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0362B1 - Music composition support apparatus based on harmonics - Google Patents

Music composition support apparatus based on harmonic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0362B1
KR101800362B1 KR1020160115323A KR20160115323A KR101800362B1 KR 101800362 B1 KR101800362 B1 KR 101800362B1 KR 1020160115323 A KR1020160115323 A KR 1020160115323A KR 20160115323 A KR20160115323 A KR 20160115323A KR 101800362 B1 KR101800362 B1 KR 1018003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ic
sound
composition
unit
t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53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윤하
Original Assignee
최윤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윤하 filed Critical 최윤하
Priority to KR1020160115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036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0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036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08Associated control or indicating means
    • G10H1/0025Automatic or semi-automatic music composition, e.g. producing random music, applying rules from music theory or modifying a musical piec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031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031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 G10H2210/061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for extraction of musical phrases, isolation of musically relevant segments, e.g. musical thumbnail generation, or for temporal structure analysis of a musical piece, e.g. determination of the movement sequence of a musical work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101Music Composition or musical creation; Tools or processes therefor
    • G10H2210/105Composing aid, e.g. for supporting creation, edition or modification of a piece of music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101Music Composition or musical creation; Tools or processes therefor
    • G10H2210/145Composing rules, e.g. harmonic or musical rules, for use in automatic composition; Rule generation algorithms therefo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101Music Composition or musical creation; Tools or processes therefor
    • G10H2210/151Music Composition or musical creation; Tools or processes therefor using templates, i.e. incomplete musical sections, as a basis for composing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sical composition supporting apparatus which can combine the consonance and dissonance sounds suitable to a melody input from a user to enable the user to write music even without previous training. The musical composition supporting apparatus includes: a composition theme description determining unit for determining the composition theme description from music segments input by the user; a chord obtaining unit which analyzes the harmonics of the music segments to obtain the chords; a consonance determining unit which generates one or more consonance sounds and one or more dissonance sounds related to the obtained chords while selecting one among the consonance sounds based on the composition theme description; and a music segment generation unit applying a random anomalous code to the dissonance sounds to select one among the dissonance sounds applied with the random anomalous code to generate the next music segment with the selected dissonance sound and the consonance sound selected in advance.

Description

화성 기반의 음악작곡 지원장치{MUSIC COMPOSITION SUPPORT APPARATUS BASED ON HARMONICS}[0001] MUSIC COMPOSITION SUPPORT APPARATUS BASED ON HARMONICS [0002]

본 발명은 음악작곡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입력한 음악 절편에 어울리는 협화음과 불협화음을 조합하여 음악을 자동으로 작곡할 수 있는 음악작곡 지원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sic composition techniqu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sic composition support device capable of automatically composing music by combining a coarse sound and a discordant sound in accordance with a music fragment input by a user.

화성은 음악 속에서 화음이 연속함으로써 생기는 음향의 시간적 흐름이다. 화음을 연속시키는 방법에 대한 연구를 화성법 또는 화성학이라고 한다. 화음은 서로 음 높이가 다른 음이 동시에 울렸을 때 생기는 음들이다. 2개 이상의 음을 동시에 울렸을 때 어떤 음들은 듣기 좋은 소리가 나고 어떤 음들은 듣기에 불편한 소리가 나는데 듣기 좋게 잘 어울리는 음들은 ?협화음?이라고 하고, 듣기에 불편한 음들은 ?불협화음?이라고 한다.Mars is the temporal flow of sound produced by successive chords in music. The study of the method of continuing the harmonics is called the harmonic law or harmony. A chord is a note that occurs when notes of different pitches sound at the same time. When two or more notes are sounded at the same time, some notes sound good to hear and some notes feel inconvenient to hear. The notes that sound good for listening are called "coarse" and the notes that are uncomfortable to hear are called "dissonant".

