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0686B1 - Spoon - Google Patents

Spo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0686B1
KR101850686B1 KR1020160028331A KR20160028331A KR101850686B1 KR 101850686 B1 KR101850686 B1 KR 101850686B1 KR 1020160028331 A KR1020160028331 A KR 1020160028331A KR 20160028331 A KR20160028331 A KR 20160028331A KR 101850686 B1 KR101850686 B1 KR 1018506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spoon
hand
fixing
pl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83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105292A (en
Inventor
윤시원
Original Assignee
윤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시원 filed Critical 윤시원
Priority to KR1020160028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0686B1/en
Publication of KR20170105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529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0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0686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4Spoons; Pastry ser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021/002Table-ware collapsi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04For person with a handicap
    • A47G2200/046For person with a handicap of holding or grasping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숟가락은 중앙이 오목하게 형성된 머리부; 일단이 상기 머리부의 단부에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몸체부; 상기 머리부와 상기 몸체부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머리부를 상기 몸체부로부터 회동시키는 회동부; 및 상기 몸체부의 타단에 결합되어 파지가 가능하도록 형성된 파지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숟가락에 의하면, 머리부가 회동부를 통해 회동할 수 있어, 원하는 각도로 조절이 가능하며, 몸체부의 신축부재를 통하여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사용자 개개인에게 맞추어 각도 및 길이를 조정하여 사용 할 수 있다.
또한 파지바와 고리에 손을 걸어 간편하게 파지할 수 있어, 손에 힘이 없는 사용자도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하며, 몸체부와 연결부재, 파지바 및 고리가 일체로 형성되어 제작 효율이 높다.
또한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손을 지지판에 고정시킴으로써 파지할 수 있어, 손에 힘이 없는 사용자도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하며, 밸크로 테이프로 구성된 고정부재로 사용자의 손 크기에 맞추어 고정이 가능하다.
The spo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head portion having a concave central portion; A body part detachably coupled to an end of the head part; A pivoting part rotatably coupled between the head part and the body part to rotate the head part from the body part; And a grip portion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body portion and configured to be gripped.
According to the spo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d can be pivoted through the rotary part, and the angle can be adjusted to a desired angle. The length can be adjusted through the elastic member of the body part so that the angle and length can be adjusted .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grasp the grip bar and the hand easily, so that a user who does not have the strength of the hand can be used stably, and the body part, the connecting member, the grip bar and the ring are integrally formed.
Also, it can be gripped by fixing the hand on the supporting plate by using the fixing member, so that the user who does not have the strength of the hand can use it stably, and the fixing member composed of the belt tape can be fix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user's hand.

Description

숟가락{Spoon}Spoon {Spoon}

본 발명은 숟가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회동이 가능하고 파지하기가 쉬운 숟가락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o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spoon which is rotatable and easy to grasp.

일반적으로 숟가락은 움푹한 머리 부분을 이용하여 음식을 먹을 때 사용하는 것으로,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가 구비되어 손잡이를 잡고, 머리부분에 음식을 담아 입으로 이동시킨다. In general, a spoon is used to eat food with a hollow head. It has a handle for gripping, holding the handle, and moving food into the mouth by the head.

상기한 바와 같은 숟가락은 손잡이를 파지하여 음식을 운반하여야하므로, 환자, 장애인, 어린이, 노인 등과 같이 손가락에 힘이 없는 사람들은 손잡이를 파지하기 어려워 음식을 담아 이동시키는데 불편함이 발생한다.Since the spoon as described above has to carry the food by holding the handle, people who do not have the power of the finger, such as the patient, the disabled person, the child, the elderly, etc., are hard to grasp the handle.

상기한 바와 같은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한 숟가락에 관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4-0027754호가 개시되어있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4-0027754 discloses a spoon-related technique for solving the above inconvenience.

하지만, 종래의 손바닥 파지식 숟가락은 손가락을 고리에 걸어 힘을 줘 쥐어야하므로 선택된 손가락에 힘을 주어야 사용할 수 있다는 불편함이 있다.However, a conventional palm-fingernail spoon has a disadvantage that it is necessary to apply force to the selected finger because the finger must be grasped by hooking the finger to the collar.

한편, 숟가락의 음식을 담는 머리와 손잡이가 일직선상에 위치하여 음식을 입으로 이동시킬 시, 손목을 구부려 사용해야 한다. 따라서 숟가락의 사용방법이 익숙하지 않거나, 손목의 사용이 어려운 환자 등에게는 불편하다.On the other hand, the head and the handle of the spoon are placed on a straight line, and when the food is moved to the mouth, the wrist should be bent and used. Therefore, it is inconvenient for patients who are not accustomed to using the spoon or who have difficulty using the wrist.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손가락 및 손목의 사용이 불편한 사람들도 쉽게 파지하여 음식을 이동시킬 수 있는 숟가락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poon which can easily grasp people who are inconvenient to use fingers and wrists and move food.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숟가락은, 중앙이 오목하게 형성된 머리부; 일단이 상기 머리부의 단부에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몸체부; 상기 머리부와 상기 몸체부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머리부를 상기 몸체부로부터 회동시키는 회동부; 및 상기 몸체부의 타단에 결합되어 파지가 가능하도록 형성된 파지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poon comprising: a head having a concave center; A body part detachably coupled to an end of the head part; A pivoting part rotatably coupled between the head part and the body part to rotate the head part from the body part; And a grip portion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body portion and configured to be gripped.

