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7315B1 - 보온재 투입용 커버장치 - Google Patents

보온재 투입용 커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7315B1
KR101707315B1 KR1020150086669A KR20150086669A KR101707315B1 KR 101707315 B1 KR101707315 B1 KR 101707315B1 KR 1020150086669 A KR1020150086669 A KR 1020150086669A KR 20150086669 A KR20150086669 A KR 20150086669A KR 101707315 B1 KR101707315 B1 KR 1017073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material
container
heat insulating
cov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6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9532A (ko
Inventor
유경민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86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7315B1/ko
Publication of KR20160149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95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7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73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7/00Casting ingots, e.g. from ferrous metals
    • B22D7/12Appurtenances, e.g. for sintering, for preventing spla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27/00Treating the metal in the mould while it is molten or ductile ; Pressure or vacuum ca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Insulation (AREA)

Abstract

보온재 투입용 커버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보온재 투입용 커버장치는: 진공조의 개방부에 안착되는 커버부와, 커버부 상에 형성되고, 보온재가 적치되는 보온재적치부와, 보온재적치부 상에 형성되고, 진공조의 열기에 의해 녹은 보온재가 진공조의 내부로 투입되는 통로를 이루는 투입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보온재 투입용 커버장치{COVER APPARATUS FOR INSERTING HEAT-INSULATION MATERIAL}
본 발명은 보온재 투입용 커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진공조 내부의 주형에 보온재를 투입하기 위한 보온재 투입용 커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고트(ingot)를 제조하는 방식은 주형의 하측으로부터 용강을 주입하는 하주법과, 주형의 상측으로부터 용강을 주입하는 상주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주법에 의해 인고트를 제작함에 있어서는, 진공조에 의해 형성되는 진공분위기 하에 용강을 주입하는 경우 VIC(Vacuum Ingot Casting)라고도 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270109호(2000.07.27. 등록, 발명의 명칭: 진공탱크를 이용한 용강중의 질소 제거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인고트의 품질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보온재 투입용 커버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온재 투입용 커버장치는: 진공조의 개방부에 안착되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 상에 형성되고, 보온재가 적치되는 보온재적치부; 및 상기 보온재적치부 상에 형성되고, 상기 진공조의 열기에 의해 녹은 상기 보온재가 상기 진공조의 내부로 투입되는 통로를 이루는 투입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부는, 상기 개방부에 안착되는 받침부; 및 상기 받침부의 하부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진공조의 커버지지대에 안착되는 받침다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받침부는, 작업자가 상기 개방부측으로 이동가능한 통로를 이루는 받침판부; 및 상기 받침판부를 지지하는 지지골조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받침판부는, 마찰접촉면과, 열기가 통과할 수 있는 복수개의 통공을 가지는 메쉬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버부는, 상기 받침부의 가장자리부에 홀부 또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고, 운반장치가 연결되는 리프터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온재적치부는, 상기 개방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향 돌출되게 형성되는 테이블부; 및 상기 테이블부 상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보온재가 수용되며, 상기 투입홀부가 형성되는 용기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용기부는, 상기 테이블부에서 하향 연장되게 형성되는 용기측면부; 상기 용기측면부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보온재를 받치는 용기받침부; 및 상기 용기측면부와 상기 용기받침부를 지지하는 용기골조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용기받침부는, 상기 투입홀부로 적용가능한 복수개의 통공을 가지는 메쉬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보온재 투입용 커버장치에 의하면, 진공조의 개방부측에 설치한 상태에서, 보온재적치부 상의 보온재가 진공조 내부의 열기에 의해 자연적으로 녹으면서 충격 없이 주형의 압탕부로 투입될 수 있고, 용강 탕면의 전반에 걸쳐 보다 균일하고 신속하게 그 투입이 이루어질 수 있어, 인고트의 품질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보온재를 직접 던지는 동적인 동작을 할 필요가 없으므로, 작업자의 안전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온재 투입용 커버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온재 투입용 커버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 B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온재 투입용 커버장치를 운반장치와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온재 투입용 커버장치를 주형장치의 진공조에 안착시킨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온재 투입용 커버장치의 설치가 이루어지는 주형장치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은 기존에 작업자가 진공조에 보온재를 투입하는 방법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온재 투입용 커버장치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온재 투입용 커버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온재 투입용 커버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A, B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온재 투입용 커버장치를 운반장치와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온재 투입용 커버장치를 주형장치의 진공조에 안착시킨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온재 투입용 커버장치의 설치가 이루어지는 주형장치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7은 기존에 작업자가 진공조에 보온재를 투입하는 방법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온재 투입용 커버장치(1)는 커버부(10), 보온재적치부(20), 투입홀부(30)를 포함한다.
