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0814B1 - 전기 찜질기 - Google Patents

전기 찜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0814B1
KR101860814B1 KR1020180021995A KR20180021995A KR101860814B1 KR 101860814 B1 KR101860814 B1 KR 101860814B1 KR 1020180021995 A KR1020180021995 A KR 1020180021995A KR 20180021995 A KR20180021995 A KR 20180021995A KR 101860814 B1 KR101860814 B1 KR 101860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cket
heat
pockets
cover
sheet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1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일
전인숙
Original Assignee
성진에이블 주식회사
전인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진에이블 주식회사, 전인숙 filed Critical 성진에이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1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08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0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081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07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characterised by electric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8Warming pads, pans or mats; Hot-water bott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86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with a thermost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95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with a temperature indicator
    • A61F2007/0096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with a temperature indicator with a thermome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2007/0268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having a plurality of compartments being filled with a heat carri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찜질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장된 전열패드에 기술적 특징이 있는 찜질기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전열패드는 상·하 적층 배치된 3개의 부직포 시트를 포함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 시트를 적정 패턴으로 봉제하여 형성된 포켓부를 포함하며; 상기 포켓부는 아래 2 시트를 이용하여 형성된 축열재료가 충진된 다수의 밀폐형 제1포켓과, 상측 시트를 이용하여 인접한 제1포켓 사이에 형성되며 열선이 지그재그 형태로 연속 통과하는 양단 개방형 제2포켓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2포켓은 열선에 대응하여 제1포켓에 비하여 폭이 좁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부직포 시트 사이에는 열선의 균일 처리를 위한 가이드 밴드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 찜질기 제품의 안정성과 내구성,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기 찜질기 {Electric hot pack}
본 발명은 전기 찜질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정용으로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전열식 전기 찜질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가정에서 치료용 또는 방한용으로 흔히 사용되고 있는 전기 찜질기를 나타낸 것이다. 이 전기 찜질기는 통상적으로 전열패드를 내장하여 피복 형성된 핫-팩부(1)과 상기 전열패드에 연결되어 발열용 전원을 공급하고 작동, 온도, 시간 등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제어부(2)로 이루어지며, 물론 상기 전열 패드 내부에는 온도센서, 바이메탈 등이 설치되어 있다. 도 2는 상기 핫-팩부(1)의 내부에 배치되는 통상의 전열패드(3)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전열패드(3)는 부직포 시트(4a,4b,4c)를 3층으로 적층하고 적정 봉제하여 등간격으로 연속 형성된 상·하 한 쌍의 포켓(5)(6)을 구비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하측 제1포켓(5)에는 축열재료(7)가 충진되며, 상측 제2포켓(6)에는 열선(8)이 통과하여 인접한 제2포켓(6)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넓게 연장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2포켓(6)의 일부에는 열선(8)과 함께 온도센서(9)나 바이메탈 등이 삽입되게 된다.
한편, 상기 축열재료(7)로서 모래, 황토, 옥, 게르마늄 등의 재료들이 선택적으로 또는 혼합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이 전열패드(3)가 적용된 전기 찜질기가 가정에서 흔히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 전기 찜질기는 현실적으로 다음의 큰 문제점을 나타내고 있다.
첫째, 상기 열선(8)은 제2포켓(6) 내부에서 좌측이든 우측이든 어느 한 방향으로 쏠리게 되는데 이 경우에 인접한 제2포켓(6)의 열선(8)과 서로 밀접하게 되고(도면 중 A 부분 참조), 그러면 이 밀접된 부분에서 쇼트나 과열이 발생하게 된다. 그럼에도, 이에 대한 대책이 전혀 마련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둘째, 상기 열선(8)이 위와 같이 쏠리게 되면 제2포켓(6)에 열선(8)과 함께 내장된 온도센서(9) 등이 그 열선(8)과 이격되게 되고, 따라서 정확한 열선온도의 감지 및 그 제어가 불가능하게 된다.