여기서 상기 머리부는, 중앙이 오목하게 형성된 머리부 몸체와, 상기 머리부 몸체의 하측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head unit may include a head body having a concave center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head body.

또한 상기 머리부는, 상기 몸체부는, 길이조정이 가능하도록 신축가능한 신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dy may further include a stretchable member that can be stretched to adjust the length.

또한 상기 파지부는, 상기 몸체부의 타단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연결부재와, 일단이 상기 연결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몸체부와 이격되어 상기 몸체부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파지바와, 상기 파지바의 타단에 형성되어 중앙이 관통된 홀이 형성된 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The gripping bar may include a connecting member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other end of the body portion, a gripping ba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connecting member and spaced apart from the body portion and disposed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ody portion, And a ring having a hole formed at the other end thereof and passing through the center.

또한 상기 파지부는, 상기 몸체부, 상기 연결부재, 상기 파지바 및 상기 고리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grip portion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dy portion, the connecting member, the grip bar, and the ring.

또한 상기 고리는, 관통된 홀의 하측에 형성되고, 중심부가 오목한 형상인 곡면으로 구성되는 받침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ring may further include a base plate formed on a lower side of the through hole and formed of a curved surface having a concave central portion.

또한 상기 파지부는, 상기 몸체부의 타단에 결합되고, 판으로 형성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에 결합하여 손을 상기 지지판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 할 수 있다.The grip portion may include a support plate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body portion and formed of a plate, and a fixing member coupled to the support plate and fixing the hand to the support plate.

또한 상기 지지판는, 손바닥 형상으로 형성된 손바닥 판과, 상기 손바닥판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복수개의 손가락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support plate includes a palm-shaped plate formed in a palm-like shape, and a plurality of finger plates protruding from the palm-shaped plate.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손가락판의 일단에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손가락의 일부를 끼우도록 내부공간이 형성된 복수개의 보조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ixing member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auxiliary fixing members formed to protrude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one end of the finger plate and having an inner space to hold a part of the finger.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밸크로 테이프로 구성되어 손을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fixing member is constituted by a belt tape and the hands are selectively fixed.

또한 상기 파지부는, 상기 몸체부의 타단이 삽입가능하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파지관과, 일단이 상기 파지관에 결합하고, 타단이 상기 일단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복수개의 고정끈홀이 형성된 고정끈을 포함할 수 있다.The gripping portion may include a gripping tube having a space formed therein to allow the other end of the body portion to be inserted therein, a fixing portion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gripping tube and the other end selectively coupled to the one end, It may include a string.

본 발명에 따른 숟가락에 의하면, 머리부가 회동부를 통해 회동할 수 있어, 원하는 각도로 조절이 가능하며, 몸체부의 신축부재를 통하여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사용자 개개인에게 맞추어 각도 및 길이를 조정하여 사용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po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d can be pivoted through the rotary part, and the angle can be adjusted to a desired angle. The length can be adjusted through the elastic member of the body part so that the angle and length can be adjusted .

또한 머리부가 몸체부에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사용자의 편의에 맞추어 다른 크기의 머리부나 다른 형상의 머리부로 교체가 가능하여 활용성이 높다.In addition, the head par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body part, so that it is possible to replace the head part having a different size or the head part having a different shape in accordance with the user's convenience.

또한 머리부의 하측으로 돌출된 돌기가 음식을 섭취할 때 혀에 닿아, 혀에 자극을 줄 수 있으며, 맛을 느끼는데 도움을 준다. In addition, the protrusion projecting to the underside of the head touches the tongue when the food is ingested, can stimulate the tongue, and helps to taste.

더불어 파지바와 고리에 손을 걸어 간편하게 파지할 수 있어 손에 힘이 없는 사용자도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하며, 몸체부와 연결부재, 파지바 및 고리가 일체로 형성되어 제작 효율이 높다.In addition, the user can easily grasp the grip bar and the ring, so that a user who does not have the power of the hand can use the machine steadily, and the body part, the connecting member, the grip bar and the ring are integrally formed.

또한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손을 지지판에 고정시킴으로써 파지할 수 있어 손에 힘이 없는 사용자도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하며, 밸크로 테이프로 구성된 고정부재로 다양한 손 크기에 맞추어 고정이 가능하다. Also, it can be gripped by fixing the hand to the supporting plate by using the fixing member, so that the user who does not have the strength of the hand can use it stably, and the fixing member composed of the belt tape can be fixed to various hand sizes.

