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0048B1 - 개체의 지방 함량을 감소시키는 미생물 및 그의 용도 - Google Patents

개체의 지방 함량을 감소시키는 미생물 및 그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0048B1
KR101670048B1 KR1020160095083A KR20160095083A KR101670048B1 KR 101670048 B1 KR101670048 B1 KR 101670048B1 KR 1020160095083 A KR1020160095083 A KR 1020160095083A KR 20160095083 A KR20160095083 A KR 20160095083A KR 101670048 B1 KR101670048 B1 KR 1016700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mt1
lactic acid
accession
microorganism
acid bacter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5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현호
김용인
정광호
김태훈
최우진
동혜진
조승기
전종수
Original Assignee
(주)메디톡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메디톡스 filed Critical (주)메디톡스
Priority to KR1020160095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00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0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00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61K35/747Lactobacilli, e.g. L. acidophilus or L. brevi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 A23V2400/165Paracasei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 A23V2400/169Plantaru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41Pediococcus
    • A23V2400/413Acidilactici
    • A23Y2220/63
    • A23Y2220/67
    • A23Y2280/15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Zo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LMT1-30(수탁번호 KCTC13023BP),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MT1-48(수탁번호 KCTC13024BP), 및 페디오코커스 애시디락티시 LMT2-46(수탁번호 KCTC13025BP)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미생물 또는 그 조합 또는 그 추출물, 및 그의 용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개체의 지방 함량을 감소시키는 미생물 및 그의 용도{Microorganism capable of reducing body fat and use thereof}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LMT1-30(수탁번호 KCTC13023BP),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MT1-48(수탁번호 KCTC13024BP), 및 페디오코커스 애시디락티시 LMT2-46(수탁번호 KCTC13025BP)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미생물 또는 그 조합 또는 그 추출물, 및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유산균은 우리 몸에 이로움을 주는 살아있는 생균으로 장내 균총 중의 일부로 소장 및 대장에 정착해 살아가는 미생물로 알려져 있다. 유산균들은 다양한 유기산의 생성을 통해 주변의 pH를 낮춤으로써 유해 세균의 성장을 억제할 뿐 아니라 균주에 따라 박테리오신과 같은 항균물질을 생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유산균은 장 상피 세표 자극을 통한 단순 정장 작용 이외에 장내 유해균 억제하는 항균력 및 항바이러스 효능, 면역 세포 활성 조절 능력까지 보유하고 있어 과민 염증 반응을 완화시키는 역할도 담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은 건강기능식품, 동물사료 첨가물 등으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 들어 각종 질환에 대한 효능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과민 염증 질환인 아토피 증상 개선과 장내 균총 이상으로 인한 대표적 질환인 장염(IBD)과 과민성 대장 증후군(IBS)에도 효과가 탁월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자가 면역 질환인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 동물 모델에 있어 조절T세포의 활성 유도와 더불어 염증성 T세포 활성 억제로 관절염 증상 완화 연구 결과들이 보고되었고, 기전 규명을 위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비만은 섭취된 음식물의 열량이 충분히 열로 전환되지 않은 과도한 열량이 지방축적으로 이어지는데, 결국 지방세포의 크기가 커지고 지방 전구 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가 촉진되면서 그 수가 증가하여 과도한 지방이 체내에 축적된 상태로서, 현대인들의 심각한 사회 문제로까지 대두 되고 있으며 이를 치료하기 위한 수많은 다양한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다. 체내에 들어온 지방이 소비되거나 배출되지 않고 축적되거나 혈관에 존재하면서 고지혈증, 고혈당, 동맥경화, 당뇨 등 대사질환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체내에서 지방을 직접 분해하거나 지방의 산화 작용을 촉진해 열을 발생하면서 지방을 연소시킬 수 있는 지방분해 효소들의 활성이 매우 중요한데, 이들 중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미토콘드리아 내에 존재하는 효소로 UCP(Uncoupling protein) 이 있다. 이들은 주로 백색지방, 갈색지방, 근육세포에 존재하며 ATP 생성을 감소시키며 열 발생을 유도한다. 실제 비만 환자에서 UCP1 발현량이 저하되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 되었고, UCP1 발현량은 에너지 소비량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비만을 억제하기 위한 노력으로 다양한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으며, 지방 섭취 자체를 줄이거나 체내 지방 흡수를 돕는 중성지방 분해 효소의 활성을 억제하는 방법이 있다. 비만 치료제로 다양한 제품들이 선보인 바 있는데, 비만 치료 약물로는 식욕 억제제, 소장에서 지방 흡수를 막는 흡수 억제제, 열량 소모를 도와주는 대사 촉진제가 있다. 식욕 억제제로 쓰이는 펜테르민(phentermine)과 펜디메트라진(phendimetrazine)은 도파민, 노르에피네프린 등의 신경전달 물질을 증가시켜 식욕을 억제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부작용으로는 불면증, 두통, 손떨림, 변비, 내성 증가 등이 보고되고 있다. 지방 흡수 억제를 위한 약물로는 Orlistat 이 잘 알려져 있으며, 췌장의 지방분해 효소 활성 저해 기능을 한다. Orlistat은 주로 소화기 계통 부작용으로는 배변이 새어 나오거나, 기름변(oily spotting)이 옷에 묻는 경우, 가스가 차거나 배변 횟수 증가 등이 수반된다. 또한 대사 촉진제로는 에페드린이 있으며, 이 악물은 발열 작용 촉진으로 인한 열량 과다 소비로 체지방 감소 효과가 있으나, 역시 부작용으로 불면증, 떨림, 혈압 상승 등이 보고 되고 있다.
이 같은 약물은 출시된 지 얼마 되지 않아 허가 취소나 판매금지된 약물이 많이 있고, 심각한 부작용으로 단기간인 4주만 사용 제한을 두거나 보조 요법으로 사용을 권장하고 있다. 따라서 비만 치료에 있어서, 부작용이 없는 안전한 치료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한편, 유산균은 면역증강, 항 미생물, 항산화, 항암 효과, 항비만 효과, 고혈압 예방 또는 변비 예방 효과 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Prev Nutr Food Sci. 2015 Dec; 20(4): 298-302). 그러나, 상업적으로 성공할 만큼 항비만 효과가 우수한 유산균 관련 기술은 출현하지 않았다.
최근 비만의 원인이 기회감염성 병원성 세균인 Enterobacter cloacae가 장내 존재하기 때문이라는 결과가 보고되었으며, 비만 환자들의 장내 균총 조사 후 Enterobacter cloacae를 마우스에 투여하고 비만을 유도하여 실제 비만 유발 세균임을 입증하였다(Na Fei 등, The ISME Journal (2013) 7, 880-884). 이들은 장내 균총의 일부로 신진대사를 방해하여 몸속의 지방 축적을 유도해 비만과 과체중을 유도한다고 알려져 있다.
유산균이 성장하면서 내놓는 대사산물인 젖산, 아세트산, 시트르산, 포름산 등에 의해 장내 산도(pH)가 낮아질 수 있는데, Enterobacter cloacae와 같은 그람 음성균들은 낮은 pH에서 성장에 제약을 받게 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단순히 산도 (pH)에 의한 성장 억제가 아닌 유산균 배양액에 포함된 유기산에 의해서 Enterobacter cloacae이 특이적으로 생육 억제하는 3종의 균주를 분리하였고 동물실험에서 비만 억제 효능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일 양상은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LMT1-30(수탁번호 KCTC13023BP),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MT1-48(수탁번호 KCTC13024BP), 및 페디오코커스 애시디락티시 LMT2-46(수탁번호 KCTC13025BP)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미생물 또는 그 조합 또는 그 추출물을 제공한다.
다른 양상은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LMT1-30(수탁번호 KCTC13023BP),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MT1-48(수탁번호 KCTC13024BP), 및 페디오코커스 애시디락티시 LMT2-46(수탁번호 KCTC13025BP)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미생물 또는 그 조합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 세포 중 지방 함량을 감소시키는데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양상은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LMT1-30(수탁번호 KCTC13023BP),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MT1-48(수탁번호 KCTC13024BP), 및 페디오코커스 애시디락티시 LMT2-46(수탁번호 KCTC13025BP)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미생물 또는 그 조합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개체 중 지방 함량을 감소시키는데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양상은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LMT1-30(수탁번호 KCTC13023BP),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MT1-48(수탁번호 KCTC13024BP), 및 페디오코커스 애시디락티시 LMT2-46(수탁번호 KCTC13025BP)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미생물 또는 그 조합 또는 그 추출물을 지방 세포와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방 세포 중 지방 함량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양상은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LMT1-30(수탁번호 KCTC13023BP),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MT1-48(수탁번호 KCTC13024BP), 및 페디오코커스 애시디락티시 LMT2-46(수탁번호 KCTC13025BP)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미생물 또는 그 조합 또는 그 추출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체의 지방 함량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 양상은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LMT1-30(수탁번호 KCTC13023BP),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MT1-48(수탁번호 KCTC13024BP), 및 페디오코커스 애시디락티시 LMT2-46(수탁번호 KCTC13025BP)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미생물 또는 그 조합을 제공한다.
다른 양상은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LMT1-30(수탁번호 KCTC13023BP),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MT1-48(수탁번호 KCTC13024BP), 및 페디오코커스 애시디락티시 LMT2-46(수탁번호 KCTC13025BP)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미생물 또는 그 조합의 추출물을 제공한다. 상기 추출물은 미생물 또는 그 조합의 단백질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미생물 또는 그 조합을 용균시키고, 원심분리하여 침전물을 제거하고 남은 상등액일 수 있다.
상기 미생물 또는 그 조합 또는 그 추출물에 있어서, 상기 조합은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LMT1-30(수탁번호 KCTC13023BP),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MT1-48(수탁번호 KCTC13024BP), 및 페디오코커스 애시디락티시 LMT2-46(수탁번호 KCTC13025BP)이 중량 기준으로 임의의 비율로 혼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혼합 비율은 예를 들면, 1:0.3 내지 3.0:0.3 내지 3.0일 수 있다.