셋째, 상기 열선(8)은 하나의 제2포켓(6)에서 인접한 제2포켓(6)으로 회전하여 지그재그 형태로 연장되는데, 여기에는 그 회전 부분을 위한 보호조치가 전혀 없고 회전 라운드가 일정하지 않으며 열선(8)이 길게 노출되거나 반대로 짧게 압박되는 등 전기적으로 불안정하고 위험한 여러 요인들이 내포되어 있으며, 이는 위의 첫째 및 둘째 문제의 원인이기도 하다.
당연하게, 이상의 문제에 따라 빈번히 발생하는 제품 하자로 인하여 전기 찜질기 제품의 안정성과 내구성, 신뢰성을 상실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찜질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배열된 열선 간 밀접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며, 열선 온도의 감지 및 그 제어가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는 전기 찜질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그재그형 열선의 라운드부를 가이드함으로써 열선을 규칙적이고 안정적으로 배열할 수 있는 전기 찜질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전기 찜질기는:
전열패드를 내장하여 피복 형성된 핫-팩부와, 상기 전열패드 내 배열된 열선에 발열용 전원을 공급하고 온도, 시간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전기 찜질기를 기반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전열패드는:
상·하 적층 배치된 2 이상의 부직포 시트를 포함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 시트를 적정 패턴으로 봉제하여 형성된 포켓부를 포함하며;
상기 포켓부는:
종-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되며 축열재료가 충진되는 다수의 밀폐형 제1포켓과, 인접한 제1포켓 사이에 종-방향으로 형성되며 열선이 지그재그 형태로 연속 통과하는 양단 개방형 제2포켓을 포함하며;
상기 제2포켓은:
상기 열선에 대응하여 제1포켓에 비하여 폭이 좁게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포켓 중 일부에는 좌·우 열선에 근접하여 온도센서 또는 바이메탈이 끼워져 삽입되는 보조 포켓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전열패드는:
상·하 적층 배치된 3개의 부직포 시트를 포함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 시트를 적정 패턴으로 봉제하여 형성된 포켓부를 포함하며;
상기 포켓부는:
아래 2개의 부직포 시트를 이용하여, 종-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되며 축열재료가 충진되는 다수의 밀폐형 제1포켓과,
상측 부직포 시트를 이용하여, 인접한 제1포켓 사이에 종-방향으로 형성되어 열선이 지그재그 형태로 연속 통과하는 양단 개방형 제2포켓을 포함하며;
한편, 상기 전열패드는:
상기 부직포 시트 사이의 가장자리에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커버에 고정되며, 횡-방향으로 일렬 형성된 관통 홀을 포함하여, 상기 제2포켓을 통과한 열선이 상기 관통 홀을 통과하면서 라운드 되어 인접한 제2포켓으로 연장되도록 하는 가이드 밴드;
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전기 찜질기에 따르면, 열선은 축열재료용 제1포켓을 사이에 두고 지그재그형으로 연장되며, 열선용 제2포켓은 열선 두께에 대응하여 폭이 좁게 형성된다. 따라서 배열된 인접 열선 간 밀접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며 또한, 상기 제1포켓의 일부에는 센서나 바이메탈 등이 비-유동적으로 장착되므로, 온도의 감지 및 제어가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 찜질기에서 상기 가이드 밴드는 가이드 홀을 이용하여 지그재그형 열선의 양측 라운드 부분을 가이드 함으로써 열선을 규칙적이고 안정적으로 배열할 수 있으며, 찜질기 사용상 안전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기 찜질기의 사시도.
도 2는 통상의 전기 찜질기에 적용된 전열패드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전기 찜질기에 적용된 일 실시예의 전열패드의 부분 절취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단면도.
도 5는 도 2에 적용된 다른 실시예의 전열패드의 부분 절취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단면도.
