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3023B1 - Shear connector for temporary retaining wall file and building outer wall, and method for constructing an underground structure using thereof - Google Patents
Shear connector for temporary retaining wall file and building outer wall, and method for constructing an underground structure using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43023B1 KR101843023B1 KR1020170157998A KR20170157998A KR101843023B1 KR 101843023 B1 KR101843023 B1 KR 101843023B1 KR 1020170157998 A KR1020170157998 A KR 1020170157998A KR 20170157998 A KR20170157998 A KR 20170157998A KR 101843023 B1 KR101843023 B1 KR 10184302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ll
- pile
- building
- shear
- retaining wall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11372 high-strength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717 retai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673 ground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294 Reinforcing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2 basement exca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571 earthenwar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759 maintenance of lo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02—Sheet piles or sheet pile bulkheads
- E02D5/03—Prefabricated parts, e.g. composite sheet piles
- E02D5/10—Prefabricated parts, e.g. composite sheet piles made of concrete or reinforced concrete
- E02D5/105—Prefabricated parts, e.g. composite sheet piles made of concrete or reinforced concrete of prestressed concrete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Bulkheads Adapted To Foundation Construction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공관 형상의 흙막이벽체파일과 그에 접하여 시공되는 건축물외부벽체를 상호 연결하는 것으로서, 상기 흙막이벽체파일과 상기 건축물외부벽체의 상측에 걸쳐서 설치되는 전단연결재; 상기 전단연결재의 일측의 하측에 결합되고, 상기 흙막이벽체파일의 내부에 삽입되는 보강플레이트; 상기 보강플레이트의 하측에 결합되고, 상기 흙막이벽체파일의 내부에 삽입되어 흙막이벽체파일의 구멍을 밀폐하는 밑판;을 포함하는 흙막이벽체파일과 건축물외부벽체 연결전단키에 관한 것으로서, 지하구조물의 벽체 두께를 감소할 수 있고, 이에 따른 철근량 감소할 수 있으므로 공기단축 및 경제성 증진되고, 지하구조물의 실제 사용면적을 증대시켜 효율적으로 토지를 활용할 수 있으며, 인접한 건물과의 이격거리를 증대하여 확보할 수 있으므로 인접건물에 주는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for connecting a hollow pipe-type earth retaining wall pile and a building outer wall constructed in contact therewith, the shear wall pile file and the shear connection member installed over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 reinforcing plate coupled to a lower side of one side of the shear connector and inserted into the sheeting wall pile; And a bottom plate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reinforcing plate and inserted into the piled wall pile to seal the holes of the piled wall pile fi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led wall pile file and a building outer wall connection shear ke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amount of the reinforcing bar and thus to shorten the construction time and to improve the economical efficiency and to increase the actual use area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and to utilize the land efficiently and to increase the distance from the adjacent building,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effect of minimizing damage to the build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흙막이벽체파일과 건축물외부벽체 연결전단키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연결전단키를 활용하여 흙막이벽체파일을 건축물외부벽체와 연결하여 영구 벽체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ique for connecting a pile wall pile and a building exterior wall connection shear key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an underground structure using the pile wall pile file and a method for connecting the pile wall pile to a building exterior wall, .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지하층을 시공하기 위해 먼저 지하 터파기 공사가 이루어져야 하는데 지하 터파기 공사 중의 토압과 수압 등에 저항하고 주변지반의 침하 방지와 인접구조물 보호를 위해 흙막이벽체를 시공한다.Generally, in order to construct the basement of the building, first the underground construction should be done. In order to prevent the settlement of the surrounding ground and to protect the adjacent structure, the earth retaining wall is constructed.
상기 흙막이벽체를 위해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이 사용될 수 있다.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에 의한 흙막이벽체는 말뚝의 구조적 신뢰성이 부족하고, 차수효과가 미흡하며, 현장 인력시공에 의하므로 시공효율이 떨어지고, 지하수와 토양이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다.An on-site concrete pile may be used for the earth retaining wall. Because of the lack of the structural reliability of the pile, the effect of order is insufficient and the construction efficiency is low due to the construction of the field work, and the groundwater and the soil are contaminated.
또한, 흙막이벽체를 위해 PHC(프리캐스트 고강도 콘크리트) 말뚝을 사용할 수 있다. PHC 말뚝을 이용한 흙막이벽체는 공장제작에 의하므로 강성이 우수하고, 현장에서의 시공이 단순하며, 공기가 단축되고, 비용이 절감되며, 지하수나 토양의 오염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PHC (precast high strength concrete) piles can also be used for the retaining walls. PHC pile walls have excellent rigidity due to factory construction, simple construction on site, shortening of air, cost reduction, and prevention of contamination of ground water or soil.
