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6692B1 - Fire alert apparatus of electricity facilities usng spark detector - Google Patents
Fire alert apparatus of electricity facilities usng spark detec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76692B1 KR101676692B1 KR1020160054625A KR20160054625A KR101676692B1 KR 101676692 B1 KR101676692 B1 KR 101676692B1 KR 1020160054625 A KR1020160054625 A KR 1020160054625A KR 20160054625 A KR20160054625 A KR 20160054625A KR 101676692 B1 KR101676692 B1 KR 10167669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re
- detection signal
- occurrence
- spark detector
- spark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title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7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8000012806 monitoring devic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08000024891 symptom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20169 heat 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616 electrical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95 mi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595 spect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9—Signalling of the alarm condition to a substation whose identity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relaying alarm signals in order to extend communication range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Fire Alar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기설비의 화재발생을 사전에 감지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기실, 전력케이블 및 수배전반 등과 같은 방재구역에서 비접촉식 센서를 이용하여 화재발생 징후를 사전에 감지하여 통보할 수 있도록 한 스파크 검출기를 이용한 전기설비의 화재발생 감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for detecting fire occurrence in electrical equipment in advan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park detector for detecting a fire occurrence in advance by using a non-contact type sensor in an emergency room such as an electric room, a power cab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monitoring the occurrence of a fire in an electric facility using the apparatus.
일반적으로, 전기화재의 주요원인은 전선케이블의 합선, 과전류, 아크 및 누설전류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전기화재의 발생을 줄이기 위하여 화재발생 감지기 및 차단기와 같은 개별장비가 설치된다.Generally, the main cause of electric fire is short circuit, overcurrent, arc and leakage current of cable. To reduce the occurrence of such electric fires, individual devices such as fire detection sensors and breakers are installed.
근래들어, 대형 건물이나 기계 설비 또는 전기설비가 설치된 산업시설 등에서 화재발생이 우려되는 위치에 접촉식 온도센서를 개별적으로 설치해 두고 이들을 통해 열 발생이 감지되면 관리자에게 알려주는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다. Recently, a contact type temperature sensor is separately installed in a place where a fire is likely to occur in a large building, an industrial facility equipped with a mechanical facility, or an electric facility, and a system is provided to notify the manager when heat is detected through these.
그러나, 이와 같이 접촉식 온도센서를 이용하여 화재 발생을 감지하는 종래 기술의 경우, 발열 후의 지연시간으로 인하여 신속하게 대처하는데 어려움이 따르고, 각각의 발열 위치마다 무수히 많은 온도센서를 부착하게 되므로 유지 보수에 어려움이 따른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prior art that detects the occurrence of fire by using the contact type temperature sensor, it is difficult to quickly cope with the delay time after the heat generation, and since a large number of temperature sensors are attached to each heat generation position, There is a difficulty in.
더욱이, 통신선, 전선 등이 지나가는 관로인 지하 칼버트 또는 건물 내의 임의의 위치에서 돌발적으로 발생되는 화재 징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관리자에게 알려주는데 어려움이 있다.
