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2927B1 -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락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2927B1
KR101742927B1 KR1020167003813A KR20167003813A KR101742927B1 KR 101742927 B1 KR101742927 B1 KR 101742927B1 KR 1020167003813 A KR1020167003813 A KR 1020167003813A KR 20167003813 A KR20167003813 A KR 20167003813A KR 101742927 B1 KR101742927 B1 KR 1017429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elevator car
car door
stop side
side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3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0575A (ko
Inventor
마사야 기타자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30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05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2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29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B13/16Door or gate locking devices controlled or primarily controlled by condition of cage, e.g. movement or position
    • B66B13/18Door or gate locking devices controlled or primarily controlled by condition of cage, e.g. movement or position without manually-operable devices for completing locking or unlocking of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2Arrangements for effecting simultaneous opening or closing of cage and landing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B13/16Door or gate locking devices controlled or primarily controlled by condition of cage, e.g. movement or position

Abstract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락 장치에 있어서,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는, 링크 기구를 매개로 하여 엘리베이터 칸 도어에 마련되어 있고, 또한, 시정 위치와, 시정 위치 보다도 도어 포켓과는 반대측의 해정 위치와의 사이에서 수평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밸런스 웨이트는, 링크 기구의 회동축에 대해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와는 반대측에 마련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이 착상 위치에 있을 때에 엘리베이터 칸 도어가 도어 포켓측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가 승강장 도어 걸림 부재에 맞닿아 변위함과 아울러, 밸런스 웨이트가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와는 반대측으로 변위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락 장치{ELEVATOR CAR DOOR LOCK DEVICE}
본 발명은, 층 사이에서 엘리베이터 칸 도어가 개방되는 것을 저지하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엘리베이터에서는, 엘리베이터 칸이 층 사이에 정지한 경우에, 엘리베이터 칸 내의 승객이 엘리베이터 칸 도어를 억지로 열어 승강로 내로 전락(轉落)하지 않도록, 엘리베이터 칸 도어를 시정(施錠)하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락 장치가 엘리베이터 칸에 마련되어 있다. 이 엘리베이터 칸 도어락 장치는, 전자(電磁) 코일에 의해 동작하는 시정자(施錠子)를 가지고 있고, 엘리베이터 칸이 승강장 층에 착상했을 때에만 해정(解錠)한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또, 종래의 다른 엘리베이터에서는, 승강장측에 해정용 캠이 설치되어 있고, 해정용 캠이 있는 개소에 엘리베이터 칸이 착상한 경우에만 기계적으로 해정하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락 장치가 엘리베이터 칸에 마련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참조).
게다가, 승강장측의 걸림 부품(블레이드)이 엘리베이터 칸측의 걸림 부품(롤러)에 맞닿는 경우만 해정하도록 구성된 엘리베이터 칸 도어락 장치도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3 참조).
특허 문헌 1 : 일본특허공개 평8-59153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특허공표 제2008-528399호 공보 특허 문헌 3 : 일본특허공보 소59-30638호 공보
특허 문헌 1에 나타내어진 엘리베이터 칸 도어락 장치에서는, 전자 코일에 의해 시정자를 동작시키기 때문에, 정전(停電)된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칸이 정규(正規)의 위치에 착상하고 있어도 엘리베이터 칸 내로부터 문을 열 수 없어, 가두어진 상태가 계속될 우려가 있어, 배터리를 적재하여 대응할 필요가 생긴다.
또, 특허 문헌 2에 나타내어진 엘리베이터 칸 도어락 장치에서는, 모든 층에, 승강장 도어 걸림 부재 외에 해정용 캠을 설치할 필요가 있고, 층 수가 많은 경우에 필요하게 되는 철판의 양이 많게 되어, 설치 코스트도 높게 된다.
