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0945B1 - 배전계통운용과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배전계통운용과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0945B1
KR101860945B1 KR1020170073305A KR20170073305A KR101860945B1 KR 101860945 B1 KR101860945 B1 KR 101860945B1 KR 1020170073305 A KR1020170073305 A KR 1020170073305A KR 20170073305 A KR20170073305 A KR 20170073305A KR 101860945 B1 KR101860945 B1 KR 1018609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outer flange
end outer
free en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3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삼
Original Assignee
(주)한빛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빛기술단 filed Critical (주)한빛기술단
Priority to KR1020170073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09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0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09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02Suspension insulators; Strain insulators
    • H01B17/06Fastening of insulator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계통운용과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개폐 가능한 절연커버를 구비하여 현수애자와 접속구를 눈비 및 일광(日光)으로부터 보호하여 누전, 감전, 합선 사고의 발생 가능성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절연커버를 개폐 가능하게 하여 현수애자와 접속구의 보수유지를 위한 점검이 가능하며, 절연커버를 개폐하는 개폐수단이 우수 또는 눈, 그리고 바람에 의하여 기능고장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여 배전계통을 보다 효과적으로 운용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컨트롤박스를 안정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배전계통운용과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배전계통운용과 관리시스템{System for operating and managing power distribution system}
본 발명은 배전 기술 분야 중 배전계통운용과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개폐 가능한 절연커버를 구비하여 현수애자와 접속구를 눈비 및 일광(日光)으로부터 보호하여 누전, 감전, 합선 사고의 발생 가능성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절연커버를 개폐 가능하게 하여 현수애자와 접속구의 보수유지를 위한 점검이 가능하며, 절연커버를 개폐하는 개폐수단이 우수 또는 눈, 그리고 바람에 의하여 기능고장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여 배전계통을 보다 효과적으로 운용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컨트롤박스를 안정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배전계통운용과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발전소에서 발전된 전기는 1차 변전소에서 송전에 적합한 초고압(154 kV 내지 745 kV, 기술 발달에 의하여 전압이 높아질 수 있음은 매우 당연하다.)으로 승압하여 송전계통을 통해 송전하고, 다시 2차 변전소에서 특고압(22.9 kV)로 강압하여 수용가의 주변까지 송전한 후 전주에 설치된 주상변압기에 의하여 수용가에서 사용할 수 있는 상용전압(230kV 또는 380kV)으로 강압하여 전주에 가설된 가공배전계통을 통해 배전하게 된다.
초고압 송전계통은 인적이 드문 산야에 설치되는 송전탑에 지지되는 가공송전선을 통해 송전하고, 특고압 송전계통은 전주에 지지되는 가공송전선 또는 지중에 설치되는 지중송전선을 통해 송전하며, 배전계통은 전주에 지지되는 가공배전선 또는 지중에 설치되는 지중배전선을 통해 배전된다.
이러한 송배전계통에서 초고압 송전계통은 인적이 드문 산야 지역에 설치하므로 직접적인 감전사고가 자주 발생하지는 않는 반면, 특고압 송전계통과 상용배전계통에서는 수용가와 인접한 지역에 설치되는 관계로 감전사고가 자주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일부 개선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613549호(2016.04.19.)에는 '배전계통운용 및 관리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배전계통운용 및 관리시스템은 우수 등으로부터 컨트롤박스를 안정적으로 보호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613549호(2016.04.19.) '배전계통운용 및 관리시스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개폐 가능한 절연커버를 구비하여 현수애자와 접속구를 눈비 및 일광(日光)으로부터 보호하여 누전, 감전, 합선 사고의 발생 가능성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절연커버를 개폐 가능하게 하여 현수애자와 접속구의 보수유지를 위한 점검이 가능하며, 절연커버를 개폐하는 개폐수단이 우수 또는 눈, 그리고 바람에 의하여 기능고장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여 배전계통을 보다 효과적으로 운용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컨트롤박스를 안정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배전계통운용과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주(10)의 양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완철(20)과 상기 한 쌍의 완철(20)에 고정되는 현수애자(30)와 접속구(40)를 이용하여 배전선(50)을 지지하는 배전계통에 적용되는 것으로, 상기 현수애자(30)와 접속구(40)를 보호하는 절연커버(100); 상기 절연커버(100)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절연커버 지지수단(200); 상기 절연커버(100)를 개폐하는 개폐수단(300); 및 상기 개폐수단(300)을 제어하는 제어수단(400)을 포함하며, 상기 절연커버(100)는 주름관 형태로 형성된 원통부(110)와, 상기 원통부(110)의 고정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완철(20)에 고정되는 고정단 내측 플랜지(121)와 고정단 외측 플랜지(122)와, 상기 원통부(110)의 자유단부에 형성되는 자유단 내측 플랜지(131)와 자유단 외측 플랜지(13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원통부(110)와 고정단 내측 플랜지(121)와 고정단 외측 플랜지(122), 자유단 내측 플랜지(131)와 자유단 외측 플랜지(132)는 신축성 및 가요성이 우수하며 전기절연성을 가지는 고무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단 내측 플랜지(121), 고정단외측 플랜지(122), 자유단 내측 플랜지(131) 및 자유단 외측 플랜지(132)에는 