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5046B1 - transformable wheelchair for free position - Google Patents
transformable wheelchair for free posi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05046B1 KR101705046B1 KR1020150063300A KR20150063300A KR101705046B1 KR 101705046 B1 KR101705046 B1 KR 101705046B1 KR 1020150063300 A KR1020150063300 A KR 1020150063300A KR 20150063300 A KR20150063300 A KR 20150063300A KR 101705046 B1 KR101705046 B1 KR 10170504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ckrest
- seat
- frame
- plate
- block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06010020751 Hypersensitivity Diseas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06010011985 Decubitus ul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2066 L-histidyl group Chemical group [H]N1C([H])=NC(C([H])([H])[C@](C(=O)[*])([H])N([H])[H])=C1[H] 0.000 description 2
- 206010052904 Musculoskeletal stiffnes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4210 Pressure Ul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139 buffer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2414 leg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640 muscle relax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37 restrain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6010051290 Central nervous system les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1118 Hypoton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6935 allergic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217 buttock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610 hypersensi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118 muscle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75 patholog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12 protecto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1514 reflex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60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6—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 A61G5/1075—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tilting the whole seat backward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6—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능동적 대응이 가능한 가변형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힌지블록으로 연결된 좌판부, 상기 좌판부와 연결된 등받이부, 상기 프레임부와 상기 좌판부를 연결하고 상기 좌판부를 지지하는 좌판 완충기 및 상기 좌판 완충기와 연결되어 있고 지지력을 해제하는 좌판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좌판 완충기의 지지력이 해제되면 상기 좌판부 및 상기 좌판부와 연결된 상기 등받이부는 상기 힌지블록을 기준으로 움직일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riable-type wheelchair capable of actively responding, comprising a frame portion, a seat plate portion connected to the frame portion by a hinge block, a backrest portion connected to the seat plate portion, a seat back portion connecting the frame portion and the seat plate portion, And a backrest lever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seatbacks when the support force of the left seatback cushion is released, the backrest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seatbacks can be moved with respect to the hinge block.
Description
본 발명은 휠체어 사용으로 인한 정적인 자세 또는 과신전과 같은 병적 반사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경직, 강직 및 구축 등 신체적 변형을 예방하고, 궁극적으로는 일상생활 수행 능력 향상을 통한 사회 참여 확대와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휠체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event physical deformations such as stiffness, rigidity and constriction that can be caused by pathological reflexes such as static posture or hypersensitivity due to the use of a wheelchair, and ultimately to enhance social participation and quality of lif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heelchair capable of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a wheelchair.
휠체어는 다리를 마음대로 움직일 수 없는 사람이 앉은 채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를 설치한 의자이다. 장애인들이 사회 생활, 직장 및 여가 생활에 참여하는 데 사용하는 이동 기구이다.A wheelchair is a chair in which a wheel is installed so that a person who can not move his / her leg freely moves. It is a mobile device that people with disabilities use to participate in social life, work and leisure.
휠체어의 구조는 프레임(frame), 좌판(seat), 큰 바퀴(wheel), 조향바퀴(caster), 바퀴손잡이(hand rim), 브레이크(brake), 등받이(back rest), 팔걸이(arm rest), 발 안착부(food rest)등으로 이루어져 있다.The structure of the wheelchair includes a frame, a seat, a large wheel, a caster, a hand rim, a brake, a back rest, an arm rest, A foot rest, and the like.
휠체어의 종류는 일반적으로 수동휠체어와 전동휠체어가 있으며, 용도에 따라 실외용과 실내용 휠체어가 있다. 그 외 특수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스포츠 형 휠체어, 신체 절단자를 위한 전용 휠체어, 한 손으로 움직이는 휠체어 등이 있다.There are two types of wheelchairs: manual wheelchairs and electric wheelchairs. There are outdoor and indoor wheelchairs depending on the application. Other special-purpose sporty wheelchairs, dedicated wheelchairs for bodybuilders, and one-handed wheelchairs.
이러한 휠체어는 등받이가 고정되어 있어서, 환자가 항상 등을 꼿꼿이 세운 상태로 있을 수 밖에 없고, 등받이를 젖혀 편하게 눕는 것이 불가능하였다.The backrest was fixed to the wheelchair, so that the patient always had to stand upright, and it was impossible to lie down comfortably on the backrest.
위와 같은 휠체어에 뇌병변으로 인해 근육의 수축과 이완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없는 사용자의 경우 신전근 뻗침 현상이 발생하여 심하면 골절, 욕창, 피로 증가와 같이 2차적 신체 손상과 같은 위험에 빠질 수 있다.A user who can not freely control muscle contraction and relaxation due to a brain lesion in such a wheelchair may develop a stretching phenomenon and may be seriously injured such as a fracture, pressure ulcer, fatigue and secondary physical damage.
본 발명은 이용자의 신체적 특징 및 상황에 따른 능동적 대응이 가능한 가변형 휠체어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ariable wheelchair capable of actively responding to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situations of a user.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능동적 대응이 가능한 가변형 휠체어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힌지블록으로 연결된 좌판부, 상기 좌판부와 연결된 등받이부, 상기 프레임부와 상기 좌판부를 연결하고 상기 좌판부를 지지하는 좌판 완충기 및 상기 좌판 완충기와 연결되어 있고 지지력을 해제하는 좌판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좌판 완충기의 지지력이 해제되면 상기 좌판부 및 상기 좌판부와 연결된 상기 등받이부는 상기 힌지블록을 기준으로 움직인다.The variable-type wheelchair capable of actively respon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portion, a seat plate portion connected to the frame portion by a hinge block, a backrest portion connected to the seat plate portion, a seat portion connecting the frame portion and the seat plate portion, And the seat back portion connected to the seat plate portion and the seat plate portion moves based on the hinge block when the support force of the seat plate cushion is released.
상기 능동적 대응이 가능한 가변형 휠체어는 상기 좌판부와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부에 접하며, 상기 좌판부의 움직임을 가이드하고 움직이는 범위를 한정하는 좌판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variable-type wheelchair capable of actively responding may further include a left-side plate guide portion connected to the left-side plate portion, contacting the frame portion, and guiding the movement of the left-side plate portion and defining a range of movement.
상기 좌판 가이드부는, 상기 좌판부 하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소정의 경로를 갖는 가이드 레일, 상기 좌판부에 연결되어 있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에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seat plate guide portion is disposed on a lower side of the seat plate portion, and is disposed on the frame portion and includes a guide rail having a predetermined path, a support rod connected to the seat plate portion, And a roller capable of moving along the guide rail.
