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3464B1 - 각도조절식 핸들바 - Google Patents

각도조절식 핸들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3464B1
KR101743464B1 KR1020150077803A KR20150077803A KR101743464B1 KR 101743464 B1 KR101743464 B1 KR 101743464B1 KR 1020150077803 A KR1020150077803 A KR 1020150077803A KR 20150077803 A KR20150077803 A KR 20150077803A KR 101743464 B1 KR101743464 B1 KR 1017434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vertical bar
tooth
cylindrical body
mounting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7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2022A (ko
Inventor
박건호
유광우
Original Assignee
박건호
유광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건호, 유광우 filed Critical 박건호
Priority to KR1020150077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3464B1/ko
Publication of KR20160142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20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3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34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 B62K21/12Handlebars; Handlebar stems
    • B62K21/16Handlebars; Handlebar stems having adjustable parts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Devices For Bicycles And Motorcy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이더의 포지션에 맞추어 각부 관절의 회전각도를 조절 가능한 핸들바와 관련되며, 실시예로, 스템에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스템에 고정되는 메인바, 상기 메인바의 양단에 연결되는 세로바, 각 상기 세로바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가로바 및 상기 세로바와 가로바의 연결지점에 장착되는 관절부재를 포함하는 핸들바를 제시한다.

Description

각도조절식 핸들바{Handle bar}
본 발명은 라이더의 포지션에 맞추어 각부 관절의 회전각도를 조절 가능한 핸들바와 관련된다.
이륜차는 라이더가 노출된 상태로 차량을 운전하게 되며, 조작을 위한 핸들바가 제공된다. 핸들바는 이륜차마다 별도로 제작되어 장착되는데, 개인 취향에 따라 개조가 가능하여 커스텀 시장이 발달되어 있다. 핸들바는 디자인적 측면이 강한 부분이면서 동시에 드라이빙 포지션을 변화시키는데 주요한 부속이다.
안전한 라이딩 포지션을 위해서는 라이더의 신체 사이즈에 맞추어 핸들바를 제작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개인 맞춤별로 핸들바를 제작할 수 있으나 비용이 고가인 단점이 있다. 대개의 라이더들은 핸들바 디자인에 끌려 구매한 후 신체 사이즈에 맞지 아니하여도 이를 감내하고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37835호 (2012.04.20)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13408호 (2012.01.31)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실1992-0011964호 (1992.07.24)
본 발명은 사용자의 취향이나 신체 사이즈에 맞추어 핸들바의 형태를 변형시킬 수 있게 하고자 한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시예로, 스템에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스템에 고정되는 메인바, 상기 메인바의 양단에 연결되는 세로바, 각 상기 세로바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가로바 및 상기 세로바와 가로바의 연결지점에 장착되는 관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로바는 하단 둘레를 따라 제1 치형이 형성되어 있는 원통체와, 상기 원통체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관절부재는 상기 세로바에 결합되며 상단부에 상기 제1 치형에 대응하여 맞물리는 제2 치형이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 접속부, 상기 세로바의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치형보다 길게 돌출되어 상기 원통체의 내부로 삽입되는 가이드관 및 상기 가이드관의 상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원통체를 고정시키는 장착볼트부를 포함하는 각도조절식 핸들바를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관에는 상기 세로바의 내부와 상기 가로바의 내부를 연통시키는 연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장착볼트부에는 상기 가이드관과 연통되는 전선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장착볼트부에는 상기 전선홀을 통과하여 연장된 전기선으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아 발광하는 광원모듈이 장착되며, 상기 장착볼트부의 상부에는 상기 광원모듈의 빛을 발산하는 캡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세로바의 단부와 상기 단부에 장착된 접속부를 감싸 가리는 마감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메인바는 상단 둘레를 따라 치형이 형성되어 있는 원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세로바의 하단에 구비되는 상기 관절부재를 통해 상기 메인바에 대하여 상기 세로바의 회전 각도를 변경할 수 있으며, 상기 세로바는 길이 방향에 따라 만곡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라이더 개인의 취향과 체형에 따라 핸들바의 형태를 수정할 수 있으므로 라이딩의 재미와 안전을 추구할 수 있게 한다.