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2441B1 - 차의 맛, 향 및 용해성이 우수한 차 추출물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차의 맛, 향 및 용해성이 우수한 차 추출물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2441B1
KR101852441B1 KR1020110023449A KR20110023449A KR101852441B1 KR 101852441 B1 KR101852441 B1 KR 101852441B1 KR 1020110023449 A KR1020110023449 A KR 1020110023449A KR 20110023449 A KR20110023449 A KR 20110023449A KR 101852441 B1 KR101852441 B1 KR 1018524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a
tea extract
extract
concentra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3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5800A (ko
Inventor
라찬수
황정아
정진오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10023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2441B1/ko
Publication of KR20120105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58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2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24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22Drying or concentrating tea extra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163Liquid or semi-liquid tea extract preparations, e.g. gels, liquid extracts in solid capsu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30Further treatment of dried tea extract;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e.g. instant tea
    • A23F3/32Agglomerating, flaking or tabletting or granul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Botan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 Tea And Coffe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tea) 잎을 25℃ 내지 40℃에서 추출하는 추출 단계를 포함하는 차 추출물 제조 방법을 개시한다. 또한 상기 방법으로 제조한 차 추출물 및 상기 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화장료 및 약학 조성물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차의 맛, 향 및 용해성이 우수한 차 추출물 제조 방법{Method for preparing tea extract which has favored taste, flavor and solubility}
본 발명은 차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용하는 차는 동백나무과의 카멜리아 시넨시스(Camellia sinensis)의 싹이나 잎 속에 존재하는 산화 효소를 불활성화시키고 수분을 제거한 것이다. 차는 카테킨류, 아미노산, 비타민 C, 베타-카로틴, 식이 섬유 등 유익한 유효 성분들을 다량 포함하고 있으며, 그 성분들의 유익하고 다양한 약리적인 메커니즘이 계속 밝혀지고 있다. 특히, 차에 함유되어 있는 성분에 의한 항산화 작용, 항노화 작용, 항암 작용,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 작용, 중금속 해독 작용, 충치 예방 및 구취 제거 작용 등의 효과들이 입증되면서 주목 받고 있다. 그러나 차 본연의 떫고 쓴 맛과 차 잎을 우려 마셔야 한다는 불편함 때문에 우수한 기능에 비해 선호도가 그리 높지 않다.
본 발명은 차의 맛, 향 및 용해성이 우수한 차 추출물 제조 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한 차 추출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차(tea) 잎을 25℃ 내지 40℃에서 추출하는 추출 단계를 포함하는 차 추출물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한 차 추출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면은 상기 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화장료 및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차 추출물 제조 방법은 떫고 쓴 맛이 적고, 차 고유의 향을 보존하고 있으며, 냉수 또는 상온수에 쉽게 용해되므로 음용이 편리한 차 추출물을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2의 카테킨 및 카페인을 정량 분석한 액체 크로마토그램이다.
도 2는 실시예 3의 아미노산을 정량 분석한 액체 크로마토그램이다.
도 3은 차 향기 성분의 표준액을 정량 분석한 가스크로마토그램이다.
도 4와 5는 각각 실시예 3과 비교예 1의 향기 성분을 정량 분석한 가스크로마토그램이다.
