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6454B1 - 다른 식재료 속을 함유한 어묵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다른 식재료 속을 함유한 어묵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86454B1 KR101686454B1 KR1020140037686A KR20140037686A KR101686454B1 KR 101686454 B1 KR101686454 B1 KR 101686454B1 KR 1020140037686 A KR1020140037686 A KR 1020140037686A KR 20140037686 A KR20140037686 A KR 20140037686A KR 101686454 B1 KR101686454 B1 KR 10168645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ight
- ingredients
- beads
- salt
- oligosaccharide
- Prior art date
Links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2
- 235000012970 cakes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5000013312 flour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5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5
- 240000005781 Arachis hypogae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5000020232 peanut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5000013372 meat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29920001542 oligosaccharide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150000002482 oligosaccharides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5000017060 Arachis glabrat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5000010777 Arachis hypogae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5000018262 Arachis monticol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5000014103 egg white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10000000969 egg white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29920001592 potato starch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9000011324 bea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5000019486 Sunflower oil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9000002600 sunflower oi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5000021307 wheat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41001474374 Blennius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10000002969 Egg Yolk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41000238413 Octopus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5000013345 egg yolk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7493 shap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5000019688 fish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8
- 240000003613 Ipomoea batata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5000002678 Ipomoea batata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29940063680 RAW SUGAR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5000012907 honey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41000209140 Tritic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5000013601 egg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5000008939 whole milk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5000014102 seafood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5000008476 powdered milk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40000001016 Solanum tuberos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1068 loa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11194 food seasoning agent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41000209094 Oryza Species 0.000 claims 7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1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41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9
- 235000013871 bee wax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12166 beeswax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5000013580 sausages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40000008529 Triticum aestivum Species 0.000 abstract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9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5000019640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5000016709 nutriti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7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10000003491 Skin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075 main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5764 nutr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2472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792 add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9698 starch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8107 star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4080 Milk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06010057190 Respiratory tract infec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2595 Solanum tuberos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SRBFZHDQGSBBOR-SQOUGZDYSA-N Xylose Natural products O[C@@H]1CO[C@@H](O)[C@@H](O)[C@@H]1O SRBFZHDQGSBBOR-SQOUGZDY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527 bean cur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828 e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804 emulsify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3599 food sweeten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205 fragr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65 increased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36 milk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267 mil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NBIIXXVUZAFLBC-UHFFFAOYSA-N phosphoric acid Chemical compound OP(O)(O)=O NBIIXXVUZAFLB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8102 protei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765 sweeten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522 swel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2234 Allium sativ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144730 Amygdalus persic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566 Capsi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ZAQJHHRNXZUBTE-WUJLRWPWSA-N D-xylulose Chemical compound OC[C@@H](O)[C@H](O)C(=O)CO ZAQJHHRNXZUBTE-WUJLRWPWSA-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049 Juglans reg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496 Juglans regi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0599 Lentinula edod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23462 Paste Product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002 Pe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6761 Piper adun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804 Piper guineen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0129 Piper nigr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184 Piper nigr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1462 Pleurotus ostreat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603 Pleurotus ostreat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69338 Potassium Sorb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CHHHXKFHOYLYRE-STWYSWDKSA-M Potassium sorbate Chemical compound [K+].C\C=C\C=C\C([O-])=O CHHHXKFHOYLYRE-STWYSWDKSA-M 0.000 description 1
