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6556B1 - 블레이드 각도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블레이드 각도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6556B1
KR101746556B1 KR1020160057736A KR20160057736A KR101746556B1 KR 101746556 B1 KR101746556 B1 KR 101746556B1 KR 1020160057736 A KR1020160057736 A KR 1020160057736A KR 20160057736 A KR20160057736 A KR 20160057736A KR 101746556 B1 KR101746556 B1 KR 1017465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angle adjusting
driving
angl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7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4526A (ko
Inventor
김철수
김영길
Original Assignee
김철수
(주)에너제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철수, (주)에너제닉 filed Critical 김철수
Priority to PCT/KR2016/005029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6182372A1/ko
Publication of KR20160134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45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6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65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3/00Machines or engines of reaction type; Parts or details peculiar thereto
    • F03B3/04Machines or engines of reaction type; Parts or details peculiar thereto with substantially axial flow throughout rotors, e.g. propeller turbines
    • F03B3/06Machines or engines of reaction type; Parts or details peculiar thereto with substantially axial flow throughout rotors, e.g. propeller turbines with adjustable blades, e.g. Kaplan tur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3/00Machines or engines of reaction type; Parts or details peculiar thereto
    • F03B3/12Blades; Blade-carrying rotors
    • F03B3/121Blades, their form or construction
    • F03B3/123Blades, their form or construction specially designed as adjustable blades, e.g. for Kaplan-type tur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20/00Application
    • F05B2220/30Application in turbines
    • F05B2220/32Application in turbines in water tur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20/00Application
    • F05B2220/70Application in combination with
    • F05B2220/706Application in combination with an electrical gene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70/00Control
    • F05B2270/10Purpose of the control system
    • F05B2270/101Purpose of the control system to control rotational speed (n)
    • F05B2270/1014Purpose of the control system to control rotational speed (n) to keep rotational speed consta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 Y02E10/223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레이드 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구동원에서 제공되는 구동력에 의해 직선이동체가 직선이동하고, 상기 직선이동체에 연결된 각도조절봉(34)이 직선이동체에 의해 직선운동하면서 구동축(15)의 후단(16)에 형성된 핀슬롯(17)에 각도조절봉(34)의 연동핀(35)이 안내되면서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 각도조절봉(34)의 회전운동은 상기 각도조절봉(34)의 길이방향에 대해 상대적인 직선운동이 가능하면서도 회전운동은 각도조절봉(34)과 일체로 하는 회전바아(37)로 전달되고, 상기 회전바아(37)의 타단부에 설치된 제1기어(37')가 블레이드(41)의 블레이드축(42)에 설치된 제2기어(46)와 맞물려서 회전되어 상기 블레이드(41)가 회전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유체의 유동을 안내하는 블레이드(41)의 설치각도를 상황에 따라 신속하고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블레이드 각도 조절장치{The blade angle control apparatus}
본 발명은 블레이드 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체의 흐름과 관련된 블레이드의 유체 유동방향에 대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블레이드 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물과 같은 유체의 흐름을 이용한 발전에서 튜블러 터빈이 사용된다. 상기 튜블러 터빈은 주로 소형 발전에 널리 사용되는 형태이다. 상기 튜블러 터빈에는 다수개의 블레이드가 있어서 물의 흐름에 따라서 축의 회전을 만들어낸다. 하지만, 예를 들면, 튜블러 터빈에서 고정형 블레이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유량의 변동에 따라 효율 차이가 크게 발생한다. 따라서, 블레이드의 각도를 유체의 유량 등에 따라 조절하여 축의 회전 효율을 극대화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그 외에도 유체의 유동을 만들어 내거나 유체의 유동에 의해 회전력을 만들어 내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에 블레이드 들이 사용되는데, 이 블레이드의 설치각도를 유체의 유동조건에 따라 달리하는 경우에 해당 장치의 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아래의 선행문헌에서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블레이드의 각도를 가변시키는 것이 제시되어 왔다.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에는 주로 링크를 사용하여 여러 개의 블레이드를 동시에 조절하기 위해 각 블레이드와 연결되는 링크기구를 사용한다. 하지만, 링크기구를 좁은 공간 내에서 조립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고, 동력전달도 정확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020681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27249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98043호 일본 공개특허 2005-48608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유체의 유동과 관련된 블레이드의 설치각도를 유체의 유동조건에 따라 달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유체의 유동으로 구동축의 회전을 만들어내는 블레이드의 설치각도를 조절하는 블레이드 각도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의 각도조절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고 상기 구동축의 외부에 설치되는 구동원과, 상기 구동원의 구동력을 직선운동으로 만드는 직선이동체와, 상기 직선이동체와 함께 직선운동하고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에 의해 직선이동체에 대해 회전되는 각도조절봉과, 상기 각도조절봉의 일단부 외면 적어도 일측에 돌출되어 설치되어 상기 블레이드가 설치되는 상기 구동축의 핀슬롯을 따라 안내되면서 상기 구동원에 의한 이동으로 상기 각도조절봉이 상기 구동축에 대해 상대 회전하도록 하는 연동핀과, 상기 구동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각도조절봉의 길이방향으로 각도조절봉의 이동을 안내하고 상기 각도조절봉과 일체로 회전되는 회전바아와, 상기 회전바아의 회전력을 상기 블레이드의 블레이드축으로 전달하는 제1 및 제2기어를 포함한다.