본 명세서에서 "차 추출물(tea extract)"은 넓게는 차 잎에서 비롯된 추출물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구체적으로는 가공 전 혹은 가공 후 차 잎을 추출한 액, 차 잎을 증열한 후 냉수나 이온수를 첨가하여 추출한 액, 차 잎을 추출한 액을 농축시킨 액, 차 잎을 추출한 액을 가공한 고형 제제 등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차 잎"은 카멜리아 시넨시스(Camellia sinensis)의 싹이나 잎을 의미하는 것으로, 그 품질 또는 종류를 구분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수확 시기에 따른 봄차, 여름차, 가을차의 싹이나 잎을 모두 포함하며, 용도에 따라 차광막을 씌워 엽록소 양을 증가시킨 옥로차의 싹이나 잎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건강한 삶을 영위하는 것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항산화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고 알려진 차를 음용하는 사람이 많아지고 있다. 차 추출물은 20%의 폴리페놀, 50%의 조 다당류, 3%의 카페인, 1%의 아미노산 등을 포함하며, 이중 폴리페놀과 아미노산이 차 맛에 주로 영향을 주는 성분이다. 통상적으로 차 추출물은 건조한 차 잎을 80℃ 이상의 고온에서 1시간 이상 동안 교반하면서 추출하여 제조한다. 이는 차 잎에 포함되어 있는 성분을 최대한 많이 추출하여 추출물의 수율을 높이는 것에 초점을 두고 행하는 것으로, 고온에서는 쓴 맛을 내는 폴리페놀 성분이 다량 추출되기 때문에 차의 쓴 맛이 강해지게 된다. 따라서 차 추출물을 이용한 차 음용 방법은 차 잎을 우려서 음용하는 방법보다 선호도가 낮다. 또한 고온에서 차를 추출하는 경우 차의 고분자 다당류 성분이 다량 추출되는데, 차 추출물을 냉수에 용해시킬 때 상기 다당류 성분이 서로 엉기어 풀림성 및 용해성에 나쁜 영향을 준다.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당이나 산을 첨가하거나 쓴 맛에 영향을 주는 카테킨의 함량을 줄여 차 추출물의 쓴 맛을 감소시키고자 하였으며, 분산 보조제를 첨가하여 차 추출물의 용해성을 향상시키고자 하였으나, 이들은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없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차(tea) 잎을 25℃ 내지 40℃에서 추출하는 추출 단계를 포함하는 차 추출물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저온에서 추출한 차 추출물은 비-갈레이트 성분의 비율이 높으므로, 떫은 맛이 적고 부드러운 차 맛을 지니게 된다. 또한 저온에서 공정이 수행되므로 차 추출물에 차가 지닌 본연의 향기 성분이 다량 잔존하게 되어 차 잎 그대로를 우린 액과 유사한 향기 성분을 지니게 된다. 그리고 저온에서 추출하므로 고분자 다당류를 포함하지 않아 차 추출물의 용해성이 높다. 이러한 차 추출물은 냉수 또는 상온수에 혼합하여 음용 가능하므로 섭취가 편리하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추출은 30℃ 내지 40℃, 구체적으로 사람의 체온과 가까운 32℃ 내지 38℃에서 차 잎을 추출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고온 추출 방법에 비해 추출에 소비되는 에너지가 적어 효율적이며, 나아가 환경 보호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통상적으로 차 추출물은 80℃ 이상의 고온에서 추출하여 제조하는데, 이 때에는 추출 후 진공 감압 농축을 하는 경우 추출물의 온도를 다시 50℃로 낮추어야 하므로 에너지 소모가 많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방법은 별도로 추출물의 온도를 낮추지 않고 그대로 감압 농축할 수 있으므로 에너지 효율성 측면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추출 단계에서 추출은 교반식 탱크 추출, 컬럼식 추출, 가압 추출 및 효소 분해식 추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 컬림식 추출은 컬럼식 추출기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하며, 이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차 추출물의 수율이 보다 높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추출은 20분 내지 4시간, 구체적으로 30분 내지 1시간 동안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상기 추출 단계 전에 차 잎을 전처리 하는 전처리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에서, 전 처리 단계는 차 잎을 가열하여 볶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때 온도는 60℃ 내지 300℃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70℃ 내지 200℃ 일 수 있으며, 더 구체적으로 80℃ 내지 15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상기 추출 단계 이후, 차 추출물을 여과하는 여과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단계를 통해 차 추출물의 잔여 고형 물질이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에서, 여과는 차 추출물을 망에 거르는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때 여과에 사용되는 망의 사이즈는 10 내지 400 메쉬(mesh), 구체적으로 30 내지 200 메쉬, 더 구체적으로 80 내지 120 메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상기 추출 단계 이후, 