이상에 기재된 또는 기재되지 않은 본 발명 '전기 찜질기'(이하 '찜질기'라 함)의 특징과 작용효과들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 기재를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찜질기는,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찜질기와 같이, 소정의 전열패드를 내장하여 피복 형성된 핫-팩부(1)와, 상기 전열패드 내 배열된 열선에 발열용 전원을 공급하고 온도, 시간 등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제어부(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전기 찜질기를 기반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은 상기 찜질기의 구성 중에서 특히 전열패드에 관련되어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이 실시예에서 상기 전열패드(20)는 상·하 적층 배치된 2개의 부직포 시트(22a,22b)를 포함하는 커버(21)와, 상기 적층된 2개의 시트(22a,22b)를 적정 패턴으로 가로×세로 봉제하여 형성된 포켓부(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포켓부(23)는 종-방향(Y-Y)으로 나란히 형성되어 축열재료(24)가 충진되는 다수의 밀폐형 제1포켓(25)과, 인접한 두 제1포켓(25) 사이에 종-방향(Y-Y)으로 형성되어 열선(26)이 지그재그 형태로 연속 통과하는 양단 개방형 제2포켓(27)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축열재료(24)용 제1포켓(25)과 열선(26)용 제2포켓(27)이 평면적으로 배열되고, 상기 열선(26)은 축열재료용 제1포켓(25)을 사이에 두고 지그재그형으로 연장되며, 열선용 제2포켓(27)은 열선 두께에 대응하여 상기 제1포켓(25)에 비하여는 그 폭(w)이 상당히 좁게 형성된다. 따라서 배열된 인접 열선(26) 간 밀접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며, 제2포켓(27) 내에서 열선(26)의 불필요한 유동이 발생하지도 않으면서 축열재료(24)를 가열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평면적 포켓(25,27) 배열은 2개의 부직포 시트(22a,22b)로 구현이 가능한 점에서 종래 3개의 시트를 필요로 하는 도 2의 구조에 비해 더욱 경제적인 이익도 있다.
한편, 상기 제1포켓(25) 중 일부에는 좌·우 열선(26)에 근접하여 온도센서 (29)또는 바이메탈(30)이 끼워져 삽입되는 보조포켓(28)이 형성된다. 이로써 센서(29)나 바이메탈(30) 등이 비-유동적으로 장착되므로, 온도의 감지 및 제어가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가 있다.
상기 전열패드(20)는 열선(26)의 회전 라운드부(31) 부분을 균일하게 처리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가이드 밴드(32)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 밴드(32)는 상기 부직포 시트(22a,22b) 사이의 가장자리에 횡-방향(X-X)으로 배치되어 상기 커버(21)에 봉제 고정되는 부직포 밴드로서, 횡-방향(X-X)으로 일렬 형성된 관통 홀(33)을 포함하여, 상기 제2포켓(27)을 통과한 열선(26)이 상기 관통 홀(33)을 통과함으로써 균일한 라운드부(31)를 형성하면서 인접한 제2포켓(27)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이 가이드 밴드(32)는 가이드 홀(33)을 이용하여 지그재그형 열선(26)의 양측 라운드부(31)를 가이드 함으로써, 열선(26)이 규칙적이고 안정적으로 배열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이드 밴드(32)는 커버(21)의 상측과 하측에 대칭적으로 설치되지만, 어느 일측에만 설치되어도 좋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이 실시예에서 상기 전열패드(20)는 상·하 적층 배치된 3개의 부직포 시트(22a,22b,22c)를 포함하는 커버(21)와, 상기 적층된 시트(22a,22b,22c)를 적정 패턴으로 봉제하여 형성된 포켓부(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포켓부(23)는:
