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6253B1 - 플레이트 이동 장치 - Google Patents

플레이트 이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6253B1
KR101786253B1 KR1020150183835A KR20150183835A KR101786253B1 KR 101786253 B1 KR101786253 B1 KR 101786253B1 KR 1020150183835 A KR1020150183835 A KR 1020150183835A KR 20150183835 A KR20150183835 A KR 20150183835A KR 101786253 B1 KR101786253 B1 KR 1017862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kid
skid portion
fork
cylind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3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5089A (ko
Inventor
김영환
양석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50183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6253B1/ko
Publication of KR20170075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50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6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6253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0/00Simultaneously or alternatively stacking and de-stacking of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2Rotary or reciprocating members for direct action on articles or materials, e.g. pushers, rakes, shov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02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 B65G57/03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from abo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9/00De-stacking of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1/00Use of pick-up or transfer devices or of manipulators for stacking or de-stack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Fl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04Stacking devices
    • B65G2814/0305Adding to the top
    • B65G2814/0307Adding to the top the loading platform being lowered during sta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acking Of Articles And Auxiliar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레이트 이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는 플레이트를 적층하여 지지하는 복수의 스키드를 구비하면서 승강 가능한 스키드부; 및 이 스키드부의 일측에 배치되며, 플레이트의 밑에서 지지하는 복수의 포크를 구비하면서 신축 가능한 포크부를 포함하여서, 생산된 플레이트를 수작업 없이 자동으로 연속해서 적치하고 이동시킬 수 있어, 이동 중에 발생하는 제품의 손상을 방지하여 우수한 품질의 제품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플레이트 이동 장치 {Apparatus for transferring plates}
본 발명은 생산된 플레이트를 수작업 없이 자동으로 연속해서 적치하고 이동시킬 수 있는 플레이트 이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제철소에서는 여러 생산공정을 거친 강판과 같은 플레이트를 수요처의 주문량만큼 소정의 매수로 적치하고 포장하여 수요처로 이송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생산된 스트립이 복수의 롤러를 구비한 이송부를 통해 소정의 위치에 도달하면, 수요처가 원하는 길이로 절단하여 일정 길이를 가진 플레이트로 형성하게 된다. 이어서, 절단된 플레이트를 이송부의 일측 측방으로 배치된 푸셔(pusher)가, 이송부의 타측 측방에 고정된 스키드 상으로 밀어 보낸다.
스키드로 이동된 고온 및 고하중의 플레이트를 일일이 작업자가 크레인을 사용하여 권상하고 포장 위치에 있는 적치대 상으로 이동시킨다. 수요처가 주문한 매수만큼 적치되면, 소정의 매수로 적치된 이들 플레이트를 포장하여 상차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 중에, 스키드 상에 이동되지 못한 플레이트가 남아 있는 상태에서 푸셔가 다음 플레이트를 밀어 스키드 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플레이트들이 서로 충돌되면, 설비가 손상됨은 물론, 고온 상태인 플레이트에 흠집이 생기거나 플레이트가 찢어지게 되어 품질의 저하 또는 불량품의 발생이 야기된다.
더구나 설비에서 이탈된 플레이트를 처리하기 위해 투입된 작업자에 대한 안전사고의 위험과 피로도의 증가가 초래되는 한편, 생산이 중단되어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생산된 플레이트를 수작업 없이 자동으로 연속해서 적치하고 이동시킬 수 있어 우수한 품질의 제품을 제공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플레이트 이동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이동 장치는, 플레이트를 적층하여 지지하는 복수의 스키드를 구비하면서 승강 가능한 스키드부; 및 상기 스키드부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플레이트의 밑에서 지지하는 복수의 포크를 구비하면서 신축 가능한 포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키드부는 지하 피트에 설치되며, 상기 스키드부는, 상기 복수의 스키드가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된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길이방향 양끝에 각각 설치된 연결대; 상기 연결대에 장착된 복수의 회전부재; 및 상기 지하 피트의 측벽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부재가 길이방향을 따라 구름이동하도록 된 안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포크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3실린더, 및 상기 제3실린더의 작동로드의 단부에 장착된 상기 복수의 포크를 포함하며, 상기 포크부는, 상기 포크가 상기 스키드 상에 적층된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판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된 후 상기 스키드부가 하강할 때 상기 포크 위에 상기 플레이트가 놓이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플레이트를 수작업 없이 자동으로 연속해서 적치하고 이동시킬 수 있어, 이동 중에 발생하는 제품의 손상을 방지하여 우수한 품질의 제품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플레이트의 이탈이 없어 설비 간 간섭 등이 생기지 않게 됨으로써, 설비의 파손이 방지됨은 물론 작업자의 안전사고와 피로도의 증가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는 한편,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이동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이동 장치 중 스키드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이동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이동 장치 중 스키드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이동 장치는, 플레이트(1)를 적층하여 지지하는 복수의 스키드(32)를 구비하면서 승강 가능한 스키드부(30); 및 이 스키드부의 일측에 배치되며, 플레이트의 밑에서 지지하는 복수의 포크(42)를 구비하면서 신축 가능한 포크부(40)를 포함하고 있다.
