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0147B1 - 음양곽 흑염소 보양탕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음양곽 흑염소 보양탕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70147B1 KR101770147B1 KR1020170023423A KR20170023423A KR101770147B1 KR 101770147 B1 KR101770147 B1 KR 101770147B1 KR 1020170023423 A KR1020170023423 A KR 1020170023423A KR 20170023423 A KR20170023423 A KR 20170023423A KR 101770147 B1 KR101770147 B1 KR 10177014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ack goat
- meat
- minutes
- broth
- soup
- Prior art date
Links
- 241000283707 Capra Speci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6
- 235000014347 soups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14
- 241000893536 Epimedium Species 0.000 title abstract 3
- 235000018905 epimedium Nutrition 0.000 title abstract 3
- 235000015067 sauce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1
- 235000013372 meat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9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5
- 235000008534 Capsicum annuum var annuum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5000020995 raw meat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40000004160 Capsicum annu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5000007862 Capsicum baccatum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9000001728 capsicum frutescen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5000006886 Zingiber officinal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5000008397 ginger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5000020997 lean meat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5000019997 soju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10000000988 Bone and Bones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40000004678 Panax pseudoginseng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5000003140 Panax quinquefoliu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5000008434 ginseng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5000005035 ginseng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40000000129 Piper nigr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5000008184 Piper nigrum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10000003491 Skin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5000021018 plum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5000002566 Capsicum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40000000599 Lentinula edode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6002 Pepp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5000016761 Piper aduncum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5000017804 Piper guineens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5000013555 soy sauc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40000000772 Brassica cretic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5000003351 Brassica cretic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5000003343 Brassica rupestri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5000010460 mustard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5000020083 shōchū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7598 dipp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41000668709 Dipterocarpus costatu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52602 gyps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0440 gypsu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0000008384 Capsicum annuum var. annu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40000005158 Phaseolus vulgari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2153 distilled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40000007329 Zingiber officinale Species 0.000 claims 3
- 244000126002 Ziziphus vulgaris Species 0.000 claims 2
- 210000002969 Egg Yolk Anatomy 0.000 claims 1
- 206010057190 Respiratory tract infection Diseases 0.000 claims 1
- 235000013345 egg yolk Nutrition 0.000 claims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1
- 235000019640 taste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16
- 230000035943 smell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5000005135 Micromeria juliana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5000007315 Satureja hortensis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5000011194 food seasoning agent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41000246354 Satureja Species 0.000 abstract 1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abstract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5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0
- 241000234314 Zingiber Species 0.000 description 12
- 241001247821 Ziziphus Specie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8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10000003128 Head Anatomy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1953 sensory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10000000614 Ribs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5000002597 Solanum melongena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40000002686 Solanum melongena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05686 eati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5000008216 herb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41001672694 Citrus reticulat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1364 Upper Extremity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34282 Allium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72814 Anser sp.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1474374 Blenni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936 Intestines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072 Lung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672 Ovary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5000004347 Perill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3877 Perilla frutescen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4348 Perilla frutesce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6533 astragal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614 black pepp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OYPRJOBELJOOCE-UHFFFAOYSA-N calcium Chemical compound [Ca] OYPRJOBELJOOC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75 calc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91 calc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601 egg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205 fragr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402 health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2054 mea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6709 nutriti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2732 oign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277 pork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633 pungent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618 yogurt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6108 Allium ampelopras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254 Allium ampelopras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2234 Allium sativ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061264 Astragal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573366 Astragalus membranace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8035 Back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166 Bambusa arundinac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3917 Bambusa tuld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491 Bambusa tuld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185 Bone Marrow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124 Brassica olerace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301 Brassica oleracea var capita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169 Brassica oleracea var olerac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018 Cast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41001149724 Cololabis adocet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8313 Contusion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1224 Cough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CZMRCDWAGMRECN-UGDNZRGBSA-N D-sucrose Chemical compound O[C@H]1[C@H](O)[C@@H](CO)O[C@@]1(CO)O[C@@H]1[C@H](O)[C@@H](O)[C@H](O)[C@@H](CO)O1 CZMRCDWAGMRECN-UGDNZRGB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13990 Dysur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1267 Echinacea angustifol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278 Egg Sh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41000893531 Epimedium korean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0228 Erectile