그리고 고정끈을 이용하여 파지관을 파지한 손을 고정시킬 수 있어, 손에 힘이 없는 사용자도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하며, 밸크로 테이프로 구성된 고정끈으로 다양한 손 크기에 맞추어 고정이 가능하다. 또한 고정끈 및 파지관을 따로 휴대하여, 일반적인 숟가락에도 적용이 가능하여 휴대성 및 활용성이 높다.Also, it is possible to fix the hand holding the gripping tube by using the fixing strap, so that the user who does not have the strength of the hand can use it stably, and it can be fixed to various hand sizes with the fixing strap composed of the belt tape. Also, it is portable and usable because it can be applied to a common spoon by carrying a fixing strap and a grip tube separately.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숟가락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숟가락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숟가락의 오른손을 이용한 사용상태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숟가락의 왼손을 이용한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숟가락의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poo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spoon shown in FIG. 1,
FIG. 3 is a state of use of a spoo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spoon shown in FIG. 3 using the left hand,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spoon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should appropriately interpret the concepts of the terms appropriately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균등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no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Therefore,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ations can be made.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숟가락(10)은 음식을 담아 이동시키는 것으로, 머리부(100), 몸체부(200), 회동부(300)및 파지부(40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spoon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ead part 100, a body part 200, a turning part 300, (400).

상기 머리부(100)는 음식이 담기는 곳으로, 중앙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머리부(100)는 머리부 몸체(110)와 돌기(120)를 포함한다.The head part (100) is a place where food is contained, and the center is concave. The head part 100 includes a head body 110 and a protrusion 120. [

상기 머리부 몸체(110)는 중앙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중앙이 오목한 상면에 음식이 안착된다. 상기 머리부 몸체(110)는 식사용, 음료용, 후식용 등으로 크기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The head body 110 is concaved at the center, and the food is seated on the concave upper surface at the center. The head body 110 may be formed in different sizes such as for eating, drinking, and eating.

상기 돌기(120)는 상기 머리부 몸체(110)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복수개가 형성된다. 상기 돌기(120)는 상기 머리부 몸체(110)의 전단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돌기(120)는 사용자가 상기 머리부(100)를 이용하여 음식을 섭취할 때 혀에 닿아, 혀를 자극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돌기(120)를 통하여 혀를 자극하여, 맛을 느끼는데 효과적일 수 있다. 상기 돌기(120)는 상기 머리부(100)의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기 머리부(100)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적용시킬 수도 있다. The protrusions 120 protrude downward from the head body 110,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120 are formed. It is preferable that the protrusion 120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head body 110. The protrusion 120 contacts the tongue when the user uses the head 100 to take food, It can stimulate. Therefore, it is effective to stimulate the tongue through the protrusion 120 and to feel the taste. The protrusion 120 may protrude downward from the head 100, but may protrude upward from the head 100.

한편 상기 머리부(100)는 상기 머리부 몸체(110)의 크기와 형상에 따라 복수개를 구비할 수 있으며, 복수개를 동시에 휴대하여 교체함으로써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머리부(100)를 용도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여 사용할 수 있어, 활용성이 좋다. The head part 1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head parts 110 according to the size and shape of the head part body 110, Therefore, the head unit 100 can be used appropriately in accordance with the application, and the usability is good.

상기 몸체부(200)는 일단이 상기 머리부(100)의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머리부(100)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한다. 즉 상기 몸체부(200)와 상기 머리부(100)는 선택적으로 분리할 수 있으며, 상기 머리부(100)로부터 상기 몸체부(200)를 분리하여 다른 크기 및 형태의 머리부(100)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부연하면, 상기 몸체부(200)와 상기 머리부(100) 사이에서 상기 몸체부(200)와 상기 머리부(100)를 결합시키는 후술(後述) 할 회동부(300)를 통하여 분리가능 한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하지만 상기 회동부(300)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몸체부(200) 및 상기 회동부(300)에 분리시키기 위한 추가적 구성을 더 구비함으로써 분리 가능하도록 적용 할 수도 있을 것이다.One end of the body part 200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head part 100 a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head part 100. That is, the body part 200 and the head part 100 can be selectively separated, and the body part 200 can be separated from the head part 100 and replaced with the head parts 100 having different sizes and shapes Can be used. The body part 200 and the head part 100 can be separated through the rotating part 300 to be described later (described later) between the body part 200 and the head part 100 Lt; / RTI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rotary unit 300, but may be applied to separate the body unit 200 and the rotary unit 300 by further having an additional structure for separating the body unit 200 and the rotary unit 300.