그러나 흙막이벽체는 건축물의 시공이 완료된 후 철거해야 하는 가시설물로서, 흙막이벽체의 내측으로 건축물의 지하층의 외부 벽체를 시공할 때 흙막이벽체와 일정거리 이격거리를 두고 외부 벽체를 시공함에 따라 시공 기간이 길고, 공간 활용이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다.However, when the outer wall of the basement of the building is installed inside the retaining wall, the outer wall is constructed with a certain distance from the retaining wall so that the construction perio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pace utilization is inefficient.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흙막이벽체와 건축물외부벽체를 일체화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echniques for integrating the earth retaining wall and the building outer wall have been developed.
예컨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60603호 "피에이치씨파일로 구성된 흙막이벽을 이용한 지하합벽 시공방법" (도 7a ~ 도 7c)가 개시되어 있다. 이 종래기술은 (a) 대지경계선을 따라 지반을 천공하고 PHC파일(11)을 삽입 및 최종 경타하는 단계를 반복하여 지중에 PHC파일로 구성되는 흙막이벽을 형성하는 단계; (b) 버팀보를 지지하면서 동시에 본 구조물의 기둥이 되는 내부 기둥을 평면계획에 따라 시공하는 단계; (c) 각 PHC파일의 두부를 정리한 다음 연결바(21)를 PHC파일의 중공에 노출되도록 삽입한 후 연결바 고정수단(22)을 연결바에 접합시켜 연결바의 설치 위치를 고정하는 단계; (d) 일정한 심도로 굴토한 다음 각 PHC파일의 두부를 연결하면서 지상층 기둥 또는 벽체가 세워지는 기초가 되는 캡 빔(20) 형성을 위한 철근을 배근하고 거푸집을 설치한 후 캡 빔 콘크리트와 각 PHC파일의 중공을 충전하는 콘크리트를 동시에 타설하는 단계; (e) 소정의 계획 심도까지 굴토한 다음 띠장을 대고 흙막이벽을 지지하도록 띠장과 내부 기둥을 연결하는 버팀보를 설치하는 공정을 반복하여 계획 굴착고에 도달할 때까지 굴토하는 단계; (f) 최하층에 해당하는 PHC파일의 외면에 다수의 전단연결재(411)를 설치하고 메탈라스(412)를 고정한 다음 기초 바닥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최하층 외벽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최하층 합벽을 시공하는 단계; (g) 최하층+1층에 해당하는 층의 띠장과 버팀보를 제거한 후 PHC파일의 외면에 다수의 전단연결재를 설치하고 메탈라스를 고정한 다음 당해 층 바닥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당해 층 외벽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당해 층 합벽을 시공하는 공정을 지상층-1층까지 반복하는 단계; 및 (h) 지상층 바닥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f)단계에서 기초 바닥과 합벽이 접하는 부분의 기초 바닥 하면에는 합벽을 통해 전달되는 하중이 지반에 균등하게 전달하기 위해 기초 바닥의 다른 부분에 비해 춤이 큰 브라켓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HC파일로 구성된 흙막이벽을 이용한 지하합벽 시공방법(청구항 1 참조)에 관한 것으로서, 지하층 외벽 및 지상층의 기둥 또는 벽체를 최대한 대지경계선에 근접하여 시공할 수 있어 대지의 이용도가 높고 합벽 시공시 벽체의 두께를 줄일 수 있어 경제적이며 또한 시공이 단순하여 공기단축 및 정밀도 높은 시공이 가능한 PHC파일로 구성된 흙막이벽을 이용한 지하합벽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For example, Korean Patent No. 10-0960603 discloses a method of constructing an underground concrete wall using an earth retaining wall composed of a picocice file (Figs. 7A to 7C). (A) puncturing the ground along the site boundary, inserting the PHC file (11), and repeating the final step, thereby forming an earth retaining wall composed of PHC files in the ground; (b) constructing an inner column supporting the strut while acting as a column of the structure according to a planar plan; (c) fixing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connection bar by arranging the head of each PHC file, inserting the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드릴을 이용하여 PHC파일에 구멍을 형성하고 다수의 전단연결재를 설치한 후 외벽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합벽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전단연결재 설치를 위한 시공기간과 시공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prior art, holes are formed in a PHC file by using a drill, a plurality of shear connectors are installed, and concrete walls are formed by installing outer wall concrete. The construction time and construction cost for installing a shear connector are increased have.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연결전단키를 구비하여 흙막이벽체파일과 건축물외부벽체를 간단하게 연결하여 일체화함으로써, 건축물외부벽체의 두께를 줄이고 토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흙막이벽체파일과 건축물외부벽체 연결전단키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uilding with a connection shear key, which can easily connect and integrate the wall of the building with the wall of the building, thereby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building outer wall and efficiently using the land, And a method for constructing an underground structure using the shear key.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흙막이벽체파일과 건축물외부벽체 연결전단키는 중공관 형상의 흙막이벽체파일과 그에 접하여 시공되는 건축물외부벽체를 상호 연결하는 것으로서, 상기 흙막이벽체파일과 상기 건축물외부벽체의 상측에 걸쳐서 설치되는 전단연결재; 상기 전단연결재의 일측의 하측에 결합되고, 상기 흙막이벽체파일의 내부에 삽입되는 보강플레이트; 상기 보강플레이트의 하측에 결합되고, 상기 흙막이벽체파일의 내부에 삽입되어 흙막이벽체파일의 구멍을 밀폐하는 밑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earthenware wall pile and the building outer wall connection shear ke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terconnect a hollow pipe-type earthen wall pile file and a building outer wall constructed in contact with the earthen pile wall pile file, Installed shear connectors; A reinforcing plate coupled to a lower side of one side of the shear connector and inserted into the sheeting wall pile; And a bottom plate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reinforcing plate and inserted into the piled wall pile to seal the holes of the piled wall pile file.