Dysfunc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20485 Fab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232 Gallbladder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41000287828 Gallus gall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9233 Headach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284 Horn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41000257303 Hymenopter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734 Kidney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6010027175 Memory impairmen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61284 Mental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429 Mirabilis expans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6116 Mirabilis expans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708 Morus alb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0249 Morus alb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1307 Myosotis scorpioid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739 Neck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8000004296 Neuralg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637 Nicotiana taba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8962 Nicotiana tabac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3898 Ov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334 Phyllostachys virid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331 Pinus X rigitaed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613 Pinus bruti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018646 Pinus brut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5893 Pteridium aquilin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6385 Pteridium aquilinum subsp decomposit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779 Pteridium aquilinum subsp latiuscul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777 Pteridium aquilinum subsp pseudocaudat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722 Pteridium aquilinum subsp pubesce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305267 Quercus macrolep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6976 Quercus macrolep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6010072736 Rheumatic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20317 Ros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612118 Samolus valerand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2114 Satureja hort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784 Stomach Anatomy 0.000 description 1
- CZMRCDWAGMRECN-GDQSFJPYSA-N Sucrose Natural products O([C@@H]1[C@H](O)[C@@H](O)[C@H](O)[C@H](CO)O1)[C@@]1(CO)[C@H](O)[C@@H](O)[C@@H](CO)O1 CZMRCDWAGMRECN-GDQSFJP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282887 Su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9205 Tinnitu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1295 Tocopher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4922 Vigna radia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721 Vigna radiata var radia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469 Vigna radiata var subloba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427 Vitamin 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046009 Vitamin 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042 Zier Koh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425 bamboo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527 bean cur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278 beef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1000004569 blindnes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51 chee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55 chew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0 chlo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1 chl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ZAMOUSCENKQFHK-UHFFFAOYSA-N chlorine atom Chemical compound [Cl] ZAMOUSCENKQFH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508 confectioner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694 eating hab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134 echinac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774 essential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467 final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12 flou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4611 garlic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163 gonadal steroid horm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331 green bea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869 headache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01000001881 impotenc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109 kimchi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4213 low-f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18984 mast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536 miso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764 nutr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420 orchar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304 pastoral fa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098 plum w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0 scra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68 sexu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170 shellfish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07 slaught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791 soa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639 sodium chlor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29 stepp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720 sucr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NINIDFKCEFEMDL-UHFFFAOYSA-N sulfur Chemical compound [S] NINIDFKCEFEMD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93 sulfu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7 sulfu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886 tinnitus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32 tocopher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384 tocopher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799 tocopherols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404 traditional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65 vitamin 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9 vitamin 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712 vitamin E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GVJHHUAWPYXKBD-IEOSBIPESA-N α-tocopherol Chemical compound OC1=C(C)C(C)=C2O[C@@](CCC[C@H](C)CCC[C@H](C)CCCC(C)C)(C)CCC2=C1C GVJHHUAWPYXKBD-IEOSBIPESA-N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3/00—Soups; Sauc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Abstract
본 발명은 흑염소를 이용한 보양탕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음양곽을 사용하여 흑염소 육수를 제조하고, 보양탕 제조시 음양곽을 사용하고, 최적의 조건으로 흑염소 보양탕을 제조함으로써, 흑염소의 누린내 등의 잡내를 제거하였을 뿐만 아니라, 보양탕의 고소함과 감칠맛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대기를 사용함으로써, 남녀노소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는 흑염소 보양탕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음양곽을 이용한 흑염소 보양탕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식생활의 수준향상과 더불어 소비자들은 식품의 품질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으며 특히, 건강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흑염소(black goat)는 본초강목(本草綱目)에 원양을 보하며, 허약을 낫게 하고 강정보약이 된다고 소개하고 있으며, 머리를 맑게 하고 피로와 추위를 물리치며 위장의 작용을 보하고 마음을 편안하게 한다고 한다. 흑염소는 지방질 함량이 적고, 단백질, 칼슘 및 철분이 많이 들어있어 임산부 뿐만 아니라 어린이에게도 좋은 식품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우리나라에서뿐만 아니라 미국, 유럽 등의 서양에서도 마찬가지로 흑염소유, 흑염소유로부터 만든 치즈가 건강식품으로 그 소비가 매년 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흑염소 증탕, 흑염소 불고기, 흑염소로스구이 형태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오랜 기간을 통하여 경험으로 흑염소가 건강식품으로 사용되고 있다.
흑염소는 3저(低) 4고(高) 식품이다. 염소고기는 속을 덥게 하고 내장을 보하고 기를 늘리고 심장을 안정시키고 놀라는 것을 그치며 염소의 젖은 한랭과 허핍을 보한다. 또한 염소의 허파는 폐를 보하고, 기침을 그친다. 염소의 콩팥은 신기허약을 보하고, 정수를 늘린다. 쓸개는 청맹을 다스리고 눈을 밝게 한다. 뿔은 산후통, 풍두통을 없애고, 골수는 양기부족을 치료한다고 하여진 신비한 특수 약용동물이다.
흑염소는 옛 조상으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신비의 약용동물로 알려져 있으며 초식과 열매를 고루 먹는 아주 신비한 동물이기도 합니다. 그리하여 오랜 옛적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노약자나 임산부, 발육기의 어린이 및 허약체질의 영양보급에 많이 애용되어 왔으며, 과학 문명이 고도로 발달된 최근에도 흑염소의 인기는 날로 상승하고 있다.
흑염소의 중요성분을 알아보면 인체에 필요한 칼슘이 소, 돼지, 닭에 비교하여 약 10배 이상이나 되며 특히 토코페롤(비타민E) 45mg(100g 기준)나 함유되어 있는 약용동물이기도 하다.
이러한, 흑염소는 흑염소 액기스, 흑염소중탕, 흑염소탕, 흑염소전골 등으로 형태로 섭취를 해왔는데, 흑염소탕은 흑염소를 푹 곤 국물에 채소와 갖은 양념을 넣고 끓인 탕이다. 흑염소탕은 지역마다 특색 있게 제조하는데, 전라도의 경우, 된장을 풀어 염소고기를 푹 삶은 국물에, 건져 찢어서 양념(다진 고추 양념, 다진 마늘)한 염소고기, 고사리, 토란대, 들깻가루를 넣어 끓인다. 그리고, 전라북도에서는 녹두가루와 찹쌀가루를 더 넣어 끓이며, 경상북도에서는 염소고기와 뽕나무가지를 넣고 푹 끓인 육수에, 데친 배추, 삶은 토란대와 고사리, 대파를 넣어 끓이다가 들깻가루와 소금을 넣고 더 끓이며, 이를 염소탕이라고도 한다.
