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7588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7588B1
KR101817588B1 KR1020167024689A KR20167024689A KR101817588B1 KR 101817588 B1 KR101817588 B1 KR 101817588B1 KR 1020167024689 A KR1020167024689 A KR 1020167024689A KR 20167024689 A KR20167024689 A KR 20167024689A KR 101817588 B1 KR101817588 B1 KR 1018175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ignment member
connector
ground
alignment
lock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4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9199A (ko
Inventor
다카요시 오야케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19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91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7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75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05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directly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5Latching arms not integral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2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5Shielding material individually surrounding or interposed between mutually space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커넥터는 결합방향을 따라 상대측 커넥터와 결합할 수 있다. 커넥터는, 제1정렬부재와, 제2정렬부재와, 복수의 제1콘택트와, 복수의 제2콘택트와, 그라운드 부재와, 지지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제1정렬부재는 제1콘택트를 피치방향으로 정렬시키고 있다. 제2정렬부재는 제2콘택트를 피치방향으로 정렬시키고 있다. 그라운드 부재는, 주부와, 록스프링부와, 연결부를 구비하고 있다. 록스프링부는, 상대측 커넥터의 피록부를 록 하는 록부를 구비하고 있다. 연결부는 주부와 록스프링부를 서로 연결하고 있다. 지지부재는, 제1정렬부재와 제2정렬부재의 사이에 그라운드 부재의 주부가 위치하도록, 제1정렬부재와 제2정렬부재와 그라운드 부재를 모아서 지지하고 있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상대측 커넥터(相對側 connector)의 피록부(被lock部)에 록 하는 록부(lock部)를 구비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도11 내지 도13을 참조하면, 특허문헌1의 커넥터(900)는, 복수의 콘택트(contact)(910)와, 콘택트를 지지하는 지지부재(支持部材)(920)와, 그라운드 플레이트(ground plate)(930)와, 셀(shell)(940)과, 록부재(lock部材)(950)를 구비하고 있다. 콘택트(910)는 2열로 배열되어 있다. 그라운드 플레이트(930)는 콘택트(910)의 열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그라운드 플레이트(930)에는 스프링부(spring部)(932)가 형성되어 있다. 콘택트(910)는 그라운드 콘택트(912)를 포함하고 있다. 스프링부(932)는, 지지부재(920)의 내부에 있어서 그라운드 콘택트(912)에 접속되어 있다. 록부재(950)는 록부(952)를 구비하고 있다. 록부재(950)는, 록부(952)가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부재(920)에 지지되어 있다. 셀(940)은 지지부재(920)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셀(940)에는 개구(開口)(942)가 형성되어 있다. 록부(952)는 개구(942)를 통과하여 셀(940)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 국제공개 제2009/147791호
본 발명은, 비용의 증가를 억제하면서, 콘택트와 그라운드 플레이트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관계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측면은, 결합방향을 따라 상대측 커넥터와 결합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상기 커넥터는, 제1정렬부재와, 제2정렬부재와, 복수의 제1콘택트와, 복수의 제2콘택트와, 그라운드 부재와, 지지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정렬부재는, 상기 제1콘택트를 상기 결합방향과 직교하는 피치방향으로 정렬시킴과 아울러 상기 제1콘택트를 지지하고 있다. 상기 제2정렬부재는, 상기 제2콘택트를 상기 피치방향으로 정렬시킴과 아울러 상기 제2콘택트를 지지하고 있다. 상기 그라운드 부재는, 평판모양의 주부와, 록스프링부와, 연결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록스프링부는, 상기 상대측 커넥터의 피록부를 록 하는 록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주부와 상기 록스프링부를 서로 연결하고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제1정렬부재와 상기 제2정렬부재의 사이에 상기 그라운드 부재의 상기 주부가 위치하도록, 상기 제1정렬부재와 상기 제2정렬부재와 상기 그라운드 부재를 모아서 지지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는, 특허문헌1의 단일의 지지부재를 대신하여 제1정렬부재, 제2정렬부재 및 지지부재의 3개의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의 그라운드 부재는, 특허문헌1의 그라운드 플레이트의 기능을 하는 주부와, 특허문헌1의 2개의 록부재의 기능을 하는 록스프링부를 일체화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커넥터 전체의 부품수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이 결과 극단적인 비용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정렬부재가 제1콘택트를 정렬하고 있고, 제2정렬부재가 제2콘택트를 정렬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지부재가 그라운드 부재와 제1정렬부재 및 제2정렬부재를 지지하고 있다. 이 구조에 의하여, 제1콘택트와 제2콘택트와 그라운드 부재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관계가 용이하게 조정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하기의 최선의 실시형태의 설명을 검토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이 정확하게 이해되고 또 그 구성에 대하여 더 완전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를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이다.
