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7126B1 - 수분 저장과 배출이 가능한 수분저장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수분저장구조물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수분 저장과 배출이 가능한 수분저장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수분저장구조물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7126B1
KR101817126B1 KR1020150160897A KR20150160897A KR101817126B1 KR 101817126 B1 KR101817126 B1 KR 101817126B1 KR 1020150160897 A KR1020150160897 A KR 1020150160897A KR 20150160897 A KR20150160897 A KR 20150160897A KR 101817126 B1 KR101817126 B1 KR 1018171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moisture
water storage
storage structure
s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0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7885A (ko
Inventor
이진원
이두한
김명환
한남수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한남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한남수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160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7126B1/ko
Publication of KR20170057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78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7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71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6Reservoirs, separate from plant-pots, dispensing directly into rooting mediu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06Watering arrangements making use of perforated pipe-lines located in the soi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9/00Root feeders; Injecting fertilisers into the roots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수분저장구조물은 수분을 흡착하거나 배출하기 위해 토양 속에 매립되는 구조물로서, 주변토양의 수분함유율에 따라 수분을 흡착하거나 배출하는 수분흡착제(200); 수분흡착제(200)가 수용되는 수용부(V)가 구비된 용기(100); 용기(100)의 표면에 형성되어 수용부(V)와 용기(100)의 외부를 연결하되, 수분은 통과되고, 상기 수분흡착제(200)는 통과되지 못하는 유동공(110);을 포함하며, 용기(100)는 체적변화가 발생되지 않는다.
때문에 식생활착이 가능하도록 토양의 수분함유율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인공제방이나 절토부의 경사면에는 설치되어 식생을 활착하여 토사면의 붕괴와 세굴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분 저장과 배출이 가능한 수분저장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수분저장구조물 설치방법{MOISTURE STORAGE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건설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수분을 저장하고 배출할 수 있는 수분저장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인공제방이나 절토부의 경사면에는 식생을 활착하여 토사면의 붕괴와 세굴을 방지한다.
이는 인공구조물을 설치하여 안정화시키는 것보다 시공비가 저렴하고, 자연친화적인 공법이다.
그러나 인공제방이나 절토부의 경사면에 활착된 식생은 가뭄에는 토양의 수분이 부족하여 말라 죽고, 장마철에는 토양의 수분 함유량이 과다하여 뿌리가 썩어 죽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토양의 수분 포화도를 유지시킬 수 있는 수분저장구조물을 이용하여 건기와 우기시에도 식생활착을 가능하게 하고, 이로 인해 식생이 활착된 인공제방 또는 절토부의 경사면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의 수분저장구조물은 수분을 흡착하거나 배출하기 위해 토양 속에 매립되어, 주변토양의 수분함유율에 따라 수분을 흡착하거나 배출하는 수분흡착제(200); 상기 수분흡착제(200)가 수용되는 수용부(V)가 구비된 용기(100); 상기 용기(100)의 표면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V)와 상기 용기(100) 외부를 연결하되, 수분은 통과되고, 상기 수분흡착제(200)는 통과되지 못하는 유동공(110);을 포함하며, 상기 용기(100)는 체적변화가 발생되지 않는 강성을 가진다.
상기 수분흡착제(200)가 상기 수용부(V)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막(30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단막(300)은 상기 수분흡착제(200)를 수용하여 상기 수용부(V)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단막(300)은 상기 용기(100)를 감싸도록 상기 용기(100)의 외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단막(300)은 부직포, PE 또는 PP 소재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제작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부(V)는 상기 수분흡착제(200)의 최대 팽창부피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분흡착제(200)는 분말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기(100)는 광분해성 또는 생분해성 플라스틱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기(100)에는 상기 용기(100)의 외측으로 결합고리(120)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기(100)는 상기 결합고리(120)를 앵커(400)로 고정하여 토양 속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수분저장구조물의 설치방법은 상기 수분흡착제(200)를 제조하는 수분흡착제제조단계(S100); 상기 수분저장용기(100)에 상기 수분흡착제(200)를 수납하는 수분저장구조물 제작단계(S200); 식생활착을 위해 토양에 상기 수분저장구조물을 방사형으로 분포시키고 고정시키는 수분저장구조물 설치단계(S300);를 포함한다.
수분저장구조물 설치단계(S300)에서, 복수의 용기(100)를 상호 연결하는 용기연결단계(S31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분저장구조물을 이용하여 식생활착이 가능하도록 토양의 수분함유율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공제방이나 절토부의 경사면에는 식생을 활착하여 토사면의 붕괴와 세굴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수분저장구조물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수분저장구조물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차단막이 용기 내부에 설치된 수분저장구조물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차단막이 용기 외부에 설치된 수분저장구조물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수분저장구조물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수분저장구조물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앵커와 결합고리가 결합된 수분저장구조물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수분저장구조물 설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수분저장구조물 설치 평면도.
