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5499B1 - Screen pressing structure of strainer - Google Patents
Screen pressing structure of strai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65499B1 KR101665499B1 KR1020140069675A KR20140069675A KR101665499B1 KR 101665499 B1 KR101665499 B1 KR 101665499B1 KR 1020140069675 A KR1020140069675 A KR 1020140069675A KR 20140069675 A KR20140069675 A KR 20140069675A KR 101665499 B1 KR101665499 B1 KR 10166549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essing
- presser
- screen
- groove
- bol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5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3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06010057190 Respiratory tract infection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10000004080 Milk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9000008267 mil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3336 milk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06 fil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01 back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1510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98 cool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80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35 industrial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77 morphologic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288 screen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Other 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or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Other 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or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Other filtering devices;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1/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polishing or abrading surfaces on work by means of tumbling apparatus or other apparatus in which the work and/or the abrasive material is loose; Accessories therefor
- B24B31/02—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polishing or abrading surfaces on work by means of tumbling apparatus or other apparatus in which the work and/or the abrasive material is loose; Accessories therefor involving rotary barrels
Abstract
본 발명은 용수여과장치의 스크린 가압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구조에 의하면 스크린 상부를 가압하는 가압수단의 누름쇠 형태를 개선하여 누름쇠 설치 작업시 회전 방식을 배제함으로써, 좁은 공간에서도 작업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스크린들을 조밀하게 배치할 수 있고 장치 전체의 크기를 소형화 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creen pressing structure of a water filt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pe of the pressing means of the pressing means for pressing the upper portion of the screen is improved, So that the screens can be densely arranged and the overall size of the device can be miniaturiz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용수여과장치의 스크린 가압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오염수를 여과하는 스크린 상부를 가압하는 가압수단의 조립 구조를 개선하여 작업 효율을 향상시키고 용수여과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하고자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creen pressurizing structure of a water filtration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screen pressurizing structure for a water filtration apparatus which is improved in an assembling structure of a pressurizing means for pressurizing an upper portion of a screen for filtering polluted water, Technology.
일반적으로 스트레이너(Strainer)라고 불리는 용수여과장치는 각종 설비 시스템에서 유입, 발생되는 유기적 부유물 등을 걸러내는 장치로써, 농업, 공업 용수 등을 정수시키는 용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공장 등에서는 오염된 냉각수 등을 여과하는 용수여과장치가 배치되어 많은 양의 오염수를 여과하고 있으며, 여과된 여과수를 이용하여 철강 등의 제품을 식혀주는 데 사용하고 있다.Generally, a water filtration device called a strainer is a device for filtering organic suspended matters generated in various equipment systems and is widely used for purifying agriculture, industrial water, and the like. Also, in the factory, a water filtration device for filtering contaminated cooling water is arranged to filter a large amount of contaminated water, and is used to cool products such as steel using filtered water.
도1은 다양한 형태의 용수여과장치 중 하나의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수여과장치(1)는 오염수가 유입되는 오염수유입구(11)와 유입된 오염수에서 이물질이 걸러진 여과수를 배출하는 여과수배출구(12)가 마련된 본체(10)와, 오염수유입구(11) 측과 여과수배출구(12) 측을 분리하기 위해 본체(10) 내에 설치되는 분리벽체(30)와, 분리벽체(30)에 설치되어 오염수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된 오염수에서 이물질을 걸러내는 스크린(40)과, 본체(10)의 상부에 결합되어 본체(10)를 밀폐시키며 스크린(40)의 상부가 지지되는 관통공(51)이 형성된 상부플랜지(50)와, 상부플랜지(50)에 설치되어 스크린(40)의 상부를 가압함으로써 본체(10)로 유입된 오염수가 관통공(51)을 통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압수단(100)을 포함한다.Figure 1 illustrates an example of one of the various types of water filtration devices. 1, the water filtration apparatus 1 includes a
즉 분리벽체(30)에 의해 본체(10) 내부의 공간은 유입공간(15)과 여과공간(16)으로 분리되며, 유입공간(15)으로 오염수가 유입되면 분리벽체(30)의 스크린설치공(31)을 통해 분리벽체(30) 상부에 설치된 스크린(40)을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걸러지고, 이물질이 걸러진 여과수는 여과공간(16)에서 여과수배출구(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That is, the space inside the