Furthermore, it is difficult to detect an unexpected fire symptom occurring in an underground calvert or a certain place in a building in real time and notify an administrator of the underground calvert that a communication line, a wire or the like passes through.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력케이블이나 수배전반 등이 설치되어 화재 발생에 취약한 방재구역에서 비접촉식 센서를 이용하여 각 위치에서의 화재발생 징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화면이나 알람을 통해 관리자에게 알려줄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A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tect a fire occurrence indication at each position in real time by using a non-contact type sensor in a disaster prevention area where a power cable, a switchboard or the like is installed and is vulnerable to fire, .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파크 검출기를 이용한 전기설비의 화재발생 감시장치는, 화재발생에 취약한 방재구역에서 설치되어 스파크 발생을 감지하고 그에 따른 화재검출신호를 각기 출력하는 복수 개의 화재감지장치; 상기 화재감지장치로부터 화재검출신호를 수신받아 RS-485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유무선 송신기; RS-485 통신망을 통해 통해 수신되는 상기 화재검출신호를 USB 통신모듈을 통해 송출하거나, 상기 USB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상기 RS-485 통신망을 통해 송출하는데 적당하도록 변환하는 USB-시리얼통신 변환장치; 및 상기 USB-시리얼통신 변환장치로부터 전송받은 화재검출신호를 근거로, 상기 방재구역 내의 임의의 위치에서 화재가 발생된 것을 인식하여 화면상에 해당 위치에서의 화재 발생을 표시하고, 알람을 발생하는 화재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monitoring a fire occurrence in an electrical installation using a spark detector, the apparatus comprising: a plurality of spark detectors for detecting a spark occurrence, Fire detection devices; A wired / wireless transmitter for receiving a fire detection signal from the fire detection device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fire detection signal through an RS-485 communication network; Serial communication conversion for converting the fire detection signal received through the RS-485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the USB communication module or converting th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USB communication module to be suitable for transmission through the RS-485 communication network Device; And a fire detec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USB-serial communication conversion device, recognizing that a fire has occurred at an arbitrary position in the disaster prevention area, displaying a fire occurrence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on the screen, and generating an alarm And a fire monitoring device.
상기 방재구역은 전력케이블이나 수배전반 등이 설치된 구역을 포함할 수 있다.The disaster prevention area may include an area where a power cable, a switchboard, etc. are installed.
상기 화재감지장치는 상기 방재구역에서의 스파크 발생을 감지하여 그에 따른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스파크 검출기; 및 상기 스파크 검출기의 출력신호를 근거로 상기 방재구역에서의 화재 발생 유무를 판단하여 그에 따른 화재검출신호를 지그비(Zigbee) 또는 RS-485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제어기;를 구비할 수 있다.Wherein the fire detection device comprises: a spark detector for detecting a spark occurrence in the fire-fighting area and outputting a corresponding detection signal; And a controller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a fire has occurred in the fire fighting area based on an output signal of the spark detector and transmitting a fire detection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through a Zigbee or RS-485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스파크 검출기는 상기 방재구역 내의 감시 대상으로부터 시야가 확보되고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며, 각도 조정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The spark detector is provided at a position in which a field of view is secured from the monitored object in the disaster prevention area, and has a structure capable of adjusting the angle.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파크 검출기를 이용한 전기설비의 화재발생 감시장치는, 복수 개의 스파크 검출기, 복수 개의 센서노드 및 싱크노드를 구비하여 전기실이나 전력케이블 또는 수배전반이 설치된 화재 감시 대상 지역에서의 화재 발생을 감지하여 그에 따른 화재 데이터를 전송하는 화재 감시장치; 및 상기 화재 감시장치로부터 전송받은 화재 데이터를 근거로, 해당 감시 대상 이역 내의 임의의 위치에서 화재가 발생된 것을 인식하여 화면상에 해당 위치에서의 화재 발생을 표시하고, 알람을 발생하는 화재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monitoring fire occurrence in an electrical equipment using a spark detector, including a plurality of spark detectors, a plurality of sensor nodes, and a sink node, A fire monitoring device for detecting a fire occurrence in a fire monitoring area and transmitting the fire data according to the detected fire occurrence; And a fire monitoring device for recognizing that a fire has occurred at an arbitrary position within the monitored range and displaying a fire occurrence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on the screen based on the fire data transmitted from the fire monitoring device, ; And
상기 스파크 검출기는 상기 감시대상 지역으로부터 시야가 확보되고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며, 각도 조정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The spark detector is provided at a position where a visual field is secured and spaced from the monitored area, and has a structure capable of adjusting the angle.
상기 센서노드는 상기 화재 감시 대상 지역에서 감지된 자외선을 근거로 화재 데이터를 생성한 후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상기 화재 데이터를 전송하는 구조를 갖는다.The sensor node generates fire data based on ultraviolet rays detected in the fire monitoring target area, and then transmits the fire data in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상기 싱크노드는 상기 센서 노드로부터 화재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화재 데이터를 원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화재 모니터링 장치에 전송하는 구조를 갖는다.
The sink node has a structure for receiving fire data from the sensor node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fire data to the fire monitoring apparatus through the remote wireless communication.