상기 가이드 레일의 경로는, 기설정된 직경을 가지며 상기 롤러가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직경의 중심이 상기 힌지블록인 제1 곡선부 및 상기 제1 곡선부와 연결되어 있고 직경이 상기 제1 곡선부의 직경보다 작으며 상기 롤러가 걸릴 수 있는 제2 곡선부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path of the guide rail has a predetermined diameter and the roller is movable and the center of the diameter is connected to the first curved portion which is the hinge block and the first curved portion and the diameter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curved portion And may include a second curved portion which is small and can be engaged with the roller.
상기 능동적 대응이 가능한 가변형 휠체어는 상기 등받이부에 결합되어 상기 좌판부에 걸리며, 상기 등받이부가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등받이 락킹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variable-type wheelchair capable of actively responding may further include a backlocking portion coupled to the backrest portion so as to be caught by the backboard portion and fixing the backrest portion so as not to be rotated.
상기 등받이 락킹부는, 상기 등받이부에 결합되어 있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을 관통하여 상기 좌판부에 걸릴 수 있는 샤프트 및 상기 케이싱 내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샤프트가 상기 좌판부에 걸리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backrest locking portion comprises a casing coupled to the backrest portion, a shaft penetrating the casing to be engaged with the left plate portion, and a resilient portion disposed inside the casing, the elasticity imparting an elastic force so that the shaft is caught by the left plate portion Member.
상기 능동적 대응이 가능한 가변형 휠체어는 회전하는 상기 등받이부를 지지하고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등받이 회전 조절부 더 포함할 수 있다.The variable wheelchair capable of actively responding may further include a backrest rotation adjusting unit for supporting the backrest to rotate and restricting the rotation range.
상기 회전 조절부는, 일측이 상기 등받이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등받이부 후방으로 곡면 형태로 형성된 핀 가이드 블록, 상기 좌판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핀 가이드 블록의 타측과 접하는 위치 고정핀 및 상기 위치 고정핀이 상기 핀 가이드 블록에 접하도록 상기 위치 고정핀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rotation regulating portion includes a pin guide block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backrest portion and formed in a curved shape rearward of the back portion, a position fixing pin connected to the seat plate portion and contacting the other side of the pin guide block, And an elastic member for applying an elastic force to the position fixing pin such that the pin contacts the pin guide block.
상기 회전 조절부는, 상기 핀 가이드 블록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등받이부 회전시 상기 가이드 레일에 걸리는 스토퍼 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rotation adjust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stopper block connected to the pin guide block and engaged with the guide rail when the backrest is rotated.
상기 좌판부는, 상기 프레임부에 힌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등받이부가 연결된 슬라이드 레일 및 상기 슬라이드 레일에 이동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고 시트가 놓일 수 있는 슬라이드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at plate may include a slide rail hinged to the frame and connected to the backrest, and a slide panel movably disposed on the slide rail and on which the seat can be placed.
상기 좌판부는, 상기 슬라이드 레일과 상기 슬라이드 패널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드 패널이 복귀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복귀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eat plate may further include a return spring disposed between the slide rail and the slide panel and applying an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lide panel returns.
상기 능동적 대응이 가능한 가변형 휠체어는 상기 프레임부 앞에 위치하고, 상기 좌판부와 연결되어 있는 발 안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variable wheelchair capable of actively responding may further include a foot rest portion positioned in front of the frame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seat portion.
상기 발 안착부는, 상기 슬라이드 레일과 연결된 제1 바, 상기 제1 바와 접힘 할 수 있게 연결된 제2 바, 상기 제2 바에 이동할 수 있게 배치된 이동블록, 상기 이동블록에 이동할 수 있게 배치된 발판 및 상기 제1 바와 상기 발판을 연결하는 발판 완충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발판 완충기는 프레임부쪽으로 상기 발판을 당길 수 있다.The footrest includes a first bar connected to the slide rail, a second bar foldably connected to the first bar, a mobile block movably disposed on the second bar, a footrest movably disposed on the mobile block, And a footstep buffer connecting the first footstep and the footstep, wherein the footstep buffer can pull the footstep toward the frame por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용자의 과신전 반응 시 좌판 레버의 조작으로 좌판 완충기의 지지력이 해제되면서 좌판부 및 좌판부와 연결된 등받이부 및 발판부가 움직여 과신전 반응에 의해 펼쳐지는 신체를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능동적 대응이 가능한 가변형 휠체어는 이용자의 신체적 특징 및 상황에 다른 능동적 대체가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force of the seat cushioning buffer is released by the operation of the seat cushion lever in the user's over-prone reaction, and the backrest and the footrest connected to the seat cushion and the seat cushion can support the body deployed by the hypersensitive reaction . The variable wheelchair which can actively cope with this can actively substitute for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situation of the user.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휠체어 이용자의 과신전 반응 시 좌판부, 등받이부 및 발 안착부가 어떠한 저항이나 완충 없이 급격하게 움직인다면 이용자의 자세가 급격히 변함에 따라 휠체어에서 낙상을 당할 수 있거나 신체 관절에 무리를 줄 수 있다. 그러나 능동적 대응이 가능한 가변형 휠체어의 각 완충기에 의해 등받이부, 좌판부 및 발 안착부가 천천히 움직이게 되면서 이용자의 과신전 반응 시 급격한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어 낙상 및 신체 관절에 무리를 줄 수 있는 요소 등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eat plate, the backrest, and the footrest move abruptly without any resistance or buffering during a hypersensitive reaction of the wheelchair user, the user's posture may be rapidly changed, You can give a bunch. However, since the backrest, the seat plate, and the foot rest part are moved slowly by the respective cushions of the variable wheelchair which can actively cope with, it is possible to restrict sudden movement during the hypersensitivity reaction of the user, thereby preventing the fall and the elements can do.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등받이부가 뒤로 젖혀질 수 있고, 발 안착부가 앞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좌판부, 등받이부 및 발 안착부가 동시에 움직일 수 있어 능동적 대응이 가능한 가변형 휠체어에 앉아 있는 이용자의 신체는 좌판부, 등받이부 및 발 안착부가 움직일 때 어느 정도 움직일 수 있다. 이에, 정적인 자세를 유지하는 능동적 대응이 가능한 가변형 휠체어 이용자, 근육의 수축과 이완을 자유롭게 조절 할 수 없는 이용자의 경우 신체가 좌판부, 등받이부 및 발 안착부에 의해 움직일 수 있어 능동적 대응이 가능한 가변형 휠체어에 앉아 있는 상태에서 신체를 움직일 수 없어 발생할 수 있는 근골격계의 경직, 강직, 구축, 신전근 뻗침으로 인한 골절, 욕창, 피로도 증가 등을 예방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ckrest can be tilted back, the footrest can move forward, and the seat plate, backrest, and footrest can move at the same time, Can be moved to some extent when the seat plate, the backrest, and the footrest are moved. Accordingly, in the case of a user who is able to actively cope with maintaining a static posture and a user who can not freely control the contraction and relaxation of the muscles, the body can be moved by the seat plate, the backrest, and the footrest, It can prevent the musculoskeletal stiffness, rigidity, construction, fracture caused by extensor stretching, pressure sores, increased fatigue, etc., which can occur because the body can not move while sitting on a variable wheelchair.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능동적 대응이 가능한 가변형 휠체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능동적 대응이 가능한 가변형 휠체어를 뒤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능동적 대응이 가능한 가변형 휠체어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좌판부 확대도.