본체(10) 상부는 개방된 상태에서 상부플랜지(50)의 결합으로 밀폐된다. 이때 상부플랜지(50)의 관통공(51)에 스크린(40)의 상부가 지지되는데, 본체(10) 내에 고압의 오염수가 유입되면 스크린(40) 상부의 관통공(51)을 통해 오염수(또는 여과수)가 유출되거나 스크린(40)이 관통공(51) 위로 밀려 올라갈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스크린(40)이 밀리지 않도록 상부에서 가압함과 동시에 관통공(51)을 밀폐시키기 위한 가압수단(100)이 상부플랜지(50)에 설치된다.The upper portion of the
도2는 종래의 용수여과장치(1)에 적용된 가압수단(100)을 설명하기 위해 스크린(40) 상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3은 가압수단(100)의 설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용수여과장치(1)의 상부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40) 상부는 상부플랜지(50)의 관통공(51)에 지지되며, 관통공(51) 주변에는 마주보는 위치에 제1누름쇠지지부(121)와 제2누름쇠지지부(12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스크린(40) 상부에는 가압플레이트(110)가 위치하며, 가압플레이트(110)는 볼트(123)의 조임으로 가압된다. 이때 볼트(123)의 조임을 위해 누름쇠a(130)가 사용된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upper portion of the
누름쇠a(130)는 중심에 상하로 볼트공a(131)가 관통 형성되어 있고, 양측에는 측방향으로 측걸림홈a1(132)과 측걸림홈a2(133)가 형성되어 있다. 도3을 참조하면 누름쇠a(130)에 형성된 측걸림홈(132,133)은 볼트공a(131)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는 볼트(123)의 조임 방향과 연관된다.The
즉 도3의 A로 표시된 부분의 가압수단(100)을 살펴보면, 누름쇠a(130)를 가압플레이트(110) 위에 올려 놓은 상태에서 누름쇠a(13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양쪽 측걸림홈(132,133)이 각각 제1누름쇠지지부(121)와 제2누름쇠지지부(122)에 삽입 안착된다. 이후 볼트공a(131)에 볼트(123)를 결합시킨 후 시계방향으로 돌려 조여주면, 누름쇠a(130)의 양단은 측걸림홈(132,133)이 각각의 누름쇠지지부(121,122)에 더욱 밀착되고, 볼트(123)의 하단은 가압플레이트(110)를 하방으로 밀어 가압플레이트(110)에 의해 상부플랜지(50)의 관통공(51)이 완전히 밀폐된다.3, when the presser a 130 is rotated clockwise in a state in which the presser a 130 is placed on the
그러나 종래의 용수여과장치(1)의 스크린(40) 가압 구조에서는 누름쇠a(130)의 형태적 특징 때문에, 누름쇠a(130)를 누름쇠지지부(121,122)에 결합할 시, 누름쇠a(130)의 양단을 누름쇠지지부(121,122)를 피해 가압플레이트(110) 위에 올려 놓은 후,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시켜야 하므로, 회전공간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However, in the pressing structure of the
따라서 도3과 같이 누름쇠a(130)를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누름쇠a(130)의 일단 또는 양단이 이웃하는 가압수단(100)의 누름쇠a(130) 또는 가압플레이트(110)에 저촉되지 않도록 회전공간을 확보해야 하며, 이 때문에 스크린(40)을 서로 가깝고 조밀하게 배치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즉 동일 개수 스크린(40)을 설치하기 위해 용수여과장치(1)의 크기가 커질 수 밖에 없는 것이다.
Therefore, in order to rotate the presser a 130 as shown in FIG. 3, one end or both ends of the presser a 130 are not in contact with the presser a 130 or the
한편 용수여과장치의 스크린 가압 구조와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01728호 등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related art related to the screen pressing structure of the water filtration apparatus is the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01728.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가압수단의 누름쇠 형태를 개선하여 회전 방식을 적용하지 않더라도 누름쇠를 조립할 수 있어서, 이웃하는 가압수단에 간섭받지 않고 누름쇠 결합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스크린들의 조밀한 배열이 가능하여 장치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도록 하는 용수여과장치의 스크린 가압 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mprove the shape of a presser of a pressurizing means and to assemble a presser without applying a rotary metho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creen pressing structure of a water filtration apparatus which enables the compact arrangement of the screens as a result of which the size of the apparatus can be downsiz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용수여과장치의 스크린 가압 구조는, 스크린의 상부를 지지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상부플랜지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린의 상부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본체로 유입된 오염수가 상기 관통공을 통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압수단;을 포함하는 용수여과장치의 스크린 가압 구조이며,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스크린의 상부에 위치하는 가압플레이트; 상기 상부플랜지의 관통공 주변에 마주한 상태로 설치되는 한 쌍의 누름쇠지지부; 상하를 관통하는 볼트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누름쇠지지부에 삽입 안착되는 직선상의 홈이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직선상의 홈 중 적어도 하나의 직선상의 홈은 슬라이딩홈으로 형성되는 누름쇠; 및 상기 누름쇠의 볼트공을 관통하여 결합됨으로써 상기 가압플레이트 상부를 가압하는 볼트;를 포함하되, 상기 누름쇠의 양측이 상기 누름쇠지지부에 삽입 안착될 시, 상기 직선상의 홈 중 상기 슬라이딩홈이 상기 한 쌍의 누름쇠지지부 중 어느 일 누름쇠지지부에 먼저 삽입 된 후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직선상의 홈 중 나머지 홈이 상기 한 쌍의 누름쇠지지부 중 타 누름쇠지지부 측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a screen pressurizing structure of a water filt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n an upper flange having a through hole for supporting an upper portion of a screen, Wherein the pressing means comprises a pressing plate loca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screen; A pair of pushing-back supporters installed to face each other around the through-hole of the upper flange; Wherein a linear groove is formed on both sides so as to be inserted and seated in the pair of pushing bar supports, and at least one straight groove in the linear groove is formed as a sliding groove iron; And a bolt inserted through the bolt hole of the presser so as to press the upper portion of the presser plate. When both sides of the presser bar are inserted into the presser support portion, And the remaining grooves of the linear grooves are inserted into the other of the pair of the press-bar supporting portions of the pair of the press-support supporting portions.
