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4449B1 - 태양광 발전장치 - Google Patents

태양광 발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4449B1
KR101854449B1 KR1020170082745A KR20170082745A KR101854449B1 KR 101854449 B1 KR101854449 B1 KR 101854449B1 KR 1020170082745 A KR1020170082745 A KR 1020170082745A KR 20170082745 A KR20170082745 A KR 20170082745A KR 101854449 B1 KR101854449 B1 KR 1018544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holes
module
solar cell
coupl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2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준
Original Assignee
(주)한빛이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빛이노텍 filed Critical (주)한빛이노텍
Priority to KR1020170082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44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4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444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H01L31/0203
    • H01L31/042
    • H01L31/049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20Optical components
    • H02S40/22Light-reflecting or light-concentrating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40Thermal components
    • H02S40/42Cooling means
    • H02S40/425Cooling means using a gaseous or a liquid coolant, e.g. air flow ventilation, water circulat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FINORGANIC 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F1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photovoltaic cell covered by group H10F10/00, e.g. photovoltaic modul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FINORGANIC 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F1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photovoltaic cell covered by group H10F10/00, e.g. photovoltaic modules
    • H10F19/80Encapsulations or containers for 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having photovoltaic cells
    • H10F19/85Protective back shee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FINORGANIC 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F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F77/50Encapsulations or contain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2PV systems with concent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광 모듈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 중에 태양광 모듈의 내부 진공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으면서 풍압 저항을 저감시키고, 열에 의해 부품이 열화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태양광 모듈의 지지대에 착탈 가능한 측면반사판을 구비하여 태양광 모듈측에 반사광을 제공하여 태양광 발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태양광 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프레임에 끼워지며 다수의 태양전지셀이 부착된 기판과, 상기 기판의 전,후 양측에 배치되는 전,후면 커버와, 상기 후면 커버에 밀착되도록 결합되는 백시트 및 상기 전면 커버에 밀착되도록 결합되는 전면 유리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내부가 진공 상태로 유지되는 태양광 모듈을 구비하되,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 연결되어 지면에 대해 상기 태양광 모듈을 이격되게 지지하도록 바닥판을 갖는 지지대와, 상기 태양광 모듈에 전,후로 천공 형성되는 복수의 통공, 및 상기 통공의 내주면에 결합되어 내부의 진공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진공유지수단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태양광 발전장치{SOLAR POWER PLANT}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태양광 모듈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 중에 태양광 모듈의 내부 진공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으면서 풍압 저항을 저감시키고, 열에 의해 부품이 열화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태양광 모듈의 지지대에 착탈 가능한 측면반사판을 구비하여 태양광 모듈측에 반사광을 제공하여 태양광 발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태양광 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태양광 에너지는 다른 에너지원에 비하여 그 활용이 쉽고 고효율의 풍부한 에너지를 얻을 수 있다는 유용함에 기인하여 최근 태양광 에너지를 이용한 발전장치들이 개시되고 있다.
상기 태양광을 집광하는 집광판넬은 태양광으로부터 많은 광에너지를 집광하기 위해 비교적 면적이 넓은 판 형상의 판넬이 사용되고 있다.
기존 태양광 발전장치의 일 예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71508호 "태양광 발전장치"(등록일자 : 2014.003.03)에 개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복수개의 태양전지 모듈이 장착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중을 하측에서 분산 지지하는 제1지지유닛; 상기 제1지지유닛이 수직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지지유닛의 하측에 결합되는 제2지지유닛; 상기 제2지지유닛이 수평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구동모터를 구비하여 회전력을 상기 제2지지유닛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방에 구비되어 상기 태양전지 모듈의 배면을 냉각시키는 냉각 모듈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한 종래기술은 태양광이 일측면과 타측면 중 하나에만 적용되므로 태양광 집광 효율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경사진 사선 방향으로 설치되는 집광판넬은 풍압이 전달됨에 따라 풍압에 의해 변형되거나 손상될 우려가 있으며, 하절기에는 과도한 열이 집광판넬에 전달됨에 따라 부품이 열화될 우려가 있다.