그런데, 전통 음식 중 하나인 흑염소는 특유의 누린내가 있어서 30대 이하의 젊은층은 외면하고 있는 바, 흑염소 누린내가 나지 않으면서도, 남녀노소 즐길 수 있는 새로운 레시피(recipe)가 필요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흑염소탕 제조시, 흑염소 특유의 비린 맛과 향을 제거한 육수를 사용하고, 독특한 향을 가진 음양곽을 도입한 독특한 향과 맛깔스러운 맛을 가지는 흑염소탕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음양곽 흑염소 보양탕을 제조하는 방법은 흑염소 육수에 흑염소 살코기, 수삼, 대추 및 음양곽을 투입하는 1단계; 및 재료가 투입된 육수를 가열 및 끊여서 탕을 제조하는 2단계; 및 상기 탕에 고명을 올려서 보양탕을 제조하는 3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상기 1단계는 상기 흑염소 육수 500mL 당 흑염소 고기 100 ~ 300g, 수삼 10 ~ 30g, 대추 10g ~ 25g 및 음양곽 0.5 ~ 2 g를 투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상기 1단계는 흑염소 껍질을 더 투입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상기 2단계는 육수가 끓을 때 발생하는 거품을 제거하면서 육수를 끓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3단계 또는 3단계 이후에 탕에 다대기를 더 투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상기 다대기는 표고버섯 달인 물 500 ml에 대하여, 고추가루 400 ~ 800g, 생강즙 150 ~ 250 ml, 무즙 400 ~ 600 ml, 소주 400 ~ 600 ml, 간장 20 ~ 30 ml, 다시다 20 ~ 35 g 및 후추 10 ~ 30g를 혼합한 후, 썰은 청양고추 및 썰은 대파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넣어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다대기 제조시 상기 표고버섯 달인 물은 물 3L에 건조된 표고버섯 90 ~ 120g을 넣은 후, 90 ~ 100℃에서 2시간 30분 ~ 4시간 동안 달여서 제조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상기 흑염소 육수는 흑염소 삶은 고기를 준비하는 단계(S11); 가마솥에 상기 흑염소 삶은 고기를 넣은 후 물을 부은 후, 가열 및 끓이는 단계(S12): 끓는 물에 엄나무, 음양곽, 황기 및 생강을 포함하는 포대자루와 상기 흑염소 삶은 고기를 넣은 후, 가마솥 두껑을 닫은 후, 끓이는 단계(S13): 끓는 육수에 떠오르는 거품 및 불순물 제거한 후, 소주 및 매실초를 투입한 다음, 가마솥 두껑을 닫은 다음, 강불로 끓인 후, 이어서 불 세기를 낮춰서 5분 ~ 20 분 동안 중불로 끓이고, 육수 내 거품과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S14): 불 세기를 다시 높여서 강불로 끓이는 단계(S15): 흑염소 삶은 고기를 건져서 뼈, 살코기 및 껍질을 분리한 후, 뼈를 가마솥의 육수에 재투입한 후, 끓인 다음, 불 세기를 줄여서 중불로 끓이고, 육수 내 거품 및 불순물을 제거한 후, 불 세기를 다시 높여서 강불로 끓이는 단계(S16); 불을 끈 후, 서서히 식히면서 뜸들이는 단계(S17); 육수로부터 흑염소 삶은 고기와 뼈를 분리하는 단계(S18);를 포함하는 공정을 수행하여 제조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상기 S11 단계의 흑염소 삶은 고기는 살코기와 껍질이 뼈로부터 분리되지 않은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상기 S11 단계의 흑염소 삶은 고기는 흑염소 생고기를 절단하여 절단된 생고기를 준비하는 단계(S21); 절단된 생고기로부터 핏물을 제거하는 단계(S22); 핏물이 제거된 생고기를 끊는 물에 넣은 후, 소주 및 매실초를 넣는 단계(S23); 거품 및 불순물을 제거한 다음, 끓인 후, 익힌 생고기를 꺼내어 찬물에 담그어 두는 단계(S24);를 수행하여 제조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앞서 설명한 다양한 형태의 음양곽 흑염소 보양탕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음양곽 흑염소 보양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한 음양곽 흑염소 보양탕 취식 방법으로서, 제조한 음양곽 흑염소 보양탕 취식시, 보양탕의 건더기를 사과고추장, 다진 대파, 허브, 청양고추 및 겨자를 혼합하여 제조한 소스와 함께 취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흑염소 보양탕은 흑염소 특유의 비린 맛이 없기 때문에, 남녀노소 부담 없이 즐길 수 있으며, 흑염소 보양탕 재료인 흑염소 및 음양곽 등에 내포된 영양소를 소비자가 부담 없이 섭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인 “강불”은 가마솥(또는 냄비, 탕그릇 등) 내 액체가 펄펄 끊을 때 가열하는 것을 의미하며, “중불”은 상기 강불을 기준으로 강불 세기의 40 ~ 60% 정도의 불 세기를 의미한다. 그리고, “약불”은 상기 강불을 기준으로 강불 세기의 10 ~ 30% 정도의 불 세기를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음양곽 흑염소 보양탕은 흑염소 육수에 흑염소 살코기, 수삼, 대추 및 음양곽을 투입하는 1단계; 및 재료가 투입된 육수를 가열 및 끓여서 탕을 제조하는 2단계; 및 상기 탕에 고명을 올려서 보양탕을 제조하는 3단계;를 포함하는 제조공정을 통해 제조할 수 있다.
우선, 1단계의 흑염소 육수를 제조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흑염소 육수 제조방법]
1단계의 흑염소 육수는 흑염소 삶은 고기를 준비하는 단계(S11); 가마솥에 상기 흑염소 삶은 고기를 넣은 후 물 130L ~ 150L, 바람직하게는 135L ~ 145L를 부은 후, 가열 및 강불로 끓이는 단계(S12): 끓는 물에 엄나무, 음양곽, 황기 및 생강을 포함하는 포대자루와 상기 흑염소 삶은 고기를 넣고, 솥두껑을 닫은 후, 강불로 끓이는 단계(S13): 끓는 육수에 떠오르는 거품 및 불순물 제거한 후, 소주 및 매실초를 투입한 다음, 가마솥 두껑을 닫은 후, 1시간 10분 ~ 1시간 50분 동안, 바람직하게는 1시간 20분 ~ 1시간 40분 동안 강불로 끓인 후, 이어서 불 세기를 낮춰서 중불 세기로 5분 ~ 20 분 동안, 8분 ~ 15분 동안 끓인 후, 육수 내 거품과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S14): 불 세기를 다시 높여서 15분 ~ 30분 동안, 바람직하게는 15분 ~ 25분간 강불로 끓이는 단계(S15): 흑염소 삶은 고기를 건져서 뼈, 살코기 및 껍질을 분리한 후, 분리한 뼈를 가마솥의 육수에 재투입한 후, 20분 ~ 40분 동안, 바람직하게는 25분 ~ 35분 동안 강불로 끓인 다음, 불 세기를 줄여서 5분 ~ 15분 정도 중불로 끓이고, 육수 내 거품 및 불순물을 제거한 후, 불 세기를 다시 높여서 20분 ~ 40분 동안, 바람직하게는 15분 ~ 35분 동안 강불로 끓이는 단계(S16); 불을 끈 후, 20분 ~ 40분 동안 서서히 식히면서 뜸들이는 단계(S17); 육수로부터 흑염소 삶은 고기와 뼈를 분리하는 단계(S18);를 거쳐서 제조한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흑염소 육수 제조방법에 있어서, S11 ~ S17 단계의 육수 제조시, 가열방법은 당업계의 일반적인 가열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장작불을 때서 가열하는 것이 좋은데, 장작이 타오를 때 나는 나무향과 끓이면서 뿜어내는 무쇠 가마솥의 수증기가 나무의 향과 잘 어우러져 고기의 비린 잡냄새를 없애 주고, 구수하고 담백한 맛을 육수에 부여할 수 있다.