본 발명은 전력케이블이나 수배전반 등이 설치되어 화재 발생에 취약한 방재구역에서 스파크 검출기와 같은 비접촉식 검출기를 이용하여 화재발생 징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화면이나 알람을 통해 관리자에게 알려줌으로써, 관리자는 평상시 별다른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도 화면이나 알람을 통해 해당 위치에서의 화재 발생을 인식하여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e occurrence of a fire in real time using a non-contact type detector such as a spark detector in a disaster prevention area where a power cable or a switchboard is installed and is vulnerable to a fire, and informs the manager through a screen or an alarm,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e occurrence of a fire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through a screen or an alarm and to take necessary measures.
또한, 적은 개수의 스파크 검출기를 이용하여 보다 넓은 방재구역의 화재발생 징후를 감지할 수 있으므로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a small number of spark detectors can be used to detect a fire occurrence in a wider disaster prevention area, the cost can be reduc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파크 검출기를 이용한 전기설비의 화재발생 감시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스파크 검출기가 방재구역에 설치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3 화재감지장치에 설치된 스파크 검출기의 실제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스파크 검출기를 이용한 전기설비의 화재발생 감시장치의 블록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monitoring fire occurrence in an electrical equipment using a spark det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shows an example in which a spark detector is installed in a disaster prevention area.
Fig. 3 shows an actual photograph of a spark detector installed in a fire detection apparatus.
4 is a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monitoring fire occurrence in an electrical equipment using a spark dete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word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in a conventional or dictionary sense and that the inventor can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a term in order to best describe its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또한,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 할 것이다.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specific structure or functional description is illustrative only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an embodiment consistent with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at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But are not limited to, examples.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파크 검출기를 이용한 전기설비의 화재발생 감시장치의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재감지장치(10A-10N), 유무선 송신기(20), USB-시리얼통신 변환장치(30) 및 화재 모니터링 장치(40)를 포함한다.FIG. 1 is a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monitoring the occurrence of fire in an electrical facility using a spark det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he
복수의 화재감지장치(10A-10N)는 전기실이나 전력케이블 또는 수배전반이 설치된 화재발생에 취약한 방재구역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들은 각각 복수의 스파크 검출기(11) 및 제어기(12)를 구비한다.The plurality of
스파크 검출기(11)는 전기설비에서 전선의 유도전류 또는 과전류, 아크 등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스파크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스파크 검출기(11)는 일종의 자외선 센서로서 금속의 광전 효과와 가스증배 효과를 이용한 185 ~ 260nm의 비교적 좁은 스펙트럼 감도를 가진 UV Tron, 가시광선을 완전히 구분하지 못하는 반도체 광전센서와 달리 자외선에만 반응하기 때문에 가시광(optical visible) 차단 필터(cut filter)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The
