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4038B1 - Structure Having Hollowness Slav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Google Patents

Structure Having Hollowness Slav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4038B1
KR101814038B1 KR1020140156024A KR20140156024A KR101814038B1 KR 101814038 B1 KR101814038 B1 KR 101814038B1 KR 1020140156024 A KR1020140156024 A KR 1020140156024A KR 20140156024 A KR20140156024 A KR 20140156024A KR 101814038 B1 KR101814038 B1 KR 1018140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column
small
hollow slab
wide b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60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56082A (en
Inventor
김광만
Original Assignee
(주)바로건설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바로건설기술 filed Critical (주)바로건설기술
Priority to KR1020140156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4038B1/en
Publication of KR20160056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608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4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403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 E04B5/38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 E04B5/40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with metal form-slab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43Floor structures of extraordinary design; Features relating to the elastic stability; Floor structures specially designed for resting on columns only, e.g. mushroom fl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0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e.g. with reinforcements or tensioning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2003/04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 E04C2003/044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characterised by substantial shape of the cross-section
    • E04C2003/0452H- or I-shaped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중공슬래브를 포함하는 구조물은, 일정간격의 열과 행이 교차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복수의 기둥 및 상기 기둥을 중심으로 기둥보다 더 넓은 상기 열과 행 위치에 구비되는 넓은 보를 포함하며, 상기 넓은 보는, 상기 넓은 보 내의 양측에 구비되고, 상기 넓은 보와 같은 높이의 한 쌍의 작은 보, 상기 한 쌍의 작은 보가 상기 기둥 부위에서 교차하는 부위에 상기 기둥을 포함하여 구비되며, 작은 보와 같은 높이의 철근 콘크리트 드럽패널 및 서로 인접한 한 쌍의 드럽패널 사이에 상기 작은 보와 평행하게 설치되는 중공체를 포함하고, 상기 작은 보와 같은 높이의 제1 중공슬래브를 포함한다.The structure including the hollow sla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columns provided at positions where rows and columns intersect at regular intervals and a wide beam provided at the row and column positions wider than the columns around the column, A wide beam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wide beam and includes a pair of small beams having the same height as the wide beam, the pair of small beams including the column at the intersection of the column portions, And a first hollow slab having the same height as the small beam, the hollow slab including a hollow body installed parallel to the small beam between a pair of adjacent debris panels and a reinforced concrete drip panel of the same height.

Description

2중 격자보 내에 중공슬래브를 포함하는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Structure Having Hollowness Slave and Its Construction Method}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including a hollow slab in a double lattice beam,

본 발명은 2중 격자보 내에 중공슬래브를 포함하는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 내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하중은 감소시킬 수 있는 고성능 및 저비용의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including a hollow slab in a double grid girder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high performance and low cost structure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apable of improving structural strength and reducing load .

일반적으로 구조물의 형태는 기둥과 기둥을 큰보(Girder)로 연결하고 큰 보에 작은 보를 연결하는 구조, 이른바 '日'자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보통이며, 이 구조는 일반적이어서 누구나 쉽게 시공할 수 있다.Generally, the shape of a structure is usually formed by a so-called 'day' structure, which connects a column and a column with a girder and connects a small beam to a large beam, and this structure is general and can be easily constructed by anyone .

그리고 상기 '日'자 구조보다 더 경제적인 구조로 발전한 형태가 이중보 구조(Double Beam System)이다. 상기 이중보 구조에 대해 본 건 출원인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34399호로 구조물 구축공법을 등록받은 바 있다.The double beam system is a more economical structure than the 'day' structure. As for the double beam structure,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registered with Korean Patent No. 10-1034399.

상기 이중보구조는 일반구조에 비해 비용은 적게 소요되지만 슬래브 하부에 보의 개수가 증가하는 인력이 더 많이 소요되며, 철골철근콘크리트 구조의 경우는 내화피복량이 늘어나는 단점과, 철골보는 변형이 많은 구조라는 근본적인 취약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경제성을 확보하면서도 인력이 적게 소요되는 철근콘크리트 구조, 철골철근콘크리트의 경우에는 내화피복량이 적고 변위를 적게 하는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Although the cost of the double beam structure is lower than that of the general structure, it requires more manpower to increase the number of beams at the lower part of the slab. In the steel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the amount of refractory covering increases. There was a fundamental vulnerability. Therefore, in case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and steel reinforced concrete, which require less manpower while securing economical efficiency,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amount of refractory covering and reduce displacement.

이에 대해 제시된 해결 방법은, 이중보 사이의 슬래브 부분을 보와 같은 높이로 하면서 슬래브의 무게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인 중공슬래브를 이용하는 것이다. 이는 이중보와 슬래브가 같이 거동하면서 넓은 보와 같은 거동을 하게 된다. 철골철근콘크리트 구조의 경우 철골 보에 중공슬래브가 사용되면 철골보는 자동으로 콘크리트에 묻히게 되어 철골철근 콘크리트 보로 거동하면서 처짐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렇게 넓은 보로 거동을 하게 되면 보의 성능이 향상되어 구조물의 높이를 낮추고 하중을 줄여 주어 기둥 및 기초에도 경제적인 영향을 줄 수 있게 된다.The proposed solution is to use a hollow slab, which is a way to reduce the weight of the slab while keeping the slab portion between the double beams at the same height as the beam. This is because the double beam and the slab behave like a broad beam. In the case of steel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if a hollow slab is used in steel beam, the steel beam is automatically embedded in the concrete, which can improve deflection performance by acting as a steel reinforced concrete beam. Such a wide beam behavior improves the beam performance, lowering the height of the structure and reducing the load, which can have an economic impact on the columns and foundation.

종래의 중공슬래브는 2방향 중공슬래브로서, 보를 없애거나 최소화하고 슬래브의 경간을 크게 하여 구조물의 형태를 단순화하는 용도로 많이 사용되어 왔다. 다만, 이와 같은 2방향 중공슬래브는 반드시 일반 합판 거푸집을 사용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합판 거푸집은 인력이 많이 소요되는 방법으로, 합판 거푸집의 단가는 계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어, 이의 부담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이 필요한 시점이다.Conventional hollow slabs are two-way hollow slabs which have been widely used to simplify the shape of structures by eliminating or minimizing beams and increasing the span of the slabs. However, such a two-way hollow slab must have a drawback in that it is required to use a general plywood formwork. Plywood formwork is a method that requires a lot of manpower, and the unit price of plywood formworks is continuously rising, so it is time to take measures to overcome the burden.

한국등록특허 제10-1034399호Korean Patent No. 10-1034399

본 발명에 따른 2중 격자보 내에 중공슬래브를 포함하는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은 돌출되는 보의 작업을 생략하고, 슬래브도 보와 같은 높이로 형성하여 구조 내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하중은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The structure including the hollow slab in the double lattice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an eliminate the operation of the projecting beam and form the slab at the same height as the beam to improve the structural strength and reduce the load .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sol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solution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에 따른 2중 격자보 내에 중공슬래브를 포함하는 구조물은, 일정간격의 열과 행이 교차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복수의 기둥, 및 상기 기둥을 중심으로 상기 기둥보다 더 넓은 열과 행 위치에 구비되는 넓은 보를 포함하며, 상기 넓은 보는, 상기 넓은 보 내의 양측에 구비되고, 상기 넓은 보와 같은 높이의 한 쌍의 작은 보와, 상기 작은 보와 같은 높이이며, 상기 작은 보가 상기 기둥의 부위에서 교차하는 부위에 상기 기둥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드럽패널, 및 상기 작은 보와 같은 높이이며,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상기 드럽패널 사이에 상기 작은 보와 평행하게 설치되는 복수 개의 제1중공체와, 상기 제1중공체 사이에 형성되는 제1조이스트를 포함하는 제1중공슬래브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넓은 보와 같은 높이이며, 상기 넓은 보 이외의 부분에 상기 넓은 보와 평행 또는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2중공체와, 상기 제2중공체 사이에 형성되는 제2조이스트를 포함하는 제2중공슬래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tructure including the hollow slab in the double lattice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columns provided at positions where rows and columns intersect at regular intervals and a plurality of columns arranged at a row and column positions wider than the columns Wherein the wide beam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road beam and includes a pair of small beams of the same height as the broad beam and a height equal to the small beam, And a plurality of first hollow bodies arranged at the same height as the small beams and provided parallel to the small beams between a pair of the adjacent drop panels, And a first hollow slab including a first joist formed between the hollow bodies.
At this time, a second hollow body, which is the same height as the wide beam and is installed parallel to or perpendicular to the wide beam at a portion other than the wide beam, and a second hollow body formed between the second hollow body And may further include a hollow slab.