커버부(10)는 진공조(2)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부분이다. 커버부(10)는 작업자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강성을 가지고 개방부(2a)가 형성된 진공조(2)의 상부에 안착된다(도 5 참조). 작업자는 커버부(10)를 밟은 상태로 걸어서 개방부(2a)에 근접하거나 이격되게 이동할 수 있고, 보온재적치부(20)의 둘레를 따라 다양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보온재적치부(20)는 보온재(8)가 적치되는 부분으로, 커버부(10) 중 개방부(2a)의 직상방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보온재(8)는 주형(6)에 담긴 용강의 상부의 고형화 속도를 늦추기 위한 발열재, 보온재 등의 소재를 통칭하여 의미한다. 보온재(8)는 가루나 입자 등의 형태를 가지고, 비닐 등의 포장재에 의해 단위 무게별(예를 들어, 3kg 등)로 포장된 상태로 준비된다.
투입홀부(30)는 보온재적치부(20)상의 보온재(8)가 진공조(2)의 내부로 투입될 수 있는 통로를 이루는 부분이다. 투입홀부(30)는, 보온재적치부(20)에 담긴 보온재(8)가 진공조(2)의 내부로부터 방사되는 열기에 의해 녹아 낙하되면서 진공조(2)의 내부의 주형(6)으로 자연히 투입될 수 있도록 보온재적치부(20) 상에 수직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버부(10)는 받침부(11), 받침다리부(14), 리프터연결부(15)를 포함한다.
받침부(11)는 작업자의 하중을 지지하는 받침대를 이루는 부분으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개방부(2a)가 형성된 진공조(2)의 상부에 안착된다(도 5 참조). 작업자는 받침부(11)가 형성하는 평탄한 바닥면에 의해 하단 지지된 상태로 진공조(2)의 상측의 공간부 상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받침부(11)는 받침판부(12)와 지지골조부(13)를 포함한다.
받침판부(12)는 작업자가 보온재적치부(20) 및 개방부(2a)측으로 이동할 수 있는 평탄한 통로를 이루는 부분으로, 진공조(2)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된 구조물(7)에서 개방부(2a)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보온재적치부(20)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다. 구조물(7)상의 작업자는 받침판부(12)로 이동한 후, 받침판부(12)가 형성하는 평탄한 바닥면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걸어서 보온재적치부(20)에 더 근접하게 이동할 수 있고, 다양한 방향에서 보온재적치부(20)를 향할 수 있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받침판부(12)는 작업자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요철을 가지는 마찰접촉면과, 열기가 통과할 수 있는 복수개의 통공을 구비한다. 받침판부(12)의 자재로서 철망 등의 메쉬 부재를 적용하면, 마찰접촉면과 복수개의 통공을 받침판부(12) 전체에 걸쳐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메쉬 부재는 복수개의 와이어부재를 서로 교차되게 결합하여 제작할 수 있다.
메쉬 부재는 복수개의 와이어부재와 그 사이에 형성되는 통공이 교대로 배치된 구조를 가짐에 따라, 상면부가 평탄하지 않고 볼록부와 오복부가 교대로 배치되는 요철의 형상을 가지게 된다. 받침판부(12)의 상면부는 이러한 요철에 의해 마찰접촉면을 형성하게 되고, 작업자의 신발은 받침판부(12)와 명확하게 마찰접촉될 수 있어, 작업자의 미끄러짐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받침판부(12)에 메쉬 부재를 적용하면, 복수개의 통공을 받침판부(12)의 전반에 걸쳐 고르게 분산 배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의 땀이나 기타 이물질 등이 받침판부(12)에 고이지 않고, 통공을 통해 신속하게 낙하, 제거되므로 작업자가 이물질로 인해 미끄러지거나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통공을 통해 열기가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어, 개방부(2a)를 통해 받침판부(12)의 상측으로 방출된 열기가 받침판부(12)의 상측에 정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작업자의 시야가 받침판부(12) 하측까지 미치게 되어, 작업자간의 의사 소통이나 시야 확보가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골조부(13)는 받침판부(12)를 평탄하게 지지하는 골조를 이루는 부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골조부(13)는 복수개의 빔이 서로 교차되게 배치된 격자 구조를 가진다. 지지골조부(13)를 받침부(11) 전체에 걸쳐 격자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강성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으면서도 받침판부(12)에 가해지는 하중을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고, 지지골조부(13)에 의해 받침부(11)의 통공이 차단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받침다리부(14)는 진공조(2)의 커버지지대(3)에 안착되는 부분으로, 받침부(11)의 하부에 다리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커버지지대(3)는 받침부(11)의 가장자리부를 지지하기 위해 진공조(2)에 마련되는 지지대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버지지대(3)는 지지부(3a)와 유동방지부(3b)를 포함한다.
