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1968B1 - Rigid-frame bridge - Google Patents
Rigid-frame bridg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61968B1 KR101861968B1 KR1020170102241A KR20170102241A KR101861968B1 KR 101861968 B1 KR101861968 B1 KR 101861968B1 KR 1020170102241 A KR1020170102241 A KR 1020170102241A KR 20170102241 A KR20170102241 A KR 20170102241A KR 101861968 B1 KR101861968 B1 KR 10186196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irder
- connecting steel
- weight
- parts
- supporting structur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01D2/02—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of the I-girder typ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01D19/042—Mechanical bear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68—Composite concrete-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거더 합성형 라멘교에 관한 것으로,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irder composite raymond bridge,
보다 상세하게는 교각 또는 교대를 포함하는 지지구조의 상부 시공면에 연결홈을 형성하고, 지지구조에 거더를 합성하기 위한 연결강재를 연결홈에 삽입하는 형태로 지지구조와 슬래브구조 간의 합성을 제공하여, 강결 효과 향상, 거더 시공 시의 전도 위험 감소, 단순보 효과 등을 갖는 거더 합성형 라멘교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o provide a composite between a support structure and a slab structure in such a manner that a connection groove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a support structure including a pier or an alternate, and a connecting steel material for joining the girder to the support structure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groove To improve girder effect, reduce the risk of conduction during girder construction, and simple beam effect.
교량의 한 종류로, 거더교와 대비하여 라멘교가 있는데, 이러한 라멘교는 상부구조를 이루는 슬래브구조와 하부구조를 이루는 지지구조를 일체화(강결)시켜 교량 받침 및 신축 이음을 제거한 교량이다.One type of bridges is the ramen bridge in contrast to the girder bridge. This ramen bridge is a bridge that removes bridge support and expansion joints by integrating (supporting) the slab structure that constitutes the upper structure and the supporting structure that constitutes the lower structure.
이러한 라멘교는 교량 상부구조와 교량 하부구조의 연결부를 콘크리트로 타설하여 일체화시킨 것으로, 교량받침 및 신축이음 장치 등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유리관리가 편리하고 내구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으나, 콘크리트 내부에 철근이 단순 매립되는 형태로 재료의 한계치를 고려하여 최대지간장을 대략 15m 정도로 유지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These bridges have the advantages of convenient glass management and excellent durability because they do not require bridge support and expansion joints because the connection between bridges superstructure and bridges are connected by concrete. It is disadvantageous to keep the maximum span length of about 15m considering the limit of materials in the form that the reinforcing bars are simply buried.
이에 교량 상부구조와 교량 하부구조를 일체화시키되 거더에 강재를 이용한 합성형 라멘교가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합성형 라멘교는 최대지간장을 대략 40m 까지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this study, a synthetic ramen bridges are developed which integrate bridges superstructures and bridge bridges, using steel for girders. These composite ramen bridges have the advantage of maintaining the maximum span length up to about 40 m.
강재를 이용한 라멘교에 관한 종래의 기술로, 등록특허 제10-1640933호(2016년07월13일)(이하 종래기술)가 있는데, 종래기술은 상부구조의 신축에 따른 큰 수평력을 교량 하부구조의 휨 변형으로 수용하여 안정된 구조계를 유지하면서도, 긴급 교체 공사에 적합하고 별도의 제작장이 불필요하며 터파기 양을 감소시켜 사유지 점유 없이 시공할 수 있는 라멘교를 제시하고 있다.(Hereinafter referred to as " prior art "), which is a conventional technology related to a ramen bridge using a steel material,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640933 , Which is suitable for emergency replacement work, does not require a separate manufacturing site, and can reduce the amount of terraces, thus providing a ramen bridge that can be constructed without occupying private land.
그러나 종래기술을 포함하는 종래의 기술들은 슬래브구조와 지지구조 간의 합성부위가 지지구조 상부로 노출되어, 강결 효과가 부족하고, 거더 가설 시공 시에 거더의 전도 위험이 있으며, 합성 부위에 의한 부모멘트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techniques including the prior art have the drawback that the composite portion between the slab structure and the support structure is expos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structure, the strength effect is insufficient, there is a risk of conduction of the girder at the time of girder construction, Is generated.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지지구조의 상부 시공면에 연결홈을 구비하여, 거더의 하면에 결합된 연결강재를 연결홈에 삽입하는 형태로 지지구조와 슬래브구조 간의 합성을 제공하여, 강결 효과 향상, 거더 시공 시의 전도 위험 감소, 단순보 효과 등을 갖는 거더 합성형 라멘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mposite between the supporting structure and the slab structure in such a manner that the connecting steel plate join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girder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groove with the connecting groov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ing structure to improve the strength effect, And a girder composite ramen bridge having a simple beam effect and the like.
또한 거더와 연결강재 사이에 구비되는 인서트 플레이트를 통해, 종단구배가 있는 경우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lso possible to flexibly cope with a longitudinal gradient through an insert plate provided between a girder and a connecting steel.