여기서, 상기 누름쇠의 슬라이딩홈은 상기 슬라이딩홈이 상기 누름쇠지지부 중 어느 일 누름쇠지지부에 최대로 삽입되었을 때, 상기 누름쇠의 반대 단부가 상기 누름쇠지지부 중 타 누름쇠지지부에 걸리지 않는 깊이로 설계될 수 있다.Here, the sliding groove of the pressing rod may have a depth at which the opposite end of the pressing rod is not caught by the other pressing part of the pressing screw supporting part when the sliding groove is fully inserted into one of the pressing screw supporting parts of the pressing screw supporting part, . ≪ / RTI >
또한, 상기 누름쇠의 직선상의 홈 중 상기 슬라이딩홈의 반대 단부에 형성된 홈이 상기 누름쇠지지부에 삽입되었을 시 상기 누름쇠의 볼트공이 상기 가압플레이트의 중심과 마주하도록 상기 누름쇠가 설계될 수 있다.Further, when the groove formed at the opposite end of the groove on the straight line of the presser is inserted into the presser support portion, the presser can be designed such that the bolt hole of the presseret faces the center of the presser plate .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용수여과장치의 스크린 가압 구조는, 스크린의 상부를 지지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상부플랜지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린의 상부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본체로 유입된 오염수가 상기 관통공을 통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압수단;을 포함하는 용수여과장치의 스크린 가압 구조이며,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스크린의 상부에 위치하는 가압플레이트; 상기 상부플랜지의 관통공 주변에 마주한 상태로 설치되는 한 쌍의 누름쇠지지부; 상하를 관통하는 볼트공이 형성되어 있고, 일측 단부에 상기 한 쌍의 누름쇠지지부 중 어느 일 누름쇠지지부에 삽입 안착되는 직선상의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반대 단부의 측면으로 상기 한 쌍의 누름쇠지지부 중 타 누름쇠지지부에 삽입 안착되는 측걸림홈이 형성된 누름쇠; 및 상기 누름쇠의 볼트공을 관통하여 결합됨으로써 상기 가압플레이트 상부를 가압하는 볼트;를 포함하되, 상기 누름쇠의 양측이 상기 누름쇠지지부에 삽입 안착될 시, 상기 직선상의 홈이 상기 한 쌍의 누름쇠지지부 중 어느 일 누름쇠지지부에 먼저 삽입된 후 상기 직선상의 홈을 기준으로 상기 누름쇠를 회전시켜 상기 측걸림홈이 타 누름쇠지지부에 삽입 안착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creen pressurizing structure for a water filtration apparatus, the screen filtration apparatus comprising: an upper flange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for supporting an upper portion of a screen, And a pressure means for preventing the water from flowing out through the hole, wherein the pressing means comprises: a pressing plate loc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creen; A pair of pushing-back supporters installed to face each other around the through-hole of the upper flange; And a pair of slidable grooves are formed at one side end of the pair of slidable support portions to be inserted into a corresponding one of the pair of slidable support portions, A presser having a side engaging groove to be inserted and seated in a middle presser supporting portion; And a bolt inserted through the bolt hole of the presser so as to press the upper portion of the presser plate. When both sides of the presser are inserted into the presser support portion, And the side latching groove may be inserted and seated in the other side latch support portion by rotating the pushrod with respect to the straight groove.
여기서, 상기 가압플레이트 상부에 상기 볼트의 하부가 지지되는 볼트지지홈이 형성될 수 있다.
Here, a bolt support groove for supporting a lower portion of the bolt may be formed on the pressing plate.
본 발명에 따르면 용수여과장치의 스크린 상부를 견고하게 지지하고 오염수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가압수단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이웃하는 가압수단에 간섭되는 일 없이 누름쇠를 효과적으로 설치할 수가 있어서, 복수의 스크린을 조밀하게 배치하여 전체 장치의 소형화를 이끌어낼 수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mproving the structure of the pressurizing means provided to firmly support the upper portion of the screen of the water filtration apparatus and prevent the outflow of the contaminated water, the pressurizing member can be effectively installed without being interfered with the neighboring pressurizing means, A plurality of screens can be densely arranged, leading to miniaturization of the entire apparatus.
즉, 누름쇠의 양단에 누름쇠의 길이 방향으로 개방된 형태로 고정홈과 슬라이딩홈이 형성되어 있어서, 누름쇠를 설치할 시 슬라이딩홈을 어느 일 누름쇠지지부에 먼저 삽입한 후 누름쇠를 슬라이딩 시켜 반대쪽 고정홈이 다른 누름쇠지지부에 삽입되도록 하면 된다. 따라서 누름쇠를 회전시키는 작업을 하지 않기 때문에 이웃하는 스크린을 가압하는 가압수단과 간섭되지 않으므로 스크린들을 조밀하게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That is, the fixing grooves and the sliding grooves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pressing screw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essing screw. When the pressing screw is installed, the sliding grooves are first inserted into one of the pressing screw supporting portions and then the pressing screw is slid And the opposite fixing groove may be inserted into the other pressing support por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arrange the screens densely since they do not interfere with the pressing means for pressing the neighboring screen because the operation of rotating the press is not performed.
