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0129B1 - Apparatus for disposing food wast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disposing food wast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80129B1 KR101680129B1 KR1020150145753A KR20150145753A KR101680129B1 KR 101680129 B1 KR101680129 B1 KR 101680129B1 KR 1020150145753 A KR1020150145753 A KR 1020150145753A KR 20150145753 A KR20150145753 A KR 20150145753A KR 101680129 B1 KR101680129 B1 KR 10168012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solid
- blade
- pulverized
- processor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0794 food wast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6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7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8000000354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0000000813 microbial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9000010813 municipal solid was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9000011343 solid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0227 gri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180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10298 pulveriz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10000000614 Ribs Anatomy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4347 soups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3599 deter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851 dish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06010057190 Respiratory tract infec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52616 bacterial pathogen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39 deleteriou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94 depresse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37 fert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41 influx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873 siev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43 smel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055 solid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5—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고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의 고형분으로부터 수분을 분리하여 고형분만을 미생물 처리기로 투입함으로써 미생물에 의한 쓰레기 분해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염분에 의한 미생물이 사멸되는 등의 문제를 막을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posal apparatus for disposing food waste, separating moisture from solid contents of ground food waste, injecting only a solid fraction into a microorganism processor, Which is capable of preventing the microorganisms from being killed by the microorganisms.
주방의 싱크대에서 각종 음식물을 조리한 후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토양 매립이나 해양 투기가 금지됨에 따라 정부 및 각 자치단체는 음식물 쓰레기의 발생량을 줄이기 위하여 쓰레기 종량제 실시를 비롯하여 수거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여 비료 또는 사료로 만들거나 에너지원으로 이용하는 등 다양한 방법을 시도하고 있다.As landfill or marine dumping is prohibited on food wastes generated after cooking various kinds of food in kitchen sinks,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have to deal with the garbage collected, includ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waste amount system, in order to reduce the amount of food wastes generated Fertilizer or feed, or as an energy source.
통상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한 설비는 그 처리량이 적어도 몇 십톤 이상이 되어야만 설비 유지의 경제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따라 재정이 열약한 지방자치단체의 경우에는 이러한 대형의 음식물 처리 설비를 건설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Generally, facilities for treating garbage are considered to be economical if the throughput is at least several tens of tons or more. As a result, in the case of local autonomous governments, which have been financially depressed, it is not possible to construct such large-scale food processing facilities.
이러한 현실을 감안하여 근래에 가정이나 식당에서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양을 줄이도록 하면서 가정이나 식당에서 자체적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방안이 제안되고 있다. 이에 따라 가정이나 식당의 싱크대의 하부에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를 직접 설치하여 처리하기 위한 장치로 싱크대의 하부에 부착하여 음식물을 분쇄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 즉 디스포저(Disposer)와, 미생물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처리하는 미생물 처리장치 등이 이용되고 있다.In consideration of this reality, it is proposed to reduce the amount of food waste generated in homes and restaurants in recent years, and to treat food waste in homes and restaurants themselves. A disposer for disposing a food garbage disposing device at the lower part of a sink of a home or a restaurant for disposing the food garbage disposing device at the lower part of the sink for disposing food waste, A microorganism treatment device for treating microorganisms is used.
일 예로, 한국등록특허 제10-1051425호에 개시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싱크대의 하부에서 분쇄 커터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여 배출하는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 상기 한국등록특허에 개시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음식물 쓰레기를 편리하게 처리하도록 하고 있으나, 음식물 쓰레기가 분쇄된 상태에서 그대로 배출됨으로써, 일부 분해가 되지 않은 음식물 쓰레기로 인해 관로가 막히거나 역한 냄새가 외부로 올라오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하수종말처리장에서의 처리 부담을 가중시키는 문제를 안고 있다.For example, Korean Patent No. 10-1051425 discloses a device for disposing food waste by crushing a food waste with a crushing cutter from the bottom of a sink. Although the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disclosed in the above-mentioned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1-328999 allows food wastes to be handled conveniently, the food wastes are discharged as they are in a pulverized state, whereby food wastes that have not been partially decomposed are clogged, There is a problem of increasing the burden on the sewage treatment plant.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고, 분쇄된 분쇄물에 미생물을 투입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 효과를 높이고자 하는 기술로 한국등록특허 제10-0838717호에 개시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처리기의 미생물 공급 방법 및 장치'가 제안된 바 있으며, 이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도를 높이고 냄새와 하수도의 막힘 현상을 완화시키는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technique for grinding food waste and increasing the effect of treating food waste by introducing microorganisms into the pulverized pulverized product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0838717 entitled " Has been proposed to improve the degree of decomposition of food waste and to reduce odor and clogging of sewage.
그러나 미생물을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고 악취를 제거하는 기술들은 설거지하면서 사용하는 다량의 물 및 세제와, 뜨거운 국물, 음식물 조리시 첨가되는 염분이 직접 미생물 처리기로 유입된다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세제 및 염분은 미생물의 생장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이에 따라 대부분의 미생물이 사멸화되어 미생물 처리장치가 그 기능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However, there is a serious problem that a large amount of water and detergent used in washing dishes, hot soup, and salt added during cooking are directly introduced into the microbial processor, because microbes are used for decomposing food waste and removing odors. The detergent and the salt have a deleterious effect on the growth of microorganisms. Accordingly, most of the microorganisms are killed and the microorganism treatment apparatus can not perform its function properly.
또한 설거지를 하면서 사용하는 다량의 물이 직접 미생물 처리장치로 공급되기 때문에, 대부분의 미생물이 설거지 물과 함께 배출된다는 문제가 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량의 미생물을 계속 공급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a large amount of water is supplied directly to the microbial treatment device during washing, most of the microorganisms are discharged together with the dishes. To solve this problem, a large amount of microorganisms must be continuously supplied.
또한 우리나라 음식물의 대부분은 다량의 염분을 포함하고 있다는 특징이 있는데, 다량의 염분이 포함된 음식물폐수가 미생물 처리장치로 직접 유입되면 미생물의 사멸화 현상은 더욱 심각해진다. 즉, 종래의 미생물 처리장치는, 설거지시 사용하는 다량의 물, 세제, 뜨거운 음식 국물, 음식물 국물에 포함된 다량의 염분에 의해 그 기능을 실제로 발휘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most of the food in Korea is characterized by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salinity. When the food wastewater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salt is directly introduced into the microbial treatment device, the microorganism becomes more extinct. That is, the conventional microorganism treatment device has a problem that the function can not be actually exerted by a large amount of water used in washing dishes, a detergent, a hot soup soup, and a large amount of salt contained in the soup soup.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 등록특허 제10-1388560호의 요리 폐수와 설거지 물을 음식물 쓰레기와 분리 처리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와 같이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고형분과 수분을 분리하여 고형분만 미생물 처리기로 투입하고 수분을 따로 배출함으로써 미생물에 의한 쓰레기 분해가 원할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술이 이용되고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Korean Patent No. 10-1388560 discloses a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for separating cooked wastewater and dishwashing water from food garbage, and separates the solid food and water from the ground food garbage and puts only the solid content into the microorganism processor A technology for discharging moisture separately to decompose garbage by microorganisms is used.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에 개시된 기술은 싱크대에 수분을 배출하는 물 통로와 음식물 쓰레기 분쇄 및 미생물 처리하기 위한 음식물 처리 통로를 따로 구비한 구조이기 때문에 그 시공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사용시 폐수 배출과 음식물 쓰레기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사용자가 조작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갖는다.However, the technology disclosed in the above-mentioned patent is inconvenient in construction because it has a separate water passage for discharging water to the sink and a food processing path for grinding food waste and treating microorganisms. Therefore, the waste water discharge and food waste discharge It is inconvenient for the user to operate it.