또한, 흙막이벽체파일은 PHC(프리캐스트 고강도 콘크리트)파일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Further, the earth retaining wall pile may be a PHC (precast high strength concrete) pile.
또한, 전단연결재는, ㄴ자 형상, ㄷ자 형상, H자 형상, 또는 ㅁ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Further, the shear connector may be characterized by being in the form of a letter, letter, letter, letter, or letter.
또한, 보강플레이트는, 제1부재와, 상기 제1부재와 직각 방향으로 결합되는 제2부재를 포함하는 십자 형상이고,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는, 하부는 상기 흙막이벽체파일의 구멍에 삽입되는 폭으로 형성되어 구멍에 삽입되고, 상부는 하부보다 폭이 넓게 형성되어 상기 흙막이벽체파일의 상측에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Further, the reinforcing plate is a cross-shaped body including a first member and a second member coupled to the first memb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member, and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hole And the upper portion is formed to be wider than the lower portion and is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piled wall body pile.
또한, 전단연결재의 타측의 하측에 결합되는 벽체연결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벽체연결재는 상기 건축물외부벽체의 내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wall connection member may further include a wall connection member coupled to a lower 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shear connection member, wherein the wall connection member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outside wall of the building.
또한, 벽체연결재는, 상기 흙막이벽체파일의 상단보다 하측으로 더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Further, the wall connecting member may be further extended downward than the upper end of the earth retaining wall pile.
또한, 보강플레이트의 제1부재 또는/및 제2부재는 철근이 삽입될 수 있는 관통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Further, the first member and / or the second member of the reinforcing plate may include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a reinforcing bar can be inserted.
또한,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흙막이벽체파일과 건축물외부벽체 연결전단키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시공방법은 흙막이벽체파일과 건축물외부벽체 연결전단키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시공방법에 있어서, 현장에 흙막이벽체파일을 시공하는 단계; 상기 흙막이벽체파일의 내측을 굴착하는 단계; 상기 흙막이벽체파일의 두부를 정리 하고, 상기 연결전단키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연결전단키를 포함하는 캡빔의 철근을 배근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캡빔을 시공하는 단계; 상기 흙막이벽체파일의 내측에 접하여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건축물외부벽체를 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e method of constructing an underground structure using a shear wall pile file and a building sheath connection shear ke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constructing an underground structure using a shear wall connection file and a shear wall connecting a building outer wall, step; Excavating the inside of the earth retaining wall pile; Arranging a head portion of the earth retaining wall pile and installing the connection shear key; Constructing a cap beam for laying concrete after placing reinforcement of a cap beam including the connection shear key; And constructing the building outer wall by placing reinforcing bars in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retaining wall pile and pouring concrete.
또한, 상기 내측을 굴착하는 단계는 상기 캡빔을 시공하는 단계 후에 시행하거나, 상기 내측을 굴착하는 단계와 상기 연결전단키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캡빔을 시공하는 단계를 함께 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step of excavating the inner side may be performed after the step of installing the cap beam, or the step of excavating the inner side, the step of installing the connection shear key, and the step of constructing the cap beam. .
또한, 건축물외부벽체를 시공하는 단계는, 상기 건축물외부벽체의 상측에 테두리보를 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of constructing the building outer wall may include the step of constructing a frame beam on the upper side of the building outer wall.
본 발명은, 흙막이벽체파일을 지하구조물의 건축물외부벽체와 일체화함으로써, 건축물외부벽체의 두께와 철근량이 감소하여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ntegrating the earth retaining wall pile with the building outer wall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the thickness of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nd the amount of the rebar can be reduced and economic efficiency can be secured.
