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4138B1 - Neck band type portable blower, and blowing system using the blower - Google Patents
Neck band type portable blower, and blowing system using the blow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34138B1 KR101834138B1 KR1020170149374A KR20170149374A KR101834138B1 KR 101834138 B1 KR101834138 B1 KR 101834138B1 KR 1020170149374 A KR1020170149374 A KR 1020170149374A KR 20170149374 A KR20170149374 A KR 20170149374A KR 101834138 B1 KR101834138 B1 KR 10183413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blowing
- driving
- user
- ai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4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10000003491 Skin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3570 ai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8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2304 perfum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10000004243 Sweat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781 deodor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205 fragr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28327 secr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0988 Bone and Bones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80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418 data m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2066 L-histidyl group Chemical group [H]N1C([H])=NC(C([H])([H])[C@](C(=O)[*])([H])N([H])[H])=C1[H]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79 Pelti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080 ambient ai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397 blin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45 exerci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7525 heat dissip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51 modify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7/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7/001—Testing thereof; Determination or simulation of flow characteristics; Stall or surge detection, e.g. condition monitor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7/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7/004—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by varying driving spee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1/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1/02—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21/00—Details of 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321/02—Details of 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s;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s
- F25B2321/021—Control thereof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넥밴드형 휴대용 송풍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송풍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목에 착용하여 공기를 분사하는 기술이 개시된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ck band portable air blowing apparatus and a blowing system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chnique for blowing air by wearing on a user's neck.
휴대용 선풍기는 휴대할 수 있도록 소형으로 제작된 것이지만 휴대용 선풍기를 수납할 수 있는 가방이 없이 외출하는 경우에는 불편하다. 바지 주머니나 상의 주머니에 수납되기에는 그 부피가 커서 손으로 잡고 다닐 수밖에 없다. 따라서 분실되는 경우가 잦았다. 또한 자전거를 타거나 조깅과 같이 운동을 하는 경우에는 오랜 시간 동안 손으로 잡고 있거나 주머니에 수납하기에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The portable electric fan is manufactured to be small so that it can be carried, but it is inconvenient to go out without a bag that can store the portable electric fan. In order to be stored in the pants pocket or the pouch of the pants, the volume is so large that it can only be carried by hand. Therefore, it was frequently lost. In addition, when exercising, such as riding a bicycle or jogging,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inconvenient to hold it by hand for a long time or to store it in a pocket.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기술 중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46609호(2014년 10월 7일 공고)는 "목걸이형 선풍기"가 제안되었다. 이는 튜브형태를 가지며,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바람배출구가 형성되는 곡선형의 목걸이부; 및 목걸이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팬이 설치되어 목걸이부의 내부로 바람을 압송하는 바람발생부를 포함하며, 바람발생부를 통해 유입된 바람은 바람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o solve this problem, Korean Patent No. 10-1446609 (published on October 7, 2014) of the related art has proposed a "neck-mounted fan. &Quot; This is a tube-shaped, curved necklace portion in which a plurality of wind outlets ar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wind generating part coupled to the necklace part and having a fan installed therein for feeding the wind to the inside of the necklace part, and the wind introduced through the wind generating part is discharged through the wind discharge port.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인 "목걸이형 선풍기"는 바람배출구의 배출방향이 제한되어 있어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 특성에 맞게 바람의 방향을 바꿀 수 없다는 기술적 한계가 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necklace type fan" has a technical limitation that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wind discharging port is limited, and the user can not change the wind direction according to his or her body characteristics.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의 목에 착용하면서 다양한 각도로 공기를 분사할 수 있는 넥밴드형 휴대용 송풍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 neck-band type portable fan capable of spraying air at various angles while being worn on a user's neck.
또한, 열전소자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하여 방열 또는 흡열을 하여 냉난방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넥밴드형 휴대용 송풍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neck-band type portable fan unit capable of providing a cooling and heating function by contacting a skin of a user using a thermoelectric element to dissipate heat or absorb heat.
또한, 이동정보를 이용하여 송풍량, 송풍세기를 가변할 수 있는 넥밴드형 휴대용 송풍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table fan unit of neck-band type capable of varying the amount of wind blowing and the intensity of wind blowing using movement information.
또한, 사용자의 온도, 습도, 땀분비량에 따라 수분이 부족한 경우 이를 알람하여 사용자의 탈진을 예방할 수 있는 넥밴드형 휴대용 송풍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eck-band-type portable ventilator capable of preventing a user's exhaustion by alarming the user when the amount of moisture is insufficient depending on the temperature, humidity, and amount of perspiration.
또한, 휴대용 송풍장치를 거치대와 결합하여 스탠드형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휴대용 송풍장치를 거치대와 분리하여 휴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송풍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ventilation system that can be used as a stand type in combination with a portable air blowing device and can be used as a portable type air conditioner separated from a crad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넥밴드형 휴대용 송풍장치는, 사용자의 목에 착용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와 회동하도록 연결되어 공기를 분사하는 송풍부와, 상기 송풍부의 구동세기, 구동방향 및 구동시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구동조건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neck band type portable fa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part to be worn on a neck of a user, a blowing part connected to the body part so as to rotate to blow air, Direction and a driving time of the driving unit.
또한,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하여 열을 흡수하거나 방출하는 전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기온 또는 습도 조건에 따라 상기 송풍부와 상기 전열부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further include a heat transfer unit formed at one side of the body to absorb or discharge heat in contact with the skin of the user, and the controller selectively drives the blowing unit and the heat transfer uni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or humidity condition .
또한, 상기 몸체부가 이동하는 속도, 가속도 및 기울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이동정보를 획득하는 이동정보 획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정보에 따라 상기 송풍부의 구동조건을 가변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movement information obtaining unit that obtains movement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a speed, an acceleration, and a slope of the body,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drive condition of the blower unit in a variable manner can do.
