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9362B1 - 황칠나무 묘목의 재배방법 - Google Patents

황칠나무 묘목의 재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9362B1
KR101769362B1 KR1020160125132A KR20160125132A KR101769362B1 KR 101769362 B1 KR101769362 B1 KR 101769362B1 KR 1020160125132 A KR1020160125132 A KR 1020160125132A KR 20160125132 A KR20160125132 A KR 20160125132A KR 101769362 B1 KR101769362 B1 KR 1017693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seeds
seedlings
pot
m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5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명규
박석용
Original Assignee
최명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명규 filed Critical 최명규
Priority to KR1020160125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93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9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93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01G1/001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3Seed or shoot receptacles
    • A01G9/1026
    • A01G9/1086
    • A01N63/02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00Fertilisers made from animal corpses, or parts thereof
    • C05F1/002Fertilisers made from animal corpses, or parts thereof from fish or from fish-w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5/00Fertilisers from distillery wastes, molasses, vinasses, sugar plant or similar wastes or residues, e.g. from waste originating from industrial processing of raw material of agricultural origin or derived products thereof
    • C05F5/002Solid waste from mechanical processing of material, e.g. seed coats, olive pits, almond shells, fruit residue, rice hu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4/00Drug, bio-affecting and body treating compositions
    • Y10S424/10Insect repell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황칠나무 묘목의 재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황칠 씨앗을 흙에 파종하고, 황칠 씨앗이 파종된 흙의 상부면에 제1혼합토를 덮는 황칠씨앗파종단계, 상기 황칠씨앗파종단계를 통해 파종된 씨앗이 발아하여 싹이 성장하면 유기질비료가 혼합된 제2혼합토가 채워진 포터에 옮겨심고 재배하는 황칠포트묘재배단계, 상기 황칠포트묘재배단계를 통해 재배된 황칠포트묘를 부엽토와 낙엽송이 깔린 토양에 식재하는 황칠포트묘식재단계, 상기 황칠포트묘식재단계를 통해 식재된 황칠포트묘에 유기질비료를 시비하고 등겨를 살포하는 비료시비단계 및 상기 비료시비단계를 통해 비료가 시비된 토양과 황칠포트묘에 해충방제액을 살포하는 해충방제액살포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는 황칠나무 묘목의 재배방법은 비교적 기온이 낮고, 열악한 환경에서도 황칠나무를 묘목을 빠른 기간에 재배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황칠나무 묘목의 재배방법 {CULTIVATION METHOD OF IVY TREE SEEDLING}
개시된 내용은 황칠나무 묘목의 재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교적 기온이 낮고, 열악한 환경에서도 황칠나무를 묘목을 빠른 기간에 재배할 수 있도록 하는 황칠나무 묘목의 재배방법에 관한 것이다.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황칠나무(Dendropanax morbifera Lev.)는 우리나라의 제주도, 완도, 보길도, 거문도 및 해남 등과 같은 남서해안 및 도서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우리나라 특산 수종으로, 황칠나무는 학명에서 뜻하는 바와 같이 목본(Dendro) 전능약(全能藥: panax)이라는 의미가 있고, 황칠액의 주성분은 정유성분으로 수액은 도료로 이용하고 수지는 거풍습과 활혈에 특효가 있다는 보고가 있다. 황칠나무의 효능으로 혈행개선, 간기능 개선, 항산화작용, 면역력 증진, 신경안정, 항균작용 및 항암작용 등이 알려져 있는데, 난지산으로 내한성이 약하여 그 생육 한계가 주로 남쪽섬에 한정되고 양지보다는 음지에서 잘 자라며, 토층이 깊고 유기질이 많은 적습한 토양에서 잘 생육되어 10 내지 15미터 정도로 생장한다. 황칠나무의 자생지는 우리나라 남부 도서지역으로서 해발 200미터 부근의 동남향에 주로 분포되고 경사가 완만한 지역에서 집단적으로 자생하고 있으며, 번식은 주로 종자에 의해서 이루어지는데, 꽃은 산형화서로 6 내지 7월에 가지 끝에서 연황색으로 개화되며, 과실은 타원형으로 10월에 검게 익는다. 황칠나무는 6년생에서 개화가 최초로 이루어지고, 종자번식과 삽목번식이 가능하다.