도3은, 도1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4는, 도1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5는, 도4의 커넥터를 V-V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6은, 도1의 커넥터에 포함되는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 구조는, 커넥터 내에 셀 및 프론트 보호부재를 포함하지 않고 있다.
도7은, 도6의 구조를 VⅡ-VⅡ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8은, 도6의 구조를 VⅢ-VⅢ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9는, 도6의 구조를 IX-IX선을 따라 절단하여 나타내는 일부 절단 사시도이다.
도10은, 도9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11은, 특허문헌1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2는, 도11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13은, 도11의 커넥터에 포함되는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대해서는 다양한 변형이나 여러 가지의 형태로 실현할 수 있지만, 그 일례로서,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특정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 및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여기에 개시한 특정한 형태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명시되어 있는 범위 내에 있어서 이루어지는 모든 변형예, 균등물, 대체예를 그 대상에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도1 내지 도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connector)(1)는 패들보드(paddle board)(대상물)(5)를 통하여 케이블(cable)(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에 접속되는 것이다. 또한 커넥터(1)는, X방향(결합방향)을 따라 상대측 커넥터(相對側 connector)(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와 결합하는 것이다. 도면에 나타낸 커넥터(1)는, 도전체(導電體)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제1콘택트(第1contact)(10)와, 절연체(絶緣體)로 이루어지는 제1정렬부재(第1整列部材)(20)와, 도전체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제2콘택트(30)와, 절연체로 이루어지는 제2정렬부재(40)와, 그라운드 부재(ground 部材)(50)와, 절연체로 이루어지는 지지부재(支持部材)(70)와, 금속제(金屬製)의 셀(shell)(80)과, 절연체로 이루어지는 프론트 보호부재(front 保護部材)(90)를 구비하고 있다. 프론트 보호부재(90)는, 셀(80)의 선단(-X측 끝)에 부착되어 셀(80)의 선단을 보호하고 있다.
도3을 참조하면, 제1콘택트(10)의 각각은, 접점부(接點部)(12)와, 단자부(端子部)(14)를 구비하고 있다. 접점부(12)는, 상대측 커넥터(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의 상대측 콘택트(相對側 contact)(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와 접촉하는 부위이다. 도1, 도2 및 도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부(14)는 패들보드(5)에 접속되어 고정되는 부위이다.
도3, 도4, 도7 및 도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정렬부재(20)는, 복수의 제1콘택트(10)를 Y방향(피치방향(pitch方向))으로 정렬시킴과 아울러 제1콘택트(10)를 지지하고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의 제1콘택트(10)는, 인서트 성형법(insert 成形法)에 의하여 제1정렬부재(20)의 형성 시에 제1정렬부재(20) 내에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있다. 도3 및 도7에서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제1정렬부재(20)에는, Z방향(소정방향)으로 돌출된 2개의 돌기(突起)(22)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22)의 각각은 4각 기둥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도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콘택트(30)의 각각은, 접점부(32)와, 단자부(34)를 구비하고 있다. 접점부(32)는, 상대측 커넥터(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의 상대측 콘택트(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와 접촉하는 부위이다. 도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부(34)는 패들보드(5)에 접속되어 고정되는 부위이다.
