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7886B1 - 코어 운동 기구 및 방법 - Google Patents

코어 운동 기구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7886B1
KR101847886B1 KR1020160103786A KR20160103786A KR101847886B1 KR 101847886 B1 KR101847886 B1 KR 101847886B1 KR 1020160103786 A KR1020160103786 A KR 1020160103786A KR 20160103786 A KR20160103786 A KR 20160103786A KR 101847886 B1 KR101847886 B1 KR 1018478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unit
user
seating
external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3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2469A (ko
Inventor
박양선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80002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4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7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78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50Force related parameters
    • A63B2220/51Force
    • A63B2220/52Weight, e.g. weight distribu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3Sensors arranged on the exercise apparatus or sports impl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82/00Exercise devices
    • Y10S482/901Exercise devices having computer circuitry

Abstract

코어 운동 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어 운동 기구는 지면에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와 결합된 디스플레이부, 상기 몸체부와 연결된 로프의 일단에 결합된 핸들부 및 사용자가 앉기 위한 착석부를 포함하는 코어 운동 기구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소정 방향으로 상기 핸들부를 인출하는 제1 동작입력 및 구동력에 의해 인입되는 상기 핸들부를 지탱하는 제2 동작입력 각각을 요청하는 제1 노트 및 제2 노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복수의 사용자입력패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몸체부에 포함된 외력센싱부로부터 상기 로프에 걸리는 외력의 크기 및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인 외력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외력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입력패턴 각각에 대응되는 동작입력이 수행되었는지 판단하는 판단부를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코어 운동 기구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CORE EXERCISE}
본 발명은 코어 운동 기구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근, 허리근육, 중둔근 및 대둔근 등의 코어 근육을 이용하는 코어 운동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구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코어 운동(core exercise)이란 인체 중심부의 근육에 해당하는 복근, 허리근육, 중둔근 및 대둔근 등의 코어 근육을 단련하는 운동으로, 신체를 지탱하는 근육을 강화함으로써 다른 운동의 근간이 되는 핵심 운동을 의미한다.
최근, 노령화 사회로 진입함에 따라 노인이나 노약자의 건강과 운동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운동 기구는 젊은 세대나 중장년 세대를 대상으로 설계되어 있으며, 코어 운동이 필요한 노인이나 노약자들을 대상으로 설계된 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특히, 현재 상용화되고 있는 대부분의 운동 기구는 별도의 안전 장치가 장착되어 있지 않으며, 일반인들도 운동 기구를 사용할 때 예측하지 못한 부상을 당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는바, 기력이 약한 노인이나 노약자들이 현재 상용화되고 있는 운동 기구를 안전하게 사용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물론, 일부 운동 기구들은 안전바와 같은 장치를 구비함에 따라 간단한 스트레칭이나 약한 강도의 근력 운동을 하는 것은 가능하나, 노인이나 노약자가 스스로 코어 근육을 단련하기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보다 안전하고, 간편하게 코어 근육을 단련하여 코어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기구 및 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73725호 "자세균형 측정 및 상하 운동 장치"가 있다.
본 발명은 복근, 허리근육, 중둔근 및 대둔근 등의 코어 근육을 단련하기 위한 코어 운동 기구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음악과 연동하여 사용자가 코어 운동을 수행하고, 그 코어 운동에 대한 평가 결과를 사용자에게 피드백함으로써, 사용자의 성취감을 자극하고, 흥미를 유발하는 코어 운동 기구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어 운동 기구는 지면에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와 결합된 디스플레이부, 상기 몸체부와 연결된 로프의 일단에 결합된 핸들부 및 사용자가 앉기 위한 착석부를 포함하는 코어 운동 기구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소정 방향으로 상기 핸들부를 인출하는 제1 동작입력 및 구동력에 의해 인입되는 상기 핸들부를 지탱하는 제2 동작입력 각각을 요청하는 제1 노트 및 제2 노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복수의 사용자입력패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몸체부에 포함된 외력센싱부로부터 상기 로프에 걸리는 외력의 크기 및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인 외력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외력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입력패턴 각각에 대응되는 동작입력이 수행되었는지 판단하는 판단부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착석부가 상기 사용자의 착석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압력센서를 탑재하고, 상기 수신부가 상기 착석부로부터 상기 측정 결과인 위치정보를 더 수신할 때, 상기 판단부는 상기 수신된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동작입력에 따라 움직이는 상기 착석 위치와 상기 착석부의 중심 간의 거리가 소정의 임계거리 미만인지 더 판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출력부는 상기 착석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는 상기 사용자의 착석 위치를 더 출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코어 운동 능력을 평가하는 평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평가 결과를 더 출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음악을 재생하는 음악재생부; 및 상기 재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음악의 리듬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입력패턴 각각의 출력 시간을 설정하는 패턴설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설정된 출력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입력패턴을 출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패턴설정부가 미리 설정된 운동의 난이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입력패턴의 출력 순서, 출력 횟수 및 출력 시간 간격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설정할 때, 상기 출력부는 상기 설정된 출력 순서, 출력 횟수 및 출력 시간 간격 중 적어도 하나에 더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입력패턴을 출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핸들부가 상호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한쌍의 손잡이로 구성될 때, 상기 출력부는 상기 한쌍의 손잡이에 대하여, 2개의 상기 복수의 사용자입력패턴을 출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동작입력은 우상방향, 우하방향, 좌하방향 및 좌상방향 중 하나의 방향으로 상기 핸들부를 인출하는 동작일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어 운동 방법은 지면에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와 결합된 디스플레이부, 상기 몸체부와 연결된 