그리고 상기 기둥 및 상기 작은 보는 철근콘크리트로 형성될 수 있다.And the column and the small-looking beam may be formed of reinforced concrete.

삭제delete

이때, 상기 제1중공슬래브 및 상기 제2중공슬래브는, 하부에 동바리 형틀이 일체형으로 조립된 테이블 폼에 받쳐져 콘크리트가 타설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hollow slab and the second hollow slab may be formed such that the concrete is poured by being supported by a table foam integrally assembled with a lower mold.

또한, 상기 제1중공슬래브와 상기 제2중공슬래브의 하부에 철근이 일체로 형성된 평평한 데크가 설치되고, 상기 제1,2중공체는 상기 데크의 상부에 설치된 별도의 받침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hollow slab and the second hollow slab may be provided with flat deck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ottom of the first hollow slab and the first hollow slab and the first and second hollow bodies may be disposed in separate receiving portion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deck .

그리고 상기 기둥 및 상기 작은 보는 철재 형강으로 형성될 수 있다.And the column and the small viewing bar may be formed of steel.

이때, 상기 작은 보는 상부플랜지와 하부플랜지 및 상기 상부플랜지와 하부플랜지 간에 연결된 웨브로 구성된 H형강이 사용되며, 상기 제1중공슬래브와 제2중공슬래브의 하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산부와 골부가 반복형성된 철판데크가 설치되고, 상기 철판데크의 일측 단부는 상기 하부플랜지에 거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an H-shaped steel composed of the lower view flange and the lower flange and the web connected between the upper flange and the lower flange is used, and the crests and valleys are repeatedly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first hollow slab and the second hollow slab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formed steel plate deck is installed, and one end of the steel plate deck can be mounted on the lower flange.

삭제delete

상기 제1,2중공체는 스티로폼, 철재, 철판스파이럴, 종이, 플라스틱 등의 파이프, 또는 스티로폼, 플라스틱 등의 구형이 상기 작은 보와 같은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상기 제1중공슬래브와 상기 제2중공슬래브의 두께 중간에 배치되어 내부에 콘크리트가 채워지지 않는 형태와, 상기 제1중공슬래브와 상기 제2중공슬래브의 하부에 설치되고 산부와 골부가 반복형성된 철판데크에서 개방된 하부에 콘크리트가 채워지지 않는 형태에 형성되는 형태, 및 상기 제1중공슬래브와 상기 제2중공슬래브의 하부에 설치되고 평평한 데크의 상부에 별도의 받침부가 설치되어 상기 받침부에 배치되어 내부에 콘크리트가 채워지지 않는 형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구조물일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hollow bodies may be formed of a pipe such as a styrofoam, an iron plate, an iron plate spiral, a paper or a plastic, or a sphere such as a styrofoam or a plastic, continuously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small beam, And the concrete hollow is not fi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open bottom part of the iron plate deck which is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first hollow slab and the second hollow slab and in which the mountain part and the valley part are repeatedly formed And a form in which the first hollow slab and the second hollow slab are formed and a separate support part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flat deck to be placed in the support part so that the concrete is not filled in the inside of the first hollow slab and the second hollow slab. Or a structure including one.

삭제delete

삭제delete

이때, 상기 제1,2중공체의 단면 형상은 원형, 직사각형, 사다리꼴, 삼각형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irst and second hollow bodies may include any one of circular, rectangular, trapezoid, and triangular shapes.

삭제delete

상기 상부플랜지와 웨브 중 어느 하나에 스터드볼트가 설치될 수 있다.A stud bolt may be installed on either the upper flange or the web.

상기 상부플랜지와 웨브 중 어느 하나에 보강철근이 구비될 수도 있다.A reinforcing bar may be provided on either the upper flange or the web.

그리고 일단이 상기 기둥에 접합되고, 타단이 상기 기둥을 감싸는 작은 보에 접합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And a connecting member having one end joined to the column and the other end joined to a small beam surrounding the column.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기둥의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일자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member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straight lin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r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lumn.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기둥의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십자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The connecting member may be provided in a cross shape in a transverse direction and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lum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2중 격자보 내에 중공슬래브를 포함하는 구조물은, 일정간격의 열과 행이 교차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복수의 기둥, 및 상기 기둥을 중심으로 기둥보다 더 넓은 상기 열 위치에 구비되는 넓은 보를 포함하며, 상기 넓은 보는, 상기 넓은 보 내의 양측에 구비되고, 상기 넓은 보와 같은 높이의 한 쌍의 작은 보와, 상기 작은 보와 같은 높이이며, 상기 작은 보가 상기 기둥의 부위에서 교차하는 부위에 상기 기둥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드럽패널, 및 상기 작은 보와 같은 높이이며,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상기 드럽패널 사이에 상기 작은 보와 평행하게 설치되는 복수 개의 제1중공체와, 상기 제1중공체 사이에 형성되는 제1조이스트를 포함하는 제1중공슬래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넓은 보와 같은 높이이며, 상기 넓은 보 이외의 부분에 상기 넓은 보와 평행 또는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2중공체와, 상기 제2중공체 사이에 형성되는 제2조이스트를 포함하는 제2중공슬래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중공슬래브와 제2중공슬래브는 상기 제1조이스트와 상기 제2조이스트의 상부에 배근되는 상부근과, 하부에 배근되는 하부근을 포함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2중 격자보 내에 중공슬래브를 포함하는 구조물 시공방법은, 일정간격의 열과 행이 교차하는 위치에 복수 개의 기둥을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기둥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격자로 상호 교차되는 작은 보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작은 보와 상기 기둥 간에 드럽패널를 형성하는 단계와,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상기 드럽패널 사이에 상기 작은 보와 평행하게 복수 개의 제1중공체를 설치하고, 상기 제1중공체 사이에 제1조이스트가 형성되도록 제1중공슬래브를 형성하여 넓은 보를 구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넓은 보 이외의 부분에 제2중공슬래브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중공슬래브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넓은 보 이외의 부분에 상기 넓은 보와 평행 또는 직각으로 복수 개의 제2중공체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제2중공체 사이에 제2조이스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The structure including the hollow slab in the double lattice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columns provided at positions where rows and columns intersect at regular intervals and a plurality of columns arranged at the column positions wider than the columns around the columns Wherein the wide beam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road beam and comprises a pair of small beams of the same height as the broad beam and a height equal to the small beam, And a plurality of first hollow bodies arranged at the same height as the small beams and provided parallel to the small beams between a pair of the adjacent drop panels, And a first hollow slab including a first joist formed between the hollow bodies.
At this time, a second hollow body, which is the same height as the wide beam and is installed parallel to or perpendicular to the wide beam at a portion other than the wide beam, and a second hollow body formed between the second hollow body And may further include a hollow slab.
In addition, the first hollow slab and the second hollow slab may include an upper vicinity dispos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lower joists, and a lower vicinity disposed at the lower portio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constructing a structure including a hollow slab in a double lattice girder, comprising the steps of: arranging a plurality of columns at positions where rows and columns intersect at regular intervals; A step of providing a small beam to be formed between the small beam and the column, a step of forming a droplet panel between the small beam and the column, and a plurality of first hollow bodies being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adjacent droplet panels in parallel with the small beam, And forming a first hollow slab so as to form a first joist between the hollow bodies to construct a wide beam.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forming a second hollow slab at a portion other than the wide beam.
The step of forming the second hollow slab may further include the steps of providing a plurality of second hollow bodies at a portion other than the wide beam in parallel or at right angles to the wide beam and forming a second joint between the second hollow bodies, To form a lay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에 따른 2중 격자보 내에 중공슬래브를 포함하는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structure including the hollow slab in the double grid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construction method have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일방향의 중공체를 포함하는 중공슬래브가 구비되므로, 전체 수평구조물의 하부가 평평한 구조(Flat Plate)가 되게 하여 구조 내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하중은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First, since a hollow slab including a hollow body in one direction is provided, the bottom of the entire horizontal structure becomes a flat plate, thereby improving the structural strength and reducing the load.

둘째, 종래에 비해 시공 비용이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Second, the construction cost is reduced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one.

