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9070B1 - Oil separator - Google Patents
Oil separa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89070B1 KR101789070B1 KR1020160058271A KR20160058271A KR101789070B1 KR 101789070 B1 KR101789070 B1 KR 101789070B1 KR 1020160058271 A KR1020160058271 A KR 1020160058271A KR 20160058271 A KR20160058271 A KR 20160058271A KR 101789070 B1 KR101789070 B1 KR 10178907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il
- foreign matter
- filter unit
- effluent
- outlet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5
- 239000002106 nanomesh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10809 marine debris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s 0.000 claims 2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11045 pre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06010057190 Respiratory tract infec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642 transportation engine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0237858 Gastropod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4 acut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81 fly as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871 repell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5 wastewater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8—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Other filtering devices;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20—Controlling water pollution; Waste water treatment
- Y02A20/204—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spills
Abstract
본 발명은 해양 이물질 제거와 나노 메쉬를 구비한 유수 분리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해양에서 유출된 유출유를 유수 분리하는 해양 이물질 제거와 나노 메쉬를 구비한 유수 분리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유출유가 유입되는 유출유 유입부, 상기 유출유에 포함된 해양 이물질을 1차적으로 필터링하는 제1 필터부와, 제1 필터부를 통과한 유출유로부터 물과 오일을 분리하는 나노 메쉬망으로 이루어진 제2 필터부를 구비하는 유출유 분리부, 및 제1 필터부에 부착된 해양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이물질 제거와 나노 메쉬를 구비한 유수 분리 모듈이 개시된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dule for removal of marine debris and for a water separation module having a nano-mesh, which separates effluent oil discharged from the ocean. A first filter unit for primarily filtering marine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effluent oil, and a nano mesh network for separating water and oil from the outflow channel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rst filter unit And a foreign matter removing unit for removing marine foreign substances adhered to the first filter unit. The module for removing marine debris and the nano-me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filter unit and a second filter unit.
Description
본 발명은 해양 이물질 제거와 나노 메쉬를 구비한 유수 분리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해양에서 유출된 유출유를 유수 분리하는 해양 이물질 제거와 나노 메쉬를 구비한 유수 분리 모듈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dule for removal of marine debris and for a water separation module having a nano-mesh, which separates effluent oil discharged from the ocean.
최근 빈번한 해양사고로 인해 선박에서 기름이 흘러나와 바다를 오염시키고 있으며, 또한, 강이나 하천 또는 오폐수 정화시설 등에서 지속적으로 부유물이 생성되어 오염 및 악취를 유발하고 있다. 이러한 유출유 또는 부유물을 회수하기 위해 다양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장치중 유출유를 회수하기 위한 장치로는 위어식 스키머, 드럼식 스키머 등이 있으며, 유조선 등의 폐선을 재활용하여 유출유를 배로 바로 흡입하도록 하는 기술도 이미 활용되고 있다.Recently, frequent marine accidents have caused pollution of the sea by oil from the ship. In addition, suspended matter is continuously generated in rivers, rivers, wastewater treatment facilities, etc., causing pollution and odor. Various devices have been developed to recover such effluents or suspensions. Among these devices, there are weir type skimmer and drum type skimmer as devices for recovering effluent oil, and techniques for recycling waste oil of oil tankers and the like and sucking the effluent oil directly to the ship are already utilized.
그러나 특히 해양사고 발생시에는 유출되는 기름을 신속히 제거하는 것이 필요하며, 종래에는 비행기 또는 선박에 의해 오염지역으로 유처리제를 살포하거나 오일펜스를 설치하여 더 이상 오염지역이 확산되지 않도록 하건, 상술한 위어식 스키머 또는 드럼식 스키머를 오염지역으로 투입하여 유출유를 회수하도록 하였다. 유처리제를 살포하는 것은 또 다른 환경오염을 유발하며, 종래의 위어식 스키머 및 드럼식 스키머는 부피가 대체적으로 커 운반의 편리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However,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quickly remove the oil that is leaked in the event of a marine accident. Conventionally, it is necessary to spray the oil treatment agent to the polluted area by an airplane or a ship or to install an oil fence, Type skimmer or drum-type skimmer into the contaminated area to recover the effluent oil. Spraying the oil treatment agent causes another environmental pollution, and conventional weir type skimmer and drum type skimmer have a disadvantage in that the volume is generally large and the convenience of transportation is poor.
