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8183B1 - 글리세린 함유 바이오디젤 폐수를 재활용한 유기성 폐기물의 혐기적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글리세린 함유 바이오디젤 폐수를 재활용한 유기성 폐기물의 혐기적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8183B1
KR101698183B1 KR1020140145138A KR20140145138A KR101698183B1 KR 101698183 B1 KR101698183 B1 KR 101698183B1 KR 1020140145138 A KR1020140145138 A KR 1020140145138A KR 20140145138 A KR20140145138 A KR 20140145138A KR 101698183 B1 KR101698183 B1 KR 1016981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ycerin
wastewater
biodiesel
anaerobic digestion
anaerob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5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8464A (ko
Inventor
최명원
문태섭
김효수
강동완
문병일
김익환
서명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바이론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바이론소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바이론소프트
Priority to KR1020140145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8183B1/ko
Publication of KR20160048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84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8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81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02Biological treatment
    • C02F11/04Anaerobic treatment; Production of methane by such proces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40Bio-organic fraction processing; Production of fertilisers from the organic fraction of waste or refu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urification Treatments By Anaerobic Or Anaerobic And Aerobic Bacteria Or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글리세린 함유 바이오디젤 폐수를 재활용한 유기성 폐기물의 혐기적 처리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유기성 폐기물의 혐기적 처리에 바이오디젤 폐수를 재활용함으로써, 바이오디젤 폐수의 처리에 따른 비용적 문제 등을 해결함과 아울러 유기성 폐기물의 혐기적 처리에 의한 메탄 생성 수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글리세린 함유 바이오디젤 폐수를 재활용한 유기성 폐기물의 혐기적 처리 방법{ANAEROBIC TREATMENT METHOD OF ORGANIC WASTE USING BIODIESEL WASTE CONTAINING GLYCERIN}
본 발명은 글리세린 함유 바이오디젤 폐수를 재활용한 유기성 폐기물의 혐기적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유기성 폐기물 혐기적 처리에 글리세린 함유 바이오디젤 폐수를 혼합 처리함으로써 바이오가스(메탄) 생성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기성 폐기물의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에너지 자원 고갈의 문제가 없고, 폐식용유 등 폐자원의 활용이 가능하다는 대체에너지로서의 효과와, 분진, 매연, 일산화탄소 등 각종 공해물질 발생을 저감된다는 환경적인 측면에서의 효과 및 2017년까지 바이오디젤 보급률을 5%까지 증가시키겠다는 정책적인 측면 등을 고려하여 대두유, 유채유, 폐식용유, 우지 등 동식물성 유지와 알코올을 반응시켜 제조되는 바이오디젤 제조 