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4149B1 - 탁도 측정기 - Google Patents

탁도 측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4149B1
KR101724149B1 KR1020160152494A KR20160152494A KR101724149B1 KR 101724149 B1 KR101724149 B1 KR 101724149B1 KR 1020160152494 A KR1020160152494 A KR 1020160152494A KR 20160152494 A KR20160152494 A KR 20160152494A KR 101724149 B1 KR101724149 B1 KR 1017241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sample
flow path
outside
measur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2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인호
최연규
윤인준
박규성
지은정
김권석
Original Assignee
대윤계기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윤계기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윤계기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52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41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4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41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6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G01N15/0205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by optical means, e.g. by light scattering, diffraction, holography or imaging
    • G01N15/075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6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 G01N2015/0693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by optical means, e.g. by integrated nephelometry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탁도 측정기는 광의 산란 또는 반사를 이용하여 시료에 포함된 미세입자의 양을 측정하는 것으로서, 상기 시료에 광을 발사하는 발광부; 상기 시료로부터 산란 또는 반사된 광을 감지하는 수광부; 및 상기 시료에 포함된 미세입자의 양을 측정하도록 상기 시료, 상기 발광부 및 상기 수광부가 배치될 수 있는 배치공간을 형성하는 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탁도 측정기{Turbidity meter}
본 발명은 탁도 측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광의 산란 또는 반사를 이용하여 시료에 포함된 미세입자의 양을 측정하는 탁도 측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탁도란 물의 흐린 정도를 정량적으로 나타낸 지표로서 빛의 통과에 대한 저항도를 말한다.
이러한, 탁도는 미세입자인 여러 가지 부유물질에 의해 발생하며 그 크기범위는 콜로이드 분산에서 굵은 분산질까지 다양하다.
아울러, 탁도는 호수와 같이 비교적 정체된 상태에 있는 물에서 대부분 콜로이드 분산 등과 같은 극히 미세한 분산질에 의하여 발생되며, 하천수와 같이 흐르는 상태의 물속에서는 대부분 굵은 분산질에 의하여 생겨난다.
또한, 탁도를 유발하는 물질들은 순수한 무기물질부터 주로 천연의 유기물질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며, 상세하게는 토사류와 같은 순수한 무기물질로부터 천연유기물 또는 공장폐수와 가정하수에서 유입되는 많은 양의 무기물질과 유기물질로 인해 생성한 박테리아와 미생물, 조류 등도 탁도를 유발하는 원인 물질로 작용한다.
이러한, 탁도의 측정원리는 다음과 같다.
조사된 적외선 파장의 빛이 순수한 물을 통과할 때, 빛은 상대적으로 방해 받지 않는 경로를 따라 이동한다.
그러나, 순수한 유체 중에 부유하는 입자에 의해 빛이 산란할 때 약간의 비틀림이 발생한다.
즉, 빛이 현탁 물질을 포함한 유체를 통과할 때 입자와 상호작용을 하고, 이때의 상호작용은 입자의 크기, 모양, 색깔, 굴절률에 따라 각기 다르다.
또한, 투사되는 광원과 입자크기의 관계에 따라 입자의 산란형태에 의해 탁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탁도의 측정을 위한 종래의 탁도 측정기는 크게 휴대용으로 사용되는 프로브식 탁도 측정기와 정수장 등 현장에 설치되는 일체형 구조의 탁도 측정기가 사용된다.
여기서, 종래의 일체형 탁도 측정기기는 투과 산란광 방식 또는 표면 산란광 방식으로 시료에 포함된 미세입자의 양을 측정하고 있다.
여기서, 시료 중에 포함된 기포는 미세입자와 동일하게 빛을 산란시키는 작용을 한다.
빛이 기포를 만나면 기포의 표면에서 반사 또는 굴절하여 산란광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기포를 통과한 빛도 밀도가 다른 매질을 통과하기 때문에 굴절된다.
따라서 시료 중의 미세기포를 제거하지 않으면 저농도 탁도를 측정할 수 없음을 알 수가 있다.
또한, 시료 중의 미세기포의 양은 온도, 압력에 영향을 받는다.
결과적으로, 보다 정확한 탁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시료에 포함되는 미세기포의 양이 최소화되어야 하며, 시료가 외부 환경인 온도, 압력 등에 영향을 받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탁도 측정기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시료의 탁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시료에 포함되는 미세기포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며, 외부 환경인 온도, 압력 등에 영향을 받지 않는 탁도 측정기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탁도 측정기는 광의 산란 또는 반사를 이용하여 시료에 포함된 미세입자의 양을 측정하는 것으로서, 상기 시료에 광을 발사하는 발광부, 상기 시료로부터 산란 또는 반사된 광을 감지하는 수광부, 상기 시료에 포함된 미세입자의 양을 측정하도록 상기 시료, 상기 발광부 및 상기 수광부가 배치될 수 있는 배치공간을 형성하는 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탁도 측정기의 상기 본체부는, 외부로부터 상기 배치공간으로 상기 시료가 유입되는 경우, 상기 시료의 유입으로 인한 상기 배치공간 상의 공기압 변화를 최소화하도록 상기 배치공간 상의 공기와 상기 외부의 공기를 연통하는 공기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탁도 측정기의 상기 본체부는, 상기 배치공간을 규정하는 몸통부 및 상기 배치공간을 커버하여 외부로부터 상기 배치공간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머리부를 구비하며, 상기 공기로는, 상기 몸통부와 상기 머리부 사이 또는 상기 몸통부 또는 상기 머리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탁도 측정기는 상기 시료가 외부로부터 상기 배치공간으로 유입되는 유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시료에 포함된 미세기포를 제거하는 미세기포 제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미세기포 제거부는, 상기 본체부와 협동하여 상기 공기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탁도 측정기의 상기 공기로는, 상기 본체부와 상기 미세기포 제거부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탁도 측정기의 상기 본체부는, 상기 배치공간을 규정하는 몸통부 및 상기 배치공간을 커버하여 외부로부터 상기 배치공간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머리부를 구비하며, 상기 공기로는, 상기 몸통부와 상기 미세기포 제거부 사이 또는 상기 머리부와 상기 미세기포 제거부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탁도 측정기의 상기 미세기포 제거부는, 상기 시료가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여 이동될 수 있는 복수의 유로공간을 형성하는 유로형성부 및 상기 유로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시료의 유로의 면적을 축소하는 면적축소부를 구비하며, 상기 면적축소부는, 상기 유로형성부로부터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탁도 측정기의 상기 유로형성부는, 상기 면적축소부가 상기 유로형성부를 기준으로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유로형성부의 배치 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탁도 측정기의 상기 미세기포 제거부는, 상기 시료가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여 이동될 수 있는 복수의 유로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미세기포 제거부는, 상기 시료가 상기 유로공간 상에서 소정의 양 이상으로 오버플로되는 경우, 상기 소정의 양 이상으로 오버플로된 상기 시료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시료를 수용하는 오버플로 공간을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탁도 측정기의 상기 미세기포 제거부는, 상기 시료가 일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유로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소정의 양 이상으로 오버플로된 상기 시료는 상기 일 방향과 반대 방향인 타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오버플로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탁도 측정기의 상기 배치공간은, 상기 시료에 포함된 미세입자의 양을 측정하는 공간인 측정공간 및 상기 측정공간 상의 상기 시료를 외부로 배출하는 공간인 드레인 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오버플로 공간은, 상기 소정의 양 이상으로 오버플로된 상기 시료가 상기 드레인 공간을 거쳐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드레인 공간과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탁도 측정기의 상기 배치공간은, 상기 시료에 포함된 미세입자의 양을 측정하는 공간인 측정공간 및 상기 미세기포 제거부가 상기 배치공간 상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미세기포 제거부는, 상기 배치공간에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둘레 방향으로 상기 가이드 공간을 단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탁도 측정기의 상기 배치공간은, 상기 시료에 포함된 미세입자의 양을 측정하는 공간인 측정공간 및 상기 미세기포 제거부가 상기 배치공간 상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미세기포 제거부는, 바닥의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본체부와 이격되어 상기 기이드 공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탁도 측정기에 따르면, 시료에 포함되는 미세기포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외부 환경인 온도, 압력 등에 영향을 받지 않아 시료의 보다 정확한 탁도를 측정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탁도 측정기의 개략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탁도 측정기의 개략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탁도 측정기의 개략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의 개략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의 개략 단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몸통부의 개략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몸통부의 개략 평면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몸통부의 개략 단면도.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기포 제거부의 개략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기포 제거부의 개략 분해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기포 제거부의 개략 단면도.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로형성부의 개략 사시도.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적축소부의 개략 사시도.