게다가, 특허 문헌 3에 나타내어진 엘리베이터 칸 도어락 장치에서는, 충격에 대한 오동작(정상적이지 않은 해정 동작)이 발생하지 않도록, 시정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스프링의 유지력을 크게 할 필요가 있고, 이것에 의해 해정 동작도 힘들게 된다. 한편, 엘리베이터 칸측의 걸림 부품이 승강장측의 걸림 부품에 맞닿을 때에 해정 동작을 하므로, 승강장 도어를 개방하는데 필요한 힘 보다도 작은 힘으로 동작하는 것이 요구되어, 유지력의 조정이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간단한 구성에 의해, 장난에 의한 억지로 여는 힘 및 충격에 대해서 오동작을 발생하기 어렵게 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락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락 장치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를 폐쇄 위치에 락(lock)하는 시정(施錠) 장치, 회동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상기 엘리베이터 칸 도어에 마련되어 있는 링크를 가지는 링크 기구, 링크 기구를 매개로 하여 엘리베이터 칸 도어에 마련되어 있고, 또한, 시정 위치와, 시정 위치 보다도 도어 포켓(door pocket)과는 반대측의 해정(解錠) 위치와의 사이에서 수평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는 도어 스톱(door stop)측 블레이드(blade),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의 해정 위치로의 변위를 시정 장치에 기계적으로 전달하여 시정 장치를 해정 상태로 하는 전달 기구, 및 링크의 회동축에 대해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와는 반대측에 마련되어 있는 밸런스 웨이트(balance weight)를 구비하며, 엘리베이터 칸이 착상 위치에 있을 때에 엘리베이터 칸 도어가 도어 포켓측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가, 승강장 도어에 마련된 승강장 도어 걸림 부재에 맞닿아 해정 위치로 변위함과 아울러, 밸런스 웨이트가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와는 반대측으로 변위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락 장치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의 개방 동작에 대해서, 밸런스 웨이트의 반대 동작에 의해,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에 걸리는 관성력이 억제되므로, 링크 기구를 매개로 한 시정 장치로의 작용력을 감소시킬 수 있고, 간단한 구성에 의해, 장난에 의한 억지로 여는 힘 및 충격에 대해서 오동작을 발생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개략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승강장 도어를 승강로측으로부터 본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를 승강장측으로부터 본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IV-IV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V-V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가 개방 방향으로 조금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VII-VII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가 개방 방향으로 더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IX-IX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3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를 도어 존 밖에서 열려고 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락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XII-XII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XIII-XIII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락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가 개방 방향으로 조금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가 개방 방향으로 더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7은 도 14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를 도어 존 밖에서 열려고 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개략의 구성도이다. 도면에서, 승강로(1)의 상부에는, 기계실(2)이 마련되어 있다. 기계실(2)에는, 권상기(구동 장치)(3), 디플렉팅 쉬브(deflecting sheave)(4), 및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제어반)(5)가 설치되어 있다. 권상기(3)는, 구동 쉬브(6)와, 구동 쉬브(6)를 회전시키는 권상기 모터(도시하지 않음)와, 구동 쉬브(6)의 회전을 제동하는 권상기 브레이크(도시하지 않음)를 가지고 있다.
구동 쉬브(6) 및 디플렉팅 쉬브(4)에는, 현가체(7)가 감아 걸려져 있다. 현가체(7)로서는, 복수개의 로프 또는 복수개의 벨트가 이용되어 있다. 현가체(7)의 제1 단부에는, 엘리베이터 칸(8)이 접속되어 있다. 현가체(7)의 제2 단부에는, 균형추(9)가 접속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8) 및 균형추(9)는, 현가체(7)에 의해 승강로(1) 내에 매달려져 있고, 권상기(3)에 의해 승강로(1) 내에서 승강된다.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5)는, 권상기(3)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8)의 운행을 제어한다.
승강로(1) 내에는, 엘리베이터 칸(8)의 승강을 안내하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도시하지 않음)과, 균형추(9)의 승강을 안내하는 한 쌍의 균형추가이드 레일(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8)은, 현가체(7)가 접속된 엘리베이터 칸 프레임(10)과, 엘리베이터 칸 프레임(10)에 지지된 엘리베이터 칸 실(室)(11)을 가지고 있다. 엘리베이터 칸 실(11)의 전면(前面)에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를 개폐하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12)가 마련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8) 상에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12)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도어 컨트롤러(13)가 마련되어 있다.
복수층의 승강장에는, 승강장 출입구를 개폐하는 한 쌍의 승강장 도어(14)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승강장 도어(14)는, 엘리베이터 칸(8)의 착상시에 엘리베이터 칸 도어(12)가 걸리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도어(12)에 연동하여 개폐 동작된다.
도 2는 도 1의 승강장 도어(14)를 승강로측으로부터 본 정면도이다. 승강장 출입구 상부에는, 승강장 도어 프레임(15)이 고정되어 있다. 승강장 도어 프레임(15)에는, 승강장 출입구의 폭방향에 평행한 승강장 도어 레일(16)이 마련되어 있다.
승강장 도어 프레임(15)의 길이 방향의 제1 단부에는, 제1 승강장 도어 풀리(17)가 마련되어 있다. 승강장 도어 프레임(15)의 길이 방향의 제2 단부에는, 제2 승강장 도어 풀리(18)가 마련되어 있다. 제1 및 제2 승강장 도어 풀리(17, 18)에는, 무단(無端) 모양의 연동 로프(19)가 감겨져 있다.
각 승강장 도어(14)는, 승강장 도어 패널(20)과, 승강장 도어 패널(20)의 상부에 고정된 승강장 도어 행거(21)를 가지고 있다. 각 승강장 도어 행거(21)에는, 승강장 도어 레일(16) 상을 전동(轉動)하는 복수의 승강장 도어 롤러(22)가 마련되어 있다. 각 승강장 도어(14)는, 승강장 도어 레일(16)에 매달려져 있고, 승강장 도어 레일(16)을 따라서 개폐 동작한다
일방의 승강장 도어(14)인 제1 승강장 도어(14a)는, 제1 승강장 도어 연결 브라켓(23)을 매개로 하여 연동 로프(19)에 접속되어 있다. 타방의 승강장 도어(14)인 제2 승강장 도어(14b)는, 제2 승강장 도어 연결 브라켓(24)을 매개로 하여 연동 로프(19)에 접속되어 있다.
제1 승강장 도어(14a)의 개폐 동작에 의해 연동 로프(19)가 순환되면, 제2 승강장 도어(14b)는, 제1 승강장 도어(14a)와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된다. 승강장 도어 연동 기구(25)는, 승강장 도어 풀리(17, 18), 연동 로프(19) 및 승강장 도어 연결 브라켓(23, 24)을 가지고 있으며, 제1 승강장 도어(14a)의 개폐 동작에 제2 승강장 도어(14b)를 연동시킨다.
