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8910B1 - 기생 커패시턴스의 영향을 감소시키는 터치입력 감지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기생 커패시턴스의 영향을 감소시키는 터치입력 감지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8910B1
KR101658910B1 KR1020140155820A KR20140155820A KR101658910B1 KR 101658910 B1 KR101658910 B1 KR 101658910B1 KR 1020140155820 A KR1020140155820 A KR 1020140155820A KR 20140155820 A KR20140155820 A KR 20140155820A KR 101658910 B1 KR101658910 B1 KR 1016589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input
input sensing
touch
electrode
n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5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5569A (ko
Inventor
신형철
윤일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센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센트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센트론
Publication of KR20150055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55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8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89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 G06F3/041662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using alternate mutual and self-capacitive sc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0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 G02F1/134336Matrix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0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 G02F1/134363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for applying an electric field parallel to the substrate, i.e. in-plane switching [IP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86Wiring, e.g. gate line, drain lin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8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in which the switching element is a three-electrode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G06F3/04182Filtering of noise external to the device and not generated by digitiser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G06F3/04184Synchronisation with the driving of the display or the backlighting unit to avoid interferences generated internal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 A61M2205/502User interfaces, e.g. screens or keyboards
    • A61M2205/505Touch-screens; Virtual keyboard or keypads; Virtual buttons; Soft keys; Mouse touch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6Multi-sensing digitiser, i.e. digitiser using at least two different sensing technologies simultaneously or alternatively, e.g. for detecting pen and finger, for saving power or for improving position det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electromagnetic means

Abstract

터치입력 감지장치로서, 터치입력 감지전극; 상기 터치입력 감지전극의 일 지점에 연결되어 있으며, 터치입력에 따라 상기 터치입력 감지전극에 의해 형성되는 터치 커패시턴스의 변화를 측정하도록 되어 있는 터치감지부; 상기 터치입력 감지장치에 포함된 제2 노드로서, 상기 일 지점과의 사이에 커패시턴스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2 노드; 및 상기 일 지점과 상기 제2 노드 간의 전위차를 감소시키도록, 상기 일 지점의 전위를 추종하는 전위값을 상기 제2 노드에 제공하는 전위제어부;를 포함하는, 터치입력 감지장치를 공개한다.

Description

기생 커패시턴스의 영향을 감소시키는 터치입력 감지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Touch input sensing method for reducing effects of stray capacitances and device for the same}
본 발명의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입력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기생 커패시턴스에 의한 영향을 감소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자기정전용량(self capacitance) 방식의 터치입력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제시한 터치입력회로의 일 예이다. 상기 터치입력회로는 전자장치의 일 부품일 수 있다.
노드(n1)에는, ① 커패시턴스(Cf)(18), 기생 커패시턴스(Cp)(20), 및 기타 커패시턴스(Ce)(23)에 의해 형성되는 '등가 커패시턴스', ② 저항(Rref)(12), ③ 연산증폭기(15)의 비반전 입력단자, ④ 스위치(14), 및 ⑤ 전극패드(16)가 연결될 수 있다. 전극패드(16)는 투명한 또는 불투명한 도전성의 물질일 수 있다. 연상증폭기(15)의 반전 입력단자(-)에는 기준전위(Vref)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준전위(Vref)는 접지전위보다 클 수 있다.
이때, 상기 '등가 커패시턴스'를 구성하는 일 요소인 커패시턴스(Cf)(18)는, 전극패드(16)에 전압이 인가되어 있을 때에, 전극패드(16) 가까이에 손가락과 같은 전도체가 근접하게 되면, 커패시턴스(Cf)(18)와 상기 전도체 사이에 전기장이 형성됨으로써 발생하게 된다. 즉, 터치입력 여부에 따라 커패시턴스(Cf)(18)의 값이 변화하게 되고, 이 변화된 값을 측정함으로써 터치입력 여부를 알 수 있다.
한편, 기생 커패시턴스(Cp)(20)는, 상기 전자장치의 다른 부분들과 전극패드(16) 사이에 형성되는, 의도하여 설계하지 않은 커패시턴스일 수 있다. 따라서 기생 커패시턴스(Cp)(20)의 값은 상기 터치입력회로의 설계자가 미리 알 수 없는 값일 수 있다.
이때, 기생 커패시턴스(Cp)의 값이 충분히 작거나 존재하지 않아야 커패시턴스(Cf)(18)의 변화량을 쉽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장치의 다른 부분들로부터 발생하거나 유입되는 노이즈가, 기생 커패시턴스(Cp)의 일단부에 존재하는 노드(n2)를 통해 노드(n1)에게 전달된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 전자장치의 다른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기타 커패시턴스(Ce)(23)는 노드(n2)에 더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스위치(14)의 온/오프 상태는 연산증폭기(15)의 반전 입력단자(-)에 인가된 기준전압(Vref)과 비반전 입력단자(+)에 인가되는 노드(n1)의 전압(Vx)의 차이값을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드(n1)의 전압(Vx)은 스위치(14)의 온/오프 상태의 변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1b의 가로축에 기재된 'Off'는 스위치(14)가 오프 상태를 유지하는 시구간을 의미하고, 'On'는 스위치(14)가 온 상태를 유지하는 시구간을 의미할 수 있다.
스위치(14)가 온 상태인 경우 전압(Vx)의 변화율은, 상기 '등가 커패시턴스'와 상기 저항(Rref)(12)에 의해 결정되는 시정수(τ)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스위치(14)가 오프 상태가 되면 전압(Vx)는 기준전위로 다시 떨어지게 된다.
손가락(17)이 전극패드(16)에 얼마나 가까이 위치해 있느냐에 따라 커패시턴스(Cf)(18)의 크기가 변화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상기 '등가 커패시턴스'의 크기가 변화할 수 있다. 따라서 커패시턴스(Cf)의 변화량에 따라 시정수(τ)의 값이 변화될 수 있다. 이러한 시정수(τ)의 변화는 도 1b에 나타낸 스위치(14)가 온 상태를 유지하는 시구간에서의 전압(Vx)의 변화율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전압(Vx) 그래프에 관한 값을 이용하여 시정수(τ)의 크기, 커패시턴스(Cf)(18)의 크기, 그리고 손가락(17)이 전극패드(16)에 얼마나 영향을 주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역으로 계산해 낼 수 있다. 이로써 터치입력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알 수 있다.
예컨대, 손가락(17)이 전극패드(16) 근처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커패시턴스(Cf)(18)는 존재하지 않고, 그 결과 상기 '등가 커패시턴스'의 값이 Ce1이라고 가정할 수 있다. 이제, 손가락(17)이 전극패드(16) 근처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커패시턴스(Cf)(18)는 존재하게 되고, 그 결과 상기 '등가 커패시턴스'의 값이 Ce2라고 하면, Ce2 > Ce1의 관계를 만족할 수 있다. 그 결과, 손가락(17)이 전극패드(16) 근처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의 시정수 tau1는, 손가락(17)이 전극패드(16) 근처에 존재하는 경우의 시정수 tau2에 비하여 작게 된다. 이를 도 1b와 함께 고려해보면, 손가락(17)이 전극패드(16) 근처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손가락(17)이 전극패드(16) 근처에 존재하는 경우보다 전압(Vx)가 더 빠르게 상승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이용하면, 예컨대 전위(Vx)가 0의 값에서 Vref까지 상승하는데 걸린 시간을 측정함으로써 손가락(17)이 전극패드(16) 근처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
도 1c 및 도 1d는 각각 도 1a 및 도 1b에 대응하는 회로로써, 도 1a의 저항(Rref)(12)이 정전류원(Iref)(12_1)으로 대체된 회로와, 이 때의 전압(Vx)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나타낸다. 도 1c 및 도 1d에 따른 회로의 동작은 도 1a 및 도 1b의 상술한 동작원리를 이해한 사람이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e 및 도 1f는 상호정전용량(mutual capacitance) 방식의 터치입력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제시한 터치입력회로의 일 예이다. 상기 터치입력회로는 전자장치의 일 부품일 수 있다.
도 1e를 참조하면, 기판(512) 상에 제1 전극패드(VCOM,11)과 제2 전극패드(VCOM,12)가 절연체(511)에 의해 서로 절연되어 배치되어 있다. 이때, 제1 전극패드(VCOM,11)에 미리 결정된 전압을 걸어주면 제1 전극패드(VCOM,11)에서 발생한 자속(510)이 제2 전극패드(VCOM,12)로 향하게 된다. 이때, 제1 전극패드(VCOM,11)과 제2 전극패드(VCOM,12) 사이에는 상기 자속(510)에 의해 상호 커패시턴스(Cs)가 형성된다. 만일 이때, 절연체 바깥으로 빠져나온 자속(510)이 속한 공간에 손가락과 같은 터치입력도구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바깥으로 빠져나오 자속(510)이 제2 전극패드(VCOM,12)로 입력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상호 커패시턴스(Cs)의 값이 변화하게 된다. 상호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입력회로는 상술한 상호 커패시턴스(Cs)의 값을 측정함으로써 터치입력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도 1e의 제1 전극패드(VCOM,11)와 같이 미리 결정된 전압이 인가되는 전극을 구동전극패드라고 지칭할 수 있고, 제2 전극패드(VCOM,12)는 감지전극패드라고 지칭할 수 있다.
도 1f는 상호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입력회로의 일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스위치드 커패시터 적분회로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f에서 두 개위 스위치는 각각 제1 클록(Clk1)과 제2 클록(Clk2)에 따라 온/오프 상태를 전환하게 되며, 온-상태가 되는 시구간을 서로 공유하지 않는다. 전원(Vs(t))으로부터 제공되는 전류는 일단 커패시턴스(Cs)에 충전되었다가, 이 충전된 전하는 연산증폭기에 연결된 적분 커패시터(Cfb)에 저장되게 된다. 즉 커패시턴스(Cs)는 충전과 방전을 계속 반복하면서 적분 커패시터(Cfb)의 양단에 계속해서 전하를 누적하여 축적하도록 만든다. 커패시턴스(Cs)의 값이 클수록 단위 시간당 더 많은 전하를 적분 커패시터(Cfb)의 양단에 충전시킬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연산증폭기의 출력전압(Vfb(t))를 확인함으로써 커패시턴스(Cs)의 크기를 파악할 수 있다. 이때, 도 1f의 커패시턴스(Cs)의 양단이 각각 도 1e의 제1 전극패드(VCOM,11)과 제2 전극패드(VCOM,12)가 되도록 설계할 수 있다.
상술한 전극패드(16)를 상하좌우로 복수 개 배치하여 각 전극패드에 대한 터치입력여부를 도 1a 내지 도 1d에 도시한 자기정전용량 방식으로 측정할 수도 있다. 이때, 전극패드(16)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터치입력 감지를 위한 회로의 소모전력이 많아지거나, 또는 상술한 연산증폭기들의 개수가 증가하여 회로의 복잡도가 커지는 문제가 있다. 예컨대, 전극패드들(16)의 배치가 20*12의 행렬구조를 갖는 경우 전극패드가 총 240개 제공되는데, 각 전극패드에 상술한 연산증폭기가 1개씩 연결되어야 한다면 회로의 복잡도가 너무 커진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터치입력의 판별에 악영향을 주는 기생 커패시턴스(Cp)의 영향을 없앨 수 있는 회로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기생 커패시턴스의 영향을 감소시키는 터치입력 감지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전극패드에 연결된 기생 커패시턴스의 영향을 없애기 위하여, 기생 커패시턴스의 양단에 동일한 전압을 인가하거나 기생 커패시터 양단에 항상 동일한 전압이 걸릴 수 있도록 한다. 그 구체적인 방법으로써, 기생 커패시턴스(Cp)의 일 단부(n1)에 전극패드(16)가 연결되어 있고 타 단부(n2)에 노이즈 소스 등의 회로의 다른 부분이 연결되어 있을 때에, 상기 일 단부(n1)의 전압(Vx)을 상기 타 단부(n2)에 인가하는 구성을 취한다. 이로써 기생 커패시턴스(Cp)의 양 단부 사이의 전압이 0으로 되거나, 일정한 점이 걸리게 되므로 기생 커패시턴스에 의해 충방전되는 전하가 없기 때문에, 기생 커패시턴스(Cp)에 의한 영향이 배제되고, 커패시턴스(Cf)(18)의 변화량만을 성공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관점에 따라 제공되는 본 발명의 과제의 해결 수단을 설명한다.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설명되는 일부 용어에는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의 일부 참조번호를 병기되어 있다. 이 병기된 참조번호는 예시를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터치입력 감지장치는, 터치입력 감지전극; 상기 터치입력 감지전극의 일 지점에 연결되어 있으며, 터치입력에 따라 상기 터치입력 감지전극에 의해 형성되는 터치 커패시턴스의 변화를 측정하도록 되어 있는 터치감지부; 상기 터치입력 감지장치에 포함된 제2 노드로서, 상기 일 지점과의 사이에 커패시턴스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2 노드; 및 상기 일 지점과 상기 제2 노드 간의 전위차를 감소시키도록, 상기 일 지점의 전위를 추종하는 전위값을 상기 제2 노드에 제공하는 전위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라 터치입력 감지장치 및 화면출력장치를 포함하는 사용자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터치입력 감지장치는, 1) 터치입력 감지전극; 2) 상기 터치입력 감지전극의 일 지점에 연결되어 있으며, 터치입력에 따라 상기 터치입력 감지전극에 의해 형성되는 터치 커패시턴스의 변화를 측정하도록 되어 있는 터치감지부; 3) 상기 터치입력 감지장치에 포함된 제2 노드로서, 상기 일 지점과의 사이에 커패시턴스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2 노드; 및 4) 상기 일 지점과 상기 제2 노드 간의 전위차를 감소시키도록, 상기 일 지점의 전위를 추종하는 전위값을 상기 제2 노드에 제공하는 전위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화면출력장치는, 5) 화상픽셀; 6) 상기 화상픽셀의 광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전달하는 제어라인; 및 7) 상기 화상픽셀의 공통전극;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공통전극이 상기 터치입력 감지전극이다.
<복수 개의 전극패드를 이용한 자기정전용량방식의 터치입력 감지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멀티플렉서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전극패드 중 선택된 일부의 전극패드에서의 터치입력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라 제공되는 터치입력 감지장치는, 복수 개의 제1그룹 전극패드들; 상기 제1그룹 전극패드들 사이에 인터레이싱되어 배치된 복수 개의 제2그룹 전극패드들; 및 출력단자에 터치감지부가 연결되어 있는 복수 개의 멀티플렉서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멀티플렉서의 입력단자에는 한 개의 상기 제1그룹 전극패드와 한 개의 상기 제2그룹 전극패드가 연결되어 있다.
이때, 상기 각각의 멀티플렉서에 대하여, 상기 멀티플렉서의 입력단자에 연결된 상기 제1그룹 전극패드와 상기 제2그룹 전극패드를 사이를 서로 단락시키거나 오픈시키도록 되어 있는 스위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터치입력 감지장치는, 상기 터치입력 감지장치에 포함된 제2 노드로서, 상기 출력단자와의 사이에 커패시턴스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2 노드; 및 상기 출력단자와 상기 제2 노드 간의 전위차를 감소시키도록, 상기 출력단자의 전위를 추종하는 전위값을 상기 제2 노드에 제공하는 전위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치감지부는 터치입력에 따라 상기 제1그룹 전극패드 또는 상기 제2그룹 전극패드에 의해 형성되는 터치 커패시턴스의 변화를 측정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그룹 전극패드들과 상기 제2그룹 전극패드들은, 화상픽셀, 상기 화상픽셀의 광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전달하는 제어라인, 및 상기 화상픽셀의 공통전극을 포함하는 화면출력장치의 공통전극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화면출력장치는 TFT-LCD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노드는, 화상픽셀, 상기 화상픽셀의 광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전달하는 제어라인, 및 상기 화상픽셀의 공통전극을 포함하는 화면출력장치의 상기 제어라인에 존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각의 멀티플렉서의 입력단자에 연결된 상기 제1그룹 전극패드와 상기 제2그룹 전극패드는 서로 인접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라 제공되는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방법은 상술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라 제공되는 터치입력 감지장치를 이용한다. 이 방법은, 상기 각각의 멀티플렉서의 출력단자가 상기 제1그룹 전극패드들에 연결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복수 개의 터치감지부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 개의 제1그룹 전극패드들 중 터치입력이 이루어진 제1 전극패드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각각의 멀티플렉서의 출력단자가 상기 제2그룹 전극패드들에 연결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 개의 터치감지부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 개의 제2그룹 전극패드들 중 터치입력이 이루어진 제2 전극패드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라 제공되는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방법은 상술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라 제공되는 터치입력 감지장치를 이용한다. 이 방법은 상기 각각의 멀티플렉서의 출력단자가 상기 제1그룹 전극패드들에 연결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복수 개의 터치감지부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 개의 제1그룹 전극패드들 중 터치입력이 이루어진 제1 전극패드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제1 전극패드가 연결되어 있는 제1 멀티플렉서의 출력단자가 상기 제2그룹 전극패드에 연결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멀티플렉서에 연결된 터치감지부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멀티플렉서에 연결된 상기 제2그룹 전극패드에 대한 터치입력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라 제공되는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방법은 상술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라 제공되는 터치입력 감지장치를 이용한다. 이 방법은 상기 각각의 멀티플렉서에 대하여, 상기 멀티플렉서의 입력단자에 연결된 상기 제1그룹 전극패드와 상기 제2그룹 전극패드를 사이를 서로 단락시키도록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복수 개의 터치감지부를 이용하여 터치입력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 제1 감지영역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제1 감지영역에 연결된 제1 멀티플렉서의 제1 입력단자에 연결된 상기 제1그룹 전극패드와 상기 제2그룹 전극패드를 사이를 서로 오픈시키도록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1 입력단자에 연결된 상기 제1그룹 전극패드를 상기 제1 멀티플렉서의 제1 출력단자에 연결하고, 상기 제1 출력단자에 연결된 제1 터치감지부를 이용하여 터치입력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입력단자에 연결된 상기 제2그룹 전극패드를 상기 제1 출력단자에 연결하고, 상기 제1 터치감지부를 이용하여 터치입력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술한 터치입력 감지방법들에 있어서, 상기 제1그룹 전극패드들과 상기 제2그룹 전극패드들은, 화상픽셀, 상기 화상픽셀의 광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전달하는 제어라인, 및 상기 화상픽셀의 공통전극을 포함하는 TFT-LCD에 형성된 복수 개의 분할된 공통전극에 속하는 것일 수 있다.
