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2067B1 - 걸이식 공기살균소독장치 - Google Patents

걸이식 공기살균소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2067B1
KR101702067B1 KR1020150134901A KR20150134901A KR101702067B1 KR 101702067 B1 KR101702067 B1 KR 101702067B1 KR 1020150134901 A KR1020150134901 A KR 1020150134901A KR 20150134901 A KR20150134901 A KR 20150134901A KR 101702067 B1 KR101702067 B1 KR 1017020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ousing
space
outside
plasma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4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병성
Original Assignee
제병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병성 filed Critical 제병성
Priority to KR1020150134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20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2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206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61L2209/111Sensor means, e.g. motion, brightness, scent, contaminant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5Supporting means, e.g. stands, hooks, holes for hang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장에 매다는 방식으로 설치되어, 실내공기를 살균하거나 소독할 수 있는 걸이식 걸이식 공기살균소독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내부공간을 제1공간과 제2공간으로 구획하는 격벽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제1공간에 설치되어 외부공기를 유입한 뒤 플라즈마를 발생시켜 외부로 방출하는 제1플라즈마 모듈과, 상기 제2공간에 설치되어 외부공기를 유입한 뒤 플라즈마를 발생시켜 외부로 방출하는 제2플라즈마 모듈과, 상기 하우징의 표면에 장착된 복수의 UV LED로 이루어진 혼합살균부와, 상기 혼합살균부의 하단에 방사형으로 복수 배치되어 외부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바(bar)형태의 자외선램프와, 상기 혼합살균부 및 자외선램프가 상기 천장에 설치된 상태로 승강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승강구동부를 포함하는 걸이식 공기살균소독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걸이식 공기살균소독장치{hanging type air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걸이식 공기살균소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천장에 매다는 방식으로 설치되어, 실내공기를 살균하거나 소독할 수 있는 걸이식 공기살균소독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화의 발달과 인구 밀집 및 차량의 증가에 따라 현재, 도심지는 스모그, 배기 가스, 벤젠, 톨루엔과 같은 휘발성 유기 화합물, 담배연기, 미세먼지 및 각종 화학물질에 의한 공기 오염이 증대되는 추세에 있으며, 바이러스에 의해 각종 호흡기 질환 또한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공기 오염에 대해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공기 청정기가 시판되고 있다. 공기 청정기는 공기를 흡입 및 배기하기 위한 팬(FAN)과 공기가 흡입되는 전단에 설치되는 필터를 기본 구조로 한다. 필터는 입자가 큰 먼지를 집진하기 위한 프리필터, 공기 중의 가스 및 냄새를 흡착하기 위한 활성탄 필터 및 세균을 걸러내기 위한 헤파 필터를 채용하는 것이 통상적이나, 이 외에도 음이온을 방출하여 공기 중에 포함되는 냄새를 제거하는 음이온 방식도 제안되고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학교, 관공서, 휴게소 및 병원 등과 같은 단체시설은 다수의 인원이 동시다발적으로 이용하는 공간으로서 습도가 높고, 환기가 잘 안되며 많은 인원을 수용하여 실내공기가 쾌적하지 못한 환경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단체시설은 바이러스나 세균에 의한 각종 전염병 등의 감염우려가 높기 때문에 어느 곳보다 철저한 위생과 환경을 유지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따라, 단체시설에는 실내공기의 정화를 위한 공기청정기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공기 청정기는 대부분 필터의 여과력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어, 바이러스의 살균력이 확보되기 어려웠다. 또한, 대부분 바닥에 세워두는 스탠딩(standing) 방식이어서, 공간을 차지하는 문제가 있었고, 공기 청정기의 상부 공기의 정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10-2011-0052006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천장에 매다는 방식으로 설치되어, 실내 공기의 살균 및 소독이 이루어질 수 있는 걸이식 공기살균소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내부공간을 제1공간과 제2공간으로 구획하는 격벽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제1공간에 설치되어 외부공기를 유입한 뒤 플라즈마를 발생시켜 외부로 방출하는 제1플라즈마 모듈과, 상기 제2공간에 설치되어 외부공기를 유입한 뒤 플라즈마를 발생시켜 외부로 방출하는 제2플라즈마 모듈과, 상기 하우징의 표면에 장착된 복수의 UV LED로 이루어진 혼합살균부와, 상기 혼합살균부의 하단에 방사형으로 복수 배치되어 외부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바(bar)형태의 자외선램프와, 상기 혼합살균부 및 자외선램프가 상기 천장에 설치된 상태로 승강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승강구동부를 포함하는 걸이식 공기살균소독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일측 상단에는 상기 제1공간과 연통된 흡입구를 형성하고, 타측 상단에는 상기 제2공간과 연통된 토출구를 형성하며, 상기 격벽에는 상기 흡입구로 공급된 공기가 상기 토출구로 배출되게 제1공간과 제2공간을 연통하는 통공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자외선램프의 하단에는 방전램프가 종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방전램프의 주변을 감싸도록 광학필터가 설치된다.