보강철판(123, 133)이 매설되고, 상기 절연커버 지지수단(200)은 상기 완철(20)의 상면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바깥쪽을 향해 수평으로 연장되는 지지대(210)와, 상기 지지대(210)의 하면에 좌우방향으로 설치되는 안내봉(220)과, 상기 고정단 외측 플랜지(122)와 자유단 외측 플랜지(132)에 형성되어 상기 안내봉(220)이 관통되는 안내공(23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개폐수단(300)은 상기 한 쌍의 완철(20) 사이에 설치되는 모터케이싱(310)과, 상기 모터케이싱(310)의 내부에 장착되며 내주면 좌반부에는 오른나선 암나사부(322)가 형성되고 내주면 우반부에는 왼나선 암나사부(323)가 형성된 중공형 모터축(321)을 가지는 구동모터(320)와, 상기 오른나선 암나사부(322)에 맞물리는 오른나선 수나사부(331)를 가지며 좌측 절연커버(100)의 고정단 외측 플랜지(122)에 형성된 구동봉 관통공(124)을 관통하여 자유단 외측 플랜지(123)에 고정되는 좌측 구동봉(330)과, 상기 왼나선 암나사부(323)에 맞물리는 왼나선 수나사부(341)를 가지며 우측 절연커버(100)의 고정단 외측 플랜지(122)에 형성된 구동봉 관통공(124)을 관통하여 자유단 외측 플랜지(123)에 고정되는 우측 구동봉(34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모터케이싱(310)은 상면이 개방된 케이싱몸체(311)와 상기 케이싱몸체(311)의 상부에 복개되는 케이싱덮개(312)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대(210)의 일단부와 상기 완철(20)과 케이싱몸체(311) 및 케이싱덮개(312)를 상하로 관통하는 볼트(B1)와 상기 볼트(B1)의 관통돌출단에 너트(N1)를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지지대(210)는 완철(20)의 상면에 고정되고, 상기 모터케이싱(310)은 완철(20)의 하면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제어수단(400)은 상기 구동모터(320)의 전진모드 또는 후퇴모드가 입력되는 입력부(410)와, 상기 입력부(410)의 입력신호에 따라 전진모드작동명령 또는 후퇴모드작동명령을 출력하는 제어부(420) 및 상기 제어부(420)의 작동명령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320)에 전진모드구동신호 또는 후퇴모드구동신호를 송출하는 모터구동부(4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수단(400)을 구성하는 입력부(410)와 제어부(420) 및 모터구동부(430)는 하나의 회로기판에 실장하여 제어모듈(440)로 구성하여 상기 전주(10)에 고정되는 컨트롤박스(450) 내에 설치되며, 상기 컨트롤박스(450) 내에는 상기 제어모듈(44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충전배터리(460)가 내장되고, 상기 컨트롤박스(450)는 일면이 개방된 박스본체(451)와 상기 박스본체(451)의 개방부를 개폐하는 도어(452)로 구성되며, 상기 컨트롤박스(450)는 볼트/너트(BN)에 의하여 조여지는 한 쌍의 밴드(471, 472)와, 일측 밴드(471)와 박스본체(451)를 관통하는 볼트(B3)와 박스본체(451)의 내측에서 볼트(B3)에 체결되는 너트(N3)를 이용하여 전주(10)에 고정되는 배전계통운용과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박스(450)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부(5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보호부(500)는, 상기 컨트롤박스(450)와 상기 일측 밴드(471) 사이에 위치되면서 상기 볼트(B3)와 상기 너트(N3)에 의해 상기 컨트롤박스(450)에 고정되는 한편, 상기 전주(10)에 고정되는 보호판(510); 상기 컨트롤박스(45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보호판(510)에 연결되는 차단판(520); 상기 차단판(520)의 양측에 절첩부재(531)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면서 회동에 따라 상기 보호판(510)의 양측 방향으로 연장되며 펼침되거나, 상기 보호판(510)의 상부로 접힘되는 한 쌍의 확장판(530); 및 펼침된 상태의 상기 확장판(530)을 잠금하는 잠금수단(540)을 포함하며, 상기 잠금수단(540)은, 양단부가 상기 보호판(510)의 양측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보호판(510)의 상부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가이드레일(541); 및 상기 가이드레일(541)에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가이드바(542)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확장판(530)은, 각각 상부에 상기 가이드바(542)가 인입되는 잠금링(532)이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바(542)는, 상기 확장판(530)이 펼침된 상태에서 이동에 따라 상기 확장판(530) 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잠금링(532)으로 인입되면서 상기 확장판(530)의 회동이 잠금되도록 하거나, 상기 잠금링(532)으로부터 인출되면서 상기 확장판(530)이 접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계통운용과 관리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첫째, 현수애자와 접속구는 절연성이 우수한 고무재질의 절연커버에 의하여 포위되어 눈, 비 및 일광으로부터 보호되므로 누전, 감전, 합선 사고의 발생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절연커버를 개폐수단에 의하여 개방하여 현수애자와 접속구가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현장작업자가 현수애자와 접속구를 점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절연커버를 개폐하는 구동모터가 모터케이싱 내에 장착되므로 우수 또는 눈, 그리고 바람에 의하여 기능고장을 일으키지 않게됨으로써 배전계통을 보다 효과적으로 운용 및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컨트롤박스를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음으로써 우수 등에 의한 고장은 물론, 누전 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계통운용과 관리시스템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계통운용과 관리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계통운용과 관리시스템을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계통운용과 관리시스템에서 제어수단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계통운용과 관리시스템에서 보호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도5에서 보호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도 5에서 보호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후술되는 선등록특허 제1613549호를 그대로 이용하므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상의 특징들은 모두 등록특허 제1613549호에 기재된 사항들로 이해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 등록특허 제1613549호에 개시된 구성들 중 컨트롤박스를 보호하기 위한 구조 및 그 작용설명이 더 포함되며 이 부분이 가장 핵심적인 구성상 특징을 이룬다.