또한, 지하구조물의 건축물외부벽체의 두께를 감소시키고 건축물외부벽체와 흙막이벽체파일 사이의 공간을 없앰으로써 사용면적이 증가하여 공간활용성이 증대될 수 있다.In addition, by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outer wall of the structure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and eliminating the space betwee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nd the wall of the retaining wall, the use area can be increased and the space utilization can be increased.
또한, 흙막이벽체파일을 건축물의 기초파일로 활용함으로써, 파일의 시공 개수를 감소시켜 공기가 단축되고 공사비가 절감될 수 있다.In addition, by using the earth retaining wall pile file as a foundation file of the building, the number of pile construction can be reduced, and air can be shortened and the construction cost can be reduced.
또한, 건축물외부벽체의 두께가 감소하여 인접 건물과의 거리를 기존설계보다 크게 확보할 수 있어 시공이 용이하고 인접건물에 피해를 최소화하여 민원을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thickness of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is reduced, the distance from the adjacent building can be secured to be larger than that of the existing building, so that construction can be facilitated and the complaint can be minimized by minimizing damage to the adjacent building.
또한, 보강플레이트를 흙막이벽체파일의 구멍에 삽입하는 것만으로 연결전단키의 설치가 완료되어 시공이 매우 편리할 수 있다.Also, by simply inserting the reinforcing plate into the hole of the earth retaining wall pile, the installation of the connection shear key can be completed and the construction can be very convenient.
또한, 연결전단키의 전단연결재가 흙막이벽체파일의 상측에서 이격 설치됨에 따라 캡빔의 철근 배치가 용이하고 캡빔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hear connection member of the connection shear key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ide of the retaining wall pile, the reinforcement of the cap beam is easily arranged and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cap beam can be secured.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흙막이벽체파일과 건축물외부벽체를 연결전단키로 연결하여 합벽을 형성한 모습을 내부가 보이도록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캡빔과 테두리보에 콘크리트가 타설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연결전단키가 흙막이벽체파일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연결전단키가 흙막이벽체파일에서 분리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연결전단키의 하측에 벽체연결재가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종래기술의 도면들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inner wall is formed by connecting an earth wall house file and an outer wall of a building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onnecting a connecting shear key.
FIG.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concrete is placed in the cap beam and the frame beam of FIG. 1. FIG.
3 is a side view of Fig.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nnection shear key is installed in the earth retaining wall pile.
FIG. 5 is a view showing a connection shear key separated from an earth retaining wall file. FIG.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wall connecting member is coupled to a lower side of a connection shear key.
Figure 7 is a drawing of the prior art.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drawings,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difference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conclusiv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May be "connected "," coupled "or" connected ".
이하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흙막이벽체파일과 건축물외부벽체 연결전단키를 상세하게 설명한다.1 and 2, a description will be made in detail of a sheeting wall connection file and a shear connection sheath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흙막이벽체파일과 건축물외부벽체 연결전단키는, 중공관 형상의 흙막이벽체파일(10)과 그에 접하여 시공되는 건축물외부벽체(20)를 상호 연결하는 것으로서, 상기 흙막이벽체파일(10)과 상기 건축물외부벽체(20)의 상측에 걸쳐서 설치되는 전단연결재(32); 상기 전단연결재(32)의 일측의 하측에 결합되고, 상기 흙막이벽체파일(10)의 내부에 삽입되는 보강플레이트(34); 상기 보강플레이트(34)의 하측에 결합되고, 상기 흙막이벽체파일(10)의 내부에 삽입되어 흙막이벽체파일(10)의 구멍을 밀폐하는 밑판(36);을 포함할 수 있다.The earthen wall pile file and the building outer wall connection shear ke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terconnect the hollow earthen wall