사업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바이오디젤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세척수로 인해 주성분이 글리세린인 폐수가 대량으로 발생하고, 발생되는 폐수의 CODCr(Chemical Oygen Demand) 농도는 30,000mg/L 이상의 고농도이므로, 이 폐수를 기존의 일반적인 폐수처리 설비(생물학적 폐수처리: 표준활성슬러지 공법, 고도처리공법 등)을 활용하여 처리하기 위해서는 긴 체류시간을 필요로 하고 폐수처리설비의 운영비용 증가 등의 문제 등이 야기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바이오디젤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폐수를 가능하다면 다른 방법으로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한편 근래 산업발달과 더불어 물질적 생활이 풍요로워 짐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 농산물 폐기물, 축산 분뇨 등의 고농도 유기성 폐기물이 대량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폐기물의 처리는 소각, 매립 이외에 사료화, 퇴비화, 바이오가스 생산 등의 재활용 기술로 나누어지는데, 소각은 소각 전 함수율을 낮춰야 하므로 시간과 처리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 이외에도 낮은 발열량과 불완전 연소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매립은 침출수에 의한 2차적인 토양 오염과 악취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유기성 폐기물의 재활용 기술이 국가 정책적으로 장려되고 있으며, 재활용 기술로서 특히 유기성 폐기물을 혐기적으로 처리하여 바이오가스(메탄 함량이 60~70% 정도임)를 생산하는 기술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유기성 폐기물의 혐기성 처리에 의한 바이오가스의 생산은 대기와 차단되어 이루어지기 때문에 악취 문제가 없고, 유기성 폐기물 중 생물분해가 가능한 유기물의 약 90%가 메탄으로 전환될 수 있으며, 혐기적 처리 후 생성되는 슬러지는 환경상 위해가 없어 토양개량제나 비료로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유기성 폐기물의 혐기적 처리에 바이오디젤 폐수를 재활용함으로써, 바이오디젤 폐수의 처리에 따른 비용적 문제 등을 해결함과 아울러 유기성 폐기물의 혐기적 처리에 의한 메탄 생성 수율을 높일 수 있는 기술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바이오디젤 폐수를 재활용한 유기성 폐기물 혐기적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나 구체적인 목적은 이하에서 제시될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아래의 실시예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제1차 예비실험에서 글리세린이 함유된 바이오디젤 폐수를 유기성 폐기물(음식물류 폐기물)에 0%(v/v, 무첨가), 15%, 30%, 45%, 60%, 및 100%(유기성 폐기물 없이 바이오디젤 폐수만을 혐기성 소화조에 유입)로 첨가·혼합하고 혐기성 소화조에 유입시켜 혐기적으로 처리할 경우, 30% 이상의 첨가량에서는 바이오가스 발생률(COD 1g 제거시 발생되는 바이오가스 함량임)이 그 첨가량에 비례하여 낮아지지만 15% 첨가할 경우 무첨가한 경우에 비하여 높음을 확인하고, 이를 기초로 제2차 예비실험에서 바이오디젤 폐수의 첨가량을 5%(v/v), 10%, 15% 및 20%로 하고 식종 슬러지(혐기성 소화 미생물)를 글리세린 함유 바이오디젤 폐수에 순응시켜 혐기적 소화를 진행할 경우 모든 첨가량에서 무첨가한 경우에 비하여 바이오가스 발생률이 높을 뿐 아니라 첨가량에 비례하여 증가함으로 확인하였다. 여기서 식종 슬러지(혐기성 소화 미생물)를 글리세린 함유 바이오디젤 폐수에 순응시켜 사용한 이유는 제1차 예비실험에서 사용한 식종 슬러지가 글리세린 함유 바이오디젤 폐수에 순화되지 않음에 따른 오차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나아가 상기 예비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현장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처리 규모를 레벌-업(level-up)시켜(15.4L 용량의 혐기성 소화조를 사용하였음; 참고로 예비실험에서는 100mL 용량의 bottle를 사용하였음) 글리세린이 함유된 바이오디젤 폐수를 유기성 폐기물에 0%(무첨가), 15% 및 20%로 첨가·혼합하고 대량 혐기성 소화조에 유입시켜 혐기적으로 처리할 경우, 메탄 발생률(혐기적 