제1 승강장 도어(14a)와 승강장 도어 프레임(15)과의 사이에는, 엘리베이터 칸(8)이 착상하고 있지 않을 때에 승강장측으로부터 승강장 도어(14)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인터락 장치(26)가 마련되어 있다. 인터락 장치(26)는, 캐치(catch)(27), 인터락 래치(latch)(28), 고정측 인터락 롤러(29), 및 가동측 인터락 롤러(30)를 가지고 있다.
캐치(27)는, 승강장 도어 프레임(15)에 고정되어 있다. 인터락 래치(28)는, 제1 승강장 도어(14a)의 승강장 도어 행거(21)에 요동(搖動)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승강장 도어(14)가 전폐(全閉) 상태일 때, 인터락 래치(28)의 선단부가 캐치(27)에 걸리는 것에 의해, 승강장 도어(14)의 개방 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된다.
고정측 인터락 롤러(29)는, 인터락 래치(28)의 요동축과 동축(同軸)에 배치되어 있다. 가동측 인터락 롤러(30)는, 인터락 래치(28)에 장착되며, 인터락 래치(28)와 일체로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3은 도 1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12)를 승강장측으로부터 본 정면도이다.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 상부에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 프레임(31)이 고정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도어 프레임(31)에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의 폭방향에 평행한 엘리베이터 칸 도어 레일(32)이 마련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도어 프레임(31)의 길이 방향의 제1 단부에는, 구동 풀리(33)가 마련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도어 프레임(31)의 길이 방향의 제2 단부에는, 종동 풀리(34)가 마련되어 있다. 구동 풀리(33) 및 종동 풀리(34)에는, 무단(無端) 모양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 구동 로프(35)가 감겨져 있다.
각 엘리베이터 칸 도어(12)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 패널(36)과, 엘리베이터 칸 도어 패널(36)의 상부에 고정된 엘리베이터 칸 도어 행거(37)를 가지고 있다. 각 엘리베이터 칸 도어(12)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 레일(32)에 매달려져 있고, 엘리베이터 칸 도어 레일(32)을 따라서 개폐 동작한다.
일방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12)인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12a)는,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 연결 브라켓(38)을 매개로 하여 엘리베이터 칸 도어 구동 로프(35)에 접속되어 있다. 타방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12)인 제2 엘리베이터 칸 도어(12b)는, 제2 엘리베이터 칸 도어 연결 브라켓(39)을 매개로 하여 엘리베이터 칸 도어 구동 로프(35)에 접속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도어 프레임(31) 상에는, 도어 모터(40)가 고정되어 있다. 도어 모터(40)의 회전은, 구동 풀리(33)에 전달된다. 도어 모터(40)에 의해 구동 풀리(33)가 회전되면, 엘리베이터 칸 도어 구동 로프(35)가 순환됨과 아울러, 종동 풀리(34)가 회전된다. 이것에 의해,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도어(12a, 12b)가 개폐 동작한다.
엘리베이터 칸 도어 프레임(31)과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12a)와의 사이에는,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12a)를 폐쇄 위치에 락하는 시정(施錠) 장치(41)가 마련되어 있다. 시정 장치(41)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 프레임(31)에 고정된 고정 시정자(施錠子)(42)와,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12a)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된 가동 시정자(43)를 가지고 있다. 시정 장치(41)를 해정하지 않고 엘리베이터 칸 도어(12)를 열려고 하면, 가동 시정자(43)가 고정 시정자(42)에 맞닿아, 개방 방향으로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12)의 이동이 저지된다.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12a)에는, 지지판(44)이 고정되어 있다. 지지판(44)에는, 제1 평행 링크 기구(45)를 매개로 하여 단면(斷面) L자형의 도어 스톱(door stop)측 블레이드(46)가 장착되어 있다. 제1 평행 링크 기구(45)는, 제1 상부 링크(47) 및 제1 하부 링크(48)를 가지고 있다.
제1 상부 링크(47)는, 회동축(47a)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판(44)에 장착되어 있다. 제1 하부 링크(48)는, 회동축(48a)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판(44)에 장착되어 있다.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46)는, 링크(47, 48)의 제1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46)는, 연직으로 배치되어 있다. 게다가,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46)는, 링크(47, 48)의 회동에 의해, 시정 위치(도 3)와, 시정 위치 보다도 도어 포켓(pocket)과는 반대측(도어 스톱측)의 해정 위치(도 6)와의 사이에서 수평 방향(엘리베이터 칸 도어(12)의 개폐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지지판(44)에는,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46)의 가동 범위를 제한하는 한 쌍의 스토퍼(49a, 49b)가 마련되어 있다.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46)는, 중력 또는 스프링력의 작용에 의해 가동 범위의 도어 포켓측, 즉 시정 위치측으로 상시 가압되어 있다.