차 추출물을 삼투 여과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단계를 통해 차 추출물의 색상이나 안정성에 영향을 주는 이온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상기 추출 단계 이후, 차 추출물을 정제하는 정제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에서, 상기 정제는 원심 분리, 막 분리 또는 증류 분리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정제는 차 추출물과 유기 용매를 혼합한 후 증류를 통해 용매를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기호성이 낮거나 바람직하지 않은 성분을 선별하여 분리 제거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면에서, 상기 유기 용매는 차 추출액을 총 중량 대비 5 내지 40 중량%의 알코올, 구체적으로 에탄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상기 추출 단계 이후, 차 추출물을 농축시키는 농축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단계를 통해 이후에 이루어지는 고형화에 적합한 농도의 차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에서 농축은 차 추출물의 수분 함량을 줄여 그 농도를 높이는 과정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에서 농축을 통해 농축 전 차 추출물의 부피 대비 5 내지 70 부피%, 구체적으로 10 내지 50 부피%, 더 구체적으로 10 내지 30 부피%의 차 추출물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면에서 농축은 4℃ 내지 150℃에서 2 내지 12시간 동안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면에서 농축은 80℃ 내지 150℃의 1 내지 2 atm의 가압 조건에서 2 내지 24시간 동안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면에서 농축은 50℃ 내지 100℃의 상압 조건에서 2 내지 24시간 동안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면에 따른 농축 단계에서 농축은 4℃ 내지 50℃, 구체적으로 10℃ 내지 40℃의 1 내지 100 mmHg, 구체적으로 1 내지 50 mmHg의 감압 조건에서 2 내지 24시간 동안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상기 농축 단계 이후, 차 추출물을 고형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에서, 상기 고형은 분말, 과립 및 세립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상기 고형화 단계 이후, 차 추출물과 농축 단계에서 발생한 농축 여액을 혼합하는 혼합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단계를 통해 차 고유의 향기 성분을 보존시키고, 차의 떫은 맛과 감칠맛의 조화감을 높이며, 냉수 또는 상온수에 쉽게 용해하는 차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에서 농축 여액은 농축 단계의 주 수득물인 차 추출물의 농축물 외에 농축 단계에서 발생하는 기타 성분을 의미하며, 고체, 액체 또는 기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상기 혼합 단계 이후, 차 추출물을 고형화하는 고형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형은 분말, 과립 및 세립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이러한 고형화 단계를 통해 유통 및 보관이 용이한 차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상기 차 추출물 제조 방법으로 제조한 차 추출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에서, 상기 차 추출물은 리날로올의 농도가 3,000 ng/ml 이상 및 제라니올의 농도가 150 ng/ml 이상인 것 중 적어도 하나를 만족하여, 차 고유의 향기 성분을 다량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면에서, 상기 차 추출물은 리날로올의 농도가 3,000 ng/ml 내지 30,000 ng/ml, 구체적으로 3,500 ng/ml 내지 10,000 ng/ml인 조건 및 제라니올의 농도가 150 ng/ml 내지 10,000 ng/ml, 구체적으로 200 ng/ml 내지 8,000 ng/ml인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만족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차 추출물은 떫고 쓴 맛이 적고, 감칠맛이 뛰어나며, 차 고유의 향기 성분을 지녀 그 향이 우수하다. 그리고 차 추출물이 냉수 또는 상온수에 쉽게 용해되므로, 특히 분말 또는 과립 형태인 경우에도 음용하기가 편리하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본 발명에 따른 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기호 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의 제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정제, 과립제, 드링크제, 캐러멜, 다이어트바, 티백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각 제형의 식품 조성물은 유효 성분 이외에 해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들을 제형 또는 사용 목적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으며, 다른 원료와 동시에 적용할 경우 상승 효과가 일어날 수 있다.