따라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과 특징 및 작동관계는 상기 등록특허 제1613549호의 내용을 그대로 인용하기로 하며, 후단부에서 본 발명의 주된 특징과 관련된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전계통운용과 관리시스템은 전주(10)의 좌우 양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완철(20)과 상기 한 쌍의 완철(20)에 고정되는 현수애자(30)와 접속구(40)를 이용하여 배전선(50)을 지지하는 배전계통에 적용되는 것으로, 상기 현수애자(30)와 접속구(40)를 보호하는 절연커버(100)와, 상기 절연커버(100)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절연커버 지지수단(200)과, 상기 절연커버(100)를 개폐하는 개폐수단(300) 및 상기 개폐수단(300)을 제어하는 제어수단(400)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한 쌍의 완철(20)은 완철밴드(21)와 조임볼트너트(22)를 사용하는 통상적인 방법에 의하여 전주(10)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현수애자(30)는 숫나사부(32)를 가지는 연결봉(31)과, 상기 수나사부(31)에 체결되는 한 쌍의 너트(33)에 의하여 완철(20)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절연커버(100)는 주름관 형태로 형성된 원통부(110)와, 상기 원통부(110)의 고정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완철(20)에 고정되는 고정단 내측 플랜지(121)와 고정단 외측 플랜지(122)와, 상기 원통부(110)의 자유단부에 형성되는 자유단 내측 플랜지(131)와 자유단 외측 플랜지(1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원통부(110)와 고정단 내측 플랜지(121)와 고정단 외측 플랜지(122), 자유단 내측 플랜지(131)와 자유단 외측 플랜지(132)는 신축성 및 가요성이 우수하며 전기절연성을 가지는 고무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단 내측 플랜지(121), 고정단외측 플랜지(122), 자유단 내측 플랜지(131) 및 자유단 외측 플랜지(132)에는 보강철판(123, 133)이 매설된다.
상기 보강철판(123, 133)은 원통부(110), 고정단 내측 플랜지(121), 고정단 외측 플랜지(122), 자유단 내측 플랜지(131) 및 자유단 외측 플랜지(132)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인서트(Insert)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절연커버 지지수단(200)은 상기 완철(20)의 상면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바깥쪽을 향해 수평으로 연장되는 지지대(210)와, 상기 지지대(210)의 하면에 좌우방향으로 설치되는 안내봉(220)과, 상기 고정단 외측 플랜지(122)와 자유단 외측 플랜지(132)에 형성되어 상기 안내봉(220)이 관통되는 안내공(2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210)는 일단부와 상기 완철(20)을 상하로 관통하는 볼트(B1)와 상기 볼트(B1)의 관통돌출단에 체결되는 너트(N1)에 의하여 완철(20)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안내봉(220)은 상기 지지대(210)의 하면 양단에 고정된 지지편(221)에 의하여 상기 지지대(210)에 고정지지된다.
상기 안내공(230)은 고무재질의 고정단 외측 플랜지(122)와 자유단 외측 플랜지(132)와 함께 보강철판(123, 133)에도 관통 형성된다.
상기 개폐수단(300)은 상기 한 쌍의 완철(20) 사이에 설치되는 모터케이싱(310)과, 상기 모터케이싱(310)의 내부에 장착되며 내주면 좌반부에는 오른나선 암나사부(322)가 형성되고 내주면 우반부에는 왼나선 암나사부(323)가 형성된 중공형 모터축(321)을 가지는 구동모터(320)와, 상기 오른나선 암나사부(322)에 맞물리는 오른나선 수나사부(331)를 가지며 좌측 절연커버(100)의 고정단 외측 플랜지(122)에 형성된 구동봉 관통공(124)을 관통하여 자유단 외측 플랜지(123)에 고정되는 좌측 구동봉(330)과, 상기 왼나선 암나사부(323)에 맞물리는 왼나선 수나사부(341)를 가지며 우측 절연커버(100)의 고정단 외측 플랜지(122)에 형성된 구동봉 관통공(124)을 관통하여 자유단 외측 플랜지(123)에 고정되는 우측 구동봉(3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모터케이싱(310)은 상면이 개방된 케이싱몸체(311)와 상기 케이싱몸체(311)의 상부에 복개되는 케이싱덮개(312)로 구성되며, 상기 케이싱몸체(311)와 케이싱덮개(312)의 양단을 상기 완철(20)의 하면에 고정한다.