상기 몸체부(200)는 신축 가능한 신축부재(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신축부재(210)는 상기 몸체부(200)에 형성되어, 길이조절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신축부재(210)를 신장 및 수축시켜 사용자에게 적절한 길이로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축부재(210)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바라(Jabara)식으로 신축하여 길이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2단 및 3단으로 길이조절을 할 수 있도록 변경하여 적용할 수 도 있을 것이다. The body part 200 may further include a stretchable member 210 that can be stretched. Referring to FIG. 2, the elastic member 210 is formed on the body 200, and the length thereof is adjustable. Therefore, the stretchable member 210 can be stretched and contracted and adjusted to a length suitable for the user. As shown in the figure, the stretchable member 210 may be stretched and expanded in a Jabara style to adjust its length. However, the stretchable member 210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changed in two or three stages It can also be applied.

상기 회동부(300)는 상기 머리부(100)를 상기 몸체부(200)로부터 회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머리부(100)와 상기 몸체부(200) 사이에 결합된다. 즉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을 통해 회동할 수 있다. 상기 회동부(300)를 통하여 상기 머리부(100)를 상기 몸체부(200)로 부터 회동시킬 수 있으며, 상기 머리부(100)를 원하는 각도로 회동시켜 사용자에게 적절한 각도로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시 회동부(300)를 이용하여 회동시킴으로써, 왼손 및 오른손에 모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The rotary unit 300 rotates the head unit 100 from the body unit 200 and is coupled between the head unit 100 and the body unit 200. In other words, as shown in the figure, it can be rotated through the shaft. The head unit 100 can be rotated from the body unit 200 through the rotary unit 300 and the head unit 100 can be rotated at a desired angle to adjust the angle to the user . In addition, it can be applied to both the left hand and the right hand by pivoting using the constantly rotating unit 300.

상기 파지부(400)는, 상기 몸체부(200)의 타단에 결합되어 파지가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즉 사용자는 상기 파지부(400)를 파지하여 숟가락(10)을 이동 시킬 수 있다. 상기 파지부(400)는 연결부재(410), 파지바(420) 및 고리(430)를 포함한다.The grip portion 400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body portion 200 to be gripped. That is, the user can move the spoon 10 by gripping the gripper 400. The grip portion 400 includes a connecting member 410, a grip bar 420, and a ring 430.

상기 연결부재(410)는 상기 몸체부(200)의 타단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것으로 후술(後述) 할 파지바(420)와 상기 몸체부(200)를 연결한다.The connecting member 410 extends vertically at the other end of the body 200 to connect the body 220 with the grip bar 420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파지바(420)는 일단이 상기 연결부재(410)와 연결되고, 상기 몸체부(200)와 이격되고, 상기 몸체부(200)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파지바(420)와 상기 몸체부(200)의 이격된 사이의 공간으로 엄지를 제외한 손가락을 삽입시킨 후, 상기 파지바(420)를 감싸 쥐어 파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파지바(420)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직선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손가락의 형상과 대응하여 파지감을 높여주도록 굴곡이 형성될 수도 있다. One end of the grip bar 42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member 410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body part 200 and disposed horizontally in the body part 200. Therefore, a finger may be insert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grip bar 420 and the body part 200 except for the thumb, and then the grip bar 420 may be held and gripped. Meanwhile, the grip bar 420 is preferably straight as shown in the drawing,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grip bar 420 may be curved to increase the grip feeling in correspondence with the shape of the finger.

상기 파지바(42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부재(421)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보호부재(420)는 상기 파지바(420)의 길이와 형태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파지바(420)의 외측둘레를 따라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보호부재(420)는 탈부착 가능하도록 벨크로 테이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호부재(421)는 코튼(Cotton)소재 및 스펀지(Sponge)소재 등으로 구성하여, 파지 시 손(h)에 무리를 주지 않고 편안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해준다. The grip bar 420 may further include a protection member 421 as shown in the figure and the protection member 420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length and shape of the grip bar 420, Along the outer perimeter of the bar 420. 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protective member 420 is made of a Velcro tape so that it can be removably attached thereto. The protection member 421 is made of a cotton material and a sponge material so that the protection member 421 can be gripped comfortably without giving any strain to the hand h when grasping.

상기 고리(430)는 상기 파지바(420)의 타단에 형성된 고리 형상으로, 중앙이 관통된 홀(430h)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리(430)의 홀(430h)에 엄지손가락을 넣어 파지한다. 상기 고리(430)는 받침판(431)을 더 포함 할 수 있다.The ring 430 has an annular shape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grip bar 420 and a hole 430h penetrating through the center. Therefore, the thumb 430 is held in the hole 430h of the ring 430 by grasping. The ring 430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plate 431.

상기 받침판(431)은 관통된 구멍(430h)의 하측에 형성되어 중심부가 오목한 형상인 곡면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받침판(431)의 상측에 엄지손가락이 안착될 수 있으며, 엄지손가락을 받쳐줌으로써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다.The support plate 431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through hole 430h and has a curved surface with a central concave shape. That is, the thumb plate can be se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receiving plate 431 and can be held conveniently and stably by supporting the thumb.