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식 핸들바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주요부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주요부를 조립한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다른 주요부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식 핸들바의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한 실시예의 주요부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6에 도시한 실시예의 가조립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6에 도시한 실시예의 주요부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각도조절식 핸들바의 구성, 기능 및 작용을 설명한다. 단, 도면들에 걸쳐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한 도면번호는 통일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기술적 의미가 동일성 범위에 있는 구성요소를 편의상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즉, 어떠한 하나의 구성은 임의적으로 '제1구성' 또는 '제2구성'으로 명명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적용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제한 해석해서는 아니된다. 이 기술분야에 속하는 전문가의 견지에서 도면에 도시된 일부 또는 전부가 발명의 실시를 위하여 필연적으로 요구되는 형상, 모양, 순서가 아니라고 해석될 수 있다면,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을 한정하지 아니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들바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들바(100)는 이륜차에 장착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앞바퀴가 장착되는 포크에 스템을 통해 연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들바(100)는, 메인바(10), 세로바(20), 가로바(30) 및 관절부재(40)를 포함한다. 여기서 메인바(10), 세로바(20) 및 가로바(30)는 중공된 관체들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메인바(10)와 세로바(20)는 별도의 부재로 제작된 후 관절부재(40)를 통하여 결합되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지만, 도시하지 아니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메인바와 세로바를 하나의 강관을 적당히 휘어 일체로 제작할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이 목적하는 바 중 하나인 손잡이의 각도 조절이 나타나 있다. 세로바(2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가로바(30)는 대략 XY 평면(엄밀히는 휘어진 세로축을 Z 축으로 할 때의 XY 평면)에서 세로바(20)를 축으로 하여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세로바(20)가 그 길이 방향으로 만곡하게 휘어진 상태이므로, 도 1의 정면을 향하도록 가로바(30)를 회전시키면, 손잡이부분(33)은 아래로 점차 낮아지게 된다. 도면의 정면 방향에 위치하는 사용자에게, 끝단부가 다소 하향하는 손잡이부분(33)은, 이를 파지하는 사용자의 손목 관절이 크게 꺾이지 않도록 함으로써, 보다 편리한 라이딩 포지션을 유도한다.
세로바(20)와 가로바(30)의 연결 지점에는 관절부재(40)가 사용된다.
관절부재(40)는 일정 각도를 취한 가로바(30)를 더 이상 회전되지 아니하도록 고정하면서, 세로바(20)로부터 가로바(30)가 이탈하지 않게 결합시키는 구성이다.
도 2와 도 3에는 관절부재(40)에 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먼저 가로바(30)는 원통체(31)와, 원통체(31)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32)를 포함한다. 원통체(31)와 연장부(32) 각각은 속이 빈 관이며, 이들은 용접에 의해 서로 일체화되어 있다. 추후에 연장부(32)에는 손잡이부분(33)이 장착된다. 길이를 달리하는 손잡이부분(33)을 다수 준비하였다가 사용자의 요구에 맞추어 적당한 길이의 손잡이부분을 사용하도록 하여 보다 사용자 개인에 맞춘 라이딩 포지션을 취할 수 있게 한다.
원통체(31)의 하단부에는 원주 둘레를 따라 제1 치형(311)이 형성되어 있다.
관절부재(40)는 접속부(41), 가이드관(42) 및 장착볼트부(43)를 포함한다.
접속부(41)는 세로바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짧은 강관 부재로써, 상단면에는 제1 치형(311)에 대응하여 맞물리는 제2 치형(411)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치형(311)과 제2 치형(411)은 삼각형상이나, 다른 실시예에서 사각형, 반원형 등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가이드관(42)은 세로바(20)의 단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관 부재로, 접속부(41)보다 세로바(20)의 단부로부터 더 길게 돌출된다. 가이드관(42)의 외경은 원통체(31)의 내경과 사실상 동일할 수 있다.
세로바(20)의 단부와 접속부(41)의 외주면 둘레에는 복수의 용접홀(H)이 형성되어 있다. 각 세로바(20)와 접속부(41)의 용접홀(H)을 통해 가이드관(42)과 용접함으로써 실질적인 두께의 증가 없이 세로바(20)의 상단부에 접속부(41)와 가이드관(42)을 견고히 고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접속부를 생략하고, 세로바의 상단에 제2 치형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가공에 불편함이 있으나 접속부의 용접을 생략할 수 있다.
가이드관(42)이 장착된 세로바(20)의 단부에 원통체(31)를 삽입하여 가로바(30)와 세로바(20)를 연결한다. 이때 제1,2 치형이 맞물리면서, 세로바(20)에 대한 가로바(30)의 각도가 고정된다. 또 제1,2 치형이 맞물리는 위치를 달리함으로써 사용자의 요구 등에 따라 세로바에 대한 가로바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가이드관(42)은 원통체(31) 즉 가로바(30)가 올바른 방향으로 진입하도록 안내하여, 제1,2 치형이 올바르게 결합할 수 있게 유도한다.