<복수 개의 전극패드를 이용한 상호정전용량방식의 터치입력 감지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라,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을 따라 행렬 형태로 배치되어 있는 복수 개의 전극패드들을 포함하는 터치입력 감지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이 장치는, 제1 전극패드; 제2 전극패드; 상기 제1 전극패드에 인접하여 상기 제1 전극패드를 둘러싼 제1 그룹의 제5 전극패드들; 상기 제2 전극패드에 인접하여 상기 제2 전극패드를 둘러싼 제2 그룹의 제5 전극패드들; 상기 제1 그룹의 제5 전극패드들에 연결되어 있는 제1 그룹의 적분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전극패드와 상기 제1 그룹의 제5 전극패드들 사이에 형성되는 커패시턴스의 값을 측정하도록 되어 있는 제1 그룹의 터치입력 감지회로; 상기 제2 그룹의 제5 전극패드들에 연결되어 있는 제2 그룹의 적분기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전극패드와 상기 제2 그룹의 제5 전극패드들 사이에 형성되는 커패시턴스의 값을 측정하도록 되어 있는 제2 그룹의 터치입력 감지회로; 및 상기 제1 전극패드와 상기 제2 전극패드 중 어느 하나의 전극패드에 기준전위와 다른 제1 전위를 인가하는 동안 다른 하나의 전극패드에는 기준전위를 인가하도록 되어있는 전극패드 전위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 전극패드, 상기 제2 전극패드, 상기 제1 그룹의 제5 전극패드들, 및 상기 제2 그룹의 제5 전극패드들은, 화상픽셀, 상기 화상픽셀의 광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전달하는 제어라인, 및 상기 화상픽셀의 공통전극을 포함하는 TFT-LCD에 형성된 복수 개의 분할된 공통전극에 속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제1 그룹의 제5 전극패드들에 속해 있는 적어도 한 개의 제5 전극패드는, 제2 그룹의 제5 전극패드에도 속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라,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을 따라 행렬 형태로 배치되어 있는 복수 개의 전극패드들을 포함하는 터치입력 감지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이 장치는, 제1 전극패드; 상기 제1 전극패드에 인접하여 상기 제1 전극패드를 둘러싼 8개의 제5 전극패드들; 및 상기 8개의 제5 전극패드들에 연결되어 있는 제1 그룹의 적분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전극패드와 상기 8개의 제5 전극패드들 사이에 형성되는 커패시턴스의 값을 측정하도록 되어 있는 제1 그룹의 터치입력 감지회로;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 전극패드, 및 상기 8개의 제5 전극패드들은, 화상픽셀, 상기 화상픽셀의 광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전달하는 제어라인, 및 상기 화상픽셀의 공통전극을 포함하는 TFT-LCD에 형성된 복수 개의 분할된 공통전극에 속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그룹의 터치입력 감지회로는 한 개의 적분기만을 포함하며, 상기 한 개의 적분기는 상기 8개의 제5 전극패드들 사이에서 스위칭되어 상기 8개의 제5 전극패드들과 순차적으로 연결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그룹의 터치입력 감지회로는 각각 상기 8개의 제5 전극패드에 연결되는 8개의 적분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라,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을 따라 행렬 형태로 배치되어 있는 복수 개의 전극패드들을 포함하는 터치입력 감지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이 장치는, 제1 전극패드; 제2 전극패드; 상기 제1 전극패드에 인접하여 상기 제1 전극패드를 둘러싼 제1 그룹의 제5 전극패드들; 상기 제2 전극패드에 인접하여 상기 제2 전극패드를 둘러싼 제2 그룹의 제5 전극패드들; 상기 제1 전극패드에 연결되어 있는 제1 적분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전극패드와 상기 제1 그룹의 제5 전극패드들 사이에 형성되는 커패시턴스의 값을 측정하도록 되어 있는 제1 터치입력 감지회로; 상기 제2 전극패드에 연결되어 있는 제2 적분기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전극패드와 상기 제2 그룹의 제5 전극패드들 사이에 형성되는 커패시턴스의 값을 측정하도록 되어 있는 제2 터치입력 감지회로; 및 상기 제1 그룹의 제5 전극패드와 상기 제2 그룹의 제5 전극패드 중 어느 하나의 그룹에 기준전위와 다른 제1 전위를 인가하는 동안 다른 하나의 그룹에는 기준전위를 인가하도록 되어있는 전극패드 전위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 전극패드, 상기 제2 전극패드, 상기 제1 그룹의 제5 전극패드들, 및 상기 제2 그룹의 제5 전극패드들은, 화상픽셀, 상기 화상픽셀의 광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전달하는 제어라인, 및 상기 화상픽셀의 공통전극을 포함하는 TFT-LCD에 형성된 복수 개의 분할된 공통전극에 속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제1 그룹의 제5 전극패드들에 속해 있는 적어도 한 개의 제5 전극패드는, 제2 그룹의 제5 전극패드에도 속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라,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을 따라 행렬 형태로 배치되어 있는 복수 개의 전극패드들을 포함하는 터치입력 감지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이 장치는, 제1 전극패드; 상기 제1 전극패드에 인접하여 상기 제1 전극패드를 둘러싼 8개의 제5 전극패드들; 상기 제1 전극패드에 연결되어 있는 제1적분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전극패드와 상기 8개의 제5 전극패드들 사이에 형성되는 커패시턴스의 값을 측정하도록 되어 있는 제1 터치입력 감지회로; 및 상기 8개의 제5 전극패드들 중 어느 하나의 전극패드에 기준전위와 다른 제1 전위를 인가하는 동안 다른 하나의 전극패드에는 기준전위를 인가하도록 되어있으며, 상기 제1 전위를 상기 8개의 제5 전극패드에게 순차적으로 인가하도록 되어 있는 전극패드 전위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 전극패드, 및 상기 8개의 제5 전극패드들은, 화상픽셀, 상기 화상픽셀의 광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전달하는 제어라인, 및 상기 화상픽셀의 공통전극을 포함하는 TFT-LCD에 형성된 복수 개의 분할된 공통전극에 속하는 것일 수 있다.
<코드분할 방식을 이용한 상호정전용량방식의 터치입력 감지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라 제공되는 터치입력 정보 산출방법은, p개의 시구간(T_v)에 대한 정의를 포함하는 제1정보를 이용한다. 그리고 상기 p개의 시구간(T_v) 각각에 대응하여 정의되어 있으며, 복수 개(=M)의 구동전극패드로부터 선택된 N_v개의 구동전극패드로 구성된 p개의 구동전극조합(TEC_v)에 대한 정의를 포함하는 제2정보를 이용한다.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구동전극패드와 용량결합한(capacitively coupled) 감지전극패드에 연결되어 있는 전하축적용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터치감지회로를 이용한다. 이때, v=1 내지 p의 정수이고, p는 2이상의 정수이다.
이때, 상기 p개의 구동전극조합에 속한 각각의 구동전극조합은 서로 다른 조합의 구동전극패드들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은, v=1 내지 p에 대하여 각각, 시구간(T_v) 동안 구동전극조합(TEC_v)에 속한 모든 구동전극패드들에만 구동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터치감지회로로부터 출력값(TO_v)을 획득하는 단계; 및 p개의 출력값(TO_v)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 개의 구동전극패드와 상기 감지전극패드 간의 영역에 대한 터치입력에 관한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구동전극패드는 p개이고, 상기 p는 3이상의 정수이고, 상기 N_v는 N_v=p-1을 만족하고, 상기 N_v는 2이상의 정수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구동전극패드와 상기 감지전극패드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구동전극패드와 상기 감지전극패드는 디스플레이 패널과는 별로도 제공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배치된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TFT 패널 및 IPS 패널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는, 상기 복수 개의 구동전극패드와 상기 감지전극패드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동작을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부품으로 사용되는 복수 개의 분리되어 있는 공통전극일 수 있다.
이때, 상기 p개의 시구간(T_v) 동안에, 상기 복수 개의 구동전극패드와 상기 감지전극패드는 모두 상기 터치감지회로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 개의 구동전극패드 및 감지전극패드는 모두, 상기 p개의 시구간(T_v) 이외의 시간 중 적어도 일부 구간 동안에는 미리 결정된 기준전위(Vref2)에 연결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감지전극패드는 상기 복수 개의 구동전극패드 모두와 서로 인접해 있으며, 상기 감지전극패드와 상기 복수 개의 구동전극패드 사이에는 터치패널에 존재하는 다른 전극패드가 전혀 배치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라 제공되는 터치입력 검출방법은, 제1 시구간 동안, M개의 구동전극패드 중에서 선택된 제1조합의 구동전극패드에만 구동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M개의 구동전극패드와 정전용량결합하도록 되어 있는 감지전극패드에 연결된 터치감지회로로부터 제1 출력값을 획득하는 제1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2 시구간 동안, 상기 M개의 구동전극패드 중에서 선택된 제2조합의 구동전극패드에만 구동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터치감지회로로부터 제2 출력값을 획득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출력값과 상기 제2 출력값을 이용하여 상기 M개의 구동전극패드 중 제1 구동전극패드와 상기 감지전극패드 간의 영역에 대한 터치입력에 관한 정보를 산출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라 제공되는 터치입력장치는, 감지전극패드; 상기 감지전극패드와 용량결합하도록 되어 있는 복수 개(=M)의 구동전극패드; 상기 감지전극패드에 연결되어 있는 전하축적용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터치감지회로; 및 상기 복수 개의 구동전극패드에 구동신호를 미리 결정된 규칙에 의해 인가하도록 되어 있는 전극패드 전위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전위제어부는, (1) p개의 시구간(T_v)에 대한 정의를 포함하는 제1정보, 및 상기 p개의 시구간(T_v) 각각에 대응하여 정의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 개의 구동전극패드로부터 선택된 N_v개의 구동전극패드로 구성된 p개의 구동전극조합(TEC_v)에 대한 정의를 포함하는 제2정보를 이용하고; (2) 상기 터치감지회로를 이용한다. 단, v=1 내지 p의 정수이고, p는 2이상의 정수이다.
그리고 상기 p개의 구동전극조합에 속한 각각의 구동전극조합은 서로 다른 조합의 구동전극패드들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전위제어부는, (3) v=1 내지 p에 대하여 각각, 시구간(T_v) 동안 구동전극조합(TEC_v)에 속한 모든 구동전극패드들에만 구동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터치감지회로로부터 출력값(TO_v)을 획득하는 단계; 및 (4) p개의 출력값(TO_v)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 개의 구동전극패드와 상기 감지전극패드 간의 영역에 대한 터치입력에 관한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를 실행하도록 되어 있다.
<행렬형태로 배치된 전극패드를 이용하여 상호정전용량방식으로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라, 제1층 위에 행렬구조로 배치되어 있는 복수 개의 전극패드를 이용하여 상호용량방식으로 터치입력을 감지하도록 되어 있는 터치입력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터치입력장치는, 상기 복수 개의 전극패드들 중 제1열의 짝수번째 행에 존재하는 전극패드들과 상기 제1열에 인접한 제2열의 홀수번째 행에 존재하는 전극패드들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형성한 감지전극; 상기 복수 개의 전극패드들 중 제1행의 홀수번째 열에 존재하는 전극패드들과 상기 제1행에 인접한 제2행의 짝수번째 열에 존재하는 전극패드들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형성함 구동전극; 상기 구동전극에 구동신호를 인가하도록 되어 있는 전극패드 전위제어부; 및 전하축적용 커패시터가 상기 감지전극에 연결되어 있는 터치감지회로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감지전극과 상기 구동전극이 교차하는 영역에 4개의 전극패드가 행렬형태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전극에 구동신호가 인가되었을 때에, 상기 4개의 전극패드 중 상기 감지전극에 속한 2개의 전극패드와 상기 4개의전극패드 중 상기 구동전극에 속한 2개의 전극패드 간에 상호 커패시턴스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구동전극패드와 상기 감지전극패드는 디스플레이 패널과는 별로도 제공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배치된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TFT 패널 및 IPS 패널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는, 상기 복수 개의 구동전극패드와 상기 감지전극패드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동작을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부품으로 사용되는 복수 개의 분리되어 있는 공통전극일 수 있다. 이때, 제1 시구간 동안에는, 상기 복수 개의 전극패드들은 모두 상기 전극패드 전위제어부 또는 상기 터치감지회로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시구간 이외의 시간 중 적어도 일부의 시구간 동안에는, 상기 복수 개의 전극패드들은 모두 미리 결정된 기준전위(Vref2)에 연결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상호용량방식과 자기용량방식 간을 전환하는 터치입력방법 및 이를 위한 터치입력장치>
본 발명의 일 점에 따라 제공되는 터치입력장치는, 자기용량방식 및 상호용량방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터치입력을 감지하도록 되어 있는 터치감지부; 상기 터치감지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행렬형태로 배열되어 있는 복수 개의 전극패드; 및 제1모드에서는 상기 복수 개의 전극패드에 대한 터치감지를 자기용량방식으로 수행하고, 제2모드에서는 상기 복수 개의 전극패드에 대한 터치감지를 상호용량방식으로 수행하도록, 상기 터치감지부를 제어하는 터치패드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터치감지부는, 자기용량방식으로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제1터치감지회로, 상호용량방식으로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제2터치감지회로, 및 스위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터치패드 제어부는 상기 제1모드 및 상기 제2모드에 따라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여 상기 복수 개의 전극패드를 상기 제1터치감지회로 또는 상기 제2터치감지회로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터치패드 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전극패드에 대한 터치입력이 감지되지 않고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복수 개의 전극패드에 대한 터치감지를 자기용량방식으로 수행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복수 개의 전극패드에 대한 터치입력이 감지되고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복수 개의 전극패드에 대한 터치감지를 상호용량방식으로 수행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터치패드 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전극패드에 대한 터치입력이 감지되지 않고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복수 개의 전극패드에 대한 터치감지를 상호용량방식으로 수행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복수 개의 전극패드에 대한 터치입력이 감지되고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복수 개의 전극패드에 대한 터치감지를 자기용량방식으로 수행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전극패드는 디스플레이 패널과는 별로도 제공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배치된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TFT 패널 및 IPS 패널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는, 상기 복수 개의 전극패드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동작을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부품으로 사용되는 복수 개의 분리되어 있는 공통전극일 수 있다. 이때, 제1 시구간 동안에는, 상기 복수 개의 전극패드들은 모두 상기 터치감지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시구간 이외의 시간 중 적어도 일부의 시구간 동안에는, 상기 복수 개의 전극패드들은 모두 미리 결정된 기준전위(Vref2)에 연결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라 복수 개의 전극패드를 포함하는 터치입력장치에서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이 방법은, 상기 터치입력장치가 초기화되면 제1감지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 개의 전극패드에 대한 터치입력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복수 개의 전극패드에 대하여 터치입력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되면, 제2감지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 개의 전극패드에 대한 터치입력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 개의 전극패드에 대한 터치입력이 사라졌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1감지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 개의 전극패드에 대한 터치입력여부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감지방식은 자기용량방식이고 상기 제2감지방식은 상호용량방식이거나, 또는 상기 제1감지방식은 상호용량방식이고 상기 제2감지방식은 자기용량방식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입력의 판별에 악영향을 주는 기생 커패시턴스의 영향을 없앨 수 있는 회로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자기정전용량(self capacitance) 방식의 터치입력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제시한 터치입력회로의 일 예이다.
도 1c 및 도 1d는 각각 도 1a 및 도 1b에 대응하는 회로로써, 도 1a의 저항(Rref)(12)이 정전류원(Iref)(12_1)으로 대체된 회로와, 이 때의 전압(Vx)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나타낸다.
도 1e 및 도 1f는 상호정전용량(mutual capacitance) 방식의 터치입력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제시한 터치입력회로의 일 예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정전용량(self capacitance) 방식의 터치입력회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b는 도 2a에 대응하는 회로로써, 도 2a의 저항(Rref)(12)이 정전류원(Iref)(12_1)으로 대체된 회로의 예를 나타낸다.
도 3은 '정전식 터치센서층'과 '화면출력장치'가 한 종류의 이상의 부품을 공유하면서 일체형으로 형성된 일체형 입출력장치(1)를 도식화한 것이다. 일체형 입출력장치(1)에는 터치IC(T-IC)(3)와 화면출력제어칩(DDI, Display Driver IC)(2)가 포함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왼쪽 위에 있는 4개의 VCOM 전극 부근의 구성을 더 자세히 나타낸 것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각각, 도 4에 도시한 3개의 화상픽셀(N11, N31, N33)에서의 구조를 더 자세히 나타낸 것이다.
도 6a는 도 5a 내지 도 5c에서 설명한 문제점을 개념화하여 도시한 것이고, 도 6b는 도 6a로부터 변형된 실시예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서로 다른 세 개의 실시예에 따른 기생 커패시터의 영향을 제거하기 위한 회로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일체형 입출력장치(4)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8의 (b)는 도 8의 (a)에 나타낸 일체형 입출력장치(4)의 분해 단면도를 개념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 구동신호(즉, 정전용량 터치센서의 센싱을 위한 구동신호)와 펜 구동신호(즉, 스타일러스 펜의 센싱을 위한 구동신호)의 타이밍도의 여러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 구동신호, 펜 구동신호, 및 표시부 구동신호의 타이밍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터치입력제스쳐를 인식하는 기술을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상기 주기적 전압신호(Vdp)의 파형이 DC 성분이 없는 주기적 교류파형의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의 예들을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도 12의 회로에 있어서, 기생 커패시턴스(Cp,yy)의 영향을 제거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 구조를 나타낸다.