또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는 과정에서 발생된 수분은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와 함께 미생물 처리기로 투입되는 문제점을 여전히 갖는다.In addition, the water generated in the process of pulverizing the food waste still has a problem that it is put into the microorganism processor together with the pulverized food waste.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고 분쇄된 분쇄물의 고형분으로부터 수분을 분리하여 고형분만을 미생물 처리기로 투입함으로써 미생물에 의한 쓰레기 분해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수분에 포함된 염분으로 미생물이 사멸되는 등의 문제점을 막을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DISCLOSUR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grinding food waste, separating moisture from solid components of the pulverized powd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capable of preventing the problem of microorganisms being killed by the salt contained in the food waste.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싱크대의 배수구로부터 배출되는 수분을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와, 상기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에 분쇄된 분쇄물 중 고형분을 미생물을 이용하여 분해하는 미생물 처리기와, 상기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로부터의 상기 분쇄물을 상기 미생물 처리기로 이동시키는 연결관과, 상기 미생물 처리기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연결관과 연결되어 상기 연결관을 통해 유입되는 상기 분쇄물 중 상기 고형분과 수분을 분리하여 상기 고형분을 상기 미생물 처리기로 이동시키고 상기 수분을 배출시키는 분쇄물 분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에 의해서 달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ood garbage disintegrator comprising: a food waste grinder for grinding food waste containing water discharged from a drain of a sink; a microorganism processor for decomposing solid contents in the pulverized product, A microbial processor connected to the microbial processor, the microbial processor including a connection pipe for transferring the pulverized product from the food waste grinder to the microbial processor, And a pulverized water separator for separating the pulverized water and moving the solid component to the microbial processor and discharging the water.
여기서, 상기 분쇄물 분리기는 상기 수분이 배출되는 수분 배출구와, 상기 미생물 처리기와 연통되는 고형분 배출구가 형성된 하부 케이스와, 상기 수분이 통과 가능한 망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고형분 배출구의 상부에 형성되는 고형분 통과구가 마련된 거름망과, 상기 거름망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거름망의 상부에 걸린 상기 고형분을 회전에 의해 상기 고형분 통과구 측으로 밀어 상기 고형분을 상기 고형분 통과구 및 상기 고형분 배출구를 통해 상기 미생물 처리기로 배출시키는 블레이드 모듈과, 상기 거름망과 상기 블레이드 모듈을 사이에 두고 상기 하부 케이스와 결합하고, 상기 수분 배출구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연결관으로부터 상기 고형분과 상기 수분이 유입되는 분쇄물 유입부가 형성된 상부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pulverized water separator includes a lower case having a water outlet for discharging the water and a solid outlet for communicating with the microorganism processor, and a lower case formed in the form of a net through which the water can pass, Wherein the solid material passing through the solids passing hole and the solid material discharge port is pushed toward the solid material passing hole by rotating the solid material placed on the upper side of the drawing net, And an upper case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water discharge port and having a powder inflow portion through which the solid component and the moisture are introduced from the connection pipe, . ≪ / RTI >
또한, 상기 분쇄물 유입부는 상기 연결관과 연결되는 분쇄물 유입구와, 상기 수분 배출구의 상부에 위치하는 분쇄물 낙하구와, 상기 분쇄물 유입구와 상기 분쇄물 낙하구를 연통시키는 배수트랩관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수트랩관부는 상기 분쇄물 낙하구 방향으로부터 상기 분쇄물 유입구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The pulverized water inflow portion may include a pulverized water inlet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pe, a pulverized water dropper locat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water outlet, and a drain trap pipe portion communicating the pulverized water inlet and the pulverized water dropper, ; The drain trap pipe portion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from the pulverized product dropping direction toward the pulverized product inlet.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 모듈은 상기 분쇄물 분리기 내부에 상하 방향을 축으로 회전하는 블레이드 회전축부와, 상기 블레이드 회전축부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거름망 사이에서 상기 블레이드 회전축부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여 상기 거름망에 걸린 상기 고형분을 상기 고형분 통과구 측으로 밀어 이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 블레이드와, 상기 회전 블레이드가 반경 방향 끝단에 연결되는 링 형상을 가지며, 원주 방향을 따라 기어 이가 형성된 링 기어와, 상기 회전 블레이드가 상기 블레이드 회전축부를 축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링 기어의 상기 기어 이와 맞물려 회전시키는 블레이드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blade module includes a blade rotating shaft portion that rotates in an up-and-down direction about the inside of the pulverized water separator, and a blade rotating shaft portion that extends radially outward from the blade rotating shaft portion, At least one rotating blade which rotates along the rotating shaft and pushes the solid portion caught in the sieving net to the side of the solids passing hole and a ring gear having a ring shape in which the rotating blade is connected to the radial end, And a blade driving unit for rotating the rotating blade in association with the gear of the ring gear so as to rotate the blade rotating shaft part about the axis.
또한, 상기 블레이드 모듈은 상기 거름망과 상기 하부 케이스 사이에 설치되는 망 청소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망 청소 모듈은 상기 블레이드 회전축부와 축 결합하여 상기 블레이드 회전축부의 회전에 동기되어 회전하는 청소 회전축부와, 상기 청소 회전축부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청소 회전축부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여 상기 거름망의 하부 표면에 잔존하는 상기 고형분의 찌꺼기를 제거하는 청소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Further, the blade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net cleaning module installed between the filter net and the lower case; Wherein the net cleaning module includes a cleaning rotary shaft portion that is axially coupled to the blade rotary shaft portion and rotates in synchronism with the rotation of the blade rotary shaft portion and a cleaning rotary shaft portion that extends radially outward from the cleaning rotary shaft portion and rotates in accordance with rotation of the cleaning rotary shaft portion, And a cleaning blade for removing residue of the solid matter remaining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leaning blade.
그리고, 상기 상부 케이스에는 내부 상부 표면으로부터 하향 돌출되어 상기 회전 블레이드의 회전시 상기 회전 블레이드가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 리브는 상기 상부 케이스의 중심으로부터 가장자리 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상기 회전 블레이드의 회전시 상기 회전 블레이드가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순차적으로 접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case is formed with at least one latching rib protruding downward from an inner upper surface thereof and contacting the rotating blade when the rotating blade rotates; The latching rib may be formed along the edge direction from the center of the upper case and may be formed so that the rotating blade sequentially contacts one side to the other side when the rotating blade rotates.