또한, 종래의 위어식 스키머는 함수율이 높아 비효율적이고, 디스크 스키머는 점성이 높은 오일에서만 유수 분리가 원활하여 함수율이 낮으면서도 점성이 낮은 유출유를 유수 분리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었다. 그리고 해양 사고 현장까지 신속히 운반하여 투입할 수 있는 유수분리기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In addition, a conventional weir type skimmer is inefficient due to a high water content, and a disk skimmer is required to have an apparatus capable of separating outflowed oil having low viscosity with low water content and having a low viscosity due to smooth water separation in only highly viscous oil. It is urgent to develop an oil separator that can be quickly transported to the site of a marine accident.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1차적으로 디스크 스키머에서 유수가 분리된 점성이 낮은 유출유를 2차적으로 유수 분리함으로써 함수율을 대폭 낮출 수 있으며, 점성이 낮은 유출유도 유수 분리할 수 있는 발명을 제공하며, 또한 프리필터부에 부착되는 해양 미생물을 제거할 수 있는 발명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sk skimmer in which a water skimmer,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n invention capable of separating water from a marine microorganism attached to a pre-filter unit.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출유가 유입되는 유출유 유입부, 상기 유출유에 포함된 해양 이물질을 1차적으로 필터링하는 제1 필터부와, 제1 필터부를 통과한 유출유로부터 물과 오일을 분리하는 나노 메쉬망으로 이루어진 제2 필터부를 구비하는 유출유 분리부, 및 제1 필터부에 부착된 해양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이물질 제거와 나노 메쉬를 구비한 유수 분리 모듈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chieved by an oil separator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omprising: an oil inflow section through which oil flows, a first filter section for primarily filtering marine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oil outflow, And a foreign matter removing unit for removing marine foreign substances adhered to the first filter unit, wherein the foreign matter removing unit removes foreign matter from the marine debris and the water is separated from the nano- Module. ≪ / RTI >
또한, 유출유 분리부는 탈부착되고, 제1,2 필터부는 카트리지 방식으로 교체된다.Further, the outlet oil separating portion is detached and attached, and the first and second filter portions are replaced in a cartridge manner.
또한, 제1 필터부는, 유출유 유입부로 유입되는 유출유의 흐름방향에 소정 각도를 가지며 유출유 분리부의 측면에 구비된다.In addition, the first filter portion has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flow direction of the outflow oil flowing into the outflow oil inflow portion and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outflow oil separation portion.
또한, 제2 필터부는 유출유 분리부의 하측에 수평방향으로 구비된다.The second filter portion is provided horizontally below the outflow oil separator.
또한, 이물질 제거부는 제1 필터부를 향해 공기방울 또는 에어를 분사하는 공기방울 발생부, 및 해양 이물질이 흡착된 공기방울을 제1 필터부로부터 털어내는 제거부를 포함한다.The foreign matter removing unit includes an air bubble generating unit that blows air bubbles or air toward the first filter unit, and a removing unit that removes the air bubbles from which the foreign matter is adsorbed from the first filter unit.
또한, 공기방울 또는 에어 발생부는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펌프, 및Further, the air bubble or air generating portion may include an air pump for supplying air,
에어펌프로부터 유출유 분리부로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관을 포함하며, And an air tube for supplying air from the air pump to the outflow oil separator,
제거부(또는 캠부)는 해양 이물질이 흡착된 공기방울을 털어내는 캠, 캠을 지지하는 지지축, 및 캠을 구동하는 캠 구동 모터를 포함한다.The removal unit (or the cam unit) includes a cam for blowing out air bubbles from which marine foreign matter is adsorbed, a support shaft for supporting the cam, and a cam drive motor for driving the cam.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유수분리기를 선박 등의 모선에 보관하기 쉽고, 유회수시 선박에 장비를 싣기가 편리하도록 제작하여 작은 선박 등에도 장비를 신속히 탑재하여 투입지역에 신속히 투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asy to store the oil water separator on a ship such as a ship, and it is made so that it is convenient to load equipment on a ship in case of a fly ash, .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유출된 오일의 점성에 상관없이 안정적으로 유수가 분리되고 함수율을 대폭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il water can be stably separated and the water content can be largely lowered irrespective of the viscosity of the outflowed oil.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프리필터부에 부착된 해양 미생물 또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move marine microorganisms or foreign matter adhering to the pre-filter unit.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수 분리기의 전체 개념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2차 유출유 분리부(유수 분리 모듈)를 나타낸 도면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e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serve to further the understanding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invention,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1 and 2 are views showing the entire concept of a water sepa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illustrating a secondary effluent oil separator (oil separato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일실시예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부당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는 구성 전체가 본 발명의 해결 수단으로서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addition, the embodiment described below does not unduly limit the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and the entire structure described in this embodiment is not necessarily essential as the solution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수 분리기는 선박 사고로 인하여 기름이 바다에 유출되는 경우에 유출된 기름(이하 유출유)을 신속히 회수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러한 유수 분리기는 휴대가 편리하도록 콤팩트 한 사이즈로 제작됨으로써 일반 어선이나 소규모의 선박(이하 모선이라고 함)에도 충분히 설치가 될 수 있다. 