흑염소 육수 제조시, S13 단계에서 가마솥 내 물의 양이 130 ~ 150 L 정도인 바, 이를 기준으로 엄나무는 1 ~ 1.5 kg, 바람직하게는 1.0 ~ 1.3 kg 정도 넣는 것이 좋다. 상기 엄나무는 오갈피나무과로 넓은 잎을 지니는 다년성 낙엽교목으로 25m까지 자라며, 가지에는 가시가 있으며, 잎은 오갈피나무과의 공통된 특징인 손바닥 모양이며, 보통 5~9 갈래로 갈라져 있다. 상기 엄나무는 신경통, 요통, 타박상, 류머티즘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엄나무를 1 kg 미만으로 넣으면 흑염소 특유의 비린 맛을 잡는데 문제가 있을 수 있고, 1.5kg을 초과하여 넣으면 육수의 구수한 맛이 감소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음양곽은 매자나무과 식물인 삼지구엽초(Epimedium koreanum Nakai)의 전초를 말린 것으로서, 우리나라 중부 이북 지방의 산기슭과 산골짜기의 나무 밑에서 자라며, 임포텐스, 성신경쇠약, 성호르몬 장애 등에 쓰며 배뇨 장애, 이명(耳鳴), 건망증, 비증(證), 월경 장애 등을 해소하는 약효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음양곽은 0.1 ~ 0.2 kg을, 바람직하게는 0.12 ~ 0.17 kg 정도를 넣는 것이 좋으며, 0.1 kg 미만으로 사용시, 그 사용량이 적어서 음양곽 고유의 향과 맛이 너무 적고, 그 사용량이 조금 더 많아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황기는 콩과(Leguminos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인 단너삼(Astragalus membranaceus Bunge)의 뿌리로 다른 Astragalus 속 식물의 주피를 거의 벗긴 뿌리를 건조한 것으로, 외부가 담갈색 또는 황갈색이고 내부는 황백색으로 부드럽고 단 향기가 있으며, 본 발명에서 황기는 육수의 향을 좋게 하며, 허약한 사람들의 기를 보호하기 위해서 넣는 것으로서, 그 사용량은 0.5 ~ 0.7 kg을, 바람직하게는 0.55 ~ 0.65 kg 정도를 넣는 것이 좋은데, 이때, 황기 사용량이 0.5 kg 미만으로 넣으면 그 향기가 미약하며 기를 보하는 효과가 감소 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0.7kg을 초과하여 넣으면 음약곽 흑염소 보양탕의 고유의 맛이 변 할 수 있는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생강은 흑염소 고유의 비린 내를 잡아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그 사용량은 0.5 ~ 0.7 kg을, 바람직하게는 0.52 ~ 0.65 kg 정도를 넣는 것이 좋은데, 이때, 생강 사용량이 0.5 kg 미만으로 넣으면 육수 내 흑염소의 비린 내 감소 효과가 적은 문제가 있을 수 있고, 생강을 0.7kg 초과하여 넣으면 육수 맛이 강한 생강 향으로 씁쓸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S14단계의 소주는 흑염소 삶은 고기의 육질을 연하게 해줄 뿐만 아니라, 육수 내 비린내를 잡아주기 위해 넣는 것으로서, 그 사용량은 300 ~ 500 ml를, 바람직하게는 320 ~ 450 ml 정도 넣어주는 것이 좋다.
그리고, S14단계의 매실초는 육질의 부드러움과 잡냄새를 없애기 위해 넣는 것으로서, 그 사용량은 300 ~ 500 ml를, 바람직하게는 320 ~ 420 ml 정도 넣어주는 것이 좋다.
그리고, S18 단계에서 뼈와 분리된 잘 삶아진 흑염소 고기는 머리와 목, 앞다리와 갈비, 양 뒷다리를 부위별로 먹기 좋은 크기로 손으로 찢어서 흑염소 살코기로서 준비하고, 껍질은 가위로 적정 크기, 예를 들면, 4 ~ 5cm 정도로 크기로 잘라서 준비할 수 있다.
[흑염소 삶은 고기 제조방법]
흑염소 육수 제조에 사용되는 S11단계의 흑염소 삶은 고기는 흑염소 생고기를 절단하여 절단된 생고기를 준비하는 단계(S21); 절단된 생고기로부터 핏물을 제거하는 단계(S22); 핏물이 제거된 생고기를 끓는 물에 넣은 후, 소주 및 매실초를 넣는 단계(S23); 거품 및 불순물을 제거한 후, 8분 ~ 15분간 더 끊인 후, 익힌 생고기를 꺼내어 찬물에 담그어 두는 단계(S24);를 수행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흑염소 삶은 고기 제조시, S21 단계의 절단된 생고기를 준비하는 바람직한 일구현예를 들면, 흑염소 한 마리를 도축하여 머리와 목을 반을 잘라 2각, 앞다리와 갈비를 반을 잘라 2각 양 뒷다리 반을 잘라 2각 도합 6각으로 잘라서 절단된 생고기를 준비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일례이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S22 단계는 흑염소 육수 등을 제조시 흑염소 피에 의한 피비린내 등이 나지 않게 하기 위해 생고기로부터 핏물을 제거하는 공정으로서, 절단된 생고기를 5 ~ 25℃의 찬물에 3 ~ 4시간 동안 충분히 담궈서 핏물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S23 단계는 핏물이 제거된 생고기를 삶는 단계로서, 흑염소 생고기 내 비린내를 없애기 위해서 소주 300 ~ 500 ml를, 바람직하게는 320 ~ 450 ml를, 더욱 바람직하게는 330 ~ 400 ml를 생고기와 함께 투입할 수 있다. 이때, 소주 투입량이 300 ml 미만이면 그 사용량이 너무 적어서 비린내 제거 효과가 적을 수 있고, 500 ml를 초과하여 투입해도 된다. 고기를 데치는 과정이므로 넉넉히 넣어도 좋다.