상기 제1기어는 상기 회전바아의 일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2기어는 상기 블레이드축에 구비되어 서로 맞물리는 베벨기어이다.
상기 회전바아는 횡단면이 다각형 모양이고 상기 각도조절봉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회전바아의 횡단면 형상과 같은 횡단면 형상을 가지는 바아통공부에 삽입된다.
상기 핀슬롯은 나선형상으로 연장된다.
상기 직선이동체는 상기 구동원의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구동블럭이 설치되는 제1밀판, 상기 제1밀판과 소정 간격을 두고 마주보며 상기 회전바아가 회전가능하고 일체로 직선운동하게 설치되는 제2밀판, 상기 제1밀판과 제2밀판을 서로 고정되게 연결하는 연결봉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동블럭에는 상기 구동원인 모터의 회전력이 감속기를 통해 감속되어 제공되는 회전축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구동블럭이 직선운동한다.
상기 직선이동체는 상기 구동원의 직선운동을 받는 제1밀판, 상기 제1밀판과 소정 간격을 두고 마주보며 상기 회전바아가 회전가능하고 일체로 직선운동하게 설치되는 제2밀판, 상기 제1밀판과 제2밀판을 서로 고정되게 연결하는 연결봉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동원은 상기 제1밀판에 연결된 로드의 직선운동을 제공하는 리니어 엑츄에이터나 작업자의 구동력을 직선운동으로 상기 제1밀판에 제공하는 직선운동기구이다.
본 발명에 의한 블레이드 각도조절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유체 내에서 동작되고 있는 블레이드의 설치각도를 외부의 구동원과 간단한 구조를 통해서 필요시에 실시간으로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블레이드가 사용되는 환경의 변화에 대응하여 블레이드의 각도를 조절하므로 블레이드를 사용하여 제공되는 작업의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각도조절봉의 구동원의 구동력에 의한 직선운동과 동시에 구동축의 후단에 형성된 핀슬롯에 의해 회전할 수 있고, 이 회전력이 각도조절봉의 바아통공부에 직선이동가능하면서 함께 회전하도록 설치된 조절바아로 직접 전달되므로 동력의 전달이 보다 정확하면서도 손실없이 될 수 있어 블레이드의 각도조절이 보다 정확하면서도 효율적으로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허브 내에 각각의 블레이드축에 제2기어가 고정된 상태의 블레이드를 설치하고, 이에 제1기어를 한 번에 맞물리도록 조립할 수 있어 전체적으로 조립작업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해 다수개의 블레이드로의 동력전달이 하나의 제1기어를 통해 다수 개의 제2기어들로 전달되므로 동력전달 특징이 상대적으로 정확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블레이드 각도조절장치가 튜블러 수차에 적용된 것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 실시례의 중요부를 보인 입체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 실시례의 각도조절부의 구성을 상세하게 보인 상세사시도.
도 4는 도 2에서 축후단이 생략된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허버가 제거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5에서 블레이드를 제거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도시된 실시례는 발전을 위한 튜블러 수차에 적용된 것이다. 발전기(10)에 인접하여서는 유로관(11)이 설치된다. 상기 유로관(11)의 내부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블레이드부(40)가 설치된다. 상기 유로관(11)은 일단에 흡입부(11')가 있고, 상기 흡입부(11')에 연결되어 리듀서부(12)가 있다. 상기 리듀서부(12)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블레이드부(4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리듀서부(12)는 유동방향으로 유동단면적이 좁아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리듀서부(12)에 연결되어 유로를 소정 각도만큼 절곡시키는 배출부(13)가 있고 상기 배출부(13)에 연결되어 흡출부(14)가 있다. 상기 흡출부(14)는 하류로 갈수록 유동단면적이 커진다.