도 14a 및 도 1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터치입력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에 동일한 전압의 신호를 인가하는 구성을 나타낸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패드들의 배열 및 이들을 이용하여 자기정전용량 방식으로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a 내지 도 16c는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복수개의 전극패드들을 이용하여 자기정전용량 방식으로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a 내지 17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타일구조로 배열된 전극패드들을 이용하여 상호정전용량 방식으로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회로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18a 및 도 1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터치감지회로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타일구조로 배열된 전극패드들을 이용하여 상호정전용량 방식으로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구조를 나타낸다.
도 20a 내지 도 20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특정 전극패드에 터치입력 이벤트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a 내지 도 21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타일구조로 배열된 전극패드들을 이용하여 상호정전용량 방식으로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구조를 나타낸다.
도 22a 및 도 2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입력장치의 터치입력방법의 전환 순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입력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실시예: 기생 커패시턴스의 영향을 감소시키는 터치입력 감지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정전용량(self capacitance) 방식의 터치입력회로를 나타낸 것이다. 노드(n1)에는, ① 터치 커패시턴스(Cx,xx), 기생 커패시턴스(Cp,yy), 및 기타 커패시턴스(Ce)(23)에 의해 형성되는 등가 커패시턴스, ② 저항(Rref)(12), ③ 연산증폭기(15)의 비반전 입력단자(+), ④ 스위치(14), 및 ⑤ 전극패드(VCOM,xx)(즉, VCOM,xx 전극)가 연결될 수 있다. 전극패드(VCOM,xx)는 투명한 또는 불투명한 도전성의 물질일 수 있다. 연상증폭기(15)의 반전 입력단자(-)에는 기준전위(Vref)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준전위(Vref)는 접지전위보다 클 수 있다. 이때, 상기 등가 커패시턴스 중 터치 커패시턴스(Cx,xx)는 전극패드(VCOM,xx) 가까이에 손가락과 같은 유전체가 근접하게 되어 그 둘 사이에 전기장이 형성됨으로써 발생하게 된다. 즉, 터치입력 여부에 따라 터치 커패시턴스(Cx,xx)의 값이 변화하게 되고, 이 값을 측정함으로써 터치입력 여부를 알 수 있다. 한편, 기생 커패시턴스(Cp,yy)는 전극패드(VCOM,xx)와 기타 다른 회로들 사이에 형성되는 원하지 않는 커패시턴스일 수 있다. 이때, 기생 커패시턴스(Cp,yy)의 값이 충분히 작거나 존재하지 않아야 터치 커패시턴스(Cx,xx)의 변화량을 쉽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경우에는 기생 커패시턴스(Cp,yy)는 시간에 따라 동적으로 변할 수도 있다. 또한, 기생 커패시턴스(Cp,yy)의 일단부인 노드(n2)는 회로의 다른 부분으로부터 유입되는 노이즈를 노드(n1)에 전달하는 부작용을 가지고 있다. 노드(n2)에는 회로의 다른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기타 커패시턴스(Ce)(23)에 더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스위치(14)의 온/오프 상태는 연산증폭기(15)의 반전 입력단자에 인가된 기준전압(Vref)과 비반전 입력단자에 인가되는 노드(n1)의 전압(Vx,xx)의 차이값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도 2b는 도 2a에 대응하는 회로로써, 도 2a의 저항(Rref)(12)이 정전류원(Iref)(12_1)으로 대체된 회로의 예를 나타낸다.
도 2a와 도 2b의 회로에는 노드(n1)와 노드(n2) 사이에 증폭기(24)가 더 배치되어 있다. 증폭기(24)는 노드(n1), 즉 전극패드(VCOM,xx)의 전압(Vx,xx)를 노드(n2)에 그대로 전달함으로써, 전압(Vx,xx)과 전압(Vy,yy)가 강제로 서로 동일하게 되도록 하는 기능을 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되도록 하는 기능을 하거나, 또는 전압(Vx,xx)과 전압(Vy,yy)의 차이를 크게 줄여주는 기능을 한다. 그 결과 기생 커패시턴스(Cp)의 양 단부 사이의 전압이 0이 되거나, 0에 가까운 값으로 된다. 그 결과 노드(n1)에서 노드(n2)로 전류가 전혀 또는 거의 흐르지 않게 되어 기생 커패시턴스(Cp)의 영향이 사라지게 된다. 그 결과 커패시턴스(Cx,xx)만이 상기 '등가 커패시턴스'를 구성하게 된다. 따라서 도 2a 또는 도 2b에 따른 회로에 의하면 커패시턴스(Cx,xx)의 변화량만을 성공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도 3은 '정전식 터치센서층'과 '화면출력장치'가 한 종류의 이상의 부품을 공유하면서 일체형으로 형성된 일체형 입출력장치(1)를 도식화한 것이다. 일체형 입출력장치(1)에는 터치IC(T-IC)(3)와 화면출력제어칩(DDI, Display Driver IC)(2)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정전식 터치센서층은 투명전극들이 단일층 또는 두 개 층에 배치되어 있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화면출력장치는 액정 디스플레이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TFT-LCD 패널일 수 있다. TFT-LCD 패널은 LCD 패널, 확산판, 도광판, 반사판, 광원, 유리기판, LC층, 블랙 매트릭스, 칼라 필터, 공통 전극(VCOM), 배향 필름(alignment film), 편광 필름, 스페이서, 복수 개의 제어라인(데이터 제어라인 및/또는 게이트 제어라인)와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기술은 이미 잘 알려져 있다. 상기 공통 전극(VCOM)은 상기 TFT-LCD 패널의 전체 영역에 걸쳐 한 개의 넓은 단일기판으로 형성되어 제공되거나, 또는 M*N 행렬로 조각나 구분되어 있을 수 있다.
화면출력제어칩(2)에는 상기 화면출력장치에 구비된 복수 개의 데이터 제어라인에 연결된 단자들(DL), 상기 화면출력장치에 구비된 복수 개의 게이트 제어라인에 연결된 단자들(CL), 그리고 상기 화면출력장치을 구성하는 부품 중 M*N 행렬형태로 분할되어 배치되어 있는 복수 개의 VCOM 전극에 연결된 단자들(VCOM[M*N])이 구비되어 있다. 도 3의 실시예에서 M=12이고 N=8이다.
터치IC(3)에는 상기 복수 개의 VCOM 전극에 연결된 단자들(VCOM[M*N])이 마찬가지로 구비되어 있다. 도 3에서 화면출력제어칩(2)에 연결된 단자들(VCOM[12*8])과 터치IC(3)에 연결된 단자들(VCOM[M*N])은 동일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VCOM 전극들에 제어권은 터치IC(3)와 화면출력제어칩(2)가 시간에 따라 나누어 가질 수 있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즉, 도 3의 일체형 입출력장치(1)에서는 '정전식 터치센서층'과 '화면출력장치'가 적어도 VCOM이라는 복수 개의 전극을 공통의 부품으로서 공유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 개의 VCOM 전극 각각은 도 2a에 도시한 VCOM,xx 전극(즉, 상술한 전극패드)에 대응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왼쪽 위에 있는 4개의 VCOM 전극 부근의 구성을 더 자세히 나타낸 것이다.
복수 개의 데이터 제어라인들(DL1, DL2, DL3, ...)은 도면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복수 개의 게이트 제어라인들(CL1, CL2, CL3, ...)은 도면에서 좌우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데이터 제어라인들(DL1, DL2, DL3, ...)과 게이트 제어라인들(CL1, CL2, CL3, ...)의 전위를 제어함으로써, 이들 제어라인들의 교차점에 존재하는 화상픽셀에서 출력되는 화상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교차점에 존재하는 화상픽셀들을 부호 Nyy로 표기하였다. 예컨대, 데이터 제어라인(DL1)과 게이트 제어라인(GL1)이 교차하는 노드에서의 화상픽셀은 N11으로 표기하였다.
여기서 상기 화상픽셀은 RGB를 묶어 한 픽셀, 즉 하나의 화소단위로 나타낸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하나의 화상픽셀에는, 'R', 'G', 'B' 각각을 위한 3개의 데이터 라인과 한 개의 게이트 라인이 제공될 수 있다. 모든 화상픽셀에는 상술한 공통 전극(VCOM)이 가깝게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기술은 이미 잘 알려져 있다.
도 4에서, 한 개의 VCOM 전극에는 두 개의 데이터 제어라인과 두 개의 게이트 제어라인이 지나가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더 많거나 적을 수도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각각, 도 4에 도시한 3개의 화상픽셀(N11, N31, N33)에서의 구조를 더 자세히 나타낸 것이다.
도 5a를 살펴보면, 데이터 제어라인(DL1)을 통해 인가되는 전기적 신호는 트랜지스터(T11)에 영향을 주게 되는데, 이때 게이트 제어라인(GL1)이 트랜지스터(T11)의 게이트 전압을 조절하게 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화면출력장치는 VCOM,xx라는 전극을 포함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데이터 제어라인(DL1), 게이트 제어라인(GL1), 트랜지스터(Tyy)(예컨대 T11), 및 VCOM,xx 전극(예컨대 VCOM,11 전극) 사이에는 각종 커패시터(61~66)(즉, 커패시턴스 성분)가 존재한다. 이러한 커패시터(61~66)들 중 일부는 의도적으로 형성한 것이며, 다른 것들은 의도하지 않게 발생한 기생 커패시터일 수 있다. 도 5a에서는 커패시터(61~66)를 총 6개로 모델링 하였으나, 이와 다른 개수로 모델링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이렇게 6개로 모델링 된 예를 전제로 설명한다.
VCOM,11 전극은, 도 2a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자기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입력을 위해 센서로서 이용되는 전극이다. 즉, VCOM,11은 도 3의 터치IC(3)와 화면출력제어칩(2)이 공통으로 이용하는 부품인데,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VCOM,11을 터치IC(3)와 화면출력제어칩(2)가 시분할하여 이용할 수 있다. VCOM,11이 아닌 다른 VCOM,xx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커패시터(61~66)에 의한 등가 커패시터를 구하는 것은 쉽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VCOM,11 전극에 직접 연결된 커패시터(64, 65, 66)를 통해 흐르는 전하의 양, 그리고 VCOM,11 전극과 터치입력도구(17) 사이에 형성되는 커패시턴스(ΔCx,11)에 의해 터치입력 센싱특성이 결정된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다. 터치IC(3) 입장에서는 커패시터(61~66) 등은 총괄적으로 기생 커패시터(C11)인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기생 커패시터(C11)은 노드(n11~n12)를 제1극으로 하고, 노드(n21~n24)를 제2극으로 하는 커패시터인 것으로 간주할 수도 있다.
도 5a에 제시한 회로모델에서, 기생 커패시터(C11)은 VCOM,11 전극, 데이터 제어라인(DL1), 및 게이트 제어라인(GL1)의 총 3개의 지점에 연결되어 있지만, 이중 게이트 제어라인(GL1)을 통해 이동하는 전하의 양이 작은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기생 커패시터(C11)의 양단자는 VCOM,11 전극과 데이터 제어라인(DL1)인 것으로 근사화할 수도 있다.
여기서 커패시턴스(ΔCx,11)는 터치입력도구(17)의 유무 또는 근접도에 따라 가변하는 것이며 기호 Δ를 이용하여 표시하였다. 또한, VCOM,11 전극과 커패시터(64, 65, 66)들 사이에서 흐르는 전하의 양도 데이터 제어라인(DL1)과 게이트 제어라인(GL1)의 가변하는 전기적 성질에 따라 함께 가변하는 것이며, 기생 커패시터(ΔCp,11)도 기호 Δ를 이용하여 표시하였다.
도 2a에 나타낸 회로와 마찬가지로, 기생 커패시터 양측의 전압을 동일하게 해주거나 또는 거의 비슷하게 해주면 기생 커패시터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기생 커패시터(C11)의 양단자인 VCOM,11 전극과 데이터 제어라인(DL1)의 전압을 거의 동일하게 하도록, VCOM,11 전극의 전압을 증폭기(24)를 이용하여 1:1로 데이터 제어라인(DL1)에 인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정전식 터치센서층과 화면출력장치의 일부 부품은 서로 공유된다고 하였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 제어라인(DL1, DL2, DL3, ...)도 공유된다고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있어서, 화면을 출력하는 시구간과 정전식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시구간은 서로 배타적으로 구분되어 있는데, 화면을 출력하는 시구간에는 데이터 제어라인(DL1, DL2, DL3, ...)에는 화상출력 데이터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지만, 정전식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시구간에는 기생 커패시터(ΔCp,11, ΔCp,12, ΔCp,13, ...)에 의한 정전식 터치입력의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데이터 제어라인(DL1, DL2, DL3, ...)에는 증폭기(24)의 출력이 인가될 수 있다.
도 5a와 도 5b를 함께 살펴보면, 도 5a에서 트랜지스터(T11)에 연결된 VCOM 전극은 VCOM,11 전극임에 비하여, 도 5b에서 트랜지스터(T31)에 연결된 VCOM 전극은 VCOM,21 전극이다. 이때, 도 5a에 설명한 바와 같이, 기생 커패시터(C31)의 양단자인 VCOM,21 전극과 데이터 제어라인(DL1)의 전압을 거의 동일하게 하도록, VCOM,21 전극의 전압을 증폭기(24)를 이용하여 1:1로 데이터 제어라인(DL1)에 인가하고자 할 수 있다. 그러나 단순히 이와 같이 구성할 수는 없다. 왜냐하면 화상픽셀(N11)과 화상픽셀(N31)은 데이터 제어라인(DL1)을 공유하는데, 화상픽셀(N11)과 화상픽셀(N31)에 연결되는 VCOM 전극은 VCOM,11 전극과 VCOM,21 전극으로 서로 다르며, VCOM,11 전극과 VCOM,21 전극의 전압은 서로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서로 다른 전압을 갖는 두 단자의 전압을 한 개의 데이터 제어라인에 동시에 인가할 수는 없다. 이를 해결하는 방법은 도 7a 내지 도 7c에서 설명한다.
다시 화상픽셀(N33)을 살펴보기 위해 도 5c를 살펴보면, VCOM 전극이 VCOM,22 전극으로 되어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화상픽셀(N33)에는 데이터 제어라인(DL3)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적어도 도 5a 및 도 5b의 데이터 제어라인(DL1) 때문에 VCOM,22 전극과 데이터 제어라인(DL3) 사이에 증폭기(24)를 연결하지 못하지는 않는다.
도 5a 내지 도 5c에서는 증폭기(24)의 출력단이 데이터 제어라인(DL)에 연결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다른 예에서는 증폭기(24)의 출력단이 게이트 제어라인(GL)에 연결될 수도 있다는 점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의 구조에서 VCOM,xx 전극에는 스위치(SW1)이 연결될 수 있다. 이 스위치(SW1)는, 후술하는 도 10의 표시부 구동신호(53)가 활성화되는 구간에서는 Vref2에 연결되고, 정전 구동신호(52)가 활성화되는 구간에서는 노드 n1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Vref2는 GND일 수 있으며, 데이터 제어라인(DL)과 게이트 제어라인(GL)에 화상제어신호가 인가되는 동안 모든 VCOM,xx 전극이 공통적으로 연결되는 기준전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노드 n1은 도 2a에 나타낸 노드 n1에 대응하는 노드일 수 있다. 즉, 노드 n1은 VCOM,xx 전극을 터치감지용 센서로 사용하는 터치감지센서에 연결되는 노드일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 제어라인(DL)과 증폭기(24) 사이에는 스위치(SW2)가 연결될 수 있다. 스위치(SW2)는 표시부 구동신호(53)가 활성화되는 구간에서는 오프상태가 되고, 정전 구동신호(52)가 활성화되는 구간에서는 온상태가 될 수 있다.
SW1 SW2
표시부 구동신호(53)가 활성화되는 구간 Vref2에 연결 OFF
정전 구동신호(52)가 활성화되는 구간 n1에 연결 ON
도 6a는 도 5a 내지 도 5c에서 설명한 문제점을 개념화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6a를 살펴보면, 한 개의 데이터 제어라인(DL1)에 서로 다른 전압을 갖는 두 개 이상의 VCOM,xx 전극들 (VCOM,11 전극, VCOM,21 전극)의 전압을 인가하고자 할 수 있다. 이때, 당연한 이야기이지만, 데이터 제어라인(DL1)에게 VCOM,11 전극의 제1전압과 VCOM,21 전극의 제2전압을 동시에 인가할 수는 없다. 어찌되었든, 한 개의 데이터 제어라인(DL1)에 어떤 전위를 임의로 인가하기 위해서는, 한 개의 데이터 제어라인(DL1)에 한 개의 증폭기(24)의 출력만이 연결되어야 한다.
이는 도 6a에 제시된 다른 데이터 제어라인(DL3)에 대하여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도 6a는 기생 커패시턴스인 ΔCp,yy를 형성하는데 있어서 게이트 제어라인보다 데이터 제어라인이 훨씬 더 많은 영향을 주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는 구조이다. 이에 비하여, 기생 커패시턴스인 ΔCp,yy를 형성하는데 있어서 데이터 제어라인보다 게이트 제어라인이 훨씬 더 많은 영향을 주는 경우에는 도 6b와 같은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서로 다른 세 개의 실시예에 따른 기생 커패시터의 영향을 제거하기 위한 회로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제어라인에 VCOM의 전압에 대응하는 전압을 인가하는 회로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7a에서, 데이터 제어라인(DL1)에는, 데이터 제어라인(DL1)에 연결될 수 있는 복수 개의 모든 VCOM,x1 전극 (VCOM,11 전극, VCOM,21 전극, VCOM,31 전극, ...) 중 어느 한 개를 임의로 또는 미리 결정된 규칙에 의해 선택하여, 상기 선택된 VCOM,x1의 전압을 데이터 제어라인(DL1)에 인가하는 구조를 이용한다. 도 7a에서는 멀티플렉서에 의해 선택하는 것으로 되어 있지만, 이와 달리 증폭기(24)의 입력단은 선택된 특정 VCOM 전극에 직접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다.
