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2370B1 - 생활 패턴에 기반하여 건강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생활 패턴에 기반하여 건강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2370B1
KR101742370B1 KR1020150027419A KR20150027419A KR101742370B1 KR 101742370 B1 KR101742370 B1 KR 101742370B1 KR 1020150027419 A KR1020150027419 A KR 1020150027419A KR 20150027419 A KR20150027419 A KR 20150027419A KR 101742370 B1 KR101742370 B1 KR 1017423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life pattern
information
life
heal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7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4412A (ko
Inventor
이시우
진희정
이영섭
이재철
Original Assignee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 한의학 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027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2370B1/ko
Publication of KR20160104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44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2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23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생활 패턴에 기반하여 건강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관리 정보 제공 장치는 레퍼런스 데이터에서 분류되는 복수 개의 생활 패턴 중 사용자에 대응하는 제1 생활 패턴을 결정하는 결정부, 및 상기 사용자에 대해 입력되는 건강 상태에 대응하여 식별되는 복수 개의 건강 정보 중, 상기 제1 생활 패턴에 매핑되는 제1 건강 정보를 제공하는 제공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생활 패턴에 기반하여 건강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HEALTH MANAGEMENT INFORMATION BASED ON LIFE PATTERN}
사용자의 건강정보 및/또는 건강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에 연관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생활 패턴에 맞는 건강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연관된다.
건강관리란 인간과 환경 사이의 상호작용을 기초로 하여 단지 건강의 유지에 그치지 않고 증진시킬 목적으로 질병의 예방은 물론 의료, 재활훈련까지도 포함하는 종합적인 활동을 의미한다.
최근에는 스마트폰 등 개인 휴대 기기의 발달에 기인하여, 휴대 기기를 통해 건강을 관리할 수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건강 관리를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는 추세이다. 예를 들어, 휴대 기기에서 사용자의 맥박, 한열 등을 센싱하고, 사용자에게 건강 관리를 위한 일련의 행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간단한 건강관련 정보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맥박이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사용자로 하여금 휴식을 취하도록 하는 취지의 건강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현재의 대부분은 사용자의 건강상태, 운동 상태 등의 진단만을 수행하고, 그 진단결과만을 고려하여 건강 관리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특허문헌 1) KR10-1462313 B1
사용자의 생활패턴을 참고하여 건강관리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실제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관리 정보 제공 장치는 레퍼런스 데이터에서 분류되는 복수 개의 생활 패턴 중 사용자에 대응하는 제1 생활 패턴을 결정하는 결정부, 및 상기 사용자에 대해 입력되는 건강 상태에 대응하여 식별되는 복수 개의 건강 정보 중, 상기 제1 생활 패턴에 매핑되는 제1 건강 정보를 제공하는 제공부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관리 정보 제공 장치는 상기 복수개의 생활 패턴을 상기 레퍼런스 데이터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생활 패턴은 단위 시간 당 이동 거리의 분포에 의해 결정된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생활 패턴은 이동 수단을 더 고려하여 결정된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결정부는, 단위 시간 당 기록된 사용자 생활 패턴에 대해, 상기 복수 개의 생활 패턴 중에서 매칭되는 제1 생활 패턴을 결정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관리 정보 제공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이동속도, 위치, 및 주변 센싱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생활 패턴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정부는 상기 생성한 생활 패턴 정보에 대응하는 제1 생활 패턴을 결정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관리 정보 제공 장치는 상기 사용자에 대해 입력되는 센싱 정보 및 설문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공부는 상기 생성한 건강 상태 정보에 대응하여 식별되는 제1 건강 정보를 제공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결정부는, 근무일과 휴일을 구분하여 복수의 생활 패턴을 결정하고, 상기 제공부는 상기 복수 개의 건강 정보 중 상기 결정된 복수의 생활 패턴에 대응하는 복수의 건강 정보를 구분하여 제공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관리 