또한, 황칠나무에 함유된 유효성분은 건강식품 및 건축재료 등에 접목이 가능하여 가치가 높은 수종이지만, 재배환경이 열악한 지역이나, 서남해안보다 기온이 낮은 울산 등 남부지방의 북부에서는 노지재배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특허등록 제10-1652287호(2016.08.24).
개시된 내용은 비교적 기온이 낮고, 열악한 환경에서도 황칠나무를 묘목을 빠른 기간에 재배할 수 있는 황칠나무 묘목의 재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하나의 일 실시예로서 이 개시의 내용은 황칠 씨앗을 흙에 파종하고, 황칠 씨앗이 파종된 흙의 상부면에 제1혼합토를 덮는 황칠씨앗파종단계, 상기 황칠씨앗파종단계를 통해 파종된 씨앗이 발아하여 싹이 성장하면 유기질비료가 혼합된 제2혼합토가 채워진 포터에 옮겨심고 재배하는 황칠포트묘재배단계, 상기 황칠포트묘재배단계를 통해 재배된 황칠포트묘를 부엽토와 낙엽송이 깔린 토양에 식재하는 황칠포트묘식재단계, 상기 황칠포트묘식재단계를 통해 식재된 황칠포트묘에 유기질비료를 시비하고 등겨를 살포하는 비료시비단계 및 상기 비료시비단계를 통해 비료가 시비된 토양과 황칠포트묘에 해충방제액을 살포하는 해충방제액살포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칠나무 묘목의 재배방법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제1혼합토는 부엽토 및 상토가 1:1의 중량부로 혼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더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황칠포트묘재배단계는 상기 황칠씨앗파종단계를 통해 파종된 씨앗이 발아하여 싹이 8 내지 12센티미터로 성장하면 유기질비료가 혼합된 제2혼합토가 채워진 포터에 옮겨심고 2년 동안 재배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제2혼합토는 부엽토, 상토 및 유기질비료가 5:4:1의 중량부로 혼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 더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유기질비료는 파마자 유박과 어분이 1:1의 중량부로 혼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 더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해충방제액은 폐광어 및 불가사리로 이루어진 단백질 혼합물 100 중량부에 부엽토 및 토양미생물로 이루어진 미생물 혼합물 0.001 내지 0.003 중량부 및 물 90 내지 105 중량부를 혼합하고 900 내지 1100일 동안 발효하여 발효액을 제조한 후에, 제조된 발효액을 물로 400 내지 600배 희석하여 제조될 수 있다.
더욱 더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토양미생물은 효모, 유산균, 방선균, 푸른곰팡이 및 호기성광합성세균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황칠나무 묘목의 재배방법은 비교적 기온이 낮고, 열악한 환경에서도 황칠나무를 묘목을 빠른 기간에 재배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개시된 황칠나무 묘목의 재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개시된 황칠나무 묘목의 재배과정 중 황칠씨앗이 발아된 후 약 6개월 후의 모습을 촬영하여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개시된 황칠나무 묘목의 재배과정 중 토양에 식재된 황칠포트묘를 촬영하여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개시된 황칠나무 묘목의 재배과정 중 토양에 황칠포트묘가 식재되고 1년이 경화한 후에 모습을 촬영하여 나타낸 사진이다.
도 5는 개시된 황칠나무 묘목의 재배과정 중 토양에 황칠포트묘가 식재되고 2년이 경화한 후에 모습을 촬영하여 나타낸 사진이다.
도 6은 개시된 황칠나무 묘목의 재배과정 중 토양에 황칠포트묘가 식재되고 2년 6월이 경화한 후에 모습을 촬영하여 나타낸 사진이다.