소화시 생성되는 바이오가스 중 메탄 함량만을 측정하여 계산함, COD 1g 제거시 발생되는 메탄 발생량임)이 무첨가한 경우에 비하여 모든 첨가량에서 높고 특히 20%를 첨가할 경우는 무첨가한 경우에 비하여 10% 이상 높아짐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의 실험 결과에 기초하여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글리세린 함유 바이오디젤 폐수를 재활용한 유기성 폐기물 혐기적 처리 방법은 (a) 유기성 폐기물에 글리세린 함유 바이오디젤 폐수를 30%(v/v) 이하로 첨가·혼합하는 단계, 및 (b) 그 혼합물을 혐기적으로 소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글리세린 함유 바이오디젤 폐수"는 동식물성 유지로부터 얻어지는 트리글리세리드(tryglycerides)를 이용하여 바이오디젤을 생성할 때 부산물로서 글리세린 등이 함께 생성되며, 이때 바이오디젤을 회수한 후, 나머지 부산물인 글리세린, 미반응 트리글리세라라이드 등을 물로 세척하여 폐기시키게 되는데, 이렇게 물로 세척되어 폐기되는 폐수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동식물로부터 추출되는 에스테르 화합물은 내연기관용 연료로서 사용이 가능한 발열량을 가지나, 실온에서 점성이 강하여 직접 사용이 어렵다. 그런데 대두(soybean), 팜(palm), 면실(cotton seed)로부터 얻어지는 에스테르 화합물인 트리글리세리드를 염기 촉매 하에서 물이나 메탄올과 반응시키면 일반적으로 분자량은 적고, 점성은 상대적으로 낮은 지방산 또는 메틸에스테르를 합성할 수 있는데, 이는 내연기관의 연료로서 사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연료를 바이오디젤이라 하며, 아래의 [반응식 1 및 2]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이러한 바이오디젤 생성시 바이오디젤인 3 당량의 지방산 또는 메틸에스테르 이외에 부산물로서 1 당량의 글리세린이 생성된다. 바이오디젤을 회수하고 나머지 성분들은 물로 세척하게 되는데, 이러한 폐수에는 글리세린 이외에 미반응의 트리글리세리드 등이 포함되게 된다. 본 발명에서, "글리세린 함유 바이오디젤 폐수"는 이러한 글리세린 함유 폐수를 의미하는 것이다.
[반응식 1]
Figure 112014102023254-pat00001
[반응식 2]
Figure 112014102023254-pat00002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글리세린 함유 바이오디젤 폐수는 그 글리세린 함량이 2% 내외로 낮아 이를 그대로 유기성 폐기물의 혐기성 소화시 첨가하여 사용할 경우 메탄 생성 수율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글리세린 함유 바이오디젤 폐수를 가열 농축하여 글리세린의 농도를 5% 이상으로 높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자들은 아래의 실시예에서 글리세린 함유 바이오디젤 폐수를 가열 농축하여 글리세린의 농도를 5% 이상으로 높여 사용하였다. 여기서 %는 v/v를 의미한다.
이러한 글리세린 함유 바이오디젤 폐수가 유기성 폐기물과 혼합될 때 30%를 초과하여 혼합될 경우 아래의 실시예가 보여주듯이 바이오가스 생성율이 첨가량에 비례하여 떨어지므로 30% 이하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20% 이하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아래의 실시예가 보여주는 바와 같이 메탄 생성율을 10% 이상 증가시킬 수 있게 20%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유기성 페기물은 고농도의 유기성 물질을 함유하여 메탄 생성에 재활용될 수 있는 음식물 폐기물, 농산물 폐기물, 축산물 폐기물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또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혐기성 소화를 촉진하기 위해, 상기 (a) 단계의 혼합물에 영양원을 첨가하여 혼합물 내 유기물에 대한 질소비(C/N비)는 60 이하, 유기물에 대한 인(C/P)비는 300 이하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C/N비의 조절을 위한 질소 공급원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는데, 예컨대 NH4Cl, (NH4)2SO4 등을 사용할 수 있고, C/P비의 조절을 위한 인 공급원도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는데, 예컨대 KH2PO4, K2HPO4, H3PO4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유기성 폐기물에 글리세린 함유 바이오디젤 폐수가 첨가·혼합되고 질소 공급원 및/또는 인 공급원이 첨가되어 적절한 C/N비 및 C/P비로 조절한 후에는 상기 (b) 단계의 식종 슬러지에 의한 혐기적 소화를 수행하게 되는데, 이러한 혐기적 소화 단계는 유기물을 혐기적 분해시켜 메탄을 생성하기 위한 과정으로, 이러한 과정은 일반적으로 가수분해 단계, 산 및 아세트산 생성 단계 그리고 메탄 생성 단계로 나누어진다. 