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4819B1 - Convergence floating type water management system - Google Patents

Convergence floating type water management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4819B1
KR101844819B1 KR1020160165501A KR20160165501A KR101844819B1 KR 101844819 B1 KR101844819 B1 KR 101844819B1 KR 1020160165501 A KR1020160165501 A KR 1020160165501A KR 20160165501 A KR20160165501 A KR 20160165501A KR 101844819 B1 KR101844819 B1 KR 1018448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unit
water quality
management system
photo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55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108790A (en
Inventor
임현만
윤영한
박재로
김원재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170108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879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4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4819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by bubbling
    • B01F23/23105Arrangement or manipulation of the gas bubbling devices
    • B01F23/2312Diffusers
    • B01F3/04241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inorganic sorb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echanical oscillations
    • C02F1/3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echanical oscillations ultrasonic vib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2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by catalytic oxid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2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animals or plants used, e.g. alga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5/00Use of specific compounds during water treatment
    • C02F2305/10Photocatalys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oxi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염된 수체에 대한 융복합적인 정화, 여과 기술, 흡착 기술, 광산화 기술 및 초음파 기술을 채용하여 난분해성 유기물질과 조류발생 원인물질의 제거를 통한 직접적 수질 개선 및 조류 발생의 원인을 예방할 수 있는 융복합 부유형 수질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용 공간을 갖는 부도 지지체, 상기 부도 지지체에 구비되는 여과 유닛, 상기 부도 지지체 및 상기 부도 지지체의 가장자리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 수용체에 구비되어 수중 수체를 펌핑하여 상기 여과 유닛 측으로 살수하는 살수 유닛, 상기 살수 유닛 내부에 구비되어 광산화 및 흡착 작용하는 광산화 흡착 유닛, 상기 연장 수용체에 구비되어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초음파 발생 유닛, 상기 부도 지지체의 하부에 구비되어 버블을 발생시키는 버블 발생 유닛, 및 상기 살수 유닛, 상기 초음파 발생 유닛 및 상기 버블 발생 유닛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융복합 부유형 수질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dopts fused complex purification, filtration technology, adsorption technology, photooxidation technology and ultrasonic technology for contaminated water bodies to prevent the cause of direct water quality improvement and algae generation by eliminating refractory organic substances and algae causative substances Water quality management system, which can be used to control water quality. 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ubmerged support having a receiving space, a filtration unit provided in the submount support, an extension receiver extending outward from an edge of the submultiplexer and the submount support, An ultrasonic wave generating unit provided in the extension receiver for generating ultrasonic waves, and a bubble generator disposed below the ultrasonic wave generator to generate bubbles. The ultrasonic wave generating unit includes a water spray unit for spraying water toward the filtration unit, a photo-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spraying unit, the ultrasonic generating unit, and the bubble generating unit.

Figure R1020160165501
Figure R1020160165501

Description

융복합 부유형 수질 관리 시스템{CONVERGENCE FLOATING TYPE WATER MANAGEMENT SYSTEM}{CONVERGENCE FLOATING TYPE WATER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융복합 부유형 수질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염된 하천, 호수, 저수지 및 해역 등 수체에 대한 융복합적인 정화와 여과 기술을 채용하여 난분해성 유기물질과 조류 발생 원인 물질의 제거를 통한 직접적 수질 개선 및 조류 발생의 예방을 기초로 보다 효율적인 수질 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융복합 부유형 수질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quality management system for a fused composite part,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ter quality management system for a fused composite part type water quality management system,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quality management system of a mixed-complex part capable of performing more efficient water quality management based on improvement of direct water quality through elimination of water and prevention of occurrence of algae.

기존의 하천 및 호수 수질개선을 위한 부도(예를 들어, 인공 식물섬)와 관련된 기술은 부도 상부에 수생 식물을 식재하거나 부도 하부에 침수 식물을 식재하는 등 식생 정화에 의하여 수질을 개선하는 기술이 대부분이다.Techniques related to bankruptcy (for example, artificial plant islands) for improving existing water quality in rivers and lakes include a technique for improving water quality by vegetation purification, such as planting aquatic plants in the upper part of the subdivision or planting submerged plants in the lower part of the subdivision Mostly.

이러한 수생 식물을 이용한 수질 정화는 식물의 자연 정화 능력을 활용하여 질소 및 인 등 영양염류를 식물이 흡수하고, 식물 뿌리부의 미생물에 의한 유기물 분해 작용에 의해 하천, 호수, 저수지 및 해역 등 수체의 수질을 개선하고 수생 생물의 서식처를 제공하며, 경관 창출 등의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The water purification using these aquatic plants absorbs the nutrients such as nitrogen and phosphorus by utilizing the natural purification ability of the plants, and the water quality of the water bodies such as rivers, lakes, reservoirs and sea areas To provide a habitat for aquatic life, and to create scenery.

그러나 이러한 식물을 이용한 수질 개선 방법은 수질 개선 효과가 수 %에 그치는 등 매우 제한적이고, 난분해성 유기물질과 조류 발생 원인 물질인 질소(N)와 인(P) 제거에 한계가 있으며, 계절적인 영향에 의하여 수질 정화 효과가 크게 변동하는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water quality improvement methods using these plants are very limited, such as the water quality improvement effect is only a few%, and there is a limit to the removal of nitrogen (N) and phosphorus (P)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ffect of purifying the water is greatly varied.

특히, 동절기에는 식물에 의한 수질 정화 효과를 기대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고사한 수생 식물로부터 영양물질이 용출되는 등의 단점이 있다. 또한, 위와 같은 문제점들로 인해 넓은 범위에 걸쳐 진행되는 수체의 오염을 정화하는 데 한계가 있다.Especially, in the winter season, not only the effect of purifying water by plants can not be expected but also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nutrients are eluted from dead aquatic plants. In addition, due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re is a limit in purifying contamination of a water body which proceeds over a wide range.

종래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24538호는 자연 생태적으로 수질을 정화하며 수중 및 지상부에 다양한 생물의 서식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인공적인 다기능 조경 및 생태정화 식물섬을 개시한다.As a conventional techniqu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924538 discloses an artificial multifunctional landscape and ecological purification plant that can purify water quality naturally and ecologically, and can secure a living space for various creatures in the water and the ground.

또한, 종래 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17074호는 부영양화 또는 오염이 빈번한 인공호수 등의 수면 위에 인공구조물을 만들어 식물을 재배토록 하여 수중의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수질정화용 인공식물섬을 개시한다.Also, as a conventional art,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3-0017074 discloses a water purification artificial artificial plant capable of removing contaminants from water by making artificial structures on the surface of water such as eutrophication or polluted artificial lakes Plant island.

상기 종래 기술들은 난분해성 유기물질과 조류 발생 원인물질인 질소(N)와 인(P)을 제거할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하고 있지 않아 수질을 정화하는데 한계가 있다.The above conventional techniques do not include a refractory organic substance and a means for removing nitrogen (N) and phosphorus (P) which are algae-generating substances, and thus there is a limit to the purification of water quality.

(문헌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24538호(2009.10.26.)(Document 1)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924538 (October 26, 2009) (문헌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17074호(2003.03.03)(Document 2)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3-0017074 (2003.03.03)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오염된 하천, 호수, 저수지 및 해역 등 수체에 대한 융복합적인 정화, 여과 기술, 흡착 기술, 광산화 기술 및 초음파 기술을 채용하여 난분해성 유기물질과 조류 발생 원인 물질의 제거를 통한 직접적 수질 개선 및 조류 발생의 원인 예방을 기초로 보다 효율적인 수질 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융복합 부유형 수질 관리 시스템 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iltration system, a filtration system, an adsorption system, a photo-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ter quality management system of a fusion type water quality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performing more efficient water quality management based on direct water quality improvement by eliminating degradation organic substances and algae causative substances and prevention of cause of algae occurrence.

