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4117B1 - An Operation Tool for Outer Walls of a Building and Gondola Unit Comprising the Operation Tool - Google Patents
An Operation Tool for Outer Walls of a Building and Gondola Unit Comprising the Operation Too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14117B1 KR101814117B1 KR1020150143075A KR20150143075A KR101814117B1 KR 101814117 B1 KR101814117 B1 KR 101814117B1 KR 1020150143075 A KR1020150143075 A KR 1020150143075A KR 20150143075 A KR20150143075 A KR 20150143075A KR 101814117 B1 KR101814117 B1 KR 10181411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ondola
- unit
- head
- horizontal rod
- build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2—Arrangements for cleaning building faca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pray Control Apparatus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외벽에서 도장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툴 및 그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프레이노즐과 로울러를 구비하여 건물 외벽의 도장 및 청소가 가능한 도장기에 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건물 외벽의 도장 및 청소를 위한 곤돌라 작업툴로서, 로울러와 스프레이 노즐을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마련된 헤드부; 단부가 상기 헤드부와 연결되어 상기 헤드부를 좌/우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수평로드부; 상기 수평로드부를 지지하는 메인프레임; 상기 수평로드부가 상기 헤드부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서보모터; 및 상기 서보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헤드부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기어부를 포함하는 곤돌라 작업툴을 제공한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rk tool and a unit for performing a painting operation on an outer wall of a build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paint applicator having a spray nozzle and a roller to paint and clean an outer wall of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gondola work tool for painting and cleaning an outer wall of a building, comprising: a head unit selectively or simultaneously used with a roller and a spray nozzle; A horizontal rod portion having an end connected to the head portion and guiding the head portion in a left / right longitudinal direction; A main frame supporting the horizontal rod portion; A servo motor for generating a driving force so that the horizontal rod unit can guide the head unit; And a gear portion that receives a driving force from the servo motor and varies a position of the head por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물 외벽에서 도장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프레이노즐과 로울러를 구비하여 건물 외벽의 도장 및 청소가 가능한 도장기에 대한 발명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rk tool for performing a painting operation on an outer wall of a build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paint applicator having a spray nozzle and a roller to paint and clean an outer wall of a building.
고층건물 또는 고층구조물 외벽의 도장(塗裝), 청소, 미장, 견출작업 등을 수행하기위해 사람이나 화물을 건물의 원하는 높이까지 승강시키기 위한 기구로서, 곤돌라(Gondola)가 이용된다. Gondola is used as a mechanism for raising and lowering a person or cargo to a desired height of a building in order to perform painting, cleaning, plastering, and outfitting of a high-rise building or a high-rise structure exterior wall.
곤돌라(Gondola)는 운반구, 승강장치, 기타의 장치 및 이들에 부속된 기계부품에 의하여 구성되고 와이어로프 또는 기타 강선에 의하여 운반구가 상승 또는 하강하는 설비를 말한다.A gondola is a facility consisting of a port, elevator and other devices and mechanical parts attached to them, and means a facility in which the port is raised or lowered by wire rope or other wire.
곤돌라는 고층건물의 외벽작업에 있어, 작업성이 우수하고 안전하게 고소작업이 수행 가능한 장점 때문에 많이 활용되고 있으며 그 형태와 활용 또한 다양하다.Gondola is widely used for the exterior wall work of high-rise buildings because of its excellent workability and safe handling ability.
그 중 곤돌라는 크게 구동방식에 따라 전동식과 수동식, 그리고 특수형 곤돌라로 분류되고, 세부적으로는 작동방식에 따라, 윈치형(Winch type), 엔드리스 와인더형(Endless winder type), 레일형(rail type)등으로 분류된다.Among them, the gondola is largely divided into electric type, manual type, and special type gondola according to the driving type. In detail, the gondola is classified into a winch type, an endless winder type, a rail type, .
산업발전에 따라 곤돌라의 구동방식도 진화하고 있으며, 보다 작업효율이 높고 안전성이 우수한 곤돌라가 개발되고 있다. 최근에는 로봇 탑재형 곤돌라가 개발되는 추세로서 건물외벽 작업의 자동화가 화두에 오르고 있다.As the industry develops, the driving method of the gondola is also evolving, and a gondola with higher operation efficiency and excellent safety is being developed. In recent years, automation of exterior wall work has been the subject of discussion as a robot-mounted gondola is being developed.
예를들어, 한국 공개특허공보 2000-0047600에서는 전산프로그래밍화한 중앙컴퓨터 및 콘트롤박스에 운전자가 사전에 입력한 데이터에 의해 건물의 형태에 맞게 벽면을 타고 오르내리면서 화학용액세척, 수성세제 세척, 물세척 및 건조과정을 병행하여 벽면 및 창유리를 청소할 수 있는 건물외벽 및 창유리 청소로봇을 개시하고 있다.For example, Korean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0-0047600 discloses a method of cleaning a chemical solution, a water-based detergent solution, and a cleaning solution while riding up and down the wall according to the shape of a building, And a cleaning window and a window glass cleaning robot which can clean the wall and the window glass simultaneously with the water washing and drying processes.
도 1은 종래 기술의 곤돌라 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gondola device of the prior art.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발명은 로봇을 사용하여 작업자가 곤돌라에 탑승하지 않고도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곤돌라에 설치된 도장시스템이 복잡하고 공간을 많이 차지하였다. 구성이 복잡하기 때문에 도장 시스템의 유지 및 보수가 어렵고, 로프에 작용하는 하중이 커 운용에 많은 제약이 있다.As shown in FIG. 1, the conventional art has an advantage that a robot can be used without an operator on a gondola, but the coating system installed in the gondola is complicated and takes up a lot of space. It is difficult to maintain and repair the painting system because of the complicated construction, and the load applied to the rope is very limited.
또한, 종래기술의 경우 스프레이 또는 로울러를 곤돌라에 고정식으로서 설치하므로 탈거 및 교체가 용이하지 않아, 작업환경에 따른 유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예컨대, 로울러가 필요한 빌딩의 외벽에 스프레이 방식의 도장시스템은 적절치 못하며, 스프레이가 필요한 빌딩의 외벽에 로울러 방식의 도장시스템은 적절치 못하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prior art, since the spray or the roller is installed as a stationary type on the gondola, it is not easy to remove or replace the spray or the roller and the flexibility according to the working environment is deteriorated. For example, a spray system is not suitable for the outer wall of a building requiring a roller, and a roller system is not suitable for the outer wall of a building requiring spraying.
위와 같은 종래기술을 위시하여, 전 세계적으로 수직외벽 도장, 시공 및 모니터링 자동화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는 있으나, 기기의 경량화 및 효율화 측면 등에서 현재 기술개발이 매우 미흡한 상황이다.Although research on vertical exterior wall painting, construction and monitoring automation has been carried out in the world,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art, current technology development is insufficient in terms of weight reduction and efficiency of devices.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작업환경에 따라 스프레이 및 롤러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콤팩트하면서도 효율적인 작업 운용이 가능한 곤돌라 작업툴 및 곤돌라 유닛을 제공함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gondola work tool and a gondola unit that can selectively use sprays and rollers according to a work environment and can operate compactly and efficiently.