즉, 상기 스파크 검출기(11)는 광전효과와 가스 증배 효과를 이용하여 스파크를 감지하는 사이드 온 타입(side-on type)의 검출기로서, 높은 감도(10단계 감도)와 넓은 시야(지향성)의 특성을 갖는다. 상기 스파크 검출기(11)가 설치되는데 특별한 제한을 받지 않는다. 다만, 상기 스파크 검출기(11)는 감시 대상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를 두고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고, 감시 대상이 직접 보이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스파크 검출기(11)는 각도 조정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That is, the
제어기(12)는 상기 스파크 검출기(11)와 연결되어 이의 출력신호를 근거로 상기 방재구역에서의 화재 발생 유무를 판단하고,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될 때 화재검출신호를 지그비(Zigbee) 또는 RS-485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제어기(12)는 상기 화재검출신호에 해당 스파크 검출기(11)의 식별부호(ID)를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The
유무선 송신기(20)는 상기 제어기(12)와 연결되어 그로부터 수신되는 화재검출신호를 RS-485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The wired /
USB-시리얼통신 변환장치(30)는 한편으로는 RS-485 통신망을 통해 상기 유무선 송신기와 연결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USB 통신모듈을 통해 화재 모니터링 장치(40)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USB-시리얼통신 변환장치(30)는 상기 RS-485 통신망을 통해 수신되는 화재검출신호를 USB 통신모듈을 통해 송출하거나, 반대로 USB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RS-485 통신망을 통해 송출하는데 적당하도록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USB-
상기 USB-시리얼통신 변환장치(30)는 상기 화재감지장치(10A-10N)의 각각의 스파크 검출기(11)로부터 출력되는 화재검출신호를 수집하여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USB-시리얼통신 변환장치(30)는 알람 출력은 3채널로 구성할 수 있고, 타워램프(Tower Lamp)나 혼(horn) 등을 구비하여 빠른 판단 및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였다. The USB-serial
화재 모니터링 장치(40)는 독립된 각각의 그룹별로 USB 포트를 통해 상기 방재구역 내의 해당 위치에서의 화재 발생 유무를 감시한다. 즉, 상기 화재 모니터링 장치(40)는 상기 USB 포트를 통해 상기 USB-시리얼통신 변환장치(30)로부터 전송받은 화재검출신호 및 그 화재검출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식별부호(ID)를 근거로, 상기 방재구역에서 화재가 발생된 것을 인식하여 화면상에 해당 위치에서의 화재 발생을 표시하고, 알람을 발생한다. 따라서, 관리자는 평상시 별다른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도 상기 화면이나 알람을 통해 화재 발생 및 화재가 발생된 위치를 인식하여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The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온도센서를 이용한 전기설비의 화재발생 감시장치의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재 감지장치(110) 및 화재 모니터링 장치(120)를 구비한다.Meanwhile, FIG. 4 is a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monitoring the occurrence of fire in an electrical equipment using a non-contact type temperature sens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 the apparatus includes a
상기 화재 감지장치(110)는 복수 개의 스파크 검출기(111), 복수 개의 센서노드(112) 및 싱크노드(113)를 구비한다.The
화재 감지장치(110)는 전기실이나 전력케이블 또는 수배전반과 같이 화재 발생이 우려되는 감시 대상의 지역에 설치되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 복수 개 설치될 수 있다. The
스파크 검출기(111)는 감시 대상 지역 내의 감시구역이나 감시 대상 물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도 1의 스파크 검출기(11)와 동일한 구성을 갖고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The
복수 개의 센서 노드(112)는 화재 발생이 우려되는 지역들에 각기 설치되어 해당 위치에서 화재 발생을 감지한다. 일반적으로, 전기실이나 전력케이블 또는 수배전반과 같은 지역에서 발생되는 불꽃은 특수한 파장대의 자외선을 발생하는데, 상기 센서 노드(112)는 이러한 특수한 파장대의 자외선을 근거로 화재가 발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따라서, 센서 노드(112)를 불꽃에서 발생하는 특수한 파장대의 자외선만을 근거로 화재발생 여부를 판단하므로 태양광선, 안개, 온도 및 습도 등의 외부 환경의 영향을 받지 않고 감시 대상 지역에서의 화재 발생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센서 노드(112)의 화재 감지 거리 및 설치 거리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상기 센서 노드(112)는 상기와 같은 원리로 화재 발생을 감지한 후 감지된 자외선을 근거로 화재 데이터를 생성한다. 상기 센서 노드(112)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또는 USN(Ubiquitous Sensor Network) 기술을 이용하여 고유 장치 식별번호를 갖도록 구현되는데, 이러한 기술을 기반으로 상기 화재 데이터에는 화재 발생 위치, 화재 발생 규모, 감지한 센서 노드(112)의 식별번호 및 인접한 스파크 검출기(111)의 식별번호 등의 포함될 수 있다. The