상기 미생물 또는 그 조합 또는 그 추출물은, 비만을 유발하는 E.cloacae에 대하여 항균 활성을 갖는 것, 내산성을 갖는 것, 상기 내담즙산성을 갖는 것, 지방 전구 세포가 지방세포로 분화하는 것을 억제하는 활성을 가진 것, 지방 세포 중 PPARν, C/EBPα, FAS, 및 FABP4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 지방 세포 중 지방의 축적을 억제하는 것, 개체에 투여되는 경우 체중 및 체내의 지방 조직의 부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감소시키는 것, 및 개체에 투여되는 경우 혈중 트리글리세롤, 및 렙틴 함량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이상의 특성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내산성은 MRS 배지에서 pH 2.5 및 37℃에서 2시간 이상 생존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생존 가능한 시간은 예를 들면, 4시간 이상, 10시간 이상, 15시간 이상, 24시간 이상, 48시간 이상, 60시간 이상, 72시간 이상, 2시간 내지 24시간, 2시간 내지 48시간, 2시간 내지 60시간, 또는 2시간 내지 72시간일 수 있다.
상기 내담즙산성은 0.3% 담즙산 함유 MRS 배지에서 37℃에서 2시간 이상 생존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생존 가능한 시간은 예를 들면, 4시간 이상, 10시간 이상, 15시간 이상, 24시간 이상, 48시간 이상, 60시간 이상, 72시간 이상, 2시간 내지 24시간, 2시간 내지 48시간, 2시간 내지 60시간, 또는 2시간 내지 72시간일 수 있다.
상기 장내 상피세포는 소장, 대장 또는 그 조합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지방 전구 세포는 3T3-L1일 수 있다.
상기 미생물 또는 그 조합 또는 그 추출물은 지방 세포 중 PPARν, C/EBPα, FAS, 및 FABP4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억제는 상기 미생물 또는 그 조합 또는 그 추출물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PPARν, C/EBPα, FAS, 및 FABP4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전자의 발현을 10% 이상, 15% 이상, 20% 이상, 25% 이상, 30% 이상, 35% 이상, 45% 이상, 50% 이상, 55% 이상, 65% 이상, 70% 이상, 75% 이상, 80% 이상, 85% 이상, 90% 이상, 100% 이상, 10% 내지 100%, 20% 내지 100%, 30% 내지 100%, 40% 내지 100%, 50% 내지 100%, 60% 내지 100%, 70% 내지 100%, 80% 내지 100%, 또는 90% 내지 100% 감소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미생물 또는 그 조합 또는 그 추출물은 지방 세포 중 지방의 축적을 억제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억제는 상기 미생물 또는 그 조합 또는 그 추출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미생물 수 (개수) 또는 중량(g) 기준으로 지방 축적을 10% 이상, 15% 이상, 20% 이상, 25% 이상, 30% 이상, 35% 이상, 45% 이상, 50% 이상, 55% 이상, 65% 이상, 70% 이상, 75% 이상, 80% 이상, 85% 이상, 90% 이상, 100% 이상, 10% 내지 100%, 20% 내지 100%, 30% 내지 100%, 40% 내지 100%, 50% 내지 100%, 60% 내지 100%, 70% 내지 100%, 80% 내지 100%, 또는 90% 내지 100% 감소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미생물 또는 그 조합 또는 그 추출물은 개체에 투여되는 경우 체중 및 체내의 지방 조직의 부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감소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억제는 상기 미생물 또는 그 조합 또는 그 추출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미생물 수 (개수) 또는 중량(g) 기준으로 지방 축적을 10% 이상, 15% 이상, 20% 이상, 25% 이상, 30% 이상, 35% 이상, 45% 이상, 50% 이상, 55% 이상, 65% 이상, 70% 이상, 75% 이상, 80% 이상, 85% 이상, 90% 이상, 100% 이상, 10% 내지 100%, 20% 내지 100%, 30% 내지 100%, 40% 내지 100%, 50% 내지 100%, 60% 내지 100%, 70% 내지 100%, 80% 내지 100%, 또는 90% 내지 100% 감소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미생물 또는 그 조합 또는 그 추출물은 개체에 투여되는 경우 혈중 트리글리세롤, 및 렙틴 함량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감소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억제는 상기 미생물 또는 그 조합 또는 그 추출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미생물 수 (개수) 또는 중량(g) 기준으로 지방 축적을 10% 이상, 15% 이상, 20% 이상, 25% 이상, 30% 이상, 35% 이상, 45% 이상, 50% 이상, 55% 이상, 65% 이상, 70% 이상, 75% 이상, 80% 이상, 85% 이상, 90% 이상, 100% 이상, 10% 내지 100%, 20% 내지 100%, 30% 내지 100%, 40% 내지 100%, 50% 내지 100%, 60% 내지 100%, 70% 내지 100%, 80% 내지 100%, 또는 90% 내지 100% 감소시키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양상은 상기한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LMT1-30(수탁번호 KCTC13023BP),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MT1-48(수탁번호 KCTC13024BP), 및 페디오코커스 애시디락티시 LMT2-46(수탁번호 KCTC13025BP)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미생물 또는 그 조합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LMT1-30(수탁번호 KCTC13023BP),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MT1-48(수탁번호 KCTC13024BP), 및 페디오코커스 애시디락티시 LMT2-46(수탁번호 KCTC13025BP)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미생물 또는 그 조합 또는 그 추출물에 대하여는 상기한 바와 같다.
상기 조성물은 비만을 유발하는 E.cloacae에 대하여 항균 활성을 갖는 것, 내산성을 갖는 것, 상기 내담즙산성을 갖는 것, 지방 전구 세포가 지방세포로 분화하는 것을 억제하는 활성을 가진 것, 지방 세포 중 PPARν, C/EBPα, FAS, 및 FABP4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 지방 세포 중 지방의 축적을 억제하는 것, 개체에 투여되는 경우 체중 및 체내의 지방 조직의 부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감소시키는 것, 및 개체에 투여되는 경우 혈중 트리글리세롤, 및 렙틴 함량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특성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성물은 E.cloacae의 제거하거나 증식을 억제하는데, 지방 전구 세포가 지방세포로 분화하는 것을 억제하는데, 지방 세포 중 PPARν, C/EBPα, FAS, 및 FABP4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는데, 지방 세포 중 지방의 축적을 억제하는데, 개체에 투여되는 경우 체중 및 체내의 지방 조직의 부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감소시키는데, 및 개체에 투여되는 경우 혈중 트리글리세롤, 및 렙틴 함량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감소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용도는 단독 또는 그 조합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식품, 또는 의약품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식품학적으로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 중 상기 미생물 또는 그 조합 또는 추출물을 "식품학적 유효량" 또는 "치료학적 유효량"으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 있어서, "치료학적 유효량"은 치료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게 투여되는 경우 치료 효과를 나타내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한다. 용어 "치료"는 개체, 예를 들면 사람을 포함한 포유류에서 질환 또는 의학적 증상, 예를 들면 비만 질병을 치료함을 의미하고, 이는 다음을 포함한다: (a) 질환 또는 의학적 증상의 발생을 예방, 즉, 환자의 예방적 치료; (b) 질환 또는 의학적 증상의 완화, 즉, 환자에서 질환 또는 의학적 증상의 제거 또는 회복 야기; (c) 질환 또는 의학적 증상의 억제, 즉, 개체에서 질환 또는 의학적 증상의 진행을 늦춤 또는 정지; 또는 (d) 개체에서 질환 또는 의학적 증상을 경감. 상기 "유효량"은 당업자가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유효량"은 0.01mg 내지 10,000mg, 0.1mg 내지 1000mg, 1mg 내지 100mg, 0.01mg 내지 1000mg, 0.01mg 내지 100mg, 0.01mg 내지 10mg, 또는 0.01mg 내지 1mg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경구 투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성물은 정제, 캡슐제, 수성액제 또는 현탁제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제제화될 수 있다. 경구용 정제의 경우 락토즈, 옥수수 전분 등의 부형제 및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와 같은 활택제가 통상 가해질 수 있다. 경구투여용 캡슐제의 경우, 락토즈 및/또는 건조 옥수수 전분이 희석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경구용 수성 현탁제가 필요할 경우, 활성성분을 유화제 및/또는 현탁화제와 결합시킬 수 있다. 필요할 경우, 특정 감미제 및/또는향미제를 가할 수 있다.
다른 양상은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LMT1-30(수탁번호 KCTC13023BP),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MT1-48(수탁번호 KCTC13024BP), 및 페디오코커스 애시디락티시 LMT2-46(수탁번호 KCTC13025BP)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미생물 또는 그 조합 또는 그 추출물을 지방 세포와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방 세포 중 지방 함량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접촉은 미생물 또는 그 조합 또는 그 추출물을 지방 세포를 배지 중에서 배양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인 비트로 또는 인 비보 방법일 수 있다.
다른 양상은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LMT1-30(수탁번호 KCTC13023BP),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MT1-48(수탁번호 KCTC13024BP), 및 페디오코커스 애시디락티시 LMT2-46(수탁번호 KCTC13025BP)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미생물 또는 그 조합 또는 그 추출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체의 지방 함량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당업자는 투여시 투여경로는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상기 투여는 경구, 또는 국부 투여일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투여량은 전술한 바와 같이 환자의 상태, 투여 경로, 주치의의 판단 등과 같은 다양한 인자들에 따라서 다양해진다. 효과적인 투여량은 체외실험 또는 동물 모델 시험에서 얻어진 용량-반응곡선으로부터 추정할 수 있다. 투여되는 조성물에 존재하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비율 및 농도는 화학적 특성, 투여 경로, 치료적 투여량 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투여량은 개체에게 약 1 μg/kg 내지 약 1 g/kg per day, 또는 약 0.1 mg/kg 내지 약 500 mg/kg per day의 유효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용량은 개체의 나이, 체중, 감수성, 또는 증상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개체는 사람이 아닌 포유동물일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미생물 또는 그 조합 또는 그 추출물은 지방 세포 중 지방 함량을 감소시키는데 또는 개체 중 지방 함량을 감소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양상에 따른 지방 세포 중 지방 함량을 감소시키는데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 또는 개체 중 지방 함량을 감소시키는데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은 지방 세포 중 지방 함량을 감소시키는데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 또는 개체 중 지방 함량을 감소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양상에 따른 지방 세포 중 지방 함량을 감소시키는 방법 또는 개체의 지방 함량을 감소시키는 방법에 의하면, 지방 세포 중 지방 함량을 효율적으로 감소시키거나 또는 개체의 지방 함량을 효율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선별된 3종의 유산균의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y) 사진을 나타낸다.