또한, 본 발명은 질소 및 인을 포함하는 오염 물질을 오염수로부터 여과 및 흡착시켜 제거하는 카트리지 방식의 여과 설비, 마이크로미터 단위의 입경을 갖는 마이크로 버블을 발생시키는 마이크로 버블 공급 설비, 광산화 작용을 수행하는 광산화 설비, 수중에 조사되면 공동화 기포((cavitation bubble)가 발생하고 이것이 성장하여 파열 할 때 발생하는 고온, 고압의 충격파에 의하여 화학 반응이 극대화 되어 난분해성 유기물을 제거하는 초음파를 발생시켜 난분해성 유기물을 제거하는 초음파 설비, 여과설비의 상부에 오염수를 살수하는 오염수 순환 및 공급을 위한 살수 설비를 통해 수체의 수질 또는 경관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여, 오염된 하천, 호수, 저수지 및 해역 등 수체에 대한 직접적 수질 개선 및 수질오염의 예방을 통하여 보다 효율적인 수질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융복합 부유형 수질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cartridge-type filtration system for removing pollutants including nitrogen and phosphorus from polluted water by filtration and adsorption, a microbubble supply system for generating microbubbles having a particle size of micrometer unit, When the water is irradiated in the water, cavitation bubble is generated and the chemical reaction is maximized by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shock waves generated when it grows and ruptures. Ultrasonic wave which generates decomposed organic matter is generated, Ultrasonic facilities to remove organic matter, pollutant circulation to sprinkle polluted water on top of filtration facilities, and spraying facilities to supply water can improve the water quality or landscape of the water body, and polluted rivers, lakes, reservoirs and sea areas By improving water quality directly and preventing water pollution, more efficient water quality Lee composite unit type that can be raised to occur there is a further object to provide a water management system.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오염원에 대한 수질 감시를 통해 하천, 호수, 저수지 및 해역 등 수체의 수질이 악화된 경우 혹은 조류 발생 등 하천과 호소의 수질 및 생태 환경의 악화가 우려되어 사전 예방이 필요한 경우에, 식생에 의한 오염 물질의 흡수 및 경관 개선 작용, 카트리지 방식 여과 부재에 의한 오염 물질의 여과, 질소(N)와 인(P)의 흡착 및 분해작용, 초음파 발생에 의한 난분해성 유기물 분해작용, 마이크로 버블에 의한 용존산소 공급, 부상분리 및 산화작용, 인공수초에 부착된 상태로 생장하는 미생물에 의한 산화 분해 작용, 광산화 흡착재에 의한 오염물질의 광산화 및 흡착 작용 등을 융복합하여 수체의 오염 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도록 하는 융복합 부유형 수질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case where the water quality of a water body such as a river, a lake, a reservoir and a sea area deteriorates due to monitoring of a pollution source, or when a precaution is required due to concern about worsening of water quality and ecological environment (N) and phosphorus (P) adsorption and degradation, degradation of organic matter by the generation of ultrasonic waves, degradation of organic matter by ultrasound, It is composed of dissolved oxygen by microbubbles, floating separation and oxidation, oxidative decomposition by microorganisms adhering to artificial herbaceous plants, photo-oxidation and adsorption of contaminants by photo-oxidizer, And a water quality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발명은 수체에 광산화 및 흡착 작용을 단계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며, 각 단계에 적합한 광산화 흡착 유닛을 적재적소에 배치할 수 있는 구조의 융복합 부유형 수질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ter quality management system of a fusion-compound part type capable of performing photo-oxidation and adsorption operations stepwise on a water body, and capable of disposing a photo- .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수용 공간을 갖는 부도 지지체; 상기 부도 지지체에 구비되는 여과 유닛; 상기 부도 지지체 및 상기 부도 지지체의 가장자리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 수용체에 구비되어 수중 수체를 펌핑하여 상기 여과 유닛 측으로 살수하는 살수 유닛; 상기 살수 유닛 내부에 구비되어 광산화 및 흡착 작용하는 광산화 흡착 유닛; 상기 연장 수용체에 구비되어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초음파 발생 유닛; 상기 부도 지지체의 하부에 구비되어 버블을 발생시키는 버블 발생 유닛; 및 상기 살수 유닛, 상기 초음파 발생 유닛 및 상기 버블 발생 유닛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융복합 부유형 수질 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objects and other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ubordinate support having a receiving space; A filtration unit provided on the subordinate support; A water spraying unit provided on an extension receptacle extending outwardly from an edge portion of the subordinate support body and the subordinate support body to pour water into the water and sprinkle water toward the filtration unit; A photodecomposition unit provided inside the spraying unit for photo-oxidation and adsorption; An ultrasonic wave generating unit provided in the extension receiver to generate ultrasonic waves; A bubble generating unit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ubordinate support to generate bubbles;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spraying unit, the ultrasonic generating unit, and the bubble generating unit.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살수 유닛은, 상기 연장 수용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수중 수체를 펌핑하는 펌핑 수단; 상기 펌핑 수단에 의해 펌핑된 수체를 공급받는 공급 라인; 및 상기 공급 라인에 연결되며 상기 공급 라인을 통해 공급되는 수체를 저류 및 상기 여과 유닛으로 살수하기 위한 저류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spraying unit may include: pumping mean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extension receiver for pumping water underwater; A supply line supplied with the water body pumped by the pumping means; And a storage tank connected to the supply line, for storing the water body supplied through the supply line and for draining the water body into the filtration unit.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저류조는, 상기 공급 라인에 중심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광산화 흡착 유닛을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공급 라인으로부터 전달되는 수체를 저류하기 위한 수용 부재; 및 상기 수용 부재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수체를 하방으로 유통하기 위한 유통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age tank may further include: a receiving member connected to the supply line at a center thereof for storing the water body received therein from the supply line; And a flow hole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member for flowing the water body downwar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용 부재는 상기 여과 유닛과 평면적으로 서로 대응하는 모양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housing member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ltration unit in plan view.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용 부재는 상기 여과 유닛의 일부 평면에 대응하는 모양으로 구성되며 상기 공급 라인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receiving member is configur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a part of the plane of the filtration unit and configured to rotate about the supply lin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용 부재는, 상기 공급 라인에 연결되며, 제1 면적을 가지는 제1 수용 부재; 및 상기 제1 수용 부재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면적과 상이한 제2 면적을 가지는 제2 수용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iving member may include: a first receiving member connected to the supply line, the first receiving member having a first area; And a second housing member disposed below the first housing member and having a second area different from the first area.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용 부재는 상기 공급 라인을 중심으로 외곽으로 갈수록 아래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구성되며, 외곽 주변에 단턱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receiving member is configur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outer periphery with respect to the supply line, and further includes a step around the outer periphery.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턱의 연장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광산화 흡착 유닛의 외부 유실을 막기 위한 유실 방지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loss preventing member formed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step, for preventing external leakage of the photo-oxide absorption unit.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살수 유닛은 상기 공급 라인에 설치되어 상기 펌핑 수단으로부터 펌핑된 수체의 공급량을 제어하는 공급량 제어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praying unit further includes a supply amount control valve installed in the supply line for controlling the supply amount of the water body pumped from the pumping means.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광산화 흡착 유닛은 이산화티타늄과 제올라이트 중 적어도 하나의 물질이 표면에 코팅된 발포성 스티로폼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photo-oxide adsorption unit comprises foamed styrofoam having at least one of titanium dioxide and zeolite coated on the surface thereof.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광산화 흡착 유닛은, 유기계 지지체; 및 상기 유기계 지지체에 부착되는 광촉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hoto-oxide adsorption unit may comprise an organic-based support; And a photocatalyst attached to the organic support.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광산화 흡착 유닛은, 상기 유기계 지지체로서 폴리부타디엔(polybutadiene)을 주원료로 하는 재료인 부타디엔고무(BR), 스타이렌부타디엔고무(SBR), 니트릴고무(NBR) 중 하나를 테트라히드로푸란 용액에 담지시켜 팽윤 및 개질 처리하고, 상기 유기계 지지체를 광촉매 분말에 투하하여 상기 광촉매를 부착시킨 후 건조시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hoto-oxide absorbing unit may be formed by using one of butadiene rubber (BR), styrene-butadiene rubber (SBR), and nitrile rubber (NBR), which are materials mainly composed of polybutadiene as the organic- Furan solution, swelling and modifying the solution, dropping the organic support onto the photocatalyst powder, adhering the photocatalyst, and drying the solution.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광산화 흡착 유닛은, 테트라히드로푸란 용액과 광촉매 분말을 혼합하여 슬러리로 만든 다음, 상기 유기계 지지체로서 부타디엔고무(BR), 스타이렌부타디엔고무(SBR), 니트릴고무(NBR) 중 하나를 담지시켜 상기 광촉매를 부착시킨 후 건조시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hoto-oxide adsorption unit may be prepared by mixing a tetrahydrofuran solution and a photocatalyst powder to form a slurry, and then using the butadiene rubber (BR), styrene butadiene rubber (SBR), nitrile rubber (NBR) And then the photocatalyst is adhered and drie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광산화 흡착 유닛은, 초음파 세척을 실시하여 상기 유기계 지지체에 불완전하게 부착되어 있는 광촉매를 탈리시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photo-oxide adsorption unit is constituted by removing the photocatalyst imperfectly attached to the organic-based support by ultrasonic cleaning.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광산화 흡착 유닛은, 발포체에 광촉매 물질에 해당하는 산화티타늄(TiO2)을 글리세린으로 부착시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photo-oxide adsorption unit is constituted by attaching titanium oxide (TiO2) corresponding to a photocatalyst material to the foamed body with glycerin.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장 수용체에 구비되어 광산화 및 흡착 작용하는 하부 광산화 흡착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lower photo-oxide adsorption unit which is provided in the elongated receptor and performs photo-oxidation and adsorption.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살수 유닛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광산화 흡착 유닛의 광산화 및 흡착 작용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광원 발생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light source-generating member provided in the spraying unit, for activating photo-oxidation and adsorption of the photo-oxide absorption unit.

본 발명에 따른 융복합 부유형 수질 관리 시스템은 카트리지 방식의 여과 유닛, 마이크로 버블 산기 유닛, 식생 유닛, 광산화 흡착 유닛, 초음파 발생 유닛 및 식생 유닛 등의 단독 또는 각 공정을 조합한 연계처리가 가능하여 하천, 호수, 저수지 및 해역 등 수체의 수질상태 및 오염부하에 따라 능동적인 대처가 가능하고, 질소와 인 및 조류의 제거가 가능하며, 기존의 식생 부도가 갖는 낮은 처리효율 및 기온이 낮은 동절기에 수질개선 효과가 낮아지는 문제점 등을 복합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The water-quality management system of the fusion complex part ty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a linking process of a cartridge type filtration unit, a micro bubble diffusing unit, a vegetation unit, a photooxidative absorption unit, an ultrasonic wave generation unit and a vegetation unit, It is possible to actively cope with water quality and pollution load of water bodies such as rivers, lakes, reservoirs and sea areas, and to remove nitrogen, phosphorus and algae. In addition, And the problem that the water quality improvement effect is lowered can be solved in a complex manner.

또한, 본 발명은 카트리지 방식의 여과 유닛에 대한 설치 및 유지관리의 용이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대략 1㎥ 안팎의 부피를 갖는 카트리지 형태의 모듈 타입으로 구성하여 교체와 청소 및 재설치가 용이하고 여과 유닛의 유지관리를 용이하도록 한 효과가 있다.Further, in order to ensure ease of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of the cartridge type filtration unit,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cartridge type module having a volume of about 1 m < 3 > There is an effect of facilitating management.

또한, 본 발명은 수중의 수질감시를 통해 수중의 오염물질 농도를 감시함으로써 처리대상 오염물질별 오염농도를 계산하고, 계산된 오염물질별 오염농도에 따라 카트리지 여과 유닛, 버블 발생 유닛, 식생 유닛, 광산화 흡착 유닛, 초음파 발생 유닛 및 수초 유닛의 단독 혹은 연계처리 등 단위 유닛의 조합 운전조건, 오염수의 순환수량, 마이크로 버블 발생량 및 초음파 발생 조사량을 결정하여 운전함으로써 신속한 하천수질 개선 및 수질오염의 예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method of monitoring the concentration of pollutants in a water by monitoring the concentration of pollutants in water by monitoring water quality in the water, calculating the concentration of pollutants by the pollutants to be treated, Combination operation conditions of unit units such as photocatalytic adsorption unit, ultrasonic generation unit and aquatic plant unit, and circulation treatment, determination of circulating water volume, microbubble generation amount and ultrasonic generation irradiation amount of the unit water to improve the river water quality and prevent water pollution There is a possible effect.

또한, 본 발명은 현장에 자동화된 온라인의 수질감시설비를 함께 구축하여 수심별 오염현황을 감시하고, 이 결과를 분석 판단하여 실시간 대응이 가능하며, 특히, 난분해성 유기물(COD), 영양염류(질소 및 인), 용존산소(DO), 조류에 의한 클로로필 a 농도의 변동이 하천, 호수, 저수지 및 해역 등 수체에 주요 수질인자가 되는 경우에 오염물질의 농도 등을 측정하여 이들을 개선하는 데 필요한 오염수 순환수량, 마이크로 버블 발생량 및 초음파 발생 조사량을 실시간으로 제어함으로써 더욱 간편하고 신속하게 오염된 수질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real time by analyzing the result of pollution by monitoring the pollution status by the water depth by building an automated on-line water quality monitoring facility in the field, and in particular, Nitrogen, and phosphorus), dissolved oxygen (DO), and the concentration of chlorophyll-a due to algae become major water quality factors in water bodies such as rivers, lakes, reservoirs, and sea areas.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and quickly improve the contaminated water quality by controlling the polluted water circulation amount, microbubble generation amount and ultrasonic wave generation irradiation amount in real time.