상기 유효 성분의 투여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으며, 이의 1일 투여 용량은 예를 들어 0.1mg/kg/일 내지 5000mg/kg/일, 보다 구체적으로는 50 mg/kg/일 내지 500 mg/kg/일이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투여하고자 하는 대상의 연령, 건강 상태, 합병증 등의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차 추출물은 식품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10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본 발명에 따른 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한다. 이는 국소 적용에 적합한 모든 제형으로,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유상에 수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멀티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 에멀젼, 마이크로 캡슐, 미세 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및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로, 또는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클렌져 또는 콘실 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또한 포말(foam)의 형태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한 물질 이외에 주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바람직하게는 주 효과에 상승 효과를 줄 수 있는 다른 성분들을 함유하는 것도 무방하며, 본 발명의 유효 성분 이외에 다른 성분을 기타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 또는 사용 목적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그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피부 흡수 촉진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필수 성분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통상 화장료 조성물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포함할 수 있고, 이의 예로서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언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기타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또한 상기 성분의 배합량은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가능하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제형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목적하는 바에 따라 제형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연 화장수(스킨로션 및 밀크로션), 영양 화장수, 에센스,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파우더, 립스틱, 메이크업 베이스, 파운데이션, 패취, 분무제, 팩, 젤, 에센스, 아이 크림, 아이 에센스,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클렌져, 보디로션, 보디크림, 보디오일 및 보디 에센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차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10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본 발명에 따른 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의약품에 적용할 경우에는, 상용되는 무기 또는 유기의 담체를 가하여 고체, 반고체 또는 액상의 형태로 경구 투여제 혹은 비경구 투여제로 제제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상법에 따라서 실시하면 용이하게 제제화할 수 있으며, 계면 활성제, 부형제, 착색제, 향신료, 안정화제, 방부제, 보존제, 수화제, 유화 촉진제, 현탁제, 삼투압 조절을 위한 염 및/또는 완충제, 기타 상용하는 보조제를 적당히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경구 투여를 위한 제재로서는 정제(錠劑), 환제(丸劑), 과립제(顆粒劑), 연질 및 경질 캅셀제, 산제, 세립제, 분제, 액제, 유탁제(乳濁濟), 시럽제, 펠렛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제형은 유효 성분 이외에 희석제(예: 락토오스,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만니톨, 솔비톨, 셀룰로오스 또는 글리신), 활택제(예: 실리카, 탈크, 스테아르산 및 그의 마그네슘 또는 칼슘염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결합제(예: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전분 페이스트, 젤라틴, 트라가칸스, 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또는 폴리비닐피롤리딘)를 함유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전분, 한천, 알긴산 또는 그의 나트륨 염과 같은 붕해제, 흡수제, 착색제, 향미제, 또는 감미제 등의 약제학적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정제는 통상적인 혼합, 과립화 또는 코팅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경구 투여제는 예를 들어, 피부 외용제일 수 있으며, 주사제, 점적제, 로션, 연고, 겔, 크림, 현탁제, 유제, 좌제(坐劑), 패취 또는 분무제 제형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약학 조성물은 경구, 비경구, 직장, 국소, 경피, 정맥 내, 근육 내, 복강 내, 피하 등으로 투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효 성분의 적용량은 치료 받을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과, 치료할 특정 질환 또는 병리 상태, 질환 또는 병리 상태의 심각도, 투여 경로 및 처방자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러한 인자에 기초한 적용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차 추출물은 약학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10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비교예 및 시험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 비교예 및 시험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의 목적으로만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범위가 그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36.5℃의 정제수 3리터에 건조 녹차 잎 200g을 침지하여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추출하고, 추출물을 80 메쉬(mesh)의 망에 통과시켜 잔여 고형분을 제거하였다. 여액을 1 ㎛의 여과지로 추가 여과하여 미세 고형분을 제거하였다. 수득한 여액을 감압 농축기를 사용하여 농축 전 부피 대비 10~20 부피%가 되도록 농축하였다. 농축액을 영하 20℃에서 동결 건조하여 분말을 수득하고 이를 실시예 1로 하였다.
[실시예 2]
10/40의 컬럼식 추출기에 건조 녹차 잎 200g을 넣고 36.5℃의 정제수 2리터를 1시간 동안 순환하여 추출한 다음, 그 추출액을 1 ㎛의 여과지로 추가 여과하여 미세 고형분을 제거하였다. 여액을 감압 농축기를 사용하여 농축 전 부피 대비 10~20 부피%가 되도록 농축하였다. 농축액을 영하 20℃에서 동결 건조하여 분말을 수득하고 이를 실시예 2로 하였다.