또한, 외부공기를 상기 광학필터의 내부로 유입하고, 상기 광학필터의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방식으로 상기 광학필터의 내부공간을 냉각시키는 공랭수단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자외선램프의 하단에는 지면과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센서와, 주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와, 주변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와, 주변의 세균을 감지하는 세균감지센서와,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수단과, 외부와 원격통신이 진행되는 통신모듈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장착된다.
또한, 상기 승강구동부는, 상기 천장에 설치되는 양방향 회전이 가능한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된 풀리와, 일측이 상기 풀리에 권취되고 타측이 상기 하우징의 중심 상단에 고정되어 상기 풀리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풀리에 권취되거나 풀리에서 권출되면서 상기 혼합살균부 및 자외선램프를 승강시키는 와이어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천장에 매다는 방식으로 설치되고, 살균장치가 승강하여 천장에 인접한 실내 공간은 물론, 바닥면에 인접한 실내 공간 또는 천장과 바닥면 중간의 실내 공간 모두 살균 및 소독이 진행될 수 있고, 설치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자외선램프가 방사형으로 설치되어 자외선램프의 주변의 공기의 살균 및 소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자외선램프와 플라즈마 발생수단을 둘 다 사용하여 공기를 살균 및 소독하므로 공기 중에 포함된 각종 세균을 보다 신속하고 확실하게 제거하여 실내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살균이 필요하지 않은 상황에서는 단순 조명등으로 활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걸이식 공기살균소독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걸이식 공기살균소독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걸이식 공기살균소독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도 2에 있어서, 승강구동부가 작동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걸이식 공기살균소독장치는 천장에 매다는 방식으로 설치되어, 실내공기를 살균하거나 소독하는 것으로, 그 일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내 보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걸이식 공기살균소독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걸이식 공기살균소독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걸이식 공기살균소독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있어서, 승강구동부가 작동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걸이식 공기살균소독장치는 천장(10)에 매다는 방식으로 실내에 설치되는 것으로, 혼합살균부와, 상기 혼합살균부의 하단에 방사형으로 장착된 자외선램프(200)와, 상기 혼합살균부와 자외선램프(200)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부(300)를 포함한다.
먼저, 혼합살균부는 내부의 밀폐공간을 제1공간(112)과 제2공간(113)으로 구획하는 격벽(111)이 중심부에 형성된 하우징(110)과, 상기 제1공간(112)에 설치되어 외부공기를 유입한 뒤 플라즈마를 발생시켜 외부로 방출하는 제1플라즈마 모듈(120)과, 상기 제2공간(113)에 설치되어 외부공기를 유입한 뒤 플라즈마를 발생시켜 외부로 방출하는 제2플라즈마 모듈(130)과, 상기 하우징(110)의 표면에 장착된 복수의 UV LED(140)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10)은 내부에 밀폐공간을 형성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형상 및금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플라스틱 및 합금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중심 상단에는 연결고리(150)가 형성된다.
상기 제1,2플라즈마 모듈(120,130)에는 플라즈마 발생수단(123,133)이 포함될 수 있다.
일례로, 플라즈마 발생수단(123,133)은 방전램프로 구비될 수 있다. 방전램프는 가스가 충전된 밀봉 공간에 양쪽 전극들 사이에서의 전기 방전을 이용하여 빛을 발생하는 플라즈마 생성 램프이다. 이러한 방전램프는 반복된 펄스의 빛을 발생하기 때문에 이들을 펄스 광원(pulsed light source)이라고 한다.