도3, 도4, 도7 및 도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정렬부재(40)는, 복수의 제2콘택트(30)를 Y방향으로 정렬시킴과 아울러 제2콘택트(30)를 지지하고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의 제2콘택트(30)는, 인서트 성형법에 의하여 제2정렬부재(40)의 형성 시에 제2정렬부재(40) 내에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있다. 도3, 도7, 도9 및 도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제2정렬부재(40)에는, Z방향으로 돌출된 2개의 돌기(42)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42)의 각각은 4각 기둥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도3에서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정렬부재(20)와 제2정렬부재(40)는 서로 동일한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1콘택트(10)와 제2콘택트(30)도 서로 동일한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도3에서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그라운드 부재(50)는 한 장의 금속판을 펀칭(punching)하여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그라운드 부재(50)는, 평판모양의 주부(主部)(52)와, 2개의 록스프링부(lock spring部)(54)와, 연결부(連結部)(56)를 구비하고 있다. 도면에 나타낸 그라운드 부재(50)는, 소위 그라운드 플레이트와 록스프링을 일체화한 부재이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주부(52)와 록스프링부(54)는 동일한 XY평면상에 위치하고 있다.
도3 및 도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부(52)에는 복수의 압입돌기(壓入突起)(60)가 형성되어 있다. 압입돌기(60)는, 주부(52)의 Y방향에 있어서의 양단으로부터 Y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각각 돌출되어 있다.
록스프링부(54)의 각각은, XY평면 내에 있어서 탄성변형될 수 있다. 록스프링부(54)의 각각은, 상대측 커넥터(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의 피록부(被lock部)(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를 록 하는 록부(lock部)(62)를 구비하고 있다. 록부(62)는, 록스프링부(54)의 탄성을 이용하여 XY평면 내에 있어서 이동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2개의 록스프링부(54)의 록부(62)는, Y방향에 있어서 대향(對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록부(62)의 각각은, XY평면 내에 있어서 Y방향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연결부(56)는, Y방향에 있어서 주부(52)와 록스프링부(54)의 사이에 홈부(groove部)(58)가 형성되도록 주부(52)와 록스프링부(54)를 연결하고 있다. 압입돌기(60)는 홈부(58) 내에 위치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압입돌기(60)는 홈부(58) 내로 돌출되어 있다.
도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부(56)에는, 2개의 그라운드 단자부(ground 端子部)(64)가 형성되어 있다. 그라운드 단자부(64)는, 연결부(56)의 Y방향에 있어서의 양단 근방에 각각 위치하고 있고, 연결부(56)의 +X측의 끝으로부터 +X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1, 도2 및 도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라운드 단자부(64)는, 제1콘택트(10)의 단자부(14)와 함께 패들보드(5) 위에 접속되어 고정된다. 이 구조에서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그라운드 부재(50)는 그라운드 단자부(64)를 통하여 그라운드 된다. 이 때문에, 그라운드 부재(50)는 특허문헌1의 그라운드 플레이트(930)(도12를 참조)와 달리 지지부재(70) 내에 있어서 그라운드 콘택트에 접촉시킬 필요가 없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주부(52)에 개구를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실드효과(shield效果)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록부(62)가 상대측 커넥터(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의 피록부(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를 록 할 때에, 록부(62)가 피록부(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와의 접촉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하더라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였을 경우에 그라운드 부재(50)는, 상대측 커넥터(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의 그라운드에도 접속할 수 있다.
도3 및 도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부(56)의 Y방향에 있어서의 양단에는, 단차부(段差部)(66)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단차부(66)는 록스프링부(54)의 근방에 각각 위치하고 있다.
도5, 도7 및 도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부재(70)는, 제1정렬부재(20)와 제2정렬부재(40)와 그라운드 부재(50)를 모아서 지지하고 있다.