지지부(3a)는 진공조(2)의 외면부 상에 또는 진공조(2)와 접하거나 이격된 위치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유동방지부(3b)는 받침다리부(14)의 하부가 인입되는 부분으로, 지지부(3a)의 상부에 오목하게 형성된다. 받침다리부(14)의 하부는 유동방지부(3b)에 삽입될 수 있는 형상, 예를 들어 유동방지부(3b)에 대응되는 볼록한 형상을 가지고 유동방지부(3b)에 끼워진다. 이러한 유동방지부(3b)에 의해 받침다리부(14)를 포함한 커버부(10) 전체의 측방향 유동을 안정되게 방지할 수 있다.
커버지지대(3)는 복수개가 이격되게 배치되며, 받침다리부(14)는 복수개의 커버지지대(3)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받침다리부(14)를 커버지지대(3)에 안착시키는 것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보온재 투입용 커버장치(1)를 진공조(2) 상의 정위치에 일관되게 안착, 설치할 수 있다.
리프터연결부(15)는 운반장치(9)가 연결되는 부분으로, 받침부(11)의 가장자리부에 홀부 또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리프터 등의 운반장치(9)는 와이어, 체인 등의 선형 연결부재를 이용해 리프터연결부(15)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리프터연결부(15)는 받침부(11)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복수개가 배치되고, 특히 상호 대향되는 일측부와 타측부에 배치된다. 연결부재를 이용해 이러한 복수개의 리프터연결부(15)와 운반장치(9)를 연결함으로써, 운반장치(9)를 이용해 본 발명에 따른 보온재 투입용 커버장치(1)를 목적한 위치로 용이하고 안정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보온재(8)는 보온재적치부(20)에 올려진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보온재 투입용 커버장치(1)와 함께 진공조(2)의 개방부(2a)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온재적치부(20)는 테이블부(21)와 용기부(22)를 포함한다.
테이블부(21)는 커버부(10) 중 진공조(2)의 개방부(2a)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향 돌출되게 형성된다. 테이블부(21)를 돌출되게 형성함으로써, 작업자의 이동 통로를 제공하는 커버부(10)와, 보온재(8)의 적치가 이루어지는 보온재적치부(20)를 육안으로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테이블부(21)를 보고 개방부(2a)와의 거리를 직관할 수 있다.
또한, 테이블부(21)가 커버부(10)와 용기부(22)를 구획하는 안전 울타리의 기능을 하게 되므로, 작업자가 일부러 테이블부(21)의 위로 올라가지 않는 한, 커버부(10) 상에서 순간적인 주의력 결핍으로 인해 고온의 열기가 뿜어나오는 개방부(2a)의 직상방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용기부(22)는 보온재(8)의 적치가 이루어지는 부분으로, 테이블부(21) 중 개방부(2a)에 대응되는 중앙부에, 보다 구체적으로는 진공조(2) 내부의 주형(6)에 대응되는 위치 상에 오목하게 형성된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부(22)는 용기측면부(23), 용기받침부(24), 용기골조부(25)를 포함한다.
용기측면부(23)는 용기부(22)의 측면부를 이루는 부분으로, 테이블부(21)에서 하향 연장되게 형성된다. 용기측면부(23)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도 있고, 용기받침부(24)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용기측면부(23)의 수직 방향 길이에 따라 용기받침부(24)의 높이가 조절된다.
용기측면부(23)의 수직 방향 길이가 길어질수록 용기받침부(24)가 주형(6)에 보다 근접하게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보온재(8)가 용기받침부(24) 상에서 주형(6)의 내부로 낙하됨으로 인해, 주형(6) 내부의 용강 탕면이 요동되는 것을 보다 저감시킬 수 있다.