일반적으로 하나의 멜로디 라인에 사용되는 화음의 개수는 서너 개 정도이며, 화성을 만들 때 가장 기본이 되는 핵심 화음을 으뜸화음(tonic)이라고 한다. 으뜸화음과 가장 잘 어울리는 화성을 만드는 화음에는 딸림화음(dominant)과 버금딸림화음(subdominant)가 있다.Generally, the number of chords used in one melody line is about three or four, and the key chord that is the most basic when making a harmonic is called a tonic. The harmonics that make Mars the best match with the master chord are the dominant and the subdominant.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62079(2007.09.19)호는 자동음악 작곡 방법 및 자동음악 작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행들(rows)과 열들(columns)에 소정의 옥타브 범위에 해당하는 톤(tone, 음높이)들을 순차적으로 배열하고 각각의 행과 열의 교차지점에 열에 대응되는 톤이 생성될 확률값을 배치한 톤 데이터 테이블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음악을 작곡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762079 (Sep. 19, 2007) discloses an automatic music composition method and an automatic music composition system. The automatic music composition method includes a tone and a pitch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automatically composing music by using a tone data table in which tone values corresponding to columns are arranged at the intersections of respective rows and columns.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37956(2010.04.12)호는 자동음악 작곡 방법에 관한 것으로, 작곡될 음악곡을 구성하며, 일정한 마디수를 가지는 최소구성단위의 각각의 마디에 대응되는 코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코드와 매치레벨 0에 해당하는 톤(tone, 음높이)을 의미하는 키톤을 적어도 하나 이상 생성하여 상기 코드에 대응시키는 단계, 상기 키톤을 경유하여 진행하는 멜로디를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키톤과 다음 코드의 키톤 사이에 연주되는 톤들을 의미하는 진행톤과 이러한 진행톤들의 집합인 톤경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최소구성단위에서 상기 키톤과 상기 진행톤들을 연주할 위치를 지정하기 위한 박자들과, 상기 박자들 중 어느 박자에 상기 키톤이 대응되고, 상기 키톤에 대응되는 박자 이외의 나머지 박자들의 어디에 상기 진행톤들이 대응될 것인지에 대한 정보를 가지는 박자 프리셋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박자프리셋을 참조하여 상기 키톤과 상기 진행톤들을 대응되는 박자에 일대일 대응시켜 연주가 가능한 최소구성단위를 완성시키는 단계를 구비한다.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0-0037956 (Apr. 12, 2010) relates to a method of automatic music composition, which comprises a music piece to be composed, and a code corresponding to each section of a minimum constituent unit having a predetermined number of bars And generating a key tone corresponding to the code and a tone corresponding to the match level 0 to correspond to the code, generating a melody to be generated via the key tone, Generating a progress tone indicating tones to be played between a key tone and a key tone of the next code and a tone path as a set of such progress tones, , The keyton corresponds to any one of the beats, and the progress tones correspond to the remaining beats other than the beat corresponding to the key tone And a step, and the step of completing a minimum constituent unit as possible to one-to-one correspondence with the music played by referring to the preset time corresponding to said ketone and said progress tones to determine the preset time has information as to whether.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62079(2007.09.19)호1.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762079 (September 19, 2007) 2.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37956(2010.04.12)호2.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037956 (Apr. 12, 2010)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가 입력한 음악 절편에 어울리는 협화음과 불협화음을 조합하여 음악을 자동으로 작곡할 수 있는 음악작곡 지원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sic composition support device capable of automatically composing music by combining a coarse sound and a discordant sound in accordance with a music segment input by a us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불협화음에 랜덤 변칙 코드를 적용하여 음악을 보다 다양하게 작곡하도록 하는 음악작곡 지원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sical composition support apparatus for applying random anomalous codes to dissonant sounds to compose music in a more various manner.

실시예들 중에서, 음악작곡 지원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음악 절편으로부터 작곡 테마 디스크립션을 결정하는 작곡 테마 디스크립션 결정부, 상기 음악 절편의 화성(harmonics)을 분석하여 화음을 획득하는 화음 획득부, 상기 획득된 화음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협화음과 적어도 하나의 불협화음을 생성하고, 상기 작곡 테마 디스크립션을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협화음 중 하나를 결정하는 협화음 결정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불협화음에 랜덤 변칙 코드를 적용하여 상기 결정된 협화음과 상기 적용된 적어도 하나의 불협화음 중 하나를 결정하여 다음 음악 절편을 생성하는 음악 절편 생성부를 포함한다.Among the embodiments, the music composition support apparatus includes a composition theme description determining unit for determining a composition theme description from a music segment input from a user, a chord acquisition unit for acquiring a chord by analyzing harmonics of the music segment, A coarse sound determination unit for generating at least one coarse sound and at least one discordant sound associated with the harmonized chord and determining one of the at least one coarse sound based on the composition theme description and a random anomalous code And a musical slice generation unit for determining one of the determined concert sound and the applied at least one discordant sound to generate a next music slice.

작곡 테마 디스크립션 결정부는 상기 음악 절편의 악보와 및 음악 유형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음악 종류에 따른 악보 간의 유사도를 분석하여 가장 유사한 음악 종류를 결정할 수 있다.The composition theme description determiner may determine the most similar music types by analyzing the score of the musical slice and the score of the score according to the type of music in the music type database.

작곡 테마 디스크립션 결정부는 상기 결정된 음악 종류에 따른 작곡 테마를 선정하고 상기 작곡 테마의 멜로디와 리프(Riff)를 포함하는 작곡 테마 디스크립션을 결정할 수 있다.The composition theme description determination unit may select a composition theme according to the determined music type, and determine a composition theme description including a melody and a leaf of the composition theme.

협화음 결정부는 적어도 하나의 가상 악기의 조합을 통해 상기 음악 절편을 연주하는 연주 가상머신을 포함하고, 상기 연주된 음악 절편의 리듬, 멜로디 및 음색을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협화음을 생성할 수 있다.The coarse tone determination unit may include a performance virtual machine for playing the musical interval through a combination of at least one virtual musical instrument, and may generate the at least one concert sound based on the rhythm, melody, and tone of the played musical slice.

협화음 결정부는 복수의 가상 청취자들의 관점에서 상기 연주된 음악 절편을 청취하는 청취 가상머신을 포함하고, 다른 가상 청취자의 관점에서 상기 연주된 음악 절편을 분석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불협화음을 생성할 수 있다.The coarse sound determining unit may include a listening virtual machine for listening to the played musical slice in terms of a plurality of virtual listeners and may analyze the played musical slice in terms of other virtual listeners to generate the at least one discordant sound.