아래 2개의 부직포 시트(22a,22b)를 이용하여, 종-방향(Y-Y)으로 나란히 형성되어 축열재료(24)가 충진되는 다수의 밀폐형 제1포켓(25)과;
상측 부직포 시트(22c)를 이용하여, 인접한 제1포켓(25) 사이에 종-방향(Y-Y)으로 형성되어 열선(26)이 지그재그 형태로 연속 통과하는 양단 개방형 제2포켓(27);
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축열재료(24)용 제1포켓(25)과 열선(26)용 제2포켓(27)이 평면적으로 배열되고, 상기 열선(26)은 축열재료용 제1포켓(25)을 사이에 두고 지그재그형으로 연장되며, 열선용 제2포켓(27)은 열선(26) 두께에 대응하여 상기 제1포켓(25)에 비하여는 그 폭(w)이 상당히 좁게 형성된다. 따라서 배열된 인접 열선(26) 간 밀접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며, 열선(26)의 불필요한 유동이 발생하지도 않으면서 축열재료(24)를 가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포켓(25) 중 일부에는 좌·우 열선(26)에 근접하여 온도센서 (29)또는 바이메탈(30)이 끼워져 삽입되는 보조포켓(28)이 형성된다. 이로써 센서(29)나 바이메탈(30) 등이 비-유동적으로 장착되므로, 온도의 감지 및 제어가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가 있다. 다만, 이 실시예에서 제2포켓(27)은 상·하 한 쌍으로 구비되므로, 그 중 하나에 열선(26)이 지나게 하고 다른 하나에 센서(29)나 바이메탈(30)을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전열패드(20)는 열선(26)의 회전 라운드부(31) 부분을 균일하게 처리하는 가이드 밴드(32)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 밴드(32)는 위 2개의 시트(22b,22c) 사이의 가장자리에 횡-방향(X-X)으로 배치되어 상기 커버(21)에 봉제 고정되는 부직포 밴드로서, 횡-방향(X-X)으로 일렬 형성된 관통 홀(33)을 포함하여, 상기 제2포켓(27)을 통과한 열선(26)이 상기 관통 홀(26)을 통과하면서 라운드 되어 인접한 제2포켓(27)으로 연장되도록 한다.
이 가이드 밴드(32)는 가이드 홀(33)을 이용하여 지그재그형 열선(26)의 양측 라운드부(31)를 가이드 함으로써, 열선(26)이 규칙적이고 안정적으로 배열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이드 밴드(32)는 커버(21)의 상측과 하측에 대칭적으로 설치되지만, 어느 일측에 설치되어도 좋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가이드 밴드(32)는 도 2에 예시된 종래의 전열패드(3) 구조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데, 이때에도 가이드 홀(33)을 이용하여 지그재그형 열선(8)의 양측 라운드부를 가이드 함으로써, 열선(8)이 규칙적이고 안정적으로 배열될 수 있도록 하는데 효과적이다.
즉, 축열재료용 제1 포켓(25)과 열선용 제2 포켓(27)이 상·하로 배치된 경우에도 열선(8)은 그 양측 단부가 가이드 밴드(32)의 가이드 홀(33)에 걸려 고정되어 있으므로, 열선(8)이 이동하여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지는 것 및 그로 인하여 과열 또는 쇼트 등이 발생하는 것을 충분히 방지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물론, 이 작용효과는 이상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1 포켓(25)과 제2 포켓(27)이 평면적으로 배열된 경우에 배가된다.