아울러 거더와 연결홈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패드를 통해, 상부 구조물인 슬래브구조의 하중에 의한 시공면의 펀칭 파괴를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punching failure of the installation surface due to the load of the slab structure, which is the upper structure, through the elastic pad provided between the girder and the connection groove.
나아가 다수의 연결강재를 통해 하중 분산 효과를 제공하고, 더하여 연결공 및 연결부재의 도입을 통해 다수의 연결부재들을 서로 엮어 고정력을 향상시키고, 이를 통해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Furth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oad distribution effect through a plurality of connecting steels and to improve the fixing force by binding a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to each other through introduction of connecting holes and connecting members, thereby improving structural stability.
상기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은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object
교대 또는 교각을 포함하는 지지구조, 그리고 상기 지지구조 상부에 교축 방향으로 가설되는 거더, 그리고 상기 지지구조의 상부 시공면에 형성된 연결홈 및, 상기 거더의 하면에 결합되고 상기 연결홈에 삽입되는 연결강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구조와 상기 거더를 결합하는 결합수단을 포함한다.A support structure including an alternating or piercing bridge and a girder suspended over the support structure in a throttling direction and a connection groove formed in an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structure and a connection member connected to a lower surface of the girder and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groove And a joining means for joining the support structure and the girder.
또한 상기 연결강재는 수직으로 평행 배치되는 두 플랜지부 및, 이 두 플랜지부의 내측면 중앙을 연결하는 웹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거더와 상기 연결강재 사이에 구비되되, 그 하면이 상기 플랜지부 및 웹부의 단부와 접하는 인서트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connecting steel material comprises two flange portions arranged in parallel vertically and a web portion connecting the centers of the inner sides of the two flange portions, the coupling means being provided between the girder and the connecting steel material, And an insert plate in contact with an end portion of the flange portion and the web portion.
아울러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거더와 상기 연결홈의 저면 사이에 구비되되, 그 상면이 상기 플랜지부 및 웹부의 단부와 접하는 탄성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The coupling means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pad provided between the girder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nection groove, the upper surface of the elastic pad contacting the flange portion and the end portion of the web portion.
나아가 상기 연결강재는 다수 구비되고,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각 연결강재의 웹부에 형성된 연결공 및, 이 연결공들을 모두 관통하여 삽입됨으로써 상기 연결강재들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more, a plurality of the connecting steel members may be provided, and the connecting means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ng hole formed in the web portion of each connecting steel member and a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connecting steel members by being inserted through the connecting holes. .
상기 구성 및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지지구조의 상부 시공면에 연결홈을 구비하여, 거더의 하면에 결합된 연결강재를 연결홈에 삽입하는 형태로 지지구조와 슬래브구조 간의 합성을 제공하여, 강결 효과 향상, 거더 시공 시의 전도 위험 감소, 단순보 효과 등을 구비함은 물론, 인서트 플레이트를 통해 종단구배가 있는 경우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며, 탄성패드를 통해 시공면의 펀칭 파괴를 방지하고, 나아가 다수의 연결강재를 통해 하중 분산을 제공하고, 더하여 연결공 및 연결부재의 도입을 통해 향상된 구조적 안정성을 제공한다는 효과를 갖는다.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mposite between the supporting structure and the slab structure in such a manner that the connecting steel plate join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girder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groove with the connecting groov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ing structure to improve the strength effect, A simple beam effect and the like, and it is possible to flexibly cope with the end gradation through the insert plate, to prevent the punching breakage of the work surface through the elastic pad, Dispersion, and additionally provide improved structural stability through the introduction of connecting holes and connecting members.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합성성 라멘교를 도시한 도면.
도 1은 임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방향 단면도.
도 3은 횡방향 단면도.
도 4는 측면도 및 일부 구성도.
도 5 내지 도 7은 종래의 합성형 라멘교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측면도.
도 6은 평면도.
도 7은 평단면도 및 측단면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ure 1 to Figure 4 illustrate a synthetic ramen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3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4 is a side view and a partial schematic view.
5 to 7 show a conventional synthetic ramen bridge.
5 is a side view;
6 is a plan view.
7 is a plan sectional view and a side sectional view.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certain embodiments, it is obvious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 " comprising " or " consisting of ", or the like, refers to the presence of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first to second aspec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merely referred to in order to distinguish between different components and are not limited to the order in which they are manufactured, It may not match.