다른 예로, 플라즈마 발생수단(123,133)은 유리관을 중심으로 접지전극과 고압전극이 마주하며, 고압전극에 고압이 유기될 때, 유기된 고압이 접지전극으로 방전하면서 이온 클러스터(cluster)를 생성하고, 생성된 이온 클러스터가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온 클러스터는 음이온을 생성 후, 생성된 음이온을 이용하여 수산기(OH-)를 추가로 생성함으로써 살균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 플라즈마 발생수단(123,133)에서 발생하는 이온 클러스터는 배출관(122,132)을 통해 하우징(110)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2플라즈마 모듈(120,130)에 의해 플라즈마 이온이 하우징(110)의 외부로 방출되어 오염공간을 살균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10)의 표면에는 복수의 UV LED(140)가 장착된다. 상기 UV LED(140)는 원판형의 프레임에 각각 실장될 수 있다. 상기 UV LED(140)는 하우징(110)의 외측 표면에 복수 설치되어 자외선 광을 외부로 조사하고, 이로써 하우징(110) 주변은 자외선 광으로 살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110)의 표면에는 UV LED(140)와 조명용 LED(170)가 혼합하여 설치된다. 따라서, 살균소독이 진행되지 않을 때에는 UV LED(140)는 꺼지고 조명용 LED(170)만 켜지도록 제어해서 혼합살균부를 조명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 반면, 살균소독이 진행될 경우에는 UV LED(140)와 조명용 LED(170)를 모두 켜거나, UV LED(140)만 켜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자외선램프(200)는 바(bar)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혼합살균의 하단에 방사형으로 복수 배치되며, 외부로 자가램프(200)는 막대형상의 바(210)와, 상기 바(210)의 표면에 복수 실장된 UV LED(220)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자외선램프(200)는 고압/중압 UV 메탈램프, 저압 펄스드 제논 UV램프(pulsed xenon UV lamp)등을 포함하여 자외선 광을 방출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 예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살균을 위해 253.7nm를 주력파장으로 선택할 수 있으며, 이 밖에도 230~400nm의 범위에서 자외선램프(200)의 파장이 정해질 수 있다.
참고로, 고압/중압 UV 메탈 램프의 경우, 메탈 고유의 스펙트럼(spectrum)을 이용하여, 램프발광 중심파장 365nm 부근의 유사 연속 스펙트럼(320nm~450nm의 光)을 이용하는 램프로서, UV 광량이 큰 특징이 있다.
변형 예로, 상기 자외선램프(200)는 상기 자외선램프(200)의 자외선 조사에 반응하여 공기를 정화시키는 광촉매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승강구동부(300)는 상기 혼합살균부 및 자외선램프(200)가 상기 천장(10)에 설치된 상태로 승강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승강구동부(300)는 상기 플라즈마 살균부(100) 및 자외선 살균부(200)를 승강시킬 수 있는 범위에서 공지의 다양한 실시 예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승강구동부(300)가 형성되면, 혼합살균부 및 자외선램프(200)가 천장(10)에 고정된 상태에서 승강할 수 있어, 천장(10)에 인접한 실내 공간은 물론, 바닥면에 인접한 실내 공간 또는 천장과 바닥면 중간의 실내 공간 모두 살균 및 소독이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천장(30)의 높이에 따라 혼합살균부 및 자외선램프(2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만약 천장(30)이 낮은 경우 혼합살균부 및 자외선램프(200)를 하강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승강구동부(500)는 작동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플라즈마 모듈(120)은 상기 하우징(110)의 일측에 상기 하우징(110)을 관통하여 형성된 제1유입관(121)과, 상기 하우징(110)의 일측 전방 및/또는 후방에 상기 하우징(110)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1유입관(121)과 연결된 제1배출관(122) 및 상기 제1배출관(122)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1플라즈마 