또한, 상기 사용자에 대한 피부의 온도, 습도 및 땀의 분비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생체정보를 획득하는 생체정보 획득부와, 소리 또는 문자 형태로 알람신호를 출력하는 알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체정보에 따라 기 설정된 수분량 미만인 경우 상기 알람신호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A biometric information acquiring unit for acquiring biometric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a temperature, a humidity, and a secretion amount of sweat for the user; and an alarm unit for outputting an alarm signal in the form of sound or letter, The control unit may output the alarm signal when the amount of moisture is less than a preset moisture amount according to the biometric inform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넥밴드형 휴대용 송풍장치를 이용한 송풍시스템은, 사용자의 목에 착용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와 회동하도록 연결되어 공기를 분사하는 송풍부와, 상기 송풍부의 구동세기, 구동방향 및 구동시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구동조건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넥밴드형 휴대용 송풍장치와, 상기 몸체부를 지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거치시키며, 상기 몸체부가 전극과 접속되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몸체부로 주입시켜 상기 몸체부의 외표면을 따라 분사되도록 하는 공기주입부를 포함하는 거치장치를 포함한다.A blowing system using a neck-band portable air blow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part to be worn on a neck of a user, a blowing part connected to rotate the body part to blow air,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driving conditions including at least one of a driving intensity, a driving direction, and a driving time of the body,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driving condition of the body, And an air injection unit for injecting air into the body part and injecting air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part.
이에 따라, 사용자의 목에 착용하면서 다양한 각도로 공기를 분사할 수 있다.Accordingly, air can be sprayed at various angles while wearing the user's neck.
또한, 열전소자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하여 방열 또는 흡열을 하여 냉난방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oling / heating function by making use of a thermoelectric element to contact the skin of the user to radiate or absorb heat.
또한, 이동정보를 이용하여 송풍량, 송풍세기를 가변할 수 있다.Also, the amount of wind blowing and the intensity of wind blowing can be varied by using the movement information.
또한, 사용자의 온도, 습도, 땀분비량에 따라 수분이 부족한 경우 이를 알람하여 사용자의 탈진을 예방할 수 있다.In addition, if moisture is insufficient depending on the temperature, humidity, and secretion amount of sweat of the user, the user can be prevented from draining by alarming.
또한, 휴대용 송풍장치를 거치대와 결합하여 스탠드형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휴대용 송풍장치를 거치대와 분리하여 휴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rtable air blowing device can be used as a stand type in combination with a cradle, and the portable air blowing device can be separated from the cradle for portable us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넥밴드형 휴대용 송풍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넥밴드형 휴대용 송풍장치의 송풍부의 변형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른 휴대용 송풍장치와 송풍부와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넥밴드형 휴대용 송풍장치가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따른 넥밴드형 휴대용 송풍장치가 분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따른 넥밴드형 휴대용 송풍장치를 이용한 송풍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6에 따른 송풍시스템 중 거치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neck band type portable fa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blowing unit of the neck band-type portable fan apparatus according to FIG. 1;
FIG. 3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portable fan unit and the blowing unit according to FIG. 2;
Fig. 4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at the neck band type portable fan according to Fig. 1 further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Fig.
Fig. 5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at the neck band type portable fan according to Fig. 1 further includes a jetting part. Fig.
FIG. 6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ventilation system using the neck band-type portable ventilator of FIG. 1;
Fig. 7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cradle of the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Fig. 6;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되는 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terms used are terms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in the embodiments, and the meaning of the terms may vary depending on the user, the intention or the precedent of the operator, and the like. Therefore, the meaning of the terms used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is defined according to the definition when specifically defined in this specification, and unless otherwise defined, it should be interpreted in a sense generally recogniz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넥밴드형 휴대용 송풍장치의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neck band type portable fa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넥밴드형 휴대용 송풍장치(100)는 몸체부(110), 송풍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neck-band portable air blow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110, a blower 120, and a controller 130.
몸체부(110)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된다. 몸체부(110)는 사용자의 목에 착용되는 밴드 형태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몸체부(110)는 'U'자 형태의 굴곡되어 형성되며, 목에 착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부(110)의 내부에는 전원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전원을 충전시킬 수 있다. 몸체부(110)는 힌지 결합에 의해 접혀지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몸체부(110)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후술하는 송풍부(120)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body portion 110 is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The body portion 110 is formed in the form of a band to be worn on the user's neck. For example, it is preferable that the body 110 is formed to be bent in a 'U' shape, and is formed to have an elastic force so as to be fixed on the neck. A power supply unit (not shown) is formed inside the body 110 to charge the power source. The body portion 110 may be formed to be folded by hinge coupling. At one or more sides of the body portion 110, at least one blow-in portion 120 described later may be formed.
또한, 몸체부(110)의 일측에는 통공(111)이 형성될 수 있다. 통공(111)은 몸체부(110)의 내부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송풍부(120)를 통해 몸체부(110) 내부로 공기가 이동하는 경우 통공(111)으로 공기가 배출된다. 이 경우, 몸체부(110) 내부는 공기가 이동하는 유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공(111)은 몸체부(110) 중 목 주변에 여러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10)는 'U'자 형태의 굴곡되어진 부분의 단면은 베르누이 원리가 적용되도록 에어포일(Airfoil)의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 몸체부(110)의 단면의 좁은 틈을 통해 공기가 배출되면서 기압차이를 발생시킬 수 있다.A through hole 111 may be formed at one side of the body 110. The through hole 111 serves to discharge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side of the body 110. For example, when the air moves into the body 110 through the airflow 120, air is exhausted to the air hole 111.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a passage through which the air moves is formed inside the body 110. The through-holes 111 may be formed in the body around the neck. In addition, the body portion 110 is formed in the shape of an airfoil such that the cross section of the U-shaped bent portion is applied to the Bernoulli principle. In this case, air may be discharged through a narrow gap of the cross section of the body portion 110 to generate a pressure difference.
송풍부(120)는 몸체부(110)와 회동하도록 연결되어 공기를 분사한다. 송풍부(120)는 몸체부(110)의 양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송풍부(120)는 몸체부(110)와 볼베어링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자가 자신에게 맞는 방향으로 상하좌우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송풍부(120)는 팬(도시하지 않음)과 모터(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흡기구(121)를 통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배기구(122)로 배출한다. 송풍부(120)는 모터의 회전속도에 따라 풍량 및 풍속이 가변된다. 송풍부(120)는 흡기구(121) 또는 배기구(122)에 필터(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미세먼지를 차단할 수 있다.The airflow 120 is pivotally connected to the body 110 to blow air. The blowing part 120 may be formed at both ends of the body part 110. The blowing part 120 is coupled with the body part 110 by a ball bearing so that the user can change the angle in the direction corresponding to his / her own. The blowing unit 120 sucks outside air through an air inlet 121 using a fan (not shown) and a motor (not shown) and discharges the air to the air outlet 122. The airflow 120 is variable in air volume and wind speed according to the rotation speed of the motor. The blowing unit 120 may filter a fine dust by forming a filter (not shown) on the suction port 121 or the exhaust port 122.