11. 핫-팩부
12. 제어부
20. 전열패드
21. 커버
22a,22b,22c. 시트
23. 포켓부
24. 축열재료
25. 제1포켓
26. 열선
27. 제2포켓
28. 보조포켓
29. 센서
30. 바이메탈
31. 라운드부
32. 가이드 밴드
33. 관통 홀
w. 폭

Claims (8)

  1. 전열패드(20)를 내장하여 피복 형성된 핫-팩부(1)와, 상기 전열패드(20) 내 배열된 열선(26)에 발열용 전원을 공급하고 온도, 시간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제어부(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전기 찜질기에 있어서,
    상기 전열패드(20)는:
    상·하 적층 배치된 3개의 부직포 시트(22a,22b,22c)를 포함하는 커버(21)와, 상기 적층된 커버(21) 시트(22a,22b,22c)를 적정 패턴으로 봉제하여 형성된 포켓부(23)를 포함하며;
    상기 포켓부(23)는:
    아래 2개의 부직포 시트(22a,22b)를 이용하여, 종-방향(Y-Y)으로 나란히 형성되며 축열재료(24)가 충진되는 다수의 밀폐형 제1포켓(25);
    상측 부직포 시트(22c)를 이용하여, 인접한 제1포켓(25) 사이에 종-방향(Y-Y)으로 형성되며 열선(26)이 지그재그 형태로 연속 통과하는 양단 개방형 제2포켓(27)을 포함하며;
    상기 제2포켓(27)은:
    상기 열선(26)에 대응하여 제1포켓(25)에 비하여 폭(w)이 좁게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찜질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포켓(25) 중 일부에는 좌·우 열선(26)에 근접하여 온도센서(29) 또는 바이메탈(30)이 끼워져 삽입되는 보조포켓(2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찜질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열패드(20)는:
    상기 부직포 시트(22b,22c) 사이의 가장자리에 횡-방향(X-X)으로 배치되어 상기 커버(21)에 고정되며, 횡-방향(X-X)으로 일렬 형성된 관통 홀(33)을 포함하여, 상기 제2포켓(27)을 통과한 열선(26)이 상기 관통 홀(33)을 통과하면서 라운드 되어 인접한 제2포켓(27)으로 연장되도록 하는 가이드 밴드(32);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찜질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밴드(32)는 커버(21)의 상측과 하측에 대칭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찜질기.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포켓(27)은 상·하 한 쌍으로 구비되고, 그 중 하나에 열선(26)이 지나고 다른 하나에 센서(29)나 바이메탈(3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찜질기.
  7. 삭제
  8. 삭제
KR1020180021995A 2018-02-23 2018-02-23 전기 찜질기 Active KR1018608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1995A KR101860814B1 (ko) 2018-02-23 2018-02-23 전기 찜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1995A KR101860814B1 (ko) 2018-02-23 2018-02-23 전기 찜질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0814B1 true KR101860814B1 (ko) 2018-07-02

Family

ID=62913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1995A Active KR101860814B1 (ko) 2018-02-23 2018-02-23 전기 찜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081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5716A (ja) * 2000-09-04 2002-03-05 Taiyoo Tsusho Kk 温熱治療器
KR200361677Y1 (ko) 2004-06-12 2004-09-13 한진 찜질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5716A (ja) * 2000-09-04 2002-03-05 Taiyoo Tsusho Kk 温熱治療器
KR200361677Y1 (ko) 2004-06-12 2004-09-13 한진 찜질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04391B2 (en) Heating blankets and pads
US2715674A (en) Electrically heated mattress and sleeping pad
USRE29641E (en) Moist heating pad
US1703005A (en) Electric heating pad and fabric
JPH0339811B2 (ko)
KR101860814B1 (ko) 전기 찜질기
JP7210532B2 (ja) 金属被覆された布帛の加熱毛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RE22763E (en) Mattress for treating human body
US4778373A (en) Apparatus for continuous heated pressing of material in sheet form
USRE21474E (en) Heating pad
US4488929A (en)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a continuous composite material
US3000106A (en) Apparatus for drying paper by electrical conductivity
GB709048A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electrically-heated blankets and the like
KR20250056962A (ko) 히터 어셈블리
US1498655A (en) Heating element
US3464130A (en) Pressing apparatus
KR200195583Y1 (ko) 전기매트리스
KR200207405Y1 (ko) 안전 발열판을 위한 양면 퀼딩 구조체
KR101391827B1 (ko) 불연성 부재가 포함된 침구
JP7412756B2 (ja) 面状採暖具
KR940005420Y1 (ko) 찜질대
US2229260A (en) Moisture repelling ironing board
KR100696188B1 (ko) 직조발열체용 탄소사 건조시스템
KR100618645B1 (ko) 전자파 차단 온열 매트리스
JP2685052B2 (ja) 糸条の熱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2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22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4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5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5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5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