도 5는 도 3에 도시한 등받이부가 기울어진 상태를 나타낸 작동도.
도 6은 도 5의 등받이 각도 조절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도 2에 도시한 등받이 락킹부를 나타낸 것으로 a)는 등받이 프레임이 세워진 상태이고, b)는 등받이 프레임이 젖혀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3에 도시한 좌판부가 기울어진 상태를 나타낸 작동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riable wheelchair capable of actively responding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variable-type wheelchair capable of actively responding in Fig. 1 is viewed from the rear; Fig.
Fig. 3 is a side view showing the variable-type wheelchair capable of actively responding as shown in Fig. 1.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the seat panel shown in Fig.
Fig. 5 is an opera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ckrest is inclined as shown in Fig. 3;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ackrest angle adjusting portion of FIG. 5;
Fig. 7 shows a back locking part shown in Fig. 2, in which a) shows a state in which the backrest frame is raised, and b) shows a state in which the backrest frame is bent.
Fig. 8 is an opera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seat plate shown in Fig. 3 is inclined. Fig.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기재된 앞은 능동적 대응이 가능한 가변형 휠체어의 전방을 의미하며, 뒤는 능동적 대응이 가능한 가변형 휠체어의 후방을 의미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Like parts are designated with lik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following description means the front of a variable wheelchair capable of actively responding, and the rear means the rear of a variable wheelchair capable of actively responding.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능동적 대응이 가능한 가변형 휠체어에 대하여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한다.A variable wheelchair capable of actively respon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FIG.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능동적 대응이 가능한 가변형 휠체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능동적 대응이 가능한 가변형 휠체어를 뒤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riable wheelchair capable of actively responding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ar wheel of a variable wheelchair capable of actively responding in FIG.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능동적 대응이 가능한 가변형 휠체어 (1)는 사용자의 근육 이완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프레임부(10), 좌판부(30), 발 안착부(40), 등받이부(50), 좌판 완충기(60), 좌판 레버(61) 좌판 가이드부(70), 등받이 회전 조절부(53) 및 등받이 락킹부(54)를 포함한다.1 and 2, the
프레임부(10)는 제1 측면 프레임(11), 제2 측면 프레임(12), 하부 연결바(13) 및 상부 연결바(14)를 포함한다.The
제1 측면 프레임(11)과 제2 측면 프레임(12)은 각각 하나의 틀을 형성하며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다. 제1 측면 프레임(11)과 제2 측면 프레임(12)의 간격에 따라 능동적 대응이 가능한 가변형 휠체어(1)의 폭이 결정될 수 있다. 제1 측면 프레임(11)과 제2 측면 프레임(12)의 앞쪽 부분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벌어져 있으며 조향바퀴(15)가 결합되어 있다. 제1 측면 프레임(11)과 제2 측면 프레임(12)의 뒤쪽 부분에는 큰 바퀴(16)가 결합되어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큰 바퀴(16)는 모터, 엔진 등의 구동장치(도시하지 않음)와 동력 연결될 수 있다. 큰 바퀴(16)에는 브레이크(도시하지 않음)가 연결되어 능동적 대응이 가능한 가변형 휠체어(1)에 제동을 걸 수 있다.The
제1 측면 프레임(11)과 제2 측면 프레임(12)의 상부측에는 각각 팔걸이(18)가 결합되어 있다. 팔걸이(18)는 사용자의 신체에 따라 위치조절 될 수 있다.An
하부 연결바(13)는 제1 측면 프레임(11)과 제2 측면 프레임(12)의 하부측 사이에 배치되어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다. 하부 연결바(13)는 상하 방향으로도 배열되어 있다. 하부 연결바(13)에 의해 제1 측면 프레임(11)과 제2 측면 프레임(12)의 하부측은 하나로 연결된다. 제1 측면 프레임(11)과 제2 측면 프레임(12)의 가장 뒤쪽에 위치한 하부 연결바(13)에는 능동적 대응이 가능한 가변형 휠체어가 뒤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바퀴(17)가 결합되어 있다.The
상부 연결바(14)는 제1 측면 프레임(11)과 제2 측면 프레임(12)의 상부측 사이에 배치되어 제1 측면 프레임(11)과 제2 측면 프레임(12)의 상부측을 서로 연결한다. 상부 연결바(14)는 제1 측면 프레임(11)과 제2 측면 프레임(12)의 상부측 중앙에 위치한다. 그러나 앞쪽에 위치할 수 있다.The upper connecting
다음으로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좌판부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seat por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Fig.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능동적 대응이 가능한 가변형 휠체어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좌판부 확대도이다.Fig. 3 is a side view showing the variable-type wheelchair capable of actively responding as shown in Fig. 1, and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the seat panel shown in Fig.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좌판부(30)는 프레임부(10) 위에서 앞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이용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것으로, 슬라이드 레일(31), 슬라이드 패널(34), 좌판시트(37) 및 복귀 스프링(36)을 포함한다.3 and 4, the
