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9454B1 - Fishway with biological habitat by use of eco-friendly gabion - Google Patents
Fishway with biological habitat by use of eco-friendly gab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49454B1 KR101649454B1 KR1020150186617A KR20150186617A KR101649454B1 KR 101649454 B1 KR101649454 B1 KR 101649454B1 KR 1020150186617 A KR1020150186617 A KR 1020150186617A KR 20150186617 A KR20150186617 A KR 20150186617A KR 101649454 B1 KR101649454 B1 KR 10164945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ll
- rows
- support
- fish
- block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7
- 230000002633 protect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NINIDFKCEFEMDL-UHFFFAOYSA-N sulfur Chemical compound [S] NINIDFKCEFEMDL-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10052717 sulfur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11593 sulfu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4332 deodoriz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41000209149 Zea Species 0.000 claims 1
- 235000002017 Zea mays subsp mays Nutrition 0.000 claims 1
- 235000005822 corn Nutrition 0.000 claims 1
- 235000005824 corn Nutrition 0.000 claims 1
- 238000004382 potting Methods 0.000 claims 1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73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abstract 1
- 238000005755 formation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1
- 230000003139 buffering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29910052602 gyps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0440 gyps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1435 ro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41000271566 Aves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80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078 waterproof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101710043792 BNA2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1710031171 IDO1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847 Jaw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614 Ribs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83 survival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08 swee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0000000218 Cannabis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8557 Decapod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613 Ear Cana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73 a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107 al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27 cl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570 cla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GUTLYIVDDKVIGB-UHFFFAOYSA-N cobalt Chemical compound [Co] GUTLYIVDDKVIG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3 cobalt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1 coba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593 corund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31 corund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94 depresse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23 garne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808 lpulo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414 obstructiv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416 organic mat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MYMOFIZGZYHOMD-UHFFFAOYSA-N oxygen Chemical compound O=O MYMOFIZGZYHOM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76 p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899 vi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941 weav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0—Dams; Dykes; Sluice ways or other structures for dykes, dams, or the like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2—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 E02B3/123—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mainly consisting of stone, concrete or similar stony material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하천에 설치하여 물고기가 방해물을 지나갈 수 있도록 하는 어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2열의 친환경 개비온 사이에 일정한 폭으로 어도를 형성하여 어도를 용이하게 설치하고 내구성을 좋게 할 뿐만 아니라, 상기 친환경 개비온의 상단부에 식생부를 설치하여 어도의 양쪽을 따라 식생대를 조성하여 경관을 좋게 하고 어도를 따라 이동하는 어류를 보호하며, 상기 친환경 개비온의 내부에 어소를 설치하여 어도를 따라 이동하는 어류에게 은신처 및 산란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친환경 개비온(비오탑 박스)을 이용한 어도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installed in a river to allow a fish to pass through an obstacl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having an air conditioner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between two rows of environment- The vegetation part is provided at the upper part of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open air to form a vegetation zone along both sides of the island to protect the fish moving along the island and to improve the landscape and to provide fish inside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open- (Non-ozone box) that can provide shelter and a spawning space.
일반적으로 하천에 수중보나 댐과 같은 수중구조물이 건설될 경우 수중보나 댐에 차단된 어류의 이동환경을 보전하기 위하여 어도를 설치하고 있다. In general, when an underwater structure such as an underwater boat or a dam is constructed in a river, an island is installed in order to preserve the movement environment of fishes blocked in the water pool or the dam.
이러한 어도는 하천에 물고기의 이동을 곤란 또는 불가능하게 하는 방해물이 있을 때, 물고기가 방해물을 지나갈 수 있도록 만들어진 통로 또는 장치로서, 물고기의 산란과 성장을 위해 꼭 필요한 것이다. 또한, 어류 외에 참게 등의 수서생물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도와 하천 생태 보전에도 도움을 준다.These are crucial for the spawning and growth of fish, as a passage or device that allows fish to pass through obstacles when there is an obstruction that makes it difficult or impossible to move the fish in the stream. In addition, it helps freely migrate aquatic organisms such as crabs, in addition to fish, to help preserve river ecology.
어도의 종류로는 풀이 계단식으로 연속되어 있는 풀 형식(Pool Type), 낙차가 없이 연속된 유로형상을 가지는 수로형식(Channel Type), 시설이 인위적인 조작으로 작동되는 조작형식(Operation Type), 기타형식으로 구분된다. There are Pool Type, Pool Type, Continuous Flow Type, Channel Type, Operation Type, Operation Type, Facility Type, .
특히, 풀 형식은 계단식과 버티컬 슬롯식(Vertical Slot) 및 잠공식(Orifice)으로 구분되고, 계단식은 전면월류형과 부분월류형으로 구분된다. 상기 풀형식 계단식 부분월류형 어도는 일명 "아이스 하버식(Ice Harbor Type) 어도"라고도 불린다. 본 발명은 이러한 아이스 하버시 어도와 관련된다.Particularly, the full type is divided into a stepped type, a vertical slot type (vertical slot) and a sleep type (Orifice), and the stepped type is divided into a front wall type and a partial wall type. The above-mentioned full-type terraced partial wall type is also called "Ice Harbor Type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such an Ice Harbor concept.
종래의 아이스 하버식(Ice Harbor Type) 어도는,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어도가 설치될 하천의 일 측에 바닥부(21)와 양측 측벽(22)을 가지는 채널(Channel)형 어도 본체(20)를 콘크리트로 설치하고, 상기 어도 본체(20)의 바닥부(21)에 복수 개의 어도블록(10)을 상ㆍ하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배치하여 어도블록(10)들 사이에 풀(Pool)이 형성되는 아이스 하버식 어도를 구성하게 된다.The conventional ice harness type ice harness has a channel shape having a
이러한 종래의 어도의 경우, 상기 어도 본체(20)의 상류 단, 즉 어류출구부를 통해 어도 내로 유입되는 하천수는 최상류측 어도블록(10)의 월류벽(13,14)과 비월류벽(12) 및 어도 본체(20)의 본체 측벽(22) 사이에 형성된 최상류측 풀(Pool) 내로 유입되어 차오르게 된다. 그리고 계속되는 하천수의 유입으로 최상류측 풀 내의 하천수 수위가 월류벽(13,14) 높이보다 높아지면 월류벽(13,14)을 월류하게 되어 차하류 측 어도블록(10)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풀로 유입되며,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여 어도의 하류 단, 즉 어류입구로 흘러내리면서 복수의 풀로 이루어지는 어도를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In this conventional art, the river water flowing into the island through the upstream end of the
따라서 하천에 수중보나 댐과 같은 수중구조물의 일 측에 이러한 어도가 설치되면, 어류는 어류입구부에서 최하단의 풀로, 다시 차상류측 풀로 소상하는 식의 단계적 소상을 거쳐 최상류 단의 어류출구부에 이르러 최종적으로 수중보나 댐의 상류로 이동하게 된다.Therefore, when such an island is installed on one side of an underwater structure such as an underwater boat or a dam in a river, the fish is moved to the bottom end of the fish inlet and then to the upstream end of the car, Finally, it moves to the upstream of the underwater vault or dam.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아이스 하버식 어도는, 콘크리트로 타설된 어도 본체()의 내부에 콘크리트 블록으로 이루어진 어도블록()을 설치하는 것이므로 외부적으로 콘크리트만 보이기 때문에 외관이 매우 열악할 뿐만 아니라 어도를 따라 이동하는 어류가 그대로 노출되기 때문에 어류를 보호하는 기능이 매우 부족하다.However, in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ice-harbor type air-conditioner, since the concrete block is installed in the inside of the main body even when it is poured with concrete, only the concrete is externally visible, The ability to protect fish is very scarce because the fish moving along are exposed.