상기 케이싱몸체(311)와 케이싱덮개(312)를 완철(20)의 하면에 고정함에 있어서는 상기 지지대(210)를 완철(20)에 고정하기 위한 볼트(B1)를 케이싱몸체(311)와 케이싱덮개(312)의 양단부에까지 관통시킨 다음 볼트(B1)의 관통돌출단에 너트(N1)를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좌측 구동봉(330)을 좌측 절연커버(100)의 자유단 외측 플랜지(132)에 고정함에 있어서는 좌측 구동봉(330)의 선단부에 형성된 체결나사부(332)를 자유단 외측 플랜지(132)에 형성된 구동봉 결합공(134)에 관통시키고 자유단 외측 플랜지(132)의 내외측에서 너트(N2)를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고정할 수 있으며, 상기 우측 구동봉(340)을 우측 절연커버(100)의 자유단 외측 플랜지(132)에 고정함에 있어서는 우측 구동봉(340)의 선단부에 형성된 체결나사부(342)를 자유단 외측 플랜지(132)에 형성된 구동봉 결합공(134)에 관통시키고 자유단 외측 플랜지(132)의 내외측에서 너트(N2)를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수단(400)은 상기 구동모터(320)의 전진모드 또는 후퇴모드가 입력되는 입력부(410)와, 상기 입력부(410)의 입력신호에 따라 전진모드작동명령 또는 후퇴모드작동명령을 출력하는 제어부(420) 및 상기 제어부(420)의 작동명령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320)에 전진모드구동신호 또는 후퇴모드구동신호를 송출하는 모터구동부(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수단(400)을 구성하는 입력부(410)와 제어부(420) 및 모터구동부(430)는 하나의 회로기판에 실장하여 제어모듈(440)로 구성하여 상기 전주(10)에 고정되는 컨트롤박스(450) 내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박스(450) 내에는 상기 제어모듈(44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충전배터리(460)가 내장된다. 상기 충전배터리(460)를 충전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모듈(440)에는 배전선(50)에 흐르는 상용전류를 입력받아 충전배터리(460)를 충전시킬 수 있는 충전전류를 출력하는 충전회로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박스(450)는 일면이 개방된 박스본체(451)와 상기 박스본체(451)의 개방부를 개폐하는 도어(452)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도어(452)는 박스본체(451)의 일측에 경첩(미도시)에 의하여 개폐 가능하게 결합하고, 타측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통상적인 잠금장치(미도시)를 설치하여 잠글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박스(450)를 전주(10)에 고정함에 있어서는 통상적으로 완철을 전주에 고정하기 위한 완철밴드 형태의 고정구를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다.
도시예에서는 볼트/너트(BN)에 의하여 조여지는 한 쌍의 밴드(471, 472)와, 일측 밴드(471)와 박스본체(451)를 관통하는 볼트(B3)와 박스본체(451)의 내측에서 볼트(B3)에 체결되는 너트(N3)를 이용한 방식을 예시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배전계통운용과 관리시스템에 의한 절연커버(100)의 개폐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평상시, 입력부(410)에는 전진모드가 입력되며, 이에 따라 제어부(420)는 전진모드작동명령을 출력하게 되고, 모터구동부(430)는 제어부(420)의 출력명령에 따라 구동모터(320)에 전진모드구동신호를 송출하게 된다.
이에 따라 구동모터(320)가 전진모드로 구동되며 중공형 모터축(321)은 전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중공형 모터축(321)의 내주면 좌반부에 형성된 오른나선 암나사부(322)와 좌측 구동봉(330)의 오른나선 수나사부(331)의 나사작용으로 좌측 구동봉(330)이 전진방향(도면에서 좌측방향)으로 전진하게 되고, 중공형 모터축(321)의 내주면 우반부에 형성된 왼나선 암나사부(323)와 우측 구동봉(340)의 왼나선 수나사부(341)의 나사작용으로 우측 구동봉(340)이 전진방향(도면에서 우측방향)으로 전진하게 된다.
이때, 좌측 구동봉(330)의 선단부(좌측단부)는 좌측 절연커버(100)의 자유단 외측 플랜지(132)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좌측 절연커버(100)의 자유단부가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좌측 절연커버(100)의 주름관 형태의 원통부(110)가 펼쳐져서 현수애자(30)와 접속구(40)를 포위하여 보호하게 되며, 우측 구동봉(340)의 선단부(우측단부)는 우측 절연커버(100)의 자유단 외측 플랜지(132)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우측 절연커버(100)의 자유단부가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우측 절연커버(100)의 주름관 형태의 원통부(110)가 펼쳐져서 현수애자(30)와 접속구(40)를 포위하여 보호하게 된다(도 3의 실선표시 참조).
