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7834B1 - 포장용 상자 - Google Patents

포장용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7834B1
KR101837834B1 KR1020160065736A KR20160065736A KR101837834B1 KR 101837834 B1 KR101837834 B1 KR 101837834B1 KR 1020160065736 A KR1020160065736 A KR 1020160065736A KR 20160065736 A KR20160065736 A KR 20160065736A KR 101837834 B1 KR101837834 B1 KR 1018378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itting
vane
support van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5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4056A (ko
Inventor
박현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크
Priority to KR1020160065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7834B1/ko
Publication of KR20170134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40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7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78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 B65D5/0254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with end closures formed by inward folding of flaps and securing them by means of a tongue integral with one of the fl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54Lines of weakness to facilitate opening of container or dividing it into separate parts by cutting or tearing
    • B65D5/5405Lines of weakness to facilitate opening of container or dividing it into separate parts by cutting or tearing for opening 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blank in tubular form
    • B65D5/541Lines of weakness to facilitate opening of container or dividing it into separate parts by cutting or tearing for opening 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blank in tubular form the lines of weakness being provided in one or more closure fl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 B65D5/66Hinged lids
    • B65D5/6602Hinged lids formed by folding one or more extensions hinged to the upper edge of a tubular container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포장용 상자가 개시된다.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상자는 절곡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측면부, 측면부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는 하면, 측면부의 상부에 연장 형성되는 제1상면 및 제2상면, 상기 상면들에 형성되어, 서로를 결합시키는 로킹부 및상기 제1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로킹부를 상기 제1상면으로부터 분리하는 절취선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포장용 상자{PACKING BOX}
아래의 설명은 포장용 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건을 배달하거나 이송하는 경우에는 포장용 상자가 이용된다. 포장용 상자는 내부에 수용된 제품의 설명이나 기능 및 다양한 특징등을 기재하거나 제품과 함께 제공되는 설명서 등을 동봉하기 위한 목적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최근에는 온라인 쇼핑이나 배송 시스템에 의하여 제품의 교환이나 구매가 활발하게 이루어 지고 있다.
테이프를 통하여 포장용 상자를 조립하는 경우, 배송과정에서 포장용 상자가 개봉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상자의 개봉여부를 파악하기 쉽지 않기 때문에, 책임소재에 따른 분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테이프에 의한 결합 없이도 상자의 조립이 가능하며, 상자의 개봉여부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는 포장용 상자가 요구된다.
이와 관련하여, 공개 실용신안 제2010-0005591호는 접착에 의해 이루어지는 측면부를 고정하는 포장용 상자를 개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테이프의 접합이 없이도 포장이 가능한 포장용 상자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로킹부의 결합을 통해 간편하게 밀봉이 가능한 포장용 상자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절취선을 통해 용이하게 개봉이 가능한 포장용 상자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상자는 절곡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면, 제2면, 제3면, 제4면을 포함하는 측면부와 상기 측면부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는 하면, 상기 측면부의 상부에 연장 형성되는 제1상면 및 제2상면, 상기 상면들에 형성되어, 상기 상면들을 서로 결합시키는 로킹부와 상기 제1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로킹부를 상기 제1상면으로부터 분리하는 절취선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로킹부는 상기 제1상면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끼움부와 상기 제2상면에 관통 형성되고, 상기 끼움부가 삽입하는 끼움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는 상기 제1상면의 일측에 복수개가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끼움홀은 이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2상면에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절취선은 상기 제1상면의 외측과 내측을 연결하는 형상으로 절취면을 형성하고, 상기 절취면은 상기 끼움부가 상기 제1상면과 연결되는 부위를 포함하여, 상기 절취면을 상기 제1상면에서 분리함으로써, 상기 제1상면과 상기 제2상면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의 상부에는 상기 제1상면 및 상기 제2상면의 결합을 지지하도록 제1지지날개 및 제2지지날개가 더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날개 및 상기 제2지지날개에는 절곡가능하도록 