[실시예 3]
먼저, 실시예 2의 감압 농축 과정에서 발생한 액을 회수하여 준비하였다. 실시예 2의 차 추출물 분말 300g을 유동층 과립기(GPCG-1, Glatt사)에 넣고, 상기에서 준비한 회수한 액 300ml에 덱스트린 15g을 혼합한 용액을 30분간 분무하면서 50~60℃ 건조 공기로 분말을 조립하고 건조하였다. 과립 형태의 추출물을 수득하여 이를 실시예 3으로 하였다.
[비교예 1]
80℃의 정제수 2리터에 건조 녹차 잎 200g을 침지하여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추출하고, 추출물을 80메쉬(mesh)의 망에 통과시켜 잔여 고형분을 제거하였다. 여액을 1 ㎛의 여과지로 추가 여과하여 미세 고형분을 제거하였다. 여액을 감압 농축기를 사용하여 농축 전 부피 대비 10~20 부피%가 되도록 농축하였다. 상기 농축액을 영하 20℃에서 동결 건조하여 분말을 수득하고 이를 비교예 1로 하였다.
[시험예 1] 수율 평가
상기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 1의 차 추출물의 녹차 잎 대비 수율을 아래 표에 나타내었다. 수율을 구하는 식은 아래 수학식 1과 같다.
[수학식 1]
수율= (분말 형태로 수득한 추출물의 중량/건조 녹차 잎)×100
실시예 1 실시예 2
수율 18% 20%
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저온로 추출하여 차 추출물을 제조하는 경우 컬럼식 추출기로 사용하면 수율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시험예 2] 카테킨 함량 비교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 1의 차 추출물에 대해 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카테킨 및 카페인 함량을 분석하였다. 실시예 2를 정량 분석한 크로마토그램을 도 1에 나타내었고, 실시예 2와 비교예 1에 대한 결과를 비교하여 아래 표에 나타내었다.
번호 머무른 시간(분) 농도 (㎍/g) 화합물
실시예 2 비교예 1
1 5.064 13714 17319 갈로카테킨
2 7.434 114834 137925 에피갈로카테킨
3 10.147 7611 8932 카테킨
4 11.436 43949 57402 카페인
5 17.012 21866 28508 에피카테킨
6 18.195 15912 47871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
7 22.132 - - 갈로카테킨 갈레이트
8 34.130 - 8878 에피카테킨 갈레이트
9 36.056 - - 카테킨 갈레이트
또한, 상기 결과를 바탕으로 실시예 2와 비교예 1에 포함된 총 8종의 카테킨 대비 4종의 비-갈레이트체 비율을 계산하였다. 비율을 구하는 식은 아래 수학식 2와 같으며, 그 결과는 아래 표와 같다.
[수학식 2]
비-갈레이트체 비율 = 비-갈레이트 카테킨 4종의 농도 / 총 카테킨 8종의 농도
실시예 2 비교예 1
수율 91% 77%
상기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실시예 2는 총 카테킨 중 비-갈레이트체의 비율이 비교예 1보다 높아 온화한 차 맛을 지니게 된다.
[시험예 3] 아미노산 분석
실시예 3 및 비교예 1의 차 추출물에 대해 액체크로마토그래피로 아미노산 함량을 분석 하였다. 실시예 3을 정량 분석한 크로마토그램을 도 2에 나타내었고, 실시예 3과 비교에 1에 대한 결과를 비교하여 아래 표에 나타내었다.
분석 항목(㎍/g) 실시예 3 비교예 1
엘-테아닌 - -
가바(GABA) 279.7 -
글라이신 89.9 -
상기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실시예 3에는 비교예 1에서 검출되지 않은 아미노산인 가바(GABA)와 글라이신(glycine)이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상기 아미노산들은 중요한 신경 전달 물질로써 신체에 유익한 작용을 하며, 특히 가바는 혈압 상승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실시예 3의 차 추출물을 대상에 적용하면 건강 상태를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시험예 4] 용해도 평가
실시예 3과 비교예 1에서 수득한 차 추출물 1g을 종이에 고르게 펴서 준비하였다. 25℃의 100ml 정제수를 담은 용기의 정제수 수면 위에, 준비한 실시예 3과 비교예 1의 차 추출물을 도포하고 1분간 그대로 두었다. 이후 30초 동안 초당 1회 속도로 유리봉으로 저어주면서 육안으로 볼 때 차 추출물이 완전히 용해되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아래 표에 나타내었다.