해양에 유출된 유출유의 회수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오일 스키머(도면 미도시)는 유출유가 있는 해역의 바다에 투입되어 유출유를 신속히 흡입한다. 1차적으로 흡입된 유출유는 모선에 배치된 디스크 스키머(도면 미도시)로 공급되어 1차적으로 물과 기름을 분리한다. 디스크 스키머에서 1차적으로 분리된 유출유는 2차적으로 모선에 배치된 유수 분리기(1)로 공급되며, 유수 분리기(1) 의해 2차적으로 물과 오일이 분리된다. 따라서 바다에 유출된 유출유를 1차 및 2차에 걸쳐 물과 오일로 분리하므로 함수율을 최대한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디스크 스키머는 고점도 오일의 분리에 유리하고, 유수 분리기(1)는 나노 메쉬망을 이용하여 저점도 오일을 분리하므로 유출된 오일의 점성에 상관없이 물과 오일을 신속히 최대한 함수율을 낮추면서 분리할 수 있다. 유수 분리기(1)로부터 최종 분리된 오일은 회수유 저장탱크(도면 미도시)로 공급되어 저장되며, 분리된 물은 바다로 배출되거나 또는 별도의 저장탱크를 이용하여 저장할 수 있다. 디스크 스키머 및 유수 분리기(1)는 운반 및 설치의 편의성을 위해 모듈 케이스(도면 미도시)에 함께 배치될 수 있다. The oil water sepa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that can rapidly recover oil (hereinafter referred to as spilled oil) that is leaked out to the sea due to a ship accident. The oil water separator is manufactured in a compact size so that it can be easily carried, and thus it can be sufficiently installed in a general fishing boat or a small ship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mother ship"). The recovery of effluent from the ocean is done as follows. First, the oil skimmer (not shown in the drawing) is introduced into the sea of the sea area where the oil is present, and the oil is rapidly sucked. The primary inhaled effluent is supplied to a disk skimmer (not shown) disposed on the bus bar to primarily separate water and oil. The effluent, which is primarily separated from the disk skimmer, is supplied to the oil separator 1, which is disposed in the secondary line, and the oil and water are separated from the oil by the oil separator 1. Therefore, it is advantageous to reduce the water content as much as possible by separating the effluent discharged into the sea into water and oil in the first and second stages. In addition, the disk skimmer is advantageous for the separation of high viscous oil, and the oil-water separator (1) separates low-viscosity oil using a nanomesh network so that water and oil can be quickly separated can do. The oil finally separated from the oil water separator 1 is supplied to and stored in a recovery oil storage tank (not shown), and the separated water can be discharged to the sea or stored using a separate storage tank. The disk skimmer and the oil water separator 1 may be disposed together in a module case (not shown) for convenience of transportation and installa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유수 분리기(1)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종래 기술 및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은 설명을 생략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생략된 구성요소(방법) 및 기능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충분히 참조될 수 있을 것이다.Hereinafter, a water-oil separato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수 분리기(1)는 선박에 탑재되어 바람직하게는 저점도 오일을 유수분리하며, 대략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유출유 분리부(200)와 2차 유출유 분리부(300)로 구성된다. 1차 유출유 분리부(200) 전 단계에 바다에서 유출유를 회수하는 스키머(도면 미도시)와 선박에 탑재되어 스키머로부터 회수된 유출유의 고점도 오일을 회수하는 디스크 스키머가 사용 환경에 따라 더 추가적으로 운용될 수 있다. 따라서 유수 분리기(1)의 앞 단에는 순차적으로 스키머, 디스크 스키머가 추가 운용될 수도 있으며, 또는 스키머 다음 단에 유수 분리기(1)가 바로 연결되어 유출유를 회수하는 시스템으로 운용될 수도 있다. 또는, 유수 분리기(1) 단독으로 사용 환경에 따라 사용될 수도 있다.The oil-water separator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ship and preferably low-viscosity oil is oil-water separated. As shown in FIG. 1, the oil-water separator 1 includes a primary outlet oil- And an outlet oil separator 300. A skimmer (not shown) for collecting oil spillage from the sea at the previous stage of the primary effluent oil separator 200 and a disk skimmer for recovering high viscosity oil recovered from the skimmer, Can be operated. Accordingly, a skimmer and a disk skimmer may be sequentially operated at the front end of the oil water separator 1, or the oil skimmer 1 may be connected at the next stage of the skimmer so as to operate as a system for recovering the oil spout. Alternatively, the oil-water separator 1 alone may be used depending on the use environment.
유출유 유입관(100)은 스키머 또는 디스크 스키머로부터 회수된 유출유를 유입 받는다. 유출유 유입관(100)으로 유입된 유출유는 1차 유출유 분리부(200)에 저장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유출유 분리부(200)는 일측 단면이 대략 "ㄷ"자 형상으로서 유출유 유입관(100)이 위치하는 영역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일 흡입관(510)이 위치하는 영역은 양 측면에 위치하며, 양 측면의 높이가 중앙영역보다 더 높게 형성된다. 따라서 유출유 유입관(1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유출유 분리부(200)의 중앙영역보다 높은 곳의 왼쪽에(유출유 흐름방향에서) 배치되어 유출유가 1차 유출유 분리부(200)로 유입되도록 한다. 유출유가 1차 유출유 분리부(200)에 유입되어 물과 오일이 분리되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일이 물 위에 뜨게 되며, 오일 흡입 펌프(500) 및 오일 흡입관(510)은 오일을 펌핑하여 외부로 배출하도록 한다. The effluent inlet pipe 100 receives the effluent recovered from the skimmer or disk skimmer. The outflow oil flowing into the outflow oil inflow pipe 100 is stored in the primary outflow oil separator 200. As shown in FIG. 1, the primary effluent oil separator 200 has a substantially C-shaped cross section at one side and a region where the effluent oil inflow pipe 100 is located and an oil suction pipe 510 Are located on both sides, and the height of both sides is formed higher than the central region. 1 and 2, the outlet oil inflow pipe 100 is disposed on the left side (in the outflow oil flow direction) higher than the central region of the primary outflow oil separator 200, And flows into the outflow oil separator 200. When the oil flows into the primary outflow oil separator 200 and the water and the oil are separated, the oil floats on the water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oil suction pump 500 and the oil suction pipe 510 Pump the oil and discharge it to the outside.