본 발명은 교각 또는 교대를 포함하는 지지구조의 상부 시공면에 연결홈을 형성하고, 지지구조에 거더를 합성하기 위한 연결강재를 연결홈에 삽입하는 형태로 지지구조와 슬래브구조 간의 합성을 제공하여, 강결 효과 향상, 거더 시공 시의 전도 위험 감소, 단순보 효과 등을 갖는 거더 합성형 라멘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e between a supporting structure and a slab structure in the form of a connecting groove formed in the upper mounting surface of a supporting structure comprising a pier or alternate and inserting a connecting steel for connecting the girder in the supporting structure into the connecting groove , Strengthening effect, reduction of the risk of falling during girder construction, and simple beam effec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거더 합성형 라멘교(이하 본 라멘교(B))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girder composite raymond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설명의 편의를 위한 방향 관련 용어를 정의하면, 본 발명의 설명에 기재된 '교축 방향'이라 함은 종방향(v)으로, 도 1을 기준으로, 거더(30)의 길이 방향을 의미하고, '교축직각 방향'이라 함은 횡방향(h)으로, 도 1을 기준으로, 거더(30)의 폭 방향을 의미한다. 이러한 용어는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청구범위'에도 적용되는 것으로 한다.Before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the term "throttling direction" as use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v) 30 mean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도 5 내지 도 7은 종래의 합성형 라멘교(Bt)를 도시한 것으로, 본 라멘교(B)의 전체적인 구성들은 종래의 합성형 라멘교(Bt)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Figs. 5-7 illustrate a conventional synthetic ramend bridge Bt, wherein the overall arrangements of the present ramend bridge B may be configured the same or similar to the conventional synthetic ramend bridge Bt.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종래의 합성형 라멘교(Bt)와 흡사한 본 라멘교(B)의 구성들을 살펴보면,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라멘교(B)는 지지구조(1)와 거더(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5 to 7, the construc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7. Referring to FIGS. 5 to 7, (30).
각 구성 별로. 지지구조(1)는 교대(11) 또는 교각(12)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교량의 길이가 충분히 확보해야 하는 경우, 모멘트에 대항하기 위해 교대(11)와 교대(11) 사이에 교각(12)이 구비될 수 있으며, 교량의 길이가 짧은 경우에는 교각(12)은 생략될 수 있다.For each configuration. The
다음, 거더(30)는 지지구조(1)의 상부에 안착되는 구성으로, 교대(11) 또는 교각(12)의 상부에 교축 방향으로 가설되고, 이 후 거푸집 작업, 철근 교차 설치 작업 및 콘크리트 타설 작업에 의해 슬래브구조(2)를 형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라멘교(B)는 크게 지지구조(1)와 슬래브구조(2)로 구분될 수 있고, 후술하는 결합수단(40)은 지지구조(1)와 슬래브구조(2)를 합성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Next, the
도 1 내지 도 3은 본 라멘교(B)의 구조도로, 도 1은 각 구성의 도시를 위한 임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방향 단면도, 도 3은 횡방향 단면도, 도 4는 측면도 및 일부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핵심 특징인 결합수단(40)에 관한 설명을 진행하기로 한다.1 to 3 are structural views of the present ramen bridge (B),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ach constitutional view, Fig. 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Fig. 3 is a lateral sectional view, FIG. Hereinafter, the coupling means 40, which is a key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FIG.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라멘교(B)는 지지구조(1)와 슬래브구조(2), 즉 지지구조(1)와 거더(30)를 결합하는 결합수단(40)을 포함한다.1 to 3, the present ramen bridge B comprises a
본 발명의 핵심 특징으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수단(40)은 지지구조(1)의 상부 시공면에 형성된 연결홈(41) 및, 거더(30)의 하면에 결합되고 연결홈(41)에 삽입되는 연결강재(42)를 포함하며, 지지구조(1)와 거더(30)를 결합하는 결합수단(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1 to 3, the coupling means 40 includes a
구체적으로, 연결홈(41)은 지지구조(1)의 상부 시공면에 형성되는데, 상부 시공면은 콘크리트가 타설된 교각(12) 또는 교대(11)의 상면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결홈(41)은 지지구조(1)의 상부 시공면을 타설하는 과정에서 생성된다.Specifically, the
다음으로, 연결강재(42)는 거더(30)의 하면에 결합되고 연결홈(41)에 삽입되는데, 이러한 연결강재(42)는 제조비용 절감 및 제조 용이성 향상을 위해 기성형강을 가공하여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하나의 예로, 첨부된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H빔이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연결강재(42)의 규격은 거더(30)의 길이 및 지지구조(1)의 두께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The connecting
상기한 연결홈(41) 및 연결강재(42)를 포함하는 결합수단(40)을 통해, 본 발명은 강결 효과 향상, 거더(30) 시공 시의 전도 위험 감소, 단순보 효과 등을 갖는다.Through the coupling means 40 including the connecting