또한, 상기 미생물 처리기는 내부에 분해 공간이 형성되고 상향 개방된 개구를 갖는 처리기 본체와, 상기 분쇄물 분리기의 하부 케이스가 설치되고 상기 처리기 본체의 개구를 커버하는 상부 커버와, 상기 처리기 본체의 일측 벽면에 상하 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상부에 형성된 상부 유입구와 하부에 형성된 하부 배수구가 마련된 수분 배수관을 포함하고; 상기 수분 배수관의 상기 상부 유입구는 상기 분쇄물 분리기의 상기 하부 케이스에 형성된 상기 수분 배출구와 연통되고, 상기 수분 배수관의 상기 하부 배수구는 상기 처리기 본체의 하부에서 상기 분해 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수분 배출구를 통해 상기 분쇄물 분리기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수분이 상기 수분 배수관을 통해 상기 처리기 본체의 상기 분해 공간 하부로 이동하며; 상기 처리기 본체의 하부에는 외부 배수관과 연결되는 배수관 연결부가 마련되어, 상기 수분 배수관을 통해 배출되는 상기 수분이 상기 배수관 연결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The microbial processor may further include a processor body having a decomposition space formed therein and having an upwardly opened opening, an upper cover provided with a lower case of the pulverized material separator and covering the opening of the processor body, And a water drain pipe install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wall surface and provided with an upper inlet formed at the upper portion and a lower drain formed at the lower portion; Wherein the upper inlet of the water drain pipe communicates with the water outlet formed in the lower case of the pulverized water separator and the lower drain of the water drain pipe communicates with the decomposition space at a lower portion of the processor body, Wherein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pulverized water separator moves through the water drain pipe to a lower portion of the decomposition space of the processor body through the water discharge pipe; A water pipe connection part connected to an external water pipe is provided at a lower part of the main body of the processor so that the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pipe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ater pipe connection part.
그리고, 상기 하부 배수구는 상기 배수관 연결부보다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처리기 본체의 바닥면은 상기 하부 배수구 측으로부터 상기 배수관 연결부 측으로 경사질 수 있다.The lower drain port may be located above the drain pipe connection part,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processor body may be inclined from the lower drain pipe side to the drain pipe connection part side.
그리고, 상기 하부 케이스는 중심으로부터 측벽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분리벽에 의해 수분 배출 공간과 고형분 배출 공간으로 분리되고; 상기 수분 배출 공간의 바닥면 일측에 상기 수분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수분 배출 공간의 바닥면은 상기 수분 배출구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고형분 배출 공간이 상기 고형분 배출구를 형성할 수 있다.The lower case is separated into a water discharge space and a solid discharge space by a pair of separating walls connected to the side wall from the center; The water discharge port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discharge spac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discharge space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water discharge port; The solid discharge space may form the solid discharge port.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면,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고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의 고형분으로부터 수분을 분리하여 고형분만을 미생물 처리기로 투입함으로써 미생물에 의한 쓰레기 분해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수분에 포함된 염분으로 미생물이 사멸되는 등의 문제점을 막을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can disintegrate garbage by microorganisms by pulverizing food garbage, separating moisture from solid contents of the pulverized food garbage, and inputting only solid content into the microbial processo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icroorganisms from being killed due to the salt contained in the microorganism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처리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처리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쇄물 분리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쇄물 분리기와 미생물 처리기가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Ⅵ-Ⅵ 선에 따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분쇄물 분리기의 상부 케이스의 저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분쇄물 분리기의 걸림 리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3의 Ⅸ-Ⅸ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3의 Ⅹ-Ⅹ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1은 분쇄물 분리기의 분쇄기 본체의 배면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garbage dispos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microbial proc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icrobial proc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ulverized water sepa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ulverized water separator and the microorganism processor are combin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a line VI-VI in Fig. 5,
7 is a bottom view of the upper case of the pulverized water sepa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latching rib of the pulverized water sepa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X-IX of Fig. 3,
10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X in Fig. 3,
11 is a view showing the back surface of the pulverizer main body of the pulverizer separator.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는 싱크대 내부에 설치되어 싱크대의 배수구를 통해 배출되는 물과 같은 수분을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와 폐수 혼합물(이하, '음식물 쓰레기'라 함)을 분쇄하고, 미생물을 이용하여 분쇄물을 분해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를 완전 분해 또는 최소한으로 발생시키도록 처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를 설명하는데 있어, '분쇄물'은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100)에 의해 분쇄된 결과물로, 고형의 고형분과, 이에 포함된 물이나 폐수 등의 수분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된다.The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disposing food waste and wastewater mixture (hereinafter referred to as "food garbage") containing moisture such as water discharged through a drain hole of a sink by being disposed inside a sink, So that the food waste is completely decomposed or minimized. In describing the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ulverized material' is a result of being pulverized by th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처리기(300)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처리기(300)의 분해 사시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는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100), 미생물 처리기(300), 연결관(500), 및 분쇄물 분리기(400)를 포함한다.1,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100)는 싱크대의 배수구로부터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한다. 그리고,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100)에 의해 분쇄된 분쇄물은 연결관(500)을 통해 미생물 처리기(300) 측으로 이동한다.The food waste grinder (100) crushes food waste discharged from the drain port of the sink. The pulverized product pulverized by the