셋째, 합판 거푸집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인력이 적게 소요되는 장점이 있다.Third, since the plywood formwork is not us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labor is reduced.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시공방법에 있어서, 기둥을 시공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시공방법에 있어서, 작은 보를 시공하는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
도 3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시공방법에 있어서, 드럽패널을 시공하는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시공방법에 있어서, 중공슬래브를 시공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시공방법에 있어서, 시공된 구조물의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시공방법에 있어서, 시공된 중공슬래브 및 작은 보의 모습을 나타낸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시공방법에 있어서, 시공된 중공슬래브 및 작은 보의 모습을 나타낸 철골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시공방법에 있어서, 시공된 중공슬래브 및 작은 보의 모습을 나타낸 철골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시공방법에 있어서, 시공된 중공슬래브 및 작은 보의 모습을 나타낸 철골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시공방법에 있어서, 기둥과 작은 보 사이에 연결부재를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철골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시공방법에 있어서, 기둥과 작은 보 사이에 연결부재를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철골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평면도;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시공방법에 있어서, 시공된 구조물의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struction of a column in a method of constructing a structur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mall beam is installed in a method of constructing a structur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lan view showing a construction of a construction of a structur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construction of a drop panel is constructe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constructing a hollow slab in a method of constructing a structur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lan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structure constructed in the method of constructing a structu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6 is a sectional view of a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showing a hollow hollow slab and a small beam in a method of constructing a structur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7 is a sectional view of a steel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showing a hollow slab and a small beam in a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eel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showing a construction of a hollow slab and a small beam in a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sectional view of a steel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showing a hollow slab and a small beam in a method of constructing a structur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plan view of a steel-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in which a connecting member is installed between a column and a small beam in a method of constructing a structure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1 is a plan view of a steel-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in which a connecting member is installed between a column and a small beam in a method of constructing a structure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And
FIG. 12 is a plan view showing a construction of a structure in a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me designations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nd further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구조물 시공방법은 일정간격의 열과 행이 교차하는 위치에 복수 개의 기둥을 배치하고, 상기 기둥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격자로 상호 교차되는 작은 보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작은 보와 상기 기둥 간에 드럽패널을 형성하고,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상기 드럽패널 사이에 상기 작은 보와 평행하게 복수 개의 제1중공체를 설치하고, 상기 제1중공체 사이에 제1조이스트가 형성되도록 제1중공슬래브를 형성하여 넓은 보를 구축한다.
여기서, 상기 넓은 보의 구축 시, 상기 넓은 보 이외의 부분에 제2중공슬래브를 형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넓은 보 이외의 부분에 상기 넓은 보와 평행 또는 직각으로 복수 개의 제2중공체를 설치하고, 상기 제2중공체 사이에 제2조이스트를 형성할 수 있다.
전술된 구조물 시공방법은 기둥 및 작은 보가 철근콘크리트로 형성되는지 또는 철골철근콘크리트로 형성되는지로 분류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In the method of constructing a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columns are disposed at positions where rows and columns intersect at regular intervals, and small beam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re provided.
And a plurality of first hollow bodies arranged parallel to the small beams between a pair of adjacent drop panels, wherein a first joystick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hollow bodies, A first hollow slab is formed to form a wide beam.
Here, at the time of constructing the wide beam, the second hollow slab can be formed at a portion other than the wide beam.
More specifically, a plurality of second hollow bodies may be provided parallel to or at right angles to the wide beam at portions other than the wide beam, and a second joint may be formed between the second hollow bodies.
The above-described method of constructing a structure can be classified into whether the column and the small beam are formed of reinforced concrete or steel-reinforced concrete, and more specifically, the following will be described.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먼저 철근콘크리트로 형성되는 경우 본 발명의 구조물 시공방법은, 복수 개의 기둥 철근 및 기둥 거푸집을 설치하는 (a)단계, 상기 기둥 사이 공간에 동바리와 형틀을 설치하는 (b)단계, 상기 기둥을 중심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는 한 쌍의 작은 보와, 한 쌍의 작은 보와 교차되는 또 다른 한 쌍의 작은 보의 철근을 배근하는(c)단계, 상기 기둥과, 상기 기둥을 감싸는 작은 보 사이에 드럽패널을 형성하는 (d)단계, 상기 드럽패널 하부와 상기 작은 보를 제외한 부분에 하부 철근을 배근하는 (e)단계, 서로 인접한 드럽패널 사이에 상기 작은 보와 평행으로 배열되는 중공체를 설치하는 (f)단계, 상기 드럽패널과 상기 작은 보가 형성하는 넓은 보 사이에, 상기 넓은 보와 평행 또는 직각으로 배열되는 직선의 중공체를 설치하는 (g)단계, 상기 드럽패널의 상부에 철근을 배근하는 (h)단계, 상기 중공체 상부에 상부 철근을 배근하고, 상기 상부 철근과 하부 철근을 결속하는 (i)단계, 상기 기둥, 상기 작은 보 및 상기 중공체의 둘레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j)단계, 양생하는 (k)단계 및 상기 기둥 거푸집 및 상기 동바리와 형틀을 해체 이동하는 (l)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i)단계에서는 상기 상부 철근(154)과 하부 철근(155)을 스터럽(153)을 통해 결속할 수 있고, 상기 스터럽(153)의 양측 단부에 각각 상부근(151)과 하부근(152)을 결속할 수도 있다.
1 to 6, a method of constructing a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a) installing a plurality of column bars and a column form; (b) installing a column and a mold in a space between the columns; (b) a step of arranging a pair of small beam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bout the column, and another pair of small beams intersecting with the pair of small beams, (c) (D) forming a droplet panel between small beams surrounding the column, (e) placing a lower reinforcing bar at a portion except for the lower portion of the droplet panel and the small beam, and (G) installing a linear hollow body arranged parallel to or at right angles to the wide beam between the droplet panel and the wide beam formed by the small beam, (H) of placing a reinforcing bar on top of a hood wall panel, placing an upper reinforcing bar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ollow body, and binding the upper reinforcing bar and the lower reinforcing bar, (J) of pouring concrete around the mold, (k) curing, and (l) disassembling the column mold and the barrel and the mold.
In the step (i), the upper and lower reinforcing bars 154 and 155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the stirrups 153. The upper and lower reinforcing rods 151 and 152 ).

이때 상기 (a)단계에서 상기 기둥 철근 및 기둥 거푸집을 설치한 후, 기둥 콘크리트의 타설은 상기 (j)단계에서 상기 제1중공슬래브(40)와 상기 제2중공슬래브(50)를 형성하기 위한 콘크리트 타설 시 함께 이루어지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b)단계 이전에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after the pillar reinforcement and the pillar form are installed in step (a), the pillar concrete is poured in step (j) to form the first hollow slab 40 and the second hollow slab 5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but may be performed before the step (b).

그리고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기둥 및 작은 보가 철골철근콘크리트로 형성되는 경우 평평한 데크(149)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본 발명의 구조물 시공방법은 복수 개의 연결부재(170a, 170b)를 포함하는 H빔 형태의 기둥(110)을 설치하는 (a)단계, 상기 기둥(110)을 중심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고, 상부플랜지(124)와, 하부플랜지(122)와, 상기 상부플랜지(124) 및 상기 하부플랜지(122)를 연결하는 웨브(126)를 포함하는 H빔 형태로 형성된 한 쌍의 제1작은 보(120b)와, 상기 한 쌍의 제1작은 보(120b)와 교차되는 또 다른 한 쌍의 제2작은 보(120a)를 설치하는 (b)단계, 상기 작은 보(120a, 120b) 사이에, 철근이 일체로 형성된 상기 평평한 데크(149)를 상기 작은 보(120a, 120b)의 하부플랜지(122)에 거치하는 (c)단계, 상기 평평한 데크(149)의 상부에 별도의 받침부(146)를 설치하여 상기 받침부(146)에 제1중공체(41)와 제2중공체(42)를 설치하는 (d)단계, 상기 기둥(110)과, 상기 기둥(110)을 감싸는 작은 보(120a, 120b) 사이에 드럽패널(130)을 형성하는 (e)단계, 상기 드럽패널(130)에 상부 철근(154)과 하부 철근(155)을 배근하고, 상기 평평한 데크(149)에 상부 철근(154)을 설치하는 (f)단계, 상기 기둥(110)의 철근과 거푸집을 설치하고, 상기 기둥(10), 상기 작은 보(20a, 20b), 상기 평평한 데크(149) 및 상기 제1중공체(41)와 제2중공체(51)의 둘레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제1중공체(41) 사이에 형성되는 제1조이스트(61)가 포함된 제1중공슬래브(40)와, 상기 제2중공체(51) 사이에 형성되는 제2조이스트(62)가 포함된 제2중공슬래브(50)를 형성하는 (h)단계, 양생하는 (i)단계 및 상기 기둥 거푸집을 해체 이동하는 (j)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f)단계와 상기 (h)단계 사이에는 상기 받침부(146)와 상부 철근(154)을 스터럽(153)을 통해 결속하고, 상기 스터럽(153)의 양측 단부에 각각 상부근(151)과 하부근(152)을 결속하는 (g)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7 to 11, when a column and a small beam are formed of steel-reinforced concrete, a flat deck 149 can be used. In such a case, the method of constructing a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170a and 170b, (A), which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bout the pillar 110, and the upper flange 124, the lower flange 122, the upper flange 122, A pair of first small beams 120b formed in the form of an H beam including a web 126 connecting the lower flange 122 and the lower flange 122, (B) installing another pair of second small beams 120a and placing the flat deck 149 integrally formed of reinforcing bars between the small beams 120a and 120b in the small beams 120a and 120b (C) placing a separate pedestal 146 at the top of the flat deck 149; (D) installing a first hollow body (41) and a second hollow body (42) on the receiving portion (146) to form a small beam (120a) surrounding the column (110) (E) forming a droplet panel 130 between the upper deck panel 120 and the upper deck panel 120b; placing the upper reinforcing bar 154 and the lower reinforcing bar 155 in the droplet panel 130, And the first hollow body and the second hollow body are provided with a reinforcing bar and a mold of the column and installing the column, the small beams and the flat deck, A first hollow slab 40 including a first joist 61 formed between the first hollow bodies 41 by placing concrete around the first hollow bodies 41 and the second hollow bodies 51, (H) forming a second hollow slab (50) including a second joist (62) formed between the two hollow bodies (51), curing (i) and dismounting the column form ).
Between the step (f) and the step (h), the support part 146 and the upper reinforcing bar 154 are coupled through the stirrup 153, And (g) tying the lower and the lower portions 152 together.