도 2는 유산균 배양액과 같은 산도(pH)로 보정된 배양액이 함유된 배지에서 배양된 E.cloacae KCTC 1685의 세포 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선별된 3종 미생물이 장내 상피세포에 부착한 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선별된 3종의 미생물의 배양액의 존재하에서 배양된 3T3-L1 지방세포의 지방구의 전자현미경 사진(도 4a 내지 4f) 및 세포 중의 지방 축적 정도(도 4g)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선별된 3종의 미생물의 배양액의 존재하에서 배양된 3T3-L1 지방세포에서 비만과 관련 PPARν, C/EBPα, FAS, 및 FABP4 유전자의 발현을 mRNA 수준에서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6은 비만 유도된 마우스에서 3종의 선별된 미생물을 투여한 경우 시간에 따른 체중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비만 유도된 마우스에서 3종의 선별된 미생물을 투여한 경우,체지방 부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비만 유도된 마우스에서 3종의 선별된 미생물을 투여한 경우, 혈청 중 트리글리세리드(도 8a), 총 콜레스테롤(도 8b), 고밀도 지단백질(HDL)(도 8c), 저밀도 지단백질(LDL)(도 8d), 렙틴(도 8e), 및 아디포넥틴(도 8f) 함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비만 유도된 마우스에서 3종의 선별된 미생물을 투여한 경우, 분변 중 장내 미생물을 class(강) 수준에서 분류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최근 비만의 원인이 비만 유발 세균이 장내 존재하기 때문이라는 결과가 보고 되었다(The ISME Journal (2013) 7, 880-84, Na Fei 등). Na Fei 등은 비만 환자들의 장내 균총 조사 후 E.cloacae를 마우스에 투여하고 비만을 유도하여 실제 비만 유발 세균임을 입증하였다. E.cloacae는 기회감염성 병원성 세균으로서 그람 음성균이다. 이들은 장내 균총의 일부로 신진대사를 방해하여 몸속의 지방 축적을 유도해 비만과 과체중을 유도한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장내 균총 중에 E.cloacae의 비율을 줄이면 체지방 감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유산균이 성장하면서 내놓는 대사산물인 젖산, 아세트산, 시트르산, 포름산 등에 의해 장내 산도(pH)가 낮아지게 되는데, 이때 비만 세균과 같은 그람 음성균들은 낮은 pH에서 성장에 제약을 받는다. 이와 같은 사실을 바탕으로 비만 치료를 위해 E.clocae 성장 억제능력이 가장 뛰어난 유산균을 선별해 사용하면 비만 치료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비만 치료 약물들의 한계인 심각한 부작용을 우려할 필요가 없으며 비만 개선과 더불어 면역 증강 및 조절 등의 복합기능으로 시너지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실험에 사용된 지시균은 엔테로박터 클로아세(E.cloacae KCTC 1685)(이하 '지시균1'이라고도 한다), 엔테로박터 클로아세 아종 클로아세(Enterobacter subsp. cloacae KCTC 2361)(이하 '지시균2'라고도 한다)로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에서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또한 유산균은 김치 및 젖갈 등의 전통 음식에서 직접 분리 및 동정하였으며, 이들 유산균을 이용해 비만 세균 생육 억제 효과 스크리닝을 통해 선별했고, 이들 중 가장 비만세균에 대하여 높은 항균력을 가진 균주 3가지 즉, Lactobacillus paracasei LMT1-30(이하 'LMT1-30'이라고도 한다), Lactobacillus plantarum LMT1-48(이하 'LMT1-48'이라고도 한다), 및 Pediococcus acidilactici LMT2-46(이하 'LMT2-46'이라고도 한다)를 확보할 수 있었다.
이들 세가지 균주들은 한국세포주 은행(KCTC)에 기탁하였고, 미생물 대사 특성 분석(API kit), 전자현미경을 사용한 형태학적 분석, 내산성 및 내답즙성 분석을 통한 장내에서 안정성 검사, 지방 전구세포의 지방세포분화 능력 검증, 및 동물실험을 통해 체지방 감소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하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균주의 분리 및 동정
1. 균주의 분리 및 선발
유산균을 분리하기 위해 사용한 김치는 가정에서 직접 담군 김치를 4℃에서 보관하여 사용하였다. 김치로부터 총 유산균의 분리를 위해 MRS 배지(Difco Co., USA)에 도말하여 30℃에서 배양하였다. 김치의 전처리 방법은 4℃ 김치를 무균적으로 20g 취하여 0.85% NaCl 용액 180㎖로 희석하고, 스토마터(stomacher)로 5분간 균질화하여 이 후 0.85% NaCl 용액 9㎖이 담긴 튜브를 멸균하여 준비하고 준비된 튜브에 단계적으로 희석하여 샘플을 준비하였다. 이 후 MRS 평판배지에 도말하여 37℃에서 2∼3일간 배양하였고 나타난 콜로니들을 형태 및 색깔 별로 구별하여 다시 순수 분리하였다. 분리된 콜로니에 대해 pH 6.8의 MRS 액체 배지에서 37℃, 24시간 배양하면서 배양액의 pH가 4.5 이하로 감소하는 콜로니 128종을 선별하였다. 이후 16S rRNA 시퀀싱(sequencing)으로 동정하였고, 분리된 128개의 유산균들 중에서 비만 관련 세균의 생육을 저해하는 유산균을 선별하였다. 서열번호 1, 2, 및 3은 L.파라카제이 LMT1-30, L.플란타룸 LMT1-48, 및 P.애시디락티시 LMT2-46의 16S rRNA 유전자의 뉴클레오티드 서열이다.
상기에서 분리된 128개의 유산균들 중에서 비만 관련 세균의 생육을 저해하는 유산균을 선발하기 위하여, 비만 관련 세균인 지시균1, 엔테로박터 클로아세 아종 클로아세를 1x106CFU/㎖로 첨가된 MRS 아가 플레이트에 유산균체를 5㎕ 점적하고 37 ℃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여 억제 능력을 갖는 유산균 42종을 표 1과 같이 1차 선발하였다.
이후, 상기 1차 선발된 42개의 유산균주들을 같은 방법으로 디스크 페이퍼를 올려놓고 항균활성 비교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때 각 종 수준(species level)에서 가장 항균 활성이 뛰어난 유산균 균주 1개씩을 각각 선별하고자 배양액(OD600≒2.0)만을 회수하여 100㎕를 적하시키고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2차 선발하여 최종적으로 비만 세균의 생육 억제능력이 가장 우수한 3종의 유산균을 선발하였다.
번호 유산균주 (Strains) 지시균주 생육저해환 (mm)
E.cloacae
KCTC 1685
E. subsp. Cloacae KCTC 2361
1 Lactobacillus plantarum LMT1-2 15 15
2 Lactobacillus plantarum LMT1-3 13 13
3 Lactobacillus plantarum LMT1-13 12 12
4 Lactobacillus plantarum LMT1-33 12 12
5 *Lactobacillus plantarum LMT1-48 18 18
6 Lactobacillus plantarum LMT3-1 14 14
7 Lactobacillus plantarum LMT3-26 17 18
8 Lactobacillus plantarum LMT3-66 12 12
9 *Lactobacillus paracasei LMT1-30 16 16
10 *Pediococcus acidilactici LMT2-46 18 18
11 Lactobacillus casei LMT1-31 11 11
12 Lactobacillus casei LMT1-71 14 13
13 Lactobacillus sakei LMT1-21 11 11
14 Lactobacillus sakei LMT1-36 13 14
15 Lactobacillus sakei LMT1-66 15 15
16 Lactobacillus brevis LMT1-46 12 12
17 Lactobacillus brevis LMT1-73 12 12
18 Leuconostoc lactis LMT2-35 12 12
19 Lactobacillus parabuchneri LMT1-47 11 11
20 Weissella cibaria LMT2-10 14 13
21 Weissella halotolerans LMT2-48 11 11
22 Pediococcus pentosaceus LMT1-1 14 13
23 Pediococcus pentosaceus LMT1-63 14 14
24 Pediococcus pentosaceus LMT2-64 14 14
25 Pediococcus pentosaceus LMT2-68 12 12
26 Pediococcus pentosaceus LMT3-5 12 12
27 Pediococcus pentosaceus LMT3-41 13 13
28 Leuconostoc mesenteroides LMT1-8 14 13
29 Leuconostoc mesenteroides LMT1-26 13 13
30 Leuconostoc mesenteroides LMT1-50 13 13
31 Leuconostoc mesenteroides LMT2-4 11 12
32 Leuconostoc mesenteroides LMT1-75 11 11
33 Leuconostoc mesenteroides LMT1-79 12 12
34 Lactobacillus fermentum LMT3-3 12 12
35 Lactobacillus fermentum LMT3-67 12 12
36 Leuconostoc citreum LMT2-9 14 14
37 Enterococcus faecalis LMT2-19 11 11
38 Enterococcus faecium LMT2-13 12 12
39 Enterococcus faecium LMT2-14 11 12
40 Enterococcus faecium LMT3-60 11 11
41 Enterococcus faecium LMT3-61 11 11
42 Lactococcus lactis subsp. Cremoris LMT2-37 12 12
선별된 3종의 유산균의 항균력을 조사한 결과, 디스크 주변에 뚜렷하게 생성된 생육저해환(clear zone)의 직경으로 항균 활성을 측정할 수 있었다. L.파라카제이 LMT1-30의 배양액은 16mm, L.플란타룸 LMT1-48의 배양액은 18mm, 및 P.애시디락티시 LMT2-46의 배양액은 18mm로 지시균1, 엔테로박터 클로아세 아종 클로아세에 대한 항균 활성을 보였으며 최소 항균 활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산균 배양액은 비만관련 세균에 대한 항균력이 우수하였다.
2. 선발된 균주의 동정
(1) 균학적 특성분석
선별된 3종의 유산균을 MRS 평판 배지(Difco, USA)에서 배양하고 콜로니의 형태를 관찰하였다. 선발한 유산균의 MRS 평판 배지에서 콜로니 형태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도 1은 선별된 3종의 유산균의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y) 사진을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막대형 간균과 구형으로서 전형적인 락토바실러스 속과 페디오코커스 속의 성상과 유사하였다.