여기서,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100)에 의해 분쇄된 분쇄물은 고형분과 수분을 포함하는 형태를 가짐은 상술한 바와 같으며,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100)의 구성은 기 공지된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 the pulverized product pulverized by the
연결관(500)의 일측은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100)에 연결되고 타측은 미생물 처리기(300)에 연결되어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100)로부터 배출되는 분쇄물을 미생물 처리기(300) 측으로 이동시킨다. 본 발명에서는 연결관(500)과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100)의 연결 부분은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고, 연결관(500)과 미생물 처리기(300)의 연결 부분은 그 연결이 고정된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예로 한다.One side of the
한편, 미생물 처리기(300)는 연결관(500)을 통해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100)로부터 이동해오는 분쇄물을 미생물을 이용하여 분해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처리기(300)는 처리기 본체(320) 및 상부 커버(330)를 포함한다. 그리고, 처리기 본체(320)와 상부 커버(330)는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처리기(300)의 외형을 형성하는 외부 케이스(310) 내부에 수용된다. 본 발명에서는 외부 케이스(310)가 상부 파트(311), 하부 파트(312) 및 전면 파트(313)로 구분되어 조립되는 것을 예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처리기(300)의 구체적인 구성의 예에 대해서는 후술한다.On the other hand, the
분쇄물 분리기(4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생물 처리기(300)의 상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분쇄물 분리기(4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관(500)과 연결되어 연결관(500)을 통해 유입되는 분쇄물 중 고형분과 수분을 분리하고, 고형분을 미생물 처리기(300)로 이동시키고, 수분이 미생물 처리기(300)로 유입되지 않도록 배출시킨다.The pulverized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쇄물 분리기(40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쇄물 분리기(400)와 미생물 처리기(300)가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분쇄물 분리기(400)는, 하부 케이스(460), 상부 케이스(410), 거름망(440), 및 블레이드 모듈(430)을 포함할 수 있다.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ulverized
하부 케이스(460)는 미생물 분리기의 상부 커버(330)에 설치된다. 여기서, 하부 케이스(460)에는 분쇄물 중 수분이 배출되는 수분 배출구(462)와, 분쇄물 중 고형분 배출구(461)가 형성되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The
하부 케이스(460)와 상부 케이스(410) 사이에는 상부로부터 블레이드 모듈(430)과, 거름망(440)이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거름망(440)은 수분이 통과 가능한 망 형태로 마련되는데, 블레이드 모듈(430)에 의해 밀려 이동하는 고형분이 미생물 처리기(300)로 낙하할 수 있도록 절취된 고형분 통과구(441)가 마련된다.Between the
블레이드 모듈(430)은 거름망(440)의 상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거름망(440)의 상부에 걸린 고형분을 회전에 의해 고형분 통과구(441) 측으로 밀어 고형분을 거름망(440)의 고형분 통과구(441)와 하부 케이스(460)의 고형분 배출구(461)를 통해 미생물 처리기(300)의 처리기 본체(320) 내부로 이동시킨다.The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블레이드 모듈(430)은 블레이드 회전축부(431), 적어도 하나의 회전 블레이드(433), 링 기어(432) 및 블레이드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블레이드 회전축부(431)는 분쇄물 분리기(400)의 내부에 상하 방향을 축으로 회전 가능사게 설치된다. 그리고, 회전 블레이드(433)는 블레이드 회전축부(431)로부터 반경 방향 회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3개의 회전 블레이드(433)가 설치되는 것을 예로 하고 있으나, 그 개수가 이에 국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The blade rotating
회전 블레이드(433)는 상부 케이스(410)와 거름망(440) 사이에서 블레이드 회전축부(431)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여 거름망(440)에 걸린 고형분을 거름망(440)의 고형분 통과구(441) 측으로 밀어 이동시킴으로써, 고형분이 고형분 통과구(441)와 하부 케이스(460)의 고형분 배출구(461)를 통해 미생물 처리기(300)의 내부로 낙하시킨다.The
링 기어(432)는 회전 블레이드가 반경 방향 끝단에 연결되는 링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링 기어(432)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기어 이가 형성된다. 여기서, 블레이드 구동부는 링 기어(432)의 원주 방향 외측,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커버(330)에 설치된 상태에서 링 기어(432)의 기어 이와 맞물려 회전함으로써 링 기어(432)를 회전시킴으로써, 회전 블레이드(433)가 블레이드 회전축부(431)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서는 블레이드 구동부가 작은 용량으로 한 쌍이 마련되는 것을 예로 하고 있으나, 큰 용량의 하나의 블레이드 구동부가 설치 가능함은 물론이다.The
상부 케이스(4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거름망(440)과 블레이드 모듈(430)을 사이에 두고 하부 케이스(460)와 결합한다. 그리고, 상부 케이스(410)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케이스(460)의 수분 배출구(462)의 상부에 위치하는 분쇄물 유입부(420)가 형성된다. 여기서, 분쇄물 유입부(420)는 연결관(500)과 연결되어 연결관(500)으로부터 고형분과 수분이 유입되어 분쇄물 분리기(400) 내부로 유입된다.The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분쇄물 분리기(400)의 동작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pulverized
먼저,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100)에 의해 분쇄된 분쇄물은 연결관(500)을 통해 이동하여 상부 케이스(410)에 형성된 분쇄물 유입부(420)를 통해 분쇄물 분배기 내부로 유입된다. 이 때, 분쇄물 유입부(420)로 유입되어 분쇄물 분리기(400) 내부로 낙하는 분쇄물 중 수분은 거름망(440)을 통과하여 거름망(440)의 하부로 떨어져 하부 케이스(460)에 형성된 수분 배출구(462)를 통해 배출된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분쇄물 유입부(420)가 수분 배출구(462)의 상부 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됨으로써, 분쇄물 유입부(420)를 통해 낙하는 수분의 대부분이 바로 수분 배출구(462)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The pulverized product pulverized by the
그리고, 분쇄물 유입부(420)를 통해 낙하는 고형분(일부 수분 포함)은 거름망(440)에 걸린 상태가 된다. 이 때, 블레이드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 블레이드(433)는 거름망(440)의 상부 표면과 접촉된 상태로 상부 표면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회전하여 거름망(440)에 걸린 고형분을 밀어 이동시켜 고형분 통과구(441)를 통해 거름망(440)의 하부로 낙하시키게 되고, 하부 케이스(460)의 고형분 배출구(461)를 통과하여 미생물 처리기(300)의 처리기 본체(320) 내부로 유입 가능하게 된다.The solid portion (including some water) falling through the pulverized-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분쇄물을 고형분과 수분으로 분리하고, 수분이 미생물 처리기(3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거나 최소화시킴으로써, 미생물에 의한 고형분의 분해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수분에 포함된 염분에 의해 미생물 처리기(300) 내부의 미생물이 사멸하는 등의 문제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By separating the pulverized material into solid and water and blocking or minimizing the influx of moisture into the
한편, 도 6은 도 5의 Ⅵ-Ⅵ 선에 따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부 케이스(410)에 형성된 분쇄물 유입부(420)는 분쇄물 유입구(422a), 분쇄물 낙하구(421a) 및 배수트랩관부(423)를 포함할 수 있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a line VI-VI in FIG. 6, the pulverized
분쇄물 유입구(422a)는 연결관(500)과 연결되어, 연결관(500)을 통해 유입되는 분쇄물이 유입된다. 그리고, 분쇄물 낙하구(421a)는 걸림망을 사이에 두고 수분 배출구(462)의 상부에 위치한다.The pulverized
본 발명에서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쇄물 유입부(420)가 상부 케이스(410)의 판면에 형성되는 상향 개방된 하부 하우징(421)과, 하부 하우징(421)의 상부를 커버하는 상부 하우징(422)의 결합을 통해 형성되는 것을 예로 하며, 이 때 분쇄물 유입부(420)는 상부 하우징(422)에 형성되고, 분쇄물 낙하부는 하부 하우징(421)에 형성되는 것을 예로 한다.5 and 6, the pulverized
그리고, 분쇄물 유입구(422a)와 분쇄물 낙하구(421a)는 배수트랩관부(423)에 의해 연통된다. 여기서, 배수트램관부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하우징(422)과 하부 하우징(421)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데, 분쇄물 낙하구(421a) 방향으로부터 분쇄물 유입구(422a)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예로 한다.The pulverized
이에 따라, 분쇄물 유입구(422a)를 통해 유입되는 분쇄물, 즉 수분과 고형분 중 일부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트랩관부(423)에 잔존한 행태로 배수트랩관부(423)를 폐쇄함으로써, 분쇄물 분배기나 미생물 처리기(300)로부터 분쇄물 낙하구(421a)를 통해 유입될 수 있는 냄새나 세균 등이 연결관(500)과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100)를 통해 싱크대 외부로 나오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연결관(500)을 U-트랩과 같은 배수트랩 구조를 형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싱크대 하부의 설치 공간의 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게 된다.6, a part of the pulverized material, that is, moisture and solid matter, flowing through the pulverized