상기 효과를 도 2와 도 7 [B]를 통해 비교함으로써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종래의 라멘교는 연결강재(42)가 지지구조(1)의 상부에 안착되어 고정 결합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데에 반해, 본 라멘교(B)는 연결강재(42)가 연결홈(41)에 삽입되어 일부만이 노출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차이점을 갖는다.2 and Fig. 7 [B], the conventional raymond bridge is configured such that the connecting
이러한 차이점에 의해, 지지구조(1)와 연결강재(42) 간의 결합이 더욱 견고하게 이루어져 강결 효과가 향상된다.This difference makes the coupling between the supporting
또한 상기 차이점에 의해, 거더(30)의 가설 시공 시, 종래에는 지지구조(1)의 상부에 거더(30)가 안착되는 형태로 가설되기 때문에 외력이 발생하는 경우 거더(30)가 전도될 위험이 있는 반면, 본 라멘교(B)는 연결강재(42)가 연결홈(41) 내에 삽입된 형태로 거더(30)가 가설되기 때문에 외력이 발생하여도 연결홈(41) 내에서 연결강재(42)가 이탈되지만 않으면 거더(30)의 전도 위험이 없어, 거더(30)의 전도 위험성이 감소된다.In addition, due to the above difference, since the
아울러 상기 차이점에 의해, 지지구조(1)와 슬래브구조(2) 간의 합성 부위가 지지구조(1)의 내부에 존재하게 되고, 이는 본 라멘교(B)의 구조를 일반 거더(30)교(지지구조(1) 상부에 거더(30)를 단순 안착시킨 구조)의 구조와 유사하게 하여, 종래의 라멘교가 거더(30)의 양 단부 측에 부모멘트 구간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을 극복하고, 이를 통해 향상된 단순보 효과를 제공한다.Due to the above difference, a composite portion between the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순차적으로 참고하여 본 발명의 보다 세부적인 특징 및 추가적인 특징들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like elements throughout.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라멘교(B)는 연결강재(42)가 수직으로 평행 배치되는 두 플랜지부(421)(422) 및, 이 두 플랜지부(421)(422)의 내측면 중앙을 연결하는 웹부(4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irst, as shown in Fig. 1, the present bridle bridge B includes two
이러한 연결강재(42)는 두 플랜지부(421)(422), 즉 제1 및 제2플랜지부(421)(422)가 교축 방향으로 평행 배치되며, 이에 웹부(423)의 길이 방향과 교축 방향이 일치하도록 배치된다.The connecting
이러한 연결강재(42)는 기 성형 강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H빔이 사용될 수 있다.The connecting
다음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라멘교(B)는 결합수단(40)이, 거더(30)와 연결강재(42) 사이에 구비되되, 그 하면이 플랜지부(421)(422) 및 웹부(423)의 단부와 접하는 인서트 플레이트(43)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1, the present bridging bridge B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means 40 is provided between the
이러한 인서트 플레이트(43)는 도 4에 더 자세하게 도시되어 있는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서트 플레이트(43)는 연결강재(42)의 상부에 연결강재(42)와 접촉하도록 구비되며, 인서트 플레이트(43)의 하면은 플랜지부(421)(422)와 웹부(423)의 상단부에 접하게 된다.This
도 4 [B]에서 확인 가능한 바와 같이, 인서트 플레이트(43)는 다수의 연결강재(42)들 모두에 접합될 수 있다. 이러한 인서트 플레이트(43)는 도 4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강재(42)에 종단구배가 있는 경우, 수평을 맞춰주는 역할을 한다.As can be seen in FIG. 4 [B], the
다음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라멘교(B)는 결합수단(40)이, 거더(30)와 연결홈(41)의 저면 사이에 구비되되, 그 상면이 플랜지부(421)(422) 및 웹부(423)의 단부와 접하는 탄성패드(44)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1, the present bridging bridge B is provided with a coupling means 40 between the
이러한 탄성패드(44)는 기타 구성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연결강재(42)의 플랜지부(421)(422)와 웹부(423)로 인하여, 상부 구조물의 하중에 의한 시공면의 펀칭파괴를 방지한다.This
또한 도 1 내지 도 3에서 확인 가능한 바와 같이, 탄성패드(44)는 연결홈(41) 내부에 내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접착층을 구비하여 자체적으로 연결홈(41), 그리고 플랜지부(421)(422) 및 웹부(423)의 하단부와 접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1 to 3, it is preferable that the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라멘교(B)는 연결강재(42)가 다수 구비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he present ramen bridge B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connecting
도 1에서는 2개의 연결강재(42), 제1 및 제2연결강재(42A)(42B)가 구비된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제1 및 제2연결강재(42A)(42B)는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3개 이상의 연결강재(42)가 구비되는 실시는 본 발명의 설명을 통해 충분히 유추 실시 가능한 것이다.)It can be seen in FIG. 1 that two connecting
본 발명은 거더(30)의 하중을 지지하는 연결강재(42)를 다수 구비하여, 하중 분산을 통한 지지력 상승을 제공하는데, 이 때 안정적인 구조를 가질 수 있도록 연결강재(42)들 간의 고정이 선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urality of connecting steels (42) for supporting the load of the girders (30) to provide an increase in bearing force through load distribution. At this time, the fixing between the connecting steels (42) .