한편 상기 몸체부(200), 상기 연결부재(410), 상기 파지바(420) 및 상기 고리부(430)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숟가락(10)의 제작이 간편하여 제조효율이 높다. The body portion 200, the connecting member 410, the grip bar 420, and the ring portion 430 are integrally formed. Therefore, the production of the spoon (10) is simple and the production efficiency is high.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숟가락(10)을 도 3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숟가락의 사시도와, 사용 상태도이다. 여기서 도 1 내지 도 2에 나타낸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 및 작용을 하는 동일부재이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 spoon 10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Fig. 3 and 4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use state view of a spoo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in Figs. 1 and 2 denote the same members having the same constitution and function, and therefore repetitiv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숟가락(10)의 파지부(400)는 지지판(440)과 고정부재(450)를 포함한다.The grip portion 400 of the spoon 1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plate 440 and a fixing member 450.

상기 지지판(440)은 상기 몸체부(200)의 타단에 결합되고, 판으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판(440)은 손바닥판(441)과 손가락판(442)을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 plate 440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body 200 and is formed of a plate. The support plate 440 may include a palm plate 441 and a finger plate 442.

상기 손바닥판(441)은 손바닥 형상으로, 넓게 형성된 판이다. 따라서 상기 손바닥판(441)에 손바닥을 위치시킬 수 있다.The palm plate 441 is a palm-shaped, broadly formed plate. Accordingly, the palm may be positioned on the palm plate 441.

상기 손가락판(442)은 상기 손바닥판(441)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며 복수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손가락판(442)은 상기 손바닥판(441)으로부터 엄지손가락의 위치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된 것과, 상기 손바닥판(441)으로부터 중지손가락의 위치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된 구성을 포함한 2개의 손가락판(442)으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그 개수 및 위치는 적절하게 변경 가능할 것이다. 부연하면, 상기 손가락판(442)은 상기 손바닥판(441)으로부터 검지손가락 및 약지손가락의 위치가 돌출된 구성, 상기 손바닥판(441)으로부터 엄지 손가락 및 검지손가락의 위치가 돌출된 구성 등으로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손가락판(442)의 개수 및 위치를 다양하게 구성함으로써, 일부 손가락의 사용이 불편한 사용자의 편의에 맞추어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필요한 손가락판(442)의 개수 및 위치가 적용된 구성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The finger plate 442 protrudes from the palm plate 441, and a plurality of finger plates 442 are preferably provided. 3 and 4, the finger plate 442 is formed so as to protrude from the palm plate 441 at the position of the thumb, and to be protruded from the palm plate 441 at the position of the stop finger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number and position of the two finger plates 442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The finger plate 442 is configured such that the positions of the index finger and the finger finger are protruded from the palm plate 441 and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positions of the thumb and the index finger are protruded from the palm plate 441 . By configuring the number and positions of the finger plates 442 variously,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use some fingers in accordance with the convenience of the user who is inconvenienced. That is, the user can select and use the configuration to which the required number and position of the finger plates 442 are applied.

상기 고정부재(450)는 상기 지지판(440)에 결합하여 손(h)을 상기 지지판(440)에 고정시킨다. 상기 고정부재(450)는 상기 손바닥판(441)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450)는 밸크로 테이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밸크로 테이프의 암수결합에 의하여 손(h)을 선택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450)는 벨크로 테이프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길이조정이 가능한 다른 구성으로 적용가능 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재(450)를 이용하여 손(h)의 크기에 상관없이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The fixing member 450 is engaged with the support plate 440 to fix the hand h to the support plate 440. Preferably, the fixing member 450 penetrates the palm plate 441. Further, the fixing member 450 is preferably composed of a belt tape, and the hand h can be selectively fixed by male and female coupling of the belt tape. The fixing member 450 may be a Velcro tap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refore, the fixing member 450 can be easily fixed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hand h.

더불어 상기 고정부재(450)가 상기 손바닥판(441)을 관통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손바닥판(441)의 양측으로 손(h)을 고정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른손을 사용할 시, 오른손의 손바닥이 상기 손바닥판(441)의 일면과 맞닿도록 고정할 수 있다. 반대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왼손을 사용할 시, 왼손의 손바닥이 상기 손바닥판(441)의 타면과 맞닿도록 고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손바닥판(441)과 상기 고정부재(450)의 사이에 손(h)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재(450)를 상기 손바닥판(441)의 사이에 공간이 생기도록 이동시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재(450)에 의하여, 왼손 및 오른손에 상관없이 고정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고정부재(450)는 보조고정부재(4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xing member 450 penetrates the palm plate 441, so that the hand h can be fixed to both sides of the palm plate 441.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3, when using the right hand, the palm of the right hand can be fixed so as to abut one surface of the palm plate 441. 4, when the left hand is used, the palm of the left hand may be fixed so as to abut the other surface of the palm plate 441. [ That is, the fixing member 450 may be moved between the palm plates 441 so that a space may be formed between the palm plates 441 so as to fix the hand h between the palm plate 441 and the fixing member 450 . Therefore, the fixing member 450 can be fixed regardless of the left and right hands. The fixing member 450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fixing member 451.