다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블레이드 모듈(430)은 망 청소 모듈(450)을 포함할 수 있다. 망 청소 모듈(450)은 거름망(440)과 하부 케이스(460) 사이에 설치되어 거름망(440)의 하부 표면을 청소한다.Referring again to FIG. 4, the
본 발명에 따른 망 청소 모듈(450)은 청소 회전축부(451)와, 청소 블레이드(452)를 포함하는 것을 예로 한다. 청소 회전축부(451)는 블레이드 회전축부(431)와 축결합하여 블레이드 회전축부(431)의 회전에 동기되어 회전한다.The
그리고, 청소 블레이드(452)는 청소 회전축부(451)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을 연장되고, 청소 회전축부(451)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여 거름망(440)의 하부 표면과의 접촉을 통해 거름망(440)의 하부 표면에 잔존하는 고형분의 찌꺼기를 제거하게 된다.The
이를 통해, 분쇄물 유입부(420)를 통해 유입되어 회전 블레이드(433)의 회전에 따라 이동하는 고형분 중 일부가 망 형태의 거름망(440)을 통과하여 그 하부 표면에 붙어있는 경우, 이를 청소 블레이드(452)가 접촉에 의해 멀어 떨어뜨림으로써, 찌꺼기에 의해 거름망(440)이 막히는 현상이나 잔존하는 찌꺼기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위생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If some of the solids flowing through the grinding
한편, 분쇄물 분리기(400)의 하부 케이스(46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461a)의 중심으로부터 측벽으로 연결된 한 쌍의 분리벽(463)에 의해 수분 배출 공간(464)과 고형분 배출 공간으로 분리된다. 여기서, 수분 배출구(462)는 수분 배출 공간(464)의 바닥면(461a)의 일측에 형성되고, 고형분 배출 공간이 상술한 고형분 배출구(461)를 형성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또한, 수분 배출 공간(464)의 바닥면(461a)은 수분 배출구(462)를 향해 하양 경사지게 형성되어(도 9 참조), 거름망(440)을 통해 수분 배출 공간(464)으로 떨어지는 수분이 수분 배출구(462)로 원활하게 흘러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The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분쇄물 분리기(400)의 상부 케이스(410)의 저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분쇄물 분리기(400)의 상부 케이스(410)에는 내부 상부 표면으로부터 하향 돌출되어 회전 블레이드(433)의 회전시 회전 블레이드(433)가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 리브(412)가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서는 하나의 걸림 리브(412)가 형성되는 것을 예로 하고 있으나, 그 개수가 이에 국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7 is a bottom view of the
여기서, 걸림 리브(41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410)의 중심으로부터 가장자리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데, 회전 블레이드(433)의 회전시 회전 블레이드(433)가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순차적으로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예로 한다.7, the
도 8의 (a)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회전 블레이드(433)가 회전할 때 각각의 회전 위치에서 회전 블레이드(433)의 회전축 방향에서부터 외측으로 순차적으로 걸림 리브(412)와 접촉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회전 블레이드(433)의 회전에 따라 고형분을 밀어 이동시킬 때, 고형분이 회전 블레이드(433)에 붙어 쌓이면서 회전 블레이드(433)의 상부 측에 붙어 떨어지지 않는 경우, 회전 블레이드(433)의 회전에 따라 회전 블레이드(433)의 상부측이 걸림 리브(412)에 접촉하며 쓸리면서 회전 블레이드(433)의 상부측이 붙어 있던 고형분이 다시 걸림망으로 떨어질 수 있게 된다.8A, it is confirmed that the
도 8의 (b)는 걸림 리브(412)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걸림 리브(412)가 중심으로부터 가장자리로 갈수록 회전 블레이드(433)의 회전 방향을 따라 휜 형상을 갖는 것을 예로 하고 있다. 이를 통해, 걸림 리브(412)와 회전 블레이드(433)의 접촉 간격이 회전 블레이드(433)의 회전 속도에 비례할 수 있게 된다.8B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외부 케이스(310)의 상부 파트(311)에는 분쇄물 유입부(420)의 분쇄물 유입구(422a)의 노출을 위한 제1 노??구(314)과, 미생물의 투입을 위한 제2 노출구(315)가 형성된다.2 and 3, the
그리고, 분쇄물 분리기(400)의 상부 케이스(41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노출구(315)를 통해 상부로 노출되는 미생물 투입구(411)가 형성된다. 여기서, 미생물 투입구(411)의 하부에는 거름망(440)의 고형분 통과구(441)와 하부 케이스(460)의 고형분 배출구(461)가 위치함으로써, 사용자가 미생물 투입구(411)를 통해 미생물을 투입시키면 고형분 통과구(441) 및 고형분 배출구(461)를 통해 처리기 본체(320)의 내부로 유입 가능하게 된다.As shown in FIG. 4, the
여기서, 미생물 투입구(41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 마개(411a)를 통해 개폐 가능하게 마련함으로써, 미생물의 투입시만 개방하여 투입하고 평시에는 폐쇄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부 파트(311)의 제2 노출구(315)도 개폐 커버(316)를 통해 개폐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Here, as shown in FIG. 3, the
이하에서는, 도 3, 도 5,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처리기(3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처리기 본체(3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향 개방된 개구를 갖지며, 내부에 분해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 커버(330)는 분쇄물 분리가의 하부 케이스(460)가 설치된 상태로 처리기 본체(320)의 상부의 개구를 커버한다.The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처리기(300)는, 도 3, 도 5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분 배수관(34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분 배수관(340)은 처리기 본체(320)의 일측 벽면에 상하 방향을 따라 설치된다. 그리고, 수분 배수관(340)의 상부에는 상부 유입구(341)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하부 배수구(342)가 마련된다.Here, the
이 때, 수분 배수관(340)의 상부 유입구(34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쇄물 분리기(400)의 하부 케이스(460)에 형성된 수분 배출구(462)와 연통되고, 수분 배수관(340)의 하부 배수구(342)는 처리기 본체(320)의 하부에서 처리기 본체(320)의 분해 공간과 연통된다. 이에 따라, 수분 배출구(462)를 통해 분쇄물 분리기(400)로부터 배출되는 수분이 수분 배수관(340)을 통해 처리기 본체(320)의 분해 공간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9, the upper inlet 341 of the
그리고, 처리기 본체(320)의 하부에는 외부 배수관(미도시)과 연결되는 배수관 연결부(321)가 마련되고, 수분 배수관(340)을 통해 배출되는 수분이 배수관 연결부(32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A drain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분쇄물 분리기(400)로부터 분리된 수분이 처리기 본체(320)의 측벽에 형성된 수분 배수관(340)을 통해 처리기 본체(320)의 하부를 통해 외부로 배수됨으로써, 별도의 배수관을 설치하지 않고 분쇄물 분리기(400)에 의해 분리된 수분이 외부로 배출 가능하게 된다.The water separated from the pulverized
또한, 처리기 본체(320)의 분해 공간 하부를 통해 분쇄물 분리기(400)로부터 수분이 배출되도록 하고, 처리기 본체(320) 내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수분이 함께 배수 가능하게 됨으로써, 하나의 배수 구조를 통해 분쇄물 분리기(400) 및 미생물 처리기(300)로부터 발생하는 수분의 제거가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pulverized
여기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분 배수관(340)의 하부 배수구(342)는 배수관 연결부(321)보다 상부에 위치하고, 처리기 본체(320)의 바닥면(320a)은 하부 배수구(342) 측으로부터 배수관 연결부(321) 측으로 경사지도록 마련됨으로써, 배수관 연결부(321)로 원활한 배수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9, the
한편, 미생물 처리기(300)의 내부에는 한 쌍의 교반 블레이드(360)가 설치된다. 교반 블레이드(360)는 교반 구동부(351)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여 분해 공간 내부의 고형분의 분해를 촉진시킨다.On the other hand, a pair of stirring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교반 구동부(351)의 회전에 의해 한 쌍의 교반 블레이드(360)가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예로 한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교반 구동부(351)가 한 쌍의 교반 블레이드(360) 중 어느 하나의 회전축(361)을 회전시키고, 도 9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 구동부(351)의 반대측에 해당 회전축(361)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제1 전달 기어(362)가 제2 전달 기어(363)와 맞물려 회전하여, 제2 전달 기어(363)의 회전축(364)이 나머지 하나의 교반 블레이드(360)를 회전시킴으로써, 한 쌍의 교반 블레이드(360)가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xemplified that a pair of stirring