발생수단(123)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유입관(121)에는 외부공기를 제1유입관(121)으로 흡입하는 송풍수단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유입관(121)과 제1배출관(122)은 'T'자 형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플라즈마 모듈(130)은 상기 하우징(110)의 타측에 상기 하우징(110)을 관통하여 형성된 제2유입관(131)과, 상기 하우징(110)의 타측 전방 및/또는 후방에 상기 하우징(110)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2유입관(131)과 연결된 제2배출관(132) 및 상기 제2배출관(132)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2플라즈마 발생수단(133)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유입관(131)에는 외부공기를 제2유입관(131)으로 흡입하는 송풍수단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유입관(131)과 제2배출관(132)은 'T'자 형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승강구동부(300)는, 상기 천장(10)에 설치되는 양방향 회전이 가능한 모터(310)와, 상기 모터(310)의 회전축과 연결된 풀리(320)와, 일측이 상기 풀리(320)에 권취되고 타측이 상기 하우징(110)의 중심 상단에 고정되어 상기 풀리(320)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풀리(320)에 권취되거나 풀리(320)에서 권출되면서 상기 혼합살균부 및 자외선램프(200)를 승강시키는 와이어(33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모터(310)가 회전하면서 풀리(320)가 회전하고, 그 회전 방향에 따라 와이어(330)가 권취되거나 권출되면서 혼합살균부 및 자외선램프(200)가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천장(10)의 고리(11)와 연결되는 제1연결고리(910)가 중심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10)의 상부에 형성된 연결고리(150)와 연결되는 제2연결고리(920)가 중심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혼합살균부와 천장(10) 사이에 배치되는 스페이서(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900)의 구성으로 상기 혼합살균부 및 자외선램프(200)가 천장(10)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어, 혼합살균부 및 자외선램프(200)의 반응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900)의 내부에는 승강구동부(300)가 수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110)은 일측 상단에 상기 제1공간(112)과 연통된 흡입구(114)를 형성하고, 타측 상단에는 상기 제2공간(113)과 연통된 토출구(115)를 형성하며, 상기 격벽(111)에는 상기 흡입구(114)로 공급된 공기가 상기 토출구(115)로 배출되게 제1공간(112)과 제2공간(113)을 연통하는 통공(116)이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10)은 내부에 1공간(112)과 연통된 흡입구(114)와, 제2공간(113)과 연통된 토출구(115)를 형성하며, 중심 상단에 형성된 연결고리(150)의 일측에 상기 연결고리(150)와 인접해서 흡입구(114)와 연통된 'ㄱ'자형의 흡입관(117)을 형성하고, 연결고리(150)의 타측에도 연결고리(150)와 인접해서 토출구(115)와 연통된 'ㄱ'자형의 토출관(118)을 형성한다. 상기 흡입관(117)과 토출관(118)은 연결고리(150)를 중심으로 상호 대칭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관(117)을 통해 외부공기가 하우징(110)의 제1공간(112)으로 유입되고, 통공(116)을 통해 제2공간(113)으로 이동한 뒤, 토출구(115)와 연통된 토출관(118)을 통해 하우징(110)의 외부로 토출된다.
상기와 같이 외부공기가 하우징(110)의 내부를 경유하면서 하우징(110) 및 제1,2플라즈마모듈(120,130)을 공랭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흡입관(117) 및 토출관(118)은 각각 천장에 설치된 덕트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덕트에는 송풍수단이 설치되어 외부공기를 상기 흡입관(117)으로 공급하거나, 토출관(118)을 통해 하우징(110)의 내부공기를 외부로 빼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흡입구(114)에는 적어도 한 종류 이상의 필터가 장착될 수 있다.
