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0183B1 -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0183B1
KR101850183B1 KR1020150055094A KR20150055094A KR101850183B1 KR 101850183 B1 KR101850183 B1 KR 101850183B1 KR 1020150055094 A KR1020150055094 A KR 1020150055094A KR 20150055094 A KR20150055094 A KR 20150055094A KR 101850183 B1 KR101850183 B1 KR 1018501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main body
transfer unit
image
develo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5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1669A (ko
Inventor
다케오 가와나미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21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16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0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01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1/1647Mechanical connection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2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0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03G21/167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the developer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03G21/16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the transfer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17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having a submodular arrangement
    • G03G21/1821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having a submodular arrangement mean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process cartridge, e.g. attachment, positioning of parts with each other, pressure/distance regul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42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03G21/167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the photosensitive ele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78Frame structures
    • G03G2221/1684Frame structures using extractable subframes, e.g. on rails or hin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 Col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기록재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는, 잠상이 형성되는 상 담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상 담지체 상의 상기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 장치를 포함하는 카트리지가 착탈가능한 본체와, 상기 카트리지와는 별도로 상기 본체에 대하여 착탈가능한, 상기 상 담지체에 형성된 현상제 상을 전사하는 전사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현상 장치는, 현상제 담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현상제 담지체가 상기 상 담지체에 접촉하는 접촉 위치와, 상기 현상제 담지체가 상기 상 담지체로부터 이격하는 이격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상기 전사 유닛은, 상기 현상 장치를 상기 접촉 위치와 상기 이격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현상 장치 접촉 및 이격 기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전자 사진 방식 혹은 정전 기록 방식을 사용하는 복사기, 복합기 또는 레이저 빔 프린터 등의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2-027449호 공보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화상을 형성하지 않고 있을 때(비화상 형성시)에, 현상 롤러(현상제 담지체)를 감광체 드럼(상 담지체)으로부터 이격(분리)시키는 종래의 구성이 있다. 이러한 구성은, 비화상 형성 시에 현상 롤러로부터 감광체 드럼으로 현상제(토너)가 이동하고, 현상 롤러와 감광체 드럼이 장시간 접촉함으로써 현상 롤러가 변형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상술한 구성에서는, 현상 롤러와 감광체 드럼이 서로 가까워진 상태와, 현상 롤러와 감광체 드럼이 서로 이격한 상태를 전환하는 현상 장치(현상 롤러) 접촉 및 이격 기구를 화상 형성 장치에 설치한다.
감광체 드럼 접촉 및 이격 기구를 설치한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현상 장치 접촉 및 이격 기구를 제공하기 때문에 화상 형성 장치가 대형화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현상 장치 접촉 및 이격 기구를 설치한 화상 형성 장치를 소형화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기록재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로서, 잠상이 형성되는 상 담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상 담지체 상의 상기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 장치를 포함하는 카트리지가 착탈가능한 본체와; 상기 카트리지와는 별도로 상기 본체에 대하여 착탈가능하고, 상기 상 담지체에 형성된 현상제 상을 전사하는 전사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현상 장치는, 현상제 담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현상제 담지체가 상기 상 담지체에 접촉되는 접촉 위치와, 상기 현상제 담지체가 상기 상 담지체로부터 이격되는 이격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며, 상기 전사 유닛은, 상기 현상 장치를 상기 접촉 위치와 상기 이격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현상 장치의 접촉 및 이격 기구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 특징 및 이점과,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아래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고려할 때에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카트리지 트레이가 장치 본체의 외측을 향해 인출되고 있는 상태의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종단 좌측면도.
도 2는 카트리지 트레이와 전사 유닛이 각각 장치 본체의 외측을 향해 인출되고 있는 상태의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종단 좌측면도.
도 3은 화상 형성 동작이 행해질 수 있는 상태의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종단 좌측면도.
도 4는 전방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종단 좌측면도.
도 5는 화상 형성 장치의 주요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좌측면도.
도 6은 주요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배면도.
도 7은 주요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저면도.
도 8은 중간 전사 유닛의 삽입 방향과, 각 구성요소(부품)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개략 종단 좌측면도.
도 9의 (a) 및 (b)는 현상 장치 접촉 및 이격 기구의 개략도.
도 10은 복수의 카트리지와 전사 유닛의 배치를 나타내는 개략 상면도.
도 11은 비교예의 화상 형성 장치의 주요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좌측면도.
도 12는 비교예의 화상 형성 장치의 주요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배면도.
[실시예 1]
도 3은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100)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종단 좌측면도이다. 이 화상 형성 장치(100)는 전자 사진 방식의 탠덤형의 4색 컬러 레이저 빔 프린터이다.
이 화상 형성 장치(100)에 대해서, 전방(면)측이 전방 도어(81)를 배치한 측이다. 후방(면) 측은 전방 측의 반대의 측이다. 좌측 및 우측은 화상 형성 장치(100)를 전방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좌측 및 우측이다. 상측(상부) 및 하측(하부)은 중력 방향에 대한 화상 형성 장치(100)의 상측 및 하측이다.
(화상 형성 기구부)
화상 형성 장치(100)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1)의 내부에, 반송되는 기록재(피전사재 또는 시트) P에 미정착의 토너 상(미정착 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102)를 포함한다. 장치 본체(101)는 후술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7a 내지 7d)를 제거한 화상 형성 장치 부분이다. 장치 본체(101)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7)(7a 내지 7d)가 복수 장착된다.
화상 형성부(102)는,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Bk)의 각 색마다의, 제1 상 담지체로서의 드럼형의 전자사진 감광체(이하, 드럼이라고 한다)(1a 내지 1d)를 포함한다. 각 드럼(1)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구동 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화살표 R1(반시계)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주변 속도로 회전 구동된다. 각 드럼(1)의 주위에는, 드럼의 회전 방향을 따라서, 드럼(1)에 작용하는 프로세스 기기로서, 대전 롤러(2)(2a 내지 2d), 현상 장치(4)(4a 내지 4d), 클리닝 장치(5)를 거의 열거된 순서대로 갖는다.
드럼(1)은, 알루미늄 실린더의 외주면에 OPC(유기 광도전체)의 광도전층을 설치해서 구성한 것이다. 대전 롤러(2)는 드럼 표면을 균일하게 대전하는 접촉 방식의 대전 장치이며, 코어 금속과 그 코어 금속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도전성의 탄성 부재에 의해 구성된다. 대전 롤러(2)는 드럼(1)의 표면에 접촉 배치되고, 드럼(1)의 회전에 종동해서 회전하며, 전원(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대전 바이어스(전압)가 인가된다.