도7 및 도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부재(70)에는, 제1정렬부재(20)를 수용하는 제1수용부(第1收容部)(72)와, 제2정렬부재(40)를 수용하는 제2수용부(74)가 형성되어 있다. 도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수용부(72)는 제1정렬부재(20)를 껴안도록 수용하고 있다. 제1수용부(72)는, 이와 같이 수용한 제1정렬부재(20)를 Y방향 및 Z방향에 있어서 위치결정하고 있다. 도8 및 도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수용부(74)는 제2정렬부재(40)를 껴안도록 수용하고 있다. 제2수용부(74)는, 이와 같이 수용한 제2정렬부재(40)를 Y방향 및 Z방향에 있어서 위치결정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1수용부(72)는, 제1정렬부재(20)를 Y방향에 있어서 위치결정하는 Y방향 위치결정부(피치방향 위치결정부)로서 기능을 함과 아울러, 제1정렬부재(20)를 Z방향에 있어서 위치결정하는 Z방향 위치결정부(소정방향 위치결정부)로서 기능을 한다. 마찬가지로 제2수용부(74)는, 제2정렬부재(40)를 Y방향에 있어서 위치결정하는 Y방향 위치결정부(피치방향 위치결정부)로서 기능을 함과 아울러, 제2정렬부재(40)를 Z방향에 있어서 위치결정하는 Z방향 위치결정부(소정방향 위치결정부)로서 기능을 한다.
도7 및 도8에서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수용부(72)와 제2수용부(74)는, Y방향에 있어서의 지지부재(70)의 중간점으로서 Z방향에 있어서의 지지부재(70)의 중간점을 지나는 선에 대하여 회전대칭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도4, 도7 및 도8에서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수용부(72)에 수용된 제1정렬부재(20)와 제2수용부(74)에 수용된 제2정렬부재(40)는, Y방향에 있어서의 제1정렬부재(20)의 중간점 또한 Y방향에 있어서의 제2정렬부재(40)의 중간점으로서 Z방향에 있어서의 제1정렬부재(20)와 제2정렬부재(40) 사이의 중간점을 지나는 선에 대하여 회전대칭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수용부(72)와 제2수용부(74)는, Z방향에 있어서 서로로부터 떨어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1수용부(72)와 제2수용부(74)의 사이에는 스페이스(space)가 형성되어 있다. 이 스페이스는, 그라운드 부재(50)의 주부(52)를 수용하는 중간수용부(中間收容部)(76)로서 기능을 한다. 이 중간수용부(76)에 그라운드 부재(50)의 주부(52)가 수용되기 때문에, 제1정렬부재(20), 제2정렬부재(40) 및 그라운드 부재(50)가 지지부재(70)에 지지된 상태에 있어서, 그라운드 부재(50)는 제1정렬부재(20)와 제2정렬부재(40)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도8 및 도9에서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지지부재(70)에는, 2개의 위치결정부(位置決定部)(78)가 형성되어 있다. 위치결정부(78)는, 중간수용부(76)의 Y방향에 있어서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치결정부(78)의 Y방향의 내측의 면에 압입돌기(60)가 파고들어가고, 그에 따라 그라운드 부재(50)가 지지부재(70)에 지지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그라운드 부재(50)는 지지부재(70)에 압입되어 고정되어 있다.
도7 및 도9에서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정렬부재(20), 제2정렬부재(40) 및 그라운드 부재(50)가 지지부재(70)에 지지된 상태에 있어서, 제1정렬부재(20)의 돌기(22)와 제2정렬부재(40)의 돌기(42)는 그라운드 부재(50)의 홈부(58) 내에 위치하고 있다. 도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기(22)와 돌기(42)는, 홈부(58) 내에 있어서 Z방향으로 대향하고 있다.