우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이동 장치는 이송부(10)의 측방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송부(10)의 측방 일측에 제공되는 지하 피트(Pit; 9)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이동 장치 중 스키드부(30)가 설치되게 된다.
이송부(10)는 복수의 롤러(11)를 구비한다. 이러한 이송부에는 근접센서(12)가 설치되어 이송되는 스트립(미도시)을 감지하게 되고,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가 근접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이송부의 스트립 이송을 멈추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송되어 온 스트립을 도시되지 않은 절단기가 수요처에서 원하는 길이로 절단하여 일정 길이를 가진 플레이트(1)로 형성하게 된다.
이송부(10)의 측방 타측에는 푸셔(20)가 설치된다. 이 푸셔는 적어도 하나의 제1실린더(21)와, 이 제1실린더의 작동로드의 단부에 장착된 밀판(2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푸셔가 이송부의 위에 놓인 플레이트(1)를 이송부의 측방 일측, 즉 스키드부(30) 상으로 밀어붙이게 된다.
스키드부(30)는 지지판(31), 이 지지판 상에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된 복수의 스키드(32), 지지판의 아래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지지봉(33)에 의해 서로 일정 간격으로 유지되는 복수의 링크아암(34), 이들 링크아암의 중간을 관통하는 힌지축(35)을 지지하는 프레임(36), 및 링크아암들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제2실린더(37)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일부의 스키드(30) 상에는 소정 높이의 스토퍼(38)가 마련되어, 이송부(10)로부터 전달된 플레이트(1)가 일정 거리만큼 미끄럼이동되고 저지될 수 있게 되어 있다.
각 링크아암(34)은 절곡되거나 만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링크아암의 절곡된 지점 또는 만곡된 지점을 힌지축(35)이 관통할 수 있다.
제2실린더(37)가 신장 또는 수축하게 됨으로써, 이 제2실린더에 연결된 링크아암(34)이 프레임(36)에 지지된 힌지축(35)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링크아암들의 타단이 서로 지지봉(33)을 매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제2실린더에 연결된 링크아암과 함께 나머지 링크아암도 프레임에 지지된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지지판(31)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링크아암들의 일단이 서로 동일한 높이로 상승하거나 하강하게 되면서 지지판이 수평을 유지한 채로 승강하게 되는 것이다.
추가로, 스키드부(30)는 지지판(31)의 길이방향 양끝에 각각 설치된 연결대(51), 이 연결대에 장착된 복수의 회전부재(52), 및 지하 피트(2)의 측벽에 설치되어 회전부재가 길이방향을 따라 구름이동하도록 된 안내부재(53)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부재(52)로는 롤러가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볼이나 휠 등과 같은 부재가 채택되어도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이동 장치 중 포크부(40)는 적어도 하나의 제3실린더(41)와, 이 제3실린더의 작동로드의 단부에 장착된 복수의 포크(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3실린더(41)는 지하 피트(2)보다 상승된 높이에 위치된 데크(Deck; 3)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포크(42)의 밑에는 각각 바퀴(43)가 장착되고, 이들 바퀴는 지하 피트(2)의 바닥으로부터 연장한 지지베이스(4) 상에 고정된 안내레일(44)을 따라 주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된 포크부(40)는, 포크(42)가 스키드부(30)의 스키드(32) 상에 적층된 플레이트(1)와 스키드부의 지지판(31)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된 후 스키드부가 하강할 때 포크들 위에 플레이트들을 올려놓을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제3실린더(41)가 수축됨으로써, 포크들 위에 적층된 플레이트들이 데크(3) 측으로 가까이 이동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이동 장치의 작동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송부(10)의 롤러(11)들을 따라 이송되는 스트립이 근접센서(12)에 의해 감지되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스트립의 이송이 멈추게 되고, 절단기가 스트립을 절단하여 일정 길이를 가진 플레이트(1)로 형성하게 된다.