본 실시예의 연결전단키(30)는 전단연결재(32), 보강플레이트(34), 밑판(3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전단키(30)는 흙막이벽체파일(10)와 건축물외부벽체(20)를 간단하게 일체화 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흙막이벽체파일(10)을 건축물외부벽체(20)와 연결하여 영구 벽체로 활용함으로써, 지하구조물의 건축물외부벽체(20)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The
흙막이벽체파일(10)은 중공형의 철근콘크리트파일 또는 PHC파일을 사용할 수 있다. PHC파일은 공장 생산으로 구조적 강성이 우수하고, 현장에서의 시공이 최소화되어 시공기간이 절약되고, 콘크리트 누출 등에 의한 환경오염이 방지될 수 있다.The earth
전단연결재(32)는 흙막이벽체파일(10)과 건축물외부벽체(20)의 상측에 걸쳐서 설치될 수 있다. 즉, 전단연결재(32)의 일측은 흙막이벽체파일(10)의 상측에 위치하고, 타측은 건축물외부벽체(20)까지 연장될 수 있다. 전단연결재(32)는 강재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단연결재(32)는 ㄴ자 형상, ㄷ자 형상, H자 형상, ㅁ자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다양한 형상의 전단연결재(32)가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The
전단연결재(32)의 하측에는 보강플레이트(34)가 용접 등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보강플레이트(34)는 강재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강플레이트(34)는 흙막이벽체파일(1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보강플레이트(34)가 흙막이벽체파일(10)의 내부에 삽입되는 것만으로 연결전단키(30)가 흙막이벽체파일(10)에 결합될 수 있다.The reinforcing
보강플레이트(34)의 하측에는 밑판(36)이 용접 등으로 결합될 수 있다. 밑판(36)은 흙막이벽체파일(10)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는 강판일 수 있다. 밑판(36)은 중공형으로 형성된 흙막이벽체파일(10)의 구멍을 밀폐할 수 있다. 따라서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밑판(36)의 상측인 흙막이벽체파일(10)의 구멍에 타설되어 경화됨으로써 연결전단키(30)가 흙막이벽체파일(10)과 견고히 결합될 수 있다.A
보강플레이트(34)는 제1부재와 제2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제1부재와 제2부재는 강판일 수 있다. 제1부재와 제2부재는 서로 직각 방향으로 결합되는 십자 형상, 또는 나란히 설치되는 평행 형상일 수 있다. 또한, 평행 형상으로 설치된 제1부재와 제2부재를 연결하는 제3부재를 더 포함하여 H자 형상일 수 있다. 평행 형상인 제1부재와 제2부재로 구성된 보강플레이트(34)는 캡빔(40) 철근의 배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H자 형상의 보강플레이트(34)는 건축물외부벽체(20)와의 연결 강도를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다. 제1부재와 제2부재의 하부는 흙막이벽체파일(10)의 구멍에 삽입될 수 있는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부재와 제2부재의 상부는 하부의 폭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부재와 제2부재의 하부는 흙막이벽체파일(10)의 구멍에 긴밀히 삽입되고, 상부는 흙막이벽체파일(10)의 상측에 거치됨으로써 전단연결재(32)는 파일의 상측에서 일정 간격 이격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전단연결재(32)의 하측으로 캡빔(40)의 철근을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보강플레이트(34)의 일부가 흙막이벽체파일(10)에 삽입되어 거치됨으로써, 연결전단키(30)를 흙막이벽체파일(10)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The reinforcing
보강플레이트(34)의 제1부재, 제2부재, 제3부재에는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공에는 캡빔(40) 또는 슬래브의 철근이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보강플레이트(34)와 캡빔(40) 또는 슬래브의 철근이 결합됨으로써 흙막이벽체파일(10), 캡빔(40), 슬래브, 건축물외부벽체(20)가 상호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Through holes may be formed in the first member, the second member, and the third member of the reinforcing
전단연결재(32)의 타측의 하측에는 벽체연결재(38)가 용접 등으로 결합될 수 있다. 벽체연결재(38)는 I형강, 강판, 철근, 볼트 등이 될 수 있다. 벽체연결재(38)는 흙막이벽체파일(1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전단키(30)의 보강플레이트(34)는 흙막이벽체파일(10)에 삽입되고, 전단연결재(32)는 건축물외부벽체(20)에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흙막이벽체파일(10)과 건축물외부벽체(20)가 견고히 일체화 될 수 있다. 벽체연결재(38)는 흙막이벽체파일(10)의 상단보다 하측으로 더 연장될 수 있다.The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흙막이벽체파일과 건축물외부벽체 연결전단키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시공방법을 설명한다. 본 시공방법에서의 구성들은 전술한 실시예의 구성들을 유추하여 적용할 수 있다.Hereinafter, a method of constructing an underground structure using a shear wall file and a shear connection sheath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FIG. The constructions in this construction method can be applied by analogy to the construction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흙막이벽체파일과 건축물외부벽체 연결전단키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시공방법은, 현장에 흙막이벽체파일(10)을 시공하는 단계; 상기 흙막이벽체파일(10)의 내측을 굴착하는 단계; 상기 흙막이벽체파일(10)의 두부를 정리 하고, 상기 연결전단키(30)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연결전단키(30)를 포함하는 캡빔(40)의 철근을 배근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캡빔(40)을 시공하는 단계; 상기 흙막이벽체파일(10)의 내측에 접하여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건축물외부벽체(20)를 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of constructing an underground structure using a shear wall file and a building outer wall connection shear ke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constructing an earth retaining
