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6696B1 - 폐유리의 필름-유리 분리 장치 - Google Patents

폐유리의 필름-유리 분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6696B1
KR101746696B1 KR1020150187410A KR20150187410A KR101746696B1 KR 101746696 B1 KR101746696 B1 KR 101746696B1 KR 1020150187410 A KR1020150187410 A KR 1020150187410A KR 20150187410 A KR20150187410 A KR 20150187410A KR 101746696 B1 KR101746696 B1 KR 101746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film
shredder
crushing
ham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7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1818A (ko
Inventor
윤진호
이찬기
박경수
박재량
홍명환
Original Assignee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filed Critical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Publication of KR20160081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18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6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66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02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with horizontal rotor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8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 B02C18/009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for waste water or for garb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18Knives; Mounting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4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폐유리 등 필름 접합 유리로부터 유리와 필름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폐접합유리를 필름과 유리로 분리하는 폐유리의 필름-유리 분리장치에 있어서, 투입된 접합유리에 전단력과 수직력을 가하여 1차 파쇄하는 슈레더 장치와, 상기 1차 파쇄유리에 타격을 가해 2차 분쇄하여 유리와 필름을 분리하는 햄머밀 장치로 이루어진 폐유리의 필름-유리 분리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폐유리의 필름-유리 분리 장치{FILM-GLASS SEPARATING DEVICE FROM WASTED GLASS}
본 발명은 자동차 폐유리 등 필름 접합 유리로부터 유리와 필름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슈레더(shredder)장치와, 햄머밀(hammer mill)을 이용하여 시스템을 단순화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유리는 사고 시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수지를 이용한 필름 코팅층을 이용하여 접합되고, 이러한 수지는 유리 사이에서 필름 코팅층을 형성하여 유리의 강도를 높이고 취성을 낮추어 유리의 파편이 비산되지 않게 한다. 자동차 유리뿐만 아니라, 고층 빌딩에 사용되는 유리는 크랙이 발생하더라도 비산되는 경우 큰 사고로 이어 질 수 있기 때문에 취성을 낮추기 위하여 복수개의 유리층 사이에 수지를 이용한 코팅층을 형성하여 제조한다. 특히, 최근에는 유리의 강도와 관련된 물성뿐만 아니라, 용도에 따른 편광능력, 적외선 흡수력 등을 높일 수 있는 물성을 달리하기 위한 다양한 물질의 필름 코팅층을 유리에 접합하고 있는 실정이다.
건조물에 이용되는 유리 보다는 자동차는 일정 수명이 되면 폐기하여야 하는 소모품이기 때문에, 자동차 유리의 재활용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자동차 유리에는 폴리비닐부틸레이트(PVB)와 같은 수지 코팅층이 이용되며, 이하, PVB 코팅층을 갖는 자동차용 유리를 중점으로 하여 종래 기술 및 본 발명을 설명한다.
폐차장에서는 우선 자동차에서 유리 제품과 다른 고철 등의 재료로부터 분리 한 후 PVB와 유리를 분리하는 과정을 거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파쇄유리를 한 장씩 파쇄스파이크로울러로 이송한 후 1차 분쇄를 수행한다. 1차 분쇄된 폐접합유리는 유리의 파쇄율은 높지만 코팅층의 파쇄 및 절단율은 상대적으로 낮다. 따라서, 깨진 유리가 코팅층의 필름에 붙어 있는 상태이므로 파쇄블레이드로울러를 이용하여 2차 분쇄를 수행한다. 2차 분쇄를 통해 일부의 유리는 코팅층의 필름에서 분리되고, 일부의 유리는 코팅층과 함께 존재하게 된다.