용기받침부(24)는 보온재(8)를 하단지지하는 용기부(22)의 바닥면을 이루는 부분으로, 용기측면부(23)의 하부에 일체로 연결된다. 도 3의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받침부(24) 상에는 열기와 보온재(8)가 통과할 수 있는 복수개의 투입홀부(30)가 형성된다. 용기받침부(24)의 자재로서 철망 등의 메쉬 부재를 적용하면, 열기와 보온재(8)가 통과할 수 있는 복수개의 통공을, 즉 투입홀부(30)를 용기받침부(24) 전체에 최대한 확장된 면적에 걸쳐 형성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진공조(2)의 개방부(2a)를 통해 방출되는 열기는 투입홀부(30)를 통해 용기받침부(24)에 안착된 상태의 보온재(8)까지 전달되고, 보온재(8)는 그 열기에 의해 일부가 용융된다. 투입홀부(30)를 통과할 수 있을 정도로 용융된 보온재(8)는 투입홀부(30)를 통해 용기부(22)의 하측으로 낙하되고, 개방부(2a)를 통해 진공조(2) 내부의 주형(6)으로 투입된다.
용기골조부(25)는 용기측면부(23)와 용기받침부(24)가 오목한 형상을 이루도록 지지하는 골조를 이루는 부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골조부(25)는 복수개의 빔이 서로 교차되게 배치된 격자 구조를 가진다. 특히 용기받침부(24)를 지지하는 용기골조부(25)를 용기받침부(24) 전체에 걸쳐 격자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강성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으면서도 용기받침부(24)에 가해지는 하중을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고, 용기골조부(25)에 의해 용기받침부(24)의 통공이 차단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테이블부(21) 상에 용기부(22)를 형성함으로써, 테이블부(21)만을 가지는 경우와 비교해 보온재(8)의 유동을 보다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상기와 같이 보온재(8)의 낙하, 투입이 주형(6)에 보다 근접한 높이에서 이루어지게 되어 용강 탕면의 요동을 보다 저감시킬 수 있다.
상주법으로 인고트를 제작함에 있어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입래들(4)에 담긴 용강을 진공조(2)의 개방부(2a)에 위치한 포니래들(5)을 거쳐 진공조(2) 내부의 주형(6)으로 공급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다. 진공조(2)의 내부에는 대기압보다 낮은 압력의 진공분위기가 형성되므로, 대기압 하에서 인고트를 제작하는 경우와 비교해 용강의 탈가스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주형(6)에 담긴 용강의 상부는, 즉 주형(6)의 압탕부에 위치되는 용강 부분은, 그 하측의 용강 부분에 비해, 즉 주형(6)의 동체부에 위치되는 용강 부분에 비해 느리게 냉각, 고형이 이루어져야 한다. 보온재(8)를 주형(6)에 담긴 용강의 상부로 공급함으로써, 용강 상부의 냉각 속도를 명확하게 저하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주형(6) 내부로 설정량의 용강을 주입한 후에는, 진공조(2)의 개방부(2a)로부터 포니래들(5)를 분리하고, 개방부(2a)를 통해 보온재(8)를 투입하는 공정을 되도록 신속하게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보온재 투입용 커버장치(1)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 작업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조(2)와 이격되게 위치된 구조물(7) 상에서 보온재(8)를 개방부(2a)측으로 던져서 주형(6)으로 투입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작업자가 단위 무게별로 포장된 상태의 보온재(8) 전부를 개별적으로 던지는 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투입 효율이 저하되고, 보온재(8) 투입 시간이 지체됨으로 인해 냉각 속도를 저지 효율 또한 저하되어 인고트의 품질에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또한, 설정 중량의 보온재(8)가 원거리에서 던져져 용강 탕면에 낙하되므로, 그 충격력으로 인해 용강 탕면이 요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용강 탕면의 불순물이 용강의 내부로 밀려 혼재되어 인고트의 품질에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보온재 투입용 커버장치(1)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보온재 투입용 커버장치(1)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조(2)의 개방부(2a)측에 설치한 상태에서, 보온재적치부(20) 상의 보온재(8)가 진공조(2) 내부의 열기에 의해 자연적으로 녹으면서 충격 없이 주형(6)의 압탕부로 투입될 수 있고, 용강 탕면의 전반에 걸쳐 보다 균일하고 신속하게 그 투입이 이루어질 수 있어, 인고트의 품질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보온재(8)를 직접 던지는 동적인 동작을 할 필요가 없으므로, 작업자의 안전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보온재 투입용 커버장치 2 : 진공조
2a : 개방부 3 : 커버지지대
3a : 지지부 3b : 유동방지부
4 : 주입래들 5 : 포니래들
6 : 주형 7 : 구조물
8 : 보온재 9 : 운반장치
10 : 커버부 11 : 받침부
12 : 받침판부 13 : 지지골조부
14 : 받침다리부 15 : 리프터연결부
20 : 보온재적치부 21 : 테이블부
22 : 용기부 23 : 용기측면부
24 : 용기받침부 25 : 용기골조부
30 : 투입홀부

Claims (8)

  1. 진공조의 개방부에 안착되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 상에 형성되고, 보온재가 적치되는 보온재적치부; 및
    상기 보온재적치부 상에 형성되고, 상기 진공조의 열기에 의해 녹은 상기 보온재가 상기 진공조의 내부로 투입되는 통로를 이루는 투입홀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개방부에 안착되는 받침부; 및
    상기 받침부의 하부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진공조의 커버지지대에 안착되는 받침다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재 투입용 커버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작업자가 상기 개방부측으로 이동가능한 통로를 이루는 받침판부; 및
    상기 받침판부를 지지하는 지지골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재 투입용 커버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부는,
    마찰접촉면과, 열기가 통과할 수 있는 복수개의 통공을 가지는 메쉬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재 투입용 커버장치.