현상 장치(4)는 드럼(1)에 공급하기 위한 토너를 담지하는 현상제 담지체로서의 현상 롤러(6)(6a 내지 6d)를 포함한다. 현상 장치(4)는, 드럼(1)에 현상 롤러(6)를 접촉시켜서, 정전 잠상에 토너(현상제)를 부착시킴으로써, 드럼(1)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는 장치이다. 클리닝 장치(5)는 드럼 표면의 1차 전사 잔류 토너를 제거하는 장치이다. 드럼(1)은 그 표면에 상(잠상 토너 상)을 담지하는 상 담지체이다.
화상 형성부(102)는, 노광 장치(30), 제2 상 담지체로서의 중간 전사 벨트(중간 전사체)(10)를 포함하는 전사 유닛(90), 2차 전사 롤러(12) 등을 포함한다. 노광 장치(30)는, 화상 정보에 따라서 레이저광을 발광하는 레이저 발진기(도시하지 않음)와, 폴리곤 미러(31)와, 미러(32a 내지 32d)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화상 정보에 따라서 대전된 드럼(1a 내지 1d)의 표면에 레이저광(La 내지 Ld)을 각각 조사(노광)해서 정전 잠상을 형성한다.
전사 유닛(90)에서, 중간 전사 벨트(10)는 가요성을 갖는 무단 벨트이며,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3개의 지지 롤러인 구동 롤러(13), 텐션 롤러(14), 보조 롤러(15)에 걸쳐지고 있다. 구동 롤러(13)와 보조 롤러(15)는 장치 본체(101) 내에서 후방 측에 배치되고, 텐션 롤러(14)는 장치 본체(101) 내에서 전방 측에 배치되고 있다.
벨트(10)는 구동 롤러(13)가 구동 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화살표 R10(시계) 방향으로 드럼(1)의 회전 주변 속도에 대응한 주변 속도로 구동(주행)된다. 텐션 롤러(14)는 벨트(10)의 주행에 종동해서 회전하고, 벨트(10)에 텐션을 부여하고 있다. 벨트(10)의 내측에는, 드럼(1a 내지 1d)에 대응하는 1차 전사 롤러(11a 내지 11d)가 각각 배치되어 있고, 벨트(10)를 드럼(1a 내지 1d)의 표면에 가압해서 드럼(1a 내지 1d)과 벨트(10) 사이에 1차 전사 닙부 N1a 내지 N1d를 각각 형성하고 있다.
각각의 1차 전사 롤러(11a 내지 11d)에는 전원(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1차 전사 바이어스(전압)가 인가된다. 이에 의해, 전사 유닛(90)은, 토너 상을 드럼(1)으로부터 벨트(10)에 전사시킨다.
2차 전사 롤러(12)는 구동 롤러(13)의 벨트 접촉부에서 벨트(10)를 구동 롤러(13)를 향해서 압접해서 배치된다. 벨트(10)와 2차 전사 롤러(12) 사이의 닙부가 2차 전사 닙부 N2이다. 2차 전사 롤러(12)에는, 전원(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2차 전사 바이어스(전압)가 인가된다. 또한, 구동 롤러(13)의 벨트 접촉부에서는, 2차 전사 닙부 N2보다 벨트 이동 방향의 하류 측에서, 벨트(10)의 외주면에 대향하여 클리닝 롤러(롤러 대전기)(51)를 포함하는 벨트 클리닝 장치(50)가 배치되고 있다.
전사 유닛(90)의 하방에는, 2차 전사 닙부 N2에 기록재 P를 급송하는 기록재 공급 장치(40)가 배치된다. 이 장치(40)는 복수 매의 기록재 P를 수납한 카세트(41), 공급 롤러(42), 레지스트 롤러(43) 등을 포함한다. 공급 롤러(42), 레지스트 롤러(43)는 장치 본체(101) 내에서 후방 측에 배치되고 있다.
카세트(41)에 수납되고 있는 기록재 P는 미리 정해진 제어 타이밍에서 공급 롤러(42)에 의해 장치 본체(101) 내에서 화살표 K 방향으로 후방 측을 향해서 1장씩 분리 및 급송되고, 그 후에 장치 본체(101) 내의 후방 측에 배치된 수직 반송로(103)에서 아래로부터 위로 반송된다. 수직 반송로(103)에서는, 아래에서부터 위로 순차적으로 공급 롤러(42), 레지스트 롤러(43), 2차 전사 닙부 N2, 정착 장치(20), 배출 롤러(61)가 배치되고 있다.
화상 형성부(102)가 화상 형성 동작을 행하여, 드럼(1a 내지 1d)에 각각 형성된 Y색, M색, C색, Bk색의 토너 상이, 드럼(1a 내지 1d)의 1차 전사 닙부 N1a 내지 N1d에서 각각 순차적으로 중첩되어서 벨트(10)의 표면에 전사된다. 이에 의해, 벨트(10) 위에 4색 풀컬러 화상용의 (미정착) 토너 상이 형성된다. 그리고, 그 토너 상은, 2차 전사 닙부 N2에서, 2차 전사 닙부 N2에 급송된 기록재 P에 대하여 일괄하여 2차 전사된다. 상기의 화상 형성부(102)의 화상 형성 원리 및 동작은 주지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2차 전사 닙부 N2를 통과한 기록재 P는 정착 장치(20)에 도입되어서 가열 및 가압에 의해 토너 상이 정착되어, 풀컬러 화상 형성물로서 기록재 P가 배출 롤러(61)에 의해 장치 본체(101)의 상면 측에 설치된 적재 트레이(104) 위로 배출된다.