전술한 1차 파쇄 및 2차 분쇄는 실질적으로 로울러를 이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유리의 수직방향으로 압력을 많이 받는 분쇄작업으로서 코팅층과 유리의 분리에 효율적이지는 않다. 따라서, 이후 파쇄해머를 이용하여 유리와 코팅층이 여전히 붙어 있는 파티클을 임의의 방향으로 두드리면서 수직력, 전단력을 함께 가함으로써 유리와 코팅층을 분리시키는 3차 분쇄를 수행 한 후, 유리와 필름의 파티클의 크기차, 밀도차, 중량차 등을 이용하여 분리 하여 유리와 필름을 분리하여 재활용을 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와 같은 필름유리 분리 장치는 3단계 이상의 파쇄 및 분쇄과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시스템이 복잡해 지고, 시스템의 크기도 크며, 유리와 코팅층의 분리 시간도 현저히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1차 파쇄과정에서 수직방향의 압력뿐만 아니라 전단력을 제공할 수 있고, 짧은 파쇄 및 분쇄과정으로 필름과 유리를 분리해 낼 수 있는 폐유리의 필름-유리 분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슈레더 날에 견고히 고정되면서도 교체가 용이한 슈레더 파쇄치를 갖는 폐유리의 필름-유리 분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폐접합유리를 필름과 유리로 분리하는 폐유리의 필름-유리 분리장치에 있어서, 투입된 접합유리에 전단력과 수직력을 가하여 1차 파쇄하는 슈레더 장치와, 상기 1차 파쇄유리에 타격을 가하여 2차 분쇄하여 유리와 필름을 분리하는 햄머밀 장치로 이루어진 폐유리의 필름-유리 분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슈레더장치는 폐접합유리가 투입되는 입구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장착된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회전축에 연결된 구동축과,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구동축의 원주에 상기 구동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배치된 다수의 제1 슈레더디스크와, 상기 구동축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구동축에 의해 종동되는 종동축과,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종동축의 원주에 상기 종동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배치된 다수의 제2 슈레더디스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슈레더디스크 및 제2 슈레더디스크는 엇갈리게 배치되어 이들 사이로 통과하는 물체에 마찰력을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및 제2 슈레더디스크는, 디스크몸체와, 상기 디스크몸체에서 돌출된 하나 이상의 착탈 가능한 파쇄치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크몸체는 회전방향으로 반경이 커지는 외주를 가지며, 상기 파쇄치 장착위치에서 최대 직경부와 최소직경부가 만나도록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슈레더디스크는, 상기 제1 슈레더디스크의 파쇄치가 상기 구동축을 따라 제1 방향의 나선형으로 배열되도록, 상기 구동축에 장착되며, 상기 제2 슈레더디스크는, 상기 제2 슈레더디스크의 파쇄치가 상기 종동축을 따라 상기 제1 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 방향의 나선형으로 배열되도록, 상기 종동축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최소직경부에는 파쇄치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파쇄치는 상기 파쇄치고정홈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고정편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절곡부에는 제1 나사홀이 형성되고, 상기 파쇄치에는 제2 나사홀이 형성되어, 상기 절곡부와 상기 파쇄치가 볼트에 의해 나사 결합할 수 있다.
상기 구동축에는 구동기어가 결합되고, 상기 종동축에는 상기 구동기어에 맞물리는 종동기어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햄머밀은, 햄머밀구동부와, 상기 햄머밀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는 햄머를 수용하는 햄머드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햄머드럼은, 상기 슈레더장치에 의해 1차 파쇄된 파쇄입자가 투입되는 투입구와, 상기 햄머밀구동부의 구동에 의해서 회전하는 햄머와, 상기 투입구와 연결되며 상기 햄머를 회전가능하게 수용하는 원통형 몸체와, 상기 원통형몸체 내주면에 형성되는 타격라이너와, 싱기 몸체의 하부를 이루며 유리 미분 입자만 통과할 수 있는 천공이 형성된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을 통과한 유리미분입자가 저장되는 유리미분저장부와, 상기 몸체 상부의 필름저장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1차 파쇄시, 수직 응력뿐만 아니라 전단력(viscous force)을 제공할 수 있는 슈레더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유리의 파쇄뿐만 아니라 코팅층의 필름의 절삭 및 고팅층 필름과 유리의 분리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하여 1차 파쇄의 