흙막이벽체파일(10)을 시공하는 단계는, 구조물을 시공하고자 하는 계획된 지반에 먼저 흙막이벽체파일(10)을 시공하는 단계이다. 즉, 오거 등을 이용하여 계획된 지반에 흙막이벽체파일(10)들을 삽입하기 위하여 천공구들을 형성하고, PHC파일 등을 천공구들에 삽입하여 시공함으로써, 흙막이벽체를 형성하는 단계이다.The step of constructing the earth retaining
흙막이벽체파일(10)의 내측을 굴착하는 단계는 흙막이벽체파일(10)들이 형성한 흙막이벽체 내측을 굴착하는 단계이다. 이 경우 흙막이벽체파일(10)들 상호간을 연결하는 띠장과 버팀보 등을 설치할 수 있다.The step of excavating the inside of the retaining
연결전단키(30)를 설치하는 단계는 흙막이벽체파일(10)들의 두부들이 평면을 이루도록 정리한 후 보강플레이트(34)와 밑판(36)을 흙막이벽체파일(10)의 구멍 내부로 삽입하여 설치하는 단계이다. 연결전단키(30)는 구조적 안정성을 고려하여 적정한 수를 설치할 수 있다. 즉, 흙막이벽체파일(10)들 중 일정간격으로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다.The step of installing the
캡빔(40)을 시공하는 단계는 흙막이벽체파일(10)들을 따라 철근을 배근하고 이들을 감싸는 띠철근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캡빔(40)을 시공하는 단계이다. 즉, 흙막이벽체 방향과 그 직각 방향으로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타설한 콘크리트가 연결전단키(30)의 밑판(36)까지 타설되게 한다. In the step of constructing the
건축물외부벽체(20)를 시공하는 단계는 흙막이벽체파일(10)의 내측에 근접하여 철근을 배근하고 거푸집을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건축물외부벽체(20)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따라서 흙막이벽체파일(10)과 건축물외부벽체(20)가 상호 연결되어 흙막이벽체파일(10)이 영구 벽체로 사용됨으로써, 건축물지하벽체의 소요 철근량과 콘크리트량이 감소되어 시공비용이 줄어들 수 있다.The step of constructing the building
상기 내측을 굴착하는 단계는 상기 캡빔(40)을 시공하는 단계 후에 시행할 수 있다. 즉, 먼저 연결전단키(30)를 설치하고 캡빔(40)을 시공한 후에 흙막이벽체파일(10)의 내측을 굴착할 수 있다.The step of excavating the inner side may be performed after the step of installing the
또한, 내측을 굴착하는 단계와 연결전단키(30)를 설치하는 단계와 캡빔(40)을 시공하는 단계를 함께 시행할 수 있다. 즉, 내측을 일부 굴착한 후 연결전단키(30)를 설치하고 캡빔(40)을 시공한 후 내측의 나머지 부분을 굴착하거나, 연결전단키(30)를 설치하고 캡빔(40)을 시공함과 동시에 내측을 굴착할 수 있다. 이들의 순서는 현장 상황에 맞게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of excavating the inside, the step of installing the
건축물외부벽체(20)를 시공하는 단계에서는 건축물외부벽체(20)의 상측에 테두리보(50)를 더 시공할 수도 있다. 즉, 필요에 따라 테두리보(50)를 시공함으로써, 합벽으로 형성된 지하구조물의 구조적 안정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In the step of constructing the building
결국, 연결전단키(30)를 구비하여 흙막이벽체파일(10)로 형성된 흙막이벽체와 건축물외부벽체(20)를 연결함으로써, 흙막이벽체를 영구 벽체로 사용하여 건축물외부벽체(20)의 두께를 절감할 수 있고, 이에 따른 철근량 감소 및 콘크리트량이 감소함으로 경제성이 증진되고, 공기가 단축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건축물외부벽체(20)의 두께 감소로 인해 지하구조물의 실 사용면적이 증대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는 것이다.As a result, by connecting the earth retaining wall formed of the earth retaining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구성되거나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the constituent elements may be constituted or operated selectively in combination with one or more. Furthermore, the terms "comprises", "comprising", or "having" described above mean that a component can be implanted unless otherwise specifically stated, But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ing other elem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terms, such as predefined term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s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ideal or overly formal, unless expressly defined to the contrary.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흙막이벽체파일
20: 건축물외부벽체
30: 연결전단키
32: 전단연결재
34: 보강플레이트
36: 밑판
38: 벽체연결재
40: 캡빔
50: 테두리보10: Masonry wall file
20: Building exterior wall
30: Connection Shekel
32: Shear connector
34: reinforcing plate
36: Base plate
38: Wall connector
40: cap beam
50: border frame
Claims (10)
상기 흙막이벽체파일과 상기 건축물외부벽체의 상측에 걸쳐서 설치되는 전단연결재;
상기 전단연결재의 일측의 하측에 결합되고, 상기 흙막이벽체파일의 내부에 삽입되는 보강플레이트;
상기 보강플레이트의 하측에 결합되고, 상기 흙막이벽체파일의 내부에 삽입되어 흙막이벽체파일의 구멍을 밀폐하는 밑판;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플레이트는,
제1부재와, 상기 제1부재와 직각 방향으로 결합되는 제2부재를 포함하는 십자 형상이고,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는,
하부는 상기 흙막이벽체파일의 구멍에 삽입되는 폭으로 형성되어 구멍에 삽입되고, 상부는 하부보다 폭이 넓게 형성되어 상기 흙막이벽체파일의 상측에 거치되며,
상기 보강플레이트의 제1부재 또는/및 제2부재는 철근이 삽입될 수 있는 관통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벽체파일과 건축물외부벽체 연결전단키.