도 7a에 나타낸 것과 같이, VCOM,11 전극과 VCOM,21 전극의 시간에 따른 전위는, 본질적으로 항상 동일할 수가 없기 때문에 서로 다를 수밖에 없다.
도 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제어라인에 VCOM의 전압에 대응하는 전압을 인가하는 회로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7b에서, 데이터 제어라인(DL1)에는, 데이터 제어라인(DL1)에 연결될 수 있는 복수 개의 모든 VCOM,x1 전극 (VCOM,11 전극, VCOM,21 전극, ...)에서 나타나는 전위를 평균하여 데이터 제어라인(DL1)에 인가하는 구조를 이용한다. 이를 위하여 서로 다른 전압의 평균을 만들어내는 평균값 계산 회로를 이용할 수 있다. 평균값 계산 회로는 예컨대 한 상(phase)의 다수 개의 입력을 차동입력단으로 받아들이는 차동 증폭기의 원리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도 7b에, 엄밀하게 도시한 것은 아니지만, VCOM,11 전극과 VCOM,21 전극의 시간에 따른 전압을 평균한 파형의 예를 도시하였다.
도 7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제어라인에 VCOM의 전압에 대응하는 전압을 인가하는 회로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7c에서, 데이터 제어라인(DL1)에는, 기준파형 발생기(Reference Wave Generator)에서 미리 결정된 방식에 의해 제공되는 전압을 출력하여 데이터 제어라인(DL1)에게 인가하는 구성을 취한다. 도 7c에 기준파형 발생기의 출력의 예를 나타내었다. 이때, 기준파형 발생기의 출력은 주기적인 신호일 수 있다. 그리고 그 주기는, 예컨대 도 2a에서 스위치(14)가 열리고 닫히는 주기와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2 내지 도 6에서 설명한 데이터 제어라인(DL), 게이트 제어라인(GL), 및 VCOM,xx은, 도 10에 도시한 표시부 구동신호(53)가 활성화되는 구간에서는 화면출력제어칩(2)의 기능을 위해 사용될 수 있고, 도 10에 도시한 정전 구동신호(52)가 활성화되는 구간에서는 터치IC(T-IC)(3)의 기능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일 실시예에서는, 도 5a의 커패시터(64, 65, 66) 중 인위적으로 만든 커패시터가 있다면 그 커패시터와 VCOM,xx 사이의 경로에는 도 5a, 도 5b, 및 도 5c에 도시하지 않은 스위치가 제공될 수도 있다. 그리고 데이터제어라인(DL1)와 증폭기(24)의 출력단 사이의 경로에도 스위치(SW2)가 제공될 수도 있다.
도 8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일체형 입출력장치(4)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8의 (b)는 도 8의 (a)에 나타낸 일체형 입출력장치(4)의 분해 단면도를 개념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이하, 도 8의 (a) 및 (b)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일체형 입출력장치(4)는 정전식 터치센서층(100), 화면출력장치(200), 및 터치펜 센서층(300)이 결합된 장치일 수 있다.
화면출력장치(200)에는 표시를 위한 소재와 함께 표시신호를 처리하는 화면출력제어칩(D-IC)(121), 포함되거나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화면출력제어칩(121)은 DDI(Display Driver IC; 디스플레이 구동 IC)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DDI는 표시화면에 구비된 각 화소 중 삼원색인 RGB를 표시하는 부화소에 붙어있는 트랜지스터를 조정하는 기능을 할 수 있으며, 게이트 IC 및 소스 IC로 구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DDI는 T-CON(Timing Controller)과 연결되어 함께 사용됨으로써 표시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정전식 터치센서층(100)에는 정전식 터치입력 검출을 위한 소재와 함께 정전식 터치입력 검출을 위한 신호를 처리하는 터치IC(T-IC)(111)이 포함되거나 연결되어 있을 수 있고, 터치펜 센서층(300)에는 펜 터치입력 검출을 위한 소재와 함께 펜 터치입력 검출을 위한 신호를 처리하는 펜 센서칩(131)이 포함되거나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이 세 가지 장치가 쌓인 순서가 특정 순서로 결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일 실시예에서는 터치펜 센서층(300)이 가장 아래층에 배치되고, 화면출력장치(200)이 중간층에 배치되고, 그리고 정전식 터치센서층(100)이 가장 위층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도 3 내지 도 7에서 예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화면출력장치(200)과 정전식 터치센서층(100)이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일부 부품(ex: VCOM 전극)을 공유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정전식 터치센서층(100), 화면출력장치(200), 및 터치펜 센서층(300) 중 임의의 2개 이상의 장치가 서로 부품을 공유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부품이 공유되는 경우 ‘일체형’ 또는 ‘하이브리드’라는 이름으로 불릴 수 있다.
화면출력장치(200)은 예컨대 LCD, PDP, AMOLED, 및 OLED와 같은 장치를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다. 정전식 터치센서층(100) 또는 터치펜 센서층(300)이 화면출력장치(200)을 덮고 있는 경우에는 화면출력장치(200)의 출력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화면출력장치(200)을 덮고 있는 터치패널이 사람의 눈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투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정전식 터치센서층(100) 및 터치펜 센서층(300)은 화면출력장치(200)의 발광영역을 덮도록 제공될 수 있다. 사람이 화면출력장치(200) 상의 특정 좌표를 목표로 입력 제스처를 취하는 경우, 터치패널들은 이 입력 제스처가 이루어진 좌표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어야 한다.
일 실시예에서 화면출력장치(200)의 표시해상도를 R1이라하고, 터치펜 센서층(300)의 사용자 입력 해상도를 R2라 하고, 그리고 정전식 터치센서층(100)의 사용자 입력 해상도를 R3라고 하면, 예컨대 R1 > R2 > R3의 관계가 성립할 수 있다. R2와 R3가 R1에 근접하는 경우 더 향상된 사용자 입력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도 9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 구동신호(즉, 정전용량 터치센서의 센싱을 위한 구동신호)와 펜 구동신호(즉, 스타일러스 펜의 센싱을 위한 구동신호)의 타이밍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정전 구동신호(52)는 시간 축 상에서 단속적(즉, 중간 중간 끊긴다는 의미임)으로 일정 주기(T)로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정전 구동신호(52)는 미리 결정된 제2지속구간(T2)만큼 지속될 수 있다. 각각의 제2지속구간(T21, T22)에서의 정전 구동신호(52)의 패턴은 서로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를 수도 있다. 이때, 펜 구동신호(51)는 정전 구동신호(52)와 그 발생 시구간이 겹치지 않도록 발생할 수 있다. 도 9에서는 정전 구동신호(52)가 발생하는 제2지속구간(T2)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시간인 제1지속구간(T1, T11, T12)에서 펜 구동신호(51)가 발생하는 것으로 예시하였다.
상술한 정전 구동신호는 정전용량 터치센서의 센싱이 이루어지도록 허용함을 의미하는 내부 신호일 수 있고, 상술한 펜 구동신호는 스타일러스 펜의 센싱이 이루어지도록 허용함을 의미하는 내부 신호일 수 있다.
도 9의 (b)는 도 9의 (a)로부터 변형된 타이밍도를 나타낸다. 도 9의 (b)에서는 정전 구동신호(52)의 발생구간인 제2지속구간(52)들 사이에 펜 구동신호(51)가 발생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도 9의 (c)는 도 9의 (a)로부터 변형된 또 다른 타이밍도를 나타낸다. 펜 구동신호(51)의 제1지속구간(T3)들과 정전 구동신호(52)의 제2지속구간(T2) 사이에는 시간적 갭(gap)이 존재할 수 있다.
도 9에서는 3가지 예를 들었지만, 펜 구동신호(51)와 정전 구동신호(52)의 발생구간이 시간축 상에서 서로 겹치지만 않게 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의 변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0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 구동신호, 펜 구동신호, 및 표시부 구동신호의 타이밍도이다. 도 10의 (a) 및 (b)의 정전 구동신호와 펜 구동신호는 도 9의 (c)에 나타낸 것과 동일한 예를 들었다. 그리고 여기서 표시부 구동신호는 예컨대 상술한 DDI의 구동신호, 즉 DDI 구동신호일 수 있다.
도 10의 (a)의 타이밍도는 화면출력장치(200)과 정전식 터치센서층(100)이 서로 다른 층에 별개로 제공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특히, 도 10의 (a)의 타이밍도는 화면출력장치(200)과 정전식 터치센서층(100)이 일체화되어 제공되는 경우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화면출력장치(200)과 정전식 터치센서층(100)이 일체화된 경우에는 이 두 장치가 서로 공유하는 부품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때 이 부품의 입출력 특성이나 전기적 상태에 대한 제어권을 이 두 장치가 미리 약속된 서로 다른 시간에 시분할하여 가지고 있을 수 있다. 그 결과, 도 10의 (a)와 같이 표시부 구동신호(53)의 발생구간인 제4지속구간(T4)는 정전 구동신호(52)의 발생구간인 제2지속구간(T2)과 겹치지 않을 수 있다.
도 10의 (b)는 도 10의 (a)의 변형예이다. 도 10의 (a)에서는 펜 구동신호(51)의 발생구간인 제3지속구간(T3)이 표시부 구동신호(53)의 발생구간인 제4지속구간(T4)에 포함된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도 10의 (b)에서는 펜 구동신호(51)의 발생구간인 제3지속구간(T3)과 표시부 구동신호(53)의 발생구간인 제5지속구간(T5)의 일부만 서로 겹치는 것으로 예시하였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펜 구동신호(51)의 발생구간과 표시부 구동신호(53)의 발생구간은 서로 겹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10에 예시된 타이밍도들은, 정전 구동신호(52)의 지속구간이 펜 구동신호(51)의 지속구간과 겹치지 않는다는 제1조건과, 정전 구동신호(52)의 지속구간이 표시부 구동신호(53)의 지속구간과 겹치지 않는다는 제2조건을 동시에 만족한다면, 얼마든지 변형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터치입력제스쳐를 인식하는 기술을 나타낸 것이다.
도 11에 제시한 터치입력감지회로(10)는 연산증폭기(215), 그리고 연산증폭기(215)의 반전 입력단자와 출력단자 사이에 연결된 적분 커패시터(Cf)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연산증폭기(210)의 비반전 입력단자에는 전압신호(Vdp)가 입력될 수 있다. 그리고 편의상 터치입력감지회로(10)의 입력단자(211)을 정의할 수 있는데 입력단자(211)은 연산증폭기(215)의 반전 입력단자와 동일한 단자일 수 있다.
상기 전압신호(Vdp)는 주기성을 갖는 신호일 수 있다. 나아가 DC 성분이 0인 주시 신호, 즉 교류 주기 신호일 수도 있다. 또는 전압신호(Vdp)는 주기신호가 아니지만 주파수 fc의 성분을 포함하는 신호일 수도 있다.
도 11에서 노드(Vx,xx)를 통해 흐르는 전류의 크기는 전극패드(VCOM,xx)와 손가락(17) 사이에 형성되는 커패시턴스(Cx,xx)와 기생 커패시턴스(Cp,yy)가 결합된 등가 커패시턴스의 크기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 등가 커패시턴스를 Cxe라고 이름 붙일 수 있다.
터치입력감지회로(10)의 입력단자(211)는 도 4에 도시한 VCOM,xx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2는 상기 주기적 전압신호(Vdp)의 파형이 DC 성분이 없는 주기적 교류파형의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의 (a)는 교류 정현파, (b)는 교류 삼각파, (c)는 교류 구형파를 나타낸 것이다. 각 경우에 있어서 도 11의 연산증폭기(215)의 출력전압(Vo)은 교류 정현파, 교류 삼각파, 및 교류 구형파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태의 파형을 출력하게 된다. 출력전압(Vo)에는 상기 중심 주파수 fc와 다른 주파수 성분을 가지고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다른 주파수 성분은 (1) 전압신호(Vdp)에 내재되어 있던 주파수 성분이었거나, (2) 비선형 전달함수에 따라 전압신호(Vdp)로부터 왜곡되어 발생한 주파수 성분일 수도 있고, 또는 (3) 외부로 부터 유입된 노이즈에 의해 제공되는 주파수 성분일 수도 있다.
이때, 출력전압(Vo)의 진폭은 상술한 등가 커패시턴스 Cxe의 크기에 비례하고, 적분 커패시터(Cf)의 크기에 반비례하는 경향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이때 적분 커패시터(Cf)의 크기를 미리 알고 있기 때문에, 출력전압(Vo)의 진폭을 측정함으로써 등가 커패시턴스 Cxe의 크기를 산출해낼 수 있다. 그리고 이때, 기생 커패시턴스(Cp,yy)의 값을 미리 알아내어 그 영향을 배제할 수 있다면, 또는 기생 커패시턴스(Cp,yy)의로 인한 영향을 배제할 수 있다면, 전극패드(VCOM,xx)와 손가락(17) 사이에 형성되는 커패시턴스(Cx,xx)의 값도 알아낼 수가 있다.
상기 주기적 전압신호(Vdp)의 파형이 DC 성분이 없는 주기적 교류파형의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출력전압(Vo)의 진폭을 직접 측정할 수도 있지만, 상기 출력전압(Vo)에 특정 정현파를 믹싱하여 출력된 전압을 측정할 수도 있다. 이렇게 되면, 출력전압(Vo)의 성분 중 상기 정현파와 동일한 주파수 성분만이 추출될 수 있다. 상기 정현파로서 상기 전압신호(Vdp)의 중심주파수(fc)와 동일한 신호(sin(2πfc))를 이용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중심주파수(fc) 이외의 주파수 성분의 노이즈들은 제거될 수 있다.
도 13은 도 12의 회로에 있어서, 기생 커패시턴스(Cp,yy)의 영향을 제거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 구조를 나타낸다.
연산증폭기(215)의 반전 입력단자(-)의 전압은 비반전 입력단자(-)의 전압과 동일한 것으로 간주된다. 따라서 반전 입력단자(-)와 동일 노드(n1)에 연결되어 있는 기생 커패시턴스(Cp,yy)의 일측 노드(n1)의 전압은 전압신호(Vdp)와 동일하다.
이때, 기생 커패시턴스(Cp,yy)의 타측 노드(n2)에 전압신호(Vdp)를 인가하게 되면, 기생 커패시턴스(Cp,yy) 양단의 전위차가 0으로 되기 때문에, 기생 커패시턴스(Cp,yy)를 통해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며, 따라서 기생 커패시턴스(Cp,yy)가 존재하지 않는 것처럼 작동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 따라서는 기생 커패시턴스(Cp,yy)의 상기 타측 노드(n2)가 전자장치의 특정 노드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는데, 적어도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시구간에서는 상기 타측 노드(n2)에 전압신호(Vdp)가 제공될 수 있도록 스위치(SW3)를 설치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터치입력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에 동일한 전압의 신호를 인가하는 구성을 나타낸다.
복수 개의 서로 다른 전극패드( VCOM,11 / VCOM,12 / VCOM,21 / VCOM,22 )에는 모두 VCOM 제어부(220)이 연결될 수 있다.
VCOM 제어부(220)의 자세한 구성은 도 14b에 제시되어 있다. VCOM 제어부(220)의 인터페이스 단자(221)에는, 스위치(SW5)에 의해 도 11의 터치입력감지회로(10)와 동일한 회로 또는 이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회로가 연결될 수 있다. 또는 VCOM 제어부(220)의 인터페이스 단자(221)는, 스위치(SW5)에 의해 기준전위(Vref2)에 연결될 수도 있다. 여기서 이 기준전위는 데이터 제어라인(DL)과 게이트 제어라인(GL)에 화상제어신호가 인가되는 동안 모든 VCOM,xx 전극이 공통적으로 연결되는 기준전위일 수 있다.
이때, 각각의 터치입력감지회로(10)는 각 전극패드( VCOM,11 / VCOM,12 / VCOM,21 / VCOM,22 )에서의 터치입력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스위치(SW5)의 동작 타이밍은 각각의 VCOM 제어부(220)마다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VCOM,11 전극에 연결된 VCOM 제어부(220)의 인터페이스 단자(221)은 기준전위(Vref2)에 연결되어 있는 동안, VCOM,12 전극에 연결된 VCOM 제어부(220)의 인터페이스 단자(221)은 터치입력감지회로(10)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VCOM,11 전극에서의 터치입력 검출은 이루어지지 않지만, VCOM,12 전극에서의 터치입력 검출은 수행될 수 있다.
이때, 각 전극패드와, 상기 각 전극패드에 인접한 게이트 제어라인(GL1, GL2, ...)과 데이터 제어라인(DL1, DL2, ...)과의 사이에 기생 커패시턴스(Cp,yy)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3에서 설명한 원리에 따라, 게이트 제어라인(GL1, GL2, ...)과 데이터 제어라인(DL1, DL2, ...)에 '전압신호(Vdp)'를 인가할 수 있다. 전압신호(Vdp)는 터치입력감지회로(10)의 연산증폭기(215)의 비반전 입력단자(+)에 제공되는 신호와 동일한 신호일 수 있다.
한편, 게이트 제어라인(GL1, GL2, ...)과 데이터 제어라인(DL1, DL2, ...)에는 각 화상픽셀(N11, N12, ...., N21, N22, ... )을 제어하기 위한 '화상제어신호'도 제공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전압신호(Vdp)'는 제1 시구간에서 인가되고 '화상제어신호'는 상기 제1 시구간과 겹치지 않는 제2 시구간에서 인가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스위치(SW4)을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스위치(SW4)는, 도 10에 나타낸 표시부 구동신호(53)가 활성화되는 구간(T4, T5)에서는 게이트 제어라인(GL1, GL2, ...)과 데이터 제어라인(DL1, DL2, ...)에 연결될 수 있고, 정전 구동신호(52)가 활성화되는 구간(T2)에서는 전압신호(Vdp) 출력단자에 연결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를 도 11 내지 도 14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전자장치는, 사용자 입력도구(17)와의 사이에서 터치입력 커패시턴스(Cx,xx)를 발생시키도록 배치된 터치전극패드(VCOM,xx)에 터치구동전압(Vdp)을 인가하도록 되어있는 터치구동신호 발생부에 의해 상기 터치구동전압을 상기 터치전극패드에 인가하도록 되어있는 전자장치이다. 여기서 상기 '터치구동신호 발생부'는 예컨대 도 13에 도시한 연산증폭기(215), 적분 커패시터(Cf), 전압신호(Vdp) 발생부가 서로 연결되어 있는 장치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다른 구성의 터치입력 회로에 대응할 수 있다.
