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4380B1 - Plants cultivation device and Plants cultivation method - Google Patents
Plants cultivation device and Plants cultivation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24380B1 KR101724380B1 KR1020150062529A KR20150062529A KR101724380B1 KR 101724380 B1 KR101724380 B1 KR 101724380B1 KR 1020150062529 A KR1020150062529 A KR 1020150062529A KR 20150062529 A KR20150062529 A KR 20150062529A KR 101724380 B1 KR101724380 B1 KR 10172438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plant cultivation
- unit
- cultivation apparatus
- water supply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1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5000020188 drinking water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3651 drinking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3673 groundwa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CURLTUGMZLYLDI-UHFFFAOYSA-N carbon dioxide Chemical compound O=C=O CURLTUGMZLYLDI-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10002092 carb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1569 carbon diox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337 fert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description 2
- 206010057190 Respiratory tract infec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75 alt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55 fruits and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9553 photosynthe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672 photosynthe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82 pot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0—Forcing-frames; Lights, i.e. glass panels covering the forcing-fram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에서 간편하고 편리한 방식으로 식물을 재배하는 것은 물론 통신포트를 통해 외부에서 PC나 스마트기기로 간편하고 편리하게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식물재배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 식물재배장치는 실내에서 식물을 재배하기 위한 식물재배장치에 있어서, 상기 식물재배장치(100)의 식물들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110); 상기 식물재배장치(100)에서 재배되는 식물들이 필요로 하는 광을 공급하는 조명부(120); 상기 물공급부(110)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관(130); 상기 물공급부(110)에서 식물에 물이 공급된 후 외부로 배출되는 물을 일정기간 모아두는 물받이(140); 상기 물받이(140) 또는 외부의 식수 또는 지하수를 상기 물공급관(130)을 통해 상기 물공급부(110)로 전달하는 모터(150); 상기 식물재배장치(100)의 온도, 습도, 수분 및 오염도를 감지하는 센서들로 구성된 센서부(160); 및 상기 식물재배장치(100)를 상기 식물재배장치(100)의 외부에서 제어하기 위한 제어패널(17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cultivating plants in a simple and convenient manner indoors, as well as easily and conveniently cultivating plants from the outside through a communication port to a PC or a smart device.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ter supply unit 110 for supplying water to plants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00; An illumination unit 120 for supplying light required by the plants cultivated in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00; A water supply pipe 130 for supplying water to the water supply unit 110; A water receiver 140 for collecting water discharged to the outside after the water is supplied to the plants from the water supplier 110; A motor 150 for transferring the water receptacle 140 or external drinking water or ground water to the water supply unit 110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130; A sensor unit 160 composed of sensors for sensing temperature, humidity, moisture and pollution level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00; And a control panel (170) for controlling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00) from outside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00).
Description
본 발명은 식물재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편하고, 편리한 입력방식으로 실내에서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식물재배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plant cultiv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cultivating a plant in a room with a simple and convenient input method.
오늘날 산업이 발전하고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각종 공장시설의 확장과 주택의 건설로 농경지나 청정 지역이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며, 특히, 화학약품 등의 사용으로 농작물을 재배하는 농경지가 척박해짐은 물론 각종 산업공해의 증가로 청정 농산물이나 각종 식물의 재배가 날로 어려워지고 있다.As the industry develops and the population increases, farmland and clean areas are decreasing due to the expansion of various factory facilities and the construction of houses. In particular, the use of chemicals to make farmland grows barren With the increase of various industrial pollution, the cultivation of clean agricultural products and various plants is getting harder and harder.
이러한 환경오염에 따라 청정 농산물이나 각종 식물을 재배하기 위한 일반인들의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기존의 유리 온실 또는 비닐하우스 등과 같은 재배 방식은 식물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계절에 상관없이 농작물과 식물을 재배할 수는 있지만, 넓은 공간이 반드시 확보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Due to the environmental pollution, public interest for cultivating clean agricultural products and various plants is increasing rapidly. Conventional cultivation methods such as greenhouses or vinyl houses not only improve the productivity of plants but also can cultivate crops and plants regardless of the season, but there is a problem that a large space must be secured.
식물 재배를 업으로 하는 사람들뿐만 아니라 이를 필요로 하는 일반 가정이나 전문 식당 등과 같이 넓은 경작지를 확보할 수 없는 경우에도 소규모로 재배하여 자급할 수 있도록 최소한의 실내 공간을 활용하여 대량으로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다양한 재배 장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If you can not obtain a wide range of cultivated land, such as ordinary households or specialty restaurants that require it, as well as people who are engaged in plant cultivation, you can cultivate plants in large quantities using a minimum of indoor space Researches on various cultivation apparatuses that can be applied to agricultural products are being actively carried out.
이처럼 실내에서 재배 장치를 이용한 청정한 식물의 재배뿐만 아니라 계절에 상관없이 다양한 식물의 재배가 가능하기 위해서는 식물의 광합성에 필요한 태양광을 확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그러나 태양광은 날씨나 시간 또는 장소에 따라 많은 영향을 받기 때문에, 실내에서 재배 장치를 사용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In order to cultivate a variety of plants regardless of season, it is most important to secure the sunlight required for photosynthesis of plants, as well as to cultivate clean plants using indoors cultivation apparatuses. However, since sunlight is highly affected by weather, time, and location, there are limits to using indoor cultivation equipment.