- OTYBMLCTZGSZBG-UHFFFAOYSA-L Potassium sulfate Chemical compound [K+].[K+].[O-]S([O-])(=O)=O OTYBMLCTZGSZBG-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040 Prunus persica var persic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269821 Scombr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45997 Vitamin A Drugs 0.000 description 1
- FPIPGXGPPPQFEQ-BOOMUCAASA-N Vitamin A Natural products OC/C=C(/C)\C=C\C=C(\C)/C=C/C1=C(C)CCCC1(C)C FPIPGXGPPPQFEQ-BOOMUCAASA-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268 Woo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487 Xylose Drug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329 Zingiber officinal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886 Zingiber officinal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FPIPGXGPPPQFEQ-OVSJKPMPSA-N all-trans-retinol Chemical compound OC\C=C(/C)\C=C\C=C(/C)\C=C\C1=C(C)CCCC1(C)C FPIPGXGPPPQFEQ-OVSJKPMP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147 aluminium phosph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120 animal prote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58 bitter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OYPRJOBELJOOCE-UHFFFAOYSA-N calcium Chemical compound [Ca] OYPRJOBELJOOC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5 calc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1 calc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39 cerea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40 col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62 cooking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42 deteriorativ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9087 diges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45 emuls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410 fast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89 fasten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49 f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73 food additiv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78 food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41 food compon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417 food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4611 garlic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189 garnish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397 ging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41000411851 herbal medicin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4213 low-f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640 mackere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622 meat produc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20 moisturiz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923 monosodium glutam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445 natural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30014626 natural products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02 potassium sorb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241 potassium sorb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939 potassium sulf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120 potassium sulph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151 potassium sulpha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995 raw m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471 retin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992 sak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43 salty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49 soybean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424 soybean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858 star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65 surimi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122 unsaturated fatty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670 unsaturated fatty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55 vitamin 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19 vitamin A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234 walnu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990 white m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87 whiten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50—Mollusc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20—Making of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e.g. by wrapping in preformed edible dough sheets or in edible food containers
Abstract
본 발명은 별도의 식재료가 속에 위치하여 추가된 식재료의 높은 풍미를 제공하고, 또한 천연 재료만으로 구성하여 건강적 측면이 우수한 다른 식재료 속을 함유한 어묵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속살과 속살 외부에 겉살로 이루어지는 다른 식재료 속을 함유한 어묵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장어연육 18 내지 22중량%, 볶은 소금 0.8 내지 1.2중량%, 해물추출물 9 내지 11중량%, 난백 8 내지 10중량%, 감자전분 8 내지 10중량%, 전란 8 내지 12중량%, 찹쌀가루 7 내지 9중량%, 우리밀가루 12 내지 15중량%, 전지분유 5 내지 7중량%, 유기원당 0.5 내지 1.5중량%, 베이킹파우드 0.8 내지 1.2중량%, 올리고당 2 내지 3중량%, 해바라기유 1.5 내지 2.5중량%, 청주 0.8 내지 1.2중량%, 땅콩 5 내지 7중량%를 포함하는 겉살을 준비하는 겉살 준비 단계; 문어를 포함하는 속살을 준비하는 속살 준비 단계; 및 상기 겉살을 전체 어묵에 65 내지 70중량%이고 나머지가 속살로 구성하되, 상기 겉살이 상기 속살을 감싸는 형태로 155℃ 내지 165℃ 환경하에서 8 내지 12분간 구워 성형하는 성형 단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속살과 속살 외부에 겉살로 이루어지는 다른 식재료 속을 함유한 어묵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장어연육 18 내지 22중량%, 볶은 소금 0.8 내지 1.2중량%, 해물추출물 9 내지 11중량%, 난백 8 내지 10중량%, 감자전분 8 내지 10중량%, 전란 8 내지 12중량%, 찹쌀가루 7 내지 9중량%, 우리밀가루 12 내지 15중량%, 전지분유 5 내지 7중량%, 유기원당 0.5 내지 1.5중량%, 베이킹파우드 0.8 내지 1.2중량%, 올리고당 2 내지 3중량%, 해바라기유 1.5 내지 2.5중량%, 청주 0.8 내지 1.2중량%, 땅콩 5 내지 7중량%를 포함하는 겉살을 준비하는 겉살 준비 단계; 문어를 포함하는 속살을 준비하는 속살 준비 단계; 및 상기 겉살을 전체 어묵에 65 내지 70중량%이고 나머지가 속살로 구성하되, 상기 겉살이 상기 속살을 감싸는 형태로 155℃ 내지 165℃ 환경하에서 8 내지 12분간 구워 성형하는 성형 단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다른 식재료 속을 함유한 어묵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위치하는 별도의 식재료를 어묵이 감싸는 형태의 다른 식재료 속을 함유한 어묵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묵은 어육을 주원료로 하는 어육가공품으로 어육에 식염을 첨가하여 반죽을 만든 후 여러 가지 부원료를 가하여 특정한 형태로 성형한 후, 찌거나, 삶거나, 굽거나, 식용유에 튀켜 제조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어묵은 생선살이 주재료로 활용되므로 소화흡수율이 높고 맛도 좋을 뿐만 아니라 단백질과 칼슘이 풍부하고, 특히 저 칼로리, 저지방 식품의 특성을 나타낸다.
