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2961B1 - 다중 난방배관을 구비한 각 방의 부분난방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다중 난방배관을 구비한 각 방의 부분난방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72961B1 KR101772961B1 KR1020150191241A KR20150191241A KR101772961B1 KR 101772961 B1 KR101772961 B1 KR 101772961B1 KR 1020150191241 A KR1020150191241 A KR 1020150191241A KR 20150191241 A KR20150191241 A KR 20150191241A KR 101772961 B1 KR101772961 B1 KR 10177296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ting
- heating pipe
- room
- pipe
- controll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0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 F24D19/101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using a valve or valv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71—Valv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4—Sensors
- F24D2220/042—Temperature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난방배관을 구비한 각 방의 부분난방 제어시스템은, 복수 개로 분할된 각 방을 난방하기 위한 부분난방 제어시스템으로서, 난방에 필요한 난방수를 순환 공급하는 보일러; 난방이 필요한 각 방마다 하나 또는 둘 이상 설치되고, 상기 보일러로부터 공급된 난방수가 통과하는 난방배관; 상기 각각의 난방배관에 설치되어 난방수의 공급을 제어하는 밸브 구동기; 상기 밸브 구동기에 난방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밸브 제어기; 및 각 방마다 현재온도를 출력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난방에 필요한 설정온도를 입력받아 상기 밸브 제어기로 출력하는 룸 콘트롤러; 포함하고, 상기 밸브 제어기는 해당 방에 둘 이상의 상기 난방배관이 설치된 경우에 해당 방의 상기 룸 콘트롤러로부터 각각의 상기 난방배관에 대한 설정온도를 별도로 입력받고, 이를 기준으로 각각의 상기 난방배관의 난방 가동 유무를 판별한 후, 이에 따라 둘 이상의 상기 난방배관에 설치된 각각의 상기 밸브 구동기로 난방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각 방의 부분난방 제어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의 작동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각 방의 부분난방 제어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의 작동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30: 밸브 구동기 40: 밸브 제어기
50: 룸 콘트롤러
Claims (12)
- 복수 개로 분할된 각 방을 난방하기 위한 부분난방 제어시스템으로서,
난방에 필요한 난방수를 순환 공급하는 보일러; 난방이 필요한 각 방마다 하나 또는 둘 이상 설치되고, 상기 보일러로부터 공급된 난방수가 통과하는 난방배관; 상기 각각의 난방배관에 설치되어 난방수의 공급을 제어하는 밸브 구동기; 상기 밸브 구동기에 난방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밸브 제어기; 및 각 방마다 현재온도를 출력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난방에 필요한 설정온도를 입력받아 상기 밸브 제어기로 출력하는 룸 콘트롤러; 포함하고,
상기 밸브 제어기는 해당 방에 둘 이상의 상기 난방배관이 설치된 경우에 해당 방의 상기 룸 콘트롤러로부터 각각의 상기 난방배관에 대한 설정온도를 별도로 입력받고, 이를 기준으로 각각의 상기 난방배관의 난방 가동 유무를 판별한 후, 이에 따라 둘 이상의 상기 난방배관에 설치된 각각의 상기 밸브 구동기로 난방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밸브 제어기는, 해당 방에 둘 이상의 상기 난방배관이 설치된 경우에 그 중 하나의 난방배관이 일정 시간 이상 가동이 되지 않은 때에는 사용자가 입력한 설정온도에 관계없이 해당 난방배관을 가동시키는 난방제어신호를 해당 밸브 구동기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난방배관을 구비한 각 방의 부분난방 제어시스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밸브 제어기는, 상기 하나의 난방배관이 일정 시간 이상 가동이 되지 않은 때에도, 다른 난방배관이 일정 시간 내에 가동이 된 경우에만 상기 가동되지 않은 난방배관을 가동시키는 난방제어신호를 해당 밸브 구동기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난방배관을 구비한 각 방의 부분난방 제어시스템. - 복수 개로 분할된 각 방을 난방하기 위한 부분난방 제어시스템으로서,