A hollow pipe-type earth retaining wall pile and a building exterior wall to be connected thereto are interconnected.
A shear connection member installed over the earth retaining wall pile and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 reinforcing plate coupled to a lower side of one side of the shear connector and inserted into the sheeting wall pile;
And a bottom plate coupled to a lower side of the reinforcing plate and inserted into the piled wall pile file to seal holes in the piled wall pile file,
Wherein the reinforcing plate
A cross member including a first member and a second member coupled to the first memb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member,
Wherein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ar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The lower portion is formed to have a width to be inserted into the hole of the earth retaining wall pile and is inserted into the hole. The upper portion is formed to be wider than the lower portion and is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piling wall pile,
Wherein the first member and / or the second member of the reinforcing plate include through-holes through which reinforcing bars can be inserted.
상기 흙막이벽체파일은 PHC(프리캐스트 고강도 콘크리트)파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벽체파일과 건축물외부벽체 연결전단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arth retaining wall pile file is a PHC (precast high strength concrete) pile.
상기 전단연결재는,
ㄴ자 형상, ㄷ자 형상, H자 형상, 또는 ㅁ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벽체파일과 건축물외부벽체 연결전단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hear connector comprise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 the form of a letter, a letter, a letter, a letter, a letter, a letter, a letter, a letter or a letter.
상기 전단연결재의 타측의 하측에 결합되는 벽체연결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벽체연결재는 상기 건축물외부벽체의 내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벽체파일과 건축물외부벽체 연결전단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wall connection member coupled to a lower 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shear connection member,
Wherein the wall bridg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building outer wall.
상기 벽체연결재는, 상기 흙막이벽체파일의 상단보다 하측으로 더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벽체파일과 건축물외부벽체 연결전단키.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wall bridging member extends further downward than an upper end of the earth retaining wall pile file.
현장에 흙막이벽체파일을 시공하는 단계;
상기 흙막이벽체파일의 내측을 굴착하는 단계;
상기 흙막이벽체파일의 두부를 정리 하고, 상기 연결전단키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연결전단키를 포함하는 캡빔의 철근을 배근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캡빔을 시공하는 단계;
상기 흙막이벽체파일의 내측에 접하여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건축물외부벽체를 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건축물외부벽체를 시공하는 단계는,
상기 건축물외부벽체의 상측에 테두리보를 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전단키는
중공관 형상의 상기 흙막이벽체파일과 그에 접하여 시공되는 상기 건축물외부벽체를 상호 연결하는 것으로서,
상기 흙막이벽체파일과 상기 건축물외부벽체의 상측에 걸쳐서 설치되는 전단연결재;
상기 전단연결재의 일측의 하측에 결합되고, 상기 흙막이벽체파일의 내부에 삽입되는 보강플레이트;
상기 보강플레이트의 하측에 결합되고, 상기 흙막이벽체파일의 내부에 삽입되어 흙막이벽체파일의 구멍을 밀폐하는 밑판;을 포함하는 흙막이벽체파일과 건축물외부벽체 연결전단키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시공방법.