한편, 기록재 P에 대한 토너 상의 전사 후에, 벨트(10) 상에는 기록재 P에 전사되지 않은 2차 전사 잔류 토너가 존재한다. 이 잔류 토너는 중간 전사 벨트 클리닝 장치(50)에 의해 대전되고, 그 후에 드럼(1a 내지 1d)을 개재해서 드럼 클리닝 장치(5a 내지 5d)에 각각 회수된다. 즉, 잔류 토너는 클리닝 장치(50)에 의해 역극성의 전하, 즉 양의 전하가 부여됨으로써, 잔류 토너가 1차 전사 닙부 N1a 내지 N1d를 개재해서 드럼(1a 내지 1d) 상에 역전사된다. 드럼(1a 내지 1d) 상의 역전사된 2차 전사 잔류 토너는 드럼(1a 내지 1d) 상의 1차 전사 잔류 토너와 함께 클리닝 장치(5a 내지 5d)에 의해 제거된다.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100)에서는, Y색 화상 형성부에서의 드럼(1a), 대전 롤러(2a), 현상 장치(4a), 클리닝 장치(5a)를 ,장치 본체(101)에 대하여 착탈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7a)에 조립한다. 마찬가지로, M색 토너 상 형성부에서의 부재(1b, 2b, 4b, 5b)의 세트, C색 토너 상 형성부에서의 부재(1c, 2c, 4c, 5c)의 세트, Bk색 토너 상 형성부에서의 부재(1d, 2d, 4d, 5d)의 세트도 프로세스 카트리지(7b, 7c, 7d)에 각각 조립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7)는, 제1 상 담지체인 드럼(1)과, 드럼(1)에 작용하는 프로세스 수단인 적어도 현상 장치(4)를 포함하고, 이들 부재를 일괄하여 포함하고, 장치 본체(101)의 미리 정해진 장착부에 대하여 제거가능하게 장착되는 카트리지 구성을 가진다.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교환 방식)
각 프로세스 카트리지(7a 내지 7d)에서는, 감광체 드럼(4)에 수용되고 있는 현상제가 화상 형성에 사용됨에 따라서 소비되어서 잔량이 점차 감소한다. 따라서, 개개의 카트리지(7)의 현상제 잔량을 검지하는 수단(도시하지 않음)을 구비시켜서, 제어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검지 잔량값에 따라서 수명 예고 혹은 수명 경고를 표시시킨다. 이에 의해, 조작자가 교환용의 카트리지를 준비하거나, 교환될 카트리지를 교체하도록 촉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100)에서, 각각의 카트리지(7a 내지 7d)의 교환은, 유용성 향상을 위해 카트리지(7)를 카트리지 트레이(82)에 두고, 프론트 액세스 방식에 의해 교환하는 인출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트레이(82)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긴 프레임 부재이며, 4개의 카트리지(7a 내지 7d)를 전후 방향으로 배열해서 지지하고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0)가 화상 형성 동작을 행할 수 있는 상태(도 3)에서, 트레이(82)는 장치 본체(101)의 내부의 미리 정해진 압입 위치(내부 위치) I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트레이(82)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 카트리지(7a 내지 7d)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피위치결정부(1A1 내지 1Ad)(도 5)가 장치 본체(101)의 위치결정부(91Ba 내지 91Bd)에 대하여 가압 기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가압되는 방식으로 현상 및 고정되고 있다. 이에 의해, 각 카트리지(7a 내지 7d)는 장치 본체(101)에 대하여 화상 형성 동작이 행해질 수 있는 미리 정해진 장착 위치에 위치결정되어서 장착된 상태로 유지되고 있다.
또한, 카트리지(7)가 위치결정부(91B)에 의해 위치결정됨으로써, 카트리지(7)의 드럼(1)도 화상 형성 동작이 행해질 수 있는 위치에 위치결정된다. 상세하게는 후술하지만, 위치결정부(91B)는 전사 유닛(90)에 설치된다.
장치 본체(101)로부터의 카트리지(7)의 장착 해제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화상 형성 장치(100)의 전방 도어(81)를, 하변 측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는 힌지 축(81a)을 중심으로, 도 3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당겨서 개방한다. 전방 도어(81)를 개방함으로써, 장치 본체(101)의 전방 측의 개구부(105)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개방된다.
또한, 전방 도어(81)의 개방 동작에 연동하는 연동 기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카트리지(7a 내지 7d)의 피위치결정부(1Aa 내지 1Ad)(도 5)를 위치결정부(91Ba 내지 91Bd)에 대하여 가압하는 가압 기구의 가압 동작이 해제된다.
또한, 전방 도어(81)의 개방 동작에 연동하는 링크 기구(도시하지 않음)가 트레이(82)를 도 3의 압입 위치 I로부터 도 4의 이동가능 위치 II로 상방으로 밀어올린다. 이 트레이(82)의 밀어올림(상승)에 의해, 트레이(82)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 카트리지(7a 내지 7d)도 트레이(82)와 함께 상승하여, 피위치결정부(1Aa 내지 1Ad)가 위치결정부(91Ba 내지 91Bd)로부터 이격한다. 이에 의해, 카트리지(7)의 위치결정부(91B)와의 결합이 해제되어, 위치결정 상태가 해제된다. 또한 트레이(82)의 상승에 의해, 카트리지(7)의 드럼(1)이 전사 유닛(90)의 벨트(10)로부터 이격한다.
이동가능 위치 II으로 이동한 트레이(82)는 이 위치 II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가이드 부재(106)를 따라 개구부(105)를 통해 장치 본체(101)의 외부로 수평하게 슬라이드 이동되어서 인출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트레이(82)를,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부(105)를 통해서 장치 본체(101)의 외부의 미리 정해진 인출 위치(외부 위치), 즉 트레이(82)로부터 각 카트리지(7a 내지 7d)를 미리 정해진 방식으로 장착 및 장착 해제할 수 있는 장착 및 장착 해제 위치 III에 트레이(82)가 충분히 인출된 상태에 둘 수 있다.
트레이(82)는, 장착 및 장착 해제 위치 III에서, 개개의 카트리지(7)를 상방으로 장착 해제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또한, 트레이(82)는, 개개의 카트리지(7)의 하방을 향하는 이동을 규제함으로써 개개의 카트리지(7)를 지지한다. 따라서, 교환해야 할 다 사용된 카트리지(7)를 상방으로 들어올려서 장착 해제한다. 그리고, 새로운 카트리지(7)를 트레이(82)에 대하여 위로부터 결합시켜서 배치한다. 즉, 트레이(82)가 장치 본체(101)부터 외측으로 인출되었을 때, 카트리지(7)는 장치 본체(101)에 대하여 장착 및 장착 해제 가능하다.
트레이(82)에 대한 신구 카트리지(7)의 교환 작업이 완료하면, 트레이(82)를 장착 및 장착 해제 위치 III으로부터 개구부(105)를 통해서 장치 본체(101) 내의 이동가능 위치 II로 충분히 밀어넣어 이동시킨다(도 1에서 도 4로). 그리고, 전방 도어(81)를 폐쇄해서 개구부(105)를 폐쇄한다(도 4에서 도 3으로). 전방 도어(81)의 폐쇄 동작에 연동하는 링크 기구가 트레이(82)를 이동가능 위치 II로부터 압입 위치 I로 아래로 이동(하강)시킨다. 이에 의해, 트레이(82)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 카트리지(7a 내지 7d)의 피위치결정부(1Aa 내지 1Ad)가 장치 본체(101) 측에 설치된 위치결정부(91Ba 내지 91Bd)에 대응해서 위치한다(도 5).