기존 태양광 발전장치와 관련된 다른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1530호 "반사집속형 태양광 발전장치"(등록일자 : 2012.07.12)에 개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태양전지셀이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된 다수의 태양전지모듈이 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진 태양전지패널; 태양전지패널을 지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지지하는 지지대; 태양전지패널의 가장자리측에 위치되는 하나 이상의 패널측반사부; 및 패널측반사부에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패널측반사부에서 반사된 태양광을 상기 태양전지패널로 재반사시키는 이격반사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 경우에는 반사부를 이용하여 태양광의 반사광을 태양전지모듈측에 전달하여 태양광을 집속하는 효과가 있으나, 태양광 모듈에는 적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반사부가 고정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궤적을 따라 이동되는 태양광의 반사효율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기존 반사부가 외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먼지 등의 이물질이 달라붙게 될 경우 반사효율이 저하되고, 이를 위해 작업자가 수시로 반사부의 표면을 청소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71508호 "태양광 발전장치"(등록일자 : 2014.003.03)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1530호 "반사집속형 태양광 발전장치"(등록일자 : 2012.07.12)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단면 태양광모듈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 중에 풍압 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태양광 모듈에 복수의 통공이 천공되고 천공된 통공 내에 바람이 통과되면서 기판을 냉각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단면 태양광모듈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통공이 천공되더라도 진공 처리된 태양광 모듈의 내부 진공상태를 유지하면서 태양광모듈의 전방과 후방을 연통시키는 통공을 형성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단면 태양광모듈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태양광 모듈을 지지하는 지지대의 일측에 착탈 가능한 구조의 측면반사판을 구비함으로써, 태양광 모듈이 설치되는 장소 환경에 따라 사용자가 측면반사판의 사용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태양광 발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끼워지며 일측면에 다수의 태양전지셀이 부착된 기판과, 상기 기판의 전,후 양측에 배치되는 전,후면 커버와, 상기 후면 커버에 밀착되도록 결합되는 백시트 및 상기 전면 커버에 밀착되도록 결합되는 전면 유리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내부가 진공 상태로 유지되는 태양광 모듈을 구비하되,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 연결되어 지면에 대해 상기 태양광 모듈을 이격되게 지지하도록 바닥판을 갖는 지지대와; 상기 태양광 모듈에 전,후로 천공 형성되는 복수의 통공; 및 상기 통공의 내주면에 결합되어 내부의 진공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진공유지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진공유지수단은 상기 통공의 내주에 끼워지며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체결공을 갖는 전,후방측 리벳으로 구성된 리벳부재와, 상기 전,후방측 리벳을 연결하도록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일측과 타측이 상기 전,후방측 리벳의 체결공 내부에 나사 결합되고 내부에 공기의 유출입이 가능한 중공이 형성된 연결구, 및 상기 전방측 리벳의 단부와 상기 후방측 리벳의 단부에 각각 끼워지며 상기 연결구에 의한 전,후방측 리벳의 체결력에 의해 부피가 변화되도록 자체 탄성을 갖는 링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구는 중공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형성된 송풍입구측의 내경 폭이 중간부의 내경 폭보다 더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은 좌,우 양측에 상기 지지대의 상부와 연결핀으로 연결되는 지지브라켓이 구비된다.
상기 전,후면 커버는 투명한 EVA소재로 구성된다.
상기 통공은 상기 전면 유리, 전면 커버, 기판, 후면 커버 및 백시트에 수평으로 각각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복수개로 천공 형성된 제1,2,3,4,5통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기판에 형성된 제3통공은 상기 태양전지셀에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태양전지셀의 각 모서리 부위에 원호형의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홈부들에 의해 형성되는 원형의 여백 공간에 천공 형성된 것이다.
상기 지지대의 바닥판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태양광을 상기 태양광 모듈측으로 반사시키는 측면반사판을 더 구비하되, 상기 측면반사판은 지면에 대해 경사진 각도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좌,우측 가이드와, 상기 좌,우측 가이드에 양측 테두리가 지지되는 측면반사재와, 상기 좌,우측 가이드의 측면에 연결되고 하부가 상기 바닥판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받침대로 구성된다.
상기 측면반사재는 풍압 저항을 줄이기 위한 복수의 통기구멍이 형성된 것이다.