고정부가 각각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상면에는 상기 고정부가 삽입되어 절곡되도록 고정홀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홀에 삽입, 절곡되어 상기 제1지지날개 및 상기 제2지지날개를 상기 제2상면에 고정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하면의 일측에는 하부끼움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측면부에는 상기 하부끼움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하부끼움홀과 상기 하부끼움홀의 아래로 연장되어 상기 하면과 겹침으로써 상기 하면의 고정을 지지하는 하부지지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의 하부에는 상기 하면과 상기 하부지지면의 겸침을 지지하는 제1하부날개 및 제2하부날개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상자는 하면, 상기 하면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면, 상기 제1면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제2면,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을 연결하는 제3면, 상기 제3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을 연결하는 제4면,상기 제1면의 상부와 연결되고 상기 하면과 마주보는 제1상면, 상기 제2면의 상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1면과 겹치는 제2상면, 상기 제1상면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끼움부, 상기 제2상면에 관통 형성되고, 상기 끼움부가 삽입되는 끼움홀 및 상기 제1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끼움부를 상기 제1상면에서 분리하도록 하는 절취선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제3면의 상부에는 일부가 돌출되는 'ㄴ'형상의 제1지지날개가 연결되고, 상기 제4면의 상부에는 제1지지날개와 대칭되는 형상의 제2지지날개가 연결되며, 상기 제1지지날개 및 제2지지날개는 상기 제1상면 및 제2상면의 결합을 지지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날개 및 제2지지날개의 일측에는 절곡하도록 고정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2상면에는 상기 고정부에 대응하는 고정홀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어 절곡됨으로써, 상기 제1지지날개 및 제2지지날개를 상기 제2상면에 고정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하면의 일측에는 하부끼움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면에는 상기 하부끼움부가 삽입되어 상기 하면을 고정하도록 하부끼움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2면의 하부에는 상기 하면의 고정을 지지하는 하부지지면이 연결되고, 상기 제3면의 하부에는 절곡선이 형성된 제1하부날개가 형성되고, 상기 제4면의 하부에는 절곡선이 형성된 제2하부날개가 형성되며, 상기 제1하부날개 및 제2하부날개는 상기 하면 및 상기 하부지지면의 결합을 지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상자는 일체형으로 마련되어 테이프를 통한 접합이 없어도 간단하게 조립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상자는 로킹부를 통해 상면들을 서로 결합함으로써, 간단한 밀봉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상자는 지지날개 및 고정부를 통해, 상면부의 결합이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상자는 절취선을 통해 절취면을 상면부에서 분리함으로써, 간단한 개봉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상자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상자를 전개한 형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상자가 조립된 정면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상자의 조립된 후면을 도시한 후면도이다.
도 4A 및 도4B는 각각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상자의 조립된 좌측면, 우측면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상자의 하부면이 조립된 형태를 도시하는 저면도이다.
도 6는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상자가 조립된 형태를 도시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다른 포장용 상자의 상면들이 로킹부를 통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상자의 상면들이 절취선에 의해 개봉되는 것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1내지 도 5를 통해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상자(1)를 설명한다. 도 1은 일 예시에 따른 포장용 상자(1)의 전개도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도 2 내지 도5는 일 예시에 따른 포장용 상자(1)가 조립된 형태를 각각 정면, 후면, 측면, 밑면에서 바라본 것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상자(1)는 기본적으로 육면체 형상의 조립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포장용 상자(1)는 다양한 형상의 육면체 형태일 수 있으며 다양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장용 상자(1)는 정육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높이가 긴 직육면체의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도면과 같이 가로의 길이가 세로보다 긴 일반적인 박스의 형상일 수도 있다. 그러나 도면에 나타난 포장용 상자(1)의 형태는 발명의 설명을 돕기 위한 일 예시에 불과하며, 포장용 상자(1)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포장용 상자(1)는 4개의 면을 포함하는 측면부(10), 측면부(10)와 연결되는 하면(111), 측면부(10)와 연결되는 제1상면(121) 및 제2상면(122), 상면들에 형성되어 제1상면(121)과 제2상면(122)을 서로 결합하는 로킹부(13) 및 로킹부(13)를 제1상면(121)으로부터 분리하는 절취선(14)을 기본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측면부(10)는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절곡선에 의해 절곡되는 4개의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4개의 면들은 인접하는 면들과 직각을 가지도록 절곡되어 상자의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 각각의 면들을 편의상 제1면(101), 제2면(102), 제3면(103) 및 제4면(104)이라 지칭한다. 각 면의 명칭은 4개의 면을 한정하지 않으며, 명칭에 나타난 순서가 각 면의 연결관계를 한정하거나 고유의 특징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즉, 도면에서는 제1면(101)의 양측으로 제3면(103)과 제4면(104)이 연결되었으나, 제1면(101)과 제2면(102)의 위치가 바뀌어도 무방하다.