또한, 본 발명은 광산화 및 흡착 작용 동작을 단계적으로 수행하여 여과 유닛에 살수되는 수체의 오염도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minimizing the pollution degree of a water body that is sprayed to the filtration unit by performing the photo-oxidation and adsorption operation step by step.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solutions not mentioned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융복합 부유형 수질 관리 시스템의 기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융복합 부유형 수질 관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부도 지지체 및 연장 수용체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융복합 부유형 수질 관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연장 수용체의 실시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융복합 부유형 수질 관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여과 유닛에 포함되는 여과 부재의 예시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융복합 부유형 수질 관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살수 유닛의 실시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6 내지 도 9 은 도 5 의 저류조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은 도 9 의 제4 실시예에 유실 방지 부재를 구비한 구성이다.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융복합 부유형 수질 관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광산화 흡착 유닛 및 초음파 발생 유닛의 실시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2 는 본 발명에 따른 융복합 부유형 수질 관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버블 발생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3 은 버블 발생 유닛을 구성하는 마이크로 버블 공급부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4 는 시제작한 버블 발생 유닛이 운전되고 있는 사진이다.
도 15 는 마이크로 버블 산기 수단에서 발생하는 마이크로 버블의 발생 전후 사진으로, 마이크로 버블 발생시에는 마이크로 버블의 입경이 매우 미소하여 빛을 산란함으로써 뿌연 우윳빛으로 보이는 것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16 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형태의 융복합 부유형 수질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7 는 본 발명에 따른 융복합 부유형 수질 관리 시스템의 운용방법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basic configuration of a water quality management system for a fusion complex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plan view showing a sub-support and an extension receptacle constituting the water qual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n elongated receptor constituting a water qual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examples of filtration members included in the filtration unit constituting the water qual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water spray unit constituting the water quality management system of the fusion composite part ty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6 to 9 are views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the storage tank of Fig. 5. Fig.
Fig. 10 is a configuration including the loss preventing member in the fourth embodiment of Fig.
Fig. 1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photo-oxide absorption unit and an ultrasonic wave generating unit constituting the water quality management system of the fusion complex part ty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bubble generating unit constituting the water quality management system of the fusion composite part ty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lan view showing a micro bubble supplying member constituting the bubble generating unit.
Fig. 14 is a photograph showing the bubble generation unit being operated.
FIG. 15 is a photograph before and after generation of microbubbles generated in the microbubble diffusing means. In the microbubble generation, the microbubbles have a very small particle size and scattered light so as to show a cloudy appearance.
FIG. 1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usion complex part type water qual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water qual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Fur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Before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the examples described below and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re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refer to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Further, terms such as " part, "" unit," " module, "and the lik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ay mean a unit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explana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융복합 부유형 수질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운용방법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water qual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융복합 부유형 수질 관리 시스템의 기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basic configuration of a water quality management system for a fusion complex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융복합 부유형 수질 관리 시스템은, 수용 공간을 갖는 부도 지지체(100); 상기 부도 지지체(100)에 구비되는 여과 유닛(200); 상기 부도 지지체(100) 및 상기 부도 지지체(100)의 가장자리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 수용체(120)에 구비되어 수중 수체를 펌핑하여 상기 여과 유닛(200) 측으로 살수하는 살수 유닛(300); 상기 살수 유닛(300) 내부에 구비되어 광산화 및 흡착 작용하는 상부 광산화 흡착 유닛(400); 상기 연장 수용체(120)에 구비되어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초음파 발생 유닛(500); 상기 부도 지지체(100)의 하부에 구비되어 버블을 발생시키는 버블 발생 공급 유닛(600); 및 상기 살수 유닛(300), 상기 초음파 발생 유닛(500) 및 상기 버블 발생 유닛(6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미도시)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연장 수용체(120)에 구비되어 광산화 및 흡착 작용하는 하부 광산화 흡착 유닛(900)을 더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fused composite part type water qual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nkruptcy support 100 having a receiving space; A filtration unit (200) provided in the auxiliary support body (100); A water spraying unit 300 provided on the extension support body 100 and the extension receptacle 120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edge of the auxiliary support body 100 to pour water into the water and sprinkle water toward the filtration unit 200; An upper photocatalyst absorption unit 400 provided inside the spraying unit 300 for photo-oxidation and adsorption; An ultrasonic wave generating unit 500 provided on the extension receptacle 120 to generate ultrasonic waves; A bubble generation supply unit 600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ubordinate support body 100 to generate bubbles; And a control unit (not shown)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spraying unit 300, the ultrasonic generating unit 500, and the bubble generating unit 600.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lower photo-oxide adsorption unit (900) provided in the extension receptor (120) for photo-oxidation and adsorption.

본 발명의 융복합 부유형 수질 관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Each constituent element of the fusion complex part type water quality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융복합 부유형 수질 관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부도 지지체 및 연장 수용체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융복합 부유형 수질 관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연장 수용체의 실시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FIG. 2 is a plan view showing a sub-support and an extension receptacle which constitute a water qual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n extension receptacle constituting the water qual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도 지지체(100)는 적어도 하면에 통수구(101)가 형성되는 박스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부도 지지체(100)는 그 재질이 물에 뜰 수 있는 부유성 재질이라면 어떠한 재질의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예를 들어 비중이 물보다 작은 발포성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sub-support 100 has a box shape in which at least a lower end of the support 100 is formed. In addition, the subordinate support 100 may be made of any material as long as the material of the subordinate support 100 can float on the water. For example, the subordinate support 100 may be made of a foamed plastic material having a specific gravity smaller than that of water.

도 2에서 상기 부도 지지체(100)는 평면으로부터 바라볼 때 사각 단면 형태인 것을 예시로 도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내부에 수용 공간을 가지는 타원형, 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의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2, the sub-support 100 has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when viewed from a plan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sub-support 100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n ellipse, a circle, and a polygon .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연장 수용체(120)의 하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부도 지지체(100) 및 연장 수용체(120)가 수체 표면에 안정적으로 부유될 수 있도록 부력을 제공하는 부력 부재(11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부력 부재(110) 또한 그 재질이 물에 뜰 수 있는 부유성 재질이라면 어떠한 재질의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예를 들어 비중이 물보다 작은 발포성 플라스틱 재질 또는 스티로폼과 같은 발포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내부가 공기로 채워질 수 있는 튜브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buoyancy member 110 provided on a lower surface of the extension receptacle 120 and providing buoyancy so that the extension support 120 and the extension receptacle 120 can stably float on the surface of the water body. . The buoyancy member 110 may be made of any material as long as the buoyancy member 110 can float on the water. For example, the buoyancy member 110 may be made of a foamed plastic material having a specific gravity smaller than water or a foam such as styrofoam,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tube that can be filled with air.

상기 부도 지지체(100)는 그 가장자리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상기 연장 수용체(120)를 포함한다. 상기 연장 수용체(120)는 광산화 및 흡착 작용을 하는 하부 광산화 흡착 유닛(900)을 내부에 구비하고 있으며, 일측 하단부에는 수중 수체(즉, 오염수)가 유입되는 수체 유입구(121)가 형성되어 있다.The minority support (100) includes the extended receptacle (120) extending outwardly from its edge. The extension receptacle 120 includes a lower photocatalyst absorption unit 900 having a photo-oxidation and adsorption function, and a water inlet 121 into which a water body (i.e., contaminated water) is introduced is formed at a lower side of the extension receptacle 120 .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장 수용체(120)는 일정 간격으로 교호되도록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수체 유입구(121)를 통해 유입된 수체의 상향류 및 하향류 흐름을 유도하는 상하 수류 유도판(122)을 포함한다. 상기 상하 수류 유도판(122)은 상기 연장 수용체(120)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수직 격벽 및 상기 연장 수용체(120)의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수직 격벽이 서로 교호하여 배치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extension receptors 120 are disposed vertically so as to be alternated at regular intervals, and vertically guide the upward and downward flows of the water body introduced through the water inlet 121 And a water flow guide plate 122. The vertical water flow guide plate 122 includes first vertical partition walls extending downwar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extension receptacle 120 and second vertical partition walls extending upwar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extension receptacle 120 As shown in FIG.

상기 상하 수류 유도판(122)은 유입된 수체의 상향류 및 하향류 흐름을 유도하여 수체와 수류 유도판(122) 내부에 구비된 하부 광산화 흡착 유닛(900) 간의 접촉량을 증대시키고, 이에 따라 광산화 분해 반응 및 흡착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수체는 연장 수용체(120)의 내부에 구비된 펌핑 수단(310)에 의해 펌핑되어 [a] 방향으로 흘러 살수 유닛(300)을 통해 여과 유닛(200)으로 살수된다.The up-and-down water flow guide plate 122 induces an upward flow and a downflow flow of the inflow water body to increase the amount of contact between the water body and the lower photo-oxide absorption unit 900 provided in the water flow guide plate 122, It is possible to maximize photo-decomposition reaction and adsorption efficiency. Here, the water body is pumped by the pumping means 310 provided inside the extension receptacle 120, flows in the [a] direction, and sprinkles into the filtration unit 200 through the sprinkling unit 300.

상기 여과 유닛(200)은 교체가 용이한 카트리지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공기의 유통이 가능한 카트리지 수용체(210) 및 상기 카트리지 수용체(210)에 충전되는 여과 부재(220)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카트리지 수용체(210)는 망상 수용체 또는 유통공이 형성된 박스형의 수용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ltration unit 200 includes a cartridge receptacle 210 through which air can be circulated and a filtration member 220 that is filled in the cartridge receptacle 210. The cartridge 200 is a cartridge type cartridge. For example, the cartridge receptacle 210 may be a box-like receptacle formed with a network receptacle or a through-hole.

도 4 는 여과 부재(220)의 예시들을 나타낸 도면으로, 상기 여과 유닛(200)의 여과 부재(220)는 발포성 유리 여재, 폴리에틸렌(PE) 여재, 제올라이트 여재, 화산석 여재 및 레드머드 여재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여과 부재(220)는 수중 수질 상태에 따라 질소를 제거하는 경우 제올라이트 여재가 상기 카트리지 수용체(210)에 충전되고, 인을 제거하는 경우 레드머드 여재가 상기 카트리지 수용체(210)에 충전되며, 질소 및 인을 제거하는 경우 제올라이트 여재 및 레드머드 여재가 상기 카트리지 수용체(210)에 충전될 수 있다.4 illustrates examples of the filter member 220. The filter member 220 of the filtration unit 20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foamed glass material, a polyethylene (PE) material, a zeolite material, a volcanic material, and a red mud material Lt; / RTI > In this case, when the nitrogen is removed in accordance with the underwater water quality, the filter member 220 is filled with the zeolite filter media 210 and the red mud filter media is charged And when the nitrogen and phosphorus are removed, the zeolite filter medium and the red mud filter medium may be filled in the cartridge receiver 210.

상기 여과 유닛(200)은 상기 버블 발생 유닛(600)을 통해 발생된 마이크로 버블에 의해 부상된 입자성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여기에서, 마이크로 버블에 의하여 부상된 입자성 오염물질은 상기 살수 유닛(300)에 의해 살수되는 순환수에 포함되어 상기 여과 유닛(200) 상부로 살수되고 상기 여과 유닛(200)의 여과 부재(220)를 통과하면서 여과, 흡착 및 포획된다. 또한, 입자성 오염물질은 미생물의 산화 분해 작용 등의 자연 정화 작용을 통해 영양 염류(예를 들어, 유기물, 질소 및 인 등)가 여과 부재(220) 내에 존재하는 미생물에 의해 흡수 및 분해되어 제거된다.The filtration unit 200 can remove particulate contaminants floating by micro bubbles generated through the bubble generating unit 600. Here, the particulate pollutant floated by the micro bubble is contained in the circulating water sprinkled by the spraying unit 300, sprinkled on the filtration unit 200, and the filtration member 220 of the filtration unit 200 ), And is filtered, adsorbed, and captured. The particulate pollutants are absorbed and decomposed by the microorganisms present in the filtration member 220 through the natural purification action such as the oxidative decomposition action of the microorganisms and the nutrient salts (for example, organic matter, nitrogen and phosphorus) do.