도9에서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Y방향에 있어서, 홈부(58)의 사이즈(폭)는 돌기(22) 및 돌기(42)의 어느 쪽의 사이즈(폭)보다 크다. 또한 도7 및 도9에서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Y방향에 있어서, 압입돌기(60)와 록스프링부(54) 사이의 거리는, 돌기(22) 및 돌기(42)의 어느 쪽의 사이즈보다 크다. 바꾸어 말하면, 본 실시형태의 돌기(22) 및 돌기(42)의 각각은, Y방향에 있어서 압입돌기(60)와 록스프링부(54) 사이의 거리보다 작은 사이즈를 구비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1정렬부재(20) 및 제2정렬부재(40)를, 지지부재(70)의 +X측 끝부로부터 -X측을 향하여 지지부재(70) 내에 삽입함으로써 제1수용부(72) 및 제2수용부(74)에 각각 수용시킨 후에, 그라운드 부재(50)를 지지부재(70)의 +X측 끝부로부터 -X측을 향하여 지지부재(70) 내에 압입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돌기(22)의 사이즈 및 돌기(42)의 사이즈가 상기한 바와 같이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1정렬부재(20), 제2정렬부재(40) 및 그라운드 부재(50)의 모두를 -X방향을 따라 지지부재(70) 내에 삽입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구조는, 커넥터 조립에 있어서의 자동화에 적합하다. 다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정렬부재(20)와 제2정렬부재(40)에 그라운드 부재(50)를 끼운 후에, 제1정렬부재(20), 제2정렬부재(40) 및 그라운드 부재(50)를 일체로 하여 지지부재(70) 내에 수용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에 돌기(22) 및 돌기(42)의 각각의 Y방향에 있어서의 사이즈는, 돌기(22) 및 돌기(42)가 홈부(58) 내에 수용될 수 있는 한 본 실시형태의 사이즈보다 크더라도 좋다.
도9에서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정렬부재(20), 제2정렬부재(40) 및 그라운드 부재(50)가 지지부재(70)에 지지된 상태에 있어서, 위치결정부(78)는 Y방향에 있어서 홈부(58) 내에 위치하고 있다. 도7 및 도9에서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정렬부재(20)의 돌기(22)와 제2정렬부재(40)의 돌기(42)는, X방향에 있어서 위치결정부(78)와 연결부(56)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정렬부재(20)의 돌기(22)와 제2정렬부재(40)의 돌기(42)의 각각은, X방향에 있어서 위치결정부(78)와 연결부(56)에 끼워져 있다. 이에 따라 제1정렬부재(20)와 제2정렬부재(40)는, 그라운드 부재(50)에 대하여 X방향에 있어서 위치결정되어 있다.
도2 및 도5에서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셀(80)은 지지부재(70)를 부분적으로 덮고 있다. 셀(80)에는 폴부(pawl部)(82)가 형성되어 있다. 셀(80)에 대하여 지지부재(70) 등의 부재가 수용된 후에, 폴부(82)가 Y방향 내측으로 접혀서 삽입됨으로써 셀(80)이 지지부재(70)에 고정된다. 이 때에 도2 및 도9에서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폴부(82)의 선단은 단차부(66)의 +X측에 위치하여, X방향에 있어서 단차부(66)와 대향하고 있다. 이에 따라 지지부재(70) 및 그라운드 부재(50)가 셀(80)로부터 빠지는 것이 방지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구체적인 설명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콘택트(10)는 인서트 성형에 의하여 제1정렬부재(20)에 조립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콘택트(10)는 압입 등의 다른 수단에 의하여 제1정렬부재(20)에 지지되더라도 좋다. 마찬가지로 제2콘택트(30)는 압입 등의 다른 수단에 의하여 제2정렬부재(40)에 지지되더라도 좋다.
상기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압입돌기(60)는 주부(52)에 형성되어 있고 홈부(58) 내로 돌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압입돌기(60)는, 연결부(56)의 Y방향에 있어서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다만 이 경우에 지지부재(70)의 사이즈가 커지게 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압입돌기(60)는 홈부(58) 내로 돌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돌기(22) 및 돌기(42)는 제1정렬부재(20) 및 제2정렬부재(40)에 각각 형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정렬부재(20) 및 제2정렬부재(40)의 일방(一方)에만 비교적 긴 돌기가 형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이 경우에 제1정렬부재(20) 및 제2정렬부재(40)의 타방(他方)에는, 그 돌기의 선단을 수용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본 발명은 2014년 3월 19일에 일본국 특허청에 제출된 일본국 특허출원 제2014-056055호에 의거하고 있으며, 그 내용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일부로 한다.