또한, 이러한 한계로 인해 인공광을 사용하게 되더라도 식물의 생장 주기에 따라 인공광의 파장 조절이 불가능하고, 그만큼 전력 소모가 많다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even if artificial light is used due to this limitation, the wavelength of the artificial light can not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plant growth cycle, and the power consumption is increased accordingl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에서 간편하고 편리한 방식으로 식물을 재배하는 것은 물론 통신포트를 통해 외부에서 PC나 스마트기기로 간편하고 편리하게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식물재배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imple and convenient method for growing plants in a roo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cultivating a plant.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식물재배장치는 실내에서 식물을 재배하기 위한 식물재배장치에 있어서, 상기 식물재배장치(100)의 식물들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110); 상기 식물재배장치(100)에서 재배되는 식물들이 필요로 하는 광을 공급하는 조명부(120); 상기 물공급부(110)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관(130); 상기 물공급부(110)에서 식물에 물이 공급된 후 외부로 배출되는 물을 일정기간 모아두는 물받이(140); 상기 물받이(140) 또는 외부의 식수 또는 지하수를 상기 물공급관(130)을 통해 상기 물공급부(110)로 전달하는 모터(150); 상기 식물재배장치(100)의 온도, 습도, 수분 및 오염도를 감지하는 센서들로 구성된 센서부(160); 및 상기 식물재배장치(100)를 상기 식물재배장치(100)의 외부에서 제어하기 위한 제어패널(17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for growing plants in an indoor environment, comprising: a
여기서 식물재배장치(100)의 상기 제어패널(170)은 상기 식물재배장치(100)내의 온도, 습도 및 토양의 수분을 표시하기 위한 온도 표시부, 습도 표시부 및 수분 표시부로 구성되는 표시부(171)와, 상기 센서부(160)에서의 온도, 습도, 수분 및 오염도 데이터를 센싱하는 센싱부(172)와, 상기 식물재배장치(100)에서 재배하는 식물의 종류에 따라 재배에 적합한 온도, 습도, 수분, 오염도를 입력하는 조작부(173)와, 상기 조작부(173)에서 입력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174)와, 상기 센싱부(172)에서 센싱한 데이터를 상기 저장부(174)에 기 저장된 온도, 습도, 수분 및 오염도 데이터와 비교하는 비교부(175)와, LAN, WiFi 또는 USB 포트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어 PC, 노트북 또는 스마트 패드나 스마트폰과 같은 외부기기와 연결되어 상기 조작부(173)에서 입력하는 내용을 입력하거나 상기 저장부(174)에서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상기 식물재배장치(100)의 상기 센싱부(172)에서 센싱한 데이터를 외부기기로 전송하고, 외부기기로부터의 제어데이터를 전송받는 통신포트(176) 및 상기 물공급부(110), 조명부(120), 물공급관(130), 물받이(140), 모터(150), 센서부(160) 및 제어패널(170)을 제어하는 제어부(177)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The
한편 상기 저장부(174)는, 상기 식물재배장치(100)의 온도, 습도, 수분 및 오염도 중 식물재배에 필요한 데이터와, 상기 식물의 식물명에 따른 생육조건 데이터를 미리 저장하고, 상기 식물재배장치(100)에는 상기 조명부(120)와 모터(150) 및 제어패널(170)에서 필요로 하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80)와 식물재배장치(100)의 환기를 위한 풍량부(190)가 더 구성된다.
Meanwhile, the
그리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식물재배방법은 실내에서 식물을 재배하기 위한 식물재배장치를 이용한 식물재배방법에 있어서, 상기 식물재배장치(100)에서 재배하고자 하는 식물의 생육조건을 입력하는 단계(S100); 상기 입력한 생육조건을(S110), 제어부(177)는 저장부(174)에 저장하는 단계(S120); 상기 식물재배장치(100)의 센서부(160)에서는 데이터를 센싱하고(S130), 센싱 데이터에서 온도/습도/수분 및 오염도를 감지하는 단계(S140); 상기 감지된 결과는 비교부(175)에서 상기 저장부(174)에 저장된 생육데이터와 비교하는 단계(S150); 상기 비교결과에 따라 온도, 습도, 수분 및 광량을 해당 식물 재배 조건으로 최적화하기 위하여 이산화탄소에 의한 오염도가 높은 경우 풍량을 조절하거나, 습도나 수분이 부족한 경우 물을 공급하거나 물받이의 물이 오염도 임계값을 넘었다면 물을 교환하는 단계(S160); 및 상기 제어부(177)는 상기 식물재배장치(100)의 구성물 중 이상이 발생한 경우와 상기 식물재배장치(100)에서 처리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통신포트(176)를 통해 외부의 PC(200)나 스마트 기기(210)로 전송하는 단계(S1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ant cultivation method using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for cultivating plants in an indoor environment, the method comprising: inputting growth conditions of a plant to be cultivated in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00) Step SlOO; The input growth conditions ar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74 (S110), the control unit 177 (S120); The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식물을 생육조건을 입력하는 것에 따라 편리하게 식물을 재배할 수 있다.First, plants can be conveniently grown by entering the growing conditions of the plants.
둘째, 식물에 제공되는 물을 재활용할 수 있으므로 물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Second, the water provided to the plant can be recycled, thus minimizing waste of water.
셋째, 식물에 제공되는 물의 재활용 시 비료 역시 재활용할 수 있다.Third, fertilizer can be recycled when the water supplied to the plant is recycled.