협화음 결정부는 사용자 연령대, 사용자 성별, 사용자 직업 및 사용자 국가로 각각 구성된 복수의 사용자 프로파일들을 통해 상기 복수의 가상 청취자들을 생성할 수 있다.The coarse tone determination unit may generate the plurality of virtual listeners through a plurality of user profiles each configured of a user age group, a user gender, a user job, and a user country.

음악 절편 생성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불협화음의 한음 범위 내에서 음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음 높이 변형 함수를 통해 상기 랜덤 변칙 코드를 정의할 수 있다.The music segment generation unit may define the random anomalous code through a tone pitch deformation function that adjusts the pitch of the sound within the range of the at least one discordant sound.

음악작곡 지원장치는 특정 음악이 완성될 때까지 상기 화음 획득부, 상기 협화음 결정부 및 상기 음악 절편 생성부에 의한 동작들을 반복하고, 상기 특정 음악이 완성되면 상기 특정 음악의 화성을 검증하고 불협화음으로 판단되는 음악 절편을 이전의 음악 절편과 다음의 음악 절편을 고려하여 수정하는 음악 검증 및 완성부를 포함한다.
The musical composition support apparatus repeats the operations by the chord acquisition section, the coarse sound determination section, and the musical slice creation section until a specific music is completed, verifies the harmony of the specific music when the specific music is completed, And a music verification and completion unit for modifying the judged music fragments in consideration of the previous music fragments and the next music fragments.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The disclosed technique may have the following effects.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scope of the disclosed technology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ed thereby, as it is not meant to imply that a particular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f the following effects or only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작곡 지원장치는 사용자가 입력한 음악 절편에 어울리는 협화음과 불협화음을 조합하여 음악을 자동으로 작곡할 수 있다.The music composition suppor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utomatically compose music by combining a coarse sound and a dissonant sound that match the music fragment input by the us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작곡 지원장치는 불협화음에 랜덤 변칙 코드를 적용하여 음악을 보다 다양하게 작곡하도록 할 수 있다.
The music composition suppor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pply random anomalous codes to the dissonant sounds to make music more various composi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성 기반의 음악작곡 지원장치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음악작곡 지원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작곡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은 음악작곡 지원장치에 의해 만들어지는 악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usic composition-based music composition suppor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mposition method performed by the music composition support apparatus of FIG. 1.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musical note made by a musical composition supporting apparatus.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an example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explana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the embodim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variously embodied and having various forms, so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echnical ideas. Also, the purpose or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r only such effect.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Meanwhile, 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he terms "first "," second ",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another, and the scope of the right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there may be other elements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other expressions that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ingular " include " or "have" are to be construed as including the stat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combination is intended to specify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In each step, the identification code (e.g., a, b, c, etc.) is us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identification code does not describe the order of each step, Unless otherwise stated, it may occur differently from the stated order. That is, each step may occur in the same order as described,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concurrently, or may be performed in reverse order.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predefined term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can not be interpreted as having ideal or over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성 기반의 음악작곡 지원장치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usic composition-based music composition suppor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음악작곡 지원장치(100)는 작곡 테마 디스크립션 결정부(110), 화음 획득부(120), 협화음 결정부(130), 음악 절편 생성부(140), 음악 검증 및 완성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music composition supporting apparatus 100 includes a composition theme description determiner 110, a chord acquisition unit 120, a coarse sound determination unit 130, a music slice creation unit 140, (150) and a control unit (160).

작곡 테마 디스크립션 결정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음악 절편을 입력 받아 작곡 테마 디스크립션을 결정한다.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음악 절편은 한 마디 이상의 멜로디에 해당할 수 있고 사용자가 입력하는 음악 절편에 따라 기본적인 음악의 빠르기와 리듬이 설정될 수 있다.The composition theme description determining unit 110 receives a music piece from a user and determines a composition theme description. The music segment input by the user may correspond to one or more melodies and the basic music speed and rhythm may be set according to the music segment input by the user.

일 실시예에서, 작곡 테마 디스크립션 결정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음악 절편과 음악 유형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음악 종류를 비교하여 가장 유사한 음악 종류를 결정할 수 있다. 작곡 테마 디스크립션 결정부(110)는 결정된 음악 종류에 따라 작곡 테마를 선정하고 선정된 작곡 테마의 멜로디와 리프(Riff)를 포함하는 작곡 테마 디스크립션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작곡 테마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변경 가능하며 동요, 광고음악, 트로트, 발라드, 댄스 등에 해당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mposition theme description determiner 110 may determine the most similar music type by comparing the music segment input from the user with the music types in the music type database. The composition theme description determining unit 110 may select a composition theme according to the determined music type and determine a composition theme description including a melody and a leaf of the selected composition theme. Here, the composition theme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user's setting, and it can correspond to shake, advertisement music, trot, ballad, dance and the like.