또한, 곤돌라의 주요 구성품을 탈부착 가능하도록 하여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도록 하는 곤돌라 작업툴 및 곤돌라 유닛을 제공한다.Also, there is provided a gondola work tool and a gondola unit for facilitating maintenance and repair by detachably attaching main components of a gondola.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건물 외벽의 도장 및 청소를 위한 곤돌라 작업툴로서, 로울러와 스프레이 노즐을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마련된 헤드부; 단부가 상기 헤드부와 연결되어 상기 헤드부를 좌/우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수평로드부; 상기 수평로드부를 지지하는 메인프레임; 상기 수평로드부가 상기 헤드부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서보모터; 및 상기 서보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헤드부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기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는 빌딩 외벽을 향해 스프레이 노즐이 구비되는 헤드본체와 상기 헤드본체의 일 측에 장착되는 틸팅 가능한 로울러를 함께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돌라 작업툴을 제공한다.As a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gondola work tool for painting and cleaning an outer wall of a building, comprising: a head unit selectively or simultaneously using a roller and a spray nozzle; A horizontal rod portion having an end connected to the head portion and guiding the head portion in a left / right longitudinal direction; A main frame supporting the horizontal rod portion; A servo motor for generating a driving force so that the horizontal rod unit can guide the head unit; And a gear portion that receives a driving force from the servo motor to vary a position of the head portion, wherein the head portion includes a head main body having a spray nozzle toward an outer wall of a building, and a tiltable roller mounted on one side of the head main body And a gondola work tool.
이때 상기 헤드부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head portion may protrude outward from the main frame.
또한, 상기 헤드부, 수평로드부, 서보모터 및 기어부는 각각 한 쌍 구비되고 상기 메인프레임을 기준으로 좌/우 양쪽에서 대칭적으로 배치되되 상호 독립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The head unit, the horizontal rod unit, the servo motor, and the gear unit are each provided with a pair and are symmetrically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main frame, but can be operat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메인프레임 일 측에 구비되며, 상기 수평로드부의 직선운동이 원활하도록 상기 수평로드부의 외주를 감싸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 부쉬를 포함할 수 있고,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t least one ball bush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frame and surrounds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horizontal rod to smoothly move the horizontal rod.
상기 수평로드부의 일측에는 상기 기어부와 치합되도록 랙(rack)이 형성될 수 있으며,A rack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horizontal rod to be engaged with the gear,
상기 헤드부는 상기 수평로드부와 탈착 가능하도록 일 면에 플랜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The head portion may be formed with a flange on one surface thereof so as to be detachable from the horizontal rod portion.
한편, 상기 헤드부는 빌딩 외벽을 향해 스프레이 노즐이 구비되는 헤드본체와 상기 헤드본체의 일 측으로부터 돌출 행정(stroke)가능하도록 구성된 로울러를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head unit may include a head body having a spray nozzle toward an outer wall of the building, and a roller configured to be able to stroke from one side of the head body.
그리고 상기 헤드부에 로울러가 장착되는 경우, 상기 작업툴은 상기 로울러의 일 측을 지지하여 상기 헤드부와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아암을 포함하며, 상기 로울러는 상기 지지아암의 작동에 의해 상기 건물외벽의 높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틸팅될 수 있는데, And wherein when the roller is mounted on the head portion, the working tool includes at least one support arm that supports one side of the roller and connects to the head portion, And can be tilted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height direction of the outer wall,
이때, 상기 지지아암은 상기 헤드부와 힌지결합될 수 있으며,At this time, the support arm may be hinged to the head portion,
상기 헤드부의 일 측에 위치하고 일단부가 상기 지지아암과 연결되며, 전/후 운동을 통해 상기 지지아암을 틸팅시키는 실린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nd a cylinder positioned at one side of the head and connected to the support arm at one end thereof and tilting the support arm through forward / backward movement.
아울러, 상기 곤돌라 작업툴의 메인프레임 및 수평로드부는 알루미늄 재질의 프로파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main frame and the horizontal rod portion of the gondola work tool may be made of an aluminum material profile.
과제의 해결을 위한 다른 실시예로는 건물외벽의 도장 및 청소를 위한 곤돌라유닛으로서, 상기 곤돌라유닛의 프레임을 형성하는 곤돌라플랫폼; 상기 건물외벽과의 밀착을 유지하는 석션팬; 상기 곤돌라유닛에 연결된 와이어를 권취 또는 권출하여 상기 곤돌라 유닛을 상하 이동시키는 와인더; 및 상기 건물외벽의 도장과 청소를 위해 마련되는 작업툴을 포함하되, 상기 작업툴은 로울러와 스프레이 노즐을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를 좌/우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수평로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는 빌딩 외벽을 향해 스프레이 노즐이 구비되는 헤드본체와 상기 헤드본체의 일 측에 장착되는 틸팅 가능한 로울러를 함께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돌라유닛을 제공한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gondola unit for painting and cleaning an outer wall of a building, comprising: a gondola platform for forming a frame of the gondola unit; A suction fan for maintaining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 winder for moving the gondola unit up and down by winding or unwinding a wire connected to the gondola unit; And a work tool provided for painting and cleaning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wherein the work tool includes a head portion provided to selectively use or simultaneously use a roller and a spray nozzle, and a head portion And a horizontal rod portion, wherein the head portion includes a head main body having a spray nozzle toward an outer wall of the building, and a tiltable roller mounted on one side of the head main body.
이때 상기 헤드부는 상기 곤돌라플랫폼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head portion may protrude outside the gondola platform.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작업툴은 상기 곤돌라플랫폼으로부터 탈착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work tool may be configured to be detachable from the gondola platform.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헤드부는 빌딩 외벽을 향해 스프레이 노즐이 구비되는 헤드본체와 상기 헤드본체의 일 측으로부터 돌출 행정(stroke)가능하도록 구성된 로울러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head portion may include a head body having a spray nozzle toward the building outer wall, and a roller configured to be able to stroke from one side of the head body.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작업툴은 상기 헤드부를 상기 수평로드부 상에서 이송가능 하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서보모터와 상기 서보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헤드부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기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working tool may include a servo motor for generating a driving force for allowing the head portion to be transferred on the horizontal rod portion, and a gear portion for receiving the driving force from the servo motor to vary the position of the head portion.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헤드부와 상기 수평로드부는 각각 한 쌍 구비되고 상기 곤돌라플랫폼을 기준으로 좌/우 양쪽에서 대칭적으로 배치되되 상호 독립적으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돌라유닛.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head unit and the horizontal rod unit are each provided with a pair and are symmetrically disposed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gondola platform, and are independently operat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곤돌라 유닛은 도장의 비산을 방지하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고,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gondola unit may further include a cover member for preventing scattering of paint,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곤돌라유닛은 건물외벽과의 거리를 유지하고 상기 건물외벽에 롤링하는 가이드휠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gondola unit may further include a guide wheel that maintains a distance from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nd rolls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곤돌라유닛은 상기 와인더로부터 상기 와이어가 권출 시, 일정속도 이상으로 가속되는 경우 자동으로 상기 와이어를 제동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gondola unit may further include a stopper for automatically bending the wire when the wire is accelerated at a predetermined speed or more when the wire is pulled out from the winder.