상기 측면반사재는 양측 테두리가 상기 좌,우측 가이드에 지지되는 반사부재와, 상기 반사부재의 전면에 착탈수단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태양광을 반사시키는 반사지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착탈수단은 상기 반사부재와 반사지에 천공 형성되는 복수의 제1,2록킹공과, 상기 제1,2록킹공을 통해 결합되어 상기 반사부재와 반사지를 결합시키는 복수의 암,수 스냅버튼으로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태양광 모듈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시 태양광 모듈에 복수의 통공이 천공 형성되고 각각의 통공 내에 진공유지수단이 구비되어, 태양광 모듈 내부의 진공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으면서 진공유지수단의 연결구 중공을 통과하는 바람에 의해 기판이 열교환되면서 신속하게 냉각시켜 부품 열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둘째, 본 발명은 측면반사판이 태양광 모듈의 지지대 바닥판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태양광 모듈이 설치되는 장소나 환경에 따라 측면반사판을 설치하거나 생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측면반사판이 구비된 경우에는 태양광을 반사시켜 태양광 모듈에 반사광을 전달하여 태양광의 발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셋째, 본 발명 측면반사판의 측면반사재는 착탈수단에 의해 착탈 가능한 반사지와 반사부재로 구성됨에 따라, 반사지의 손상이 발생할 경우 반사지를 반사부재로부터 분리시켜 반사지만을 교체함으로써, 부품 유지비용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넷째, 본 발명의 측면반사재는 복수의 통기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풍압저항을 최소화하여 바람에 의한 부품 손상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태양광 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진공유지수단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진공유지수단이 각각의 통공 내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본 발명 전,후방측 리벳의 조립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 측면반사판의 경사각 조절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측면반사판을 지지대의 일측에 결합하기 전 상태를 보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 측면반사재 및 착탈수단의 분해 사시도.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는,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프레임(170)과, 상기 프레임(170)에 끼워지며 일측면에 다수의 태양전지셀(140)이 부착된 기판(130)과, 상기 기판(130)의 전,후 양측에 배치되는 전,후면 커버(120,150)와, 상기 후면 커버(150)에 밀착되도록 결합되는 백시트(160) 및 상기 전면 커버(120)에 밀착되도록 결합되는 전면 유리(110)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내부가 진공 상태로 유지되도록 결합되는 태양광 모듈(100)을 구비하되, 상기 프레임(170)의 측면에 연결되어 지면에 대해 상기 태양광 모듈(100)을 이격되게 지지하도록 바닥판(185)을 갖는 지지대(180)와, 상기 태양광 모듈(100)에 전,후로 천공 형성되는 복수의 통공(300)과, 상기 통공(300)의 내주면에 결합되어 내부의 진공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진공유지수단(4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태양광 모듈(100)은 기판(130)의 일측면에 태양전지셀(140)이 부착된 단면 태양광 모듈에 적용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전,후면 커버(120,150)는 투명한 EVA소재로 구성되고, 다수의 태양전지셀(140)이 부착된 기판(130)의 전,후 양측에 배치된다.
상기 백시트(160)는 후면 커버(150)의 후방측에 배치되어 습기 침투를 방지함과 아울러, 후면 커버(150)를 통해 투사되는 빛을 다시 반사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통공(300)은 전면 유리(110), 전면 커버(120), 기판(130), 후면 커버(150) 및 백시트(160)에 수평으로 각각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복수개로 천공 형성된 제1,2,3,4,5통공(301,302,303,304,305)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프레임(170)은 좌,우 양측에 상기 지지대(180)의 상부와 연결핀(175)으로 연결되는 지지브라켓(172)이 구비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통공(300)중 상기 기판(130)에 형성된 제3통공(303)은 상기 태양전지셀(140)에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태양전지셀(140)의 각 모서리 부위에 원호형의 홈부(141)가 형성되고, 상기 홈부(141)들에 의해 형성되는 원형의 여백 공간(태양전지셀(140)과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천공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진공유지수단(400)은 상기 통공(300)의 내주에 끼워지며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체결공(415a,415b)을 갖는 전,후방측 리벳(412,414)으로 구성된 리벳부재(410)와, 상기 전,후방측 리벳(412,414)을 연결하도록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일측과 타측이 상기 전,후방측 리벳(412,414)의 체결공(415a,415b) 내부에 나사 결합되고 내부에 공기의 유출입이 가능한 중공(425)이 형성된 연결구(420), 및 상기 전방측 리벳(412)의 단부와 상기 후방측 리벳(414)의 단부에 각각 끼워지며 상기 연결구(420)에 의한 전,후방측 리벳(412,414)의 체결력에 의해 부피가 변화되도록 자체 탄성을 갖는 링부재(430)로 구성된다.