상기 유로관(11)의 흡입부(11')와 배출부(13)를 관통하여서 구동축(15)이 설치된다. 상기 구동축(15)의 선단은 상기 발전기(10)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축(15)의 회전력으로 발전기(10)에서 발전을 하도록 한다. 상기 구동축(15)의 후단(16)은 상기 배출부(13)를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각도조절부(30)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구동축(15)의 후단(16)은 원통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후단(16)의 일단부 양측 외면으로 개방되게 핀슬롯(17)이 있다. 상기 핀슬롯(17)은 대략 나선형태로 만들어진다. 도시된 도면들에서는 상기 핀슬롯(17)이 상기 후단(16)의 일측 외면에만 보이나, 반대쪽 외면에도 핀슬롯(17)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핀슬롯(17)은 아래에서 설명될 연동핀(35)이 안내되면서 각도조절봉(34)이 회전되도록 한다. 도면부호 19는 상기 후단(16)이 배출부(13)를 관통하는 부분에서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축시일이다.
본 발명에서 블레이드(41)의 설치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구동력은 구동원이 제공한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구동원으로 전기적 신호를 받아 회전하는 모터(20)가 채용된다. 상기 모터(20)의 출력축에는 감속기(21)가 설치된다. 상기 감속기(21)는 모터(20)의 출력축의 회전속도를 줄이는 대신 토크를 높여준다. 상기 감속기(21)의 출력측에는 회전축(22)이 있다. 상기 회전축(22)은 상기 감속기(21)에서 감속되어 전달된 구동력으로 회전한다.
다음으로 각도조절부(30)의 구성을 설명한다. 제1밀판(31)과 제2밀판(32)은 서로 소정의 거리를 두고 마주보게 설치되는데, 이는 상기 제1밀판(31)과 제2밀판(32) 사이를 연결봉(33)들로 연결하기 때문이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밀판(31)과 제2밀판(32)은 원판형상으로 된다. 하지만, 상기 제1밀판(31)과 제2밀판(32)이 반드시 원형이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밀판(31), 제2밀판(32) 그리고 상기 연결봉(33)으로 된 직선이동체는 일체로 상기 구동축(15)의 길이방향으로 직선운동할 수 있다.
상기 제2밀판(32)에는 각도조절봉(34)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제1베어링(34')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제2밀판(32)에 지지된다. 상기 각도조절봉(34)은 상기 제2밀판(32)의 이동에 의해 직선운동하고 별도로 상기 제1베어링(34')에 대해서 회전운동할 수 있다.
상기 각도조절봉(34)에는,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연동핀(35)이 설치된다. 상기 연동핀(35)은 상기 각도조절봉(34)의 외면으로 적어도 일단이 돌출된다. 물론, 상기 연동핀(35)의 양단이 상기 각도조절봉(34)의 양측 외면으로 일부가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연동핀(35)은 상기 구동축(15)의 후단(16)에 형성된 핀슬롯(17)을 따라 안내된다.
상기 각도조절봉(34)에는 또한 바아통공부(36)가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바아통공부(36)는 도 3에서 볼 수 있는데, 상기 각도조절봉(34)을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바아통공부(36)는 횡단면이 원형이 아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바아통공부(36)의 횡단면이 사각형으로 되어 있다. 이는 아래에서 설명될 회전바아(37)의 횡단면 형상과 대응되도록 하기 위함이고, 회전바아(37)와 각도조절봉(34)이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바아통공부(36)의 횡단면은 다각형으로 될 수 있다. 물론 이에 맞춰 회전바아(37)의 횡단면도 역시 동일한 다각형으로 되면 된다.
상기 각도조절봉(34)의 바아통공부(36)에 일단부가 위치하도록 회전바아(37)가 있다. 상기 회전바아(37)는 상기 구동축(15)의 후단(16)의 내부를 관통하여 위치된다. 상기 회전바아(37)는 상기 각도조절봉(34)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블레이드(41)의 설치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 회전바아(37)중 상기 바아통공부(36)에 들어간 단부의 반대쪽 단부에는 도 5와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기어(37')가 설치된다. 상기 제1기어(37')는 상기 회전바아(37)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면서 아래에서 설명될 제2기어(46)와 맞물려 동력을 전달한다.