아울러, 상기 곤돌라 플랫폼 및 상기 곤돌라 작업툴의 수평로드부는 알루미늄 재질의 프로파일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horizontal load part of the gondola platform and the gondola work tool may be made of an aluminum material profile.
그리고 상기 곤돌라유닛은 일 측에 전장박스를 구비하여 기 설정된 동작대로 자동으로 작업을 수행하거나, 상기 곤돌라유닛에 연결된 지상제어부를 통해 원격 제어될 수 있다.The gondola unit may be provided with an electric box on one side to automatically perform a predetermined operation or may be remotely controlled through a ground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gondola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곤돌라 작업툴 및 곤돌라 유닛을 사용하면 작업환경에 따라 스프레이 및 롤러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콤팩트하면서도 효율적인 작업 운용이 가능하고, 곤돌라 작업툴 및 곤돌라 유닛의 주요 구성품이 탈부착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게 된다. The use of the gondola work tool and the gondola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selective use of the spray and the roller depending on the working environment and enables a compact and efficient operation of the work, and the main components of the gondola work tool and the gondola unit So that maintenance and repair can be facilitated.
또한, 작업툴(도장툴) 헤드부가 외부로 돌출하여 왕복 구동 가능하므로 곤돌라의 승강 이동시에도 자유롭게 작업이 가능하며,In addition, since the head of the working tool (coating tool) protrudes outward and can reciprocate, the work can be freely performed even when the gondola is lifted and lowered,
헤드부에 장착되는 로울러가 틸팅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도장작업의 미세조작이 가능하고, 건물벽면의 요철이나 돌출부에 유연하게 대응가능한 효과가 있다. The roller mounted on the head can be tilted so that the coating operation can be finely controlled and the irregularities and protrusions on the wall of the building can be flexibly applied.
아울러, 본 발명의 작업툴 헤드부가 좌우 대칭적으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양방향 작업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working tool hea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symmetrically,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bi-directional operation can be performed.
그리고 본 발명의 곤돌라 작업툴 및 유닛은 무인(자동 또는 원격)으로 운용될 수 있으므로 고소 작업 시 안전성이 확보되고, 작업 인력을 절감할 수 있는 점에서 유리하다. Further, since the gondola work tool and the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perated unmanned (automatic or remote), it is advantageous in that safety is secured in a high-altitude work and the work force can be saved.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곤돌라 유닛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곤돌라 작업툴의 상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곤돌라 작업툴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부의 상면도 및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울러의 상면도 및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본체 및 플렌지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곤돌라 유닛의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곤돌라 유닛의 상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곤돌라 유닛의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곤돌라 유닛의 운용 개념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gondola unit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 2 is a top view of a gondola work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front view of a gondola work tool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top view and front view of a he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top view and front view of a 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llustrates a head body and a flan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ront view of a gondola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top view of a gondola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ide view of a gondola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onceptual view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a gondola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으며,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provided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underst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structure or function may be considered to blur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으며,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It should be noted that the elements ha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또한, 어떤 구성요소들을 '포함' 또는 '구비'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하는 표현이며,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되는 '연결'이라는 표현은 일 부재와 타 부재의 직/간접적인 접합, 접속, 체결, 부착 등 모든 물리적인 연결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구성요소 간의 전기적인 연결도 의미할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Also, the expression " comprising " or " comprising " is intended to merely denote that such elements exist as an 'open expression' and should not be understood as excluding additional elements. The term 'connection' a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may mean all physical connections such as direct / indirect connection, connection, fastening, and attachment of one member and another member, and also means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components It should be noted that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곤돌라 작업툴의 상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곤돌라 작업툴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부의 상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울러의 상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본체 및 플렌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top view of a gondola work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of a gondola work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top view and a front view of a he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top view and a front view of a 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head main body and a flan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곤돌라 작업툴(A)과 곤돌라유닛(B)의 재질은 고소작업에서 높은 안전성을 확보하고 부식성이 좋은 금속이 함유된 강철 예컨대, 스테인레스, 티타늄, 텅스텐 등의 합금 소재로 이뤄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어, 작업툴(A)과 곤돌라 유닛(B)을 더욱 경량화시키기 위해 골조를 이루는 프레임을 알루미늄(AL) 재질의 프로파일을 선정할 수도 있다. 또한, 곤돌라 유닛(B)의 일부 플랫폼은 타공철판으로 구성되어 안전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경량화를 추구할 수도 있다. The material of the gondola work tool (A) and the gondola unit (B) can be made of steel containing high corrosive metal, such as stainless steel, titanium, tungsten, etc., It is not. For example, in order to further reduce the weight of the work tool A and the gondola unit B, a frame made of aluminum (AL) may be selected as the frame forming the frame. Further, a part of the platform of the gondola unit (B) is composed of a perforated steel plate to ensure safety and light weight.