도 20 내지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탁도 측정기의 개략 단면도.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의 개략 분해 사시도.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의 개략 사시도.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구획부의 개략 사시도.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로형성부의 개략 사시도.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로형성부의 개략 분해 사시도.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로형성부의 개략 사시도.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부의 개략 사시도.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적축소부의 개략 사시도.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탁도 측정기의 개략 단면도.
도 3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탁도 측정기의 구성 블록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탁도 측정기를 상측에서 바라본 개략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탁도 측정기를 하측에서 바라본 개략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탁도 측정기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탁도 측정기를 도 1에서 높이 방향으로 절단한 A-A'개략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를 도 1에서 높이 방향으로 절단한 A-A'개략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몸통부를 상측에서 바라본 개략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몸통부를 하측에서 바라본 개략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몸통부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1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몸통부의 도 9에서 높이 방향으로 절단한 B-B'개략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몸통부를 도 9에서 높이 방향으로 절단한 C-C'개략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기포 제거부를 상측에서 바라본 개략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기포 제거부를 하측에서 바라본 개략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기포 제거부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기포 제거부에서 시료가 이동되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개략 개념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로형성부를 상측에서 바라본 개략 사시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로형성부를 하측에서 바라본 개략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적축소부를 상측에서 바라본 개략 사시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적축소부를 하측에서 바라본 개략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탁도 측정기를 도 9에서 높이 방향으로 절단한 B-B'개략 단면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탁도 측정기를 도 9에서 높이 방향으로 절단한 D-D'개략 단면도이다.
도 22 및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탁도 측정기의 공기로를 표현하기 위해 높이 방향으로 절단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탁도 측정기의 구성 블록도이다.
우선 방향에 대한 용어를 정의하자면, 상기 높이 방향은 도 1에서 볼 때 상하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자세히 표현하기 위해 볼트 및 너트 등과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떨어지는 일부 구성들은 간략히 도시하거나 생략하였다.
1. 탁도 측정기(10)의 구성
도 1 내지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탁도 측정기(10)는 광의 산란 또는 반사를 이용하여 시료에 포함된 미세입자의 양을 측정하는 것으로서, 상기 시료에 광을 발사하는 발광부(100), 상기 시료로부터 산란 또는 반사된 광을 감지하는 수광부(200) 및 상기 시료에 포함된 미세입자의 양을 측정하도록 상기 시료, 상기 발광부(100) 및 상기 수광부(200)가 배치될 수 있는 배치공간(S)을 형성하는 본체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시료는 물일 수 있으며, 상기 탁도 측정기(10)는 물에 포함된 미세입자의 양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료는 액체의 약일 수 있으며, 상기 탁도 측정기(10)는 약에 포함된 미세입자의 양을 측정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시료는 물과 약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광의 산란 또는 반사를 이용하여 탁도가 측정될 수 있는 대상이라면 상기 시료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100)는 상기 배치공간(S)에 배치되어 상기 배치공간(S) 상에 존재하는 상기 시료를 향에 광을 발사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발광부(100)는 전구, 레이저 등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발광부(100)는 상기 본체부(300) 상에 결합되어 상기 배치공간(S) 상의 상기 시료를 향해 광을 발사할 수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을 아니며, 상기 본체부(300) 상에 존재하는 상기 시료를 향해 광을 발사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상기 본체부(300) 상에 결합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수광부(200)는, 광을 감지할 수 있는 구성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수광부(200)는 상기 본체부(300) 상에 결합되어 상기 배치공간(S) 상의 상기 시료로부터 산란 또는 반사된 광을 감지할 수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본체부(300) 상에 존재하는 상기 시료로부터 산란 또는 반사된 광을 감지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상기 본체부(300) 상에 결합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발광부(100) 및 상기 수광부(200)는 상기 배치공간(S)에 존재하는 상기 시료와 접촉될 수 있다.
즉, 상기 발광부(100) 및 상기 수광부(200)는 상기 시료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발광부(100) 및 상기 수광부(200)의 위치는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발광부(100)가 상기 시료의 외부에 있고 상기 수광부(200)가 상기 시료 상에 위치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발광부(100) 및 상기 수광부(200)의 위치는 당업자의 입장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발광부(100) 및 상기 수광부(200)는 상기 시료 상에 위치하는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하겠다.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300)는 상기 시료를 저장할 수 있는 상기 배치공간(S)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시료는 상기 본체부(300)의 상기 배치공간(S) 상에서 상기 발광부(100) 및 상기 수광부(200)에 의해 미세입자의 양이 측정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본체부(300)는 상기 배치공간(S)을 규정하는 몸통부(310) 및 상기 배치공간(S)을 커버하여 외부로부터 상기 배치공간(S)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머리부(3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몸통부(310)는 상기 시료를 저장할 수 있으며, 광의 반사를 최소화하기 위해 검은색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배치공간(S)은 상기 시료에 포함된 미세입자의 양을 측정하는 공간인 측정공간(S1) 및 미세기포 제거부(400)가 상기 배치공간(S) 상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공간(S2)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미세기포 제거부(400)는 상기 시료에 포함된 미세기포를 제거하는 구성으로서, 아래에서 더욱 자세히 설명하겠다.