또한, 종래의 아이스 하버식 어도는, 하천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자형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어도의 벽이 높고 어도의 길이가 길어서 외부로 노출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이 많기 때문에 하천의 외관을 크게 해칠 뿐만 아니라 구조적으로 취약하여 홍수 시에 쉽게 파손되는 문제가 있었다. 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ice-harbor type ice-shape is installed in a straight shap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iver, the wall of the island is high and the length of the island is long, so there are many concrete structures exposed to the outsid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easily broken at the time of flood.
또한 종래의 어도는, 조류(새)의 접근이 매우 용이하여 도약 및 유영하는 어류가 포식 당하는 경우가 많았고, 도약하는 어류가 어도의 바깥쪽 마른 땅으로 떨어져 폐사하는 경우가 있으며, 홍수 시 바위 등이 어도를 따라서 이동하면서 콘크리트 구조물에 직접 부딪침으로써 어도가 손상되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conventional fishes, the approach of birds is very easy, and fishes leaping and swimming are predominantly caught, and leaping fish may fall to the outer dry land of the fishery,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amaged by the direct contact with the concrete structure while moving along the island.
또한, 종래의 어도는, 어류의 이동 통로로서의 기능만을 고려하여 만들어진 것이어서 가뭄 등의 원인으로 상류로부터 물의 흐름이 차단되면 어류는 어도 내에서 생존해야 하는데 종래의 어도는 콘크리트 수조와 다를 바 없는 열악한 환경으로 어류의 생존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fish is made only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 of the fish as a moving path. Therefore, when the flow of water from the upstream is blocked due to a drought or the like, the fish must survive in the fish. Conventional fishing tanks, And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survival of the fish was difficult.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어도의 양측 면에 친환경 개비온을 설치하고, 이 친환경 개비온의 상단부에 식생부를 형성함으로써 어도의 가장자리를 따라 식물을 대량 식재하여 하천의 경관을 좋게 할 뿐만 아니라 조류(새)의 접근을 제한하여 어류를 보호할 수 있는 친환경 개비온을 이용한 어도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 primary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co-friendly garbons on both sides of an island and to form vegetation on the upper end of the eco-friendly garbons, It is to provide fishery using eco-friendly garbons that can protect fishes by restricting access of birds (birds) as well as improving the landscape of rivers by mass planting.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어도의 양측 면에 친환경 개비온을 설치하고 이 친환경 개비온의 상단부에 식생부를 형성함으로써 어류의 서식 환경을 조성하고 어류의 도약시 어도를 이탈하여 마른 땅에 떨어져 폐사하는 것을 방지하면, 홍수 시 바위 등의 부딪침으로 인한 충격을 완충시켜서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진 어도 본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친환경 개비온을 이용한 생물서식처가 구비된 어도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nvironment-friendly habitat for fish by providing an environmentally friendly garbons on both sides of the fishery and forming a vegetation part at the upper part of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garbon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co-friendly habitat using an eco-friendly garbage that can prevent damage to the main body made of a concrete structure by buffering an impact caused by a collision of a rock or the like during a floo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어도의 양 측면에 친환경 개비온을 설치하고 이 친환경 개비온의 상단부에 식생부를 형성하고 상기 친환경 개비온의 내부에는 어소를 형성하여 어류의 은신처 및 산란처를 제공하고, 비오톱(생물군집의 서식공간)이 조성되어 어류의 먹이를 제공하며, 수초에 의해 어도 내부에 산소농도를 충분히 유지하여 생태환경을 양호하게 함으로써 고립된 어류의 생존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친환경 개비온을 이용한 생물서식처가 구비된 어도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co-friendly garniture on both sides of an island, form vegetation on the upper part of the eco-friendly garniture, provide a hiding place within the eco-friendly garniture to provide shelter and spawning ground for fish, The habitat of biological communities) to provide food for fishes and to maintain the oxygen concentration in the fishes by means of aquatic plants to improve the ecological environment, thereby improving the viability of isolated fishes.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어도의 양 측면에 친환경 개비온을 설치하고 상기 친환경 개비온의 내부에 메디아를 설치하여 상기 메디아에 부착되는 미생물을 이용하여 어도의 물을 정화함으로써 하천수 정화에 기여할 수 있는 친환경 개비온을 이용한 생물서식처가 구비된 어도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purification of river water by providing eco-friendly garbons on both sides of the eco-island and installing media in the eco-friendly garbons to purify water in the eco- Which is equipped with a habitat using environmentally friendly garbons.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어도를 지그재그식으로 형성하여 어도의 길이를 짧게 하고 어도 본체의 구조적 안정성을 높이고 외부로 노출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최소화하여 하천의 경관을 좋게 하는 친환경 개비온을 이용한 생물서식처가 구비된 어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co-friendly gabion habitat using eco-friendly gabion which improves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main body and minimizes the concrete structure exposed to the outside,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친환경 개비온을 이용한 생물서식처가 구비된 어도는,As a means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dobe provided with a biological habitat using environmentally friendly open air of the present invention,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되게 배열된 2열의 측면 개비온과;Two side rows of spacing arranged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상기 2열의 친환경 측면 개비온 사이에 개재되는 바닥 개비온과;A bottom surface gap interposed between the two rows of environmentally friendly side surfaces;
상기 2열의 개비온 및 상기 바닥 개비온 사이에 형성되는 어도와;An air conduit formed between the two rows of open space and the bottom space;
상기 2열의 측면 개비온의 외 측면을 지지하는 양 측벽과 상기 2열의 측면 개비온과 상기 바닥 개비온의 하면을 지지하는 바닥부로 이루어진 어도 본체;를 포함하되,A main body including both side walls for supporting the outer side surfaces of the two rows of side-by-side spaces, and a bottom for supporting the side walls of the two rows and a bottom surface of the bottoms,
상기 바닥 개비온은 상기 2열의 측면 개비온이 내측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고, 높이가 다른 개비온이 일정한 간격으로 교대로 설치하여 상기 어도를 따라서 월류부와 풀(pool)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ottom opening ratio prevents the side opening widths of the two rows from being pushed inward and alternately arranges the reduced widths having different heights at regular intervals to form a ridge and a pool along the ridg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측면 개비온과 바닥 개비온 사이에는 이웃하는 개비온 사이에 물의 흐름을 차단하기 위한 차수시트가 더 설치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between the side open space and the bottom open space, there is further provided a water receiving sheet for blocking the flow of water between neighboring open spaces.