따라서 현수애자(30)와 접속구(40)는 절연성이 우수한 고무재질의 절연커버(100)에 의하여 포위되어 눈비 및 일광(日光)으로부터 보호되므로 누전, 감전, 합선 사고의 발생 가능성이 최소화된다.
상술한 좌우측 절연커버(100)의 자유단부가 각각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절연커버(100)의 자유단부 외측 플랜지(132)는 안내봉(220)과 안내공(230)에 의하여 직선방향으로 안내되므로 절연커버(100)의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반대로, 입력부(410)에 후퇴모드가 입력되면, 제어부(420)는 후퇴모드작동명령을 출력하게 되고, 이에 따라 모터구동부(430)가 구동모터(320)에 후퇴모드구동신호를 송출하게 된다.
이에 따라 구동모터(320)가 후퇴모드로 구동되며 중공형 모터축(321)은 후퇴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술한 전진모드 시와는 반대방향 작동에 의하여 좌측 절연커버(100)의 자유단부는 후퇴방향(도면에서 우측방향)으로 이동되고, 우측 절연커버(100)의 자유단부는 후퇴방향(도면에서 좌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절연커버(100)에 의해 포위되어 있던 현수애자(30)와 접속부(40)가 노출된다(도 3의 가상선 표시 참조).
이러한 후퇴모드는 현장작업자가 현수애자(30)와 접속부(40)를 점검하는 경우에 필요한 것으로, 현장작업자가
컨트롤박스(450) 내의 제어모듈(440)에 구비된 입력부(410)를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절연커버를 하는 것에 의하여 현수애자(30)와 접속구(40))의 보수유지를 위한 점검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절연커버(100)를 개폐하는 개폐수단(300)을 구성하는 구동모터(320)가 모터케이싱(310) 내에 장착되므로 우수 또는 눈, 그리고 바람에 의하여 기능고장을 일으키지 않게 되어 배전계통을 보다 효과적으로 운용 및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구성을 그대로 포함하면서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박스(450)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부(500)의 구성이 추가로 구현된다.
보호부(500)는 우수 등으로부터 컨트롤박스(450)를 보호하여 박스본체(451)와 도어(452) 간으로 우수 등이 유입되면서 발생될 수 있는 고장은 물론, 누전 사고 등을 방지한다.
또한, 보호부(500)는 햇빛 등으로부터 컨트롤박스(450)를 보호하여 변형과 함께 컨트롤박스(450)의 내부온도 상승으로 인한 작동오류 등을 방지한다.
보호부(500)는 컨트롤박스(450)와 일측 밴드(471) 사이에 위치되면서 볼트(B3)와 너트(N3)에 의해 컨트롤박스(450)에 고정되는 한편, 전주(10)에 고정되는 보호판(510), 컨트롤박스(45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보호판(510)에 연결되는 차단판(520), 차단판(520)의 양측에 절첩부재(531)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면서 회동에 따라 보호판(510)의 양측 방향으로 연장되며 펼침되거나, 보호판(510)의 상부로 접힘되는 한 쌍의 확장판(530) 및 펼침된 상태의 확장판(530)을 잠금하는 잠금수단(540)을 포함한다.
보호판(510)은 일측 밴드(471)에 연결되면서 한 쌍의 밴드(471,472)의 결속에 의해 전주(10)에 고정되며, 보다 안정적인 고정을 위하여 상,하부 중 적어도 한 곳에 다른 한 쌍의 밴드(미도시)가 연결되면서 전주(10)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다른 한 쌍의 밴드는 한 쌍의 밴드(471,472)와 동일한 형태로 이해될 수 있다.
보호판(510)은 컨트롤벅스(450)의 후면과 같이 사각 형태를 이루며, 컨트롤박스(450)와 접하는 전면에 압착부재(511)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착부재(511)는 실리콘이나, 고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보호판(510)과 컨트롤박스(450) 간에 압착되면서 보호판(510)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한편, 보호판(510)과 컨트롤박스(450) 간으로 우수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보호판(510)은 둘레가 컨트롤벅스(450)보다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컨트롤박스(450)의 후면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단판(520)은 컨트롤박스(450)의 상부에 위치되면서 우수 등으로부터 컨트롤박스(450)를 보호한다.
차단판(520)은 후단부가 보호판(510)의 상부에 연결되고 전단부가 컨트롤박스(450)보다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되, 수평을 이루는 상태를 기준으로 후단부로부터 전단부 방향으로 하향 경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우수 등이 차단판(520)의 상부에 고이는 현상없이 원활하게 낙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보호부(500)는 보호판(510)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컨트롤박스(450)로부터 보호판(510)을 지지하는 지지바(5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바(550)는 외부로부터 차단판(520)으로 작용하는 힘에 의한 차단판(520)의 휨 현상을 방지하는 한편, 바람 등에 의한 흔들림 등을 방지한다.