이하에서는 먼저, 곤돌라 작업툴(A)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 뒤 곤돌라유닛(B)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First, the gondola work tool A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nd then the gondola unit B will be described.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곤돌라 작업툴(A)은 건물 외벽의 도장 및 청소를 위한 곤돌라 작업툴로서, 로울러(15)와 스프레이 노즐(13)을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마련된 헤드부(10); 단부가 상기 헤드부(10)와 연결되어 헤드부(10)를 좌/우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수평로드부(20); 수평로드부(20)를 지지하는 메인프레임(30); 수평로드부(20)가 헤드부(10)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서보모터(40); 및 서보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헤드부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기어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2 to 3, the gondola work tool 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gondola work tool for painting and cleaning the outer wall of a building, and is provided with a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곤돌라 작업툴(A)은 상기 헤드부(10), 수평로드부(20), 서보모터(40) 및 기어부(50)는 각각 한 쌍 구비되고 상기 메인프레임(30)을 기준으로 좌/우 양쪽에서 상호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작동될 수 있다. 다만, 상호 대칭되는 양 구성은 서로 종속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도장 및 청소 작업은 기본적으로 메인프레임(30) 좌측 또는 우측의 헤드부(10)에 의해 한 방향 작업이 진행되되, 작업조건이나 환경에 따라 좌/우 양측의 헤드부(10)를 동시에 사용하여 양방향 작업도 수행할 수 있다.Here, the gondola work tool A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 of the
헤드부(10)는 본 발명 도장시스템의 핵심요소로서, 로울러(15) 및 스프레이 노즐(13)을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수평로드부(20)는 단부가 헤드부(10)의 일면과 연결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헤드부(10)의 안정적인 구동을 위해 복수 개의 수평로드부(20)가 구비될 수 있다. 메인프레임(30)은 수평로드부(20)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성으로서 골조 구조로서 형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삼각 트러스 구조로 형성되거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트러스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The
보다 구체적으로, 헤드부(10)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로드부(20)에 일면이 연결되어 있되, 메인프레임(30)으로부터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메인프레임(30)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측 방향 대칭을 이루며 돌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헤드부(10)가 돌출 행정(stroke) 및 왕복 구동 가능하므로 곤돌라의 승강 이동시에도 자유롭게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2 and 3, the
수평로드부(20)는 대략 직경이 동일한 수평로드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고, 헤드부(10)의 일 면에 각각 연결된다. 그 일 예로써 도 2를 참조하면, 수평로드 3개가 구비되며 이는 헤드부(10)의 일면에서 상, 중, 하측에 각각 연결된다. 이와 같이 수평로드부(20)는 실질적으로 헤드부(10)를 지지하면서 이와 동시에 헤드부(10)를 왕복 운동시키는 선형 엑츄에이터의 역할을 수행한다. 전술한 헤드부(10)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수평로드부(20) 역시 좌/우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좌/우 대칭되는 수평로드부(20)는 상호 독립적으로 구동하게 된다. 일 예로서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좌측 3개의 수평로드와 우측 3개의 수평로드는 중심부에 위치한 메인프레임(30)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일 뿐 양측이 서로 연결된 구조가 아니므로 상호 독립적으로 움직이게 된다. The
메인프레임(30)은 본 발명 작업툴(A)의 구조적 밸런스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쌍의 사각프레임(32)과 상기 한 쌍의 사각프레임(32)을 상호 연결하면서 상기 수평로드부(20)와는 실질적으로 평행한 복수의 수평프레임(31)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의 사각프레임(32) 역시 트러스 구조로 형성될 수 있는데, 다만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투입되거나 물이 유입되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실링처리(미도시)된 육면체 구조로도 형성될 수 있다. The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프레임(30) 일 측에 구비되며, 상기 수평로드부(20)의 직선운동이 원활하도록 상기 수평로드부(20)의 외주를 감싸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 부쉬(6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평로드부(20)는 이하 후술하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과 수직한 단면이 원형일 수 있으며, 볼 부쉬(60)는 수평로드부(20)가 내접하도록 구성되되 수평로드부(20)가 원활히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공차가 여유로운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수평로드부(20)마다 두 개 이상의 볼 부쉬(60)가 배치되어 직선운동을 돕는 것이 좋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ball bushing (not shown)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한편, 본 발명의 서보모터(40)는 상기 수평로드부(20)를 구동시키기 위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성으로서, 상기 수평로드부(20)를 통해 헤드부(10)와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헤드부(10)가 좌/우 수평방향으로 가이드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서보모터(40)는 일 측에 감속을 위한 서보모터감속기(41)를 구비하여 구동속도를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두 개의 상호 독립적으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서보모터(40)가 메인프레임(30)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하여 구비될 수 있다.The
아울러, 본 발명의 기어부(50)는 상기 서보모터(4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헤드부(10)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것(일종의 스프로켓 또는 피니언이 해당될 수 있다)으로서 메인프레임(30), 예컨대 사각프레임(32) 일 측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헤드부(10)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헤드부(10)는 수평로드부(20)와 연결되어 움직이게 되므로, 수평로드부(20)의 일 측에 상기 기어부(50)와 치합되는 랙(21, rack)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좋다. 일 예로서 도 2 내지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복수 개의 수평로드부(20) 중 중앙부 수평로드부(20)의 일 측에 랙(21)이 형성되고, 이 랙(21)과 기어부(50)가 서로 맞물려 기어부(50)의 구동에 의해 수평로드부(20)는 좌/우 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게된다.The
수평로드부(20)의 좌/우 방향 구동에 의해 헤드부(10)는 수십cm에서 수m까지 돌출 행정(stroke), 왕복 운동하며 도장 및 청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The
즉, 본 발명의 작업툴(A)에 의하면 도장의 기능을 가지는 헤드부(10)가 메인프레임(30)에 의해 지지되는 수평로드부(20)에 의해 양방향 구동가능하게 됨으로써, 좌/우 넓은 범위의 건물외벽을 커버하여 도장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That is, according to the working tool (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d part (10) having the coating function can be bi-directionally driven by the horizontal rod part (20) supported by the main frame (30) Thereby covering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다음으로 본 발명의 헤드부(10)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Next, the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헤드부(10)는 일 면에 수평로드부(20)와 탈착될 수 있도록 하는 플랜지부(11)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헤드부(10)는 다른 구조물과 맞대어 결합 수 있도록 일 면에 중간연결체로서 플랜지부(11)를 포함할 수 있는데, 플랜지부(11)에는 수평로드부(20)가 안착될 수 있도록 중공부(11')가 형성되고, 이 중공부(11')에 상기 복수의 수평로드부(20)가 끼워맞춤되어 헤드부(10)와 수평로드부(20)가 상호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아울러 플랜지부(11)와 수평로드부(20)가 맞닿는 면의 반대면으로부터 고정포스트(또는 볼트)가 삽입되어 플랜지부(11)와 수평로드부(20)의 결합을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4, the