도1은 다양한 형태의 용수여과장치 중 하나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2 및 도3은 도1에 도시된 용수여과장치에서 종래 방식의 가압수단이 설치된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수여과장치의 스크린 가압 구조에 적용되는 누름쇠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5는 도4에 도시된 누름쇠를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용수여과장치의 상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6은 도4에 도시된 누름쇠를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용수여과장치의 스크린 상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수여과장치의 스크린 가압 구조에 적용되는 누름쇠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8은 도7에 도시된 누름쇠를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용수여과장치의 상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수여과장치의 스크린 가압 구조에 적용되는 누름쇠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10은 도9에 도시된 누름쇠를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용수여과장치의 상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ure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for illustrating an example of one of various types of water filtration devices.
FIG. 2 and FIG. 3 are views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a conventional pressurizing means is installed in the water filtration apparatus shown in FIG. 1; 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usher applied to a screen pressing structure of a water filt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upper part of the water filtration apparatus to explain a process of installing the presser shown in FIG. 4;
6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upper portion of the screen of the water filtration apparatus to explain a process of installing the presser shown in FIG. 4;
7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pusher applied to a screen pressurizing structure of a water filt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upper part of the water filtration apparatus to explain a process of installing the presser shown in Fig.
9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pusher applied to a screen pressing structure of a water filt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upper part of the water filtration apparatus to explain a process of installing the presser shown in FIG.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일부 구성은 생략 또는 압축할 것이나, 생략된 구성이라고 하여 반드시 본 발명에서 필요가 없는 구성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some configurations which are not related to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mitted or compressed, but the configurations omitted are not necessarily those not necessary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y may be combined by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수여과장치의 스크린 가압 구조는 도1에 도시된 용수여과장치의 기존 가압수단을 대체하여 적용될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용수여과장치를 먼저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screen pressurizing structure of the water filt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instead of the conventional pressure means of the water filtration apparatus shown in FIG. The water filtration apparatus shown in FIG. 1 will be described first.
용수여과장치(1)는 오염수가 유입되는 오염수유입구(11)와 유입된 오염수에서 이물질이 걸러진 여과수를 배출하는 여과수배출구(12)가 마련된 본체(10)와, 오염수유입구(11) 측과 여과수배출구(12) 측을 분리하기 위해 본체(10) 내에 설치되는 분리벽체(30)와, 분리벽체(30)에 설치되어 오염수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된 오염수에서 이물질을 걸러내는 스크린(40)과, 본체(10)의 상부에 결합되어 본체(10)를 밀폐시키며 스크린(40)의 상부가 지지되는 관통공(51)이 형성된 상부플랜지(50)와, 상부플랜지(50)에 설치되어 스크린(40)의 상부를 가압함으로써 본체(10)로 유입된 오염수가 관통공(51)을 통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압수단(100')을 포함한다. 도1에 도시된 가압수단(100)을 대체하는 본 실시예에 따른 가압수단(100')에 대해서는 도4 내지 도6을 통해 이하에서 다시 설명토록 한다.The water filtration apparatus 1 includes a
다시 도1을 참조하면 분리벽체(30)에 의해 본체(10) 내부의 공간은 유입공간(15)과 여과공간(16)으로 분리되며, 유입공간(15)으로 오염수가 유입되면 분리벽체(30)의 스크린설치공(31)을 통해 분리벽체(30) 상부에 설치된 스크린(40)을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걸러지고, 이물질이 걸러진 여과수는 여과공간(16)에서 여과수배출구(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1, the space inside the
또한 도1에 도시된 용수여과장치(1)는 회전축(22)을 통해 모터(21)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역세암(23)으로 구성된 역세수단(20)을 포함한다. 즉 지속적인 여과 공정으로 스크린(40)에 이물질이 많이 끼이면 여과 효율이 저하되는데, 역세수단(20)을 통해 스크린(40) 내측의 이물질을 포함하는 역세수를 역세수배출구(13)로 유도해 내는 것이다.The water filtration apparatus 1 shown in FIG. 1 also includes backwash means 20 composed of a
본체(10) 하부에는 수리 또는 세척 작업시에 유입공간(15)에 잔류하는 오염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드레인부(14)가 마련되어 있으며, 본체(10) 상부는 개방된 상태에서 상부플랜지(50)의 결합으로 밀폐된다. 이때 상부플랜지(50)의 관통공(51)에 스크린(40)의 상부가 지지되는데, 본체(10) 내에 고압의 오염수가 유입되면 스크린(40) 상부의 관통공(51)을 통해 오염수(또는 여과수)가 유출되거나 스크린(40)이 관통공(51) 위로 밀려 올라갈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스크린(40)이 밀리지 않도록 상부에서 가압함과 동시에 관통공(51)을 밀폐시키기 위한 가압수단(100')이 상부플랜지(50)에 설치된다.The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수여과장치의 스크린 가압 구조에 적용되는 누름쇠b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5는 도4에 도시된 누름쇠b를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용수여과장치의 상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6은 도4에 도시된 누름쇠b를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용수여과장치의 스크린 상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4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presser b applied to the screen pressing structure of the water filt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process of installing the presser bar b shown in FIG.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upper portion of the screen of the water filtration apparatus to explain a process of installing the presser b shown in FIG. 4. FIG.