화음 획득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음악 절편의 화성을 분석하여 화음을 획득한다. 일 실시예에서, 화음 획득부(120)는 입력된 음악 절편으로부터 화음을 획득하고 획득된 화음을 기준으로 3음 또는 5음 중 하나를 선택하거나 3음과 5음을 모두 선택하여 3화음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음 획득부(120)는 음악 절편으로부터 ‘도’를 1음으로 획득한 경우, 3음인 ‘미’ 또는 5음인 ‘솔’을 선택할 수 있고 작곡 테마의 기본 코드는 C코드로 설정될 수 있다.The chord acquisition unit 120 acquires a chord by analyzing the harmony of the music piece input from the user. In one embodiment, the chord acquisition unit 120 acquires a chord from the input music segment and selects either the third or fifth note based on the obtained chord, or selects the third and fifth notes to set a triad . For example, when the 'chord' is obtained from the music segment, the chord acquisition unit 120 may select '3' or '5', and the basic code of the composition theme is set to the C code .

협화음 결정부(130)는 화음 획득부(120)로부터 획득한 화음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협화음과 적어도 하나의 불협화음을 생성할 수 있다. 협화음 결정부(130)는 음악 절편을 연주하는 연주 가상머신을 포함하며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가상 악기를 조합하여 음악 절편을 연주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음악 절편을 연주하는 연주 가상머신은 피아노, 기타, 바이올린, 플룻 등에 해당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악기를 조합하여 음악 절편을 연주할 수 있다.The coarse tone determination unit 130 may generate at least one coarse tone and at least one discordant tone associated with chords acquired from the chord acquisition unit 120. [ The coarse tone determination unit 130 includes a performance virtual machine for playing music fragments, and can play music fragments by combining at least one virtual instrument according to a user's setting. Here, a performance virtual machine that plays a musical slice can be a piano, a guitar, a violin, a flute, etc., and can play a musical piece by combining at least one musical instrument.

일 실시예에서, 협화음 결정부(13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악기의 조합에 따라 달라지는 음악 절편의 리듬, 멜로디 및 음색을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협화음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협화음 결정부(130)는 같은 음악 절편을 연주하더라도 피아노와 기타를 조합한 경우와 피아노와 바이올린을 조합한 경우에 달라지는 음색에 맞는 적어도 하나의 협화음을 생성할 수 있다. 협화음 결정부(130)는 작곡 테마 디스크립션을 기초로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협화음 중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arse tone determination unit 130 may generate at least one concert tone based on the rhythm, melody, and tone of the music piece that varies depending on the combination of the musical instruments selected by the user. For example, the coarse tone determination unit 130 can generate at least one coarse tone corresponding to a tone color that is different between a combination of a piano and a guitar and a combination of a piano and a violin, even if the same music piece is played. The coarse sound determining unit 130 can determine one of the at least one coarse sounds based on the composition theme description.

협화음 결정부(130)는 사용자 연령대, 사용자 성별, 사용자 직업 및 사용자 국가로 각각 구성된 복수의 사용자 프로파일들을 통해 복수의 가상 청취자들을 생성한다. 협화음 결정부(130)는 생성된 복수의 가상 청취자들의 관점에서 음악 절편을 청취하는 청취 가상머신을 포함하며 가상 청취자의 관점에서 연주된 음악 절편을 분석하여 적어도 하나의 불협화음을 생성한다.The coarse tone determination unit 130 generates a plurality of virtual listeners through a plurality of user profiles each configured of a user age group, a user gender, a user job, and a user country. The coarse sound determining unit 130 includes a listening virtual machine for listening to music fragments from the viewpoint of the generated plurality of virtual listeners and analyzes the music fragments played from the viewpoint of the virtual listener to generate at least one discordant sound.

일 실시예에서, 협화음 결정부(130)는 복수의 사용자 프로파일들을 통해 한국에 거주하는 20대 여성의 가상 청취자를 생성할 수 있다. 협화음 결정부(130)는 한국에 거주하는 20대 여성이 듣기에 불편하거나 어울리지 않는 다고 느낄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불협화음을 생성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arse tone determination unit 130 can generate a virtual listener of twenties female residing in Korea through a plurality of user profiles. The coarse tone determination unit 130 may generate at least one discordant tone that a twenties female living in Korea may feel uncomfortable or unfit to listen to.

음악 절편 생성부(140)는 협화음 결정부(130)에 의해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불협화음에 랜덤 변칙 코드를 적용한 불협화음을 기결정된 협화음과 조합하여 다음 음악 절편을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음악 절편 생성부(140)는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불협화음의 한음 범위 내에서 음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음 높이 변형 함수를 통해 랜덤 변칙 코드를 정의할 수 있다. 이하, 랜덤 변칙 코드는 다음의 프로그램으로 설명될 수 있다.
The music slice generation unit 140 generates a next music slice by combining the discordant sound to which the random anomalous code is applied to at least one discordant sound generated by the coarse sound determination unit 130, with the predetermined concordant sound. In one embodiment, the music slice generation unit 140 may define a random anomalous code through a tone height variation function that adjusts the pitch of the sound within the generated range of the at least one discordant sound. Hereinafter, the random anomalous code can be described by the following program.