제1 유출유 분리부(2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유출유가 유입되는 제1 영역(왼쪽 영역), 물과 오일이 분리되는 제2 영역(중앙 영역), 분리된 오일을 배출하는 제3 영역(오른쪽 영역)으로 편리 상 분리될 수 있다. 제1 영역 및 제3 영역은 제2 영역보다 높이가 높게 형성된다. 제1 영역에 유출유 유입관(100)이 배치되며, 제3 영역에 오일 흡입부(500)가 배치되어 분리된 오일을 최종적으로 배출한다. 제2 영역에서는 물과 오일이 비중차이로 서로 유수 분리된다. 제1 영역의 상방에서 유입된 유출유는 제2 영역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2차 유출유 분리부(300)로 유입되어 2차적으로 물과 오일을 유수분리한다.The first outflow oil separator 200 includes a first region (left region) into which the oil flows, a second region (middle region) in which water and oil are separated, a third region The right area). The first region and the third region are formed to be higher in height than the second region. The outflow oil inflow pipe 100 is disposed in the first region, and the oil suction portion 500 is disposed in the third region to finally discharge the separated oil. In the second region, water and oil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due to their specific gravity difference. The effluent flowing in from above the first region moves horizontally in the second region and flows into the second outflow oil separator 300 to secondarily distill water and oil.
오일 흡입부(500)는 제3 영역에 구비되며, 대략적으로 오일 흡입관(510)과 오일 흡입 펌프(520)로 구성될 수 있다. 물과 오일이 유수분리되면 오입 흡입 펌프(520)를 구동하여 최종적으로 오일을 외부로 배출한다. The oil suction part 500 is provided in the third area and can be roughly composed of the oil suction pipe 510 and the oil suction pump 520. When the water and the oil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water, the oil suction pump 520 is driven to finally discharge the oil to the outside.
유수 분리기(1)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3 폐쇄 뚜껑(11,12,13)이 탈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오일 흡입부(500)를 장착하기 위해서는 제2 폐쇄 뚜껑(12)을 탈착하고 배치하거나 또는 제2 폐쇄 뚜껑(12)에 오일 흡입관(510)이 관통될 수 있는 홀을 형성하여 배치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first, second, and third closure lids 11, 12, and 13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oil water separator 1. Therefore, in order to mount the oil suction unit 500, the second closing lid 12 may be detached and disposed, or the second closing lid 12 may be formed with a hole through which the oil suction pipe 510 can pass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2차 유출유 분리부(300)는 1차 유출유 분리부(200)에서 1차적으로 분리된 유출유를 2차적으로 유수 분리한다. 이때 2차 유출유 분리부(300)는 저점도 오일을 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차 유출유 분리부(300)는 1차 유출유 분리부(200)로부터 유출유를 유입 받는다. 2차 유출유 분리부(300)는 1차 유출유 분리부(200)의 오른편에(유출유의 흐름방향에서) 위치하여 유출유를 유입 받으며, 대략적으로 1차 유출유 분리부(200)의 제2 영역의 높이에 상응하는 곳에 배치된다. The secondary effluent oil separator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s the effluent oil that is primarily separated from the primary effluent oil separator 200 from the secondary effluent.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ary effluent oil separator 300 separates the low viscosity oil. The secondary outlet oil separator 300 receives the outlet oil from the primary outlet oil separator 200. The secondary effluent oil separator 300 is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primary effluent oil separator 200 (in the flow direction of the effluent oil) and receives the effluent oil, 2 < / RTI > area.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 유출유 분리부(300)는 대략적으로 제1 필터부(310, 프리필터 메쉬망), 제2 필터부(320, 나노 메쉬망), 하우징(33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필터부(310) 및 제2 필터부(320)부는 하우징(330)의 내부에 장착되어 카트리지 방식으로 교체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30)도 제3 폐쇄 뚜껑(13)을 탈착하여 상방으로 들어올릴 수 있어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구현된다. 하우징(330)은 장착시 유출유가 흘러나오지 않도록 고무패킹으로 방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무패킹은 하우징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제1,2 고무패킹(21,22)이 구비되며, 고무패킹 부착영역에 하우징(330)이 탈부착 되도록 지지대가 구비된다.3, the secondary effluent oil separator 300 includes a first filter unit 310, a second filter unit 320, and a housing 330. The second filter unit 310 includes a first filter unit 310, a second filter unit 320, . The first filter unit 310 and the second filter unit 320 may be mounted inside the housing 330 to be replaced by a cartridge. Also, as shown in FIG. 2, the housing 330 can also be detached from the third closed lid 13 and lifted upward, thereby facilitating the detachment and attachment. Preferably, the housing 330 is waterproofed with a rubber packing so that the oil does not flow out during installation. The rubber packing is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rubber seals (21, 22) o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housing, respectively, and a support for detachably attaching the housing (330) to the rubber packing attachment region.