넷째, 농작물을 입력하는 것에 따라 간단하고 편리하게 식물을 재배할 수 있다.Fourth, plants can be grown simply and conveniently by inputting crops.
다섯째, 통신포트를 이용하여 PC나 스마트기기를 이용하여 원격지에서 편리하게 식물을 재배할 수 있고, 이상상황 발생 시 빠른 대처가 가능하다.
Fifth, it is possible to cultivate plants conveniently at a remote site by using a PC or a smart device by using a communication port, and it is possible to quickly cope with an abnormal situ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물재배 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물재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물재배장치를 외부에서 이용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식물재배장치를 복수개 구성하는 경우의 이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externally.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using a plurality of plant cultivation apparatus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plant cultiv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plant cultivation metho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In addition, although the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selected as a general term that is widely used at present, there are some terms selected arbitrarily by the applicant in a specific case. In this case, since the meaning is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relevant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grasped as a meaning of a term that is not a name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escriptions of technical contents which are well know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nd which are not directl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This is for the sake of clarity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omitting the unnecessary explan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물재배 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물재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FIG. 1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식물재배장치(10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공급부(110), 조명부(120), 물공급관(130), 물받이(140), 모터(150), 센서부(160) 및 제어패널(170)로 구성된다.1 and 2, the
여기서 식물재배장치(100)는 실내에서 식물을 재배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실내란 일반 가정에서 이용할 수 있는 정도의 소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비닐하우스와 같은 대형 재배 장치일 수 있다.Herein, the
물공급부(110)는 식물재배장치(100)의 식물들에 물을 공급하는 것으로, 식물재배장치(100)의 상층부에서 하부로 물을 분사하는 형식으로 구성한다.The
조명부(120)는 식물재배장치(100)에서 재배되는 식물들이 필요로 하는 광을 공급한다. 이러한 조명부(120)는 LED로 구성할 수 있다.The
물공급관(130)은 물공급부(110)로 물을 공급한다.The
물받이(140)는 물공급부(110)에서 식물에 물이 공급된 후 외부로 배출되는 물을 일정기간 모아둔다. 이와 같은 물받이를 두는 경우 물의 불필요한 낭비를 방지하는 것은 물론 비료 등 역시 배수 홀을 통해 배출된 경우에도 다시 재생할 수 있다. The
모터(150)는 물받이(140) 또는 외부의 식수 또는 지하수 등을 물공급관(130)을 통해 물공급부(110)로 전달한다. The
센서부(160)는 식물재배장치(100)의 온도, 습도, 수분 및 오염도를 감지하는 센서들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온도센서(161), 습도센서(162), 수분센서(163) 및 오염도 감지센서(164)등이 구성될 수 있다. 그 중에서 수분센서(163)는 토양의 수분을 센싱하고, 오염도 감지센서(164)는 물받이(140)의 오염도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식물재배장치(100)내의 이산화탄소 농도 등을 감지하는 센서를 더 구성할 수도 있다.The
제어패널(170)은 식물재배장치(100)를 식물재배장치(100)의 외부에서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표시부(171), 센싱부(172), 조작부(173), 저장부(174), 비교부(175), 통신포트(176) 및 제어부(177)로 구성된다.The
여기서 표시부(171)는 식물재배장치(100)내의 온도, 습도 및 토양의 수분을 표시하기 위한 온도 표시부, 습도 표시부 및 수분 표시부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The
센싱부(172)는 온도센서(161), 습도센서(162), 수분센서(163) 및 오염도 감지센서(164)에서의 온도, 습도, 수분 및 오염도 데이터를 센싱한다.The
조작부(173)는 식물재배장치(100)에서 재배하는 식물의 종류에 따라 재배에 적합한 온도, 습도, 수분, 오염도를 입력한다.The operation unit 173 inputs temperature, humidity, moisture, and pollution degree suitable for cultiva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plant cultivated in the
저장부(174)는 조작부(173)에서 입력한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이러한 데이터로는 식물재배장치(100)의 온도, 습도, 수분 및 오염도 중 식물재배에 필요한 데이터와 식물명에 따른 생육조건 데이터 등이 포함된다. 저장부(174)에 저장된 생육 조건 데이터는 제어부(177)가 센서부(160)를 통해 감지된 오염도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데 사용되는 정보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식물명에 따른 생육조건이란 과일이나 채소 등의 식물명에 따른 서로 다른 최적의 생육 온도, 습도, 수분, 광량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봄, 여름, 가을 및 겨울 각각의 4계절에 생산되는 과일이나 채소 또는 실내이므로 해당 식물의 적합한 생육 조건을 데이터로 미리 저장하는 것이다.The
Meanwhile, the growth conditions according to the plant names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optimum growth temperature, humidity, moisture, amount of light and the like depending on the plant names such as fruits and vegetables. In other words, fruits, vegetables, or indoors produced in each of the four seasons of spring, summer, autumn, and winter are stored in advance as data.