질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슈레더 장치를 이용하기 때문에 폐유리를 임의의 방향으로 투입하더라도 작업이 가능함으로써, 유리를 일정방향으로 투입해야 하는 파쇄로울러를 이용하는 경우 보다는 작업 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슈레더 디스크의 단면에 구비되는 파쇄치(crushing teeth)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어서 파쇄치 마모시 슈레더 디스크 전체를 교환할 필요 없이 파쇄치만 교환함으로써 유지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폐유리의 필름-유리 분리 과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필름유리 분리 과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폐유리의 필름-유리 분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의 필름-유리 분리장치 중 슈레더 장치에 장착되는 슈레더 디스크 중의 하나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슈레더 디스크에 파쇄치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도 3의 필름-유리 분리 장치의 슈레더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3의 필름-유리 분리 장치의 햄머밀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필름-유리 분리장치에 의해 분리된 입자들을 도시한 확대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의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이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구비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필름접합유리는 두 장의 판유리 사이에 폴리비닐부티날 필름(polyvinyl butyral film, PVB 필름)과 같은 접합 필름을 포함하는 유리를 의미하나, 본 발명은 자동차용 폐유리 처리에 관한 것이므로, 본 발명에서 처리하는 필름접합유리는 자외선 차단용 필름과 같은 코팅 필름이 표면에 부착된 유리도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슈레더장치(100)에 폐접합유리를 투입하면서 필름-유리 분리 과정이 시작된다. 슈레더장치(100)는 하우징(101)과 그 내부에 설치된 제1 슈레더(120a) 및 제2 슈레더(120b)을 구비하며, 제1 슈레더(120a)에 연결된 구동부(110)와, 구동부(110)의 회전축에 연결된 구동축(122a)과, 하우징(101) 내에서 구동축(122a)의 원주에 구동축(122a)의 길이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배치된 다수의 제1 슈레더디스크(130a)와, 구동축(122a)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구동축(122a)에 의해 종동되는 종동축(122b)과, 하우징(101) 내에서 종동축(122b)의 원주에 종동축(122b)의 길이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배치된 다수의 제2 슈레더디스크(130b)와, 제1 및 제2 슈레더디스크(130a, 130b)들 사이에 끼워져 제1 및 제2 슈레더디스크(130a, 130b) 외측으로 물질이 통과하지 못하게 하는 가이드(102)를 포함한다.
제1 슈레더디스크(130a)와 제2 슈레더디스크(130b)는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어 이들의 회전시 이들 사이를 지나는 물체는 디스크 단부의 회전에 의한 수직력과, 디스크면들 사이에서 마찰력에 의한 전단력을 받게 된다.
구동축(122a)에는 구동기어(112a)가 결합되고, 종독축(122b)에는 구동기어(112a)에 맞물리는 종동기어(122b)가 결합된다. 따라서, 구동부(110)가 구동되면 구동축(122a)에 결합된 구동기어(112a)의 회전에 의해 종동기어(112b)가 회전하고 이에 의해 종동축(122b)이 회전하며, 구동축(122a)과 종동축(122b)이 회전하면서 제1 슈레더디스크(130a) 및 제2 슈레더디스크(130b)가 서로 엇갈린 위치에서 회전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슈레더장치(100)를 통과한 접합유리는 수직력과 전단력을 함께 받아 1차적으로 파쇄된다. 파쇄된 1차 파쇄유리의 입자는 접합유리에서 코팅필름이 일부 분리된 상태이므로 파쇄된 코팅유리, 파쇄된 유리 및 분리된 코팅필름이 혼합된 상태이다. 파쇄된 1차 파쇄유리는 햄머밀(200)에 투입된다.
햄머밀(200)은 햄머밀구동부(201)와 의해 회전하는 햄머에 의해 1차 파쇄유리 중 코팅유리를 2차 분쇄하여 유리에서 코팅필름을 완전히 분리시키며, 유리입자를 미분화하는 햄머드럼(202)을 구비한다. 햄머밀구동부(201)는 동력전달부(212)를 통해 햄머드럼(202) 내의 해머를(도 4 참조)를 구동한다. 슈레더장치(100)에서 파쇄된 접합유리는 햄머밀(200) 내에서 분쇄되어 코팅층이 분리되고 유리가 미분화된다. 따라서 필름과 미분의 유리를 별도로 분리 회수할 수 있다.
도 5 도시된 바와 같이, 햄머밀(200)은 슈레더장치(100)에 의해 1차 파쇄된 파쇄입자가 투입되는 투입구(210)와, 햄머밀구동부(201)의 구동에 의해서 햄머드럼(202) 내에서 회전하는 햄머(230)와, 투입구(210)와 연결되며, 햄머(230)를 회전가능하게 수용하는 원통형 몸체(260)와, 원통형몸체(260) 내주면에 형성되는 타격라이너(220)와, 몸체(260)의 하부를 이루며 유리 미분 입자만 통과할 수 있는 천공이 형성된 스크린(250)과, 스크린(250)을 통과한 유리미분입자가 저장되는 유리미분저장부(240)를 포함한다.
