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9900B1 - 조립식 운반대차 - Google Patents

조립식 운반대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9900B1
KR101769900B1 KR1020150173159A KR20150173159A KR101769900B1 KR 101769900 B1 KR101769900 B1 KR 101769900B1 KR 1020150173159 A KR1020150173159 A KR 1020150173159A KR 20150173159 A KR20150173159 A KR 20150173159A KR 101769900 B1 KR101769900 B1 KR 1017699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over
reinforcing
pair
layer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3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6923A (ko
Inventor
임재성
Original Assignee
상진에이알피(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진에이알피(주) filed Critical 상진에이알피(주)
Priority to KR1020150173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9900B1/ko
Publication of KR20170066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69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9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99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6Hand moving equipment, e.g. handle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006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dismoun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운반대차에 관한 것으로, 세로부재 및 상기 세로부재의 상부면 상에 상호 직교하도록 연결된 가로부재가 물품의 적재를 위한 적재면을 제공하는 적재판; 상기 적재판의 저면에 연결되어 상기 적재판에 가해지는 하중으로부터 상기 적재판을 지지하는 보강프레임; 상기 적재판의 전방 측 양 꼭지점을 이루는 상기 가로부재 및 세로부재와 이의 저면에서 적재판을 보강 지지하는 상기 보강프레임을 전방 측으로부터 끼움 고정시키는 한 쌍의 제1ㄷ자형 브라켓; 상기 적재판의 후방 측 양 꼭지점을 이루는 상기 가로부재 및 세로부재와 이의 저면에서 적재판을 보강 지지하는 상기 보강프레임을 후방 측으로부터 끼움 고정시키는 한 쌍의 제2ㄷ자형 브라켓; 상기 한 쌍의 제1ㄷ자형 브라켓 및 한 쌍의 제2ㄷ자형 브라켓 저면에 각각 설치되는 이송바퀴; 및 상기 한 쌍의 제1ㄷ자형 브라켓에 손잡이부 양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양 다리부가 각각 연결되어 상하 선회가능하게 설치된 손잡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립식 운반대차 {THE PREFABRICATED CONVEYANCE CART}
본 발명은 조립 및 분해 가능한 조립식 운반대차에 관한 것이다.
적재된 물품을 운반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계되는 운반대차는 적재판에 각종 물품을 올리고 운반자가 손잡이를 이송하고자 하는 방향을 끌어당기면 저면에 설치된 이송바퀴에 의해 해당 방향으로 적재판이 이동되어지는 이송수단이다.
이러한 운반 대차의 경우, 적재된 물품의 이송에 있어서 안전한 이송을 제공하고 운반자의 이송 조작이 용이하도록 적정 중량의 물품이 적재되어야 하고, 운반자의 체격을 고려하여 이송 조작에 있어서 시야를 방해하지 않는 수준에서 물품의 적재 높이가 설정되어야 했다.
이와 관련하여 물품의 효율적이고 안전한 적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마련된 운반대차와 관련된 종래기술에 대한 선행문헌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06592 호의 "운반대차"(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함)가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을 비롯한 기존의 운반대차들의 경우, 물품의 이송을 수행하는 운반자 또는 적재되어지는 물품의 종류와 무관하게 이미 갖춰진 구조 내에서 물품의 적재 및 이송이 이루어짐에 따라, 많은 제약 및 불편함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운반대차의 적재판에 올려지는 물품은 단순히 다층으로 쌓여지거나, 별도의 고정 수단에 의해 묶여져 이송이 이루어짐에 따라 적재 공간의 활용 형태 및 적재 방식이 다양하게 제공될 수 없었으며, 안정적인 적재 및 이송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운반자의 부주의에 의해 쉽게 적재된 물품이 이탈되어질 수 있었다.
더 나아가, 운반 대차의 적재판은 단순히 단일 구조로 이루어진 하나의 판 형상을 이룸에 따라 적재 가능한 물품의 하중 수준에 있어서, 다소 한계를 가지고 있었으며, 안정적인 구조적 결합을 통해 높은 수준의 내구성을 갖추지 못하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운반 대차의 조립식 구조가 안정적이고 내구성을 갖춘 구조를 가지며, 운반 대차 상측의 물품 적재 공간을 다양하고 안정적인 적재가 가능한 선반구조로 변형하여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을 구비한 조립식 운반대차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운반대차는, 세로부재 및 상기 세로부재의 상부면 상에 상호 직교하도록 연결된 가로부재가 물품의 적재를 위한 적재면을 제공하는 적재판; 상기 적재판의 저면에 연결되어 상기 적재판에 가해지는 하중으로부터 상기 적재판을 지지하는 보강프레임; 상기 적재판의 전방 측 양 꼭지점을 이루는 상기 가로부재 및 세로부재와 이의 저면에서 적재판을 보강 지지하는 상기 보강프레임을 전방 측으로부터 끼움 고정시키는 한 쌍의 제1ㄷ자형 브라켓; 상기 적재판의 후방 측 양 꼭지점을 이루는 상기 가로부재 및 세로부재와 이의 저면에서 적재판을 보강 지지하는 