비교부(175)는 센싱부(172)에서 센싱한 데이터를 저장부(174)에 기 저장된 온도, 습도, 수분 및 오염도 데이터와 비교한다.The
통신포트(176)는 LAN, WiFi 또는 USB 포트 등이 구성되어 PC, 노트북 또는 스마트 패드나 스마트폰과 같은 외부기기와 연결되어 조작부(173)에서 입력하는 내용을 입력하거나 저장부(174)에서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식물재배장치(100)의 센싱부(172)에서 센싱한 데이터를 외부기기로 전송하고, 외부기기로부터의 제어데이터를 전송받는다.The
제어부(177)는 물공급부(110), 조명부(120), 물공급관(130), 물받이(140), 모터(150), 센서부(160) 및 제어패널(170)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177)는 센서부(160)를 통해 데이터를 센싱한 후 데이터에서 오염도를 감지하고, 오염도 및 저장부(174)에 저장된 생육 데이터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구성 요소를 제어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77)는 이산화탄소에 의한 오염도가 특정 오염도 이상이면 풍량부(190)를 동작시켜 오염도를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77)는 습도 및 수분이 특정 값 이하이면 모터(150)를 동작시켜 물공급관(130)을 통해 물공급부(110)로 전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7)는 오염도 감지센서(164)에 의해 감지된 물받이(140)의 물이 오염도가 특정 오염도 이상이면 물받이(140)의 물을 배수구를 통해 배수하고, 물받이(140)의 물이 오염도가 특정 오염도 이하이면 모터(150)를 동작시켜 상기 물공급관(130)을 통해 상기 물공급부(110)로 전달한다. The
That is, the
In one embodiment, the
In another embodiment, the
The
한편 식물재배장치(100)에는 조명부(120)와 모터(150) 및 제어패널(170)에서 필요로 하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80)와 식물재배장치(100)의 환기를 위한 풍량부(190)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풍량부(190)는 제어부(177)의 제어에 따라 전원부(180)의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풍량팬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물재배장치를 외부에서 이용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식물재배장치를 복수개 구성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xternally used, and FIG.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case where a plurality of plant cultivation apparatus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stituted.
한편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식물재배장치(100)(101)(102)를 외부에서 이용하는 구성은 도 3이나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패널(170)의 통신포트(176)를 통해, PC(노트북 포함)(200)나 스마트 기기(스마프 패드, 스마트 폰 등)(210)이 연결되는 것으로, 식물의 종류에 따른 생육조건을 전송하거나, 재배하고자 하는 식물(농작물)명을 PC(200)나 스마트 기기(210)를 통해 입력한다. 또한 식물재배장치(100)(101)(102)의 제어부(177)는 식물재배장치(100)내의 구성물들의 동작상태나 이상상태를 설정된 시간 또는 이상상황 발생 시 통신포트(176)를 통해 외부의 PC(200)나 스마트 기기(210)로 전송한다.
3 and 4,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es 100 (101) and 102 shown in Figs. 1 and 2 are used externally is provided through the
도 5는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plant cultiv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 방법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식물재배장치(100)에서 재배하고자 하는 식물(과일, 채소 등)의 생육조건을 입력한다(S100). 이때, 식물마다 최적화된 온도, 습도, 수분 및 광량이 다르므로 식물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입력한다. 이러한 입력은 조작부(173), PC(200) 또는 스마트 기기(210)에서 입력한다.As shown in FIG. 5, the plant cultiv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puts growth conditions of plants (fruits, vegetables, etc.) to be cultivated in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00 (S100). At this time, temperature, humidity, moisture and light amount are optimized for each plant. These inputs are input from the
그 다음 입력한 생육조건을 전송하면(S110), 제어부(177)는 해당 생육조건을 저장부(174)에 저장한다(S120).If the input growth condition is transmitted (S110), the
한편 식물재배장치(100)의 센서부(160)로부터 데이터를 센싱하고(S130), 센싱 데이터에서 온도/습도/수분 및 오염도를 감지한다(S140).Meanwhile, data is sensed from the
그리고 감지된 결과는 비교부(175)에서 저장부(174)에 기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한다(S150).The
비교결과에 따라 온도, 습도, 수분 및 광량을 해당 식물 재배 조건으로 최적화하기 위하여 이산화탄소 등에 의한 오염도가 높은 경우 풍량을 조절하거이나, 습도나 수분이 부족한 경우 물을 공급하거나 물받이의 물이 오염도 임계값을 넘었다면 물을 교환한다(S160).
단계 S160에 대한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77)는 센서부(160)를 통해 데이터를 센싱한 후 데이터에서 오염도를 감지하고, 오염도 및 저장부(174)에 저장된 생육 데이터를 비교하여 이산화탄소에 의한 오염도가 특정 오염도 이상이면 풍량부(190)를 동작시켜 오염도를 조절하거나 습도 및 수분이 특정 값 이하이면 모터(150)를 동작시켜 물공급관(130)을 통해 물공급부(110)로 전달한다.
단계 S160에 대한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77)는 오염도 감지센서(164)에 의해 감지된 물받이(140)의 물이 오염도가 특정 오염도 이상이면 물받이(140)의 물을 배수구를 통해 배수하고, 물받이(140)의 물이 오염도가 특정 오염도 이하이면 모터(150)를 동작시켜 상기 물공급관(130)을 통해 상기 물공급부(110)로 전달한다.In order to optimize the temperature, humidity, moisture and light quantity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air volume when the pollution degree is high due to carbon dioxide or the like, to supply water when humidity or water is insufficient, The water is exchanged (S160).