본 발명의 최선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신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실시형태를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러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 : 커넥터
5 : 패들보드(대상물)
10 : 제1콘택트
12 : 접점부
14 : 단자부
20 : 제1정렬부재
22 : 돌기
30 : 제2콘택트
32 : 접점부
34 : 단자부
40 : 제2정렬부재
42 : 돌기
50 : 그라운드 부재
52 : 주부
54 : 록스프링부
56 : 연결부
58 : 홈부
60 : 압입돌기
62 : 록부
64 : 그라운드 단자부
66 : 단차부
70 : 지지부재
72 : 제1수용부(피치방향 위치결정부, 소정방향 위치결정부)
74 : 제2수용부(피치방향 위치결정부, 소정방향 위치결정부)
76 : 중간수용부
78 : 위치결정부
80 : 셀
82 : 폴부
90 : 프론트 보호부재
900 : 커넥터
910 : 콘택트
912 : 그라운드 콘택트
920 : 지지부재
930 : 그라운드 플레이트
932 : 스프링부
940 : 셀
942 : 개구
950 : 록부재
952 : 록부

Claims (15)

  1. 결합방향을 따라 상대측 커넥터(相對側 connector)와 결합할 수 있는 커넥터로서,
    상기 커넥터는, 제1정렬부재(第1整列部材)와, 제2정렬부재와, 복수의 제1콘택트(第1contact)와, 복수의 제2콘택트와, 그라운드 부재(ground 部材)와, 지지부재(支持部材)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정렬부재는, 상기 제1콘택트를 상기 결합방향과 직교하는 피치방향(pitch方向)으로 정렬시킴과 아울러 상기 제1콘택트를 지지하고 있고,
    상기 제2정렬부재는, 상기 제2콘택트를 상기 피치방향으로 정렬시킴과 아울러 상기 제2콘택트를 지지하고 있고,
    상기 그라운드 부재는, 평판모양의 주부(主部)와, 록스프링부(lock spring部)와, 연결부(連結部)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록스프링부는, 상기 상대측 커넥터의 피록부(被lock部)를 록 하는 록부(lock部)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주부와 상기 록스프링부를 서로 연결하고 있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제1정렬부재와 상기 제2정렬부재의 사이에 상기 그라운드 부재의 상기 주부가 위치하도록, 상기 제1정렬부재와 상기 제2정렬부재와 상기 그라운드 부재를 모아서 지지하고 있고,
    상기 그라운드 부재는, 한 장의 금속판을 펀칭하여 형성함으로써 상기 주부와 상기 록스프링부와 상기 연결부를 일체화한 부재이고,
    상기 주부와 상기 록스프링부는,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록스프링부는 상기 평면 내에 있어서 탄성변형 가능한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정렬부재와 상기 제2정렬부재의 적어도 일방(一方)에는, 상기 결합방향 및 상기 피치방향의 쌍방과 직교하는 소정방향으로 돌출된 돌기(突起)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피치방향에 있어서 상기 주부와 상기 록스프링부의 사이에 홈부(groove部)가 형성되도록 상기 주부와 상기 록스프링부를 연결하고 있고,
    상기 지지부재에는 위치결정부(位置決定部)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위치결정부는, 상기 피치방향에 있어서 상기 홈부 내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제1정렬부재와 상기 제2정렬부재의 적어도 일방의 상기 돌기는, 상기 결합방향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부와 상기 연결부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제1정렬부재와 상기 제2정렬부재의 각각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정렬부재의 상기 돌기와 상기 제2정렬부재의 상기 돌기는, 상기 홈부 내에 있어서 상기 소정방향으로 대향하고 있는
    커넥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4각 기둥 형상을 구비하고 있는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 부재에는 압입돌기(壓入突起)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그라운드 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에 압입되어 고정되어 있는
    커넥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 부재에는 압입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압입돌기는 상기 주부로부터 상기 홈부 내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그라운드 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에 압입되어 고정되어 있는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피치방향에 있어서 상기 압입돌기와 상기 록스프링부 사이의 거리보다 작은 사이즈(size)를 구비하고 있는 커넥터.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부는, 상기 평면 내에 있어서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는 커넥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정렬부재와 상기 제2정렬부재는 서로 동일한 구조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제1정렬부재를 수용하는 제1수용부와, 상기 제2정렬부재를 수용하는 제2수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수용부와 상기 제2수용부는, 상기 피치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지지부재의 중간점으로서 상기 결합방향과 상기 피치방향의 쌍방과 직교하는 소정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지지부재의 중간점을 지나는 선에 대하여 회전대칭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콘택트 및 상기 제2콘택트의 각각은, 대상물에 접속되어 고정되는 단자부(端子部)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그라운드 부재는, 상기 대상물에 접속되어 고정되는 그라운드 단자부(ground 端子部)를 구비하고 있는