상기 헤드부(10)는 빌딩 외벽을 향해 분사공(14)이 형성된 스프레이 노즐(13)이 구비되는 헤드본체(12)와 상기 헤드본체(12)의 일 측에 장착되는 로울러(15)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헤드부(10)는 수평로드부(20)와 결합되는 플랜지부(11), 스프레이 노즐(13)이 구비되는 헤드본체(12), 그리고 로울러(15)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The
스프레이 노즐(13)은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본체(12) 중심부에 위치하여 건물 외벽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분사공(14)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고 또 다른 분사공(14)이 헤드본체(12)에 형성되어 분사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The
도 5를 참조하면, 헤드부(10)에 로울러(15)가 장착되는 경우, 본 발명의 작업툴(A)은 로울러(15)의 일 측을 지지하여 헤드부(10)와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아암(16)을 포함하며, 로울러(15)는 지지아암(16)의 작동에 의해 상기 건물외벽의 높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틸팅될 수 있다. 돌출부의 틸팅각도를 조절함으로써 건물외벽 도장작업 및 청소 시에 도장의 가압력 조절 및 미세 도장작업이 가능하며, 요철 또는 돌출된 부분이 있을 경우 유연한 대응이 가능하게 된다. 5, when the
본 발명의 지지아암(16)은 로울러(15)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작업툴(A)은 상기 헤드부(10)의 일 측에 위치하고 일단부가 지지아암(16)과 연결되며, 전/후 진퇴운동을 통해 지지아암(16)을 틸팅시키는 실린더(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일부 지지아암(16a)은 헤드부(10)와 힌지(17, hinge) 결합되어 로울러(15)를 틸팅시킬 수 있다. 다른 일부의 지지아암(16b)은 실린더(18)와 연결되고, 실린더(18)의 진퇴 운동이 건물외벽 방향으로 향할 수 있도록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ㄱ'자로 밴딩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supporting
실린더(18) 헤드본체(12)에 고정설치되되 슬라이드 진퇴 조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일단부가 상기 지지아암(16)과 연결되어 실린더의 진퇴 조작시 지지아암(16)과 헤드본체(12)의 전면 사이에 형성되는 각도가 조절된다. 이러한 작동구성에 따라 로울러(15)가 건물외벽에 접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각도가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게 된다. The
로울러(15)는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부(15')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 연결되는 호스(미도시)에 의해 도장액이나 세정액 등이 공급되는 방식으로 도장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The
본 발명의 작업툴(A)은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스프레이 노즐(13)과 로울러(15)가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도 있다. 즉, 사용자는 최초 작업시 건물외벽의 고소작업 환경에 따라 적합한 작업툴을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다. 또는 앞서 살펴본 것처럼 스프레이 노즐(13)과 로울러(15)를 함께 설치하고, 고소작업중에 주로 사용하는 도장장치를 변경함으로써 유연한 작업수행이 가능하다. The
또한, 본 발명이 작업툴(A)의 각 구성요소는 도 2 내지 도 6에 참조되듯, 인접한 구성요소와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고, 볼트 또는 기타 체결도구로서 간단히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유지 및 보수 관리가 용이하다. 도 6에는 그 일 예로서 플랜지부(11)와 헤드본체(12)가 볼트(19)체결되어 고정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Further, each of the components of the working tool 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achably formed with adjacent components, as shown in FIGS. 2 to 6, and is formed to be easily fixed as a bolt or other fastening tool, It is easy to manage. 6 shows a state in which the
아울러, 본 발명의 작업툴(A)은 쉽게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헤드부(10)와 헤드부(10)를 가이드하는 수평로드부(20), 수평로드부(2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서보모터(40)와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어부(50) 및 이를 지지하도록 마련된 메인프레임(30)을 포함하여 컴팩트(compact)하게 구성된다. 나아가 주요 구성요소 특히 헤드부(10)를 수평로드부(20)와 탈착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유지 및 관리뿐만 아니라, 작업툴(A)을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요소가 분리되므로 제품을 분리하여 이동시키기에도 유리하다. In addition, the working tool A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도장액, 세정액 등은 헤드부(10)의 로울러(15) 또는 스프레이 노즐(13)에 직접 연결되는 호스(PVC호스, 우레탄호스 등, 미도시)에 의해 외부에서 공급됨으로써 본 발명의 토장툴(A)은 별도의 액체저장부를 구비하지 않으므로 종래의 곤돌라에 비해 경량화시킬 수 있는 이점도 갖게 된다. The coating liquid and the cleaning liquid are supplied from the outside by a hose (PVC hose, urethane hose or the like, not shown) directly connected to the
이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곤돌라유닛(B)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Next, the gondola unit B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곤돌라 유닛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곤돌라 유닛의 상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곤돌라 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곤돌라 유닛의 운용 개념도이다. 7 is a front view of a gondola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top view of a gondola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ide view of a gondola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onceptual view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a gondola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곤돌라유닛(B)은 건물외벽의 도장 및 청소를 위한 곤돌라유닛으로서, 곤돌라유닛의 프레임을 형성하는 곤돌라플랫폼(100); 건물외벽과의 밀착을 유지하는 석션팬(200); 상기 곤돌라유닛에 연결된 와이어(310)를 권취 또는 권출하여 상기 곤돌라유닛(B)을 상하 이동시키는 와인더(300); 및 상기 건물외벽의 도장과 청소를 위해 마련되는 작업툴(400)을 포함하되, 상기 작업툴(400)은 로울러와 스프레이 노즐을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헤드부(410)와 상기 헤드부(410)를 좌/우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수평로드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A gondola unit (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gondola unit for painting and cleaning an outer wall of a building, comprising: a gondola platform (100) forming a frame of a gondola unit; A suction fan (200) for maintaining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
여기서의 작업툴(400)은 전술한 곤돌라 작업툴(A)과 유사한 역할을 한다. 이하, 전술한 곤돌라 작업툴(A)에서와 중복되는 내용은 편의상 생략하기로 한다. The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곤돌라플랫폼(100)은 곤돌라유닛(B)의 기본 골조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곤돌라 작업 수행에 필수적인 각 구성요소가 안착되기 위한 구성이다. 앞선 실시예에서 전술한 곤돌라 작업툴(A)의 메인프레임(30)의 역할을 대체하거나 메인프레임(30)을 포함하는 작업툴(A) 자체가 안착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작업툴(A)은 유지 및 보수관리를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곤돌라플랫폼(100)으로부터 탈착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전술한 바와 유사하게 본 실시예의 헤드부(410)는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로드부(420)에 일면이 연결되어 있되, 곤돌라플랫폼(100)으로부터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곤돌라플랫폼(100)의 중심을 기준으로 한 쌍의 헤드부(410)와 한 쌍의 수평로드부(420)가 좌/우측 방향 대칭을 이루며 돌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헤드부(410)가 돌출 행정(stroke) 및 왕복 구동 가능하므로 곤돌라유닛(B)의 승강 이동시에도 자유롭게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7 and 8, the
곤돌라유닛(B)이 상하방향 승강하거나, 수평방향 이동할 때 상기 돌출된 헤드부(410)가 자유롭게 양방향 구동함으로써 건물외벽의 넓은 범위에 도장 작업 및 청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곤돌라유닛(B)이 수평방향 이동하게 되면 이전 위치에서 헤드부(410)가 작업할 수 없었던 범위까지 고르게 커버할 수 있게 된다. When the gondola unit B is vertically moved or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protruded
석션팬(200)은 건물외벽과의 밀착을 유지하는 구성으로서 고소 작업 수행 시 곤돌라에 작용하는 돌풍 등의 외란이나, 스프레이 노즐 분사 및 로울러가 구동하여 작업할 때 건물외벽으로부터의 반작용 힘을 극복하기 위한 장치를 말한다. 적절한 크기와 분당회전수(rpm)을 가지는 석션팬(200)이라면, 석션팬(200) 구동 시에 외벽과 대향하는 면쪽, 즉 석션팬 후드부(210) 방향에 음압이 형성되어 석션팬(200)이 건물외벽쪽으로 이끌리는 힘을 받게 된다. 예컨대, 석션팬(200)의 직경은 600mm, 석션팬(200)의 풍량은 60mmAq, 로터의 회전속도는 1,650rpm등으로 설정할 수 있고, 이러한 석션팬(200)을 곤돌라플랫폼(100)에 복수 개 설치할 수 있다. The