그리고, 깔끔하고 잡냄새 없는 고기의 맛을 위해 소주와 함께 매실초를 넣어주는데, 매실초의 사용량은 300 ~ 500 ml를, 바람직하게는 320 ~ 450 ml를, 더욱 바람직하게는 330 ~ 400 ml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매실초 투입량이 300 ml 미만이면 그 사용량이 너무 적어서 비린내 제거 효과가 적을 수 있고, 500 ml를 초과하여 넣어도 데쳐서 찬물에 담그어 두므로 상관없다.
또한, S24 단계는 끓는 물에 발생하는 거품, 불순물을 국자로 제거한 후, 강불로 8분 ~ 15분간, 바람직하게는 8분 ~ 12분간 강불로 더 끓인 후, 삶은 고기를 꺼내어 5 ~ 25℃의 찬물에 담궈서 육질이 탱탱하면서도 부드러운 흑염소 삶은 고기를 최종적을 제조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음양곽 흑염소 보양탕 제조하는 방법에서 1단계는 앞서 방법으로 제조한 흑염소 육수 500mL 당 육수 제조시 뼈로부터 불리한 상기 흑염소 고기(또는 살코기) 100 ~ 300g, 수삼 10 ~ 30g, 대추 10g ~ 25g 및 음양곽 0.5 ~ 2 g(음양곽 1/2줄기 ~ 2줄기)를 뚝배기에 투입하며, 바람직하게는 흑염소 육수 500mL 당 흑염소 고기(또는 살코기) 120 ~ 200g, 수삼 15 ~ 25g, 대추 12 ~ 20g 및 음양곽 0.5 ~ 1.5g를 옹기 뚝배기에 투입한다.
1단계에서 상기 수삼은 영양이 더욱 풍부해질 뿐만 아니라 수삼의 향기가 어우러져 맛을 복돋는 효과가 있으며, 수삼을 30g 초과하여 넣으면 너무 강한 향으로 인해 구수하고 단백한 탕의 맛이 다소 떨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로 투입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대추는 생약제로서 예로부터 정신안정, 스트레스 해소, 불면증 치료, 간장해독작용 촉진 및 건위제로서 이용되어 왔으며, 본 발명의 1단계에서 상기 대추는 성질이 따뜻하므로 흑염소와 잘 어울릴 뿐만 아니라 흑염소탕 내의 독소를 제거 해주는 효과를 위해 넣는 것으로서, 30g을 초과하여 넣으면 단맛이 너무 많이 날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로 넣는 것이 좋으며, 음양곽을 2g 초과하여 넣으면 이미 육수를 낼 때 충분히 넣었으므로 더 넣는 것은 탕의 맛과 모양 상 바람직하지 않다.
다음으로, 2단계에서 재료가 투입된 옹기 뚝배기를 강불로 가열하여 탕을 팔팔 끓인다.
그리고, 탕이 끓으면 거품을 올라 오는데, 이를 제거한 다음, 가열을 중지하거나, 가열 중에 팔팔 끓는 탕에 고명을 올려서 음양곽 흑염소 보양탕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명은 취식자의 기호에 따라 다양한 고명을 올릴 수 있으며, 구체적인 예를 들면, 썰은 대파를 10 ~ 40g 정도 고명으로 올릴 수 있다.
그리고, 제조된 음양곽 흑염소 보양탕에 개인 기호에 따라 소금, 후추, 들깨 및 고춧가루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보양탕에 더 넣어서 취식을 할 수 있다.
또한, 제조한 음양곽 흑염소 보양탕은 취식 전 다대기를 보양탕에 풀어서 취식을 하면 보양탕의 감칠맛을 더 향상시킬 수 있는데, 이때, 다대기는 개인 기호에 맞게 제조한 다대기를 사용할 수 있는데, 바람직한 일구현예를 들면, 상기 다대기는 표고버섯 달인 물 500 ml에 대하여, 고추가루 400 ~ 800g, 생강즙 150 ~ 250 ml, 무즙 400 ~ 600 ml, 소주 400 ~ 600 ml, 간장 20 ~ 30 ml, 다시다 20 ~ 35 g 및 후추 10 ~ 30g를 혼합한 후, 바람직하게는 표고버섯 달인 물 500 ml에 대하여, 고추가루 500 ~ 700g, 생강즙 180 ~ 230 ml, 무즙 450 ~ 550 ml, 소주 450 ~ 550 ml, 간장 22 ~ 28 ml, 다시다 20 ~ 32g 및 후추 12 ~ 25g를 혼합한 후, 여기에 썰은 청양고추 및 썰은 대파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넣어서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고버섯 달인 물은 물 3L에 건조된 표고버섯 90 ~ 120g을, 바람직하게는 90 ~ 110g을 넣은 후, 90 ~ 100℃에서 2시간 30분 ~ 4시간 동안 달여서 제조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한 음양곽 흑염소 보양탕은 취식시, 보양탕의 건더기를 소스에 찍어 먹을 수도 있는데, 이때, 소스는 사과초고추장에 다진 대파, 허브, 다진 청양고추 및 겨자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버무려서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를 들면, 사과초고추장 100 중량부에 대하여, 다진대파 10 ~ 20 중량부, 허브 15 ~ 25 중량부, 다진 청양고추 20 ~ 35 중량부 및 겨자 1 ~ 5 중량부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넣어서 버무리거나, 바람직하게는 사과초고추장 100 중량부에 대하여, 다진 대파 12 ~ 16 중량부, 허브 16 ~ 20 중량부, 다진 청양고추 23 ~ 32 중량부 및 겨자 1.5 ~ 3.5 중량부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넣고 버무려서 소스를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소스는 새콤달콤하고, 여러 종류의 향을 풍겨서, 미세하게 남아 있을 수 있는 흑염소 특유의 냄새를 없애주고, 상큼한 맛과 고소하고 담백한 맛을 더욱 즐길 수 있는 비법일 수 있다.