LMT1-30 LMT1-48 LMT2-46
형태 원형 원형 원형
크기 0.5-1㎜ 1㎜ 1㎜
크림색 크림색 크림색
불투명도 불투명 불투명 불투명
융기 볼록 볼록 볼록
표면 매끄러움 매끄러움 매끄러움
호기적 생장 + + +
혐기적 생장 + + +
(2) 16S rDNA 분석
분리된 유산균은 PCR 반응을 위해 Universal bacterial primer는 세균의 염기보존 서열인 16S rRNA 유전자를 증폭하기 위하여 27F(서열번호 16)와 1492R(서열번호 17)를 이용해 (주)마크로젠에 의뢰하였고 16S rRNA 유전자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NCBI blast (http://www.ncbi.nlm.nih.gov/)를 사용하여 해석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LMT1-30 유산균, LMT1-48 유산균 및 LMT2-46 유산균을 각각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LMT1-30(기탁번호: KCTC13023BP)",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LMT1-48(기탁번호: KCTC13024BP)" 및 "페디오코커스 애시디락티시(Pediococcus acidilactici) LMT2-46(기탁번호: KCTC13025BP)"으로 명명하고 이를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소재 한국세포주은행(Korean Collection for Type Cultures, KCTC)에 2016년 5월 13일자로 기탁하였다.
(3) 선발된 유산균주의 당 발효 특성
당 발효 특성은 API 50 CHL 키트(Biomerieux, France)를 이용하여 공급회사의 실험방법에 따라 조사하였다. 상기 유산균 L.파라카제이 LMT1-30, L. 플란타룸 LMT1-48, P.애시디락티시 LMT2-46의 당 발효 특성을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LMT1-30 LMT1-48 LMT2-46
Glycerol - - -
Erythritol - - -
D-Arabinose - - -
L-Arabinose + - +
D-Ribose + + +
D-Xylose - - -
L-Xylose - - -
D-Adonitol - - -
Methyl-β-D-Xylopyranoside - - -
D-Galactose + + +
D-Glucose + + +
D-Fructose + + +
D-Mannose + + +
L-Sorbose + - -
L-Rhamnose + - +
Dulcitol - - -
Inositol - - -
Mannitol + + +
D-Sorbitol + + +
Methyl-α-D-mannopyranoside + + +
Methyl-α-D-glucopyranoside + - +
N-Acetylglucosamine + + +
Amygdalin + + +
Arbutin + + +
Esculin + + +
Salicin + + +
D-Cellobiose + + +
D-Maltose + + +
D-Lactose + + +
D-Melibiose + + +
D-Saccharose + + +
D-Trehalose + + +
Inulin - - +
D-Melezitose + + +
D-Raffinose + + +
Amidon - - -
Glycogen - - -
Xylitol - - -
Gentiobiose + + +
D-Turanose + + +
D-Lyxose - - -
D-Tagatose + - -
D-Fucose - - -
L-Fucose - - -
D-Arabitol - - +
L-Arabitol - - -
Potassium Gluconate + + +
Potassium 2-Ketogluconate - - -
Potassium 5-Ketogluconate - - -
표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산균의 당 발효 패턴 분석 결과를 나타낸 표이다.
3. 기능성
(1) 유산균 배양액의 최소 항균 활성 측정
선발된 항균활성이 우수한 유산균 배양액의 최소 항균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아가 웰 확산 분석(agar well diffusion assay) 방법을 이용해 측정하였다. 즉, 지시균주가 1x106 CFU/㎖로 첨가된 MRS 아가 플레이트 위에 배양 상등액(OD600≒2.0)을 떨어뜨리고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억제환 형성 여부를 관찰하였다. 활성 역가는 배양액 ㎖당 AU(activity unit)로 표시하였다. 즉, 배양액을 순차적으로 두 배씩 희석하여 억제환을 형성하는 최대 희석배수의 역수를 취하고 이 값에 1㎖에 대해서 환산해 주는 환산계수를 곱하여 아래 표 4와 같이 AU/㎖로 나타내었다.
지시 균주 항균활성 (AU/㎖)
LMT1-30 LMT1-48 LMT2-46
E.cloacae KCTC 1685 800 1600 1600
E. subsp. cloacae KCTC 2361 800 1600 1600
본 발명의 유산균 배양액의 최소 항균 활성을 측정한 결과, L.파라카제이 LMT1-30의 배양액은 800AU/㎖에서 최소 항균 활성을 보였으며 L. 플란타룸 LMT1-48의 배양액, 및 P.애시디락티시 LMT2-46의 배양액은 1600AU/㎖에서 최소 항균 활성을 보였다.
(2) 유산균 배양액 성분에 의한 의존 항균활성 확인
선발된 항균활성이 우수한 유산균 배양액(OD600≒2.0)의 최종 pH를 측정하여 표 5에 나타내었고 MRS 액체 배지를 HCl로 각각의 유산균 배양액 pH와 동일하게 조정하였다. 유산균 배양액과 pH조정된 MRS 액체 배지를 각각 유산균 배양액의 비율이 0%, 5%, 10%, 15%, 및 20%이 되도록 혼합하고, 여기에 MRS 액체 배지에서 37℃, 24시간 배양한 지시균1을 초기 균 수 1x106 CFU/㎖가 되도록 접종하여 37℃, 24시간 배양하였다. %가 다른 각각의 유산균 배양액에서 배양후의 시료를 회수하여 MRS 액체 배지에 희석하고 MRS 평판 배지에 도말한 다음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평판 배지 위의 집락 수를 계수하여 도 2 및 표 5에 나타내었다. 도 2는 변하는 함량의 유산균 배양액이 함유된 배지에서 배양된 KCTC 3108 T 의 세포수를 나타낸 도면이다.
E.cloacae (CFU)
배양액
첨가비율
(%)
LMT1-30
배양 후 pH 3.99
LMT 1-48
배양 후 pH 3.96
LMT2-46
배양 후 pH 3.94
HCl 보정 배양액
(pH 3.99)
유산균
배양여액
(pH 3.99)
HCl 보정 배양액
(pH 3.96)
유산균
배양여액
(pH 3.96)
HCl 보정 배양액
(pH 3.94)
유산균
배양여액
(pH 3.94)
100:0
(0)
2.4x1010 2.4x1010 2.4x1010 2.4x1010 2.4x1010 2.4x1010
95:5
(5)
2.0x1010 5.7x109 2.0x1010 1.4x109 2.0x1010 1.8x109
90:10
(10)
1.0x1010 9.6x107 9.9x109 3.0x107 9.8x109 3.7x107
85:15
(15)
1.5x108 4.6x106 1.5x108 1.4x106 1.4x108 1.8x106
80:20
(20)
3.8x106 9.6x105 3.6x106 5.5x105 3.4x106 6.3x105
그 결과, L.파라카제이 LMT1-30, L. 플란타룸 LMT1-48, 및 P.애시디락티시 LMT2-46의 각각의 유산균 배양액 5%가 함유된 액체 배지에서 각각 72%, 93%, 및 91%로 지시균1를 억제하였으며, 각각의 유산균 최종 배양액 pH와 동일하게 HCl 용액으로 pH 보정된 MRS 액체 배지를 5% 첨가한 배지에서는 지시균1의 생육 억제가 상대적으로 감소하였다.
따라서 pH에 의해 지시균1이 생육 억제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고, 특히 중요한 사실은 단순한 산도 (pH)에 의한 성장 억제가 아닌 유산균 배양액에 포함된 유기산에 의해서 지시균1이 특이적으로 생육 억제됨을 확인하였다(도 2 및 표 5).
4. 안정성
(1) 유산균의 내산성 조사
유산균이 장내에서 프로바이오틱스로서의 효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섭취 후 낮은 pH의 위를 통과해야 한다. 유산균들의 내산성을 조사하기 위해서 멸균된 MRS 액체 배지에 접종 후 37℃에서 16시간 동안 배양하였고 그 다음 HCl로 pH 2.5로 조정하여 멸균한 MRS 액체 배지에 상기 유산균 1%를 접종하여 37℃에서 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유산균 접종 직후와 2시간 배양후의 시료를 회수하여 MRS 액체 배지에 희석하고 MRS 평판 배지에 도말한 다음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평판 배지위의 집락 수를 계수하여 유산균 수를 측정하였다. pH가 조정되지 않은 중성 MRS 액체 배지에서 동일하게 진행한 실험군의 유산균 수와 pH 2.5 MRS 액체 배지에서 2시간 배양 후의 유산균 수를 비교하여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유산균 (CFU/㎖)
LMT1-30 LMT1-48 LMT2-46
대조군 2.5x109 5.1x109 1.3x109
pH 2.5 MRS 1.3x109 3.5x108 3.0x109
그 결과, 본 발명에서 선별된 유산균들은 pH 2.5에서 산성에 대한 내성이 매우 우수하였다. 이러한 유산균들의 특징은 위의 생리적 pH와 가까운 pH 3보다 낮은 pH에서 적정 유산균 수를 유지하였기 때문에 위산분비로 인한 낮은 pH에서도 높은 생존 유산균 수를 나타내 섭취 시 장내 도달율이 매우 높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2) 유산균의 내담즙성 조사
유산균들의 내담즙을 조사하기 위해 다음의 방법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유산균은 멸균된 MRS 액체 배지에 접종 후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고 소장 내 담즙산염 농도가 0.1% 내외임을 감안하여, 0.3%의 담즙산염(bile salts)이 함유된 MRS 액체 배지에 상기 유산균 1%를 접종하여 37℃에서 2시간 동안 각각 배양하였다. 유산균 접종 직후와 2시간 배양후의 시료를 회수하여 MRS 액체 배지에 희석하고 MRS 평판 배지에 도말한 다음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평판 배지위의 집락 수를 계수하여 유산균 수를 측정하였다. 0.3%의 담즙염산 함유되지 않은 MRS 액체 배지에서 동일하게 진행한 실험군의 유산균 수와 0.3%의 담즙염산 함유된 MRS 액체 배지에서 2시간 배양 후의 유산균 수를 비교하여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유산균 (CFU/㎖)
LMT1-30 LMT1-48 LMT2-46
대조군 7.2x109 5.1x109 1.3x109
0.3% 담즙염 5.2x107 4.8x108 3.8x109
그 결과, 본 발명에서 선별된 유산균들은 장내 실제 농도와 유사한 0.1% 보다 더 높은 0.3%에서도 적정 유산균 수를 유지하였기 때문에 3종의 유산균은 인체나 동물의 장 내에서도 충분히 생존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가 될 수 있다.