정보 제공 방법은 데이터베이스에서, 복수개의 생활 패턴을 레퍼런스 데이터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단계, 결정부에서, 상기 복수 개의 생활 패턴 중 사용자에 대응하는 제1 생활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 및 제공부에서, 상기 사용자에 대해 입력되는 건강 상태에 대응하여 식별되는 복수 개의 건강 정보 중, 상기 제1 생활 패턴에 매핑되는 제1 건강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생활 패턴은 단위 시간 당 이동 거리의 분포에 의해 결정된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생활 패턴은 이동 수단을 더 고려하여 결정된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생활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는, 단위 시간 당 기록된 사용자 생활 패턴에 대해, 상기 복수 개의 생활 패턴 중에서 매칭되는 제1 생활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관리 정보 제공 방법은 생성부에서, 상기 사용자의 이동속도, 위치, 및 주변 센싱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생활 패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생활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한 생활 패턴 정보에 대응하는 제1 생활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관리 정보 제공 방법은 생성부에서, 상기 사용자에 대해 입력되는 센싱 정보 및 설문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1 건강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한 건강 상태 정보에 대응하여 식별되는 제1 건강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생활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는, 근무일과 휴일을 구분하여 복수의 생활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1 건강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 개의 건강 정보 중 상기 결정된 복수의 생활 패턴에 대응하는 복수의 건강 정보를 구분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의 생활패턴을 참고하여 건강관리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실제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관리 정보 제공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건강관리 정보 제공 장치가 참고하는 생활 패턴들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6은 생활 패턴을 결정하는데 필요한 시간에 따른 이동 거리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10은 측정된 시간에 따른 이동 거리로부터 생활 패턴을 분류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생활패턴에 상응하는 건강정보가 기록된 테이블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관리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아래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연관되는 기술 분야에서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것으로 선택되었으나, 기술의 발달 및/또는 변화, 관례, 기술자의 선호 등에 따라 다른 용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아래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설명 부분에서 상세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아래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관리 정보 제공 장치(100)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관리 정보 제공 장치(100)는 건강을 진단 하거나 건강 관련 정보를 트래킹 하여 사용자에게 건강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건강관리 정보들을 제공한다. 또한, 건강관리 정보들을 제공하는데 있어 사용자의 생활패턴을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건강관리 정보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관리 정보 제공 장치(100)는 결정부(110) 및 제공부(120)를 포함한다.
먼저, 결정부(110)는 레퍼런스 데이터에서 분류되는 복수 개의 생활 패턴 중 사용자에 대응하는 제1 생활 패턴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결정부는 사용자의 시간에 따른 이동 거리에 상응하는 제1 생활 패턴을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의 시간에 따른 이동 거리는 이동 속도, 가속도, 위치, 시간, 주위 소음 등을 더 고려할 수 있는데, 이렇게 산출된 정보로부터 사용자 환경이 고려된 제1 생활 패턴이 결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공부(120)는 사용자에 대해 입력되는 건강 상태에 대응하여 식별되는 복수 개의 건강 정보 중, 제1 생활 패턴에 매핑되는 제1 건강 정보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제1 생활 패턴이 출근 시간 이후, 지속적으로 임계값 이상의 속도로 이동하는 패턴인 경우, 사용자는 운전이 직업일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제1 생활 패턴을 고려한다면, 사용자는 이동량이 많지만 실제 운동량이 적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그에 적절한 제1 건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관리 정보 제공 장치(100)는 복수개의 생활 패턴을 상기 레퍼런스 데이터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130)를 포함할 수 있다. 결정부(110)는 사용자의 이동 속도에 따른 거리가 계산되면, 데이터베이스(130)를 파싱하여 현재 계산된 이동 속도에 따른 거리에 부합되는 제1 생활 패턴을 결정할 수 있다.