또한, 본 발명의 개비온을 이용한 어도의 다른 실시 예는,Further,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a gob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되게 배열된 2열의 측면 개비온과;Two side rows of spacing arranged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상기 2열의 측면 개비온의 내측 면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지지 내벽과;A support inner wall provided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an inner surface of the side rows of the two rows;
상기 지지 내벽 사이에 형성되는 어도와;An adobe formed between the support inner walls;
상기 2열의 측면 개비온의 외 측면을 지지하는 양 측벽과 상기 측면 개비온의 하면을 지지하는 바닥부로 이루어진 어도 본체와;A main body made of both side walls for supporting the outer side surfaces of the side rows of the two rows and a bottom for supporting the bottom side of the side rows;
상기 지지 내벽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개재되는 지지블록과;A support block interposed between the support inner walls at regular intervals;
상기 지재 내벽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개배되는 어도블록;을 포함하되,And an interlocking block interposed between the inner wall and the inner wall at regular intervals,
상기 지지블록은 상기 지지 내벽이 내측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어도 블록은 상기 어도를 따라서 일정한 간격으로 월류부와 풀(pool)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upport block prevents the support inner wall from being pushed inward, and the eaudo block forms a pool with a certain distance along the eaudo.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측면 개비온 사이에는 이웃하는 개비온 사이에 물의 흐름을 차단하기 위한 차수시트가 더 설치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n additional water-absorbing sheet for blocking the flow of water is provided between the neighboring openings between the side openings.
또한, 상기 측면 개비온은, 철망과 상기 철망의 내부에 채워지는 다수의 개비온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측면 개비온의 상단부에는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식생부가 설치된다.In addition, the side open width is composed of a wire net and a plurality of open ales filled in the wire net, and a vegetation part capable of planting plants is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side open line.
상기 개비온의 내부에는 어소의 기능을 하는 하나 이상의 어소 부재가 설치된다.At the inside of the garbage, at least one of the member members functioning as an associative member is installed.
상기 식생부는 하부로부터 토양의 유실을 방지하는 부직포와, 식재기반을 형성하는 토양과, 상기 토양에 포함되어 갈수기에 식물에 수분을 공급하는 테라코템과, 상기 철망의 상면에 설치되어 토양과 씨앗을 보호하는 코이어네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vegetation part includes a nonwoven fabric for preventing soil loss from the bottom part, a soil forming a planting base, a terra cotector for supplying moisture to the plant in the soil, and soil and seed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ire netting. And a protective coin net.
상기 어소 부재는 사각형이나 원형 또는 삼각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통체로 이루어지되, 상면과 측면에는 다수 개의 관통 홀이 형성되고, 선단과 후단에는 일정한 높이로 턱이 형성되어 바닥에 진흙이나 모래층을 형성하며, 천장에는 사각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산란 판이 더 설치된다.The contact member is formed of a cylindrical body having a rectangular, circular or triangular cross-sectional shape,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in the upper and side surfaces, and a jaw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at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to form a clay or sand layer on the bottom And a scattering plate having a rectangular plate shape is further installed on the ceiling.
상기 개비온의 내부에는 하나 이상의 끈형 메디아가 설치된다.At least one string of media is installed inside the garbage.
상기 지지 내벽을 다수의 내벽 블록을 일렬로 배열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내벽 블록은 사각판형의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지며, 상기 측면 개비온에 설치된 어소 부재와 연결되는 다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내벽 블록의 내측 면에는 상기 지지 블록과 어도 블록의 양단을 상하로 슬라이드 하여 결합하기 위한 결합 홈이 형성된다.Wherein the inner wall block is made of a rectangular concrete structure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to be connected to a door element provided at the lateral side wall of the inner wall block, An engaging groove is formed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support block to engage both ends of the support block and the block in an up and down direction.
상기 지지 블록은 사각판형의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지되, 상면 가운데에 물이 월류할 수 있는 월류부가 구비되고, 하면 가운데에는 물이 통과할 수 있는 개구부가 구비되며, 다수 개의 잠공이 형성된다.The support block is formed of a rectangular plate-shaped concrete structure. The support block is provided with a swirling flow portion capable of swirling water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and an opening portion through which water can pass.
상기 어도 블록은, 중앙부에 형성되는 비월류벽과, 상기 비월류벽을 기준으로 양측에 상기 비월류벽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는 월류벽을 포함하고, 상기 비월류벽은 그 양측에서 상류 향하여 절곡 연장되는 유황조절벽에 의하여 상류를 향하여 개방되게 형성되는 유황조절포킷을 형성한다.Wherein the deodorization block includes an apertural wall formed at a central portion and a floatation wall formed at a lower level than the intertidal wall at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intertwined flow wall, Thereby forming a sulfur regulating pouch which is formed to be open toward the upstream by the cliff.
상기 2열의 측면 개비온 사이에 형성되는 어도는 지그재그식으로 형성된다.The IDOs formed between the side rows of the two rows are formed in a zigzag fashion.
상기 어도는 하천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직교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수평 어도와, 상기 복수의 수평 어도 중 이웃하는 수평 어도의 단부를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천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복수의 수직 어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수평 어도는 하천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수직 어도는 하천의 길이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A plurality of horizontal air ports provid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iver and a plurality of vertical ports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iver so as to connect the ends of the horizontal air ports, Wherein the plurality of horizontal fishing lines ar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iver, and the plurality of vertical fishing lines are incli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iver.