도 7은 개시된 실시예 1을 통해 4년 동안 재배된 황칠나무 묘목을 촬영하여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각 성분의 물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개시된 황칠나무 묘목의 재배방법은 황칠 씨앗을 흙에 파종하고, 황칠 씨앗이 파종된 흙의 상부면에 제1혼합토를 덮는 황칠씨앗파종단계(S101), 상기 황칠씨앗파종단계(S101)를 통해 파종된 씨앗이 발아하여 싹이 성장하면 유기질비료가 혼합된 제2혼합토가 채워진 포터에 옮겨심고 재배하는 황칠포트묘재배단계(S103), 상기 황칠포트묘재배단계(S103)를 통해 재배된 황칠포트묘를 부엽토와 낙엽송이 깔린 토양에 식재하는 황칠포트묘식재단계(S105), 상기 황칠포트묘식재단계(S105)를 통해 식재된 황칠포트묘에 유기질비료를 시비하고 등겨를 살포하는 비료시비단계(S107) 및 상기 비료시비단계(S107)를 통해 비료가 시비된 토양과 황칠포트묘에 해충방제액을 살포하는 해충방제액살포단계(S109)로 이루어진다.
상기 황칠씨앗파종단계(S101)는 황칠 씨앗을 흙에 파종하고, 황칠 씨앗이 파종된 흙의 상부면에 제1혼합토를 덮는 단계로, 습도가 약 80%인 모래 속에 1개월 정도 보관한 황칠씨앗을 흙과 혼합하는 과정으로 파종한 후에, 상기와 같이 황칠씨앗이 파종된 흙을 스티로폼 등으로 이루어진 일정한 크기의 용기에 담고, 용기에 담겨진 흙의 상부면에 제1혼합토를 2 내지 4센티미터의 두께로 덮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황칠씨앗파종단계(S101)에서 사용되는 황칠씨앗은 습도가 약 80%인 모래 속에서 1개월 정도 보관된 것이 사용되는데, 상기와 같이 습도가 약 80%인 모래 속에서 1개월 정도 보관된 황칠씨앗은 빠른 발아속도를 나타내며, 상기 제1혼합토는 부엽토 및 상토가 1:1의 중량부로 혼합되어 이루어지기 때문에, 파종된 황칠씨앗에 충분한 영양분을 공급하여 황칠씨앗이 빠르게 발아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황칠포트묘재배단계(S103)는 상기 황칠씨앗파종단계(S101)를 통해 파종된 씨앗이 발아하여 싹이 성장하면 유기질비료가 혼합된 제2혼합토가 채워진 포터에 옮겨심어 재배하는 단계로, 황칠씨앗파종단계(S101)를 통해 파종된 씨앗이 발아하여 싹이 8 내지 12센티미터로 성장하면 유기질비료가 혼합된 제2혼합토가 채워진 포터에 옮겨심고 2년 동안 재배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2혼합토는 부엽토, 상토 및 유기질비료가 5:4:1의 중량부로 혼합되어 이루어지는데, 상기와 같이 유기질비료가 함유된 제2혼합토는 황칠나무 씨앗이 황칠포트묘로 성장하는 속도를 향상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유기질비료는 파마자 유박(파자마 기름을 짜고 남은 찌꺼기)과 어분이 1:1의 중량부로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포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시중에서 생산 및 판매중인 일반적인 포터를 사용할 수 있으며, 재배 공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24Well 용량의 포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황칠포트묘식재단계(S105)는 상기 황칠포트묘재배단계(S103)를 통해 재배된 황칠포트묘를 부엽토와 낙엽송이 깔린 토양에 식재하는 단계로, 상기 황칠포트묘재배단계(S103)를 통해 약 20 내지 30 센티미터로 재배된 황칠포트묘를 황칠포트묘를 부엽토와 낙엽송이 깔린 토양에 20 내지 50 센티미터의 조밀한 간격으로 식재하는 단계다.