그리고, 전방 도어(81)의 폐쇄 동작에 연동하는 연동 기구에 의해 가압 기구가 가압 동작을 행하여, 카트리지(7a 내지 7d)의 피위치결정부(1Aa 내지 1Ad)가 위치결정부(91Ba 내지 91Bd)에 가압된다. 이에 의해, 각 카트리지(7a 내지 7d)는 장치 본체(101)에 대하여 화상 형성 동작이 행해질 수 있는 미리 정해진 장착 위치에 카트리지(7)가 장착된 상태로 보유 지지되어, 화상 형성 장치(100)는 화상 형성 장치가 화상 형성 동작을 행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즉, 트레이(82)가 하강할 때에 카트리지(7)는 위치결정부(91B)와 결합해 위치결정된다. 또한, 트레이(82)의 하강에 의해, 카트리지(7)의 드럼(1)이 전사 유닛(90)의 벨트(10)에 접촉한다.
이렇게, 트레이(82)가 장치 본체(101)의 내부에서 승강하는 것에 수반하여, 위치결정부(91B)에 대한 카트리지(7)의 위치결정 상태나, 벨트(10)에 대한 드럼(1)의 접촉 상태가 변화한다.
(카트리지의 위치결정 구성)
전사 유닛(90)은, 도 5,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10)의 양 단부 측(좌측 및 우측)에 카트리지(7a 내지 7d)의 위치결정 부재(91)를 구비한다. 그리고, 각각의 위치결정 부재(91)는 상기 4개의 카트리지(7a 내지 7d)의 피위치결정부(1Aa 내지 1Ad)에 대응하는 위치결정부(91Ba 내지 91Bd)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위치결정부(91Ba 내지 91Bd) 각각은 오목 홈 형상부(오목부)이다.
각각의 위치결정 부재(91)는 벨트(10)의 구동 롤러(13)와, 텐션 롤러(14)와, 보조 롤러(15)를 위치결정하기 위한 위치결정부(13a, 14a, 15a)를 각각 더 포함한다. 즉, 각각의 위치결정 부재(91)는, 베어링(도시하지 않음)을 개재하여 복수의 롤러(구동 롤러(13), 텐션 롤러(14), 보조 롤러(15))를 지지하는 롤러 지지 부재이다.
양 단부 측의 위치결정 부재(91)는 동일 형상이며, 동일한 금형을 사용해서 제조된다. 복수의 금형에 의해 위치결정 부재(91)를 제조하는 경우는, 장치 본체 내의 각각의 위치결정 부재(91)는 동일함 금형을 사용하여 제조된다. 카트리지(7a 내지 7d)의 피위치결정부(1Aa 내지 1Ad)는 드럼(1a 내지 1d)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양 단부 측(좌측 및 우측) 각각의 베어링부이다. 피위치결정부로서의 베어링부(1A)가 위치결정부(91B)에 대응하여 위치해서 가압 기구에 의해 가압되어, 카트리지(7)의 장착부에 대한 카트리지(7)의 위치결정 및 고정이 이루어진다.
(현상 장치 접촉 및 이격 기구)
장치 본체(101)의 장착부에 미리 정해진 방식으로 장착되고 있는 각 카트리지(7a 내지 7d)에서, 현상 장치(4)는 전사 유닛(90)에 구비된 현상 장치(현상 롤러) 접촉 및 이격 기구(189)(도 9)에 의해 현상 롤러(6)가 드럼(1)에 대하여 접촉 및 분리되도록 요동된다. 즉, 현상 장치(4)는, 드럼(1)에 대하여 이동가능한 구성이며, 현상 롤러(6)를 드럼(1)에 접촉시키는 접촉 위치(도 9의 (a))와, 현상 롤러(6)를 드럼(1)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이격 위치(도 9의 (b))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즉, 화상 형성 장치(100)의 화상 형성 동작에서의 현상 개시 직전에 현상 장치(4a 내지 4d)가 드럼(1a 내지 1d)에 대하여 접촉 방향으로 요동됨으로써, 현상 롤러(6a 내지 6d)가 도 8의 실선으로 나타낸 것과 같이, 드럼(1a 내지 1d)에 대하여 각각 접촉한다. 그리고, 현상 완료 후에, 현상 장치(4a 내지 4d)가 드럼(1a 내지 1d)에 대하여 분리 방향으로 요동됨으로써, 현상 롤러(6a 내지 6d)가 도 8의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드럼(1a 내지 1d)으로부터 각각 이격(분리)된다. 인쇄 잡이 없는 대기 시에는 현상 롤러(6a 내지 6d)가 이러한 이격 상태로 유지된다.
이러한 접촉 및 이격 동작에 의해, 현상 장치(4)의 수명 연장이 실현된다. 즉, 드럼(1)으로부터 현상 롤러(6)가 이격함으로써, 현상 롤러(6)에 가해지는 부하가 줄어들어, 현상 롤러(6)를 장시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화상이 형성되지 않을 때에, 현상 롤러(6)로부터 드럼(1)으로 토너가 이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현상 장치 접촉 및 이격 기구(189)를 도 9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카트리지(7a 내지 7d)에서, 드럼(1)은 클리닝 장치(5)의 프레임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현상 장치(4)는 클리닝 장치(5)의 프레임에 대하여 현상 장치 피벗4A(4Aa 내지 4Ad)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즉, 현상 장치(4)는 드럼(1)에 대하여 접근 및 이격이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그리고, 카트리지(7)가 장착부에 소정의 방식으로 장착되고 있는 상태에서, 클리닝 장치(5)의 프레임의 피위치결정부로서 드럼 베어링부(1Aa 내지 1Ad)가 장치 본체(101) 측에 설치된 위치결정부(91Ba 내지 91Bd)에 각각 대응하여 현상되고 있다(도 5, 도 6). 그리고, 드럼 베어링부(1A)가 위치결정부(91B)에 가압 기구에 의해 가압되어서 카트리지(7)이 위치결정 및 고정되고 있다.
이 위치결정 및 고정되고 있는 클리닝 장치(5)의 프레임에 대하여 현상 장치(4)가 피벗(4A)을 중심으로 현상 장치 접촉 및 이격 기구(189)에 의해 요동되어서, 현상 롤러(6)의 상태는, 현상 롤러(6)가 드럼(1)에 대하여 접촉한 상태와 현상 롤러(6)가 드럼(1)으로부터 이격한 상태 사이를 전환된다. 현상 장치 접촉 및 이격 기구(189)는, 전사 유닛(90)에서, 도 10과 같이 위치결정 부재(91)와 카트리지(7a 내지 7d) 사이에 배치되고, 카트리지(7a 내지 7d)의 현상 장치(4a 내지 4d)를 드럼(1a 내지 1d)에 대하여 접촉 및 이격하게 구동하는 기구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 장치 접촉 및 이격 기구(189)는 벨트(10)와 위치결정 부재(91)에 의해 협지되는 위치(벨트(10)와 위치결정 부재(91)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현상 장치(4)와 현상 장치 접촉 및 이격 기구(189)는, 도 9와 같이, 현상 장치(4a 내지 4d)의 이격 레버(4Ba 내지 4Bd)와 현상 장치 접촉 및 이격 기구(189)의 이격 훅(181a 내지 181d)이 서로 결합하도록 결합된다. 이격 훅(181a 내지 181d)은 각각 카트리지(7a 내지 7d)의 현상 장치(4a 내지 4d)와 결합하는 결합 부재이다.