상기 여과 유닛(200)에 충전되는 여과 부재(220)는 비중이 0.5 ~ 1.0, 입경이 1cm 내외인 제올라이트 여재 및 레드머드 여재가 수중의 수질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충전된다. 아래 표1은 여과 부재(220)별 수질정화 효율을 정량화하기 위한 Lab-test 실험결과이다.The filter member 220 to be charged into the filtration unit 200 is selectively charged according to the water quality of the zeolite filter media and the red mud filter media having a specific gravity of 0.5 to 1.0 and a diameter of 1 cm or less. Table 1 below shows the results of a Lab-test experiment for quantifying the water purification efficiency of each filter member 220.

SS
평균제거율(%)
SS
Average Removal Rate (%)
COD
평균제거율(%)
COD
Average Removal Rate (%)
T-N
평균제거율(%)
TN
Average Removal Rate (%)
T-P
평균제거율(%)
TP
Average Removal Rate (%)
화산석Volcanic stone 54.754.7 44.144.1 3.03.0 22.022.0 PE 여제PE emulsion 57.557.5 32.532.5 4.24.2 7.97.9 발포성 유리 여재Effervescent glass filter media 78.178.1 10.710.7 17.617.6 9.79.7 제올라이트Zeolite 58.958.9 53.853.8 64.864.8 16.716.7 레드머드Red Mud 81.081.0 60.560.5 19.819.8 88.988.9

상기 표 1과 같이, 여과 부재(220)는 탁도 물질인 SS(부유물질)가 높은 경우, 유기물질인 COD(화학적 산소 요구량)가 높은 경우 또는 영양 염류인 질소(N) 및 인(P)이 높은 경우 등 하천, 호수, 저수지 및 해역의 수질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충전된다.As shown in Table 1, the filtration member 22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high CO (chemical oxygen demand) as an organic substance or nitrogen (N) and phosphorus (P), which are nutrients, And when it is high, it is selectively charged according to the water quality of the river, lake, reservoir and sea area.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융복합 부유형 수질 관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살수 유닛의 실시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water spray unit constituting the water quality management system of the fusion composite part ty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살수 유닛(300)은 상기 연장 수용체(120)의 일측에 구비되어 수중 수체를 펌핑하는 펌핑 수단(310), 상기 펌핑 수단(310)에 의해 펌핑된 수체를 공급받는 공급 라인(320), 및 상기 공급 라인(320)을 통해 공급되는 수체를 저류 및 여과 유닛(200)으로 살수하기 위한 저류조(330)를 포함한다.5, the water spraying unit 300 includes pumping means 310 disposed at one side of the extension receptacle 120 for pumping a water body, water pumped by the pumping means 310, And a reservoir 330 for reserving the water body supplied through the supply line 320 and reserving the water to the filtration unit 200.

여기에서, 상기 공급 라인(320)은 상기 펌핑 수단(310)과 연결되는 수직 공급 라인에 해당하고, 상기 저류조(330)는 내부에 상부 광산화 흡착 유닛(400)을 구비하고 공급 라인(320)을 통해 유입되는 수체를 저류하고 저류된 수체를 여과 유닛(200) 방향으로 살수하기 위한 구성이다.The supply line 320 corresponds to a vertical supply line connected to the pumping means 310. The storage tank 330 has an upper photo-oxide absorption unit 400 and a supply line 320 And the water body is stored in the direction of the filtration unit 200.

상기 살수 유닛(300)은 상기 저류조(330)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수단(미도시)은 다양한 방식(예를 들어, 구동모터와 기어트레인 등)의 것을 채용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spraying unit 300 may further include driving means (not shown) for rotating the storage tank 330. The driving means (not shown) may employ various methods (for example, a driving motor and a gear train),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상기 살수 유닛(300)은 공급 라인(320) 상에 연결되며 상기 펌핑 수단(310)으로부터 펌핑된 수체의 공급량을 제어하는 공급량 제어 밸브(340)를 더 포함한다. 여기에서, 공급량과 회전 동작은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The spraying unit 300 further includes a supply amount control valve 340 connected to the supply line 320 and controlling the supply amount of the water pumped from the pumping means 310. Here, the supply amount and the rotation operation can be adjusted by a control unit (not shown).

도 6 내지 도 9 은 도 5 의 저류조(330)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S. 6 to 9 are views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the storage tank 330 of FIG.

도 6 의 (A)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저류조(330)의 단면도이고, (B)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저류조(330)의 평면도다.6 (A) is a sectional view of the storage tank 33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FIG. 6 (B) is a plan view of the storage tank 33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6 을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저류조(330)는 상기 공급 라인(320)에 중심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광산화 흡착 유닛(400)을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공급 라인(320)으로부터 전달되는 수체를 저류하기 위한 수용 부재(331_A); 및 상기 수용 부재(331_A)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수체를 하방으로 유통하기 위한 유통공(332)를 포함한다.6, the storage tank 33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centered on the supply line 320 and accommodates the upper photo-oxide adsorption unit 400 therein, A housing member 331_A for storing a water body to be provided; And a flow hole 332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member 331_A for distributing the water body downward.

상기 수용 부재(331_A)는 공급 라인(320)을 중심으로 외곽으로 갈수록 아래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수체의 흐름을 중력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수용 부재(331_A)는 내부에 수용되는 상부 광산화 흡착 유닛(400)이 외부로 유실되지 않도록 외곽 주변으로 단턱(DT)이 형성되어 있다. The housing member 331_A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outer periphery with respect to the supply line 320, and it is possible to naturally control the flow of the water body in the gravity direction through such a structure. The housing member 331_A is formed with a step DT around the periphery thereof so that the upper photo-oxide absorption unit 400 accommodated therein is not lost to the outside.

상기 유통공(332)은 수용 부재(331_A)의 하부에 형성되어 수용 부재(331_A)에 저류되는 수체를 여과 유닛(200)으로 살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유통공(332)의 형태와 개수는 제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유통공(332)의 크기는 상부 광산화 흡착 유닛(400)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The flow hole 332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member 331_A and is capable of sprinkling water bodies stored in the housing member 331_A into the filtration unit 200. [ The shape and number of the flow holes 332 may vary depending on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the size of the flow holes 332 is preferably smaller than that of the upper photo-oxide adsorption unit 400.

결국, 저류조(330)는 내부에 구비되는 상부 광산화 흡착 유닛(400)을 이용하여 저류되는 수체에 광산화 및 흡착 작용을 수행한다. 따라서, 저류조(330)에 저류되어 있는 수체는 오염도가 낮아진 상태로 여과 유닛(200)에 살수되는 것이 가능하다.As a result, the storage tank 330 performs a photo-oxidation and adsorption function on the water body stored by using the upper photo-oxide absorption unit 400 provided therein. Therefore, the water body stored in the storage tank 330 can be sprinkled in the filtration unit 200 in a state of low contamination degree.

한편, 수용 부재(331_A)는 제작에 따라 여러 가지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지만, 하부에 태양 빛을 이용해야만 식생을 위한 구성이 배치되는 경우 수용 부재(331_A)는 아크릴과 같이 태양 빛이 잘 투과되는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housing member 331_A can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depending on the manufacture. 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receiving member 331_A is made of a material such as acrylic which transmits sunlight well when the solar light is used for the lower part.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수용 부재(331_A) 내부에 UV 램프와 같은 광원 발생 부재를 추가하여 야간에도 상부 광산화 흡착 유닛(400)을 활성화시켜 광산화 및 흡착 작용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it is also possible to add a light-generating member such as a UV lamp inside the housing member 331_A to perform the photo-oxidation and adsorption action by activating the upper photo-oxide adsorption unit 400 at night.

제1 실시예의 (B)에서 볼 수 있듯이, 저류조(330)는 평면 사각형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저류조(330)는 하부에 배치되는 여과 유닛(200)에 수체를 살수하기 위한 구성으로 여과 유닛(200)과 평면적으로 유사한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여기서 여과 유닛(200)은 평면으로부터 바라볼 때 사각 단면 형태인 것을 예시로 도시하였으며, 그에 따라 저류조(330)도 그에 대응하는 형태를 가지는 것을 일례로 하였다. 하지만, 여과 유닛(200)이 타원형, 원형, 다각형 등으로 구현되는 경우 저류조(330) 역시 그에 대응하는 형태를 가지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As shown in (B) of the first embodiment, the reservoir 330 has a shape of a flat rectangle. 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storage tank 330 has a configuration similar to that of the filtration unit 200 in a configuration for sprinkling the water in the filtration unit 200 disposed at the lower part. In other words, the filtration unit 200 has an example of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as viewed from a plane, and accordingly, the storage tank 330 also has a corresponding shape. However, if the filtration unit 200 is implemented as an ellipse, a circle, a polygon, or the like, the reservoir 330 may also have a corresponding shape.

도 7 의 (A)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저류조(330)의 단면도이고, (B)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저류조(330)의 평면도다.FIG. 7A is a sectional view of the storage tank 33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nd FIG. 7B is a plan view of the storage tank 33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도 7 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저류조(330)는 제1 수용 부재(330_1B)와, 제2 수용 부재(330_2B), 및 제3 수용 부재(330_3B)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7, the storage vessel 33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a first housing member 330_1B, a second housing member 330_2B, and a third housing member 330_3B.

상기 제1 수용 부재(330_1B)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공급 라인(320)에 중심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광산화 흡착 유닛(400)을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공급 라인(320)으로부터 전달되는 수체를 저류하기 위한 수용 부재; 및 상기 수용 부재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수체를 하방으로 유통하기 위한 유통공를 포함한다.The first housing member 330_1B is connected to the supply line 320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embodiment and houses the upper photo-oxide adsorption unit 400 therein. A housing member for storage; And a flow hole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member for flowing the water body downward.

상기 제2 수용 부재(330_2B)와 상기 제3 수용 부재(330_3B) 역시 그 형태는 서로 유사하다. 다만, 제2 수용 부재(330_2B)는 제1 수용 부재(330_1B)에서 월류 또는 하방으로 유통되는 수체를 전달받으며, 제3 수용 부재(330_3B)는 제2 수용 부재(330_2B)에서 월류 또는 하방으로 유통되는 수체를 전달받는다.The shapes of the second housing member 330_2B and the third housing member 330_3B are similar to each other. However, the second housing member 330_2B receives the water body that flows downward or downward from the first housing member 330_1B, and the third housing member 330_3B receives from the second housing member 330_2B the overflow or downward The water body is received.