로프의 일단에 결합된 핸들부 및 사용자가 앉기 위한 착석부를 포함하는 코어 운동 장치를 이용한 운동 방법에 있어서, 출력부가, 상기 사용자가 소정 방향으로 상기 핸들부를 인출하는 제1 동작입력 및 구동력에 의해 인입되는 상기 핸들부를 지탱하는 제2 동작입력 각각을 요청하는 제1 노트 및 제2 노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복수의 사용자입력패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는 단계; 수신부가, 상기 몸체부에 포함된 외력센싱부로부터 상기 로프에 걸리는 외력의 크기 및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인 외력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판단부가, 상기 수신된 외력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입력패턴 각각에 대응되는 동작입력이 수행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착석부가 상기 사용자의 착석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압력센서를 탑재하고, 상기 외력정보를 수신하는 단계가 상기 착석부로부터 상기 측정 결과인 위치정보를 더 수신할 때, 상기 동작입력이 수행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동작입력에 따라 움직이는 상기 착석 위치와 상기 착석부의 중심 간의 거리가 소정의 임계거리 미만인지 더 판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출력부가, 상기 착석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는 상기 사용자의 착석 위치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평가부가,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코어 운동 능력을 평가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부가, 상기 평가 결과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음악재생부가,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음악을 재생하는 단계; 및 패턴설정부가, 상기 재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음악의 리듬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입력패턴 각각의 출력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설정된 출력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입력패턴을 출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출력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가 미리 설정된 운동의 난이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입력패턴의 출력 순서, 출력 횟수 및 출력 시간 간격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설정할 때,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설정된 출력 순서, 출력 횟수 및 출력 시간 간격 중 적어도 하나에 더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입력패턴을 출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핸들부가 상호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한쌍의 손잡이로 구성될 때,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한쌍의 손잡이에 대하여, 2개의 상기 복수의 사용자입력패턴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코어 운동을 통해 복근, 허리근육, 중둔근 및 대둔근 등의 코어 근육을 단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코어 운동에 대한 평가 결과를 사용자에게 피드백함으로써, 사용자의 성취감을 자극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미리 설정된 음악 및 난이도에 따라 코어 운동을 수행할 수 있어,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하면서, 사용자의 운동 능력 범위 내에서 코어 운동을 수행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a 내지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어 운동 기구의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어 운동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어 운동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어 운동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어 운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어 운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어 운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어 운동 기구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어 운동 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어 운동 기구의 정면도이고, 도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어 운동 기구의 평면도이다.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어 운동 기구는 몸체부(100), 착석부(210) 및 핸들부(110) 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코어 운동 기구는 바닥부(200)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00)는 본 발명에 따른 코어 운동 기구의 주요 몸통을 구성하는 것으로, 몸체부(100)는 지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고, 바닥부(200)는 몸체부(100)의 하부에서 연장되며 몸체부(100)의 수직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몸체부(100)는 본 발명에 따른 코어 운동 기구의 기본적인 형태를 구성하며, 몸체부(100)는 지면과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바닥부(200)는 지면과 수평 방향으로 형성됨에 따라 전체적으로 'ㄴ'자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러한 형상은 일례에 해당되는 것이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착석부(210)는 바닥부(200)의 상측에 장착되며 사용자(10)가 착석하기 위한 구성에 해당된다. 사용자(10)는 바닥부(200)에 상면에 발을 딛고 착석부(210)에 앉은 상태로 본 발명에 따른 코어 운동 기구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바닥부(200)가 코어 운동 기구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는, 착석부(210)는 몸체부(100) 주변의 바닥에 배치될 수 있다.
착석부(210)의 종류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나, 코어 이동 중심(즉, 사용자(10)가 착석한 위치)의 난이도를 높게 설정하기 위해 착석부(210)는 돌출된 반구 형상을 가지며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보수볼(BOSU Ball)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수볼은 사용자(10)의 균형 감각을 강화시키고, 고유 수용기를 자극하며, 심부안정 및 근육강화를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핸들부(110)는 몸체부(100)에 연결된 로프(20)의 일단에 결합되며, 손으로 잡고 당기기에 적합한 손잡이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사용자(10)가 착석부(210)에 앉은 상태로 몸체부(100)의 방향으로 손을 뻗어서 잡을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핸들부(110)는 사용자(10)가 가하는 힘에 해당하는 외력에 의해 로프(20)가 몸체부(100)의 외부로 인출되거나, 코어 운동 기구로부터 구동되는 힘에 해당하는 구동력에 의해 몸체부(100)의 내부로 인입됨에 따라 로프(20)와 함께 동작할 수 있다.
사용자(10)는 핸들부(110)를 당기거나 구동력에 의해 당겨지는 핸들부(110)를 잡고 버팀으로써 코어 운동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핸들부(110)는 바람직하게 한 쌍의 손잡이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손잡이는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10)는 하나의 손잡이만을 당기거나, 하나의 손잡이를 위로 들고 다른 손잡이를 아래로 내리는 등 대칭되는 동작뿐만 아니라 다양한 비대칭 동작도 수행할 수 있다.
핸들부(110)의 일단에 연결된 로프(20)는 섬유나 강선 등으로 제조된 유연성이 있는 줄에 해당하며, 각종 면, 마, 합성섬유 등의 섬유로프나 강의 선재 등으로 만든 와이어로프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어 운동 기구는 몸체부(100)에서 착석부(210) 방향으로 설치되며 사용자(10)에게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는 영상을 보여주기 위한 모니터 장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10)는 디스플레이부(120)에서 보여주는 TV 프로그램 등의 영상을 감상하거나 디스플레이부(120)에서 보여주는 운동과 관련된 콘텐츠 영상을 직접 따라하면서 운동할 수 있다.