슬라이드 레일(31)은 프레임부(10)의 위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레일 홈(311)이 형성되어 있고, 레일 홈(311)이 끝나는 슬라이드 레일(31)의 상면 양측에는 스토퍼(32)가 결합되어 있다.The
슬라이드 레일(31)의 하면에는 상부 연결바(14)와 연결된 힌지블록(33)이 결합되어 있다. 힌지블록(33)의 위치는 슬라이드 레일(31)의 길이 방향 중앙을 기준으로 뒤쪽에 결합되어 있다. 슬라이드 레일(31)은 힌지블록(33)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면에서 슬라이드 레일(31)을 2개로 도시하였으나, 그 넓이에 따라 1개로 적용될 수도 있다.A
슬라이드 레일(31)의 뒤쪽에는 등받이부(50)가 회전할 수 있게 결합되는 연결부(38)가 배치되어 있다. 연결부(38)는 슬라이드 레일(31)과 연결된 연결 프레임(381) 및 연결 프레임(381) 의 상면 양측에서 각각 상부측으로 수직하게 돌출된 연결 브래킷(382)을 포함한다.And a connecting
슬라이드 패널(34)은 슬라이드 레일(31) 위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면에는 쿠션이 있는 좌판시트(37)가 분리할 수 있게 결합되어 있고 하면에는 레일 홈(311)에 결합되는 레일블록(35)이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 패널(34)은 레일블록(35)에 의해 레일 홈(311) 범위 내에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슬라이드 패널(34)은 슬라이드 레일(31) 위에서 앞으로 이동하거나, 앞에서 슬라이드 레일(31) 위로(뒤로) 이동할 수 있다. 레일블록(35)이 스토퍼(32)에 걸리면 슬라이드 패널(34)은 멈출 수 있다.The
복귀 스프링(36)은 스토퍼(32)와 레일블록(35)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앞으로 이동한 슬라이드 레일(31)이 뒤로 이동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부여한다. 이에 슬라이드 패널(34)이 앞으로 이동할 때에는 사용자가 큰 힘을 가해야 하지만, 원 상태로 복귀할 때에는 복귀 스프링(36)의 탄성력에 의해 좀더 적은 힘으로 수월하게 복귀할 수 있다. 또한 복귀 스프링(36)은 이용자가 좌판부(30)에 앉아 있지 않을 경우 슬라이드 패널(34)이 앞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한다.The
이동 가능한 슬라이드 패널(34)에 의해 능동적 대응이 가능한 가변형 휠체어(1) 이용자는 좌판시트(37)에 앉은 상태에서 앞, 뒤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The user of the
다음으로 도 1 및 도 2를 다시 참고하여 발 안착부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foot res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again.
도 1 및 도 2를 다시 참고하면, 발 안착부(40)는 프레임부(10)의 앞쪽에 위치하여 좌판부(30)에 앉은 이용자가 발을 올려 놓을 수 있는 것으로 제1 바(41), 제2 바(42), 이동블록(44), 발판(45) 및 발판 완충기(47)를 포함한다. 제1 바(41), 제2 바(42), 이동블록(44), 발판(45) 및 발판 완충기(47)는 한 쌍으로 형성되어 프레임부(10)의 앞쪽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1 and 2, the
제1 바(41) 및 제2 바(42)는 기설정된 길이로 형성되어 있으며, 서로 접힘 가능하게 경첩(43)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1 바(41)는 슬라이드 레일(31)의 앞쪽 하면에 결합되어 있고 제2 바(42)는 경첩(43)을 기준으로 움직일 수 있다. 제2 바(42)는 제1 바(41)와 수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e
이동블록(44)은 제2 바(42)에 이동할 수 있게 결합되어 있다. 이동블록(44)이 제2 바(42)에 결합된 위치는 이용자의 다리 길이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이동블록(44)에는 이용자가 발을 올려 놓을 수 있는 발판(45)의 로드(46)가 이동할 수 있게 결합되어 있다.The moving
발판 완충기(47)는 가스 스프링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발판 완충기(47)의 하우징은 제1 바(41)에 힌지 연결되어 있고 하우징에서 노출된 로드는 이동블록(44)에 힌지 연결되어 있다. 발판 완충기(47)의 로드가 하우징 내부에 인입되어 있어 이동블록(44)은 좌판부(30) 방향으로 당겨지게 된다. 이에 발판(45)이 좌판부(30) 방향으로 당겨질 수 있다.The
좌판부(30)에 앉아 있는 이용자가 발판(45)에 발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과신전 반응으로 갑자기 다리를 피면 제2 바(42)는 이용자의 발을 따라 경첩(43)을 기준으로 능동적 대응이 가능한 가변형 휠체어(1) 앞으로 움직이고, 발판 완충기(47)의 로드는 하우징 내부에서 인출되면서 발판(45)이 이용자의 발을 따라 움직일 수 있다. 이에 이용자의 발이 발판(45)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user sitting on the
제2 바(42)가 움직일 때 발판 완충기(47)의 완충력에 의해 제2 바(42)가 급격하게 움직이는 것이 방지되어 이용자의 급격한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그리고 이용자의 과신전 반응이 종료되면 발판 완충기(47)의 로드가 하우징 내부로 인입되면서 제2 바(42)가 프레임부(10) 방향으로 천천히 움직이게 되어 환자에게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러나 발 안착부(40)는 생략될 수 있다.The
다음으로 도 2 및 도 5, 도 6을 참고하여 등받이부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backres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5, and 6. Fig.
도 5는 도 3에 도시한 등받이부가 기울어진 상태를 나타낸 작동도이고, 도 6은 도 5의 등받이 각도 조절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FIG. 5 is an opera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ckrest portion shown in FIG. 3 is inclined, and FIG. 6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backrest angle adjusting portion of FIG.