한편, 상기 각도조절봉(34)의 직선운동을 위해 상기 제1밀판(31)에는 구동블럭(39)이 있다. 상기 구동블럭(39)은 상기 회전축(22)과 연동된다. 상기 구동블럭(39)은 그 내부에 적어도 일단부로 개방되고 내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통공이 있다. 상기 통공에는 상기 회전축(22)이 설치된다. 상기 회전축(22)의 외면에는 상기 구동블럭(39)의 나사부와 대응되는 나사부가 있어 상기 회전축(22)의 회전을 상기 구동블럭(39)의 직선운동으로 바꾸어준다. 이와 같이 상기 회전축(22)과 구동블럭(39)의 연동에 의해 상기 직선이동체가 직선운동을 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구동축(15)에 설치된 블레이드부(40)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블레이드부(40)에는 다수개의 블레이드(41)가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41)가 상기 유로관(11)내를 흐르는 유체에 의해 안내되어 회전하여 상기 구동축(15)이 회전하도록 한다. 상기 블레이드(41)는 상기 구동축(15)에 설치된 허브(41')에 장착된다.
상기 허브(41')의 외면에는 상기 블레이드(41)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허브(41')의 내부공간에는 상기 블레이드(41)의 설치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이 있다. 상기 블레이드(41)의 각도 조절을 위한 중심은 블레이드축(42)이다. 상기 블레이드축(42)은 상기 허브(4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상기 허브(41')에 고정된 제2베어링(43)과 제3베어링(44)이 상기 블레이드축(42)의 길이방향 양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제2베어링(43)과 제3베어링(44)의 사이에 기어조정구(45)가 설치된다. 상기 기어조정구(45)는 상기 블레이드축(42)과 일체로 회전되는 것이다. 상기 기어조정구(45)의 일측에는 상기 제1기어(37')와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제2기어(46)가 있다. 상기 제2기어(46)는 상기 기어조정구(45)의 일부 구간에만 형성되어 있다. 이는 상기 블레이드(41)가 360도 회전할 필요가 없고 어느 정도의 범위에서만 회전하면 되기 때문이다. 참고로, 상기 제1기어(37')와 제2기어(46)는 베벨기어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도 7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여기서는 구동원으로 모터(20)를 사용하지 않고, 리니어엑츄에이터(120)를 사용한다. 리니어엑츄에이터(120)의 구동에 의해 실린더(121)내에서 입출되는 로드(122)가 왕복운동하면서 상기 직선이동체를 직선이동시킨다. 상기 로드(122)의 선단은 연결구(122')에 의해 상기 제1밀판(31)에 연결된다.
그리고,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직선이동체를 작업자가 직접 직선이동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직선이동체를 직선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기구를 두고 이를 작업자가 직접 조작하여 블레이드(41)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블레이드 각도조절장치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블레이드(41)의 설치각도를 조절하는 것은 상기 구동원인 모터(20)의 구동에 의해 이루어진다. 수량의 변화 등에 의해 상기 블레이드(41)의 설치각도를 조절해야할 필요성이 생기면 전기적 신호가 상기 모터(20)로 전달된다.
상기 모터(20)의 구동력은 상기 감속기(21)를 통해 상기 회전축(22)으로 전달된다. 상기 회전축(22)의 일측 화살표(A,B)방향 회전은 상기 구동블럭(39)의 직선운동으로 바뀌게 되어 상기 직선이동체, 즉 상기 제1밀판(31), 연결봉(33) 및 제2밀판(32)의 직선이동을 만들어낸다.
예를 들어 상기 제2밀판(32)이 상기 구동축(15)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제2밀판(32)과 일체로 직선운동하는 상기 각도조절봉(34)이 해당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상기 각도조절봉(34)에 설치된 연동핀(35)이 상기 후단(16)의 상기 핀슬롯(17)을 따라 화살표 B 방향으로 안내된다. 이와 같이 연동핀(35)이 핀슬롯(17)을 따라 안내되면, 상기 각도조절봉(34)이 직선운동을 하면서 회전하게 된다. 즉, 상기 각도조절봉(34)이 회전축(22)에 대해 표시된 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연동핀(35)이 상기 핀슬롯(17)을 따라 이동함에 의해 상기 각도조절봉(34)이 회전운동을 하게 되면, 상기 각도조절봉(34)의 바아통공부(36)에 일단이 끼워져 있는 회전바아(37)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회전바아(37)가 회전하면, 상기 회전바아(37)의 타단부에 설치된 제1기어(37')가 회전하면서, 맞물려 있는 상기 제2기어(46)를 구동시켜 상기 기어조정구(45)가 회전하여 상기 블레이드축(42)이 회전하도록 한다.