In step S160, the
The
그리고 제어부(177)는 식물재배장치(100)의 구성물 중 이상이 발생했는가를 판단한다(S170).Then, the
판단결과(S170) 이상이 발생했다면 해당 이상정보를 PC(200)나 스마트 기기(210)로 전송한다(S180). 그에 따라 이상 발생 시 즉각적인 처리가 가능하다.If the determination result (S170) is abnormal, the abnormal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한편 판단결과(S170) 이상이 발생되지 않았다면 식물재배장치(100)에서 처리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PC(200)나 스마트 기기(210)로 전송한다(S190).If it is determined that the abnormality does not occur (S170), the
그에 따라 식물재배장치(100) 관리자는 편리하게 식물재배장치(100)의 상태를 관리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manager of the
도 6은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plant cultivation metho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 방법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식물재배장치(100)에서 재배하고자 하는 식물(과일, 채소 등)의 이름을 입력한다(S200). 이때, 식물마다 최적화된 온도, 습도, 수분 및 광량은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저장부(174)에 이미 데이터화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물론, 식물명을 입력하면서 저장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6, the plant cultiv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puts the names of plants (fruits, vegetables, etc.) to be cultivated in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00 (S200). At this time, temperature, humidity, moisture, and light amount optimized for each plant may be already stored in the
그에 따라 식물재배장치(100)의 제어부(177)는 식물명에 따른 생육조건을 저장부(174)에서 검색한다(S210).Accordingly, the
검색결과(S210) 검색에 성공하였는지를 판단한다(S220).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earch result (S210) has been successfully retrieved (S220).
판단결과(S220) 검색되지 않았다면 제어부(177)는 PC(200) 또는 스마트 기기(210)로 검색결과를 전송하고, 그에 따라 PC(200) 또는 스마트 기기(210)와 같은 외부기기로부터 생육조건을 전송받아 이를 저장부(174)에 업로드한다.If the determination result (S220) is not found, the
한편 식물재배장치(100)의 센서부(160)로부터 데이터를 센싱하고(S240), 센싱 데이터에서 온도/습도/수분 및 오염도를 감지한다(S250).Meanwhile, data is sensed from the
그리고 감지된 결과는 비교부(175)에서 저장부(174)에 기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한다(S260).The
비교결과에 따라 온도, 습도, 수분 및 광량을 해당 식물 재배 조건으로 최적화하기 위하여 이산화탄소 등에 의한 오염도가 높은 경우 풍량을 조절하거이나, 습도나 수분이 부족한 경우 물을 공급하거나 물받이의 물이 오염도 임계값을 넘었다면 물을 교환한다(S270).
단계 S270에 대한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77)는 센서부(160)를 통해 데이터를 센싱한 후 데이터에서 오염도를 감지하고, 오염도 및 저장부(174)에 저장된 생육 데이터를 비교하여 이산화탄소에 의한 오염도가 특정 오염도 이상이면 풍량부(190)를 동작시켜 오염도를 조절하거나 습도 및 수분이 특정 값 이하이면 모터(150)를 동작시켜 물공급관(130)을 통해 물공급부(110)로 전달한다.In order to optimize the temperature, humidity, moisture and light quantity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air volume when the pollution degree is high due to carbon dioxide or the like, to supply water when humidity or water is insufficient, Water is exchanged (S270).
In one embodiment of step S270, the
그리고 제어부(177)는 식물재배장치(100)의 구성물 중 이상이 발생했는가를 판단한다(S280).The
판단결과(S280) 이상이 발생했다면 해당 이상정보를 PC(200)나 스마트 기기(210)로 전송한다(S290). 그에 따라 이상 발생 시 즉각적인 처리가 가능하다.If the determination result (S280) is abnormal, the abnormal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한편 판단결과(S280) 이상이 발생되지 않았다면 식물재배장치(100)에서 처리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PC(200)나 스마트 기기(210)로 전송한다(S300). 그에 따라 식물재배장치(100) 관리자는 편리하게 식물재배장치(100)의 상태를 관리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the determination result (S280) does not occur, the data collected by the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요지를 포함하는 다양한 실시 형태 중의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명확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의 변경, 치환, 대체 등에 의해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것이다. 또한, 도면의 일부 구성은 구성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실제보다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제공된 것임을 명확히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ccordingly,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hich fall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ce by alteration, substitution, substitution and the lik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Range. In addition, it should be clarified that some configurations of the drawings are intended to explain the configuration more clearly and are provided in an exaggerated or reduced size than the actual configuration.