또한, 어묵은 그 종류와 형태가 다양하고 조리방법도 간단해서 어떤 형태의 조리에도 다양하게 응용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다른 동물성 단백질식품류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여 일반 서민들이 많이 애용하는 식품이다.
또한, 어육을 주원료로하는 구성에서 다양한 식재료를 추가한 어묵들이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공개특허 제2003-0002457호에는 팽이버섯, 느타리버섯, 양송이버섯, 표고버섯 또는 새송이버섯 0.1∼20중량%; 어육 수리미(surimi) 43 중량%; 밀가루 9.5 중량%; 프로민 4 중량%; 설탕 1.5 중량%; 소금 1.05 중량%; MSG 0.25 중량%; D-크실로스 0.2 중량%; 칼륨솔베이트 0.1 중량%; 및 물 20.4∼40.3 중량%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 함유 어묵이 제안되어 있었어, 종래와 다른 풍미를 제공한다.
또한, 등록특허 제507848호에는 백색육 고기풀 60 내지 80중량%, 멥쌀가루, 찹쌀가루 또는 이들의 혼합가루 5 내지 20중량%, 소금 1 내지 3중량%, 인산 0.3 내지 0.7중량%, 솔빈산 칼륨(potassium sorbate) 0.001 내지 0.01중량%, 자일로오스(xylose) 0.1 내지 0.5중량%, 콩기름(soybean oil) 3 내지 7중량%, L-소디움글루타매이트(L-sodium glutamate) 0.1 내지 0.5중량%, 및 잔량으로써 밀가루, 야채, 해산물, 및 한약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성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쌀 어묵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1089556호에는 배스 40~44중량%, 소금1~3중량%, 얼음조각 3~5중량%, 전분 16~20중량%, 조미술 1~3중량%, 당근과 양파로 이루어진 다진야채 10~14중량%, 생강즙 1~1.5중량%, 다진마늘 1~1.5중량%, 후추 0.3~1중량%, 물 13~17중량% 및 난백 1.5~2.5중량%로 이루어지는 배스 어묵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들은 별도의 재료를 이용하여 독특한 풍미를 제공하는 것에서 종래 어육만을 이용하는 어묵과 차별되나, 별도의 재료들이 기존 재료에 혼합되어 구성되어 추가된 재료의 풍미가 저감되는 점과 또한 보존성 등을 위해서 일부 식품 첨가물이 추가되는 점에서 종래 어묵과의 차별성이 미약한 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별도의 식재료가 속에 위치하여 추가된 식재료의 높은 풍미를 제공하고, 또한 천연 재료만으로 구성하여 건강적 측면이 우수한 다른 식재료 속을 함유한 어묵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속살과 속살 외부에 겉살로 이루어지는 다른 식재료 속을 함유한 어묵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장어연육 18 내지 22중량%, 볶은 소금 0.8 내지 1.2중량%, 해물추출물 9 내지 11중량%, 난백 8 내지 10중량%, 감자전분 8 내지 10중량%, 전란 8 내지 12중량%, 찹쌀가루 7 내지 9중량%, 우리밀가루 12 내지 15중량%, 전지분유 5 내지 7중량%, 유기원당 0.5 내지 1.5중량%, 베이킹파우드 0.8 내지 1.2중량%, 올리고당 2 내지 3중량%, 해바라기유 1.5 내지 2.5중량%, 청주 0.8 내지 1.2중량%, 땅콩 5 내지 7중량%를 포함하는 겉살을 준비하는 겉살 준비 단계; 문어를 포함하는 속살을 준비하는 속살 준비 단계; 및 상기 겉살을 전체 어묵에 65 내지 70중량%이고 나머지가 속살로 구성하되, 상기 겉살이 상기 속살을 감싸는 형태로 155℃ 내지 165℃ 환경하에서 8 내지 12분간 구워 성형하는 성형 단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에 속살과 속살 외부에 겉살로 이루어지는 다른 식재료 속을 함유한 어묵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장어연육 18 내지 22중량%, 볶은 소금 0.8 내지 1.2중량%, 해물추출물 9 내지 11중량%, 난백 8 내지 10중량%, 감자전분 8 내지 10중량%, 전란 8 내지 12중량%, 찹쌀가루 7 내지 9중량%, 우리밀가루 12 내지 15중량%, 전지분유 5 내지 7중량%, 유기원당 0.5 내지 1.5중량%, 베이킹파우드 0.8 내지 1.2중량%, 올리고당 2 내지 3중량%, 해바라기유 1.5 내지 2.5중량%, 청주 0.8 내지 1.2중량%, 땅콩 5 내지 7중량%를 포함하는 겉살을 준비하는 겉살 준비 단계; 고구마 70. 내지 74.중량%, 꿀 2. 내지 2.50%, 볶은 소금 0.2 내지 0.25중량%, 올리고당 7. 내지 7.5중량%, 유기원당 2. 내지 2.5중량% 및 땅콩 14. 내지 15.중량%를 포함하는 속살을 준비하는 속살 준비 단계; 및 상기 겉살을 전체 어묵에 65 내지 70중량%이고 나머지가 속살로 구성하되, 상기 겉살이 상기 속살을 감싸는 형태로 155℃ 내지 165℃ 환경하에서 8 내지 12분간 구워 성형하는 성형 단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겉살 준비 단계는 장어 연육을 세절하는 장어 연육 세절 단계; 소금을 혼합하는 소금 혼합 단계; 해물 추출물, 난백 감자전분, 전란 찹쌀가루, 우리 밀가루, 전지 분유, 유기원당, 베이킹 파우드, 올리고당, 해바라기유 및 청주를 투입하는 부재료 혼합 단계;및 땅콩을 투입하는 땅콩 투입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재료 혼합 단계는: 해물 추출물을 투입하는 해물 추출물 투입 단계; 난백을 투입하는 난백 투입 단계; 감자 전분을 투입하는 감자전분 투입 단계; 전란을 투입하는 전란 투입 단계; 찹쌀가루를 투입하는 찹쌀가루 투입 단계; 우리 밀가루를 투입하는 우리 밀가루 투입 단계; 전지 분유와 유기원당을 투입하는 전지 분유와 유기원당 투입 단계; 베이킹 파우드를 투입하는 베이킹 파우드 투입 단계: 및 올리고당, 해바라기유 및 청주를 투입하는 기타 부재료 투입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장어 연육 세절 단계에서 배합기는 1,000 내지 1,400rpm으로 10 내지 15분간 배합하고, 상기 소금 혼합 단계에서 배합기는 1,000 내지 1,400rpm으로 20 내지 25분 배합하며, 상기 땅콩 투입 단계에서 배합기는 700 내지 900rpm으로 20초 내지 40초간 배합하며, 해물 추출물 투입 단계, 난백 투입 단계, 감자전분 투입 단계, 전란 투입 단계, 찹쌀가루 투입 단계, 우리 밀가루 투입 단계, 전지 분유와 유기원당 투입 단계, 베이킹 파우드 투입 단계 및 기타 부재료 투입 단계에서의 배합기는 700 내지 900rpm으로 0.8분 내지 1.2분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속살 준비 단계는: 고구마를 가공하는 고구마 가공 단계; 꿀을 투입하는 꿀 투입 단계; 소금을 투입하는 소금 투입 단계; 올리고당과 유기원당을 투입하는 올리고당과 유기원당 투입 단계; 및 땅콩을 투입하는 땅콩 투입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구마 가공 단계에서 배합기는 1,000 내지 1,400rpm에서 1.5분 내지 2.5분 배합하고, 꿀 투입 단계, 소금 투입 단계 및 올리고당과 유기원당 투입 단계에서 배합기는 700 내지 900rpm에서 0.8분 내지 1.2분 배합하고, 상기 속살 준비 단계의 땅콩 투입 단계에서 배합기는 700 내지 900rpm으로 20초 내지 40초간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식재료 속을 함유한 어묵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어묵은 별도의 식재료에 의한 내부 속과 상기 속을 감싸는 천연재료만으로 구성되는 외부로 구성되어, 내부 속에 의한 풍미와 외부에 의한 종래 어묵의 풍미를 느낄 수 있어, 더욱 상승된 어묵의 풍미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외부에 사용되는 재료를 천연재료만으로 구성하여 건강 측면에서 유익한 어묵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어묵의 단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절차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겉살 준비 단계의 절차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속살 준비 단계의 절차도이며,
도 5는 실시예 1에 의하여 제조된 어묵의 외형과 단면이며,
도 6은 실시예 2에 의하여 제조된 어묵의 외형과 단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절차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겉살 준비 단계의 절차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속살 준비 단계의 절차도이며,
도 5는 실시예 1에 의하여 제조된 어묵의 외형과 단면이며,
도 6은 실시예 2에 의하여 제조된 어묵의 외형과 단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으로 제조 어묵(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위치하는 속살(1)과 상기 속을 감싸는 형태의 겉살(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속살(1)은 겉살(2)과 다른 식재료를 이용하며, 예를 들면, 조미된 문어, 조미된 장어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다른 조미된 식재료로도 구성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고구마를 원재료로 하는 고명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겉살(2)의 재료는 통상의 어묵 풍미를 나타내는 것으로 장어연육과 밀가루를 주재료로 하여 구성되어 부드러운 식감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겉살(2)은 전체 어묵(10)에 대하여 65 내지 70중량%로 비율로 설정되며, 반대로 상기 속살(1)은 30중량% 내지 35중량%로 이루어진다.
상기 겉살(2)이 65중량% 미만인 경우 속살(1)의 풍미가 너무 높아 겉살(2)의 풍미가 약화되고, 7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겉살(2)의 풍미가 너무 높아 역시 부적절하다.