제1 상부 링크(47)와 시정 장치(41)와의 사이에는, 제1 연결봉(50)이 마련되어 있다. 제1 연결봉(50)의 하단부는, 제1 상부 링크(47)의 제2 단부(회동축(47a)에 대해서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46)와는 반대측의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1 연결봉(50)의 상단부는, 고정 시정자(4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1 연결봉(50)은,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46)의 해정 위치로의 변위를 시정 장치(41)에 기계적으로 전달하여 시정 장치(41)를 해정 상태로 한다. 즉,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46)가 시정 위치에 있을 때에 가동 시정자(43)는 시정 상태(도 3)가 되고,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46)가 해정 위치에 있을 때에 가동 시정자(43)는 해정 상태(도 6)가 된다. 실시 형태 1의 전달 기구는, 제1 연결봉(5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1 하부 링크(48)의 제2 단부(회동축(48a)에 대해서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46)와는 반대측의 단부)에는, 밸런스 웨이트(51)가 마련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8)이 착상 위치에 있을 때에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12a)가 도어 포켓측(도 3의 좌측)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46)가, 승강장 도어 걸림 부재인 인터락 롤러(29, 30)에 맞닿아 해정 위치로 변위함과 아울러, 밸런스 웨이트(51)가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46)와는 반대측으로 변위하도록 되어 있다.
지지판(44)에는, 제2 평행 링크 기구(52)를 매개로 하여 단면(斷面) L자형의 도어 포켓측 블레이드(53)가 장착되어 있다. 제2 평행 링크 기구(52)는, 제2 상부 링크(54) 및 제2 하부 링크(55)를 가지고 있다.
제2 상부 링크(54)는, 회동축(54a)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판(44)에 장착되어 있다. 제2 하부 링크(55)는, 회동축(55a)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판(44)에 장착되어 있다.
도어 포켓측 블레이드(53)는, 링크(54, 55)의 제1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 도어 포켓측 블레이드(53)는,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46)에 평행, 즉 연직으로 배치되어 있다. 게다가, 도어 포켓측 블레이드(53)는, 링크(54, 55)의 회동에 의해, 수평 방향(엘리베이터 칸 도어(12)의 개폐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12a)의 상부에는, 회동축(56a)을 중심으로 요동 가능한 요동 부재(56)가 마련되어 있다. 요동 부재(56)의 제1 단부에는, 요동 부재 롤러(57)가 마련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도어 프레임(31)에는,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12a)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에 요동 부재 롤러(57)가 맞닿는 가이드 부재(58)가 고정되어 있다.
요동 부재(56)의 제2 단부와 제2 상부 링크(54)의 제2 단부와의 사이에는, 제2 연결봉(59)이 연결되어 있다. 도어 포켓측 블레이드(53)는, 중력 또는 스프링력의 작용에 의해 도어 스톱측으로 가압되어 있다.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12a)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에는, 요동 부재 롤러(57)가 가이드 부재(58)에 맞닿아 있고, 도어 포켓측 블레이드(53)는 인터락 롤러(29, 30)로부터 떨어져 있다.
이것에 대해서,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12a)가 개방 방향으로 이동되면, 요동 부재(56)가 도 3의 시계 방향으로 요동됨과 아울러, 도어 포켓측 블레이드(53)가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46)측으로 변위하여, 블레이드(46, 53)의 간격이 작게 되어, 인터락 롤러(29, 30)가 블레이드(46, 53) 사이에 파지된다.
또, 도어 포켓측 블레이드(53)를 수평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하는 구성은 필수는 아니고, 도어 포켓측 블레이드(53)를 엘리베이터 칸 도어(12)에 고정해도 괜찮다.
도 4는 도 3의 IV-IV선을 따르는 단면도, 도 5는 도 3의 V-V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엘리베이터 칸(8)이 착상했을 때,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46)는, 인터락 롤러(29, 30)의 도어 스톱측에 배치되어 있고, 도어 포켓측 블레이드(53)는, 인터락 롤러(29, 30)의 도어 포켓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 인터락 롤러(29, 30)는, 바로 위로부터 보아, 엘리베이터 칸 문턱선(엘리베이터 칸 문턱의 승강장측 단면(端面))(L1)과 승강장 문턱선(승강장 문턱의 엘리베이터 칸측 단면(端面))(L2)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게다가, 링크(47, 48, 54, 55),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46)의 링크(47, 48)와의 연결부, 및 도어 포켓측 블레이드(53)의 링크(54, 55)와의 연결부는, 바로 위로부터 보아, 엘리베이터 칸 문턱선(L1)의 내측(엘리베이터 칸(8)측)에 배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엘리베이터 칸 도어(12)가 전폐 위치에 있을 때에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46)는 시정 위치에 위치하고 있고, 인터락 롤러(29, 30)로부터 떨어져 있다. 또, 가동 시정자(43)는 시정 상태로 되어 있다.
도 6은 도 3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12)가 개방 방향으로 조금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7은 도 6의 VII-VII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엘리베이터 칸 도어(12)가 개방 방향으로 이동하기 시작하면,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46)의 맞닿음면(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12a)의 정면에 직각인 면)이 인터락 롤러(29, 30)에 맞닿아,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46)가 해정(解錠) 위치로 변위된다. 이것에 의해, 가동 시정자(43)가 해정 상태가 된다. 또, 인터락 래치(28)가 요동되어, 승강장 도어(14)의 인터락 장치(26)도 해정 상태가 된다.