생활 패턴은 단위 시간 당 이동 거리의 분포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시간 당 이동 거리에 대해 일주일 동안 측정한 경우에는 단위 시간(예를 들어, 24 시간) 동안의 이동 거리 분포로 변환할 수 있다. 이 경우, 일주일 동안의 같은 시간 대에 측정된 이동 거리에 대해서는 평균값을 계산하여 해당 시간에서의 이동 거리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09시에서 09시 30분 사이 7일 동안의 이동 거리 데이터 7개를 평균하여, 09시에서 09시 30분 사이의 이동 거리로 계산할 수 있다. 이렇게 계산된 24시간 내의 각 시간 구간 별 이동 거리를 생활 패턴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생활 패턴은 사용자의 이동 수단을 더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차로 이동하는 시간 당 거리와 자전거로 이동하는 시간 당 거리를 서로 구분하여 생활 패턴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자전거나 도보로 이동하는 사용자의 경우, 자동차로 이동하는 사용자의 시간 당 이동 거리에 비해 적게 측정되지만, 실제 운동량은 자전거나 도보로 이동하는 사용자가 더 많다. 따라서, 시간에 따른 이동 거리를 고려하여 생활 패턴을 결정할 때 사용자의 이동 수단을 고려할 수 있다.
사용자가 단위 시간 당 기록된 사용자 생활 패턴은, 데이터베이스(130)에 기록된 복수 개의 생활 패턴들과 매칭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정확하게 일치하는 생활 패턴이 없더라도, 매칭 여부에 따라 가장 오차가 적은 생활 패턴을 제1 생활 패턴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생성부(140)는 사용자의 이동속도, 위치, 및 주변 센싱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생활 패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의 결정부(110)는 생성한 생활 패턴 정보에 대응하는 제1 생활 패턴을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생성부(140)는 사용자에 대한 건강 상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건강 상태 정보는 심박 센서, 온도 센서 등의 센싱 수단을 통해서 사용자로부터 측정된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정보로 해석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건강 상태 정보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설문 정보에 의해서 산출되는 정보로 해석될 수도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결정부(110)는 근무일과 휴일을 구분하여 복수의 생활 패턴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직업상 자동차를 타고 많이 이동한다면, 휴일에는 이동 거리가 많더라도 자전거를 타고 이동했을 수도 있다. 따라서, 근무일과 휴일을 구분하여 생활 패턴을 결정할 수 있다. 이 때의 제공부(120)는 복수 개의 건강 정보 중 결정된 복수의 생활 패턴에 대응하는 복수의 건강 정보를 구분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건강관리 정보 제공 장치가 참고하는 생활 패턴들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의 생활 패턴은 시간 당 이동 거리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가로축이 시간 축이고 세로축이 이동 거리를 나타낼 수 있다. 먼저, 도면부호 210으로 식별되는 생활 패턴은 일정 시간 대부터 이동 거리가 증가하여 유지되는 형태로서, 출근 이후 지속적으로 이동하는 생활 패턴에 해당한다. 이는 여러가지 교통수단의 운전자가에 해당할 수 있다. 이러한 생활 패턴을 보이는 사용자들은 이동량은 많지만 실제 운동량은 매우 적고, 업무 시간 동안 좁은 공간에 갇혀 있으며 기타 행위가 제한된다.
도면부호 220으로 식별되는 생활 패턴은 출퇴근 시간대에 주로 이동을 하며, 점심시간 근처에 추가적인 이동이 나타나기도 하는 패턴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러한 생활 패턴의 사용자는 일반적인 사무직 근로자에 해당하며, 업무시간 중 짧은 시간이 소요되는 대부분의 행위가 가능하다.
도면부호 203으로 식별되는 생활 패턴은 출퇴근 시간이 아닌 점심 시간 전후로 1-2회 이동이 나타나는 패턴에 해당하며, 주로 가정주부가 이에 해당 할 수 있다. 도면부호 240으로 식별되는 생활 패턴은 평소 거의 운동량이 없는 패턴으로서, 집 또는 병원 등 특정 지역에만 머무는 환자나 노인 등에서 나타날 수 있는 패턴에 해당한다. 도 2의 생활 패턴들 중에서 사용자의 움직임으로부터 측정되는 시간 당 이동 거리에 대응되는 특정 패턴이 제1 생활 패턴으로 결정될 수 있다.