    커넥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피치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정렬부재와 상기 제2정렬부재를 위치결정하는 피치방향 위치결정부를 구비하고 있는 커넥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결합방향 및 상기 피치방향의 쌍방과 직교하는 소정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정렬부재와 상기 제2정렬부재를 위치결정하는 소정방향 위치결정부를 구비하고 있는 커넥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 셀(shell)을 구비하고 있는 커넥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셀에는 폴부(pawl部)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그라운드 부재에는 단차부(段差部)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폴부의 선단(先端)은, 상기 결합방향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와 대향(對向)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커넥터.
KR1020167024689A 2014-03-19 2015-03-02 커넥터 KR1018175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56055 2014-03-19
JP2014056055A JP6265803B2 (ja) 2014-03-19 2014-03-19 コネクタ
PCT/JP2015/056034 WO2015141452A1 (ja) 2014-03-19 2015-03-02 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9199A KR20160119199A (ko) 2016-10-12
KR101817588B1 true KR101817588B1 (ko) 2018-01-11

Family

ID=54144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4689A KR101817588B1 (ko) 2014-03-19 2015-03-02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761981B2 (ko)
JP (1) JP6265803B2 (ko)
KR (1) KR101817588B1 (ko)
CN (1) CN106170896B (ko)
TW (1) TWI525942B (ko)
WO (1) WO20151414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49401B (zh) * 2014-08-08 2019-02-05 莫列斯公司 电连接器及电连接器组合
CN105119081A (zh) * 2015-09-09 2015-12-02 连展科技(深圳)有限公司 插头电连接器
JP6495461B2 (ja) 2015-11-06 2019-04-03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ンパクト高速コネクタ
JP6525854B2 (ja) * 2015-11-24 2019-06-0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JP6749114B2 (ja) * 2016-03-18 2020-09-0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コネクタ
US10074935B2 (en) * 2016-04-26 2018-09-11 Aces Electronics Co., Ltd. Floating connector
JP6344576B2 (ja) * 2016-04-26 2018-06-20 第一精工株式会社 Usbコネクタ
JP6390663B2 (ja) 2016-05-18 2018-09-19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CN205944586U (zh) 2016-07-26 2017-02-08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电连接器组件
TWI603542B (zh) 2016-12-16 2017-10-21 P-Two Ind Inc Connector structure
CN108206363A (zh) * 2016-12-19 2018-06-26 达昌电子科技(苏州)有限公司 连接器结构
JP2018142518A (ja) * 2017-02-28 2018-09-13 第一精工株式会社 信号入出力コネクタ装置
JP6763340B2 (ja) 2017-05-10 2020-09-30 I−Pex株式会社 コネクタ
JP6764370B2 (ja) 2017-05-10 2020-09-30 I−Pex株式会社 コネクタ
KR101965216B1 (ko) * 2018-07-09 2019-04-03 주식회사 제이앤티씨 플러그스톱퍼 하우징을 갖는 방수 소켓 커넥터
CN109390715B (zh) * 2018-10-09 2020-11-24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电连接器
CN112018546B (zh) * 2019-05-29 2021-12-10 上海莫仕连接器有限公司 插座连接器及连接器组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35865B2 (ja) * 1988-05-13 1999-08-16 バーグ・テクノロジー・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終端器受け入れ器及び電気コネクタシステム