도 7 의 단면도(A)와 평면도(B)에서 볼 수 있듯이, 제1 수용 부재(330_1B)는 공급 라인(320) 상부에 연결되고, 제2 수용 부재(330_2B)는 제1 수용 부재(330_1B)와 제3 수용 부재(330_3B) 사이에 연결되며, 제3 수용 부재(330_3B)는 공급 라인(320)의 하부에 연결된다. 그리고, 제1 수용 부재(330_1B)가 평면적이 가장 작으며, 제3 수용 부재(330_3B)가 평면적이 가장 크다.7, the first housing member 330_1B 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ly line 320, and the second housing member 330_2B is connected to the first housing member 330_1B. As shown in the sectional view (A) and the plan view And the third housing member 330_3B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ly line 320. The third housing member 330_3B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ly line 320. [ The first housing member 330_1B has the smallest planar dimension and the third housing member 330_3B has the largest planar dimension.

즉, 제1 수용 부재(330_1B)와 제2 수용 부재(330_2B)와 제3 수용 부재(330_3B)는 배치되는 위치가 서로 다르며,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평면적 넓이가 점점 커진다.That is, the positions of the first housing member 330_1B, the second housing member 330_2B, and the third housing member 330_3B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the planar width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upper portion to the lower portion.

따라서, 제2 실시예의 경우 공급 라인(320)을 통해 공급된 수체가 제1 수용 부재(330_1B)에서 제2 수용 부재(330_2B)을 거쳐 제3 수용 부재(330_3B)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제1 실시예 보다 수체와 상부 광산화 흡착 유닛(400)과의 접촉량을 늘려주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ly, in the case of the second embodiment, since the water body supplied through the supply line 320 is transferred from the first housing member 330_1B to the third housing member 330_3B via the second housing member 330_2B,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amount of contact between the water body and the upper photo-oxide absorption unit 400, for example.

도 8 의 (A)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저류조(330)의 단면도이고, (B)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저류조(330)의 평면도다.8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orage tank 33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and FIG. 8B is a plan view of the storage tank 33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도 8 을 참조하면, 제3 실시예는 도 7 의 제2 실시예와 반대로 구성되어 있다. 즉, 평면적이 가장 넓은 제1 수용 부재(330_1C)가 공급 라인(320)의 상부에 연결되고, 평면적이 가장 좁은 제3 수용 부재(330_3C)가 공급 라인(320)의 하부에 연결된다. Referring to Fig. 8, the third embodiment is configured opposite to the second embodiment of Fig. That is, the first accommodating member 330_1C having the widest planar surface 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ly line 320, and the third accommodating member 330_3C having the narrowest planar surface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ly line 320. [

따라서, 제3 실시예의 경우 공급 라인(320)을 통해 공급된 수체는 제1 수용 부재(330_1C)와 제2 수용 부재(330_2C)와 제3 수용 부재(330_3C) 중 여러 경로를 통해 여과 유닛(200)으로 살수될 수 있다. 일례로 수체는 (1) 경로와 (2) 경로를 거쳐 여과 유닛(200)으로 살수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case of the third embodiment, the water body supplied through the supply line 320 is supplied to the filtration unit 200 (FIG. 3) through various paths of the first housing member 330_1C, the second housing member 330_2C and the third housing member 330_3C. ). ≪ / RTI > For example, the water body can be sprinkled into the filtration unit 200 through (1) path and (2) path.

제2 실시예와 제3 실시예는 상부 광산화 흡착 유닛(400)과 수체와의 접촉량을 늘려줌과 동시에 태양광이 최대한 조사받을 수 있는 구조를 위한 것이다. 추가적으로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 식물의 이파리에서 볼 수 있는 계단식 구조, 황금비율을 갖는 구조 등이 적용될 수 있다. 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are for a structure in which the amount of contact between the upper photodiode absorption unit 400 and a water body can be increased and solar light can be maximally irradiated. In addition, in this structure, a staircase structure, a structure having a golden ratio, and the like, which can be seen in the plant parasites, can be applied.

도 9 의 (A)는 제4 실시예에 따른 저류조(330)의 단면도이고, (B)는 제4 실시예에 따른 저류조(330)의 평면도다.9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orage tank 33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and FIG. 9B is a plan view of the storage tank 33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도 9 를 참조하면, 제4 실시예에 따른 저류조(330)는 수용 부재(331_D); 및 유통공(332)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9, the storage tank 33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includes a receiving member 331_D; And a flow hole 332.

상기 수용 부재(331_D)는 평면도(B)에서 볼 수 있듯이, 도 6 의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평면적이 좁다. 제4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평면적이 좁다는 것은 살수되는 면적이 그만큼 좁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제4 실시예는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수용 부재(331_D)를 회전시키도록 구성하였다. 이 경우 수용 부재(331_D)의 평면적이 좁더라도 살수되는 범위를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As shown in the plan view (B), the receiving member 331_D is narrow in plan view as compared with the first embodiment in Fig. As in the case of the fourth embodiment, the fact that the plane is narrow means that the area to be sprayed is as narrow as that. However, the fourth embodiment is configured to rotate the housing member 331_D to compensate for this. In this case, even if the plane of the housing member 331_D is narrow, it is possible to sufficiently secure the sprinkling range.

한편, 도 6 내지 9 의 제1 내지 제4 실시예의 경우 저류조(330)에 공급되는 수체의 양이 많아지는 경우 월류와 함께 상부 광산화 흡착 유닛(400)이 단턱(DT)을 넘어 유실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광산화 흡착 유닛(400)의 유실을 막기 위한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first to fourth embodiments of FIGS. 6 to 9, when the amount of the water supplied to the storage tank 330 increases, the upper photocatalytic absorption unit 400 may be lost beyond the step DT along with the overflow . Therefore, a configuration for preventing the loss of the upper photo-absorbing unit 400 may further be included.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융복합 부유형 수질 관리 시스템은 상부 광산화 흡착 유닛(400)과 하부 광산화 흡착 유닛(9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부 광산화 흡착 유닛(400)과 하부 광산화 흡착 유닛(900)으로 인하여 수체에 광산화 및 흡착 작용을 단계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는 수체가 하부 광산화 흡착 유닛(900)에 의하여 1차적으로 오염이 제거되고 상부 광산화 흡착 유닛(400)에 의하여 2차적으로 오염이 제거된다.In the meantime, the fused composite part type water qual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p photocatalyst absorption unit 400 and a bottom photocatalyst absorption unit 900. It is possible to perform photo-oxidation and adsorption operations stepwise on a water body by the upper and lower photo-oxide adsorption units 400 and 900. [ Here, the water body is primarily decontaminated by the lower photodiode adsorption unit 900 and secondarily decontaminated by the upper photocatalyst absorption unit 400.

또한, 광산화 흡착 유닛은 성질이나 성능에 따라 상부 광산화 흡착 유닛(400) 또는 하부 광산화 흡착 유닛(900)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와 같은 광산화 흡착 유닛의 적재적소 배치는 광산화 및 흡착 작용을 보다 최적화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태양광에 장기적으로 노출되어도 성능이 저하되지 않는 광산화 흡착 유닛은 상부 광산화 흡착 유닛(400)으로 배치하고, 수체에 장기적으로 노출되어도 성능이 저하되지 않는 광산화 흡착 유닛은 하부 광산화 흡착 유닛(900)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배치를 통해 보다 효율적인 관산화 및 흡착 작용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photo-oxide absorption unit can be arranged in the upper photo-oxide absorption unit 400 or the lower photo-oxide absorption unit 900 depending on the properties and performance, and the proper placement of such photo-oxidation absorption unit can optimize the photo- It can be done. That is, the photo-oxide adsorption unit, which does not deteriorate its performance even when it is exposed to sunlight for a long period of time, is disposed in the upper photo-oxide adsorption unit 400, and the photo- ), And through this arrangement it is possible to perform more efficient tube oxidation and adsorption action.

도 10 은 도 9 의 제4 실시예에 유실 방지 부재를 구비한 구성이다.Fig. 10 is a configuration including the loss preventing member in the fourth embodiment of Fig.

도 10 을 참조하면, 유실 방지 부재(MS)는 상부 광산화 흡착 유닛(400)이 수체와 함께 단턱(332)을 넘어 유실되는 것을 막기 위한 구성이다. 유실 방지 부재(MS)는 단턱(332)의 연장 방향으로 형성되며, 메쉬(mesh)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저류조(330)에 수체가 많이 공급되어 수체가 단턱(DT)을 월류하더라도 상부 광산화 흡착 유닛(400)은 유실 방지 부재(MS)에 걸려 저류조(330)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10, the loss preventing member MS is a structure for preventing the upper photodeco adsorption unit 400 from being lost together with the water body beyond the step 332. The loss preventing member MS is formed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step 332 and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mesh. Therefore, even if the water body is supplied to the storage tank 330 so that the water body flows over the stepwise DT, the upper photocatalytic absorption unit 400 is prevented from escaping to the outside of the storage tank 330 by the loss prevention member MS.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융복합 부유형 수질 관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하부 광산화 흡착 유닛(900) 및 초음파 발생 유닛(500)의 실시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1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lower photocatalyst absorption unit 900 and an ultrasonic wave generation unit 500 constituting the fusion complex part type water qual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광산화 흡착 유닛(900)은 상기 연장 수용체(120)에 구비되어 광산화 및 흡착 작용을 하는 광산화 흡착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하부 광산화 흡착 유닛(900)은 이산화티타늄, 제올라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생성된 혼합물이 표면에 코팅된 발포성 스티로폼으로 이루어지는 광산화 흡착제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1, the lower photo-oxide adsorption unit 900 may be a photo-oxidizer adsorbed on the extension receptors 120 to perform photo-oxidation and adsorption. Here, the lower photo-oxide adsorption unit 900 includes a photo-oxidation adsorbent comprising a foamed styrofoam on the surface of which a mixture produced based on at least one of titanium dioxide and zeolite is coated.

상기 광산화 흡착제는 유기계 지지체 및 상기 유기계 지지체에 부착되는 광촉매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photooxidation adsorbent may include an organic-based support and a photocatalyst attached to the organic-based support.

여기에서, 광산화 흡착제를 제작하기 위한 일실시예는 상기 유기계 지지체로서 폴리부타디엔(polybutadiene)을 주원료로 하는 재료인 부타디엔고무(BR), 스타이렌부타디엔고무(SBR) 및 니트릴고무(NBR) 중 하나를 테트라히드로푸란 용액에 담지시켜 팽윤 및 개질 처리하고, 상기 유기계 지지체를 광촉매 분말에 투하하여 상기 광촉매를 부착시킨 후 건조시켜 구성된다.Here, one embodiment for producing the photo-absorbent comprises one of butadiene rubber (BR), styrene-butadiene rubber (SBR) and nitrile rubber (NBR), which are polybutadiene- And the organic-based support is dropped on the photocatalyst powder, and the photocatalyst is attached, followed by drying.

또한, 광산화 흡착제를 제작히기 위한 다른 실시예는 테트라히드로푸란 용액과 광촉매 분말을 혼합하여 슬러리로 만든 다음, 상기 유기계 지지체로서 부타디엔고무(BR), 스타이렌부타디엔고무(SBR), 니트릴고무(NBR) 중 하나를 담지시켜 상기 광촉매를 부착시킨 후 건조시켜 구성된다.In another embodiment, a tetrahydrofuran solution and a photocatalyst powder are mixed to form a slurry. Then, a butadiene rubber (BR), a styrene butadiene rubber (SBR), a nitrile rubber (NBR) And then the photocatalyst is attached and dried.