상기 센서 노드(112)는 화재 데이터가 생성되면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화재 데이터를 싱크노드(113)에 전달한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으며, 지그비(zigbee)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그비 방식은 저전력, 저가격 및 사용상의 용이성의 장점을 갖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대표적인 기술로서 로우 데이터 레이트(low data rate) 무선통신 기술이다. 이와 같은 복수 개의 센서노드(112)들은 무선 그물망 네트워크(wireless mesh network)를 구성함으로써, 지속적으로 관리하기 어려운 센서노드들을 포함하는 화재 감지장치(110)에서 다른 센서 노드들 중 일부가 배터리 방전이나 고장 등으로 인하여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도 나머지 정상 동작하는 센서 노드(112)들 간의 라우팅(routing)을 통하여 싱크 노드(113)에 안정된 화재 데이터의 전송을 가능하게 한다.When the fire data is generated, the
싱크 노드(113)는 상기 센서 노드(112)들로부터 화재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화재 데이터를 원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화재 모니터링 장치(120)에 전송한다. 상기 원거리 무선통신으로서 무선 랜(LAN),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 또는 전용선 등이 이용될 수 있다. The
상기 싱크 노드(113)의 설치 위치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으나, 비교적 관리자의 접근이 용이한 위치에 설치되어 화재 모니터링 장치(120)와 무선통신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상기 싱크 노드(113)는 상기 목수의 센서 노드(112)들이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일정 시간 단위로 체크하고 그 체크 결과를 상기 화재 모니터링 장치(12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센서 노드(112)들은 지속적인 관리가 어렵기 때문에 배터리 방전이나 고장 등으로 인하여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싱크 노드(113)는 이와 같은 센서 노드(112)들을 확인하여 상기 화재 모니터링 장치(120)에 전송함으로써, 관리자가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The
화재 모니터링 장치(120)는 상기 싱크 노드(113) 로부터 전송받은 화재 데이터를 근거로, 해당 방재구역 내의 임의의 위치에서 화재가 발생된 것을 인식하여 화면상에 해당 위치에서의 화재 발생을 표시하고, 알람을 발생한다. 따라서, 관리자는 평상시 별다른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도 상기 화면이나 알람을 통해 상기 해당 위치에서의 화재 발생을 인식하여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Based on the fire data received from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바탕으로 보다 다양한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들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se embodiments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A-10N,110 : 화재감지장치 11,111 : 스파크 검출기
12 : 제어기 20 : 유무선 송신기
30 : USB-시리얼통신 변환장치 40,120 : 화재 모니터링 장치10A-10N, 110:
12: controller 20: wired / wireless transmitter
30: USB-serial communication conversion device 40,120: Fire monitoring device
Claims (8)
상기 화재감지장치로부터 화재검출신호를 수신받아 RS-485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유무선 송신기;
RS-485 통신망을 통해 통해 수신되는 상기 화재검출신호를 USB 통신모듈을 통해 송출하거나, 상기 USB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상기 RS-485 통신망을 통해 송출하는데 적당하도록 변환하는 USB-시리얼통신 변환장치; 및
상기 USB-시리얼통신 변환장치로부터 전송받은 화재검출신호를 근거로, 상기 방재구역 내의 임의의 위치에서 화재가 발생된 것을 인식하여 화면상에 해당 위치에서의 화재 발생을 표시하고, 알람을 발생하는 화재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화재감지장치는,
상기 방재구역에서의 스파크 발생을 감지하여 그에 따른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스파크 검출기; 및
상기 스파크 검출기의 출력신호를 근거로 상기 방재구역에서의 화재 발생 유무를 판단하여 그에 따른 화재검출신호를 지그비(Zigbee) 또는 RS-485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제어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스파크 검출기는,
광전효과와 가스 증배 효과를 이용하고 자외선에만 반응하여 스파크를 감지하는 사이드 온 타입(side-on type)의 스파크 검출기로서, 상기 방재구역 내의 감시 대상으로부터 시야가 확보되고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며, 각도 조정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크 검출기를 이용한 전기설비의 화재발생 감시장치.