[랜덤 변칙 코드][Random anomalous code]

k = 1;k = 1;

While (k) {While (k) {

Hk = Random(Ck-1, Ck-0.5, Ck, Ck+0.5, Ck+1)Hk = Random (Ck-1, Ck-0.5, Ck, Ck + 0.5, Ck + 1)

If (k==n) then break;If (k == n) then break;

k = k +1;k = k + 1;

}
}

여기에서, k는 현재 순번, n은 해당 음악 절편에서의 목표 순번, Hk는 현재 음표에 관해 음 높이 변형 함수를 통해 변경된 음표, Ck는 현재 음표에 해당하고, Random() 함수는 주어진 입력 값들 중 임의의 하나를 선택한다.Here, k is a current order, n is a target sequence number in the music segment, Hk is a note changed through a pitch-height deformation function with respect to a current note, Ck is a current note, and Random Select any one.

결과적으로, Ck-1은 현재 음표에서 한음 내린 음표이고, Ck-0.5는 현재 음표에서 반음 내린 음표이고, Ck+0.5는 현재 음표에서 반음 올린 음표이고, Ck+1은 현재 음표에서 한음 올린 음표이다.
As a result, Ck-1 is a musical note that is a note down from the current note, Ck-0.5 is a note that is semitone down in the current note, Ck + 0.5 is a semitone note raised in the current note, and Ck + 1 is a note in the current note .

일 실시예에서, 음악 절편 생성부(140)는 랜덤 변칙 코드를 적용하여 기결정된 협화음에 조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불협화음을 결정할 수 있고 불협화음의 한음 범위 내에서 다양한 조합의 불협화음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악 절편 생성부(140)는 협화음 결정부(130)에 의해 생성된 불협화음이 G에 해당할 경우, G를 기준으로 한음 범위에 있는 A 또는 F로 변형할 수 있고 결정된 협화음과 조합하였을 때 가장 어울리는 조합으로 불협화음을 결정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usic slice generation unit 140 may apply a random anomalous code to determine at least one discordant sound that can be combined with a predetermined concordant sound, and may apply various combinations of discordant sound within a discordant sound range. For example, if the discordant sound generated by the coarse sound determining unit 130 corresponds to G, the music discontinuity generating unit 140 may transform the discordant sound to A or F in the range of G based on G, You can determine the dissonance with the most suitable combination.

음악 검증 및 완성부(150)는 한 곡이 완성되면 완성된 음악의 화성을 검증하고 불협화음으로 판단되는 음악 절편을 이전의 음악 절편과 다음의 음악 절편을 고려하여 수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음악 검증 및 완성부(150)는 결정된 작곡 테마 디스크립션을 기초로 완성된 음악의 전체적인 분위기와 화성이 적합한 지 판단하고 적용된 불협화음이 적절하게 어우러지는지를 판단하여 어울리지 않는 음악 절편을 전후의 음악 절편을 고려하여 수정할 수 있다.When the music is completed, the music verification and completion unit 150 verifies the harmony of the completed music and corrects the music fragments judged to be a dissonance by considering the previous music fragments and the next music fragments. In one embodiment, the music verification and completion unit 150 determines whether the overall ambience and harmony of the finished music is suitable based on the determined composition theme description, determines whether the applied dissonance is appropriately matched, Can be modified in consideration of the music segment of.

제어부(160)는 음악작곡 지원장치(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작곡 테마 디스크립션 결정부(110), 화음 획득부(120), 협화음 결정부(130), 음악 절편 생성부(140) 및 음악 검증 및 완성부(150) 간의 제어 흐름 또는 데이터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6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usic composition supporting apparatus 100 and includes a composing theme description determiner 110, a chord acquiring unit 120, a coarse sound determining unit 130, a music slice generating unit 140, And a control flow or data flow between the music verification and completion unit 150. [

도 2는 도 1에 있는 음악작곡 지원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작곡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고, 도 3은 음악작곡 지원장치에 의해 만들어지는 악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mposition method performed by the music composition support apparatus of FIG. 1, and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usic composition created by the music composition support apparatus.

도 2에서, 음악작곡 지원장치(100)에 의해 수행되는 작곡방법은 크게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2, the composition method performed by the music composition supporting apparatus 100 mainly includes the following steps.

음악작곡 지원장치(100)는 작곡 테마 디스크립션 결정부(11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한 마디 이상의 음악 절편을 입력 받고 작곡 테마 디스크립션을 결정한다(S210). 여기에서 작곡 테마 디스크립션은 사용자가 원하는 음악 종류를 선택할 경우와 작곡 테마 디스크립션 결정부(110)에 의해 선택하는 경우 두 가지로 결정될 수 있다.The music composition support apparatus 100 receives a music segment of at least one word from the user through the composition theme description determination unit 110 and determines a composition theme description at step S210. Here, the composition theme description may be determined in two ways: when the user selects a desired music type and when the composition theme selection is performed by the composition theme description determination unit 110.

일 실시예에서, 작곡 테마 디스크립션 결정부(110)는 사용자가 원하는 음악 종류를 선택할 경우에 결정된 음악 종류에 따라 작곡 테마를 선정하고 선정된 작곡 테마의 멜로디와 리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곡 테마 디스크립션 결정부(110)는 사용자가 동요를 음악 종류로 선택했을 경우에 작곡 테마로 밝은 분위기를 선정하여 멜로디와 리프를 결정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mposition theme description determiner 110 may select a composition theme according to the determined music type when the user selects a desired music type, and determine a melody and a leaf of the selected composition theme. For example, the composition theme description determining unit 110 can determine a melody and a leaf by selecting a bright atmosphere with a composition theme when the user selects a music piece as a music piece.