2차 유출유 분리부(300)의 유출유 유입부(340)로 수평방향으로 유입된 유출유는 제1 필터부(310)에 의해 해양 이물질이 필터링 된다. 제1 필터부(310)는 프리필터 메쉬망으로 거름망의 기능을 수행한다. 즉, 바다로부터 퍼 올린 유출유에는 해양 미생물, 불순물, 또는 부유물 등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제1 필터부(310)는 유출유에 포함된 해양 미생물, 불순물 또는 부유물을 거른다. 이러한 해양 미생물, 불순물 또는 부유물은 바다에 떠다니다 오일 스키머에 의해 펌핑되어 유수 분리기(1)로 공급되기 때문에 제2 필터부(320, 나노 메쉬망)에서 물과 오일(또는 기름)을 분리하기 전에 먼저 1차적으로 부유물을 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거름망(제1 필터부)의 메쉬홀 사이즈는 대략 300메쉬(32 마이크로미터) 정도를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이보다 더 크거나 작은 사이즈가 채택될 수 있다. The outflow oil flowing horizontally into the outflow oil inflow section 340 of the secondary outflow oil separator 300 is filtered by the first filter section 310. The first filter unit 310 functions as a filtering network to the prefilter mesh network. In other words, the effluent from the sea contains marine microorganisms, impurities, or suspended matter. Accordingly, the first filter unit 310 filters marine microorganisms, impurities, or suspended matter contained in the effluent. These marine microorganisms, impurities or suspended matter are pumped by the oil skimmer floating in the sea and supplied to the oil water separator 1, so that before the water and the oil (or oil) are separated from the second filter unit 320 It is desirable to primarily separate the floats. The mesh size of the mesh (first filter portion) can be about 300 meshes (about 32 micrometers), and larger or smaller sizes can be adopted as needed.
제1 필터부(3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00)의 내측에 구비되며, 유출유 유입부(340)로 유입되는 유출유의 흐름방향(수평방향)에 소정 각도를 가지도록 배치된다. 이때, 소정 각도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출유의 흐름방향에 대해 예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필터부(310)는 흐름방향에 대해 오른쪽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며, 카트리지 방식으로 교체가 가능하도록 지지부에 의해 지지된다. 이때, 제1 필터부(310) 및 제2 필터부(320)를 지지하는 지지부는 카트리지 방식으로 교체가 용이하도록 지지되는 구현수단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모두 채택 가능하다. 3, the first filter unit 310 is disposed inside the housing 300 and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flow direction (horizontal direction) of the outflow oil flowing into the outflow oil inflow unit 340 do.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predetermined angle has an acute angle with respect to the flow direction of the outflow oil as shown in Fig. The first filter unit 310 is disposed at an angle to the right with respect to the flow direction, and is supported by the support unit so as to be replaceable by a cartridge method. At this time, the supporting means for supporting the first filter unit 310 and the second filter unit 320 may be all adopted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
제2 필터부(320)는 친수발유의 성질을 가지는 나노 메쉬망으로 이루어진다. 제2 필터부(320)는 하우징(330)의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유출유 유입부(340)로 수평방향으로 유입된 유출유는 하우징(300)의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제2 필터부(320)에 의해 오일이 필터링 되며, 이때 유출유의 흐름과 제2 필터부(320)는 서로 수직으로 만난다. 제2 필터부(320)는 친수발유의 성질을 가지기 때문에 물은 통과시키고 오일은 통과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오일은 제2 필터부(320)를 통과하지 못하며, 통과된 물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를 따라 물 배출관(400)을 통해 배출된다. 배출된 물은 물 저장탱크(도면 미도시)에 저장되거나 필요에 따라 바다에 최종적으로 방출될 수 있다.The second filter unit 320 is made of a nanome- mes network having hydrophilic oil properties. The second filter unit 320 is disposed horizontally below the housing 330. Accordingly, the effluent oil flowing into the effluent oil inflow section 34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filtered by the second filter section 320 disposed horizontally in the lower part of the housing 300. At this time, The filter portions 320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The second filter unit 320 has water-repellent properties, so that water can pass through and the oil can not pass through. Accordingly, the oil can not pass through the second filter portion 320, and the passed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discharge pipe 400 along the arrow as shown in FIG. The discharged water may be stored in a water storage tank (not shown) or finally discharged to the sea if necessary.
제1 필터부(310)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유출유에 포함된 해양 미생물들이 지속적으로 부착될 수 있어 점차 프리필터의 기능을 상실할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물질 제거부를 구비하여 미생물을 제거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marine microorganisms contained in the effluent oil can be continuously attached to the first filter unit 310, the function of the pre-filter gradually can be lost. Therefore, as shown in FIG. 3, a foreign substance removing unit is provided to remove microorganism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부는 대략적으로 캠부와 에어 발생부로 구성될 수 있다. 캠부는 캠(600), 캠 구동모터(650), 지지축(660)으로 대략적으로 이루어진다. 캠부는 제1 필터부(310)의 면적에 따라 복수로 구비될 수도 있다. 에어 발생부는 에어 관(700) 및 에어펌프(750)로 대략적으로 이루어진다. 이물질 제거부는 제1 필터부(310)에 부착된 해양 미생물을 제거하기 위해 먼저 에어 발생부에 의해 에어를 제1 필터부(310)를 향해 분사한다. 에어 분사에 의해 공기방울이 생성되며, 생성된 공기방울은 제1 필터부에 부착된 해양 미생물 또는 이물질을 흡착하게 된다. 이때, 해양 미생물 또는 이물질이 흡착된 공기방울을 제1 필터부(310)로부터 털어내기 위해 달팽이 형상의 캠(600)이 시계방향으로 구동된다.The foreign matter remov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oughly composed of a cam portion and an air generating portion. The cam portion is roughly made up of the cam 600, the cam drive motor 650, and the support shaft 660. The plurality of cam portions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area of the first filter portion 310. [ The air generating part is roughly made up of an air tube 700 and an air pump 750. In order to remove marine microorganisms attached to the first filter unit 310, the foreign substance removing unit firstly blows air toward the first filter unit 310 by the air generating unit. Air bubbles are generated by the air jet, and the generated air bubbles adsorb the marine microorganisms or foreign matter adhering to the first filter part. At this time, the snail-shaped cam 600 is driven in the clockwise direction to remove the air bubble adsorbed by the marine microorganism or the foreign matter from the first filter unit 310.