이러한 혐기적 소화는 혐기적 미생물이 함유된 식종 슬러지에 의해 수행되는데 이러한 식종 슬러지는 일반 하수처리장의 혐기성 소화 슬러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혐기성 소화를 위한 혐기성 소화조로서는 단일 혐기성 소화조(산 발효와 메탄 발효가 하나의 반응기에 일어나는 소화조), 2상 혐기성 소화조(산 발효조와 메탄 발효조가 별도로 구성된 반응조)와 UASB(Upflow anaerobic sludge blanket) 반응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혐기성 소화시 단일 혐기성 소화조의 체류 시간과 2상 혐기성 소화조의 메탄 발효조 체류시간은 산 발효와 메탄 발효를 위해 적어도 15일 이상이 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하수도시설기준, 2011), UASB 반응기의 체류시간은 산 발효 및 메탄 발효를 위해 유입 유기물 용적부하가 15kgCOD/m3·일이 이상이 되지 않게(배재호 등, 2010, 폐기물자원화), 유기성 폐기물과 글리세린 함유 바이오디젤 폐수 혼합물의 유입 속도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혐기성 소화 촉진 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활용 혐기성 소화조 형태에 상관없이, 혐기성 소화조 내 온도는 35~40℃ 범위로, pH는 7.0 이상으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혐기성 소화조 내 알칼리도는 단일 소화조와 2상 혐기성 소화조의 경우 10,000mg/L 이상, UASB 반응조의 경우 4.000mg/L 이상으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H가 낮거나 알칼리도가 낮은 경우 pH 조절 및 알칼리도 조절을 위한 약품으로서는 Na2CO3, NaHCO3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바이오디젤 폐수를 재활용한 유기성 폐기물 혐기적 처리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유기성 폐기물의 혐기적 처리에 바이오디젤 폐수를 재활용함으로써, 바이오디젤 폐수의 처리에 따른 비용적 문제 등을 해결함과 아울러 유기성 폐기물의 혐기적 처리에 의한 메탄 생성 수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제1단계 및 제2단계 BMP 테스트를 수행하였던 혐기성 배양 장치이다.
도 2는 제1단계 예비실험에서 각 Case별 누적 가스 발생량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3은 제2단계 예비실험에서 각 Case별 누적 가스 발생량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레벨-업된 단일 혐기성 소화조에서 메탄 발생률 변화를 관찰한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글리세린 함유 바이오디젤 폐수의 음식물 폐기물의 혐기성 소화 촉진 효과 실험예 1
본 실험은 바이오디젤 생산과정에서 발생되는 글리세린이 함유된 폐수가 혐기성 소화 촉진제로써 사용 가능한지에 대한 사전 평가 및 음식물류 폐기물(울산 용연 하수처리장의 SBK에 의해 운전되는 혐기성 소화조 유입 음식물류 폐기물임)과 글리세린이 함유된 폐수의 최적 혼합비 도출을 목적으로 BMP(Biochemical Methane Potential) 테스트가 수행하였다.
글리세린 함유 바이오디젤 폐수는 SK케미칼로부터 공급받아 사용하였고 글리세린 함량(중량%)을 높이기 위하여 가열·농축하여 글리세린 함량을 5%로 조정하였고 농축 폐수의 구체적 화학 조성은 아래 [표 1]과 같다.
Figure 112014102023254-pat00003
BMP 테스트는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가능하고 교반이 가능한 [도 1]의 배양조(Hanbaek CO., Ltd, HB-201S)를 이용하여 2단계로 구분되어 수행되었다. 1 단계에서는 음식물류 폐기물에 글리세린이 함유된 폐수가 혼합되는 비율을 최대 85%까지 넓게 설정하여 테스트가 수행되었고, 2 단계에서는 1 단계에서의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글리세린이 함유된 폐수가 혼합되는 비율을 20% 이하로 설정하여 테스트가 수행되었다.