구분 완전히 용해되는 시간
실시예 3 2분 20초
비교예 1 30분 이상
상기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실시예 3의 용해도가 비교예 1에 비해 현저히 뛰어났다. 용해 후 0.45μm 필터로 용액을 여과시킨 다음, 필터에 남은 잔여 물질 역시 실시예 3이 비교예 1보다 훨씬 적었으며, 투명도 또한 실시예 3이 비교예 1에 비해 우수하였다.
[시험예 5] 향기 성분 분석
실시예 3과 비교예 1의 차 추출물 210mg을 5ml 증류수에 혼합하고 90℃의 플레이트에 담아 휘발되는 향기 성분을 고체상 마이크로 추출(SPME) 방식으로 가스크로마토그래피 분석 하였다. 향기 성분의 표준액에 대한 가스크로마토그램은 도 3과 같으며, 향기 성분의 머무름 시간을 아래 표 6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과 비교예 1을 정량 분석한 가스크로마토그램을 각각 도 4와 도 5에 나타내었으며, 그 결과 수치를 아래 표 7에 나타내었다.
머무른 시간(분) 화합물
17.085 시스-3-헥센-1올
18.262
18.764
리나루 옥사이드
19.892 리날노올(Linalool)
21.516 IS(internal standard)
22.106 알파 터피네올
23.815 제라니올
25.864 트렌스-네로리돌
물질 머무른 시간
(분)
피크 면적 농도(ng/ml) 차이(실시예 3/비교예 1)
실시예3 비교예1 실시예3 비교예1
리날로올 19.895 40761263 25113121 3960 2490 162.3%
알파 터피네올 22.103 11682454 6056137 162 84 192.9%
제라니올 23.818 18056462 8816917 233 112 204.8%
트렌스-네로리돌 25.866 26757504 5872626 4.3 0.9 455.6%
차의 주요 향기 성분 중 감각 역치(sensory threshold)가 낮아 사람이 즉각 구별이 가능한 성분으로는 리날로올, 제라니올이 대표적이다.
실시예 3은 비교예 2에 비해 향기 성분들을 유의미하게 많이 포함하고, 특히 차에 신선한 풍미 및 감칠 맛을 부여하는 리날로올과 제라니올을 1.5배 이상 많이 포함함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고온 추출 방법으로 제조된 비교예 1은 차 고유의 향기를 상당량 소실하여 음용시 향기를 느끼기 어려운 반면, 저온 추출 방법으로 제조한 실시예 3은 차의 고유한 향기 성분을 지니고 있어 음용시 진한 향기를 느낄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차의 향기와 차 맛의 조화 등에 좌우되는 감성 품질 상승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시험예 6] 차 추출물의 색도 분석
실시예 3과 비교예 1의 분말 형태 차 추출물에 대해 색차계(CR-400, 미놀타)로 L*a*b* 색차값을 각각 측정하였다. 또한 각각의 차 추출물 1g을 25℃의 정제수 200ml에 용해하여 액상의 투과 색상을 색차계(CM-2600, 미놀타)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아래 표에 나타내었다.
구분 분말 액상
L a b L a b
실시예 3 79.31 -2.91 12.90 66.27 -10.32 23.76
비교예 1 70.08 -0.02 5.39 47.92 -7.70 8.6
L : 양의 값 일수록 백색도, 음의 값 일수록 흑색도
a : 양의 값 일수록 적색도, 음의 값 일수록 녹색도
b : 양의 값 일수록 황색도, 음의 값 일수록 청색도
상기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분말의 경우, 실시예 3의 L 수치가 비교예 1의 L 수치보다 양의 값으로 크고 a 수치는 음의 값으로 크므로, 실시예 3이 비교예 1에 비해 신선한 차 잎을 우린 색상에 가까움을 알 수 있다. 액상의 경우에도, 실시예 3의 색상이 비교예 1에 비해 녹색도와 황색도가 높음과 동시에 밝은 색상을 나타내어, 분말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비교예 1보다 차 잎을 우린 것과 유사한 색상을 가짐을 알 수 있다.