그리고, 보양탕 취식시, 남은 국물에 공기밥을 말아 김치, 깍두기, 부추 겉절이 등과 겯들여 먹으면 속이 따뜻해 지고 편안함을 느낄 수 있으며 한 끼의 식사로 다양한 필수 영양소를 섭취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을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하여 해석해서는 안된다.
[
실시예
]
준비예
1 : 흑염소 삶은 고기의 준비
흑염소산피 57kg 한 마리를 도축한 실제 중량 38kg의 생고기를 준비한 후,머리를 반으로 절단하여 2각, 목을 반으로 절단하여 2각, 앞다리, 갈비 및 뒷다리를 반으로 절단하여 2각, 도합 6각으로 잘랐다.
다음으로, 6각으로 절단된 흑염소 생고기를 흐르는 찬물에 3 시간 30분 동안 담궈나서 핏물을 제거하였다.
다음으로 핏물을 제거한 생고기를 100℃도 이상 끓는 물에 넣고 소주 360 ml 및 매실초 360 ml를 넣었다.
서서히 물이 끓기 시작하면 거품과 함께 불순물이 올라오는데 이때, 스댄 국자로 거품 및 불순물을 제거하고, 강한 불로 온도를 올려 약 10분간 더 끓인 다음 불을 끈 후, 익힌 흑염소 고기를 꺼내서 흐르는 찬물에, 재차 1시간 동안 담그어 뒤서, 흑염소 삶은 고기를 준비하였다.
준비예
2-1 : 흑염소 육수의 준비
180L 가마솥에 물을 140 L 부은 후, 나무장작불로 물 100℃ 이상 끓을 때, 상기 준비예 1에서 준비한 흑염소 삶은 고기와 엄나무 1.2 kg, 음양곽(삼지구엽초) 0.15 kg, 황기 0.6 kg, 생강 0.6 kg을 넣고 약재가 나오지 않게 입구를 단단히 묶은 포대자루를 가마솥에 투입한 후, 가마솥 뚜껑을 닫고, 강불로 끓였다.
끓기 시작하면 가마솥 뚜껑을 열은 후, 거품 및 불순물(이물질)을 제거한 다음, 소주 360 ml와 매실초 360 ml를 넣은 다음 가마솥 뚜껑을 닫고 강불에 1시간 30분 정도 끓이다가 중불에서 10분 정도 끊였다. 이때, 가마솥 가장자리에 묻어있는 이물질과 거품을 함께 떠다니는 불순물을 제거하였다. 그리고, 연속해서, 강불로 20분간 더 삶았다.
다음으로, 흑염소 삶은 고기를 건져서 뼈, 살코기 및 껍질을 분리한 후, 분리한 뼈를 가마솥의 육수에 재투입한 후, 강불에 30분 정도 끓이다가 다시 중불에서 10분 정도 끓이면서 거품 및 불순물을 제거한 후, 강불로 다시 30분 동안 끓였다. 불을 완전히 끈 후, 솥 뚜겅이 닫힌 채로 30분 동안 그대로 나눴다.
다음으로, 육수를 스댄 용기에 담아서 식힌 후 맛을 유지하고 변질을 막기 위해 0~5℃의 냉장실에 보관하였다.
그리고, 상기 살코기 부위 껍질은 가위로 5cm 가량 자르고 살코기는 같은 크기로 손으로 찢어 놓았다.
준비예
2-2
상기 준비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흑염소 육수를 제조하되, 엄나무 1.35kg, 음양곽(삼지구엽초) 0.21 kg, 황기 0.72 kg, 생강 0.5kg을 넣은 포대자루를 가마솥에 투입하여 흑염소 육수를 제조하였다.
비교준비예
2-1
상기 준비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흑염소 육수를 제조하되, 음양곽을 넣지 않고서 육수를 제조하였다.
비교준비예
2-2
상기 준비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흑염소 육수를 제조하되, 가마솥이 아닌 일반 양은솥을 사용하여 육수를 제조하였다.
비교준비예
2-3
상기 준비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흑염소 육수를 제조하되, 장작나무 불이 아닌 가스불을 사용하여 육수를 제조하였다.
비교준비예
2-4
상기 준비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흑염소 육수를 제조하되, 매실초를 넣지 않고 육수를 제조하였다.
비교준비예
2-5
상기 준비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흑염소 육수를 제조하되, 소주 360 ml 및 매실초를 650 ml를 넣고 육수를 제조하였다.
준비예
3 :
다대기
제조
냄비에 건조된 표고버섯 100 g 및 물 3000ml를 넣은 후, 물 온도가 100℃ 미만이 되도록 중불에 약 3시간 동안 달여서 500ml 정도로 졸은 표고버섯 달인 물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표고버섯 달인 물 500 ml, 고춧가루 600g, 생강즙200ml, 무즙 500ml, 소주 500ml, 다시다 30g, 후추 20g, 집간장(집에서 담근 간장) 25ml 를 혼합하여 저어준 다음, 여기에 거칠게 다진 대파 1,000 g 및 거칠게 다진 청양고추 200 g을 넣고서 다시 저어서 다대기를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제조한 다대기를 뚜껑이 있는 스댄 용기에 봉하여 맛을 유지하고 변질을 막기 위해, 냉장고에 보관하였다.
실시예
1 : 음양곽 흑염소
보양탕의
제조
불 다이 위에 100L되는 옹기 뚝배기를 얻고 준비예 2에서 제조한 흑염소육수 500ml를 붓고, 준비예 2에서 준비한 잘 삶아진 흑염소의 부위별 살코기 150g(머리살 15g, 목살 15g, 앞다리살 30g, 갈비살 30g, 뒷다리 60g)을 뚝배기에 담긴 육수 위에 넣고, 수삼 1뿌리(20g), 대추 3알(17g), 음양곽 1줄기(약 1g)을 넣었다.
다음으로 옹기 뚝배기를 가열하였고, 끓기 시작하면 거품이 올라오는데 깔끔한 맛과 담백한 맛을 내기 위해 움푹한 스댄 주걱으로 거품을 말끔히 제거하였다. 그리고, 끓는 뚝배기에 어슷어슷 썰은 대파 약 30g를 얹은 후, 불을 꺼서 음양곽 흑염소 보양탕을 제조하였다.