도 2 및 도 5, 도 6을 참고하면, 등받이부(50)는 좌판시트(37)의 뒤쪽에 위치하여 좌판부(30)에 앉아 있는 이용자의 등을 지지하며 등받이 프레임(51) 및 등받이 시트(52)를 포함한다.2, 5, and 6, the
등받이 프레임(51)은 기설정된 넓이를 갖는다. 여기서 등받이 프레임(51)의 폭은 프레임부(10)의 폭과 같다. 등받이 프레임(51)의 상부측은 뒤로 구부러져 있다. 구부러져 있는 부분은 능동적 대응이 가능한 가변형 휠체어(1) 이용자의 보호자가 잡을 수 있는 손잡이가 될 수 있다. 등받이 프레임(51)의 뒤쪽에는 보호자가 브레이크를 조작할 수 있는 브레이크 레버(20)가 결합되어 있다. 브레이크 레버(20)는 팔걸이(18)에 결합될 수 있다.The
등받이 프레임(51)의 앞쪽에는 이용자에게 안락함을 제공할 수 있는 등받이 시트(52)가 분리할 수 있게 결합되어 있다. 등받이 프레임(51)의 상부측에는 이용자의 머리를 받칠 수 있는 머리 받침부(55)가 위치 이동할 수 있게 결합되어 있다.In front of the
등받이 프레임(51)은 좌판시트(37)의 뒤쪽에 위치하여 하부 양측이 연결 브래킷(382)의 측면에 힌지 연결되어 있다. 등받이 프레임(51)은 힌지를 기준으로 좌판시트(37) 상면을 0도로 보고 평소 90도 내지 110도 정도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좌판부(30)에 앉아 있는 이용자가 등을 뒤로 젖히면 세워진 등받이 프레임(51)은 뒤로 30도 내지 45도 정도 젖혀질 수 있다.The
등받이 회전 조절부(53)는 등받이부(5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것으로, 핀 가이드 블록(531), 고정핀 블록(532), 고정핀(533), 탄성부재(534) 및 스토퍼 블록(535)을 포함한다.The backrest
핀 가이드 블록(531)은 한 쌍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다. 핀 가이드 블록(531)의 일측은 연결바(536)를 통해 등받이 프레임(51)과 연결되어 있다. 핀 가이드 블록(531)의 타측은 연결 브레임(381)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핀 가이드 블록(531)을 정면에서 보면 "C"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핀 가이드 블록(531)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설정홀(531a)이 형성되어 있다. The pin guide blocks 531 are formed as a pair and are spaced apart. One side of the
고정핀 블록(532)은 일측이 연결 프레임(381)의 끝에 힌지 결합되어 있으며 타측은 핀 가이드 블록(531)의 정면과 마주한다.One side of the fixed
고정핀(533)은 고정핀 블록(532)의 타측에 배치되어 있다. 고정핀(533) 일측은 고정핀 블록(532) 외부에 위치하며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고정핀(533) 타측은 고정핀 블록(532)을 관통하여 복수의 설정홈(531a)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있다. 사용자가 고정핀(533) 일측을 당기면 타측은 설정홈(531a)에서 벗어날 수 있으며 등받이 프레임(51)은 힌지를 기준으로 회전되어 젖혀지거나 세워질 수 있다.The fixing
탄성부재(534)는 고정핀 블록(532) 내부에 위치하여 고정핀(533)의 타측이 설정홈(531a)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한다. 사용자가 고정핀(533)을 길 때 탄성부재(534)는 압축될 수 있다.The
스토퍼 블록(535)은 핀 가이드 블록(531)과 연결되어 있다. 스토퍼 블록(535)은 등받이 프레임(51)이 뒤로 젖혀질 때 가이드 레일(71)에 접할 수 있다. 이에 등받이 프레임(51)은 뒤로 더 이상 젖혀지지 않게 된다.The
고정핀(533)이 걸리는 설정홈(531a)의 위치에 따라 받이 프레임(51)의 젖혀지는 각도를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등받이 회전 조절부(53)는 생략될 수 있다.The angle at which the receiving
도 7을 참고하여 등받이 락킹부에 대하여 설명한다.The back locking un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7은 도 2에 도시한 등받이 락킹부를 나타낸 것으로 a)는 등받이 프레임이 세워진 상태이고, b)는 등받이 프레임이 젖혀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ackrest locking part shown in Fig. 2, in which a) is a raised state of the backrest frame, and 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ackrest frame.
도 7을 참고하면, 등받이 락킹부(54)는 등받이 프레임(51)이 능동적 대응이 가능한 가변형 휠체어(1) 뒤로 젖혀지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케이싱(541), 샤프트(542) 및 탄성부재(543)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7, the
케이싱(541)은 연결 브래킷(382)의 정면과 마주하며 등받이 프레임(51)에 결합되어 있다.The
샤프트(542)는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일측은 사용자가 잡을 수 있도록 케이싱(542) 외부로 돌출되어 있고 타측은 케이싱(541)을 관통하여 연결 브래킷(382)에 형성된 고정홀(382a)에 삽입되어 있다. 이에 등받이 프레임(51)은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도 7의 (a) 참조). 샤프트(542)를 당기면 타측이 고정홀(382a)에서 벗어나게 되어 등받이 프레임(51)은 힌지를 기준으로 젖혀질 수 있다(도 7의 (b) 참조).The
탄성부재(543)는 케이싱(541)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샤프트(542)의 일측이 고정홀(382a)에 삽입되도록 탄성력을 부여한다. 샤프트(542)을 당길 경우 탄성부재(543)는 압축될 수 있다.The
도 1, 도 3 및 도 8을 참고하여 좌판 완충기(60)에 대하여 설명한다.1, 3 and 8,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the
도 8은 도 3에 도시한 좌판부가 기울어진 상태를 나타낸 작동도이다.8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at plate shown in Fig. 3 is inclined.
도 1, 도 3 및 도 8을 참고하면, 좌판 완충기(60)는 가스 스프링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1 측면 프레임(11)과 제2 측면 프레임(1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좌판 완충기(60)의 하우징은 하부 연결바(13)들 중 중앙에 위치한 하부 연결바(13)에 힌지 연결되어 있고 로드(46)는 연결 프레임(381)의 하면에 힌지 연결되어 있다.1, 3 and 8, the