나아가 가이드관(42)에는 세로바(20)의 내부와 가로바(30)의 내부를 연통시키는 연통홀(421)이 형성되어 있다. 연통홀(421)을 통해 세로바(20)의 내부로 들어온 전기선(L)이나 와이어 등이 가로바(30) 및 손잡이부분(33)에 이를 수 있게 된다.
한편 장착볼트부(43)는 가이드관(42)이 상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여 원통체(31)를 고정시키는 부재이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가이드관(42)의 상단부에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부재(422)가 용접으로 고정되어 있고, 장착볼트부(43)는 이 체결부재(422)에 나사결합하고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가이드관의 상단 내주면에 나사산을 바로 형성할 수 있다.
장착볼트부(43)의 외주면은 파지하여 회전시키기 용이하도록 육각형 단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장착볼트부(43)가 가이드관(42)과 체결됨으로써 원통체(31)는 접속부(41)와 장착볼트부(43) 사이에 갇히게 되며, 이로써 가로바(30)가 임의로 빠지지 아니하게 된다.
추가적인 구성으로 장착볼트부(43)에는 가이드관(42)의 내부와 연통되는 전선홀(431)이 형성되어 있다. 장착볼트부(43)의 머리 부분에는 엘이디와 같은 광원모듈(44)이 장착되고, 이 광원모듈(44)은 전선홀(431)을 통과한 전기선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장착볼트부(43)의 상부에는 광원모듈(44)의 빛을 발산하는 캡(45)이 결합된다. 캡(45)의 빈틈으로 발산되는 빛은 라이더의 취향을 드러내는 장식적인 요소로 활용된다.
광원모듈(44)이나 캡(45)을 대신하여 휴대용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소켓이나 커넥터, 휴대용전자기기를 파지하는 마운트를 구비할 수도 있다.
추가적인 구성으로 세로바(20)의 단부와, 세로바(20)의 단부에 장착된 접속부(41)를 감싸 가리는 마감부재(50)를 더 구비한다. 세로바(20)의 단부에는 실링이 개재되고, 원통 형상의 마감부재(50)가 상부에서 삽입되어 실링에 의해 지지된다. 이로써 외부에서 세로바(20)의 단부와 접속부(41)를 가려 보이지 않게 함으로써, 고급스런 이미지의 연출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관절부재(40)는 메인바(10)와 세로바(20)의 연결 지점에도 사용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5는 메인바(10)와 세로바(20)의 연결지점에 사용된 관절부재(40)와 관련된다.
메인바(10)는 둘레를 따라 치형이 형성되어 있는 원통부(11)를 구비한다.
세로바(20)의 하단에는 관절부재(40)가 연결되는데, 구체적으로 메인바(10)의 원통부(11)의 상단과 맞물리는 치형이 형성된 접속부(41), 접속부(41)의 내주면에 결합되며 접속부(41)보다 하부로 더 돌출된 가이드관(42), 가이드관(42)을 타고 삽입되어 치형끼리 맞물린 메인바(10)의 원통부(11)가 이탈되지 아니하도록 가이드관(42)의 단부에 나사체결하는 장착볼트부(43)를 구비한다. 또한 생략 가능한 추가적인 구성으로 마감부재(50)가 구비된다.
여기서 관절부재(40), 마감부재(50) 등의 세부 구성과 작용 그리고 치형의 맞물림 위치에 따라 메인바에 대한 세로바의 회전 각도 조절 기능 등은 전술한 관절부재와 사실상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에서 세로바(20)는 길이 방향(Z 축 방향)에 따라 만곡되어 있어서, 메인바(10)에 대한 세로바(20)의 회전 각도에 따라 세로바들(20) 상단부의 이격 간격이 달라진다. 즉 도면의 Y축 방향에 따른 가로바(30)의 이격 간격이 달라지게 된다. 또한 세로바(20)의 회전에 따라 정면에 위치하는 사용자를 향하여 세로바(20)의 상단(즉 가로바)이 사용자에게 가까워지거나 멀어지게 된다(X축 방향). 이와 같이 세로바(20)가 길이 방향에 따라 만곡되어 휘어진 형상을 가짐으로써, 메인바(10)에 대한 세로바(20)의 회전은 다양한 라이딩 포지션의 변화를 가져오게 된다.