이때, 이 전자장치는, 상기 전자장치 내에 형성되며, 상기 터치입력 커패시턴스와는 구별되는 제2 커패시터(Cp,yy)의 제1극(n2, GL, DL)에 상기 터치구동전압(Vdp)에 대응하는 전압(Vdp)을 인가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2 커패시터(Cp,yy)의 제2극(n1)은 상기 터치전극패드(VCOM,xx)에 직접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나타낸 M*N개의 전극패드들에는 각각 서로 독립적인 배선이 인출되어 있을 수 있다. 즉, M*N개의 전극패드와, 이들로부터 각각 인출된 M*N개의 배선들이 존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의 참조번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입력 감지장치는, 터치입력 감지전극(VCOM,xx); 상기 터치입력 감지전극의 일 지점(n1)에 연결되어 있으며, 터치입력에 따라 상기 터치입력 감지전극에 의해 형성되는 터치 커패시턴스(Cx,xx)의 변화를 측정하도록 되어 있는 터치감지부(10); 상기 터치입력 감지장치에 포함된 제2 노드(n2)로서, 상기 일 지점(n1)과의 사이에 커패시턴스(Cp,yy)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2 노드(n2); 및 상기 일 지점(n1)과 상기 제2 노드(n2) 간의 전위차를 감소시키도록, 상기 일 지점의 전위(Vx,xx)를 추종하는 전위값을 상기 제2 노드에 제공하는 전위제어부(Vdp or 24);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터치입력 감지전극은, 화상픽셀(ex: N11), 상기 화상픽셀의 광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전달하는 제어라인(ex: DL1 또는 GL1), 및 상기 화상픽셀의 공통전극(VCOM,11)을 포함하는 화면출력장치의 상기 공통전극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노드는, 화상픽셀, 상기 화상픽셀의 광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전달하는 제어라인, 및 상기 화상픽셀의 공통전극을 포함하는 화면출력장치의 상기 제어라인(ex: DL1 또는 GL1)에 존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화면출력장치는 TFT-LCD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터치입력 감지전극은, 복수 개의 화상픽셀, 상기 복수 개의 화상픽셀의 광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 개의 제어라인, 및 상기 복수 개의 화상픽셀을 위해 분할되어 제공되는 복수 개의 공통전극(ex: VCOM,11, VCOM,21, VCOM,31, ...)을 포함하는 화면출력장치의, 상기 복수 개의 공통전극 중 제1 공통전극(ex: VCOM,11)이며, 상기 추종하는 전위값은, 상기 복수 개의 공통전극 중 미리 결정된 방식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하나의 공통전극(ex: VCOM,11 또는 VCOM,21)의 전위값일 수 있다.
또는, 상기 터치입력 감지전극은, 복수 개의 화상픽셀, 상기 복수 개의 화상픽셀의 광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 개의 제어라인, 및 상기 복수 개의 화상픽셀을 위해 분할되어 제공되는 복수 개의 공통전극(ex: VCOM,11, VCOM,21, VCOM,31, ...)을 포함하는 화면출력장치의, 상기 복수 개의 공통전극 중 제1 공통전극(ex: VCOM,11)이며, 상기 추종하는 전위값은, 상기 복수 개의 공통전극(ex: VCOM,11, VCOM,21, VCOM,31, ...)의 전위값의 평균값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터치입력 감지전극은, 화상픽셀, 상기 화상픽셀의 광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전달하는 제어라인, 및 상기 화상픽셀의 공통전극을 포함하는 화면출력장치의 상기 공통전극이며, 상기 추종하는 전위값의 주기는, 상기 공통전극의 주기와 동일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터치감지부는 연산증폭기(215)를 포함하며, 상기 연산증폭기의 제1 입력단자(+) 및 상기 제2 노드에는 제1 주파수(fc) 성분을 갖는 신호(Vdp)가 인가되고, 상기 연산증폭기의 제2 입력단자(-_에는 상기 터치입력 감지전극이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터치입력 감지장치 및 화면출력장치를 포함하는 사용자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터치입력 감지장치는, 1) 터치입력 감지전극; 2) 상기 터치입력 감지전극의 일 지점에 연결되어 있으며, 터치입력에 따라 상기 터치입력 감지전극에 의해 형성되는 터치 커패시턴스의 변화를 측정하도록 되어 있는 터치감지부; 3) 상기 터치입력 감지장치에 포함된 제2 노드로서, 상기 일 지점과의 사이에 커패시턴스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2 노드; 및 4) 상기 일 지점과 상기 제2 노드 간의 전위차를 감소시키도록, 상기 일 지점의 전위를 추종하는 전위값을 상기 제2 노드에 제공하는 전위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화면출력장치는, 5) 화상픽셀; 6) 상기 화상픽셀의 광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전달하는 제어라인; 및 7) 상기 화상픽셀의 공통전극;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공통전극이 상기 터치입력 감지전극이다.
<실시예: 복수 개의 전극패드를 이용한 자기정전용량방식의 터치입력 감지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패드들의 배열 및 이들을 이용하여 자기정전용량 방식으로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에는 전극패드들이 12개의 칼럼(column)(C1~C12)과 20개의 로우(row)(R1~R20)로 배치되어 있다. 즉, 총 240(=20*12)개의 전극패드들이 타일형태 또는 행렬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도 15에 나타낸 240개의 전극패드들은 각각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낸 전극패드(VCOM,xx) 대응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5에 나타낸 전극패드들은 상술한 TFT-LCD 패널에 포함되어 있는 공통전극(VCOM)일 수 있다. 다만, 일부 실시예에 따른 TFT-LCD 패널에서는 공통전극(VCOM)이 넓게 한 장으로 제공되지만, 본 발명의 도 15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240개의 공통전극 조각으로 분해되어 제공된다. 예컨대,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한 VCOM,xx, 그리고 도 4에 도시한 VCOM,11, VCOM,12, VCOM,21, VCOM,22 들이 상기 240개의 공통전극 조각의 일부일 수 있다. 도 15에 도시한 상기 240개의 공통전극은 동시에 기준전위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5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도 15에 나타낸 240개의 전극패드 모두에, 각각 도 2a 또는 도 2b에 나타낸 참조번호 12, 15, 14, 및 24에 의해 지시되는 구성요소들이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240개의 전극패드들 모두에 대하여 동시에 터치입력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변형된 실시예에서는, 도 15에 나타낸 240개의 전극패드를 복수 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각 그룹별로 터치입력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5에서 참조번호 31, 32, 33, 34에 대응하는 터치패드들은 각각 제1 그룹, 제2 그룹, 제3 그룹, 및 제4 그룹에 배정된 것일 수 있다. 즉, 도 15에서 240개의 전극패드들은 4개의 그룹 중 어느 하나에 속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는 4개의 그룹으로 나누었지만 그룹의 총 개수는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도 15의 예에서는 제1 그룹에 속한 전극패드 주변에는 다른 그룹에 속한 전극패드만이 배열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1 그룹(31)에 속한 전극패드들 근처에서의 터치입력 여부를 먼저 검출하고, 그 다음 제2 그룹(32), 제3 그룹(33), 그리고 제4 그룹(34)의 순서로 터치입력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멀티플렉서(35)가 사용될 수 있으며, 멀티플렉서는 제1 그룹, 제2 그룹, 제3 그룹, 제4 그룹에 속한 총 4개의 터치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물론, 멀티플렉서(35)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도 15의 경우 각 그룹별로 총 60개의 전극패드가 존재하므로, 멀티플렉서(35)가 총 60개가 필요할 수 있다.
그리고 멀티플렉서(35)의 출력단자에는 도 2a 또는 도 2b에 도시한 참조번호 12, 14, 15, 24에 의해 지시되는 구성요소들이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즉, 멀티플렉서(35)의 출력단자는 도 2a 또는 도 2b에 나타낸 노드(n1)과 동일한 노드일 수 있다.
이러한 멀티플렉서(35)와 그 출력단자에 붙은 회로들은 영역(36)에 모여서 배치될 수도 있다. 다르게는 서로 인접한 네 개의 패드로 구성되는 영역(ex: 37)에 각각 한 개의 멀티플렉서(35)가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5를 이용하여 설명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그룹에 속한 전극패드에서의 터치여부를 검출함으로써, 터치위치를 대략적으로 알아낼 수 있다. 그리고 제2 그룹, 제3 그룹, 및 제4 그룹에 속한 전극패드 중, 상기 대략적으로 알아낸 터치위치의 근처에 존재하는 전극패드에 대한 터치여부를 검출함으로써 상기 대략적으로 알아낸 터치위치를 더 정확하게 정교화하여 알아낼 수 있다는 점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방법의 제1 단계에서는, 제1, 2, 3, 4 그룹 중 어느 하나의 그룹에 대하여만 터치입력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그룹에 대해서만 터치입력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이때, 제1 그룹에 대해서만 터치입력 여부를 검출한 결과, 만일 영역(38)에 걸쳐 터치입력이 이루어졌다면, [R3, C1], [R3, C3]에 대응하는 전극패드(31)들에서 터치입력 여부가 검출되었을 것이다.
제2 단계에서는, 제1 단계에서 터치입력이 이루어졌다고 판단된 전극패들들의 주변에 인접하여 있는 전극패드들에 대하여 터치입력 여부를 판단한다. 예컨대, 위에서 [C1, R3], [C3, R3]에 대응하는 전극패드(31)들 주변에 존재하는 제2, 3, 4 그룹에 속한 전극패드들에 대하여 터치입력 여부를 추가로 검출할 수 있다. 즉, [R2, C1], [R2, C2], [R2, C3], [R2, C4], [R3, C2], [R3, C4], [R4, C1], [R4, C2], [R4, C3], [R4, C4]에 대응하는 전극패드(32, 33, 34)에 대하여 터치입력 여부를 검출하여 검출 결과를 정교화할 수 있다.
<실시예: 복수 개의 전극패드를 이용한 자기정전용량방식의 터치입력 감지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도 16a 내지 도 16c는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복수개의 전극패드들을 이용하여 자기정전용량 방식으로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a에서 전극패드들의 배열 및 구성은 도 15와 동일할 수 있다.
다만, 상하좌우로 인접해 있는 제1, 2, 3, 4 그룹에 속한 4개의 전극패드들 사이에는 물리적인 스위치가 제공됨으로써, 서로 연결될 수도 있고, 서로 모두 분리될 수도 있다. 도 16a에서 참조번호 60은 상하좌우로 인접해 있는 제1, 2, 3, 4 그룹에 속한 4개의 전극패들들을 '노드세트'로 그룹화한 것을 나타낸다. 이하 참조번호 60이 가리키는 것을 노드세트(60)라고 지칭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제1 단계에서는 우선, 하나의 노드세트 내에서 서로 상하좌우로 인접해 있는 상기 제1, 2, 3, 4 그룹에 속한 4개의 전극패드들이 상기 스위치들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러면, 도 16에서는 총 6*10=60개의 노드세트들이 형성된다. 그러면 60개의 노드세트에 대하여 각각 터치입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왜냐하면, 한 개의 노드세트(60) 내에 포함되어 있는 4개의 전극패드(31, 32, 33, 34)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한 개의 전극패드로서 간주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면 대략적인 터치입력 위치를 얻을 수 있다. 예컨대 도 16a에서 별표로 표시된 부분에 터치가 입력되었을 때에, 대략 노드세트(NS5)에서 터치가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게 된다.
그 후 제2 단계에서는, 터치입력이 존재한다고 판단된 노드세트(NS5)에 대하여, 상기 노드세트(NS5) 내에 존재하는 개별 전극패드(31~34)들에 대하여 각각 터치입력 여부를 판단하여 터치입력 위치를 정교화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노드세트(NS5)에 인접한 다른 노드세트(NS1~NS4, NS6~NS9)들 내에 존재하는 개별 전극패드(31~34)들에 대하여 각각 터치입력 여부를 판단하여 터치입력 위치를 정교화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적어도 노드세트(NS1~NS9) 내에 존재하는 4개의 전극패드들 간의 전기적 연결은 해제될 수 있다.
<실시예: 복수 개의 전극패드를 이용한 상호정전용량방식의 터치입력 감지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도 17a 내지 17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타일구조로 배열된 전극패드들을 이용하여 상호정전용량 방식으로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구조를 나타낸다. 상호정전용량 방식으로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방법의 원리는 이미 도 1e 및 도 1f에서 설명하였다.
도 17a의 전극패드는 도 15과 동일하게 배열되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20*12행렬구조로 배열되어 있다. 다만, 도 17a에서는 일부 전극패드(101~104)는 구동전극패드로서 사용하고 다른 전극패드(105)들은 감지전극패드로서 사용함으로써, 상호정전용량 방식으로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구조이다. 다르게는 일부 전극패드(101~104)는 감지전극패드로서 사용하고 다른 전극패드(105)들은 구동전극패드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7a에서 전극패드는 총 5개의 그룹으로 나뉘는데, 제1 전극패드(101), 제2 전극패드(102), 제3 전극패드(103), 제4 전극패드(104), 및 제5 전극패드(105)로 구분될 수 있다. 각각의 전극패드(101~104) 주변에는 각각 8개의 제5 전극패드(105)가 배치되어 있다. 단, 가장자리 영역에서는 각각의 전극패드(101~104) 주변에는 각각 3개 또는 5개의 전극패드(105)가 배치되어 있다
한 개의 제1 전극패드(101)와 이를 둘러싼 8개의 제5 전극패드(105)들을 합하여 한 개의 제1 영역(107)을 정의할 수 있다. 도 17a에는 복수 개의 제1 영역(107)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제1 영역(107) 내에 포함된 상기 제1 전극패드(101)를 구동신호에 의해 구동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1 전극패드(101)와 상기 8개의 제5 전극패드(105) 사이에는 프린징 커패시턴스가 형성될 수 있고, 이를 총 8개의 프린징 커패시턴스 영역(106)으로 구분하여 개념화할 수 있다. 이때, 상기 8개의 제5 전극패드(105)에는, 예컨대 도 1f에 도시한 터치입력 감지회로가 각각 구비되어 있어서 서로 독립적으로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구성을 취하게 되면, 매우 높은 해상도의 터치입력 감지를 수행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회로의 구조를 도 17e에 나타내었다.
변형된 실시예에서는, 제1 영역(107) 내에 포함된 상기 8개의 제5 전극패드(105) 중 한 개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구동신호에 의해 구동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1 전극패드(101)와 상기 선택된 제5 전극패드(105) 사이에는 프린징 커패시턴스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전극패드(101)에는, 예컨대 도 1f에 도시한 터치입력 감지회로가 제공되어 터치입력 감지를 수행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회로의 구조를 도 17f에 나타내었다.
이는 도 17b, 도 17c, 도 17d에도 마찬가지로 나타내었다. 한 개의 제2 전극패드(102)와 이를 둘러싼 8개의 제5 전극패드(105)들을 합하여 한 개의 제2 영역(108)을 정의할 수 있다. 한 개의 제3 전극패드(103)와 이를 둘러싼 8개의 제5 전극패드(105)들을 합하여 한 개의 제3 영역(109)을 정의할 수 있다. 한 개의 제4 전극패드(104)와 이를 둘러싼 8개의 제5 전극패드(105)들을 합하여 한 개의 제4 영역(110)을 정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크게 총 4단계를 거쳐 터치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제1 단계에서, 도 17a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전극패드(101)들을 구동하여 이들을 둘러싼 제5 전극패드(105)로부터 터치입력 여부를 알아낸다. 이때, 터치입력 여부를 검출하는 적분회로의 전하축적소자(ex: 도 17e의 Cfb)는 상기 제1 전극패드(101)가 아니라 상기 제5 전극패드(105)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단계에서, 도 1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전극패드(102)들을 구동하여 이들을 둘러싼 제5 전극패드(105)로부터 터치입력 여부를 알아낸다.
제3 단계에서, 도 17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전극패드(103)들을 구동하여 이들을 둘러싼 제5 전극패드(105)로부터 터치입력 여부를 알아낸다.
제4 단계에서, 도 17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4 전극패드(104)들을 구동하여 이들을 둘러싼 제5 전극패드(105)로부터 터치입력 여부를 알아낸다.
위의 4개의 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하면 터치입력의 위치의 검출 해상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크게 총 4단계를 거쳐 터치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제1 단계에서, 도 17a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전극패드(101)의 주변에 존재하는 제5 전극패드(105)들을 순차적으로 구동하고, 상기 제1 전극패드(101)로부터 터치입력 여부를 알아낸다. 이때, 터치입력 여부를 검출하는 적분회로의 전하축적소자(ex: 도 17f의 Cfb)는 상기 제5 전극패드(105)가 아니라 상기 제1 전극패드(101)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단계에서, 제2 전극패드(102)의 주변에 존재하는 제5 전극패드(105)들을 순차적으로 구동하고, 상기 제2 전극패드(102)로부터 터치입력 여부를 알아낸다.
제3 단계에서, 제3 전극패드(103)의 주변에 존재하는 제5 전극패드(105)들을 순차적으로 구동하고, 상기 제3 전극패드(103)로부터 터치입력 여부를 알아낸다.
제4 단계에서, 제4 전극패드(104)의 주변에 존재하는 제5 전극패드(105)들을 순차적으로 구동하고, 상기 제4 전극패드(104)로부터 터치입력 여부를 알아낸다.