와인더(300)는 건물 옥상에 위치한 행거, 크레인이나, 권양기에서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 늘어뜨린 와이어(310)를 권취 또는 권출하기 위한 구성이다. 와인더(300)는 곤돌라유닛(B)의 안정적인 상하 이동을 위해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곤돌라플랫폼(100)의 양 측에 두 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와이어(310)는 강철소재로 된 굵은 줄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물체를 들어올릴 수 있는 용도로서 사용되는 각종 로프를 포함한다. The
이밖에 본 발명은 도 7에서 참조되듯, 와인더(300)의 권취/권출속도와 석션팬의 회전속도 조정을 위한 인버터박스(510)를 포함할 수 있고, 스프레이 노즐의 on/off 및 로울러 각도 조정을 위한 컴프레셔(530)와 기타 전기적 신호 제어를 위한 전장박스(520)를 곤돌라플랫폼의 일 측에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의 컴프레셔(530)는 유압 또는 에어 컴프레셔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곤돌라 유닛(B)은 전장박스(520)를 통해 기 설정된 동작에 의해 자동으로 움직이거나 후술하는 지상제어부(900)를 통해 원격 제어될 수도 있다. 여기서 곤돌라 유닛(B)은 상기 전장박스(520) 및 지상제어부(900)와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되거나 무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7,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또한, 본 실시예의 헤드부(410)는 빌딩 외벽을 향해 스프레이 노즐이 구비되는 헤드본체와 상기 헤드본체의 일 측에 장착되는 로울러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작업툴(400)은 상기 헤드부(410)를 상기 수평로드부(420) 상에서 이송가능 하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서보모터(440)와 상기 서보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헤드부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기어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도 7을 다시 참조하면, 헤드부(410)는 상기 곤돌라플랫폼(100)의 좌/우에 한 쌍 형성되고, 각각의 헤드부(410)에 연결된 수평로드부(420)는 렉(rack)기어 방식으로 상기 헤드부(410)를 좌/우방향 이동시킬 수 있다. 7, a pair of
본 실시예의 곤돌라유닛(B)이 상기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효과는 본 발명의 곤돌라 작업툴(A)과 내용이 중복되는 범위에서 그 효과도 동일할 것이다.The effect that the gondola unit (B)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will be the same in the range where the contents overlap with the gondola work tool (A)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본 발명의 곤돌라유닛(B)은 도장액 또는 세정액의 비산을 방지하는 커버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gondola unit (B)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ver member (not shown) for preventing scattering of the coating liquid or the cleaning liquid.
또한, 본 발명의 곤돌라 유닛(B)은 상기 와인더(300)로부터 상기 와이어(310)가 권출 시, 일정속도 이상으로 가속되는 경우 자동으로 와이어(310)를 제동하는 스토퍼(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의 스토퍼(600)는 곤돌라유닛의 중량무게만큼 넉넉히 감당할 수 있을만큼의 적재하중을 가지는 블록스탑(block stop)일 수 있다. The gondola unit B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곤돌라유닛(B)은 일 측에 복수 개의 가이드 휠(700)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건물외벽과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상기 건물외벽면의 마찰력을 이겨내면서 롤링을 통해 곤돌라유닛이 상/하방향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8 and 9, the gondola unit B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또한, 본 발명의 곤돌라플랫폼(100) 및 곤돌라 작업툴(400)의 수평로드부(420)는 알루미늄 재질의 프로파일로 이루어져 곤돌라 유닛(B)의 경량화를 꾀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곤돌라 작업툴(A) 또는 곤돌라 유닛(B)의 운용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Finally, a method of operating the gondola work tool A or the gondola unit B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0(a)와 10(b)를 참조하면, 건물 상부에 행거시스템(800)이 설치되어 있고, 행거시스템(800)에 와이어(310)가 연결되며 와이어(310)에 본 발명의 곤돌라 유닛(B)이 매달려 있다. 10 (a) and 10 (b), a
곤돌라 유닛(B)은 전술한 바와 같이 기 설정된 동작대로 자동으로 움직이거나 지상제어부(900)에 의해 연결되어 제어될 수 있는데, 여기의 지상제어부(900)에는 전원공급 단자, 도장액 또는 세정액 공급라인 및 저장부가 포함될 수 있으며, 곤돌라 유닛(B)과 행거시스템(800)의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콘솔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는 따른 곤돌라 유닛(B) 및 행거시스템(800)은 무선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원격 제어콘솔이 마련될 수도 있다. The gondola unit B may be automatically mov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or may be connected and controlled by the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용하면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 곤돌라 유닛(B)을 자유롭게 수평이동 또는 승강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곤돌라유닛(B)을 최초 S1위치에서 작동시켜 도장 작업을 수행한 후, S2위치로 수평이동시키면서 연속적인 도장작업을 수행한다. 헤드부(410)는 곤돌라 플랫폼(100)을 중심으로 좌/우 양방향으로 돌출 행정(stroke)하면서 작업 수행이 가능하므로, 종래기술의 도장기에 비해 훨씬 넓은 영역의 건물외벽을 커버하게 된다. 기본적으로는 양측의 헤드부(410) 중 어느 한쪽의 헤드부만으로 작업 수행하되, 작업조건이나 환경에 따라 양측의 헤드부를 동시에 사용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With such a configuration, the gondola unit B can freely move horizontally or vertically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0 (a), the gondola unit B is first operated at the S1 position to perform the painting operation, and then the continuous painting operation is performed while horizontally moving to the S2 position. Since the
건물외벽의 가장자리(예컨대, S2부근)에서는 좌/우측 헤드부(410) 중 우측 헤드부는 건물외벽에 대향하지만 좌측 헤드부는 건물외벽에 접하지 아니하고 공중에 떠있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건물외벽에 대향하는 우측 헤드부(410)만을 구동시켜 도장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일정한 높이에서의 건물외벽 도장작업이 완료되면, 곤돌라를 상승 또는 하강(S3)시켜 도장 작업을 수행한다. 곤돌라 유닛(B)이 S3 위치에서 S4 위치로 이동하게 되면, S1, S2위치에서와 동일한 작동 원리로써 도장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At the edge of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e.g., near S2), the right head portion of the left /
위 곤돌라 유닛(B)의 운용방법은 일 실시예를 제시할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아니다. 또한, 상기한 운용방법은 곤돌라 작업툴(A)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The method of operating the upper gondola unit (B)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but is merely an example. 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method can be similarly applied to the gondola work tool A as well.
이상에서 살펴본 곤돌라 작업툴(A) 및 곤돌라 유닛(B)은 지상에서 설치된 공급펌프로부터 상기 스프레이 노즐과 로울러에 도료(도장액)나 세정액을 공급함으로써, 건물외벽의 도장 또는 청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The gondola work tool (A) and the gondola unit (B) as described above can be painted or cleaned by supplying paint (coating liquid) or cleaning liquid to the spray nozzle and the roller from a supply pump installed on the ground hav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곤돌라 작업툴(A) 및 곤돌라 유닛(B)을 사용하면 작업환경에 따라 스프레이 및 롤러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콤팩트하면서도 효율적인 작업 운용이 가능하고, 곤돌라 작업툴(A) 및 곤돌라 유닛(B)의 주요 구성품이 탈부착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게 된다. The use of the gondola work tool A and the gondola unit 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selective use of the spray and the roller depending on the work environment and enables a compact and efficient work operation, A and the gondola unit (B) are detachably attached to each other to facilitate maintenance and repair.