한편, 광산화 흡착재를 제조함에 있어 상기 유기계 지지체에 불완전하게 부착되어 있는 광촉매를 탈리시키기 위하여 30분 동안 700W로 초음파 세척을 실시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ultrasonic washing can be performed at 700 W for 30 minutes in order to desorb the photocatalyst which is incompletely adhered to the organic support in manufacturing the photo-absorbent.

상기 광산화 흡착제는 또 다른 실시 형태로 상기 부력 부재(110)에 상기 광촉매 물질에 해당하는 산화티타늄(TiO2)을 글리세린으로 부착시켜 이루어질 수 있다.The photooxidation adsorbent may be formed by attaching titanium oxide (TiO2) corresponding to the photocatalyst material to the buoyancy member 110 with glycerin.

이러한 상기 광산화 흡착제는 연장 수용체(120)에 구비된 상기 상하 수류 유도판(122)을 따라 흐르는 수체와 접촉량이 증가하여 광산화 분해 반응 및 흡착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Such a photooxidized adsorbent can increase the amount of contact with a water body flowing along the upflow and downflow guide plate 122 provided in the extension receptacle 120, thereby maximizing photo-oxidative decomposition reaction and adsorption efficiency.

또한, 상기 초음파 발생 유닛(500)은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초음파 발생부(510) 및 상기 상부 광산화 흡착 유닛(40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초음파 발생부(510)에서 발생된 초음파를 진동시키는 복수의 초음파 진동 단자(520)를 포함한다.The ultrasound generating unit 500 includes an ultrasound generating unit 510 for generating ultrasound waves and a plurality of ultrasound generating units 510 and 520 disposed below the ultrasound generating unit 510 for vibrating the ultrasound waves generated by the ultrasound generating unit 510. [ And an ultrasonic vibration terminal 520.

상기 초음파 발생 유닛(500)은 상기 초음파 진동 단자(520)를 통해 수중 초음파를 조사하고, 상기 초음파가 조사됨에 따라 발생하는 공동화 기포(Cavitation Bubble)의 성장 후 파열 시 발생하는 충격파를 기초로 화학 반응이 극대화되어 난분해성 유기 물질 및 조류를 제거할 수 있다. 즉, 상기 초음파 발생 유닛(500)은 수중에서 조사된 초음파가 공동화 기포를 발생시키고 공동화 기포가 성장하여 파열할 때 발생되는 고온 및 고압의 충격파를 통해 오염물질을 직접 열분해 하거나 또는 오염물질의 물리적 화학 구조를 파괴함으로써 오염물질 분해에 따른 화학 반응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The ultrasonic wave generating unit 500 irradiates underwater ultrasonic waves through the ultrasonic vibration terminal 520 and generates a chemical reaction based on a shock wave generated upon rupture after growth of a cavitation bubble generated as the ultrasonic wave is irradiated Can be maximized and the degradable organic matter and algae can be removed. That is, the ultrasonic wave generating unit 500 may be configured to directly pyrolyze contaminants through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shock waves generated when ultrasonic waves generated in water generate cavitation bubbles and grow hollow cavities, By destroying the structure, the chemical reaction rate due to the decomposition of contaminants can be increased.

여기에서, 상기 초음파 발생 유닛(500)은 상기 수중의 수질 상태에 따라 주파수 및 출력을 결정하고 상기 난분해성 유기 물질 및 조류의 농도에 따라 초음파 조사 시간을 결정하여 상기 초음파를 조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초음파 발생 유닛(500)은 주파수 20 ~ 40kHz 및 출력 200 ~ 300W로 초음파를 조사할 수 있다.Here, the ultrasound generating unit 500 may determine the frequency and the output according to the water quality in the water, determine the ultrasound irradiation time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s of the refractory organic material and the algae, and irradiate the ultrasound waves. For example, the ultrasonic wave generating unit 500 may irradiate ultrasound at a frequency of 20 to 40 kHz and an output of 200 to 300 W.

도 12 는 본 발명에 따른 융복합 부유형 수질 관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버블 발생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13 은 버블 발생 유닛을 구성하는 마이크로 버블 공급부재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4 는 시제작한 버블 발생 유닛이 운전되고 있는 사진이며, 도 15 는 마이크로 버블 산기 수단에서 발생하는 마이크로 버블의 발생 전후 사진으로, 마이크로 버블 발생시에는 마이크로 버블의 입경이 매우 미소하여 빛을 산란함으로써 뿌연 우윳빛으로 보이는 것을 촬영한 사진이다.13 is a plan view showing a micro bubble supplying member constituting a bubble generating unit, and Fig. 14 is a plan view showing a micro bubble supplying member constituting the bubble generating unit. Fig. 12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ubble generating unit constituting a fused composite part type water qual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photograph before and after generation of microbubbles generated in the microbubble diffusing unit. In the microbubble generation, the microbubble has a very small particle diameter, scattering light, This is a picture taken of what is seen.

도 12 내지 도 1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블 발생 유닛(600)은 수중 수체를 공급하는 가압펌프(610); 공기를 공급하는 콤프레서(620); 상기 가압펌프(610)로부터 수중 수체를 공급받으며, 상기 콤프레서(620)로부터 공기를 제공받아 수중의 공기 용해도가 포화 상태에 이르는 마이크로 버블 발생수를 생산하는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630); 및 복수의 마이크로 버블 공급구(641)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마이크로 버블 공급구(641)를 통해 상기 마이크로 버블 발생수를 방출하여 방출 압력차에 의하여 마이크로 버블을 발생시키는 마이크로 버블 산기 수단(64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2 to 15, the bubble generating unit 600 includes a pressurizing pump 610 for supplying water underwater; A compressor 620 for supplying air; A micro bubble generator 630 that receives water underwater from the pressurizing pump 610 and generates micro bubble generation water in which the air solubility in the water reaches saturation by receiving air from the compressor 620; And a plurality of micro bubble supplying ports 641 for discharging the micro bubble generating water through the plurality of micro bubble supplying ports 641 to generate micro bubbles by a discharge pressure difference, ).

또한, 상기 버블 발생 유닛(600)은 상기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630)에서 상기 마이크로 버블 산기 수단(640)으로 공급되는 마이크로 버블 발생수의 양을 제어하는 버블 발생수 제어밸브(660) 및 상기 가압펌프(610)로 응집제를 공급하는 응집제 공급기(650)를 더 포함한다. 여기에서, 응집제 공급기(650)는 응집기능을 제공하여 오염물질의 제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bubble generating unit 600 includes a bubble generation water control valve 660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micro bubble generation water supplied from the micro bubble generator 630 to the micro bubble generator 640, (650) for supplying the flocculant to the flocculation tank (610). Here, the coagulant feeder 650 may provide an aggregating function to improve the removal efficiency of the contaminants.

상기 마이크로 버블 산기 수단(640)은 직경 수십 mm(예를 들어, 직경 20mm) 플라스틱 재질의 PE 또는 PVC관이 격자 형태(즉, 바둑판 형태)로 배치되고 플라스틱 재질의 PE 또는 PVC관 상부에 노즐 발생을 위한 마이크로 버블 공급구(641)가 타공되어, 공기 포화수가 수중으로 분출되어 마이크로 버블이 발생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micro bubble diffusing means 640 is formed by arranging a PE or PVC pipe of plastic material having a diameter of several tens of mm (for example, 20 mm in diameter) in a lattice pattern (i.e., a checkerboard pattern) A micro bubble supplying port 641 is formed for discharging the air saturation water into the water to generate micro bubbles.

계속해서, 본 발명은 수중의 수심에 따라 상기 마이크로 버블 산기 수단(640)을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켜 수심별 수질오염 상태에 따라 마이크로 버블의 토출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산기수단 상하구동 유닛(미도시)을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산기수단 상하구동 유닛(미도시)은 상기 부도 지지체(100)로부터 수중으로 연장하는 가이드 레일; 상기 마이크로 버블 산기 수단(640)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가이드되는 가이드; 및 상기 마이크로 버블 산기 수단(640)을 구동시키는 구동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구동 수단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예를 들어 정역 회전 가능한 구동 모터; 상기 구동 모터에 연결되는 풀리; 상기 풀리와 상기 마이크로 버블 산기 수단(640)의 가이드를 연결하는 연결 체인(또는 랙기어)을 포함할 수 있다.The microbubble diffusing device 640 is moved vertically according to the depth of water in the water to control the discharge position of the microbubbles according to the depth of the water, ). For example, the upstream and downstream drive units (not shown) of the distributing means may include guide rails extending from the subordinate support body 100 in water. A guide formed at an edge of the micro bubble diffusing means 640 and guided along the guide rail; And driving means for driving the micro bubble diffusing means 640. Here, the driving means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a forward and reverse rotatable drive motor; A pulley connected to the drive motor; And a connecting chain (or rack gear) for connecting the pulley and the guide of the micro bubble diffusing means 640.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융복합 부유형 수질 관리 시스템을 도 16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6 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형태의 융복합 부유형 수질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Next, a fusion complex type water qual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FIG. 1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usion complex part type water qual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융복합 부유형 수질 관리 시스템은, 상기 부도 지지체(100)의 상부에 구비되는 식생 유닛(700), 상기 부도 지지체(100)의 수중 하부에 구비되는 수초 유닛(800) 및 상기 부도 지지체(100)가 부유되는 수체의 수질을 감시하는 수질 감시 유닛(미도시)을 더 포함한다.16, the MTL type water qual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egetation unit 700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ubmarine support 100, And a water quality monitoring unit (not shown) for monitoring water quality of a water body to which the sub-water supporter 100 is suspended.

이하, 앞서 설명한 일 실시 예의 융복합 부유형 수질 관리 시스템과 동일 또는 매우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략히 한다.Hereinafter, the same or very similar components to those of the above-described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or briefly described.

상기 식생 유닛(700)은 여과 유닛(200)의 상부 또는 여과 유닛(200) 사이에 구비되는 식생기반재(710) 및 상기 식생기반재(710)에 식재되는 복수의 수생 식물(720)을 포함한다.The vegetation unit 700 includes a vegetation based material 710 disposed between the filtration unit 200 and the filtration unit 200 and a plurality of aquatic plants 720 planted in the vegetation based material 710 do.

상기 식생기반재(710)는 토양, 부직포 등 수생 식물의 뿌리가 활착할 수 있는 기반재라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상기 수생 식물(720)은 창포, 부들, 골풀 등 과 같은 식물이 식재될 수 있다.The vegetation-based material 710 may have any structure as long as it is a base on which roots of aquatic plants such as soil and nonwoven fabric can be activated. The aquatic plants 720 may be planted with irises, beards, rushes, and the like.