난방에 필요한 난방수를 순환 공급하는 보일러; 난방이 필요한 각 방마다 하나 또는 둘 이상 설치되고, 상기 보일러로부터 공급된 난방수가 통과하는 난방배관; 상기 각각의 난방배관에 설치되어 난방수의 공급을 제어하는 밸브 구동기; 상기 밸브 구동기에 난방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밸브 제어기; 및 각 방마다 현재온도를 출력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난방에 필요한 설정온도를 입력받아 상기 밸브 제어기로 출력하는 룸 콘트롤러; 포함하고,
상기 밸브 제어기는 해당 방에 둘 이상의 상기 난방배관이 설치된 경우에 이들 난방배관들을 메인 난방배관과 보조 난방배관으로 구분으로 세팅하고, 해당 방의 상기 룸 콘트롤러로부터 상기 메인 난방배관의 설정온도를 입력받으며, 미리 설정된 온도 차이값에 따라 상기 보조 난방배관의 설정온도를 자동 계산하고, 이를 기준으로 상기 메인 난방배관 및 보조 난방배관의 난방 가동 유무를 판별한 후, 이에 따라 상기 난방배관 및 보조 난방배관에 설치된 각각의 상기 밸브 구동기로 난방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밸브 제어기는, 상기 메인 난방배관 또는 보조 난방배관 중 하나의 난방배관이 일정 시간 이상 가동이 되지 않은 때에는 상기 입력 또는 계산된 설정온도에 관계없이 해당 난방배관을 가동시키는 난방제어신호를 해당 밸브 구동기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난방배관을 구비한 각 방의 부분난방 제어시스템. - 삭제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밸브 제어기는, 상기 메인 난방배관 또는 보조 난방배관 중 하나의 난방배관이 일정 시간 이상 가동이 되지 않은 때에도, 다른 난방배관이 일정 시간 내에 가동이 된 경우에만 상기 가동되지 않은 난방배관을 가동시키는 난방제어신호를 해당 밸브 구동기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난방배관을 구비한 각 방의 부분난방 제어시스템. - 복수 개로 분할된 각 방을 난방하기 위한 부분난방 제어방법으로서,
밸브 제어기는 룸 콘트롤러를 통해 해당 방에 설치된 난방배관의 개수를 입력받은 단계;
상기 밸브 제어기는 해당 방의 난방배관의 개수가 둘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룸 콘트롤러를 통해 각각의 상기 난방배관에 대한 설정온도를 차례로 입력받는 단계;
상기 밸브 제어기는 입력받은 상기 설정온도를 기준으로 각각의 상기 난방배관의 난방 가동 유무를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밸브 제어기는 판별 결과 난방 가동이 필요한 난방배관이 있는 때에는 해당 밸브 구동기로 난방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 제어기는, 해당 방에 둘 이상의 상기 난방배관이 설치된 경우에 그 중 하나의 난방배관이 일정 시간 이상 가동이 되지 않은 때에는 사용자가 입력한 설정온도에 관계없이 해당 난방배관을 가동시키는 난방제어신호를 해당 밸브 구동기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난방배관을 구비한 각 방의 부분난방 제어방법. - 삭제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밸브 제어기는, 상기 하나의 난방배관이 일정 시간 이상 가동이 되지 않은 때에도, 다른 난방배관이 일정 시간 내에 가동이 된 경우에만 상기 가동되지 않은 난방배관을 가동시키는 난방제어신호를 해당 밸브 구동기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난방배관을 구비한 각 방의 부분난방 제어방법. - 복수 개로 분할된 각 방을 난방하기 위한 부분난방 제어방법으로서,
밸브 제어기는 룸 콘트롤러를 통해 해당 방에 설치된 난방배관의 개수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밸브 제어기는 입력받은 난방배관의 개수가 둘 이상인 경우에 메인 난방배관 및 보조 난방배관을 정하기 위한 설정값, 상기 메인 난방배관 및 보조 난방배관 사이의 온도 차이값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밸브 제어기는 상기 룸 콘트롤러를 통해 상기 메인 난방배관에 대한 설정온도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밸브 제어기는 입력받은 상기 메인 난방배관의 설정온도와 미리 입력된 상기 온도 차이값을 기준으로 상기 보조 난방배관의 설정온도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밸브 제어기는 상기 메인 난방배관 및 보조 난방배관의 설정온도를 기준으로 각각의 난방배관의 난방 가동 유무를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밸브 제어기는 판별 결과 난방 가동이 필요한 난방배관이 있는 때에는 해당 밸브 구동기로 난방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 제어기는, 상기 메인 난방배관 또는 보조 난방배관 중 하나의 난방배관이 일정 시간 이상 가동이 되지 않은 때에는 상기 입력 또는 계산된 설정온도에 관계없이 해당 난방배관을 가동시키는 난방제어신호를 해당 밸브 구동기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난방배관을 구비한 각 방의 부분난방 제어방법. - 삭제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밸브 제어기는, 상기 메인 난방배관 또는 보조 난방배관 중 하나의 난방배관이 일정 시간 이상 가동이 되지 않은 때에도, 다른 난방배관이 일정 시간 내에 