상기 링부재(430)는 전방측 리벳(412)이 전면 유리(110)에 결합되고 후방측 리벳(414)이 백시트(160)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연결구(420)에 의한 체결력에 의해 부피가 축소되면서 통공(300)측으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를 차단하는 밀폐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연결구(4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방측 리벳(412,414)의 체결공(415a,415b) 내부에 형성된 암나사산에 나사 체결되도록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된 원통체 구조를 가지며, 일측이 전방측 리벳(412)의 체결공(415a)에 나사 체결되고, 타측이 후방측 리벳(414)의 체결공(415b)에 나사 체결되어 전,후방측 리벳(412,414)을 연결하게 된다.
상기 리벳부재(410)는 통공(300)의 전방과 후방에 진입이 용이하도록 분할된 전,후방측 리벳(412,414)으로 구성되고, 전,후방측 리벳(412,414)의 연결을 위해 연결구(420)가 마련되어 나사 체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연결구(420)는 중공(425)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형성된 송풍입구측의 내경 폭이 중간부의 내경 폭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상기 연결구(420)는 중공(425)이 벤튜리관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리벳부재(410)의 중공(425)을 통과하는 공기가 내경이 축소되는 중간부를 통과하면서 중간부의 유속이 빨라지게 되어 열교환이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됨에 따라 태양광 모듈(100)의 냉각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전,후방측 리벳(412,414)의 조립과정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구(420)가 체결된 상태의 전방측 리벳(412)을 통공(300) 내에 진입시킨 상태에서 태양광 모듈(100)의 반대편에서 후방측 리벳(414)을 통공(300) 내에 진입시키면서 회전시켜 후방측 리벳(414)을 연결구(420)의 타측에 나사 체결시키는 조립과정을 갖는다.
상기한 전,후방측 리벳(412,414)과 연결구(420)의 체결작업 전에 링부재(430)를 전,후방측 리벳(412,414)에 끼워서 결합시키는 데, 상기 전,후방측 리벳(412,414)의 체결과정에서 나사 체결력에 의해 탄성을 갖는 링부재(430)가 전방 유리 및 백시트(160)에 밀착되어 링부재(430)에 의한 기밀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전,후방측 리벳(412,414)의 단부에는 상기 링부재(430)의 외측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턱(416)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턱(416)은 전,후방측 리벳(412,414)의 양측 단부로부터 외측으로 더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링부재(430)의 이탈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대(180)의 바닥판(185)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태양광을 태양광 모듈(100)측으로 반사시키는 측면반사판(500)이 더 구비된다.
상기 측면반사판(5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대해 경사진 각도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좌,우측 가이드(510,520)와, 상기 좌,우측 가이드(510,520)에 양측 테두리가 지지되는 측면반사재(540)와, 상기 좌,우측 가이드(510,520)의 측면에 연결되고 하부가 상기 바닥판(185)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받침대(530)로 구성된다.
상기 받침대(530)는 볼트 등의 체결부재(535)를 이용하여 하부가 바닥판(185)의 일측에 체결되도록 결합공(532)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받침대(530)는 외측에서 체결부재(535)가 관통되어 바닥판(185)의 일측에 체결됨에 따라, 측면반사판(500)이 필요하지 않을 경우에는 바닥판(185)으로부터 분리시켜 태양광 모듈(100)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측면반사판(500)이 필요할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광 모듈(100)의 바닥판(185)에 측면반사판(500)의 받침대(530)를 밀착시킨 후에 체결부재(535)를 결합공(532)에 관통시키고 관통된 단부를 바닥판(185)의 고정공(185a)에 체결시켜 일체로 결합시킨 후에 하나의 조립품형태로 설치장소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측면반사판(500)은 좌,우측 가이드(510,520)의 경사각을 조절하는 경사각 조절수단(600)이 더 구비되며, 상기 경사각 조절수단(600)은 지면에 대해 경사진 각도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좌,우측 가이드(510,520)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고 제1연결공(612)이 형성되는 연결브라켓(610)과, 상기 받침대(530)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2연결공(620)과, 상기 제1,2연결공(612,620)에 관통되도록 결합되는 결합볼트(630), 및 상기 결합볼트(630)에 체결되는 고정너트(640)로 구성된다.