100 : 식물재배장치
110 : 물공급부 120 : 조명부
130 : 물공급관 140 : 물받이
150 : 모터 160 : 센서부
161 : 온도센서 162 : 습도센서
163 : 수분센서 164 : 오염도 감지센서
170 : 제어패널 171 : 표시부
172 : 센싱부 173 : 조작부
174 : 저장부 175 : 비교부
176 : 통신포트 177 : 제어부
180 : 전원부 190 : 풍량조절부
200 : PC 210 : 스마트기기100: plant cultivation equipment
110: water supply unit 120: illumination unit
130: Water supply pipe 140:
150: motor 160:
161: Temperature sensor 162: Humidity sensor
163: Moisture sensor 164: Pollution degree detection sensor
170: control panel 171:
172: sensing unit 173:
174: storage unit 175: comparison unit
176: Communication port 177:
180: power supply unit 190: air volume control unit
200: PC 210: Smart Device
Claims (4)
상기 식물재배장치(100)의 내부 천장에 위치하여 식물재배장치(100)의 상층부에서 하부로 물을 분사하여 상기 식물재배장치(100)의 내부에 있는 식물들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110);
상기 식물재배장치(100)의 내부 천장에 위치하여 상기 식물재배장치(100)에서 재배되는 식물들이 필요로 하는 광을 공급하는 조명부(120);
상기 식물재배장치의 식물 배치 영역부터 상기 식물재배장치(100)의 내부 천장의 상기 물공급부(110)를 연결하여 상기 물공급부(110)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관(130);
상기 식물재배장치의 식물 배치 영역의 아래부분에 위치하여 식물에 물이 공급된 후 배수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물을 일정기간 모아두는 물받이(140);
상기 물받이(140) 또는 외부의 식수 또는 지하수를 상기 물공급관(130)을 통해 상기 물공급부(110)로 전달하는 모터(150);
상기 식물재배장치(100)의 온도, 습도, 수분 및 오염도를 감지하는 센서들로 구성된 센서부(160); 및
상기 식물재배장치(100)를 상기 식물재배장치(100)의 외부에서 제어하기 위한 제어패널(170);을 포함하고,
상기 식물재배장치(100)의 상기 제어패널(170)은
상기 식물재배장치(100)내의 온도, 습도 및 토양의 수분을 표시하기 위한 온도 표시부, 습도 표시부 및 수분 표시부로 구성되는 표시부(171)와,
상기 센서부(160)에서의 온도, 습도, 수분 및 오염도 데이터를 센싱하는 센싱부(172)와,
상기 식물재배장치(100)에서 재배하는 식물의 종류에 따라 재배에 온도, 습도, 수분, 오염도를 입력하는 조작부(173)와,
상기 조작부(173)에서 입력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174)와,
상기 센싱부(172)에서 센싱한 데이터를 상기 저장부(174)에 기 저장된 온도, 습도, 수분 및 오염도 데이터와 비교하는 비교부(175)와,
LAN, WiFi 또는 USB 포트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어 PC, 노트북 또는 스마트 패드나 스마트폰과 같은 외부기기와 연결되어 상기 조작부(173)에서 입력하는 내용을 입력하거나 상기 저장부(174)에서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상기 식물재배장치(100)의 상기 센싱부(172)에서 센싱한 데이터를 외부기기로 전송하고, 외부기기로부터의 제어데이터를 전송받는 통신포트(176) 및
상기 물공급부(110), 조명부(120), 물공급관(130), 물받이(140), 모터(150), 센서부(160) 및 제어패널(170)을 제어하는 제어부(177)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174)는,
상기 식물재배장치(100)의 온도, 습도, 수분 및 오염도 중 식물재배에 필요한 데이터와,
상기 식물의 식물명에 따른 생육조건 데이터를 미리 저장하고,
상기 식물재배장치(100)에는 상기 조명부(120)와 모터(150) 및 제어패널(170)에서 필요로 하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80)와 상기 식물재배장치(100)의 내부 천장에 위치하여 식물재배장치(100)의 환기를 위한 풍량부(19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77)는 센서부(160)를 통해 데이터를 센싱한 후 상기 데이터에서 오염도를 감지하고, 상기 오염도 및 상기 저장부(174)에 저장된 생육조건 데이터를 비교하여 이산화탄소에 의한 오염도가 특정 오염도 이상이면 상기 풍량부(190)를 동작시켜 오염도를 조절하거나 습도 및 수분이 특정 값 이하인 경우 상기 모터(150)를 동작하여 물공급관(130)을 통해 물공급부(110)에 물을 공급하거나 상기 물받이(140)의 물이 오염도가 특정 오염도 이상이면 상기 물받이(140)의 물을 배수구를 통해 배수하고, 상기 물받이(140)의 물이 오염도가 특정 오염도 이하이면 상기 모터(150)를 동작시켜 상기 물공급관(130)을 통해 상기 물공급부(110)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장치.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for growing plants in an indoor environment,
A water supply unit 110 for supplying water to the plants in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00 by spraying water from the upper part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00 to the lower part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00, );
An illumination unit 120 located at an inner ceiling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00 and supplying light required by the plants cultivated in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00;
A water supply pipe 130 connecting the water supply part 110 of the inner ceiling of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100 from the plant arrangement area of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to supply water to the water supply part 110;
A water receiver 140 located at a lower portion of a plant arrangement area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nd collecting water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a drain hole after water is supplied to plants;
A motor 150 for transferring the water receptacle 140 or external drinking water or ground water to the water supply unit 110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130;
A sensor unit 160 composed of sensors for sensing temperature, humidity, moisture and pollution level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00; And
And a control panel (170) for controlling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00) from the outside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00)
The control panel (170)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00)
A display unit 171 composed of a temperature display unit, a humidity display unit and a moisture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emperature, humidity and moisture of the soil in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00,
A sensing unit 172 for sensing temperature, humidity, moisture and pollution degree data in the sensor unit 160,
An operation unit 173 for inputting temperature, humidity, moisture, and pollution level in cultiva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plant cultivated in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00,
A storage unit 174 for storing data input by the operation unit 173,
A comparison unit 175 for comparing the sensed data from the sensing unit 172 with the temperature, humidity, moisture, and pollution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174,
LAN, WiFi, or a USB port, and is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PC, a notebook computer, or a smart pad or a smart phone to input contents input from the operation unit 173, A communication port 176 for transmitting data sensed by the sensing unit 172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00 to an external device and receiving control data from an external device,
And a control unit 177 for controlling the water supply unit 110, the illumination unit 120, the water supply pipe 130, the water receiver 140, the motor 150, the sensor unit 160 and the control panel 170,
The storage unit 174 stores,
Data necessary for plant cultivation among temperature, humidity, moisture and pollution degree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00,
The growing condition data according to the plant name of the plant is stored in advance,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00 is provided with a power supply unit 180 for supplying power required by the illumination unit 120, the motor 150 and the control panel 170 and the power supply unit 180 located in the inner ceiling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00 (190) for ventilation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00)
The control unit 177 senses data through the sensor unit 160 and then detects the degree of contamination from the data. The control unit 177 compares the degree of contamination and the growth condition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174, The controller controls the motor 150 to supply water to the water supply unit 110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130 or to operate the water supply unit 130 to operate the water supply unit 130. [ The water in the water receiver 140 is drained through the drain hole if the water in the water receiver 140 is higher than the specific pollution degree and the motor 150 is operated when the water in the water receiver 140 is below the specific pollution degree, And the water is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unit (110) through the supply pipe (130).