상기 어도 본체는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지고, 가장자리에는 측벽이 형성되고, 가운데는 일정한 간격으로 지지 벽이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지지 벽의 단부에 형성된 개구부는 상하로 설치된 지지 벽의 양단에 교대로 형성된다.The main body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nd has sidewalls formed at the edges thereof. The support walls are formed in parallel at regular intervals in the center, and the openings formed in the end portions of the support walls are alternately formed at both ends of the support walls .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어도의 양측 면에 친환경 개비온을 설치하고, 이 친환경 개비온의 상단부에 식생부를 형성함으로써 어도의 가장자리를 따라 식물을 대량 식재하여 하천의 경관을 좋게 할 뿐만 아니라 조류(새)의 접근을 제한하여 어류를 보호할 수 있는 친환경 개비온을 이용한 생물서식처가 구비된 어도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 primary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co-friendly garbons on both sides of an island and to form vegetation on the upper end of the eco-friendly garbon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ish habitat equipped with a biological habitat which can protect a fish by restricting the approach of a bird and not only improve the landscape of the river by mass planting.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어도의 양측 면에 친환경 개비온을 설치하고 이 친환경 개비온의 상단부에 식생부를 형성함으로써 어류의 서식 환경을 조성하고 어류의 도약시 어도를 이탈하여 마른 땅에 떨어져 폐사하는 것을 방지하면, 홍수 시 바위 등의 부딪침으로 인한 충격을 완충시켜서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진 어도 본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친환경 개비온을 이용한 생물서식처가 구비된 어도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nvironment-friendly habitat for fish by providing an environmentally friendly garbons on both sides of the fishery and forming a vegetation part at the upper part of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garbon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co-friendly habitat using an eco-friendly garbage that can prevent damage to the main body made of a concrete structure by buffering an impact caused by a collision of a rock or the like during a floo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어도의 양 측면에 친환경 개비온을 설치하고 이 친환경 개비온의 상단부에 식생부를 형성하고 상기 친환경 개비온의 내부에는 어소를 형성하여 어류의 은신처 및 산란처를 제공하고, 비오톱이 조성되어 어류의 먹이를 제공하며, 수초에 의해 어도 내부에 산소농도를 충분히 유지하여 생태환경을 양호하게 함으로써 고립된 어류의 생존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친환경 개비온을 이용한 생물서식처가 구비된 어도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co-friendly garniture on both sides of the island, form vegetation on the upper part of the eco-friendly garniture, provide a hiding place within the eco-friendly garniture to provide shelter and spawning grounds for the fish, Providing an animal having a biological habitat using an environmentally friendly garbage that is capable of enhancing the survival ability of an isolated fish by providing the food of the fish, will be.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어도의 양 측면에 친환경 개비온을 설치하고 상기 친환경 개비온의 내부에 메디아를 설치하여 상기 메디아에 부착되는 미생물을 이용하여 어도의 물을 정화함으로써 하천수 정화에 기여할 수 있는 친환경 개비온을 이용한 생물서식처가 구비된 어도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purification of river water by providing eco-friendly garbons on both sides of the eco-island and installing media in the eco-friendly garbons to purify water in the eco- Which is equipped with a habitat using environmentally friendly garbons.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어도를 지그재그식으로 형성하여 어도의 길이를 짧게 하고 어도 본체의 구조적 안정성을 높이고 외부로 노출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최소화하여 하천의 경관을 좋게 하는 친환경 개비온을 이용한 생물서식처가 구비된 어도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co-friendly gabion habitat using eco-friendly gabion which improves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main body and minimizes the concrete structure exposed to the outside,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개비온을 이용한 생물서식처가 구비된 어도의 일 예를 보여주는 횡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친환경 개비온을 이용한 생물서식처가 구비된 어도의 종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친환경 개비온을 이용한 생물서식처가 구비된 어도의 평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친환경 개비온을 이용한 생물서식처가 구비된 어도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개비온의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친환경 개비온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어소 부재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개비온을 이용한 생물서식처가 구비된 생물서식처가 구비된 어도의 다를 실시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친환경 개비온을 이용한 생물서식처가 구비된 어도의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내벽 블록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 블록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어도 블록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개비온을 이용한 생물서식처가 구비된 어도의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개비온을 이용한 생물서식터가 구비된 어도의 사진,
도 15는 종래 기술에 따른 어도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island having an organism habitat using an environmentally friendly open-
FIG. 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n EAF provided with a biological habitat using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open air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
FIG. 3 is a plan view of an island having an organism habitat using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open-air temper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shing boat having the biological habitat using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open-air temper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3,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environmentally friendly garbage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garbons shown in FIG. 5,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rm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 biological habitat equipped with a biological habitat using an environmentally friendly open sp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plan view of an island having an organism habitat using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open-air temperature shown in FIG. 8,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ner wall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pport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sland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plan view of an island having an organism habitat using environmentally friendly open 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photograph of an island equipped with an ecological habitat using an environmentally friendly garbage,