상기 보조고정부재(451)는 상기 손가락판(442)의 일단에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손가락의 일부를 끼우도록 내부공간이 형성된다. 즉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가락의 일부를 끼워 손(h)을 상기 지지판(440)에 안정적으로 고정하는데 도움을 준다. 또한 상기 보조고정부재(451)는 손가락판(442)의 개수에 대응하여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The auxiliary fixing member 451 is formed to protrude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one end of the finger plate 442, and an inner space is formed to sandwich a part of the finger. That is, as shown in FIG. 4, a part of the finger is inserted to help securely fix the hand h to the support plate 440. Further, a plurality of auxiliary fixing members 451 may be formed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finger plates 442.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숟가락(10)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숟가락의 사시도이다. 여기서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 및 작용을 하는 동일부재이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spoon 1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spoon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sinc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in Figs. 1 to 4 denote the same components having the same constitution and function, repetitiv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숟가락(10)의 파지부(400)는 파지관(460)과 고정끈(470)을 포함한다.The grip portion 400 of the spoon 1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ripping tube 460 and a fixing strap 470.

상기 파지관(460)은 상기 몸체부(200)의 타단이 삽입가능하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다. 즉 상기 파지관(460)의 내부공간에 상기 몸체부(200)의 타단을 삽입시키고, 상기 파지관(460)의 외측둘레를 감싸 파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지관(460)은 코튼(Cotton)소재 및 스펀지(Sponge) 등으로 구성하여, 파지 시 손(h)에 무리를 주지 않고 편안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한다. A space is formed in the grip tube 460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body part 200 can be inserted. That is, the other end of the body part 200 may be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gripping tube 460, a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gripping tube 460 may be gripped and held. In addition, the gripping tube 460 is made of a cotton material and a sponge so that the gripping tube 460 can be held comfortably without grasping the hand h when grasping.

상기 고정끈(470)은 일단이 상기 파지관(460)의 일단에 결합된다. 상기 고정끈(470)은 끈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끈(470)의 타단이 상기 고정끈(470)의 일단에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끈(470)은, 복수개의 고정끈홀(470h)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고정끈홀(470h)은 상기 몸체부(200)를 관통하여 상기 파지관(460)의 타단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끈홀(470h)은 복수개가 형성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몸체부(200)를 관통할 수 있다.One end of the fixing strap 470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grip tube 460. The fixing strap 470 is formed of a string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fixing strap 470 can selectively engage with one end of the fixing strap 470. Further, the fixed strap 470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xed strap holes 470h. It is preferable that the plurality of fixed cord holes 470h pass through the body 200 and are positioned at the other end of the grip tube 460. A plurality of the fixed cord holes 470h may be formed to selectively penetrate the body portion 200. [

즉 손(h)으로 상기 파지관(460)을 파지한 후, 상기 고정끈(470)의 타단을 당겨 상기 고정끈(470)의 일단에 결합시킴으로써 손(h)을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끈(470)은 밸크로 테이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밸크로 테이프의 암수결합에 의하여 손(h)을 선택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손(h)의 크기에 상관없이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파지 시 손에 힘이 부족하더라도, 상기 고정끈(470)으로 안전하게 고정이 가능하다. 상기 고정끈(270)은 밸크로 테이프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일단과 타단을 선택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다른 소재로 적용가능 할 것이다. 더불어 상기 파지관(460)과 상기 고정끈(470)은 상기 몸체부(200)를 삽입하여 결합시키는 구조로, 상기 파지관(460)과 상기 고정끈(470)만을 따로 휴대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파지관(460)과 상기 고정끈(470)만을 따로 휴대할 수 있어, 휴대성이 높으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숟가락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That is, after gripping the gripping tube 460 with the hand h, the other end of the fixing strap 470 is pulled and engaged with one end of the fixing strap 470, thereby fixing the hand h. The fixing strap 470 is preferably composed of a belt tape, and the hand h can be selectively fixed by male and female coupling of the belt tape. Therefore, it can be easily fixed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hand h, and can be securely fixed by the fixing strap 470 even if the hand is not strong enough in gripping. The fixing strap 270 is not limited to a belt tape but may be applied to other materials capable of selectively fixing one end and the other end. In addition, the grip tube 460 and the fixing strap 470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body part 200 is inserted and coupled. The grip tube 460 and the fixing strap 470 can be carried separately. Therefore, only the gripping tube 460 and the fixing strap 470 can be carried separately, and the portable body can be applied to a generally used spoon.

한편 본 발명은 숟가락(10)은 하나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음식을 입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포크(Fork)나 포크와 숟가락이 같이 형성되어있는 포크스푼(Fork spoon)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적용시킬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상기 머리부(100)의 형상을 포크의 형상 및 포크스푼 등으로 다양하게 구성하여 교체하여 함께 사용할 수 도 있을 것이다.In the meantim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forms such as a fork for moving food into the mouth, a fork spoon in which a fork and a spoon are formed like a spoon, will be. In addition, the shape of the head part 100 may be variously changed from a shape of a fork, a fork spoon, or the like to be used together.