또한 상기 어묵(10)의 형상은 구형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전체 무게는 15g 내지 20g으로 구성하면, 한번에 섭취하기에 편리하다.
상기 속살(1)의 성분은 다음과 같다.
문어:
상기 속살(1)이 문어인 경우 적절한 크기로 절단하여 성형하여 구성한다.
상기 문어는 자체의 독특한 풍미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고명:
한편, 상기 속살(1)이 고명인 경우, 고구마 70. 내지 74.중량%, 꿀 2. 내지 2.50%, 볶은 소금 0.2 내지 0.25중량%, 올리고당 7. 내지 7.5중량%, 유기원당 2. 내지 2.5중량% 및 땅콩 14. 내지 15.중량%의 성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구마는 찐고구마로 속살만으로 구성하며, 고구마 특유의 감미와 색상 그리고 영양을 공급한다. 70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고구마의 풍미와 식감이 약해지며, 74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식감이 감소한다.
상기 꿀은 향긋한 식감과 향을 부여하는 역할 그리고 부패를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 하며, 2중량% 미만인 경우 꿀의 효과가 약하고, 2.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단맛이 너무 강하게 나타난다.
상기 볶은 소금은 전체 맛을 증가시키는 것과 동시에 맛의 균형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0.2 내지 0.25중량%가 적절하다.
상기 올리고당 역시 감미료 역할로 전체 맛을 증가시키고 맛의 균형을 조절하며, 7 내지 7.5중량%가 적절하다.
상기 유기원당 역시 상기 올리고당과 같은 감미료 역할을 하며, 2 내지 2.5중량%가 적절하다.
상기 땅콩은 풍미를 위한 것으로 껍질을 제거한 볶은 땅콩이 적절하며, 특히 고구마와 혼합되는 경우 상승된 풍미를 제공한다. 이때 14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땅콩의 풍미가 약하고, 1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강한 땅콩의 풍미로 전체 어묵(100)의 풍미가 약화된다.
다음은 겉살(2)의 성분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겉살(2)은 장어연육 18 내지 22중량%, 볶은 소금 0.8 내지 1.2중량%, 해물추출물 9 내지 11중량%, 난백 8 내지 10중량%, 감자전분 8 내지 10중량%, 전란 8 내지 12중량%, 찹쌀가루 7 내지 9중량%, 우리밀가루 12 내지 15중량%, 전지분유 5 내지 7중량%, 유기원당 0.5 내지 1.5중량%, 베이킹파우드 0.8 내지 1.2중량%, 올리고당 2 내지 3중량%, 해바라기유 1.5 내지 2.5중량%, 청주 0.8 내지 1.2중량%, 땅콩 5 내지 7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장어연육은 갯장어가 바람직하며, 순분함량이 70 내지 80%이며, 설탕이 5 내지 7중량% 함유된 것이 적절하다.
상기 장어연육은 불포화지방산과 비타민 A가 풍부하여 다양한 효과를 제공하며, 갯장어 특유의 풍미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으며, 18 내지 22중량%가 적절하다. 상기 장어연육이 18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장어의 풍미가 약하고, 22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부재료의 비율이 줄어들어 탄력 등에서 불리하며, 또한 가격적인 측면에서 불리하다.
그리고 상기 볶은 소금은 장어연육의 담백질의 용출 효과의 제공, 맛을 강화시키고 부패를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하며 0.8 내지 1.2중량%가 적절하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담백질 용출 효과가 미미하거나, 짠맛이 강하여 불리하다.
상기 해물추출물은 통상의 해물추출물이며, 전체 풍미를 향상시키는 천연조미료 역할과 영양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9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풍미의 증가가 약하고, 11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해물추출물의 풍미가 강하여 불리하다.
필요한 경우 상기 해물추출물은 다른 구성의 천연 추출물로 대체될 수도 있으며, 조성 역시 천연물로 변경 가능하다.
상기 난백은 제품의 부드러운 탄력과 윤택 그리고 영양의 공급을 위하여 첨가되는 성분으로 8 내지 10중량%가 적절하며, 상기 범위 이외에는 상기 효과가 미미하거나, 과다하게 표출되어 불리하다.
상기 감자전분은 탄력을 증가, 유화력을 향상, 증량 효과 그리고 색택을 개선하는 성분으로 8 내지 10중량%가 적절하다.
여기서 감자전분이 8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탄력의 증가가 미미하고, 1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과도한 탄력으로 제품성을 약화시킨다.
상기 전란은 난황과 난백을 혼합한 것으로 풍미를 향상시키고, 색상 보강 그리고 조직감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는 성분으로 8 내지 12중량%가 적절하며,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그 효과가 미미하거나, 과도하여 부적절하다.
상기 찹쌀가루는 분말 형태로 포함되며, 고소한 향미를 증가시키고, 탄력 증가 그리고 색감을 증진시키는 역할을 하는 성분으로 7 내지 9중량%가 적절하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역시 그 효과가 미미하거나 과도하여 제품성을 약화시킨다.
상기 우리밀가루는 장어연육과 더불어 겉살(2)의 주를 이루는 것으로, 증량효과, 결속성 제공, 제품 팽윤 및 조직감 상승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성분으로 12 내지 15중량%가 바람직하다.
12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결속성이나 조직감이 낮아 상품성이 부적절하며, 1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풍미를 급감시켜 역시 제품성을 약화시킨다.
상기 전지분유는 향미 증진, 유화촉진 및 영양공급을 위하여 제공되는 성분으로 5 내지 7중량%가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효과가 미미하거나, 강한 효과로 인하여 전체 제품의 풍미를 저하시킨다.
상기 유기원당은 감미를 보완하고 발색을 향상시키며 제품부패를 방지하는 효과를 위한 성분으로 0.5 내지 1.5중량%가 바람직하며,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역시 효과가 미미하거나, 강한 효과로 인하여 전체 제품의 풍미를 저하시킨다.
상기 베이킹파우드는 제품을 팽윤시켜 부드러운 식감을 제공하고, 또한 외관형태를 유지하는 역할을 하는 성분으로 0.8 내지 1.2중량%가 바람직하며, 0.8중량%미만인 경우에는 팽윤 효과가 미미하고, 1.2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베이킹파우드 자체의 맛으로 인하여 전체 풍미를 저하시킨다.