도 2는 도 1에 따른 넥밴드형 휴대용 송풍장치의 송풍부의 변형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따른 휴대용 송풍장치와 송풍부와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FIG. 2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blowing unit of the neck band type portable fan apparatus according to FIG. 1, and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nection relation between the portable fan apparatus and the blowing unit according to FIG. Fig.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송풍부(120)는 몸체부(110)의 양단에 다양한 각도로 회동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송풍부(120)의 배기구에는 종이 또는 필름 형태의 향기패치(194)가 형성되어 공기가 분사되면서 향기를 내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쾌적함을 제공할 수 있다. 송풍부(120)는 몸체부(110)와 도 3의 (a)와 같이 와이어(123-1)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123)는 몸체부(110)와 연결되며 내부에 자성체가 형성되어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송풍부(120)는 와이어(123-1)가 몸체부(110)로부터 인출되면서 사용자는 송풍부(120)를 몸체부(110)의 구속없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2 and 3, the blowing part 120 may be formed to have a structure capable of rotating at both ends of the body part 110 at various angles. A paper or film type perfume patch 194 is formed in the air exhaust port of the air supply part 120 so that the air is sprayed so as to provide a perfume to the user. The blowing part 120 may be connected to the body part 110 through a wire 123-1 as shown in FIG. 3 (a). The connection part 123 is connected to the body part 110 and a magnetic body is formed therein to facilitate coupling. The user can freely use the airflow 120 without constraining the body 110 as the wire 123-1 is drawn out from the body 110. [
또한, 송풍부(120)는 몸체부(110)와 도 3의 (b)와 같이 무선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송풍부(120)는 접속부(124)를 통해 몸체부(110)와의 결합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속부(124)가 몸체부(110)로부터 이탈되는 경우 송풍부(120)는 내부전원(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구동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몸체부(110)의 위치와 각도에 구애받지 않고 송풍부(120)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The airflow 120 may be connected to the body 110 in a wireless manner as shown in FIG. 3 (b). In this case, the blowing unit 120 can recognize whether or not the blowing unit 120 is coupled to the body 110 through the connection unit 124. For example, when the connection part 124 is detached from the body part 110, the power supply part 120 is driven by an internal power supply (not shown). Accordingly, the user can freely use the airflow portion 120 regardless of the position and angle of the body portion 110.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송풍부(120)의 구동세기, 구동방향 및 구동시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구동조건을 제어한다.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스위치(131) 조작에 따라 송풍부(120)의 구동세기, 구동방향, 구동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송풍부(120)가 2개 이상으로 분리되어 구현되는 경우, 각 송풍부(120)의 구동세기, 구동방향, 구동시간을 서로 다르게 조절할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 1, the control unit 130 controls driving conditions including at least one of a driving intensity, a driving direction, and a driving time of the power supply unit 120. The control unit 130 may control the driving intensity, the driving direction, and the driving time of the power supply unit 120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witch 131 of the user. The control unit 130 may control the driving strength, the driving direction, and the driving time of each of the power supply units 120 when the power supply unit 120 is divided into two or more units.
또한, 제어부(130)는 전원부의 잔량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배터리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복수의 송풍부(120)가 형성되는 경우, 제어부(130)는 PWM(pulse width modulation) 방식으로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기 설정된 주기 내에서 일측 송풍부(120) 및 타측 송풍부(130)가 동시에 동작하는 구간 내에서 각 송풍부(130)에 대한 구동전력의 합이 최대전력 이하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는 복수의 송풍부(130)가 동시에 동작하는 경우 구동전력이 최대 허용전력을 초과하는 경우 타이밍을 나눠서 최대전력 이하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Also, the control unit 130 may acquire information on the remaining amount of the power source unit, and may control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of the battery. For example, when a plurality of power supply units 120 are formed, the controller 130 may control the operation timing by a pulse width modulation (PWM) method. For example, when the sum of the driving power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power sources 130 is within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in which the one power source 120 and the other power source 130 operate simultaneously, As shown in Fig. This is to keep the timing when the driving power exceeds the maximum allowable power divided by the maximum power in a case where the plurality of the blowing units 130 operate simultaneously.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넥밴드형 휴대용 송풍장치(100)는 전열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열부(140)는 몸체부(110)의 일측에 사용자의 목 주변의 피부와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전열부(140)는 전기에 의해 방열되거나 흡열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열부(140)는 펠티어 효과(Peltier effect)에 의해 전류의 흐름에 의해 방열 및 흡열 기능을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전열부(140)는 PTC(positivetemperature coefficient) 소재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온도 이상으로는 발열이 이뤄지지 않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the neck-band portable fa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heat transfer unit 140. The heat conductive part 14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body part 110 to contact the skin around the user's neck. The heat transfer portion 140 can be implemented to be heat dissipated or absorbed by electricity. For example, the heat transfer portion 140 may implement a heat dissipation and a heat absorption function by a current flow by a Peltier effect. In addition, the heat transfer portion 140 may be made of a PTC (positive-integer coefficient) material so that heat is not generated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or more.
