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6548B1 - 권취량이 증가된 반전기 - Google Patents

권취량이 증가된 반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6548B1
KR101686548B1 KR1020150133838A KR20150133838A KR101686548B1 KR 101686548 B1 KR101686548 B1 KR 101686548B1 KR 1020150133838 A KR1020150133838 A KR 1020150133838A KR 20150133838 A KR20150133838 A KR 20150133838A KR 101686548 B1 KR101686548 B1 KR 1016865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reinforcing tube
outlet
stationary
round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3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철권
Original Assignee
(주)나스텍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나스텍이앤씨 filed Critical (주)나스텍이앤씨
Priority to KR1020150133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65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6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65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8Appliances for use in repairing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 F16L55/165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pipe or flexible liner being inserted in the damaged s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 F16L55/165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pipe or flexible liner being inserted in the damaged section
    • F16L55/1651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pipe or flexible liner being inserted in the damaged section the flexible liner being ever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권취량이 증가된 반전기는, 내부로 고압의 공기가 공급되며 일측에 인출구가 형성된 하우징; 보강튜브가 롤 형태로 감겨지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 중 상기 인출구가 형성된 지점의 반대편에 장착되는 권취롤러; 상기 인출구와 상기 권취롤러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공간에 위치되되, 일단이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복수 개의 거치환봉;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 중 상기 거치환봉 하측에 설치되어, 상면에 안착된 물체를 상기 인출구 측으로 이송시키는 벨트컨베이어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권취롤러에 감겨진 보강튜브 일측이 상기 거치환봉에 걸쳐진 후 상기 인출구로 배출된다. 본 발명에 의한 권취량이 증가된 반전기를 이용하면, 권취롤러에 감겨질 수 있는 양보다 더 많은 양의 보강튜브를 연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므로 보수관로가 매우 긴 경우에도 보수작업을 한 번에 모두 수행할 수 있고, 보강튜브가 보다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으므로 관로보수를 보다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권취량이 증가된 반전기 {Tube reversing apparatus of increased winding volume}
본 발명은 균열 또는 파손이 발생된 노후관로 내부에 연질보강튜브를 관로 내부에 공기압 반전삽입하여 노후관로를 비굴착 방식으로 보수하기 위한 반전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한 번에 긴구간의 노후관로를 보수하기 위하여 기존 반전기보다 연질보강튜브의 권취량을 확대시킨 반전기에 관한 것이다.
국내 상하수도 관로의 개보수공사에 있어 지면을 굴착하고 난후 신관으로 교체하거나 보수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이러한 지면굴착에 의한 관로개보수공법은 종합적인 하수관로가 시급한 상황에서 적절하지 못하다. 즉, 상기 공법은 주변환경을 손상시키고, 또 공사 후 토양의 침식으로 인해 지면의 침하 등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폐기물 처리의 곤란성이 따르며, 혼잡지역의 경우 교통체증을 유발하고, 시민에게 불편을 주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지면을 굴착하지 않고도 상하수관로의 보수를 수행하는 비굴착 공법이 국내 현실에 맞게 다수 개발되어 있다. 이러한 비굴착 공법은 관로의 준설 및 세정, CCTV 탐사, 관로내의 돌출물 커팅, 반전삽입, 증기열경화, 양생 및 연결관 천공작업을 거치는 일련의 과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종래에는 반전기의 연질보강튜브의 권취량에 따라 제한적으로 관로보수 길이가 적용되어 왔다. 이와 같은 경우 반전기의 크기가 과도하게 커질 뿐만 아니라 일정 크기 이상으로 커질 경우 반전기의 차량 적재 자체가 불가능해 긴 길이의 관로보수는 불가능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공기압을 이용하여 연질보강튜브를 반전시키는 권취량이 증가된 반전기(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57586호)가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등록된바 있다. 이때, 다량의 보강튜브를 효과적으로 적재 및 이송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보강튜브는 권취롤러에 감겨져 차량에 적재되는데, 차량의 적재용량에 따라 권취롤러에 감겨질 수 있는 보강튜브의 길이가 한정되는바, 보다 많은 양의 연질보강튜브가 필요한 경우 관로 보수 작업에 많은 어려움이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KR 10-1457586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권취롤러에 감겨질 수 있는 양보다 더 많은 양의 보강튜브를 연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고, 보강튜브가 보다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는 권취량이 증가된 반전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권취량이 증가된 반전기는, 내부로 고압의 공기가 공급되며 일측에 인출구가 형성된 하우징; 보강튜브가 롤 형태로 감겨지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 중 상기 인출구가 형성된 지점의 반대편에 장착되는 권취롤러; 상기 인출구와 상기 권취롤러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공간에 위치되되, 일단이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복수 개의 거치환봉;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 중 상기 거치환봉 하측에 설치되어, 상면에 안착된 물체를 상기 인출구 측으로 이송시키는 벨트컨베이어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권취롤러에 감겨진 보강튜브 일측이 상기 거치환봉에 걸쳐진 후 상기 인출구로 배출된다.