캠(600)은 캠 구동모터(650)의 구동에 의해 구동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달팽이 형상을 가진다. 캠(60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뾰족한 부분이 제1 필터부(310)를 터치하게 되며, 이때 해양 미생물 또는 이물질이 흡착된 공기방울을 털어내게 된다. 이러한 캠(600)은 제1 필터부(310)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여러 개 구비되어 효율을 높일 수도 있다. The cam 600 is driven by driving of the cam drive motor 650 and has a snail shape as shown in Fig. As the cam 600 rotates clockwise, the pointed portion touches the first filter unit 310, and at this time, the air bubbles absorbing the marine microorganisms or foreign matter are shaken. The plurality of cams 600 may be provi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filter unit 310 to increase the efficiency.
에어 관(700)은 제1 필터부(310)와 제2 필터부(320)의 사이 공간에 배치되며, 바람직하게는 제1 필터부(310)를 향하여 에어 또는 공기방울이 분사될 수 있는 곳이 최적이다. The air tube 700 is disposed in a space between the first filter unit 310 and the second filter unit 320 and is preferably disposed at a position where air or air bubbles can be injected toward the first filter unit 310 It is optimal.
상술한 유수 분리기(1)의 유출유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유출유 유입관(100)으로부터 제1 영역에서 하방으로 낙하 유입되며, 유입된 유출유는 제2 영역에서 수평방향으로 오른쪽으로 이동하며, 2차 유출유 분리부(300)로 유입되는 유출유는 1차적으로 유수 분리된 유출유로서 다시 수직방향으로 제2 필터부(320)로 유입되며, 최종적으로 물이 배출관(400)을 통해 배출된다. As shown in FIG. 2, the effluent of the oil water separator 1 is first dropped downward in the first region from the outflow oil inflow pipe 100, and the inflowed outflow oil flows in the rightward direction in the second region The effluent flowing into the second outflow oil separator 300 flows into the second filter portion 320 in the vertical direction again as the effluent oil that is primarily oil-water separated and finally the water flows into the discharge pipe 400 .
상술한 각부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한 설명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서로 분리하여 설명하였을 뿐 필요에 따라 어느 한 구성 및 기능이 다른 구성요소로 통합되어 구현되거나, 또는 더 세분화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The configuration and functions of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have been described separately from each oth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any of the components and functions may be integrated with other components or may be further subdivided as needed.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이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한 것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 또는 본 발명의 각 구성에 대한 결합관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there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are possible. In other word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understand that many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relat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specific combinations of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spect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mething to do.
1 : 유수 분리기
11 : 제1 폐쇄 뚜껑
12 : 제2 폐쇄 뚜껑
13 : 제3 폐쇄 뚜껑
21 : 제1 고무패킹
22 : 제2 고무패킹
100 : 유출유 유입관
200 : 1차 유출유 분리부
210 : 물/오일 분리영역
300 : 2차 유출유 분리부(유수 분리 모듈)
310 : 프리필터 메쉬망(제1 필터부)
320 : 나노 메쉬망(제2 필터부)
330 : 하우징
340 : 유출유 유입부
400 : 물 배출관
500 : 오일 흡입부
510 : 오일 흡입관
520 : 오일 흡입 펌프
600 : 캠
650 : 캠 구동모터
660 : 지지축
700 : 에어 관
750 : 에어펌프(공기방울 발생 펌프)1: Oil separator
11: First closed lid
12: Second closed lid
13: third closing lid
21: First rubber packing
22: Second rubber packing
100: Effluent inlet pipe
200: primary outflow oil separator
210: water / oil separation area
300: Secondary effluent separation unit (oil separation module)
310: Prefilter mesh network (first filter section)
320: Nano mesh network (second filter section)
330: Housing
340: Outlet oil inflow section
400: water discharge pipe
500: Oil suction part
510: Oil suction pipe
520: Oil suction pump
600: cam
650: Cam drive motor
660: Support shaft
700: air tube
750: Air pump (air bubble generating pump)
Claims (6)
상기 1차 유출유 분리부로부터 1차적으로 분리된 유출유를 공급받아 2차적으로 유출유를 유수분리하는 2차 유출유 분리부, 및
상기 2차 유출유 분리부에 부착된 해양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부를 포함하며,
상기 1,2차 유출유 분리부는 서로 영역이 구획되며,
상기 1차 유출유 분리부는,
유출유가 유입되는 제1 영역, 유출유가 1차적으로 물과 오일로 유수분리되는 제2 영역, 유수분리된 오일이 배출되는 제3 영역으로 구분되며, 상기 1차 유출유 분리부는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서 제1,3 영역은 제2 영역에 비해 높이가 더 높게 형성되며,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공급되는 유출유가 제3 영역을 향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물과 오일로 유수분리 되며,
상기 2차 유출유 분리부는,