상기 경사각 조절수단(600)은 연결브라켓(610)과 받침대(530)의 상부가 밀착된 상태에서 결합볼트(630)와 고정너트(640)의 체결력에 의해 지면에 대해 경사를 갖는 측면반사판(500)을 지지할 수 있으며, 결합볼트(630)와 고정너트(640)의 체결상태가 해제될 경우 측면반사판(500)의 좌,우측 가이드(510,520)의 경사각을 임의 조절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측면반사재(540)는 양측 테두리가 상기 좌,우측 가이드(510,520)에 지지되는 반사부재(541)와, 상기 반사부재(541)의 전면에 착탈수단(900)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태양광을 반사시키는 반사지(543)로 구성된다.
상기 반사지(543)는 빛을 반사시킬 수 있는 소재로 구성되고 착탈수단(900)에 의해 반사부재(541)에 결합되어 손상이 발생할 경우 반사지(543)만 교체함으로써, 부품의 유지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상기 착탈수단(900)은 상기 반사부재(541)와 반사지(543)에 천공 형성되는 복수의 제1,2록킹공(910,920)과, 상기 제1,2록킹공(910,920)을 통해 결합되어 상기 반사부재(541)와 반사지(543)를 결합시키는 복수의 암,수 스냅버튼(930,940)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 스냅버튼(940)은 제1,2록킹공(910,920)을 통과하여 암 스냅버튼(930)에 록킹 결합됨에 따라 반사지(543)를 반사부재(541)에 밀착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며, 반사지(543)의 교체시에는 암,수 스냅버튼(930,940)을 분리시킴으로써 반사지(543)를 반사부재(541)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는 미도시되어 있지만 태양광 모듈(100)로부터 발전된 전기를 변환하는 인버터 및 인버터로부터 변환된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축전지 등이 구비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은 연속적으로 배치된 태양광 모듈(100)을 이용하여 태양광을 집광하여 발전하되, 태양광 모듈(100)의 바닥판(185)에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한 측면반사판(500)을 구비함으로써, 태양의 위치에 따라 태양광 모듈(100)에 반사광을 선택적으로 제공하여 태양광 발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태양광이 태양광 모듈(100)의 우측에 위치한 상황일 때, 도 1에 도시된 화살표와 같이 태양광 모듈(100)의 좌측에 위치한 측면반사판(500)에 태양광이 반사되면서 태양광 모듈(100)측에 반사광이 전달된다.
그리고, 측면반사판(500)은 지면에 대해 경사진 각도로 측면반사재(540)가 배치됨에 따라 바람의 영향을 받게 되지만, 측면반사재(540)에 형성된 복수의 통기구멍(542)이 풍압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태양광 모듈(100)에는 복수의 통공(300)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300) 내에 리벳부재(410) 및 연결구(420)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바람이 연결구(420)의 중공(425)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풍압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바람이 연결구(420)의 중공(425)을 통과하는 중에 열교환되면서 태양광 모듈(100)을 냉각시켜 부품 열화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이때, 상기한 태양광 발전중에 기판(130)의 열이 리벳부재(410)를 통해 연결구(420)에 전달되지만, 바람이 연결구(420)의 중공(425)을 통과하는 중에 연결구(420)와 리벳부재(410)를 냉각시키고, 냉각된 리벳부재(410)가 기판(130)을 냉각시켜 기판(130)에 부착된 태양전지셀(140)의 열화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구(420)의 중공(425)이 벤튜리관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바람이 통과하는 중에 유속이 빨라지면서 열교환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측면반사판(500)이 지지대(180)의 바닥판(185)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태양광 모듈(100)이 설치되는 장소나 환경에 따라 선택적으로 측면반사판(500)을 배치하거나 생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 측면반사판(500)의 측면반사재(540)는 착탈수단에 의해 착탈 가능한 반사지(543)와 반사부재(541)로 구성됨에 따라, 반사지(543)의 손상이 발생할 경우 반사지(543)를 반사부재(541)로부터 분리시켜 반사지(543)만을 교체함으로써, 부품 유지비용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측면반사재(540)는 복수의 통기구멍(542)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풍압저항을 최소화하여 바람에 의한 부품 손상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앞서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이상에서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태양광 모듈 110 : 전면 유리