15 is a plan view showing an IDO according to the prior art.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개비온을 이용한 생물서식처가 구비된 어도'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개비온을 이용한 생물서식처가 구비된 어도의 일 예를 보여주는 횡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친환경 개비온을 이용한 생물서식처가 구비된 어도의 종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친환경 개비온을 이용한 생물서식처가 구비된 어도의 평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친환경 개비온을 이용한 생물서식처가 구비된 어도의 단면도이다.FIG. 1 is a transverse 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island having an organism habitat using an environmentally friendly open sp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n island having an organism habitat using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open- And FIG. 3 is a plan view of an animal's habitat using the environment friendly habita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 and FIG. 4 is a sectional view of the animal habitat using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habita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개비온을 이용한 생물서식처가 구비된 어도(100)는,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되게 배열된 2열의 측면 친환경 개비온(5a)(5b)(이하 '측면 개비온'이라 함)의 사이에 일정한 폭으로 어도(2)를 형성한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그리고 상기 2열의 측면 개비온(5a)(5b)의 외 측면에는,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진 어도 본체(3)가 설치되어 상기 2열의 측면 개비온(5a)(5b)이 외 측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2열의 측면 개비온(5a)(5b)의 내 측면에는, 바닥 친환경 개비온(5c)(이하 '바닥 개비온'이라 함)이 개재되어 상기 2열의 측면 개비온(5a)(5b)이 내측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 생물서식처가 구비된 어도(2)(이하 '어도'라 함)는 2열의 측면 개비온(5a)(5b)과 바닥 개비온(5c) 사이에 형성된다. A
상기 개비온(5)은 철망(52)의 내부에 다수의 개비온석(52)을 채워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개비온석(53) 사이에는 많은 공극이 형성되므로 상기 개비온(5)은 외부의 충격에 대한 완충력이 우수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비온(5)을 이용하여 어도(2)를 형성하면 다음과 같은 잇점을 얻을 수 있다. The
첫째, 상기 개비온(5)은 공장이나 현장에서 모두 제조할 수 있고 정육면체로 이루어져 철선 등으로 엮어서 여러 층으로 쌓을 수 있으므로 어도(2)의 설치가 용이하다. 둘째, 상기 개비온(5)는 완충력이 우수하므로 홍수 시 물과 함께 내려오는 돌이나 바위에 의해서 어도 본체(3)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상기 개비온(5)의 상단부에 식생부를 설치하여 상기 어도(2)의 양쪽에 수생식물을 심음으로써 어도(2)의 경관을 좋게 하고 어도(2)를 따라 이동하는 어류를 보호할 수 있다. 넷째, 상기 개비온(5)의 내부에 메디아를 설치하여 메디아에 부착되는 미생물을 이용하여 어도(2)의 물을 정화할 수 있다. 다섯째, 상기 개비온의 내부에 어소를 설치하여 어류의 서식이나 산란장소를 제공하여 어도(2)의 생태 환경을 좋게 할 수 있다. First, the garbons (5) can be manufactured both at the factory and in the field, and they can be formed into a cube, so that the garbons (5) can be piled up into several layers by weaving with iron wires. Secondly, since the
이를 위해서, 상기 어도 본체(3)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로서, 상기 어도(2)의 외 측을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어도 본체(3)는 일정한 크기의 바닥부(32)와, 상기 바닥부(32)의 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측벽(31a)(31b)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어도 본체(3)는 하천의 길이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어도 본체(3)는 1/20의 경사각을 갖도록 설치된다.To this end, the
그리고 상기 2열의 측면 개비온(5a)(5b) 사이에는 바닥 개비온(5c)이 길이방향을 따라서 설치된다. 상기 바닥 개비온(5c)은, 상기 2열의 측면 개비온(5a)(5b)의 내측 면에 밀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측면 개비온(5a)(5b)이 내 측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한다. Between the two rows of
또한, 상기 바닥 개비온(5c)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어로(2)의 길이방향으로 따라서 높이가 높은 바닥 개비온(5c1)과 높이가 낮은 바닥 개비온(5c2)을 일정한 간격으로 교대로 설치된다. 그래서 높이가 높은 바닥 개비온(5c1)은 그 상부에 월류부(O)를 형성하고, 상기 높이가 낮은 바닥 개비온(5c2)은 그 상부에 풀(P)를 형성한다. 상기 월류부(O)는 물이 항상 흐르는 부분이고 상기 풀(P)은 일정량의 물이 저장되는 부분이다. As shown in Fig. 2, the
이어, 상기 개비온(5)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정한 크기의 철망(51)과 상기 철망(52)에 채워지는 다수의 개비온석(53)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개비온(5)의 상단부에는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식생부(5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식생부(53)는 식물의 뿌리다 내리는 토양과, 이 토양의 유실을 방지하는 부직포 등으로 구성된다. 5, the
예를 들어, 상기 식생부(53)는 아래로부터 토양의 유실을 방지하는 부직포(154)와, 식재기반을 형성하는 토양(155)과, 상기 토양에 포함되어 수분을 흡수한 후 갈수기에 식물에게 수분을 공급하는 테라코템(156)과, 상기 철망의 상면에 설치되어 토양과 씨앗을 보호하는 코이어네트(15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For example, the
또한, 상기 개비온(5)에는 어도(2)를 따라 이동하는 물고기에게 은신처나 산란 장소를 제공하는 어소 부재(55)가 설치된다. 상기 어소 부재(55)는 내부가 빈 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어소 부재(55)의 상면과 측면에는 다수의 관통구멍(59)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구멍(59)은 어소 부재(55)의 내부로 물이 자유롭게 유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어소 부재(55)의 하부 전면과 후면에는 상부로 일정한 높이로 돌출되는 돌출 벽(159)이 형성된다. 상기 돌출 벽(159)은 어소 부재(55)의 바닥에 진흙이나 모래가 일정한 높이로 쌓이도록 함으로써 물고기의 산란 장소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어소 부재(55)의 내부에는 일정한 크기의 산란 판(16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산란 판(160)은 플라스틱이나 나무판으로 이루어져 어소 부재(55)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In addition, a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철망(51)에는 상기 어도 부재(55)의 입구와 연결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개비온(5)의 내부에는 다수의 끈형 메디아(57)가 설치된다. 상기 끈형 메디아(57)는 표면적이 확대되어 각종 미생물이 부착되어 활성화된다. 그리고 상기 끈형 메디아(57)에 부착된 미생물은 개비온(3)을 통과하는 물을 정화하는 작용을 한다.Referring again to FIG. 5, the