도4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수여과장치(1)의 스크린(40) 가압 구조는 누름쇠지지부(121,122), 가압플레이트(110), 볼트(123), 누름쇠b(140)를 포함하는 가압수단(100')에 의해 달성된다.4 to 6, the pressing structure of the
용수여과장치(1)의 여과공간(16)에 설치되는 스크린(40)의 하부는 분리벽체(30)의 스크린설치공(31)에 지지되고, 상부는 상부플랜지(50)의 관통공(51)에 지지된다. 또한 관통공(51) 주변에는 마주보는 위치에 제1누름쇠지지부(121)와 제2누름쇠지지부(122)가 설치되어 있다.The lower part of the
또한 스크린(40) 상부에는 가압플레이트(110)가 위치하며, 가압플레이트(110)는 볼트(123)의 조임으로 가압된다. 이때 볼트(123)의 조임을 위해 도4에 도시된 누름쇠b(140)가 사용된다. 또한 가압플레이트(110)의 저면 둘레에는 오링이 추가 설치되어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Further, a
누름쇠b(140)는 중심에 상하로 볼트공b(141)가 관통 형성되어 있고, 양단에는 직선상의 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즉 일측에는 제1누름쇠지지부(121)에 삽입 안착되는 고정홈b(142)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제2누름쇠지지부(122)에 삽입 안착되는 슬라이딩홈b(143)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홈b(142)와 슬라이딩홈b(143)는 모두 누름쇠b(140)의 길이 방향을 향하여 개방된 형태이다.The presser bar b (140) is formed with a bolt hole b (141) passing through the center thereof, and straight grooves are formed at both ends thereof. A fixed
도5의 B1 부분과 도6의 (a) 내지 (c)를 참조하여 누름쇠b(140)가 설치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스크린(40) 상부에 가압플레이트(110)가 올려진 상태에서 누름쇠b(140)의 슬라이딩홈b(143)를 제2누름쇠지지부(122)에 삽입시킨다. 도6의 (a)를 참조하면 슬라이딩홈b(143)가 제2누름쇠지지부(122)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반대쪽 고정홈b(142)가 들어 올려진 상태이다. 이후 도6의 (b)와 같이 누름쇠b(140)의 고정홈b(142) 부분을 가압플레이트(110) 위에 내려 놓고, 도6의 (c)와 같이 고정홈b(142)가 제1누름쇠지지부(121)에 삽입되도록 슬라이딩 이동시키면 누름쇠b(140)의 중심인 볼트공b(141) 부분이 가압플레이트(110)의 중심과 마주하게 된다.The process of installing the
여기서 고정홈b(142)보다 슬라이딩홈b(143)의 깊이가 더욱 깊도록 누름쇠b(140)를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고정홈b(142)의 내측면에서 볼트공b(141)의 중심까지의 거리는, 제1누름쇠지지부(121)의 일측면에서 가압플레이트(110)의 중심까지의 거리와 동일하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설계에 의하면 누름쇠b(140)의 슬라이딩홈b(143)가 제2누름쇠지지부(122)에 삽입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이동시켜 고정홈b(142)의 내측면이 제1누름쇠지지부(121)의 일측면에 밀착되도록 하였을 시, 누름쇠b(140)의 볼트공b(141)가 정확하게 가압플레이트(110)의 중심과 일치하게 된다. 또한 슬라이딩홈b(143)의 깊이는 도6의 (a)와 같이 슬라이딩홈b(143)를 제2누름쇠지지부(122)에 최대로 삽입하였을 때, 누름쇠b(140)의 반대 단부(고정홈b(142)가 형성된 부분)가 제1누름쇠지지부(121)에 걸리지(닿지) 않을 정도로 설계하면 된다.Here, it is preferable to fabricate the
한편, 슬라이딩홈b(143)가 제2누름쇠지지부(122)에 삽입된 이후 반대 방향으로 누름쇠b(140)를 이동시키면 슬라이딩홈b(143)의 내측면은 제2누름쇠지지부(122)에서 이탈한 상태가 되지만 누름쇠b(140)의 끝부분은 여전히 제2누름쇠지지부(122) 양측을 감싸는 형태로 남게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따라서 도6의 (c) 상태에서 누름쇠b(140)의 볼트공b(141)로 볼트(123)를 삽입하여 조여주면, 볼트(123) 하부가 가압플레이트(110) 상부의 볼트지지홈(111)에 지지된 상태로 가압플레이트(110)를 하방으로 가압시켜, 상부플랜지(50)의 관통공(51)이 가압플레이트(110)에 의해 밀폐된다. 이때 볼트(123)의 조임작업 시 누름쇠b(140) 양단의 고정홈b(142)와 슬라이딩홈b(143)는 누름쇠지지부(121,122)에 삽입된 상태이기 때문에 볼트(123)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지 아니하고 누름쇠지지부(121,122)에 양단이 지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6 (c), when the
이상의 설명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수여과장치(1)의 가압수단(100')에 의하면, 스크린(40) 상부를 견고하게 지지하고 오염수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면서도, 누름쇠b(140)를 설치할 시 누름쇠b(140)를 회전을 시켜야 하는 작업이 배제되기 때문에 회전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이웃하는 스크린(40)에 적용되는 가압수단(100')에 간섭되는 일 없이 누름쇠b(140)를 효과적으로 설치할 수가 있어서, 복수의 스크린(40)을 조밀하게 배치하여 용수여과장치(1)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즉 동일 면적 내에서 스크린(40)을 더 많이 배치할 수 있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sing means 100 'of the water filtration apparatus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part of the