위의 4개의 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하면 터치입력의 위치의 검출 해상도를 높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입력 감지장치를 도 17a, 도 17b, 및 도 18a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8a 및 도 1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터치감지회로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을 따라 행렬 형태로 배치되어 있는 복수 개(ex: 20*12=240개)의 전극패드들(101~105)을 포함하는 터치입력 감지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터치입력 감지장치는,
제1 전극패드(101)(ex: [R2, C2]);
제2 전극패드(102)(ex: [R2, C4]);
상기 제1 전극패드(101)에 인접하여 상기 제1 전극패드(101)를 둘러싼 제1 그룹의 제5 전극패드들(105)(ex: [R1, C1], [R1, C2], [R1, C3], [R2, C1], [R2, C3], [R3, C1], [R3, C2], [R3, C3]);
상기 제2 전극패드(102)에 인접하여 상기 제2 전극패드(102)를 둘러싼 제2 그룹의 제5 전극패드들(105)(ex: [R1, C3], [R1, C4], [R1, C5], [R2, C3], [R2, C5], [R3, C3], [R3, C4], [R3, C5]);
상기 제1 그룹의 제5 전극패드들(105)에 연결되어 있는 제1 그룹의 적분기(15-1 및 Cfb1)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전극패드(101)와 상기 제1 그룹의 제5 전극패드들(105) 사이에 형성되는 커패시턴스의 값을 측정하도록 되어 있는 제1 그룹의 터치입력 감지회로;
상기 제2 그룹의 제5 전극패드들(105)에 연결되어 있는 제2 그룹의 적분기(15-2 및 Cfb2)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전극패드(102)와 상기 제2 그룹의 제5 전극패드들(105) 사이에 형성되는 커패시턴스의 값을 측정하도록 되어 있는 제2 그룹의 터치입력 감지회로; 및
상기 제1 전극패드(101)와 상기 제2 전극패드(102) 중 어느 하나의 전극패드에 기준전위와 다른 제1 전위를 인가하는 동안 다른 하나의 전극패드에는 기준전위를 인가하도록 되어있는 전극패드 전위제어부(400);
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적분기'는 전하를 누적하여 집적하는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회로를 지칭할 수 있다.
그리고 전극패드 전위제어부(400)로부터 출력되는 전압(Vs1(t))가 기준전위와 다른 값을 가질 때에 전압(Vs2(t))은 기준전위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제1 그룹의 제5 전극패드들에 속해 있는 적어도 한 개의 제5 전극패드(ex: [R2. C3])는, 제2 그룹의 제5 전극패드에도 속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전극패드, 상기 제2 전극패드, 상기 제1 그룹의 제5 전극패드들, 및 상기 제2 그룹의 제5 전극패드들은, 화상픽셀, 상기 화상픽셀의 광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전달하는 제어라인, 및 상기 화상픽셀의 공통전극을 포함하는 상술한 TFT-LCD에 형성된 복수 개의 분할된 공통전극에 속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술한 제1 그룹의 제5 전극패드들은 상기 제1 전극패드를 둘러싼 8개의 제5 전극패드들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그룹의 터치입력 감지회로는 한 개의 적분기(15-1)만을 포함하며, 상기 한 개의 적분기는 상기 8개의 제5 전극패드들 사이에서 스위칭되어 상기 8개의 제5 전극패드들과 순차적으로 연결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그룹의 터치입력 감지회로는 각각 상기 8개의 제5 전극패드에 연결되는 8개의 적분기(15-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8a에서는 제1 전극패드(101)에 한 개의 제5 전극패드(105)와 한 개의 적분기(15-1 및 Cfb1)만이 연결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복수 개의 제5 전극패드(105)와 복수 개의 적분기(15-1 및 Cfb1)가 연결될 수도 있다는 점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로부터 변형된 실시예를 도 17a, 도 17b, 및 도 18b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입력 감지장치는,
상기 제1 전극패드(101)에 연결되어 있는 제1 적분기(15-1)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전극패드(101)와 상기 제1 그룹의 제5 전극패드(105, 105_1, 105_2)들 사이에 형성되는 커패시턴스(Cs1, Cs2)의 값을 측정하도록 되어 있는 제1 터치입력 감지회로;
상기 제2 전극패드(102)에 연결되어 있는 제2 적분기(15-2)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전극패드(102)와 상기 제2 그룹의 제5 전극패드들(105, 105_3, 105_3) 사이에 형성되는 커패시턴스(Cs3, Cs4)의 값을 측정하도록 되어 있는 제2 터치입력 감지회로; 및
상기 제1 그룹의 제5 전극패드와 상기 제2 그룹의 제5 전극패드 중 어느 하나의 그룹에 기준전위와 다른 제1 전위(Vs1(t), Vs2(t))를 인가하는 동안 다른 하나의 그룹에는 기준전위(Vs3(t)=Vs4(t)=GND)를 인가하도록 되어있는 전극패드 전위제어부(400);
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전극패드, 상기 제2 전극패드, 상기 제1 그룹의 제5 전극패드들, 및 상기 제2 그룹의 제5 전극패드들은, 화상픽셀, 상기 화상픽셀의 광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전달하는 제어라인, 및 상기 화상픽셀의 공통전극을 포함하는 TFT-LCD에 형성된 복수 개의 분할된 공통전극에 속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제1 전극패드(101) 주위에는 8개의 제5 전극패드가 행렬 형태로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전극패드 전위제어부(400)는, 상기 8개의 제5 전극패드들 중 어느 하나의 전극패드(ex: 105, 105_1)에 기준전위와 다른 제1 전위(Vs1(t))를 인가하는 동안 다른 하나의 전극패드(ex: 105, 105_2)에는 기준전위(Vs2(t)=GND)를 인가하도록 되어있으며, 상기 제1 전위를 상기 8개의 제5 전극패드에게 순차적으로 인가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코드분할 방식을 이용한 상호정전용량방식의 터치입력 감지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타일구조로 배열된 전극패드들을 이용하여 상호정전용량 방식으로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구조를 나타낸다.
도 19의 전극패드의 배열은 도 15와 동일할 수 있다. 다만, 도 15에서는 일부 전극패드는 구동전극패드로서 사용되고 다른 전극패드들은 감지전극패드로서 사용됨으로써, 상호정전용량 방식으로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구조이다.
도 19에서 구동전극패드는 총 4개의 그룹으로 나뉘는데, 제1 구동전극패드(201), 제2 구동전극패드(202), 제3 구동전극패드(203), 제4 구동전극패드(204)로 구분될 수 있다. 각각의 구동전극패드(101~104) 주변에는 각각 4개의 감지전극패드(205)가 배치되어 있다. 단, 가장자리 영역에서는 각각의 구동전극패드 주변에 1개 또는 2개의 감지전극패드(205)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모든 구동전극패드(201~204)들은 동시에 구동될 수 있다. 다만, 제1 구동전극패드(201), 제2 구동전극패드(202), 제3 구동전극패드(203), 제4 구동전극패드(204)에는 각각 서로 다른 종류의 4가지 종류의 펄스 트레인 형태를 갖는 구동신호가 각각 인가될 수 있으며, 이들 구동신호들은 서로 직교하는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위치(206)에 터치입력이 이루어진 경우, 감지전극패드(205, 1205)에 연결된 센서회로는 감지전극패드(205, 1205) 근처에서 터치입력이 이루어졌다고 판단할 수 있다. 다만, 감지전극패드(205, 1205) 주변에는 제1 구동전극패드(201), 제2 구동전극패드(202) 및 제3 구동전극패드(203)의 3개의 구동전극패드가 존재하기 때문에, 이 중 어느 구동전극패드에 의해 유발된 프린징 커패시턴스가 상기 터치입력에 의해 변화되었는지를 알아내기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구동전극패드(201), 제2 구동전극패드(202) 및 제3 구동전극패드(203)에 인가되는 구동신호들이 서로 직교하는 특성을 부여하면 된다.
도 19에 도시한 모든 감지전극패드(205)들에는 각각 감지회로가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고, 또는 상술한 다른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감지전극패드(205)들을 수 개의 그룹으로 나누고, 각 그룹별로 순차적으로 감지하는 방법도 있을 수 있다. 후자의 방식을 위해서는 멀티플렉서가 필요할 수 있다.
도 20a 내지 도 20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특정 전극패드에 터치입력 이벤트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a는 도 19에 도시한 전극패드들 중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구동전극패드(201~204) 및 이들 사이에 배치된 감지전극패드(205, 2205)만을 따로 도시한 것이다.
도 2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20a에 도시한 전극패드들에 연결된 터치감지회로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0c는 제1 구동전극패드(201), 제2 구동전극패드(202), 제3 구동전극패드(203), 제4 구동전극패드(204)에 대한 구동입력이 이루어지는 시구간을 나타낸 것이다. 도 20c의 실시예에서, 터치입력감지 시구간을 각각 미리 결정된 지속시간(ex: 2ms)을 갖는 A-시구간(521), B-시구간(522), C-시구간(523), 및 D-시구간(524)으로 나눌 수 있다. 도 20c에서 로지컬 하이값을 갖는 구간은 해당 구동전극패드에 구동신호가 입력되는 구간을 나타낸다.
예컨대, 제2 구동전극패드(202)의 경우에는 시구간(521, 522, 524) 동안 구동신호가 입력되고 시구간(523)에서는 구동신호가 입력되지 않는다. 따라서 도 20a의 제2 구동전극패드(202)와 감지전극패드(205, 2205) 사이에는 시구간(521, 522, 524) 동안에는 전기장이 형성되지만, 시구간(523) 동안에는 전기장이 형성되지 않는 것으로 모델링할 수 있다.
도 20d는 도 20b에 나타낸 각 클록들의 온/오프 타이밍의 예를 타나낸 것이다.
A-시구간(521)의 시작 직전(ts1), B-시구간(522)의 시작 직전(ts2), C-시구간(523)의 시작 직전(ts3), 그리고 D-시구간(524)의 시작 직전(ts4)에 스위치(Sreset)를 이용하여 터치감지신호 출력부를 리셋할 수 있다. 그리고 A-시구간(521), B-시구간(522), C-시구간(523), 그리고 D-시구간(524) 동안 터치감지신호 출력부를 동작시킨 후 터치감지신호 출력부의 출력전압(Vo(t))을 샘플링한 결과를 각각 y[0], y[1], y[2] y[3]라고 표기할 수 있다.
이때, y[0], y[1], y[2], y[3]는 아래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수식]
y[0]=A+B+C
y[1]=A+B+D
y[2]=A+C+D
y[3]=B+C+D
위 수식에서, 'A'는 제1 구동전극패드(201)와 감지전극패드(2205) 간에 형성되는 커패시턴스(Cs1)에 의해 발생하는 터치감지신호 출력부의 출력값을 나타낸다. 'A'는 예컨대 A-시구간(521) 동안 측정하여 출력하는 값을 나타낸다. 'B'는 제2 구동전극패드(202)와 감지전극패드(2205) 간에 형성되는 커패시턴스(Cs2)에 의해 발생하는 터치감지신호 출력부의 출력값을 나타낸다. 'C'는 제3 구동전극패드(203)와 감지전극패드(2205) 간에 형성되는 커패시턴스(Cs3)에 의해 발생하는 터치감지신호 출력부의 출력값을 나타낸다. 'D'는 제4 구동전극패드(204)와 감지전극패드(2205) 간에 형성되는 커패시턴스(Cs4)에 의해 발생하는 터치감지신호 출력부의 출력값을 나타낸다.
터치입력감지 시구간(520)이 종료되면 y[0], y[1], y[2], 및 y[3]을 서로 더한 값 S를 얻을 수 있다. 상기 S는 상기 A, B, C, D와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갖는다.
S = y[0] + y[1] + y[2] + y[3] = 3(A + B + C + D)
따라서 A, B, C, D를 아래와 같은 수식을 통해 얻을 수 있다. 아래 수식에서 S, y[0], y[1], y[2], 및 y[3]는 모두 터치감지신호 출력부를 이용하여 계측하여 얻을 수 있는 값이다.
A=(S-3*y[3])/3,
B=(S-3*y[2])/3,
C=(S-3*y[1])/3,
D=(S-3*y[0])/3.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입력 정보 산출방법을 도 20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방법은, p개의 시구간(T_v)에 대한 정의를 포함하는 제1정보; 및 상기 p개의 시구간(T_v) 각각에 대응하여 정의되어 있으며, 복수 개(=M)의 구동전극패드로부터 선택된 N_v개의 구동전극패드로 구성된 구동전극조합(TEC_v)에 대한 정의를 포함하는 제2정보를 이용한다.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구동전극패드에 인접한 감지전극패드(ex: 2205)에 연결되어 있는 전하축적용 커패시터(ex: Cfb)를 포함하는 터치감지회로(600)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 개의 구동전극패드 중 어느 하나의 구동전극패드에 대한 터치입력에 관한 정보를 산출하는 방법이다. 단, v=1 내지 p의 정수이고, p는 2이상의 정수이다.
예컨대, 도 20c의 예에서 p=4, T_1=521, T_2=522, T_3=523, T_4=524, M=4, N_1=3, N_2=3, N_3=3, N_4=3, TEC_1={제1 구동전극패드(201), 제2 구동전극패드(202), 제3 구동전극패드(203)}, TEC_2={제1 구동전극패드(201), 제2 구동전극패드(202), 제4 구동전극패드(204)}, TEC_3={제1 구동전극패드(201), 제3 구동전극패드(203), 제4 구동전극패드(204)}, TEC_4={제2 구동전극패드(202), 제3 구동전극패드(203), 제4 구동전극패드(204)}이다.
이때, 상기 p개의 구동전극조합에 속한 서로 다른 구동전극조합은 서로 다른 조합의 구동전극패드들로 이루어져 있다. 즉, TEC_1={201, 202, 203}, TEC_2={201, 202, 204}, TEC_3={201, 203, 204}, TEC_4={202, 203, 204}은 모두 서로 다른 조합이다.
이 방법은, 시구간(T_v) 동안 구동전극조합(TEC_v)에 속한 모든 구동전극패드들에만 구동전압을 인가하고, 나머지 구동전극패드에는 구동전압을 인가하지 않는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터치감지회로(600)로부터 출력값(TO_v)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컨대, 도 20c와 도 20d를 살펴보면, 제1 시구간(T_1)(521) 동안 구동전극조합(TEC_1)에 속한 모든 구동전극패드들{201, 202, 203}에는 구동전극 구동신호가 인가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시구간(T_1)(521) 동안 상기 터치감지회로(600)의 출력(TO_1=y[0])을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시구간(T_2)(522) 동안 구동전극조합(TEC_2)에 속한 모든 구동전극패드들{201, 202, 204}에는 구동전극 구동신호가 인가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시구간(T_2)(522) 동안 상기 터치감지회로(600)의 출력(TO_2=y[1])을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시구간(T_3)(523) 동안 구동전극조합(TEC_3)에 속한 모든 구동전극패드들{201, 203, 204}에는 구동전극 구동신호가 인가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시구간(T_3)(523) 동안 상기 터치감지회로(600)의 출력(TO_3=y[2])을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제4 시구간(T_4)(524) 동안 구동전극조합(TEC_4)에 속한 모든 구동전극패드들{202, 203, 204}에는 구동전극 구동신호가 인가될 수 있다. 그리고 제4 시구간(T_4)(524) 동안 상기 터치감지회로(600)의 출력(TO_4=y[3])을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방법은, p개의 출력값(TO_v)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 개의 구동전극패드와 상기 감지전극패드 간에 형성되는 상호 커패시턴스에 관한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20c의 예에서, p=4개의 출력값(y[0], y[1], y[2], y[3])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 개의 구동전극패드에 속한 어느 한 개의 구동전극패드와 상기 감지전극패드 간의 상호 커패시턴스에 관한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어느 한 개의 구동전극패드와 상기 감지전극패드 간의 영역에서 이루어진 터치입력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구동전극패드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것일 수 있다. 또는 벌집구조로 지그재그로 배열된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감지전극패드는 상기 복수 개의 구동전극패드의 근처에 배치된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구동전극패드 및 상기 감지전극패드는 디스플레이 패널과는 구분되는 별도의 모듈로 제공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배치된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TFT 패널 및 IPS 패널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특정 종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는, 상기 복수 개의 구동전극패드 및 감지전극패드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동작을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부품으로 사용되는 복수 개의 분리되어 있는 공통전극일 수 있다. 이때, 상기 p개의 시구간(T_v) 동안에, 상기 복수 개의 구동전극패드와 상기 감지전극패드는 터치감지회로(600)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구동전극패드 및 감지전극패드는 모두, 상기 p개의 시구간(T_v) 이외의 시간 중 적어도 일부 구간 동안에는 미리 결정된 기준전위(Vref2)에 연결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감지전극패드는 상기 복수 개의 구동전극패드 모두와 서로 인접해 있을 수 있다. 즉, 상기 감지전극패드와 상기 복수 개의 구동전극패드 사이에는 터치패널에 존재하는 다른 전극패드가 전혀 배치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입력 검출방법을 도 20b, 도 20c, 및 도 20d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방법은, 제1 시구간(ex: 521) 동안, M개(M=4)의 구동전극패드(201, 202, 203, 204) 중에서 선택된 제1조합의 구동전극패드(201, 202, 203)에만 구동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M개의 구동전극패드(201, 202, 203, 204)와 정전용량결합하도록 되어 있는 감지전극패드(2205)에 연결된 터치감지회로(600)로부터 제1 출력값을 획득하는 제1 단계;
제2 시구간(ex:522) 동안, 상기 M개의 구동전극패드 중에서 선택된 제2조합의 구동전극패드(201, 202, 204)에만 구동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터치감지회로(600)로부터 제2 출력값을 획득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제1 출력값과 상기 제2 출력값을 이용하여 상기 M개의 구동전극패드 중 제1 구동전극패드와 상기 감지전극패드 간의 영역에 대한 터치입력에 관한 정보를 산출하는 제3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행렬형태로 배치된 전극패드를 이용하여 상호정전용량방식으로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도 21a 내지 도 21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타일구조로 배열된 전극패드들을 이용하여 상호정전용량 방식으로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구조를 나타낸다.
도 21a의 전극패드의 배열은 도 15과 동일할 수 있다. 다만, 도 21a에서는 일부 전극패드는 구동전극패드로서 사용되고 다른 전극패드들은 감지전극패드로서 사용됨으로써, 상호정전용량 방식으로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구조이다.