콘텐츠 영상은 사용자(10)의 운동을 돕기 위해 핸들부(110)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게임이나 미디어 영상일 수 있으며, 사용자(10)는 착석부(210)에 착석한 상태로 콘텐츠와 관련된 핸들부(110)의 동작을 따라하면서 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어 운동 기구는 바닥부(200)의 상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발광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부(220)는 외부로 빛을 방사하는 장치로서 도광판을 포함할 수 있고, LED, LCD, OLED 등의 모든 조명 장치들을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10)는 핸들부(110) 조작을 통해 디스플레이부(120)에서 상영되는 콘텐츠 영상을 따라할 수 있으며, 발광부(220)는 콘텐츠 영상과 연계되어 빛을 방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발광부(220)는 리듬 게임과 같이 콘텐츠 영상에서 제공하는 순간적인 미션들을 사용자(10)가 정확히 달성할 때마다 빛을 방출함으로써 사용자(10)에게 운동에 대한 성취감이나 동기를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어 운동 기구는 바닥부(200)의 상측에 소정 높이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포스트 보호부(230)와, 그 포스트 보호부(230)와 안전줄(30)에 의해 연결되며 사용자(10)가 착용하기 위한 착용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포스트 보호부(230)는 기둥 형상으로 바닥부(200)의 상측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10)가 포스트 보호부(230)에 부딪혀 상해를 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둘레 방향으로 탄성체가 결합될 수 있다.
안전줄(30)은 사용자(10)가 착석부(210)에 착석하여 핸들부(110)를 당기거나 미는 경우 사용자(10)가 균형을 잃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포스트 보호부(230)와 착석부(210) 사이의 거리를 고려하여 적절한 길이 및 텐션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착용부(40)는 사용자(10)가 착용하기 용이하도록 조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10)가 착용 가능한 각종 벨트 형상이나 고리 형상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로프(20)는 몸체부(100)의 외부로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노출되는데, 외력이 없는 경우 몸체부(100)의 외부로 노출된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도록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로프(20)의 일단에는 핸들부(110)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사용자(10)가 핸들부(110)를 당기는 경우에는 로프(20)가 몸체부(100)의 외부로 인출되며, 사용자(10)가 핸들부(110)를 놓거나 당기는 힘을 줄이는 경우에는 로프(20)가 몸체부(100)의 내부로 인입됨으로써 핸들부(110)는 원래의 위치로 돌아갈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10)의 지속적인 핸들부(110) 조작을 가능하게 한다.
몸체부(100)나 바닥부(200)의 측면에는 본 발명에 따른 코어 운동 기구의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전원부(5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운반의 편의를 위한 복수의 운반 손잡이(6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어 운동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어 운동 기구는 핸들부(110),디스플레이부(120), 외력센싱부(170), 출력부(140), 수신부(150) 및 판단부(160)를 포함한다.
한편, 출력부(140), 수신부(150) 및 판단부(160)는 몸체부(100) 또는 몸체부(100)에 포함된 컴퓨터, 랩탑 및 태블릿 등에 탑재될 수 있다.
출력부(140)는 사용자(10)가 소정 방향으로 핸들부(110)를 인출하는 제1 동작입력 및 구동력에 의해 인입되는 핸들부(110)를 지탱하는 제2 동작입력 각각을 요청하는 제1 노트 및 제2 노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복수의 사용자입력패턴을 디스플레이부(120)로 출력한다.
여기서, 제1 동작입력은 사용자(10)가 소정 방향으로 핸들부(110) 잡아당기는 동작입력이고, 제2 동작입력은 사용자(10)가 구동력에 의해 몸체부(100)의 내부로 잡아당겨지는 로프(20)에 연결된 핸들부(110)를 잡고 버티는 동작입력이다. 이때, 몸체부(100)의 내부에는 모터부(미도시)가 포함되어 있어, 그 구동력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핸들부(110)를 잡아당기는 소정 방향은 복수의 방향(예, 사용자(10) 정면을 기준으로 우상, 우하, 좌상 및 좌하의 4방향)일 수 있다.
한편, 제1 노트는 사용자(10)에게 제1 동작입력을 요청하기 위한 노트이며, 제2 노트는 사용자(10)에게 제2 동작입력을 요청하기 위한 노트이다. 그리고, 복수의 사용자입력패턴은 그 제1 노트 및 제2 노트 중 적어도 한 종류의 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사용자입력패턴은 제1 노트로만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제1 노트와 제2 노트를 모두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출력부(140)는 그 복수의 사용자입력패턴을 순차적으로 하나씩 디스플레이부(120)로 출력할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출력부(140)는 사용자(10)가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 출력되는 각각의 사용자입력패턴을 인지하고, 핸들부(110)를 이용하여 각각의 사용자입력패턴에 대응되는 동작입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핸들부(110)가 상호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한쌍의 손잡이로 구성될 때, 출력부(140)는 그 한쌍의 손잡이에 대하여, 2개의 복수의 사용자입력패턴을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a 및 1c를 참조하면, 핸들부(110)는 사용자(10)의 양 손에 하나씩 대응되는 한쌍의 손잡이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출력부(140)는 그 한쌍의 손잡이 각각에 대하여 복수의 사용자입력패턴을 출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출력부(140)가 사용자(10)의 왼손 및 오른손에 대하여 독립적인 동작입력을 요구하는 2개의 복수의 사용자입력패턴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그 2개의 복수의 사용자입력패턴은 반드시 서로 동일하거나 대칭적인 동작입력을 요구하는 것은 아니다. 즉, 설정된 코어 운동의 난이도, 사용자(10)의 코어 운동 능력 및 기타 필요에 따라 서로 동일하거나 대칭적인 동작입력을 요구할 수도 있고, 서로 상이한 동작입력을 요구할 수도 있으며, 둘 중 어느 한 쪽에만 동작입력을 요구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8을 참조하면, 출력부(140)가 왼손으로 잡는 손잡이를 이용하는 좌상방향의 제1 노트(121), 제2 노트(122) 및 좌하방향의 제1 노트(123)를 출력하고, 오른손으로 잡는 손잡이를 이용하는 우상방향의 제1 노트(124), 제2 노트(125) 및 우하방향의 제1 노트(126)를 디스플레이부(120)로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동작입력은 우상방향, 우하방향, 좌하방향 및 좌상방향 중 하나의 방향으로 핸들부(110)를 인출하는 동작일 수 있다.