물론 도4에 도시된 누름쇠b(140)를 설치할 시 일부 회전 방식을 적용할 수는 있다. 즉 도5의 B2 부분을 참조하면, 누름쇠b(140)의 슬라이딩홈b(143)를 제2누름쇠지지부(122)에 먼저 삽입시킨 후, 반대쪽 고정홈b(142)가 제1누름쇠지지부(121)와 마주할 수 있도록 누름쇠b(140)를 회전시키고, 누름쇠b(140)를 슬라이딩 이동시켜 고정홈b(142)가 제1누름쇠지지부(121)에 삽입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도5의 B1 부분과 같은 방식으로 누름쇠b(140)를 설치할 때에는 누름쇠b(140)를 회전시키는 작업이 부여되지만, 이는 종래의 누름쇠a(130)의 설치 과정에서처럼 누름쇠a(130) 양단을 모두 회전 시키는 것이 아니고, 이웃하는 스크린(40)의 가압수단(100')과 간섭될 가능성이 높은 부분인 제2누름쇠지지부(122)에 먼저 슬라이딩홈b(143)를 삽입한 후, 슬라이딩홈b(143)를 회전축으로 하여 간섭의 영향이 덜한 반대쪽 고정홈b(142) 부분을 회전시키면 되기 때문에 기존 누름쇠a(130)를 회전시키기 위해 필요한 공간보다 훨씬 적은 공간만 필요하다. 따라서 동일 면적 내에서 더 많은 스크린(40)을 배치시킬 수 있다는 효과는 여전히 유효하다.
Of course, when the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수여과장치의 스크린 가압 구조에 적용되는 누름쇠c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7에 도시된 누름쇠c(150)는 중심에 볼트공c(151) 이 형성되어 있고, 일측 측면으로 측걸림홈c(153)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으로는 직선상의 홈, 즉 누름쇠c(150)의 길이 방향으로 개방된 형태의 고정홈c(152)가 형성되어 있다.FIG. 7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press c applied to a screen pressurizing structure of a water filt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a
도7에 도시된 누름쇠c(150)를 설명하기 위해 용수여과장치(1)의 상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8의 C 부분을 참조하면, 누름쇠c(150)를 설치할 시 이웃하는 스크린(40)의 가압수단(100'')과 간섭될 가능성이 있는 부분인 제2누름쇠지지부(122)에 누름쇠c(150)의 길이방향으로 개방된 형태의 고정홈c(152)를 삽입하고, 이후 누름쇠c(150)의 반대쪽 부분을 제1누름쇠지지부(121) 옆쪽으로 내려 놓은 상태에서 고정홈c(152)를 회전축으로 하여 누름쇠c(15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측걸림홈c(153)가 제1누름쇠지지부(121)에 삽입 안착된다.Referring to part C of Fig. 8 schematically showing the upper part of the water filtration apparatus 1 to explain the push-
이후 볼트공c(151)에 볼트(123)를 삽입하여 조임 작업(시계방향)을 하면 누름쇠c(150)의 양단은 각각 누름쇠지지부(121,122)에 견고하게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볼트(123)의 하부는 가압플레이트(110) 상부의 볼트지지홈(111)에 지지된 상태로 가압플레이트(110)를 하방으로 밀착시켜, 상부플랜지(50)의 관통공(51)이 밀폐된다.The
도7 및 도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도 누름쇠c(150)를 설치할 때 회전 작업이 부여되긴 하지만, 이웃하는 스크린(40)의 가압수단(100'')과 간섭될 가능성이 높은 부분인 제2누름쇠지지부(122)에 먼저 고정홈c(152)를 삽입한 후, 고정홈c(152)를 회전축으로 하여 간섭의 영향이 덜한 반대쪽 측걸림홈c(153)를 회전시켜 제1누름쇠지지부(121)에 안착되도록 하면 되기 때문에, 기존 누름쇠a(130)를 회전시키기 위해 필요한 공간보다 훨씬 적은 공간만 필요하다. 따라서 동일 면적 내에서 더 많은 스크린(40)을 배치시킬 수 있다는 효과는 여전히 유효하다.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7 and 8, even when a rotary operation is provided when installing the
도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수여과장치의 스크린 가압 구조에 적용되는 누름쇠d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10은 도9에 도시된 누름쇠d를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용수여과장치의 상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FIG. 9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press d applied to a screen pressurizing structure of a water filt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llustrates a process of installing the press d, Fig. 5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upper part of the water filtration apparatus.