A plurality of fire detection devices installed in the disaster prevention area susceptible to fire occurrence and detecting the occurrence of sparks and outputting corresponding fire detection signals, respectively;
A wired / wireless transmitter for receiving a fire detection signal from the fire detection device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fire detection signal through an RS-485 communication network;
Serial communication conversion for converting the fire detection signal received through the RS-485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the USB communication module or converting th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USB communication module to be suitable for transmission through the RS-485 communication network Device; And
A fire detection unit for recognizing that a fire has occurred at an arbitrary position in the fire fighting area on the basis of the fire detec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USB-serial communication conversion apparatus and displaying a fire occurrence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on the screen, Monitoring device,
The fire detection device includes:
A spark detector for detecting a spark occurrence in the disaster prevention area and outputting a detection signal according to the spark occurrence; And
And a controller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a fire has occurred in the fire fighting area based on the output signal of the spark detector and transmitting a fire detection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through a Zigbee or RS-485 communication network
Wherein the spark detector comprises:
A side-on type spark detector that detects sparks in response to only ultraviolet rays using a photoelectric effect and a gas multiplication effect. The spark detector is installed at a position where the field of view is secured and spaced apart from the object to be monitored in the disaster prevention area, Wherein the spark detector has a structure that can be adjusted.
전력케이블이나 수배전반 등이 설치된 구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크 검출기를 이용한 전기설비의 화재발생 감시장치.
2. The system of claim 1,
And a power cable, a power distribution board, and the like are installed.
상기 화재 감시장치로부터 전송받은 화재 데이터를 근거로, 해당 감시 대상 이역 내의 임의의 위치에서 화재가 발생된 것을 인식하여 화면상에 해당 위치에서의 화재 발생을 표시하고, 알람을 발생하는 화재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스파크 검출기는,
광전효과와 가스 증배 효과를 이용하고 자외선에만 반응하여 스파크를 감지하는 사이드 온 타입(side-on type)의 스파크 검출기로서, 방재구역 내의 감시 대상으로부터 시야가 확보되고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며, 각도 조정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복수개의 센서노드는,
상호 무선 그물망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상기 화재 감시 대상 지역에서 스파크검출기에서 감지된 자외선을 근거로 화재 데이터를 생성한 후, 정상 동작하는 센서노드들간의 라우팅을 통하여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상기 화재 데이터를 싱크노드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싱크노드는,
상기 센서 노드들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를 주기적으로 체크하고 체크결과를 상기 화재 모니터링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센서 노드로부터 화재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화재 데이터를 원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화재 모니터링 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크 검출기를 이용한 전기설비의 화재발생 감시장치.
A fire monitoring device for detecting a fire occurrence in a fire monitoring area where a plurality of spark detectors, a plurality of sensor nodes, and a sink node are installed to provide an electric room, a power cable, or a switchboard; And
A fire monitoring device for recognizing that a fire has occurred at an arbitrary position within the monitoring target two-way range based on the fire data transmitted from the fire monitoring device, displaying a fire occurrence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on the screen, ≪ / RTI &
Wherein the spark detector comprises:
A side-on type spark detector that utilizes photoelectric effects and gas multiplication effects and reacts only with ultraviolet light to detect sparks. It is installed at a position where the field of view is secured from the monitored object in the disaster prevention area,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tructure that can be made,
Wherein the plurality of sensor nodes comprise:
The fire data is generated on the basis of the ultraviolet rays detected by the spark detector in the fire monitoring target area, and then the fire data is transmitted through the short 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through the routing between the normally operating sensor nodes, To the node,
The sink node,
Periodically checking whether the sensor nodes are operating normally, transmitting a check result to the fire monitoring apparatus, receiving fire data from the sensor node,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fire data to the fire monitoring apparatus through the remote wireless communication A device for monitoring the occurrence of fire in electrical equipment using a spark detecto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54625A KR101676692B1 (en) | 2016-05-03 | 2016-05-03 | Fire alert apparatus of electricity facilities usng spark detec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54625A KR101676692B1 (en) | 2016-05-03 | 2016-05-03 | Fire alert apparatus of electricity facilities usng spark detecto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76692B1 true KR101676692B1 (en) | 2016-11-30 |