상기 복수 개의 거치환봉은 길이방향이 수평 및 수직하방을 향하도록 회전 가능하되, 각각 개별적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거치환봉에 걸쳐져 있던 보강튜브는 상기 거치환봉이 수직하방을 향하도록 회전되었을 때 상기 벨트컨베이어에 의해 인출구로 이송된다.
상기 벨트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된 보강튜브를 사용자가 선택한 속도로 상기 인출구로 공급하는 속도제어용 피딩롤러를 더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의 측벽 중 거치환봉의 끝단과 대응되는 지점을 상기 거치환봉의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삽입봉과, 상기 삽입봉의 내측단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어 상기 거치환봉의 저면이 안착되는 안착브라켓과, 상기 삽입봉의 외측단으로부터 상기 삽입봉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절곡링크와, 상기 절곡링크의 끝단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손잡이를 구비하는 지지유닛을 더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거치환봉과 대응되는 지점의 천정면에 개폐도어를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거치환봉에 걸쳐진 보강튜브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측벽에 하나 이상의 투시창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한 권취량이 증가된 반전기를 이용하면, 권취롤러에 감겨질 수 있는 양보다 더 많은 양의 보강튜브를 연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므로 보수관로가 매우 긴 경우에도 보수작업을 한 번에 모두 수행할 수 있고, 보강튜브가 보다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으므로 관로보수를 보다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권취량이 증가된 반전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권취량이 증가된 반전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반전기에 포함되는 거치환봉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반전기에 포함되는 지지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권취량이 증가된 반전기의 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권취량이 증가된 반전기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권취량이 증가된 반전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권취량이 증가된 반전기의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반전기에 포함되는 거치환봉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권취량이 증가된 반전기는 균열 또는 파손이 발생된 관로 내부에 보강튜브를 반전시키면서 주입함으로써 관로를 비굴착 방식으로 보수하기 위한 보수장치의 일종으로서, 고압의 공기를 이용하여 상기 보강튜브를 반전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보강튜브는 권취롤러에 롤 형태로 감겨져 차량에 적재되는데, 이와 같이 롤 형태로 감겨진 보강튜브의 하중은 차량의 어느 일부에만 집중적으로 인가되므로, 차량에 적재 가능한 보강튜브의 수량은 차량의 적재용량에 못미친다는 단점이 있다. 즉, 상기 보강튜브를 차량의 적재공간 전체에 걸쳐 고르게 분포시키면 보다 많은 양의 보강튜브를 적재시킬 수 있지만,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보강튜브를 롤 형태로 감으면 보강튜브의 하중을 고르게 분포시키는 것이 불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권취량이 증가된 반전기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보강튜브를 하나의 권취롤러에만 감아 적재하는 것이 아니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튜브(10)의 하중을 보다 넓은 면적에 걸쳐 분배시킴으로써 상기 보강튜브(10) 적재용량을 최대한 증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는 점에 구성상의 가장 큰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권취량이 증가된 반전기는, 내부로 고압의 공기가 공급되며 일측에 인출구(110)가 형성된 하우징(100)과, 보강튜브(10)가 롤 형태로 감겨져 하우징(100) 내에 자전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는 권취롤러(200)와, 상기 인출구(110)와 상기 권취롤러(200)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상기 하우징(100) 내부공간에 위치되되 일단이 상기 하우징(100)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복수 개의 거치환봉(300)과,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공간 중 상기 거치환봉(300) 하측에 설치되어 상면에 안착된 물체(더 명확하게는 상면에 안착된 보강튜브(10))를 상기 인출구(110) 측으로 이송시키는 벨트컨베이어(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권취롤러(200)는 하우징(100)의 내부공간 중 상기 인출구(110)가 형성된 지점의 반대편(도 2에서는 우측편)에 장착되는바, 상기 권취롤러(200)에 감겨진 보강튜브(10)의 일측은 다수 개의 거치환봉(300)에 순차적으로 걸쳐진 후 인출구(110)로 배출되도록 배열된다.