이 경우, 제어부(130)는 기 설정된 기온 또는 습도 조건에 따라 송풍부(120)와 전열부(140)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주변 기온이 기 설정치보다 높은 경우 송풍부(120)로만 공기를 분사하거나, 송풍부(120)는 구동시키지 않고 전열부(140)를 구동시켜 흡열을 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주변 기온이 기 설정치보다 낮은 경우 송풍부(120)를 통해 공기를 분사하지 않고, 전열부(140)를 구동시켜 방열을 시킬 수 있다. 이는 기온에 따라 송풍부(120)와 전열부(140)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어부(130)는 송풍부(120)와 전열부(140)를 동시에 구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30)는 전원부의 충전용량에 따라 송풍부(120)와 전열부(140)를 선택적으로 가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30 may selectively drive the blowing unit 120 and the heat transfer unit 140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or humidity condition. For example, when the ambient temperature is higher than the predetermined value, the control unit 130 can blow air only to the blowing unit 120, or can drive the heat transfer unit 140 to heat the blowing unit 120 without driving the blowing unit 120 . If the ambient temperature is lower than the preset value, the control unit 130 may drive the heat transfer unit 140 to heat the air without blowing air through the airflow unit 120. This is to selectively drive the blowing unit 120 and the heat transfer unit 140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The control unit 130 may simultaneously drive the blowing unit 120 and the heat transfer unit 140. [ The control unit 130 may selectively control the power supply unit 120 and the heat transfer unit 140 according to the charging capacity of the power supply unit.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넥밴드형 휴대용 송풍장치(100)는 이동정보 획득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정보 획득부(150)는 몸체부(110)가 이동하는 속도, 가속도 및 기울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이동정보를 획득한다. 이동정보 획득부(150)는 몸체부(110)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로 구현할 수 있다. 이동정보 획득부(150)는 사용자가 넥밴드형 휴대용 송풍장치(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속도, 가속도 정보를 이용하여 도보, 자전거, 차량과 같은 이동유형을 파악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정보 획득부(15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하여 위치정보를 추가로 이용하여 이동유형을 파악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몸체부(110)가 차도에 위치한 경우 차량으로 이동중임을 판단할 수 있으며, 인도에 위치한 경우 자전거 또는 도보로 이동중으로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neck-band portable fa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movement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50. The movement information obtaining unit 150 obtains movement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a speed, an acceleration, and a slope at which the body 110 moves. The movement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50 may be implemented as a sensor for sensing the movement of the body 110. The movement information acquiring unit 150 can grasp the type of movement such as walking, bicycle, and vehicle using the speed and acceleration information while the user wears the neck-band portable air blowing apparatus 100. In this case, the movement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50 can also use the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to further determine the movement type by using the position information. For example, if the body 110 is located on the road,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moving. If the body 110 is located in the car,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moving on a bicycle or on foot.
이 경우, 제어부(130)는 이동정보에 따라 송풍부(120)의 구동조건을 가변적으로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몸체부(110)의 이동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송풍부(120)의 구동세기를 줄이거나 중단시킬 수 있다. 이는 몸체부(110)가 기 설정된 속도를 초과하여 이동하는 경우 사용자가 충분히 바람에 노출되기 때문에 송풍부(120)를 통해 공기를 분사할 필요성이 낮아지기 때문이다.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30 variably controls the driving condition of the blowing unit 120 according to the movement information. For example, when the moving speed of the body 110 exceeds a preset speed, the control unit 130 may reduce or stop the driving strength of the blowing unit 120. This is because when the body 110 moves beyond a predetermined speed, the user is sufficiently exposed to the wind, so that the need to inject air through the airflow 120 is reduced.
또한, 제어부(130)는 몸체부(110)가 설정된 기울기의 편차를 벗어나거나 일정시간 움직임편차가 없는 경우 수면상태로 판단하고 송풍부(120)를 가변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사용자가 운전중 또는 공부중에 수면상태로 판단되는 경우 송풍부(120)를 가변하여 수면상태를 벗어나도록 풍량이나 풍속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알람부(170)를 통해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알람부(170)는 디스플레이(171)를 통해 문자 형태의 경고신호를 표시하거나, 스피커(172)를 통해 소리형태의 알람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스피커(172)는 이어폰 형태로 형성되어 몸체부(110)로부터 롤링형 와이어로 연결되어 인입, 인출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30 may determine that the body 110 is in a sleep state when the body 110 deviates from a preset deviation or does not have a motion deviation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can variably control the airflow 120. For example, when the user determines that the user is sleeping while driving or studying, the control unit 130 may control the airflow rate or the wind speed to deviate from the sleeping state by varying the airflow 120.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30 can also output a warning signal through the alarm unit 170. The alarm unit 170 may display a character warning signal through the display 171 or may output an alarm signal of a sound type through the speaker 172. In this case, the speaker 172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n earphone, and may be connected to the body 110 through a rolling wire to be drawn in or drawn out.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넥밴드형 휴대용 송풍장치(100)는 생체정보 획득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생체정보 획득부(160)는 사용자에 대한 피부의 온도, 습도. 땀의 분비량, 맥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생체정보를 획득하는 센서이다. 생체정보는 사용자의 몸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정보이다. 예를 들어, 생체정보 중 땀의 분비량, 땀의 성분을 분석하여 건강상태를 파악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생체정보 획득부(160)는 기 설정된 시간 주기로 생체정보를 획득하고, 생체정보의 변화율을 생성한다.In addition, the neck-band portable fa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biometric information acquiring unit 160. The biometric information obtaining unit 160 obtains the skin temperature, humidity, The amount of secretion of sweat, and the pulse rate. The biometric information is information for grasping the user's body condition.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analyze the amount of perspiration and the component of perspiration in the biometric information to grasp the health state. The biometric information obtaining unit 160 obtains biometric information at a predetermined time period and generates a rate of change of the biometric information.
이 경우, 제어부(130)는 생체정보에 따라 기 설정된 수분량 미만인 경우 알람부(170)를 통해 알람신호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생체정보의 변화율이나, 누적량이 기 설정치를 초과하는 경우 사용자의 건강에 위험을 예방하기 위해 수분보충을 위한 알람신호를 알람부(170)를 통해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30 may output an alarm signal through the alarm unit 170 when the amount of water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moisture amount according to the biometric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130 may output an alarm signal for the water replenishment through the alarm unit 170 in order to prevent the risk to the health of the user when the rate of change of the biometric information or the accumulation amount exceeds the preset value.