이때 상기 기둥 철근 및 기둥 거푸집을 설치한 후, 기둥 콘크리트의 타설은 상기 (h) 단계에서 이루어지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b)단계 이전, 또는 상기 (c)단계 내지 상기 (g)단계 중 어느 한 단계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pillar concrete is installed in the step (h) after the pillar reinforcement and the pillar form are install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illar concrete may be inserted before the step (b) And may be performed simultaneously with any one step.

삭제delete

또한 기둥 및 작은 보가 철골철근콘크리트로 형성되는 경우, 골이 하부로 노출된 철판데크(242)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본 발명의 구조물 시공방법은, 복수 개의 연결부재(170a, 170b)를 포함하는 H빔 형태의 기둥(110)을 설치하는 (a)단계, 상기 기둥(110)을 중심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고, 상부플랜지(124)와, 하부플랜지(122)와, 상기 상부플랜지(124) 및 상기 하부플랜지(122)를 연결하는 웨브(126)를 포함하는 H빔 형태로 형성된 한 쌍의 제1작은 보(120b)와, 상기 한 쌍의 제1작은 보(120b)와 교차되는 또 다른 한 쌍의 제2작은 보(120a)를 설치하는 (b)단계, 상기 작은 보(120a, 120b) 사이에, 골이 하부로 노출된 철판데크(242)를 상기 작은 보(120a, 120b)의 하부플랜지(122)에 상기 작은 보(120a, 120b)와 같은 방향으로 거치하는 (c)단계, 상기 기둥(110)과, 상기 기둥(110)을 감싸는 작은 보(120a, 120b) 사이에 드럽패널(130)을 형성하는 (d)단계, 상기 드럽패널(130)을 형성하는 작은 보(120a, 120b)의 하부플랜지(122)에 상기 철판데크(242)를 거치하는 (e)단계, 상기 기둥(110)의 철근과 거푸집을 설치하는 (g)단계, 상기 기둥(110), 상기 작은 보(120a, 120b) 및 상기 철판데크(242)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철판데크(242)의 골부에 제1조이스트(61)가 포함된 제1중공슬래브(40)와, 제2조이스트(62)가 포함된 제2중공슬래브(50)를 형성하는 (h)단계, 양생하는 (i)단계 및 상기 기둥 거푸집을 해체 이동하는 (j)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e)단계와 상기 (g)단계 사이에는 상기 철판데크(242)에 상부 철근(154)과 스터럽(153)을 배근하고 서로 결속하며, 상기 스터럽(153)의 양측 단부에 각각 상부근(151)과 하부근(152)을 결속하는 (f)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lso, in the case where the column and the small beam are formed of steel-reinforced concrete, the steel plate deck 242 in which the ridge is exposed downward can be used. In this case, the method of constructing a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170a and 170b (A), which is spaced apart from the column 1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includes an upper flange 124, a lower flange 122, and the upper flange 124 A pair of first small beams 120b formed in the form of an H beam and including a web 126 connecting the lower flange 122 and the first small beam 120b, (B) installing another pair of second small beams (120a), placing the steel plate deck (242) with the bottom exposed bottom between the small beams (120a, 120b) (C) placing the column 110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small beams 120a and 120b to the lower flange 122 of the column 110, (D) forming a droplet panel 130 between the small beams 120a and 120b; forming a droplet panel 130 on the lower flange 122 of the small beams 120a and 120b forming the droplet panel 130 (G) placing the reinforcing bars and the molds of the column 110 in the step (e) of placing the concrete beams 241 and 242 on the steel plates 241 and 242, placing the beams 110, 120a and 120b on the steel deck 242, A first hollow slab 40 including the first joist 61 and a second hollow slab 50 including the second joist 62 are formed on the valley of the steel plate deck 242 step (h), curing (i) and disassembling and moving the column form.
Between the step (e) and the step (g), an upper reinforcing bar 154 and a stirrup 153 are placed on the steel plate deck 242 and joined to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stirrup 153, 151) and the lower vicinity (152).

이때 상기 기둥 철근 및 기둥 거푸집을 설치한 후, 기둥 콘크리트의 타설은 상기 (g), (h) 단계에서 이루어지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b)단계 이전, 또는 상기 (c)단계 내지 상기 (f)단계 중 어느 한 단계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after the columnar reinforcing bars and the column formers are installed, the pillar concrete is placed in the steps (g) and (h),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 may be performed simultaneously with any one of the steps.

삭제delete

그리고 이하에서는, 이들 각 단계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In the following, each of these step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시공방법의 경우, 먼저 도 1과 같이 벽체에 의해 형성된 공간 내에 서로 이격된 복수의 기둥(10)을 시공하기 위해 복수 개의 기둥 철근 및 기둥 거푸집을 설치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기둥(10)은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하였다.In the method of constructing a structu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columnar bars and columnar molds are installed in order to construct a plurality of columns 10 spaced from each other in a space defined by a wall as shown in FIG. 1 .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illars 1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and are arranged in the lateral and longitudinal directions.

이때 상기 기둥(10)은 철근콘크리트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또는 철골철근콘크리트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기둥(10)은 철근콘크리트로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column 10 may be formed of reinforced concrete or steel-reinforced concret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lumn 10 is formed of reinforced concrete.

그리고 이후 상기 기둥(10) 사이 공간에, 동바리와 형틀 또는 동바리와 형틀이 일체형으로 조립된 테이블 폼을 설치한다.Then, a table foam is assembled in a space between the pillars (10), in which a frame and a frame or a frame and a frame are integrally assembled.

다음으로, 도 2와 같이 상기 기둥(10) 또는 벽체와 소정 거리 이격되는 복수의 작은 보(20a, 20b)를 격자형으로 시공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작은 보(20a, 20b)는 도면을 기준으로 가로 방향으로 시공되는 제1작은 보(20b)와, 세로 방향으로 시공되는 제2작은 보(20a)를 포함하는 것으로 하였다.Next, as shown in FIG. 2, a plurality of small beams 20a and 20b spaced apart from the column 10 or the wall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re installed in a grid shap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mall beams 20a and 20b include a first small beam 20b constructed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a second small beam 20a constru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

그리고 이에 따라 상기 제1작은 보(20b)와 상기 제2작은 보(20a)는 기둥(10)을 감싸도록 배열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first small beam 20b and the second small beam 20a may be arranged to surround the column 10.

이때 제1작은 보(20b) 및 제2작은 보(20a)의 콘크리트 타설은 이후 기둥 및 슬래브의 콘크리트 타설과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본 단계에서는 제1작은 보(20b) 및 제2작은 보(20a)의 철근 배근이 이루어질 수 있다. 작은보의 철근 배근은 주철근(150)과 이를 감싸는 스터럽(153)으로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concrete pouring of the first small beam 20b and the second small beam 20a can be performed simultaneously with the pouring of the concrete of the column and the slab, the first small beam 20b and the second small beam 20a ) Can be made. The reinforcement of the small beam may be composed of a cast iron 150 and a stirrup 153 which surrounds it.

이후 도 3과 같이, 상기 기둥(10)과, 상기 기둥(10)을 감싸는 작은 보(20a, 20b)의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드럽패널(30)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드럽패널(30)에 의해 상기 기둥(10)과 상기 작은 보(20a, 20b)는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3, concrete is placed between the column 10 and the small beams 20a and 20b surrounding the column 10 to form the droplet panel 30. As shown in FIG. The column 10 and the small beams 20a and 20b can be stably fixed by the droplet panel 30.