그리고, 상기 어도(2)를 따라서 밀접하게 설치되는 개비온(5) 사이에는 차수시트(60)가 더 설치된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차수시트(60)는 이웃하는 개비온(5) 사이에서 물의 흐름을 차단하여, 상기 어도(2)의 물이 상기 개비온(5)를 따라서 아래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한다. 따라서 가뭄 등의 원인으로 상류로부터 물의 흐름이 차단되어도 상기 개비온(5)에는 일정량의 물이 존재하게 된다.Further, a water-receiving sheet (60)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narrowed portions (5) closely installed along the above-mentioned waterproofing (2). As shown in FIG. 2, th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개비온을 이용한 어로(100)는, 일자형으로 이루어지거나,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ㄹ'자 또는 지그재그 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2열의 개비온(5a)(5b)이 지그재그식으로 배열되어 그 사이에 형성되는 어도(2)가 지그재그식으로 이루어지게 된다.Meanwhile, the gavion-based
이를 위해서, 상기 어도 본체(3)는 정사각형으로 이루어진 바닥부(32)와, 상기 어도 본체(3)의 가장자리에서 수직으로 형성된 측벽(31)과, 상기 바닥부(32)의 상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지지 벽(33)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지지 벽(33)의 단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는데, 상기 개구부는 상하로 이웃하는 지지 벽(33)의 어느 한쪽의 단부에 교대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측벽(31)과 지지 벽(33)에 상기 측면 개비온(5a)(5b)을 밀접하게 설치하여 지그재그식으로 어도(2)를 형성한다. To this end, the
상기 지그재그식의 어도(2)는, 하천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직교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수평 어도(2a)와, 상기 복수의 수평 어도(2a) 중 이웃하는 두 개의 수평 어도(2a)의 단부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하천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복수의 수직 어도(2b)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수평 어도(2a)는 하천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수직 어도(2b)는 하천의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어도(2)의 상단에는 어류출구부(B)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어류입구부(A)가 형성된다.The zigzag
한편, 상기 지그재그식으로 형성된 2열의 개비온(5a)(5b) 사이에는, 바닥 개비온(5c)이 어도(2)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일렬로 설치된다. 상기 바닥 개비온(5)는 2열의 개비온(5a)(5b)의 내측 면에 밀접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바닥 개비온(5c)은 어로(2)의 길이방향으로 따라서 높이가 높은 바닥 개비온(5c1)과 높이가 낮은 바닥 개비온(5c2)가 일정한 간격으로 교대로 설치되어 상기 어로(2)를 따라서 월류부(O)와 풀(P)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between the two rows of zigzags formed in a zigzag manner, the
이와 같이, 지그재그식으로 어도(2)를 설치하면, 상기 어로 본체(3)의 길이가 짧아지게 된다. 따라서 외부로 노출되는 콘크리트의 면적이 최소화되므로 하천의 외관을 좋게 한다. 즉, 종래의 일자형 어도는 외부로 노출되는 콘크리트의 면적이 넓어서 하천의 외관을 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지그재그식으로 어도(2)를 설치하면, 상기 어로 본체(3)가 정사각형에 가까운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종래의 일자형 어로에 비해서 구조적으로 안정된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개비온을 이용한 생물서식처가 구비된 어도의 다른 실시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which the biological habitat using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garbage is provided.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개비온을 이용한 생물서식처가 구비된 어도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친환경 개비온을 이용한 생물서식처가 구비된 어도의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n organism habitat using environmentally friendly garb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plan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organic matter habitat using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garbons to be.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친환경 개비온을 이용한 생물서식처가 구비된 어도(100)는,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그 사이에 일정한 폭의 어도(2)를 형성하는 2열의 측면 개비온(5a)(5b)과, 상기 2열의 측면 개비온(5a)(5b)의 외 측에 설치되어 상기 2열의 측면 개비온(5a)(5b)이 외 측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어도 본체(3)와, 상기 2열의 측면 개비온(5a)(5b)의 내 측에 설치되어 상기 2열의 측면 개비온(5a)(5b)이 내 측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부재(6)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1, the
상기 어도 본체(3)는, 일정한 폭을 갖는 바닥부(32)과, 상기 바닥부(32) 바깥쪽 가장자리에서 상향 절곡 연장되는 측벽(31a)(31b)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어도 본체(3)는 하천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바닥부(32)는 하나 또는 다수의 어도(2)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닥부(32)에는 지지 벽(33)을 더 설치할 수 있다.The
그리고 상기 어도 본체(3)의 상면에 2열로 설치되는 개비온(5)은, 육면체의 철망(51)의 내부에 다수의 개비온석(52)을 충전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개비온(5)의 상단부에는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식생부(53)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비온(5)의 내부에는 어류의 은신처, 산란처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어소 부재(55)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비온(5)의 내부에는 끈형 메디아(57)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끈형 메디아(57)는 표면적이 넓어서 미생물이 잘 부착되므로 부착된 미생물은 어도(2)의 물을 정화할 수 있다. The
그리고 상기 어도 본체(3)의 상면에 2열로 설치된 개비온(5a)(5b) 사이에는 차수 시트(60)가 더 설치된다. 상기 차수 시트(60)는 이웃하는 개비온(5) 사이의 물의 흐름을 차단하여 상기 개비온(5)을 따라서 물이 아래로 흐르는 것을 방지한다. Further, an
이어서, 상기 지지 수단(6)은, 상기 어도 본체(3)의 내측에 2열로 배열된 개비온(5)의 내측 면을 지지하는 지지 내벽(7)과 상기 2열의 개비온(5)을 따라서 형성된 상기 지지 내벽(7)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지지 내벽(7)이 상기 어도(2)의 안쪽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 블록(9)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supporting means 6 is provided with a supporting
상기 지지 내벽(7)은 다수의 내벽 블록(71)을 일렬로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지지 블록(9)은 상기 어도(2)를 따라서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상기 지지 내벽(7)을 지지한다. 또한, 상기 지지 내벽(7)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어도 블록(10)이 설치하여 그 사이에 풀(P)을 형성한다. The support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 내벽(7)을 형성하는 내벽 블록(71)은, 상기 2열의 개비온(5)의 내측 면에 밀착되게 설치된다. 이때, 하나의 내벽 블록(71)에는 2~3개의 내비온(5)을 지지하도록 설치된다.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내벽 블록(71)은, 사각판형의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개비온(5)에 구비된 어소 부재(55)와 연결되는 다수의 관통구멍(7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내벽 블록(71)의 내측 면에는 상기 지지 블록(9)과 어도 블록(10)의 양단을 상하로 슬라이드하여 결합하기 위한 결합 홈(73)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서, 2개의 결합 홈(73)이 형성되어 하나의 결합 홈(73)에는 지지 블록(9)이 설치되고 다른 하나의 결합 홈(73)에는 어도 블록(10)이 설치된다. More specifically, the
이어, 상기 지지 블록(9)은,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각판형의 콘크리트 패널로 이루어지되, 그 상면 가운데에 물이 월류하는 월류부(91)가 구비되고, 하면 가운데에는 물이 통과할 수 있는 개구부(93)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지지 블록(9)에는 다수 개의 잠공(95)이 더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 블록(9)은 어도(2)를 따라 흐르는 물의 흐름이나 어류의 이동을 최대한 방해하지 않도록 한다. As shown in FIG. 11, the