구체적인 현상 장치 접촉 및 이격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현상 장치 접촉 및 이격 기구(189)는, 장치 본체(101) 측에 설치된 구동원으로부터 구동력이 현상 장치 접촉 및 이격 기구(189)에 입력되어서 구동된다. 즉, 제어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구동 제어되는 구동원(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현상 캠(182)이 회전 구동된다. 현상 캠(182)은, 도 9의 (a)와 같이, 현상 장치(4)의 현상 롤러(6)가 드럼(1)에 접촉하는 제1 위치와, 도 9의 (b)과 같이, 현상 장치(4)의 현상 롤러(6)가 드럼(1)으로부터 이격하는 제2 위치를 생성할 수 있다. 현상 캠(182)이 회전 구동됨으로써, 상기의 제1 위치와 제2 위치가 서로 전환된다.
현상 캠(182)에 의해, 접촉 및 이격 로드(180)가 직선 방향으로 구동된다. 현상 장치 접촉 및 이격 기구(189)의 제1 위치(도 9의 (a))는, 현상 장치(4)가 접촉 위치에 있는 것을 허용하는 위치이다. 제2 위치(도 9의 (b))는, 현상 장치 접촉 및 이격 기구(189)가 현상 장치(4)를 이격 위치에 보유 지지하는 위치이다.
접촉 및 이격 로드(180)의 이격 훅(181a 내지 181d)이 현상 장치(4a 내지 4d)의 이격 레버(4Ba 내지 4Bd)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접촉 및 이격 로드(180)가 구동된다. 이 경우에는, 도 9의 (a)와 같이, 각 카트리지(7a 내지 7d)에서 현상 롤러(6)가 드럼(1)에 대하여 접촉하는 상태로 현상 롤러(6)의 상태가 전환된다.
또한, 이격 훅(181a 내지 181d)이 감광체 드럼(4a 내지 4d)의 이격 레버(4Ba 내지 4Bd)에 접촉하는 방향에 접촉 및 이격 로드(180)가 구동된다. 이 경우에는, 도 9의 (b)와 같이, 각 카트리지(7a 내지 7d)에서 현상 롤러(6)가 드럼(1)으로부터 이격한 상태로 현상 롤러(6)의 상태가 전환된다. 즉, 도 9에서, 현상 장치 접촉 및 이격 기구(189)와 현상 장치(4) 사이의 결합부는, 벨트(10)로 둘러싸지는 영역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다.
(중간 전사 유닛의 장착 및 장착 해제 구성)
벨트(10)를 포함하는 전사 유닛(90)의 장치 본체(101)에 대한 장착 및 장착 해제와, 장치 본체(101)와 전사 유닛(90)의 조립에 대해서 설명한다. 장치 본체(101)에 대한 전사 유닛(90)의 장착 및 장착 해제와 조립은, 장치 본체(101)의 배면 측에 배치한 후방 도어로서의 2차 전사 유닛(70)을 도 2와 같이 개방해서 장치 본체(101)의 배면 측의 개구부(107)를 크게 개방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즉, 카트리지(7a 내지 7d)와 전사 유닛(90)은 별도로 장치 본체(101)에 대하여 착탈가능하게 구성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사 유닛(90)이 장치 본체(101)에 대하여 장착 해제될 수 있는 상태는, 장치 본체(101)에 카트리지(7a 내지 7d)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한정된다. 장치 본체(101)에 카트리지(7a 내지 7d)가 장착되고 있는 상태에서는, 접촉 및 이격 기구(189)의 이격 훅(181)(도 9)이 카트리지(7)와 결합하고 있으므로, 전사 유닛(90)의 장착 해제가 방지된다.
후방 도어로서의 2차 전사 유닛(70)은 2차 전사 롤러(12) 및 수직 반송로(103)를 구성하고 있는 기록재 가이드 리브를 포함하고 있으며, 하변 측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는 힌지 축(70a)을 중심으로 장치 본체(101)의 외측으로 회동하여 개방된다. 이에 의해, 장치 본체(101)의 배면 측의 개구부(107)가 크게 개방된다. 이 개구부(107)를 통해서, 전사 유닛(90)의 장치 본체(101)에 대한 장착 및 장착 해제와 조립이 이루어진다.
이때, 카트리지(7a 내지 7d)를 지지하는 트레이(82)는 전방 도어(81)를 개방한 후에 장착 및 장착 해제 위치 III에 대하여 인출된다. 대안적으로, 트레이(82)로부터 카트리지(7a 내지 7d)를 모두 장착 해제하면, 트레이(82)를 장치 본체(101)의 내부에 수납하고, 그 후에 전방 도어(81)을 폐쇄하고 있어도 된다.
전사 유닛(90)의 장치 본체(101)에의 조립은 장치 본체(101)의 배면 측의 개구부(107)를 통해 전사 유닛(90)을 장치 본체(101)의 내부에 화살표 B 방향(도 2)으로 삽입해서 이루어진다. 후방 도어로서의 개방된 2차 전사 유닛(70)은 장치 본체(101)에 대하여 폐쇄해서 개구부(107)을 폐쇄한다. 이 전사 유닛(90)의 조립 후에 장착 및 장착 해제 위치 III에서 트레이(82)에 카트리지(7)를 지지시켜서 장치 본체(101)의 내부에 트레이(82)를 압입해 이동시키고, 그 후에 전방 도어(81)을 폐쇄한다.
개구부(107)를 통해 장치 본체(101)의 내부에 삽입한 전사 유닛(90)의 장치 본체(101)에의 조립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 본체(101)의 우측판(83), 좌측판(84)에 고정밀도로 부착된 스테이(85)의 복수의 위치결정 구멍에 대하여 전사 유닛(90)에 설치된 위치결정 부재(91)의 볼록부(91a)를 삽입하고, 접촉시켜서 위치결정한다. 전사 유닛(90)의 고정은, 좌우 (2개의) 카트리지 위치결정 부재(91)와 스테이(85)를 비스 체결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전사 유닛(90)을 고정할 수 있는 방향(예를 들어, 도 5의 화살표 B 방향)으로, 가압(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전사 유닛(90)을 가압해 고정해도 된다.