(3) 유산균의 장내 정착성 조사
장내 세포에 정착력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한국세포주은행에서 구입한 사람 직장 상피세포인 선암종 세포(human epithelial colorectal adenocarcinoma cell)안 Caco-2 세포주를 사용하였다. Caco-2 세포는 10% 소태아 혈청(FBS) (Gibco, USA)이 포함된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DMEM) (Gibco, USA)를 사용하였고 5% CO2, 37℃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MRS 배지에서 배양된 L.파라카제이 LMT1-30, L. 플란타룸 LMT1-48, 및 P.애시디락티시 LMT2-46을 PBS(Phosphate Buffered Saline)로 세척한 다음 항생제가 첨가되지 않은 DMEM 배지에 현탁하였고, 이를 96-well 세포 배양 플레이트 (Corning, USA)에 단일층을 형성한 Caco-2 세포에 유산균을 1x107CFU가 되도록 첨가하여 5% CO2, 37℃ 조건에서 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Caco-2 세포에 부착하지 못한 유산균을 제거하기 위해 PBS로 5번 세척하고, 100㎕의 0.1% 트리톤 X-100으로 부착된 유산균을 떼어낸 다음 이를 MRS 고체 배지에 도말한 후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평판 배지 위의 집락 수를 계수하여 유산균의 장내 정착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은 선별된 3종 미생물이 장내 상피세포에 부착한 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신규한 유산균 L.파라카제이 LMT1-30은 56.8%, L. 플란타룸 LMT1-48은 106.3%, 및 P.애시디락티시 LMT2-46는 98.9% 가량 장 상피 세포인 Caco-2에 정착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비만에 대한 균주의 투여 영향
1. 유산균의 세포 추출물 확보
(1.1) L.파라카제이 LMT1-30 세포 추출물 제조
L.파라카제이 LMT1-30을 MRS 배지에서 37℃,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균체를 원심분리한 후 PBS로 헹궈서 남아있는 배지 성분을 제거하였다. 배지가 제거된 유산균에 부피 비율 유산균: PBS: 비드=1:2:1로 재현탁한 후 단백질 분해 억제제 100mM 페닐메틸술포닐 플루오리드(Phenylmethylsulfonyl fluoride: PMSF)를 첨가한 후 샘플파쇄기(bead beater)를 이용하여 균체를 용균(lysis)시켰다. 이를 10000rpm으로 5분 동안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은 0.2㎛ 필터로 걸러내어 단백질을 정량하여 L.파라카제이 LMT1-30 세포 추출물 200㎍/㎖을 실험에 사용하였다.
(1.2) L. 플란타룸 LMT1-48 세포 추출물 제조
L. 플란타룸 LMT1-48을 MRS 배지에서 37℃,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균체를 원심분리한 후 PBS로 헹궈서 남아있는 배지 성분을 제거하였다. 배지가 제거된 유산균에 부피 비율 유산균: PBS: 비드=1:2:1로 재현탁한 후 단백질 분해 억제제 100mM 페닐메틸술포닐 플루오리드(Phenylmethylsulfonyl fluoride: PMSF)를 첨가한 후 샘플파쇄기(bead beater)를 이용하여 균체를 용균(lysis)시켰다. 이를 10000rpm으로 5분 동안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은 0.2㎛ 필터로 걸러내어 단백질을 정량하여 L. 플란타룸 LMT1-48 세포 추출물 200㎍/㎖을 실험에 사용하였다.
(1.3) P.애시디락티시 LMT2-46 세포 추출물 제조
P.애시디락티시 LMT2-46을 MRS 배지에서 37℃,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균체를 원심분리한 후 PBS로 헹궈서 남아있는 배지 성분을 제거하였다. 배지가 제거된 유산균에 부피 비율 유산균: PBS: 비드=1:2:1로 재현탁한 후 단백질 분해 억제제 100mM 페닐메틸술포닐 플루오리드(Phenylmethylsulfonyl fluoride: PMSF)를 첨가한 후 샘플파쇄기(bead beater)를 이용하여 균체를 용균(lysis)시켰다. 이를 10000rpm으로 5분 동안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은 0.2㎛ 필터로 걸러내어 단백질을 정량하여 P.애시디락티시 LMT2-46 세포 추출물 200㎍/㎖을 실험에 사용하였다.
(1.4) 유산균 세포 추출물의 혼합물의 제조
상기 (1.1), (1.2) 및 (1.3)의 각각의 유산균 세포추출물을 각각 동일한 중량비인 1:1:1로 혼합하여 본 발명의 복합 유산균의 세포 추출물로 시험에 사용하였다.
2. 선별된 유산균에 의한 3T3-L1 지방세포 분화억제능력 측정
(1) 3T3-L1 지방세포 분화 유도
한국세포주은행(KCLB)에서 구입한 생쥐 배아 섬유아세포(mouse embryonic fibroblast)인 3T3-L1 세포를 10% 소태아 혈청(FBS)(Gibco, USA)이 포함된 DMEM(Gibco, USA)를 사용하였고 5% CO2, 37℃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3T3-L1 세포를 지방 세포로 분화시키기 위한 절차를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3T3-L1 세포가 컨플루언트하게 자란 시점(day 0)으로부터 2일 후에 배양 배지를 10% FBS, 5㎍/㎖ 인슐린(Sigma, USA), 0.5mM 이소부틸메틸잔틴(isobutylmethylxanthine:IBMX)(Sigma, USA) 및 1μM 덱사메탄손(Sigma, USA)이 포함된 DMEM 배지 즉, 분화 배지로 교환하여 배양하였다. 이로부터 2일 후(day 2)에 10% FBS와 5㎍/㎖ 인슐린이 포함된 DMEM 배지로 교환하여 배양하였다. 이로부터 2일 후(day 4)에 10% FBS만 포함된 배지로 교환하여 배양하였다. 이로부터 4일 후(day 8)에 3T3-L1 세포의 90% 이상이 지방세포로 완전히 분화되었다고 볼 수 있다. 3T3-L1 세포가 지방세포로 완전히 분화되기 전(day 0 ~ day 8)까지를 성숙 중인 3T3-L1 지방전구세포(maturing 3T3-L1 pre-adipocyte)라고 명명하고, 지방세포로 완전히 분화된 후(day 8 이후)에는 성숙된 3T3-L1 지방세포(mature 3T3-L1 adipocyte)라고 명명한다.
(2) 3T3-L1 지방세포내 지방축적 억제 능력 측정(Oil-red-O staining assay)
배양한 3T3-L1 지방세포에 분화 배지를 첨가하는 시점(day 0)에 각각의 유산균 세포 추출물을 200㎍/㎖로 함께 첨가하였다. 이로부터 6일 후(day 6) 생성된 성숙 중인 3T3-L1 지방전구세포 (maturing 3T3-L1 pre-adipocyte) 배양액을 PBS로 3번 세척하여 배양액을 제거하고, 10% 포르말린 (Merck millipore, Germany)으로 1시간 동안 첨가하여 세포를 고정시켰다. 이후, 오일 레드 O (Sigma, USA) 용액을 세포와 1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증류수로 세척하여 지방구를 염색하여 현미경으로 관찰한 뒤(도 4a 내지 4f), 이소프로판올 (Duksan, South Korea)을 첨가하여 오일 레드 O (Oil red O) 용액으로 염색된 지방구 시료를 녹여내고, 스펙트로포토미터(SPECTROstar Nano, Germany)를 이용하여 52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도 4g).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는 선별된 3종의 미생물의 배양액의 존재하에서 배양된 3T3-L1 지방세포의 지방구의 전자현미경 사진(도 4a 내지 4f) 및 세포 중의 지방 축적 정도(도 4g)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군에 비하여 L.파라카제이 LMT1-30 세포 추출물을 처리한 군은 44.8%, L. 플란타룸 LMT1-48 세포 추출물을 처리한 군은 49.7%, P.액시디락티시 LMT2-46 세포 추출물을 처리한 군은 53.4%, 및 복합 유산균 세포 추출물을 처리한 군은 53.6%의 지방축적 정도가 감소하였다.
(3) 3T3-L1 세포 내 비만 관련 바이오마커 유전자 발현의 유의적 차이 측정
3T3-L1 세포가 지방세포로 분화되는 과정에 관여하는 대표적인 유전자들로서 PPARν, C/EBPα, FAS, 및 FABP4 등이 있다. 상기 L.파라카제이 LMT1-30, L.플란타룸 LMT1-48, 및 P.애시디락티시 LMT2-46의 세포 추출물을 사용하여 3T3-L1 지방 세포 분화 억제 효능이 상기 유전자의 mRNA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나타내는 것인지 확인하기 위하여 리얼타임 PCR을 시행하였다.
배양한 3T3-L1 지방세포에 분화 배지를 처리하는 시점(day 0)에 유산균 세포 추출물을 200㎍/㎖로 함께 처리하였다. 이로부터 6일 후(day 6) 생성된 성숙 중인 3T3-L1 지방전구세포를 PBS로 3번 세척하여 유산균 세포 추출물을 제거하고, Trizol (Thermo scientific, USA)을 이용하여 RNA를 추출하였다. 이후, RocketScript Cycle RT Premix (Bioneer, South Korea)를 이용하여 RNA에 상보적인 DNA를 얻은 후, SYBR green (Takara, Japan)을 이용하여 지방 세포 분화 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는 선별된 3종의 미생물의 배양액의 존재하에서 배양된 3T3-L1 지방세포에서 비만과 관련 PPARν, C/EBPα, FAS, 및 FABP4 유전자의 발현을 mRNA 수준에서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산균 추출물 처리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PPARν, C/EBPα, FAS, 및 FABP4 유전자의 mRNA 발현량이 L.파라카제이 LMT1-30 세포를 처리한 군은 각 69.1%, 66.8%, 55.5%, 및 73.9% 감소하였으며, L. 플란타룸 LMT1-48 세포를 처리한 군은 각 78.6%, 78.8%, 68.8%, 및 85.4%, P.애시디락티시 LMT2-46 세포를 처리한 군은 각 72%, 73.1%, 62.4%, 및 84.5%, 및 복합 유산균 세포 추출물을 처리한 군은 각 75.5%, 73%, 63.1%, 및 74.4% 가량 저해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유산균 배양액 처리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PPARν, C/EBPα, FAS, 및 FABP4 유전자들의 mRNA 발현량이 L.파라카제이 LMT1-30 배양액 처리군은 각 21.6%, 37.9%, 11%, 및 29% 감소하였으며, L. 플란타룸 LMT1-48 배양액 처리군은 각 21.9%, 50.1%, 38.2%, 및 47% 감소, P.애시디락티시 LMT2-46 배양액 처리군은 각 9.2%증가, 27.5%, 32.9%, 및 21.9% 감소, 및 복합 유산균 배양액 처리군은 각 2.8%, 27.5%, 17.2%, 및 22.7% 가량 저해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표 8은 리얼타임 PCR에 사용된 프라이머이며, GAPDH 유전자의 mRNA 발현은 내부 대조군(internal control)이다.