다음으로 상기 드럽패널(30) 하부와 상기 작은 보(20a, 20b)를 제외한 부분에 하부 철근(155)을 배근하고, 상기 제1작은 보(20b)와, 상기 제2작은 보(20a) 사이에 형성된 공간 중, 상기 드럽패널(30)에 의해 채워진 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공간에 제1중공슬래브(40)를 형성하여 넓은 보(100)를 구축하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넓은 보(100) 이외의 부분에 제2중공슬래브(50)를 형성하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도 4는 도 3의 A-A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A lower reinforcing bar 155 is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droop panel 30 and a portion excluding the small beams 20a and 20b and a lower reinforcing bar 155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small beam 20b and the second small beam 20a A first hollow slab 40 is formed in a space other than the space filled with the droplet panel 30 to form a wide beam 100. [
Then, a process of forming a second hollow slab 50 at a portion other than the wide beam 100 is performed. Here, FIG. 4 shows the AA cross section in FIG.

이를 위해, 본 실시예의 경우 서로 인접한 드럽패널(30) 사이에 상기 작은 보(20a, 20b)와 평행으로 배열되는 직선의 제1중공체(41)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드럽패널(30)과 상기 작은 보(20a, 20b)가 형성하는 넓은 보(100) 이외의 부분에 상기 넓은 보(100)와 평행 또는 수직으로 배열되는 직선의 제2중공체(51)를 설치하는 단계가 각각 수행될 수 있다.For this purpose, in the present embodiment, a step of installing a straight first hollow body 41 arranged between the adjacent droplet panels 30 in parallel with the small beams 20a, 20b, And a step of installing a straight second hollow body 51 arranged at a portion other than the wide beam 100 formed by the small beams 20a and 20b in parallel or perpendicular to the wide beam 100, .

즉 상기 제1중공슬래브(40)는 중공이 형성된 복수의 제1중공체(41)와, 상기 제1중공체(41) 둘레로 타설된 콘크리트를 포함하며, 이때 하나의 제1중공슬래브(40)에 구비된 복수의 제1중공체(41)는 도 5와 같이 모두 일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된 형태를 가진다.
또한, 상기 제2중공슬래브(50)는 중공이 형성된 복수의 제2중공체(51)와, 상기 제2중공체(51) 둘레로 타설된 콘크리트를 포함하며, 이때 하나의 제2중공슬래브(50)에 구비된 복수의 제2중공체(51)는 도 5와 같이 상기 넓은 보(100)와 평행 또는 수직으로 배열된 형태를 가진다.
콘크리트 타설 후 양생이 진행되면 상기 제1중공슬래브(40)는 제1중공체(41) 사이에 제1조이스트(61)가 형성되며, 상기 제2중공슬래브(50)는 제2중공체(51) 사이에 제2조이스트(62)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조이스트(61)와 제2조이스트(62)에는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에 상부근(151)이 배근되고, 하부에 하부근(152)이 배근되어 있다.
That is, the first hollow slab 40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hollow bodies 41 having hollows and concrete laid around the first hollow bodies 41. At this time, one first hollow slab 40 As shown in FIG. 5, all of the first hollow bodies 41 provided in the first hollow body 41 are arranged in parallel in one direction.
The second hollow slab 50 includes a plurality of hollow bodies 51 having hollows and concrete laid around the second hollow bodies 51. At this time, one second hollow slab 50 have a shape parallel to or perpendicular to the wide beam 100 as shown in FIG.
The first hollow slab 40 is formed with a first joist 61 between the first hollow bodies 41 and the second hollow slab 50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hollow bodies 51 The second joist 62 may be formed.
The first and second jaws 61 and 62 are respectively provided with an upper side 151 and a lower side 152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lower side, respectively.

여기서 상기 제1중공슬래브(40)와 상기 제2중공슬래브(50)의 콘크리트 타설 역시 전술한 기둥(10) 및 작은 보(20a, 20b)의 콘크리트 타설과 함께 이루어질 수 있다.Concrete placement of the first hollow slabs 40 and the second hollow slabs 50 may also be performed with concrete pouring of the columns 10 and the small beams 20a and 20b.

한편 상기 작은 보(20a, 20b) 및 상기 제1,2중공슬래브(40,50)는 높이가 같게 형성되어, 수평구조물의 하부가 평평한 구조(Flat Plate)가 되도록 하여 공사는 간편하면서 건축적인 효율은 높여주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The small beams 20a and 20b and the first and second hollow slabs 40 and 50 have the same height so that the lower part of the horizontal structure is flat. Can be formed.

또한 본 실시예에서, 도 5를 기준으로 서로 인접한 드럽패널(30) 사이에 구비된 제1중공슬래브(40)는, 제1중공체(41)의 배열 방향이 작은 보(20a, 20b)와 제1중공슬래브(40)가 형성하는 넓은 보(100)의 길이 방향과 동일하게 배열되는 것으로 하였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전체 구조물에 걸리는 휨 내력을 보다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hollow slabs 40 provided between the adjacent droplet panels 30 on the basis of FIG. 5 are formed by the beams 20a and 20b having a small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first hollow bodies 41 The first hollow slabs 40 are arranged in the same lengthwise direction as the wide beams 100 formed by the first hollow slabs 40.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further strengthen the bending strength applied to the entire structure.

삭제delete

상기 제1,2중공체(41,51)는 스티로폼, 철재, 철판스파이럴, 종이, 플라스틱 등의 파이프 또는 스티로폴, 플라스틱 등의 구형이 작은 보(20a, 20b)와 같은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상기 제1중공슬래브(40)와 제2중공슬래브(50)의 중간에 배치되어 상기 제1,2중공체(41,51)내에 콘크리트가 채워지지 않는 형태가 된다.The first and second hollow bodies 41 and 51 are continuous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hollow bodies 41 and 51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pipes of styrofoam, steel, iron plate spiral, paper, plastic or the like and small spherical beams 20a and 20b such as styrofoam and plastic. And is disposed in the middle of the hollow slabs 40 and the second hollow slabs 50 so that the concrete is not filled in the first and second hollow bodies 41 and 51.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2중공체(41,51)의 단면 형상은 어떤 형태로도 변형될 수 있으나 주로 원형, 직사각형, 사다리꼴, 삼각형의 형태로 될 수 있다.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irst and second hollow bodies 41 and 51 may be modified in any form, but may be in the form of a circle, a rectangle, a trapezoid, or a triangl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경우 일 방향으로 배열된 제1중공체(41)를 포함하는 제1중공슬래브(40)와, 상기 넓은 보(100)와 평행 또는 수직으로 배열된 제2중공체(51)를 포함하는 제2중공슬래브(50)에 의해 구조 내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hollow slab 40 including the first hollow body 41 arranged in one direction and the second hollow body 40 arranged parallel or perpendicular to the wide beam 100 51 to improve the structural strength and at the same time reduce the load.

한편 기둥(10), 작은 보(20a, 20b) 및 상기 제1,2중공슬래브(40,50)의 콘크리트 타설이 이루어지기 이전에는, 상기 드럽패널(30)의 상부에 철근을 배근한 뒤 상기 제1,2중공체(41,51) 상부에 상부 철근(154)을 배근하고, 상기 상부 철근(154)과 전술한 하부 철근(155)을 결속하는 과정이 각각 수행될 수 있다.In the meantime, before the pillar 10, the small beams 20a and 20b, and the first and second hollow slabs 40 and 50 are poured with concrete, reinforcing bars are placed on the top of the drip panel 30, The upper reinforcing bars 154 may be placed on the first and second hollow bodies 41 and 51 and the upper reinforcing bars 154 and the lower reinforcing bars 155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그리고 기둥(10), 작은 보(20a, 20b) 및 상기 제1,2중공슬래브(40,50)의 콘크리트 타설이 이루어진 이후에는, 콘크리트를 양생하는 과정과, 전술한 기둥 거푸집 및 테이블 폼을 해체 이동하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After the piles 10, the small beams 20a and 20b and the first and second hollow slabs 40 and 50 are poured into the concrete, the process of curing the concrete and the disassembly of the above- A moving process can be perform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며, 설명의 용이를 위해 제1중공슬래브(40)를 기준으로 한다.Hereinafter,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nd referenced to the first hollow slab 40 for ease of explanation.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시공방법에 있어서, 시공된 제1중공슬래브(40) 및 작은 보(20a)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the first hollow slab 40 and the small beam 20a in the method of constructing a structur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제1실시예와 모든 구성요소가 동일하게 형성되며, 또한 그 시공방법 및 시공순서 역시 동일하게 형성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중공슬래브(40) 중 일부는 철근이 일체로 형성된 평평한 데크(149)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중공체(41)가 상기 평평한 데크(149)의 상부에 설치된 별도의 받침부(146)에 배치된다는 점이 다르며, 상기 제1중공체(41)는 내부에 콘크리트가 채워지지 않는 형태일 수 있다.
여기서 전술된 실시예와 같이, 상기 제1중공슬래브(40)는 제1중공체(41) 사이에 제1조이스트(61)가 형성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6,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are formed in the same manner, and the construction method and the construction procedure are also formed in the same manner. However, in this embodiment, some of the first hollow slabs 40 further include a flat deck 149 integrally formed with reinforcing bars, and the first hollow body 41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flat deck 149 And the first hollow body 41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concrete is not filled in the first hollow body 41.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hollow slab 40 may have a first joist 61 formed between the first hollow bodies 41.