상기 보강프레임을 후방 측으로부터 끼움 고정시키는 한 쌍의 제2ㄷ자형 브라켓; 상기 한 쌍의 제1ㄷ자형 브라켓 및 한 쌍의 제2ㄷ자형 브라켓 저면에 각각 설치되는 이송바퀴; 및 상기 한 쌍의 제1ㄷ자형 브라켓에 손잡이부 양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양 다리부가 각각 연결되어 상하 선회가능하게 설치된 손잡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ㄷ자형 브라켓은, 상기 적재판의 전방 측 양 꼭지점을 이루는 상기 가로부재의 전단 측 상면을 덮는 제1결합면; 상기 제1결합면으로부터 직교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적재판의 전방 측 양 꼭지점을 이루는 상기 세로부재, 가로부재 및 보강프레임의 전면을 덮는 제2결합면; 상기 제2결합면으로부터 직교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면과 평행한 면을 이루고, 상기 적재판의 전방 측 양 꼭지점을 이루는 상기 세로부재의 저면에 연결된 상기 보강프레임의 저면을 덮는 제3결합면; 및 상기 제2결합면으로부터 전방측으로 돌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의 선회를 위한 회동축이 상기 제1결합면보다 높은 높이에 연결되는 연장날개판;을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연장날개판의 하부 전방측에는 상기 적재판에 대해 직교하게 세워진 상기 손잡이의 다리부 선단을 막아 상기 손잡이의 선회를 차단하는 잠금볼트가 삽입 고정 되는 삽입홀이 구비되며, 상기 삽입홀은 상하 측으로 길게 늘어진 장공의 형태로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조립식 운반대차는 상기 적재판의 상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내부에 적재 공간이 형성되며 좌측면 또는 우측면이 개방된 육면체형 적재부 다수개로 이루어진 선반층이 적어도 둘 이상으로 마련되어 전체 구조를 이루는 선반구조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선반구조체는, 상기 적재판에 대해 수직하도록 상기 적재판의 각 꼭지점 부근에 설치되는 4개의 제1기둥부재; 상기 적재판에 대해 수직하도록 상기 적재판의 전방 측 모서리 및 후방 측 모서리 상에 상호 대응되게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제2기둥부재; 상기 적재판에 대해 수직하도록 상기 한 쌍의 제2기둥부재를 잇는 전후방향선 상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기둥부재; 상기 적재판에 대해 수직하도록 상기 적재판의 양 측방 측 모서리 상에 상호 대응되게 마주보며 이 둘을 잇는 좌우방향선 상에 상기 제3기둥부재가 위치하도록 쌍을 이루어 설치되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제4기둥부재; 인접한 상기 제1기둥부재 및 제4기둥부재 사이 및 인접한 상기 제4기둥부재 사이를 제외한 상기 제1기둥부재 내지 제4기둥부재 중 인접한 기둥부재 간에 고정 결합되어 선반층 별 복수의 상기 적재부 측벽을 이루는 다수의 벽부재; 및 상기 벽부재에 의해 형성된 상기 적재부 측벽 상면에 각각 결합되어 선반층 별 복수의 상기 적재부 지붕벽을 각각 이루는 다수의 층시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선반구조체는, 상기 층시트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에 걸친 저면에 설치되어 층시트에 가해지는 하중으로부터 상기 층시트를 지지하는 보강 파이프; 상기 보강 파이프의 단부 저면를 받치며, 좌우방향으로 세워진 상기 벽부재의 상면이 끼움 고정되는 끼움홈이 형성된 보강 브라켓; 일 선반층을 이루며 상기 적재판의 전방 측 모서리 및 후방 측 모서리 상에 좌우방향으로 세워진 상기 벽부재의 상면 중 상기 보강 브라켓이 끼워진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상면에 끼움 고정되는 제1커버홈이 형성된 하부 지지부; 상기 하부 지지부와 직교를 이루며 층시트의 전면 또는 후면에 끼움 고정되는 제2커버홈이 형성된 층 지지부; 상기 층 지지부와 직교를 이루고 상기 하부 지지부와 평행하며 상기 일 선반층 위에 적층되는 타 선반층을 이루며 상기 적재판의 전방 측 모서리 및 후방 측 모서리 상에 좌우방향으로 세워진 상기 벽부재의 하면에 끼움 고정되는 제3커버홈이 형성된 상부 지지부;를 포함하는 제1보강커버; 및 상기 층시트의 측면에 끼움 고정되는 제4커버홈이 형성된 제2보강커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2보강커버는, 상기 층시트가 끼워지는 일단측이 개방된 상기 제4커버홈을 구비하며, 타단 측 상면에 돌출 형성된 걸림턱이 마련되는 커버몸체부; 상기 커버몸체부 저면에 연장 형성되어 발광부재가 내장되기 위한 별도의 발광부재 저장홈을 형성하는 제1연장부분 및 상기 제1연장부분의 개방된 저장홈을 덮으며 투명 재질로 마련되는 제1커버부분을 포함하는 발광부; 및 상기 커버몸체부 타단 측면에 연장 형성되어 타단 측으로 개방된 소정의 삽입홈을 형성하는 제2연장부분 및 상기 제2연장부분의 개방된 삽입홈을 덮으며 투명 재질로 마련되는 제2커버부분을 포함하는 인식표삽입부;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선반구조체는, 상기 층시트의 저면에 설치되며, 내부에 다수의 발광부재를 내장하여 상기 적재부 내부의 적재공간을 밝히는 지붕 발광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붕 발광부는, 상기 보강파이프가 내부에 삽입되는 파이프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층시트 저면에 연결되는 제1몸체부; 상기 제1몸체부로부터 상기 층시트의 좌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발광부재가 내장되기 위한 별도의 제1저장홈이 구비되고, 상기 제1저장홈의 개방된 측면에 투명 재질로 마련된 제1커버가 덮여진 제2몸체부; 및 상기 제1몸체부로부터 상기 층시트의 우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발광부재가 내장되기 위한 별도의 제2저장홈이 구비되고, 상기 제2저장홈의 개방된 측면에 투명 재질로 마련된 제2커버가 덮여진 제3몸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운반대차를 이루는 각종 부재들이 상호 조립되어 안정적이고 체계적으로 연결됨에 따라, 구조적 내구성이 증진되고 적재 가능한 물품의 하중 수준을 크게 개선시킬 수 있다.