도 3 내지 6은 생활 패턴을 결정하는데 필요한 시간에 따른 이동 거리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먼저, 도 3은 특정 지역(310) 내에서 특정 패턴(320)에 따라 시간에 따른 이동 거리를 나타낸다. 도 3의 실시예에 해당하는 사용자는 특정시간 이후 지속적으로 이동을 하며, 넓은 범위의 지역을 오랜 시간 동안 이동하는 패턴을 나타낸다. 짧은 시간 동안에 많은 거리를 이동하기 때문에, 이러한 패턴을 보이는 사용자는 여러가지 교통수단의 운전자가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이들은 이동량은 많지만 실제 운동량은 매우 적고, 업무 시간 동안 좁은 공간에 갇혀 있으며 기타 행위가 제한된다.
이러한 패턴을 보이는 사용자는 시간 대 별로 이동 거리가 꾸준히 많기 때문에, 도 2의 생활 패턴들 중 출근 후 지속적으로 이동을 하는 패턴인 도면부호 210의 생활 패턴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관리 정보 제공 장치는 이러한 생활 패턴에 대한 건강관리 정보로서, 업무시간 중 앉은 자리에서 2분 이내에 가능한 간단한 체조와 경혈 마사지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의 실시예에 해당하는 사용자는 특정 지역(410) 내에서 특정 패턴(420)에 따라 시간에 따른 이동 거리를 보인다. 이러한 사용자는 출퇴근 시간대에 주로 이동을 하며, 지도상 특정 두 지점을 중심으로 주로 이동이 일어나므로, 일반적인 사무직 근로자나 학생들이 해당하며, 업무 시간 중 짧은 시간이 소요되는 대부분의 행위가 가능하다. 이러한 패턴을 보이는 사용자는 출퇴근 시간대에 주로 이동을 하며, 점심 시간에 추가적인 이동을 나타내는 패턴으로서, 도 2의 생활 패턴들 중에서 도면부호 220의 생활 패턴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관리 정보 제공 장치는 이러한 생활 패턴에 대한 건강관리 정보로서, 점심식사 시간에 10분 이상 산책을 추천하거나, 업무 시간 중 앉은 자리에서 5분 이내에 가능한 간단한 체조와 경혈 마사지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수면 시간의 적절한 관리를 추천하거나, 퇴근과 출근시간의 간격이 일정 이하일 때는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도 5의 실시예에 해당하는 사용자는 특정 지역(510) 내에서 특정 패턴(520)에 따라 시간에 따른 이동 거리를 보인다. 이러한 사용자는 거주지를 중심으로 근거리 지역(예를 들면, 1km 이내 지역)내 이동을 주로 하며, 거주지내 이동 시간이 길다. 예를 들어, 가정주부에 해당할 수 있고, 출퇴근 시간이 아닌 점심 시간 전후로 1-2회 이동이 나타나는 패턴으로서, 도 2의 생활 패턴들 중에서 도면부호 230의 생활 패턴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관리 정보 제공 장치는 이러한 생활 패턴에 대한 건강관리 정보로서, 마음의 안정에 도움을 주는 명상 음악을 추천 해주거나, 20분간 반신욕을 추천할 수 있다. 또한, 허리, 무릎, 어깨 등의 관절을 풀어주는 체조나 요가 동작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수면 시간의 적절한 관리를 추천할 수도 있다.
도 6은 특정 지역(610) 내에서 특정 패턴(620)에 따라 시간에 따른 이동 거리를 나타낸다. 도 6의 실시예에 해당하는 사용자는 특정지역에서의 이동만이 나타나는데, 재택 근로자, 환자, 노인 등일 수 있다. 이들은 평소 거의 운동량이 없는 패턴으로서, 도 2의 생활 패턴들 중에서 도면부호 240의 생활 패턴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관리 정보 제공 장치는 이러한 생활 패턴에 대한 건강관리 정보로서, 운동 보다는 명상, 단전호흡, 음악 감상등 움직임이 없이도 가능한 행위를 추천할 수 있다. 또한, 하루 20분정도 햇볕을 쬐는 것을 추천하거나, 수면 시간의 적절한 관리를 추천할 수 있다.