이때 일반적인 작은 보(20a) 및 제1중공슬래브(40)의 하부에는 테이블 폼(54)이 설치되며, 철근이 일체로 형성된 데크(149)의 양측에 구비된 작은 보(20a)의 하부에는 하부 거푸집 및 동바리(55)가 설치된다.At this time, a table foam 54 is installed below the small beams 20a and the first hollow slabs 40. A lower beam 20a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deck 149, A formwork and a tiller 55 are installed.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시공방법에 있어서, 시공된 제1중공슬래브(40) 및 작은 보(20a)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struction of a first hollow slab 40 and a small beam 20a in a method of constructing a structur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경우, 작은 보(120a)가 철골철근콘크리트로 형성된다는 점이 전술한 실시예들과 다르다. 즉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작은 보(120a)는, 상부플랜지(124)와, 하부플랜지(122)와, 상기 상부플랜지(124) 및 상기 하부플랜지(122)를 연결하는 웨브(126)를 포함하는 H빔 형태로 형성된다.In the case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7, the small beams 120a are formed of steel-reinforced concrete, which is different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at is, in this embodiment, the small beam 120a includes an upper flange 124, a lower flange 122, and a web 126 connecting the upper flange 124 and the lower flange 122 H beam.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1중공슬래브(40)는, 골이 하부로 노출된 철판데크(242)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골이 하부로 노출된 철판데크(242)는 산 부분에 의해 형성되는 하부 노출 영역이 제1중공체(243)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게 되며, 이때 상기 골이 하부로 노출된 철판데크(242)는 작은 보(120a)의 하부플랜지(122)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실시예들과 같이 별도의 테이블 폼 및 하부거푸집이 요구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중공체(243)는 상기 철판데크(242)의 하부의 골 부분, 즉 상기 하부 노출 영역에 콘크리트가 채워지지 않는 형태일 수 있다.
여기서 전술된 실시예와 같이, 상기 제1중공슬래브(40)는 제1중공체(41) 사이, 즉 상기 철판데크(242)의 산부와 골부 사이에 제1조이스트(61)가 형성될 수 있다.
Also,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hollow slab 40 is formed in the form of an iron plate deck 242 having a bottom exposed to the bottom. The steel plate deck 242 having the bottom exposed thereon has a lower exposed region formed by the acid portion to function as the first hollow body 243, wherein the steel deck 242 Is supported by the lower flange 122 of the small beam 120a.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separate table form and a lower form are not required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Here, the first hollow body 243 may be configured such that concrete is not filled in the valley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steel plate deck 242, that is, the lower exposed region.
The first hollow slab 40 may be formed with a first joist 61 between the first hollow bodies 41, that is, between the peak and valley of the steel plate deck 242, as in the above- .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2,3 실시예를 위한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다.Accordingly, a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먼저 복수 개의 H빔 형태의 기둥(110), 기둥 철근 및 기둥 거푸집을 설치한 뒤, 한 쌍의 작은 보(120b)와, 상기 한 쌍의 작은 보와 교차되는 또 다른 한 쌍의 작은 보(120a)를 설치한다.A plurality of H beam-type columns 110, a column bar and a column form are installed, and then a pair of small beams 120b and another pair of small beams 120a intersecting with the pair of small beams ).

이후 상기 기둥(110)과, 상기 기둥(110)을 감싸는 작은 보(120a, 120b) 사이에, 철근이 일체로 형성된 데크(149)를 상기 작은 보(120a, 120b)의 하부플랜지(122)에 거치하고, 상기 기둥(110)과, 상기 기둥(110)을 감싸는 작은 보(120a, 120b) 사이에 드럽패널(130)을 형성한다.A deck 149 having reinforcing bars formed integrally with the column 110 and the small beams 120a and 120b surrounding the column 110 is inserted into the lower flanges 122 of the small beams 120a and 120b And a droplet panel 130 is formed between the column 110 and the small beams 120a and 120b surrounding the column 110. [

그리고 상기 드럽패널(130)과 상기 작은 보(120a, 120b)가 형성하는 넓은 보(100) 사이에 골이 하부로 노출된 철판데크(242)를 설치하되, 상기 작은 보(120a, 120b)와 상기 골이 하부로 노출된 철판데크(242)의 골 방향이 같도록 설치한 후 상기 골이 하부로 노출된 철판데크(242)에 상부 철근(154)과 스터럽(153)을 배근할 수 있다.An iron plate deck 242 is disposed between the droplet panel 130 and the wide beam 100 formed by the small beams 120a and 120b. The upper reinforcing bars 154 and the stirrups 153 may be disposed on the steel plate deck 242 in which the troughs are exposed downward after the troughs 242 are exposed so that the troughs 242 are equally aligned.

다음으로 상기 기둥, 상기 작은 보 및 상기 골이 하부로 노출된 철판데크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뒤 이를 양생하고, 이후 상기 기둥 거푸집을 해체 이동하게 된다.Next, the concrete is poured into the upper part of the steel plate deck where the column, the small beam and the valley are exposed to the bottom, and then the concrete is cured. Thereafter, the column form is disassembled and moved.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시공방법에 있어서, 시공된 제1중공슬래브(40) 및 작은 보(20a)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the first hollow slab 40 and the small beam 20a in th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도시된 제4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제3실시예와 모든 구성요소가 동일하게 형성된다. 다만, 상기 작은 보(120a)의 상부플랜지(124) 및 웨브(126)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스터드볼트(128)가 구비된다는 점이 다르다.In the case of the fourth embodiment shown in Fig. 8, all the component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third embodiment. However, the stud bolt 128 is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upper flange 124 and the web 126 of the small beam 120a.

상기 스터드볼트(128)는 콘크리트의 부착력을 증대시키는 한편, 상기 작은 보(120a)의 내력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스터드볼트(128)는 상기 작은 보(120a)의 상부플랜지(124) 및 웨브(126)에 모두 구비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와 달리 상기 작은 보(120a)의 상부플랜지(124) 또는 웨브(126) 중 어느 하나에만 구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stud bolt 128 enhances the adhesive force of the concrete and increases the strength of the small beam 120a. The stud bolt 128 is provided on both the upper flange 124 and the web 126 of the small beam 120a but alternatively the upper flange 124 of the small beam 120a is provided with the stud bolt 128, Or the web 126, as shown in FIG.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시공방법에 있어서, 시공된 제1중공슬래브(40) 및 작은 보(20a)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struction of a first hollow slab 40 and a small beam 20a in a method of constructing a structur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에 도시된 제5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제3실시예와 모든 구성요소가 동일하게 형성된다. 다만, 상기 작은 보(120a)의 상기 하부플랜지(122)와 상기 웨브(126) 사이, 및 상기 상부플랜지(124)의 상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보강철근(129a, 129b)이 구비된다는 점이 다르다.In the case of the fifth embodiment shown in Fig. 9, all components are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third embodiment described above. Except that at least one of the reinforcing bars 129a and 129b is provided between the lower flange 122 and the web 126 of the small beam 120a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flange 124. [

상기 보강철근(129a, 129b) 역시 전술한 스터드볼트(128)와 마찬가지로 는 콘크리트의 부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플랜지(124)의 상부에 구비된 보강철근(129a)의 경우, 상기 보(120a)의 길이 방향에 따른 내력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보(120a)의 상기 하부플랜지(122)와 상기 웨브(126) 사이에 구비된 보강철근(129b)은 상기 하부플랜지(122)의 지지력을 보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reinforcing bars 129a and 129b can also increase the adhesive force of the concrete like the stud bolts 128 described above. The reinforcement rib 129a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flange 124 serves to increase the proof stres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eam 120a and the lower flange 122a of the beam 120a ) And the web 126 reinforces the supporting force of the lower flange 122.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보강철근(129a, 129b)는 상기 보(120a)의 상기 하부플랜지(122)와 상기 웨브(126) 사이, 및 상기 상부플랜지(124)의 상부에 모두 구비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와 달리 상기 보(120a)의 상기 하부플랜지(122)와 상기 웨브(126) 사이 또는 상기 상부플랜지(124)의 상부 중 어느 하나에만 구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reinforcing bars 129a and 129b are provided both between the lower flange 122 of the beam 120a and the web 126 an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flange 124. However, But may alternatively be provided only between the lower flange 122 of the beam 120a and the web 126 or only o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flange 124. [

도 10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시공방법에 있어서, 기둥(110)과 보(120a, 120b) 사이에 연결부재(170a)를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10 is a plan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a connecting member 170a is installed between a column 110 and beams 120a and 120b in a method of constructing a structure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6실시예의 경우 일단이 상기 기둥(110)에 접합되고, 타단이 상기 기둥(110)을 감싸는 보(120a, 120b)에 접합되는 연결부재(170a)가 더 구비된다.10, in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necting member 170a having one end joined to the column 110 and the other end bonded to the beams 120a and 120b surrounding the column 110, .