즉, 몸체부(100)에 결합된 디스플레이부(120)를 향해 착석부(210)에 앉아있는 사용자(10)의 정면을 기준으로, 핸들부(110)를 우상방향, 우하방향, 좌하방향 및 좌상방향 중 하나의 방향으로 잡아당기는 동작이 제1 동작입력에 해당할 수 있다.
이때, 만일 핸들부(110)가 상호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한쌍의 손잡이로 구성되어 있다면, 사용자(10)가 동작입력을 수행할 때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좌상방향 및 좌하방향의 제1 동작입력은 사용자(10)의 왼손으로 잡는 손잡이에만 할당되고, 우상방향 및 우하방향의 제1 동작입력은 사용자(10)의 오른손으로 잡는 손잡이에만 할당될 수 있다.
수신부(150)는 몸체부(100)에 포함된 외력센싱부(170)로부터 로프(20)에 걸리는 외력의 크기 및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인 외력정보를 수신한다.
예컨대, 외력센싱부(170)는 사용자(10)가 핸들부(110)를 잡아당기는 힘에 대응하여 로프(20)에 가해지는 인장력의 크기를 감지하는 인장 로드셀 및 로프(20)에 부착되어 그 로프(20)가 움직이는 방향을 측정하는 가속도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신부(150)는 외력센싱부(17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로프(20)에 걸리는 외력의 크기 및 방향에 관한 외력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판단부(160)는 수신된 외력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사용자입력패턴 각각에 대응되는 동작입력이 수행되었는지 판단한다.
이때, 외력정보는 각 외력이 발생한 시간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판단부(160)는 출력부(140)로부터 각 사용자입력패턴의 출력 여부 및 출력 시간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그리고, 판단부(160)는 외력이 발생한 시간과 출력 시간이 소정의 범위(예, 0.5초, 1초) 이내인지를 우선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만일, 특정한 사용자입력패턴에 대하여, 외력이 발생한 시간과 출력 시간의 차이가 그 소정의 범위를 벗어났다면, 판단부(160)는 그 특정한 사용자입력패턴에 대응되는 동작입력이 수행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판단부(160)는 복수의 사용자입력패턴에 포함되는 제1 노트에 대하여, 그 노트에 할당된 인출 방향이 외력정보에 포함된 외력의 방향과 소정의 임계각도 이내의 차이인지 판단하고, 외력정보에 포함 외력의 크기가 소정의 임계치 이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
그 판단 결과, 그 노트에 할당된 인출 방향이 외력정보에 포함된 외력의 방향과 소정의 임계각도 이내의 차이이고, 외력정보에 포함된 외력의 크기가 소정의 임계치 이상이면, 판단부(160)는 그 제1 노트에 대응되는 올바른 동작입력이 수행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판단부(160)는 복수의 사용자입력패턴에 포함되는 제2 노트에 대하여, 핸들부(110)가 사용자(10)쪽으로 잡아당겨지는 외력을 (+)값으로 하고, 핸들부(110)가 몸체부(100)쪽으로 인입되는 외력을 (-)값으로 가정할 때, 외력정보에 포함된 외력의 크기가 (-)값이었다가 0이 되고, 그 0이 된 순간이 소정의 임계시간(예, 3초) 이상 지속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의 외력은, 제2 노트에 대응하여 모터부(미도시)에 의한 구동력이 발생할 때, 측정될 수 있다.
그 판단 결과, 외력정보에 포함된 외력의 크기가 (-)였다가 0이 되고, 그 0이 된 순간이 그 임계시간 이상이면, 판단부(160)는 그 제2 노트에 대응되는 올바른 동작입력이 수행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판단부(160)가 제1 노트 또는 제2 노트에 대응되는 동작입력이 올바르게 수행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발광부(220)를 제어하여 외부로 소정 색상의 빛을 방사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10)의 동작입력이 각각의 사용자입력패턴과 발생 시간 또는 인출 방향의 측면에서 가까운 정도에 따라, 발광부(220)를 통해 방사되는 빛의 색상이 달라지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어 운동 기구는 디스플레이부(120)에 출력되는 사용자입력패턴에 따라 사용자(10)가 실시간으로 동작입력을 수행함으로써, 게임을 하는 것과 같이 사용자(10)의 흥미를 유발하면서 코어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어 운동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어 운동 기구는 핸들부(110),디스플레이부(120), 외력센싱부(170), 착석부(210), 출력부(140), 수신부(150), 판단부(160) 및 평가부(165)를 포함한다.
