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2041B1 - 에너지 저장장치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에너지 저장장치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2041B1
KR101802041B1 KR1020150191719A KR20150191719A KR101802041B1 KR 101802041 B1 KR101802041 B1 KR 101802041B1 KR 1020150191719 A KR1020150191719 A KR 1020150191719A KR 20150191719 A KR20150191719 A KR 20150191719A KR 101802041 B1 KR101802041 B1 KR 1018020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battery
energy storage
storage device
genera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91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0326A (ko
Inventor
최원준
고한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91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2041B1/ko
Publication of KR20170080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03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2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20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28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 H02J3/32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using batteries with convert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8Systems for data transfer from batteries, e.g. transfer of battery parameters to a controller, data transferred between battery controller and main controll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에너지 저장장치의 제어방법에는, 전력변환장치에 연결되는 장치와 송수신을 하여 상기 전력변환장치와 상기 장치의 연결상태를 확인하는 것; 상기 연결상태를 확인단계에서 이상이 없는 경우에, 에너지 저장장치를 작동하는 것;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작동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연결상태를 확인하고 운전상태를 확인함으로써, 에너지 저장장치의 문제점을 미리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정상상태로 에너지 저장장치가 작동됨으로써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수명이 증가될 수 있다. 그리고, 진행되는 과정이 유저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출력됨으로써 용이하게 유지보수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에너지 저장장치의 제어방법{Controlling method for the ESS}
본 발명은 에너지 저장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에너지 저장장치(ESS: Energy Storage System) 및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와 연결되는 구성들의 동작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에너지 저장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에너지 저장장치(Energy Storage System)는 생산된 전력을 발전소, 변전소 및 송전선 등을 포함한 각각의 연계 시스템에 저장한 후, 전력이 필요한 시기에 선택적,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시스템이다.
에너지 저장장치를 이용하면 시간대 및 계절별 변동이 큰 전기부하를 평준화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전반적인 부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발전 단가를 낮출 수 있다. 또한, 전력설비증설에 필요한 투자비와 운전비 등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전기요금을 인하하고,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이러한 에너지 저장장치는 전력계통에서 발전, 송배전, 수용가에 설치되어 이용되고 있고 주파수 조정(Frequency Regulation),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발전기 출력 안정화, 첨두부하 저감(Peak Shaving), 부하 평준화(Load Leveling), 및 비상 전원 등의 기능으로 사용되고 있다.
에너지 저장장치는 저장방식에 따라 크게 물리적 에너지 저장과 화학적 에너지 저장으로 구분된다. 물리적 에너지 저장으로는 양수발전, 압축 공기 저장, 플라이휠 등을 이용한 방법이 있고, 화학적 에너지 저장으로는 리튬이온 배터리, 납축전지, Nas 전지 등을 이용한 방법이 있다.
이러한 에너지 저장장치는 전력이 필요한 경우 충전된 전력을 방전하여 전력을 공급한다. 이를 통해, 에너지 저장장치는 전력을 유동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종래 에너지 저장장치는 정상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설치자가 구성 요소 별 전력케이블 및 통신케이블의 상태를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에너지 저장장치가 제대로 작동되는지, 배터리의 충방전이 제대로 동작하는지 확인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다.
일 예로, 등록특허 제10-1468314호, 에너지저장용 배터리의 기능검사 시스템을 들 수 있다.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르면,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에 구비된 배터리의 기능을 검사하기 위하여 별도의 검사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검사장치를 통해서 발생되는 검사데이터의 이력을 관리 및 제어하기 위해 별도의 소프트웨어 및 컴퓨터단말장치가 구비된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468314의 도 1 및 도 3 에 관련된 설명
본 발명은 , 에너지 저장장치 및 에너지 저장장치와 연결되는 장치들 간의 연결상태를 확인할 때 발생될 수 있는 안전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에너지 저장장치의 제어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은, 에너지 저장장치 및 에너지 저장장치와 연결되는 장치들 간의 연결상태를 확인할 때 시간이 증가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에너지 저장장치의 제어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은, 에너지 저장장치 및 에너지 저장장치와 연결되는 장치들간의 복잡한 유지보수 작업을 간단히 할 수 있는 에너지 저장장치의 제어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저장장치의 제어방법에는, 전력변환장치와 연결되는 기기의 연결상태를 확인하는 것과, 에너지 저장장치의 운전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변환장치와 연결되는 장치의 연결상태를 확인하는 것에서, 상기 전력변환장치와 연결되는 장치의 전기연결상태를 확인하는 것과, 통신연결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운전상태를 확인하는 것에서,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 및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와 연결된 장치의 충전상태를 확인하는 것과, 방전상태를 확인하는 것과, 송전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저장장치의 제어방법에는, 전력변환장치와 연결되는 장치의 연결상태를 확인하는 것과, 에너지 저장장치의 운전상태를 확인하는 것에서 진행되는 과정을 외부로 나타내는 유저인터페이스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력변환장치의 연결상태를 확인하고, 에너지 저장장치의 작동상태를 확인함으로써, 에너지 저장장치의 문제점을 미리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에너지 저장장치 및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와 연결되는 기기의 정상적인 작동상태를 확인함으로써, 에너지 저장장치의 수명이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진행되는 과정이 유저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출력됨으로써, 사용자는 용이하게 유지보수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에너지 저장장치 및 에너지 저장장치와 연결되는 장치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시운전모드의 작동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연결상태를 확인하는 단계의 작동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연결상태를 확인하는 단계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유저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운전상태를 확인하는 단계의 작동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운전상태를 확인하는 단계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유저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서 사용자가 진행상태창을 선택하면 제공되는 유저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운전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중 일 단계가 정상적으로 완료되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유저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운전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중 일 단계가 이상여부가 감지되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유저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서 사용자가 진행상태창을 선택하면 제공되는 유저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및 추가 등에 의해서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이하의 실시예에 첨부되는 도면은, 같은 실시예 임에도 불구하고, 발명 사상이 훼손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미세한 부분의 표현에 있어서는 도면별로 서로 다르게 표현되거나, 도면에 따라서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은 에너지 저장장치 및 에너지 저장장치와 연결되는 장치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에너지저장장치에는 에너지를 저장하는 배터리(5)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5)를 관리하는 배터리관리모듈(4)과, 발전모듈(6)과 전력계통(7)과 상기 배터리(5)와 부하(8)의 연결상태에 따라서 전력을 변환하는 전력변환장치(1)와, 상기 배터리관리모듈(4)의 전원을 관리하는 전력관리모듈(2)과, 상기 전력관리모듈(2)을 제어하는 에너지관리모듈(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변환장치(Power Conversion System)(3)에는 상기 발전모듈(6)과, 상기 배터리(5)와, 상기 전력계통(7)과, 상기 부하(8)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부하(8)는 전력을 사용하는 일반 가정을 예를 들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력계통(7)은 상기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설비, 송전선로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전력변환장치(3)는 다수의 인버터 및 컨버터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력계통(7)과 상기 전력변환장치(3)의 연결부에는 전력을 변환하는 인버터 및 컨버터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버터 및 컨버터는 상기 발전모듈(6)에서 발전되는 전력을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버터 및 컨버터는 상기 발전모듈(6)과 상기 전력계통(7)과 상기 배터리(5)의 연결부에 배치되어 전력을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컨버터는 상기 발전모듈(6) 로부터 출력되는 전력을 에너지 저장장치의 내부처리에 적합한 직류로 변환시킬 수 있다. 상기 컨버터에서 변환된 직류는 상기 전력계통 또는 상기 부하로 공급되기 위하여 상기 인버터에서 교류로 변환될 수 있다.
상기 전력변환장치(3)에는 장치들과 전기적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 전송되는 전력의 전압을 변환하는 변압기, 불필요한 전력의 이동을 차단하는 차단기, 상기 케이블의 상태를 확인하는 계측기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은 통신케이블과 전력케이블이 구분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는, 하나의 전력통신용 케이블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변압기, 상기 차단기, 상기 계측기기는 필요에 따라서 다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에너지 저장장치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장치에 제공될 수 있다. 이 같은 구성에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발전모듈(6)은 태양광발전모듈을 포함하는 풍력, 조력, 수력, 및 지열 등과 같은 다양한 발전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발전모듈(6)이 상기 태양광 발전모듈일 경우, 상기 발전모듈는 태양전지 어레이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태양전지 어레이는 복수의 태양전지 모듈을 결합한 것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태양전지 모듈은 복수의 태양전지 셀을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태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소정의 전압과 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태양전지 어레이는 태양 에너지를 흡수하여 전기 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발전모듈이 풍력 발전장치인 경우, 상기 발전모듈은 풍력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풍력 터빈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발전모듈이 조력 발전장치인 경우, 상기 발전모듈은 조력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조력 터빈으로 제공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의 상기 발전모듈은 범용적으로는 태양광 발전모듈을 고려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5)는 배터리관리모듈(4)의 제어를 받을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배터리관리모듈(4)은 상기 배터리(5)의 충방전 상태를 확인하거나, 상기 배터리를 관리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배터리관리모듈(4)는 상기 배터리(5)에 연결되어 하나의 배터리모듈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같은 구성에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배터리(5)는 수요처의 용량에 맞게 구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배터리(5)에는 이튬이온전지(LiB), 납축전지, 나트륨 유황 전지(NaS), 레독스흐름전지(RFB), 수퍼캐패시터(SuperCapacito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5)는 수요처의 용량에 맞게 다량의 셀(Cell)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5)는 수요처의 용량에 맞게 구축된 저장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저장장치에는 프라이휠(Flywheel), 압축공기저장시스템(CAES), 양수발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배터리관리모듈(Battery Management System)(4)은 상기 배터리(5)의 온도, 전류, 전압, 충전량 등을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측정된 상기 배터리(5)의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또한, 측정된 상기 배터리(5)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5)의 동작 환경을 최적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5)를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전력관리모듈(Power Management System)(2)은 상기 전력변환장치(3) 및 상기 배터리관리모듈(4) 등 에너지 저장장치의 전원을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력관리모듈(3)은 에너지관리모듈(Energy Management Systme)(1)의 제어를 받을 수 있다.
상기 에너지관리모듈(1)은 외부로부터 요금정보, 전력 사용량, 및 환경정보 등을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의 에너지 생산, 저장, 및 소비 패턴을 분석하여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에너지관리모듈(1)은 컨트롤센터, 및 헴스 게이트웨이(HEMS Gateway) 등을 통해서 상기 전력관리모듈(2)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기 위한 운영시스템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전력관리모듈(2)은 상기 에너지관리모듈(1)과 일체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같은 구성에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지 않는다. 다만, 본 실시예는 상기 에너지관리모듈(1)이 상기 전력관리모듈(2) 뿐만 아니라,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전반적인 작동을 제어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장치의 제어방법에서는,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상태를 제어하는 것을 어느 일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상태에 따라서 사용자는 에너지 관리모듈(1)에 제공되는 유저인터페이스(도 4의 220 참조)를 이용하여 직접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컨트롤센터로부터의 지시에 의해서 제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컨트롤센터는 외부 관리 주체의 제어하에서 제어될 수 있다.
표 1은 에너지 저장장치의 다양한 동작모드를 간략하게 보여준다.
표 1을 참조하면,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제어방법에는, 사용자가 직접 상태를 제어하는 수동모드, 사용자가 원하는 모두를 지정하면 정하여진 모드에 따라서 자동으로 동작되는 자동모드, 에너지 저장장치의 보호를 위하여 강제로 동작되는 보호모드, 및 에너지 저장장치의 설치 시에 수행되는 설치모드가 포함될 수 있다.