본 발명은 이러한 연결강재(42)들 간의 견고한 고정을 제공할 수 있도록, 결합수단(40)이 연결공(45) 및 연결부재(46)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means 40 may further comprise a
구체적으로, 도 4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공(45)은 각 연결강재(42)의 웹부(423)에 형성되고, 연결부재(46)는 이 연결공(45)들을 모두 관통하여 삽입됨으로써 연결강재(42)들을 연결함으로써, 다수의 연결강재(42)들 간의 일체화를 제공한다.4 (A), a connecting
상기한 연결부재(46)는 철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연결공(45) 및 연결부재(46)들은 다수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연결공(45)이 연결강재(42)의 웹부(423)에 형성되기 때문에 연결부재(46)들은 교축직각 방향, 즉 횡방향으로 배치된다.The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으로, 도 4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라멘교(B)는 결합수단(40)이 각 연결강재(42)의 플랜지부(421)(422)에 형성된 관통공(47) 및, 이 관통공(47)들을 모두 관통하여 삽입됨으로써 연결부재(46)를 고정 지지하는 고정지지부재(48)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4 (B), the present bridle bridge B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ngaging
이러한 고정지지부재(48)는 상기한 연결부재(46)와 마찬가지로 철근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다수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관통공(47)이 연결강재(42)의 플랜지부(421)(422)에 형성되기 때문에 고정지지부재(48)들은 교축 방향, 즉 종방향으로 배치된다.The fixed
이러한 고정지지부재(48)는 연결부재(46)들을 서로 엮어서 그 고정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This
한편,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라멘교(B)의 거더(30)는 강합성 거더재(31)와 이를 감싸는 케이싱 콘크리트(32)를 포함할 수 있다.2, the
강합성 거더재(31)는 합성강으로 제조된 성형 합금이며, 일 실시예로, H빔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케이싱 콘크리트(32)는 거더재(31)의 외면을 감싸는 구성으로, 특히 상기한 인서트 플레이트(43)와 거더재(31)의 하부 측을 모두 감싸면서 거더(30)와 결합수단(40) 간의 견고한 결합을 제공한다. The
또한,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라멘교(B)는 콘크리트 타설 시 지지구조(1)의 내부와 슬래브구조(2)의 내부 전반에 걸쳐 배치되는 커플러이음(50)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2, the present ramen bridge B includes a coupler joint (not shown) disposed throughout the interior of the
이러한 커플러이음(50)은 지지구조(1)와 슬래브구조(2) 간의 일체성을 향상시키고, 이를 통해 내구성 향상 및 구조적 안정성 향상을 제공한다.This coupler joint 50 improves the integrity between the
도 2에서 확인 가능한 바와 같이, 커플러이음(50)은 거더(30)의 외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콘크리트 타설 후 슬래브구조(2)와 지지구조(1)의 내부에 자리 잡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can be seen in FIG. 2, the coupler joint 50 is preferably located on the outside of the
또한 콘크리트 타설 작업의 진행은 지지구조(1)에 대한 콘크리트 타설을 선(先)수행하고, 슬래브구조(2)에 대한 콘크리트 타설을 후(後)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crete pouring operation is performed before the pouring of the concrete to the supporting
한편, 본 발명은 탄성패드(44)가 외면에 구비되는 방수층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characterized in that the
이러한 방수층은 탄성패드(44)의 방수성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하여 구비되는데, 연결홈(41)에 연결강재(42)를 삽입하는 거더(30) 가설 작업 시 우천에 의해 연결홈(41)에 물이 고일 수 있는데, 연결홈(41)에 물이 고이게 되면 연결강재(42)의 부식에 의해 결합수단(40)이 구비되는 합성 부위에 균열이 발생거하거나 또는 크랙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연결홈(41)의 내부, 특히 바닥면이 침습되지 않도록 탄성패드(44)에 방수층을 구비하여 탄성패드(44)가 밀폐수단의 역할을 겸할 수 있도록 하였다.This waterproof layer is provided to further improve the waterproofing property of the
이러한 방수층은 실리카 충전제와 물이 혼합된 혼합재를 포함하고, 실리카 충전제 100중량부에 대해, 포졸란(Pozzolan) 2 ~ 3 중량부, 왁스 또는 파라핀 3 ~ 4 중량부, 스티렌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1 ~ 2 중량부, 아민계 경화제 2.5 ~ 3.5 중량부, 비정질 폴리올레핀(APO: Amorphous Polyolefin) 1.5 ~ 3 중량부, 철 슬래그 0.5 ~ 0.7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aterproof layer comprises a mixture of a silica filler and water, and comprises 2 to 3 parts by weight of pozzolan, 3 to 4 parts by weight of wax or paraffin, 1 to 2 parts by weight of styrene thermoplastic elastomer 2.5 to 3.5 parts by weight of an amine-based curing agent, 1.5 to 3 parts by weight of an amorphous polyolefin (APO) and 0.5 to 0.7 parts by weight of an iron slag.
각 구성 별로, 먼저 혼합재는 실리카 충전제와 물의 혼합에 의해 만들어지며, 방수층의 응고, 도포 등과 같은 제작 설계에 따라 물의 비중을 높이거나 또는 낮추거나 하는 식의 실시가 가능하다.For each constitution, first, the mixed material is made by mixing silica filler and water, and it is possible to increase or decrease the specific gravity of water according to the production design such as coagulation and application of the waterproof layer.