또한, 도면에 나타난 전개도에서는 제2면(102)과 제4면(104)이 측면부(10)의 양 끝에 배치되며, 제2면(102)과 제4면(104)이 연결됨으로써, 포장용 상자(1)의 측면부(10)가 조립되지만, 제 4면과 제1면(101)이 서로 연결되거나, 제1면(101)과 제3면(103)이 서로 연결되는 형태도 물론 가능하다.
제1면(101) 내지 제4면(104)은 사각형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면(101)은 가로길이가 세로길이보다 큰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반면, 세로길이가 가로길이보다 큰 형태도 물론 가능하다.
제2면(102)은 제1면(101)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제1면(101)에 대향 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포장용 상자(1)가 조립되면 제2면(102)은 제1면(101)과 마주보도록 배치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제3면(103)은 제1면(101)과 제2면(102)을 연결할 수 있으며, 제4면(104)은 제1면(101)과 제2면(102)을 연결하면(111)서 제3면(103)과 마주보도록 배치가 될 수 있다.
또한, 측면부(10)의 길이방향 끝에는 측면부(10)가 조립 가능하도록 측면접합부(105)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면(102)의 우측에는 측면접합부(105)가 연장 형성되고, 이를 통해 제4면(104)과 접합됨으로써 포장용 상자(1)의 측면부(10)가 조립될 수 있다.
측면부(10)의 상부에는 제1상면(121) 및 제2상면(122)이 연장형성 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상면(121) 및 제2상면(122)은 포장용 상자(1)가 조립되는 경우에 서로 접해 포장용 상자(1)의 상부를 덮을 수 있다.
제1상면(121) 및 제2상면(122)은 절곡선을 통해 절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상면 및 제2상면(122)이 절곡되는 경우에는 측면부(10)와 직각의 각을 이룸으로써, 포장용 상자(1)의 상부를 덮을 수 있다.
제1상면(121)은 4개의 측면 중 어느 하나에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상면(121)은 제1면(101)의 상부에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상면(121)의 가로길이는 제1면(101)의 가로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
제2상면(122)은 제1상면(121)과 대응 되도록 4개의 측면 중 어느 하나에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상면(121)이 제1면(101)의 상부에 연결되는 경우에는, 제2상면(122)은 제2면(102)의 상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상면(122)의 가로길이는 제2상면(122)의 가로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
제1상면(121)과 제2상면(122)에는 서로가 결속시키도록 로킹부(13)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로킹부(13)는 제1상면(121)에 형성된 끼움부(131)와 제2상면(122)에 형성된 끼움홀(132)을 포함할 수 있다.
*끼움부(131)는 제1상면(121)의 외측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끼움부(131)는 제1상면(121)과 연결되는 지점을 기준으로 폭이 넓어지고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돔(DOME)형상일 수 있다.
*끼움홀(132)은 제2상면(122)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끼움홀(132)은 끼움부(131)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끼움부(131)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상면(121)과 제2상면(122)이 절곡하여 서로 접하는 경우, 끼움홀(132)이 삽입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끼움홀(132)의 형상은 끼움부(131)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끼움부(131)이 돔(DOME)형상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끼움홀(132)은 끼움부(131)의 연결부에 대응하는 폭만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끼움홀(132)의 양쪽에는, 끼움부(131)의 하부 폭만큼에 대응하는 길이로 절취선(14)이 형성되어, 끼움부(131)가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을 가짐으로써, 끼움부(131)를 끼움홀(132)에 삽입하는 것은 용이하게 하되, 끼움부(131)를 끼움홀(132)에서 빼내는 것은 절취선(14)의 손상을 가져오도록 하여, 사용자가 상자가 중간에 개봉되었는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끼움부(131)와 끼움홀(132)은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끼움부(131)는 제1상면(121)의 외측에 2개가 나란히 형성될 수 있으며, 제2상면(122)에는 이에 대응하는 2개의 끼움홀(132)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끼움부(131)와 끼움홀(132)이 마련됨으로써, 제1상면(121)과 제2상면(122)의 결속을 더욱 단단히 하고, 끼움홀(132)에 삽입된 끼움부(131)를 빼내는 것을 어렵게 할 수 있다.