도 8은 도 6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12)가 개방 방향으로 더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9는 도 8의 IX-IX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엘리베이터 칸 도어(12)가 개방 방향으로 더 이동하면, 도어 포켓측 블레이드(53)가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12a)에 대해서 도어 스톱측으로 이동하고, 인터락 롤러(29, 30)가 블레이드(46, 53) 사이에 파지되어,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12a)와 제1 승강장 도어(14a)가 일체로 개방 동작한다. 또, 제2 엘리베이터 칸 도어(12b) 및 제2 승강장 도어(14b)도 동기하여 개방 동작한다.
한편, 어떤 이상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8)이 도어 존 밖에 정지한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칸 실(11) 내의 승객이 엘리베이터 칸 도어(12)를 억지로 열려고 한 경우,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46)에 인터락 롤러(29, 30)가 맞닿지 않기 때문에,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46)는 시정 위치에 위치한 채로 있고, 가동 시정자(43)도 시정 상태인 채가 된다. 이 때문에,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12a)가 약간 도어 포켓측으로 이동한 시점에서 가동 시정자(43)가 고정 시정자(42)에 맞닿아, 엘리베이터 칸 도어(12)의 개방 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된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칸 도어락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12)의 개방 동작에 대해서, 밸런스 웨이트(51)의 반대 동작에 의해,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46)에 걸리는 관성력이 억제되므로, 제1 평행 링크 기구(45)를 매개로 한 시정 장치(41)로의 작용력을 감소시킬 수 있고, 간단한 구성에 의해, 장난에 의한 억지로 여는 힘 및 충격에 대해서 오동작(정상적이지 않은 해정 동작)을 발생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엘리베이터 칸 도어(12)가 개폐 동작할 때의 제1 평행 링크 기구(45) 및 밸런스 웨이트(51)의 관성력에 의한 상기 회동축 둘레의 모멘트와, 엘리베이터 칸 도어(12)가 개폐 동작할 때에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46)의 제1 평행 링크 기구(45)로의 접속 위치에 부가되는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46)의 관성력에 의한 회동축(47a, 48a) 둘레의 모멘트가 균형이 잡히도록(거의 균형이 잡혀 있는 상태도 포함), 밸런스 웨이트(51)의 무게 등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도어의 개폐 동작시에, 관성력에 의한 회동축(47a, 48a) 둘레의 모멘트를 적극적으로 작게 할 수 있고, 장난에 의한 억지로 여는 힘 및 충격에 대해서 오동작을 보다 확실히 발생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다음으로,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락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2는 도 11의 XII-XII선을 따르는 단면도, 도 13은 도 11의 XIII-XIII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지지판(44)에는, 제1 평행 링크 기구(61)를 매개로 하여 단면(斷面) L자형의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62)가 장착되어 있다. 제1 평행 링크 기구(61)는, 실시 형태 1과 동일한 제1 상부 링크(47)와, 실시 형태 1과는 다른 제1 하부 링크(63)를 가지고 있다.
제1 하부 링크(63)는, 회동축(63a)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판(44)에 장착되어 있다.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62)는, 링크(47, 63)의 제1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62)는, 연직으로 배치되어 있다. 게다가,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62)는, 링크(47, 63)의 회동에 의해, 시정 위치(도 3)와, 시정 위치 보다도 도어 포켓과는 반대측의 해정 위치와의 사이에서 수평 방향(엘리베이터 칸 도어(12)의 개폐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지지판(44)에는,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62)의 가동 범위를 제한하는 한 쌍의 스토퍼(64a, 64b)가 마련되어 있다.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62)는, 중력 또는 스프링력의 작용에 의해 가동 범위의 도어 포켓측, 즉 시정 위치측으로 상시 가압되어 있다.
실시 형태 1에서는,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46)의 인터락 롤러(29, 30)와의 맞닿음면(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12a)의 정면에 직각인 면)이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46)의 도어 포켓측 단부에 마련되어 있지만, 실시 형태 2에서는,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62)의 인터락 롤러(29, 30)와의 맞닿음면이,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62)의 도어 스톱측의 단부에 마련되어 있다.
실시 형태 2의 밸런스 웨이트(65)는, 제1 하부 링크(63)의 제2 단부(회동축(48a)에 대해서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46)와는 반대측의 단부)에 일체로 마련되어 있다. 즉, 밸런스 웨이트(65)는, 제1 하부 링크(63)를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62)와는 반대측으로 연장한 부분이다. 또, 밸런스 웨이트(65)의 질량 및 길이는,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12a)의 개폐 동작시의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62)의 관성력을 캔슬(cancel)할 수 있도록 적절히 마련되어 있다.
회동축(47a, 63a) 및 밸런스 웨이트(65)는, 바로 위로부터 보아,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62)의 인터락 롤러(29, 30)와의 맞닿음면 보다도 도어 포켓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62)의 맞닿음면 이외의 부분은, 바로 위로부터 보아, 엘리베이터 칸 문턱선(L1)의 내측(엘리베이터 칸(8)측)에 배치되어 있다.
즉, 링크(47, 63)는, 바로 위로부터 보아, 엘리베이터 칸 문턱선(L1)의 내측, 또한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62)의 맞닿음면 보다도 도어 포켓측에서,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6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칸 도어락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12)의 개방 동작에 대해서, 밸런스 웨이트(51)의 반대 동작에 의해,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62)에 걸리는 관성력이 억제되므로, 제1 평행 링크 기구(61)를 매개로 한 시정 장치(41)로의 작용력을 감소시킬 수 있고, 간단한 구성에 의해, 장난에 의한 억지로 여는 힘 및 충격에 대해서 오동작(정상적이지 않은 해정 동작)을 발생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 표준 구조의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에서, 간섭이 없는 허용되는 공간에 밸런스 웨이트(65)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표준 구조의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를 특별히 크게 개조할 필요가 없다는 효과가 있다.