흡입구(114)는 외부 공기를 하우징(110)의 내부로 흡입하는 곳으로, 흡입구(114)에는 극세사나 부직포로 형성되는 프리필터 또는 냄새와 가스 제거를 위한 활성탄 필터 및 헤파 필터(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filter)가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자외선램프(200)의 하단에는 방전램프(400)가 종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방전램프(400)의 주변을 감싸도록 광학필터(500)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방전램프(400) 및 광학필터(500)가 추가로 설치되 경우, 살균력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변형예로, 상기 자외선램프(200)의 하단에는 막대 형상의 몸체의 표면에 복수의 UV LED가 실장된 LED바(600)가 종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LED바(600)의 주변을 감싸도록 광학필터(50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LED바(600) 및 광학필터(500)가 추가로 설치되 경우, 살균력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공기를 상기 광학필터(500)의 내부로 유입하고, 상기 광학필터(500)의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방식으로 상기 광학필터(500)의 내부공간을 냉각시키는 공랭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 공랭수단은 외부공기를 상기 광학필터(500)의 내부로 공급하도록 광학필터(500)의 상단에 형성되는 공급관(710)과, 상기 광학필터(500)의 내부공기를 외부로 방출하도록 상기 광학필터(500)의 하단에 형성되는 배출관(720) 및 상기 공급관(710) 또는 배출관(720)에 장착된 송풍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변형 예로, 상기 공급관(710)은 상기 하우징(110)의 제1공간(112)의 공기가 광학필터(500)의 상부로 공급되게 상기 하우징(110)의 제1공간(112)과 연통될 수 있고, 배출관(720)은 하우징(110)의 제2공간(113)과 연통되어 광학필터(500)를 빠져나온 공기가 제2공간(11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자외선램프(200) 또는 방전램프(400)의 하단에는 지면과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센서와, 주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와, 주변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와, 주변의 세균을 감지하는 세균감지센서와,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수단과, 외부와 원격통신이 진행되는 통신모듈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보조수단(800)이 장착될 수 있다.
먼저, 상기 거리센서는 지면과의 거리를 감지한 뒤, 승강구동부(300)로 피드백이 이루어져 자외선램프(200) 또는 방전램프(400)가 지면과 접하거나, 지면과 지나치게 가까워지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설정된 높이에 고정되게 승강구동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에서 주변의 온도와 습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설정된 온도 또는 습도보다 높아지면, 방열을 위해 팬이 작동하도록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통신모듈의 경우, 외부의 사용자와 무선으로 통신하면서 촬영수단을 통해 촬영된 주변 영상 및 세균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실시간 세균감염 여부 등을 사용자에게 전송하여 사용자가 이를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에 의해 원격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천장에 매다는 방식으로 설치되고, 살균장치가 승강하여 천장에 인접한 실내 공간은 물론, 바닥면에 인접한 실내 공간 또는 천장과 바닥면 중간의 실내 공간 모두 살균 및 소독이 진행될 수 있고, 자외선램프가 방사형으로 설치되어 자외선램프의 주변의 공기의 살균 및 소독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자외선램프와 플라즈마 발생수단을 둘 다 사용하여 공기를 살균 및 소독하므로 공기 중에 포함된 각종 세균을 보다 신속하고 확실하게 제거하여 실내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 하우징 111 : 격벽
112 : 제1공간 113 : 제2공간
114 : 흡입구 115 : 토출구
116 : 통공 120 : 제1플라즈마모듈
130 : 제2플라즈마모듈 140 : UV LED
150 : 연결고리 200 : 자외선램프
300 : 승강구동부 310 : 모터
320 : 풀리 330 : 와이어
400 : 방전램프 500 : 광학필터
600 : LED바 900 : 스페이서

Claims (7)

  1. 천장에 매다는 방식으로 실내에 설치되는 걸이식 공기살균소독장치에 있어서,
    내부공간을 제1공간과 제2공간으로 구획하는 격벽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제1공간에 설치되어 외부공기를 유입한 뒤 플라즈마를 발생시켜 외부로 방출하는 제1플라즈마 모듈과, 상기 제2공간에 설치되어 외부공기를 유입한 뒤 플라즈마를 발생시켜 외부로 방출하는 제2플라즈마 모듈과, 상기 하우징의 표면에 장착된 복수의 UV LED로 이루어진 혼합살균부;
    상기 혼합살균부의 하단에 방사형으로 복수 배치되어 외부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바(bar)형태의 자외선램프;
    상기 혼합살균부 및 자외선램프가 상기 천장에 설치된 상태로 승강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승강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이식 공기살균소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일측 상단에 상기 제1공간과 연통된 흡입구를 형성하고, 타측 상단에 상기 제2공간과 연통된 토출구를 형성하며, 상기 격벽에는 상기 흡입구로 공급된 공기가 상기 토출구로 배출되게 제1공간과 제2공간을 연통하는 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이식 공기살균소독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램프의 하단에는 방전램프가 종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방전램프의 주변을 감싸도록 광학필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이식 공기살균소독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외부공기를 상기 광학필터의 내부로 유입하고, 상기 광학필터의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방식으로 상기 광학필터의 내부공간을 냉각시키는 공랭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이식 공기살균소독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램프의 하단에는 지면과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센서와, 주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와, 주변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와, 주변의 세균을 감지하는 세균감지센서와,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수단과, 외부와 원격통신이 진행되는 통신모듈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이식 공기살균소독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구동부는, 상기 천장에 설치되는 양방향 회전이 가능한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된 풀리와, 일측이 상기 풀리에 권취되고 타측이 상기 하우징의 중심 상단에 고정되어 상기 풀리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풀리에 권취되거나 풀리에서 권출되면서 상기 혼합살균부 및 자외선램프를 승강시키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이식 공기살균소독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표면에는 조명용 LED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이식 공기살균소독장치.