지지바(550)는 하부에 완충부재(551)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완충부재(551)는 차단판(520)의 흔들림에 따른 충격이 완충될 수 있도록 하며, 실리콘이나 고무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부(500)는 보호판(510)으로부터 차단판(520)을 지지하는 복수의 브라켓(5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560)은 보호판(510)의 전면 상부 양측에 배치되면서 차단판(52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확장판(530)은 일측이 절첩부재(531)에 의해 차단판(520)의 양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면서 펼침에 따라 차단판(520)의 양측 방향으로 연장되거나, 접힘에 따라 차단판(520)의 상부에 적층된다.
즉, 확장판(530)은 기후변화나, 계절변화에 따라 펼침 또는 접힘되면서 컨트롤박스(450)를 안정적으로 보호한다.
예를 들면, 비가 많이 내리는 우기철에는 확장판(530)을 펼침하여 사용하거나, 비가 내리지 않는 건기철에는 확장판(530)을 접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차단판(520)은 하부 양측에 펼침된 상태의 확장판(530)을 지지하는 안착바(532)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차단판(520)은 펼침된 상태 이상으로의 회동이 정지되면서 안정된 펼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잠금수단(540)은 펼침된 상태의 확장판(530)이 바람 등의 외력에 의해 접힘되는 것을 방지한다.
잠금수단(540)은 양단부가 보호판(510)의 양측 방향을 향하도록 보호판(510)의 하부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가이드레일(541) 및 가이드레일(541)에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가이드바(542)를 포함한다.
한 쌍의 확장판(530)은 각각 상부에 가이드바(542)가 인입되는 잠금링(533)이 구비된다.
가이드바(542)는 상부 및 양단부가 개방되면서 가이드레일(541)의 외측으로 결합되되, 가이드레일(541)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바(542)는 상기 확장판(530)이 펼침된 상태에서 인위적인 가압에 따른 이동에 따라 확장판(530) 방향으로 이동되며 잠금링(532)으로 인입되면서 확장판(530)의 회동이 잠금되도록 하거나, 잠금링(532)으로부터 인출되면서 확장판(530)이 접이되도록 한다.
잠금수단(540)은 위치 이동된 가이드바(542)를 잠금하기 위한 잠금부재(5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잠금부재(543)는 볼트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가이드바(542)에 구비되면서 조임회전에 따라 가이드바(542)의 내측 방향으로 인입되며 가이드레일(541)을 압착하거나, 풀림회전에 따라 가이드바(542)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가이드레일(541)에 대한 압착을 해제한다.
즉, 잠금부재(543)는 조임회전에 따라 가이드레일(541)을 압착하면서 가이드바(542)를 가이드레일(541)에 결속하는 한편, 풀림회전에 따라 가이드레일(541)에 대한 압착을 해제하면서 가이드바(542)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보호부(500)는 접힘된 상태의 확장판(530)을 결속하기 위한 결속수단(5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결속수단(570)은 접힘 상태의 확장판(530)이 차단판(520)에 결속되면서 안정된 접힘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결속수단(570)은 자력에 의해 상호 결속되는 제1,2결속부재(571,572)를 포함하며, 제1결속부재(571)는 확장판(530)에 구비되고 제2결속부재(572)는 제1결속부재(571)와 대응되도록 차단판(520)의 상부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2결속부재(571,572)는 각각 자석으로 이루어지거나, 어느 하나의 결속부재는 자석으로 이루어지고 다른 하나의 결속부재는 자석에 부착되는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 인해, 보호부(500)는 우수 등으로부터 컨트롤박스(450)를 보호하여 박스본체(451)와 도어(452) 간으로 우수 등이 유입되면서 발생될 수 있는 고장과 함께 누전 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햇빛 등으로부터 컨트롤박스(450)를 보호하여 변형 및 컨트롤박스(450)의 내부온도 상승으로 인한 작동오류 등을 방지할 수 있다.