교반 블레이드(360)의 하부에는, 도 9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기 본체(320)의 바닥면(320a)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는 차단망(370)이 설치됨으로써, 고형분이 차단망(370)에 걸린 상태로 교반 블레이드(360)에 의해 교반되도록 할 수 있다. 9 and 11, a blocking net 370 is disposed below the agitating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Although several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adily appreciate that many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 The scope of the invention will be determ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0 :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 300 : 미생물 처리기
310 : 외부 케이스 311 : 상부 파트
312 : 하부 파트 313 : 전면 파트
314 : 제1 노출구 315 : 제2 노출구
316 : 개폐 커버 320 : 처리기 본체
320a : 바닥면 321 : 배수관 연결부
330 : 상부 커버 340 : 수분 배수관
341 : 상부 유입구 342 : 하부 배수구
351 : 교반 구동부 360 : 교반 블레이드
361,364 : 회전축 362 : 제1 전달 기어
363 : 제2 전달 기어 370 : 차단망
400 : 분쇄물 분리기 410 : 상부 케이스
411 : 미생물 투입구 411a : 개폐 마개
412 : 걸림 리브
420 : 분쇄물 유입부 421 : 하부 하우징
421a : 분쇄물 낙하구 422 : 상부 하우징
422a : 분쇄물 유입구 423 : 배수트랩관부
430 : 블레이드 모듈 431 : 블레이드 회전축부
432 : 링 기어 433 : 회전 블레이드
440 : 거름망 441 : 고형분 통과구
450 : 방 청소 모듈 451 : 청소 회전축부
452 : 청소 블레이드 460 : 하부 케이스
461 : 고형분 배출구 462 : 수분 배출구
463 : 분리벽 464 : 수분 배출 공간
500 : 연결관100: Food waste grinder 300: Microorganism processor
310: outer case 311: upper part
312: Lower part 313: Front part
314: First Exposed Portion 315: Second Exposed Portion
316: opening / closing cover 320:
320a: bottom surface 321: drain pipe connection
330: upper cover 340: water drain pipe
341: upper inlet port 342: lower drain port
351: stirring driving part 360: stirring blade
361, 364: rotation shaft 362: first transmission gear
363: second transmission gear 370:
400: crushed water separator 410: upper case
411:
412:
420: Crushed water inflow part 421: Lower housing
421a: crushed material dropper 422: upper housing
422a: Grinding water inlet port 423: Drain trap pipe section
430: blade module 431: blade rotating shaft part
432: ring gear 433: rotating blade
440: filter net 441: solid passing through hole
450: Room cleaning module 451: Cleaning rotating shaft part
452: Cleaning blade 460: Lower case
461: Solids outlet port 462: Water outlet
463: separating wall 464: water discharging space
500: Connector
Claims (9)
상기 분쇄물 분리기는, 상기 수분이 배출되는 수분 배출구와 상기 미생물 처리기와 연통되는 고형분 배출구가 형성된 하부 케이스와, 상기 수분이 통과 가능한 망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고형분 배출구의 상부에 형성되는 고형분 통과구가 마련된 거름망과, 상기 거름망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거름망의 상부에 걸린 상기 고형분을 회전에 의해 상기 고형분 통과구 측으로 밀어 상기 고형분을 상기 고형분 통과구 및 상기 고형분 배출구를 통해 상기 미생물 처리기로 배출시키는 블레이드 모듈과, 상기 거름망과 상기 블레이드 모듈을 사이에 두고 상기 하부 케이스와 결합하고 상기 수분 배출구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연결관으로부터 상기 고형분과 상기 수분이 유입되는 분쇄물 유입부가 형성된 상부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분쇄물 유입부는, 상기 연결관과 연결되는 분쇄물 유입구와, 상기 수분 배출구의 상부에 위치하는 분쇄물 낙하구와, 상기 분쇄물 유입구와 상기 분쇄물 낙하구를 연통시키는 배수트랩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케이스는, 상향 개방된 하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의 상부를 커버하며 상기 하부 하우징에 결합되는 상부 하우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수트랩관부는, 상기 하부 하우징과 상기 상부 하우징의 결합시 상기 하부 하우징과 상부 하우징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의해 형성되되, 상기 분쇄물 낙하구 방향으로부터 상기 분쇄물 유입구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A food waste grinder for grinding food waste containing moisture discharged from a drain port of a sink; A microorganism processor for decomposing the solid content in the pulverized material pulverized by the food waste pulverizer using microorganisms; A connection pipe for transferring the pulverized product from the food waste pulverizer to the microorganism processor; A microbial processor for separating the solid matter and water from the pulverized water that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pe and introduced through the connection pipe to move the solid matter to the microbial processor and to discharge the water, ; Including,
The pulverized water separator includes a lower case having a water outlet for discharging the water and a solid outlet for communicating with the microorganism processor, and a solid passage opening formed in the top of the solid outlet, And a blade module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ieve filter and pushing the solid portion caught in the upper portion of the sieve to the side of the solid material passing hole by rotation to discharge the solid material to the microbial processor through the solid material passing hole and the solid material outlet. And an upper case coupled to the lower case with the filter module interposed therebetween, the upper case being locat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water outlet and having a crushed water inlet portion into which the solid and the water are introduced from the coupling pipe,
Wherein the pulverized water inflow portion includes a pulverized water inlet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pe, a pulverized water dropper locat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water outlet, and a drain trap pipe portion communicating the pulverized water inlet and the pulverized water dropper,
The upper case includes an upwardly opened lower housing and an upper housing that covers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housing and is coupled to the lower housing,
The drain trap tube portion is formed by a space formed between the lower housing and the upper housing when the lower housing and the upper housing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in the direction of the pulverized water inlet from the pulverized product drop port direction Wherein the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comprises:
상기 블레이드 모듈은
상기 분쇄물 분리기 내부에 상하 방향을 축으로 회전하는 블레이드 회전축부와,
상기 블레이드 회전축부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거름망 사이에서 상기 블레이드 회전축부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여 상기 거름망에 걸린 상기 고형분을 상기 고형분 통과구 측으로 밀어 이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 블레이드와,
상기 회전 블레이드가 반경 방향 끝단에 연결되는 링 형상을 가지며, 원주 방향을 따라 기어 이가 형성된 링 기어와,
상기 회전 블레이드가 상기 블레이드 회전축부를 축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링 기어의 상기 기어 이와 맞물려 회전시키는 블레이드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lade module
A blade rotating shaft portion that rotates about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pulverized water separator,
At least one rotating blade extending radially outward from the blade rotating shaft portion and rotating in accordance with rotation of the blade rotating shaft portion between the upper case and the filtering wire to push the solid portion caught in the filtering wire to the side of the solid passing hole ,
A ring gear having a ring shape in which the rotating blade is connected to a radial end,
And a blade driving unit that rotates the rotating blade in engagement with the gear of the ring gear so as to rotate the blade rotating shaft unit about an axis.