또한, 제어부(130)는 생체정보에 따라 송풍부(120) 또는 전열부(140)의 동작을 가변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생체정보의 변화율이 기 설정치를 벗어나는 경우 사용자의 몸상태의 변화로 판단하고 송풍부(120) 또는 전열부(140)의 동작을 가변적으로 제어하거나 중단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넥밴드형 휴대용 송풍장치(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운동을 하는 경우 온도가 증가하고, 땀의 분비량이 늘면서 습도도 증가하게 된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송풍부(120)의 풍량, 풍속을 증가시키거나, 전열부(140)를 흡열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30 can variabl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airflow 120 or the heat transfer unit 140 according to the biometric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130 can variably control or stop the operation of the power supply unit 120 or the heat transfer unit 140 when the rate of change of the biometric information is out of the predetermined value. For example, when the user exercises while wearing the neck-band portable air blowing apparatus 100, the temperature increases and the amount of sweat increases, thereby increasing the humidity.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30 may increase the air flow rate and wind speed of the blower 120, or may operate the heat transfer unit 140 in the heat absorbing mode.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넥밴드형 휴대용 송풍장치(100)는 통신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80)는 3G, 4G, 5G,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블루투스(bluetooth)를 이용하여 외부의 사용자 단말과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180)는 외부의 사용자 단말을 통해 송풍부(120)의 구동세기, 구동방향 및 구동시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구동조건에 대한 제어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neck-band portable fa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180.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180 can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user terminal using 3G, 4G, 5G, WiFi, WiBro, and Bluetooth. The communication unit 180 may receive a control signal for a driving condi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a driving strength, a driving direction, and a driving time of the power supply unit 120 through an external user terminal.
또한, 통신부(180)는 외부의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여 스케줄정보를 획득한다. 스케줄정보는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별 일정정보이다. 통신부(180)는 사용자의 스케줄정보에 따라 알람신호를 출력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180 communicates with an external user terminal to acquire schedule information. The schedule information is schedule information set by the user. The communication unit 180 may output the alarm signal in accordance with the schedule information of the user.
또한, 통신부(180)는 스피커(172) 외에 마이크(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통화를 할 수도 있다. 또한, 스피커(172)는 골전도 방식의 이어폰으로 형성되어 골전도 통신이 가능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180 may make a call via a microphone (not shown) in addition to the speaker 172. [ In addition, the speaker 172 may be formed of an earphone of bone conduction type to enable bone conduction communication.
도 4는 도 1에 따른 넥밴드형 휴대용 송풍장치가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Fig. 4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at the neck band type portable fan according to Fig. 1 further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Fig.
도 4를 참조하면, 통신부(180)는 사용자의 음성을 녹음하여 사용자 단말(1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에서는 사용자의 음성정보를 데이터 마이닝하여 현재 사용자가 느끼는 온도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오늘 정말 덥다”라고 말하면 이를 넥밴드형 휴대용 송풍장치(100)로 전송하여 온도를 낮출 수 있도록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8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사용자의 SNS 계정에서의 대화를 데이터 마이닝하여 사용자가 날씨와 관련한 대화를 수집한 온도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communication unit 180 may record a user's voice and transmit the voice to the user terminal 10. The user terminal 10 can determine the temperature information that the current user feels by data mining the voice information of the user. For example, if the user says " it is really hot today ",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neck-band portable fan apparatus 100 to control the temperature to be lowered.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180 may receive the temperature information in which the user has collected the conversation related to the weather by data mining the conversation in the user's SNS account from the user terminal 10. [
이 경우, 제어부(130)는 스케줄정보에 따라 송풍부(120) 또는 전열부(140)의 구동조건을 가변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스케줄정보 중 실내, 실외 활동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실외인 경우와 실내인 경우를 구분하여 송풍부(120) 또는 전열부(140)의 구동조건을 가변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스케줄정보 중 운동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송풍부(120) 또는 전열부(140)의 구동조건을 가변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전송된 온도정보에 기초하여 송풍부(120) 또는 전열부(140)의 구동조건을 가변시킬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제공된 온도정보는 사용자가 현재 느끼는 온도에 대한 상태이며, 제어부(130)는 이를 반영하여 온도를 높이거나 온도를 낮출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30 can variably control the driving conditions of the power supply unit 120 or the heat transfer unit 140 according to the schedule information. For example, the controller 130 obtains information on indoor and outdoor activities in the schedule information, and divides the indoor and outdoor activities of the indoor and outdoor activities, can do.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30 can obtain information about the motion in the schedule information and variably control the driving conditions of the power supply unit 120 or the heat transfer unit 140. [ The control unit 130 may vary the driving conditions of the power supply unit 120 or the heat transfer unit 140 based on the temperatur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10. [ The temperatur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user terminal 10 is a state with respect to the temperature that the user currently feels, and the controller 130 can increase the temperature or decrease the temperature by reflecting the temperature.
도 5는 도 1에 따른 넥밴드형 휴대용 송풍장치가 분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Fig. 5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at the neck band type portable fan according to Fig. 1 further includes a jetting part. Fig.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넥밴드형 휴대용 송풍장치(100)는 분사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neck-band portable fa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jetting section 190.
분사부(190)는 액상의 분사액을 사용자의 피부에 분사한다. 분사부(190)는 넥밴드형 휴대용 송풍장치(10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탈부착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사부(190)는 노즐(191)을 통해 분사액을 분사하며, 커넥터(192)를 통해 넥밴드형 휴대용 송풍장치(100)에 연결된다. 분사부(190)는 자외선센서(193)를 포함하여 자외선지수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분사액은 수분을 보충하거나, 자외선을 차단하거나, 향기를 포함하거나, 탈취성분을 포함하는 모든 분사액을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된다.The jetting section 190 injects the liquid jetting liquid onto the user's skin. The jetting section 19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neck-band portable fan apparatus 100, or may be detachably attached. For example, the jetting section 190 injects the jetting liquid through the nozzle 191 and is connected to the neckband-type portable fan apparatus 100 through the connector 192. The jetting unit 190 may include an ultraviolet sensor 193 to sense an ultraviolet ray index. Here, the jetting liquid is used to mean all jetting liquids that replenish water, block ultraviolet rays, contain a perfume, or contain deodorant components.
또한, 분사부(190)는 넥밴드형 휴대용 송풍장치(100)에 의해 제어된다. 예를 들어, 넥밴드형 휴대용 송풍장치(100)의 제어부는 사용자의 피부에 대한 온도, 습도, 자외선지수가 기 설정된 설정치를 초과하는 경우 사용자의 피부로 분사액을 분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피부에 수분이나 영양성분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으며, 자외선 차단성분의 분사액을 도포하여 자외선 차단 기능을 유지시키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분사부(190)는 분사액으로 아로마오일을 포함할 수 있다. 분사액으로 아로마오일을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생체정보에 따라 아로마오일을 분사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jetting section 190 is controlled by the neck band-type portable fan apparatus 100.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of the neck-band portable fan apparatus 100 can control the spraying of the spray liquid to the user's skin when the temperature, humidity, and ultraviolet ray index of the user's skin exceed predetermined preset values. Accordingly, water and nutrients can be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user's skin, and the ultraviolet ray shielding function can be maintained by applying the spray of the ultraviolet ray blocking component. Further, the jetting section 190 may contain aroma oil as a jetting liquid. When the aroma oil is used as the injection liquid, the aroma oil can be sprayed according to the user's biometric information.