도 7 내지 10은 측정된 시간에 따른 이동 거리로부터 생활 패턴을 분류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관리 정보 제공 장치는 특정 기간, 예를 들어 일주일 동안에 사용자의 시간에 따른 이동 거리를 수집할 수 있다. 이를 평균하여 하루 동안의 시간 당 이동 거리를 계산하고, 계산된 시간 당 이동 거리와 기저장된 생활 패턴들을 대비하여 가장 유사한 생활 패턴을 제1 생활 패턴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7을 살펴보면, 사용자의 시간 당 이동 거리는 도면부호 710과 같이 측정될 수 있다. 오전 8시정도부터 이동 거리가 발생하기 시작하여 꾸준히 이동 거리가 지속되는 패턴으로서, 여러 생활 패턴들 중에서도 생활 패턴(720)에 대응될 수 있다. 비록, 시간 당 이동 거리(710)과 생활 패턴(720) 간 오차가 존재하지만, 허용 가능한 범위의 오차로서 판단되는 경우 시간 당 이동 거리(710)에 생활 패턴(720)이 매칭될 수 있다. 일례로, 본 발명에 따른 건강관리 정보 제공 장치는 저장되어 있는 생활 패턴들 중에서 측정된 시간당 이동 거리에 대비하여 오차가 가장 적은 생활 패턴을 사용자에 상응하는 제1 생활 패턴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8을 살펴보면, 사용자의 시간 당 이동 거리는 도면부호 810과 같이 측정될 수 있다. 오전 6시정도에서 시작하여 출근 시간대, 점심 시간대, 퇴근 시간대에 이동 거리가 현저하게 나타나는 패턴으로서, 보통 사무직 또는 학생으로부터 나타나는 패턴으로 분류될 수 있다.
따라서, 여러 생활 패턴들 중에서도 생활 패턴(820)에 대응될 수 있다. 비록, 시간 당 이동 거리(810)과 생활 패턴(820) 간 오차가 존재하지만, 허용 가능한 범위의 오차로서 판단되는 경우 시간 당 이동 거리(810)에 생활 패턴(820)이 매칭될 수 있다.
도 9를 살펴보면, 사용자의 시간 당 이동 거리는 도면부호 910과 같이 측정될 수 있다. 오전 7시정도에서 시작하여 꾸준한 이동 거리를 나타내지만 그 크기가 미미하게 나타나는 패턴으로서, 가정주부 등으로부터 나타나는 패턴으로 분류될 수 있다. 따라서, 여러 생활 패턴들 중에서도 생활 패턴(920)에 대응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시간 당 이동 거리(910)과 생활 패턴(920) 간 오차가 존재하지만, 허용 가능한 범위의 오차로서 판단되는 경우 시간 당 이동 거리(910)에 생활 패턴(920)이 매칭될 수 있다.
도 10을 살펴보면, 사용자의 시간 당 이동 거리는 도면부호 1010과 같이 측정될 수 있다. 전체적으로 큰 움직임없이 미미하게 나타나는 패턴으로서, 노인이나 환자 등으로부터 나타나는 패턴으로 분류될 수 있다.
따라서, 여러 생활 패턴들 중에서도 생활 패턴(1020)에 대응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시간 당 이동 거리(1010)과 생활 패턴(1020) 간 오차가 존재하지만, 허용 가능한 범위의 오차로서 판단되는 경우 시간 당 이동 거리(1010)에 생활 패턴(1020)이 매칭될 수 있다.