도 21a에는 총 20*12=240개의 전극패드가 나열되어 있는데, 이 전극패들에는 각각 1 ~ 9, A~G의 부호가 라벨링되어 있다. 이 중 1, 3, 5, 7, 9, B, D, E, F, G로 라벨링되어 있는 것들은 모두 구동전극패드로 사용되며, 2, 4, 6, 8, A, C로 라벨링되어 있는 것들은 모두 감지전극패드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1번으로 라벨링되어 있는 구동전극패드들은 모두 서로 내부 스위치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이는 3, 5, 7, 9, B, D, E, F, G로 라벨링된 구동전극패드들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2번으로 라벨링되어 있는 감지전극패드들은 모두 서로 내부 스위치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이는 4, 6, 8, A, C로 라벨링된 감지전극패드들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그 결과, 도 21a와 같이 배열된 구성은 도 21b와 같이 상하로 연장된 6개의 감지전극패드와 좌우로 연장된 10개의 구동전극패드로 개념화할 수 있다. 도 21b에서는 마치 구동전극패드는 제1층에 배치되고 감지전극패드는 제2층에 배치된 two layer 방식의 상호정전용량 방식의 터치패널인 것처럼 묘사되어 있으나, 이는 편의를 위한 묘사일 뿐이며, 실제로는 모든 전극패드들은 동일 층에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각 전극패드들이 동일층에 배치되어 있는지 여부는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6개의 감지전극과 10개의 구동전극으로 구성되는 상호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입력방식을 구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입력장치는 도 21a 내지 도 21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터치입력장치는 제1층 위에 행렬구조로 배치되어 있는 복수 개의 전극패드(1~9, A~G)를 이용하여 상호용량방식으로 터치입력을 감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터치입력장치는 상기 복수 개의 전극패드들 중 제1열(ex: C1)의 짝수번째 행(ex: R2)에 존재하는 전극패드들과 상기 제1열에 인접한 제2열(ex: C2)의 홀수번째 행(ex: R1)에 존재하는 전극패드들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형성한 감지전극(ex: 403)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전극패드들 중 제1행(ex: R1)의 홀수번째 열(ex: C1)에 존재하는 전극패드들과 상기 제1행에 인접한 제2행(ex: R2)의 짝수번째 열(ex: C2)행에 존재하는 전극패드들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형성함 구동전극(40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전극에 구동신호를 인가하도록 되어 있는 전극패드 전위제어부(401); 및 전하축적용 커패시터가 상기 감지전극에 연결되어 있는 터치감지회로(40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터치감지회로(402)에는 도 1f에서 설명한 터치입력회로가 1개 이상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감지전극(ex: 403)과 상기 구동전극(ex: 404)이 교차하는 영역(405)에 4개의 전극패드가 행렬형태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전극에 구동신호가 인가되었을 때에, 상기 4개의 전극패드 중 상기 감지전극에 속한 2개의 전극패드와 상기 4개의전극패드 중 상기 구동전극에 속한 2개의 전극패드 간에 상호 커패시턴스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구동전극패드와 상기 감지전극패드는 디스플레이 패널과는 별로도 제공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배치된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TFT 패널 및 IPS 패널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는, 상기 복수 개의 구동전극패드와 상기 감지전극패드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동작을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부품으로 사용되는 복수 개의 분리되어 있는 공통전극일 수 있다. 이때, 제1 시구간 동안에는, 상기 복수 개의 전극패드들은 모두 상기 전극패드 전위제어부 또는 상기 터치감지회로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시구간 이외의 시간 중 적어도 일부의 시구간 동안에는, 상기 복수 개의 전극패드들은 모두 미리 결정된 기준전위(Vref2)에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실시예: 상호용량방식과 자기용량방식 간을 전환하는 터치입력방법 및 이를 위한 터치입력장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터치패널의 어느 부분에도 터치입력이 이루어지지 않은 제1 경우와, 적어도 한 부분에 터치입력이 이루어지고 있는 제2 경우를 구분하여, 각 경우에 있어서 서로 다른 터치입력 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경우에는 상술한 자기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입력방법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고, 상기 제2 경우에는 상술한 상호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입력방법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또는 그 반대도 가능하다.
도 22a 및 도 2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입력장치의 터치입력방법의 전환 순서를 나타낸 것이다. 이때 상기 터치입력장치는 본 명세서에서 공개한 터치입력장치 중 임의의 것일 수 있다.
단계(S201)에서 상기 터치입력장치가 초기화되어 터치감지가 시작된다.
단계(S202)에서 상기 초기화 시에는 자기용량방식으로 터치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자기용량방식은 상술한 자기용량방식의 실시예 중 임의의 방법일 수 있다.
단계(S203)에서 터치입력이 검출되었는지를 판단한다. 터치입력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는 계속하여 상술한 자기용량방식으로 터치입력을 검출하고, 터치입력이 검출된 경우에는 상술한 상호용량방식으로 터치입력을 검출하도록 모드를 전환한다.
단계(S204)에서는 상술한 상호용량방식으로 터치입력을 검출한다. 이 단계에서는 터치입력이 계속해서 끊기지 않고 이루어지고 있을 수 있다.
단계(S205)에서는 터치입력이 사라졌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사라졌다면 단계(S202)로 돌아가고, 사라지지 않았다면 계속해서 상호용량방식으로 터치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도 22b는 도 22a의 순서와는 반대로, 상기 터치입력장치가 초기화되어 터치감지가 시작될 때에는 디폴트로 상호용량방식으로 터치입력을 검출하다가, 터치입력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동안에는 자기용량방식으로 터치입력을 검출하도록 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입력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입력장치를 도 22a 내지 도22c를 참보하여 설명한다.
이 터치입력장치는, 자기용량방식 및 상호용량방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터치입력을 감지하도록 되어 있는 터치감지부(810); 터치감지부(8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행렬형태로 배열되어 있는 복수 개의 전극패드(820); 및 제1모드에서는 복수 개의 전극패드(820)에 대한 터치감지를 자기용량방식으로 수행하고, 제2모드에서는 복수 개의 전극패드(820)에 대한 터치감지를 상호용량방식으로 수행하도록, 터치감지부(810)를 제어하는 터치패드 제어부(8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터치감지부(810)는, 자기용량방식으로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제1터치감지회로(811), 상호용량방식으로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제2터치감지회로(812), 및 스위치부(815)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패드 제어부(830)는 상기 제1모드 및 상기 제2모드에 따라 스위치부(815)를 제어하여 복수 개의 전극패드(820)를 제1터치감지회로(811) 또는 제2터치감지회로(812)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제1터치감지회로(811)는 도 1a, 도 1c, 도 2a, 도 2b, 도 11, 도 13 등에 예시한 자기용량방식의 감지회로일 수 있다. 제2터치감지회로(812)는 도 1f, 도 17e, 도 17f, 도 18a, 도 18b, 도 20b 등에 예시한 상호용량방식의 감지회로일 수 있다.
이때, 터치패드 제어부(830)는, 복수 개의 전극패드(820)에 대한 터치입력이 감지되지 않고 있는 상태에서는 복수 개의 전극패드(820)에 대한 터치감지를 자기용량방식으로 수행하도록 되어 있고, 복수 개의 전극패드(820)에 대한 터치입력이 감지되고 있는 상태에서는 복수 개의 전극패드(820)에 대한 터치감지를 상호용량방식으로 수행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반대로, 상기 터치패드 제어부(830)는, 복수 개의 전극패드(820)에 대한 터치입력이 감지되지 않고 있는 상태에서는 복수 개의 전극패드(820)에 대한 터치감지를 상호용량방식으로 수행하도록 되어 있고, 복수 개의 전극패드(820)에 대한 터치입력이 감지되고 있는 상태에서는 복수 개의 전극패드(820)에 대한 터치감지를 자기용량방식으로 수행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전극패드(820)는 디스플레이 패널과는 별로도 제공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배치된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TFT 패널 및 IPS 패널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는, 복수 개의 전극패드(820)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동작을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부품으로 사용되는 복수 개의 분리되어 있는 공통전극일 수 있다. 이때, 제1 시구간 동안에는, 상기 복수 개의 전극패드들은 모두 상기 터치감지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시구간 이외의 시간 중 적어도 일부의 시구간 동안에는, 상기 복수 개의 전극패드들은 모두 미리 결정된 기준전위(Vref2)에 연결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복수 개의 전극패드를 포함하는 터치입력장치에서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이 방법은, 상기 터치입력장치가 초기화되면 제1감지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 개의 전극패드에 대한 터치입력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복수 개의 전극패드에 대하여 터치입력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되면, 제2감지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 개의 전극패드에 대한 터치입력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 개의 전극패드에 대한 터치입력이 사라졌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1감지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 개의 전극패드에 대한 터치입력여부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감지방식은 자기용량방식이고 상기 제2감지방식은 상호용량방식이거나, 또는 상기 제1감지방식은 상호용량방식이고 상기 제2감지방식은 자기용량방식일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속하는 자들은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특허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의 내용은 본 명세서를 통해 이해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인용관계가 없는 다른 청구항에 결합될 수 있다.

Claims (18)

  1. 삭제
  2. 터치입력 감지장치로서,
    터치입력 감지전극;
    상기 터치입력 감지전극의 일 지점에 연결되어 있으며, 터치입력에 따라 상기 터치입력 감지전극에 의해 형성되는 터치 커패시턴스의 변화를 측정하도록 되어 있는 터치감지부;
    상기 터치입력 감지장치에 포함된 제2 노드로서, 상기 일 지점과의 사이에 커패시턴스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2 노드; 및
    상기 일 지점과 상기 제2 노드 간의 전위차를 감소시키도록, 상기 일 지점의 전위를 추종하는 전위값을 상기 제2 노드에 제공하는 전위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터치입력 감지전극은, 화상픽셀, 상기 화상픽셀의 광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전달하는 제어라인, 및 상기 화상픽셀의 공통전극을 포함하는 화면출력장치의 상기 공통전극인, 터치입력 감지장치.
  3. 터치입력 감지장치로서,
    터치입력 감지전극;
    상기 터치입력 감지전극의 일 지점에 연결되어 있으며, 터치입력에 따라 상기 터치입력 감지전극에 의해 형성되는 터치 커패시턴스의 변화를 측정하도록 되어 있는 터치감지부;
    상기 터치입력 감지장치에 포함된 제2 노드로서, 상기 일 지점과의 사이에 커패시턴스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2 노드; 및
    상기 일 지점과 상기 제2 노드 간의 전위차를 감소시키도록, 상기 일 지점의 전위를 추종하는 전위값을 상기 제2 노드에 제공하는 전위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노드는, 화상픽셀, 상기 화상픽셀의 광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전달하는 제어라인, 및 상기 화상픽셀의 공통전극을 포함하는 화면출력장치의 상기 제어라인에 존재하는, 터치입력 감지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라인은 상기 화상픽셀을 위한 데이터 제어라인 또는 상기 화상픽셀을 위한 게이트 제어라인인,
    터치이력 감지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출력장치는 TFT-LCD인, 터치입력 감지장치.
  6. 터치입력 감지장치로서,
    터치입력 감지전극;
    상기 터치입력 감지전극의 일 지점에 연결되어 있으며, 터치입력에 따라 상기 터치입력 감지전극에 의해 형성되는 터치 커패시턴스의 변화를 측정하도록 되어 있는 터치감지부;
    상기 터치입력 감지장치에 포함된 제2 노드로서, 상기 일 지점과의 사이에 커패시턴스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2 노드; 및
    상기 일 지점과 상기 제2 노드 간의 전위차를 감소시키도록, 상기 일 지점의 전위를 추종하는 전위값을 상기 제2 노드에 제공하는 전위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터치입력 감지전극은, 복수 개의 화상픽셀, 상기 복수 개의 화상픽셀의 광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 개의 제어라인, 및 상기 복수 개의 화상픽셀을 위해 분할되어 제공되는 복수 개의 공통전극을 포함하는 화면출력장치의, 상기 복수 개의 공통전극 중 제1 공통전극이며, 상기 추종하는 전위값은, 상기 복수 개의 공통전극 중 어느 하나의 공통전극의 전위값인, 터치입력 감지장치.
  7. 터치입력 감지장치로서,
    터치입력 감지전극;
    상기 터치입력 감지전극의 일 지점에 연결되어 있으며, 터치입력에 따라 상기 터치입력 감지전극에 의해 형성되는 터치 커패시턴스의 변화를 측정하도록 되어 있는 터치감지부;
    상기 터치입력 감지장치에 포함된 제2 노드로서, 상기 일 지점과의 사이에 커패시턴스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2 노드; 및
    상기 일 지점과 상기 제2 노드 간의 전위차를 감소시키도록, 상기 일 지점의 전위를 추종하는 전위값을 상기 제2 노드에 제공하는 전위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터치입력 감지전극은, 복수 개의 화상픽셀, 상기 복수 개의 화상픽셀의 광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 개의 제어라인, 및 상기 복수 개의 화상픽셀을 위해 분할되어 제공되는 복수 개의 공통전극을 포함하는 화면출력장치의, 상기 복수 개의 공통전극 중 제1 공통전극이며, 상기 추종하는 전위값은, 상기 복수 개의 공통전극의 전위값의 평균값인, 터치입력 감지장치.
  8. 터치입력 감지장치로서,
    터치입력 감지전극;
    상기 터치입력 감지전극의 일 지점에 연결되어 있으며, 터치입력에 따라 상기 터치입력 감지전극에 의해 형성되는 터치 커패시턴스의 변화를 측정하도록 되어 있는 터치감지부;
    상기 터치입력 감지장치에 포함된 제2 노드로서, 상기 일 지점과의 사이에 커패시턴스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2 노드; 및
    상기 일 지점과 상기 제2 노드 간의 전위차를 감소시키도록, 상기 일 지점의 전위를 추종하는 전위값을 상기 제2 노드에 제공하는 전위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터치입력 감지전극은, 화상픽셀, 상기 화상픽셀의 광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전달하는 제어라인, 및 상기 화상픽셀의 공통전극을 포함하는 화면출력장치의 상기 공통전극이며, 상기 추종하는 전위값의 주기는, 상기 공통전극의 주기와 동일한, 터치입력 감지장치.
  9. 터치입력 감지장치로서,
    터치입력 감지전극;
    상기 터치입력 감지전극의 일 지점에 연결되어 있으며, 터치입력에 따라 상기 터치입력 감지전극에 의해 형성되는 터치 커패시턴스의 변화를 측정하도록 되어 있는 터치감지부;
    상기 터치입력 감지장치에 포함된 제2 노드로서, 상기 일 지점과의 사이에 커패시턴스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2 노드; 및
    상기 일 지점과 상기 제2 노드 간의 전위차를 감소시키도록, 상기 일 지점의 전위를 추종하는 전위값을 상기 제2 노드에 제공하는 전위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터치감지부는 연산증폭기를 포함하며, 상기 연산증폭기의 제1 입력단자 및 상기 제2 노드에는 제1 주파수 성분을 갖는 신호가 인가되고, 상기 연산증폭기의 제2 입력단자에는 상기 터치입력 감지전극이 연결되어 있는, 터치입력 감지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입력 감지전극은,
    화상픽셀, 상기 화상픽셀의 광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전달하는 제어라인, 및 상기 화상픽셀의 공통전극을 포함하는 화면출력장치의 상기 공통전극인,
    터치입력 감지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노드는,
    화상픽셀, 상기 화상픽셀의 광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전달하는 제어라인, 및 상기 화상픽셀의 공통전극을 포함하는 화면출력장치의 상기 제어라인에 존재하는,
    터치입력 감지장치.
  12. 삭제
  13. 터치입력 감지장치 및 화면출력장치를 포함하는 사용자 기기로서,
    상기 터치입력 감지장치는,
    1) 터치입력 감지전극;
    2) 상기 터치입력 감지전극의 일 지점에 연결되어 있으며, 터치입력에 따라 상기 터치입력 감지전극에 의해 형성되는 터치 커패시턴스의 변화를 측정하도록 되어 있는 터치감지부;
    3) 상기 터치입력 감지장치에 포함된 제2 노드로서, 상기 일 지점과의 사이에 커패시턴스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2 노드; 및
    4) 상기 일 지점과 상기 제2 노드 간의 전위차를 감소시키도록, 상기 일 지점의 전위를 추종하는 전위값을 상기 제2 노드에 제공하는 전위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화면출력장치는,
    5) 화상픽셀;
    6) 상기 화상픽셀의 광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전달하는 제어라인; 및
    7) 상기 화상픽셀의 공통전극;
    을 포함하며,
    상기 공통전극이 상기 터치입력 감지전극이고,
    상기 제2 노드는 상기 제어라인에 존재하는, 사용자 기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출력장치는 TFT-LCD인, 사용자 기기.
  15. 터치입력 감지장치 및 화면출력장치를 포함하는 사용자 기기로서,
    상기 터치입력 감지장치는,
    1) 터치입력 감지전극;
    2) 상기 터치입력 감지전극의 일 지점에 연결되어 있으며, 터치입력에 따라 상기 터치입력 감지전극에 의해 형성되는 터치 커패시턴스의 변화를 측정하도록 되어 있는 터치감지부;
    3) 상기 터치입력 감지장치에 포함된 제2 노드로서, 상기 일 지점과의 사이에 커패시턴스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2 노드; 및
    4) 상기 일 지점과 상기 제2 노드 간의 전위차를 감소시키도록, 상기 일 지점의 전위를 추종하는 전위값을 상기 제2 노드에 제공하는 전위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화면출력장치는,
    5) 화상픽셀;
    6) 상기 화상픽셀의 광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전달하는 제어라인; 및
    7) 상기 화상픽셀의 공통전극;
    을 포함하며,
    상기 공통전극이 상기 터치입력 감지전극이고,
    상기 화면출력장치는, 복수 개의 화상픽셀, 상기 복수 개의 화상픽셀의 광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 개의 제어라인, 및 상기 복수 개의 화상픽셀을 위해 분할되어 제공되는 복수 개의 공통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터치입력 감지전극은 상기 복수 개의 공통전극 중 제1 공통전극이며,
    상기 추종하는 전위값은, 상기 복수 개의 공통전극 중 어느 하나의 공통전극의 전위값인,
    사용자 기기.