좌판 완충기(60)에는 등받이 프레임(51)의 뒤쪽에 결합된 좌판 레버(61)와 연결되어 있다. 좌판 레버(61)는 팔걸이(18)에 결합될 수 있다. 좌판부(30)의 좌판 레버(61)를 당기게 되면 로드는 하우징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좌판 레버(61)를 당기지 않으면 로드는 하우징 내부로 인입되지 않는다.The
좌판부(30)에 앉아 있는 이용자가 과신전 반응을 일으키면서 신체 펼쳐질 때 체중이 능동적 대응이 가능한 가변형 휠체어(1) 뒤쪽에 집중될 수 있다. 이때 좌판 레버(61)를 당기면 로드가 하우징 내부로 인입되고 좌판부(30)는 힌지블록(33)을 기준으로 회전된다. 이때 좌판부(30)의 앞쪽은 힌지블록(33)을 기준으로 상승하고 뒤쪽은 하강하게 된다. 즉, 힌지블록(33)을 기준으로 하고 상부 연결바(14)에서 앞쪽으로 수직한 가상의 선을 0도로 회전하는 보면 좌판부(30)는 대략 0도에서 60도 범위 내에서 회전할 수 있다. 로드의 인입이 완료되면 좌판부(30)는 더 이상 힌지블록(33)을 기준으로 회전되지 않는다.The user sitting on the
좌판부(30)가 회전할 때 좌판부(30)와 연결된 등받이부(50) 및 발 안착부(40) 또한 좌판부(30)와 함께 움직인다. 발 안착부(40)의 발판(45)은 이용자의 발을 따라 앞으로 이동하면서 좌판부(30)를 따라 움직인다. 이에 좌판부(30)가 회전할 때 이용자의 발은 발 안착부(40)에서 벗어나지 않는다.The
등받이부(50) 및 발 안착부(40)가 좌판부(30)를 따라 움직이게 되면서 과신전 반응이 발생한 이용자는 능동적 대응이 가능한 가변형 휠체어(1) 상에서 쭉 펼쳐질 수 있다. 이에 능동적 대응이 가능한 가변형 휠체어(1)는 이용자가 능동적 대응이 가능한 가변형 휠체어(1)에 앉아 있는 상태에서 이용자의 신체적 특징 및 상황에 따른 능동적 대체가 가능하다.The
그리고 이용자의 과신전 반응이 종료된 상태에서 좌판 레버(61)를 당기고 등받이 프레임(51)을 앞으로 밀면 로드는 하우징에서 인출되며, 좌판부(30)는 원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좌판부(30)의 복귀로 등받이부(50) 및 발 안착부(40) 또한 원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When the user pushes the
도 3 및 도 8을 참고하면, 좌판 가이드부(70)는 제1 측면 프레임(11)과 제2 측면 프레임(12)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좌판부(30)의 회전을 가이드하고 원상태로 복귀한 좌판부(30)가 일정 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한다. 좌판 가이드부(70)는 가이드 레일(71), 지지대(73) 및 롤러(72)를 포함한다.3 and 8, the
가이드 레일(71)은 기설정된 길이로 형성되어 소정의 경로를 갖는다. 가이드 레일(71)의 일측은 하부 연결바(13) 들 중 중앙에 위치한 하부 연결바(13)와 상부측으로 수직하게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하부 연결바(13) 들 중 가장 뒤쪽에 위치한 하부 연결바(13)와 상부측으로 수직하게 연결되어 있다.The
가이드 레일(71)은 중앙 하부 연결바(13)와 연결된 일측 수직부(711), 뒤쪽 하부 연결바(13)와 연결된 타측 수직부(712) 및 일측 수직부(711)와 타측 수직부(712)를 경로가 연결한다. 타측 수직부(712)의 길이는 일측 수직부(711)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The
가이드 레일(71)의 경로는 제1 곡선부(713) 및 제2 곡선부(714)를 포함한다.The path of the
제1 곡선부(713)의 일측 수직부(711) 상부측에서 시작하여 기설정된 지점까지 형성되어 있다. 제1 곡선부(713)는 기설정된 직경을 갖는다. 제1 곡선부(713)의 직경 중심은 힌지블록(33)이다.And is formed from the upper side of one
제2 곡선부(714)는 제1 곡선부(713)와 타측 수직부(712) 상부측과 연결되어 있다. 제2 곡선부(714)는 제1 곡선부(713)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제1 구간(714a) 및 제1 구간(714a)과 타측 수직부(712)을 연결하는 제2 구간(714b)을 포함한다. 제1 구간(714a)의 직경 중심은 제1 곡선부(713)의 직경 중심으로부터 떨어져 있다.The second
지지대(73)는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가이드 레일(71) 위에 배치되어 상부측이 연결 프레임(381)의 뒤쪽과 연결되어 있고 하부측은 가이드 레일(71)과 마주한다.The
롤러(72)는 지지대(73)의 하부측에 회전할 수 있게 결합되어 있으며 외부 둘레면이 가이드 레일(71)에 접해있다. 롤러(72)는 고무, 플라스틱, 금속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다. 좌판부(30)가 힌지블록(33)을 기준으로 회전할 때 롤러(72)는 제1 곡선부(713)를 따라 이동하면서 좌판부(30)의 회전을 가이드 할 수 있다. 제2 곡선부(714)는 롤러(72)의 이동 경로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회전된 좌판부(30)가 원 상태로 복귀할 때 롤러(72)는 제1 곡선부(713)를 따라 이동하다가 제2 곡선부(714)에 도달하면 제2 곡선부(714)의 제1 구간(714a)에 걸려 이동을 멈추게 된다. 이때 좌판부(30)는 복귀하는 방향으로 더 이상 회전되지 않고 멈추게 된다. 그리고 좌판 완충기(60)의 로드는 하우징에서 최대로 인출되어 회전이 멈춘 좌판부(30)를 지지할 수 있다.The
한편, 위에서 설명한 발판 완충기(47), 등받이 회전 조절부(53) 및 좌판 완충기(60)를 도면에서 각각 2개로 도시하였으나, 그 개수는 능동적 대응이 가능한 가변형 휠체어(1)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발판 완충기(47), 등받이 회전 조절부(53) 및 좌판 완충기(60)가 가스 스프링이라고 하였으나, 이들은 가스 실린더, 유체 실린더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에 발판 완충기(47), 등받이 회전 조절부(53) 및 좌판 완충기(60)는 널리 공지된 가스 스프링, 가스 실린더, 유체 실린더 등의 구성이 적용될 수 있는 바, 그 구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Although the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8을 다시 참고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이용자의 착석자세 동적 움직임을 지지하는 능동적 대응이 가능한 가변형 휠체어의 작동을 다시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variable-type wheelchair capable of actively responding to the user's sitting-posture dynamic mov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again with reference to FIGS. 1 to 8. FIG.