번호 유전자 프라이머 서열번호
1
PPARν
포워드 4
리버스 5
2
C/EBPα
포워드 6
리버스 7
3
FAS
포워드 8
리버스 9
4
FABP4
포워드 10
리버스 11
5
GAPDH
포워드 12
리버스 13
3. 비만세균 E.cloacae에 의하여 비만 유발된 C57BL/6J 마우스 모델에서의 선별된 유산균의 인 비보 효능 평가
(1) C57BL/6J 마우스의 비만 유도 및 유산균 처리
실험에 사용된 동물은 고지방 식이로 비만이 유발되는 5주령의 C57BL/6J 마우스(수컷, 20~22g)를 Jackson Laboratory(Bar Harbor, USA)로부터 구입하여 1주간 일반식이(Teklad global diet 2014, Envigo, USA)를 급여하여 환경에 적응시켰다. 이후에 유산균을 투여하는 군에 대하여 2주간 유산균을 하루에 한번 경구 투여용 존데를 이용해 위 내 직접 투여하였으며, 유산균 급여 이후에 고지방식이(Teklad custom diet TD.93075, Envigo, USA) 및 비만세균인 E.클로아세를 8주간 동일한 방법으로 투여하여 비만을 유도하였다.
L.파라카제이 LMT1-30은 1.0 x 109 CFU/day, L.플란타룸 LMT1-48은 1.0 x 109 CFU /day, P.애시디락티시 LMT2-46은 1.0 x 109 CFU/day, 복합 유산균(L.파라카제이 LMT1-30, L. 플란타룸 LMT1-48, 및 P.애시디락티시 LMT2-46의 중량기준 1:1:1 혼합물)은 1.0x109 CFU/day, 및 E.클로아세 1.0 x 108 CFU/day로 경구투여 하였다. 군(n=8)은 총 7군으로 하기 표 9와 같이 구성하였다.
P1 정상 식이 급여군
P2 고지방 식이 급여군
P3 고지방식이 + 엔테로박터 클로아세 투여군
P4 고지방식이 + 엔테로박터 클로아세 + L.파라카제이 LMT1-30 투여군
P5 고지방식이 + 엔테로박터 클로아세 + L. 플란타룸 LMT1-48 투여군
P6 고지방식이 + 엔테로박터 클로아세 + P.애시디락티시 LMT2-46 투여군
P7 고지방식이 + 엔테로박터 클로아세 + 복합 유산균 투여군
체중 및 식이량은 주 1회 측정하였으며 실험 기간이 종료된 후 실험동물은 12시간 절식시키고, zoletil 및 ethyl ether로 과량 마취하여 희생시켰다. 실험동물을 개복하여 간문맥에서 전 혈을 채취하고 혈장을 분리하였다. 혈장 및 조직 샘플은 사용시까지 영하 80℃에서 보관하였다.
(2) 식이 조절에 따른 체중 변화 측정
전 실험기간 동안 매일 일정한 시간에 실험동물의 체중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은 비만 유도된 마우스에서 3종의 선별된 미생물을 투여한 경우 시간에 따른 체중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서 가로축은 시간 (주)이며, 세로축은 체중 증가 퍼센트 비율 즉, ((실험 종료 시점-고지방 식이 급여 시작일)/고지방 식이 급여 시작일의 마우스 체중)x100을 나타낸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만 유도 고지방 식이 급여한 군의 체중이 증가였으며, 고지방 식이와 함께 E.클로아세를 급여한 군에서 체중 증가율이 더 상승하였다. 고지방 식이 및 E.클로아세와 유산균을 경구 투여한 군의 경우, 고지방 식이 및 고지방 식이와 E.클로아세로 비만 유도한 군과 비교하였을 때 식이 섭취량은 큰 차이가 없었으나 체중이 유의적으로 크게 감소하였다. 따라서 L.파라카제이 LMT1-30, L. 플란타룸 LMT1-48 투여군, P.애시디락티시 LMT2-46 투여군 및 3종 유산균 복합 투여군의 경우, 비만세균인 E.클로아세에 의한 체중 증가율 촉진 기능을 억제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3) 지방조직의 체적 비율 측정
10주의 실험 기간 종료 후, 실험동물 7군에 대한 마우스를 PET-CT 촬영을 통하여 체내 전체 체적 중 체지방 변화를 측정하였다. 일반적으로 요추 1번과 5번 사이를 복부 부위(L1~L5)로 간주하고 측정하게 되는데,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은 비만 유도된 마우스에서 3종의 선별된 미생물을 투여한 경우, 체지방 부피 감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는 요추 1번(L1)부터 요추 5번(L5) 영역까지 측정된 체지방 부피 총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b는 체지방 스캔 영역을 나타내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스캔 영역으로 L1은 1번 요추 윗단(Lumbar 1 proximal end) 영역을 나타내고, L5는 5번 요추 아랫단(Lumbar vertebrate distal end) 영역을 나타낸다. 실제 촬영된 실험동물은 L1부터 L5 영역까지 촬영되었고, 복부 지방은 내장지방과 피하지방 모두 갈색으로 나타내었다. 도 7c는 L1과 L5 사이 영역 중에서 요추 2번(L2) 영역 스캔 사진 중에 각 실험군에서 체중 감소 평균값을 나타내는 동물을 임의로 선정하였고, 이 동물의 같은 위치(L2)의 스캔 사진을 비교해 나타내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만 유도 후 고지방 식이 급여와 함께 E.클로아세를 경구 투여한 군(P3)에서 전체 체적 중 체지방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고지방 식이 급여 및 E.클로아세와 유산균을 경구 투여한 군(P4~P7)의 경우, 체지방 비율이 낮게 나타났다.
도 7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지방 식이군과 고지방 식이 급여(P2)와 함께 E.클로아세를 경구 투여한 군(P3)의 내장 지방과 피하지방이 모두 증가한 모습을 나타내는 반면, L.파라카제이 LMT1-30(P4), L. 플란타룸 LMT1-48 투여군(P5), P.애시디락티시 LMT2-46 투여군(P6) 및 3종 유산균 복합 투여군(P7)은 복부 부위의 체지방 축적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4) 혈청 분석
10주의 실험 기간 종료 후, 각각의 마우스에서 채취한 혈액 샘플을 튜브에 수집하였고, 원심 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하였다. 분리한 혈청에서 총 콜레스테롤, 트리글리세롤, 고밀도 지단백질(HDL), 저밀도 지단백질(LDL), 렙틴, 및 아디포넥틴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8에 나타내었다. 도 8은 비만 유도된 마우스에서 3종의 선별된 미생물을 투여한 경우, 혈청 중 트리글리세리드(도 8a), 총 콜레스테롤(도 8b), 고밀도 지단백질(HDL)(도 8c), 저밀도 지단백질(LDL)(도 8d), 렙틴(도 8e), 및 아디포넥틴(도 8f) 함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만 유도 고지방 식이 급여한 군의 콜레스테롤, 고밀도지단백질, 렙틴, 아디포넥틴의 수치가 증가였으며, 고지방 식이와 함께 E.클로아세를 급여한 군에서는 콜레스테롤, 트리글리세롤, 고밀도지단백질, 렙틴, 아디포넥틴의 수치가 더 많이 증가하였다. 반면에 유산균을 경구 투여한 군은 트리글리세롤, 렙틴이 많이 감소되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체지방 생성 억제 효능뿐만 아니라 혈중 지질과 지방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의 분비를 억제하는 효능까지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렙틴은 고지방 식이군 보다 유의적(p<0.05)으로 낮게 혈중 농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이것은 축적된 지방 세포에서 분비되는 에너지 대사 관련 생체 신호가 감소되었음을 시사한다. 저밀도 지단백질의 경우 E.클로아세에 의한 영향은 관찰되지 않았고 유산균에 의한 영향도 관찰되지 않았다.
(5) 비만세균 엔테로박터 클로아세에 의한 비만 유발 C57BL/6J 마우스 모델에서의 장내 미생물 변화 분석
상기 실시예 2-3의 실험 종료 전에 마지막 분변을 채취했으며 분변 샘플은 UltraClean Fecal DNA Isolation Kit를 사용하여 분변 내 미생물의 유전체 DNA (genomic DNA, gDNA)를 추출하였다. 추출한 gDNA를 이용한 PCR 수행으로 16s rRNA 유전자는 증폭되었다. 이때 사용된 프라이머는 바코드화된 프라이머로 519F: 서열번호 14와 806R: 서열번호 15를 사용하였고, DNA 산물은 450bp 정도의 염기 서열을 가진다. 상기 DNA 산물로 파이로시퀀싱(pyrosequencing)을 실시하여 장내 균총 분포 분석을 진행하였다. 파이로시퀀싱(pyrosequencing)은 마크로젠의 MiSeq™ platform (Illumina, San Diego, USA) 을 이용해서 수행되었다.
장내 미생물 분포가 class(강) 수준으로 분류된 분석 결과를 하기 표 10에 나타내었다.