10 : 전주 20 : 완철
30 : 현수애자 40 : 접속구
50 : 배전선 100 : 절연커버
200 : 절연커버 지지수단 300 : 개폐수단
400 : 제어수단 500 : 보호부
510 : 보호판 511 : 압착부재
520 : 차단판 530 : 확장판
531 : 절첩부재 532 : 안착바
533 : 잠금링 540 : 잠금수단
541 : 가이드레일 542 : 가이드바
543 : 결속부재 550 : 지지바
551 : 완충부재 560 : 브라켓
570 : 결속수단

Claims (1)

  1. 전주(10)의 양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완철(20)과 상기 한 쌍의 완철(20)에 고정되는 현수애자(30)와 접속구(40)를 이용하여 배전선(50)을 지지하는 배전계통에 적용되는 것으로, 상기 현수애자(30)와 접속구(40)를 보호하는 절연커버(100); 상기 절연커버(100)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절연커버 지지수단(200); 상기 절연커버(100)를 개폐하는 개폐수단(300); 및 상기 개폐수단(300)을 제어하는 제어수단(400)을 포함하며,
    상기 절연커버(100)는 주름관 형태로 형성된 원통부(110)와, 상기 원통부(110)의 고정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완철(20)에 고정되는 고정단 내측 플랜지(121)와 고정단 외측 플랜지(122)와, 상기 원통부(110)의 자유단부에 형성되는 자유단 내측 플랜지(131)와 자유단 외측 플랜지(13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원통부(110)와 고정단 내측 플랜지(121)와 고정단 외측 플랜지(122), 자유단 내측 플랜지(131)와 자유단 외측 플랜지(132)는 신축성 및 가요성이 우수하며 전기절연성을 가지는 고무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단 내측 플랜지(121), 고정단외측 플랜지(122), 자유단 내측 플랜지(131) 및 자유단 외측 플랜지(132)에는 보강철판(123, 133)이 매설되고,
    상기 절연커버 지지수단(200)은 상기 완철(20)의 상면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바깥쪽을 향해 수평으로 연장되는 지지대(210)와, 상기 지지대(210)의 하면에 좌우방향으로 설치되는 안내봉(220)과, 상기 고정단 외측 플랜지(122)와 자유단 외측 플랜지(132)에 형성되어 상기 안내봉(220)이 관통되는 안내공(23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개폐수단(300)은 상기 한 쌍의 완철(20) 사이에 설치되는 모터케이싱(310)과, 상기 모터케이싱(310)의 내부에 장착되며 내주면 좌반부에는 오른나선 암나사부(322)가 형성되고 내주면 우반부에는 왼나선 암나사부(323)가 형성된 중공형 모터축(321)을 가지는 구동모터(320)와, 상기 오른나선 암나사부(322)에 맞물리는 오른나선 수나사부(331)를 가지며 좌측 절연커버(100)의 고정단 외측 플랜지(122)에 형성된 구동봉 관통공(124)을 관통하여 자유단 외측 플랜지(123)에 고정되는 좌측 구동봉(330)과, 상기 왼나선 암나사부(323)에 맞물리는 왼나선 수나사부(341)를 가지며 우측 절연커버(100)의 고정단 외측 플랜지(122)에 형성된 구동봉 관통공(124)을 관통하여 자유단 외측 플랜지(123)에 고정되는 우측 구동봉(34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모터케이싱(310)은 상면이 개방된 케이싱몸체(311)와 상기 케이싱몸체(311)의 상부에 복개되는 케이싱덮개(312)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대(210)의 일단부와 상기 완철(20)과 케이싱몸체(311) 및 케이싱덮개(312)를 상하로 관통하는 볼트(B1)와 상기 볼트(B1)의 관통돌출단에 너트(N1)를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지지대(210)는 완철(20)의 상면에 고정되고, 상기 모터케이싱(310)은 완철(20)의 하면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제어수단(400)은 상기 구동모터(320)의 전진모드 또는 후퇴모드가 입력되는 입력부(410)와, 상기 입력부(410)의 입력신호에 따라 전진모드작동명령 또는 후퇴모드작동명령을 출력하는 제어부(420) 및 상기 제어부(420)의 작동명령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320)에 전진모드구동신호 또는 후퇴모드구동신호를 송출하는 모터구동부(4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수단(400)을 구성하는 입력부(410)와 제어부(420) 및 모터구동부(430)는 하나의 회로기판에 실장하여 제어모듈(440)로 구성하여 상기 전주(10)에 고정되는 컨트롤박스(450) 내에 설치되며,
    상기 컨트롤박스(450) 내에는 상기 제어모듈(44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충전배터리(460)가 내장되고,
    상기 컨트롤박스(450)는 일면이 개방된 박스본체(451)와 상기 박스본체(451)의 개방부를 개폐하는 도어(452)로 구성되며,
    상기 컨트롤박스(450)는 볼트/너트(BN)에 의하여 조여지는 한 쌍의 밴드(471, 472)와, 일측 밴드(471)와 박스본체(451)를 관통하는 볼트(B3)와 박스본체(451)의 내측에서 볼트(B3)에 체결되는 너트(N3)를 이용하여 전주(10)에 고정되는 배전계통운용과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박스(450)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부(5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보호부(500)는,
    상기 컨트롤박스(450)와 상기 일측 밴드(471) 사이에 위치되면서 상기 볼트(B3)와 상기 너트(N3)에 의해 상기 컨트롤박스(450)에 고정되는 한편, 상기 전주(10)에 고정되는 보호판(510);
    상기 컨트롤박스(45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보호판(510)에 연결되는 차단판(520);
    상기 차단판(520)의 양측에 절첩부재(531)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면서 회동에 따라 상기 보호판(510)의 양측 방향으로 연장되며 펼침되거나, 상기 보호판(510)의 상부로 접힘되는 한 쌍의 확장판(530); 및
    펼침된 상태의 상기 확장판(530)을 잠금하는 잠금수단(540)을 포함하며,
    상기 잠금수단(540)은,
    양단부가 상기 보호판(510)의 양측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보호판(510)의 상부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가이드레일(541); 및
    상기 가이드레일(541)에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가이드바(542)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확장판(530)은,
    각각 상부에 상기 가이드바(542)가 인입되는 잠금링(532)이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바(542)는,
    상기 확장판(530)이 펼침된 상태에서 이동에 따라 상기 확장판(530) 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잠금링(532)으로 인입되면서 상기 확장판(530)의 회동이 잠금되도록 하거나, 상기 잠금링(532)으로부터 인출되면서 상기 확장판(530)이 접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계통운용과 관리시스템.