JP2005327701A (ja) * 2004-05-11 2005-11-24 Shukuran Yori 端子ポートのプラスチック芯がある端子列のコネクター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24383A (en) * 1986-11-18 1989-04-25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Terminator and corresponding receptacle for multiple electrical conductors
US5169324A (en) * 1986-11-18 1992-12-08 Lemke Timothy A Plug terminator having a grounding member
US5057028A (en) * 1986-11-18 1991-10-15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Receptacle having a nosepeice to receive cantilevered spring contacts
JP3451305B2 (ja) * 1999-03-04 2003-09-2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Emi対策コネクタ
JP2002367732A (ja) * 2001-06-07 2002-12-20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
JP4028525B2 (ja) * 2004-06-25 2007-12-2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8146954A (ja) 2006-12-08 2008-06-26 Kel Corp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
EP2293393B1 (en) 2008-06-04 2020-01-15 Hosiden Corporation Electric connector
WO2011140438A2 (en) * 2010-05-07 2011-11-10 Amphenol Corporation High performance cable connector
CN202712613U (zh) * 2012-06-15 2013-01-30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TWI577094B (zh) * 2014-08-28 2017-04-01 連展科技股份有限公司 插頭電連接器
CN105470668B (zh) * 2014-09-12 2018-08-10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线缆及设置该线缆的线缆连接器组件
CN204243263U (zh) * 2014-11-14 2015-04-01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源连接器组件
CN204315839U (zh) * 2014-12-16 2015-05-06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线缆连接器组件
CN204835012U (zh) * 2015-06-29 2015-12-02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线缆连接器组件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35865B2 (ja) * 1988-05-13 1999-08-16 バーグ・テクノロジー・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終端器受け入れ器及び電気コネクタシステム
JP2005327701A (ja) * 2004-05-11 2005-11-24 Shukuran Yori 端子ポートのプラスチック芯がある端子列のコネクタ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265803B2 (ja) 2018-01-24
CN106170896B (zh) 2018-05-25
WO2015141452A1 (ja) 2015-09-24
US20170110821A1 (en) 2017-04-20
CN106170896A (zh) 2016-11-30
KR20160119199A (ko) 2016-10-12
US9761981B2 (en) 2017-09-12
TWI525942B (zh) 2016-03-11
TW201547124A (zh) 2015-12-16
JP2015179591A (ja) 2015-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7588B1 (ko) 커넥터
US10333239B2 (en) Connector
JP7207975B2 (ja) コネクタ
US8845351B2 (en) Connector housing with alignment guidance feature
EP2833484B1 (en) Electric wire-to-substrate connector
US10243288B2 (en) Female-type electrical connector, male-type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tilizing same
CN110492277B (zh) 阴连接器和嵌合连接器
CN110832708B (zh) 带有端子对准板和辅助锁检测的电连接器
CN104253337B (zh) 连接器以及在该连接器中使用的插头件及插口件
US20180294602A1 (en) Connector assembly with an improved latch member having a shorter length
KR101613167B1 (ko) Usb 리셉터클
KR101234175B1 (ko) 자체 정렬 연결구
EP2613410A1 (en) Structure for preventing improper insertion of connector
US9391396B1 (en) Latching arrangement for electrical connectors
CN110911873B (zh) 连接端子
EP2051335B1 (en) A connector
KR102224186B1 (ko) 전기 커넥터
CN107634379B (zh) 连接器
KR101424545B1 (ko) 커넥터
CN113168970B (zh) 连接模块
JP4616760B2 (ja) 同軸コネクタ
CN114843815A (zh) 电连接器
JP2018014180A (ja) コネクタ
JP2016081832A (ja) コネクタ
JP2005142067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