실시 형태 3.
다음으로,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락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엘리베이터 칸 도어 프레임(31)과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12a)와의 사이에는,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12a)를 폐쇄 위치에 락하는 시정 장치(71)가 마련되어 있다. 시정 장치(71)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 프레임(31)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된 엘리베이터 칸측 시정자(72)와,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 연결 브라켓(38)에 마련된 도어측 시정자(73)를 가지고 있다.
도어측 시정자(73)는,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 연결 브라켓(38)의 상단부를 상부로 연장하는 것에 의해,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 연결 브라켓(38)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시정 장치(71)를 시정하지 않고 엘리베이터 칸 도어(12)를 열려고 하면, 도어측 시정자(73)가 엘리베이터 칸측 시정자(72)에 맞닿아, 개방 방향으로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12)의 이동이 저지된다.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 연결 브라켓(38)에는, 해정 레버(74)가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해정 레버(74)의 제1 단부에는, 제1 연결봉(50)의 상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해정 레버(74)의 제2 단부에는, 해정 롤러(75)가 마련되어 있다. 실시 형태 3의 전달 기구(76)는, 제1 연결봉(50), 해정 레버(74) 및 해정 롤러(75)를 가지고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다음으로,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엘리베이터 칸 도어(12)가 전폐 위치에 있을 때에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46)는 시정 위치에 위치하고 있고, 엘리베이터 칸측 시정자(72)는 시정 상태(수평 상태)로 되어 있다.
도 15는 도 14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12)가 개방 방향으로 조금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6은 도 15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12)가 개방 방향으로 더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엘리베이터 칸 도어(12)가 개방 방향으로 이동하기 시작하면,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46)가 인터락 롤러(29, 30)에 맞닿아,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46)가 해정 위치로 변위된다.
이것에 의해, 해정 레버(74)가 도면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고, 해정 롤러(75)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측 시정자(72)가 도면의 시계 방향으로 회동되어 해정 상태가 된다. 그리고,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칸측 시정자(72)의 선단의 걸림부(72a)를 도어측 시정자(73)가 통과한다. 해정 롤러(75)가 접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중력 또는 스프링력의 작용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측 시정자(72)는 수평 상태로 되돌려진다. 또, 엘리베이터 칸측 시정자(73)의 걸림부(72a) 및 도어측 시정자(73)에는 각각 경사면이 마련되어 있고, 엘리베이터 칸 도어(12)의 폐쇄 동작시에는, 경사면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측 시정자(72)를 회동시켜 해정 상태로 할 수 있다.
한편, 어떤 이상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8)이 도어 존 밖에 정지한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칸 실(11) 내의 승객이 엘리베이터 칸 도어(12)를 억지로 열려고 한 경우,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46)에 인터락 롤러(29, 30)가 맞닿지 않기 때문에,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46)는 시정 위치에 위치한 채로 있고, 엘리베이터 칸측 시정자(72)도 시정 상태인 채가 된다. 이 때문에,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12a)가 약간 도어 포켓측으로 이동한 시점에서 도어측 시정자(73)가 엘리베이터 칸측 시정자(72)에 맞닿아, 엘리베이터 칸 도어(12)의 개방 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된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칸 도어락 장치에서는, 회동 가능한 엘리베이터 칸측 시정자(72)를 엘리베이터 칸 도어 프레임(31)에 마련했으므로, 시정 확인용 스위치(전기 접점)를 적용하는 경우에, 스위치를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12a)측이 아니라, 엘리베이터 칸(8)측에 마련할 수 있어, 케이블의 배선이 용이해진다. 또, 엘리베이터 칸 도어(12)의 개폐에 의해 케이블이 이동하지 않으므로, 케이블의 단선(斷線)이 방지되어,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 실시 형태 3의 시정 장치(71) 및 전달 기구(76)는, 실시 형태 2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락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락 장치가 적용되는 엘리베이터의 타입은, 도 1의 타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2:1 로핑 방식의 엘리베이터, 멀티 카 방식의 엘리베이터, 또는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 등에도, 본 발명은 적용할 수 있다.