상기 식물재배장치(100)에서 재배하고자 하는 식물의 생육조건을 입력하는 단계(S100);
상기 입력한 생육조건을(S110), 제어부(177)는 저장부(174)에 저장하는 단계(S120);
상기 식물재배장치(100)의 센서부(160)에서는 데이터를 센싱하고(S130), 센싱 데이터에서 온도/습도/수분 및 오염도를 감지하는 단계(S140);
상기 감지된 결과는 비교부(175)에서 상기 저장부(174)에 저장된 생육데이터와 비교하는 단계(S150);
상기 비교결과에 따라 온도, 습도, 수분 및 광량을 해당 식물 재배 조건으로 최적화하기 위하여 이산화탄소에 의한 오염도에 따라 풍량을 조절하거나, 습도나 수분이 부족한 경우 물을 공급하거나 물받이의 물이 오염도 임계값을 넘었다면 물을 교환하는 단계(S160); 및
상기 제어부(177)는 상기 식물재배장치(100)의 구성물 중 이상이 발생한 경우와 상기 식물재배장치(100)에서 처리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통신포트(176)를 통해 외부의 PC(200)나 스마트 기기(210)로 전송하는 단계(S19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77)가 센서부(160)를 통해 데이터를 센싱한 후 상기 데이터에서 오염도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177)가상기 오염도 및 상기 저장부(174)에 저장된 생육조건 데이터를 비교하여 이산화탄소에 의한 오염도가 특정 오염도 이상이면 상기 풍량부(190)를 동작시켜 오염도를 조절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177)가습도 및 수분이 특정 값 이하인 경우 상기 모터(150)를 동작하여 물공급관(130)을 통해 물공급부(110)에 물을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물받이(140)의 물이 오염도가 특정 오염도 이상이면 상기 물받이(140)의 물을 배수구를 통해 배수하고, 상기 물받이(140)의 물이 오염도가 특정 오염도 이하이면 상기 모터(150)를 동작시켜 상기 물공급관(130)을 통해 상기 물공급부(110)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방법.A plant cultivation method using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for cultivating a plant indoors,
A step (S100) of inputting a growing condition of a plant to be cultivated in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00);
The input growth conditions ar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74 (S110), the control unit 177 (S120);
The sensor unit 160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00 senses data (S130), and detects temperature / humidity / moisture and pollution degree in the sensing data (S140);
Comparing the sensed result with growth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174 in a comparator 175;
In order to optimize the temperature, humidity, moisture and light quantity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air volume according to the degree of pollution caused by carbon dioxide, or to supply water when humidity or water is insufficient, (S160); And
The control unit 177 collects data processed by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00 when an abnormality occurs among the components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00 and collects data processed by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00 via the communication port 176, (S190) of transmitting to the device 210,
Sensing the degree of contamination from the data after the controller 177 senses data through the sensor 160;
Comparing the virtual machine pollution degree of the controller (177) with the growth condition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174) and operating the air volume unit (190) to adjust the pollution degree if the pollution degree by carbon dioxide is more than a specific pollution degree;
Operating the motor (150) to supply water to the water supply unit (110)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130) when the controller (177) And
The water in the water receiver 140 is drained through a drain hole if the water of the water receiver 140 has a certain degree of contamination or more and the motor 150 is operated if the water in the water receiver 140 is below a predetermined contamination level To the water supply unit (110)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13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62529A KR101724380B1 (en) | 2015-05-04 | 2015-05-04 | Plants cultivation device and Plants cultivation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62529A KR101724380B1 (en) | 2015-05-04 | 2015-05-04 | Plants cultivation device and Plants cultivation method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30589A KR20160130589A (en) | 2016-11-14 |
KR101724380B1 true KR101724380B1 (en) | 2017-04-07 |
Family
ID=57528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62529A KR101724380B1 (en) | 2015-05-04 | 2015-05-04 | Plants cultivation device and Plants cultivation metho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24380B1 (en)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80359959A1 (en) * | 2017-06-14 | 2018-12-20 | Grow Solutions Tech Llc |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ir flow in a grow pod |
CN109237750A (en) * | 2017-07-10 | 2019-01-18 | 深圳市海洋王照明工程有限公司 | A kind of method and device thereof adjusting closing working environment |
KR20200108971A (en) * | 2019-03-12 | 2020-09-22 | 정헌구 | Bed system for water culture |
CN111708396A (en) * | 2020-07-12 | 2020-09-25 | 深圳市富世特智能科技有限公司 | Plant automated inspection soil moisture nutrient fertilization lighting system that waters |
KR20210066548A (en) * | 2019-11-28 | 2021-06-07 | 황진리 | Kit For Experiencing Ecosystem |
US11067524B2 (en) | 2017-06-14 | 2021-07-20 | Grow Solutions Tech Llc | Systems and methods for testing for contaminants in an assembly line grow pod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69034B1 (en) * | 2016-11-30 | 2018-07-19 | 주종문 | Independent module-type personalization plant cultivating device and plant factory system based on independent module-type personalization plant cultivating device |