또한, 상기 어로 블록(10)은,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명 '아이스 하버형 블록'으로서, 콘크리트로나 철근 콘크리트로 성형 되며, 가운데에는 물고기가 쉬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ㄷ'자 형의 비월류벽(12)이 구비되고, 상기 비월류벽(12)의 좌우에는 물고기가 통과하는 월류벽(1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어도 블록(10)은 2열의 지지 내벽(6)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상기 어로(2)를 따라서 일정한 간격으로 월류부(O)와 풀(P)를 형성한다. 상기 월류부(O)는 항상 물이 흘러서 물고기가 소상하는 할 수 있는 부분이고 상기 풀(P)은 일정한 양의 물을 저장하여 물고기가 쉴 수 있는 곳이다.As shown in FIG. 12, the
즉, 상기 어도 블록(10)은, 중앙에 형성되는 비월류벽(12)과, 상기 비월류벽(12)을 기준으로 양측에 상기 비월류벽(12)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는 월류벽(16)을 포함한다. 상기 비월류벽(12)은 홍수기 외에 갈수기나 평수기에는 하천수가 그 위로 월류하지 않는 부분으로, 어류의 기준 도약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다. 상기 비월류벽(12)은 그 양측에서 상류를 향하여 절곡 연장되는 유황조절벽(121)에 의하여 상류를 향하여 개방되게 형성되는 유황조절포킷(122)을 포함한다. 상기 유황조절포킷(122)은 그 부분에서의 하천수의 유속을 영(零)으로 유지하여 소상과정에서 체력이 소진되어가는 어류에게 쉼터를 제공하는 부분이다. That is, the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개비온을 이용한 어도(100)는, 콘크리트 구조물인 어도 본체(3)의 상면에 2열의 개비온(5a)(5b)과, 지지 내벽(7), 지지 블록(9) 및 어도 블록(10)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2열 개비온(5) 사이에 일정한 폭의 어도(2)가 형성된다. 특히, 본 실시 예는 상기 어도 본체(3)를 제외한 나머지 부재들이 모두 조립식으로 설치되므로 어도(2)의 설치가 용이하고 공사기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개비온을 이용한 어도(100)는, 완충력이 우수한 개비온(5)을 이용하여 어도(2)를 형성하기 때문에 홍수 시 물과 함께 내려오는 돌이나 바위에 의해서 어도 본체(3)가 깨지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비온(5)의 상단부에 식생부가 구비되므로 어도(2)의 양쪽에 식물을 식재하여 어도(2)의 경관을 좋게 할 뿐만 아니라 어도(2)를 따라서 이동하는 어류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비온(5)의 내부에 메디아를 설치하여 메디아에 부착되는 미생물을 이용하여 어도(2)의 물을 정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비온(5)의 내부에 어소를 설치하여 어류의 서식이나 산란장소를 제공하여 어도(2)의 생태 환경을 좋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한편, 이러한 본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개비온을 이용한 생물서식처가 구비된 어도(100)는, 하천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자형으로 설치할 수 있으나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ㄹ'자 또는 지그재그형으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위해서, 본 실시 예에 따른 개비온을 이용한 어도(100)는, 정사각형에 가까운 사각형의 평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어도 본체(3)의 상면에 2열의 개비온(5)을 지그재그식으로 배열하여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air-
즉,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어도 본체(3)는 정사각형에 가까운 사각형으로 이루어진 바닥부(32)와, 상기 어도 본체(3)의 가장자리에서 수직으로 형성된 측벽(31)과, 상기 바닥부(32)의 상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지지 벽(33)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지지 벽(33)의 한쪽 단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되는데, 상기 개구부는 상하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지지 벽(33)의 어느 한쪽 단부에 교대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측벽(31)과 지지 벽(33)에 상기 측면 개비온(5a)(5b)을 밀접하게 설치하여 2열의 개비온(5a)(5b) 사이에 지그재그식으로 어도(2)를 형성한다. 13, the
그리고 상기 지그재그식의 어도(2)는, 하천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직교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수평 어도(2a)와, 상기 복수의 수평 어도(2a) 중 이웃하는 두 개의 수평 어도(2a)의 단부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하천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복수의 수직 어도(2b)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수평 어도(2a)는 하천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수직 어도(2b)는 하천의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록 경사지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어도(2)의 상단에는 어류출구부(B)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어류입구부(A)가 형성된다.The zigzag
또한, 상기 2열의 개비온(5a)(5b) 내측 면에는 다수의 내벽 블록(71)을 일렬로 설치하여 지지 내벽(7)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2열의 지지 내벽(7) 사이에 다수의 지지 블록(9)을 일정한 간격으로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하여 상기 지지 내벽(7)이 내측으로 밀리지 않도록 지지한다. 또한, 상기 2개의 지지 내벽(7) 사이에 다수의 어도 블록(10)을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하여 상기 어도(2)를 따라서 일정한 간격으로 풀(P)과 월류부(O)을 형성한다. A plurality of inner wall blocks 71 are provided in a row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wo rows of the
즉, 본 실시 예에 따라 지그재그형으로 이루어진 어도(2)를 따라서 다수의 월류부(O)와 풀(P)이 형성된다. 그리고 수중보나 댐을 월류한 하천수는 어류출구부(B)를 통해 유입되어 최상류의 풀로 유입되고, 하천수는 이러한 식으로 점차적으로 유하하여 어류입구부(A)에서 하천으로 흘러나간다. 이때 최상류의 풀(P)로부터 하류 측으로 가면서 풀의 수위는 단계적으로 낮아지게 되며, 각 단계별 수위 차이는 10cm정도로 유지되도록 한다.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plurality of ridge portions O and a plurality of pools P are formed along the zigzag-shaped
따라서 상기 어도 블록(10)에 의해 형성되는 풀(P) 내의 수위가 최고수위인 어도를 구성하였을 경우 대형어류들은 월류벽(16)을 도약하여 상류로 소상할 수 있고, 소형어류들은 월류벽(16)의 높이가 낮은 부분에서 잠영(潛泳)에 의해 상류로 소상할 수 있으며, 저서성어류는 월류벽(16)에 천공된 도시되지 않은 잠공을 통해 소상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water level in the pool P formed by the fish-
아울러, 상기 어도(2)를 따라 설치되는 개비온(5)의 상단부에는 식생부(53)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개비온(5)의 내부에는 하나 이상의 어소용 도관(55)을 설치하여 어소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비온(5)의 내부에는 메디아(59)를 설치할 수 있다. In addition, a
이러한 본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개비온을 이용한 생물서식처가 구비된 어도(100)는, 상기 어도 본체(3)의 길이가 짧아진다. 즉, 종래의 일자형 어도는 하천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므로 상기 어도 본체(3)의 길이가 길었으나 본 실시 예에 따른 어도(2)는 지그재그식으로 설치되므로 상기 어도 본체(3)의 길이가 짧아지게 된다. 이에 따라서, 본 실시 예는 상기 어도 본체(3)의 콘크리트 구조물이 노출되는 면적이 작아지므로 하천의 경관을 좋게 할 뿐만 아니라 어도 본체(3)의 구조적 안정성도 크게 높아지게 된다. 특히, 지그재그식으로 배열된 어도(2)의 양쪽 가장자리를 따라 식물을 식재함으로써 조류(새)의 접근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어류의 도약시 물고기가 어도를 이탈하여 마른 땅에 떨어져 죽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홍수 시 물과 함께 내려오는 바위 등이 콘크리트 구조물과 직접 충돌하여 어도 본체(3)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length of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개비온을 이용한 생물서식처가 구비된 어도에 대하여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for illustrative purpose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ddi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as disclosed in the accompanying claims. It is needless to say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echnical thought.