메인바에 대한 세로바의 회전 각도 조절과, 세로바에 대한 가로바의 회전 각도 조절을 통해 핸들바 형태의 변화가 보다 다양하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어느 한 상태로 세팅하여 일정시간 라이딩한 후 자신의 체형과 편의에 맞추어 핸들바의 형태를 수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에 따라 보다 안전한 라이딩이 가능하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식 핸들바(100)와 관련된다. 미설명 부호 R은 오링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핸들바(100)는, 메인바(10), 세로바(20), 가로바(30) 및 관절부재(40)를 포함하며,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저촉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전술한 실시예의 기술적 특징을 그대로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는 세로바(20)와 가로바(30)의 연결 지점에 사용된 관절부재(40)를 분해하여 도시하고 있다.
가로바(30)는 원통체(31)와 연장부(32)를 포함하고, 연장부(32)에는 손잡이부분(33)이 연결되어 있다.
원통체(31)의 하단 둘레에는 사다리꼴 형상의 제1 치형(311)이 형성되어 있고, 세로바(20)의 단부에는 제1 치형(311)에 대응하여 마찬가지로 사다리꼴 형상의 제2 치형(411)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치형(411)이 세로바(20)의 단부에 직접 형성됨으로써, 전술한 실시예에 비하여 작업 공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또 사다리꼴 치형은 치 형상의 체적을 증대시키므로 높은 강성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가이드관(42)의 외경은 세로바(20)의 내경에 맞추어 제작되는 것으로, 가이드관(42)의 하단부가 세로바(20)의 내부에 일부 삽입된 상태로, 용접 등에 의해 가이드관(42)이 세로바(20)에 고정된다.
가이드관(42)에는 전기선 등이 통과하는 연통홀(421)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연통홀421)은 연장부(32)가 놓일 만한 각도로 크게 형성되어 있다. 전술된 실시예에서 연통홀은 전후로 한 쌍이 형성되어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연통홀421)로 형성하여 작업 공수를 줄이고 있다.
또한 가이드관(42)에는 연통홀(421)로부터 이어지며 가이드관의 상단부로 개방되는 절개부(423)를 형성하고 있다. 절개부(423)의 폭은 적어도 전기선(L)이 통과할 수 있을 정도로 형성된다.
통상 작업 효율성을 위해 세로바(20) 안에 전기선(L)을 통과시킨 후에 관절부재(40)를 조립하게 되는데, 절개부(423)가 없다면 연통홀(421)를 통해 전기선이 돌출된 상태로 가로바(30)의 원통체(31)를 가이드관(42)에 결합하여야 한다. 이때 가이드관(42)의 외경이 원통체(41)의 내경과 사실상 동일한 관계로, 전기선(L)이 가이드관(42)의 외주면과 원통체(41)의 내주면에 껴서 작업성이 나쁘게 되며, 심한 경우 전기선이 잘리거나 씹히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절개부(423)를 형성하여 둠으로써 원통체(41)가 가이드관(42)에 씌워지는 과정 중에 전기선(L)이 가이드관(42)의 내부에 머물다가 절개부(423)를 통해 가이드관(42)의 상단부를 통과하여 가로바(30)의 내부로 들어갈 수 있게 구성하고 있다.
제1, 2 치형이 맞물리며 가로바의 설치 각도가 결정된 후 원통형 마감부재(50)가 제1,2 치형의 결합 부분을 덮어 가리게 된다.
가이드관(42)의 상단부 내주면에는, 전기선이 통과하는 홀이 형성되어 있는 체결부재(422)가 나사체결된다. 가이드관(42)에 체결된 체결부재의 상단부에는 장착볼트부(43)가 나사 체결되어, 가로바의 이탈을 방지한다.
이때, 진동으로부터 장착볼트부(43)의 나사 결합이 풀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무두볼트(46)를 사용한다. 무두볼트(46)는 장착볼트부(43)의 측면에 형성된 체결홀(432)에 결합되며, 그 단부가 원통체(31)의 상단부 외주면을 따라 형성한 둘레홈(312)에 박힌다. 이로써 진동이 오랜 기간에 걸쳐 장착볼트부(43)에 전달되더라도 장착볼트부(43)가 임의로 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100 : 핸들바
10 : 메인바 11 : 원통부
20 : 세로바
30 : 가로바 31 : 원통체 311 : 제1 치형 312 : 둘레홈
32 : 연장부 33 : 손잡이부분
40 : 관절부재
41 : 접속부 411 : 제2 치형
42 : 가이드관 421 : 연통홀 422 : 체결부재 423 : 절개부
43 : 장착볼트부 431 : 전선홀 432 : 체결홀
44 : 광원모듈 45 : 캡 46 : 무두볼트
50 : 마감부재 H : 용접홀 L : 전기선 R : 오링

Claims (5)

  1. 앞바퀴가 장착되는 포크에 스템을 통해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스템에 고정되는 메인바,
    상기 메인바의 양단에 연결되는 세로바,
    각 상기 세로바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가로바 및
    상기 세로바와 가로바의 연결지점에 장착되는 관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로바는
    하단 둘레를 따라 제1 치형이 형성되어 있는 원통체와, 상기 원통체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관절부재는
    상기 세로바에 결합되며 상단부에 상기 제1 치형에 대응하여 맞물리는 제2 치형이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 접속부,
    상기 세로바의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치형보다 길게 돌출되어 상기 원통체의 내부로 삽입되는 가이드관 및
    상기 가이드관의 상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원통체를 고정시키는 장착볼트부를 포함하는
    각도조절식 핸들바.