① 1 단계 BMP 테스트 방법
1 단계 BMP 테스트는 아래 [표 2]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류 폐기물에 글리세린이 함유된 폐수의 혼합비를 달리한 총 6 세트의 평가 케이스를 구성하여 수행되었다. 1 단계 BMP 테스트를 수행을 위한 용기로는 100 mL bottle이 사용되었다. 성공적인 BMP 테스트를 위해서는 주입된 식종 슬러지(혐기성 소화 미생물)에 대한 기질의 비율, 즉 S/I비가 1.0 이상이 되어야 하고 혐기성 소화 미생물의 활성화를 위한 충분한 미량원소 및 영양원의 공급이 이루어져야 한다(Moody et al, 2009, 44th Croatian & 4th International Syposium on Agriculture, 930~934 ). 이에 본 실험에서는 S/I비가 1.0 이상이 될 수 있게 100 mL의 bottle에 식종 슬러지 40 mL와 [표 2]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류 폐기물과 글리세린 함유된 폐수의 혼합비를 달리한 폐수 20mL를 주입하여 총 60mL가 되게 하였고 bottle 내 S/I 비는 1.82 ~ 2.31의 범위로 유지하였다.
Figure 112014102023254-pat00004
본 실험에서는 혐기성 소화 미생물의 활성화를 위해 [표 3]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미량원소 및 영양원의 공급이 이루어졌고 bottle 내 혐기 조건을 유지하기 위해 30분간 질소 주입이 이루어졌다. 이후 글리세린이 함유된 폐수의 혼합비율을 달리한 각각의 bottle을 완전히 밀봉 한 후 실험이 수행되었다. 그리고 배양조의 외부 온도는 39.5℃로 설정하여 배양조 내 내부 온도가 35℃로 유지될 수 있게 하였고, 슬러지와 주입된 폐수의 혼합을 위해 80RPM으로 일 1회 교반이 이루어졌다. 각 Case 별 발생되는 가스량은 50cc의 주사기를 사용하여 일 1회 측정이 이루어졌고 가스가 발생되지 않을 때까지 가스 발생량이 측정되었다.
Figure 112014102023254-pat00005
② 1 단계 BMP 테스트 결과
1 단계 BMP test 결과 가스가 발생되지 않을 때까지 약 90일 정도의 기간이 소요되었다. 이 기간 동안 매일 측정된 가스 발생량을 기반으로 음식물류 폐기물과 글리세린이 함유된 폐수의 혼합 비율을 달리한 각 Case별 누적 가스 발생량을 계산한 결과 [도 2]와 같이 나타났다.
각 Case 별 누적된 가스 발생량 즉 총 가스 발생량과 각 Case 별 유입된 COD량을 기준으로 누적 가스 발생률(유입되는 COD량 대비 총 가스 발생량)을 계산하였을 때 아래의 [표 4]와 같이 나타났다.