대분류

운전모드

동작

수동모드

충전모드

사용자가 수동으로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모드

방전모드

사용자가 수동으로 배터리를 방전시키는 모드

대기모드

사용자가 수동으로 배터리를 충방전 없이 대기시키는 모드

자동모드

그린모드

발전전력을 부하에 공급 후, 잉여전력을 배터리에 우선 충전한 후에 매전하는 모드

경제모드

발전전력을 부하에 공급 후, 잉여전력을 배터리에 우선 매전한 후에 충전하는 모드

ECHONET-lite 모드

컨트롤센터 또는 헴스 게이트웨이의 제어명령에 따라서 제어되는 모드

보호모드

정전모드

정전 시에 발전전력 및 배터리 전력을 중요부하에 공급하는 모드

강제충전모드

배터리의 SOC가 최소 충전량 이하일 때 배터리를 강제 충전시키는 모드

설치모드

시운전모드

에너지 저장장치의 설치 시에 수행하는 모드
상기 표 1을 참조하여,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동작모드에서 설치모드를 설명한다.
상기 설치모드에는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를 시운전하는 시운전모드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시운전모드는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설치 시에 상기 표 1에 제시되는 각각의 모드가 정상적으로 동작될 수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시운전모드는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 및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와 연결되는 장치들의 재설치 시에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운전모드는, 설치 및 재설치에 제한되지 않고, 에너지 저장장치의 이상동작 시에 에너지 저장장치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다양한 경우에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 및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와 연결되는 장치의 확인 및 점검을 위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다만, 본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시운전모드를 편리하고 정확하게 수행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에너지 저장장치의 제어방법은, 에너지 저장장치와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와 연결되는 장치들간의 통신연결상태 및 전기연결상태 중의 적어도 하나를 판단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세히, 사용자는 에너지 관리모듈(1)에 제공되는 유저인터페이스(220)를 이용하여 통신연결상태 및 전기연결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이상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유저인터페이스(220)를 통해서 각각의 장치와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를 연결하는 전력케이블 또는 통신케이블의 단락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에너지 관리모듈(1)은 사용자 또는 설치자로부터 상기 유저인터페이스(220)를 통해서 상기 시운전모드의 시작을 입력 받으면, 상기 전력관리모듈(2)로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력관리모듈(2)은 제어신호에 맞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상태를 확인하는 단계(S110)의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전력변환장치(3)를 통해서 각 구성장치들과 연결되는 전력케이블의 전압 및 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할 수 있다. 측정된 전압 및 전류 중 적어도 하나의 측정값은 상기 에너지관리모듈(1)로 수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너지관리모듈(1)은 배터리관리모듈(4)로부터 배터리의 환경상태 등을 수신받을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전력관리모듈(2) 및 상기 배터리관리모듈(4)에서 측정된 값들은 상기 에너지관리모듈(1)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에너지관리모듈(1)로 전송된 측정값들은 유저인터페이스(220)를 통해서 실시간으로 표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장치의 제어방법에는, 배터리(5)의 충전, 방전, 및 발전모듈(6)의 송전상태를 제어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세히, 사용자가 에너지관리모듈(1)에 제공되는 유저인터페이스(220)를 이용하여 직접 제어할 수 있다. 또는, 미리 설정된 정보를 참조하여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저인터페이스(220)를 통해서 각각의 구성장치와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가 정상적으로 작동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저인터페이스(220)를 통해서 상기 에너지 관리모듈(1)의 운전상태를 확인하는 단계(S120)가 입력되면, 상기 에너지 관리모듈(1)은 상기 전력관리모듈(2)로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전력관리모듈(2)은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력변환장치(3)의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 예로, 전력계통-배터리 충전단계(S121)가 입력되면, 전력계통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공급받은 전력은 상기 전력변환장치(3)의 컨버터를 통하여 직류전력으로 변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5)를 충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력관리모듈(2)은 상기 배터리관리모듈(4)로부터 상기 배터리의 환경정보 등을 수신받을 수 있다. 이후, 상기 배터리(5)를 일정시간 충전하면, 상기 전력계통-배터리 충전단계(S121)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전력관리모듈(2)는 상기 배터리관리모듈(4)과 상기 전력변환장치(3)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상기 에너지관리모듈(1)로 전송할 수 있다. 전송된 정보는 상기 에너지관리모듈(1)의 유저인터페이스(220)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2는 시운전모드의 작동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시운전모드 에는,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 및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와 연결되는 장치들의 연결상태를 확인하는 단계(S110)와,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 및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와 연결되는 장치들의 운전상태를 확인하는 단계(S12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연결상태를 확인하는 단계(S110)는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 및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에 연결되는 다양한 장치들이 올바르게 연결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전력변환장치(3)와, 상기 배터리(5)와, 상기 발전모듈(6)과, 상기 전력계통(7)을 연결하는 전력케이블의 전압 및 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에 포함되는 전력케이블의 전압 및 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변환장치(3)와, 상기 전력관리모듈(2)과, 상기 배터리관리모듈(4)과, 에너지관리모듈(1)을 연결하는 통신케이블의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 및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와 연결되는 장치들의 통신케이블의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수집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통신연결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정된 전압 및 전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전기연결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집된 데이터와 측정된 전압 및 전류 중 적어도 하나가 정상값인 경우에는 연결이 올바르게 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통신케이블의 연결상태는 프로토콜(Protocol)을 통해서 수집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 및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와 연결되는 장치들은 통신케이블을 통해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통신케이블로 전송되는 데이터는 상기 프로토콜에서 미리 규약된 정상 송수신의 신호일 수 있다. 상기 프로토콜은 상기 통신케이블로 전송되는 상기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집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케이블이 포함되는 각 장치들의 정상 연결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프로토콜을 통해서 판단된 연결상태 이상여부는 상기 에너지관리모듈(1)의 유저인터페이스(도 4 의 220 참조)를 통해서 외부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전력케이블의 연결상태는 계측기기를 통하여 전압 및 전류 중 어느 하나를 측정하여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계측기기는 각각의 장치에 제공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계측기기는 상기 전력변환장치(30)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계측기기는 상기 전력케이블을 통해서 각각의 장치들의 전압 및 전류 중 어느 하나의 출력값을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출력된 전압값 및 전류값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전력케이블의 이상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된 전압값 및 전류값이 정상값인 경우에는 연결이 올바르게 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계측기기를 통해서 확인된 이상여부는 상기 에너지관리모듈(1)의 유저인터페이스(도 4의 220 참조)를 통해서 외부로 나타낼 수 있다.