120 : 전면 커버 130 : 기판
140 : 태양전지셀 141 : 홈부
150 : 후면 커버 160 : 백시트
170 : 프레임 172 : 지지브라켓
175 : 연결핀 180 : 지지대
185 : 바닥판 185a : 고정공
300 : 통공 301,302,303,304,305 : 제1,2,3,4,5통공
400 : 진공유지수단 410 : 리벳부재
412,414 : 전,후방측 리벳 415a,415b : 체결공
416 : 지지턱 420 : 연결구
425 : 중공 430 : 링부재
500 : 측면반사판 510,520 : 좌,우측 가이드
530 : 받침대 532 : 결합공
535 : 체결부재 540 : 측면반사재
541 : 반사부재 542 : 통기구멍
543 : 반사지 600 : 경사각 조절수단
610 : 연결브라켓 612 : 제1연결공
620 : 제2연결공 630 : 결합볼트
640 : 고정너트 900 : 착탈수단
910,920 : 제1,2록킹공 930,940 : 암,수 스냅버튼

Claims (5)

  1. 프레임(170)과, 상기 프레임(170)에 끼워지며 일측면에 다수의 태양전지셀(140)이 부착된 기판(130)과, 상기 기판(130)의 전,후 양측에 배치되는 전,후면 커버(120,150)와, 상기 후면 커버(150)에 밀착되도록 결합되는 백시트(160) 및 상기 전면 커버(120)에 밀착되도록 결합되는 전면 유리(110)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내부가 진공 상태로 유지되는 태양광 모듈(100)을 구비하되,
    상기 프레임(170)의 측면에 연결되어 지면에 대해 상기 태양광 모듈(100)을 이격되게 지지하도록 바닥판(185)을 갖는 지지대(180)와;
    상기 태양광 모듈(100)에 전,후로 천공 형성되는 복수의 통공(300); 및
    상기 통공(300)의 내주면에 결합되어 내부의 진공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진공유지수단(400);을 구비하고,
    상기 진공유지수단(400)은 상기 통공(300)의 내주에 끼워지며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체결공(415a,415b)을 갖는 전,후방측 리벳(412,414)으로 구성된 리벳부재(410)와, 상기 전,후방측 리벳(412,414)을 연결하도록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일측과 타측이 상기 전,후방측 리벳(412,414)의 체결공(415a,415b) 내부에 나사 결합되고 내부에 공기의 유출입이 가능한 중공(425)이 형성된 연결구(420) 및 상기 전방측 리벳(412)의 단부와 상기 후방측 리벳(414)의 단부에 각각 끼워지며 상기 연결구(420)에 의한 전,후방측 리벳(412,414)의 체결력에 의해 부피가 변화되도록 자체 탄성을 갖는 링부재(430)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구(420)의 중공(425)은 일측면과 타측면에 형성된 송풍입구측의 내경 폭이 중간부의 내경 폭보다 더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70)은 좌,우 양측에 상기 지지대(180)의 상부와 연결핀(175)으로 연결되는 지지브라켓(172)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후면 커버(120,150)는 투명한 EVA소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공(300)은 상기 전면 유리(110), 전면 커버(120), 기판(130), 후면 커버(150) 및 백시트(160)에 수평으로 각각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복수개로 천공 형성된 제1,2,3,4,5통공(301,302,303,304,305)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기판(130)에 형성된 제3통공(303)은 상기 태양전지셀(140)에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태양전지셀(140)의 각 모서리 부위에 원호형의 홈부(141)가 형성되고, 상기 홈부(141)들에 의해 형성되는 원형의 여백 공간에 천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80)의 바닥판(185)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태양광을 상기 태양광 모듈(100)측으로 반사시키는 측면반사판(500)을 더 구비하되,
    상기 측면반사판(500)은 지면에 대해 경사진 각도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좌,우측 가이드(510,520)와,
    상기 좌,우측 가이드(510,520)에 양측 테두리가 지지되는 측면반사재(540)와,
    상기 좌,우측 가이드(510,520)의 측면에 연결되고 하부가 상기 바닥판(185)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받침대(530)로 구성되되,
    상기 측면반사재(540)는 풍압 저항을 줄이기 위한 복수의 통기구멍(542)이 형성되고, 양측 테두리가 상기 좌,우측 가이드에 지지되는 반사부재(541)와 상기 반사부재(541)의 전면에 착탈수단(900)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태양광을 반사시키는 반사지(543)로 구성되며,
    상기 착탈수단(900)은 상기 반사부재(541)와 반사지(543)에 천공 형성되는 복수의 제1,2록킹공(910,920)과,
    상기 제1,2록킹공(910,920)을 통해 결합되어 상기 반사부재(541)와 반사지(543)를 결합시키는 복수의 암,수 스냅버튼(930,94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장치.