햄머(230)과 타격라이너(220)에 의해 유리는 미분화 되어 미세유리가 되고 유리저장부(240)로 분리되지만, 코팅층의 필름은 타격에 의한 수직충격으로 부서지지 않으므로 미분화되지 않고, 스크린(250) 상에 분리되어 남으며, 햄머(230)와 함께 회전하다가 몸체(260) 상부의 필름저장소(도시하지 않음)에서 분리된다.
햄머밀의 상세 구성은 통상의 햄머밀과 유사하므로 작동 원리 등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본원 발명은 접합유리의 1차 파쇄시 슈레더장치를 이용함으로써, 투입되는 물질에 수직방향의 압력뿐만 아니라, 전단력을 제공함으로써, 파쇄율을 높힐 수 있고, 특히 코팅층을 다향한 방향으로 절삭하여 파쇄해 내기 때문에 종래의 로울러를 이용하는 파쇄장치에 비해 현저히 빠른 공정으로 유리와 필름을 분리해 낼 수 있다.
종래기술과 본 발명의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 1과 도 2을 비교하면, 종래기술의 도 1에서 콘베이어 공급 및 이송 과정을 뺀다 하더라도, 본 발명인 도 2의 프로세스에서 필름-유리의 분리과정이 현저히 단순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종래에는 2 이상의 로울러 파쇄기와 유리의 미분화를 분리를 위한 해머와 분리기를 포함하여야 하지만, 본 발명의 경우 수직방향의 힘뿐만 아니라 전단력을 제공할 수 있는 슈레더장치(100)와 유리를 2차 분쇄하여 미분화 할 수 있는 햄머밀(200) 만으로도 필름-유리를 분리해 낼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장치가 종래의 기술에 비해 현저히 단순화 되었음을 알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슈레더디스크(130)는 하나 이상의 돌출된 파쇄치(140)를 갖는다. 이 실시예에서 파쇄치는 등간격으로 세개가 구비된다.
슈레더디스크(130)의 디스크몸체(132)는 회전방향으로 반경이 커지는 외주를 가지며, 파쇄치(140)가 장착되는 위치에서 최대직경부와 최소직경부가 만나도록 절곡되어 반경이 줄어든다. 디스크몸체(132)의 절곡부의 최소 직경부에는 파쇄치고정홈(133)이 형성된다. 파쇄치(140)는 파쇄치고정홈(133)에 대응하는 고정편(141)을 가져 절곡부 및 파쇄치고정홈(133)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도 6과 같이 파쇄치(140)를 파쇄치고정홈(133) 및 절곡부에 끼워넣을 수 있다.
디스크몸체(132)의 외주 절곡면에는 제1 나사홀이 형성되고, 파쇄치(140)의 파쇄면에는 제2 나사홀(142)이 형성되어, 도 7과 같이 절곡면에 파쇄치(140)가 볼트(150)에 의해 나사결합한다. 파쇄치(140)는 파쇄치고정홈(133) 및 볼트(150)에 의해 슈레더디스크(130)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파쇄치(140)가 사용에 의해 닳거나 파손되는 경우 슈레더디스크(130) 전체를 교체하는 것이 아니라 파쇄치만을 교환하여 유지 보수가 용이해진다.