  P1 P2 P3 P4 P5 P6 P7
Bacteria 0.08% 0.06% 0.07% 0.04% 0.13% 0.02% 0.09%
Actinobacteria 0.95% 0.72% 0.40% 0.69% 0.35% 0.17% 0.43%
Bacteroidetes 0.43% 1.87% 2.13% 0.00% 0.00% 2.95% 1.77%
Bacteroidia 73.30% 64.36% 61.80% 55.51% 53.22% 46.78% 64.39%
Flavobacteriia 0.01% 0.05% 0.03% 0.13% 0.03% 0.03% 0.02%
Deferribacteres 0.05% 0.00% 0.00% 0.59% 0.19% 1.80% 0.40%
Alphaproteobacteria 0.75% 0.04% 0.06% 0.04% 0.01% 0.03% 0.12%
Deltaproteobacteria 0.00% 0.00% 0.00% 0.00% 0.00% 0.00% 0.75%
Gammaproteobacteria 0.12% 0.11% 0.23% 0.17% 2.73% 0.14% 0.17%
Mollicutes 0.11% 2.91% 1.87% 3.62% 3.28% 0.67% 0.39%
Verrucomicrobiae 0.00% 0.00% 0.00% 0.20% 1.62% 16.22% 5.57%
Candidatus Saccharibacteria 1.87% 1.67% 1.27% 0.13% 0.51% 0.41% 0.18%
Chloroplast 0.03% 0.02% 0.00% 0.00% 0.00% 0.00% 0.00%
Firmicutes 0.33% 0.43% 0.36% 0.75% 0.70% 2.48% 0.61%
Bacilli 7.80% 2.64% 1.87% 1.46% 2.53% 1.63% 2.26%
Clostridia 13.69% 24.89% 29.76% 36.69% 34.53% 26.51% 22.69%
Erysipelotrichia 0.49% 0.23% 0.14% 0.01% 0.17% 0.19% 0.16%
도 9는 비만 유도된 마우스에서 3종의 선별된 미생물을 투여한 경우, 분변 중 장내 미생물을 class(강) 수준에서 분류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박테리오디아(Bacteroidia), 에리시페로트리치(Erysipelotrichi), 및 클로스트리디아(Clostridia)가 우점균임을 알 수 있었다. 유산균 섭취 후 비만 세균 성장 억제로 인해 변화된 장내 미생물을 class 수준으로 분류한 결과 장내 미생물의 다양성이 고지방식을 섭취한 대조군인 P2와 P3에 비해 실험군 P4~P7가 증가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실험군에 투여된 유산균 3종(L.paracasei LMT 1-30, L. plantarum LMT 1-48, P. acidilactici LMT 2-46)에 대한 장내 존재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species 수준으로 분류된 분석 결과, 섭취한 유산균 종들이 잔존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표 11은 투여된 3종 미생물의 분변 중 잔존 수준을 나타낸 표이다.
투여 유산균 잔존 확인 (Species level) %
Species P1 P2 P3 P4 P5 P6 P7
L. paracasei
(LMT 1-30)
0 0 0 0.03 0 0 0.1
L. plantarum
(LMT 1-48)
0 0 0 0 0.22 0 0.02
P. acidilactici
(LMT 2-46)
0 0 0 0 0 0.01 0.01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CTC13023BP 20160513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CTC13024BP 20160513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CTC13025BP 20160513
<110> Mey-tox inc. <120> Microorganism capable of reducing body fat and use thereof <130> PN115096KR <160> 17 <170> KopatentIn 2.0 <210> 1 <211> 1166 <212> DNA <213> Lactobacillus paracasei LMT1-30 <400> 1 aacagatgct aataccgcat agatccaaga accgcatggt tcttggctga aagatggcgt 60 aagctatcgc ttttggatgg acccgcggcg tattagctag ttggtgaggt aatggctcac 120 caaggcgatg atacgtagcc gaactgagag gttgatcggc cacattggga ctgagacacg 180 gcccaaactc ctacgggagg cagcagtagg gaatcttcca caatggacgc aagtctgatg 240 gagcaacgcc gcgtgagtga agaaggcttt cgggtcgtaa aactctgttg ttggagaaga 300 atggtcggca gagtaactgt tgtcggcgtg acggtatcca accagaaagc cacggctaac 360 tacgtgccag cagccgcggt aatacgtagg tggcaagcgt tatccggatt tattgggcgt 420 aaagcgagcg caggcggttt tttaagtctg atgtgaaagc cctcggctta accgaggaag 480 cgcatcggaa actgggaaac ttgagtgcag aagaggacag tggaactcca tgtgtagcgg 540 tgaaatgcgt agatatatgg aagaacacca gtggcgaagg cggctgtctg gtctgtaact 600 gacgctgagg ctcgaaagca tgggtagcga acaggattag ataccctggt agtccatgcc 660 gtaaacgatg aatgctaggt gttggagggt ttccgccctt cagtgccgca gctaacgcat 720 taagcattcc gcctggggag tacgaccgca aggttgaaac tcaaaggaat tgacgggggc 780 ccgcacaagc ggtggagcat gtggtttaat tcgaagcaac gcgaagaacc ttaccaggtc 840 ttgacatctt ttgatcacct gagagatcag gtttcccctt cgggggcaaa atgacaggtg 900 gtgcatggtt gtcgtcagct cgtgtcgtga gatgttgggt taagtcccgc aacgagcgca 960 acccttatga ctagttgcca gcatttagtt gggcactcta gtaagactgc cggtgacaaa 1020 ccggaggaag gtggggatga cgtcaaatca tcatgcccct tatgacctgg gctacacacg 1080 tgctacaatg gatggtacaa cgagttgcga gaccgcgagg tcaagctaat ctcttaaagc 1140 cattctcagt tcggactgta ggctgc 1166 <210> 2 <211> 1159 <212> DNA <213> Lactobacillus plantarum LMT1-48 <400> 2 taataccgca taacaacttg gaccgcatgg tccgagcttg aaagatggct tcggctatca 60 cttttggatg gtcccgcggc gtattagcta gatggtgggg taacggctca ccatggcaat 120 gatacgtagc cgacctgaga gggtaatcgg ccacattggg actgagacac ggcccaaact 180 cctacgggag gcagcagtag ggaatcttcc acaatggacg aaagtctgat ggagcaacgc 240 cgcgtgagtg aagaagggtt tcggctcgta aaactctgtt gttaaagaag aacatatctg 300 agagtaactg ttcaggtatt gacggtattt aaccagaaag ccacggctaa ctacgtgcca 360 gcagccgcgg taatacgtag gtggcaagcg ttgtccggat ttattgggcg taaagcgagc 420 gcaggcggtt ttttaagtct gatgtgaaag ccttcggctc aaccgaagaa gtgcatcgga 480 aactgggaaa cttgagtgca gaagaggaca gtggaactcc atgtgtagcg gtgaaatgcg 540 tagatatatg gaagaacacc agtggcgaag gcggctgtct ggtctgtaac tgacgctgag 600 gctcgaaagt atgggtagca aacaggatta gataccctgg tagtccatac cgtaaacgat 660 gaatgctaag tgttggaggg tttccgccct tcagtgctgc agctaacgca ttaagcattc 720 cgcctgggga gtacggccgc aaggctgaaa ctcaaaggaa ttgacggggg cccgcacaag 780 cggtggagca tgtggtttaa ttcgaagcta cgcgaagaac cttaccaggt cttgacatac 840 tatgcaaatc taagagatta gacgttccct tcggggacat ggatacaggt ggtgcatggt 900 tgtcgtcagc tcgtgtcgtg agatgttggg ttaagtcccg caacgagcgc aacccttatt 960 atcagttgcc agcattaagt tgggcactct ggtgagactg ccggtgacaa accggaggaa 1020 ggtggggatg acgtcaaatc atcatgcccc ttatgacctg ggctacacac gtgctacaat 1080 ggatggtaca acgagttgcg aactcgcgag agtaagctaa tctcttaaag ccattctcag 1140 ttcggattgt aggctgcaa 1159 <210> 3 <211> 1429 <212> DNA <213> Pediococcus acidilactici LMT2-46 <400> 3 ttaattgatt atgacgtgct tgcactgaat gagattttaa cacgaagtga gtggcggacg 60 ggtgagtaac acgtgggtaa cctgcccaga agcaggggat aacacctgga aacagatgct 120 aataccgtat aacagagaaa accgcctggt tttcttttaa aagatggctc tgctatcact 180 tctggatgga cccgcggcgc attagctggt tggtgaggta acggctcacc aaggcgatga 240 tgcgtagccg acctgagagg gtaatcggcc acattgggac tgagacacgg cccagactcc 300 tacgggaggc agcagtaggg aatcttccac aatggacgca agtctgatgg agcaacgccg 360 cgtgagtgaa gaagggtttc ggctcgtaaa gctctgttgt taaagaagaa cgtgggtgag 420 agtaactgtt cacccagtga cggtatttaa ccagaaagcc acggctaact acgtgccagc 480 agccgcggta atacgtaggt ggcaagcgtt atccggattt attgggcgta aagcgagcgc 540 aggcggtctt ttaagtctaa tgtgaaagcc ttcggctcaa ccgaagaagt gcattggaaa 600 ctgggagact tgagtgcaga agaggacagt ggaactccat gtgtagcggt gaaatgcgta 660 gatatatgga agaacaccag tggcgaaggc ggctgtctgg tctgtaactg acgctgaggc 720 tcgaaagcat gggtagcgaa caggattaga taccctggta gtccatgccg taaacgatga 780 ttactaagtg ttggagggtt tccgcccttc agtgctgcag ctaacgcatt aagtaatccg 840 cctggggagt acgaccgcaa ggttgaaact caaaagaatt gacgggggcc cgcacaagcg 900 gtggagcatg tggtttaatt cgaagctacg cgaagaacct taccaggtct tgacatcttc 960 tgccaaccta agagattagg cgttcccttc ggggacagaa tgacaggtgg tgcatggttg 1020 tcgtcagctc gtgtcgtgag atgttgggtt aagtcccgca acgagcgcaa cccttattac 1080 tagttgccag cattcagttg ggcactctag tgagactgcc ggtgacaaac cggaggaagg 1140 tggggacgac gtcaaatcat catgcccctt atgacctggg ctacacacgt gctacaatgg 1200 atggtacaac gagttgcgaa accgcgaggt ttagctaatc tcttaaaacc attctcagtt 1260 cggactgtag gctgcaactc gcctacacga agtcggaatc gctagtaatc gcggatcagc 1320 atgccgcggt gaatacgttc ccgggccttg tacacaccgc ccgtcacacc atgagagttt 1380 gtaacaccca aagccggtgg ggtaaccttt taggagctag ccgtctaag 1429 <210> 4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4 gcatggtgcc ttcgctga 18 <210> 5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5 tggcatctct gtgtcaacca tg 22 <210> 6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6 caagaacagc aacgagtacc g 21 <210> 7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7 gtcactggtc aactccagca c 21 <210> 8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8 tgggttctag ccagcagagt 20 <210> 9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9 accaccagag accgttatgc 20 <210> 10 <211> 1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10 agtgggcttt gccacaa 17 <210> 1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11 ggtgatttca tcgaattcca 20 <210> 12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12 aacgacccct tcattgac 18 <210> 13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13 tccacgacat actcagcac 19 <210> 14 <211> 1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14 cctacgggng gcwgcag 17 <210> 15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15 gactachvgg gtatctaatc c 21 <210> 16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16 agagtttgat cmtggctcag 20 <210> 17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17 ggttaccttg ttacgactt 19

Claims (16)

  1.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MT1-48(수탁번호 KCTC13024BP)인 미생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비만을 유발하는 Enterobacter cloacae에 대하여 항균 활성을 갖는 것인 미생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내산성을 갖는 것인 미생물로서, 상기 내산성은 MRS 배지에서 pH 2.5 및 37℃에서 2시간 이상 생존 가능한 것인 미생물.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내담즙산성을 갖는 것인 미생물로서, 상기 내담즙산성은 0.3% 담즙산 함유 MRS 배지에서 37℃에서 2시간 이상 생존 가능한 것인 미생물.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지방 전구 세포가 지방세포로 분화하는 것을 억제하는 활성을 가진 것인 미생물.