1차적으로 분리된 유출유에 포함된 해양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이물질 필터부와, 상기 이물질 필터부를 통과한 유출유로부터 물과 오일을 2차적으로 분리하도록 상기 이물질 필터부의 수직 하방에 구비되는 나노 메쉬망으로 이루어진 나노 메쉬 필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나노 메쉬 필터부는 친수발유로서, 상기 나노 메쉬 필터부를 통과한 물은 배출 경로를 따라 배출되고, 나노 메쉬 필터부를 통과하지 못한 오일은 상기 제3 영역에서 오일 흡입부에 의해 최종적으로 배출되며,
1차 유출유 분리부의 배출구는 상기 1차 유출유 분리부의 일측에 상기 2차 유출유 분리부의 입구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이물질 필터부는 상기 1차 유출유 분리부의 배출구에서 배출된 유출유가 수평방향으로 2차 유출유 분리부의 입구에 유입되도록 하는 상기 1차 유출유 분리부의 배출구의 높이에 상응하도록 소정 각도를 가지면서 상기 2차 유출유 분리부의 입구에 배치되며,
상기 이물질 제거부는,
상기 이물질 필터부를 향해 공기방울 또는 에어를 분사하여 상기 이물질 필터부에 부착된 해양 미생물 또는 이물질을 흡착하도록 하고, 해양 미생물 또는 이물질이 흡착된 공기방울을 상기 이물질 필터부로부터 털어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이물질 제거와 나노 메쉬를 구비한 유수 분리 모듈.
A primary effluent oil separator for receiving effluent oil to primarily distill off the effluent oil,
A secondary effluent oil separator for receiving the effluent oil that is primarily separated from the primary effluent oil separator to secondarily distill the effluent oil,
And a foreign matter removing unit for removing marine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o the secondary effluent oil separating unit,
The first and second outflow oil separators are divided into regions,
Wherein the primary effluent oil separator comprises:
A first region in which effluent oil flows in, a second region in which effluent oil is primarily separated by water and oil, and a third region in which oil-separated oil is discharged, and the first outflow oil separator has a cross- The first and third regions are formed to have a height higher than that of the second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is a region in which the outflow oil supplied from the first region flows horizontally toward the third region, Separated,
Wherein the secondary effluent oil separator comprises:
A nano mesh network provided vertically below the foreign matter filter unit to secondarily separate water and oil from the outflow channel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oreign matter filter unit; And a nano-
Wherein the nano-mesh filter portion is hydrophilic oil, the water having passed through the nano-mesh filter portion is discharged along the discharge path, the oil that has not passed through the nano-mesh filter portion is finally discharged by the oil suction portion in the third region,
The outlet of the primary outlet oil separator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primary outlet oil separator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nlet of the secondary outlet oil separator,
Wherein the foreign matter filter portion has a predetermined angle corresponding to a height of an outlet of the primary outlet oil separating portion for allowing the outlet oil discharged from the outlet of the primary outlet oil separating portion to flow into the inlet of the secondary outlet oil separating por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n outlet of the second outlet oil separator,
The foreign-
Air bubbles or air are blown toward the foreign matter filter unit to adsorb marine microorganisms or foreign matter adhering to the foreign matter filter unit, and air bubbles adsorbing marine microorganisms or foreign matter are blown off from the foreign matter filter unit. Oil separation module with marine debris removal and nanomesh.
상기 2차 유출유 분리부는 탈부착되고,
상기 이물질 필터부 및 나노 메쉬 필터부는 카트리지 방식으로 교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이물질 제거와 나노 메쉬를 구비한 유수 분리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ary outlet oil separating portion is detachably attached,
Wherein the foreign matter filter unit and the nano-mesh filter unit are replaced by a cartridge system.
상기 나노 메쉬 필터부는,
상기 이물질 필터부의 수직 하방에 수평방향으로 구비되어 물은 수직방향으로 통과시키고 오일은 통과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이물질 제거와 나노 메쉬를 구비한 유수 분리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nano-
Wherein the water filter is provided horizontally below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oreign matter filter unit to allow water to pass in a vertical direction and prevent oil from passing through the water filter unit.
상기 이물질 제거부는,
상기 이물질 필터부를 향해 공기방울 또는 에어를 분사하는 공기방울 발생부, 및
해양 이물질이 흡착된 공기방울을 상기 이물질 필터부로부터 털어내는 제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이물질 제거와 나노 메쉬를 구비한 유수 분리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oreign-
An air bubble generating unit that blows air bubbles or air toward the foreign matter filter unit, and
And a removing unit for removing air bubbles from which the marine foreign matter is adsorbed from the foreign matter filter unit.