황칠포트묘는 겨울철과 같이 영하 2℃의 온도에서 약 열흘 정도 노출되면 고사하기 때문에, 황칠포트묘를 식재할 때는 기후조건이 열악한 자연조건을 극복하기 위해 남향을 두고 식재하며, 겨울철 강우에 대비해 물 빠짐이 좋게 골을 깊게 판 상태에서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부엽토와 낙엽송은 황칠포트묘가 식재되는 토양이 최대한 자연상태에 가깝도록 부엽토와 낙엽송이 1:1의 중량부로 혼합된 혼합물을 약 10센티미터의 두께로 도포한 상태에서 황칠포트묘의 식재과정을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료시비단계(S107)는 상기 황칠포트묘식재단계(S105)를 통해 식재된 황칠포트묘에 유기질비료를 시비하고 등겨를 살포하는 단계로, 상기 황칠포트묘식재단계(S105)를 통해 황칠포트묘가 식재된 후에 약 30일이 지나면, 식재된 황칠포트묘의 뿌리가 토양에 자리를 잡게 되며, 이때, 파마자 유박과 어분이 1:1의 중량부로 이루어진 유기질비료를 식재된 황칠포트묘 하나당 약 300 내지 400g씩 시비하고, 등겨를 살포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유기질비료를 시비할 때는 식재된 황칠포트묘의 뿌리 옆에 흙을 약간 파낸 상태에서 유기질비료를 시비한 후에 다시 흙을 덮어주는 것이 바람직하며, 유기질 비료의 시비가 완료된 후에는 토양의 습도 및 온도의 유지를 위해 벼를 도정하고 남은 등겨를 토양의 표면에 4 내지 6센티미터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도록 살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해충방제액살포단계(S109)는 상기 비료시비단계(S107)를 통해 비료가 시비된 토양과 황칠포트묘에 해충방제액을 살포하는 단계로, 상기 비료시비단계(S107)를 통해 비료가 시비된 황칠포트묘에 해충방제액을 살포하되, 여름철에는 햇빛이 없거나 약한 새벽시간에 살포하고, 봄에는 월 1회 200ml 여름에는 2주에 1회 200ml를 살포하는 단계다. 또한, 황칠포트묘가 성장하여 4년생 정도 되면 해충방제액을 1주일에 약 500 내지 1000ml를 살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해충방제액은 해충에 의해 피해를 억제할 뿐만 아니라, 토양에 각종 영양성분을 공급하며, 토양미생물이 함유되어 있어 토양을 비옥하게 하기 때문에 황칠묘목이 빠르게 성정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해충방제액은 폐광어 및 불가사리로 이루어진 단백질 혼합물 100 중량부에 부엽토 및 토양미생물로 이루어진 미생물 혼합물 0.001 내지 0.003 중량부 및 물 90 내지 105 중량부를 혼합하고 덮게를 덮어 밀봉한 후에 900 내지 1100일 동안 발효하여 발효액을 제조한 후에, 제조된 발효액을 물로 400 내지 600배 희석하여 제조된다.
상기 과정 중 생성되는 발효액은 서서히 냄새가 없어지며, 약 5일 후에는 층을 이루던 렉틴(Lectin)과 단백질의 계면이 서서히 엷어지면서 묽어지다가 결국은 묽은 담갈객의 액체로 전환되는데, 상기 발효액에는 렉틴(Lectin) 및 단백질 등이 생성되기 때문에 농작물에 공급될 수 있는 영양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고, 해충방제의 기능이 부여된다.