  2. 제1항에서,
    상기 가이드관에는 상기 세로바의 내부와 상기 가로바의 내부를 연통시키는 연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각도조절식 핸들바.
  3. 제1항에서,
    상기 장착볼트부에는 상기 가이드관과 연통되는 전선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장착볼트부에는 상기 전선홀을 통과하여 연장된 전기선으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아 발광하는 광원모듈이 장착되며,
    상기 장착볼트부의 상부에는 상기 광원모듈의 빛을 발산하는 캡이 결합되는
    각도조절식 핸들바.
  4. 제1항에서,
    상기 세로바의 단부와 상기 단부에 장착된 접속부를 감싸 가리는 마감부재를 구비하는
    각도조절식 핸들바.
  5. 제1항에서,
    상기 메인바는
    상단 둘레를 따라 치형이 형성되어 있는 원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세로바의 하단에 구비되는 상기 관절부재를 통해 상기 메인바에 대하여 상기 세로바의 회전 각도를 변경할 수 있으며,
    상기 세로바는 길이 방향에 따라 만곡되어 있는
    각도조절식 핸들바.
KR1020150077803A 2015-06-02 2015-06-02 각도조절식 핸들바 KR1017434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7803A KR101743464B1 (ko) 2015-06-02 2015-06-02 각도조절식 핸들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7803A KR101743464B1 (ko) 2015-06-02 2015-06-02 각도조절식 핸들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2022A KR20160142022A (ko) 2016-12-12
KR101743464B1 true KR101743464B1 (ko) 2017-06-05

Family

ID=57574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7803A KR101743464B1 (ko) 2015-06-02 2015-06-02 각도조절식 핸들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34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2386U (ko) 2022-06-09 2023-12-18 이용구 오토바이용 핸들 보강바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442629U (zh) 2009-06-25 2010-04-28 高腾飞 三维定位自行车扶手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042097A1 (de) 1990-12-28 1992-07-09 Hoechst Ceram Tec Ag Verfahren zum brennen von keramischen formkoerpern
KR20120037835A (ko) 2010-10-12 2012-04-20 하정현 범용 접철식 자전거
KR101113408B1 (ko) 2011-10-25 2012-02-29 이영자 핸들바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자전거 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442629U (zh) 2009-06-25 2010-04-28 高腾飞 三维定位自行车扶手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110405 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2022A (ko) 2016-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65131B (zh) 電動前變速器
TWI422509B (zh) 自行車籃固定架及包含該自行車籃固定架的自行車
JP7357886B2 (ja) 自転車一体型複合機能照明装置
JP5083895B2 (ja) 自動二輪車のウィンカ装置
TW201540592A (zh) 自行車龍頭上蓋
US9290223B2 (en) Bike light mounting system
WO2014103856A1 (ja) 自動二輪車のポジションランプ取付構造
KR101743464B1 (ko) 각도조절식 핸들바
JP2014216150A (ja) 車両用灯火装置
US8038332B2 (en) Viewing and lighting device
JP2013063713A (ja) 車両用灯火器の光軸調整装置
US7264076B2 (en) Passing lamp assembly
TWI397484B (zh) 自行車龍頭
US20170165813A1 (en) Illumination structure for pliers
JP2011063203A (ja) 自動二輪車
KR20150084511A (ko) 자전거용 후사경
JP6793405B2 (ja) 軽車両用ライト
US9669890B2 (en) Bicycle frame assembly
TW201325947A (zh) 跨坐型車輛
TWI812242B (zh) 自行車握把
CN209426964U (zh) 一种方向柱的连接板
CN214607905U (zh) 车把角度调节装置
CN110901799B (zh) 骑乘型车辆
ITTO20080500A1 (it) Dispositivo di illuminazione per motociclo.
AU2004100282A4 (en) Lamp structure improved for assembl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