1차 전사 닙부 N1a 내지 N1d에서는, 벨트(10)의 회전 방향(R10)과 전사 유닛(90)의 삽입 방향(화살표 B 방향)은 대략 동일하다. 즉, 화상 형성부(102)가 동작할 때, 접촉 방향으로 압력이 가해진다. 이에 의해, 전사 유닛(90)을 가압 고정하는 경우에는, 그 압력을 낮출 수 있다.
또한, 현상 장치 접촉 및 이격 기구(189)(도 9, 도 10)의 접촉 및 이격 동작에 의한 현상 롤러(6)의 드럼 가압 방향(도 8)은, 전사 유닛(90)의 삽입 방향(화살표 B 방향)과 대략 동일한 방향이다. 즉, 화상 형성부(102)가 동작할 때, 접촉 방향으로 압력(분압)이 가해진다. 이에 의해, 전사 유닛(90)을 가압 고정하는 경우에는, 그 압력을 내릴 수 있다.
(비교예)
비교예의 카트리지(7a 내지 7d)와 전사 유닛(95)의 위치결정 구성에 대해서, 도 11, 도 12를 참조해서 간단하게 설명한다. 장치 본체(101)의 우측판(83), 좌측판(84)에 부착된 스테이(87)에, 동일 형상의 카트리지 위치결정판(92)이 비스에 의해 고정되고 있다.
전사 유닛(95)은, 벨트(10)의 양 단부 측에 중간 전사 프레임 L93, 중간 전사 프레임 R94를 포함하고 있다. 벨트(10)를 걸친(지지하는) 구동 롤러(96), 텐션 롤러(97), 보조 롤러(98)는, 중간 전사 프레임 L93 및 중간 전사 프레임 R94에 베어링부를 개재해서 지지된다.
각 색의 카트리지(7a 내지 7d)의 교환 방법은 상기의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전사 유닛(95)의 장착 및 장착 해제 방향과 삽입 방향과, 그 방법도 상기의 실시예 1과 대략 유사하다.
전사 유닛(95)의 위치결정 방법에서는, 중간 전사 프레임 L93 및 R94의 위치결정부를, 각각 대응하는 카트리지 위치결정판(92)에 접촉시켜서 위치결정된다. 전사 유닛(95)의 고정은, 중간 전사 프레임 L93 및 R94를 대응하는 카트리지 위치결정판(92)에 각각 비스(도시하지 않음)로 체결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대안적으로, 전사 유닛(95)을 고정할 수 있는 방향(예를 들어, 삽입 방향)에, 가압 부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전사 유닛(95)을 가압 및 고정해도 된다.
이 구성에서는, 중간 전사 프레임 L93 및 R94가 필요하기 때문에, 위치결정 정밀도가 저하된다. 또한, 장치 본체의 폭 방향(도 12의 좌우 방향)에 2개의 부품이 필요하기 때문에, 장치 본체의 소형화 및 공간 절약화를 저해한다.
(실시예 1의 효과)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2개의 카트리지 위치결정 부재(91)를 전사 유닛(90)에 구비시킨다. 비교예와 같은 중간 전사 프레임 L93 및 R94를 설치하지 않는다. 그리고, 각각의 카트리지 위치결정 부재(91)에, 카트리지(7a 내지 7d)의 위치결정부(91Ba 내지 91Bd)와, 벨트(10)를 걸친(지지하는) 구동 롤러(13), 텐션 롤러(14), 보조 롤러(15) 각각의 위치결정부(13a, 14a, 15a)를 구비한다. 또한, 2개의 카트리지 위치결정 부재(91)를 동일 형상으로 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 카트리지(7a 내지 7d)와 전사 유닛(90) 사이의 위치결정 정밀도가 고정밀도가 되어, 장치 본체의 저비용화, 소형화, 공간 절약화가 실현 가능하게 된다.
또한, 현상 장치 접촉 및 이격 기구(189)를 전사 유닛(90)에 구비함으로써, 현상 장치 접촉 및 이격 기구(189)를 전사 유닛(90)의 외부에 설치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장치 본체(101)의 공간 절약화(화상 형성 장치(100)의 소형화)를 실현 가능하게 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 장치 접촉 및 이격 기구(189)뿐만 아니라, 카트리지(7)의 위치결정 부재(91)도 전사 유닛(90)에 설치하고 있으므로, 위치결정 부재(91)를 전사 유닛(90) 외부에 설치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화상 형성 장치(100)의 소형화를 더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전사 유닛(90)에 위치결정부(91B) 및 현상 장치 접촉 및 이격 기구(189)의 양쪽을 설치함으로써, 현상 장치의 접촉 및 이격 시에 작용하는 힘을 전사 유닛(90) 내로 가할 수 있기 때문에, 전사 유닛(90)의 움직임을 억제할 수 있다. 이 효과에 대해서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실시예와 상이한 구성, 현상 장치 접촉 및 이격 기구(189)를 전사 유닛(90)의 외부에 배치한 구성을 가정한다. 이때, 전사 유닛(90)의 위치결정 부재(91B)에 카트리지(7)를 위치결정시킨 상태에서, 현상 장치 접촉 및 이격 기구(189)를 작동시켜 현상 롤러(6)를 드럼(1)으로부터 이격시킨다. 그렇다면, 카트리지(7)를 개재해서 현상 장치 접촉 및 이격 기구(189)로부터 전사 유닛(90)에 힘이 가해진다. 그 결과, 전사 유닛(90)이 화상 형성 장치(100)의 내부에서 이동해서, 드럼(1)도 장치 본체(101)의 내부에서 이동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가능성을 피하기 위해서는, 전사 유닛(90)에 외부(현상 장치 접촉 및 이격 기구)로부터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전사 유닛(90)이 움직이지 않도록, 전사 유닛(90)을 지지, 고정하는 고정부를 대형화하는 등의 대책을 취할 필요가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 장치 접촉 및 이격 기구(189)는, 전사 유닛(90) 내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현상 장치 접촉 및 이격 기구(189)가 동작해서 카트리지(7)에 힘을 가하더라도, 전사 유닛(90)에는 외부로부터 힘이 가해지지 않는다. 그로 인해, 현상 장치 접촉 및 이격 기구(189)가 현상 롤러(6)를 드럼(1)에 접근시킨 상태(도 9의 (a))와, 현상 장치 접촉 및 이격 기구(189)가 현상 롤러(6)를 드럼(1)으로부터 이격시킨 상태(도 9의 (b))를 서로 전환하더라도, 전사 유닛(90)은 이동하기 어렵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현상 장치 접촉 및 이격 기구(189)의 이격 훅(181)(도 9의 (b))이 카트리지(7)에 힘을 가해서 현상 롤러(6)를 드럼(1)으로부터 이격시키려고 했을 경우, 그 반작용력이 이격 훅(181)을 개재해서 전사 유닛(90)에 가해진다. 한편, 이격 훅(181)으로부터 힘이 가해진 카트리지(7)는 그 힘을 위치결정 부재(91)를 개재해서 전사 유닛(90)에 전달한다. 전사 유닛(90)이 이격 훅을 개재해서 받는 힘과, 전사 유닛(90)이 위치결정 부재(91)를 개재해서 받는 힘은 서로를 상쇄하도록 작용한다.