본 실시예에서 적용되는 가압수단(100''')에서 적용되는 누름쇠d(160)는 앞서 설명한 누름쇠b(140)의 형태를 추가 개량한 것이다. 즉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쇠d(160)의 중심에 볼트공d(161)가 형성되어 있고, 양단으로는 직선상 홈, 즉 누름쇠d(160)의 길이 방향으로 개방된 형태의 슬라이딩홈d1(162) 및 슬라이딩홈d2(163)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10의 D 부분과 같이 누름쇠d(160)를 설치할 시 슬라이딩홈d2(163)를 제2누름쇠지지부(122)에 먼저 삽입한 후, 이동시켜 슬라이딩홈d1(162)을 제1누름쇠지지부(121)에 삽입되도록 한 후, 볼트공d(161)에 볼트를 결합시켜 조여주면 누름쇠d(160)의 설치가 마쳐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도 누름쇠d(160)의 회전 공간은 필요치 않게 된다.The
반대로 슬라이딩홈d1(162)을 누름쇠지지부(121,122) 중 어느 한쪽에 먼저 삽입하는 작업을 수행하더라도 동일하게 회전 방식을 배제한 채 결합이 가능하다.Conversely, even if the operation of inserting the sliding
물론 본 실시예에서는 누름쇠d(160)의 양쪽에 모두 장공 형상의 슬라이딩홈(162,163)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볼트공d(161)를 가압플레이트(110)의 볼트지지홈(111) 위에 정확히 정렬시키기 위해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은 있다. 하지만 누름쇠d(160)를 설치할 시 양단의 방향은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으며, 더군다나 결합 작업시 회전 공간이 필요치 않아 좁은 공간에서 복수의 스크린(40)을 조밀하게 배치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전체 장치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는 본원발명의 목적은 충분히 달성 가능하다.
Of course,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sliding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And additions should be consider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 : 용수여과장치
10 : 본체
11 : 오염수유입구
12 : 여과수배출구
13 : 역세수배출구
14 : 드레인부
15 : 유입공간
16 : 여과공간
20 : 역세수단
21 : 모터
22 : 회전축
23 : 역세암
30 : 분리벽체
31 : 스크린설치공
40 : 스크린
50 : 상부플랜지
51 : 관통공
100',100'',100''' : 가압수단
110 : 가압플레이트
111 : 볼트지지홈
121 : 제1누름쇠지지부
122 : 제2누름쇠지지부
123 : 볼트
140 : 누름쇠b
141 : 볼트공b
142 : 고정홈b
143 : 슬라이딩홈b
150 : 누름쇠c
151 : 볼트공c
152 : 고정홈c
153 : 측걸림홈c
160 : 누름쇠d
161 : 볼트공d
162 : 슬라이딩홈d1
163 : 슬라이딩홈d21: Water filtration device
10: Body
11: Pollution feeding inlet
12: Filtrate outlet
13: station water outlet
14:
15: inflow space
16: Filtration space
20: backwash means
21: Motor
22:
23: backwash cancer
30: separation wall
31: Screen installation ball
40: Screen
50: upper flange
51: Through hole
100 ', 100 ", 100 "':
110: pressure plate
111: Bolt support groove
121: first presser bar support
122: second presser bar support
123: Bolt
140: pusher b
141: Bolt hole b
142: Fixing groove b
143: sliding groove b
150: pusher c
151: Bolt hole c
152: Fixing groove c
153: side engagement groove c
160: pusher d
161: Bolt ball d
162: Sliding groove d1
163: Sliding groove d2
Claims (5)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스크린의 상부에 위치하는 가압플레이트;
상기 상부플랜지의 관통공 주변에 마주한 상태로 설치되는 한 쌍의 누름쇠지지부;
상하를 관통하는 볼트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누름쇠지지부에 삽입 안착되는 직선상의 홈이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직선상의 홈 중 적어도 하나의 직선상의 홈은 슬라이딩홈으로 형성되는 누름쇠; 및
상기 누름쇠의 볼트공을 관통하여 결합됨으로써 상기 가압플레이트 상부를 가압하는 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누름쇠의 양측이 상기 누름쇠지지부에 삽입 안착될 시, 상기 직선상의 홈 중 상기 슬라이딩홈이 상기 한 쌍의 누름쇠지지부 중 어느 일 누름쇠지지부에 먼저 삽입 된 후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직선상의 홈 중 나머지 홈이 상기 한 쌍의 누름쇠지지부 중 타 누름쇠지지부 측으로 삽입되는 것이며,
상기 누름쇠의 상기 슬라이딩홈은 상기 슬라이딩홈이 상기 누름쇠지지부 중 어느 일 누름쇠지지부에 최대로 삽입되었을 때, 상기 누름쇠의 반대 단부가 상기 누름쇠지지부 중 타 누름쇠지지부에 걸리지 않는 깊이로 형성되며,
상기 누름쇠의 직선상의 홈 중 상기 슬라이딩홈의 반대 단부에 위치하는 것은 고정홈이며, 상기 슬라이딩홈과 상기 고정홈은 상기 누름쇠의 길이방향을 향하여 개방된 형태이고,
상기 고정홈의 내측면에서 상기 볼트공의 중심까지의 거리는 상기 누름쇠지지부의 일측면에서 상기 가압플레이트의 중심까지의 거리와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여과장치의 스크린 가압 구조.