특히 실리카 충전제는 인장강도, 경도 등의 물리적인 성질의 향상을 위하여 첨가되며, 실리카 충전제는 황변 현상 발생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건식 실리카(fumed silica)를 사용할 수 있으며, 소수성 건식 실리카 및 친수성 건식 실리카 중에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silica filler is added to improve the physical properties such as tensile strength and hardness, and the silica filler can use fumed silica having a relatively low incidence of yellowing phenomenon, and one of hydrophobic dry silica and hydrophilic dry silica Or more can be used.
각 조성물 별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진행하면, 먼저 포졸란(Pozzolan)은 규조토(Diatomite)와 같은 천연 광물성 소재로서, 음이온 방출과 탈취 효과 및 항균 작용에 의해, 방수층의 외면에 접착되는 이물질의 정화를 제공하고, 방수층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 포졸란이 2 중량부 미만이면 정화 효과가 낮고, 3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결합력이 저하된다.Pozzolan is a natural mineral material such as diatomite, which provides purification of foreign matter adher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waterproof layer by anion release, deodorization and antibacterial action , And serves to prevent cracks from occurring in the waterproof layer. If the amount of the pozzolan is less than 2 parts by weight, the cleaning effect is low. If the amount is more than 3 parts by weight, the binding force is decreased.
다음으로, 방수층은 왁스 또는 파라핀이 3 ~ 4 중량부가 더 포함될 수 있는데, 왁스 또는 파라핀은 40 ∼ 60℃의 녹는점을 갖기 때문에, 방수층의 생산 온도를 낮추는 역할을 하고, 내화학성으로 방수층의 경화 후, 휘발되지 않아 품질을 저하시키지 않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 왁스 또는 파라핀은 3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되면 첨가효과가 거의 없으며, 4 중량부를 초과하여 첨가되면 방수층의 취성이 증가하여 쉽게 크랙이 발생하는 현상이 발생된다.Next, the waterproof layer may further contain 3 to 4 parts by weight of wax or paraffin. Since the wax or paraffin has a melting point of 40 to 60 DEG C, it functions to lower the production temperature of the waterproof layer and hardens the waterproof layer It is not volatilized and does not deteriorate the quality. When the amount of the wax or paraffin is less than 3 parts by weight, the effect of addition is scarcely added. If the amount of the wax or paraffin is more than 4 parts by weight, the water resistance of the waterproof layer increases and cracks occur easily.
다음으로, 방수층은 스티렌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도 1 ~ 2 중량부가 더 포함될 수 있는데, 스티렌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양말단기의 폴리스치렌 블록(polystyrene block)을 하드세그먼트(hard segment)로 하고 중간에는 폴리부타디엔이 소프트 세그먼트(soft segment)의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혼합용제에 용해 시 저점도화 시킬 수 있고 고탄성, 저온 내구성이 우수하여 시간이 경과함으로서 발생되는 방수층의 균열현상과 동절기의 저온 내구성 부족으로 발생되는 방수층 표면의 들뜸 현상을 방지하는 기능을 발휘하며 미립자상태로 분산시킨 합성 제오라이트 분말은 내부의 규칙적인 미세기공에 의하여 방수층이 외력에 대한 일정 완충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을 지니고 있다.Next, the waterproof layer may further contain 1 to 2 parts by weight of a styrene thermoplastic elastomer, wherein the styrene thermoplastic elastomer has a polystyrene block as a hard segment in the short-term end and a soft segment as the polybutadiene in the middle soft segment. It can be low viscosity when dissolved in mixed solvent. It has high resilience and low temperature durability, so that cracking of waterproof layer due to elapsing time and lifting of surface of waterproof layer caused by insufficient low temperature durability during winter And the composite zeolite powder dispersed in the particulate state has the advantage that the waterproof layer can have a certain buffer against the external force due to the regular fine pores therein.
다음으로, 방수층은 아민계 경화제가 2.5 ~ 3.5 중량부가 더 포함될 수 있는데, 아민계 경화제 함량이 2.5 중량부 미만이면 강도와 내구성이 낮아져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일으킬 수 있으며, 3.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점도가 높아져 가공성이 떨어지게 된다.If the content of the amine-based curing agent is less than 2.5 parts by weight, the strength and durability of the waterproof layer may deteriorate, thereby deteriorating the physical properties. If the amount of the amine-based curing agent is more than 3.5 parts by weight The viscosity becomes high and the workability becomes poor.
다음으로, 방수층은 비정질 폴리올레핀을 1.5 ~ 3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비정질 폴리올레핀(APO: Amorphous Polyolefin)은 에틸렌과 프로필렌 같은 올레핀을 첨가 중합시킨 강한 접착성 소재로서, 방수층 내부로 전달되는 열의 전도율을 저하시켜 방수층에 작용하는 온도의 변화를 최소화한다.Next, the waterproof layer may further include 1.5 to 3 parts by weight of an amorphous polyolefin. Amorphous polyolefin (APO) is a strong adhesive material in which olefins such as ethylene and propylene are added and polymerized. The conductivity of heat transmitted to the inside of the waterproof layer To minimize the change in temperature acting on the waterproof layer.