이와 같이 하우징(100)의 인출구(110)와 권취롤러(200) 사이에 다수 개의 거치환봉(300)이 추가로 구비되면, 일부의 보강튜브(10)는 권취롤러(200)에 감겨지고 또 다른 일부의 보강튜브(10)는 다수 개의 거치환봉(300)에 걸쳐지므로, 보강튜브(10)의 자중이 보다 넓은 면적에 걸쳐 분배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보강튜브(10)의 자중이 보다 넓은 면적에 걸쳐 분배되면 상기 보강튜브(10)의 자중이 차량의 적재공간 중 어느 일부에만 집중되는 것이 아니라 차량의 적재공간 전체에 걸쳐 고르게 분포될 수 있으므로, 보다 많은 양의 보강튜브(10)를 차량에 적재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차량에 적재시킬 수 있는 보강튜브(10)의 수량이 증가되면, 한 번에 보수할 수 있는 관로 길이 역시 증가되는바, 관로보수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보강튜브(10)는 이웃하는 두 개의 거치환봉(300) 사이에 위치하는 부위가 아래로 처지게 되는데, 상기 보강튜브(10)의 처짐 길이가 길수록 상기 거치환봉(300)에 걸쳐지는 보강튜브(10)의 양이 증가되는바, 상기 보강튜브(10)는 최대한 길게 처지도록 거치환봉(300)에 거치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보강튜브(10) 중 아래로 처진 부위가 벨트컨베이어(400)에 접촉되면 거치환봉(300)에 걸쳐져 있던 보강튜브(10)가 아래로 떨어져 벨트컨베이어(400) 상에서 엉킬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보강튜브(10)는 벨트컨베이어(400)에 접촉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아래로 처지도록 거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거치환봉(300)의 장착위치가 높을수록 거치환봉(300)에 걸쳐지는 보강튜브(10)의 양이 증가되므로, 상기 거치환봉(300)은 하우징(100)의 내부공간 중 최대한 상측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각 거치환봉(300)에 보강튜브(10)가 걸쳐진 상태에서 하우징(100)의 내부압력이 증가하면 상기 보강튜브(10)는 인출구(110)를 통해 배출되면서 반전되는데, 이때 보강튜브(10)가 인출구(110)를 통해 배출됨에 따라 거치환봉(300)이 하나씩 하향으로 회전되어(도 3 참조), 해당 거치환봉(300)에 걸쳐 있던 보강튜브(10)가 벨트컨베이어(400) 상으로 떨어져 인출구(110) 측으로 공급된다. 이때, 거치환봉(300)에 걸쳐 있던 보강튜브(10)가 벨트컨베이어(400) 상으로 떨어지는 과정에서 다른 거치환봉(300)에 걸쳐 있는 부위와 간섭되거나 엉키지 아니하도록, 상기 다수 개의 거치환봉(300) 중 인출구(110)와 가장 가까운 거치환봉(300)부터 하나씩 하향으로 회전됨이 바람직하다.