이와 같이 식재된 수생 식물(720)은 식물체 자체의 성장 및 식물 뿌리의 미생물 성장을 위하여 수중의 유기물과 영양 염류인 질소 및 인 등을 흡수함으로써 오염물질을 자연 정화할 수 있다. 또한, 수생 식물(720)에서 미처리된 오염물질은 여과 유닛(200)을 통과하며 여과, 흡착, 미생물에 의한 접촉 산화분해 과정을 거쳐 제거될 수 있다.The aquatic plants 720 thus planted can naturally purify contaminants by absorbing organic matter and nutrients such as nitrogen and phosphorus in the water for growth of the plant itself and microbial growth of plant roots. In addition, the pollutant that has not been treated in the aquatic plants 720 passes through the filtration unit 200 and can be removed through filtration, adsorption, contact oxidative decomposition by microorganisms.

상기 수초 유닛(800)은 수중 생육 가능한 수초 또는 인공적으로 제작한 인공 수초 등 어떠한 수초라도 채용될 수 있다.The aquatic plant unit 800 can be employed in any water plant, such as aquatic plants that can be grown in water or an artificially manufactured artificial aquatic plant.

계속해서, 상기 수질 감시 유닛(미도시)은 수중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센서를 통해 수온, 수소이온농도(pH), 용존산소(DO), 탁도, 유기물질(BOD, COD, TOC), 영양염류(총인, 총질소) 또는 클로로필 a의 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수중 환경 영향인자를 측정하는 수질 측정부 및 상기 수질 측정부에서 측정된 수중 환경 영향인자를 분석하여 수질 영향 데이터를 생성하는 수질 분석부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수질 분석부에서 분석된 수질 영향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살수 유닛(300), 상기 초음파 발생 유닛(500) 및 상기 버블 발생 유닛(6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The water quality monitoring unit (not shown) monitors the water temperature, pH, dissolved oxygen (DO), turbidity, organic matter (BOD, COD, TOC) A water quality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an environmental influence factor in water including at least one of nutrients (total phosphorus, total nitrogen) or a concentration of chlorophyll a and water environmental influence factors measured by the water quality measuring unit to generate water quality effect data And a water quality analysis unit. Here, the control unit (not shown)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spraying unit 300, the ultrasonic generating unit 500, and the bubble generating unit 600 based on the water quality data analyzed by the water quality analyzing unit have.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하천, 호수, 저수지 및 해역 등의 오염된 수체에 대해 기 설정되어 있는 목표 운전 사이클만큼 운전하였을 때를 기초로 수질이 기준 목표수질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수중 오염물질 중 특정 수중 오염물질이 기준 목표수질을 만족하지 못하면 단계별로 각 유닛을 조합하여 가동함으로써 기준 목표수질을 달성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의 목표 운전 사이클은 다음의 (식 1)과 같이 정의되며, 대표적인 목표 운전 사이클로는 단위 유닛의 구성 조합조건 및 목표수질에 따라 1, 3, 5 또는 10 등을 사전에 설정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not shown) determines whether the water quality satisfies the reference target water quality based on the operation of the contaminated water bodies such as the river, the lake, the reservoir, and the sea area by the target driving cycle. The control unit (not shown) operates each unit in a stepwise manner to achieve a target target water quality if the pollutants in the specific water among the water pollutants do not satisfy the reference target water quality. The target driving cycle in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as the following formula 1, and 1, 3, 5, or 10 can be set in advance in a typical target driving cycle in accordance with the constituent combination condition of the unit unit and the target water quality.

운전 사이클 = (융복합 부유형 수질 관리 시스템에 의한 처리수량(㎥))Driving Cycle = (Quantity treated by the water quality management system of the Mining and Combining Division (m3))

÷(오염된 수체의 처리대상 수량(㎥)) (식 1)              ÷ (Quantity of contaminated water bodies to be treated (㎥)) (Equation 1)

상기 제어부(미도시)에 의하여 수질 정화를 위한 각 유닛의 가동 단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steps of each unit for purifying the water by the control unit (not show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 1단계: 기 정의된 수중 오염물질 중 특정 수중 오염물질에 대한 기준 목표수질의 초과 여부를 판단한다.- Step 1: Determine whether the standard target water quality is exceeded for a specific aquatic pollutant among the defined aquatic pollutants.

- 2단계: 특정 수중 오염물질이 입자성 오염물질에 의한 오염인지 또는 용존성 오염물질에 의한 오염인지 체크한다.- Step 2: Check whether specific pollutants in water are contaminated by particulate pollutants or contaminated by dissolved pollutants.

- 3단계: 입자성 오염물질 및 용존성 오염물질 중 적어도 하나의 수질개선을 위하여 살수 유닛(300), 초음파 발생 유닛(500) 및 버블 발생 유닛(600) 간의 운전 조합을 결정한다.Step 3: The operation combination between the spraying unit 300, the ultrasonic generating unit 500, and the bubble generating unit 600 is determined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at least one of the particulate pollutant and the dissolved pollutant.

- 4단계: 결정된 운전 조합에 따라 살수 유닛(300)에 공급되는 수체의 공급량, 초음파 발생 유닛(500)의 초음파 조사량 및 버블 발생 유닛(600)의 버블 발생량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한다.Step 4: At least one of the supply amount of the water body supplied to the spraying unit 300, the ultrasonic wave irradiation amount of the ultrasonic generation unit 500, and the bubble generation amount of the bubble generation unit 600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determined operation combination.

상기와 관련한 수질 관리 각 유닛의 운전 조합으로는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combinations of the water quality management units related to the above are as follows.

- 조합1: 살수 유닛(300)을 통해 식생 유닛(700) 또는 여과 유닛(200)에만 선택적으로 살수하여 단독으로만 가동.Combination 1: selectively sprinkling only on the vegetation unit 700 or the filtration unit 200 via the sprinkling unit 300 and operating only by itself.

- 조합2: 살수 유닛(300)을 통해 식생 유닛(700), 여과 유닛(200) 및 상부 광산화 흡착 유닛(400)에 살수하여 병행 가동.Combination 2: Sprinkling water on the vegetation unit 700, the filtration unit 200, and the upper photocatalytic absorption unit 400 through the sprinkling unit 300 and running parallel.

- 조합3: 살수 유닛(300)을 통해 식생 유닛(700), 여과 유닛(200), 상부 광산화 흡착 유닛(400) 및 초음파 발생 유닛(500)에 살수하여 병행 가동.Combination 3: the vegetation unit 700, the filtration unit 200, the upper photocatalyst absorption unit 400 and the ultrasonic generation unit 500 are sprinkled and operated in parallel through the sprinkling unit 300.

- 조합4: 식생 유닛(700), 여과 유닛(200), 상부 광산화 흡착 유닛(400), 초음파 발생 유닛(500) 및 버블 발생 유닛(600)을 종합적으로 가동.Combination 4: The vegetation unit 700, the filtration unit 200, the upper photocatalytic adsorption unit 400, the ultrasonic wave generation unit 500, and the bubble generation unit 600 are collectively operated.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융복합 부유형 수질 관리 시스템의 운용방법에 대하여 도 17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융복합 부유형 수질 관리 시스템의 운용방법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Next, a method of operating the water qual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water qual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7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융복합 부유형 수질 관리 시스템의 운용방법으로서, 수질 감시지점 및 수질개선 목표를 각각 설정하는 수질 감시지점 설정 단계 및 수질개선 목표 설정 단계(S110, S210); 상기 설정된 수질 감시지점과 연관된 수질 감시항목을 설정하고, 상기 수질개선 목표와 연관된 살수 유닛, 버블 발생 유닛 및 초음파 발생 유닛 간의 운전 조합과 운전 사이클을 설정하는 수질 감시항목 설정 단계 및 목표 운전 사이클 설정 단계(S120, S220); 상기 수질 감시항목에 대한 수질 감시수심을 설정하여 해당 수질 감시수심의 수질을 측정하는 수질 감시수심 설정 단계 및 수질 측정 단계(S130, S140); 상기 측정된 수질이 목표수질에 달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살수 유닛(300)의 살수량, 상기 버블 발생 유닛(600)의 버블 공급량 및 상기 초음파 발생 유닛(500)의 초음파 조사량을 결정하는 목표수질 달성여부 판단 단계 및 수질정화 부도의 조합조건 결정 단계(S300, S310); 및 결정된 살수량, 버블 공급량 및 초음파 조사량에 따라 상기 운전 조합과 운전 사이클을 결정하는 수질정화 부도의 운전방법 결정 단계(S32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7, the operation method of the water qual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ter quality monitoring point setting step for setting a water quality monitoring point and a water quality improvement goal; and a water quality improvement goal setting step S110 , S210); A water quality monitoring item setting step of setting a water quality monitoring item associated with the set water quality monitoring point and setting an operation combination and a driving cycle between the spraying unit, the bubble generating unit and the ultrasonic generating unit associated with the water quality improvement target, (S120, S220); A water quality monitoring water depth setting step and a water quality measurement step (S130, S140) for setting a water quality monitoring depth for the water quality monitoring item and measuring the water quality of the water quality monitoring water depth; Determining whether the measured water quality is achieved with respect to the target water quality, and determining a target water quality of the water spraying unit (300), a bubble supply amount of the bubble generating unit (600), and an ultrasonic irradiation amount of the ultrasonic generating unit (S300, S310)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an achievement is determined and a water quality purification default; And determining the operation combination and the operation cycle according to the determined quantity of water to be bumped, the amount of bubble to be supplied, and the amount of ultrasonic irradiation (S320).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merely illustrative of some of the technical ideas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rather than limit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apparent that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부도 지지체 101: 통수구
110: 부력 부재 120: 연장 수용체
121: 수체 유입구 122: 상하 수류 유도판
200: 여과 유닛 210: 카트리지 수용체
220: 여과 부재 300: 살수 유닛
310: 펌핑 수단 320: 공급 라인
330 : 저류조
340: 살수량 제어 밸브 400: 광산화 흡착 유닛
500: 초음파 발생 유닛 510: 초음파 발생부
520: 초음파 진동 단자 600: 버블 발생 유닛
610: 가압 펌프 620: 콤프레서
630: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 640: 마이크로 버블 산기 수단
641: 마이크로 버블 공급구 650: 응집제 공급기
660: 버블 발생수 제어밸브 700: 식생 유닛
710: 식생기반재 720: 수생 식물
800: 수초 유닛 900 : 하부 광산화 흡착 유닛
S110, S210: 수질 감시지점 설정과 수질개선 목표 설정 단계
S120, S220: 수질 감시항목 설정과 목표 운전 사이클 설정 단계
S130: 수질 감시수심 설정 단계
S140: 수질 측정 단계
S300: 목표수질 달성여부 판단 단계
S310: 수질정화 조합조건 결정 단계
S320: 수질정화 운전방법 결정 단계
100: supporting member 101:
110: buoyancy member 120: extension receptor
121: Water inlet 122: Up and down water flow guide plate
200: filtration unit 210: cartridge receiver
220: Filtration element 300: Sprinkling unit
310: pumping means 320: supply line
330: Storage tank
340: Quantity control valve 400: Photooxidative absorption unit
500: Ultrasonic wave generating unit 510: Ultrasonic wave generating unit
520: Ultrasonic vibration terminal 600: Bubble generating unit
610: Pressurizing pump 620: Compressor
630: Micro bubble generator 640: Micro bubble generator means
641: micro bubble supply port 650: coagulant feeder
660: bubble generation water control valve 700: vegetation unit
710: vegetation-based material 720: aquatic plants
800: Water column unit 900: Lower photodissociation unit
S110, S210: Water quality monitoring point setting and water quality improvement goal setting step
S120, S220: Water quality monitoring item setting and target driving cycle setting step
S130: Water quality monitoring depth setting step
S140: Water quality measurement step
S300: Step of judging whether or not the target water quality is achieved
S310: Water quality purification combination condition determination step
S320: Water quality purification operation determining step