상기 음양곽 흑염소 보양탕과 함께 상기 준비예 3에서 제조한 다대기를 넣어서 보양탕을 취식하였고, 흑염소 살코기는 사과고추장 32g, 다진 대파 4g, 허브 6g, 다진 청양고추 9g 및 겨자 1g을 혼합하여 만든 소스에 찍어 먹었다.
실시예
2 : 음양곽 흑염소
보양탕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보양탕을 제조하되, 다대기 외에 추가적으로 들깨가루 작은 스푼 1술, 후추가루 약간을 넣어서 흑염소 보양탕을 취식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보양탕을 제조하되, 준비예 2-1의 흑염소 육수 대신 준비예 2-2의 흑염소 육수를 사용하여 흑염소 보양탕을 제조한 후, 취식하였다.
비교예
1 ~
비교예
5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보양탕을 제조하되, 준비예 2-1의 흑염소 육수 대신 비교준비예 2-1 ~ 2-5의 흑염소 육수를 각각 사용하여 흑염소 보양탕을 각각 제조하여, 비교예 1 ~ 5를 각각 실시한 후, 흑염소 보양탕을 취식하였다.
비교예
6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보양탕을 제조하되, 음양곽을 넣지 않고서, 흑염소 보양탕을 제조한 후, 취식을 하였다.
비교예
7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보양탕을 제조하되, 다대기를 넣지 않고, 흑염소 보양탕을 취식하였다.
실험예
: 관능평가
상기 실시예 1 ~ 3 및 비교예 1 ~ 7에서 제조한 흑염소 보양탕의 맛, 냄새, 종합적인 선호도 등에 대하여 관능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관능시험은 식품관련 전문가 5명 및 일반 소비자 45명을 대상으로 하여 실시하였고, 점수 및 평가기준은 9점 채점법을 이용하였다. 이때, 9점 채점법은 9점 이상: 매우 좋음, 7점 이상 ~ 9점 미만 : 좋음, 5점 이상 ~ 7점 미만 : 보통, 3점 이상 ~ 5점 미만 : 나쁨, 3점 미만 : 매우 나쁨 이다.
구분 | 흑염소 살코기의 식감 | 종합적인 육수 맛 |
냄새 | 종합 선호도 |
실시예 1 | 9.4 | 9.2 | 8.8 | 9.13 |
실시예 2 | 9.4 | 9.6 | 9 | 9.33 |
실시예 3 | 9.2 | 9.2 | 8.8 | 9.07 |
비교예 1 | 8.1 | 7.3 | 7.5 | 7.63 |
비교예 2 | 8.2 | 7.5 | 8 | 7.80 |
비교예 3 | 8.8 | 8.2 | 7 | 8.00 |
비교예 4 | 7.6 | 7.8 | 8 | 7.80 |
비교예 5 | 9.6 | 8.2 | 8.8 | 8.87 |
비교예 6 | 9.2 | 8.3 | 7.8 | 8.43 |
비교예 7 | 9.4 | 7.8 | 7.6 | 8.27 |
상기 표 1의 관능평가를 살펴보면, 본 발명이 제시하는 제조방법 및 취식방법으로 취식한 흑염소 보양탕이 종합 선호도가 매우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육수 제조시 음양곽을 넣지 않은 육수를 사용한 비교예 1의 경우, 육수 맛이 실시예와 비교할 때 떨어지는 결과를 보였으며, 가마솥이 아닌 일반 양은솥을 사용한 비교예 2의 경우, 실시예 1과 비교할 대, 고기의 식감과 육수 측면에서 고기의 연함, 육수의 깊은 맛과 구수한 맛이 다소 떨어지는 결과를 보였다.
장작불이 아닌 가스불을 사용한 비교예 3의 경우, 실시예와 비교할 때, 보양탕의 종합적인 냄새 평가가 크게 떨어지는 결과를 보였으며, 비교예 4의 경우, 종합적인 육수 맛이 떨어지는 결과를 보였다.
그리고, 육수 제조시 매실초를 과량 사용한 비교예 5의 경우, 전반적으로 관능평가가 우수했으나, 실시예 1과 비교할 때 관능평가 결과에 차이가 큰 없었다.
또한, 보양탕 제조시 음양곽을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6의 경우, 실시예 1과 비교할 때, 냄새 평가가 다소 떨어지는 결과를 보였다.
그리고, 다대기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7의 경우, 실시예 1과 비교할 때, 흑염소 살코기에 대한 식감 차이는 없으나, 종합 선호도가 다소 떨어지는 결과를 보였다.