상기 올리고당은 청량 감미, 영양 보강 및 향을 보강하는 역할을 제공하는 성분으로 2 내지 3중량%가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역시 효과가 미미하거나, 강한 효과로 인하여 전체 제품의 풍미를 저하시킨다.
상기 해바라기유는 유화력과 풍미 증진 및 영양 보강을 위한 성분으로 1.5 내지 2.5중량%가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역시 효과가 미미하거나, 강한 효과로 인하여 전체 제품의 풍미를 저하시킨다.
상기 청주는 잡내를 제거하고 풍미를 향상시키며 더불어 부패를 방지하기 위한 성분으로 0.8 내지 1.2중량%가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역시 효과가 미미하거나, 강한 효과로 인하여 전체 제품의 풍미를 저하시킨다.
마지막으로 상기 땅콩은 조각으로 구성되며, 고소한 맛을 제공하고 또한 영양 공급의 위한 성분으로 5 내지 7중량%가 바람직하다. 5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고소한 맛의 발현이 미미하고, 7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고소한 맛이 너무 강해 전체 풍미를 저감시킨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어묵(10)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어묵의 제조 방법은 겉살 준비 단계(S1), 속살 준비 단계(S2) 및 성형 단계(S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겉살 준비 단계(S1)는 장어 연육 세절 단계(S1-1), 소금 혼합 단계(S1-2), 해물 추출물 투입 단계(S1-3), 난백 투입 단계(S1-4), 감자전분 투입 단계(S1-5), 전란 투입 단계(S1-6), 찹쌀가루 투입 단계(S1-7), 우리 밀가루 투입 단계(S1-8), 전지 분유와 유기원당 투입 단계(S1-9), 베이킹 파우드 투입 단계(S1-10), 기타 부재료 투입 단계(S1-11) 및 땅콩 투입 단계(S1-12)를 포함한 전체 12개의 단계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속살 준비 단계(S2)는 문어인 경우, 조미 문어를 준비하는 것으로 완료되고, 고구마인 경우 고구마 가공 단계(S2-1), 꿀 투입 단계(S2-2), 소금 투입 단계(S2-3), 올리고당과 유기원당 투입 단계(S2-4) 및 땅콩 투입 단계(S2-5)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와 같은 성분의 속살(1)과 겉살(2)은 반죽 형태로 제조되며, 제조된 반죽을 이용하여 구워서 최종 어묵(10)을 완성한다.
먼저 상기 겉살 준비 단계(S1)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기서 조성물의 비율은 겉살 준비 단계(S1)가 완료된 후, 겉살 반죽을 100중량%로 하는 경우의 비율이며, 단계 중간에 온도 조절을 위하여 투입되는 얼음 등은 제외한다.
상기 겉살 준비 단계(S1)는 냉동 장어 연육을 4 내지 5℃에서 8 내지 12시간 해동한 후, 수분 함량이 76 내지 77%의 장어연육 18 내지 22중량%를 배합기에서 1,000 내지 1,400rpm으로 10 내지 15분 세절하여 연육의 온도를 1 내지 2℃로 조절하는 장어 연육 세절 단계(S1-1)를 먼저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장어는 어떠한 장어도 무방하나, 풍미를 위하여 갯장어가 바람직하며, 연육에 탄력을 위하여 설탕이 전체 연육에 대하여 5 내지 7중량% 추가되어 있다.
상기 연육 세절 단계(S1-1)가 수행된 후에는 볶은 소금 0.8 내지 1.2중량%를 투입하여 1,000 내지 1,400rpm으로 20 내지 25분 배합하는 소금 혼합 단계(S1-2)가 수행되며, 이때 연육의 온도를 5 내지 6℃로 조절하여 장어 연육의 담백질 용출을 유도한다.
이후에는 다른 부재료를 한번에 투입하여 배합기를 700 내지 900rpm으로 10분 내지 12분 혼합하는 경우 전체 겉살 반죽을 완성할 수 있으나, 다른 부재료를 순차적으로 투입하여 겉살 반죽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원부재료의 혼합 특성이 우수하여 이하의 단계를 설명한다.
상기 소금 혼합 단계(S1-2) 이후에는 배합기를 700 내지 900rpm으로 고정하여 혼합을 진행한다.
상기 단계 이후에는 해물추출물 9 내지 11중량%를 투입한 후 0.8분 내지 1.2분 혼합하는 해물 추출물 투입 단계(S1-3)가 수행된다.
상기 단계 이후에는 난백 8 내지 10중량%를 투입한 후 0.8분 내지 1.2분 혼합하는 난백 투입 단계(S1-4)가 수행된다.
이후에는 감자전분 8 내지 10중량%를 투입한 후 0.8분 내지 1.2분 혼합하는 감자전분 투입 단계(S1-5)가 수행된다.
이후에는 전란 8 내지 12중량%를 투입한 후 0.8분 내지 1.2분 혼합하는 전란 투입 단계(S1-6)가 수행된다.
이후에는 찹쌀가루 7 내지 9중량%를 투입한 후 0.8분 내지 1.2분 혼합하는 찹쌀가루 투입 단계(S1-7)가 수행된다.
이후에는 우리밀가루 12 내지 15중량%를 투입한 후 0.8분 내지 1.2분 혼합하는 우리 밀가루 투입 단계(S1-8)가 수행된다.
이후에는 전지분유 5 내지 7중량%와 유기원당 0.5 내지 1.5중량%를 동시에 투입한 후 0.8분 내지 1.2분 혼합하는 전지 분유와 유기원당 투입 단계(S1-9)가 수행된다.
이후에는 베이킹파우드 0.8 내지 1.2중량%를 투입한 후 0.8분 내지 1.2분 혼합하는 베이킹 파우드 투입 단계(S1-10)가 수행된다.
이후에는 올리고당 2 내지 3중량%, 해바라기유 1.5 내지 2.5중량% 그리고 청주 0.8 내지 1.2중량%를 동시에 투입한 후 0.8분 내지 1.2분 혼합하는 기타 부재료 투입 단계(S1-11)가 수행된다.