Claims (5)

  1. 엘리베이터 칸 도어를 폐쇄 위치에 락(lock)하는 시정(施錠) 장치,
    회동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상기 엘리베이터 칸 도어에 마련되어 있는 링크를 가지는 링크 기구,
    상기 링크 기구를 매개로 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칸 도어에 마련되어 있고, 또한, 시정 위치와, 상기 시정 위치 보다도 도어 포켓(door pocket)과는 반대측의 해정(解錠) 위치와의 사이에서 수평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는 도어 스톱(door stop)측 블레이드(blade),
    상기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의 상기 해정 위치로의 변위를 상기 시정 장치에 기계적으로 전달하여 상기 시정 장치를 해정 상태로 하는 전달 기구, 및
    상기 링크의 상기 회동축에 대해 상기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와는 반대측에 마련되어 있는 밸런스 웨이트(balance weight)를 구비하며,
    엘리베이터 칸이 착상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엘리베이터 칸 도어가 상기 도어 포켓측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가, 승강장 도어에 마련된 승강장 도어 걸림 부재에 맞닿아 상기 해정 위치로 변위함과 아울러, 상기 밸런스 웨이트가 상기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와는 반대측으로 변위하도록 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락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동축 및 상기 밸런스 웨이트는, 바로 위로부터 보아, 상기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의 상기 승강장 도어 걸림 부재와의 맞닿음면 보다도 도어 포켓측에 배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락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 도어가 개폐 동작할 때의 상기 링크 기구 및 상기 밸런스 웨이트의 관성력에 의한 상기 회동축 둘레의 모멘트와, 상기 엘리베이터 칸 도어가 개폐 동작할 때의 상기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의 상기 링크 기구로의 접속 위치에 부가되는 상기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의 관성력에 의한 상기 회동축 둘레의 모멘트가 균형이 잡혀 있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락 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시정 장치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칸측 시정자(施錠子)와, 상기 엘리베이터 칸 도어에 마련되어 있는 도어측시정자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전달 기구는, 상기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가 해정 위치로 변위했을 때에 상기 엘리베이터 칸측 시정자를 해정 상태로 하는 해정 레버를 가지고 있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락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시정 장치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칸측 시정자(施錠子)와, 상기 엘리베이터 칸 도어에 마련되어 있는 도어측시정자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전달 기구는, 상기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가 해정 위치로 변위했을 때에 상기 엘리베이터 칸측 시정자를 해정 상태로 하는 해정 레버를 가지고 있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락 장치.

KR1020167003813A 2013-07-19 2013-07-19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락 장치 KR1017429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3/069660 WO2015008386A1 (ja) 2013-07-19 2013-07-19 エレベータのかごドアロック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0575A KR20160030575A (ko) 2016-03-18
KR101742927B1 true KR101742927B1 (ko) 2017-06-01

Family

ID=52345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3813A KR101742927B1 (ko) 2013-07-19 2013-07-19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락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656835B2 (ko)
JP (1) JP5940220B2 (ko)
KR (1) KR101742927B1 (ko)
CN (1) CN105392730B (ko)
BR (1) BR112015032644A2 (ko)
DE (1) DE112013007252B4 (ko)
WO (1) WO20150083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83198A1 (en) * 2014-08-22 2017-06-28 Otis Elevator Company Hoistway door locking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access to an elevator shaft
JP6250190B2 (ja) * 2014-10-15 2017-12-20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かごドア装置
CN104787651B (zh) * 2015-02-13 2016-06-22 西子奥的斯电梯有限公司 一种电梯同步门刀
CN106276529B (zh) * 2015-06-01 2018-03-16 中国建筑科学研究院建筑机械化研究分院 电梯的门刀装置
CN107848763B (zh) 2015-08-04 2021-06-11 奥的斯电梯公司 电梯轿厢门联锁装置
EP3331802B1 (en) 2015-08-04 2023-12-27 Otis Elevator Company Car door interlock with sill lock
JP6725127B2 (ja) * 2016-03-25 2020-07-15 パナソニック ホームエレベーター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ドア開閉装置
CN105858422A (zh) * 2016-05-18 2016-08-17 佛山甬大电梯部件有限公司 电梯轿门锁
WO2017208595A1 (ja) * 2016-06-02 2017-12-0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装置
CN108883907B (zh) * 2016-08-23 2020-06-05 株式会社日立制作所 电梯装置
WO2018138896A1 (ja) * 2017-01-30 2018-08-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装置
CN110799441B (zh) * 2017-06-28 2022-04-01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的门装置以及电梯门的连杆
CN110799440B (zh) * 2017-07-03 2021-11-16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的轿厢门装置
CN109720972B (zh) * 2017-10-27 2020-05-01 上海三菱电梯有限公司 电梯轿厢门机装置
CN109720971B (zh) * 2017-10-27 2020-07-14 上海三菱电梯有限公司 自带轿门锁的电梯轿厢门机装置
JP6798969B2 (ja) * 2017-11-30 2020-12-0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
US11155444B2 (en) * 2018-05-01 2021-10-26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door interlock assembly
US11040852B2 (en) 2018-05-01 2021-06-22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ar control to address abnormal passenger behavior
US11040858B2 (en) 2018-05-01 2021-06-22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door interlock assembly
US11034548B2 (en) 2018-05-01 2021-06-15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door interlock assembly
US11046557B2 (en) 2018-05-01 2021-06-29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door interlock assembly
CN108529406A (zh) * 2018-06-08 2018-09-14 展鹏科技股份有限公司 同步门刀轿门限制装置
US11254542B2 (en) 2018-08-20 2022-02-22 Otis Elevator Company Car door interlock
EP3636577B1 (en) 2018-10-12 2021-07-14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landing door unlocking system
US11247872B2 (en) 2018-10-17 2022-02-15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ar door interlock
JP6694608B1 (ja) * 2019-03-07 2020-05-20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ドア用係合装置
US11453573B2 (en) * 2020-03-03 2022-09-27 Fujitec Co., Ltd. Elevator door engagement device
DE102020204593A1 (de) 2020-04-09 2021-10-14 Franz Xaver Meiller Fahrzeug- Und Maschinenfabrik - Gmbh & Co Kg Kabinentüranordnung für einen aufzug mit einer mechanischen kabinentürverriegelung
JP6788851B1 (ja) 2020-04-14 2020-11-25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ドアロック装置用のドアロック操作部材
JP7455225B2 (ja) 2020-10-29 2024-03-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乗りかご及びエレベーター
CN117440924A (zh) * 2021-06-11 2024-01-23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的轿厢门装置
JP7153247B1 (ja) * 2021-06-14 2022-10-14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US11760604B1 (en) 2022-05-27 2023-09-19 Otis Elevator Company Versatile elevator door interlock assembl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3671A (ja) 2000-03-09 2001-09-18 Toshiba Corp エレベータドアのインタロック装置
JP2011073862A (ja) 2009-10-01 2011-04-14 Toshiba Elevator Co Ltd 制振機能を有するエレベー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541B2 (ja) 1982-08-09 1985-01-29 大阪精機株式会社 環状被加工物の超仕上盤に於ける砥石自動交換装置
DE58901257D1 (de) * 1988-03-18 1992-06-04 Inventio Ag Tuerantriebsvorrichtung mit verriegelungsmechanismus fuer aufzuege.