한편, 일례로, 상기 몸통부(310)는 상기 측정공간(S1)을 규정하는 측정프레임(311) 및 상기 가이드 공간(S2)을 규정하는 가이드프레임(313)을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가이드프레임(313)은 상기 측정프레임(311)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프레임(313)에 의해 규정되는 상기 가이드 공간(S2)은 상기 측정프레임(311)에 의해 규정되는 상기 측정공간(S1)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측정공간(S1)과 상기 가이드 공간(S2)은 분리되어 형성되지 않고 상호 연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측정공간(S1)과 상기 가이드 공간(S2)은 상기 측정프레임(311) 및 상기 가이드프레임(313)에 의해 개념적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실질적으로는 상호 연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배치공간(S)은 외부로부터 상기 시료가 유입되는 공간인 유입공간(S3) 및 상기 측정공간(S1) 상의 상기 시료를 외부로 배출하는 공간인 드레인 공간(S4)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유입공간(S3) 및 상기 드레인 공간(S4)은 상기 측정프레임(311)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측정프레임(311)은 상기 유입공간(S3)과 상기 측정공간(S1)을 구획하는 제1 구획부(311a) 및 상기 측정공간(S1)과 상기 드레인 공간(S4)을 구획하는 제2 구획부(311b)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구획부(311a)는 상기 유입공간(S3)을 상기 측정공간(S1)으로부터 구획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유입공간(S3)을 상기 드레인 공간(S4)으로부터 구획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1 구획부(311a)는 상기 측정공간(S1) 및 상기 드레인 공간(S4)으로부터 상기 유입공간(S3)을 개념적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제1 구획부(311a) 및 상기 제2 구획부(311b)로 인해 상기 측정공간(S1), 상기 유입공간(S3) 및 상기 드레인 공간(S4)은 서로 개념적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7, 도 9,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례로 상기 제1 구획부(311a)는 상기 유입공간(S3)과 상기 측정공간(S1)이 적어도 일부 연통되도록 연통공간(C)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연통공간(C)은 상기 제1 구획부(311a)가 상기 측정프레임(311)의 바닥과 이격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상기 유입공간(S3)으로 유입된 상기 시료는 상기 연통공간(C)을 통해 상기 측정공간(S1)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일례로,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구획부(311b)의 높이(N2)는 상기 제1 구획부(311a)의 높이(N1)보다 상기 높이 방향으로 작을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측정프레임(311)의 바닥으로부터 상기 제2 구획부(311b)의 높이(N2)는 상기 제1 구획부(311a)의 높이(N1) 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측정공간(S1)으로 상기 시료가 지속적으로 유입됨에 따라 상기 측정공간(S1) 상의 상기 시료의 수위는 높아지며, 상기 시료의 수위가 상기 제2 구획부(311b)의 높이(N2) 이상인 경우, 상기 측정공간(S1) 상의 상기 시료는 상기 제2 구획부(311b)를 넘어 상기 드레인 공간(S4)으로 유입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시료는 외부로부터 상기 유입공간(S3)으로 이동될 수 있고, 상기 유입공간(S3)으로 이동된 상기 시료는 상기 측정공간(S1)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측정공간(S1)으로 이동된 상기 시료는 상기 드레인 공간(S4)으로 순차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측정프레임(311)은 상기 발광부(100)가 결합될 수 있는 발광부 결합공간(A2) 및 상기 수광부(200)가 배치될 수 있는 수광부 결합공간(A3)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광부(100) 및 상기 수광부(200)는 각각 상기 발광부 결합공간(A2) 및 상기 수광부 결합공간(A3)에 결합되어 상기 측정공간(S1)에 존재하는 상기 시료에 광을 발사 및 감지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측정프레임(311)은 상기 측정공간(S1)에 존재하는 상기 시료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호스(L3)가 연결될 수 있는 측정공간 배출공(A5) 및 상기 드레인 공간(S4)에 존재하는 상기 시료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호스(L2)가 연결될 수 있는 드레인 공간 배출공(A4)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측정공간 배출공(A5) 및 상기 드레인 공간 배출공(A4)은 상기 측정프레임(311)의 바닥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례로, 상기 측정프레임(311)은 상기 발광부(100)로부터 발사된 광이 상기 측정프레임(311)으로부터 반사되어 상기 수광부(200)로 인입되지 않도록 상기 발광부(100)와 동일 선상에 배치되는 흡광부(500)를 수용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흡광부(500)는 상기 발광부(100)와 대향하는 동일 선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발광부(100)로부터 발사된 광이 상기 측정프레임(311)에 반사되어 다시 상기 측정공간(S1)으로 나아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원뿔형상일 수 있다.
상기 발광부(100)로부터 발사된 광은 상기 측정공간(S1) 상의 상기 시료를 통과하여 상기 흡광부(500)로 도달하고, 상기 흡광부(500)에 도달한 광은 상기 흡광부(500)로 인해 다시 상기 측정공간(S1)으로 반사되지 않을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가이드프레임(313)은 상기 미세기포 제거부(400)가 배치될 수 있는 상기 가이드 공간(S2)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가이드프레임(313)은 상기 미세기포 제거부(400)가 안착되도록 상기 측정프레임(311)으로부터 연장되는 바닥 및 상기 바닥으로부터 연장되는 측벽을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가이드프레임(313)의 상기 측벽은 공기로(M)를 형성하도록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공기로 형성부(K)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공기로(M)는 외부로부터 상기 배치공간(S)으로 상기 시료가 유입되는 경우, 상기 시료의 유입으로 인한 상기 배치공간(S) 상의 공기압 변화를 최소화하도록 상기 배치공간(S) 상의 공기와 상기 외부의 공기를 연통하는 길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공기로(M)는 아래에서 더욱 자세히 설명하겠다.