KR1020170082745A 2017-06-29 2017-06-29 태양광 발전장치 Active KR1018544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2745A KR101854449B1 (ko) 2017-06-29 2017-06-29 태양광 발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2745A KR101854449B1 (ko) 2017-06-29 2017-06-29 태양광 발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4449B1 true KR101854449B1 (ko) 2018-05-03

Family

ID=62244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2745A Active KR101854449B1 (ko) 2017-06-29 2017-06-29 태양광 발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444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0597A (ko) * 2018-12-10 2020-06-18 최진경 해상 태양광발전기
CN111678261A (zh) * 2020-06-29 2020-09-18 广东依明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太阳光再收集功能的波纹背板
KR20210094199A (ko) * 2020-01-20 2021-07-29 (주)나노밸리 반사판을 가지는 태양전지 모듈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0597A (ko) * 2018-12-10 2020-06-18 최진경 해상 태양광발전기
KR102155580B1 (ko) * 2018-12-10 2020-09-14 주식회사 대아전력 해상 태양광발전기
KR20210094199A (ko) * 2020-01-20 2021-07-29 (주)나노밸리 반사판을 가지는 태양전지 모듈
KR102405894B1 (ko) * 2020-01-20 2022-06-09 (주)나노밸리 반사판을 가지는 태양전지 모듈
CN111678261A (zh) * 2020-06-29 2020-09-18 广东依明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太阳光再收集功能的波纹背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4452B1 (ko) 양면 태양광 모듈을 갖는 태양광 발전장치
KR101854450B1 (ko) 측면반사판이 구비된 태양광 발전장치
KR101854451B1 (ko) 양면형 태양광 발전장치
KR101854449B1 (ko) 태양광 발전장치
US20110263067A1 (en) Methods of Forming a Concentrating Photovoltaic Module
CN201726343U (zh) 框架式聚光光伏组件
US20120182635A1 (en) Light-collecting heliostat using flat mirrors
US20080000514A1 (en) Solar Energy Concentrator
JP2000258722A (ja) 太陽光多目的利用装置
CN102635952B (zh) 透射型折叠式太阳能加热器
WO2021103411A1 (zh) 一种组装式角度可调的折板形光伏组件及其光伏系统
CN216016815U (zh) 一种带有自清洁功能的太阳能光伏组件
CN210927524U (zh) 一种抗遮挡光伏太阳能组件
CN2911535Y (zh) 一种太阳能聚光综合利用装置
TWM464624U (zh) 太陽能增效模組及其追日系統
US20110180126A1 (en) Apparatus for converging solar radiation
CN2911540Y (zh) 一种太阳能装置
CN206195669U (zh) 一种新型高倍太阳能聚光发电装置
CN2884537Y (zh) 一种高性能太阳能装置
CN214371406U (zh) 一种光热循环烘干装置
CN220874442U (zh) 一种弱光发电装置
CN208479567U (zh) 一种高效的太阳能多晶硅板
CN204836085U (zh) 聚光光伏电池空冷散热系统
CN222169711U (zh) 一种固定型光伏发电装置
CN202231037U (zh) 用于太阳能电池模块的壳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6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0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62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1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12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4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4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4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