한편, 출력부(140), 수신부(150), 판단부(160) 및 평가부(165)는 몸체부(100) 또는 몸체부(100)에 포함된 컴퓨터, 랩탑 및 태블릿 등에 탑재될 수 있다.
출력부(140)는 사용자(10)가 소정 방향으로 핸들부(110)를 인출하는 제1 동작입력 및 구동력에 의해 인입되는 핸들부(110)를 지탱하는 제2 동작입력 각각을 요청하는 제1 노트 및 제2 노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복수의 사용자입력패턴을 디스플레이부(120)로 출력한다.
수신부(150)는 몸체부(100)에 포함된 외력센싱부(170)로부터 로프(20)에 걸리는 외력의 크기 및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인 외력정보와 착석부(210)로부터 사용자(10)의 착석 위치를 측정한 결과인 위치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착석부(210)는 사용자(10)의 착석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압력센서를 탑재하고 있을 수 있다.
예컨대, 착석부(210)는 코어 운동 효과를 높이기 위해, 돌출된 반구형 형상일 수 있으며, 사용자(10)가 착석하는 착석부(210)의 표면 아래에 그 사용자(10)가 착석한 위치를 알 수 있도록 압력센서를 탑재할 수 있다. 이때, 그 사용자(10)가 착석한 위치는 그 사용자(10)의 무게중심(center of pressure, COP)이 될 수 있다.
이때, 수신부(150)는 착석부(21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착석부(210)로부터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측정된 사용자(10)의 착석 위치를 측정한 결과인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위치정보는 착석부(210)의 중심으로부터 측정된 사용자(10)의 착석 위치까지의 상대적인 거리(예, 0 에서 1의 범위) 및 사용자(10)의 정면을 기준(0도)로 하는 각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대적인 거리가 0이면, 사용자(10)의 착석 위치가 착석부(210)의 중심일 수 있고, 상대적인 거리가 1이면, 사용자(10)의 착석 위치가 착석부(210)의 가장 끝부분일 수 있다.
판단부(160)는 수신된 외력정보 및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동작입력에 따라 움직이는 사용자(10)의 착석 위치와 착석부(210)의 중심 간의 거리가 소정의 임계거리 미만인지와 복수의 사용자입력패턴 각각에 대응되는 동작입력이 수행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예컨대, 판단부(160)는 사용자(10)의 착석 위치와 착석부(210)의 중심 간의 거리가 소정의 임계거리 미만인지를 판단하고, 그 다음으로, 사용자입력패턴 각각에 대응되는 동작입력이 수행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판단부(160)는 사용자(10)의 착석 위치와 착석부(210)의 중심 간의 거리가 그 임계거리를 초과하면, 사용자(10)가 동작입력을 정확하게 수행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하여, 사용자입력패턴 각각에 대응되는 동작입력이 수행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10)의 코어 운동 능력이 우수할수록, 동작입력에 따라 움직이는 사용자(10)의 착석 위치와 착석부(210)의 중심 간의 거리가 짧아진다고 가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판단부(160)는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수신된 외력정보 및 위치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또는 파일의 형태(예, csv파일)로 저장하여, 각 사용자(10)별로 그 저장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이때, 각 사용자(10)는 코어 운동 기구를 사용하기 전에 각 사용자(10)를 식별하는 절차(예, 지문입력, NFC를 이용한 로그인 절차)를 거침으로써, 판단부(160)가 각 사용자별로 저장된 정보를 관리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각 날짜별로 그 저장된 정보를 도표 등으로 표시하여, 각 사용자별 코어 운동 능력의 변화 추세를 관찰할 수 있다.
평가부(165)는 그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10)의 코어 운동 능력을 평가한다.
예컨대, 평가부(165)는 복수의 사용자입력패턴에 대응되는 동작입력의 수행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를 이용하여, 사용자(10)의 코어 운동 능력을 평가할 수 있다. 즉, 판단부(160)가 100개의 사용자입력패턴에 대응되는 100개의 동작입력 중에서 88개만이 올바른 동작입력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를 가정하면, 평가부(165)는 그 판단 결과를 이용하여 88/100*100을 연산하여 88점으로 사용자(10)의 코어 운동 능력을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평가부(165)가 코어 운동 능력을 반드시 점수로만 평가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1) A, B, C, D, E 등급으로 평가하거나, 2) 최우수, 우수, 보통 등급으로 평가하는 등, 다양한 기준을 이용하여 평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출력부(140)는 착석부(210)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는 사용자(10)의 착석 위치를 더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도 8을 참조하면, 출력부(140)가 디스플레이부(120)로 착석부(210)를나타내는 원형의 영역(127)을 출력할 수 있으며, 사용자(10)의 착석 위치(128)를 그 원형의 영역(127)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그 원형의 영역(127)의 중심은 착석부(210)의 중심에 해당되며, 사용자(10)의 착석 위치(128)는 착석부(210)로부터 수신되는 위치정보에 포함된 상대적인 거리 및 각도의 정보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출력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출력부(140)는 평가부(165)의 평가 결과를 더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도 8을 참조하면, 출력부(140)가 디스플레이부(120)로 100점 만점 중 88점(즉, 88/100*100)이라는 사용자(10)의 코어 운동 능력을 평가한 결과(129)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평가 결과(129)는 그 출력하는 시점까지의 실시간 평가 결과일 수 있으며, 그 이후로 평가 결과가 변경될 때마다 출력부(140)가 그 변경된 평가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그 평가 결과는 숫자로 나타낸 점수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1) 차량 속도계와 같은 게이지 형태, 2) 평가 결과에 연동되는 평가 등급 문자(예, A, B, C 등) 와 같은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어 운동 기구는 착석부(210)로부터 수신하는 위치정보를 더 이용하여 사용자(10)의 코어 운동 능력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10)의 코어 운동 능력을 보다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으며, 사용자(10)에게 실시간으로 코어 운동 능력에 대한 평가를 피드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어 운동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어 운동 기구는 핸들부(110), 디스플레이부(120), 외력센싱부(170), 출력부(140), 수신부(150), 음악재생부(180), 패턴설정부(185) 및 판단부(160) 를 포함한다.