이때, 상기 토양미생물은 효모, 유산균, 방선균, 푸른곰팡이 및 호기성광합성세균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해충방제액을 살포한 후에 재배과정을 진행하는데, 겨울철의 경우 동해로부터 황칠묘목을 보호하기 위해 비닐이나 폐현수막과 같은 보온시설로 황칠묘목이 식재된 이랑을 덮어주는 것이 바람직하며, 산의 등성이 보다는 계곡과 같이 습도가 높은 지역에서 재배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습도를 유지하기 위해 논과 같이 물이 흐르거나 물이 고여있는 강가에서 재배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황칠나무 묘목의 재배방법을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습도가 약 80%인 모래 속에 1개월 정도 보관한 황칠씨앗을 흙 100 중량부 대비 5 중량부로 파종하고, 황칠씨앗이 파종된 흙을 스피로폼 용기에 담고 부엽토 및 상토가 1:1의 중량부로 혼합되어 이루어진 흙을 3센티미터의 두께로 덮어 황칠씨앗이 발아되도록 한 후에, 파종된 씨앗이 발아하여 싹이 10센티미터 정도로 성장하면 부엽토, 상토 및 유기질비료(파마자 유박과 어분이 1:1의 중량부로 혼합)가 5:4:1의 중량부가 채워진 포터에 옮겨심고 2년 동안 재배한 후에, 2년 동안 약 20 내지 30 센티미터로 재배된 황칠포트묘를 부엽토와 낙엽송이 1:1의 중량부로 혼합된 혼합토가 약 10센티미터의 두께로 깔린 토양에 35 센티미터의 간격으로 식재하고, 황칠포트묘가 식재되고 30일 후에 파마자 유박과 어분이 1:1의 중량부로 이루어진 유기질비료를 식재된 황칠포트묘 하나당 약 350g씩 시비하고, 등겨가 토양에 약 5센티미터 두께로 형성되도록 살포하고, 해충방제액(폐광어 및 불가사리가 1:1의 중량부로 혼합된 단백질 혼합물 100 중량부에 부엽토 및 토양미생물이 1:1의 중량부로 혼합되어 이루어진 미생물 혼합물 0.002 중량부 및 물 99.998 중량부를 혼합하고 덮게를 덮어 밀봉한 후에 1000일 동안 발효하여 발효액을 제조하고, 제조된 발효액을 물로 500배 희석하여 제조)을 여름철에는 햇빛이 없거나 약한 새벽시간에 살포하되, 봄에는 월 1회 200ml 여름에는 2주에 1회 200ml를 살포하고, 식재된 황칠포트묘가 성장하여 4년생 정도 되면 해충방제액을 1주일에 약 500 내지 1000ml 살포하여 4년생 황칠나무 묘목을 재배하였다.
단, 재배는 울산광역시 울주군 상북면 명촌리 318번지에서 진행하였다.
상기 실시예 1을 통해 이루어지는 황칠나무 묘목의 제배과정을 아래 도2 내지 도 7에 나타내었다.
아래 도 2 내지 7에 나타낸 것처럼, 개시된 황칠나무 묘목의 재배방법은 비교적 기온이 낮고, 열악한 환경에서도 황칠나무를 묘목을 빠른 기간에 재배할 수 있으며, 꽃이 필 정도로 영양상태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S101 ; 황칠씨앗파종단계
S103 ; 황칠포트묘재배단계
S105 ; 황칠포트묘식재단계
S107 ; 비료시비단계
S109 ; 해충방제액살포단계

Claims (7)

  1. 황칠 씨앗을 흙에 파종하고, 황칠 씨앗이 파종된 흙의 상부면에 제1혼합토를 덮는 황칠씨앗파종단계;
    상기 황칠씨앗파종단계를 통해 파종된 씨앗이 발아하여 싹이 성장하면 유기질비료가 혼합된 제2혼합토가 채워진 포터에 옮겨심고 재배하는 황칠포트묘재배단계;
    상기 황칠포트묘재배단계를 통해 재배된 황칠포트묘를 부엽토와 낙엽송이 깔린 토양에 20센티미터의 간격으로 조밀하게 식재하는 황칠포트묘식재단계;
    상기 황칠포트묘식재단계를 통해 식재된 황칠포트묘에 유기질비료를 시비하고 등겨를 4 내지 6센티미터의 두께로 살포하는 비료시비단계; 및
    상기 비료시비단계를 통해 비료가 시비된 토양과 황칠포트묘에 해충방제액을 살포하는 해충방제액살포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해충방제액은 폐광어 및 불가사리로 이루어진 단백질 혼합물 100 중량부에 부엽토 및 토양미생물로 이루어진 미생물 혼합물 0.001 내지 0.003 중량부 및 물 90 내지 105 중량부를 혼합하고 900 내지 1100일 동안 발효하여 발효액을 제조한 후에, 제조된 발효액을 물로 400 내지 600배 희석하여 제조되고,
    상기 토양미생물은 효모, 유산균, 방선균, 푸른곰팡이 및 호기성광합성세균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칠나무 묘목의 재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혼합토는 부엽토 및 상토가 1:1의 중량부로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칠나무 묘목의 재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황칠포트묘재배단계는 상기 황칠씨앗파종단계를 통해 파종된 씨앗이 발아하여 싹이 8 내지 12센티미터로 성장하면 유기질비료가 혼합된 제2혼합토가 채워진 포터에 옮겨심고 2년 동안 재배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칠나무 묘목의 재배방법.