마지막으로 땅콩 5 내지 7중량%를 투입한 후 20초 내지 40초간 혼합하는 땅콩 투입 단계(S1-12)가 수행된다.
상기 땅콩은 상기 시간을 초과하여 혼합하는 경우 땅콩 조각이 분쇄되어 땅콩 자체의 풍미와 식감이 저하되고, 상기 시간 미만으로 혼합하는 경우 잘 혼합되지 않는다.
땅콩을 제외하고는 0.8분 내지 1.2분 범위에서 적절히 혼합된다.
다음은 속살 준비 단계(S2)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속살 준비 단계(S2)에서 속살이 문어인 경우에는 5g 단위로 절단하여 세척하여 준비하는 것으로 완료된다.
그리고 상기 속살이 고명인 경우에는 먼저 찐고구마의 속살을 배합기에 투입하여 1,000 내지 1,400rpm에서 1.5분 내지 2.5분 가공하는 고구마 가공 단계(S2-1)가 수행된다.
이후에는 배합기를 700 내지 900rpm으로 설정하여 부재로들을 투입하여 혼합하며, 이때 땅콩을 제외하고는 모든 재료를 한번에 투입하여 혼합할 수도 있으나, 반죽의 혼합율을 올리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투입 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고구마 가공 단계(S2-1) 이후에는 꿀 2. 내지 2.50중량%를 투입하고 0.8분 내지 1.2분 혼합하는 꿀 투입 단계(S2-2)가 수행된다.
이후 볶은 소금 0.2 내지 0.25중량%를 투입하고 0.8분 내지 1.2분 혼합하는 소금 투입 단계(S2-3)가 수행된다.
이후에는 올리고당 7. 내지 7.5중량%와 유기원당 2. 내지 2.5중량%를 동시에 투입하고 0.8분 내지 1.2분 혼합하는 올리고당과 유기원당 투입 단계(S2-4)가 수행된다.
마지막으로 땅콩 14. 내지 15.중량%를 투입하여 후 20초 내지 40초간 혼합하는 땅콩 투입 단계(S2-5)가 수행되어 전체 속살 반죽이 완성된다.
그리고 상기 성형 단계(S3)는 준비된 2개의 반죽을 이용하여 구워서 어묵을 완성하는 단계로 다음과 같이 수행한다.
이때 반죽의 성형은 2개로 구성되는 몰드를 이용하여 성형되며, 상기 몰드는 어묵(10)의 형상의 내부 공간을 형성되어 있다.
먼저 상기 몰드를 155℃ 내지 165℃로 가열한 후, 물드를 분리한 후, 내부 공간에 겉살(2) 반죽을 1/2 투입한 후, 속살(1) 반죽을 상기 겉살(2) 반죽 위에 투입한다. 이후 나머지 부분에 겉살(2) 1/2를 투입한 전체 몰드를 결합한 후, 4 내지 6분후에 몰드를 뒤집고 나머지 면으로 역시 4 내지 6 분 가열한 후에 구워진 어묵(10)을 몰드에서 배출하여 최종 완성한다. 이때 상기 몰드 온도는 155℃ 내지 165℃로 유지한다.
즉, 전체적으로 155℃ 내지 165℃ 환경하에서 8 내지 12분을 가열하여 어묵(10)을 제조한다.
실시예 1
겉살 반죽을 장어연육 20중량%, 볶은 소금 1중량%, 해물추출물 10중량%, 난백 9중량%, 감자전분 9중량%, 전란 10중량%, 찹쌀가루 8중량%, 우리밀가루 13.5중량%, 전지분유 6중량%, 유기원당 1중량%, 베이킹파우드 1중량%, 올리고당 2.5중량%, 해바라기유 2중량%, 청주 1중량%, 땅콩 6중량%를 포함하는 성분으로 구성하였다.
이때 장아연육은 갯장어로 수분 함유 76% 설탕을 6.3%포함된 것으로 배합기의 회전수를 1,200rpm으로 10분간 육갈이를 한 후 볶은 소금을 투입한 후 25분가 추가로 배합하여 장어육의 담백질 용출을 완료한 후, 해물추출물, 난백, 감자전분, 전란, 참쌀가루, 우리밀가루, 전지분유와 유기원당, 베이킹 파우드, 올리고당과 해바라기유와 청주, 땅콩 순으로 투입하고 각 투입 단계별로 1분간 800rpm으로 배합하고, 마지막 땅콩은 20초간 배합하여 겉살 반죽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문어를 5g으로 절단한 후 세척하여 속살로 준비하였다.
이후, 160℃로 가열된 몰드에 겉살 1/2, 속살, 겉살 1/2 순으로 투입한 후, 한면당 5분씩 전체 10분을 구워 속살 5g을 포함하는 16g의 어묵 제품을 완성하였다.
실시예 2
겉살 반죽은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준비하였으며, 속살은 고구마 73.21중량%, 꿀 2.23중량%, 볶은 소금 0.24중량%, 올리고당 7.32중량%, 유기원당 2.3중량%, 땅콩 14.7중량%를 준비한 후, 고구마를 1,200rpm의 배합기에서 2분간 가공하고, 800rpm으로 꿀, 볶은 소금, 올리고당과 유기원당 순으로 각각 투입한 후 1분씩 배합하고, 마지막으로 땅콩을 투입한 후 20초간 배합하여 속살 반죽을 준비하였다.
그리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성형한 어묵 제품을 완성하였다.
평가예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의하여 제조된 어묵의 외형 사진과 절단된 사진을 도 5 및 도 6에 도시하였다.
도 5는 실시예 1에 의하여 제조된 어묵이고 도 6은 실시예 2에 의하여 제조된 어묵으로 통상의 호두과자 정도의 크기로 내부에는 해당속이 포함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어묵을 9명의 평가단으로부터, 풍미, 식감 및 모양에 대하여 평가받았다. 전체적인 평가 결과, 외형은 작은 원형의 형태로 한번에 시식하기에 긍적적인 평가가 있었으며, 겉살은 종래 어묵과 달리 매우 부드러운 식감을 제공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풍미 역시 실시예 1은 문어와 장어가 혼합되어 적절한 맛이 도출된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실시예 2는 좀 더 고구마에 의한 단맛과 장어에 의한 맛이 적절히 혼합되어 독특한 식감이 도출된 것으로 평가되었다.