즉, 상기 연결상태를 확인하는 단계(S110)는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 및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와 연결되는 장치들의 전기연결상태와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 및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와 연결되는 장치들의 통신연결상태를 확인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확인된 정보는 에너지관리모듈(1)을 통해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는 에너지관리모듈을 확인하는 것만으로 에너지 저장장치 및 에너지 저장장치와 연결되는 장치들의 연결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이상여부가 발생되는 부분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동작상태를 확인하는 단계(S120)는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 및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와 연결되는 장치들이 정상적으로 작동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동작상태를 확인하는 단계(S120)는 상기 연결상태를 확인하는 단계(S110)가 완료된 후 진행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 및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와 연결되는 장치들이 정상적으로 작동되는지 일정시간 동안 시운전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상기 배터리(5)가 전력계통(7)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통해서 정상적으로 충전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발전모듈(6)로부터 발생되는 전력을 통해 정상적으로 충전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5)가 정상적으로 방전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전모듈(6)에서 발전되는 전력이 상기 전력계통(7)으로 정상적으로 송전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에너지 저장장치 및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와 연결되는 장치들을 일정시간 동안 작동함으로써, 차후에 발생될 수 있는 오작동을 미리 예방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연결상태를 확인하는 단계(S110)를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연결상태를 확인하는 단계의 작동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연결상태를 확인하는 단계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유저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에너지관리모듈(1)에는 현재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유저인터페이스(User Interface)(220)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유저인터페이스(220)는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을 제어하기 위한 동작을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작동상태를 외부로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유저인터페이스(220)는 사용자로부터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출력부를 분리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는, 하나의 유저인터페이스(220)를 통해서 입력 또는 출력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로부터 동작신호를 입력받거나, 사용자에게 작동상태를 외부로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지 않는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유저인터페이스(220)는 입력 및 출력을 동시에 수행 가능한 터치스크린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상기 유저인터페이스(220)는 상기 에너지관리모듈(1)에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되지만, 전력관리모듈(2) 또는 별도의 장치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같은 구성에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지 않는다.
사용자 또는 설치자는 상기 유저인터페이스(220)를 조작하여 시운전모드를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시운전모드가 작동되면, 상기 유저인터페이스(220)는 도 4 에 도시된 모습과 같이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에너지관리모듈(1)은 계측기기 및 프로토콜을 통해서 연결상태를 확인하는 단계(S110)를 수행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연결상태를 확인하는 단계(S110)에는, 통신케이블의 연결상태를 확인하는 단계(S111)와, 전력케이블의 연결상태를 확인하는 단계(S112)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통신케이블의 연결상태를 확인하는 단계(S111)는 상기 전력케이블의 연결상태를 확인하는 단계(S112)보다 먼저 수행될 수 있다. 또는, 어느 하나의 장치와 연결되는 통신케이블과 전력케이블의 연결상태를 함께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상기 통신케이블의 연결상태를 상기 전력케이블의 연결상태보다 먼저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통신케이블의 연결상태를 확인하는 단계(S111)는 상기 프로토콜을 통해서 상기 통신케이블의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상세히, 정상적으로 작동되는 장치들을 연결하는 통신케이블에는 정상신호가 전송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통신케이블이 단락, 단선 및 합선이 발생된 경우에는, 이상신호가 발생될 수 있다. 또는 정상신호가 전송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프로토콜을 통해서 상기 통신케이블의 정상신호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상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케이블의 이상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상신호가 전송되는 과정에서, 상기 통신케이블 뿐만 아니라 통신모듈 또는 통신장치들의 이상상태 또한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통신케이블의 연결상태를 확인하는 단계(S111)에서 이상여부가 없는 경우에, 상기 전력케이블의 연결상태를 확인하는 단계(S112)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전력케이블의 연결상태를 확인하는 단계(S112)는 상기 계측기기를 통해서 전압 및 전류 중 어느 하나를 측정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 및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와 연결되는 장치들을 연결하는 전력케이블에는 고압의 전력이 송전되는 전력케이블과, 에너지 저장장치를 작동하기 위한 전력케이블이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계측기기는 에너지 저장장치 및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와 연결되는 장치들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전력변환장치에 일체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계측기기는 상기 전력케이블의 전압 및 전류 중 어느 하나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계측기기를 통해서 측정되는 전압값 및 전류갑은 정상상태일 경우에는 정상적인 값으로 측정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전력케이블이 단락, 단선 및 합선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비정상적인 값으로 측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계측기기를 통해서 측정되는 전압값 및 전류갑 중 어느 하나의 값에 기초하여 상기 전력케이블의 이상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력케이블의 이상여부는 상기 유저인터페이스(220)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연결상태를 확인하는 단계(S110)는 상기 통신케이블의 연결상태를 확인하는 단계(S111)와 상기 전력케이블의 연결상태를 확인하는 단계(S112)를 동시에 확인할 수 있다. 이 같은 구성에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유저인터페이스(220)에는 연결상태확인화면(210)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연결상태확인화면(210)에는 각각의 장치들의 준비상태창(211)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연결상태확인화면(210)에는 배터리(Battery)(5), 발전모듈(PV)(6), 전력변환장치(PCS)(3), 계통(Grid)(7), 계측기기(Meter) 등으로 구분되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준비상태창(211)은 각각의 장치들의 준비상태에 따라서 준비(Ready), 실패(Fail)등 준비상태가 완료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상태확인화면(210)의 각각의 장치에는 상기 준비상태창(211)이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준비상태창(211)는 각각의 장치에 따라서 변화될 수 있다.