제1상면(121)에는 절취선(14)이 형성될 수 있다.
절취선(14)은 제1상면(121)위에 절취면(141)을 형성함으로써, 제1상면(121)을 측면부(10)와 연결되는 부위와 절취면(141)으로 분획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절취선(14)을 따라 절취면(141)을 제1상면(121)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절취선(14)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절취선(14)은 절취면(141) 상에 끼움부(131)와 연결되는 면이 포함되도록 하여, 절취면(141)을 따라 제1상면(121)을 절취할 때, 끼움부(131)가 제1상면(121)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상면(121)에 2개의 끼움부(131)가 형성된 경우, 절취선(14)은 제1끼움부(131a)의 좌측에 해당하는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이어지고, 다시 제2끼움부(131b)의 우측에 해당하는 외측으로 이어짐으로써, 절취면(141)상에 끼움부(131)가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비록, 도면상에는 절취면(141)이 역삼각형 형상을 가지도록 도시되었으나, 이는 일 예시에 불과하며 절취면(141)의 형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절취면(141)이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거나, 반원의 형상을 가지도록 절취선(14)이 형성되는 것도 당연히 가능하다.
사용자는 절취선(14)을 따라 절취면(141)을 분리함으로써, 가위나 칼과 같은 별도의 장비 없이도, 로킹부(13)를 통해 단단하게 결속된 제1상면(121)과 제2상면(122)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측면부(10)의 상부에는 제1지지날개(123) 및 제2지지날개(12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제1지지날개(123) 및 제2지지날개(124)는 제1상면(121) 및 제2상면(122)이 결속되는 경우, 상부에서 압력을 가해도 제1상면(121) 및 제2상면(122)이 상자 내부로 꺾이는 것을 방지하여, 결속이 단단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제1지지날개(123) 및 제2지지날개(124)는 제1상면(121) 및 제2상면(122)이 연장 형성되지 않은 측면부(10)의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지지날개(123)는 제4면(104)의 상부에 연장 형성되고, 제2지지날개(124)는 제3면(103)의 상부에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지지날개는 제1상면(121)과 제2상면(122)이 결속하는 경우, 상면들의 양측을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상면(121) 및 제2상면(122)의 결속을 단단하게 지지하기 위해 넓은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지지날개(123)는 끼움홀(132)에 끼움부(131)가 삽입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한쪽방향만 돌출되는 '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돌출된 부분은 제2상면(122)의 중심까지 연장되어 상부면을 지지하고, 돌출되지 않은 부분은 삽입홀이 형성되는 지점까지 연장되어 상부면을 지지할 수 있다.
제2지지날개(124)는 제1지지날개(123)와 대응하도록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부면을 지지할 수 있다.
제1지지날개(123)와 제2지지날개(124)에는 절곡가능하도록 돌출된 고정부(151a, 151b)가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2상부면에는 고정부(151)가 삽입 가능하도록 고정홀(152)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고정부(151a)는 제1지지날개(123)의 중간지점에 돌출 형성되고, 제1지지날개(123)와 제1고정부(151a)의 연결지점에는 절곡가능하도록 절곡선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지지날개(124)에는 제1고정부(151a)에 대응하도록 제2고정부(151b)가 형성될 수 있다.