그리고 본 발명의 곤돌라 작업툴 및 곤돌라 유닛은 무인(자동 또는 원격)으로 운용될 수 있으므로 고소 작업 시 안전성이 확보되고, 작업 인력을 절감할 수 있는 점에서 유리하다. Further, since the gondola work tool and the gondola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perated unmanned (automatic or remote), it is advantageous in that safety is secured in a high-altitude work and work manpower can be saved.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대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을 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n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have been described.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forms thereof, which are to be considered as being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the intention is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are deemed to b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A : 곤돌라 작업툴 B : 곤돌라유닛
10 : 헤드부 11 : 플랜지부
12 : 헤드본체 13 : 스프레이 노즐
14 : 분사공 15 : 로울러
16 : 지지아암 17 : 힌지
18 : 실린더 19 : 볼트
20 : 수평로드부 21 : 랙
30 : 메인프레임 31 : 수평프레임
32 : 수직프레임 40 : 서보모터
50 : 기어부 60 : 볼부쉬
100 : 곤돌라 플랫폼 200 : 석션팬
300 : 와인더 310 : 와이어
400 : 작업툴 410 : 헤드부
420 : 수평로드부 510 : 인버터박스
520 : 전장박스 530 : 컴프레셔
600 : 스토퍼 700 : 가이드휠
800 : 행거시스템 900 : 지상제어부A: Gondola work tool B: Gondola unit
10: head part 11: flange part
12: head body 13: spray nozzle
14: Sprinter 15: Rollers
16: support arm 17: hinge
18: Cylinder 19: Bolt
20: Horizontal rod section 21: Rack
30: Main frame 31: Horizontal frame
32: vertical frame 40: servo motor
50: gear portion 60: ball bush
100: Gondola platform 200: Suction fan
300: Winder 310: Wire
400: working tool 410: head part
420: horizontal load section 510: inverter box
520: electric box 530: compressor
600: stopper 700: guide wheel
800: hanger system 900: ground control unit
Claims (22)
로울러와 스프레이 노즐을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마련된 헤드부;
단부가 상기 헤드부와 연결되어 상기 헤드부를 좌/우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수평로드부;
상기 수평로드부를 지지하는 메인프레임;
상기 수평로드부가 상기 헤드부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서보모터; 및
상기 서보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헤드부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기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는 빌딩 외벽을 향해 스프레이 노즐이 구비되는 헤드본체와 상기 헤드본체의 일 측에 장착되는 틸팅 가능한 로울러를 함께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돌라 작업툴.
As a gondola work tool for painting and cleaning exterior walls,
A head unit adapted to selectively or simultaneously use the roller and the spray nozzle;
A horizontal rod portion having an end connected to the head portion and guiding the head portion in a left / right longitudinal direction;
A main frame supporting the horizontal rod portion;
A servo motor for generating a driving force so that the horizontal rod unit can guide the head unit; And
And a gear portion that receives the driving force from the servo motor and varies the position of the head portion,
Wherein the head unit includes a head main body having a spray nozzle toward an outer wall of a building, and a tiltable roller mounted on one side of the head main body.
상기 헤드부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돌라 작업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head portion is protruded outside the main frame.
상기 헤드부, 수평로드부, 서보모터 및 기어부는 각각 한 쌍 구비되고 상기 메인프레임을 기준으로 좌/우 양쪽에서 대칭적으로 배치되되 상호 독립적으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돌라 작업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ead unit, the horizontal rod unit, the servo motor, and the gear unit are each provided with a pair and are symmetrically disposed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ain frame.
상기 메인프레임 일 측에 구비되며, 상기 수평로드부의 직선운동이 원활하도록 상기 수평로드부의 외주를 감싸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 부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돌라 작업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t least one ball bush provided at one side of the main frame and surrounding an outer periphery of the horizontal rod portion to smoothly move the horizontal rod portion smoothly.
상기 수평로드부의 일측에는 상기 기어부와 치합되도록 랙(rack)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돌라 작업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rack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horizontal rod to engage with the gear.
상기 헤드부는 상기 수평로드부와 탈착 가능하도록 일 면에 플랜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돌라 작업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ead portion is formed with a flange on one surface so as to be detachable from the horizontal rod portion.
상기 헤드부에 로울러가 장착되는 경우,
상기 작업툴은 상기 로울러의 일 측을 지지하여 상기 헤드부와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아암을 포함하며, 상기 로울러는 상기 지지아암의 작동에 의해 상기 건물외벽의 높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틸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돌라 작업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a roller is mounted on the head portion,
Wherein the work tool includes at least one support arm that supports one side of the roller and connects to the head portion, wherein the roller supports the shaft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height direction of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by the operation of the support arm And the tilting of the gondola.
상기 지지아암은 상기 헤드부와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돌라 작업툴.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support arm is hinged to the head portion.
상기 헤드부의 일 측에 위치하고 일단부가 상기 지지아암과 연결되며, 전/후 운동을 통해 상기 지지아암을 틸팅시키는 실린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돌라 작업툴.
9. The method of claim 8,
Further comprising a cylinder located at one side of the head portion and connected at one end to the support arm to tilt the support arm through forward / backward movement.
상기 곤돌라 작업툴의 메인프레임 및 수평로드부는 알루미늄 재질의 프로파일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돌라 작업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in frame and the horizontal rod portion of the gondola work tool are made of an aluminum material profile.
상기 곤돌라유닛의 프레임을 형성하는 곤돌라플랫폼;
상기 건물외벽과의 밀착을 유지하는 석션팬;
상기 곤돌라유닛에 연결된 와이어를 권취 또는 권출하여 상기 곤돌라 유닛을 상하 이동시키는 와인더; 및
상기 건물외벽의 도장과 청소를 위해 마련되는 작업툴을 포함하되,
상기 작업툴은 로울러와 스프레이 노즐을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를 좌/우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수평로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는 빌딩 외벽을 향해 스프레이 노즐이 구비되는 헤드본체와 상기 헤드본체의 일 측에 장착되는 틸팅 가능한 로울러를 함께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돌라유닛.
As a gondola unit for painting and cleaning the outer wall of a building,
A gondola platform forming a frame of the gondola unit;
A suction fan for maintaining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 winder for moving the gondola unit up and down by winding or unwinding a wire connected to the gondola unit; And
And a work tool provided for painting and cleaning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Wherein the working tool includes a head portion provided for selectively or simultaneously using a roller and a spray nozzle, and a horizontal rod portion guiding the head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ead portion,
Wherein the head unit includes a head main body having a spray nozzle toward an outer wall of the building, and a tiltable roller mounted on one side of the head main body.