한편, 상기 머리부(320)는 상기 몸통부(310) 상에 안착되어 상기 배치공간(S)을 커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머리부(320)는 상기 가이드프레임(313) 상에 안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머리부(320)는 상기 가이드프레임(313) 상단에 안착되는 안착머리부(321), 상기 안착머리부(321)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프레임(313)을 둘레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연장머리부(323) 및 상기 안착머리부(321)로부터 상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머리부(325)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안착머리부(321) 및 상기 돌출머리부(325)가 상기 배치공간(S)의 상측을 커버하여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상기 배치공간(S)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연장머리부(323)는 상기 가이드프레임(313)의 외측을 둘러싸 상기 머리부(320)가 상기 몸통부(310)로부터 의도치 않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연장머리부(323)는 상기 가이드프레임(313)의 상기 공기로 형성부(K)의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연장머리부(323)가 상기 배치공간(S)을 커버하여도, 상기 공기로 형성부(K)는 외부로 적어도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 도 12 내지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탁도 측정기(10)는 상기 시료에 포함된 미세기포를 제거하는 상기 미세기포 제거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세기포 제거부(400)는 상기 가이드 공간(S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미세기포 제거부(400)는 상기 가이드프레임(313)의 바닥 상에 안착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프레임(313)의 측벽에 의해 그 측면이 둘러싸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미세기포 제거부(400)는 상기 시료가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여 이동될 수 있는 복수의 유로공간(B)을 형성하는 유로형성부(410) 및 상기 유로공간(B)에 배치되어 상기 시료의 유로의 면적을 축소하는 면적축소부(420)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유로형성부(410)는 상기 유로공간(B)을 형성하도록 유로바닥부(411), 상기 유로바닥부(411)로부터 각각 상측으로 연장되는 유로내측벽부(413) 및 유로외측벽부(412)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4 및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유로바닥부(411), 상기 유로내측벽부(413) 및 상기 유로외측벽부(412)는 상기 시료가 저장될 수 있는 상기 유로공간(B)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유로외측벽부(412)는 외부로부터 상기 유로공간(B)으로 상기 시료의 유입을 안내하도록 관통되어 형성되는 유로유입공(A1)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유로유입공(A1)에는 상기 시료가 이동될 수 있는 호스(L1)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시료는 상기 호스(L1)를 통해 외부로부터 상기 유로공간(B)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유로바닥부(411) 및 상기 유로내측벽부(413)는 상기 높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홀인 유로홀(H)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형성부(410)는 상기 시료가 상기 유로공간(B) 상에서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여 이동되도록 유로격벽부(414a)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유로격벽부(414a)는 개념적으로 상기 유로공간(B)을 복수 개로 구획하도록 상기 유로공간(B) 상에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유로공간(B) 상의 상기 유로바닥부(411)에는 상기 유로공간(B)으로 유입된 상기 시료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유로배출부(416)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례로, 상기 미세기포 제거부(400)는, 상기 시료가 상기 유로공간(B) 상에서 소정의 양 이상으로 오버플로되는 경우, 상기 소정의 양 이상으로 오버플로된 상기 시료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시료를 수용하는 오버플로 공간(D)을 더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유로형성부(410)는 상기 오버플로 공간(D)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유로형성부(410)는 상기 오버플로 공간(D)을 형성하도록 상기 유로격벽부(414a)보다 상기 높이 방향으로 더 높은 오버플로 격벽부(414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오버플로 격벽부(414b)는 개념적으로 상기 유로공간(B)과 상기 오버플로 공간(D)을 구획할 수 있다.
상기 오버플로 공간(D) 상의 상기 유로바닥부(411)에는 상기 오버플로 공간(D)으로 유입된 상기 시료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오버플로 배출부(417)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유로바닥부(411)로부터 상기 오버플로 격벽부(414b)의 높이는 상기 유로바닥부(411)로부터 상기 유로격벽부(414a)의 높이보다 소정 높이(Q)로 더 높을 수 있다.
도 15는 상기 시료의 유로를 더욱 자세히 설명하기 위해 원통형상의 상기 미세기포 제거부(400)를 일직선으로 펼진 개략 단면도이다.
도 12, 도 14, 도 15, 도 18 및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면적축소부(420)는 상기 유로공간(B)에 배치되어 상기 시료의 유로의 면적을 축소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면적축소부(420)는 상기 유로형성부(410) 상에 안착되는 축소머리부(421), 상기 축소머리부(421)로부터 상기 높이 방향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유공간의 유로 면적을 축소하는 축소돌출부(42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축소돌출부(422)는 상기 유로공간(B) 상에 배치되어 상기 유로격벽부(414a)와 협동하여 상기 시료의 유로 면적을 축소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축소돌출부(422)는 상기 축소머리부(421)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둘레 방향으로 진행할수록 면적이 증가되는 경사면부(I)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유로공간(B) 상에서 이동되는 상기 시료는 상기 유로형성부(410)가 원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원심력이 작용한다.
상기 시료는 상기 원심력에 의해 상기 유로형성부(410)의 중심 방향 쪽보다 상기 유로형성부(410)의 상기 둘레 방향 쪽으로 보다 많이 이동된다는 점에서, 상기 경사면부(I)의 면적은 상기 유로형성부(410)의 중심 방향 쪽보다 상기 유로형성부(410)의 상기 둘레 방향 쪽으로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부(I)의 가이드로 인해 상기 유로공간(B) 상의 시료는 더욱 용이하게 인접한 다른 유로공간(B)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일례로, 상기 면적축소부(420)는 상기 유로공간(B) 상의 공기가 외부의 공기와 연통되도록 상기 축소머리부(421)로부터 관통되어 형성되는 유로 연통공(E)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일례로, 상기 면적축소부(420)는 상기 유로홀(H) 상의 공기가 외부의 공기와 연통되도록 상기 축소머리부(421)로부터 관통되어 형성되는 유로 관통홀(G)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면적축소부(420)는 상기 유로형성부(410)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
즉, 상기 면적축소부(420)는 상기 유로형성부(4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미세기포 제거부(400)는 상기 시료에 포함된 이물질이 흡착된다는 점에서 정기적으로 이물질을 제거하는 청소가 필요하다.
여기서, 상기 유로형성부(410)와 상기 면적축소부(420)가 분리될 수 있음에 따라, 사용자는 용이하게 상기 미세기포 제거부(400)를 청소할 수 있다.
또한, 일례로, 상기 유로형성부(410)는 상기 면적축소부(420)가 상기 유로형성부(410)를 기준으로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유로형성부(410)의 배치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415)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유로내측벽부(413) 상단에는 상기 높이 방향으로 돌출되는 상기 가이드부(41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415)에 대응되도록 상기 축소머리부(421)에는 상기 가이드부(415)를 수용하는 수용홀(F)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415)가 상기 수용홀(F)에 수용되는 위치로 인해, 상기 면적축소부(420)는 상기 유로형성부(410)의 소정의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415) 및 상기 수용홀(F)은 상기 면적축소부(420)가 상기 유로형성부(410)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당업자의 입장에서 상기 가이드부(415) 및 상기 수용홀(F)의 기능 및 효과와 대응되도록 도출될 수 있는 변형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된다고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탁도 측정기(10)의 구성들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겠다.