제2상면(122)에는 고정부(151)가 삽입가능하도록 고정홀(152)이 형성되며, 제2상면(122)이 제1지지날개(123) 및 제2지지날개(124)와 겹치도록 절곡되는 경우, 제1고정부(151) 및 제2고정부(151)는 고정홀(152)에 삽입되어, 180도로 절곡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지지날개(123) 및 제2지지날개(124)는 제2상면(122)과 고정됨으로써, 제2상면(122)이 상자 내부로 절곡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1상면(121)과 더욱 견고하게 결속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측면부(10)의 하부에는 절곡 가능하도록 하면(111)이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하면(111)은 측면부(10)에 포함되는 4개의 면 중 어느 하나에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면(111)은 제1면(101)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하면(111)의 일측에는 하부끼움부(115a)가 형성되고, 측면부(10)의 하부측에는 이에 대응하는 하부끼움홀(115b)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면(111)이 제1면(101)의 하부에 연결되고, 연결면의 반대측에 하부끼움부(115a)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제2면(102)에 하부끼움부(115a)에 대응하는 하부끼움홀(115b)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하면(111)이 절곡되어 하부끼움부(115a)가 하부끼움홀(115b)에 삽입되어 고정됨에 따라, 하면(111)이 측면부(10)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하부끼움부(115a)와 하부끼움홀(115b)은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즉, 도면에서는 하면(111)의 일측에 하나의 하부끼움부(115a)가 마련되었으나, 2개 이상의 하부끼움부(115a)가 돌출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는 2개 이상의 하부끼움홀(115b)이 형성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측면부(10)에는 하면(111)의 결합을 지지하도록 하부지지면(112)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면(102)의 아래에 하부끼움홀(115b)이 형성되고, 하부끼움부(115a)가 하부끼움홀(115b)에 삽입되어 하면(111)이 제2면(102)의 아래에 고정되는 경우, 하면(111)의 고정을 지지하도록 제2면(102)의 아래측에 하부지지면(112)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하부지지면(112)이 하면(111)의 고정을 지지함으로써, 하부끼움부(115a)가 하부끼움홀(115b)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측면부(10)에는 하부지지면(112)과 하면(111)의 결합을 지지하도록 제1하부날개(113) 및 제2하부날개(114)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하부날개(113) 및 제2하부날개(114)는 제3면(103) 및 제4면(104)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어, 하면(111)과 하부지지면(112)을 지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하부날개(113)와 제2하부날개(114)는 접합부위가 형성되어, 하면(111) 및 하부지지면(112)을 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111) 제1하부날개(113)는 하부지지면(112)과 접합하고, 제2하부날개(114)는 하면(111)과 접합하여 포장용 상자(1)를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제1하부날개(113)와 제2하부날개(114)에는 접착제를 부착하기 용이하도록 절곡선이 형성되어, 하면(111) 및 하부지지면(112)과 접하는 부분에만 접착제를 부착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 6내지 도8을 통해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상자(1)가 밀봉되고 개봉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6은 포장용 상자(1)가 조립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7은 로킹부(13)를 통한 상자의 밀봉을 도시하며, 도8은 절취선(14)을 통한 상자의 개봉을 도시한다.
포장용 상자(1)는 일체형으로 구성되며, 측면부(10)는 측면접합부(105)를 통한 접합으로 조립되고, 하면(111)은 하부끼움부(115a)는 하부끼움홀(115b)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제1하부날개(113) 및 제2하부날개(114)의 접합을 통해 하면(111) 및 하부지지면(112)이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다.
먼저 도6을 참조하면(111), 제1지지날개(123) 및 제2지지날개(124)가 절곡되고, 제2상면(122)이 절곡되어 제1지지날개(123) 및 제2지지날개(124) 위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상면(122)은 포장용 상자(1)의 상부공간을 덮을 수 있다.
이 경우, 제1고정부(151) 및 제2고정부(151)는 제2상면(122)에 형성된 고정홀(152)에 삽입되고, 180도만큼 절곡되어, 제1지지날개(123)와 제2지지날개(124)를 제2상면(122)에 고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7을 참조하면(111), 제1상면(121)이 제2면(102)위에 겹치도록 절곡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상면(121)에 형성된 끼움부(131)는 제2상면(122)에 형성된 끼움홀(132)에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끼움부(131)는 제1끼움홀(132)에 삽입되고, 제2끼움부(131)는 제2끼움홀(132)에 삽입되어 제1면(101)과 제2면(102)을 결속시킬 수 있다.
끼움부(131)와 끼움홀(132)을 통한 결속으로 인하여, 포장용 상자(1)는 밀봉되게 되며, 제1지지날개(123) 및 제2지지날개(124)가 제2상면(122)을 단단하게 지지함으로써, 제1상면(121)과 제2상면(122)의 공간이 좁아져서, 끼움부(131)가 제1상면(121)과 제2상면(122) 사이에서 단단하게 고정되게 된다.
즉, 제1지지날개(123) 및 제2지지날개(124)는 제2상면(122)을 지지하고, 제2상면(122)은 제1상면(121)을 지지함으로써, 끼움홀(132)에 끼워진 끼움부(131)를 제1상면(121)과 제2상면(122)이 상하측에서 압박하여, 제1상면(121)과 제2상면(122)의 결속이 풀리는 것을 방지한다.