이용자가 좌판부(30)에 앉아 발을 발 안착부(40)에 올려 놓고 등을 등받이부(50)에 기댄다. 환자가 과신전 반응으로 갑자기 신체를 쭉 뻗으면 능동적 대응이 가능한 가변형 휠체어(1) 뒤쪽으로 이용자의 체중이 집중될 수 있다. 이때 좌판 레버(61)를 당기면 좌판 완충기(60)의 로드가 하우징 내부로 인입되면서 좌판부(30)의 지지력이 해제될 수 있다. 좌판부(30)는 힌지블록(33)을 기준으로 뒤로 회전한다. 좌판 가이드부(70)의 롤러(72)는 제1 곡선부(713)를 따라 이동하여 좌판부(30)를 가이드 한다. 이때 등받이부(50) 및 발 안착부(40) 또한 함께 좌판부(30)를 따라 움직이게 되어 등받이부(50)는 뒤로 움직이고 발 안착부(40)는 들리면서 쭉 뻗는 신체를 지지하게 된다. 발판(45)이 움직이는 제2 바(42)에 의해 이용자의 발을 따라 이동하게 되어 이용자의 발은 발판(45)에서 이탈하지 않는다.The user places his / her foot on the
그리고 환자의 과신전 반응이 종료되면, 좌판 레버(61)를 당긴 상태에서 등받이부(50)를 앞으로 밀면 등받이부(50)와 연결된 좌판부(30)가 원상태로 복귀하고, 좌판 완충기(60)의 로드가 하우징에서 인출될 수 있다. 좌판 가이드부(70)의 롤러(72)는 다시 제1 곡선부(713)를 다라 제2 곡선부(714) 쪽으로 이동하면서 좌판부(30)의 움직임을 가이드 한다. 롤러(72)가 제2 곡선부(714)에 도달하면 롤러(72)가 제2 곡선부(714)에 걸리게 되어 좌판부(30)의 복귀는 종료되고 좌판 완충기(60)는 좌판부(30)를 완충 지지한 상태가 될 수 있다. 발 안착부(40)의 발판(45)은 발판 완충기(47)에 의해 원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When the
한편, 좌판부(30)가 복귀한 상태에서 등받이부(50)를 뒤로 젖히고 싶으면 등받이 락킹부(54)의 잠금을 해제한 상태에서 등받이부(50)를 뒤로 젖힐 수 있다. 움직이는 좌판부(30)는 좌판 완충기(60)에 의해 급격하게 움직이지 않는다. 좌판부(30)가 급격하게 움직인다면 이용자의 자세가 급격히 변함에 따라 휠체어에서 낙상을 당할 수 있거나 신체 관절에 무리를 줄 수 있다. 그러나 능동적 대응이 가능한 가변형 휠체어의 각 완충기에 의해 등받이부(50), 좌판부(30) 및 발 안착부(40)가 천천히 움직이게 되어 낙상 및 신체 관절에 무리를 줄 수 있는 요소 등을 방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right.
1: 능동적 대응이 가능한 가변형 휠체어 10: 프레임부
11: 제1 측면 프레임 12: 제2 측면 프레임
13: 하부 연결바 14: 상부 연결바
15: 조향바퀴 16: 큰 바퀴
17: 보조바퀴 18: 팔걸이
20: 브레이크 레버 30: 좌판부
31: 슬라이드 레일 311: 레일 홈
32: 스토퍼 33: 힌지블록
34: 슬라이드 패널 35: 레일블록
36: 복귀 스프링 37: 좌판시트
38: 연결부 381: 연결 프레임
382: 연결 브래킷 40: 발 안착부
41: 제1 바 42: 제2 바
43: 경첩 44: 이동블록
45: 발판 46: 로드
47: 발판 완충기 50: 등받이부
51: 등받이 프레임 511: 삽입 홈
52: 등받이 시트 53: 등받이 회전 조절부
531: 핀 가이드 블록 531a: 설정홀
532: 고정핀 블록 533: 고정핀
534: 탄성부재 535: 스토퍼 블록
54: 등받이 락킹부 541: 케이싱
542: 샤프트 543: 탄성부재
55: 머리 받침부 60: 좌판 완충기
61: 좌판 레버 70: 좌판 가이드부
71: 가이드 레일 711: 일측 수직부
712: 타측 수직부 713: 제1 곡선부
714: 제2 곡선부 714a: 제1 구간
741b: 제2 구간 72: 롤러
73: 지지대1: Variable wheelchair capable of actively responding 10: Frame part
11: first side frame 12: second side frame
13: Lower connection bar 14: Upper connection bar
15: steering wheel 16: large wheel
17: Auxiliary wheel 18: Armrest
20: Brake lever 30:
31: slide rail 311: rail groove
32: stopper 33: hinge block
34: slide panel 35: rail block
36: return spring 37: seat plate
38: connection 381: connection frame
382: connection bracket 40: foot rest part
41: first bar 42: second bar
43: hinge 44: moving block
45: foot plate 46: rod
47: foot restrainer 50: backrest
51: back frame 511: insertion groove
52: a backrest seat 53: a backrest rotation adjusting section
531:
532: Fixing pin block 533: Fixing pin
534: elastic member 535: stopper block
54: backrest locking portion 541: casing
542: shaft 543: elastic member
55: head restraint part 60: seat restrainer
61: seat plate lever 70: seat plate guide portion
71: guide rail 711: one vertical portion
712: the other vertical part 713: the first curved part
714: second
741b: second section 72: roller
73: Support
Claims (11)
상기 좌판 완충기의 지지력이 해제되면 상기 좌판부 및 상기 좌판부와 연결된 상기 등받이부는 상기 힌지블록을 기준으로 움직이며,
회전하는 상기 등받이부를 지지하고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등받이 회전 조절부 더 포함하며,
상기 등받이 회전 조절부는,
일측이 상기 등받이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등받이부 후방으로 곡면 형태로 형성된 핀 가이드 블록;
상기 좌판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핀 가이드 블록의 타측과 접하는 고정핀; 및
상기 고정핀이 상기 핀 가이드 블록에 접하도록 상기 고정핀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적 대응이 가능한 가변형 휠체어.A frame part; A left plate part connected to the frame part by a hinge block; A backrest connected to the seat plate; A seat cushion which connects the frame portion and the seat cushion portion and supports the seat cushion portion; And a left plate lever connected to the left plate buffer and releasing the supporting force,
When the supporting force of the seat cushioning buffer is released, the backrest portion connected to the seat cushion and the seat cushion moves on the basis of the hinge block,
And a backrest rotation regulating portion for supporting the rotating backrest portion and restricting the rotation range thereof,
Wherein the backrest rotation adjusting unit comprises:
A pin guide block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backrest part and formed in a curved shape behind the backrest part;
A fixing pin connected to the seat plate and contacting the other side of the pin guide block; And
And an elastic member for applying an elastic force to the fixing pin such that the fixing pin contacts the pin guide block.
상기 좌판부와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부에 접하며, 상기 좌판부의 움직임을 가이드하고 움직이는 범위를 한정하는 좌판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능동적 대응이 가능한 가변형 휠체어.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left plate guide portion connected to the left plate portion to contact the frame portion and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left plate portion and to define a range of movement.
상기 좌판 가이드부는, 상기 좌판부 하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소정의 경로를 갖는 가이드 레일,
상기 좌판부에 연결되어 있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에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롤러
를 포함하는
능동적 대응이 가능한 가변형 휠체어.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left-hand guide portion is disposed on a lower side of the left-
A guide rail disposed in the frame portion and having a predetermined path,
A support plate connected to the seat plate portion,
A roller rotatably connected to the support and movable along the guide rail,
Containing
Variable wheelchair with active response.