한편, 향기패드(194)는 종이 또는 필름 형태의 패드로 아로마오일과 같은 향을 포함하면서 탈취성분이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향기패드(194)는 송풍부에 탈착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향기패드(194)는 송풍부에서 분사되는 바람에 향기 또는 탈취성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향기패드(194)는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교체할 수 있는 소비재일 수 있다. 또한, 향기패드(194)는 고체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fragrance pad 194, on the other hand, may be a paper or film type pad and may further include deodorant components, including fragrance such as aroma oil. The perfume pad 194 may be formed in a detachable form on the blow-out portion. The perfume pad 194 serves to provide fragrance or deodorant components to the wind blown from the blow-in portion. In this case, the perfume pad 194 may be a consumable that can be replaced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has elapsed. In addition, the perfume pad 194 may be formed in a solid form.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넥밴드형 휴대용 송풍장치(100)는 조명부(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명부는 몸체부(110)의 일측에 형성되거나 송풍부(120)의 일측에 형성되어 기 설정된 조도로 조명을 출력한다. 조명부는 엘이디(LED)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조명부는 주변의 조도를 밝게하는 조명의 역할을 한다. 조명부는 조도센서(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주변의 조도에 의해 자동으로 동작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조명부의 점멸패턴을 제어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넥밴드형 휴대용 송풍장치(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야간에 독서를 하거나, 자전거나 전동 퀵보드 등을 이용하는 경우에 전조등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neck-band portable fa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illumination unit (not shown). The illumination unit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body 110 or on one side of the airflow 120 to output illumination with predetermined illumination. The illumination unit may be implemented using an L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illuminating part serves as an illumination for illuminating the surrounding illuminance. The illuminating unit may be set to automatically operate by the illuminance of the surroundings by using an illuminance sensor (not shown). The control unit 130 controls the blinking pattern of the illumination unit. Accordingly, when the user wears the neck-band portable air blowing apparatus 100 while reading at night, or when the bicycle or the electric quick board is used, it can be used as a headlight.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넥밴드형 휴대용 송풍장치(100)는 소리정보 획득부(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소리정보 획득부는 몸체부(110) 주변의 소리정보를 획득한다. 제어부(130)는 소리정보 획득부로부터 음성명령을 추출하여 송풍부(120) 또는 전열부(140)를 가변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소리정보에 포함된 사용자의 음성에 따라 '덥다', '더워', '춥다', '추워'와 같은 온도관련단어를 추출하고, 이를 음성명령으로 판단하여 송풍부(120) 또는 전열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the neck band portable fa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ound information obtaining unit (not shown). The sound information obtaining unit obtains sound information around the body 110. The control unit 130 can variably control the airflow unit 120 or the heat transfer unit 140 by extracting a voice command from the sound information obtaining unit.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30 extracts temperature-related words such as 'hot', 'hot', 'cold', and 'cold' according to the user's voice included in the sound information, The rich portion 120 or the heat transfer portion 140 can be controlled.
도 6은 도 1에 따른 넥밴드형 휴대용 송풍장치를 이용한 송풍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7은 도 6에 따른 송풍시스템 중 거치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FIG. 6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ventilation system using a neck band-type portable ventilator according to FIG. 1, and FIG. 7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cradle of the ventilating system according to FIG.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시스템은 휴대용 송풍장치(100) 및 거치대(200)를 포함한다. 이 경우, 휴대용 송풍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5를 통해 전술하였는바, 이에 대한 설명은 중복되므로 생략하도록 한다.Referring to FIGS. 6 and 7, the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rtable fan apparatus 100 and a cradle 200. In this case, the portable fan apparatus 100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and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거치대(200)는 휴대용 송풍장치(100)의 몸체부(110)를 지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기립하도록 거치시킨다. 이 경우, 몸체부(110)의 양단은 수용홈에 각각 삽입된다. 거치대(200)는 구체적으로 전원공급부(210)와 공기주입부(220)를 포함한다. 전원공급부(210)는 수용홈(201) 일측에 형성된 전극(211)을 통해 휴대용 송풍장치(100)가 접속하면 전원을 충전시킨다.The mount 200 mounts the body 110 of the portable air blowing apparatus 100 so as to stand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 ground. In this case, both ends of the body portion 110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s. The cradle 200 specifically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210 and an air injection unit 220. The power supply unit 210 charges the power when the portable fan apparatus 100 is connected through the electrode 211 formed at one side of the receiving groove 201.
공기주입부(220)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휴대용 송풍장치(100)의 몸체부(110)의 외표면을 따라 공기가 분사되도록 공기를 주입시킨다. 이 경우, 휴대용 송풍장치(100)의 몸체부(110) 내부는 공기가 이동하는 유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공(111)은 몸체부(110)의 외표면을 따라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10)는 'U'자 형태의 굴곡되어진 부분의 단면은 베르누이 원리가 적용되도록 에어포일(Airfoil)의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 몸체부(110)의 단면의 좁은 틈을 통해 공기가 배출되면서 기압차이를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몸체부(110)를 따라 공기가 1차적으로 분사되고, 2차적으로 기압차이에 의해 주변 공기가 몸체부(110)의 외표면 주변의 공기가 강하게 불어나오면서 분사된다.The air injection unit 220 sucks outside air and injects air to blow air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110 of the portable fan unit 100.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a passage through which the air moves is formed inside the body 110 of the portable fan apparatus 100. The through hole 111 may be formed to be opene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110. In addition, the body portion 110 is formed in the shape of an airfoil such that the cross section of the U-shaped bent portion is applied to the Bernoulli principle. In this case, air is discharged through a narrow gap of the cross section of the body portion 110 to generate a pressure difference. Accordingly, the air is primarily injected along the body 110, and the ambient air is injected while the air a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110 is strongly blown by the difference in atmospheric pressure.