And a pressing means installed on an upper flange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for supporting an upper portion of the screen to press the upper portion of the screen to prevent the contaminated water flowing into the main body from flowing out through the through hole. ,
Wherein the pressing means comprises:
A pressing plate located on the top of the screen;
A pair of pushing-back supporters installed to face each other around the through-hole of the upper flange;
Wherein a linear groove is formed on both sides so as to be inserted and seated in the pair of pushing bar supports, and at least one straight groove in the linear groove is formed as a sliding groove iron; And
And a bolt inserted through the bolt hole of the presser so as to press the upper portion of the presser plate,
The sliding groove is first inserted into one of the pair of pushing-in support portions of the pair of pushing-pushing support portions and then slidably moved, and when the both sides of the pushing-in portion are inserted into the pushing- And the remaining grooves of the grooves are inserted into the other of the pair of the push-rod supporting portions toward the other push-rod supporting portion,
Wherein the sliding groove of the pressing rod is formed at a depth such that the opposite end of the pressing rod is not caught by the other pressing part of the pressing part when the sliding groove is fully inserted into one pressing part of the pressing part Lt; / RTI &
Wherein the sliding groove and the fixing groove are opened towar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essing rod, and the sliding groove and the fixing groove are opened towar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essing rod,
Wherein the distanc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fixing groove to the center of the bolt hole coincides with the distance from one side of the pressing support to the center of the pressing plate.
상기 가압플레이트 상부에 상기 볼트의 하부가 지지되는 볼트지지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여과장치의 스크린 가압 구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bolt support groove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pressing plate to support a lower portion of the bol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69675A KR101665499B1 (en) | 2014-06-09 | 2014-06-09 | Screen pressing structure of strai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69675A KR101665499B1 (en) | 2014-06-09 | 2014-06-09 | Screen pressing structure of strain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41287A KR20150141287A (en) | 2015-12-18 |
KR101665499B1 true KR101665499B1 (en) | 2016-10-25 |
Family
ID=55081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69675A KR101665499B1 (en) | 2014-06-09 | 2014-06-09 | Screen pressing structure of strain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65499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665645B (en) * | 2019-01-24 | 2021-11-09 | 杭州大地海洋环保股份有限公司 | Wastewater treatment system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98091Y1 (en) * | 2002-09-11 | 2002-12-20 | 주식회사 엔. 에스. 브이 | dustproof device of horizontal pipe |
KR200401728Y1 (en) * | 2005-09-08 | 2005-11-21 | (주) 코리아 인바이텍 | An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filter screen of water filter |
JP2012200830A (en) | 2011-03-26 | 2012-10-22 | Sankei High Precision Kk | Sealing device for storage container of stirring device, seal storage device, and stirring device |
-
2014
- 2014-06-09 KR KR1020140069675A patent/KR101665499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98091Y1 (en) * | 2002-09-11 | 2002-12-20 | 주식회사 엔. 에스. 브이 | dustproof device of horizontal pipe |
KR200401728Y1 (en) * | 2005-09-08 | 2005-11-21 | (주) 코리아 인바이텍 | An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filter screen of water filter |
JP2012200830A (en) | 2011-03-26 | 2012-10-22 | Sankei High Precision Kk | Sealing device for storage container of stirring device, seal storage device, and stirring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41287A (en) | 2015-12-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084955B2 (en) | Filter holding frame with adjustable clamping mechanism and slot for pre-filter | |
US20050000198A1 (en) | Fuel filter | |
CN104334281A (en) | Magnetic filter for refining and chemical industries | |
AU2008258605A1 (en) | Filter device | |
KR101665499B1 (en) | Screen pressing structure of strainer | |
CN105771354A (en) | Printing and dyeing water fluid particle filter device | |
CN106731174A (en) | A kind of water purifier including filter core fixing device | |
JP2009509766A (en) | Block type flat membrane module frame | |
JP3117052B2 (en) | Contaminant removal device for running water pipe | |
EA035490B1 (en) | Horizontal pressure filter collector element, horizontal pressure filter plate element, horizontal pressure filter, and method related thereto | |
DE102015001223A1 (en) | Modular pre-separator system of a multi-stage filter system and filter system | |
KR101573323B1 (en) | Auto strainer having separated screen | |
CN210409950U (en) | Filter device | |
KR20140001786U (en) | Drain apparatus for scupper | |
EP3403708B1 (en) | Filter system with central element and sieve filter | |
CN209081627U (en) | A kind of bottle washing machine water system | |
US20190010063A1 (en) | Deionization device | |
CN204709933U (en) | A kind of magnetic valve syndeton | |
KR200426268Y1 (en) | Fluid filtration apparatus for industry | |
CN219024604U (en) | Portable deironing separator | |
FI12027U1 (en) | Horizontal pressure filter | |
KR101711626B1 (en) | Strainer having separated screen | |
CN215541737U (en) | Easy-to-clean fluid type pipeline iron remover | |
CN219681877U (en) | Inspection waste liquid treatment device | |
RU2686905C1 (en) | Filter plate for filter pres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07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