상기 헤드부는 상기 곤돌라플랫폼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돌라유닛.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head portion is protruded outside the gondola platform.
상기 작업툴은 상기 곤돌라플랫폼으로부터 탈착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돌라유닛.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work tool is configured to be removable from the gondola platform.
상기 작업툴은 상기 헤드부를 상기 수평로드부 상에서 이송가능 하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서보모터와 상기 서보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헤드부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기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돌라유닛.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working tool includes a servo motor for generating a driving force for allowing the head portion to be transferred on the horizontal rod portion, and a gear portion for receiving the driving force from the servo motor to vary the position of the head portion.
상기 헤드부와 상기 수평로드부는 각각 한 쌍 구비되고 상기 곤돌라플랫폼을 기준으로 좌/우 양쪽에서 대칭적으로 배치되되 상호 독립적으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돌라유닛.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head unit and the horizontal rod unit are each provided with a pair and are symmetrically disposed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gondola platform, and are independently operated.
상기 곤돌라 유닛은 도장의 비산을 방지하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돌라유닛.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gondola unit further comprises a cover member for preventing scattering of paint.
상기 곤돌라유닛은 건물외벽과의 거리를 유지하고 상기 건물외벽에 롤링하는 가이드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돌라유닛.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gondola unit further comprises a guide wheel that maintains a distance from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nd rolls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상기 곤돌라유닛은 상기 와인더로부터 상기 와이어가 권출 시, 일정속도 이상으로 가속되는 경우 자동으로 상기 와이어를 제동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돌라유닛.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gondola unit further includes a stopper that automatically brakes the wire when the wire is accelerated at a predetermined speed or more when the wire is pulled out from the winder.
상기 곤돌라 플랫폼 및 상기 곤돌라 작업툴의 수평로드부는 알루미늄 재질의 프로파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돌라유닛.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gondola platform and the horizontal rod portion of the gondola work tool are made of an aluminum material profile.
상기 곤돌라유닛은 일 측에 전장박스를 더 구비하여 기 설정된 동작대로 자동으로 작업을 수행하거나, 상기 곤돌라유닛에 연결된 지상제어부를 통해 원격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돌라유닛.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gondola unit is further provided with an electric box on one side for automatically performing a predetermined operation, or remotely controlled through a ground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gondola uni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43075A KR101814117B1 (en) | 2015-10-13 | 2015-10-13 | An Operation Tool for Outer Walls of a Building and Gondola Unit Comprising the Operation Too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43075A KR101814117B1 (en) | 2015-10-13 | 2015-10-13 | An Operation Tool for Outer Walls of a Building and Gondola Unit Comprising the Operation Tool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43379A KR20170043379A (en) | 2017-04-21 |
KR101814117B1 true KR101814117B1 (en) | 2018-01-03 |
Family
ID=58705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43075A Active KR101814117B1 (en) | 2015-10-13 | 2015-10-13 | An Operation Tool for Outer Walls of a Building and Gondola Unit Comprising the Operation Too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14117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32822B1 (en) | 2018-06-15 | 2019-10-16 |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 Cable robot for cleaning or painting out wall of buildings and the method of cleaning or painting out wall using it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34006B1 (en) * | 2019-06-12 | 2019-10-18 | 이성우 | Apparatus for Surface Works of High-rise Buildings and Tall Structures, and Surface Working System with Such Apparatus |
KR102392381B1 (en) * | 2020-07-01 | 2022-04-29 |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 Moving platform device and facility including the sam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033302A (en) * | 1998-07-15 | 2000-02-02 | Kajima Corp | Gondola-mounted exterior wall painting robot |
JP3008787B2 (en) * | 1994-10-21 | 2000-02-14 | 株式会社大林組 | Exterior wall painting robot |
JP3555996B2 (en) * | 1994-10-18 | 2004-08-18 | 日本ビソー株式会社 | Curing device for gondola |
KR101440337B1 (en) * | 2013-04-17 | 2014-09-18 | 주식회사 대화산기 | Outer wall painting apparatus |
-
2015
- 2015-10-13 KR KR1020150143075A patent/KR10181411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555996B2 (en) * | 1994-10-18 | 2004-08-18 | 日本ビソー株式会社 | Curing device for gondola |
JP3008787B2 (en) * | 1994-10-21 | 2000-02-14 | 株式会社大林組 | Exterior wall painting robot |
JP2000033302A (en) * | 1998-07-15 | 2000-02-02 | Kajima Corp | Gondola-mounted exterior wall painting robot |
KR101440337B1 (en) * | 2013-04-17 | 2014-09-18 | 주식회사 대화산기 | Outer wall painting apparatus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32822B1 (en) | 2018-06-15 | 2019-10-16 |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 Cable robot for cleaning or painting out wall of buildings and the method of cleaning or painting out wall using i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43379A (en) | 2017-04-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TWI802465B (en) | Automated system for spraying wall of building | |
KR102341480B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spray painting exterior walls of buildings | |
KR100879726B1 (en) | Unmanned Robot Coating Equipment | |
US5240503A (en) | Remote-controlled system for treating external surfaces of buildings | |
CN215942925U (en) | Mechanical arm system for maintaining building vertical face with irregular vertical face | |
AU2016231476A1 (en) | Assembly for preparing and/or painting large surfaces | |
CN106238247B (en) | A wall-climbing car device for spraying paint on hull outer panels mounted on an elevated car and its working method | |
KR101814117B1 (en) | An Operation Tool for Outer Walls of a Building and Gondola Unit Comprising the Operation Tool | |
KR101322270B1 (en) | Painting apparatus of building outer wall | |
CN112282306A (en) | Automatic spraying equipment with six degrees of freedom for outer wall | |
KR20110104660A (en) | Automatic painting device for inner and outer walls of cylinder tank with rotating cantilever beam | |
WO2001017698A1 (en) | Automated building facade cleaning apparatus | |
KR100699129B1 (en) | Mobile hull shell auto coater with truss column | |
CN112663912A (en) | Putty spraying equipment for building outer wall and putty scraping method thereof | |
KR100744413B1 (en) | Automatic shell coating system with stacker crane structure composed of double columns | |
CN210433421U (en) | Outer wall cleaning robot | |
CN111317394A (en) | Curtain wall glass cleaning method without hoisting | |
CN206707220U (en) | A kind of suspension type external wall of high-rise building multiple degrees of freedom plastering machine | |
JPH03110262A (en) | Scaffolding-less automatic coating device for cylindrical structure wall surface | |
CN112873180A (en) | High-altitude operation suspension device and robot | |
CN217602041U (en) | Intelligent operation equipment for high-rise building outer wall construction | |
CN220705114U (en) | Multifunctional construction operation hanging basket | |
CN214658558U (en) | Automatic paint spraying device for walls in house | |
JPS61172527A (en) | Building window cleaning machine and hoist used therein | |
CN2453828Y (en) | Gecko-type building-washing machi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01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4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102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2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12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9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90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9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91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