상기 연결상태를 확인하는 단계(S110)가 수행되는 과정을 예를 들어 이하에서 설명한다.
사용자는 상기 유저인터페이스(220)를 통해서 시운전모드을 시작할 수 있다. 상기 시운전모드가 시작되면, 상기 연결상태를 확인하는 단계(S110)가 작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저인터페이스(220)에는 상기 연결상태확인화면(210)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연결상태를 확인하는 단계(S110)가 작동되면, 통신케이블의 연결상태를 확인하는 단계(S111)가 작동될 수 있다. 상기 통신케이블의 연결상태를 확인하는 단계(S111)가 작동되면,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 및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와 연결되는 장치들의 통신케이블로부터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데이터는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 및 상기 장치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된 프로토콜을 통해 수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토콜을 통해 수집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케이블의 이상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통신케이블의 연결상태를 확인하는 단계(S111)에서 상기 통신케이블의 이상여부가 발생되지 않으면, 상기 전력케이블의 연결상태를 확인하는 단계(S112)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전력케이블의 연결상태를 확인하는 단계(S112)가 수행되면,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 및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와 연결되는 장치들의 전력케이블로부터 전압 및 전류 중 어느 하나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압 및 전류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 및 상기 장치들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된 계측기기를 통해 측정될 수 있다. 상기 계측기기를 통해 측정된 전압 및 전류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전력케이블의 이상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전력케이블의 연결상태를 확인하는 단계(S112)에서 상기 전력케이블의 이상여부가 발생되지 않으면, 상기 연결상태를 확인하는 단계(S110)가 종료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상태를 확인하는 단계(S110)에서 각각의 장치별 이상여부가 발생되지 않는 경우, 상기 연결상태확인화면(210)의 준비상태창(211)에는 녹색등 또는 준비(Ready) 등 정상상태를 나타내는 알람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력변환장치(3)와 상기 배터리(5)를 연결하는 전력케이블의 전압, 전류, 온도 등을 계측기기를 통해 감지한 후, 이상여부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배터리(5)에 해당하는 연결상태확인화면(210)의 준비상태창(211)에 녹색등이 켜질 수 있다. 또는 준비, 또는 준비(Ready) 등 연결상태의 이상이 없음을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상기 통신케이블의 연결상태를 확인하는 단계(S111) 또는 상기 전력케이블의 연결상태를 확인하는 단계(S112)에서 이상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케이블 중 적어도 일부분에 단선, 단락 및 합선이 발생한 경우에는 상기 프로토콜에서 정하여진 바와 같은 신호의 송수신이 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통신케이블의 연결상태가 이상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통신케이블과 연결된 통신모듈 또는 통신장치의 이상이 발생된 경우에는 상기 프로토콜에서 정하여진 바와 같은 신호의 송수신이 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통신모듈 및 상기 통신장치의 이상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통신모듈, 통신장치 및 통신케이블 등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 및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와 연결되는 장치들의 통신연결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케이블 중 적어도 일부분에 단선, 및 단락 및 합선이 발생한 경우에는 상기 계측기기를 통해서 비정상적인 전압 및 전류 중 어느 하나의 값이 측정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전력케이블의 연결상태가 이상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상태를 확인하는 단계(S110)에서 이상여부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유저인터페이스의 준비상태창(211)에는 적색등이 켜질 수 있다. 또는, 연결상태의 이상이 있음을 나타내는 경고음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전력케이블 또는 통신케이블에 이상여부가 판단되는 경우, 진행되던 작동을 대기시킨 후 사용자에게 재시작여부(S114)를 확인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전력케이블 또는 통신케이블에 이상여부가 있는 경우, 진행되던 작동을 대기시킨 후 재시작여부(S114)를 상기 유저인터페이스(220)에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재시작여부(S114)는 사용자가 유저인터페이스(220)를 통해서 직접 선택할 수 있다. 또는, 미리 설정된 정보로 작동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연결상태를 확인하는 단계(S110)를 재시도할 수 있다.
반면, 유저인터페이스(220)를 통해서 재시작여부(S114)가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연결상태를 확인하는 단계(S110)는 운전상태를 확인하는 단계를 중지(S115)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준비상태창(211)에는 상기 이상여부가 발생된 장치의 준비상태창(211)에 이상여부를 알릴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상태를 확인하는 단계(S110)는 종료될 수 있다.
상기 연결상태를 확인하는 단계(S110)가 정상적으로 종료되면, 상기 운전상태를 확인하는 단계(S120)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운전상태를 확인하는 단계(S120)를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운전상태를 확인하는 단계의 작동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운전상태를 확인하는 단계(S120)는 상기 연결상태를 확인하는 단계(S110)가 정상적으로 종료된 이후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운전상태를 확인하는 단계(S120)는 연결상태가 확인된 장치들이 정상적으로 작동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운전상태를 확인하는 단계(S120)는 에너지 저장장 및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와 연결되는 장치별 일정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시간은 1~5분 내외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일정시간 동안 내 고장이나 실패가 없을 경우 다음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일정시간 내에 고장 또는 실패가 있을 경우 다음단계를 수행하지 않고 미완료상태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미완료상태에서 설정된 시간 또는 사용자가 설정한 설정정보에 따라서 상기 운전상태를 확인하는 단계(S120)가 재시작되는 단계(S126)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운전상태를 확인하는 단계(S120)는 전력계통(7)을 통해서 배터리(5)의 충전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121)와, 발전모듈(6)을 통해서 배터리(5)의 충전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122)와, 배터리(5)에 충전된 전력을 전력계통(7)으로 방전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123)와, 발전모듈(6)에서 발전된 전력을 전력계통(7)으로 송전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124)가 포함될 수 있다. 각 단계의 순서는 사용자의 설정 또는 필요에 의하여 변경될 수 있다. 이 같은 구성에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지 않는다. 각 단계는 상기 일정시간 동안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일정시간 동안 정상적으로 작동되면, 시작된 단계는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고 다음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운전상태를 확인하는 단계(S120)를 단계별로 이하에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전력계통-배터리 충전단계(121)는 상기 전력계통(7)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이 상기 전력변환장치(3)를 거친 후 상기 배터리(5)에 정상적으로 충전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전력계통(7)으로부터 유입되는 전력은 교류전력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교류전력은 상기 전력변환장치(3)의 컨버터를 거친 후 직류전력으로 변환될 수 있다. 그리고 변환된 직류전력은 상기 배터리에 충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터리의 상태, 충전량, 온도 등은 배터리관리모듈(4)을 통해서 관리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전력계통(7)으로부터 유입된 전력이 상기 배터리(5)로 정상적으로 전달되는가를 확인할 수 있다.