특히 본 실시예에서 상기 기둥(110) 및 보(120a, 120b)는 H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170a)는 철근 또는 기타 철제부재가 용접 등에 의해 접합된 형태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170a)가 구비됨에 따라 상기 기둥(110)과 보(120a, 120b) 간의 구조를 보다 안정화할 수 있게 된다.Particularly, in this embodiment, the column 110 and the beams 120a and 120b are formed in the form of an H beam, and the connecting member 170a may be a form in which a reinforcing bar or other iron member is joined by welding or the like. As the connecting member 170a is provided, the structure between the column 110 and the beams 120a and 120b can be more stabilized.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170a)는 상기 기둥(110)의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일자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부재(170a)가 상기 기둥(110)의 가로 방향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하였다.The connecting member 170a may be formed in a shape of a rectilinear shape in the lateral direction or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llar 110. In this embodiment, the connecting member 170a is provided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pillar 110 Respectively.

도 11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시공방법에 있어서, 기둥(110)과 보(120a, 120b) 사이에 연결부재(170a, 170b)를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11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connecting members 170a and 170b are installed between a column 110 and beams 120a and 120b in a method of constructing a structure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7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제6실시예와 같이 기둥(110)과 보(120a, 120b) 사이에 연결부재(170a)가 설치된다는 점이 동일하나,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연결부재(170a, 170b)는 상기 기둥(110)의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십자 형태로 구비되도록 제1연결부재(170a) 및 제2연결부재(170b)를 포함한다는 점이 다르다.11, a connecting member 170a is provided between the column 110 and the beams 120a and 120b as in the sixth embodiment described above. However, in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1, The connecting members 170a and 170b include a first connecting member 170a and a second connecting member 170b so as to be provided in a cross shape in the transverse and longitudinal directions of the column 110. [

이에 따라 본 실시예는 제6실시예에 비해 구조적 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present embodiment can further improve the structural stability as compared with the sixth embodiment.

도 12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시공방법에 있어서, 시공된 구조물의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FIG. 12 is a plan view showing a construction of a structure in a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8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제1실시예와 달리 작은 보(20a, 20b)가 전체적으로 격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며, 일부 구간에서만 격자 형태로 배열된 제1작은 보(20b)와 제2작은 보(20a)를 포함한다.In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2, the small beams 20a and 20b are not formed in a lattice form as a whole, unlike the first embodiment, And includes a beam 20b and a second small beam 20a.

구체적으로 상기 제1작은 보(20b)는 상기 기둥(10) 또는 벽체와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평행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2작은 보(20a)는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제1작은 보(20b)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작은 보(20b)와 함께 상기 기둥(10)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제1작은 보(20b) 중 일부는, 사이에 제2작은 보(20a)가 구비되지 않는 형태를 가진다.
Specifically, the first small beam 20b is disposed parallel to the column 10 or the wall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second small beam 20a includes a pair of first small beams 20b , And is formed to surround the column 10 together with the first small beam 20b. Accordingly, a part of the pair of first small beams 20b adjacent to each other has a form in which the second small beam 20a is not provided between them.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merely illustrative of some of the technical ideas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rather than limit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apparent that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 기둥 20a, 20b: 작은 보
30: 드럽패널 41: 제1중공슬래브
42: 제2중공슬래브
10: columns 20a, 20b: small beams
30: a droplet panel 41: a first hollow slab
42: second hollow slab

Claims (28)