그로 인해, 전사 유닛(90)에는 전체로서 힘이 가해지기 어렵고, 그 결과, 화상 형성 장치의 내부에서 전사 유닛(90)이 움직이기 어렵다. 또한, 전사 유닛(90)에 의해 위치결정된 카트리지(7)가 갖는 드럼(1)도, 화상 형성 장치(100)의 내부에서 이동하기 어려워져, 화상 품질을 높은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전사 유닛(90)은 복수의 카트리지(7)를 지지(위치결정)하고 있어, 화상 형성 장치(100)는 상이한 색의 현상제 상(토너 상)을 중첩해서 컬러 화상을 형성한다. 그로 인해, 각 색의 현상제 상을 중첩시킬 때에, 그것들의 위치가 어긋나지 않도록, 드럼(1) 및 전사 유닛(90)(벨트(10))의 위치를 고정밀도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의 구성을 이용함으로써, 전사 유닛(90) 및 드럼(1)의 이동을 억제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전사 유닛(90)은 화상 형성 장치(100)의 장치 본체(101)로부터 장착 해제 가능하므로, 전사 유닛(90)이 화상 형성 장치(100)에 대하여 이동하기 쉬운 구성이다. 그 때문에 본 실시예의 구성을 이용함으로써, 전사 유닛(90)의 이동을 억제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2개의 카트리지 위치결정 부재(91)를 같은 금형을 사용해서 가공함으로써, 위치결정부 사이의 상대적이 차이를 저감할 수 있다. 부품 단체나 조립 상태에서의 정밀도 관리도 쉬워진다.
또한, 벨트를 걸치는 구동 롤러(13), 텐션 롤러(14), 보조 롤러(15)의 얼라인먼트 오차를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벨트(10)의 측방향 이동력이 저감되어, 벨트(10)의 보다 안정된 주행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전사 유닛(90)이 대형화되는 것이 방지되어 그다지 무거워지지 않기 때문에, 전사 유닛(90)의 장착 및 장착 해제시와 전사 유닛(90)의 삽입 시의 유용성의 저하도 없다.
본 실시예에서는, 카트리지 위치결정 부재(91)는 판금을 사용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지만, 2 부품이 동일 형상이라면 부재(91)는 수지(몰드) 부품이어도 된다.
또한, 중간 전사 벨트(10)를 사용하고 있지만, 1차 전사 닙부 N1a 내지 N1d에 기록재 P를 반송하여 화상 형성을 행하는 정전 흡착 벨트(기록재를 상 담지체(1)에 반송하는 기록재 반송체)를 사용한 구성에서도 마찬가지의 구성이 이용될 수 있다. 그 경우, 예를 들어 정착 장치(20)의 위치는, 노광 장치(30)의 장치 본체 전방측(도 3의 우측)에 배치되고, 기록재 P는 장치 본체(101)의 전방 측으로부터 후방 측으로 배출되는 구성으로 된다.
화상 형성 장치의 화상 형성부는 상 담지체로서 전자 사진 감광체를 사용하는 전자 사진 방식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 담지체로서 정전 기록 유전체를 사용하는 정전 기록 방식이나 자기 기록 (자성) 물질을 사용하는 자기 기록 방식 등의 기타의 화상 형성 방식을 이용하는 화상 형성부이어도 된다. 화상 형성 장치는 컬러 화상 형성 장치에 한정되지 않고, 모노크롬 화상 형성 장치이어도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현상 장치 접촉 및 이격 기구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구조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여기에 개시된 세부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출원은 개선을 위한 목적 또는 아래의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 놓이는 변경 또는 변형을 포함하는 것을 의도한다.

Claims (18)

  1. 기록재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이며,
    상 담지체 상의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 장치를 포함하는 카트리지가 착탈가능한 본체로서, 상기 현상 장치는, 현상제 담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현상제 담지체가 상기 상 담지체에 접촉되는 접촉 위치와, 상기 현상제 담지체가 상기 상 담지체로부터 이격되는 이격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본체와,
    상기 카트리지와는 별도로 상기 본체에 대하여 착탈가능하고, 상기 상 담지체에 형성된 현상제 상을 전사하며, 무단 벨트와, 상기 무단 벨트를 지지하는 롤러와, 상기 롤러를 지지하는 롤러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전사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전사 유닛은, 상기 현상 장치를 상기 접촉 위치와 상기 이격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카트리지와 결합하며, 상기 롤러의 길이 방향에 대해 상기 롤러 지지 부재와 상기 무단 벨트 사이에 설치되는, 현상 장치의 접촉 및 이격 기구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 유닛은, 상기 본체에 장착된 상기 카트리지를 지지함으로써, 화상 형성 동작이 행해질 수 있는 위치에 상기 상 담지체를 위치결정하는 위치결정부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부는 상기 롤러 지지 부재에 설치되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부는 상기 카트리지와 결합하는 오목부인, 화상 형성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및 이격 기구와 상기 현상 장치를 결합시키는 결합부가, 상기 무단 벨트와 상기 상 담지체 사이의 접촉부보다 상기 무단 벨트의 내주면 측에 배치되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 유닛은 상기 상 담지체로부터 화상이 전사되는 중간 전사체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 유닛은 상기 기록재를 상기 상 담지체에 반송하는 기록재 반송체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및 이격 기구는 상기 본체로부터 구동력을 입력함으로써 구동되는, 화상 형성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복수의 카트리지를 장착할 수 있고,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복수의 카트리지를 지지할 수 있는 카트리지 트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 트레이는, 상기 카트리지 트레이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위치되는 내부 위치와, 상기 카트리지 트레이가 상기 본체의 외부에 위치되는 외부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고,
    상기 복수의 카트리지는, 상기 카트리지 트레이가 상기 외부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카트리지 트레이에 대하여 장착 및 장착 해제되는, 화상 형성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 유닛은, 상기 본체에 장착된 상기 카트리지를 지지함으로써, 화상 형성 동작이 행해질 수 있는 위치에 상기 상 담지체를 위치결정하는 위치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 트레이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상승 및 하강하며,
    상기 카트리지 트레이를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하강시킴으로써, 상기 상 담지체가 상기 전사 유닛에 접촉되고,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위치결정부에 의해 위치결정되며,
    상기 카트리지 트레이를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상승시킴으로써, 상기 상 담지체가 상기 전사 유닛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위치결정부에 의한 상기 카트리지의 위치결정이 해제되는, 화상 형성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상기 카트리지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접촉 및 이격 기구를 상기 카트리지와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전사 유닛이 상기 본체로부터 장착 해제되는 것이 방지되는, 화상 형성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및 이격 기구는, 상기 접촉 위치에서의 상기 현상 장치의 위치결정을 허용하는 제1 위치와, 상기 현상 장치가 상기 이격 위치에 유지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 담지체는 상기 카트리지 내에 설치되는, 화상 형성 장치.