본 발명에 따른 수분 흡착과 배출이 가능한 수분저장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수분저장구조물 설치방법의 일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은 용어는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 기호에 불과하며,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이 제1, 제2 등의 용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분 흡착과 배출이 가능한 수분저장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수분저장구조물 설치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수분저장구조물은 수분을 흡착하거나 배출하기 위해 토양 속에 매립되는 구조물로서, 주변토양의 수분함유율에 따라 수분을 흡착하거나 배출하는 수분흡착제(200); 수분흡착제(200)가 수용되는 수용부(V)가 구비된 용기(100); 용기(100)의 표면에 형성되어 수용부(V)와 용기(100)의 외부를 연결하되, 수분은 통과되고, 상기 수분흡착제(200)는 통과되지 못하는 유동공(110);을 포함하며, 용기(100)는 체적변화가 발생되지 않는다.
이 경우, 수분저장구조물은 주변토양의 수분함유량이 높을 경우(장마 또는 하천범람) 수분을 흡수하고, 가뭄으로 토양의 수분함유량이 낮을 경우는 수분을 배출한다.
수분의 흡수와 배출은 용기 내부에 수용된 수분흡착재가 주변 토양의 수분을 흡수 하거나 흡수된 수분을 배출하여 이루어진다.
수분저장구조물의 수용부(V)는 수분흡착제가 주변 토양의 수분을 흡수하여 팽창하여도 충분한 공간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수분저장구조물은 토압에 파손되지 않는 강성을 가지며, 수분흡착제의 팽창압에도 저항할 수 있는 강성을 갖도록 제작된다.
수분흡착제(200)가 수용부(V)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막(30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차단막을 통해 수분흡착제는 용기 외부로 이탈되지 않는다.
차단막(300)은 수분흡착제(200)를 수용하여 수용부(V)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차단막은 수분흡착제를 수용하여 용기 내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수분흡착제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차단막(300)은 용기(100)를 감싸도록 용기(100)의 외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차단막은 용기를 감싸는 구조로 용기 외면에 설치되기 때문에 유동공의 막힘현상을 방지하여 수분의 이탈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차단막(300)은 부직포, PE 또는 PP 소재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제작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차단막은 가요성 재질로 제작되어 설치가 용이하다.
수용부(V)는 수분흡착제(200)의 최대 팽창부피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수용부에 수납된 수분흡착제의 최대 팽창부피를 고려하여 수용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수분저장구조물에는 수분흡착제의 팽창에 따른 압력이 발생하지 않는다.
수분흡착제(200)는 분말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수분흡착제는 분말형태로 제조되어 용기에 수용되기 때문에 유동공으로 손실되지 않는다.
용기(100)는 광분해성 또는 생분해성 플라스틱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용기는 광분해성 또는 생분해성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되기 때문에 토양을 오염시키지 않는다.
용기(100)에는 용기(100)의 외측으로 결합고리(120)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앵커를 사용하여 토양에 설치된 수분저장구조물을 지반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용기(100)는 결합고리(120)를 앵커(400)로 고정하여 토양 속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수분저장구조물은 앵커에 의해 고정되기 때문에 집중호우 및 하천범람으로 토양의 유실이 발생하여도 안정적으로 설치되어 진다.
본 발명의 의한 수분저장구조물 설치방법은 수분흡착제(200)를 제조하는 수분흡착제제조단계(S100); 수분저장용기(100)에 수분흡착제(200)를 수납하는 수분저장구조물 제작단계(S200); 식생활착을 위해 토양에 수분저장구조물을 방사형으로 분포시키고 고정시키는 수분저장구조물 설치단계(S300);를 포함한다.
이 경우, 수분저장구조물은 식생활착을 위해 수분저장용량에 따라 상호 간격을 두고 토양에 방사형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토양의 수분유지가 용이하다.