이에 따라, 송풍시스템은 휴대용 송풍장치(100)가 거치대(200)와 결합하면 스탠드형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휴대용 송풍장치(100)가 거치대(200)와 분리되면 휴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ventilation system can be used as a stand type when the portable ventilation device 100 is coupled with the cradle 200, and can be used as a portable device when the portable ventilation device 100 is separated from the cradle 200.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면서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로부터 도출 가능한 자명한 변형예를 포괄하도록 의도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해석되어져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s a description of the claims which are intended to cover obvious variations that can be derived from the described embodiments.
100 : 송풍장치
110 : 몸체부
111 : 통공
120 : 송풍부
121 : 흡기구
122 : 배기구
123 : 연결부
123-1 : 와이어
124 : 접속부
130 : 제어부
131 : 스위치
140 : 전열부
150 : 이동정보 획득부
160 : 생체정보 획득부
170 : 알람부
171 : 디스플레이
172 : 스피커
180 : 통신부
190 : 분사부
191 : 노즐
192 : 커넥터
193 : 자외선센서
194 : 향기패치
200 : 거치대
201 : 수용홈
210 : 전원공급부
211 : 전극
220 : 공기주입부100: blower
110:
111: Through hole
120:
121: intake port
122: Exhaust
123: Connection
123-1: Wire
124:
130:
131: Switch
140:
150: Movement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60: Biometric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70:
171: Display
172: Speaker
180:
190:
191: Nozzles
192: Connector
193: Ultraviolet sensor
194: Scent patch
200: Cradle
201: Receiving groove
210: Power supply
211: Electrode
220:
Claims (5)
상기 몸체부와 와이어를 통해 연결되거나, 무선방식으로 접속부를 통해 상기 몸체부와 결합되거나 이탈되어 공기를 분사하는 송풍부;
상기 몸체부가 이동하는 속도, 가속도 및 기울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이동정보를 획득하는 이동정보 획득부; 및
상기 송풍부의 구동세기, 구동방향 및 구동시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구동조건을 제어하며, 상기 몸체부의 이동속도 또는 기울기 편차에 따라 상기 송풍부를 가변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넥밴드형 휴대용 송풍장치.A body portion to be worn on a user's neck;
A blowing part connected to the body part through a wire or sprayed with air by being coupled to or detached from the body part through a connection part in a wireless manner;
A movement information acquiring unit for acquiring movement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a velocity, an acceleration, and a tilt of the body part; An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driving conditions including at least one of a driving intensity, a driving direction and a driving time of the blowing unit and a control unit for variably controlling the blowing unit according to a moving speed or a tilt deviation of the body unit. Blower.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하여 열을 흡수하거나 방출하는 전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기온 또는 습도 조건에 따라 상기 송풍부와 상기 전열부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넥밴드형 휴대용 송풍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heat transfer part formed at one side of the body part to absorb or discharge heat in contact with the skin of the user,
Wherein,
Wherein the fan-blowing unit and the heat-generating unit are selectively drive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or humidity condition.
상기 사용자에 대한 피부의 온도, 습도 및 땀의 분비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생체정보를 획득하는 생체정보 획득부; 및
소리 또는 문자 형태로 알람신호를 출력하는 알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체정보에 따라 기 설정된 수분량 미만인 경우 상기 알람신호를 출력하도록 하는 넥밴드형 휴대용 송풍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biometric information obtaining unit that obtains biometric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temperature, humidity, and amount of perspiration for the user; And
Further comprising an alarm section for outputting an alarm signal in the form of a sound or character,
Wherein,
And outputting the alarm signal when the amount of moisture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moisture amount according to the biometric information.
상기 몸체부를 지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거치시키며, 상기 몸체부가 전극과 접속되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몸체부로 주입시켜 상기 몸체부의 외표면을 따라 분사되도록 하는 공기주입부를 포함하는 거치장치를 포함하는 넥밴드형 휴대용 송풍장치를 이용한 송풍시스템.A blowing unit for blowing air by being connected to the body through a wire or by being connected or disconnected from the body through a connection unit in a wireless manner; And a slope, and a driving condition controlling unit that controls driving conditions including at least one of a driving intensity, a driving direction, and a driving time of the wind-up unit, And a control unit for variably controlling the blowing unit in accordance with a tilt deviation of the blowing unit. And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body when the body is connected to the electrode and an air injection unit for injecting the external air into the body and spraying the body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Wherein the ventilation system includes a mounting device including a neck-band type portable air blowing device.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49374A KR101834138B1 (en) | 2017-11-10 | 2017-11-10 | Neck band type portable blower, and blowing system using the blower |
PCT/KR2017/013452 WO2019093567A1 (en) | 2017-11-10 | 2017-11-23 | Portable neckband-type blower and blowing system using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49374A KR101834138B1 (en) | 2017-11-10 | 2017-11-10 | Neck band type portable blower, and blowing system using the blow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34138B1 true KR101834138B1 (en) | 2018-03-02 |
Family
ID=61729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49374A KR101834138B1 (en) | 2017-11-10 | 2017-11-10 | Neck band type portable blower, and blowing system using the blower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834138B1 (en) |
WO (1) | WO2019093567A1 (en) |