상기 분쇄물 분리기는, 상기 수분이 배출되는 수분 배출구와 상기 미생물 처리기와 연통되는 고형분 배출구가 형성된 하부 케이스와, 상기 수분이 통과 가능한 망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고형분 배출구의 상부에 형성되는 고형분 통과구가 마련된 거름망과, 상기 거름망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거름망의 상부에 걸린 상기 고형분을 회전에 의해 상기 고형분 통과구 측으로 밀어 상기 고형분을 상기 고형분 통과구 및 상기 고형분 배출구를 통해 상기 미생물 처리기로 배출시키는 블레이드 모듈과, 상기 거름망과 상기 블레이드 모듈을 사이에 두고 상기 하부 케이스와 결합하고 상기 수분 배출구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연결관으로부터 상기 고형분과 상기 수분이 유입되는 분쇄물 유입부가 형성된 상부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블레이드 모듈은, 상기 분쇄물 분리기 내부에 상하 방향을 축으로 회전하는 블레이드 회전축부와, 상기 블레이드 회전축부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거름망 사이에서 상기 블레이드 회전축부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여 상기 거름망에 걸린 상기 고형분을 상기 고형분 통과구 측으로 밀어 이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 블레이드와, 상기 회전 블레이드가 반경 방향 끝단에 연결되는 링 형상을 가지며, 원주 방향을 따라 기어 이가 형성된 링 기어와, 상기 회전 블레이드가 상기 블레이드 회전축부를 축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링 기어의 상기 기어 이와 맞물려 회전시키는 블레이드 구동부와, 상기 거름망과 상기 하부 케이스 사이에 설치되는 망 청소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망 청소 모듈은
상기 블레이드 회전축부와 축 결합하여 상기 블레이드 회전축부의 회전에 동기되어 회전하는 청소 회전축부와,
상기 청소 회전축부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청소 회전축부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여 상기 거름망의 하부 표면에 잔존하는 상기 고형분의 찌꺼기를 제거하는 청소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A food waste grinder for grinding food waste containing moisture discharged from a drain port of a sink; A microorganism processor for decomposing the solid content in the pulverized material pulverized by the food waste pulverizer using microorganisms; A connection pipe for transferring the pulverized product from the food waste pulverizer to the microorganism processor; A microbial processor for separating the solid matter and water from the pulverized water that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pe and introduced through the connection pipe to move the solid matter to the microbial processor and to discharge the water, ; Including,
The pulverized water separator includes a lower case having a water outlet for discharging the water and a solid outlet for communicating with the microorganism processor, and a solid passage opening formed in the top of the solid outlet, And a blade module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ieve filter and pushing the solid portion caught in the upper portion of the sieve to the side of the solid material passing hole by rotation to discharge the solid material to the microbial processor through the solid material passing hole and the solid material outlet. And an upper case coupled to the lower case with the filter module interposed therebetween, the upper case being locat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water outlet and having a crushed water inlet portion into which the solid and the water are introduced from the coupling pipe,
Wherein the blade module includes a blade rotating shaft portion that rotates in an up-and-down direction around the inside of the pulverized-water separator, and a blade rotating shaft portion that extends radially outward from the blade rotating shaft portion and rotates in accordance with rotation of the blade rotating shaft portion between the upper case and the drawing- At least one rotating blade for rotating and pushing the solid portion caught by the sieve to the solid passage opening side and a ring gear having a ring shape in which the rotating blade is connected to a radial end, A blade driving unit that rotates the rotating blades in conjunction with the gear of the ring gear so as to rotate the blade rotating shaft unit about an axis; and a net cleaning module installed between the filtering net and the lower case,
The network cleaning module
A cleaning rotary shaft portion that is axially coupled to the blade rotary shaft portion and rotates in synchronism with the rotation of the blade rotary shaft portion;
And a cleaning blade extending radially outward from the cleaning rotary shaft portion and rotating in accordance with rotation of the cleaning rotary shaft portion to remove residue of the solid matter remaining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ltering net.
상기 분쇄물 분리기는, 상기 수분이 배출되는 수분 배출구와 상기 미생물 처리기와 연통되는 고형분 배출구가 형성된 하부 케이스와, 상기 수분이 통과 가능한 망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고형분 배출구의 상부에 형성되는 고형분 통과구가 마련된 거름망과, 상기 거름망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거름망의 상부에 걸린 상기 고형분을 회전에 의해 상기 고형분 통과구 측으로 밀어 상기 고형분을 상기 고형분 통과구 및 상기 고형분 배출구를 통해 상기 미생물 처리기로 배출시키는 블레이드 모듈과, 상기 거름망과 상기 블레이드 모듈을 사이에 두고 상기 하부 케이스와 결합하고 상기 수분 배출구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연결관으로부터 상기 고형분과 상기 수분이 유입되는 분쇄물 유입부가 형성된 상부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블레이드 모듈은, 상기 분쇄물 분리기 내부에 상하 방향을 축으로 회전하는 블레이드 회전축부와, 상기 블레이드 회전축부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거름망 사이에서 상기 블레이드 회전축부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여 상기 거름망에 걸린 상기 고형분을 상기 고형분 통과구 측으로 밀어 이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 블레이드와, 상기 회전 블레이드가 반경 방향 끝단에 연결되는 링 형상을 가지며, 원주 방향을 따라 기어 이가 형성된 링 기어와, 상기 회전 블레이드가 상기 블레이드 회전축부를 축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링 기어의 상기 기어 이와 맞물려 회전시키는 블레이드 구동부와, 상기 거름망과 상기 하부 케이스 사이에 설치되는 망 청소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케이스에는 내부 상부 표면으로부터 하향 돌출되어 상기 회전 블레이드의 회전시 상기 회전 블레이드가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 리브는 상기 상부 케이스의 중심으로부터 가장자리 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상기 회전 블레이드의 회전시 상기 회전 블레이드가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순차적으로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A food waste grinder for grinding food waste containing moisture discharged from a drain port of a sink; A microorganism processor for decomposing the solid content in the pulverized material pulverized by the food waste pulverizer using microorganisms; A connection pipe for transferring the pulverized product from the food waste pulverizer to the microorganism processor; A microbial processor for separating the solid matter and water from the pulverized water that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pe and introduced through the connection pipe to move the solid matter to the microbial processor and to discharge the water, ; Including,
The pulverized water separator includes a lower case having a water outlet for discharging the water and a solid outlet for communicating with the microorganism processor, and a solid passage opening formed in the top of the solid outlet, And a blade module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ieve filter and pushing the solid portion caught in the upper portion of the sieve to the side of the solid material passing hole by rotation to discharge the solid material to the microbial processor through the solid material passing hole and the solid material outlet. And an upper case coupled to the lower case with the filter module interposed therebetween, the upper case being locat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water outlet and having a crushed water inlet portion into which the solid and the water are introduced from the coupling pipe,
Wherein the blade module includes a blade rotating shaft portion that rotates in an up-and-down direction around the inside of the pulverized-water separator, and a blade rotating shaft portion that extends radially outward from the blade rotating shaft portion and rotates in accordance with rotation of the blade rotating shaft portion between the upper case and the drawing- At least one rotating blade for rotating and pushing the solid portion caught by the sieve to the solid passage opening side and a ring gear having a ring shape in which the rotating blade is connected to a radial end, A blade driving unit that rotates the rotating blades in conjunction with the gear of the ring gear so as to rotate the blade rotating shaft unit about an axis; and a net cleaning module installed between the filtering net and the lower case,
Wherein the upper case has at least one latching rib protruding downward from an inner upper surface thereof and contacting the rotating blade when the rotating blade rotates;
Wherein the latching rib is formed along an edge direction from a center of the upper case and is formed such that the rotating blade sequentially contacts one side to the other side when the rotating blade rotates.