Figure 112014102023254-pat00006
상기 [표 4]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음식물류 폐기물의 주입 없이 글리세린 함유된 폐수만 공급하였을 때(Case 2)는 가스 발생률은 0.1700 L gas/g COD add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고, 음식물류 폐기물과 글리세린이 함유된 폐수의 혼합액 내 글리세린이 함유된 폐수의 비율이 15%일 때(Case 3) 가스 발생률은 1.1972 L gas/g COD add로 음식물류 폐기물만 단독으로 공급하는 것(Case 1)에 비해 가스 발생률이 높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하지만 글리세린이 함유된 폐수의 혼합 비율이 30% 이상이 되었을 때(Case 4 내지 6)에는 음식물류 폐기물만 단독으로 공급하는 것에 비해 가스 발생률은 오히려 감소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글리세린을 함유한 폐수를 단독으로 혐기성 소화를 시키는 것보다는 음식물류 폐기물과 같은 유기성 폐기물과 함께 병합처리하는 것이 바이오가스 발생이라는 측면에서 이점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글리세린이 함유된 폐수의 혼합비율이 15%일 때는 바이오가스 발생률이 증가하지만 30% 이상일 때 바이오가스 발생률이 감소한다는 것은 글리세린이 함유된 폐수에 의해 혐기성 소화 촉진 효과가 있기는 하지만, 혐기성 소화 촉진이라는 측면에서 글리세린을 함유한 폐수를 혼합 가능한 한계 비율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실험에서는 글리세린을 함유한 폐수의 혼합 비율 범위를 30% 미만으로 한 2 단계 BMP 테스트를 수행하여 혐기성 소화 촉진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최소 혼합비율과 최대 혼합 비율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③ 2 단계 테스트 방법
2 단계 BMP 테스트는 아래 [표 5]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1 단계 BMP 테스트와 유사하게 기존에 음식물류 폐기물에 글리세린이 함유된 폐수의 혼합비를 달리한 총 6 세트의 평가 케이스를 구성하여 수행되었다. 2 단계 BMP 테스트 또한 100 mL bottle에 S/I비가 1.0 이상이 될 수 있게 혐기성 소화조의 식종 슬러지(혐기성 소화 미생물) 40mL와 [표 5]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류 폐기물과 글리세린 함유된 폐수의 혼합비를 달리한 폐수 20mL를 주입하였고, bottle 내 S/I비는 2.26 ~ 2.53의 범위로 유지되었다. [표 5]를 통해 알 수 있듯이, 2 단계 BMP 테스트에서는 음식물류 폐기물에 글리세린을 함유한 폐수의 혼합비율을 20% 이하가 되게 글리세린을 함유한 폐수를 주입하였다. 1 단계 BMP 테스트에서는 주입된 슬러지의 경우 음식물류 폐기물에만 순응된 식종 슬러지를 사용한 반면에, 2 단계 BMP 테스트에서는 글리세린에 순응되지 않은 혐기성 소화 미생물의 사용에 의해 기인될 수 있는 오차를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배양조를 제작하고 음식물류 폐기물에 글리세린이 함유된 폐수를 15% 이상 공급하여 글리세린에도 순응시킨 슬러지를 식종 슬러지로 사용하였다. 미량원소 및 영양원 주입량, BMP 테스트를 위한 배양조의 운전 조건 및 가스 포집 방법 등은 일단계 BMP 테스트와 동일하게 하여 2 단계 BMP 테스트가 수행 되었다.
Figure 112014102023254-pat00007
④ 2 단계 테스트 결과
음식물류 페기물에 대한 글리세린 혼합 비율을 0 ~ 20% 범위로 해서 수행된 2 단계 BMP test 결과, 가스가 발생되지 않을 때까지 약 70일 정도의 기간이 소요되었다. 이 기간 동안 매일 측정된 가스 발생량을 기반으로 음식물류 폐기물과 글리세린이 함유된 폐수의 혼합 비율을 달리한 각 Case별 누적 가스 발생량을 계산한 결과 [도 3]과 같이 나타났다.
각 Case 별 누적된 가스 발생량 즉 총 가스 발생량과 각 Case 별 유입된 COD량을 기준으로 누적 가스 발생률(유입되는 COD량 대비 총 가스 발생량)을 계산하였을 때 아래의 [표 6]과 같이 나타났다.