둘째, 적재판의 전면에 연결된 손잡이가 적재판에 대해 접철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어, 운반대차의 사용여부에 따라 손잡이 구조를 변형시킬 수 있다.
셋째, 적재판의 상측으로 분획된 각각의 적재공간을 제공하는 다수의 적재부가 마련된 선반구조체가 형성되어, 각각의 적재공간에 채워진 각종 물품을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넷째, 해당 선반구조체가 조립식으로 형성되어, 적재물품의 종류, 사용목적, 운반자에 따라 원하는 구조로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며, 사용 후에도 선반구조체를 이루던 각각의 부품에 대한 정리 및 청소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섯째, 적재부의 개방측 또는 내부 상측면에는 별도의 발광부재가 고정 설치되어 내부 적재공간에 조명을 제공할 수 있다.
도1 및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운반대차의 구조 및 조립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운반대차의 손잡이 선회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운반대차의 적재판 상에 선반구조체의 제1선반층 측벽 및 천장이 조립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운반대차의 적재판 상에 선반구조체의 조립된 완성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운반대차의 적재판 상에 선반구조체의 단면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조립식 운반대차의 구성요소 및 조립 형태에 관한 설명>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조립식 운반대차(1000)는 적재판(100); 보강프레임(200); 제1ㄷ자형 브라켓(300); 제2ㄷ자형 브라켓(400); 이송바퀴(500); 및 손잡이(600)를 포함한다.
적재판(100)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부재(110) 및 가로부재(120)사 상호 일면 상에서 직교하도록 연결되어 물품의 적재를 위한 적재면을 제공하는 판 형상의 부재이다.
여기서, 세로부재(110) 및 가로부재(120)의 연결형태에 대해 설명하면 가로부재(120)의 길이만큼 상호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세로부재(110)의 상부면에 가로부재(120)가 상호 직교하도록 놓여지고, 이와 같이 이와 같이 평행한 면 상에서 상호 직교하게 연결된 세로부재(110) 및 가로부재(120)은 아래 설명될 별도의 체결수단에 의해 상호 고정된다. 또한, 세로부재(110)의 상부면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부재(120)가 놓여졌을 경우 가로부재(120)의 높이만큼을 보상하여 연결되어 상부면에 돌출된 부분이 없도록 요철을 가지도록 절곡된 구조로 마련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적재판(100)의 상측으로는 물품이 적재되거나 아래 설명될 선반구조체(700)가 설치되고, 적재판(100)의 저면측으로는 적재판(100)에 가해지는 하중으로부터 적재판(100)을 보강 지지하는 보강프레임(200)이 연결된다.
여기서, 세로부재(110) 및 가로부재(120)에 의해 형성되는 적재판(100)과 적재판(100) 저면에 위치하는 보강프레임(200)은 ㄷ자형 브라켓(300, 400)에 의해 감싸져 끼움 고정된다.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한 쌍의 제1ㄷ자형 브라켓(300)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판(100)의 전방 측 양 꼭지점을 이루는 가로부재(120) 및 세로부재(130)와 이의 저면에서 적재판(100)을 보강 지지하는 전방 측 양 꼭지점 부근의 보강프레임(200) 일부분을 전방 측으로부터 끼움 고정시키고, 한 쌍의 제2ㄷ자형 브라켓(400)은 적재판(100)의 후방 측 양 꼭지점을 이루는 가로부재(120) 및 세로부재(130)와 이의 저면에서 적재판(100)을 보강 지지하는 후방 측 양 꼭지점 부근의 보강프레임(200) 일부분을 후방 측으로부터 끼움 고정시킨다.
다시 말해, 제2ㄷ자형 브라켓(400)은 적재판(100)의 전방 측 양 꼭지점을 이루는 가로부재(120)의 후단 측 상면을 덮는 제4결합면, 제4결합면으로부터 직교로 연장 형성되어 적재판(100)의 후방 측 양 꼭지점을 이루는 세로부재(110), 가로부재(120) 및 보강프레임(200)의 후면을 덮는 제5결합면 및 제5결합면으로부터 직교로 연장 형성되어 제4결합면과 평행한 면을 이루고, 적재판(100)의 후방 측 양 꼭지점을 이루는 세로부재(110)의 저면에 연결된 보강프레임(200)의 저면을 덮는 제3결합면(330)을 통해 "ㄷ"자형 구조를 갖춘다.
또한, 제1ㄷ자형 브라켓(300)은 적재판(100)의 전방 측 양 꼭지점을 이루는 가로부재(120)의 전단 측 상면을 덮는 제1결합면(310), 제1결합면(310)으로부터 직교로 연장 형성되어 적재판(100)의 전방 측 양 꼭지점을 이루는 세로부재(110), 가로부재(120) 및 보강프레임(200)의 전면을 덮는 제2결합면(320) 및 제2결합면(320)으로부터 직교로 연장 형성되어 제1결합면(310)과 평행한 면을 이루고, 적재판(100)의 전방 측 양 꼭지점을 이루는 세로부재(110)의 저면에 연결된 보강프레임(200)의 저면을 덮는 제6결합면을 통해 "ㄷ"자형 구조를 갖춘다.