모든 거치환봉(300)이 모두 하향으로 회전되면 즉, 각 거치환봉(300)에 걸쳐있던 보강튜브(10)가 모두 인출구(110)로 공급되면, 권취롤러(200)에 감겨져 있던 보강튜브(10)가 풀어지면서 인출구(110) 측으로 공급된다. 상기 권취롤러(200)에서 풀어진 보강튜브(10)는 벨트컨베이어(400)를 타고 인출구(110) 측으로 제공되는바, 권취롤러(200)와 인출구(110) 간의 거리가 멀더라도 권취롤러(200)에서 풀어진 보강튜브(10)는 원활하게 인출구(110) 측으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보강튜브(10)를 각각의 거치환봉(300)에 거는 작업은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작업자가 하우징(100) 내부로 들어가지 아니하더라도 보강튜브(10)를 각 거치환봉(300)에 걸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100)의 천정면에는 개폐도어(120)가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우징(100)에 개폐도어(120)가 마련되면, 작업자는 개폐도어(120)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거치환봉(300)에 보강튜브(10)를 걸 수 있으므로, 보강튜브(10) 거치작업이 용이해진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반전기에 포함되는 지지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권취량이 증가된 반전기의 횡단면도이다.
하우징(100) 내부로 공급된 고압의 공기가 인출구(110) 측으로 용이하게 흐를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100)의 측벽 중 인출구(110)가 형성된 측벽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깔때기와 유사한 형상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인출구(110)가 하우징(100)의 바닥면보다 약간 높은 지점에 형성되면, 벨트컨베이어(400)를 통해 이송된 보강튜브(10)가 인출구(110)로 공급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므로, 상기 벨트컨베이어(400)의 후단측(도 2에서는 좌측)에는 벨트컨베이어(400)에 의해 이송된 보강튜브(10)를 가압하여 이송시키는 속도제어용 피딩롤러(500)가 구비된다.
보수를 하고자 하는 관로의 파손 정도나 관로의 배열방향 등 여러 조건에 따라 보강튜브(10)를 공급하는 속도가 적절하게 증감되어야 하는데,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속도제어용 피딩롤러(500)가 추가로 구비되면, 작업자는 속도제어용 피딩롤러(500)의 회전속도를 변경시킴으로서 보강튜브(10) 공급속도를 시공환경에 맞추어 적절히 증감시킬 수 있는바, 관로보수 작업이 더욱 용이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각각의 거치환봉(300)은 전자제어 방식에 의해 독립적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거치환봉(300)이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될 때 상기 거치환봉(300) 전체가 하우징(100) 내부에 인입되도록 구성되면, 거치환봉(300)을 회전시키고자 할 때마다 개폐도어(120)를 개방시켜야 하므로 하우징(100) 내부로의 공압공기 공급을 중단시켜야 한다. 즉, 작업자가 거치환봉(300)을 회전시킬 때마다 보강튜브(10) 반전을 중단시켜야 하므로, 관로보수를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없게 된다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거치환봉(300)에 보강튜브(10)가 거치되면 거치환봉(300)의 회전축에 매우 큰 토크가 인가되는바, 사용자의 의도에 반하여 거치환봉(300)이 하향으로 회전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반전기는 상기 거치환봉(300)의 끝단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거치환봉(300)의 끝단 지지를 해제하는 지지유닛(600)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유닛(600)은, 하우징(100)의 측벽 중 거치환봉(300)의 끝단과 대응되는 지점을 상기 거치환봉(300)의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삽입봉(610)과, 상기 삽입봉(610)의 내측단(본 실시예에서는 우측단)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어 거치환봉(300)의 저면이 안착되는 안착브라켓(620)과, 상기 삽입봉(610)의 외측단(본 실시예에서는 좌측단)으로부터 상기 삽입봉(610)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절곡링크(630)와, 상기 절곡링크(630)의 끝단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손잡이(6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브라켓(620)이 거치환봉(300)의 저면에 위치하도록 지지유닛(600)이 회전된 상태에서는 해당 거치환봉(300)의 길이방향이 수평을 향하게 되지만, 안착브라켓(620)이 거치환봉(300)의 상면에 위치하도록 사용자가 손잡이(640)를 잡고 지지유닛(600)을 회전시키면(도 3의 가장 좌측 지지유닛(600) 참조), 해당 거치환봉(300)은 끝단이 하측을 향하도록 회전된다.