Figure 112014102023254-pat00008
상기 [표 6]을 통해 알 수 있듯이, 1 단계 BMP 테스트와 마찬가지로 음식물류 폐기물의 주입 없이 글리세린 함유된 폐수만 공급하였을 때(Case 2)는 가스 발생률은 0.1803 L gas/g CODadd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고, 음식물류 폐기물과 글리세린이 함유된 폐수의 혼합액 내 글리세린이 함유된 폐수의 비율이 20%일 때(Case 6) 가스 발생률은 0.6566 L gas/g CODadd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5%일 때(Case 3), 10%일 때(Case 4), 15%일 때(Case 5) 각각 0.6027, 0.6248, 0.6301L gas/g CODadd로 나타나, 음식물류 폐기물만 단독으로 공급하는 것(Case 1)에 비해 글리세린 함유된 폐수가 혼합 공급될 때 가스 발생률이 높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글리세린이 함유된 폐수를 최소 5%만 혼합 공급하여도 바이오가스 발생률이라는 측면에서 이점이 있어 혐기성 소화 촉진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상기 1 단계 BMP 테스트 결과와 함께 고려하여 평가하였을 때 글리세린이 함유된 폐수에 의한 혐기성 소화 촉진은 글리세린이 함유된 폐수를 20 ~ 30% 범위에서 공급한다면 최대로 일어날 수 있고 바이오가스 생산률은 최소 1.12배 이상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 실시예 2> 글리세린 함유 바이오디젤 폐수의 음식물 폐기물의 혐기성 소화 촉진 효과 실험예 2
본 실험은 상기 <실시예 1>의 예비실험을 기초로, 대량 음식물류 폐기물 처리를 위한 혐기성 소화조(15.4L 용량의 혐기성 소화조를 사용하였음, 처리량은 180톤/일)에서 글리세린 함유 바이오디젤 폐수가 음식물류 폐기물의 혐기성 소화 촉진 효과를 갖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상기 [표 1]의 화학적 조성물을 가진 글리세린 함유 바이오디젤 폐수 15% 및 20%로 하여 아래의 [표 7]과 같이 혐기성 소화조에 음식물 폐기물과 혼합하여 공급하고 단일 혐기성 소화조의 처리 성능 및 바이오 가스 생산량의 변화 등을 평가하였다. 혐기성 소화 시 촉진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적용된 평균 유입수 농도 및 구체적인 운전 조건은 아래의 [표 7]과 같다.
Figure 112014102023254-pat00009
상기 HRT는 체류 시간임.
[도 4]는 [표 7]에서 제시된 유입수 농도와 운전 조건으로 단일 혐기성 소화조를 운영 하였을 때 메탄 발생률(COD 제거당 메탄 발생량) 변화를 관찰한 결과이고, 이때 단일 혐기성 소화조의 메탄 발생률(COD 1g을 제거시 발생된 메탄 발생량)은 아래 [표 8]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Figure 112014102023254-pat00010
바이오디젤 생산 과정에서 발생되는 글리세린이 함유된 폐수의 혐기성 소화 촉진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실험을 수행한 결과, 글리세린이 함유된 폐수를 추가 공급하였을 때 메탄 발생률이 글리세린이 함유된 폐수를 주입됨에 따라 증가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메탄 발생률은 글리세린 함유 폐수를 음식물류 폐기물 공급량 대비 15% 공급하였을 때 0.4% 정도 증가하는 반면 20% 공급하였을 때는 10% 이상 증가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Claims (5)

  1. (a) 음식물류 폐기물에 글리세린을 5중량%로 함유한 바이오디젤 폐수를 5%(v/v)~20%(v/v)로 첨가·혼합하는 단계, 및 (b) 그 혼합물을 혐기적으로 소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글리세린 함유 바이오디젤 폐수를 재활용하여 음식물류 폐기물로부터 바이오가스를 생산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혼합물 내 유기물에 대한 질소비(C/N비)는 60 이하, 상기 혼합물 내 유기물에 대한 인(C/P)비는 300 이하가 되도록 상기 혼합물에 영양염을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혐기성 소화는 35~40℃의 온도 범위, pH는 7.0 이상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40145138A 2014-10-24 2014-10-24 글리세린 함유 바이오디젤 폐수를 재활용한 유기성 폐기물의 혐기적 처리 방법 KR1016981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5138A KR101698183B1 (ko) 2014-10-24 2014-10-24 글리세린 함유 바이오디젤 폐수를 재활용한 유기성 폐기물의 혐기적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5138A KR101698183B1 (ko) 2014-10-24 2014-10-24 글리세린 함유 바이오디젤 폐수를 재활용한 유기성 폐기물의 혐기적 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8464A KR20160048464A (ko) 2016-05-04
KR101698183B1 true KR101698183B1 (ko) 2017-01-19

Family