아울러, 이와 같은 한 쌍의 제1ㄷ자형 브라켓(300) 및 한 쌍의 제2ㄷ자형 브라켓(400)의 저면에는 각각 이송바퀴(500)가 설치된다.
따라서, 한 쌍의 제1ㄷ자형 브라켓(300) 및 한 쌍의 제2ㄷ자형 브라켓(400),한 쌍의 제1ㄷ자형 브라켓(300) 및 한 쌍의 제2ㄷ자형 브라켓(400)에 의해 감싸진 적재판(100) 및 보강프레임(200)의 전, 후방 각각의 꼭지점 부근 일부분 및 이송바퀴(500)에 이르는 전체는 볼트 및 너트와 같은 별도의 체결 수단을 통해 상측에서부터 저면측로 일괄적으로 한번에 고정 결합되어진다.
그리고 적재판(100)의 전방 측에는 이송을 위한 손잡이(600)가 설치되는데, 좀 더 구체적으로 손잡이(600)는 운반자가 이송을 위해 잡게 되는 손잡이부(610)와 손잡이부(610)의 양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한 쌍의 제1ㄷ자형 브라켓(300)에 연결되는 두 개의 다리부(620)로 마련된다.
여기서, 두 개의 다리부(620)는 한 쌍의 제1ㄷ자형 브라켓(300)에 연결됨에 있어서, 손잡이(600) 전체가 상하로 선회 가능하도록 각각 연결되어 조립식 운반 대차(100)의 사용 유무에 따라 적재판(100)의 적재면에 대해 수직으로 세우거나 평행하게 눕힐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를 위해 제1ㄷ자형 브라켓(300)은 제2결합면(320)으로부터 전방 측으로 돌출 연장 형성된 연장날개판(340)을 더 포함하는데, 연장날개판(340)의 구조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결합면(320)에 수직하게 돌출된 2개의 판이 상호 좌우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손잡이(600)가 적재판(100)의 적재면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질 경우, 사이 공간에 손잡이 다리부(620)가 안착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을 제공하고, 판의 상하 기준 높이가 제1결합면(310)이 형성된 높이를 초과하여 제1결합면(310)에 대해서도 위로 돌출되어져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연장날개판(340)의 제1결합면(310)을 지나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 부분에는 손잡이 다리부(620)의 회동축(600P)이 연결되기 위한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 손잡이(600)는 손잡이(600)의 선회를 위한 회동축(600P)이 제1결합면(310)보다 높은 높이에 위치하도록 연장날개판(340)에 연결된다.
아울러, 연장날개판(340)의 하부 전방측에는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판(100)에 대해 직교하게 세워진 손잡이(600)의 다리부(620) 선단을 막아 손잡이(600)의 선회를 이루어지지 않도록 이동을 차단하는 잠금볼트(345)가 삽입 고정 되는 삽입홀(340H)이 구비된다.
여기서, 삽입홀(340H)의 구조는 상하 측으로 길게 늘어진 장공의 형태로 마련되어, 삽입홀(340H)에 삽입된 잠금볼트(345)를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하강이동 시킬 경우 손잡이(600)의 선회이 차단되어 손잡이(600)가 적재판(100)에 대해 평행하게 눕혀지도록 한다.
한편, 앞 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로 마련된 본 발명의 조립식 운반대차(1000) 내 적재판(100) 상측에는 별도의 선반구조체(700)가 추가로 설치되어질 수 있다.
선반구조체(700)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판(100) 상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내부에 적재 공간(700T)이 형성되며 좌측면 또는 우측면이 개방된 육면체형 적재부(700a) 다수개로 이루어진 선반층(700F)이 적어도 둘 이상으로 마련되어 전체 선반 구조를 이룬다.
다시 말해, 다층으로 마련되는 선반층(700F)은 하나의 선반층(700F) 당 짝수개로 마련되는 다수의 적재부(700a)가 형성되고, 적재판(100)을 기준으로 좌측에 형성된 적재부(700a)는 좌측면이 개방된 육면체형 구조를 갖추고, 우측에 형성된 적재부(700a)는 우측면이 개방된 육면체형 구조를 갖추게 된다.
이를 위해 선반구조체(700)는 기본적인 기둥 골격을 세우게 되는데, 조립하는 사용자가 구축하고자 하는 선반 구조에 따라 사용되는 기둥부재의 수 및 위치는 변형되어진다.
우선, 고정적으로 적재판(100)에 대해 수직하도록 적재판(100)의 각 꼭지점 부근에는 총 4개의 제1기둥부재(711)가 각각 설치된다. 여기서, 제1기둥부재(711)에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 설명될 벽부재(720)가 끼움 고정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하나의 날개판이 연장 형성되는데, 제1기둥부재(711)는 전방 측 꼭지점에 설치된 한 쌍의 제1기둥부재(711)와 후방 측 꼭지점에 설치된 한 쌍의 제1기둥부재(711) 각각에 형성된 날개판의 벽부재(720)가 끼움 고정되는 개방측면이 상호 마주보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적재판(100)에 대해 수직하도록 적재판(100)의 전방 측 모서리 및 후방 측 모서리 상에는 각각 고정적으로 하나 씩 제2기둥부재(712)가 설치되는데, 이와 같은 한 쌍의 제2기둥부재(712) 상호 대응되게 마주보도록 설치된다.
다시 말해, 한 쌍의 제2기둥부재(712)를 연결한 선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판(100)의 측면 모서리와 평행을 이룬다.