KR1020150134901A 2015-09-23 2015-09-23 걸이식 공기살균소독장치 Active KR1017020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4901A KR101702067B1 (ko) 2015-09-23 2015-09-23 걸이식 공기살균소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4901A KR101702067B1 (ko) 2015-09-23 2015-09-23 걸이식 공기살균소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2067B1 true KR101702067B1 (ko) 2017-02-13

Family

ID=58155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4901A Active KR101702067B1 (ko) 2015-09-23 2015-09-23 걸이식 공기살균소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2067B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53764A (zh) * 2017-03-30 2018-10-16 山东省立医院 一种升降式手术室消毒装置
KR102059380B1 (ko) 2019-09-04 2019-12-26 주식회사 플라랩 플라즈마를 이용한 천정부착형 공기살균 및 시설소독 장치
KR102104989B1 (ko) * 2019-11-01 2020-06-02 주식회사 더바이오 Iot를 이용한 공기정화 회전 조명시스템
CN111481694A (zh) * 2020-05-27 2020-08-04 梁旭东 一种可移动式紫外led杀菌消毒装置
CN111789995A (zh) * 2020-07-28 2020-10-20 布恩格智能技术(中山)有限公司 一种杀菌灯及其杀菌方法
CN112076325A (zh) * 2020-07-16 2020-12-15 苏州朗润医疗系统有限公司 一种用于ct设备的自动消毒设备
CN112807452A (zh) * 2021-01-28 2021-05-18 湖南普斯赛特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养殖场消毒装置及养殖场
KR20220060065A (ko) * 2020-11-03 2022-05-11 (주)지 메디 이동식 방역기
KR102429109B1 (ko) * 2022-04-05 2022-08-0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재실 상태와 비재실 상태 선택형 실내공간의 공기 및 표면 살균시스템 및 살균방법
KR102432294B1 (ko) * 2022-07-25 2022-08-1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재실-비재실 상태 선택형 공기 및 표면살균 기능의 스마트 감염병 선별진료소 시스템
KR102444916B1 (ko) * 2022-07-25 2022-09-2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재실-비재실 상태 선택형 스마트 공기 및 표면 살균시스템을 구비한 엘리베이터 카
KR20220170452A (ko) * 2021-06-23 2022-12-30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인공지능 방역 시스템
KR20230005553A (ko) 2021-07-01 2023-01-10 허찬 무덕트형 고풍속 공기살균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3549A (ja) * 2000-11-20 2002-05-28 Build System:Kk 脱臭システム
JP2007232323A (ja) * 2006-03-03 2007-09-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天井扇
US20080061162A1 (en) * 2006-07-10 2008-03-13 Zarembinski Thomas P Portable sports equipment scent dispersion apparatus
US20110052006A1 (en) 2009-08-13 2011-03-03 Primesense Ltd. Extraction of skeletons from 3d maps
KR20110135526A (ko) * 2010-06-11 2011-12-19 정철규 천장형 공기정화 및 살균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3549A (ja) * 2000-11-20 2002-05-28 Build System:Kk 脱臭システム
JP2007232323A (ja) * 2006-03-03 2007-09-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天井扇
US20080061162A1 (en) * 2006-07-10 2008-03-13 Zarembinski Thomas P Portable sports equipment scent dispersion apparatus
US20110052006A1 (en) 2009-08-13 2011-03-03 Primesense Ltd. Extraction of skeletons from 3d maps
KR20110135526A (ko) * 2010-06-11 2011-12-19 정철규 천장형 공기정화 및 살균장치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53764A (zh) * 2017-03-30 2018-10-16 山东省立医院 一种升降式手术室消毒装置
KR102059380B1 (ko) 2019-09-04 2019-12-26 주식회사 플라랩 플라즈마를 이용한 천정부착형 공기살균 및 시설소독 장치