상세히, 전력계통-배터리 충전단계(S121)는 먼저 상기 배터리(5)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력계통(7)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상기 배터리(5)의 정격 충전출력으로 변환하여 상기 배터리(5)의 충전을 진행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5)의 충전이 일정시간 동안 정상적으로 진행되면 단계는 완료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서, 상기 전력계통(7)을 통해서 상기 배터리(5)가 정상적으로 작동되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차후에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을 미리 예방할 수 있다.
상기 발전모듈-배터리 충전단계(S122)는 상기 발전모듈(6)을 통해서 발생되는 전력을 통해서 상기 배터리(5)가 정상적으로 충전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발전모듈(7)로부터 발생된 전력은, 예를 들어 상기 전력변환장치(3)의 DC/DC인버터를 거친 후 상기 배터리(5)로 공급될 수 있다.
상세히, 발전모듈-배터리 충전단계(S122)는 먼저 상기 발전모듈(7)로부터 발전되는 전력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발전전력이 상기 배터리(5)의 정격 충전출력보다 많은 경우에는 상기 배터리(5)의 정격 충전출력으로 상기 배터리(5)를 충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전전력이 상기 배터리(5)의 정격 충전출력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배터리(5)의 현재 출력으로 충전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배터리(5)의 충전이 일정시간 동안 정상적으로 진행되면 단계는 완료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서, 상기 발전모듈(7)을 통해서 상기 배터리(5)가 정상적으로 작동되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차후에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을 미리 예방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전력계통 방전단계(S123)는 상기 배터리(5)에 충전된 전력이 정상적으로 상기 전력계통(7)으로 방전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5)를 상기 전력계통(7)으로 방전함으로써 피크관리(Peak Management)가 가능할 수 있다. 상기 피크관리는 전력수요가 낮은 시간대에 상기 배터리(5)를 충전하고, 전력수요가 높은 시간대에 상기 배터리(5)를 방전하여 전력의 수요와 공급의 균형을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게 경제적으로 이득을 제공할 수 있다.
상세히, 배터리-전력계통 방전단계(S123)는 먼저 상기 배터리(5)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5)를 정격 방전출력으로 상기 전력계통(7)으로 방전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5)가 일정시간 동안 정상적으로 방전이 진행되면 단계는 완료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서, 상기 배터리(5)의 전력이 상기 전력계통(7)으로 정상적으로 방전되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차후에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을 미리 예방할 수 있다.
상기 발전모듈-전력계통 송전단계(S124)는 상기 발전모듈(6)로부터 발생되는 전력을 상기 전력계통(7)으로 정상적으로 송전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발전모듈(6)에서 발생된 전력은 상기 전력변환장치(3)의 인버터 또는 컨버터를 거친 후 상기 전력계통(7)으로 송전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발전모듈(6)로부터 발생된 전력을 상기 전력계통(7)으로 판매할 수 있다.
상세히, 발전모듈-전력계통 송전단계(S124)는 먼저 상기 발전모듈(6)에서 발전되는 전력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발전전력(6)이 상기 전력변환장치(3)의 정격 출력보다 많은 경우에는 상기 전력변환장치(3)의 정격 출력으로 상기 전력계통(7)으로 송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전전력이 상기 전력변환장치(3)의 정격 출력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전력변환장치(3)의 출력을 상기 발전모듈의 발전전력으로 송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력변환장치(3)의 정격 출력은 상기 발전모듈(6)로부터 발생되는 직류전력을 교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인버터의 정격 충전출력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발전모듈(6)로부터 발전된 전력이 상기 전력계통(7)에 일정시간 동안 정상적으로 송전이 진행되면 단계는 완료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서, 상기 발전모듈(6)로부터 상기 전력계통(7)으로 정상적으로 송전되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차후에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을 미리 예방할 수 있다.
상기 운전상태를 확인하는 단계(S120)는 상기 전력계통-배터리 충전단계(S121), 상기 발전모듈-배터리 충전단계(S122), 상기 배터리-전력계통 방전단계(S123), 상기 발전모듈-전력계통 송전단계(S124)를 정상적으로 모두 완료할 경우에 상기 운전상태를 확인하는 단계(S120)는 완료될 수 있다. 상기 운전상태를 확인하는 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시운전모드가 종료될 수 있다. 상기 시운전모드가 종료되면, 사용자는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가 정상적으로 작동 가능한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각각의 모드(표 1 참조)로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를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운전상태를 확인하는 단계(S120)의 각각의 단계에서 일정시간 동안 작동되지 않거나, 구성장치의 고장이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각각의 단계는 미완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세히, 각각의 단계에서 미완료되는 경우를 이하에 설명한다.
먼저, 상기 계측기기에서 기준 전력값과 실제 측정되는 전력값을 비교한 후 설정된 횟수 이상으로 오차가 발생될 경우 미완료로 판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오차범위는 3% 이내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설정된 횟수는 사용자가 지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를 구성하는 구성장치에 고장이 발생시, 진행 중인 단계는 미완료로 판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를 시운전모드로 작동 중, 사용자 또는 설치자가 직접 정지하는 경우 미완료로 판단될 수 있다. 이때, 직접정지하는 방법으로는 별도로 구비된 정지버튼 또는 유저인터페이스(220)를 통하여 상기 시운전모드의 작동을 중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운전상태를 확인하는 단계(S120)의 각각의 단계에서 미완료가 발생되면, 상기 운전상태를 확인하는 단계(S120)는 진행되던 작업을 멈춘 상태로 대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저인터페이스(220)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재시작여부(S126)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재시작여부(S126)을 선택하는 경우에 상기 운전상태를 확인하는 단계(S120)가 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재시작여부를 선택하는 단계(S126)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유저인터페이스(220)를 통하여 직접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재시작여부를 선택하는 단계(S126)가 수행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운전상태를 확인하는 단계는 중단(S127)될 수 있다. 상기 운전상태를 확인하는 단계가 중단되면, 상기 유저인터페이스(220)를 통해서 상기 운전상태에 이상이 있음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운전상태확인단계 중의 어느 한 단계를 예를 들어 유저인터페이스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6은 운전상태를 확인하는 단계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유저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 상기 운전상태를 확인하는 단계(S120)가 진행될 때, 에너지관리모듈에 제공되는 유저인터페이스(220)에 진행되는 과정이 나타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유저인터페이스(220)를 통해서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작동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유저인터페이스(220)에는 각각의 단계가 진행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진행상태창(230)과, 진행되는 완성도를 나타내는 진행바(231)와, 상기 각각의 단계를 작동할 수 있는 작동바(232)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진행바(231)는 각각의 단계마다 진행되는 완성도에 따라서 순차적으로 점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진행상태창(230)는 4단계에 해당되는 4개의 블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선택바(232)는 상기 단계가 진행되는 상황에 따라서 정지(Stop) 또는 시작(Start)로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작동바(232)를 선택하여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또는, 미리 저장된 단계의 순서로 작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작동바(232)는 재시작여부를 선택하는 단계(S126)의 선택여부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지 않는다.