일정간격의 열과 행이 교차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복수의 기둥; 및
상기 기둥을 중심으로 상기 기둥보다 더 넓은 열과 행 위치에 구비되는 넓은 보;를 포함하며,
상기 넓은 보는,
상기 넓은 보 내의 양측에 구비되고, 상기 넓은 보와 같은 높이의 한 쌍의 작은 보;
상기 작은 보와 같은 높이이며, 상기 작은 보가 상기 기둥의 부위에서 교차하는 부위에 상기 기둥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드럽패널; 및
상기 작은 보와 같은 높이이며,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상기 드럽패널 사이에 상기 작은 보와 평행하게 설치되는 복수 개의 제1중공체와, 상기 제1중공체 사이에 형성되는 제1조이스트를 포함하는 제1중공슬래브;
를 포함하는 구조물.
A plurality of columns provided at positions where columns and rows intersect at regular intervals; And
And a wide beam provided at a row and a column position wider than the column about the column,
The wide view,
A pair of small beam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wide beam and at the same height as the wide beam;
A drop panel having the same height as the small beam and including the column at a portion where the small beam intersects the portion of the column; And
A plurality of first hollow bodies which are the same height as the small beams and are provided in parallel with the small beams between a pair of the adjacent drop panels and a second hollow body which is formed between the first hollow bodies and the first hollow body, 1 hollow slab;
≪ / RTI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넓은 보와 같은 높이이며, 상기 넓은 보 이외의 부분에 상기 넓은 보와 평행 또는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2중공체와, 상기 제2중공체 사이에 형성되는 제2조이스트를 포함하는 제2중공슬래브를 더 포함하는 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econd hollow body having the same height as the wide beam and installed at a portion other than the wide beam in parallel or perpendicular to the wide beam and a second hollow slab including a second joist formed between the second hollow body, ≪ / RTI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 및 상기 작은 보는 철근콘크리트로 형성되는 구조물.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lumn and the small looking reinforced concrete are form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중공슬래브 및 상기 제2중공슬래브는,
하부에 동바리 형틀이 일체형으로 조립된 테이블 폼에 받쳐져 콘크리트가 타설되도록 형성된 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rst hollow slab and the second hollow slab are formed of a single-
A structure in which concrete is placed by being supported by a table foam which is assembled in a unitary form with a high-rise fram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중공슬래브와 상기 제2중공슬래브의 하부에 철근이 일체로 형성되고 평평한 데크가 설치되고,
상기 제1,2중공체는
상기 데크의 상부에 설치된 별도의 받침부에 배치되는 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3,
A flat hollow deck is formed integrally with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hollow slab and the second hollow slab,
The first and second hollow bodies
Wherein the deck is disposed on a separate pedestal provided on the deck.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 및 상기 작은 보는 철재형강으로 형성되는 구조물.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lumn and the small viewing frame are formed of steel.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작은 보는
상부플랜지와 하부플랜지 및 상기 상부플랜지와 하부플랜지 간에 연결된 웨브로 구성된 H형강이 사용되며,
상기 제1중공슬래브와 제2중공슬래브의 하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산부와 골부가 반복형성된 철판데크가 설치되고, 상기 철판데크의 일측 단부는 상기 하부플랜지에 거치되는 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small view
An H-shaped steel composed of an upper flange and a lower flange and a web connected between the upper flange and the lower flange is used,
An iron plate deck in which a crest part and a valley part are repeatedly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lower part of the first hollow slab and the second hollow slab is installed and one end of the iron deck is mounted to the lower flang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플랜지와 웨브 중 어느 하나에 스터드볼트가 설치되는 구조물.
8. The method of claim 7,
And a stud bolt is installed on either one of the upper flange and the web.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플랜지와 웨브 중 어느 하나에 보강철근이 구비되는 구조물.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 reinforcing bar is provided on one of the upper flange and the web.
제6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기둥에 접합되고, 타단이 상기 기둥을 감싸는 작은 보에 접합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a connecting member having one end joined to the column and the other end joined to a small beam surrounding the colum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기둥의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일자 형태로 구비되는 구조물.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connecting member is provided in a shape of a straight line in a lateral direction or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lum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기둥의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십자 형태로 구비되는 구조물.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connecting member is provided in a cross shape in a transverse direction and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lum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중공체는
스티로폼, 철재, 철판스파이럴, 종이, 플라스틱 등의 파이프, 또는 스티로폼, 플라스틱 등의 구형이 상기 작은 보와 같은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상기 제1중공슬래브와 상기 제2중공슬래브의 두께 중간에 배치되어 내부에 콘크리트가 채워지지 않는 형태;
상기 제1중공슬래브와 상기 제2중공슬래브의 하부에 설치되고 산부와 골부가 반복형성된 데크에서 개방된 하부에 콘크리트가 채워지지 않는 형태에 형성되는 형태; 및
상기 제1중공슬래브와 상기 제2중공슬래브의 하부에 설치되고 평평한 데크의 상부에 별도의 받침부가 설치되어 상기 받침부에 배치되어 내부에 콘크리트가 채워지지 않는 형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구조물.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and second hollow bodies
A pipe such as styrofoam, steel, iron plate spiral, paper, plastic, or a sphere such as styrofoam or plastic is continuously dispos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small beam in the middle of the thickness of the first hollow slab and the second hollow slab, A form in which the concrete is not filled;
A shape formed in a lower part of the first hollow slab and the second hollow slab and formed in a shape that the concrete is not filled in the open lower part of the deck where the mountain part and the valley part are repeatedly formed; And
A first hollow slab and a second hollow slab, wherein the first hollow slab and the second hollow slab are installed on the flat deck,
≪ / RTI >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중공체의 단면 형상은 원형, 직사각형, 사다리꼴, 삼각형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구조물.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irst and second hollow bodies includes any one of a circular shape, a rectangular shape, a trapezoid shape, and a triangle shape.
일정간격의 열과 행이 교차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복수의 기둥; 및
상기 기둥을 중심으로 기둥보다 더 넓은 상기 열 위치에 구비되는 넓은 보; 를 포함하며,
상기 넓은 보는,
상기 넓은 보 내의 양측에 구비되고, 상기 넓은 보와 같은 높이의 한 쌍의 작은 보;
상기 작은 보와 같은 높이이며, 상기 작은 보가 상기 기둥의 부위에서 교차하는 부위에 상기 기둥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드럽패널; 및
상기 작은 보와 같은 높이이며,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상기 드럽패널 사이에 상기 작은 보와 평행하게 설치되는 복수 개의 제1중공체와, 상기 제1중공체 사이에 형성되는 제1조이스트를 포함하는 제1중공슬래브;
를 포함하는 구조물.
A plurality of columns provided at positions where columns and rows intersect at regular intervals; And
A wide beam provided at the column position wider than the column around the column; / RTI >
The wide view,
A pair of small beam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wide beam and at the same height as the wide beam;
A drop panel having the same height as the small beam and including the column at a portion where the small beam intersects the portion of the column; And
A plurality of first hollow bodies which are the same height as the small beams and are provided in parallel with the small beams between a pair of the adjacent drop panels and a second hollow body which is formed between the first hollow bodies and the first hollow body, 1 hollow slab;
≪ / RTI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넓은 보와 같은 높이이며, 상기 넓은 보 이외의 부분에 상기 넓은 보와 평행 또는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2중공체와, 상기 제2중공체 사이에 형성되는 제2조이스트를 포함하는 제2중공슬래브를 더 포함하는 구조물.
16. The method of claim 15,
A second hollow body having the same height as the wide beam and installed at a portion other than the wide beam in parallel or perpendicular to the wide beam and a second hollow slab including a second joist formed between the second hollow body, ≪ / RTI >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중공슬래브와 제2중공슬래브는
상기 제1조이스트와 상기 제2조이스트의 상부에 배근되는 상부근과, 하부에 배근되는 하부근을 포함하는 구조물.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hollow slab and the second hollow slab
And an upper portion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joists, and a lower portion dispos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일정간격의 열과 행이 교차하는 위치에 복수 개의 기둥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기둥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격자로 상호 교차되는 작은 보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작은 보와 상기 기둥 간에 드럽패널를 형성하는 단계;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상기 드럽패널 사이에 상기 작은 보와 평행하게 복수 개의 제1중공체를 설치하고, 상기 제1중공체 사이에 제1조이스트가 형성되도록 제1중공슬래브를 형성하여 넓은 보를 구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구조물 시공방법.
Disposing a plurality of columns at positions where the columns and the rows intersect at regular intervals;
Providing a small beam spaced apart from the column and intersecting with a grid;
Forming a droplet panel between the small beam and the column;
A plurality of first hollow bodies are provided in parallel with the small beams between a pair of adjacent droplet panels and a first hollow slab is formed so as to form a first joist between the first hollow bodies to construct a wide beam step;
≪ / RTI >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넓은 보 이외의 부분에 제2중공슬래브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구조물 시공방법.
27. The method of claim 26,
And forming a second hollow slab at a portion other than the wide beam.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중공슬래브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넓은 보 이외의 부분에 상기 넓은 보와 평행 또는 직각으로 복수 개의 제2중공체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제2중공체 사이에 제2조이스트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구조물 시공방법.
28. The method of claim 27,
The step of forming the second hollow slab
Providing a plurality of second hollow bodies at portions other than the wide beam in parallel or at right angles to the wide beam;
Forming a second joist between the second hollow bodies;
≪ / RTI >
KR1020140156024A 2014-11-11 2014-11-11 Structure Having Hollowness Slav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181403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6024A KR101814038B1 (en) 2014-11-11 2014-11-11 Structure Having Hollowness Slav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6024A KR101814038B1 (en) 2014-11-11 2014-11-11 Structure Having Hollowness Slav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6082A KR20160056082A (en) 2016-05-19
KR101814038B1 true KR101814038B1 (en) 2018-01-02

Family

ID=56103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6024A KR101814038B1 (en) 2014-11-11 2014-11-11 Structure Having Hollowness Slav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403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7502A (en) 2019-07-11 2021-01-20 삼성물산 주식회사 Construction method for upper equipment basis drying system of steel frame grill girder in remodeling pla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3878B1 (en) 2017-06-05 2019-11-12 김지훈 Online exercise training apparatus and the method thereof
KR102349442B1 (en) * 2017-06-23 2022-01-07 심남주 Coupling structure of column and girder having single girder in lateral direction, double girder in backward direction and concrete part around the column
KR102133079B1 (en) * 2018-03-13 2020-07-13 (주)한국건설공법 Structure of column and flat plate slab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6975B1 (en) * 2008-11-24 2011-01-1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Slim floor system by continuous two-way hollow core slab
KR101034399B1 (en) * 2008-02-18 2011-05-16 (주)바로건설기술 Drop Panel Structure Of Lattice-Form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286557B1 (en) * 2011-10-24 2013-07-22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Steel-concrete composite beam for reducing story height and flatplate structur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399B1 (en) * 2008-02-18 2011-05-16 (주)바로건설기술 Drop Panel Structure Of Lattice-Form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006975B1 (en) * 2008-11-24 2011-01-1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Slim floor system by continuous two-way hollow core slab
KR101286557B1 (en) * 2011-10-24 2013-07-22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Steel-concrete composite beam for reducing story height and flatplate structur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7502A (en) 2019-07-11 2021-01-20 삼성물산 주식회사 Construction method for upper equipment basis drying system of steel frame grill girder in remodeling pl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6082A (en) 2016-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1603B1 (en) Prefabricated beam structure with concrete form
KR101523532B1 (en) Closed steel assembly for column
KR101814038B1 (en) Structure Having Hollowness Slav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1036088B1 (en) Horizontal member
JP6424075B2 (en) REINFORCED CONCRETE COLUMN STEEL BEAM JOINTING MEMBER,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KR101011252B1 (en) Rigid-frame bridge frame for reinforcing negative moment part and rigid-frame bridge having it
KR100987762B1 (en) Joint structure of vertical member and andhorizontal member
CN111794424A (en) Integral laminated slab honeycomb combination bea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663132B1 (en) Self-supporting type column structure
KR101607433B1 (en) Structure Having Modularized Beam Unit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1270733B1 (en) Prestressed Concrete Box Girder Integrated with Steel Deck and Constructing Method of Bridge using Such Girder
JP5869717B1 (en) Existing concrete structure reinforcement structure
KR101311207B1 (en) Column of steel framed reinforced precast concrete structure, manufacturing methods for the same, and construction methods for the same
CN103031926A (en) Double T-shaped composite beam provided with prestressed steel tube concrete core rods and fabrication method of double T-shaped composite beam
KR101878762B1 (en) Coupling structure of double type for girder and column capable of reducing girder height
KR101627820B1 (en) Steel horizontal assembly for forming a hollow slab
CN112282207A (en) Combined beam, spliced beam and subway station
JP6966208B2 (en) Column-beam joint structure
CN112144660A (en) Herringbone stiff column base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2433621B1 (en) Unidirectional structure of wide double composite girder in which steel members is placed in the lower section thereof
CN111155713A (en) Prefabricated superposed beam and construction method
JP6576204B2 (en) Slab construction method
KR20090093540A (en) Construction system using form-less method
JP2019011675A (en) Composite structure
CN204435400U (en) A kind of novel building Toft foundation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