도 8을 참조하면(111), 포장용 상자(1)를 개봉하기 위해서 제1상면(121)에 형성된 절취면(141)을 분리할 수 있다. 즉, 끼움부(131)가 끼움홀(132)에 삽입된 경우, 절취선(14)을 따라서 절취면(141)을 제1상면(121)으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제1상면(121)을 끼움부(131)와 분리할 수 있다.
결국, 밀봉된 상자를 개봉하기 위해서는 상자의 손상이 불가피하므로, 절취선(14)을 따라서 상자의 개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상자(1)는 일체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별도의 테이핑이 없어도 간단한 접합을 통해 용이하게 조립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일체형으로 형성되므로, 복잡한 공정이 없이도 간단하게 포장용 상자(1)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단순한 공정만으로 상자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포장용 상자(1)의 로킹부(13)와 지지날개 및 고정부(151)를 통하여 상자를 용이하게 밀봉할 수 있게 하며, 제1상면(121) 및 제2상면(122)의 결속을 단단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중간에 상자가 개봉되었는지 여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절취선(14)을 따라서 상자의 결속을 해제함으로써, 사용자가 별도의 도구가 없어도 상자를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 예들 및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 포장용 상자
10: 측면부
101: 제1면
102: 제2면
103: 제3면
104: 제4면
111: 하면
115a: 하부끼움부
115b: 하부끼움홀
121: 제1상면
122: 제2상면
123: 제1지지날개
124: 제2지지날개
13: 로킹부
131: 끼움부
132: 끼움홀
14: 절취선
141: 절취면
151: 고정부
152: 고정홀

Claims (12)

  1. 절곡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면, 제2면, 제3면, 제4면을 포함하는 측면부;
    상기 측면부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는 하면;
    상기 측면부의 상부에 연장 형성되는 제1상면 및 제2상면;
    상기 상면들에 형성되어, 상기 상면들을 서로 결합시키는 로킹부; 및
    상기 제1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로킹부를 상기 제1상면으로부터 분리하는 절취선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부의 상부에는 상기 제1상면 및 상기 제2상면의 결합을 지지하도록 제1지지날개 및 제2지지날개가 더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지지날개 및 상기 제2지지날개에는 절곡가능하도록 고정부가 각각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상면에는 상기 고정부가 삽입되어 절곡되도록 고정홀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홀에 삽입, 절곡되어 상기 제1지지날개 및 상기 제2지지날개를 상기 제2상면과 고정시키는 포장용 상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부는,
    상기 제1상면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끼움부; 및
    상기 제2상면에 관통 형성되고, 상기 끼움부가 삽입하는 끼움홀을 포함하는 포장용 상자.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는 상기 제1상면의 일측에 복수개가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끼움홀은 이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2상면에 복수개가 형성되는 포장용 상자.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선은 상기 제1상면의 외측과 내측을 연결하는 형상으로 절취면을 형성하고,
    상기 절취면은 상기 끼움부가 상기 제1상면과 연결되는 부위를 포함하여,
    상기 절취면을 상기 제1상면에서 분리함으로써, 상기 제1상면과 상기 제2상면의 결합을 해제하는 포장용 상자.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면의 일측에는 하부끼움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측면부에는 상기 하부끼움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하부끼움홀과,
    상기 하부끼움홀의 아래로 연장되어 상기 하면과 겹침으로써, 상기 하면의 고정을 지지하는 하부지지면이 형성되는 포장용 상자.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의 하부에는 상기 하면과 상기 하부지지면의 겸침을 지지하는 제1하부날개 및 제2하부날개가 마련되는 포장용 상자.
  9. 하면;
    상기 하면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면;
    상기 제1면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제2면;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을 연결하는 제3면;
    상기 제3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을 연결하는 제4면;
    상기 제1면의 상부와 연결되고 상기 하면과 마주보는 제1상면;
    상기 제2면의 상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1면과 겹치는 제2상면;
    상기 제1상면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끼움부;
    상기 제2상면에 관통 형성되고, 상기 끼움부가 삽입되는 끼움홀; 및
    상기 제1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끼움부를 상기 제1상면에서 분리하도록 하는 절취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3면의 상부에는 일부가 돌출되는 'ㄴ'형상의 제1지지날개가 연결되고,
    상기 제4면의 상부에는 제1지지날개와 대칭되는 형상의 제2지지날개가 연결되며,
    상기 제1지지날개 및 제2지지날개는 상기 제1상면 및 제2상면의 결합을 지지하고,
    상기 제1지지날개 및 제2지지날개의 일측에는 절곡하도록 고정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2상면에는 상기 고정부에 대응하는 고정홀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어 절곡됨으로써, 상기 제1지지날개 및 제2지지날개를 상기 제2상면과 고정시키는 포장용 상자.