KR1020170073305A 2017-06-12 2017-06-12 배전계통운용과 관리시스템 KR1018609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3305A KR101860945B1 (ko) 2017-06-12 2017-06-12 배전계통운용과 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3305A KR101860945B1 (ko) 2017-06-12 2017-06-12 배전계통운용과 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0945B1 true KR101860945B1 (ko) 2018-05-28

Family

ID=62451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3305A KR101860945B1 (ko) 2017-06-12 2017-06-12 배전계통운용과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09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5211B1 (ko) * 2020-06-18 2020-12-01 주식회사 장흥 원거리 디지털레이더 센서를 탑재한 엘이디조명기구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702U (ja) * 1991-06-27 1993-01-22 河村電器産業株式会社 屋外用電気機器収納用箱体
KR200437149Y1 (ko) * 2007-05-11 2007-11-08 주식회사 삼광산전 가로등분전반
KR100776048B1 (ko) * 2007-05-25 2007-11-16 가아전기(주) 옥외용 배전반의 감전사고 방지장치
JP2011139619A (ja) * 2010-01-04 2011-07-14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防雨器具
KR200459285Y1 (ko) * 2010-05-11 2012-03-22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옥외 설치용 함체 및 그 옥외 설치용 함체에 사용된 함체 보호 커버
KR200473016Y1 (ko) * 2012-07-19 2014-06-10 주식회사 서흥이엔지 접지단자함
JP2014183605A (ja) * 2013-03-18 2014-09-29 Toshiba Corp 屋外形受配電設備
CN205051184U (zh) * 2015-10-29 2016-02-24 成都瑞雪精密机械有限公司 户外防雨配电箱
KR101613549B1 (ko) * 2015-09-30 2016-04-19 탑이앤지 주식회사 배전계통운용 및 관리시스템
KR20160002912U (ko) * 2015-02-12 2016-08-22 이영수 배전반 외함 조립체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702U (ja) * 1991-06-27 1993-01-22 河村電器産業株式会社 屋外用電気機器収納用箱体
KR200437149Y1 (ko) * 2007-05-11 2007-11-08 주식회사 삼광산전 가로등분전반
KR100776048B1 (ko) * 2007-05-25 2007-11-16 가아전기(주) 옥외용 배전반의 감전사고 방지장치
JP2011139619A (ja) * 2010-01-04 2011-07-14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防雨器具
KR200459285Y1 (ko) * 2010-05-11 2012-03-22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옥외 설치용 함체 및 그 옥외 설치용 함체에 사용된 함체 보호 커버
KR200473016Y1 (ko) * 2012-07-19 2014-06-10 주식회사 서흥이엔지 접지단자함
JP2014183605A (ja) * 2013-03-18 2014-09-29 Toshiba Corp 屋外形受配電設備
KR20160002912U (ko) * 2015-02-12 2016-08-22 이영수 배전반 외함 조립체
KR101613549B1 (ko) * 2015-09-30 2016-04-19 탑이앤지 주식회사 배전계통운용 및 관리시스템
CN205051184U (zh) * 2015-10-29 2016-02-24 成都瑞雪精密机械有限公司 户外防雨配电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5211B1 (ko) * 2020-06-18 2020-12-01 주식회사 장흥 원거리 디지털레이더 센서를 탑재한 엘이디조명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3549B1 (ko) 배전계통운용 및 관리시스템
KR101422743B1 (ko) 송전선로의 케이블 지지대
KR101835841B1 (ko) 배전용 케이블 단락 보강장치
CN105375376B (zh) 组合式变电站用电开关柜
KR101860945B1 (ko) 배전계통운용과 관리시스템
CN210517760U (zh) 一种高压电力电缆中间连接装置
CN107508237B (zh) 上合式地线融冰自动接线装置
US9118139B1 (en) Flip lid interlock
KR100991120B1 (ko) 배전선로의 분기 슬리브
CN108643698A (zh) 一种可弯曲的组合式电力围栏
CN216121521U (zh) 一种电力供配电用高效散热箱式变电站
KR100610156B1 (ko) 서지 보호기 내장형 세대 분전반
AU2012381803B2 (en) By-pass system for overhead power lines
CN206148822U (zh) 便携式集中电源转接箱
KR102292207B1 (ko) 지중 매설용 고압선 지지대
CN108074761B (zh) 一种防雨型隔离开关保护装置
KR100905126B1 (ko) 지중 매설 고압선 지지대
CN204375988U (zh) 一种验电接地留余位置保护装置
CN219875070U (zh) 一种330kV变压器中性点接地结构
CN208820315U (zh) 一种便于移动的变电站一体化应急装置
CN212822386U (zh) 一种光伏微电网抢修用定位装置
CN216929325U (zh) 一种变电站连接件
CN211126982U (zh) 一种电力工程用电缆分支箱
CN212063207U (zh) 一种便于内部线路整理归纳的建筑电气控制箱
CN207513333U (zh) 一种供电户外防锈锁具保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