JPH0859153A (ja) 1994-08-24 1996-03-05 Hitachi Building Syst Eng &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のかご戸ロック装置
JP3430190B2 (ja) * 1996-04-01 2003-07-2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用ドア装置
ZA200406978B (en) * 2003-09-17 2005-06-20 Inventio Ag Device for connecting a cage door with a shaft door and for locking and unlocking the doors, a device for emergency unlocking of a cage door and a method for emergency unlocking of a cage door.
JP2005119878A (ja) * 2003-10-14 2005-05-12 Inventio Ag エレベータかごのかご扉をエレベータシステムの階床扉に結合させるためのクラッチ
JP4708005B2 (ja) * 2003-12-08 2011-06-22 インベンテイオ・アクテイエンゲゼルシヤフト ケージドアリーフを昇降路ドアリーフに一時的に連結し、かつケージドアロック解除手段を作動させるための、エレベータケージにおける装置
EP1841682B1 (en) 2005-01-28 2014-03-19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levator car door locking apparatus
JP2006290566A (ja) * 2005-04-12 2006-10-26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用ドア装置
EP1820766A1 (de) * 2006-02-21 2007-08-22 Inventio Ag Verfahren zur Modernisierung des Kabinentürsystems eines Aufzugs und Modernisierungsbausatz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CN101081677B (zh) * 2007-04-17 2010-12-29 宁波申菱电梯配件有限公司 电梯轿厢门锁装置
EP2138442A1 (de) * 2008-06-25 2009-12-30 Inventio Ag Aufzugtürsystem mit Kabinentürverriegelung
CN201240747Y (zh) * 2008-07-29 2009-05-20 威特电梯部件(苏州)有限公司 电梯门刀门锁装置
EP2287104B1 (de) * 2009-08-21 2013-08-28 Wittur Deutschland Holding GmbH Türkuppler und Verriegelungsmechanismus
JP5484479B2 (ja) * 2009-10-09 2014-05-07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ドア係合装置
CN201560030U (zh) * 2009-12-15 2010-08-25 上海贝思特门机有限公司 电梯开门机门刀装置
CN201842558U (zh) * 2010-10-13 2011-05-25 日立电梯(中国)有限公司 一种电梯门刀轿门锁装置
JP5804695B2 (ja) * 2010-11-30 2015-11-04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かご振動抑制装置
BR112014030335B1 (pt) * 2012-06-18 2021-04-06 Sematic S.P.A. Porta da cabina elevadora dotada de um dispositivo de travamento/liberação dos mecanismo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3671A (ja) 2000-03-09 2001-09-18 Toshiba Corp エレベータドアのインタロック装置
JP2011073862A (ja) 2009-10-01 2011-04-14 Toshiba Elevator Co Ltd 制振機能を有するエレベー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392730B (zh) 2017-06-06
KR20160030575A (ko) 2016-03-18
WO2015008386A1 (ja) 2015-01-22
CN105392730A (zh) 2016-03-09
BR112015032644A2 (pt) 2017-07-25
DE112013007252T5 (de) 2016-03-31
US20160130116A1 (en) 2016-05-12
JP5940220B2 (ja) 2016-06-29
US9656835B2 (en) 2017-05-23
DE112013007252B4 (de) 2021-03-04
JPWO2015008386A1 (ja) 2017-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2927B1 (ko)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락 장치
KR101858911B1 (ko)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 장치
JP6270962B1 (ja) エレベータのかごドアロック機構付き係合装置
JP2009113976A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WO2018138896A1 (ja) エレベーター装置
WO2017208595A1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5579159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ロック機構
JP6758539B1 (ja) エレベータのかごドア装置
JP6058754B1 (ja) ドア装置
JP6881520B2 (ja) エレベーターのドア装置
JP6441444B1 (ja) エレベータの戸開走行防止装置
WO2022259507A1 (ja) エレベータのかごドア装置
JP7204051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ドア装置
JP6626932B1 (ja) 戸開走行制限装置
JP7455225B2 (ja) 乗りかご及びエレベーター
CN110799440B (zh) 电梯的轿厢门装置
CN211776615U (zh) 电梯的轿厢门开关装置及电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