한편, 출력부(140), 수신부(150), 판단부(160), 음악재생부(180) 및 패턴설정부(185)는 몸체부(100) 또는 몸체부(100)에 포함된 컴퓨터, 랩탑 및 태블릿 등에 탑재될 수 있다.
음악재생부(180)는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음악을 재생한다.
예컨대, 사용자(10)는 음악재생부(180)에 포함된 음악 라이브러리에서, 코어 운동을 하는 동안 재생하려는 적어도 하나의 음악(예, MP3파일)을 선별하여 재생목록을 구성할 수 있으며, 그 재생목록을 음악 라이브러리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음악 라이브러리에는 사용자(10)의 연령 및 취향 등에 따른 다양한 음악(예, 가요, 팝송, 동요, 트로트, 민요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10)는 그 재생목록의 재생 순서를 설정할 수 있으며, 음악재생부(180)가 임의로 그 재생 순서를 결정할 수도 있다.
패턴설정부(185)는 그 재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음악의 리듬에 대응하여, 복수의 사용자입력패턴 각각의 출력 시간을 설정한다.
즉, 패턴설정부(185)는 그 재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음악의 리듬에 동기화되어, 각각의 사용자입력패턴이 디스플레이부(120)로 순차적으로 출력되도록 사용자입력패턴 각각의 출력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출력 시간은 재생되는 각각의 음악별로 재생 시작 시점을 기준으로 하는 시간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패턴설정부(185)가 음악을 연주하는 악기의 소리 또는 노래하는 사람의 목소리에 기초하여, 그 음악의 리듬을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패턴설정부(185)가 그 리듬과 동기화되어 복수의 사용자입력패턴이 출력되도록 그 복수의 사용자입력패턴 각각의 출력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출력부(140)는 그 설정된 출력 시간에 기초하여, 사용자(10)가 소정 방향으로 핸들부(110)를 인출하는 제1 동작입력 및 구동력에 의해 인입되는 핸들부(110)를 지탱하는 제2 동작입력 각각을 요청하는 제1 노트 및 제2 노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복수의 사용자입력패턴을 디스플레이부(120)로 출력한다.
예컨대, 출력부(140)는 음악재생부(180)에 의해 재생되는 음악의 리듬과 동기화되도록, 복수의 사용자입력패턴 각각을 설정된 출력 시간에 맞추어 디스플레이부(120)로 출력할 수 있다.
수신부(150)는 몸체부(100)에 포함된 외력센싱부(170)로부터 로프(20)에 걸리는 외력의 크기 및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인 외력정보를 수신한다.
판단부(160)는 수신된 외력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사용자입력패턴 각각에 대응되는 동작입력이 수행되었는지 판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패턴설정부(185)가 미리 설정된 운동의 난이도에 기초하여, 복수의 사용자입력패턴의 출력 순서, 출력 횟수 및 출력 시간 간격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설정할 때, 출력부(140)는 그 설정된 출력 순서, 출력 횟수 및 출력 시간 간격 중 적어도 하나에 더 기초하여, 복수의 사용자입력패턴을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10)는 코어 운동 능력에 따라 미리 코어 운동의 난이도를 초급, 중급 및 상급 중에서 설정할 수 있다. 그러면, 패턴설정부(185)는 그 설정된 운동 난이도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 출력되는 복수의 사용자입력패턴의 출력 순서, 출력 횟수 및 출력 시간 간격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여 설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난이도가 초급으로 설정된 경우에, 패턴설정부(185)는 사용자(10)가 입력하기 편하도록 복수의 사용자입력패턴의 출력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패턴설정부(185)는 출력되는 사용자입력패턴(즉, 제1 노트)의 방향이 급격하게 변하지 않도록 또는 2개의 손잡이에 대칭이되거나 동일하지 않은 전혀 다른 사용자입력패턴이 출력되지 않도록 출력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난이도가 초급으로 설정된 경우에, 패턴설정부(185)는 사용자입력패턴의 출력 횟수를 줄일 수 있다. 예컨대, 코어 운동 능력이 낮은 사용자(10)가 너무 많은 사용자입력패턴에 대응되는 동작입력을 입력하지 않도록 그 출력 횟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난이도가 초급으로 설정된 경우에, 패턴설정부(185)는 사용자입력패턴의 출력 시간 간격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예컨대, 코어 운동 능력이 낮은 사용자(10)가 짧은 시간 동안에 너무 많은 사용자입력패턴에 대응되는 동작입력을 입력하지 않도록 그 출력 시간 간격을 소정 시간 간격 이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패턴설정부(185)가 미리 설정된 코어 운동의 난이도와 사용자(10)의 코어 운동 능력에 대한 평가 결과에 기초하여, 실시간으로 코어 운동의 난이도를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미리 설정된 난이도는 상급이지만, 사용자(10)의 코어 운동에 대한 평가 결과 사용자(10)의 코어 운동 능력이 그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 패턴설정부(185)는 코어 운동의 난이도를 중급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미리 설정된 난이도는 하급이지만, 사용자(10)의 코어 운동에 대한 평가 결과 사용자(10)의 코어 운동 능력이 그보다 우수한 경우, 패턴설정부(185)는 코어 운동의 난이도를 중급으로 변경할 수 있다.