수분저장구조물 설치단계(S300)에서, 복수의 용기(100)를 상호 연결하는 용기연결단계(S31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복수갱의 수분저장구조물은 상호 연결되어 설치되기 때문에 홍수나 범람시 유실되지 않는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 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 수분저장구조물 V : 수용부
100 : 용기 110 : 유동공
120 : 결합고리 200 : 수분흡착제
300 : 차단막 400 : 앵커

Claims (12)

  1. 수분을 흡착하거나 배출하기 위해 토양 속에 매립되는 수분저장구조물로서,
    주변토양의 수분함유율에 따라 수분을 흡착하거나 배출하는 분말형태의 수분흡착제(200);
    상기 수분흡착제(200)가 수용되는 수용부(V)가 구비된 구형 또는 각형의 용기(100);
    상기 용기(100)의 표면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V)와 상기 용기(100) 외부를 연결하되, 수분은 통과되고, 상기 수분흡착제(200)는 통과되지 못하는 유동공(110);
    상기 수분흡착제(200)가 상기 수용부(V)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막(300);을 포함하되,
    상기 차단막(300)은
    부직포, PE 또는 PP 소재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제작되어 상기 수분흡착제(200)를 수용하여 상기 수용부(V)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용기(100)를 감싸도록 상기 용기(100)의 외면에 설치되고,
    상기 수용부(V)는 상기 수분흡착제(200)의 최대 팽창부피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용기(100)는 체적변화가 발생되지 않는 강성을 가지는 광분해성 또는 생분해성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되고,
    상기 용기(100)에는 상기 용기(100)의 외측으로 결합고리(120)가 형성되며,
    상기 용기(100)는
    상기 결합고리(120)를 앵커(400)로 고정하여 토양 속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저장구조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의 수분저장구조물의 설치방법으로서,
    상기 수분흡착제(200)를 제조하는 수분흡착제제조단계(S100);
    상기 수분저장용기(100)에 상기 수분흡착제(200)를 수납하는 수분저장구조물 제작단계(S200);
    식생활착을 위해 토양에 상기 수분저장구조물을 방사형으로 분포시키고 고정시키는 수분저장구조물 설치단계(S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저장구조물 설치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저장구조물 설치단계(S300)에서,
    복수의 상기 용기(100)를 상호 연결하는 용기연결단계(S3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저장구조물 설치방법.
KR1020150160897A 2015-11-17 2015-11-17 수분 저장과 배출이 가능한 수분저장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수분저장구조물 설치방법 KR1018171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0897A KR101817126B1 (ko) 2015-11-17 2015-11-17 수분 저장과 배출이 가능한 수분저장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수분저장구조물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0897A KR101817126B1 (ko) 2015-11-17 2015-11-17 수분 저장과 배출이 가능한 수분저장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수분저장구조물 설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7885A KR20170057885A (ko) 2017-05-26
KR101817126B1 true KR101817126B1 (ko) 2018-01-11

Family

ID=59051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0897A KR101817126B1 (ko) 2015-11-17 2015-11-17 수분 저장과 배출이 가능한 수분저장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수분저장구조물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712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4660B1 (ko) * 2008-06-11 2009-06-24 김웅식 수목재배용 물공급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4660B1 (ko) * 2008-06-11 2009-06-24 김웅식 수목재배용 물공급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7885A (ko) 2017-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126850A (ja) 人工芝とそれを用いた人工芝グランドの施工方法
KR100919459B1 (ko) 인조잔디 구조체
KR100919458B1 (ko) 인조잔디 구조체
KR101583664B1 (ko) 식생유닛을 이용한 비탈면 녹화공법 및 식생유닛
KR101817126B1 (ko) 수분 저장과 배출이 가능한 수분저장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수분저장구조물 설치방법
US7811030B2 (en) Water drainage system for a field having a water impermeable layer
KR101033011B1 (ko) 법면 녹화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법면 녹화공법
KR101879729B1 (ko) 부직포가 포함된 식생용 칸막이 철망 및 이를 이용한 경사면 녹화공법
KR101984534B1 (ko) 야자매트 결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야자매트 설치방법
KR101201529B1 (ko) 친환경 식생 게비온 및 이를 이용한 사면처리 공법
KR101998857B1 (ko) 절개지 물 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절개지의 녹화방법
CN110965562A (zh) 一种护坡植株定植生态恢复系统
WO2012004874A1 (ja) 土壌改善方法および土壌改善用構造体
JP2013011075A (ja) 土表面保護シート及びそれを備えた植生体
CN215223616U (zh) 一种蓄水型生态袋
US20160128287A1 (en) Composite mat for water distribution and self-watering of potted plants
KR20040104181A (ko) 생태 복원 매트
KR101571380B1 (ko) 경사면 식생블럭
JP5046537B2 (ja) 堤防の遮水構造、堤防の遮水方法
KR101171960B1 (ko) 농수로의 친환경 저류형 개량공법
JP3731115B2 (ja) 緑化構造体及びその施工方法
JP2020186547A (ja) 法面安定化装置、法枠構造、及び、法枠構造を構築する方法
JP2018066758A5 (ja) 放射線透過低減構成基材
JP7310557B2 (ja) 遮水壁及び護岸壁
KR200240430Y1 (ko) 자연석을 이용한 호안 법면(法面) 보호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