도 7은 전술한 슈레더디스크(130)를 슈레더 장치(100)에 장착한 실시예이다. 이 실시예에서 제1 슈레더디스크(130a)에는 구동축(122a)에 제1 파쇄치(140a)가 구동축(122a)을 따라 나선형으로 배열되도록 장착되며, 제2 슈레더디스크(130b)에는 종동축(122b)에 제2 파쇄치(140b)가 종동축(122a)을 따라 제1 파쇄치(140a)의 배열방향과 반대방향의 나선형으로 배열되도록 장착된다. 제1 및 제2 파쇄치(140a, 140b)의 배열은 슈레더장치(100)의 구동부(100)의 구동에 따라 제1 및 제2 파쇄치(140a, 140b)가 접합유리 투입 방향에서 볼 때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의 나선을 형성한다. 따라서, 투입된 접합유리를 효과적으로 파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0: 슈레더장치 101: 하우징
102: 가이드 110: 구동부
112a: 구동기어 112b: 종동기어
120a: 제1 슈레더 120b: 제2 슈레더
122a: 구동축 122b: 종동축
130: 슈레더디스크 132: 디스크몸체
133: 파쇄치고정홈 140: 파쇄치
141: 고정편 134, 142: 나사홀
150: 볼트 200: 햄머밀
210: 투입구 220: 타격라이너
230: 햄머 240: 유리미분저장부
250: 스크린 260: 햄머밀 몸체

Claims (11)

  1. 폐접합유리를 필름과 유리로 분리하는 폐유리의 필름-유리 분리장치에 있어서,
    투입된 접합유리에 전단력과 수직력을 가하여 1차 파쇄하는 슈레더장치와, 상기 1차 파쇄유리에 타격을 가해 2차 분쇄하여 유리와 필름을 분리하는 햄머밀 장치로 이루어지며,
    상기 햄머밀은, 햄머밀구동부와, 상기 햄머밀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는 햄머를 수용하는 햄머드럼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햄머드럼은, 상기 슈레더장치에 의해 1차 파쇄된 파쇄입자가 투입되는 투입구와, 상기 햄머밀구동부의 구동에 의해서 회전하는 햄머와, 상기 투입구와 연결되며 상기 햄머를 회전가능하게 수용하는 원통형 몸체와, 상기 원통형 몸체 내주면에 형성되는 타격라이너와, 상기 몸체의 하부를 이루며 유리미분입자만 통과할 수 있는 천공이 형성된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을 통과한 유리미분입자가 저장되는 유리미분저장부와, 상기 몸체 상부의 필름저장소를 포함하여,
    상기 햄머와 상기 타격라이너에 의해서 분쇄되어 필름과 분리된 유리 미분 입자는 상기 유리미분저장부에 저장되고, 유리가 분쇄되면서 유리와 분리된 필름은 상기 필름저장소에 저장됨으로써, 햄머밀의 내부에 위치한 상기 햄머드럼에서 유리와 필름의 분리와 선별이 함께 수행되고, 선별하여 저장된 유리와 필름이 개별적으로 햄머밀에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유리의 필름-유리 분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슈레더장치는
    폐접합유리가 투입되는 입구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장착된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회전축에 연결된 구동축과,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구동축의 원주에 상기 구동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배치된 다수의 제1 슈레더디스크와,
    상기 구동축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구동축에 의해 종동되는 종동축과,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종동축의 원주에 상기 종동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배치된 다수의 제2 슈레더디스크
    를 포함하는 폐유리의 필름-유리 분리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슈레더디스크 및 제2 슈레더디스크는 엇갈리게 배치되어 이들 사이로 통과하는 물체에 마찰력을 가하는
    폐유리의 필름-유리 분리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슈레더디스크는,
    디스크몸체와,
    상기 디스크몸체에서 돌출된 하나 이상의 착탈 가능한 파쇄치
    를 구비하는 폐유리의 필름-유리 분리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몸체는 회전방향으로 반경이 커지는 외주를 가지며, 상기 파쇄치 장착위치에서 최대 직경부와 최소직경부가 만나도록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되는
    폐유리의 필름-유리 분리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슈레더디스크는, 상기 제1 슈레더디스크의 파쇄치가 상기 구동축을 따라 제1 방향의 나선형으로 배열되도록, 상기 구동축에 장착되며,
    상기 제2 슈레더디스크는, 상기 제2 슈레더디스크의 파쇄치가 상기 종동축을 따라 상기 제1 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 방향의 나선형으로 배열되도록, 상기 종동축에 장착되는
    폐유리의 필름-유리 분리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최소직경부에는 파쇄치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파쇄치는 상기 파쇄치고정홈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고정편을 구비하는
    폐유리의 필름-유리 분리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에는 제1 나사홀이 형성되고,
    상기 파쇄치에는 제2 나사홀이 형성되어,
    상기 절곡부와 상기 파쇄치가 볼트에 의해 나사 결합하는
    폐유리의 필름-유리 분리장치.