  5. 제1항, 제3항,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받침부의 가장자리부에 홀부 또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고, 운반장치가 연결되는 리프터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재 투입용 커버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온재적치부는,
    상기 개방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향 돌출되게 형성되는 테이블부; 및
    상기 테이블부 상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보온재가 수용되며, 상기 투입홀부가 형성되는 용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재 투입용 커버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는,
    상기 테이블부에서 하향 연장되게 형성되는 용기측면부;
    상기 용기측면부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보온재를 받치는 용기받침부; 및
    상기 용기측면부와 상기 용기받침부를 지지하는 용기골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재 투입용 커버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받침부는,
    상기 투입홀부로 적용가능한 복수개의 통공을 가지는 메쉬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재 투입용 커버장치.
KR1020150086669A 2015-06-18 2015-06-18 보온재 투입용 커버장치 KR1017073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6669A KR101707315B1 (ko) 2015-06-18 2015-06-18 보온재 투입용 커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6669A KR101707315B1 (ko) 2015-06-18 2015-06-18 보온재 투입용 커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9532A KR20160149532A (ko) 2016-12-28
KR101707315B1 true KR101707315B1 (ko) 2017-02-15

Family

ID=57724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6669A KR101707315B1 (ko) 2015-06-18 2015-06-18 보온재 투입용 커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7315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82939A (ja) * 1995-12-28 1997-07-15 Nikko Kinzoku Kk 金属インゴットの鋳造方法及び鋳造装置
KR100971362B1 (ko) * 2007-11-01 2010-07-20 주식회사 포스코 무산화 주조를 위한 턴디시 탕면 보온재 도포용 밀폐장치
KR101221996B1 (ko) * 2010-09-20 2013-01-15 주식회사 포스코 보온재 살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온재 살포 방법
KR20130034390A (ko) * 2011-09-28 2013-04-05 현대제철 주식회사 턴디쉬 플럭스 공급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9532A (ko) 2016-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528095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lting and molding metal in vacuum environment
KR101226219B1 (ko) 회전식 금형 교체 방식을 사용한 진공원심주조 장치
KR101707315B1 (ko) 보온재 투입용 커버장치
KR20170050901A (ko) 일회용용기 버 제거 장비
CN110356598A (zh) 一种可调分量的快速下料装置
KR101667294B1 (ko) 원료 공급장치
CN112676497B (zh) 裁切装置及温度保险丝加工设备
JP6986064B2 (ja) ガラスのための吸引支持体
US2952886A (en) Apparatus for setting hot tops in ingot molds
CN111113640B (zh) 一种拐角护板加工设备
CN104665112B (zh) 一种鞋帮加热定型设备
CN112009732A (zh) 一种米饭分装机
JP2023116452A (ja) 食材貯蔵装置
KR101761374B1 (ko) 컵 공급장치
KR101197141B1 (ko) 플라즈마 용융 및 레일 교체 방식을 이용한 진공원심주조 장치
RU2563515C2 (ru) Станок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камней и способ регулирования по высоте такого станка
CN204861494U (zh) 一种鞋帮加热机构
KR20200102806A (ko) 충진재를 이용한 파이프 열처리 설비 및 열처리 방법
KR101461573B1 (ko) 커버 및 커버 장치
JP2018144289A (ja) 成形品取出機の架台
CN212197296U (zh) 一种提升机
CN207596895U (zh) 一种脱氧剂浇铸装置
KR101647686B1 (ko) 완충재 절단기
KR102603230B1 (ko) 차량용 시트 조립장치
KR102603231B1 (ko) 차량용 시트 조립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