푸셔(20)의 신장으로 인해, 밀판(22)이 이송부(10)상의 플레이트(1)를 스키드부(30) 쪽으로 밀어붙이게 된다. 이에 따라, 밀판에 의해 플레이트가 이송부의 롤러(11)들로부터 스키드부의 스키드(32) 상으로 이동될 수 있다.
푸셔(20)가 수축되면서 제어부가 스키드부(30)의 제2실린더(37)가 작동되도록 제어하여 링크아암(34)들을 일정 각도만큼 회전시킴으로써 지지판(31)이 결국 소정의 거리만큼 하강하게 된다.
계속해서, 푸셔(20)의 신장으로 인해 밀판(22)이 이송부(10)상의 플레이트(1)를 하나씩 스키드부(30) 쪽으로 밀어붙이고, 푸셔의 수축에 따라 지지판(31)이 조금씩 소정의 거리만큼 더욱 하강하는 것을 수차례 반복하게 된다. 이에 따라, 스키드부의 스키드(30) 상에 플레이트들을 원하는 매수만큼, 예를 들어 6 - 10 매 정도로 연속하여 적층할 수 있다.
원하는 매수만큼의 적층이 이루어지면, 제어부는 제2실린더(37)의 작동을 제어하여 지지판(31)을 완전히 상승시키게 되고, 적층된 플레이트(1)들이 지하 피트(2)에서 빠져나오게 된다.
이때, 스키드부(30)의 지지판(31)은 지하 피트(2)의 측벽에 설치된 안내부재(53)를 따라 그 회전부재(52)가 구름이동하게 됨으로써 원활히 하강 및 상승할 수 있다.
다음으로, 포크부(40)가 신장하면서, 스키드부(30)의 스키드(32) 상에 적층된 플레이트(1)와 스키드부의 지지판(31) 사이의 공간(39)으로 포크(42)가 삽입되게 된다. 그 후에, 스키드부가 다시 하강하게 되는데, 이로써 포크들 위에 적층된 플레이트들을 올려놓을 수 있게 된다.
이어서, 포크부(40)가 수축됨으로써, 포크(42)들 위에 적층된 플레이트(1)들이 데크(3) 측에 가까이 이동될 수 있다.
이때, 포크부(40)의 포크(42)를 지지하는 바퀴(43)는 지지베이스(4) 상에 고정된 안내레일(44)을 따라 원활히 주행할 수 있다.
끝으로, 적층된 플레이트(1)들은 데크(3) 위에 있는 작업자에 의해 적절히 포장되어 상차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플레이트들을 수작업 없이 자동으로 연속해서 안정되게 적치하고 이동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플레이트 10: 이송부
20: 푸셔 21: 제1실린더
22: 밀판 30: 스키드부
31: 지지판 32: 스키드
34: 링크아암 36: 프레임
37: 제2실린더 40: 포크부
41: 제3실린더 42: 포크

Claims (9)

  1. 플레이트를 적층하여 지지하는 복수의 스키드를 구비하면서 승강 가능한 스키드부; 및
    상기 스키드부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플레이트의 밑에서 지지하는 복수의 포크를 구비하면서 신축 가능한 포크부
    를 포함하고,
    상기 스키드부는 지하 피트에 설치되며,
    상기 스키드부는,
    상기 복수의 스키드가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된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길이방향 양끝에 각각 설치된 연결대;
    상기 연결대에 장착된 복수의 회전부재; 및
    상기 지하 피트의 측벽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부재가 길이방향을 따라 구름이동하도록 된 안내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포크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3실린더, 및
    상기 제3실린더의 작동로드의 단부에 장착된 상기 복수의 포크
    를 포함하며,
    상기 포크부는, 상기 포크가 상기 스키드 상에 적층된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판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된 후 상기 스키드부가 하강할 때 상기 포크 위에 상기 플레이트가 놓이도록 된 플레이트 이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키드부는,
    상기 지지판의 아래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지지봉에 의해 서로 일정 간격으로 유지되는 복수의 링크아암,
    상기 링크아암의 중간을 관통하는 힌지축을 지지하는 프레임, 및
    상기 링크아암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제2실린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이동 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실린더는 상기 지하 피트보다 상승된 높이에 위치된 데크 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이동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포크의 밑에는 바퀴가 장착되고,
    상기 바퀴는 상기 지하 피트의 바닥으로부터 연장한 지지베이스 상에 고정된 안내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이동 장치.