  9. 청구항 2항 내지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에는 구동기어가 결합되고,
    상기 종동축에는 상기 구동기어에 맞물리는 종동기어가 결합되는
    폐유리의 필름-유리 분리장치.
  10. 삭제
  11. 삭제
KR1020150187410A 2014-12-30 2015-12-28 폐유리의 필름-유리 분리 장치 KR1017466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94280 2014-12-30
KR1020140194280 2014-12-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1818A KR20160081818A (ko) 2016-07-08
KR101746696B1 true KR101746696B1 (ko) 2017-06-20

Family

ID=56503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7410A KR101746696B1 (ko) 2014-12-30 2015-12-28 폐유리의 필름-유리 분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669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40720A (ja) * 2003-07-23 2005-02-17 Kiichi Kage 破砕装置
KR100650509B1 (ko) 2006-04-17 2006-11-28 태성개발(주) 침강저류조를 포함하여 제공되는 진동스크린 분리방법 및그 장치
KR100801418B1 (ko) * 2007-09-19 2008-02-05 하용호 자동차 폐유리를 재생하기 위한 분쇄 방법 및 그 장치
KR101050435B1 (ko) 2008-10-13 2011-07-19 박희달 석재 및 건설 폐기물을 이용한 골재 제조장치
JP2011183243A (ja) 2010-03-04 2011-09-22 Panasonic Corp ガラスリサイクル方法及びシステム
KR101350977B1 (ko) * 2013-07-18 2014-01-22 주식회사 삼광 에프.이.에스 음식물찌꺼기 자동 분쇄 및 선별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40720A (ja) * 2003-07-23 2005-02-17 Kiichi Kage 破砕装置
KR100650509B1 (ko) 2006-04-17 2006-11-28 태성개발(주) 침강저류조를 포함하여 제공되는 진동스크린 분리방법 및그 장치
KR100801418B1 (ko) * 2007-09-19 2008-02-05 하용호 자동차 폐유리를 재생하기 위한 분쇄 방법 및 그 장치
KR101050435B1 (ko) 2008-10-13 2011-07-19 박희달 석재 및 건설 폐기물을 이용한 골재 제조장치
JP2011183243A (ja) 2010-03-04 2011-09-22 Panasonic Corp ガラスリサイクル方法及びシステム
KR101350977B1 (ko) * 2013-07-18 2014-01-22 주식회사 삼광 에프.이.에스 음식물찌꺼기 자동 분쇄 및 선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1818A (ko) 2016-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7554B1 (ko) 로울 크러셔
KR101787666B1 (ko) 폐기물 파쇄장치
CN212017940U (zh) 一种用于煤矸石粉碎加工的高细破碎机
EP2482987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zerkleinerung von erzmaterial
KR101746696B1 (ko) 폐유리의 필름-유리 분리 장치
JP2003245569A (ja) 微粉砕機
JP2011156446A (ja) 石膏ボードの破砕装置
KR100686324B1 (ko) 4축 파쇄장치
KR101612534B1 (ko) 산업폐기물 분쇄기
JP4048537B2 (ja) 合わせガラスやラミネートガラスをガラスとフィルムとに分離する方法及び装置
KR100738142B1 (ko) 자동차용 전면유리 및 필름 선별장치
CN105562175A (zh) 双轴差动垃圾破碎机
KR101839516B1 (ko) 폐타이어 분쇄 장치
CN107377165A (zh) 一种双刀组双联动塑料粉碎机
KR101758881B1 (ko) 폐유리 재활용을 위한 필름-유리 회수 플랜트의 필름-유리 전단분리기
KR19980033677A (ko) 폐 타이어의 분쇄장치
CN106669909A (zh) 高研磨齿轮式粉碎机
JP2001000877A (ja) ガラス粉砕機
CN105251574A (zh) 一种废弃发票销毁专用碎纸机
CN211467098U (zh) 一种纤维滤袋回收粉碎装置
KR20160061749A (ko) 폐금속 분쇄기
CN217568889U (zh) 一种带有防迸溅功能的破碎机
JP4623405B2 (ja) 合わせガラスの破砕装置
CN119549250A (zh) 一种可控制粉碎尺寸的碳纤板粉碎机
RU2322300C1 (ru) Гранулятор-измельчител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9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03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09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03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112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60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7042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3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112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6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6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