일 실시예에서 작곡 테마 디스크립션 결정부(110)는 사용자가 음악 종류를 선택하지 않을 경우에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음악 절편과 음악 유형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음악 종류를 비교하여 가장 유사한 음악 종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곡 테마 디스크립션 결정부(110)는 사용자가 입력한 음악 절편이 발라드와 유사할 경우 작곡 테마로 느린 분위기를 선정하여 멜로디와 리프를 결정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the user does not select a music type, the composition theme description determining unit 110 may determine the most similar music type by comparing the music type in the music type database with the music piece input from the user. For example, the composition theme description determiner 110 may determine a melody and a leaf by selecting a slow mood based on a composition theme when the music segment input by the user is similar to a ballade.

음악작곡 지원장치(100)는 화음 획득부(12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음악 절편의 화음을 획득하고, 협화음 결정부(130)에 의해 협화음과 불협화음을 생성한다(S220). 이 단계에서 협화음 결정부(130)는 결정된 작곡 테마 디스크립션을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협화음 중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The musical composition support apparatus 100 acquires a chord of the music piece input from the user through the chord acquisition unit 120, and generates a coarse sound and a discordant sound by the coarse sound determination unit 130 (S220). At this stage, the coarse sound determining unit 130 can determine one of the at least one coarse sound based on the determined composition theme description.

일 실시예에서, 협화음 결정부(13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악기로 음악 절편을 연주할 수 있고 연주된 음악 절편의 리듬, 멜로디 및 음색을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협화음을 생성할 수 있다. 협화음 결정부(130)는 음악 절편을 연주하는 악기의 조합에 따라 달라지는 음색에 맞는 적어도 하나의 협화음을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협화음 중에서 작곡 테마 디스크립션에 맞는 적어도 하나의 협화음을 결정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arse tone determination unit 130 can play a musical piece with the musical instrument selected by the user, and can generate at least one concert sound based on the rhythm, melody, and tone of the musical piece played. The coarse sound determining unit 130 may generate at least one coarse sound corresponding to a tone color that varies depending on a combination of musical instruments playing the music fragments and may determine at least one coarse sound corresponding to the composition theme description among the generated coarse sounds.

예를 들어, 협화음 결정부(130)는 피아노와 기타를 조합하여 음악 절편을 연주할 경우와 피아노와 바이올린을 조합하여 음악 절편을 연주할 경우에 리듬과 멜로디는 비슷할 수 있지만, 기타와 바이올린의 음색이 다르기 때문에 각각 다른 협화음을 생성할 수 있다. 협화음 결정부(130)는 결정된 작곡 테마 디스크립션에 어울리는 악기를 선택할 수 있고 그에 맞는 적어도 하나의 협화음을 결정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arse tone determination unit 130 may be similar in rhythm and melody when playing a musical slice in combination with a piano and a guitar, and when playing a musical slice in combination with a piano and a violin. However,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generate different still sounds. The coarse sound determining unit 130 can select a musical instrument suitable for the determined composition theme description and determine at least one coarse sound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musical theme description.

일 실시예에서, 협화음 결정부(130)는 복수의 가상 청취자들을 생성하고 복수의 가상 청취자들의 관점에서 음악 절편을 분석하여 적어도 하나의 불협화음을 생성할 수 있다. 협화음 결정부(130)는 가상 청취자의 성별을 고려한 음악적 취향, 가상 청취자의 연령대의 평균 청력 상태, 가상 청취자의 직업의 특수성 및 국적의 차이 등을 고려하여 각각의 가상 청취자들에 듣기 불편하거나 어울리지 않다고 느낄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불협화음을 생성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arse tone determination unit 130 may generate a plurality of virtual listeners and analyze the music segment in terms of a plurality of virtual listeners to generate at least one discord. The coarse tone determination unit 130 considers the musical taste in consideration of the gender of the virtual listener, the average hearing status of the virtual listener's age group, the specificity of the virtual listener's job and the difference in nationality, It can generate at least one discord that can be felt.

예를 들어 협화음 결정부(130)는 일본에 거주하는 은퇴를 앞두고 있는 60대 남성을 가상 청취자로 생성한 경우에 고음의 영역에 해당하거나 빠른 템포로 진행되는 불협화음을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협화음 결정부(130)는 미국에 거주하는 학생인 20대 남성을 가상 청취자로 생성한 경우에 저음의 영역에 해당하거나 느린 템포로 진행되는 불협화음을 생성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arse tone determination unit 130 can generate a dissonant tone corresponding to a high tone area or a fast tempo when a male in her 60's who is about to retire in Japan is created as a virtual listener. As another example, the coarse tone determination unit 130 may generate a dissonant tone that corresponds to a bass region or proceeds at a slow tempo when a twenties male student in the United States is created as a virtual listener.