  8. 삭제
  9. 제1항, 제2항, 제6항,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키드부는 상기 플레이트가 이송되는 이송부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이송부의 타측에는 푸셔가 설치되며,
    상기 이송부로부터 상기 푸셔로 밀어보내는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스키드부의 하강에 의해 연속으로 상기 스키드부 상에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이동 장치.
KR1020150183835A 2015-12-22 2015-12-22 플레이트 이동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7862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3835A KR101786253B1 (ko) 2015-12-22 2015-12-22 플레이트 이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3835A KR101786253B1 (ko) 2015-12-22 2015-12-22 플레이트 이동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5089A KR20170075089A (ko) 2017-07-03
KR101786253B1 true KR101786253B1 (ko) 2017-10-18

Family

ID=59357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3835A Expired - Fee Related KR101786253B1 (ko) 2015-12-22 2015-12-22 플레이트 이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62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30576B (zh) * 2018-08-21 2024-06-18 博侃电气(合肥)有限公司 一种周转箱及周转箱的转运装置
KR102119958B1 (ko) * 2018-09-19 2020-06-05 주식회사 포스코 플레이트 이동장치
CN111216038B (zh) * 2020-01-21 2021-05-04 蓝思智能机器人(长沙)有限公司 一种叠放控制系统
CN111422608A (zh) * 2020-05-08 2020-07-17 台州市意利欧机械有限公司 一种板材加工设备中的输送装置
CN113636332B (zh) * 2021-07-30 2023-05-16 晟通科技集团有限公司 片料分料装置及模板生产设备
CN115417129B (zh) * 2022-08-24 2024-09-13 青岛盈佳电子有限公司 一种塑料异形件生产的上料装置
CN118220806B (zh) * 2024-05-24 2024-09-03 南通棋焓机械配件有限公司 用于金属配件的输送码垛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83119B2 (ja) * 1993-04-08 1998-08-0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ワーク取り出し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83119B2 (ja) * 1993-04-08 1998-08-0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ワーク取り出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5089A (ko) 2017-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6253B1 (ko) 플레이트 이동 장치
US8066469B2 (en) Tray stacking apparatus
WO2017005690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loading of a vehicle
EP3313760B1 (en) Storage device for ceramic products and the like
US20170240370A1 (en) Device for handling paper reels in paper converting plants
US20130020179A1 (en) Coil Shift Transfer Car
US6227537B1 (en) Service walkway for sheet-stacking apparatus
CN109573679B (zh) 包装纸复卷下料及喷码包装生产线及操作方法
CN210312031U (zh) 一种薄膜成品卷分切上下料装置
US7779663B1 (en) Finished product receiving rack of a corrugated metal sheet member fabrication system
US9555508B2 (en) Truss supply and rigging table systems and methods
CN104828595A (zh) 铝板导向装置
JPH072530B2 (ja) タイヤの段積み装置
CN105366317B (zh) 一种物流自动上料系统
KR20140129507A (ko) 오더피커용 캐리지 추락 방지장치
CN203819780U (zh) 卷料专用防倒转运架
CN109279120B (zh) 打包系统和打包方法
CN204549115U (zh) 一种高效节能的自动化仓库应急电动取货装置
CN218316807U (zh) 一种吹膜转换纸芯运送车
KR101505402B1 (ko) 압연재 장입장치
CN115649765B (zh) 大吨位带式输送机多点卸料器专用升降平台机构
US20170073161A1 (en) Direct coil transfer system
CN211309955U (zh) 一种板材运输升降台
KR20040020664A (ko) 열연코일 내경 처짐 방지장치
KR20190052466A (ko) 추락방지 안전 곤돌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2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06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121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06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20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81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7072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6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020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0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10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7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