본 발명에 따른 숟가락(10)에 의하면, 머리부(100)가 회동부(300)를 통해 회동할 수 있어, 원하는 각도로 조절이 가능하며, 몸체부(200)의 신축부재(210)를 통하여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사용자 개개인에게 맞추어 각도 및 길이를 조정하여 사용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poon 1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d 100 can be pivoted through the pivoting part 300, and can be adjusted to a desired angle. The spoon 10 can be pivoted through the pivoting member 210 of the body part 200 The length can be adjusted so that the angle and length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individual user.

또한 머리부(100)가 몸체부(200)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사용자의 편의에 맞추어 다른 크기의 머리부(100)나 다른 형상의 머리부(100)로 교체가 가능하여 활용성이 높다.In addition, the head part 10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body part 200, so that the head part 100 of different sizes or the head part 100 of different shapes can be replaced to suit the user's convenience.

또한 머리부(100)의 하측으로 돌출된 돌기(120)가 음식을 섭취할 때 혀에 닿아, 자극을 줄 수 있으며, 맛을 느끼는데 도움을 준다. Also, the protrusion 120 protruding to the lower side of the head part 100 can touch the tongue when eating the food, which can stimulate and help to taste.

더불어 파지바(420)와 고리(430)에 손(h)을 걸어 간편하게 파지할 수 있어, 손(h)에 힘이 없는 사용자도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하며, 몸체부(200)와 연결부재(410), 파지바(420) 및 고리(4300가 일체로 형성되어 제작 효율이 높다.The user can easily grasp the grip bar 420 and the ring 430 by hitting the hand h and easily hold the hand h without any force. ), The grip bar 420 and the ring 4300 are integrally formed, and thus the production efficiency is high.

또한 고정부재(450)를 이용하여 손(h)을 지지판(440)에 고정시킴으로써 파지할 수 있어, 손(h)에 힘이 없는 사용자도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하며, 밸크로 테이프로 구성된 고정부재(450)로 사용자의 손(h) 크기에 맞추어 고정이 가능하다. The user can grip the hand h by fixing the hand h to the support plate 440 by using the fixing member 450 so that the user who has no force on the hand h can be used stably, 450) can be fixed to the size of the user's hand (h).

그리고 고정끈(470)을 이용하여 파지관(460)을 파지한 손(h)을 고정시킬 수 있어, 손(h)에 힘이 없는 사용자도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하며, 밸크로 테이프로 구성된 고정끈(470)으로 다양한 손(h) 크기에 맞추어 고정이 가능하다. 또한 고정끈(470) 및 파지관(460)을 따로 휴대하여, 일반적인 숟가락에도 적용이 가능하여 휴대성 및 활용성이 높다.The user can grasp the hand h holding the gripping tube 460 by using the fixing strap 470 and can stably use the user who does not have the force of the hand h. (470) to be fixed to various hand (h) sizes. In addition, since the fixing strap 470 and the gripping tube 460 are separately carrie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general spoon, which is highly portable and usabl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 : 숟가락 100 : 머리부
110 : 머리부 몸체 120 : 돌기
200 : 몸체부 210 : 신축부재
300 : 회동부 400 : 파지부
410 : 연결부재 420 : 파지바
421 : 보호부재 430 : 고리
430h : 홀 431 : 받침판
440 : 지지판 441 : 손바닥판
442 : 손가락판 450 : 고정부재
451 : 보조고정부재 460 : 파지관
470 : 고정끈 470h : 고정끈홀
h : 손
10: spoon 100: head
110: head body 120: projection
200: body portion 210: elastic member
300: turning unit 400: grip unit
410: connecting member 420: grip bar
421: protective member 430: ring
430h: hole 431:
440: Support plate 441: Palm plate
442: finger plate 450: fixing member
451: auxiliary fixing member 460:
470: Fixed string 470h: Fixed string hole
h: Hands

Claims (11)