상기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음양곽 흑염소 보양탕이 흑염소 특유의 비린 맛이 없기 때문에, 남녀노소 부담 없이 즐길 수 있으며, 흑염소 보양탕 재료인 흑염소 및 음양곽 등에 내포된 영양소를 소비자가 부담 없이 섭취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0)
- 흑염소 육수에 흑염소 살코기, 수삼, 대추 및 음양곽을 투입하는 1단계; 및
재료가 투입된 육수를 가열 및 끓여서 탕을 제조하는 2단계; 및
상기 탕에 고명을 올려서 보양탕을 제조하는 3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흑염소 육수는
흑염소 삶은 고기를 준비하는 단계(S11);
가마솥에 상기 흑염소 삶은 고기를 넣은 후 물 130L ~ 150L를 부은 후, 가열 및 끓이는 단계(S12):
끓는 물에 엄나무, 음양곽, 황기 및 생강을 포함하는 포대자루와 상기 흑염소 삶은 고기를 넣은 후,솥두껑을 닫은 후, 끓이는 단계(S13):
끓는 육수에 떠오르는 거품 및 불순물 제거한 후, 소주 및 매실초를 투입한 다음, 솥두껑을 닫은 후, 1시간 10분 ~ 1시간 50분 동안 끓인 후, 이어서 불 세기를 낮춰서 5분 ~ 20 분 동안 끓인 후, 육수 내 거품과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S14):
불 세기를 다시 높여서 끓이는 단계(S15):
흑염소 삶은 고기를 건져서 뼈, 살코기 및 껍질을 분리한 후, 뼈를 가마솥의 육수에 재투입한 후, 20분 ~ 40분 동안 끓인 다음, 불 세기를 줄여서 5분 ~ 15분 정도 끓이고, 육수 내 거품 및 불순물을 제거한 후, 불 세기를 다시 높여서 20분 ~ 40분 동안 끓이는 단계(S16);
불을 끈 후, 20분 ~ 40분 동안 서서히 식히면서 뜸들이는 단계(S17);
육수로부터 흑염소 삶은 고기와 뼈를 분리하는 단계(S18);를 포함하며,
상기 흑염소 삶은 고기는 살코기와 껍질이 뼈로부터 분리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양곽 흑염소 보양탕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단계는 상기 흑염소 육수 500mL 당 흑염소 고기 100 ~ 300g, 수삼 10 ~ 30g, 대추 10g ~ 25g 및 음양곽 0.5 ~ 2 g를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양곽 흑염소 보양탕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에서, 2단계는 육수가 끓을 때 발생하는 거품을 제거하면서 육수를 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양곽 흑염소 보양탕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3단계 또는 3단계 이후에 탕에 다대기를 더 투입하며,
상기 다대기는 표고버섯 달인 물, 고추가루, 생강즙, 무즙, 소주, 간장, 다시다 및 후추를 혼합한 후, 썰은 청양고추 및 썰은 대파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넣어서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양곽 흑염소 보양탕의 제조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대기는 표고버섯 달인 물 500 ml에 대하여, 고추가루 400 ~ 800g, 생강즙 150 ~ 250 ml, 무즙 400 ~ 600 ml, 소주 400 ~ 600 ml, 간장 20 ~ 30 ml, 다시다 20 ~ 35g 및 후추 10 ~ 30g를 혼합한 후, 썰은 청양고추 및 썰은 대파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넣어서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양곽 흑염소 보양탕의 제조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표고버섯 달인 물은 물 3L에 건조된 표고버섯 90 ~ 120g을 넣은 후, 90 ~ 100℃에서 2시간 30분 ~ 4시간 동안 달여서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양곽 흑염소 보양탕의 제조방법.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흑염소 삶은 고기는
흑염소 생고기를 절단하여 절단된 생고기를 준비하는 단계;
절단된 생고기로부터 핏물을 제거하는 단계;
핏물이 제거된 생고기를 끊는 물에 넣은 후, 소주 및 매실초를 넣는 단계;
거품 및 불순물을 제거한 후, 8분 ~ 15분간 더 끊인 후, 익힌 생고기를 꺼내어 5 ~ 25℃의 찬물에 담그어 두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양곽 흑염소 보양탕의 제조방법.
- 제1항 내지 제6항 및 제8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제조한 음양곽 흑염소 보양탕 취식시, 보양탕의 건더기를 사과초고추장, 다진 대파, 허브, 청양고추 및 겨자를 혼합하여 제조한 소스와 함께 취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양곽 흑염소 보양탕 취식방법.
- 제1항 내지 제6항 및 제8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양곽 흑염소 보양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23423A KR101770147B1 (ko) | 2017-02-22 | 2017-02-22 | 음양곽 흑염소 보양탕 및 이의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23423A KR101770147B1 (ko) | 2017-02-22 | 2017-02-22 | 음양곽 흑염소 보양탕 및 이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70147B1 true KR101770147B1 (ko) | 2017-08-22 |
Family
ID=59757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23423A KR101770147B1 (ko) | 2017-02-22 | 2017-02-22 | 음양곽 흑염소 보양탕 및 이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70147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47125B1 (ko) * | 2016-01-04 | 2016-08-10 | 유한회사 약산흑염소 | 흑염소탕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흑염소탕 |
-
2017
- 2017-02-22 KR KR1020170023423A patent/KR10177014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47125B1 (ko) * | 2016-01-04 | 2016-08-10 | 유한회사 약산흑염소 | 흑염소탕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흑염소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6174429A (zh) | 一种香菇牛肉酱及其制备方法 | |
KR101331352B1 (ko) | 한방녹두삼계탕 및 그 제조방법 | |
KR101407351B1 (ko) | 포장용 양념 고등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포장용 양념 고등어 | |
CN105077197A (zh) | 一种虾蚝香辣酱及其制备方法 | |
CN103907832B (zh) | 鸽子鸡肉粽子及其制作方法 | |
KR100394538B1 (ko) | 산채순대 및 이를 이용한순대국 | |
KR101607807B1 (ko) | 소고기 선지 해장국의 제조방법 | |
KR100578323B1 (ko) | 한방 추어탕 요리방법 | |
KR101606784B1 (ko) | 신선탕의 제조방법 및 그 신선탕 | |
KR101385056B1 (ko) | 구찌뽕 전복 삼계탕 제조방법 | |
KR101401116B1 (ko) | 육질이 부드러운 등갈비 조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등갈비 조림 | |
KR102022896B1 (ko) | 한약재성분이 흡수된 한약산낙지를 이용한 감자탕 제조방법 | |
KR101647125B1 (ko) | 흑염소탕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흑염소탕 | |
KR101985713B1 (ko) | 흑염소 흑색탕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232471B1 (ko) | 한방 오리 백숙 및 누룽지탕의 조리방법 | |
CN106690130A (zh) | 纸包鱼食品及其制备方法 | |
KR101994701B1 (ko) | 생약추출물을 첨가한 어포, 육포를 이용한 다식 제조방법 | |
KR20170055592A (ko) | 양념 닭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양념 닭발 | |
CN105166963A (zh) | 一种麻辣兔肉的制作方法 | |
KR20150088441A (ko) | 상주 한방 토끼곰탕의 제조방법 | |
KR20120130661A (ko) | 오골계 숯불구이 제조 방법 | |
KR20190130316A (ko) | 소고기와 장어를 이용한 떡갈비 | |
KR101824721B1 (ko) | 찌개 육수용 한방 콜라겐 큐브 및 그 제조 방법 | |
KR101170803B1 (ko) | 삼돈고기, 삼돈고기를 이용한 해물찜탕 및 해물찜탕의 제조방법 | |
KR101770147B1 (ko) | 음양곽 흑염소 보양탕 및 이의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