상기 본체부(300)의 상기 가이드프레임(313)이 형성하는 상기 가이드 공간(S2) 상에 상기 미세기포 제거부(400)의 상기 유로형성부(410)가 안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로형성부(410)의 상기 유로외측벽부(412)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유로유입공(A1)을 형성할 수 있다.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유로외측벽부(412)는, 도 1, 도 4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300)의 상기 가이드프레임(313)이 형성하는 상기 공기로 형성부(K)를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유로외측벽부(412)와 상기 공기로 형성부(K)간의 위치관계에 의해, 상기 유로형성부(410)는 상기 본체부(300)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일례로,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유로형성부(410)의 상기 유로배출부(416)는 상기 유로바닥부(411)로부터 상기 본체부(300)의 상기 유입공간(S3)을 향하여 높이 방향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공간(S3)을 형성하는 상기 제1 구획부(311a)와 상기 유로배출부(416)간에 상기 높이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중첩되는 위치관계에 의해, 상기 유로형성부(410)는 상기 본체부(300)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일례로,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유로형성부(410)의 상기 오버플로 배출부(417)는 상기 유로바닥부(411)로부터 상기 본체부(300)의 상기 드레인 공간(S4)을 향하여 높이 방향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공간(S4)을 형성하는 상기 제2 구획부(311b)와 상기 오버플로 배출부(417) 간에 상기 높이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중첩되는 위치관계에 의해, 상기 유로형성부(410)는 상기 본체부(300)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유로유입공(A1)을 형성하는 상기 유로외측벽부(412)는 상기 공기로 형성부(K) 상에 배치되고, 상기 유로배출부(416)는 상기 유입공간(S3) 상에 배치되며, 상기 오버플로 배출부(417)는 상기 드레인 공간(S4)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미세기포 제거부(400)는 바닥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본체부(300)와 이격되어 상기 가이드 공간(S2)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유로형성부(410)의 상기 유로바닥부(411)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가이드프레임(313)의 바닥과 이격되어 안착될 수 있다.
이를 구현하고자, 일례로, 상기 가이드프레임(313)의 바닥과 상기 유로바닥부(411) 사이에는 이격유도부(60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로바닥부(411)는 상기 가이드 공간(S2) 상에서 상기 이격유도부(600) 상에 안착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유로바닥부(411)와 상기 가이드프레임(313)은 상기 이격유도부(600)의 상기 높이 방향의 높이만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이격유도부(600)는 상기 유로바닥부(411)와 상기 가이드프레임(313) 사이의 모세관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의도치 않게 상기 측정공간(S1) 상의 상기 시료가 상기 가이드프레임(313) 측으로 오버플로되더라도, 상기 유로바닥부(411)와 상기 가이드프레임(313)은 상기 이격유도부(600)에 의해 이격된다는 점에서, 모세관 현상을 방지하여 상기 가이드 공간(S2)이 상기 시료로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유로형성부(410)가 상기 가이드 공간(S2)에 안착된 후, 상기 면적축소부(420)는 상기 유로형성부(410) 상의 소정의 위치에 안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미세기포 제거부(400)는 상기 배치공간(S)에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둘레 방향으로 상기 가이드 공간(S2)을 단절할 수 있다.
상기 둘레 방향은 상기 높이 방향과 수직하는 방사상의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가이드 공간(S2)은 상기 가이드프레임(313)에 의해 1차적으로 외부로부터 상기 둘레 방향으로 단절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 공간(S2)은 상기 미세기포 제거부(400)가 상기 가이드 공간(S2)에 안착됨에 따라 2차적으로 외부로부터 상기 둘레 방향으로 단절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가이드 공간(S2) 및 상기 측정공간(S1)은 상기 가이드프레임(313) 및 상기 미세기포 제거부(400)에 의해 2중으로 외부로부터 단절되어 외부의 온도변화에 큰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본체부(300)의 상기 머리부(320)는 외부로부터 상기 미세기포 제거부(400)를 커버하도록 상기 몸통부(310) 상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머리부(320)는 상기 배치공간(S)뿐만 아니라 상기 배치공간(S) 상에 위치하는 상기 미세기포 제거부(400)를 커버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머리부(320)는 외부로부터 먼지 등의 이물질이 상기 미세기포 제거부(400)의 상기 유로공간(B)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고,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의 개략 사시도이며,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구획부(311aa)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4 내지 도 26은 상기 제1 구획부(311a)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상기 제1 구획부(311a)는 상기 측정프레임(311)의 벽 및/또는 바닥으로부터 연장되어 일체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도 24 내지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형예인 제1 구획부(311aa)는 탈착식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구획부(311aa)가 상기 배치공간(S)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유입공간(S3)과 상기 측정공간(S1)을 구획할 수 있고, 상기 제1 구획부(311aa)가 상기 측정프레임(311)의 벽 및/또는 바닥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배치공간(S)으로부터 이탈되는 경우 상기 유입공간(S3)과 상기 측정공간(S1)을 구획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제1 구획부(311aa)의 탈착을 구현하기 위해, 일례로, 상기 측정프레임(311)은 상기 제1 구획부(311aa)의 탈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벽(311ab)을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가이드벽(311ab)에는 높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과 대응되도록 상기 제1 구획부(311aa)에는 상기 가이드벽(311ab)의 상기 홈에 삽입되는 돌출부(3113aa)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구획부(311aa)의 상기 돌출부(3113aa)가 상기 가이드벽(311ab)의 상기 홈에 슬라이딩되어 삽입됨에 따라 상기 제1 구획부(311aa)는 상기 배치공간(S)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구획부(311aa)의 탈착은 앞서 설명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1 구획부(311aa)에 상기 가이드벽(311ab)의 상기 홈과 대응되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벽(311ab)에 상기 제1 구획부(311aa)의 상기 돌출부(3113aa)와 대응되는 돌출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1 구획부(311aa)의 탈착 방식은 당업자의 입장에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례로, 상기 제1 구획부(311aa)는 상기 측정공간(S1)과 상기 유입공간(S3)을 구획하는 구획벽(3111aa), 상기 구획벽(3111aa)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유입공간(S3) 상의 상기 시료를 상기 측정공간(S1)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연통벽(3112aa)을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구획벽(3111aa)에는 상기 가이드벽(311ab)의 상기 홈에 삽입되는 상기 돌출부(3113a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통벽(3112aa)은 상기 유입공간(S3)으로 유입된 상기 시료가 상기 측정공간(S1)으로 이동되는 경로인 이동로(V)를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이동로(V)는 상기 연통벽(3112aa)의 바닥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높이 방향의 상 방향으로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이동로(V)는 상기 측정프레임(311)의 바닥과 상기 연통벽(3112aa)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연통벽(3112aa)은 상기 구획벽(3111aa)으로부터 상기 측정공간(S1)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 구획벽(3111aa)이 탈착 방식인 경우, 상기 제1 구획벽(3111aa), 상기 측정프레임(311)의 바닥 및 측벽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로형성부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7은 상기 유로배출부(416)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일례로, 변형예인 유로배출부(416a)는 상기 오버플로 배출부(417)와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즉, 상기 유로배출부(416a)는 상기 오버플로 배출부(417)와 동일한 길이로 상기 유로바닥부(411)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로형성부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도 28은 상기 오버플로 격벽부(414b)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변형예인 오버플로 격벽부(414bb)는 상기 유로공간(B) 및/또는 상기 오버플로 공간(D)으로부터 이탈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오버플로 격벽부(414bb)는 탈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오버플로 격벽부(414bb)가 상기 유로바닥부(411) 상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유로공간(B)과 상기 오버플로 공간(D)을 구획할 수 있고, 상기 오버플로 격벽부(414bb)가 상기 유로바닥부(411)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유로공간(B)과 상기 오버플로 공간(D)으로부터 이탈되는 경우 상기 유로공간(B)과 상기 오버플로 공간(D)을 구획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오버플로 격벽부(414bb)의 탈착을 구현하기 위해, 일례로, 상기 유로내측벽부(413) 및 상기 유로외측벽부(412)에는 상기 오버플로 격벽부(414bb)의 탈착을 가이드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과 대응되도록 상기 오버플로 격벽부(414bb)에는 상기 홈에 삽입되는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오버플로 격벽부(414bb)의 상기 돌출부가 상기 유로내측벽부(413) 및 상기 유로외측벽부(412)의 상기 홈에 슬라이딩되어 삽입됨에 따라 상기 오버플로 격벽부(414bb)는 상기 유로바닥부(411)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오버플로 격벽부(414bb)의 탈착은 앞서 설명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오버플로 격벽부(414bb)에 상기 유로내측벽부(413) 및 상기 유로외측벽부(412)의 상기 홈과 대응되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유로내측벽부(413) 및 상기 유로외측벽부(412)에 상기 오버플로 격벽부(414bb)의 상기 돌출부와 대응되는 돌출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오버플로 격벽부(414bb)의 탈착 방식은 당업자의 입장에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오버플로 격벽부(414bb)는 각각 높이가 다른 복수개가 있을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의도에 따라 상기 오버플로 격벽부(414bb)를 교체하여 상기 오버플로 격벽부(414bb)와 상기 유로격벽부(414a)의 상기 높이 방향 높이의 차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면에는 상기 오버플로 격벽부(414bb)만 탈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유로격벽부(414a)도 탈착될 수도 있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로형성부의 개략 사시도이며,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부(700)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9 및 도 30은 상기 오버플로 격벽부(414b)와 상기 유로격벽부(414a)의 상기 높이 방향 높이의 차이를 조절할 수 있는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다.