여기서, 제2기둥부재(712)는 벽부재(720)가 끼움 고정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날개판이 3방향으로 상호 직교하게 형성되며, 평행한 두 개의 날개판은 전방 또는 후방 측 모서리 상에 고정되어야 할 벽부재(720)가 끼워지고, 나머지 하나의 날개판에는 적재판(100)의 적재면을 좌우로 분획하는 벽부재(720)가 끼워진다.
아울러, 적재판(100)에 대해 수직하도록 한 쌍의 제2기둥부재(712)를 잇는 전후방향선 상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기둥부재(713)가 설치된다.
여기서, 제3기둥부재(713)는 벽부재(720)가 끼움 고정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날개판이 4방향으로 상호 직교하게 형성된 "+"구조로 마련된다.
마지막으로, 적재판(100)에 대해 수직하도록 적재판(100)의 양 측방 측 모서리 상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4기둥부재(714)가 설치되고, 좌측 모서리에 설치되는 제4기둥부재(714)와 우측 모서리에 설치되는 제4기둥부재(714)의 수는 동일하고. 상호 대응되게 마주보며 이 둘을 잇는 좌우방향선 상에 제3기둥부재(713)가 위치하도록 쌍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4기둥부재(714)에는 벽부재(720)가 끼움 고정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하나의 날개판이 연장 형성되는데, 제4기둥부재(714)는 좌측방 측 모서리에 설치된 제4기둥부재(714)와 우측방 측 모서리에 설치된 제4기둥부재(714) 각각에 형성된 날개판의 벽부재(720)가 끼움 고정되는 개방측면이 상호 마주보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기둥부재(711) 내지 제4기둥부재(714)가 적재판(100)에 설치되어 기본 기둥 골격을 형성하고 나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수준의 높이를 가지는 벽부재(720)가 각각의 기둥부재 날개판에 형성된 끼움 공간 상에 삽입되어 측벽 구조를 완성하게 된다. 따라서 벽부재(720)의 높이는 곧 선반층(700F)의 높이 수준으로 반영되어 진다.
이러한 측벽을 이루는 다수의 벽부재(720)는 제1기둥부재(711) 내지 제4기둥부재(714) 중 인접한 기둥부재 간 모두에 끼움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날개판이 개방된 형태에 따라 적재판(100) 기준 좌측과 우측이 개방되어질 수 있도록 설치된다.
다시 말해, 다수의 벽부재(720)는 인접한 제1기둥부재(711) 및 제4기둥부재(714) 사이를 제외한 제1기둥부재(711) 내지 제4기둥부재(714) 중 인접한 기둥부재 간에 고정 결합되어 선반층(700F) 별로 적재면을 분획하고 복수의 적재부(700a) 측벽을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일 선반층(700F)을 이루는 복수의 적재부(700a) 측벽이 다수의 벽부재(720)에 의해 모두 구축되고 나며, 상측으로부터 지붕벽을 형성하는 층시트(730)가 각각 연결되게 된다.
다수의 층시트(730)는 벽부재(720)에 의해 형성된 적재부(700a) 측벽 상면에 각각 결합되어 선반층 별 복수의 적재부(700a) 지붕벽을 각각 이루는 시트부재로써, 상측에 덮여지는 해당 적재부(700a)의 측벽을 이루는 벽부재(720)와의 상호 구조적 안정성을 갖춘 결합을 이루기 위해 보강 파이프(740), 보강 브라켓(750), 제1보강커버(760) 및 제2보강커버(770) 등이 추가로 결합된다.
층시트(730) 별 결합 구조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층시트(730)의 전방 중앙측 저면으로부터 후방 중앙측 저면에 이르는 부분에는 각파이프 형태의 보강 파이프(740)가 설치되어 층시트(730)에 가해지는 하중으로부터 상기 층시트를 지지하게 되는데, 다시 말해, 보강 파이프(740)의 전단과 후단은 층시트(730)의 전방 중앙측 저면과 후방 중앙측 저면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층시트(730) 저면에 설치된 보강 파이프(740)의 양단부 저면에는 이를 받치는 보강 브라켓(750)이 연결되고, 이러한 보강 브라켓(750)은 보강 파이프(740)의 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하측으로 개방된 끼움홈(750H)을 추가로 구비하게 된다.
여기서, 끼움홈(750H)은 좌우방향으로 세워진 벽부재(720), 다시 말해, 적재부(700a)의 측벽을 이루는 3개의 벽부재(720) 중 전방 측 모서리에 세워진 벽부재(720)와 후방 측 모서리에 세워진 벽부재(720)의 중앙 상면이 끼움 고정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다시 말해, 보강 브라켓(750)은 적재부(700a)의 전방 측벽과 후방 측벽 중앙 상면에 끼워진 상태에서 층시트(730) 저면에 설치된 보강 파이프(740) 단부 저면을 지지함으로써, 더 나아가 층시트(730) 자체 또한 지지하게 된다.
이를 위해 보강 브라켓(750)의 구조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가지 실시형태를 가지게 된다. 즉, 적재판(100)을 기준으로 전방 측 모서리와 후방 측 모서리에 설치된 제1기둥부재(711) 및 제2기둥부재(712) 사이에 끼움 고정된 벽부재(720)에는 층시트(730)가 전후방향을 기준으로 한쪽에만 형성되기 때문에 하나의 층시트(730)만을 지지하면 되나, 적재판(100)을 기준으로 좌우측방 측 모서리와 중앙 부근에 설치된 제3기둥부재(713) 및 제4기둥부재(714) 사이에 끼움 고정된 벽부재(720)에는 층시트(730)가 전후방향을 기준으로 양쪽 모두에 형성되기 때문에 양측 두개의 층시트(730)를 지지해야 한다.