이하 방수층에 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one embodiment of the waterproof layer will be described.
실시예Example
방수층으로서, 실리카 충전제 500g과 물 430g을 혼합하여 혼합재 930g을 제조하고, 여기에 포졸란 10g, 파라핀 20g, 스티렌 가소성 엘라스토머 10g, 아민계 경화제 15g, 비정질 폴리올레핀 15g를 혼합하여 방수층 1kg을 제조하였다.As a waterproof layer, 500 g of a silica filler and 430 g of water were mixed to prepare 930 g of a mixed material. 1 kg of a waterproof layer was prepared by mixing 10 g of pozzolan, 20 g of paraffin, 10 g of styrene plastic elastomer, 15 g of an amine curing agent and 15 g of amorphous polyolefin.
이 후 방수층을 탄성패드(44)의 외면에 도포한 후, 완전 경화하는 단계를 거쳐, 방수층을 형성한 다음, 탄성패드(44)에 2시간동안 물을 분사한 후, 방수층을 제거하고 내부 침습도를 검사한 결과, 습기가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Thereafter, the waterproof layer is appli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ertain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B: 본 라멘교
1: 지지구조 11: 교대
12: 교각
2: 슬래브구조
30: 거더
40: 결합수단
41: 연결홈 42: 연결강재
421, 422: 플랜지부 423: 웹부
43: 인서트 플레이트 44: 탄성패드
45: 연결공 46: 연결부재B: Ramen Bridge
1: Support structure 11: Shift
12: Pier
2: Slab structure
30: Girder
40: coupling means
41: connecting groove 42: connecting steel
421, 422: flange portion 423: web portion
43: insert plate 44: elastic pad
45: connecting hole 46: connecting member
Claims (4)
상기 지지구조 상부에 교축 방향으로 가설되는 거더; 및
상기 지지구조의 상부 시공면에 형성된 연결홈 및, 상기 거더의 하면에 결합되고 상기 연결홈에 삽입되는 연결강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구조와 상기 거더를 결합하는 결합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홈은 상기 지지구조의 상부 시공면을 타설하는 과정에서 생성되고,
상기 연결강재는 수직으로 평행 배치되는 두 플랜지부 및, 이 두 플랜지부의 내측면 중앙을 연결하는 웹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거더와 상기 연결강재 사이에 구비되되, 그 하면이 상기 플랜지부 및 웹부의 단부와 접하는 인서트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서트 플레이트는 연결강재의 종단구배에 상응하는 경사를 갖고,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거더와 상기 연결홈의 저면 사이에 구비되되, 그 상면이 상기 플랜지부 및 웹부의 단부와 접하는 탄성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패드는 외면에 구비되는 방수층을 포함하되,
상기 방수층은 실리카 충전제와 물이 혼합된 혼합재를 포함하고, 실리카 충전제 100중량부에 대해, 포졸란(Pozzolan) 2 ~ 3 중량부, 왁스 또는 파라핀 3 ~ 4 중량부, 스티렌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1 ~ 2 중량부, 아민계 경화제 2.5 ~ 3.5 중량부, 비정질 폴리올레핀(APO: Amorphous Polyolefin) 1.5 ~ 3 중량부, 철 슬래그 0.5 ~ 0.7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더 합성형 라멘교.
A support structure comprising alternating or piercing;
A girder installed on the supporting structure in a throttling direction; And
A connecting groov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structure; and a connecting steel member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girder and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groove, wherein the connecting member joins the supporting structure and the girder;
/ RTI >
The connection groove is formed in the process of pou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structure,
Wherein the connecting steel material includes two flange portions arranged in parallel vertically and a web portion connecting the centers of inner sides of the two flange portions,
Wherein the engaging means further comprises an insert plate provided between the girder and the connecting steel, the lower surface of the insert plate contacting the end of the flange portion and the web portion,
Said insert plate having an inclination corresponding to a longitudinal gradient of the connecting steel,
Wherein the coupling means further comprises an elastic pad provided between the girder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necting groove, the upper surface of the elastic pad contacting the end of the flange portion and the web portion,
Wherein the elastic pad comprises a waterproof layer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Wherein the waterproof layer comprises a mixture of a silica filler and water mixed with 2 to 3 parts by weight of pozzolan, 3 to 4 parts by weight of wax or paraffin, 1 to 2 parts by weight of styrene thermoplastic elastomer 2.5 to 3.5 parts by weight of an amine-based curing agent, 1.5 to 3 parts by weight of an amorphous polyolefin (APO) and 0.5 to 0.7 parts by weight of an iron slag.