일례로, 상기 높이조절부(700)는 상기 오버플로 격벽부(414b)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부(700)는 각각 높이가 다른 복수개가 있을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의도에 따라 상기 높이조절부(700)를 상기 오버플로 격벽부(414b)에 결합하여 상기 오버플로 공간(D)으로 유입되는 상기 시료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높이조절부(700)는 상기 오버플로 격벽부(414b)의 상단에 결합되도록 홈(R)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높이조절부(700)는 고무와 같은 탄성체일 수 있다.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적축소부(420)의 개략 사시도이고,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탁도 측정기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31 및 도 32는 상기 유로 관통홀(G)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변형예인 유로 관통홀(GG)은 사용자가 상기 유로 관통홀(GG)을 통해 상기 측정공간(S1)을 볼 수 있도록 상기 축소머리부(421)로부터 충분한 크기로 관통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일례로,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유로 관통홀(GG)은 상기 축소머리부(421)가 상기 유로내측벽부(413)를 커버하되 상기 유로내측벽부(413)보다 상기 높이 방향과 수직하는 너비 방향의 내측으로 더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 공간(S2)의 상기 너비 방향 중심으로부터 상기 유로 관통홀(GG)을 형성하는 상기 축소머리부(421)까지의 거리(U1)는 상기 가이드 공간(S2)의 상기 너비 방향 중심으로부터 상기 유로내측벽부(413)까지의 거리(U2)보다 작을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는 상기 유로 관통홀(GG)을 통해 상기 축소머리부(421)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어, 상기 면적축소부(420)를 상기 유로형성부(41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탁도 측정기(10)는 사용자가 상기 탁도 측정기(10)의 구동과 관련된 소정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 다른 전자기기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 측정된 미세입자의 양을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탁도 측정기(10)와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부 또는 상기 시료에 포함된 미세입자의 양을 산출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료에 포함된 미세입자의 양을 산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탁도 측정기(10)가 제 기능을 구현하도록 상기 탁도 측정기(10)를 구성하는 다른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도 있다.
2. 시료의 유로 설명
이하에서는, 상기 시료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탁도 측정기(10) 상에서 이동하는 유로를 설명하겠다.
상기 시료는 상기 유로유입공(A1)에 연결되는 호스(L1) 및 상기 유로유입공(A1)을 통해 외부로부터 상기 미세기포 제거부(400)의 상기 유로공간(B)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시료는 상기 유로유입공(A1)이 형성된 첫 번째 유로공간(B1)으로 유입되며, 유로격벽부(414a)를 넘어 좌측으로 인접한 유로공간(B)으로 넘어갈 수 있다.
즉, 도 16에서 볼 때, 상기 시료는 상기 첫 번째 유로공간(B1)으로 유입된 후 상기 유로격벽부(414a)를 넘어 시계 방향으로 인접한 다른 유로공간(B)에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승하강의 반복으로 상기 시료는 상기 유로배출부(416)가 형성된 마지막 유로공간(B2)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마지막 유로공간(B2)으로 유입된 상기 시료는 상기 유로배출부(416)를 통해 상기 본체부(300)의 상기 유입공간(S3)으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의도치 않게 상기 첫 번째 유로공간(B1)으로 상기 시료가 많이 유입되는 경우, 상기 시료는 미세기포 제거의 효율이 떨어지는 소정의 양 만큼 상기 유로공간(B) 상에서 오버플로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고자, 상기 미세기포 제거부(400)는 상기 소정의 양 이상으로 오버플로된 상기 시료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소정의 양 이상으로 오버플로된 상기 시료를 수용하는 상기 오버플로 공간(D)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5에서 볼 때, 상기 첫 번째 유로공간(B1)으로부터 상기 반 시계 방향으로 인접하여 상기 오버플로 공간(D)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시료가 상기 오버플로 공간(D)을 형성하는 상기 오버플로 격벽부(414b)의 상기 높이 방향 높이보다 더 오버플로되는 경우, 상기 시료는 상기 오버플로 격벽부(414b)를 넘어 상기 오버플로 공간(D)에 유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오버플로 공간(D)에 유입된 상기 시료는 상기 오버플로 배출부(417)를 통해 상기 드레인 공간(S4)으로 유입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상기 드레인 공간(S4)을 거쳐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오버플로 격벽부(414b)의 높이는 상기 유로격벽부(414a)의 높이보다 상기 소정 높이(Q)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오버플로 격벽부(414b)와 상기 유로격벽부(414a)의 높이 차이(Q)의 조절로 상기 오버플로 공간(D)에 유입되는 상기 시료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마지막 유로공간(B2)으로 이동된 상기 시료는 상기 유로배출부(416)를 통해 상기 유입공간(S3)으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유로배출부(416)는 상기 유입공간(S3)에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유로배출부(416)의 하단은 상기 측정프레임(311)의 바닥과 닿거나 소정 거리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시료는 상기 유로공간(B) 상에서 상기 유로바닥부(411)로부터 자유낙하되는 것이 아닌 상기 유로배출부(416)의 내면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측정프레임(311)의 바닥에 도달될 수 있다.