도 11은 생활패턴에 상응하는 건강정보가 기록된 테이블(1100)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관리 정보 제공 장치는 결정된 생활 패턴을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건강관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건강관리 정보 제공 장치는 테이블(1100)을 참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테이블(1100)은 생활 패턴 및 건강 진단 결과에 상응하는 건강정보들을 기록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생활 패턴이 '생활 패턴 1'에 해당하고, 건강 진단 결과 '건강 2단계'가 확인된 경우라면, 본 발명에 따른 건강관리 정보 제공 장치는 건강정보2 ,1에 해당하는 건강관리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만약, 건강 진단 결과 '건강 2단계'가 확인된 경우라도, 사용자의 생활 패턴이 '생활 패턴 2'에 해당하는 경우라면, 본 발명에 따른 건강관리 정보 제공 장치는 건강정보2 ,2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에 대해 활동량을 분석한 결과, "미병 1단계"로 건강 진단된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일주일간 환경정보를 분석한 결과, 사용자는 주로 집안에서 조용한 환경에서 생활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면, 본 발명에 따른 건강관리 정보 제공 장치는 "생활 패턴4"로 사용자의 패턴을 정의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건강관리 정보 제공 장치는 미병1단계와 생활패턴4에 해당하는 건강정보1 ,4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다른 실시예로, 본 발명에 따른 건강관리 정보 제공 장치는 '피로형미병' 등으로 진단받은 대상자의 일주일 동안 시간대별 이동거리를 분석하여 아래의 4가지 생활패턴 중 하나로 판별하고, 해당하는 패턴에 따라 맞춤형 건강관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피로형미병'에 대하여 일괄적인 건강관리 정보를 제공 하였을 때, 평소 운동량이 적은 사람에게 억지로 운동을 시키거나 야근이 잦은 사람에게 수면을 더 취하라고 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거부감을 일으키거나 무의미한 정보를 제공하게 되는데, 평소 생활패턴에 따라 손쉽게 활용 가능한 적절한 건강관리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제공한 건강관리 정보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관리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관리 정보 제공 방법은 복수개의 생활 패턴을 레퍼런스 데이터로 분류하여 저장한다(단계 1201).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관리 정보 제공 방법은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복수개의 생활 패턴을 레퍼런스 데이터로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관리 정보 제공 방법은 복수 개의 생활 패턴 중 사용자에 대응하는 제1 생활 패턴을 결정할 수 있다(단계 1202).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관리 정보 제공 방법은 제1 생활 패턴에 매핑되는 제1 건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단계 1203). 예를 들어, 사용자에 대해 입력되는 건강 상태에 대응하여 식별되는 복수 개의 건강 정보 중, 제1 생활 패턴에 매핑되는 제1 건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생활 패턴은 단위 시간 당 이동 거리의 분포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관리 정보 제공 방법은 단위 시간 당 기록된 사용자 생활 패턴에 대해, 상기 복수 개의 생활 패턴 중에서 매칭되는 제1 생활 패턴을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관리 정보 제공 방법은 미리 지정된 기간 동안에 기록된 사용자의 생활 패턴을 평균하여 하루 동안의 생활 패턴으로 계산할 수 있다.
일례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관리 정보 제공 방법은 사용자의 이동속도, 위치, 및 주변 센싱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생활 패턴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사용자에 대해 입력되는 센싱 정보 및 설문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관리 정보 제공 방법은 제1 생활 패턴을 결정하기 위해서, 근무일과 휴일을 구분하여 복수의 생활 패턴을 결정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생활패턴을 참고하여 건강관리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실제로 사용자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6)

  1.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건강관리 정보 제공 장치에 있어서,
    레퍼런스 데이터에서 분류되는 복수 개의 생활 패턴 - 상기 생활 패턴은 단위 시간 당 사용자의 이동 거리의 분포와 상기 이동 거리에 연관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수단으로 결정됨 - 중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생활 패턴을 결정하는 결정부;
    상기 사용자에 대해 입력되는 건강 상태에 대응하여 식별되는 복수 개의 건강 정보 중,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생활 패턴에 매핑되는 제1 건강 정보를 제공하는 제공부; 및
    상기 복수 개의 생활 패턴을 상기 레퍼런스 데이터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결정부는 상기 사용자의 시간 당 이동 거리와 허용 가능한 범위의 오차를 갖는 생활 패턴들 중 상기 오차가 가장 작은 생활 패턴을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생활 패턴으로서 결정하고, 근무일 및 휴일 각각에 대응하며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생활 패턴을 결정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소정의 제1 시간부터 이동 거리가 발생하여 제1 임계치 이상의 이동 거리가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제1 생활 패턴을 교통수단의 운전자에 관한 제1 레퍼런스 데이터로 저장하고, 소정의 제2 시간부터 특정 시간 간격으로 이동 거리가 비연속적으로 발생하는 제2 생활 패턴을 사무직 또는 학생에 관한 제2 레퍼런스 데이터로 저장하고, 소정의 제3 시간부터 제2 임계치 이하의 이동 거리가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제3 생활 패턴을 가정주부에 관한 제3 레퍼런스 데이터로 저장하고, 전체 시간 구간 동안 제3 임계치 미만의 이동 거리가 발생하는 제4 생활 패턴을 노인 또는 환자에 관한 제4 레퍼런스 데이터로 저장하는 건강관리 정보 제공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는,
    단위 시간 당 기록된 사용자 생활 패턴에 대해, 상기 복수 개의 생활 패턴 중에서 매칭되고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생활 패턴을 결정하는 건강관리 정보 제공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이동속도, 위치, 및 주변 센싱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생활 패턴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부