  16. 터치입력 감지장치 및 화면출력장치를 포함하는 사용자 기기로서,
    상기 터치입력 감지장치는,
    1) 터치입력 감지전극;
    2) 상기 터치입력 감지전극의 일 지점에 연결되어 있으며, 터치입력에 따라 상기 터치입력 감지전극에 의해 형성되는 터치 커패시턴스의 변화를 측정하도록 되어 있는 터치감지부;
    3) 상기 터치입력 감지장치에 포함된 제2 노드로서, 상기 일 지점과의 사이에 커패시턴스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2 노드; 및
    4) 상기 일 지점과 상기 제2 노드 간의 전위차를 감소시키도록, 상기 일 지점의 전위를 추종하는 전위값을 상기 제2 노드에 제공하는 전위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화면출력장치는,
    5) 화상픽셀;
    6) 상기 화상픽셀의 광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전달하는 제어라인; 및
    7) 상기 화상픽셀의 공통전극;
    을 포함하며,
    상기 공통전극이 상기 터치입력 감지전극이고,
    상기 화면출력장치는, 복수 개의 화상픽셀, 상기 복수 개의 화상픽셀의 광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 개의 제어라인, 및 상기 복수 개의 화상픽셀을 위해 분할되어 제공되는 복수 개의 공통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터치입력 감지전극은 상기 복수 개의 공통전극 중 제1 공통전극이며, 상기 추종하는 전위값은, 상기 복수 개의 공통전극의 전위값의 평균값인, 사용자 기기.
  17. 터치입력 감지장치 및 화면출력장치를 포함하는 사용자 기기로서,
    상기 터치입력 감지장치는,
    1) 터치입력 감지전극;
    2) 상기 터치입력 감지전극의 일 지점에 연결되어 있으며, 터치입력에 따라 상기 터치입력 감지전극에 의해 형성되는 터치 커패시턴스의 변화를 측정하도록 되어 있는 터치감지부;
    3) 상기 터치입력 감지장치에 포함된 제2 노드로서, 상기 일 지점과의 사이에 커패시턴스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2 노드; 및
    4) 상기 일 지점과 상기 제2 노드 간의 전위차를 감소시키도록, 상기 일 지점의 전위를 추종하는 전위값을 상기 제2 노드에 제공하는 전위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화면출력장치는,
    5) 화상픽셀;
    6) 상기 화상픽셀의 광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전달하는 제어라인; 및
    7) 상기 화상픽셀의 공통전극;
    을 포함하며, 상기 공통전극이 상기 터치입력 감지전극이고, 상기 추종하는 전위값의 주기는, 상기 공통전극의 주기와 동일한, 사용자 기기.
  18. 터치입력 감지장치 및 화면출력장치를 포함하는 사용자 기기로서,
    상기 터치입력 감지장치는,
    1) 터치입력 감지전극;
    2) 상기 터치입력 감지전극의 일 지점에 연결되어 있으며, 터치입력에 따라 상기 터치입력 감지전극에 의해 형성되는 터치 커패시턴스의 변화를 측정하도록 되어 있는 터치감지부;
    3) 상기 터치입력 감지장치에 포함된 제2 노드로서, 상기 일 지점과의 사이에 커패시턴스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2 노드; 및
    4) 상기 일 지점과 상기 제2 노드 간의 전위차를 감소시키도록, 상기 일 지점의 전위를 추종하는 전위값을 상기 제2 노드에 제공하는 전위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화면출력장치는,
    5) 화상픽셀;
    6) 상기 화상픽셀의 광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전달하는 제어라인; 및
    7) 상기 화상픽셀의 공통전극;
    을 포함하며, 상기 공통전극이 상기 터치입력 감지전극이고, 상기 터치감지부는 연산증폭기를 포함하며, 상기 연산증폭기의 제1 입력단자 및 상기 제2 노드에는 제1 주파수 성분을 갖는 신호가 인가되고, 상기 연산증폭기의 제2 입력단자에는 상기 터치입력 감지전극이 연결되어 있는, 사용자 기기.

KR1020140155820A 2013-11-12 2014-11-11 기생 커패시턴스의 영향을 감소시키는 터치입력 감지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6589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37280 2013-11-12
KR1020130137280 2013-11-12
KR20130156495 2013-12-16
KR1020130156495 2013-12-16
KR1020130159767 2013-12-19
KR20130159767 2013-12-19
KR1020130169549 2013-12-31
KR20130169549 2013-12-31
KR20140014491 2014-02-08
KR1020140014491 2014-02-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5569A KR20150055569A (ko) 2015-05-21
KR101658910B1 true KR101658910B1 (ko) 2016-09-23

Family

ID=53057607

Famil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5836A KR101684641B1 (ko) 2013-11-12 2014-11-11 상호용량방식과 자기용량방식 간을 전환하는 터치입력방법 및 이를 위한 터치입력장치
KR1020140155828A KR101684644B1 (ko) 2013-11-12 2014-11-11 코드분할 방식을 이용한 상호정전용량방식의 터치입력 감지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0140155820A KR101658910B1 (ko) 2013-11-12 2014-11-11 기생 커패시턴스의 영향을 감소시키는 터치입력 감지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0140155830A KR101684642B1 (ko) 2013-11-12 2014-11-11 행렬형태로 배치된 전극패드를 이용하여 상호정전용량방식으로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0140155824A KR101621964B1 (ko) 2013-11-12 2014-11-11 복수 개의 전극패드를 이용한 상호정전용량방식의 터치입력 감지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0140155822A KR101702995B1 (ko) 2013-11-12 2014-11-11 복수 개의 전극패드를 이용한 자기정전용량방식의 터치입력 감지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0160077533A KR102213697B1 (ko) 2013-11-12 2016-06-21 행렬형태로 배치된 전극패드를 이용하여 상호정전용량방식으로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5836A KR101684641B1 (ko) 2013-11-12 2014-11-11 상호용량방식과 자기용량방식 간을 전환하는 터치입력방법 및 이를 위한 터치입력장치
KR1020140155828A KR101684644B1 (ko) 2013-11-12 2014-11-11 코드분할 방식을 이용한 상호정전용량방식의 터치입력 감지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5830A KR101684642B1 (ko) 2013-11-12 2014-11-11 행렬형태로 배치된 전극패드를 이용하여 상호정전용량방식으로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0140155824A KR101621964B1 (ko) 2013-11-12 2014-11-11 복수 개의 전극패드를 이용한 상호정전용량방식의 터치입력 감지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0140155822A KR101702995B1 (ko) 2013-11-12 2014-11-11 복수 개의 전극패드를 이용한 자기정전용량방식의 터치입력 감지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0160077533A KR102213697B1 (ko) 2013-11-12 2016-06-21 행렬형태로 배치된 전극패드를 이용하여 상호정전용량방식으로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990080B2 (ko)
JP (1) JP6220067B2 (ko)
KR (7) KR101684641B1 (ko)
CN (1) CN105830002B (ko)
TW (1) TWI567621B (ko)
WO (1) WO20150727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33915B2 (en) 2007-10-04 2014-01-21 Apple Inc. Single-layer touch-sensitive display
US20090174676A1 (en) 2008-01-04 2009-07-09 Apple Inc. Motion component dominance factors for motion locking of touch sensor data
US8922521B2 (en) 2009-02-02 2014-12-30 Apple Inc. Switching circuitry for touch sensitive display
US8593410B2 (en) 2009-04-10 2013-11-26 Apple Inc. Touch sensor panel design
US9329723B2 (en) 2012-04-16 2016-05-03 Apple Inc. Reconstruction of original touch image from differential touch image
US9886141B2 (en) 2013-08-16 2018-02-06 Apple Inc. Mutual and self capacitance touch measurements in touch panel
KR20150082031A (ko) * 2014-01-07 2015-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0936120B2 (en) 2014-05-22 2021-03-02 Apple Inc. Panel bootstraping architectures for in-cell self-capacitance
US10289251B2 (en) 2014-06-27 2019-05-14 Apple Inc. Reducing floating ground effects in pixelated self-capacitance touch screens
US9880655B2 (en) 2014-09-02 2018-01-30 Apple Inc. Method of disambiguating water from a finger touch on a touch sensor panel
US10705658B2 (en) 2014-09-22 2020-07-07 Apple Inc. Ungrounded user signal compensation for pixelated self-capacitance touch sensor panel
US10712867B2 (en) 2014-10-27 2020-07-14 Apple Inc. Pixelated self-capacitance water rejection
WO2016126525A1 (en) 2015-02-02 2016-08-11 Apple Inc. Flexible self-capacitance and mutual capacitance touch sensing system architecture
US10488992B2 (en) 2015-03-10 2019-11-26 Apple Inc. Multi-chip touch architecture for scalability
TWI579755B (zh) * 2015-06-04 2017-04-21 瑞鼎科技股份有限公司 自電容觸控顯示面板及其驅動方法
US10082916B2 (en) * 2015-07-08 2018-09-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Circuit for cancelling offset capacitance of capacitive touch screen panel and device including the same
JP6510343B2 (ja) * 2015-07-10 2019-05-08 ローム株式会社 容量測定回路、それを用いた入力装置、電子機器
CN107924254B (zh) 2015-08-26 2021-06-08 硅工厂股份有限公司 面板驱动装置和面板驱动方法
KR102396711B1 (ko) * 2015-09-15 2022-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US10365773B2 (en) 2015-09-30 2019-07-30 Apple Inc. Flexible scan plan using coarse mutual capacitance and fully-guarded measurements
GB2542854A (en) * 2015-10-02 2017-04-05 Sharp Kk Integrated active matrix touch panel
JP6560971B2 (ja) * 2015-12-04 2019-08-14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および入力装置
KR102512989B1 (ko) 2016-01-22 2023-03-22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프로세서, 이를 포함하는 터치 ddi 칩 및 터치 프로세서의 동작방법
KR102604368B1 (ko) * 2016-07-28 2023-11-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표시패널, 유기발광표시장치, 구동 회로, 컨트롤러 및 구동방법
AU2017208277B2 (en) 2016-09-06 2018-12-20 Apple Inc. Back of cover touch sensors
KR102613292B1 (ko) * 2016-12-16 2023-12-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터치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 및 터치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의 구동 방법
US10303438B2 (en) 2017-01-16 2019-05-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used-multiply-add floating-point operations on 128 bit wide operands
US20180203540A1 (en) * 2017-01-19 2018-07-19 Sharp Kabushiki Kaisha Discriminative controller and driving method for touch panel with array electrodes
US10386965B2 (en) 2017-04-20 2019-08-20 Apple Inc. Finger tracking in wet environment
US10976796B2 (en) * 2017-07-26 2021-04-13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range enhancement for self-capacitance measurement
KR102420020B1 (ko) * 2017-12-01 2022-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지문 복합 센서와 그 동작방법 및 터치-지문 복합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445033B1 (ko) * 2017-12-29 2022-09-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표시장치, 터치구동회로 및 터치센싱방법
WO2019143986A1 (en) * 2018-01-19 2019-07-25 Tactual Labs Co. Matrix sensor with receive isolation
TWI701587B (zh) * 2019-04-19 2020-08-11 瑞鼎科技股份有限公司 觸碰感測裝置及觸碰感測方法
CN111309187B (zh) 2020-03-17 2022-02-22 北京集创北方科技股份有限公司 检测电路、触控面板及电子设备
US11662867B1 (en) 2020-05-30 2023-05-30 Apple Inc. Hover detection on a touch sensor panel
KR20220040577A (ko) * 2020-09-23 2022-03-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3268168B (zh) * 2021-07-21 2021-11-05 深圳贝特莱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电容式触摸芯片感应通道走线抗干扰结构及方法
KR20230016732A (ko) 2021-07-26 2023-02-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CN113514673B (zh) * 2021-09-14 2022-01-28 苏州华兴源创科技股份有限公司 触控通道切换电路、装置及检测系统
KR20230041856A (ko) * 2021-09-17 2023-03-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WO2023090094A1 (ja) * 2021-11-16 2023-05-2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表示システム、および制御装置
TWI792766B (zh) * 2021-12-14 2023-02-11 大陸商北京集創北方科技股份有限公司 自電容感測電路、電容式觸控晶片、電容式觸控顯示裝置及資訊處理裝置
TWI806420B (zh) * 2022-02-11 2023-06-21 瑞鼎科技股份有限公司 電容變化量測電路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8048B1 (ko) * 2003-06-26 2007-03-23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1246830B1 (ko) * 2006-06-09 2013-03-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EP2351220B1 (en) 2008-10-15 2014-01-01 Azoteq (PTY) Limited Parasitic capacitance cancellation in capacitive measurement applications
TWM352084U (en) * 2008-10-24 2009-03-01 Holtek Semiconductor Inc Capacitance touch panel with low parasitic capacitance
US8760412B2 (en) * 2009-02-02 2014-06-24 Apple Inc. Dual configuration for display data lines
CN101866228B (zh) * 2009-04-17 2013-10-02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触摸屏、液晶显示装置及触摸屏的驱动方法
TWI431362B (zh) * 2009-05-29 2014-03-21 Japan Display West Inc 觸控感測器、顯示器及電子裝置
JP5284911B2 (ja) 2009-08-31 2013-09-11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静電容量型物理量センサ及び角速度センサ
KR101113516B1 (ko) * 2009-10-07 2012-02-29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용 전극 패턴, 터치 스크린용 구동 장치 및 터치 스크린
CN101840293B (zh) * 2010-01-21 2012-03-21 宸鸿科技(厦门)有限公司 投射电容式触控面板的扫描方法
KR20110112128A (ko) * 2010-04-06 2011-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패널의 기생 커패시턴스 보상 방법 및 장치
KR101091733B1 (ko) * 2010-04-12 2011-12-09 주식회사 지니틱스 복수개의 터치 감지회로를 선택적으로 사용하게 하는 터치스크린의 멀티플렉서 회로
JP2011258143A (ja) 2010-06-11 2011-12-22 Panasonic Corp タッチパネル装置
KR20120014808A (ko) * 2010-08-10 2012-02-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가 내장된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과 그 제조 방법
JP5722573B2 (ja) * 2010-08-24 2015-05-20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タッチ検出機能付き表示装置
JP5667824B2 (ja) * 2010-09-24 2015-02-12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タッチ検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タッチ検出機能付き表示装置、ならびに電子機器
KR101735715B1 (ko) * 2010-11-23 2017-05-15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 감지 소자 및 이를 구비한 터치 패널
TWI471796B (zh) * 2011-02-11 2015-02-01 Wintek Corp 觸控顯示裝置
KR101784436B1 (ko) * 2011-04-18 2017-10-11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이를 위한 구동 장치
WO2013048195A2 (ko) * 2011-09-29 2013-04-04 Lee Sung Ho 드라이빙 백 현상을 이용한 터치 검출수단, 검출방법 및 터치스크린패널과, 그러한 터치스크린패널을 내장한 표시장치
KR101339490B1 (ko) * 2011-12-14 2013-12-10 삼성전기주식회사 접촉 감지 장치 및 접촉 감지 방법
KR101197460B1 (ko) * 2012-01-27 2012-11-12 크루셜텍 (주) 기생 정전 용량을 저감시키는 터치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KR101330320B1 (ko) * 2012-02-20 2013-11-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220889B1 (ko) * 2012-02-28 2013-01-11 크루셜텍 (주) 선형성이 강화된 터치 검출 방법 및 터치 검출 장치
TWI447402B (zh) * 2012-03-05 2014-08-01 Mstar Semiconductor Inc 電容偵測裝置及應用該電容偵測裝置之電容式觸控系統
KR101315227B1 (ko) 2012-05-30 2013-10-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4642B1 (ko) 2016-12-08
KR20150055574A (ko) 2015-05-21
TW201525825A (zh) 2015-07-01
TWI567621B (zh) 2017-01-21
JP6220067B2 (ja) 2017-10-25
WO2015072722A1 (ko) 2015-05-21
KR20150055573A (ko) 2015-05-21
KR20150055569A (ko) 2015-05-21
CN105830002B (zh) 2018-11-02
KR101621964B1 (ko) 2016-05-17
KR101702995B1 (ko) 2017-02-09
KR101684641B1 (ko) 2016-12-08
CN105830002A (zh) 2016-08-03
KR101684644B1 (ko) 2016-12-08
KR20150055570A (ko) 2015-05-21
KR20160077025A (ko) 2016-07-01
KR20150055572A (ko) 2015-05-21
KR20150055571A (ko) 2015-05-21
US9990080B2 (en) 2018-06-05
JP2016540302A (ja) 2016-12-22
US20160283023A1 (en) 2016-09-29
KR102213697B1 (ko) 2021-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8910B1 (ko) 기생 커패시턴스의 영향을 감소시키는 터치입력 감지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6665051B2 (ja) 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CN102376286B (zh) 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驱动电路和电子设备
US9274653B2 (en) Touch detection device and display device having touch sensor function
KR101984443B1 (ko) 자기-정전용량성 터치 센서를 위한 통합된 터치 및 디스플레이 아키텍처
KR101633654B1 (ko) 터치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터치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패널, 데이터 구동 집적회로, 게이트 구동 집적회로 및 터치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
US9251758B2 (en)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JP2014199605A (ja) タッチ検出機能付き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6522854B2 (ja) タッチスクリーン
KR101661693B1 (ko) 사용자 기기의 사용자 입력 이중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819150B1 (ko) 내장형 터치 스크린 및 이의 구동방법
KR101711591B1 (ko) 데이터 구동 집적회로, 게이트 구동 집적회로 및 터치 집적회로
KR101678060B1 (ko) 저주파 노이즈를 제거하는 터치입력장치
KR101436807B1 (ko) 액정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터치 센싱 방법
KR20220030553A (ko)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터치 구동 방법
KR101427627B1 (ko) 터치패널 입력장치 및 그의 터치패널 입력검출방법
KR101829674B1 (ko) 복수 개의 독립적인 감지전극을 서로 연결하여 특정 감지전극에 대한 터치입력정보를 획득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