KR102104989B1 (ko) * 2019-11-01 2020-06-02 주식회사 더바이오 Iot를 이용한 공기정화 회전 조명시스템
CN111481694A (zh) * 2020-05-27 2020-08-04 梁旭东 一种可移动式紫外led杀菌消毒装置
CN112076325A (zh) * 2020-07-16 2020-12-15 苏州朗润医疗系统有限公司 一种用于ct设备的自动消毒设备
CN111789995A (zh) * 2020-07-28 2020-10-20 布恩格智能技术(中山)有限公司 一种杀菌灯及其杀菌方法
KR102464985B1 (ko) * 2020-11-03 2022-11-10 (주)지 메디 이동식 방역기
KR20220060065A (ko) * 2020-11-03 2022-05-11 (주)지 메디 이동식 방역기
CN112807452A (zh) * 2021-01-28 2021-05-18 湖南普斯赛特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养殖场消毒装置及养殖场
KR20220170452A (ko) * 2021-06-23 2022-12-30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인공지능 방역 시스템
KR102565834B1 (ko) 2021-06-23 2023-08-09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인공지능 방역 시스템
KR20230005553A (ko) 2021-07-01 2023-01-10 허찬 무덕트형 고풍속 공기살균기
KR102429109B1 (ko) * 2022-04-05 2022-08-0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재실 상태와 비재실 상태 선택형 실내공간의 공기 및 표면 살균시스템 및 살균방법
US12329866B2 (en) 2022-04-05 2025-06-17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Selective smart air-surface sterilization system based on occupied situation and empty situation
KR102444916B1 (ko) * 2022-07-25 2022-09-2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재실-비재실 상태 선택형 스마트 공기 및 표면 살균시스템을 구비한 엘리베이터 카
KR102432294B1 (ko) * 2022-07-25 2022-08-1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재실-비재실 상태 선택형 공기 및 표면살균 기능의 스마트 감염병 선별진료소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2067B1 (ko) 걸이식 공기살균소독장치
US7326387B2 (en) Air decontamination devices
KR102219356B1 (ko) 자외선 공기 살균기를 구비한 공기 청정기
KR20200076163A (ko) 플라즈마를 이용한 출입관리 시스템
KR102446938B1 (ko) 복합살균식 공기 살균기
CN114383251A (zh) 使用uv-c led的室内空气灭菌和净化装置
KR101676817B1 (ko) 방사형 공간 살균기
KR20210027324A (ko) 공기 정화 필터 유닛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공기청정기
US12268799B2 (en) Device containing air detection, filtering, disinfecting and conditioning elements with display
JP2016049396A (ja) 脱臭装置
US20220016558A1 (en) Air Purification Device
CN111671586A (zh) 一种自消毒正负压隔离帐系统
KR20180012021A (ko) 방역형 공기정화 시스템
KR200490315Y1 (ko) 이동형 공기청정기
KR200279730Y1 (ko) 살균 및 청정 기능을 갖는 복합조명기
JP3051083B2 (ja) 空気清浄機
KR100635515B1 (ko) 송풍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공기청정시스템
KR20220023210A (ko) 휴대용 방역 살균장치
CN215412352U (zh) 一种高辐照剂量紫外线空气净化系统
CN213031396U (zh) 两用消毒机
CN112665088A (zh) 电梯、及电梯过道杀菌系统
KR20200117630A (ko) 공기 정화 필터 유닛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공기청정기
KR200358767Y1 (ko) 송풍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공기청정시스템
KR100567563B1 (ko) 실 내부 살균소독 및 공기 살균 정화기
KR102594289B1 (ko) 미세먼지와 세균 및 바이러스 제거기능을 갖는 공기정화살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9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0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1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1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21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