  14.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및 이격 기구는, 상기 카트리지와 결합함으로써 상기 접촉 위치와 상기 이격 위치 사이에서 상기 현상제 담지체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결합가능 부재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와 상기 접촉 및 이격 기구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켜 상기 결합가능 부재로부터 상기 카트리지를 결합 해제시킴으로써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카트리지를 장착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결합 및 결합 해제 기구를 더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결합가능 부재와 결합가능한 결합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접촉 및 이격 기구로부터 상기 결합 부재를 멀리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결합가능 부재로부터 결합 해제되는, 화상 형성 장치.
  17.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복수의 카트리지를 장착할 수 있고,
    상기 접촉 및 이격 기구는 상기 카트리지와 결합 가능한 복수의 결합가능 부재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18.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및 이격 기구는 상기 본체에 대한 상기 전사 유닛의 장착 및 장착 해제에 따라 상기 본체에 대해 착탈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
KR1020150055094A 2014-04-21 2015-04-20 화상 형성 장치 KR1018501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87210 2014-04-21
JP2014087210A JP5889359B2 (ja) 2014-04-21 2014-04-21 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1669A KR20150121669A (ko) 2015-10-29
KR101850183B1 true KR101850183B1 (ko) 2018-04-18

Family

ID=52946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5094A KR101850183B1 (ko) 2014-04-21 2015-04-20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4) US9599956B2 (ko)
EP (1) EP2950163B1 (ko)
JP (1) JP5889359B2 (ko)
KR (1) KR101850183B1 (ko)
CN (1) CN105005185B (ko)
PH (1) PH120150001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89359B2 (ja) 2014-04-21 2016-03-2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548429B2 (ja) * 2015-03-31 2019-07-2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328161B2 (ja) * 2016-02-03 2018-05-2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746330B2 (ja) 2016-03-11 2020-08-26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19061059A (ja) * 2017-09-27 2019-04-18 株式会社沖データ 画像形成装置
CN108153126A (zh) * 2018-02-09 2018-06-12 珠海天威飞马打印耗材有限公司 一种粉盒
JP7283160B2 (ja) * 2019-03-22 2023-05-3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11402767B2 (en) 2020-02-07 2022-08-02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JP2022103670A (ja) 2020-12-28 2022-07-0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システム
JP2024002823A (ja) * 2022-06-24 2024-01-11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KR20240037161A (ko) 2022-09-14 2024-03-21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화상 형성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6716A (ja) 2000-06-19 2002-01-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13097185A (ja) * 2011-11-01 2013-05-20 Canon Inc 画像形成装置およびカートリッジ
JP2014067005A (ja) * 2012-09-07 2014-04-17 Canon Inc 画像形成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9716A (ja) 2000-06-19 2002-01-11 Tokyo Hoso:Kk デジタル放送番組の提供方法およびデジタル放送サービス
JP2002062781A (ja) * 2000-08-14 2002-02-28 Sharp Corp 画像形成装置
JP2002149032A (ja) 2000-11-07 2002-05-22 Sharp Corp 画像形成装置
EP1674948B1 (en) * 2004-12-27 2018-08-01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JP4820622B2 (ja) 2005-10-31 2011-11-24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2007199660A (ja) * 2005-12-26 2007-08-09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7271682A (ja) 2006-03-30 2007-10-18 Toshiba Corp 転写ベルト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08145502A (ja) 2006-12-06 2008-06-26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JP4527143B2 (ja) * 2007-10-19 2010-08-18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078664B2 (ja) 2008-02-26 2012-11-2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995211B2 (ja) * 2008-09-29 2012-08-08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514239B2 (ja) 2008-09-29 2010-07-28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ラー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8180257B2 (en) 2009-06-05 2012-05-15 Kabushiki Kaisha Toshiba Photoconductive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retractable shutter unit
JP5106656B2 (ja) 2010-06-22 2012-12-26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5665490B2 (ja) * 2010-11-10 2015-02-0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EP2455819B8 (en) * 2010-11-23 2018-07-18 HP Printing Korea Co., Ltd. Developing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2013114210A (ja) 2011-11-30 2013-06-10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6271845B2 (ja) 2012-04-04 2018-01-3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中間転写ユニット
US20140147167A1 (en) * 2012-11-29 2014-05-29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JP5968376B2 (ja) * 2013-09-03 2016-08-1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889359B2 (ja) 2014-04-21 2016-03-2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6716A (ja) 2000-06-19 2002-01-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13097185A (ja) * 2011-11-01 2013-05-20 Canon Inc 画像形成装置およびカートリッジ
JP2014067005A (ja) * 2012-09-07 2014-04-17 Canon Inc 画像形成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061263B2 (en) 2018-08-28
PH12015000112A1 (en) 2016-10-24
EP2950163B1 (en) 2022-08-10
US20180335749A1 (en) 2018-11-22
KR20150121669A (ko) 2015-10-29
US20150301497A1 (en) 2015-10-22
CN105005185B (zh) 2018-03-27
US9703254B2 (en) 2017-07-11
EP2950163A1 (en) 2015-12-02
US10488810B2 (en) 2019-11-26
JP5889359B2 (ja) 2016-03-22
JP2015206897A (ja) 2015-11-19
US9599956B2 (en) 2017-03-21
PH12015000112B1 (en) 2016-10-24
US20170146948A1 (en) 2017-05-25
CN105005185A (zh) 2015-10-28
US20170269541A1 (en) 2017-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0183B1 (ko) 화상 형성 장치
US8837982B2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4134985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カートリッジ
US9348308B2 (en) Process cartridge having force receiving portion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process cartridge
US913464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20210080898A1 (en)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8543034B2 (en) Electrophotographic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artridge
JP6029393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US944245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removable process units
US1029595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a movable belt
JP5523009B2 (ja) 画像形成装置
US20170176922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6537666B2 (ja) 画像形成装置
JP6328161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4106485A (ja) 画像形成装置
JP2018049200A (ja) 画像形成装置
JP6455845B2 (ja)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感光体ユニット
JP5157298B2 (ja) 画像形成装置
CN103853022A (zh) 成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