그 결과, 미세기포가 자유낙하에 의해 상기 시료에 포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유로배출부(416)의 하단은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시료는 상기 유로배출부(416)의 하단의 경사를 따라 상기 측정프레임(311)의 바닥에 도달될 수 있다.
상기 유입공간(S3)으로 이동된 상기 시료는 상기 연통공간(C)을 통해 상기 측정공간(S1)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측정프레임(311)의 청소 필요 시, 상기 측정공간(S1)상의 상기 시료를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측정프레임(311)의 바닥에는 상기 측정공간 배출공(A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정공간 배출공(A5)은 탁도 측정 시에는 폐쇄될 수 있으며, 상기 측정프레임(311)의 청소 필요 시에는 개방되어 상기 측정공간(S1) 상의 상기 시료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인, 상기 시료의 지속적인 유입으로, 상기 측정공간(S1) 상의 상기 시료는 수위가 높아질 수 있다.
상기 측정공간(S1) 상의 상기 시료의 수위가 상기 제2 구획부(311b)보다 높아지는 경우, 상기 측정공간(S1) 상의 상기 시료는 상기 드레인 공간(S4)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공간(S4)으로 유입된 시료는 상기 드레인 공간 배출공(A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3. 공기로(M)의 설명
이하에서는, 상기 시료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탁도 측정기(10) 상에서 형성되는 상기 공기로(M)를 설명하겠다.
외부로부터 상기 탁도 측정기(10) 상으로 상기 시료가 유입되는 경우 상기 탁도 측정기(10) 상의 압력은 높아질 수 있으므로, 상기 탁도 측정기(10) 상의 압력의 변화를 최소화 하도록 상기 공기로(M)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로(M)는 상기 탁도 측정기(10) 상의 공기와 외부의 공기가 상호 연통되어 이동될 수 있는 통로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상기 공기로(M)는 상기 탁도 측정기(10) 상의 공기가 외부로 이동되거나, 외부의 공기가 상기 탁도 측정기(10) 상으로 이동되는 통로를 의미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공기로(M)는 상기 몸통부(310)와 상기 머리부(320) 사이 또는 상기 몸통부(31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몸통부(310)는 상기 공기로(M)를 형성하도록 상기 가이드프레임(313)에 상기 공기로 형성부(K)가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공기로 형성부(K)는 상기 가이드프레임(313)의 상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절개되어 상기 가이드프레임(313) 상에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몸통부(310)와 상기 머리부(320) 사이에는 상기 배치공간(S)이 외부와 연통하는 상기 공기로(M)가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는 상기 공기로 형성부(K)가 상기 가이드프레임(313)의 상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절개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공기로 형성부(K)는 상기 가이드프레임(313) 상에 또는 상기 머리부(320) 상에 관통되어 형성되는 구멍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공기로 형성부(K)는 상기 배치공간(S) 상의 공기가 외부로 이동될 수 있는 상기 공기로(M)를 형성하는 구조라면 당업자의 입장에서 상기 공기로 형성부(K)의 위치, 형상, 구조 등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 시료가 상기 측정공간(S1), 상기 유입공간(S3) 또는 상기 드레인 공간(S4) 상으로 유입되더라도 상기 측정공간(S1), 상기 유입공간(S3) 또는 상기 드레인 공간(S4) 상의 공기는 상기 공기로 형성부(K)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상기 측정공간(S1), 상기 유입공간(S3) 또는 상기 드레인 공간(S4)의 압력은 높아지지 않을 수 있다.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미세기포 제거부(400)는 상기 본체부(300)와 협동하여 상기 공기로(M)를 형성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미세기포 제거부(400)의 바닥은 상기 공기로(M)를 형성하도록 본체부(300)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례로, 상기 미세기포 제거부(400)는 상기 이격유도부(600)에 의해 상기 몸통부(310)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이격된 공간으로 인해 상기 공기로(M)는 상기 몸통부(310)와 상기 미세기포 제거부(40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시료가 상기 측정공간(S1), 상기 유입공간(S3) 또는 상기 드레인 공간(S4) 상으로 유입되더라도 상기 측정공간(S1), 상기 유입공간(S3) 또는 상기 드레인 공간(S4) 상의 공기는 상기 본체부(300)와 상기 미세기포 제거부(400) 사이의 상기 공기로(M)를 지나 상기 공기로 형성부(K)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며, 이로써 상기 측정공간(S1), 상기 유입공간(S3) 또는 상기 드레인 공간(S4)의 압력은 높아지지 않을 수 있다.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공기로(M)는 상기 몸통부(310)와 상기 미세기포 제거부(400) 사이에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례로 상기 머리부(320)와 상기 미세기포 제거부(400) 사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미세기포 제거부(400)는 상기 가이드 공간(S2) 상에 배치되었을 때, 상기 미세기포 제거부(400)와 상기 머리부(320) 사이에 이격 공간이 형성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미세기포 제거부(400)의 상기 면적축소부(420)는 상기 머리부(320)의 상기 안착머리부(321) 및 상기 돌출머리부(325)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이격된 공간으로 인해 상기 공기로(M)는 상기 미세기포 제거부(400)와 상기 머리부(32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시료가 상기 측정공간(S1), 상기 유입공간(S3) 또는 상기 드레인 공간(S4) 상으로 유입되더라도 상기 측정공간(S1), 상기 유입공간(S3) 또는 상기 드레인 공간(S4) 상의 공기는 상기 유로홀(H), 상기 유로 관통홀(G) 및 상기 미세기포 제거부(400)와 상기 머리부(320) 사이의 상기 공기로(M)를 지나 상기 공기로 형성부(K)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며, 이로써 상기 측정공간(S1), 상기 유입공간(S3) 또는 상기 드레인 공간(S4)의 압력은 높아지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공간(B) 상으로 상기 시료가 유입됨에 따라 상기 유로공간(B)의 압력이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축소머리부(421)는 상기 유로 연통공(E)을 형성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시료가 상기 유로공간(B) 상으로 유입되더라도, 상기 유로공간(B) 상의 공기는 상기 유로 연통공(E) 및 상기 미세기포 제거부(400)와 상기 머리부(320) 사이의 상기 공기로(M)를 지나 상기 공기로 형성부(K)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며, 이로써 상기 유로공간(B)의 압력은 높아지지 않을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상기 공기로(M)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상기 측정공간(S1), 상기 유입공간(S3), 상기 드레인 공간(S4) 또는 상기 유로공간(B) 상의 공기가 외부의 공기와 연통할 수 있는 구조라면 당업자의 입장에서 상기 공기로(M)의 위치, 크기, 형상 등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발광부
200: 수광부
300: 본체부
400: 미세기포 제거부
500: 흡광부

Claims (15)

  1. 광의 산란 또는 반사를 이용하여 시료에 포함된 미세입자의 양을 측정하는 탁도 측정기에 있어서,
    상기 시료에 광을 발사하는 발광부;
    상기 시료로부터 산란 또는 반사된 광을 감지하는 수광부;
    상기 시료에 포함된 미세입자의 양을 측정하도록 상기 시료, 상기 발광부 및 상기 수광부가 배치될 수 있는 배치공간을 형성하는 본체부; 및
    상기 시료가 외부로부터 상기 배치공간으로 유입되는 유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시료에 포함된 미세기포를 제거하는 미세기포 제거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치공간은,
    외부로부터 상기 시료가 유입되어 저장되고 상기 발광부 및 상기 수광부에 의해 상기 시료에 포함된 미세입자의 양을 측정하는 공간인 측정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부는,
    외부로부터 상기 측정공간으로 상기 시료가 유입되는 경우,
    상기 시료의 유입으로 인한 상기 측정공간 상의 공기압 변화를 최소화하여 상기 측정공간으로 유입되는 상기 시료에 미세기포의 발생을 억제하도록 상기 측정공간 상의 공기와 외부의 공기가 연통하는 공기로를 형성하고,
    상기 미세기포 제거부는,
    상기 시료가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여 이동될 수 있는 복수의 유로공간을 형성하는 유로형성부 및 상기 유로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시료의 유로의 면적을 축소하는 면적축소부를 구비하며,