상기 미생물 처리기는
내부에 분해 공간이 형성되고 상향 개방된 개구를 갖는 처리기 본체와,
상기 분쇄물 분리기의 하부 케이스가 설치되고 상기 처리기 본체의 개구를 커버하는 상부 커버와,
상기 처리기 본체의 일측 벽면에 상하 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상부에 형성된 상부 유입구와 하부에 형성된 하부 배수구가 마련된 수분 배수관을 포함하고;
상기 수분 배수관의 상기 상부 유입구는 상기 분쇄물 분리기의 상기 하부 케이스에 형성된 상기 수분 배출구와 연통되고, 상기 수분 배수관의 상기 하부 배수구는 상기 처리기 본체의 하부에서 상기 분해 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수분 배출구를 통해 상기 분쇄물 분리기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수분이 상기 수분 배수관을 통해 상기 처리기 본체의 상기 분해 공간 하부로 이동하며;
상기 처리기 본체의 하부에는 외부 배수관과 연결되는 배수관 연결부가 마련되어, 상기 수분 배수관을 통해 배출되는 상기 수분이 상기 배수관 연결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The microbial processor
A processor body having a decomposition space formed therein and having an upwardly open opening,
An upper cover provided with a lower case of the pulverized material separator and covering an opening of the processor body,
And a water drain pipe provided at one side wall of the processor body in a vertical direction and having an upper inlet formed at the upper portion and a lower drain formed at the lower portion;
Wherein the upper inlet of the water drain pipe communicates with the water outlet formed in the lower case of the pulverized water separator and the lower drain port of the water drain pipe communicates with the decomposition space at a lower portion of the processor body, Wherein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pulverized water separator moves through the water drain pipe to a lower portion of the decomposition space of the processor body through the water discharge pipe;
Wherein a water pipe connection part connected to an external water pipe is provided in a lower part of the main body of the processor and the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pip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ater pipe connection part.
상기 하부 배수구는 상기 배수관 연결부보다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처리기 본체의 바닥면은 상기 하부 배수구 측으로부터 상기 배수관 연결부 측으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lower drain hole is located above the drain pipe connection part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processor body is inclined from the lower drain hole side to the drain pipe connection part side.
상기 하부 케이스는
중심으로부터 측벽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분리벽에 의해 수분 배출 공간과 고형분 배출 공간으로 분리되고;
상기 수분 배출 공간의 바닥면 일측에 상기 수분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수분 배출 공간의 바닥면은 상기 수분 배출구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고형분 배출 공간이 상기 고형분 배출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The lower case
Separated into a water discharge space and a solid matter discharge space by a pair of partition walls connected to the side wall from the center;
The water discharge port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discharge spac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discharge space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water discharge port;
And the solid discharge space forms the solid discharge port.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45753A KR101680129B1 (en) | 2015-10-20 | 2015-10-20 | Apparatus for disposing food waste |
JP2015232003A JP6169672B2 (en) | 2014-12-02 | 2015-11-27 | Garbage crusher and garbage processing device |
PCT/KR2016/011840 WO2017069539A1 (en) | 2015-10-20 | 2016-10-20 | Food waste pulverizing machine, microorganism processing machine, and food waste processing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45753A KR101680129B1 (en) | 2015-10-20 | 2015-10-20 | Apparatus for disposing food wast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80129B1 true KR101680129B1 (en) | 2016-11-28 |
Family
ID=57706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45753A KR101680129B1 (en) | 2014-12-02 | 2015-10-20 | Apparatus for disposing food wast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80129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37785B1 (en) | 2019-10-16 | 2021-04-07 | 신홍섭 | Apparatus for disposing food waste |
KR20210062452A (en) * | 2019-11-21 | 2021-05-31 | 미래그린 주식회사 | Food fermentation processing devic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066478A (en) * | 2003-08-25 | 2005-03-17 | Trinity Tark International Kk | Garbage treating apparatus and sink incorporating the same |
-
2015
- 2015-10-20 KR KR1020150145753A patent/KR101680129B1/en active IP Right Review Reques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066478A (en) * | 2003-08-25 | 2005-03-17 | Trinity Tark International Kk | Garbage treating apparatus and sink incorporating the same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37785B1 (en) | 2019-10-16 | 2021-04-07 | 신홍섭 | Apparatus for disposing food waste |
KR20210062452A (en) * | 2019-11-21 | 2021-05-31 | 미래그린 주식회사 | Food fermentation processing device |
KR102286064B1 (en) | 2019-11-21 | 2021-08-05 | 미래그린 주식회사 | Food fermentation processing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35559B1 (en) | Disposer with microorganism for Waste Food | |
KR101308993B1 (en) | Apparatus for treating the food waste | |
KR101413883B1 (en) | Apparatus for processing food waste for a sink | |
KR20170045818A (en) | Apparatus for disposing food waste | |
KR101217227B1 (en) | Food grinding and reducing device | |
KR101680129B1 (en) | Apparatus for disposing food waste | |
KR20180112233A (en) | foodwaste shredder for sink | |
JP2015013249A (en) | Raw refuse treatment device | |
KR101777803B1 (en) | Food processor for sink | |
KR101682059B1 (en) | Kitchen waste disposer | |
KR101847093B1 (en) | Apparatus for processing food waste for a sink | |
KR101899425B1 (en) | Apparatus for treating food waste | |
KR20170041350A (en) | Food Waste Treatment System | |
KR20170079404A (en) | Food garbage processing apparatus | |
JP6153216B2 (en) | Garbage disposal equipment | |
KR101365033B1 (en) | Processing apparatus for seperating food waste from dishwater and food cooking water | |
KR102250013B1 (en) | food waste treatment device using home | |
KR102263408B1 (en) | Food waste disposal machine | |
KR102244898B1 (en) | Apparatus for Reducing Food Wastes | |
KR102237785B1 (en) | Apparatus for disposing food waste | |
KR102229107B1 (en) | Food waste disposer | |
KR102229110B1 (en) | Food waste disposer | |
KR20150017208A (en) |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 |
KR101449642B1 (en) | Food wastes treater for sink mounting | |
JP6169672B2 (en) | Garbage crusher and garbage process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121 Year of fee payment: 4 |
|
J204 |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0001406;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10512 Effective date: 202208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