Claims (17)

수용 공간을 갖는 부도 지지체;
상기 부도 지지체에 구비되는 여과 유닛;
상기 부도 지지체 및 상기 부도 지지체의 가장자리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 수용체에 구비되어 수중 수체를 펌핑하여 상기 여과 유닛 측으로 살수하는 살수 유닛;
상기 살수 유닛 내부에 구비되어 광산화 및 흡착 작용하는 광산화 흡착 유닛;
상기 연장 수용체에 구비되어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초음파 발생 유닛;
상기 부도 지지체의 하부에 구비되어 버블을 발생시키는 버블 발생 유닛; 및
상기 살수 유닛, 상기 초음파 발생 유닛 및 상기 버블 발생 유닛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살수 유닛은,
상기 연장 수용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수중 수체를 펌핑하는 펌핑 수단;
상기 펌핑 수단에 의해 펌핑된 수체를 공급받는 공급 라인; 및
상기 공급 라인에 연결되며 상기 공급 라인을 통해 공급되는 수체를 저류 및 상기 여과 유닛으로 살수하기 위한 저류조를 포함하는
융복합 부유형 수질 관리 시스템.
A diverter support having a receiving space;
A filtration unit provided on the subordinate support;
A water spraying unit provided on an extension receptacle extending outwardly from an edge portion of the subordinate support body and the subordinate support body to pour water into the water and sprinkle water toward the filtration unit;
A photodecomposition unit provided inside the spraying unit for photo-oxidation and adsorption;
An ultrasonic wave generating unit provided in the extension receiver to generate ultrasonic waves;
A bubble generating unit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ubordinate support to generate bubbles; And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spraying unit, the ultrasonic wave generating unit, and the bubble generating unit,
The water spraying unit includes:
A pumping mean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extended receiver for pumping water in the water;
A supply line supplied with the water body pumped by the pumping means; And
And a reservoir connected to the supply line for reserving the water body supplied through the supply line and for spraying the water body into the filtration unit
Water quality management system.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조는,
상기 공급 라인에 중심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광산화 흡착 유닛을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공급 라인으로부터 전달되는 수체를 저류하기 위한 수용 부재; 및
상기 수용 부재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수체를 하방으로 유통하기 위한 유통공을 포함하는
융복합 부유형 수질 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orage tank,
A receiving member connected to the supply line at a center thereof for receiving the photo-oxide absorption unit therein and for storing a water body transferred from the supply line; And
And a flow hole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member for flowing the water body downward
Water quality management system.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부재는 상기 여과 유닛과 평면적으로 서로 대응하는 모양으로 구성되는
융복합 부유형 수질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receiving member is configur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ltration unit in plan view
Water quality management system.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부재는 상기 여과 유닛의 일부 평면에 대응하는 모양으로 구성되며 상기 공급 라인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융복합 부유형 수질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receiving member is configur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a partial plane of the filtration unit and configured to rotate about the feed line
Water quality management system.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부재는,
상기 공급 라인에 연결되며, 제1 면적을 가지는 제1 수용 부재; 및
상기 제1 수용 부재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면적과 상이한 제2 면적을 가지는 제2 수용 부재를 포함하는
융복합 부유형 수질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 first receiving member connected to the supply line and having a first area; And
And a second housing member disposed below the first housing member and having a second area different from the first area,
Water quality management system.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부재는 상기 공급 라인을 중심으로 외곽으로 갈수록 아래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구성되며,
외곽 주변에 단턱을 더 포함하는
융복합 부유형 수질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receiving member is configur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an outer periphery around the supply line,
Further comprising a step in the periphery
Water quality management system.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턱의 연장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광산화 흡착 유닛의 외부 유실을 막기 위한 유실 방지 부재를 더 포함하는
융복합 부유형 수질 관리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Further comprising a loss preventing member formed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step, for preventing external loss of the photo-absorbing unit
Water quality management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수 유닛은
상기 공급 라인에 설치되어 상기 펌핑 수단으로부터 펌핑된 수체의 공급량을 제어하는 공급량 제어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복합 부유형 수질 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ater spraying unit
And a supply amount control valve installed in the supply line for controlling the supply amount of the water body pumped from the pumping means
Water quality management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산화 흡착 유닛은
이산화티타늄과 제올라이트 중 적어도 하나의 물질이 표면에 코팅된 발포성 스티로폼으로 이루어지는
융복합 부유형 수질 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hoto-oxide absorption unit
Wherein at least one of the titanium dioxide and the zeolite is composed of foamed styrofoam coated on the surface
Water quality management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산화 흡착 유닛은,
유기계 지지체; 및
상기 유기계 지지체에 부착되는 광촉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복합 부유형 수질 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hoto-
Organic based support; And
And a photocatalyst attached to the organic support.
Water quality management system.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광산화 흡착 유닛은,
상기 유기계 지지체로서 폴리부타디엔(polybutadiene)을 원료로 하는 재료인 부타디엔고무(BR), 스타이렌부타디엔고무(SBR), 니트릴고무(NBR) 중 하나를 테트라히드로푸란 용액에 담지시켜 팽윤 및 개질 처리하고, 상기 유기계 지지체를 광촉매 분말에 투하하여 상기 광촉매를 부착시킨 후 건조시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복합 부유형 수질 관리 시스템.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photo-
One of butadiene rubber (BR), styrene-butadiene rubber (SBR) and nitrile rubber (NBR), which are materials of polybutadiene as raw materials, is supported on a tetrahydrofuran solution to swell and modify the organic- The organic support is dropped onto the photocatalyst powder, and the photocatalyst is adhered and then dried.
Water quality management system.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광산화 흡착 유닛은,
테트라히드로푸란 용액과 광촉매 분말을 혼합하여 슬러리로 만든 다음, 상기 유기계 지지체로서 부타디엔고무(BR), 스타이렌부타디엔고무(SBR), 니트릴고무(NBR) 중 하나를 담지시켜 상기 광촉매를 부착시킨 후 건조시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복합 부유형 수질 관리 시스템.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photo-
(BR), styrene-butadiene rubber (SBR), and nitrile rubber (NBR) are carried as the organic support, and the photocatalyst is dried and then dried Is characterized in that
Water quality management system.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광산화 흡착 유닛은,
초음파 세척을 실시하여 상기 유기계 지지체에 불완전하게 부착되어 있는 광촉매를 탈리시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복합 부유형 수질 관리 시스템.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photo-
And removing the photocatalyst imperfectly attached to the organic support by ultrasonic cleaning.
Water quality management system.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광산화 흡착 유닛은,
발포체에 광촉매 물질에 해당하는 산화티타늄(TiO2)을 글리세린으로 부착시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복합 부유형 수질 관리 시스템.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photo-
Characterized in that titanium oxide (TiO2) corresponding to the photocatalyst material is attached to the foamed body with glycerin
Water quality management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수용체에 구비되어 광산화 및 흡착 작용하는 하부 광산화 흡착 유닛을 더 포함하는
융복합 부유형 수질 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lower photo-oxide adsorption unit which is provided in the elongated receptor and performs photo-oxidation and adsorption functions
Water quality management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수 유닛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광산화 흡착 유닛의 광산화 및 흡착 작용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광원 발생 부재를 더 포함하는
융복합 부유형 수질 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water spraying unit provided inside the water spraying unit,
And a light source generating member for activating the photo-oxidation and adsorption action of the photo-oxide adsorption unit
Water quality management system.
KR1020160165501A 2016-03-18 2016-12-07 Convergence floating type water management system Expired - Fee Related KR10184481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32854 2016-03-18
KR1020160032854 2016-03-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8790A KR20170108790A (en) 2017-09-27
KR101844819B1 true KR101844819B1 (en) 2018-05-18

Family

ID=60036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5501A Expired - Fee Related KR101844819B1 (en) 2016-03-18 2016-12-07 Convergence floating type water management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481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06430A (en) * 2018-12-07 2019-03-01 南京普威环境技术研究院有限公司 A kind of bimodulus water analysis monitoring device of remote online containing Quality Control based on Internet of Things
CN111453936A (en) * 2020-05-08 2020-07-28 上海巷西环境科技有限公司 A multi-energy field full-effect response ecological coupling system
KR20220057405A (en) 2020-10-29 2022-05-09 주식회사 에스아이에이 Method for quantifying algal for management of water qualit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1340A (en) * 2002-03-05 2003-09-09 Mitsubishi Heavy Ind Ltd Water treatment apparatus
KR101388159B1 (en) * 2013-09-09 2014-04-23 녹스 코리아(주) Reducing device for odor and toxin from algae
KR101638519B1 (en) 2015-03-26 2016-07-1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Convergence floating type water management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1340A (en) * 2002-03-05 2003-09-09 Mitsubishi Heavy Ind Ltd Water treatment apparatus
KR101388159B1 (en) * 2013-09-09 2014-04-23 녹스 코리아(주) Reducing device for odor and toxin from algae
KR101638519B1 (en) 2015-03-26 2016-07-1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Convergence floating type water management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8790A (en) 2017-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8847B1 (en) Convergence floating type water purification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295313B1 (en) A water purification device using aquatic plant
KR101123256B1 (en) Red and green tides prevention apparatus using microbubble
CN104098231A (en) Immobilized microorganism constructed wetland system
KR101844819B1 (en) Convergence floating type water management system
CN105417849A (en) Bottom photocatalytic floating island suitable for still water lake
KR101638519B1 (en) Convergence floating type water management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04150688A (en) Device for classifying organic matters in underground water and purifying underground water by areas and purifying method
KR101051208B1 (en) Multifunctional Algae Control Eco Purification Plant Island Device with Polluted Water Treatment and Landscape Function
KR20120026214A (en) Floating island type purifier
CN104193074A (en) Device and method for treating high-concentration and degradation-resistant organic waste water
CN203946948U (en) Baf
JP2003340489A (en) Water cleaning apparatus in closed water area
EP0641744A1 (en) Purifying apparatus
KR101547856B1 (en) System for purifying water which uses floating type
JP5753997B1 (en) Water purification device using photocatalyst
JP3111846B2 (en) Purification device
CN206645966U (en) Formula of drifting along water treatment system
JP2003112191A (en) Water quality improving system
CN114409199A (en) A kind of artificial wetland purifying sewage device and sewage treatment method thereof
JP2500113B2 (en) Purification treatment equipment
CN116332404B (en) A mobile soil seepage floating bed for purifying reservoir water and its use method
CN220867199U (en) Split type water ecological micro-power purification module
CN113121064B (en) Efficient composite wetland system for reducing rainfall runoff pollutants
JP2020040018A (en) Water quality improvemen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2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3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3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