In a method of constructing an underground structure using a shear wall connection and a connection of an outer wall of a building,
Installing an earth retaining wall pile on site;
Excavating the inside of the earth retaining wall pile;
Arranging a head portion of the earth retaining wall pile and installing the connection shear key;
Constructing a cap beam for laying concrete after placing reinforcement of a cap beam including the connection shear key;
And constructing the building outer wall by placing reinforcing bars in contact with the inner side of the retaining wall pile and pouring concrete,
The step of constructing the building exterior wall comprises:
And constructing a frame beam on the upper side of the building outer wall,
The connection shear-
The structure of claim 1, wherein the hollow pipe-shaped earth retaining wall and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 shear connection member installed over the earth retaining wall pile and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 reinforcing plate coupled to a lower side of one side of the shear connector and inserted into the sheeting wall pile;
And a bottom plate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reinforcing plate and inserted into the piled wall pile to seal a hole of the piled wall pile file,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an underground structure using the pile connected to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상기 흙막이벽체파일의 내측을 굴착하는 단계와 상기 연결전단키를 설치하는 단계의 순서를 바꾸어 시행하거나, 함께 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벽체파일과 건축물외부벽체 연결전단키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step of excavating the inside of the retaining wall pile and the step of installing the connection shear key are carried out alternately or simultaneously,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an underground structure using the shear wall pile file and the building outer wall connection shear key.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57998A KR101843023B1 (en) | 2017-11-24 | 2017-11-24 | Shear connector for temporary retaining wall file and building outer wall, and method for constructing an underground structure using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57998A KR101843023B1 (en) | 2017-11-24 | 2017-11-24 | Shear connector for temporary retaining wall file and building outer wall, and method for constructing an underground structure using thereof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43023B1 true KR101843023B1 (en) | 2018-03-28 |
Family
ID=61901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57998A KR101843023B1 (en) | 2017-11-24 | 2017-11-24 | Shear connector for temporary retaining wall file and building outer wall, and method for constructing an underground structure using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43023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27414B1 (en) * | 2020-09-02 | 2021-03-11 |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 Joint structure of underground exterior wall and slab |
KR20210121711A (en) | 2020-03-31 | 2021-10-08 | 주식회사 케이에스씨 | Blocks for soil retaining wall and it's method of construction |
KR102392517B1 (en) * | 2021-07-13 | 2022-04-29 | 주식회사 와이앤케이에코 | Top-down method using by double beam system |
KR102603493B1 (en) | 2023-03-13 | 2023-11-17 |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 Cap module-based column wall for building foundatio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0261181A (en) * | 2009-05-01 | 2010-11-18 | Kajima Corp | Pile head reinforcement jig for pre-made piles |
-
2017
- 2017-11-24 KR KR1020170157998A patent/KR101843023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0261181A (en) * | 2009-05-01 | 2010-11-18 | Kajima Corp | Pile head reinforcement jig for pre-made piles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121711A (en) | 2020-03-31 | 2021-10-08 | 주식회사 케이에스씨 | Blocks for soil retaining wall and it's method of construction |
KR102227414B1 (en) * | 2020-09-02 | 2021-03-11 |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 Joint structure of underground exterior wall and slab |
KR102392517B1 (en) * | 2021-07-13 | 2022-04-29 | 주식회사 와이앤케이에코 | Top-down method using by double beam system |
KR102603493B1 (en) | 2023-03-13 | 2023-11-17 |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 Cap module-based column wall for building foundation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500807B2 (en) | Method of construction using sheet piling sections | |
KR101843023B1 (en) | Shear connector for temporary retaining wall file and building outer wall, and method for constructing an underground structure using thereof | |
KR100984898B1 (en) | Underground structure descending construction method | |
KR102195504B1 (en) | Construction method for Eearth self-retaining wall using reinforcing member and CIP construction method | |
KR100886445B1 (en) | Soil tanks | |
KR101041274B1 (en) | Synthetic Grouting Fixture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 |
KR100831332B1 (en) | Underground wall for civil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method | |
KR100633796B1 (en) | Central Reinforced Connection Structure of Temporary Temporary Construction | |
KR101182704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undergroud structure using PHC pile | |
JP2000352296A (en) | Method o constructing passage just under underground structure | |
JP2000265484A (en) | Construction method of underground structure by PCa pile ground wall | |
KR100808977B1 (en) | Connecting device of corner brace in construction of temporary block construction | |
KR20080025219A (en) | Construction method of underground wall using deck plate and deck plate for construction of underground wall | |
KR102021496B1 (en) |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and retaining wall structure by the method | |
KR20200029080A (en) | Construction method for earth self-retaining wall using reinforcing member and PHC pile | |
KR101599931B1 (en) | Retaining Wall using Precast Panels and PHC Piles having Steel Bands, and Constructing Method of such Retaining Wall | |
KR200362565Y1 (en) | Earth Retaining Wall Structure Using Precast Concrete Pil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1282770B1 (en) | Precast straight wall foundation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 |
KR20040031451A (en) | Prestressed scaffolding method | |
KR101234270B1 (en) | Method for non excavated excavating construction using steel pipe and steel pipe with hole | |
KR102150531B1 (en) | Retaining wall structure using vertical underground insert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20200029075A (en) | Pile for Earth self-retaining wall using double I beam | |
KR100654973B1 (en) | Block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precast concrete pile | |
KR200308716Y1 (en) | Prestressed scaffolding method | |
JP7275844B2 (en) | WALL-LIKE STRUCTURE AND METHOD OF CONSTRUCTING WALL-LIKE STRU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12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7112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2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1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3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3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2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