따라서 보강 브라켓(750)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홈(750H)이 형성된 몸체부분을 기준으로 일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층시트(730) 저면에 설치된 보강 파이프(740) 단부 저면을 지지하는 지지면이 형성된 날개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하로 배치된 두 적재부(700a)를 상호 안정적으로 연결하되, 층시트(730)의 전방측을 보강하기 위해 제1보강커버(760)가 설치될 수 있다.
제1보강커버(760)는 3방향 구조체로써 3개의 커버홈을 형성하여 적재판(100)을 기준으로 최전방 측, 최후방 측에 형성된 적재부(700a)에 있어서, 하측에 위치한 일 적재부(700a)의 벽부재(720) 상면과 상측에 위치한 타 적재부(700a)의 벽부재(720) 저면 및 하측에 위치한 일 적재부(700a)와 상측에 위치한 타 적재부(700a) 사이에 위치한 층시트(730) 전면 또는 후면을 감싸 보강 지지하게 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보강커버(760)는 일 선반층(700F')을 이루며 적재판(100)의 전방 측 모서리 및 후방 측 모서리 상에 좌우방향으로 세워진 벽부재(720)의 상면 중 보강 브라켓(750)이 끼워진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상면에 끼움 고정되는 제1커버홈(761H)이 형성된 하부 지지부(761), 하부 지지부(761)와 직교를 이루며 층시트(730)의 전면 또는 후면에 끼움 고정되는 제2커버홈(762H)이 형성된 층 지지부(762) 및 층 지지부(762)와 직교를 이루고 하부 지지부(761)와 평행하며 일 선반층(700F') 위에 적층되는 타 선반층(700F'')을 이루며 적재판(100)의 전방 측 모서리 및 후방 측 모서리 상에 좌우방향으로 세워진 벽부재(730)의 하면에 끼움 고정되는 제3커버홈(763H)이 형성된 상부 지지부(763)을 통해 3방향 구조체를 이룬다.
이와 같이 다층 구조로 쌓여지는 선반구조체(700)의 최하면과 최상면에는 별도의 적재판(100)에 대응되는 크기의 시트판이 위치하고, 이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전체 구조가 완성되고 나면,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장볼트와 같은 별도의 체결수단이 관통 결합되어 전체 구조를 지지 고정하게 된다.
아울러, 선반구조체(700)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층시트(730)의 좌우 측면에 끼움 고정되어 좌우 측면 일부분을 보강 커버하는 제2보강커버(77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제2보강커버(770)는 층시트(730)의 좌우 측면이 끼워지도록 일단측이 개방된 제4커버홈(771H)을 구비하며, 타단 측 상면에 돌출 형성된 걸림턱(771T)이 마련된 커버몸체부(771)를 기본 몸체로 구성한다.
이와 같이 커버몸체부(771) 타단 측(외측) 상면에 돌출 형성된 걸림턱(771T)은 좌측면 또는 우측면이 개방된 육면체형 적재부(700a) 내부의 적재 공간(700T)에 내장되어진 물품의 이송 과정에서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다.
또한, 제2보강커버(770)의 커버몸체부(771) 저면에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부재(L)가 내장되기 위한 별도의 발광부재 저장홈(772H)을 형성하기 위해 연장 형성되어진 제1연장부분(772a)과 발광부재 저장홈(772H)의 개방된 측면을 덮으며 내부에 위치하는 발광부재(L)에 의한 빛이 투과 가능하도록 투명재질로 마련되는 제1커버부분(772b)을 포함하는 발광부(772)가 형성된다.
아울러, 제2보강커버(770)의 커버몸체부(771) 타단 측면에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정보를 나타내는 인식표(I)가 내장되기 위한 소정의 삽입홈(773H)을 형성하기 위해 연장 형성되어진 제2연장부분(773a)과 삽입홈(773H)의 개방된 타단 측면을 덮으며 내부에 위치하는 인식표(I)의 시인성을 제공하도록 투명재질로 마련되는 제2커버부분(773b)을 포함하는 인식표삽입부(773)가 형성된다.
한편, 선반구조체(700)는 적재부(700a) 내부의 적재 공간(700T)을 밝히고, 층시트(730)의 구조적 보강을 위해 층시트(730)의 중앙 저면에 다수의 발광부재(L)를 내장하여 설치되는 지붕 발광부(780)를 더 포함한다.
이를 위해, 지붕 발광부(780)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파이프(740)가 내부에 삽입되는 파이프 삽입홈(781H)이 형성되며, 층시트(730) 저면에 연결되는 제1몸체부(781)를 기본 몸체로 하여 양측으로 발광부재(L)를 내장하는 제2몸체부(782) 및 제3몸체부(783)를 연장 형성한다.
다시 말해, 지붕 발광부(780)는 제1몸체부(781)가 파이프 삽입홈(781H)에 보강파이프(740)를 삽입한 상태에서 층시트(730) 중앙 저면에 붙어 별도의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수단을 통해 내부 홈 공간 내에서 체결이 이루어지고, 파이프 삽입홈(781H) 지붕 발광부(780) 저면 측으로 개방된 공간은 파이프 삽입홈 커버(781C)에 의해 덮여 마감처리 된다.