[시험예 7] 감성 품질 평가
감성 품질 평가 전문 패널인 건강한 성인 남녀 10명(여자 6명, 남자 4명)을 대상으로 실시예 3과 비교예 1의 맛과 향에 대한 감성 품질 평가를 수행하였다.
각각의 차 추출물 480mg을 25℃ 정제수 200ml에 완전히 용해하여 제공하고 5가지의 평가 항목에 대해 9점제로 강도와 선호도를 평가하게 하였다. 제공 순서는 무작위로 하였으며, 감성 품질 전문 평가실의 빛의 색을 녹색으로 하여 수색의 차이에 의한 편견을 없앴다. 평가 항목으로는 1. 차 향, 2. 차의 떫은 맛, 3. 차의 감칠맛, 4. 용액의 두께감(질감), 5. 차 맛과 향의 조화감이었다. 그 결과를 아래 표에 나타내었다.
감성 품질 평가시 강도에 대한 표현
강도 특성
1 매우 약함
2 다소 약함
3 약함
4 약간 약함
5 보통
6 약간 강함
7 강함
8 다소 강함
9 매우 강함
감성 품질 평가시 선호도에 대한 표현
선호도 특성
1 매우 싫어한다
2 다소 싫어한다
3 싫어한다
4 약간 싫어한다
5 좋지도 싫지도 않다
6 약간 좋아한다
7 좋아한다
8 다소 좋아한다
9 매우 좋아한다
평가결과
평균점수
(n=10)
1 2 3 4 5
강도 선호도 강도 선호도 강도 선호도 강도 선호도 강도 선호도
실시예 3 4.4 5.0 3.9 6.2 4.1 5.0 4.8 5.1 6.3 6.3
비교예 1 3.3 3.9 6.7 3.5 3.6 3.5 5.4 4.7 4.1 4.1
차이 1.1 1.1 -2.8 2.7 0.5 1.5 -0.6 0.4 2.2 2.2
상기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실시예 3이 비교예 1에 비해 차 향 및 차 맛과 차 향의 조화감의 강도가 상당히 높았고, 감칠 맛의 강도는 다소 높았다. 반면 차의 질감은 다소 낮았으며, 떫은 맛은 크게 낮아졌다. 실시예 3이 비교예 1에 비하여 차 맛과 향의 조화감이 높은 것으로 미루어 볼 때, 떫은 맛과 감칠 맛의 비율이 뛰어난 것으로 생각된다. 5 가지 항목 모두 실시예 3이 비교예 1에 비해 바람직한 방향으로 점수를 획득하였고 선호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제형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제형으로 응용 가능하고,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형예 1] 기호 음료의 제조
차 추출물................1000 ㎎
구연산...................1000 ㎎
올리고당...................100 g
타우린.......................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900 ㎖
통상의 기호 음료 제조 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다.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ℓ 용기에 취득한 후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하여 본 발명의 기호 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제형예 2] 화장수
배합 성분 함량(중량%)
차 추출물 1.0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2.0
프로필렌글리콜 2.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피이지-12 노닐페닐에테르 0.2
폴리솔베이트 80 0.4
에탄올 10.0
트리에탄올아민 0.1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제형예 3] 산제의 제조
차 추출물.........................100 mg
유당..............................100 mg
탈크...............................10 mg
유지.................................5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Claims (13)

  1. 차(tea) 잎을 25℃ 내지 40℃에서 추출하는 추출 단계;
    상기 차 추출물을 농축시키는 농축 단계;
    상기 농축된 차 추출물을 고형화하는 고형화 단계; 및
    상기 고형화된 차 추출물을 상기 농축 단계에서 발생한 농축 여액과 혼합하는 혼합 단계를 포함하는 차 추출물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추출은 컬럼식 추출기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차 추출물 제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추출 단계 전에, 차 잎을 60℃ 내지 300℃에서 열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 추출물 제조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농축은 4℃ 내지 50℃의 온도 및 1 내지 100 mmHg 감압 조건에서 이루어지는 차 추출물 제조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농축은 농축 전 부피 대비 10 내지 30 부피%가 되도록 이루어지는 차 추출물 제조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혼합 단계는 고형화된 차 추출물 및 농축 여액과 덱스트린을 혼합하는 것인 차 추출물 제조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혼합 단계를 거쳐 제조된 차 추출물은 가바 및 글라이신 중 1 이상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차 추출물 제조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고형화 단계는 분말, 과립 및 세립 중 하나 이상의 형태로 제조하는 것인 차 추출물 제조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한 차 추출물.