  10. 삭제
  11. 삭제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하면의 일측에는 하부끼움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면에는 상기 하부끼움부가 삽입되어 상기 하면을 고정하도록 하부끼움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2면의 하부에는 상기 하면의 고정을 지지하는 하부지지면이 연결되고,
    상기 제3면의 하부에는 절곡선이 형성된 제1하부날개가 형성되고,
    상기 제4면의 하부에는 절곡선이 형성된 제2하부날개가 형성되며,
    상기 제1하부날개 및 제2하부날개는 상기 하면 및 상기 하부지지면의 결합을 지지하는 포장용 상자.
KR1020160065736A 2016-05-27 2016-05-27 포장용 상자 KR1018378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5736A KR101837834B1 (ko) 2016-05-27 2016-05-27 포장용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5736A KR101837834B1 (ko) 2016-05-27 2016-05-27 포장용 상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4056A KR20170134056A (ko) 2017-12-06
KR101837834B1 true KR101837834B1 (ko) 2018-03-13

Family

ID=60922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5736A KR101837834B1 (ko) 2016-05-27 2016-05-27 포장용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78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2299B1 (ko) * 2016-11-17 2019-08-30 이승곤 보안성이 강화된 포장상자
KR102022026B1 (ko) * 2018-04-06 2019-09-18 (주)신원인팩 개봉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포장용 상자
KR101977144B1 (ko) * 2018-12-28 2019-05-10 최미숙 일체형 내부 받침판을 구비한 포장박스
KR102184292B1 (ko) * 2019-05-27 2020-11-30 황규찬 포장상자의 바닥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상자
KR102149120B1 (ko) * 2020-02-11 2020-08-27 권삼남 테이프리스 타입 친환경 포장상자
KR102627225B1 (ko) * 2023-01-10 2024-01-18 황국희 포장박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76149A (ja) * 2004-12-22 2006-07-06 The Pack Corp 再封緘機能付き包装箱
JP2013184720A (ja) 2012-03-07 2013-09-19 Ajinomoto Co Inc 宅配便用商品運搬箱
JP2015030529A (ja) 2013-08-06 2015-02-16 アスクル株式会社 通販箱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76149A (ja) * 2004-12-22 2006-07-06 The Pack Corp 再封緘機能付き包装箱
JP2013184720A (ja) 2012-03-07 2013-09-19 Ajinomoto Co Inc 宅配便用商品運搬箱
JP2015030529A (ja) 2013-08-06 2015-02-16 アスクル株式会社 通販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4056A (ko) 2017-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7834B1 (ko) 포장용 상자
US20160137335A1 (en) Reusable container
JP2016113212A (ja) 包装箱
KR20100109830A (ko) 손잡이 일체형 포장상자
KR101623971B1 (ko) 접이식 대형포장박스
JP6912286B2 (ja) ロック構造および包装箱
JP6501875B2 (ja) 包装体
JP5568430B2 (ja) 底部材の連結構造
JP6799911B2 (ja) 包装箱
JP2018127255A (ja) 包装箱
JP7444598B2 (ja) 包装箱
JP3182472U (ja) 厚紙製包装箱
US8220627B2 (en) Bandless cabinet packaging design
JP3141543U (ja) 組立て式箱
JP2005289490A (ja) 段ボール製梱包箱装置
JP6085280B2 (ja) トレー用連結具
JP5200082B2 (ja) 切り花用包装箱及び切り花支持部材
JP2014069839A (ja) 包装箱
JP2014069838A (ja) 包装箱
JP7273526B2 (ja) 包装箱
JP6897288B2 (ja) 花卉用箱
JP3190092U (ja) シートパレット
JP5743628B2 (ja) 包装体
JP6919532B2 (ja) 花卉用包装箱
JP2013170004A (ja) 梱包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