상기 가이드 레일의 경로는
기설정된 직경을 가지며 상기 직경의 중심이 상기 힌지블록이고 상기 롤러가 이동할 수 있는 제1 곡선부 및
상기 제1 곡선부와 연결되어 있고 직경이 상기 제1 곡선부의 직경보다 작으며 상기 롤러가 걸릴 수 있는 제2 곡선부
를 포함하는
능동적 대응이 가능한 가변형 휠체어.4. The method of claim 3,
The path of the guide rails
A first curved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and the center of the diameter being the hinge block and the roller being movable;
A second curved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curved portion, the diameter of which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curved portion,
Containing
Variable wheelchair with active response.
상기 등받이부에 결합되어 상기 좌판부에 걸리며, 상기 등받이부가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등받이 락킹부를 더 포함하는 능동적 대응이 가능한 가변형 휠체어.4. The method of claim 3,
Further comprising a backrest locking portion coupled to the backrest portion so as to be hung on the left side plate portion and to fix the backrest portion so as not to rotate.
상기 등받이 락킹부는,
상기 등받이부에 결합되어 있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을 관통하여 상기 좌판부에 걸릴 수 있는 샤프트 및
상기 케이싱 내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샤프트가 상기 좌판부에 걸리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능동적 대응이 가능한 가변형 휠체어.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backrest locking portion comprises:
A casing coupled to the backrest,
A shaft penetrating through the casing and engageable with the seat plate; and
An elastic member which is disposed inside the casing and which applies an elastic force so that the shaft is caught by the seat plate,
Containing
Variable wheelchair with active response.
상기 등받이 회전 조절부는,
상기 핀 가이드 블록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등받이부 회전시 상기 가이드 레일에 걸리는 스토퍼 블록
을 더 포함하는
능동적 대응이 가능한 가변형 휠체어.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backrest rotation adjusting unit comprises:
A stopper block connected to the pin guide block and engaged with the guide rail when the backrest is rotated,
Further comprising
Variable wheelchair with active response.
상기 좌판부는,
상기 프레임부에 힌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등받이부가 연결된 슬라이드 레일 및
상기 슬라이드 레일에 이동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고 시트가 놓일 수 있는 슬라이드 패널
을 포함하는
능동적 대응이 가능한 가변형 휠체어.The method of claim 1,
The left-
A slide rail hinged to the frame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backrest portion,
A slide rail movably disposed on the slide rail,
Containing
Variable wheelchair with active response.
상기 좌판부는,
상기 슬라이드 레일과 상기 슬라이드 패널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드 패널이 복귀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복귀 스프링
을 더 포함하는 능동적 대응이 가능한 가변형 휠체어.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left-
A return spring which is disposed between the slide rail and the slide panel and applies an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lide panel returns,
Wherein the wheelchair include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63300A KR101705046B1 (en) | 2015-05-06 | 2015-05-06 | transformable wheelchair for free posi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63300A KR101705046B1 (en) | 2015-05-06 | 2015-05-06 | transformable wheelchair for free positio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32180A KR20160132180A (en) | 2016-11-17 |
KR101705046B1 true KR101705046B1 (en) | 2017-02-14 |
Family
ID=57542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63300A Expired - Fee Related KR101705046B1 (en) | 2015-05-06 | 2015-05-06 | transformable wheelchair for free posi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05046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40522B1 (en) * | 2018-04-13 | 2019-11-05 |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 Bath chair for the disabled or elderly |
KR102159069B1 (en) * | 2020-05-28 | 2020-09-23 | 한승헌 | Pedal wheelchair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13045B1 (en) * | 2013-01-17 | 2014-07-02 | 한국과학기술원 | Auto-level Adjustable Wheel-Chair |
JP2014534003A (en) * | 2011-10-21 | 2014-12-18 | リ, ジェ ヒョンLEE, Jae hyun | Straightening chair using the slider method |
JP2015027321A (en) * | 2013-07-30 | 2015-02-12 | 株式会社カワムラサイクル | wheelchair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11341Y1 (en) | 2003-01-20 | 2003-05-09 | 대성공업주식회사 | Device that regulate angle the back of wheel chair |
KR20070034760A (en) * | 2005-09-26 | 2007-03-29 | 이은희 | Tilt angle adjusting device for electric wheelchair chair |
-
2015
- 2015-05-06 KR KR1020150063300A patent/KR101705046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4534003A (en) * | 2011-10-21 | 2014-12-18 | リ, ジェ ヒョンLEE, Jae hyun | Straightening chair using the slider method |
KR101413045B1 (en) * | 2013-01-17 | 2014-07-02 | 한국과학기술원 | Auto-level Adjustable Wheel-Chair |
JP2015027321A (en) * | 2013-07-30 | 2015-02-12 | 株式会社カワムラサイクル | wheelchai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32180A (en) | 2016-11-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968195B2 (en) | Adjustable seat and leaning apparatus | |
US8662586B2 (en) | Dynamically balanced seat assembly having independently and arcuately movable backrest and method | |
US9585478B1 (en) | Adjustable seating | |
US4632455A (en) | Chair with occupant assisting features | |
JP2017533069A (en) | Office, work, and leisure chairs and chair or seat surface retrofit kits for creating subthreshold movements for seated persons | |
US7195583B2 (en) | Posture and exercise seating | |
JP6923982B2 (en) | Standing assist chair and wheelchair | |
EP1401306A1 (en) | Seats | |
KR101143619B1 (en) | Seat tilting apparatus and chair with the same | |
KR101014860B1 (en) | Lumbar support chair | |
CN215536215U (en) | Massage armchair and support frame thereof | |
CN111317286A (en) | Waist support seat capable of improving comfort | |
KR101091283B1 (en) | Posture chair | |
KR101705046B1 (en) | transformable wheelchair for free position | |
US8469449B2 (en) | Automatically adjustable chair structure | |
KR20190139525A (en) | Wheelchair with arm rest movement | |
CN110367725B (en) | Sport chair | |
KR20160112475A (en) | Chair for pelvis training and lumbar posture correction | |
KR101694906B1 (en) | Wheel chair assisting dynamic movement in seating position | |
CN212878495U (en) | Back seat linkage device for chair | |
KR100760756B1 (en) | Chair tilting device | |
CN110464146B (en) | Sectional adjusting type ergonomic chair | |
KR101920533B1 (en) | A reclining chair with a roller | |
DK181472B1 (en) | Relief device for relieving pressure exerted against a wheelchair user | |
RU153742U1 (en) | KINETIC CHAI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50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5072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8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04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2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2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1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