  4. 청구항 1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제2혼합토는 부엽토, 상토 및 유기질비료가 5:4:1의 중량부로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칠나무 묘목의 재배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유기질비료는 파마자 유박과 어분이 1:1의 중량부로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칠나무 묘목의 재배방법.
  6. 삭제
  7. 삭제
KR1020160125132A 2016-09-28 2016-09-28 황칠나무 묘목의 재배방법 KR1017693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5132A KR101769362B1 (ko) 2016-09-28 2016-09-28 황칠나무 묘목의 재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5132A KR101769362B1 (ko) 2016-09-28 2016-09-28 황칠나무 묘목의 재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9362B1 true KR101769362B1 (ko) 2017-08-21

Family

ID=59757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5132A KR101769362B1 (ko) 2016-09-28 2016-09-28 황칠나무 묘목의 재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936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34813A (zh) * 2018-07-17 2018-12-07 遵义师范学院 一种鱼腥草的栽培方法
CN111742794A (zh) * 2020-07-28 2020-10-09 云阳县晚艳农业开发有限公司 一种适于大面积种植的菊花种植方法
KR102255693B1 (ko) * 2021-02-22 2021-05-25 주식회사 인화무역 시서스의 재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34813A (zh) * 2018-07-17 2018-12-07 遵义师范学院 一种鱼腥草的栽培方法
CN111742794A (zh) * 2020-07-28 2020-10-09 云阳县晚艳农业开发有限公司 一种适于大面积种植的菊花种植方法
KR102255693B1 (ko) * 2021-02-22 2021-05-25 주식회사 인화무역 시서스의 재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99292B (zh) 一种大棚洋葱的栽培方法
CN104322257A (zh) 一种铁皮石斛简易大棚规范化种植的方法
CN104641872A (zh) 一种黄瓜种植栽培方法
CN103947501B (zh) 一种优质奶枣丰产造林的种植方法
CN105123404A (zh) 茶树移栽培育方法
CN108029431A (zh) 柑橘嫁接育苗方法
CN113906944B (zh) 一种三角梅花期的调控方法
CN107567926A (zh) 一种无花果与芦笋套种方法
KR101769362B1 (ko) 황칠나무 묘목의 재배방법
CN101406149A (zh) 果树快速育苗一年出圃技术
CN106718440B (zh) 一种有机水稻自然防病虫害生态种植方法
CN101480160A (zh) 果树快速育苗一年出圃技术
CN108541527A (zh) 火龙果套种牛大力的种植方法
CN109757274B (zh) 罗汉果组培苗高产高效移栽方法
CN105917883A (zh) 一种矮化枫香盆景的栽培方法
CN105103900A (zh) 一种高山无公害反季节四季豆栽培工艺
CN107493934A (zh) 一种无花果与草莓套种方法
CN110476739B (zh) 一种适合海南种植辣椒的方法
CN110140608B (zh) 一种玫瑰茄一年两熟的栽培方法
CN106718569A (zh) 一种红橙扦插育苗及丰产栽培方法
CN103749129B (zh) 一种红花天料木无性快繁方法
CN106508367A (zh) 黄瓜栽培方法
CN110547156A (zh) 一种番茄高产的栽培方法
CN109089774A (zh) 一种南瓜高产栽培方法
CN113179878A (zh) 一种苦瓜富硒提质栽培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9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100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92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2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8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8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8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220503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7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