    상기 면적축소부는,
    상기 유로형성부로부터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도 측정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배치공간을 규정하는 몸통부 및 상기 배치공간을 커버하여 외부로부터상기 배치공간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머리부를 구비하며,
    상기 공기로는,
    상기 몸통부와 상기 머리부 사이 또는 상기 몸통부 또는 상기 머리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도 측정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기포 제거부는,
    상기 본체부와 협동하여 상기 공기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도 측정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로는,
    상기 본체부와 상기 미세기포 제거부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도 측정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배치공간을 규정하는 몸통부 및 상기 배치공간을 커버하여 외부로부터상기 배치공간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머리부를 구비하며,
    상기 공기로는,
    상기 몸통부와 상기 미세기포 제거부 사이 또는 상기 머리부와 상기 미세기포 제거부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도 측정기.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형성부는,
    상기 면적축소부가 상기 유로형성부를 기준으로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유로형성부의 배치 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도 측정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기포 제거부는,
    상기 시료가 상기 유로공간 상에서 소정의 양 이상으로 오버플로되는 경우,
    상기 소정의 양 이상으로 오버플로된 상기 시료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시료를 수용하는 오버플로 공간을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도 측정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기포 제거부는,
    상기 시료가 일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유로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소정의 양 이상으로 오버플로된 상기 시료는 상기 일 방향과 반대 방향인 타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오버플로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도 측정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공간은,
    상기 측정공간 상의 상기 시료를 외부로 배출하는 공간인 드레인 공간을 더 구비하며,
    상기 오버플로 공간은,
    상기 소정의 양 이상으로 오버플로된 상기 시료가 상기 드레인 공간을 거쳐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드레인 공간과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도 측정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공간은,
    상기 미세기포 제거부가 상기 배치공간 상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공간을 더 구비하고,
    상기 미세기포 제거부는,
    상기 배치공간에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둘레 방향으로 상기 가이드 공간을 단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도 측정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공간은,
    상기 미세기포 제거부가 상기 배치공간 상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공간을 더 구비하고,
    상기 미세기포 제거부는,
    바닥의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본체부와 이격되어 상기 가이드 공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도 측정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공간은,
    외부로부터 상기 시료가 유입되고 상기 측정공간과 연통하는 공간인 유입공간을 더 구비하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배치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유입공간과 상기 측정공간을 구획하는 제1 구획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구획부는,
    상기 배치공간으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유입공간과 상기 측정공간을 구획하지 않을 수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도 측정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기포 제거부는,
    상기 시료가 상기 유로공간 상에서 소정의 양 이상으로 오버플로되는 경우,
    상기 소정의 양 이상으로 오버플로된 상기 시료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시료를 수용하는 오버플로 공간을 더 형성하며,
    상기 미세기포 제거부는,
    상기 유로공간을 복수개로 구획하는 유로격벽부 및 상기 유로공간과 상기 오버플로 공간을 구획하는 오버플로 격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오버플로 격벽부는,
    상기 유로격벽부보다 높이 방향으로 더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도 측정기.

KR1020160152494A 2016-11-16 2016-11-16 탁도 측정기 KR1017241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2494A KR101724149B1 (ko) 2016-11-16 2016-11-16 탁도 측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2494A KR101724149B1 (ko) 2016-11-16 2016-11-16 탁도 측정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2208A Division KR20180055658A (ko) 2017-03-31 2017-03-31 탁도 측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4149B1 true KR101724149B1 (ko) 2017-04-06

Family

ID=58583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2494A KR101724149B1 (ko) 2016-11-16 2016-11-16 탁도 측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414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31727A (en) * 1997-04-29 1998-11-03 Hach Company Bubble elimination from liquid
KR20080081236A (ko) * 2008-08-20 2008-09-09 주식회사 이플러스티 미세기포 제거기가 내장된 저농도 탁도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31727A (en) * 1997-04-29 1998-11-03 Hach Company Bubble elimination from liquid
KR20080081236A (ko) * 2008-08-20 2008-09-09 주식회사 이플러스티 미세기포 제거기가 내장된 저농도 탁도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48482B2 (ja) 排水トラップ
TWI246465B (en) Ink cartridge and ink-jet printer
KR101743770B1 (ko) 용기 내의 액체 체적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ES2368944T3 (es) Método y aparato fotométricos para medir la turbidez, fluorescencia, fosforescencia y/o el coeficiente de absorción de un líquido.
CN110173028B (zh) 排水阀装置、贮水水箱装置及冲水大便器
US20210239505A1 (en) Oil Sight Glass
JP6016345B2 (ja) 薬液供給装置
KR20180055658A (ko) 탁도 측정기
US20150355077A1 (en) Cartridge for inspection apparatus and method of retaining liquid
KR101724149B1 (ko) 탁도 측정기
JP5962708B2 (ja) 脱泡槽
KR101010367B1 (ko) 미세기포 제거기가 내장된 저농도 탁도계
US8139224B2 (en) Particle concentration detecting device
US9068327B2 (en) Flow meter for the measuring of fluid volumes originating from a faucet
KR20220141877A (ko) 유체 축적 장치
US3518015A (en) Inclined flow cell including a sink for solid particles
JP2018024969A (ja) 脱墨装置および古紙再生処理装置
WO2010058513A1 (ja) 排水油膜検出装置
JPH09218079A (ja) 水位センサ
JPH0820354B2 (ja) 滴測計
JP2842792B2 (ja) プラスチック製の汚水処理装置用計量器
JP2021062112A (ja) 分泌物吸引装置
JP7465061B2 (ja) 薬液供給装置
RU187228U1 (ru) Фотометрический анализатор жидкости
KR101049946B1 (ko) 전반사를 이용한 수위 조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