  10. 제 9 항에 있어서,
    차 추출물은 리날로올의 농도가 3,000 ng/ml 이상 및 제라니올의 농도가 150 ng/ml 이상인 것 중 적어도 하나를 만족하는 차 추출물.
  11. 제 9 항에 따른 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12. 제 9 항에 따른 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13. 제 9 항에 따른 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품 조성물.
KR1020110023449A 2011-03-16 2011-03-16 차의 맛, 향 및 용해성이 우수한 차 추출물 제조 방법 KR1018524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3449A KR101852441B1 (ko) 2011-03-16 2011-03-16 차의 맛, 향 및 용해성이 우수한 차 추출물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3449A KR101852441B1 (ko) 2011-03-16 2011-03-16 차의 맛, 향 및 용해성이 우수한 차 추출물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5800A KR20120105800A (ko) 2012-09-26
KR101852441B1 true KR101852441B1 (ko) 2018-04-27

Family

ID=47112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3449A KR101852441B1 (ko) 2011-03-16 2011-03-16 차의 맛, 향 및 용해성이 우수한 차 추출물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24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50877A1 (ja) * 2019-06-10 2020-12-17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乳成分を含有する茶飲料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13086B2 (ja) * 2001-09-10 2006-08-23 韓国原子力研究所 食品、医薬品及び化粧品製造用天然物の高純度精製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13086B2 (ja) * 2001-09-10 2006-08-23 韓国原子力研究所 食品、医薬品及び化粧品製造用天然物の高純度精製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50877A1 (ja) * 2019-06-10 2020-12-17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乳成分を含有する茶飲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5800A (ko) 2012-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9407B1 (ko) 개다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20200057677A (ko) 청호, 병풀 및 녹차의 혼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상태 개선 방법
JP2006298857A (ja) 育毛剤および育毛用キット
JP4000283B2 (ja) 甘草油性抽出物の可溶化組成物、並びに飲料、液状調味料、化粧品及び医薬部外品
KR101253433B1 (ko) 차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해 수득된 차수
KR20100026835A (ko) 염증 억제능을 갖는 녹차 산성 다당체 및 이를 함유하는 항염 조성물
KR101125225B1 (ko)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2543552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472974B1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852441B1 (ko) 차의 맛, 향 및 용해성이 우수한 차 추출물 제조 방법
JP5702961B2 (ja) グルタチオン産生促進剤及びグルタチオン産生促進作用を有する医薬品
KR20150019680A (ko) 피부 재생, 주름개선, 및 항산화용 조성물
KR102371419B1 (ko) 신규한 퀘르세틴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2406037B1 (ko) 삼치가수분해물의 항노화 효과 및 삼치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577528B1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220154270A (ko) 검정말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102011639B1 (ko) 해방풍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CN108697143B (zh) 包含3-o-棓酰-3,3’,5,5’,7-五羟基黄烷的保湿用组合物
KR101964837B1 (ko) 쇄양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556146B1 (ko) 아그배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102408566B1 (ko) 터미날리아 비아라타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394640B1 (ko) 후발효차 유래의 신규한 캄페롤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2553245B1 (ko) 녹악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노화 억제용 조성물
KR102247330B1 (ko) 범꼬리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 및 항산화용 조성물
KR102218472B1 (ko) 개싱아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