또한, 제2몸체부(782)는 제1몸체부(781)로부터 층시트(730)의 좌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발광부재(L)가 내장되기 위한 별도의 제1저장홈(782H)이 구비되고, 제1저장홈(782H)의 개방된 측면에 투명 재질로 마련된 제1커버(782C)가 덮여진다.
아울러, 제3몸체부(783)는 제1몸체부(781)로부터 층시트(730)의 우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발광부재(L)가 내장되기 위한 별도의 제2저장홈(783H)이 구비되고, 제2저장홈(783H)의 개방된 측면에 투명 재질로 마련된 제2커버(783C)가 덮여진다.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호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0 : 조립식 운반대차
100 : 적재판
110 : 세로부재 120 : 가로부재
200 : 보강프레임
300 : 제1ㄷ자형 브라켓
310 : 제1결합면 320 : 제2결합면
330 : 제3결합면 340 : 연장날개판
400 : 제2ㄷ자형 브라켓
500 : 이송바퀴
600 : 손잡이
610 : 손잡이부 620 : 다리부
700 : 선반구조체
711 : 제1기둥부재 712 : 제2기둥부재
713 : 제3기둥부재 714 : 제4기둥부재
720 : 벽부재 730 : 층시트
740 : 보강 파이프 750 : 보강 브라켓
760 : 제1보강커버 770 : 제2보강커버
780 : 지붕 발광부

Claims (7)

  1. 조립식 운반대차로서,
    세로부재 및 상기 세로부재의 상부면 상에 상호 직교하도록 연결된 가로부재가 물품의 적재를 위한 적재면을 제공하는 적재판;
    상기 적재판의 저면에 연결되어 상기 적재판에 가해지는 하중으로부터 상기 적재판을 지지하는 보강프레임;
    상기 적재판의 전방 측 양 꼭지점을 이루는 상기 가로부재 및 세로부재와 이의 저면에서 적재판을 보강 지지하는 상기 보강프레임을 전방 측으로부터 끼움 고정시키는 한 쌍의 제1ㄷ자형 브라켓;
    상기 적재판의 후방 측 양 꼭지점을 이루는 상기 가로부재 및 세로부재와 이의 저면에서 적재판을 보강 지지하는 상기 보강프레임을 후방 측으로부터 끼움 고정시키는 한 쌍의 제2ㄷ자형 브라켓;
    상기 한 쌍의 제1ㄷ자형 브라켓 및 한 쌍의 제2ㄷ자형 브라켓 저면에 각각 설치되는 이송바퀴; 및
    상기 한 쌍의 제1ㄷ자형 브라켓에 손잡이부 양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양 다리부가 각각 연결되어 상하 선회가능하게 설치된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조립식 운반대차는 상기 적재판의 상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내부에 적재 공간이 형성되며 좌측면 또는 우측면이 개방된 육면체형 적재부 다수개로 이루어진 선반층이 적어도 둘 이상으로 마련되어 전체 구조를 이루는 선반구조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선반구조체는,
    상기 적재판에 대해 수직하도록 상기 적재판의 각 꼭지점 부근에 설치되는 4개의 제1기둥부재;
    상기 적재판에 대해 수직하도록 상기 적재판의 전방 측 모서리 및 후방 측 모서리 상에 상호 대응되게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제2기둥부재;
    상기 적재판에 대해 수직하도록 상기 한 쌍의 제2기둥부재를 잇는 전후방향선 상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기둥부재;
    상기 적재판에 대해 수직하도록 상기 적재판의 양 측방 측 모서리 상에 상호 대응되게 마주보며 이 둘을 잇는 좌우방향선 상에 상기 제3기둥부재가 위치하도록 쌍을 이루어 설치되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제4기둥부재;
    인접한 상기 제1기둥부재 및 제4기둥부재 사이를 제외한 상기 제1기둥부재 내지 제4기둥부재 중 인접한 기둥부재 간에 고정 결합되어 선반층 별 복수의 상기 적재부 측벽을 이루는 다수의 벽부재; 및
    상기 벽부재에 의해 형성된 상기 적재부 측벽 상면에 각각 결합되어 선반층 별 복수의 상기 적재부 지붕벽을 각각 이루는 다수의 층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선반구조체는,
    상기 층시트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에 걸친 저면에 설치되어 층시트에 가해지는 하중으로부터 상기 층시트를 지지하는 보강 파이프;
    상기 보강 파이프의 단부 저면를 받치며, 좌우방향으로 세워진 상기 벽부재의 상면이 끼움 고정되는 끼움홈이 형성된 보강 브라켓;
    일 선반층을 이루며 상기 적재판의 전방 측 모서리 및 후방 측 모서리 상에 좌우방향으로 세워진 상기 벽부재의 상면 중 상기 보강 브라켓이 끼워진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상면에 끼움 고정되는 제1커버홈이 형성된 하부 지지부; 상기 하부 지지부와 직교를 이루며 층시트의 전면 또는 후면에 끼움 고정되는 제2커버홈이 형성된 층 지지부; 상기 층 지지부와 직교를 이루고 상기 하부 지지부와 평행하며 상기 일 선반층 위에 적층되는 타 선반층을 이루며 상기 적재판의 전방 측 모서리 및 후방 측 모서리 상에 좌우방향으로 세워진 상기 벽부재의 하면에 끼움 고정되는 제3커버홈이 형성된 상부 지지부;를 포함하는 제1보강커버; 및
    상기 층시트의 측면에 끼움 고정되는 제4커버홈이 형성된 제2보강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운반대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ㄷ자형 브라켓은,
    상기 적재판의 전방 측 양 꼭지점을 이루는 상기 가로부재의 전단 측 상면을 덮는 제1결합면;
    상기 제1결합면으로부터 직교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적재판의 전방 측 양 꼭지점을 이루는 상기 세로부재, 가로부재 및 보강프레임의 전면을 덮는 제2결합면;
    상기 제2결합면으로부터 직교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면과 평행한 면을 이루고, 상기 적재판의 전방 측 양 꼭지점을 이루는 상기 세로부재의 저면에 연결된 상기 보강프레임의 저면을 덮는 제3결합면; 및
    상기 제2결합면으로부터 전방측으로 돌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의 선회를 위한 회동축이 상기 제1결합면보다 높은 높이에 연결되는 연장날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운반대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날개판의 하부 전방측에는 상기 적재판에 대해 직교하게 세워진 상기 손잡이의 다리부 선단을 막아 상기 손잡이의 선회를 차단하는 잠금볼트가 삽입 고정 되는 삽입홀이 구비되며,