음악작곡 지원장치(100)는 음악 절편 생성부(140)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불협화음에 랜덤 변칙 코드를 적용하여 협화음 결정부(130)에 의해 결정된 협화음에 어울리는 불협화음을 결정한다(S230). 여기에서 랜덤 변칙 코드는 불협화음의 한음 범위 내에서 음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음 높이 변형 함수를 통해 정의될 수 있다.The musical composition support apparatus 100 applies a random anomalous code to at least one discordant sound through the music discontinuity generation unit 140 to determine a discordant sound suitable for the concordant sound determined by the concordant sound determination unit 130 at step S230. Here, the random anomalous code can be defined by a pitch-height-distortion function that adjusts the pitch of the note within the range of the dissonance.

일 실시예에서, 음악 절편 생성부(140)는 협화음 결정부(130)에서 생성된 불협화음에 랜덤 변칙 코드를 적용하여 한음 범위 내에서 음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불협화음을 결정할 수 있다. 음악 절편 생성부(140)는 협화음 결정부(130)에서 결정된 협화음과 불협화음을 조합하여 다양한 음악 절편을 생성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music segmentation unit 140 may apply a random anomalous code to the dissonant sounds generated by the consonant sounds determination unit 130 to determine the dissonant sound by adjusting the pitch of the sound within the unvoiced sound range. The music slice generation unit 140 may generate various music slices by combining the coarse sounds and the discordant sounds determined by the coarse sound determination unit 130. [

음악작곡 지원장치(100)는 음악 검증 및 완성부(150)를 통해 완성된 음악의 화성을 검증하고 불협화음을 수정하여 최종적으로 음악을 완성한다 (S240).The musical composition support apparatus 100 verifies the harmony of the completed music through the music verification and completion unit 150, and finalizes the music by correcting the dissonance (S240).

일 실시예에서, 음악작곡 지원장치(100)는 한 곡의 음악이 작곡될 때까지 화음 획득부(120), 협화음 결정부(130) 및 음악 절편 생성부(140)에 의한 동작들을 반복하여 음악이 완성되면, 음악 검증 및 완성부(150)에 의해 완성된 음악의 화성을 검증하도록 할 수 있다. 음악 검증 및 완성부(150)는 결정된 작곡 테마 디스크립션에 맞게 음악이 완성되었는지 전체적인 분위기와 화성이 적합한지를 판단하고 적용된 불협화음이 어울리지 않는 음악 절편을 선별할 수 있다. 음악 검증 및 완성부(150)는 적용된 불협화음이 어울리지 않는 음악 절편을 선별하여 이전의 음악 절편과 이후의 음악 절편의 흐름에 맞도록 수정할 수 있다.
The music composition support apparatus 100 repeats the operations of the chord acquisition unit 120, the coarse tone determination unit 130, and the music slice creation unit 140 until one music piece is composed, The music verification and completion unit 150 can verify the harmony of the completed music. The music verification and completion unit 150 may determine whether the music is completed according to the determined composition theme description, and whether the overall mood and harmony are appropriate, and may select music pieces that do not match the applied discordant sound. The music verification and completion unit 150 may sort the music fragments that do not match the applied discordant sound and modify the music fragments to match the previous music fragments and the subsequent music fragments.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can be understood that

100: 음악작곡 지원장치
110: 작곡 테마 디스크립션 결정부
120: 화음 획득부
130: 협화음 결정부 140: 음악 절편 생성부
150: 음악 검증 및 완성부 160: 제어부
100: Music composition support device
110: composition theme description determination unit
120: Chord acquisition section
130: coarse tone determination unit 140:
150: music verification and completion unit 160: control unit