상기 블레이드축(42)의 회전은 상기 블레이드(41)의 회전을 만들어내게 된다. 즉, 상기 블레이드(41)가 상기 허브(41')의 외면에서 소정 각도 회전되면서 그 설치각도가 조절된다. 여기서 상기 각각의 블레이드(41)마다 제2기어(46)가 있기 때문에 상기 회전바아(37)의 회전에 의한 상기 제1기어(37')의 회전으로 전체 블레이드(41)가 동일한 각도만큼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상기 연동핀(35)은 최초에는 상기 핀슬롯(17)의 중간위치에 있다가, 상기 핀슬롯(17)을 따라 도 3의 화살표 A나 B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데, 상기 모터(20)의 회전방향에 따라 A 또는 B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각도조절봉(34)의 회전을 만들어 내게 된다.
그리고, 설명되지는 않았지만, 제어부에서는 상기 연동핀(35)이 상기 핀슬롯(17)의 중간위치에 있을 때의 상태에서 상기 모터의 회전방향을 확인하고 회전수를 카운트하여 상기 회전바아(17)의 회전정도를 설정한 값으로 만들어내게 된다. 이와 같이 함에 의해 블레이드(41)의 각도를 원하는 값으로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41)의 설치각도를 상기 유로관(11)을 통과하는 유량에 따라 달리함에 의해 상기 구동축(15)의 회전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발전기(10)에서의 발전효율을 높일 수 있다.
물론, 발전기(10)의 발전효율을 높이는 것은 도시된 실시례에서와 같이 본 발명이 튜블라 수차에 적용된 경우이고, 본 발명은 블레이드(41)가 있는 다양한 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터(20)를 대신하는 구동원으로 상기 직선이동체의 직선이동을 만들어낼 수 있으므로, 구동원을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발전기 11: 유로관
11': 흡입부 12: 리듀서부
13: 배출부 14: 흡출부
15: 구동축 16: 후단
17: 핀슬롯 20: 모터
21: 감속기 22: 회전축
30: 각도조절부 31: 제1밀판
32: 제2밀판 33: 연결봉
34: 각도조절봉 34': 제1베어링
35: 연동핀 36: 바아통공부
37: 회전바아 37': 제1기어
40: 블레이드부 41: 블레이드
41': 허브 42: 블레이드축
43: 제2베어링 44: 제3베어링
45: 기어조정구 46: 제2기어
120: 리니어엑츄에이터 121: 실린더
122: 로드 122': 연결구

Claims (8)

  1. 유체의 유동으로 구동축의 회전을 만들어내는 블레이드의 설치각도를 조절하는 블레이드 각도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의 각도조절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고 상기 구동축의 외부에 설치되는 구동원과,
    상기 구동원의 구동력을 직선운동으로 만드는 직선이동체와,
    상기 직선이동체와 함께 직선운동하고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에 의해 직선이동체에 대해 회전되는 각도조절봉과,
    상기 각도조절봉의 일단부 외면 적어도 일측에 돌출되어 설치되어 상기 블레이드가 설치되는 상기 구동축의 핀슬롯을 따라 안내되면서 상기 구동원에 의한 이동으로 상기 각도조절봉이 상기 구동축에 대해 상대 회전하도록 하는 연동핀과,
    상기 구동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각도조절봉의 길이방향으로 각도조절봉의 이동을 안내하고 상기 각도조절봉과 일체로 회전되는 회전바아와,
    상기 회전바아의 회전력을 상기 블레이드의 블레이드축으로 전달하는 제1 및 제2기어를 포함하는 블레이드 각도 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어는 상기 회전바아의 일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2기어는 상기 블레이드축에 구비되어 서로 맞물리는 베벨기어인 블레이드 각도 조절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바아는 횡단면이 다각형 모양이고 상기 각도조절봉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회전바아의 횡단면 형상과 같은 횡단면 형상을 가지는 바아통공부에 삽입되는 블레이드 각도 조절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핀슬롯은 나선형상으로 연장되는 블레이드 각도 조절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이동체는 상기 구동원의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구동블럭이 설치되는 제1밀판, 상기 제1밀판과 소정 간격을 두고 마주보며 상기 회전바아가 회전가능하고 일체로 직선운동하게 설치되는 제2밀판, 상기 제1밀판과 제2밀판을 서로 고정되게 연결하는 연결봉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블레이드 각도 조절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블럭에는 상기 구동원인 모터의 회전력이 감속기를 통해 감속되어 제공되는 회전축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구동블럭이 직선운동하는 블레이드 각도 조절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이동체는 상기 구동원의 직선운동을 받는 제1밀판, 상기 제1밀판과 소정 간격을 두고 마주보며 상기 회전바아가 회전가능하고 일체로 직선운동하게 설치되는 제2밀판, 상기 제1밀판과 제2밀판을 서로 고정되게 연결하는 연결봉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블레이드 각도 조절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원은 상기 제1밀판에 연결된 로드의 직선운동을 제공하는 리니어 엑츄에이터나 작업자의 구동력을 직선운동으로 상기 제1밀판에 제공하는 직선운동기구인 블레이드 각도 조절장치.