    상기 삽입홀은 상하 측으로 길게 늘어진 장공의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운반대차.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보강커버는,
    상기 층시트가 끼워지는 일단측이 개방된 상기 제4커버홈을 구비하며, 타단 측 상면에 돌출 형성된 걸림턱이 마련되는 커버몸체부;
    상기 커버몸체부 저면에 연장 형성되어 발광부재가 내장되기 위한 별도의 발광부재 저장홈을 형성하는 제1연장부분 및 상기 제1연장부분의 개방된 저장홈을 덮으며 투명 재질로 마련되는 제1커버부분을 포함하는 발광부; 및
    상기 커버몸체부 타단 측면에 연장 형성되어 타단 측으로 개방된 소정의 삽입홈을 형성하는 제2연장부분 및 상기 제2연장부분의 개방된 삽입홈을 덮으며 투명 재질로 마련되는 제2커버부분을 포함하는 인식표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운반대차.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구조체는,
    상기 층시트의 저면에 설치되며, 내부에 다수의 발광부재를 내장하여 상기 적재부 내부의 적재공간을 밝히는 지붕 발광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붕 발광부는,
    상기 보강파이프가 내부에 삽입되는 파이프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층시트 저면에 연결되는 제1몸체부;
    상기 제1몸체부로부터 상기 층시트의 좌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발광부재가 내장되기 위한 별도의 제1저장홈이 구비되고, 상기 제1저장홈의 개방된 측면에 투명 재질로 마련된 제1커버가 덮여진 제2몸체부; 및
    상기 제1몸체부로부터 상기 층시트의 우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발광부재가 내장되기 위한 별도의 제2저장홈이 구비되고, 상기 제2저장홈의 개방된 측면에 투명 재질로 마련된 제2커버가 덮여진 제3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운반대차.
KR1020150173159A 2015-12-07 2015-12-07 조립식 운반대차 KR1017699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3159A KR101769900B1 (ko) 2015-12-07 2015-12-07 조립식 운반대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3159A KR101769900B1 (ko) 2015-12-07 2015-12-07 조립식 운반대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6923A KR20170066923A (ko) 2017-06-15
KR101769900B1 true KR101769900B1 (ko) 2017-08-22

Family

ID=59217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3159A KR101769900B1 (ko) 2015-12-07 2015-12-07 조립식 운반대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990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2151B2 (ja) * 1996-04-12 2001-07-23 マーリット リミテッド リグノセルロース系複合材料の製造法
KR100907490B1 (ko) * 2008-11-17 2009-07-13 한보일렉트(주) 생수통 운반대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2151B2 (ja) * 1996-04-12 2001-07-23 マーリット リミテッド リグノセルロース系複合材料の製造法
KR100907490B1 (ko) * 2008-11-17 2009-07-13 한보일렉트(주) 생수통 운반대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6923A (ko) 2017-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2231B1 (ko) 모듈형 보관 시스템 및 방법
US9868589B2 (en) Modular transportatio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US11046371B2 (en) System for conveying and stowing elongated material
KR20210058818A (ko) 이동 가능 밀집 저장 및 분류 장치, 조합형 창고 보관 시스템 및 그 조립 방법
CN103068676B (zh) 自动化小车存放柜和包括这种存放柜的飞行器
CN110937032B (zh) 载货车厢及无人载货车辆
US20120194050A1 (en) Transport cart that can be stored in a space-saving manner for equipping an aircraft galley
DK2651796T3 (en) Logistics System Platform
JP2013052979A (ja) 格納ケージを三次元格納区画に自在に出納するシステム。
KR101769900B1 (ko) 조립식 운반대차
CA2695914A1 (en) Method for transporting concentrated mass loads by container
US9908723B2 (en) Modular transportatio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US20210053783A1 (en) Momentum arresting ramp
US20160325882A1 (en) Rolling Modular Pallet System
JP2017081386A (ja) 運搬台車
CN211223643U (zh) 运输车厢及无人运输车辆
CN212150787U (zh) 玻璃转运系统、玻璃转运架及成套的玻璃转运架
AU2019100528A4 (en) Adaptor For Transport Pallet
WO2015041724A9 (en) Modular transportation and storage systems, devices and methods
JPS6211731Y2 (ko)
US20120299325A1 (en) Motor vehicle having a lining module, lining module and composite group
TW202408902A (zh) 移載系統
JP3198299U (ja) 建築材料搬送用台車
EP1479622A1 (en) Pull-out platform for a pallet shelf
JP2004018069A (ja) 板状物搬送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