중앙이 오목하게 형성된 머리부;
일단이 상기 머리부의 단부에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몸체부;
상기 머리부와 상기 몸체부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머리부를 상기 몸체부로부터 회동시키는 회동부; 및
상기 몸체부의 타단에 결합되어 파지가 가능하도록 형성된 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는, 상기 몸체부의 타단에 결합되고, 판으로 형성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에 결합하여 손을 상기 지지판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판은, 손바닥 형상으로 형성된 손바닥 판과, 상기 손바닥판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복수개의 손가락판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손가락판의 일단에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손가락의 일부를 끼우도록 내부공간이 형성된 복수개의 보조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숟가락.
A head portion concaved in the center;
A body part detachably coupled to an end of the head part;
A pivoting part rotatably coupled between the head part and the body part to rotate the head part from the body part; And
And a grip portion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body portion so as to be gripped,
The gripping portion includes a support plate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body portion and formed of a plate and a fixing member coupled to the support plate and fixing the hand to the support plate,
Wherein the support plate includes a palm-shaped plate formed in a palm-like shape, and a plurality of finger plates protruding from the palm-shaped plate,
Wherein the fixing member comprises a plurality of auxiliary fixing members formed to protrude in a vertical direction on one end of the finger plate and having an inner space formed to sandwich a part of the fing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는,
중앙이 오목하게 형성된 머리부 몸체와,
상기 머리부 몸체의 하측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돌기를 포함하는 숟가락.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ead
A head body having a concave central portion,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projecting downward from the head bod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길이조정이 가능하도록 신축가능한 신축부재를 더 포함하는 숟가락.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ody portion
The spoon further comprises a stretchable member that is stretchable and adjustable in length.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몸체부의 타단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연결부재와,
일단이 상기 연결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몸체부와 이격되어 상기 몸체부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파지바와,
상기 파지바의 타단에 형성되어 중앙이 관통된 홀이 형성된 고리를 포함하는 숟가락.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gripping portion includes:
A connecting member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other end of the body portion,
A gripping ba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connecting member and spaced apart from the main body so as to be horizontally disposed on the main body,
And a hook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grip bar and having a hole penetrating through the center thereof.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몸체부, 상기 연결부재, 상기 파지바 및 상기 고리가 일체로 형성된 숟가락.
The method of claim 4,
The gripping portion includes:
And a spoon in which the body portion, the connecting member, the grip bar, and the ring are integrally formed.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고리는,
상기 관통된 홀의 하측에 형성되고, 중심부가 오목한 형상인 곡면으로 구성되는 받침판을 더 포함하는 숟가락.
The method of claim 4,
The ring may be,
And a base plat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perforated hole, the base plate being composed of a curved surface having a concave central por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밸크로 테이프로 구성되어 손을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숟가락.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spoon that is composed of a velcro tape and that selectively holds the han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몸체부의 타단이 삽입가능하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파지관과,
일단이 상기 파지관에 결합하고, 타단이 상기 일단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복수개의 고정끈홀이 형성된 고정끈을 포함하는 숟가락.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gripping portion includes:
A gripping tube having a space therein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body can be inserted;
And a fixing strap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gripping tube and the other end configured to selectively engage with the one end, wherein the fixing strap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fixed strap holes.
KR1020160028331A 2016-03-09 2016-03-09 Spoon Active KR10185068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8331A KR101850686B1 (en) 2016-03-09 2016-03-09 Spo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8331A KR101850686B1 (en) 2016-03-09 2016-03-09 Spo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5292A KR20170105292A (en) 2017-09-19
KR101850686B1 true KR101850686B1 (en) 2018-04-20

Family

ID=60033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8331A Active KR101850686B1 (en) 2016-03-09 2016-03-09 Spo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068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4984A (en) 2018-08-02 2020-02-12 송주호 Sanitary spo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69481B (en) * 2019-04-25 2020-09-01 永康市美明达工贸有限公司 Coffee spoon with adjustable length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9764Y1 (en) * 2000-08-11 2001-01-15 김명수 Gadget for eating meal for handicapped person
JP2006231081A (en) * 2006-05-15 2006-09-07 Nagatoshi Yasukawa Auxiliary implement for eating and drink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9764Y1 (en) * 2000-08-11 2001-01-15 김명수 Gadget for eating meal for handicapped person
JP2006231081A (en) * 2006-05-15 2006-09-07 Nagatoshi Yasukawa Auxiliary implement for eating and drink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4984A (en) 2018-08-02 2020-02-12 송주호 Sanitary spo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5292A (en) 2017-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22575A (en) Grip-assisting accessory
US20130105662A1 (en) Easily Attachable/Detachable, Multi-Function Support For A Tablet Personal Computer
US6887212B2 (en) Digit-supporting therapeutic device for the hand
US20080178471A1 (en) Novel handle and hand held utensils
KR101850686B1 (en) Spoon
US20120152055A1 (en) Steering wheel for vehicles with ergonomic handles
CN104825028B (en) Food clamp device
JP2006034958A (en) Functional hand splint
US20170202282A1 (en) Hand Grip Sport Strap
KR101753987B1 (en) Table utensils for handicapped person with spinal cord injury
CN204683239U (en) Food clamp device
EP3089613A1 (en) Portable securing device
JP2003062021A (en) Walking stick for handicapped person
CN203986476U (en) Handle grasping device
JP2003265297A (en) Dining aid for manually challenging person
JP7126676B2 (en) training equipment
CN204862448U (en) Scissors shape food anchor clamps
CN211188260U (en) Portable hand holder for acupuncture point moxibustion
JPH0866288A (en) Fixture for eating and drinking
JP3195158U (en) Massage equipment
JP3429710B2 (en) Chopstick holder for handicapped
JP3035149U (en) Food and drink spoon
JP4084100B2 (en) Knives / knives
JP3021696U (en) Massager
JP3156131U (en) Health applian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3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8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4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4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