KR102061403B1 (en) * | 2018-01-23 | 2020-01-13 |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Smart housing for home plant growing |
KR102116259B1 (en) * | 2018-03-26 | 2020-05-29 |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Sympathetic Companion Plant Robot System |
KR102202732B1 (en) * | 2019-01-30 | 2021-01-13 | 강세호 | Smart farm |
KR102384412B1 (en) * | 2019-12-02 | 2022-04-08 | 에스텍아이앤씨(주) | System for controlling environment of greenhous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17057Y1 (en) | 2003-03-08 | 2003-06-25 | 강재용 | A pot having environment control system for plant |
KR101406293B1 (en) * | 2013-07-24 | 2014-06-12 | 안영선 | Circulation system for cultivating crop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51426A (en) * | 2003-11-27 | 2005-06-01 | 유태성 | Plant growing apparatus for plant in flowerpot |
KR20110050280A (en) * | 2009-11-06 | 2011-05-13 | 김홍균 | A management system of a flowerpot using multiple wireless method |
KR101446920B1 (en) | 2011-05-13 | 2014-10-06 | 장의형 | Multi-function pot |
KR101415842B1 (en) | 2011-10-19 | 2014-07-09 | 주식회사 신안그린테크 | Indoor Plants Cultivation Apparatus |
KR101348486B1 (en) | 2011-12-30 | 2014-01-10 | (주)씨아이티엘 | Plants cultivation device and Plants cultivation system having the same |
-
2015
- 2015-05-04 KR KR1020150062529A patent/KR101724380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17057Y1 (en) | 2003-03-08 | 2003-06-25 | 강재용 | A pot having environment control system for plant |
KR101406293B1 (en) * | 2013-07-24 | 2014-06-12 | 안영선 | Circulation system for cultivating crop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80359959A1 (en) * | 2017-06-14 | 2018-12-20 | Grow Solutions Tech Llc |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ir flow in a grow pod |
US11067524B2 (en) | 2017-06-14 | 2021-07-20 | Grow Solutions Tech Llc | Systems and methods for testing for contaminants in an assembly line grow pod |
US11191224B2 (en) * | 2017-06-14 | 2021-12-07 | Grow Solutions Tech Llc |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ir flow in a grow pod |
CN109237750A (en) * | 2017-07-10 | 2019-01-18 | 深圳市海洋王照明工程有限公司 | A kind of method and device thereof adjusting closing working environment |
KR20200108971A (en) * | 2019-03-12 | 2020-09-22 | 정헌구 | Bed system for water culture |
KR102239451B1 (en) * | 2019-03-12 | 2021-04-12 | 정헌구 | Bed system for water culture |
KR20210066548A (en) * | 2019-11-28 | 2021-06-07 | 황진리 | Kit For Experiencing Ecosystem |
KR102279879B1 (en) * | 2019-11-28 | 2021-07-20 | 황진리 | Kit For Experiencing Ecosystem |
CN111708396A (en) * | 2020-07-12 | 2020-09-25 | 深圳市富世特智能科技有限公司 | Plant automated inspection soil moisture nutrient fertilization lighting system that water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30589A (en) | 2016-11-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24380B1 (en) | Plants cultivation device and Plants cultivation method | |
KR101696611B1 (en) | Method of controlling greenhouse and apparatus for the smae | |
CN205161283U (en) | Intelligence planter | |
CA2987319A1 (en) | An intelligent planting management method and intelligent planting apparatus | |
CN205176701U (en) | Intelligence agricultural environment monitored control system based on big data | |
Karimi et al. | Web-based monitoring system using Wireless Sensor Networks for traditional vineyards and grape drying buildings | |
CN102539625A (en) | Real-time monitoring, analysis and synchronous display device for greenhouse environment | |
CN101167436A (en) | Intelligent irrigation system and method based on wireless detector | |
AU2019233842B2 (en) | Soil ecosystem management and intelligent farming arrangement | |
CN113163725B (en) | Plant growth control system | |
KR101516732B1 (en) |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on of plant-curture factory | |
Sihombing et al. | Microcontroller based automatic temperature control for oyster mushroom plants | |
Nurhasan et al. | Implementation IoT in system monitoring hydroponic plant water circulation and control | |
KR20190013073A (en) | Smart crop management module | |
CN204480090U (en) | Kitchen garden intelligent control system | |
KR20160088019A (en) | Plant factory system for special crops | |
KR20190029540A (en) | Plant cultivation system capable of self-control and romote control | |
KR20170093282A (en) | Home care farming system and method for thereof | |
CN106359017A (en) | Plant intelligent watering method and device | |
KR102163470B1 (en) | Humidifier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 |
CN205038459U (en) | Environment regulation and control system of pouity dwelling place | |
CN105746244A (en) | 'Internet +'-based full-automatic planting greenhouse | |
CN104731139A (en) | Family garden intelligent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Biswas et al. | IoT-based fuzzy logic-controlled novel and multilingual mobile application for hydroponic farming | |
CN107691032A (en) | A kind of wireless agricultural greenhouse control system based on cloud comput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