Cited B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8413Y1 (en) * | 2018-05-16 | 2019-01-28 | 이경원 | Multi-functional bluetooth earphone |
KR200489770Y1 (en) * | 2019-03-07 | 2019-08-05 | 박승호 | Neck band type fan |
CN110360139A (en) * | 2018-12-11 | 2019-10-22 | 株式会社东亚产业 | Neck mounted model equipment |
CN110685939A (en) * | 2019-10-14 | 2020-01-14 | 杭州坦布科技有限公司 | Neck-mounted fan with multiple air outlet modes |
KR102071881B1 (en) * | 2019-05-27 | 2020-02-03 | 세목반도체 주식회사 | Neck band type fan for back of us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KR20200013293A (en) * | 2018-07-30 | 2020-02-07 | 장보원 | Neck band type fan |
KR102089967B1 (en) * | 2019-01-28 | 2020-03-17 | 이상원 | Portable Neck Band for Providing by Switching Cool and Warm Air |
KR102093581B1 (en) * | 2019-08-28 | 2020-04-24 | 김범욱 | Multi-functional modulue type blower apparatus |
KR20210007489A (en) | 2019-07-11 | 2021-01-20 | 정현자 | Multipurpose support |
WO2021017032A1 (en) * | 2019-07-29 | 2021-02-04 | 深圳市同创创精密电子有限公司 | Neck wearable fan |
KR102215726B1 (en) | 2020-05-18 | 2021-02-18 | 프린텍 주식회사 | Neck band fan |
WO2021143888A1 (en) * | 2020-01-18 | 2021-07-22 | 深圳市蓝禾技术有限公司 | Neck-hanging fan |
KR102323709B1 (en) * | 2021-04-23 | 2021-11-08 | 신형식 | Neck cold and warmth |
KR102362274B1 (en) * | 2020-09-09 | 2022-02-14 | 주식회사 루비원 | Air purifier apparatus for respirato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211039122U (en) * | 2020-01-19 | 2020-07-17 | 深圳市蓝禾技术有限公司 | Fan worn on neck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43666B1 (en) * | 2013-08-08 | 2013-12-20 | 이정일 | Detachable fan heater or cooler |
KR101701828B1 (en) * | 2016-08-05 | 2017-02-02 | (주)텍스트무브 | Air blower of neckband type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172095A (en) * | 1991-12-20 | 1993-07-09 | Sanyo Electric Co Ltd | Fan |
US20110259028A1 (en) * | 2010-04-27 | 2011-10-27 | Lee Shih-Hsien | Temperature Regulating Device |
KR20170079293A (en) * | 2015-12-30 | 2017-07-10 | 주식회사 원더풀플랫폼 | Portable device for generating anion and humidification |
US10570920B2 (en) * | 2016-03-09 | 2020-02-25 | Novel Innovations Inc. | Clip fan |
-
2017
- 2017-11-10 KR KR1020170149374A patent/KR101834138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17-11-23 WO PCT/KR2017/013452 patent/WO2019093567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43666B1 (en) * | 2013-08-08 | 2013-12-20 | 이정일 | Detachable fan heater or cooler |
KR101701828B1 (en) * | 2016-08-05 | 2017-02-02 | (주)텍스트무브 | Air blower of neckband type |
Cited By (1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8413Y1 (en) * | 2018-05-16 | 2019-01-28 | 이경원 | Multi-functional bluetooth earphone |
KR20200013293A (en) * | 2018-07-30 | 2020-02-07 | 장보원 | Neck band type fan |
KR102092079B1 (en) * | 2018-07-30 | 2020-03-23 | 장보원 | Neck band type fan |
WO2020121538A1 (en) * | 2018-12-11 | 2020-06-18 | 株式会社東亜産業 | Neck-worn device |
CN110360139A (en) * | 2018-12-11 | 2019-10-22 | 株式会社东亚产业 | Neck mounted model equipment |
JP2020094519A (en) * | 2018-12-11 | 2020-06-18 | 株式会社 東亜産業 | Neck-hanging type device |
KR102089967B1 (en) * | 2019-01-28 | 2020-03-17 | 이상원 | Portable Neck Band for Providing by Switching Cool and Warm Air |
KR200489770Y1 (en) * | 2019-03-07 | 2019-08-05 | 박승호 | Neck band type fan |
KR102071881B1 (en) * | 2019-05-27 | 2020-02-03 | 세목반도체 주식회사 | Neck band type fan for back of us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KR20210007489A (en) | 2019-07-11 | 2021-01-20 | 정현자 | Multipurpose support |
WO2021017032A1 (en) * | 2019-07-29 | 2021-02-04 | 深圳市同创创精密电子有限公司 | Neck wearable fan |
KR102093581B1 (en) * | 2019-08-28 | 2020-04-24 | 김범욱 | Multi-functional modulue type blower apparatus |
CN110685939A (en) * | 2019-10-14 | 2020-01-14 | 杭州坦布科技有限公司 | Neck-mounted fan with multiple air outlet modes |
WO2021143888A1 (en) * | 2020-01-18 | 2021-07-22 | 深圳市蓝禾技术有限公司 | Neck-hanging fan |
KR102215726B1 (en) | 2020-05-18 | 2021-02-18 | 프린텍 주식회사 | Neck band fan |
KR102362274B1 (en) * | 2020-09-09 | 2022-02-14 | 주식회사 루비원 | Air purifier apparatus for respirator |
WO2022055057A1 (en) * | 2020-09-09 | 2022-03-17 | 주식회사 루비원 | Air purifying device for respiratory organs |
KR102323709B1 (en) * | 2021-04-23 | 2021-11-08 | 신형식 | Neck cold and warmth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9093567A1 (en) | 2019-05-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34138B1 (en) | Neck band type portable blower, and blowing system using the blower | |
US11000623B2 (en) | Personal air treatment system and method | |
KR101699789B1 (en) | Portable air supplied respirator | |
EP1810592B1 (en) | Hot-air blower | |
US10578119B2 (en) | Necklace-type fan | |
US7921473B1 (en) | Head cooling apparatus | |
US20020170309A1 (en) | Waist-mounted evaporative personal cooler | |
US11541255B2 (en) | Custom-controllable powered respirator face mask | |
CN102987706A (en) | Heated air blower | |
US10933205B2 (en) | Portable heated mist inhaler | |
JP2005023506A (en) | Functional clothing using thermoelectric module | |
US20080295220A1 (en) | Fan-Based Cooler for Head-Protection Gear | |
US20070061946A1 (en) | Fan-based cooler for head-protection gear | |
US20140150163A1 (en) | Fan Assembly for a Hat | |
JP6797792B2 (en) | Portable cooling device | |
US8162293B2 (en) | Device for applying cooling mist and dry air to individuals | |
JP7133860B2 (en) | In-garment temperature control unit and cold/hot air work clothes using it | |
JP6148393B1 (en) | Clothes cooling system | |
KR101341334B1 (en) | Micro-climate control device | |
CN112728668A (en) | Wearable air conditioner | |
US20210045483A1 (en) | Heat dissipating hat with atomizer structures | |
JP2004156151A (en) | Cooling apparatus in helmet | |
US11517066B2 (en) | Cooling device for attachment to a helmet | |
US20200111451A1 (en) | Virtual reality effects accessory | |
US20040247440A1 (en) | Fan-tastic freshe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