  8. 청구항 7에 있어서, 지방 전구 세포는 3T3-L1인 것인 미생물.
  9. 청구항 1에 있어서, 지방 세포 중 지방의 축적을 억제하는 것인 미생물.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지방 세포 중 PPARν, C/EBPα, FAS, 및 FABP4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인 미생물.
  11. 청구항 1에 있어서, 개체에 투여되는 경우 체중 및 체내의 지방 조직의 부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감소시키는 것인 미생물.
  12. 청구항 1에 있어서, 개체에 투여되는 경우 혈중 트리글리세롤, 및 렙틴 함량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감소시키는 것인 미생물.
  13.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MT1-48(수탁번호 KCTC13024BP)인 미생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 세포 중 지방 함량을 감소시키는데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
  14.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MT1-48(수탁번호 KCTC13024BP)인 미생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개체 중 지방 함량을 감소시키는데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
  15.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MT1-48(수탁번호 KCTC13024BP)인 미생물을 지방 세포와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방 세포 중 지방 함량을 감소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접촉시키는 단계는 인 비트로에서 수행되는 것인 방법.
  16.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MT1-48(수탁번호 KCTC13024BP)인 미생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체의 지방 함량을 감소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개체는 사람이 아닌 포유동물인 것인 방법.
KR1020160095083A 2016-07-26 2016-07-26 개체의 지방 함량을 감소시키는 미생물 및 그의 용도 KR1016700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5083A KR101670048B1 (ko) 2016-07-26 2016-07-26 개체의 지방 함량을 감소시키는 미생물 및 그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5083A KR101670048B1 (ko) 2016-07-26 2016-07-26 개체의 지방 함량을 감소시키는 미생물 및 그의 용도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3736A Division KR101679045B1 (ko) 2016-10-14 2016-10-14 개체의 지방 함량을 감소시키는 미생물 및 그의 용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0048B1 true KR101670048B1 (ko) 2016-10-27

Family

ID=57247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5083A KR101670048B1 (ko) 2016-07-26 2016-07-26 개체의 지방 함량을 감소시키는 미생물 및 그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0048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6987A (ko) * 2017-03-20 2018-10-01 티씨아이 코 엘티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tci378 및 지방 감소 및 위장 기능 향상에 있어서 그의 용도
KR20190068078A (ko) * 2017-12-08 2019-06-18 한국식품연구원 비만 억제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ao356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만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1254089A (zh) * 2019-12-30 2020-06-09 杭州娃哈哈科技有限公司 一株具有减肥功能的植物乳杆菌及其应用
US20200330532A1 (en) * 2017-12-29 2020-10-22 Medytox Inc. Microorganism having ability to degrade ethanol and acetaldehyde, and composition and kit each including the same
KR102179481B1 (ko) * 2020-01-16 2020-11-16 (주)메디톡스 개체의 지방 함량을 감소시키는 미생물, 이를 동정하기 위한 방법 및 키트
EP3595689A4 (en) * 2017-03-14 2020-12-09 Brigham Young University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OBESITY, INFLAMMATION OR METABOLIC DISORDERS WITH BACTERIOPHAGES
KR20220133345A (ko) * 2021-03-24 2022-10-05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신규한 페디오코커스 악시딜락티시 균주 및 상기 균주를 이용하여 발효시킨 대두 발효물의 다양한 용도
US11986502B2 (en) 2018-05-23 2024-05-21 Optium, LLC Bacteriophage compositions and kits and related method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9875A (ko) * 2008-03-07 2010-11-11 유키지루시 뉴교 가부시키가이샤 아디포넥틴의 분비 촉진 및/또는 감소 억제용 제제
KR20120034444A (ko) * 2010-10-01 2012-04-12 주식회사한국야쿠르트 지방세포 분화 유도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능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가세리 에이치와이7021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품
KR20120034482A (ko) * 2010-10-01 2012-04-12 주식회사한국야쿠르트 지방세포 분화 유도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능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케이와이1032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품
KR20150098202A (ko) * 2014-02-17 2015-08-2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비만 억제 효능을 갖는 신규 유산균 및 이의 용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9875A (ko) * 2008-03-07 2010-11-11 유키지루시 뉴교 가부시키가이샤 아디포넥틴의 분비 촉진 및/또는 감소 억제용 제제
KR20120034444A (ko) * 2010-10-01 2012-04-12 주식회사한국야쿠르트 지방세포 분화 유도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능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가세리 에이치와이7021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품
KR20120034482A (ko) * 2010-10-01 2012-04-12 주식회사한국야쿠르트 지방세포 분화 유도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능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케이와이1032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품
KR20150098202A (ko) * 2014-02-17 2015-08-2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비만 억제 효능을 갖는 신규 유산균 및 이의 용도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95689A4 (en) * 2017-03-14 2020-12-09 Brigham Young University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OBESITY, INFLAMMATION OR METABOLIC DISORDERS WITH BACTERIOPHAGES
US11273189B2 (en) 2017-03-20 2022-03-15 Tci Co., Ltd Lactobacillus plantarum TCI378 and its uses in losing fat and improving gastrointestinal functions
KR102033031B1 (ko) * 2017-03-20 2019-10-17 티씨아이 코 엘티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tci378 및 지방 감소 및 위장 기능 향상에 있어서 그의 용도
KR20180106987A (ko) * 2017-03-20 2018-10-01 티씨아이 코 엘티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tci378 및 지방 감소 및 위장 기능 향상에 있어서 그의 용도
KR102077715B1 (ko) 2017-12-08 2020-02-14 한국식품연구원 비만 억제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ao356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만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068078A (ko) * 2017-12-08 2019-06-18 한국식품연구원 비만 억제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ao356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만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200330532A1 (en) * 2017-12-29 2020-10-22 Medytox Inc. Microorganism having ability to degrade ethanol and acetaldehyde, and composition and kit each including the same
US11801276B2 (en) * 2017-12-29 2023-10-31 Medytox Inc. Microorganism having ability to degrade ethanol and acetaldehyde, and composition and kit each including the same
US11986502B2 (en) 2018-05-23 2024-05-21 Optium, LLC Bacteriophage compositions and kits and related methods
CN111254089A (zh) * 2019-12-30 2020-06-09 杭州娃哈哈科技有限公司 一株具有减肥功能的植物乳杆菌及其应用
CN111254089B (zh) * 2019-12-30 2022-01-18 杭州娃哈哈科技有限公司 一株具有减肥功能的植物乳杆菌及其应用
KR102179481B1 (ko) * 2020-01-16 2020-11-16 (주)메디톡스 개체의 지방 함량을 감소시키는 미생물, 이를 동정하기 위한 방법 및 키트
KR20220133345A (ko) * 2021-03-24 2022-10-05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신규한 페디오코커스 악시딜락티시 균주 및 상기 균주를 이용하여 발효시킨 대두 발효물의 다양한 용도
KR102647158B1 (ko) * 2021-03-24 2024-03-15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신규한 페디오코커스 악시딜락티시 균주 및 상기 균주를 이용하여 발효시킨 대두 발효물의 다양한 용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0048B1 (ko) 개체의 지방 함량을 감소시키는 미생물 및 그의 용도
KR101679045B1 (ko) 개체의 지방 함량을 감소시키는 미생물 및 그의 용도
KR101937365B1 (ko) 다양한 기능성을 가진 신규 유산균 및 이의 용도
KR102077715B1 (ko) 비만 억제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ao356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만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EP2546330B1 (en) Lactic acid bacterium-containing preparation
KR102146429B1 (ko) 비피도박테리움 아니말리스 아종 아니말리스 균주
KR101611834B1 (ko) 비만 및 비만으로 야기된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락토바실루스 플란타룸 cbt lp3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EP3018199B1 (en) Composition containing bacterium belonging to genus lactobacillus
US11278579B2 (en) Lactobacillus paracasei AO356 strain having anti-obesity activity and method for preventing, alleviating or treating obesity using the same
KR101956867B1 (ko) 콜레스테롤 저감 및 비만증세 완화 효능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 ckdb009 및 이의 용도
KR102049700B1 (ko)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atg-f4를 포함하는 근육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56208B1 (ko) 염증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36335B1 (ko) 간기능 개선 또는 지방축적 억제 미생물 및 그의 용도
KR101426275B1 (ko) 지방합성 억제 및 지방산화 촉진에 의한 체지방 감소 효능을 갖는 5종의 유산균 복합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US20130309212A1 (en) Lactobacillus salivarius and method for preparing metabolite thereof, composition of lactobacillus salivarius and metabolite thereof and use of the composition
KR101611829B1 (ko) 비만 및 비만으로 야기된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 cbt sl4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1611837B1 (ko) 비만 및 비만으로 야기된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락토바실루스 람노수스 cbt lr5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030064030A (ko) 위액 및 담즙산에 대한 내성이 높아 장내 생존력이 우수한한국인 분변 유래 유용 프로바이오틱 생균 및 그의 용도
CN113528367A (zh) 一株具有预防腹泻和降解胆固醇功能的凝结芽孢杆菌
KR101809616B1 (ko) 항비만효과를 가지는 케피어 유래 프로바이오틱 균주
KR101611830B1 (ko) 비만 및 비만으로 야기된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베 cbt br3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2294456B1 (ko) 영유아 유래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mg4502 및 이를 포함하는 장 건강 증진, 항산화 및 항비만용 조성물
KR102191487B1 (ko) 간기능 개선 또는 지방축적 억제 미생물 및 그의 용도
KR20220057323A (ko) 락토바실러스 무단지앙엔시스 ckdb001 균주를 포함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 비만, 또는 이상지질혈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77720B1 (ko) 비만 억제 활성을 갖는 페디오코커스 에시디락티시 ao22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만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