ID=56021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5138A KR101698183B1 (ko) 2014-10-24 2014-10-24 글리세린 함유 바이오디젤 폐수를 재활용한 유기성 폐기물의 혐기적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81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9005A (ko) 2020-01-07 2021-07-15 김보영 재활용 폐글리세린을 이용한 미생물용 에너지원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48191A (ja) * 2005-06-16 2006-12-28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バイオマス循環システム
JP2012039912A (ja) * 2010-08-17 2012-03-01 Osaka Prefecture Univ グリセリンの処理方法および下水余剰汚泥の処理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48191A (ja) * 2005-06-16 2006-12-28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バイオマス循環システム
JP2012039912A (ja) * 2010-08-17 2012-03-01 Osaka Prefecture Univ グリセリンの処理方法および下水余剰汚泥の処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8464A (ko) 2016-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ubair et al. Biological nutrient removal and recovery from solid and liquid livestock manure: Recent advance and perspective
Yellezuome et al. Mitigation of ammonia inhibition in anaerobic digestion of nitrogen-rich substrates for biogas production by ammonia stripping: A review
Fuchs et al. Tackling ammonia inhibition for efficient biogas production from chicken manure: Status and technical trends in Europe and China
Awasthi et al. Biotechnological strategies for bio-transforming biosolid into resources toward circular bio-economy: a review
Khalid et al. Biochar application as sustainable precursors for enhanced anaerobic digestion: A systematic review
Du et al. Stimulating methane production from microalgae by alkaline pretreatment and co-digestion with sludge
CN101285077B (zh) 一种利用水生植物制备短链脂肪酸的方法
CN104342362A (zh) 太阳能餐厨垃圾综合处理装置及垃圾综合处理方法
Razaviarani et al. Algal biomass dual roles in phycoremediation of wastewater and production of bioenergy and value-added products
Czekała et al. Anaerobic digestion and composting as methods of bio-waste management
CN110656133A (zh) 促进废弃活性污泥厌氧发酵生产中链脂肪酸的预处理方法
Jacob et al. Bottlenecks in biomethane production from agro-industrial wastes through anaerobic digestion
Chen et al. A view of anaerobic digestion: microbiology, advantages and optimization
Sinbuathong et al. Effect of the solid content on biogas production from Jatropha curcas seed cake
Sivagurunathan et al. Biohydrogen production from wastewaters
KR100853715B1 (ko) 폐철가루를 이용한 바이오수소의 생산방법
Hussien et al. Tuning dark fermentation operational conditions for improved biohydrogen yield during co-digestion of swine manure and food waste
KR101698183B1 (ko) 글리세린 함유 바이오디젤 폐수를 재활용한 유기성 폐기물의 혐기적 처리 방법
Montusiewicz et al. Characterization of the biomethanization process in selected waste mixtures
CN115807045A (zh) 一种剩余污泥发酵液中碳源高效转化为pha的工艺方法
Gohain et al. Biogas Production through Anaerobic Digestion of Agricultural Wastes: State of Benefits and its Future Trend
CN114214368A (zh) 一种餐厨垃圾的高固厌氧处理方法
CN108249725B (zh) 一种预发酵强化剩余污泥厌氧消化产甲烷的方法
CN106518397A (zh) 利用酒精滤泥制备有机/无机混合活性复合肥方法
CN112723941A (zh) 一种城市生活污泥的保氮、保磷堆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