도 7은 도 6에서 사용자가 진행상태창을 선택하면 제공되는 유저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진행상태창(230)은 사용자가 상기 진행상태창(230) 또는 상기 진행바(231)을 선택시, 선택된 상기 진행상태창(230)의 상세한 진행정보를 제공하는 진행정보창(233)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상세한 진행정보에는 충전전력, 잔량, 전압표시 등 현재 진행되는 단계의 상세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진행정보창(233)에 제공되는 상세한 진행정보는 상기 계측기기에서 측정되는 전압 및 전류 중 어느 하나의 값에 기초하여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진행정보창(233)을 통해서 실시간으로 변화되는 값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진행정보창(233)은 각각의 단계에 따라 변화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같은 구성에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지 않는다.
도 8은 운전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중 일 단계가 정상적으로 완료되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유저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운전상태를 확인하는 단계(S120)에서 정상적으로 완료된 단계의 진행바(231)는 녹색등 또는 패스(Pass) 등으로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하나의 단계가 완료되면, 다음단계의 진행상태창(230) 및 진행바(231)가 작동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진행정보창(230)에 완료된 진행바(231)를 선택하여 상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유저인터페이스(220)를 통해서 각각의 단계가 진행되는 과정을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9는 운전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중 일 단계가 이상여부가 감지되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유저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진행바(231)는 상기 운전상태를 확인하는 단계(S120)의 이상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운전상태를 확인하는 단계(S120)에서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는 단계의 진행바(231)는 적색등 또는 실패(Fail) 등으로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이상이 있음을 나타낼 수 있는 점멸등 또는 경고음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인터페이스(220)를 통해서 용이하게 이상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여부가 발생된 장치의 진행상태창(230)에 이상여부가 표시됨으로써 사용자는 이상여부가 발생되는 장치를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10은 도 9에서 사용자가 진행상태창을 선택하면 제공되는 유저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사용자는 이상여부가 발생된 장치의 상기 진행바(231) 또는 상기 진행상태창(230)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진행바(231) 또는 상기 진행상태창(230)을 선택하면, 상기 이상여부에 해당되는 에러정보를 나타내는 에러정보창(234)가 나타날 수 있다. 상기 에러정보창(234)를 선택하면, 상세한 에러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에러정보창(234)에는 에러코드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에러코드는 각각의 단계에 해당되는 에러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에러코드에는 상기 에러정보가 발생되는 원인과, 에러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포함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기 운전상태를 확인하는 단계(S120)가 수행되는 과정을 상기 유저인터페이스(220)에 기초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사용자는 유저인터페이스(220)를 통해서, 시운전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시운전모드가 선택되면, 에너지관리모듈(1)은 상기 시운전모드에 해당되는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상태를 확인하는 단계(S110)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연결상태를 확인하는 단계(S110)가 완료되면, 상기 운전상태를 확인하는 단계(S120)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운전상태를 확인하는 단계(S120)가 수행되면, 먼저 전력계통-배터리 충전단계(S121)가 수행될 수 있다. 즉, 상기 전력계통(7)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공급된 전력은 전력변환장치(3)의 컨버터를 거친 후, 직류전력으로 변환될 수 있다. 변환된 직류전력은 상기 배터리(5)로 공급되어 상기 배터리(5)의 충전이 시작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저인터페이스(220)에는 상기 전력계통-배터리 충전단계(S121)에 해당되는 상기 진행상태창(230)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진행상태창(230)은 진행되는 과정에서 따라서 상기 진행바(231)가 점등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진행상태창(230)을 선택하여 진행정보창(233)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전력계통-배터리 충전단계(S121)가 일정시간 동안 정상적으로 진행되면, 상기 전력계통-배터리 충전단계(S121)에 해당되는 유저인터페이스(220)에는 완료를 알리는 패스(PASS)가 상기 진행바(231)에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다음 단계에 해당되는 발전모듈-배터리 충전단계(S122)가 수행될 수 있다. 이후, 발전모듈-배터리 충전단계(S122), 배터리-전력계통 방전단계(S123), 발전모듈-전력계통 송전단계(S124) 을 모두 정상적으로 완료되는 경우, 상기 시운전모드가 종료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력계통-배터리 충전단계(S121)가 일정시간 동안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전력계통-배터리 충전단계(S121)는 미완료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전력계통-배터리 충전단계(S121)는 대기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력계통-배터리 충전단계(S121)에 해당되는 유저인터페이스(220)에는 미완료를 나타내는 실패(Fail)가 상기 진행바(231)에 표시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상기 미완료에 해당되는 문제점을 해소한 후, 재시작여부를 선택하는 단계(S126)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재시작여부를 선택하는 단계(S126)을 통해서, 상기 운전상태를 확인하는 단계(S120)을 다시 시작할 수 있다.
상기 재시작여부를 선택하는 단계(S126)에서 일정시간이 경과되거나, 사용자가 재시작여부를 선택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운전상태를 확인하는 단계가 중지(S127)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운전상태를 확인하는 단계(S120)는 종료될 수 있다. 상기 운전상태를 확인하는 단계(S120)가 중지된 상태로 종료되는 경우에는 정상적으로 완료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유저인터페이스(220)를 통해서 이상이 있음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또는 설치자가 편리하게 에너지 저장장치와 구성장치들간의 연결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유저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진행되는 상태가 제공될 수 있다. 즉, 사용자 또는 설치자는 더욱 편리하게 에너지 저장장치의 유지 보수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그 산업적인 적용이 크게 기대된다.
1 에너지관리모듈(EMS) 2 전력관리모듈(PMS)
3 전력변환장치(PCS) 4 배터리관리모듈(BMS)
5 배터리 6 발전모듈(PV)
7 전력계통(Grid) 8 부하(Load)
220 유저인터페이스(UI)