한편, 패턴설정부(185)의 실시간 난이도 변경이 가능한지 여부는, 사용자(10)가 별도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어 운동 기구는 패턴설정부(185)가 미리 설정된 음악 및 난이도에 따라 출력되는 복수의 사용자입력패턴을 설정함으로써, 사용자(10)는 자신의 코어 운동 능력에 맞는 적절한 코어 운동을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재생되는 음악에 맞추어 코어 운동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10)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어 운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 S510에서는, 출력부(140)가, 사용자(10)가 소정 방향으로 핸들부(110)를 인출하는 제1 동작입력 및 구동력에 의해 인입되는 핸들부(110)를 지탱하는 제2 동작입력 각각을 요청하는 제1 노트 및 제2 노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복수의 사용자입력패턴을 디스플레이부(120)로 출력한다.
단계 S520에서는, 수신부(150)가, 몸체부(100)에 포함된 외력센싱부로부터 로프에 걸리는 외력의 크기 및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인 외력정보를 수신한다.
단계 S530에서는, 판단부(160)가, 그 수신된 외력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사용자입력패턴 각각에 대응되는 동작입력이 수행되었는지 판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평가부(165)가, 그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10)의 코어 운동 능력을 평가하고, 출력부(140)가 그 평가 결과를 디스플레이부(120)로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핸들부(110)가 상호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한쌍의 손잡이로 구성될 때, 출력부(140)가 그 한쌍의 손잡이에 대하여, 2개의 복수의 사용자입력패턴을 출력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어 운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 S610에서는, 출력부(140)가, 사용자(10)가 소정 방향으로 핸들부(110)를 인출하는 제1 동작입력 및 구동력에 의해 인입되는 핸들부(110)를 지탱하는 제2 동작입력 각각을 요청하는 제1 노트 및 제2 노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복수의 사용자입력패턴을 디스플레이부(120)로 출력한다.
단계 S620에서는, 수신부(150)가, 몸체부(100)에 포함된 외력센싱부(170)로부터 로프에 걸리는 외력의 크기 및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인 외력정보를 수신하고, 착석부(210)로부터 사용자(10)의 착석 위치를 측정한 결과인 위치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착석부(210)는 사용자(10)의 착석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압력센서를 탑재할 수 있다.
단계 S630에서는, 판단부(160)가, 그 수신된 외력정보 및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동작입력에 따라 움직이는 사용자(10)의 착석 위치와 착석부(210)의 중심 간의 거리가 소정의 임계거리 미만이면서, 복수의 사용자입력패턴 각각에 대응되는 동작입력이 수행되었는지를 판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출력부(140)가, 착석부(210)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는 사용자(10)의 착석 위치를 디스플레이부(120)로 출력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어 운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 S710에서는, 음악재생부(180)가,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음악을 재생한다.
단계 S720에서는, 패턴설정부(185)가, 그 재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음악의 리듬에 대응하여, 복수의 사용자입력패턴 각각의 출력 시간을 설정한다.
단계 S730에서는, 출력부(140)가, 그 설정된 출력 시간에 기초하여, 사용자(10)가 소정 방향으로 핸들부(110)를 인출하는 제1 동작입력 및 구동력에 의해 인입되는 핸들부(110)를 지탱하는 제2 동작입력 각각을 요청하는 제1 노트 및 제2 노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복수의 사용자입력패턴을 디스플레이부(120)로 출력한다.
단계 S740에서는, 수신부(150)가, 몸체부(100)에 포함된 외력센싱부로부터 로프에 걸리는 외력의 크기 및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인 외력정보를 수신한다.
단계 S750에서는, 판단부(160)가, 그 수신된 외력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사용자입력패턴 각각에 대응되는 동작입력이 수행되었는지 판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미리 설정된 운동의 난이도에 기초하여, 출력부(140)가, 복수의 사용자입력패턴을 출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단계 S720에서, 패턴설정부(185)가, 미리 설정된 운동의 난이도에 기초하여, 복수의 사용자입력패턴의 출력 순서, 출력 횟수 및 출력 시간 간격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설정할 때, 단계 S730에서, 출력부(140)가, 그 설정된 출력 순서, 출력 횟수 및 출력 시간 간격 중 적어도 하나에 더 기초하여, 복수의 사용자입력패턴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지면에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와 결합된 디스플레이부, 상기 몸체부와 연결된 로프의 일단에 결합된 핸들부 및 사용자가 앉기 위한 착석부를 포함하는 코어 운동 기구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소정 방향으로 상기 핸들부를 인출하는 제1 동작입력 및 구동력에 의해 인입되는 상기 핸들부를 지탱하는 제2 동작입력 각각을 요청하는 제1 노트 및 제2 노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복수의 사용자입력패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몸체부에 포함된 외력센싱부로부터 상기 로프에 걸리는 외력의 크기 및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인 외력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외력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입력패턴 각각에 대응되는 동작입력이 수행되었는지 판단하는 판단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착석부가 상기 사용자의 착석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압력센서를 탑재하고, 상기 수신부가 상기 착석부로부터 상기 측정 결과인 위치정보를 더 수신하며,
    상기 판단부는
    상기 수신된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동작입력에 따라 움직이는 상기 착석 위치와 상기 착석부의 중심 간의 거리가 소정의 임계거리 미만인지 더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운동 기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착석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는 상기 사용자의 착석 위치를 더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운동 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코어 운동 능력을 평가하는 평가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평가 결과를 더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운동 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음악을 재생하는 음악재생부; 및
    상기 재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음악의 리듬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입력패턴 각각의 출력 시간을 설정하는 패턴설정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설정된 출력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입력패턴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운동 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설정부는
    미리 설정된 운동의 난이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입력패턴의 출력 순서, 출력 횟수 및 출력 시간 간격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설정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설정된 출력 순서, 출력 횟수 및 출력 시간 간격 중 적어도 하나에 더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입력패턴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운동 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가 상호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한쌍의 손잡이로 구성될 때,
    상기 출력부는
    상기 한쌍의 손잡이에 대하여, 2개의 상기 복수의 사용자입력패턴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운동 기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작입력은
    우상방향, 우하방향, 좌하방향 및 좌상방향 중 하나의 방향으로 상기 핸들부를 인출하는 동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운동 기구.