상기 연결강재는 다수 구비되고,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각 연결강재의 웹부에 형성된 연결공 및, 이 연결공들을 모두 관통하여 삽입됨으로써 상기 연결강재들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더 합성형 라멘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lurality of connecting steel members are provided,
Wherein the coupling means further comprises a connecting hole formed in the web portion of each connecting steel member and a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connecting steel members by being inserted through the connecting holes.
상기 연결강재는 다수 구비되고,
상기 인서트 플레이트는 다수의 연결강재들 모두에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더 합성형 라멘교.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lurality of connecting steel members are provided,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ert plate is joined to all of the plurality of connecting steel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02241A KR101861968B1 (en) | 2017-08-11 | 2017-08-11 | Rigid-frame bridg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02241A KR101861968B1 (en) | 2017-08-11 | 2017-08-11 | Rigid-frame bridg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61968B1 true KR101861968B1 (en) | 2018-05-28 |
Family
ID=62451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02241A KR101861968B1 (en) | 2017-08-11 | 2017-08-11 | Rigid-frame bridg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61968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00927B1 (en) * | 2020-03-11 | 2021-01-12 | (주)주성이앤씨 | connection structure of composite rahmen bridge using steel brackets for fall prevention and composite rahmen bridge method using the same |
KR102379586B1 (en) * | 2021-06-04 | 2022-03-29 | 주식회사 진화기술공사 | Double web girde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78876B1 (en) * | 2011-09-08 | 2012-09-03 | (주)지아이건설 | Prestressed composit rahmen bridge construdtion method |
KR101586320B1 (en) * | 2015-09-10 | 2016-01-18 | 오종훈 | Psc girder rahmen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KR101637330B1 (en) * | 2016-02-05 | 2016-07-07 | 강경훈 | Correctible girder structure for rahmen bridge and the constructurion method using the same |
KR101695413B1 (en) * | 2016-02-05 | 2017-01-11 | 주식회사 아라엔텍 | Rahmen bridge using the socket member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2017
- 2017-08-11 KR KR1020170102241A patent/KR101861968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78876B1 (en) * | 2011-09-08 | 2012-09-03 | (주)지아이건설 | Prestressed composit rahmen bridge construdtion method |
KR101586320B1 (en) * | 2015-09-10 | 2016-01-18 | 오종훈 | Psc girder rahmen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KR101637330B1 (en) * | 2016-02-05 | 2016-07-07 | 강경훈 | Correctible girder structure for rahmen bridge and the constructurion method using the same |
KR101695413B1 (en) * | 2016-02-05 | 2017-01-11 | 주식회사 아라엔텍 | Rahmen bridge using the socket member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00927B1 (en) * | 2020-03-11 | 2021-01-12 | (주)주성이앤씨 | connection structure of composite rahmen bridge using steel brackets for fall prevention and composite rahmen bridge method using the same |
KR102379586B1 (en) * | 2021-06-04 | 2022-03-29 | 주식회사 진화기술공사 | Double web girde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201172796Y (en) | Steel box girder bridge deck structure with upper longitudinal ribs | |
US9988775B1 (en) | Concrete i-beam for bridge construction | |
EP0170631A2 (en) | Components for railway lines on pre-fabricated reinforced concrete slabs without ballast | |
CN108755405B (en) | Assembly type steel plate bridge deck continuous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 |
RO201400006U2 (en) | Ballastless track system | |
CN105019365A (en) | Structure for rapidly restoring hinge joint of hollow slab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CN211368352U (en) | Connecting structure for assembly type pier and bearing platform anchoring steel bar sleeving and inserting post-pouring RPC | |
KR101107826B1 (en) | Slab-type box girder made by precast concrete and method constructing the bridge therewith | |
KR101861968B1 (en) | Rigid-frame bridge | |
KR101778210B1 (en) | Expansion joint construction method using elastic polymer concrete joint | |
WO2024139905A1 (en) | Low-poisson's-ratio elastomer, seamless expansion device, and construction process | |
KR20030048849A (en) | System composed of asymmetric steel section with web opening and concrete | |
KR100704055B1 (en) | continuous steel bridge having precast concrete slab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CN111455735A (en) | Track unit for bridge and track structure | |
CN110725195A (en) | Connecting method for assembly type pier and bearing platform anchoring steel bar sleeve-insertion post-cast RPC and application thereof | |
CN210636309U (en) | Novel concrete bridge deck continuous structure applied to beam bridge | |
US20220412069A1 (en) | Pre-Fabricated Link Slab - Ultra High Performance Concrete | |
KR200403801Y1 (en) | Complex expansion joint system | |
EP1972719B1 (en) | Arrangement with a precast structural concrete slab and process for installing the same | |
KR101862523B1 (en) | Gird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CN109183633A (en) | A kind of existing freely-supported hollow slab bridge structure serialization construction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CA2932655A1 (en) | Precast concrete beam | |
JP2001164504A (en) | Repair execution method of joint section for viaduct | |
JP2007077746A (en) | Reinforcing structure and reinforcing construction method of steel floor slab | |
JP7398611B2 (en) | Precast board connection structure and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