즉, 사용자는 상기 하우징(100)의 외부로 돌출되는 손잡이(640)를 회전시키는 조작만으로 거치환봉(300)을 아래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지지유닛(600)가 구비되면, 작업자는 하우징(100)의 개폐도어(120)를 열지 아니하고서도 거치환봉(300)을 회전시켜 해당 거치환봉(300)에 걸쳐 있던 보강튜브(10)를 벨트컨베이어(400)에 떨어뜨릴 수 있으므로, 보강튜브(10)를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관로보수 작업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하우징(100) 중 삽입봉(610)이 관통된 부위에 틈새가 발생되면 하우징(100) 내부로 공급된 고압의 공기가 하우징(100) 외부로 유출될 수 있으므로, 상기 하우징(100) 중 삽입봉(610)이 관통된 부위에는 별도의 실링부재가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작업자가 손잡이(640)를 회전시켜 거치환봉(300)을 하향으로 회전시켰을 때 해당 거치환봉(300)에 걸쳐있던 보강튜브(10)가 정상적으로 벨트컨베이어(400)에 떨어지고 있는지를 하우징(100)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우징(100)의 측벽에는 하나 이상의 투시창(130)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우징(100)에 투시창(130)이 구비되면, 작업자는 투시창(130)을 통해 보강튜브(10)의 공급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해 가면서 각 거치환봉(300)을 적절하게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보강튜브(10)를 보다 원활하게 공급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투시창(130)은 높은 압력에도 견딜 수 있도록 강화유리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투시창(130)이 하우징(100)의 측벽 상부에 구비되는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투시창(130)은 거치환봉(300)에 걸쳐진 보강튜브(10)를 하우징(100) 외부로 노출시킬 수만 있다면 하우징(100)의 어느 부위에도 장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 : 보강튜브 100 : 하우징
110 : 인출구 120 : 개폐도어
130 : 투시창 200 : 권취롤러
300 : 거치환봉 400 : 벨트컨베이어
500 : 속도제어용 피딩롤러 600 : 지지유닛
610 : 삽입봉 620 : 안착브라켓
630 : 절곡링크 640 : 손잡이

Claims (6)

  1. 내부로 고압의 공기가 공급되며 일측에 인출구가 형성된 하우징;
    보강튜브가 롤 형태로 감겨지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 중 상기 인출구가 형성된 지점의 반대편에 장착되는 권취롤러;
    상기 인출구와 상기 권취롤러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공간에 위치되되, 일단이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복수 개의 거치환봉;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 중 상기 거치환봉 하측에 설치되어, 상면에 안착된 물체를 상기 인출구 측으로 이송시키는 벨트컨베이어;
    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권취롤러에 감겨진 보강튜브 일측이 상기 거치환봉에 걸쳐진 후 상기 인출구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량이 증가된 반전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거치환봉은 길이방향이 수평 및 수직하방을 향하도록 회전 가능하되, 각각 개별적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거치환봉에 걸쳐져 있던 보강튜브는 상기 거치환봉이 수직하방을 향하도록 회전되었을 때 상기 벨트컨베이어에 의해 인출구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량이 증가된 반전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벨트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된 보강튜브를 사용자가 선택한 속도로 상기 인출구로 공급하는 속도제어용 피딩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량이 증가된 반전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측벽 중 거치환봉의 끝단과 대응되는 지점을 상기 거치환봉의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삽입봉과, 상기 삽입봉의 내측단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어 상기 거치환봉의 저면이 안착되는 안착브라켓과, 상기 삽입봉의 외측단으로부터 상기 삽입봉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절곡링크와, 상기 절곡링크의 끝단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손잡이를 구비하는 지지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량이 증가된 반전기.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거치환봉과 대응되는 지점의 천정면에 개폐도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량이 증가된 반전기.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거치환봉에 걸쳐진 보강튜브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측벽에 하나 이상의 투시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량이 증가된 반전기.