특히 겉살의 경우에는 부드러운 정도가 빵과 같은 식감을 제공하여 시식하기에 부담이 덜하다는 평가가 주를 이루었다.
상기와 같은 겉살의 식감은 종래 어묵과 달리 우리밀가루, 분유, 찹쌀가루 및 베이킹 파우드에 의한 것으로 적절한 스폰지 조직이 형성되어 부드러운 식감을 제공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들을 모두 포함한다.
1: 속살 2: 겉살
10: 어묵 S1: 겉살 준비 단계
S2: 속살 준비 단계 S3: 성형 단계
S1-1: 장어 연육 세절 단계 S1-2: 소금 혼합 단계
S1-3: 해물 추출물 투입 단계 S1-4: 난백 투입 단계
S1-5: 감자전분 투입 단계 S1-6: 전란 투입 단계
S1-7: 찹쌀가루 투입 단계 S1-8: 우리 밀가루 투입 단계
S1-9: 전지 분유와 유기원당 투입 단계
S1-10: 베이킹 파우드 투입 단계 S1-11: 기타 부재료 투입 단계
S1-12: 땅콩 투입 단계(S1-12)
S2-1: 고구마 가공 단계 S2-2: 꿀 투입 단계
S2-3: 소금 투입 단계
S2-4: 올리고당과 유기원당 투입 단계
S2-5: 땅콩 투입 단계
10: 어묵 S1: 겉살 준비 단계
S2: 속살 준비 단계 S3: 성형 단계
S1-1: 장어 연육 세절 단계 S1-2: 소금 혼합 단계
S1-3: 해물 추출물 투입 단계 S1-4: 난백 투입 단계
S1-5: 감자전분 투입 단계 S1-6: 전란 투입 단계
S1-7: 찹쌀가루 투입 단계 S1-8: 우리 밀가루 투입 단계
S1-9: 전지 분유와 유기원당 투입 단계
S1-10: 베이킹 파우드 투입 단계 S1-11: 기타 부재료 투입 단계
S1-12: 땅콩 투입 단계(S1-12)
S2-1: 고구마 가공 단계 S2-2: 꿀 투입 단계
S2-3: 소금 투입 단계
S2-4: 올리고당과 유기원당 투입 단계
S2-5: 땅콩 투입 단계
Claims (7)
- 내부에 속살과 속살 외부에 겉살로 이루어지는 다른 식재료 속을 함유한 어묵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장어연육 18 내지 22중량%, 볶은 소금 0.8 내지 1.2중량%, 해물추출물 9 내지 11중량%, 난백 8 내지 10중량%, 감자전분 8 내지 10중량%, 전란 8 내지 12중량%, 찹쌀가루 7 내지 9중량%, 우리밀가루 12 내지 15중량%, 전지분유 5 내지 7중량%, 유기원당 0.5 내지 1.5중량%, 베이킹파우드 0.8 내지 1.2중량%, 올리고당 2 내지 3중량%, 해바라기유 1.5 내지 2.5중량%, 청주 0.8 내지 1.2중량%, 땅콩 5 내지 7중량%를 포함하는 겉살을 준비하는 겉살 준비 단계;
문어를 포함하는 속살을 준비하는 속살 준비 단계; 및
상기 겉살을 전체 어묵에 65 내지 70중량%이고 나머지가 속살로 구성하되, 상기 겉살이 상기 속살을 감싸는 형태로 155℃ 내지 165℃ 환경하에서 8 내지 12분간 구워 성형하는 성형 단계을 포함하되,
상기 겉살 준비 단계는 장어 연육을 세절하는 장어 연육 세절 단계;
소금을 혼합하는 소금 혼합 단계;
해물 추출물, 난백 감자전분, 전란 찹쌀가루, 우리 밀가루, 전지 분유, 유기원당, 베이킹 파우드, 올리고당, 해바라기유 및 청주를 투입하는 부재료 혼합 단계;및
땅콩을 투입하는 땅콩 투입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른 식재료 속을 함유한 어묵의 제조 방법.
- 내부에 속살과 속살 외부에 겉살로 이루어지는 다른 식재료 속을 함유한 어묵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장어연육 18 내지 22중량%, 볶은 소금 0.8 내지 1.2중량%, 해물추출물 9 내지 11중량%, 난백 8 내지 10중량%, 감자전분 8 내지 10중량%, 전란 8 내지 12중량%, 찹쌀가루 7 내지 9중량%, 우리밀가루 12 내지 15중량%, 전지분유 5 내지 7중량%, 유기원당 0.5 내지 1.5중량%, 베이킹파우드 0.8 내지 1.2중량%, 올리고당 2 내지 3중량%, 해바라기유 1.5 내지 2.5중량%, 청주 0.8 내지 1.2중량%, 땅콩 5 내지 7중량%를 포함하는 겉살을 준비하는 겉살 준비 단계;
고구마 70. 내지 74.중량%, 꿀 2. 내지 2.50%, 볶은 소금 0.2 내지 0.25중량%, 올리고당 7. 내지 7.5중량%, 유기원당 2. 내지 2.5중량% 및 땅콩 14. 내지 15.중량%를 포함하는 속살을 준비하는 속살 준비 단계; 및
상기 겉살을 전체 어묵에 65 내지 70중량%이고 나머지가 속살로 구성하되, 상기 겉살이 상기 속살을 감싸는 형태로 155℃ 내지 165℃ 환경하에서 8 내지 12분간 구워 성형하는 성형 단계을 포함하되,
상기 겉살 준비 단계는 장어 연육을 세절하는 장어 연육 세절 단계;
소금을 혼합하는 소금 혼합 단계;
해물 추출물, 난백 감자전분, 전란 찹쌀가루, 우리 밀가루, 전지 분유, 유기원당, 베이킹 파우드, 올리고당, 해바라기유 및 청주를 투입하는 부재료 혼합 단계;및
땅콩을 투입하는 땅콩 투입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른 식재료 속을 함유한 어묵의 제조 방법.