Claims (12)

  1. 전력계통, 배터리, 및 발전모듈과 연결되는 전력변환장치를 작동하여 시운전 모드를 수행하는 것;
    상기 전력계통, 배터리, 발전모듈, 및 전력변환장치를 연결하는 통신케이블로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기 통신케이블의 연결상태를 확인하는 것;
    상기 전력계통, 배터리, 발전모듈, 및 전력변환장치를 연결하는 전력케이블로 전달되는 전력의 전압 및 전류 중 하나 이상을 측정하여, 상기 전력케이블의 연결상태를 확인하는 것;
    상기 전력계통, 배터리, 발전모듈, 및 전력변환장치를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작동하여, 상기 전력계통, 배터리, 발전모듈, 및 전력변환장치의 작동상태를 확인하는 것; 및
    상기 연결상태 및 작동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종료되면, 상기 시운전 모드를 종료하는 것; 을 포함하고,
    상기 작동상태를 확인하는 것에는,
    상기 전력계통 및 발전모듈의 전력으로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
    상기 배터리의 전력을 상기 전력계통으로 방전하는 것; 및
    상기 전력계통으로 상기 발전모듈의 전력을 송전하는 것;이 포함되는 에너지 저장장치의 제어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케이블의 연결상태를 확인하는 것은, 소정의 프로토콜을 통해서 측정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상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전력케이블의 연결상태를 확인하는 것은, 계측기기를 통해서 측정되는측정값에 기초하여 이상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장치의 제어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상태 및 작동상태를 확인하는 것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비정상적으로 확인되는 경우에, 상기 비정상적으로 확인되는 것을 재수행하기 위한 재시작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장치의 제어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에서,
    상기 발전모듈에서 발전되는 전력이 상기 배터리의 정격 충전 출력 이상인 경우, 상기 배터리의 정격 충전 출력으로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고,
    상기 발전모듈에서 발전되는 전력이 상기 배터리의 정격 충전 출력 이하인 경우, 상기 발전모듈에서 발전된 전력의 출력으로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장치의 제어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에서,
    상기 전력계통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은, 상기 배터리의 정격 충전 출력으로 변환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장치의 제어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전력을 방전하는 것은,
    상기 배터리의 잔량을 확인하고, 상기 전력계통에 상기 배터리의 정격 방전 출력으로 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장치의 제어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모듈의 전력을 송전하는 것에서,
    상기 발전모듈에서 발전된 전력이 상기 전력변환장치의 정격 출력 이상인 경우, 상기 전력변환장치의 정격 출력으로 상기 전력계통에 송전하고,
    상기 발전모듈에서 발전된 전력이 상기 전력변환장치의 정격 출력 이하인 경우, 상기 발전모듈에서 발전된 전력의 출력으로 상기 전력계통에 송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장치의 제어방법..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운전 모드의 진행과정을 나타내는 사용자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는,
    상기 연결상태 및 작동상태의 진행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진행상태창;
    상기 진행상태창에서 나타내어지는 상기 연결상태 및 작동상태의 진행과정에 대한 상세한 진행정보를 제공하는 진행정보창; 및
    상기 연결상태 및 작동상태의 진행과정에서 발생되는 에러정보를 제공하는 에러정보창;이 포함되는 에너지 저장장치의 제어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운전 모드가 정상적으로 종료되면,
    사용자가 직접 배터리 상태를 제어하는 수동모드와, 에너지 저장장치의 보호를 위하여 강제로 동작되는 보호모드와, 사용자가 원하는 충전시간과 방전시간을 지정하여 자동으로 동작되는 자동모드로 제어되는 에너지 저장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50191719A 2015-12-31 2015-12-31 에너지 저장장치의 제어방법 KR1018020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1719A KR101802041B1 (ko) 2015-12-31 2015-12-31 에너지 저장장치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1719A KR101802041B1 (ko) 2015-12-31 2015-12-31 에너지 저장장치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0326A KR20170080326A (ko) 2017-07-10
KR101802041B1 true KR101802041B1 (ko) 2017-12-28