Claims (8)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음악 절편으로부터 작곡 테마 디스크립션을 결정하는 작곡 테마 디스크립션 결정부;
상기 음악 절편의 화성(harmonics)을 분석하여 화음을 획득하는 화음 획득부;
상기 획득된 화음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협화음과 적어도 하나의 불협화음을 생성하고, 상기 작곡 테마 디스크립션을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협화음 중 하나를 결정하는 협화음 결정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불협화음에 랜덤 변칙 코드를 적용하여 상기 결정된 협화음과 상기 적용된 적어도 하나의 불협화음 중 하나를 결정하여 다음 음악 절편을 생성하는 음악 절편 생성부를 포함하는 화성 기반의 음악작곡 지원장치.
A composition theme description determining unit that determines a composition theme description from a music piece input from a user;
A chord acquisition unit for acquiring chords by analyzing harmonics of the music piece;
A consonant sound determination unit for generating at least one concise sound and at least one discordant sound associated with the obtained harmony and determining one of the at least one concordant sound based on the composition theme description; And
And a musical slice generation unit for applying a random anomalous code to the at least one discordant sound to determine one of the determined concordant sound and the applied at least one discordant sound to generate a next music sl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곡 테마 디스크립션 결정부는
상기 음악 절편의 악보와 및 음악 유형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음악 종류에 따른 악보 간의 유사도를 분석하여 가장 유사한 음악 종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성 기반의 음악작곡 지원장치.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mposition theme description determiner
Wherein the similarity type is determined by analyzing the similarity between the score of the music segment and the score of the music type in the music type databas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곡 테마 디스크립션 결정부는
상기 결정된 음악 종류에 따른 작곡 테마를 선정하고 상기 작곡 테마의 멜로디와 리프(Riff)를 포함하는 작곡 테마 디스크립션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성 기반의 음악작곡 지원장치.
3.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composition theme description determiner
Selecting a composition theme according to the determined music type, and determining a composition theme description including a melody and a leaf of the composition the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협화음 결정부는
적어도 하나의 가상 악기의 조합을 통해 상기 음악 절편을 연주하는 연주 가상머신을 포함하고, 상기 연주된 음악 절편의 리듬, 멜로디 및 음색을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협화음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성 기반의 음악작곡 지원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coarse tone determining unit
And a performance virtual machine for playing the music piece through a combination of at least one virtual musical instrument and generating the at least one concert sound based on a rhythm, a melody and a tone of the played music piece, Of music composition support devi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협화음 결정부는
복수의 가상 청취자들의 관점에서 상기 연주된 음악 절편을 청취하는 청취 가상머신을 포함하고, 다른 가상 청취자의 관점에서 상기 연주된 음악 절편을 분석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불협화음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성 기반의 음악작곡 지원장치.
5. The apparatus of claim 4, wherein the coarse tone determining unit
And a listening virtual machine for listening to said played musical interception in terms of a plurality of virtual listeners and analyzing said played musical interception in terms of other virtual listeners to generate said at least one dissonant sound Of music composition support devic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악 절편 생성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불협화음의 한음 범위 내에서 음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음 높이 변형 함수를 통해 상기 랜덤 변칙 코드를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성 기반의 음악작곡 지원장치.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usic slice generation unit
Wherein the random anomaly code is defined through a pitch height deformation function that adjusts a pitch of the sound within a range of the at least one discordant sound.
제1항에 있어서,
특정 음악이 완성될 때까지 상기 화음 획득부, 상기 협화음 결정부 및 상기 음악 절편 생성부에 의한 동작들을 반복하고, 상기 특정 음악이 완성되면 상기 특정 음악의 화성을 검증하고 불협화음으로 판단되는 음악 절편을 이전의 음악 절편과 다음의 음악 절편을 고려하여 수정하는 음악 검증 및 완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성 기반의 음악작곡 지원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Repeating the operations of the chord tone obtaining unit, the coarse tone determining unit, and the music slice creating unit until the specific music is completed, verifying the harmony of the specific music when the specific music is completed, Further comprising a music verifying and completing unit for correcting the music verifying unit in consideration of the previous music verse and the next music verse.


KR1020160115323A 2016-09-08 2016-09-08 Music composition support apparatus based on harmonics KR10180036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5323A KR101800362B1 (en) 2016-09-08 2016-09-08 Music composition support apparatus based on harmonic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5323A KR101800362B1 (en) 2016-09-08 2016-09-08 Music composition support apparatus based on harmonic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0362B1 true KR101800362B1 (en) 2017-11-22

Family

ID=60809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5323A KR101800362B1 (en) 2016-09-08 2016-09-08 Music composition support apparatus based on harmonic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0362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4639B1 (en) * 2018-02-22 2019-10-21 최혜경 System and Method for customizing music creator matching service based on keyword
CN112863530A (en) * 2021-01-07 2021-05-28 广州欢城文化传媒有限公司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sound work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8869B1 (en) 2005-12-21 2006-1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Music generating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8869B1 (en) 2005-12-21 2006-1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Music generating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4639B1 (en) * 2018-02-22 2019-10-21 최혜경 System and Method for customizing music creator matching service based on keyword
CN112863530A (en) * 2021-01-07 2021-05-28 广州欢城文化传媒有限公司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sound work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810190B (en) Automatic transcription of music content and real-time musical accompaniment
US20140076125A1 (en) Adjustment of song length
US7812239B2 (en) Music piec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JP6565530B2 (en) Automatic accompaniment data generation device and program
US11087727B2 (en) Auto-generated accompaniment from singing a melody
KR101800362B1 (en) Music composition support apparatus based on harmonics
US8791350B2 (en) Accompaniment data generating apparatus
JP2012068548A (en) Key determination device and key determination program
JP6175812B2 (en) Musical sou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program
JP6565528B2 (en) Automatic arrangement device and program
US20170084260A1 (en) Automatic arrangement of music piece based on characteristic of accompaniment
JP6597553B2 (en) Harmony information generation apparatus, harmony information generation program, and harmony information generation method
JP2009075611A (en) Chorus synthesizer, chorus synthesizing method and program
Chan et al.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section string instruments with different pitch and dynamics
JP2017173655A (en) Sound evaluation device and sound evaluation method
JP6803294B2 (en) Karaoke device
JPWO2019026325A1 (en) Difference presentation device, difference presentation method, and difference presentation program
KR20200014060A (en) Method for creating music note and providing music note
Laurenzi et al. The notation of dynamic levels in the performance of electronic music
JP2019028407A (en) Harmony teaching device, harmony teaching method, and harmony teaching program
Emura et al. A modular system generating Jazz-style arrangement for a given set of a melody and its chord name sequence
JP6597533B2 (en) Waveform data selection device and waveform data selection method
Eley et al. Listener perception of changes in historically informed performance of solo baroque music due to room acoustics
Meyer Reflections on the spatial-sound imagination of great composers.
JP3752940B2 (en) Automatic composition method, automatic composition device and recording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