  9. 지면에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와 결합된 디스플레이부, 상기 몸체부와 연결된 로프의 일단에 결합된 핸들부 및 사용자가 앉기 위한 착석부를 포함하는 코어 운동 장치를 이용한 운동 방법에 있어서,
    출력부가, 상기 사용자가 소정 방향으로 상기 핸들부를 인출하는 제1 동작입력 및 구동력에 의해 인입되는 상기 핸들부를 지탱하는 제2 동작입력 각각을 요청하는 제1 노트 및 제2 노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복수의 사용자입력패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는 단계;
    수신부가, 상기 몸체부에 포함된 외력센싱부로부터 상기 로프에 걸리는 외력의 크기 및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인 외력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판단부가, 상기 수신된 외력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입력패턴 각각에 대응되는 동작입력이 수행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착석부가 상기 사용자의 착석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압력센서를 탑재하고, 상기 외력정보를 수신하는 단계가 상기 착석부로부터 상기 측정 결과인 위치정보를 더 수신하며,
    상기 동작입력이 수행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동작입력에 따라 움직이는 상기 착석 위치와 상기 착석부의 중심 간의 거리가 소정의 임계거리 미만인지 더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운동 방법.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가, 상기 착석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는 상기 사용자의 착석 위치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운동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평가부가,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코어 운동 능력을 평가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부가, 상기 평가 결과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운동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음악재생부가,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음악을 재생하는 단계; 및
    패턴설정부가, 상기 재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음악의 리듬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입력패턴 각각의 출력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설정된 출력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입력패턴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운동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가 미리 설정된 운동의 난이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입력패턴의 출력 순서, 출력 횟수 및 출력 시간 간격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설정할 때,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설정된 출력 순서, 출력 횟수 및 출력 시간 간격 중 적어도 하나에 더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입력패턴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운동 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가 상호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한쌍의 손잡이로 구성될 때,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한쌍의 손잡이에 대하여, 2개의 상기 복수의 사용자입력패턴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운동 방법.
KR1020160103786A 2016-06-29 2016-08-16 코어 운동 기구 및 방법 KR1018478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81947 2016-06-29
KR1020160081947 2016-06-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469A KR20180002469A (ko) 2018-01-08
KR101847886B1 true KR101847886B1 (ko) 2018-04-12

Family

ID=61003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3786A KR101847886B1 (ko) 2016-06-29 2016-08-16 코어 운동 기구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78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07097B (zh) * 2018-09-10 2020-10-20 王芊蔚 一种多维度健腹机
CN111643874A (zh) * 2020-05-28 2020-09-11 张兴 一种多功能健身器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48779A (ja) * 2004-06-08 2005-12-22 Asahi Kasei Engineering Kk 運動機能回復訓練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48779A (ja) * 2004-06-08 2005-12-22 Asahi Kasei Engineering Kk 運動機能回復訓練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469A (ko) 2018-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5360B1 (ko) 모션 검출 시스템
CN105705090B (zh) 传感器和应用
JP2011000367A (ja) 音楽再生制御装置
JP2004105219A (ja) トレーニング装置
KR101718427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체감형 상호작용 암벽 기반 스크린 클라이밍 학습 시스템 및 방법
US20160035240A1 (en) Dementia therapy method and instrument
CN203329344U (zh) 一种自助式体能测试跳舞毯
JP2008229101A (ja) トレーニング支援装置、トレーニング支援方法及びトレーニング支援装置用プログラム
KR101847886B1 (ko) 코어 운동 기구 및 방법
JP2021029857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2004105220A (ja) トレーニング装置
KR101624032B1 (ko) 노인용 균형운동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20140194262A1 (en) Electronic Exercise Monitor with Human Facsimile and Audible Feedback
AU2023201742B2 (en) A sensor-enabled platform configured to measure athletic activity
KR101464291B1 (ko) 오락게임용 헬스케어 운동기구
CN204522208U (zh) 一种拳击训练机
JP2007267818A (ja) 有酸素運動維持装置
KR101968233B1 (ko) 드럼 연주를 이용한 피트니스 서비스 제공방법
US9378656B2 (en) Electronic exercise monitor with human facsimile and audible feedback
KR101894057B1 (ko) 드럼 연주 장치를 이용한 피트니스 시스템
KR101953964B1 (ko) 스마트 디지털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JP3090045U (ja) 運動器材に設置される音声及び音楽提供装置
GB2518252A (en) Floor-Stretching exercise mat with movement guiding function and a movement guiding method
JP7430897B2 (ja) エクササイズ用具用の装置
JP6270115B2 (ja) 運動支援システム及び運動支援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