KR1020160057736A 2015-05-13 2016-05-11 블레이드 각도 조절장치 KR1017465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6/005029 WO2016182372A1 (ko) 2015-05-13 2016-05-12 블레이드 각도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7384 2015-05-13
KR20150067384 2015-05-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4526A KR20160134526A (ko) 2016-11-23
KR101746556B1 true KR101746556B1 (ko) 2017-06-27

Family

ID=57541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7736A KR101746556B1 (ko) 2015-05-13 2016-05-11 블레이드 각도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65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46381A (zh) * 2017-08-04 2017-10-13 广东力源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节能的流量调节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4907B1 (ko) * 2019-04-26 2019-09-24 주식회사 신한정공 벌브형 수차의 블레이드 개폐 조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63062B2 (ja) 2003-07-30 2008-10-08 株式会社東芝 スプリッタランナおよび水力機械
KR101187889B1 (ko) 2005-08-16 2012-10-04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압축기용 일체형 흡입 가이드 베인 어셈블리 구조
KR101716181B1 (ko) 2012-02-27 2017-03-14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인렛 가이드 베인 어셈블리
US9938958B2 (en) 2012-07-19 2018-04-10 Humberto Antonio RUBIO Vertical axis wind and hydraulic turbine with flow contro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46381A (zh) * 2017-08-04 2017-10-13 广东力源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节能的流量调节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4526A (ko) 2016-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6556B1 (ko) 블레이드 각도 조절장치
KR20160136335A (ko) 로봇 암 및 조립 세트
JP5995528B2 (ja) 流量制御弁
CN109910593B (zh) 具有在侧表面上具有控制槽的控制筒的百叶窗设备
CN103917775B (zh) 水力设备
US20120119125A1 (en) Drive Device
CN105290871A (zh) 机床的滑动门
CN102588559A (zh) 无间隙齿轮传动装置及消除齿轮传动间隙的方法
KR101424423B1 (ko) 밸브 개폐용 유압식 로터리 액츄에이터
AU2009216710B9 (en) Control of a rotary engine
CN109072870A (zh) 具有叶片控制得以改进的可定向叶片的流体转子
US9694900B2 (en) Actuators for flight control surfaces
CN103490561A (zh) 一种直线机电作动器
JP2007333130A (ja) シリンダ駆動型ロータリアクチュエータ
WO2016182372A1 (ko) 블레이드 각도 조절장치
KR101887475B1 (ko) 전동 액추에이터
TW202024504A (zh) 角傳動裝置
WO2016136168A1 (ja) 駆動装置
KR20170050869A (ko) 직류모터를 이용한 전동액추에이터
KR102693389B1 (ko) 유량 조절이 가능한 디퓨저
WO2017138288A1 (ja) 歯車装置及び歯車装置の組立方法
JP2009208612A (ja) 車両用舵角比可変操舵装置
KR101723107B1 (ko) 블레이드 회전반경 조절장치를 갖는 수직형 풍력터빈
KR102387775B1 (ko) 터빈의 블레이드들을 배향하는 방법
EP3394480B1 (de) Unterwasser-antriebseinhe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