KR1020150133838A 2015-09-22 2015-09-22 권취량이 증가된 반전기 KR1016865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3838A KR101686548B1 (ko) 2015-09-22 2015-09-22 권취량이 증가된 반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3838A KR101686548B1 (ko) 2015-09-22 2015-09-22 권취량이 증가된 반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6548B1 true KR101686548B1 (ko) 2016-12-16

Family

ID=57735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3838A KR101686548B1 (ko) 2015-09-22 2015-09-22 권취량이 증가된 반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654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2988B1 (ko) 2020-05-26 2021-02-08 김종봉 비굴착 관로 보수용 보수튜브 경화보조장치
KR102212992B1 (ko) 2020-05-26 2021-02-08 김종봉 보수튜브 경화보조장치를 이용한 비굴착 관로 보수공법
US11598473B2 (en) 2021-04-27 2023-03-07 Pipe Restoration Llc Inversion liner assist adapt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4989A (ko) * 2008-04-01 2009-10-07 최재현 상하수도 관로 비굴착 장 반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상하수도 관로 보수공법
KR101291611B1 (ko) * 2012-11-26 2013-08-01 반도건설주식회사 트윈 회전롤러와 기류차단 실리콘 고무패드를 이용한 비굴착식 관로보수 공법
JP2014113756A (ja) * 2012-12-10 2014-06-26 Sekisui Chem Co Ltd 反転装置
KR101457586B1 (ko) 2014-06-11 2014-11-04 주식회사 부명건설산업 반전튜브 반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로보수공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4989A (ko) * 2008-04-01 2009-10-07 최재현 상하수도 관로 비굴착 장 반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상하수도 관로 보수공법
KR101291611B1 (ko) * 2012-11-26 2013-08-01 반도건설주식회사 트윈 회전롤러와 기류차단 실리콘 고무패드를 이용한 비굴착식 관로보수 공법
JP2014113756A (ja) * 2012-12-10 2014-06-26 Sekisui Chem Co Ltd 反転装置
KR101457586B1 (ko) 2014-06-11 2014-11-04 주식회사 부명건설산업 반전튜브 반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로보수공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2988B1 (ko) 2020-05-26 2021-02-08 김종봉 비굴착 관로 보수용 보수튜브 경화보조장치
KR102212992B1 (ko) 2020-05-26 2021-02-08 김종봉 보수튜브 경화보조장치를 이용한 비굴착 관로 보수공법
US11598473B2 (en) 2021-04-27 2023-03-07 Pipe Restoration Llc Inversion liner assist adapt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6548B1 (ko) 권취량이 증가된 반전기
US8122913B2 (en) High pressure hose protector
US3972272A (en) Mine brattice
KR101279504B1 (ko) 하수관거 유지보수를 위한 물막이 바이패스 시스템 및 그 물막이 바이패스 방법
KR100886787B1 (ko) 하수암거 차수공법 및 장치
CN210098449U (zh) 一种管道清淤装置
KR101671684B1 (ko) 맨홀보수를 위한 노면의 원형 절단기 및 이를 이용한 맨홀 보수 공법
CN110258540B (zh) 一种钻孔灌注桩的施工方法
CN113530047A (zh) 一种幕墙及其施工方法
KR101117609B1 (ko) 비굴착식 관로 보수장치 및 공법
KR100749672B1 (ko) 표면이 매끄러운 조경석 또는 자연석 가공장치
KR200321707Y1 (ko) 비굴착 관로 보수장치
KR101187670B1 (ko) 높이조절 및 회전수단을 구비한 관로보수용 튜브 반전장치
KR102269518B1 (ko) 반전튜브 공급수단을 구비하는 반전튜브 반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로보수공법
US20210129419A1 (en) Mechanized inverter for pipe liners
KR20180041791A (ko) 토목 건축용 트위스트 철선·철근 부재와 그 제조 방법과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근 콘크리트용 타설철망
JP4514159B2 (ja) マンホール側壁と管との接続部補修装置及び当該補修装置を使用した補修工法
KR101357926B1 (ko) 출토운반차량용 리프트장치
KR102215551B1 (ko) 와인딩식 관거 보수보강 튜브 제조용 스마트 내측 튜브 공급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보수보강 튜브 와인딩 방법
KR101142129B1 (ko) 튜브반전기, 이를 포함하는 비굴착식 관로 보수장치 및 보수공법
CN220549603U (zh) 一种振槽系统
KR101105312B1 (ko) 제관기를 이용한 비굴착 라이닝 시공 장치
JP2000073564A (ja) スリップフォーム工法におけるコンクリート打設設備および打設方法
JP5131654B2 (ja) 円筒形構造物の側壁の回転更新施工法に使用する足場装置
KR20200011234A (ko) 비굴착 상하수도 전체 보수장치 및 보수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