 메모리 장치
CN107026642B (zh) 用于在低电压下操作的发射器电路和接收器电路
US8581620B2 (en)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data output circuit supporting pre-emphasis operation
US9330750B2 (en) Integrated circuit using method for setting level of reference voltage
JP2015076655A (ja) 半導体装置
US10580466B2 (en) Transmitting device using calibration circuit, semiconductor apparatus and system including the same
US20210104273A1 (en) Clock signal generator generating four-phase clock signals
KR20180003938A (ko) 수신 인터페이스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
US7919988B2 (en) Output circuit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0533384B1 (ko) 저진폭 전압구동 글로벌 입출력 라인을 갖는 반도체메모리 장치
JP5618772B2 (ja) 半導体装置
US8004314B2 (en) Semiconductor device
KR101893182B1 (ko) 데이터 출력 회로
US20220103176A1 (en) Buffer circuit, receiver circuit including the buffer circuit, and semiconductor apparatus including the receiver circuit
KR102594124B1 (ko) 저전압 동작을 위한 송신 회로 및 수신 회로
JP2016005075A (ja) 半導体装置
KR20090000511A (ko)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 회로
KR102609441B1 (ko) 데이터 전송 장치,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및 시스템
TWI590247B (zh) 驅動電路
US10580462B2 (en) Memory device, memory system and electronic device
US20230170003A1 (en) Semiconductor device
KR20220132364A (ko) 데이터 출력 버퍼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KR20230114092A (ko) 출력 신호의 스윙폭 조절이 용이한 출력 버퍼 회로
JP2014127894A (ja) 半導体装置
KR100673118B1 (ko) 데이터 출력 버퍼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