- 삭제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부재료 혼합 단계는:
해물 추출물을 투입하는 해물 추출물 투입 단계;
난백을 투입하는 난백 투입 단계;
감자 전분을 투입하는 감자전분 투입 단계;
전란을 투입하는 전란 투입 단계;
찹쌀가루를 투입하는 찹쌀가루 투입 단계;
우리 밀가루를 투입하는 우리 밀가루 투입 단계;
전지 분유와 유기원당을 투입하는 전지 분유와 유기원당 투입 단계;
베이킹 파우드를 투입하는 베이킹 파우드 투입 단계: 및
올리고당, 해바라기유 및 청주를 투입하는 기타 부재료 투입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른 식재료 속을 함유한 어묵의 제조 방법.
- 청구항 4에 있어서, 장어 연육 세절 단계에서 배합기는 1,000 내지 1,400rpm으로 10 내지 15분간 배합하고, 상기 소금 혼합 단계에서 배합기는 1,000 내지 1,400rpm으로 20 내지 25분 배합하며, 상기 땅콩 투입 단계에서 배합기는 700 내지 900rpm으로 20초 내지 40초간 배합하며, 해물 추출물 투입 단계, 난백 투입 단계, 감자전분 투입 단계, 전란 투입 단계, 찹쌀가루 투입 단계, 우리 밀가루 투입 단계, 전지 분유와 유기원당 투입 단계, 베이킹 파우드 투입 단계 및 기타 부재료 투입 단계에서의 배합기는 700 내지 900rpm으로 0.8분 내지 1.2분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른 식재료 속을 함유한 어묵의 제조 방법.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속살 준비 단계는:
고구마를 가공하는 고구마 가공 단계;
꿀을 투입하는 꿀 투입 단계;
소금을 투입하는 소금 투입 단계;
올리고당과 유기원당을 투입하는 올리고당과 유기원당 투입 단계; 및
땅콩을 투입하는 땅콩 투입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른 식재료 속을 함유한 어묵의 제조 방법.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고구마 가공 단계에서 배합기는 1,000 내지 1,400rpm에서 1.5분 내지 2.5분 배합하고, 꿀 투입 단계, 소금 투입 단계 및 올리고당과 유기원당 투입 단계에서 배합기는 700 내지 900rpm에서 0.8분 내지 1.2분 배합하고, 상기 속살 준비 단계의 땅콩 투입 단계에서 배합기는 700 내지 900rpm으로 20초 내지 40초간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른 식재료 속을 함유한 어묵의 제조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37686A KR101686454B1 (ko) | 2014-03-31 | 2014-03-31 | 다른 식재료 속을 함유한 어묵의 제조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37686A KR101686454B1 (ko) | 2014-03-31 | 2014-03-31 | 다른 식재료 속을 함유한 어묵의 제조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14064A KR20150114064A (ko) | 2015-10-12 |
KR101686454B1 true KR101686454B1 (ko) | 2016-12-15 |
Family
ID=54346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37686A KR101686454B1 (ko) | 2014-03-31 | 2014-03-31 | 다른 식재료 속을 함유한 어묵의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86454B1 (ko)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12983A (ko) * | 2001-08-06 | 2003-02-14 | 하희숙 | 감자와 고구마를 이용한 말이 어묵의 제조방법 |
KR20090042103A (ko) * | 2007-10-25 | 2009-04-29 | (주)씨디엠트레이딩 | 생선말이 |
KR101285543B1 (ko) * | 2010-08-24 | 2013-07-12 | 주식회사 대광에프앤씨 | 어묵의 제조 방법 |
-
2014
- 2014-03-31 KR KR1020140037686A patent/KR101686454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14064A (ko) | 2015-10-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72799B1 (ko) | 죽순을 포함하는 어묵과 이의 제조방법 | |
KR100999448B1 (ko) | 과자의 제조 방법 | |
KR20130115928A (ko) | 쌀가루를 주원료로 하는 커틀릿 및 그 제조방법 | |
KR101727224B1 (ko) | 치킨 파우더 및 이를 이용한 치킨의 제조방법 | |
JPH0771452B2 (ja) | 米穀を主に含む油揚食品の製造方法 | |
JP2013252061A (ja) | 肉粒及び/又は肉粉を含む食品及びその製造方法 | |
KR101796363B1 (ko) | 대체 단백질 소재를 이용한 떡갈비 조성물 | |
CN103504361A (zh) | 鱼肉糍及其加工方法 | |
KR101851984B1 (ko) | 치즈 스테이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치즈 스테이크 | |
KR101418153B1 (ko) | 찰떡을 내포하는 어묵 제품 및 그의 제조방법 | |
CN105685171A (zh) | 用马铃薯制作的米粉饼干及其加工方法 | |
KR101582257B1 (ko) | 떡볶이 속을 함유한 어묵 반죽 제조 방법 | |
KR101686454B1 (ko) | 다른 식재료 속을 함유한 어묵의 제조 방법 | |
KR101864141B1 (ko) | 어묵 닭 강정 제조 방법 | |
JPH0638710A (ja) | ハンバーグ及びその製造方法 | |
KR20200043631A (ko) | 돼지감자를 이용한 어묵 및 그 제조방법 | |
KR101686453B1 (ko) | 다른 식재료 속을 함유한 어묵 | |
KR102522257B1 (ko) | 굴을 주재로 한 떡국떡과 그 조성물 및 제조방법 | |
KR20180056829A (ko) | 웰빙식 건강우동 | |
KR101319581B1 (ko) | 떡을 이용한 식육 가공식품 및 그 제조방법 | |
KR20170077667A (ko) | 유기농 뽕잎 페스츄리 핫도그 및 이의 제조 방법 | |
KR101580768B1 (ko) | 알치킨 및 그 제조방법 | |
KR20020067220A (ko) | 내부충진물을 주입한 어묵 및 그 제조방법 | |
KR20160146252A (ko) | 새송이버섯을 이용한 갈비모양을 가지는 인삼 함유 떡갈비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인삼 함유 떡갈비 | |
KR101760700B1 (ko) | 볶음밥 속을 함유한 어묵 반죽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