가동이 된 경우에만 상기 가동되지 않은 난방배관을 가동시키는 난방제어신호를 해당 밸브 구동기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난방배관을 구비한 각 방의 부분난방 제어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91241A KR101772961B1 (ko) | 2015-12-31 | 2015-12-31 | 다중 난방배관을 구비한 각 방의 부분난방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91241A KR101772961B1 (ko) | 2015-12-31 | 2015-12-31 | 다중 난방배관을 구비한 각 방의 부분난방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80061A KR20170080061A (ko) | 2017-07-10 |
KR101772961B1 true KR101772961B1 (ko) | 2017-09-05 |
Family
ID=59356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91241A Active KR101772961B1 (ko) | 2015-12-31 | 2015-12-31 | 다중 난방배관을 구비한 각 방의 부분난방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72961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29086B1 (ko) * | 2018-07-27 | 2019-10-07 | 광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IoT 스마트 제어시스템이 적용된 온열 다다미 |
CN109708318B (zh) * | 2019-01-11 | 2023-11-28 | 北京帅安节能设备有限公司 | 一种步进式全自动采暖电锅炉及其使用、加热方法 |
KR20220120102A (ko) | 2021-02-23 | 2022-08-30 | 조준서 | 지구본 기능을 이용한 다중 서랍장 |
-
2015
- 2015-12-31 KR KR1020150191241A patent/KR101772961B1/ko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80061A (ko) | 2017-07-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871611B2 (ja) | 建物の空調システム | |
KR101997043B1 (ko) | 보일러 환수온도를 이용한 각방제어 시스템의 난방온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 |
KR101772961B1 (ko) | 다중 난방배관을 구비한 각 방의 부분난방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
JP2015152192A (ja) | 空気調和システム | |
JP2018197615A (ja) | 浴室空調装置 | |
DK200101657A (da) | Varmesystem | |
JP7020940B2 (ja) | 空調システム | |
KR101634257B1 (ko) | 보일러 온도조절기와 각방 온도조절기의 연동 제어방법 | |
KR20160051147A (ko) | 난방시스템 | |
JP6765059B2 (ja) | 空調制御システム、及び空調制御方法 | |
KR101236170B1 (ko) | 실별 바닥복사 및 공조 통합 제어 시스템 | |
KR101476645B1 (ko) | 각방 난방 시스템에서 각방 난방온도 제어방법 | |
JP4008842B2 (ja) | 風呂給湯暖房装置 | |
KR101583022B1 (ko) | 각방 난방 시스템에서 효율적인 각방 난방온도 제어방법 | |
KR101582083B1 (ko) | 보일러 온도조절기의 스위치 온 고장 시 안전 제어방법 | |
JP2018146206A (ja) | 床暖房の温度制御システム | |
KR100857377B1 (ko) | 환수온도제어 및 시간제어에 의한 차등난방시스템 | |
KR101598940B1 (ko) | 각방 난방 시스템에서 효율적인 각방 난방온도 제어방법 | |
JP4368295B2 (ja) | 温水暖房装置 | |
KR102331001B1 (ko) | 온수매트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 |
EP2584273A1 (en) | Temperature controlling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a temperature controlling system | |
JP2018084381A (ja) | 空気調和システム | |
JP6309360B2 (ja) | 空調システムおよび空調方法 | |
KR101582798B1 (ko) | 각방 난방 시스템에서 효율적인 각방 난방온도 제어방법 | |
KR100669653B1 (ko) | 각방 난방장치의 통합 제어 방법 및 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3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2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62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8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8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6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70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