    를 포함하고,
    상기 결정부는 상기 생성한 생활 패턴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생활 패턴을 결정하는 건강관리 정보 제공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대해 입력되는 센싱 정보 및 설문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공부는 상기 생성한 건강 상태 정보에 대응하여 식별되는 제1 건강 정보를 제공하는 건강관리 정보 제공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부는 상기 복수 개의 건강 정보 중 상기 결정된 복수의 생활 패턴에 대응하는 복수의 건강 정보를 구분하여 제공하는 건강관리 정보 제공 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150027419A 2015-02-26 2015-02-26 생활 패턴에 기반하여 건강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7423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7419A KR101742370B1 (ko) 2015-02-26 2015-02-26 생활 패턴에 기반하여 건강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7419A KR101742370B1 (ko) 2015-02-26 2015-02-26 생활 패턴에 기반하여 건강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4412A KR20160104412A (ko) 2016-09-05
KR101742370B1 true KR101742370B1 (ko) 2017-06-01

Family

ID=56938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7419A KR101742370B1 (ko) 2015-02-26 2015-02-26 생활 패턴에 기반하여 건강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237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2900B1 (ko) * 2004-11-11 2007-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의 생활 패턴을 고려한 건강 관리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2313B1 (ko) 2012-07-27 2014-11-20 노영희 개인맞춤형 건강관리 포탈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2900B1 (ko) * 2004-11-11 2007-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의 생활 패턴을 고려한 건강 관리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4412A (ko) 2016-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02448B1 (en) Machine learning to select digital therapeutics
US11342051B1 (en) Infectious disease monitoring using location information and surveys
US11456080B1 (en) Adjusting disease data collection to provide high-quality health data to meet needs of different communities
KR102162522B1 (ko)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Trombetti et al. Effect of music-based multitask training on gait, balance, and fall risk in elderly peopl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Kenner Breathtaking: Asthma care in a time of climate change
US10741042B2 (en) Method for tracking and reacting to events in an assisted living facility
Wan et al. Design of A GPS monitoring system for dementia care and its challenges in academia-industry project
US20180286509A1 (en) Computer-Implemented Multi-Factor Patient Education Method
Yu et al. Impacts of residential self-selection and built environments on children’s walking-to-school behaviors
Brichetto et al. Beyond center-based testing: Understanding and improving functioning with wearable technology in MS
Lavallière et al. Tackling the challenges of an aging workforce with the use of wearable technologies and the quantified-self
Jacobs et al. The cost-effectiveness of adolescent hepatitis A vaccination in states with the highest disease rates
Reis et al. Developing a system for post-stroke rehabilitation: an exergames approach
Lee-Cheong et al. New assistive technologies in dementia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care: A PubMed review
Cook et al. Fusing ambient and mobile sensor features into a behaviorome for predicting clinical health scores
Cahill et al. Addressing issues of need, adaptability, user acceptability and ethics in the participatory design of new technology enabling wellness, independence and dignity for seniors living in residential homes
Queirós et al. SmartWalk: Personas and scenarios definition and functional requirements
Batool et al. CTASS: an intelligent framework for personalized travel behaviour advice to cardiac patients
JP2017162354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Randriambelonoro et al. Exploring physical activity monitoring devices for diabetic and obese patients
Postolache et al. Applying smartphone apps to drive greater patient engagement in personalized physiotherapy
Antonucci et al. The right to move: A multidisciplinary lifespan conceptual framework
Levy Emotional requirements for well-being applications: The customer journey
Garcia-Valverde et al. Heart health risk assessment system: a nonintrusive proposal using ontologies and expert ru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