Family

ID=59356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91719A KR101802041B1 (ko) 2015-12-31 2015-12-31 에너지 저장장치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204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2182A (ko) 2018-07-26 2020-02-05 (주)에너담 배터리 절체 시스템
KR102084676B1 (ko) * 2019-08-20 2020-03-04 주식회사 케이디티 Ess 운영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102084678B1 (ko) * 2019-08-20 2020-03-04 주식회사 케이디티 태양광 연계형 ess 시스템의 방전 스케줄 제어방법
KR102084677B1 (ko) * 2019-08-20 2020-03-04 주식회사 케이디티 태양광 연계형 ess 시스템의 방전 스케줄 제어장치
KR102495603B1 (ko) 2022-07-06 2023-02-06 주식회사 빅토리지 Ess 설비 데이터 자동 맵핑과 클라우드 연동을 위한 게이트웨이 엔진을 탑재한 전력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1237B1 (ko) * 2018-02-26 2018-06-27 주식회사 케이디티 태양광 연계형 ess의 충방전 밸런싱 제어장치
KR101871236B1 (ko) * 2018-02-26 2018-07-31 주식회사 케이디티 태양광 연계형 멀티 ess의 충방전 밸런싱 제어장치
KR102255355B1 (ko) * 2018-04-02 2021-05-21 이정석 실시간 기기 제어 시스템
KR102345354B1 (ko) * 2019-09-18 2021-12-31 주식회사 엠피에스티 에너지 저장 시스템
KR102234962B1 (ko) * 2019-11-25 2021-04-01 주식회사 피앤이솔루션 전력을 변환하기 위한 전력 변환 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220966A (ja) * 2014-05-21 2015-12-0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監視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監視システム
JP2015226365A (ja) * 2014-05-27 2015-12-14 日本電気株式会社 電力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電力制御方法、電力ルータ、制御装置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220966A (ja) * 2014-05-21 2015-12-0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監視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監視システム
JP2015226365A (ja) * 2014-05-27 2015-12-14 日本電気株式会社 電力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電力制御方法、電力ルータ、制御装置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2182A (ko) 2018-07-26 2020-02-05 (주)에너담 배터리 절체 시스템
KR102084676B1 (ko) * 2019-08-20 2020-03-04 주식회사 케이디티 Ess 운영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102084678B1 (ko) * 2019-08-20 2020-03-04 주식회사 케이디티 태양광 연계형 ess 시스템의 방전 스케줄 제어방법
KR102084677B1 (ko) * 2019-08-20 2020-03-04 주식회사 케이디티 태양광 연계형 ess 시스템의 방전 스케줄 제어장치
KR102495603B1 (ko) 2022-07-06 2023-02-06 주식회사 빅토리지 Ess 설비 데이터 자동 맵핑과 클라우드 연동을 위한 게이트웨이 엔진을 탑재한 전력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0326A (ko) 2017-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2041B1 (ko) 에너지 저장장치의 제어방법
US9941695B2 (en) Fault diagnosis method, grid interconnection apparatus, and controller
US8976034B2 (en) Apparatus for reporting fault of battery management storage system using the same
US20150155720A1 (en) Charge-discharge controller, system and method
EP2337178A2 (en) Energy storage system of apartment building, integrated powe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ystem
KR20110069398A (ko) 전력 저장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8933652B2 (en) Rotor-blade pitch controlling drive for a wind turbine
KR20130066283A (ko) 배터리 시스템의 시뮬레이션 장치
US20120249152A1 (en) Charging/discharging determination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non-transitory medium storing charging/discharging determination program
JP2012147660A (ja) バッテリ・システム及びこれを含むエネルギー保存システム
EP2882074B1 (en) Management method, control device, and electrical storage device
CN110460101A (zh) 海岛微电网储能子系统及控制方法
KR102061308B1 (ko) 배터리 관리를 위한 제어전원 공급시스템과 그 공급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에너지저장시스템
KR102273778B1 (ko) 배터리 팩 및 그의 구동방법
KR102191194B1 (ko) 축전기를 갖는 무정전 전원제어 회로
JP5122699B1 (ja) 電力蓄積システム、および、蓄電モジュールの制御方法
KR102284859B1 (ko) 다수의 충전기 관리가 용이한 그리드 참여형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
JP6114279B2 (ja) エネルギー管理装置、及びエネルギー管理装置の制御方法
JP6639187B2 (ja) 電気自動車用パワーコンディショナ
KR102159459B1 (ko) 축전기를 갖는 무정전 전원제어 시스템
CN219458712U (zh) 一种变电站直流供电系统
CN211239447U (zh) 一种变电站操作电源在线监控系统
CN210016318U (zh) 一种用于太阳能风能系统中设备检测与故障处理的装置
CN110708015B (zh) 并网光伏电站调试方法
CN117477714A (zh) 一种电池充放电电路、自动核容方法及直流屏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