Family
ID=57707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54625A Active KR101676692B1 (en) | 2016-05-03 | 2016-05-03 | Fire alert apparatus of electricity facilities usng spark detect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76692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34155B1 (en) | 2017-01-02 | 2017-05-24 | 주식회사 현대콘트롤전기 | Fire alert apparatus of electricity facilities using non-contact temperature sensor measuring temperature of multisected point |
KR102188561B1 (en) | 2020-03-30 | 2020-12-09 | 주식회사 네오세미텍 | Apparatus for detecting spark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09853B1 (en) * | 2006-04-13 | 2009-08-05 |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 Fire alarm system, fire alarm method and sensor node |
KR101104519B1 (en) * | 2011-06-20 | 2012-01-12 | 황수명 | Contactless Integrated Fire Detection System |
KR101545977B1 (en) * | 2015-03-13 | 2015-08-21 | (주)제이케이알에스티 | The method for managing emergency state based on distributor using beacon and the system including the same |
KR101617185B1 (en) * | 2015-11-12 | 2016-05-03 | 주식회사 플레넷 | Remote sensing system for spark occurrence of the inner parts of distribution box |
-
2016
- 2016-05-03 KR KR1020160054625A patent/KR10167669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09853B1 (en) * | 2006-04-13 | 2009-08-05 |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 Fire alarm system, fire alarm method and sensor node |
KR101104519B1 (en) * | 2011-06-20 | 2012-01-12 | 황수명 | Contactless Integrated Fire Detection System |
KR101545977B1 (en) * | 2015-03-13 | 2015-08-21 | (주)제이케이알에스티 | The method for managing emergency state based on distributor using beacon and the system including the same |
KR101617185B1 (en) * | 2015-11-12 | 2016-05-03 | 주식회사 플레넷 | Remote sensing system for spark occurrence of the inner parts of distribution box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34155B1 (en) | 2017-01-02 | 2017-05-24 | 주식회사 현대콘트롤전기 | Fire alert apparatus of electricity facilities using non-contact temperature sensor measuring temperature of multisected point |
KR102188561B1 (en) | 2020-03-30 | 2020-12-09 | 주식회사 네오세미텍 | Apparatus for detecting spark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80050230A1 (en) | Electrical wall outlet fire detection system | |
KR100848929B1 (en) | Multi-sensing fire crime prevention terminal and its operation method | |
KR101563417B1 (en) | Real time fire protection and monitoring system with fault detection, and method therof | |
US20150077248A1 (en) | Smoke Detectors with Wireless Local Area Network Capabilities | |
KR101146474B1 (en) | Fire war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nalysising direction of fire extension | |
KR101919074B1 (en) | Electric fire prevention system | |
KR101734155B1 (en) | Fire alert apparatus of electricity facilities using non-contact temperature sensor measuring temperature of multisected point | |
KR100962030B1 (en) | Disaster prevention and safety management notification system using wired or wireless network | |
GB2599142A (en) | Fire safety system and method | |
KR101676692B1 (en) | Fire alert apparatus of electricity facilities usng spark detector | |
KR101682470B1 (en) | Fire alert apparatus using multifunctional sensor module | |
KR20190019469A (en) | Fire detector connected via mesh network and method for installing fire detector | |
KR101145414B1 (en) | Fire alarm system linked power monitoring unit | |
KR102671640B1 (en) | Unmanned Forest Fire Surveillance System | |
CN206541405U (en) | A kind of residual-current electrical fire monitors detection control system | |
KR100628837B1 (en) | Wireless fire alarm system and method | |
KR102662042B1 (en) | DISTRIBUTION BOARD BASED ON IoT USING ENVIROMENTAL INFORMATION | |
KR20200003452A (en) | Smart Fire Evacuation Leader | |
KR101393238B1 (en) | Method for detecting smoke or fire by using infra-red laser in a wide space | |
KR101682469B1 (en) | Integrated fire alert sysrem of electricity facilities using non-contact temperature sensor | |
EP2083406B1 (en) | Electric energy consumption meter with gas detector | |
KR101676694B1 (en) | Fire alert apparatus of electricity facilities using multi-divided temperature sensor | |
KR20160093448A (en) | Electronic fire detector by bluetooth ibeacon transmitter and receiving system | |
KR20100046526A (en) | A flame-tracing system for outdoor area using wirless sensor network | |
KR102091348B1 (en) | Integrated Alarm System for Using Radio Frequency (RF)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50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6062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50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6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02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1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11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8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8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8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8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81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9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