상기 공기방울 발생부는,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펌프, 및
에어펌프로부터 2차 유출유 분리부로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거부는,
상기 해양 이물질이 흡착된 공기방울을 털어내는 캠,
상기 캠을 지지하는 지지축, 및
상기 캠을 구동하는 캠 구동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이물질 제거와 나노 메쉬를 구비한 유수 분리 모듈.6. The method of claim 5,
The air-
An air pump for supplying air, and
And an air tube for supplying air from the air pump to the secondary outflow oil separator,
The removing unit
A cam for blowing off air bubbles adsorbed by the marine foreign matter,
A support shaft for supporting the cam, and
And a cam drive motor for driving the cam. The module according to claim 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58271A KR101789070B1 (en) | 2016-05-12 | 2016-05-12 | Oil separa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58271A KR101789070B1 (en) | 2016-05-12 | 2016-05-12 | Oil separato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89070B1 true KR101789070B1 (en) | 2017-10-24 |
Family
ID=60299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58271A KR101789070B1 (en) | 2016-05-12 | 2016-05-12 | Oil separat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89070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61685A (en) * | 2017-11-28 | 2019-06-05 | 수상에스티(주) | Automated oil recovery Manned/unmanned vessel |
KR20210090765A (en) | 2020-01-10 | 2021-07-21 | 주식회사 대명엘리베이터 | Separable nano filter oil and water separator |
US11273391B2 (en) | 2019-09-23 | 2022-03-15 | Koai Co. Ltd. | Oil-water separator for oil-containing residues |
KR20220096289A (en) * | 2020-12-30 | 2022-07-07 | (주)코아이 | Storaging apparatus for spilled oil on the sea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65257B1 (en) * | 2010-12-30 | 2011-09-19 | 주식회사 링콘테크놀로지 | Membrane of wastewater for cleaning the phosphorus |
KR101096864B1 (en) * | 2009-03-25 | 2011-12-22 | 신우리 | The oil separator |
KR101303059B1 (en) * | 2012-06-28 | 2013-09-03 |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 Superhydrophilic filter structure for selective separation of water and oil mixtures |
-
2016
- 2016-05-12 KR KR1020160058271A patent/KR101789070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96864B1 (en) * | 2009-03-25 | 2011-12-22 | 신우리 | The oil separator |
KR101065257B1 (en) * | 2010-12-30 | 2011-09-19 | 주식회사 링콘테크놀로지 | Membrane of wastewater for cleaning the phosphorus |
KR101303059B1 (en) * | 2012-06-28 | 2013-09-03 |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 Superhydrophilic filter structure for selective separation of water and oil mixtures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61685A (en) * | 2017-11-28 | 2019-06-05 | 수상에스티(주) | Automated oil recovery Manned/unmanned vessel |
WO2019107587A1 (en) * | 2017-11-28 | 2019-06-06 | 수상에스티주식회사 | Manned/unmanned ship for automated oil recovery |
KR102075081B1 (en) * | 2017-11-28 | 2020-02-07 | 수상에스티(주) | Automated oil recovery Manned/unmanned vessel |
US11273391B2 (en) | 2019-09-23 | 2022-03-15 | Koai Co. Ltd. | Oil-water separator for oil-containing residues |
KR20210090765A (en) | 2020-01-10 | 2021-07-21 | 주식회사 대명엘리베이터 | Separable nano filter oil and water separator |
KR20220096289A (en) * | 2020-12-30 | 2022-07-07 | (주)코아이 | Storaging apparatus for spilled oil on the sea |
KR102467922B1 (en) * | 2020-12-30 | 2022-11-16 | (주)코아이 | Storaging apparatus for spilled oil on the sea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89070B1 (en) | Oil separator | |
KR100900714B1 (en) | Apparatus to purify polluted water | |
JP6309090B2 (en) | Pressure levitation device | |
KR101288331B1 (en) | Auto-backwashing and non-point source contaminant treatment apparatus using float media | |
JP2006198530A (en) | Method of separating oil from earth/sand for oil-contaminated earth/san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oil from earth/sand for oil-contaminated earth/sand | |
US5066407A (en) | Petrochemical recovery machine | |
US7807051B2 (en) | Floating oil skimmer and gravitational separation system | |
JP2008202456A (en) | Muddy water force-feed device | |
JP2017205723A (en) | Wastewater treatment device and wastewater treatment method | |
US6129839A (en) | Separation system for immiscible liquids | |
JP2004050145A (en) | Apparatus for separating oil/water for bilge containing fine suspended solid | |
JP5193151B2 (en) | Solid-liquid separation device and water treatment device | |
KR101925901B1 (en) | Oil separator | |
KR20180132480A (en) | Waste oil and wastewater move type treatment system for ship | |
JP4028973B2 (en) | Float removal method and apparatus | |
CN103754986A (en) | Oil stain mixture separating system | |
KR101684362B1 (en) | Oil seperator pack for sea split oil collect device and oil separator collect appartus | |
KR101431325B1 (en) | Waste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 |
JP2016165772A (en) | Process liquid treatment system | |
KR200372831Y1 (en) | Device for coalesce media minute particles oil of oil separator | |
JP2007185643A (en) | Foreign matter separating apparatus for separating foreign matter including oil from oil-containing contaminated water | |
KR101806446B1 (en) | Case module | |
KR102373948B1 (en) | Double Filter of Water Treatment for Ship | |
KR100969542B1 (en) | A underground water filtering device | |
KR100579117B1 (en) | Apparatus for purificating of closed water area by dissolved air flota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