1,100: 친환경 개비온을 이용한 생물서식처가 구비된 어도
2: 어도 3: 어도 본체
5: 친환경 개비온(gabion) 7: 지지 내벽
9: 지지 블록 10: 어도 블록
16: 월류부 31: 측벽
32: 바닥부 51: 철망
52: 개비온석 53: 식생부
55: 어소 부재 57: 메디아
60: 차수시트 71: 내벽 블록
73: 결합 홈 154: 부직포
155: 토양 156: 테라코템
157: 코이어네트 158: 관통홀
159: 돌출 턱 160: 산란 판1,100: eco-friendly eco-friendly habitat
2: Ada 3:
5: Environmentally friendly gabion 7: Supported inner wall
9: Support block 10:
16: ridge 31: side wall
32: bottom part 51: wire mesh
52: Gobi nectar 53: Vegetation Department
55: Associate member 57: Media
60: order sheet 71: inner wall block
73: coupling groove 154: nonwoven fabric
155: soil 156: terakotem
157: Coiler net 158: Through hole
159: protruding jaws 160: scatter plate
Claims (15)
상기 2열의 측면 개비온의 외 측면을 지지하는 양 측벽과 상기 측면 개비온의 하면을 지지하는 바닥부로 이루어진 어도 본체와;
상기 지지 내벽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개재되어 상기 지지 내벽이 내측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블록과;
상기 지지 내벽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어도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월류부와 풀(pool)을 형성하는 어도 블록;을 포함하되,
상기 지지블록은, 사각판형의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지고, 상면 가운데에는 물이 월류할 수 있는 월류부가 구비되고, 하면 가운데에는 물이 통과하는 개구부가 구비되며;
상기 측면 개비온은, 그 내부에 하나 이상의 어소 부재가 설치되되, 상기 어소 부재는 사각형이나 원형 또는 삼각형의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진 통체로 이루어지고, 상면과 측면에는 다수 개의 관통 홀이 형성되며, 선단과 후단에는 일정한 높이로 턱이 형성되어 바닥에 진흙이나 모래층이 형성되고, 천장에는 사각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산란 판이 설치되며;
상기 지지 내벽은, 사각판형의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진 다수의 내벽 블록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내벽 블록은 상기 측면 개비온에 설치된 어소 부재와 연결되는 다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내벽 블록의 내측 면에는 상기 지지 블록과 어도 블록의 양단을 상하로 슬라이드 하여 결합하기 위한 결합 홈이 형성되며,
상기 어도 블록은, 중앙부에 형성되는 비월류벽과, 상기 비월류벽을 기준으로 양측에 상기 비월류벽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는 월류벽을 포함하고, 상기 비월류벽은 그 양측에서 상류 향하여 절곡 연장되는 유황조절벽에 의하여 상류를 향하여 개방되게 형성되는 유황조절포킷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개비온을 이용한 생물서식처가 구비된 어도.A biological habitat using environmentally friendly garbons including two rows of side-by-side spacing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 supporting inner wall closely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two rows of side-by-side spacing, and an island formed between the supporting inner walls For example,
A main body made of both side walls for supporting the outer side surfaces of the side rows of the two rows and a bottom for supporting the bottom side of the side rows;
A support block interposed between the support inner walls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o prevent the support inner wall from being pushed inward;
And a door block disposed at regular intervals between the support inner walls and forming a pool and a pool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airway,
The support block is made of a rectangular plate-shaped concrete structure.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block is provided with a swirling flow portion capable of swirling water.
The side widening temperature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of the element members, wherein the element member is formed of a cylindrical body having a rectangular or circular or triangular cross-sectional shape,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in the upper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A mud or sand layer is formed on the floor and a scattering plate having a rectangular plate shape is installed on the ceiling;
Wherein the support inner wall is formed of a plurality of inner wall blocks made of a concrete structure of a rectangular plate shape, the inner wall block ha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connected to a door element disposed at the side wall spacing, The support block and the groove block are formed with engagement grooves for sliding both ends of the block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rein the deodorization block includes an apertural wall formed at a central portion and a floatation wall formed at a lower level than the intertidal wall at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intertwined flow wall, Wherein the sulfur regulating pockets are formed to be open toward the upstream by the cliffs.
상기 측면 개비온 사이에는 이웃하는 개비온 사이에 물의 흐름을 차단하기 위한 차수시트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개비온을 이용한 생물서식처가 구비된 어도.The method of claim 3,
And an aft seat for blocking the flow of water is installed between adjacent side openings between the adjacent side openings.
상기 측면 개비온은, 철망과 상기 철망의 내부에 채워지는 다수의 개비온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측면 개비온의 상단부에는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식생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개비온을 이용한 생물서식처가 구비된 어도..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ide opening ratio is composed of a wire netting and a plurality of potting aids filled in the wire netting, and a vegetation part capable of planting plants is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side opening ratio. It's not ...
상기 식생부는 하부로부터 토양의 유실을 방지하는 부직포와, 식재기반을 형성하는 토양과, 상기 토양에 포함되어 갈수기에 식물에 수분을 공급하는 테라코템과, 상기 철망의 상면에 설치되어 토양과 씨앗을 보호하는 코이어네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개비온을 이용한 생물서식처가 구비된 어도.6. The method of claim 5,
The vegetation part includes a nonwoven fabric for preventing soil loss from the bottom part, a soil forming a planting base, a terra cotector for supplying moisture to the plant in the soil, and soil and seed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ire netting. And a corn net that protects the living organism.
상기 2열의 측면 개비온 사이에 형성되는 어도는 지그재그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개비온을 이용한 생물서식처가 구비된 어도.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air is formed in a staggered manner between the side rows of the two rows.
상기 어도는 하천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직교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수평 어도와, 상기 복수의 수평 어도 중 이웃하는 수평 어도의 단부를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천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복수의 수직 어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수평 어도는 하천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수직 어도는 하천의 길이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개비온을 이용한 생물서식처가 구비된 어도.14. The method of claim 13,
A plurality of horizontal air ports provid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iver and a plurality of vertical ports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iver so as to connect the ends of the horizontal air ports, Wherein the plurality of horizontal fishing lines ar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iver and the plurality of vertical fishing lines are incli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iver. .
상기 어도 본체는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지고, 가장자리에는 측벽이 형성되고, 가운데는 일정한 간격으로 지지 벽이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지지 벽의 단부에 형성된 개구부는 상하로 설치된 지지 벽의 양단에 교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개비온을 이용한 생물서식처가 구비된 어도.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main body is rectangular, the side walls are formed at the edges, the support walls are formed in parallel at regular intervals in the center, and the openings formed in the end portions of the support walls are alternately formed at both ends of the support walls Which is equipped with a habitat using environmentally friendly garbon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86617A KR101649454B1 (en) | 2015-12-24 | 2015-12-24 | Fishway with biological habitat by use of eco-friendly gab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86617A KR101649454B1 (en) | 2015-12-24 | 2015-12-24 | Fishway with biological habitat by use of eco-friendly gabio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49454B1 true KR101649454B1 (en) | 2016-08-18 |
Family
ID=56874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86617A KR101649454B1 (en) | 2015-12-24 | 2015-12-24 | Fishway with biological habitat by use of eco-friendly gab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49454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24674B1 (en) * | 2017-02-23 | 2018-02-01 | 이강덕 | Eco-friendly stone net using barbed anchor panel and u-shaped shackle, preventing a scouring of the slope of river and ford |
KR20190083290A (en) * | 2018-01-03 | 2019-07-11 | (주) 일신네이쳐 | Water-energy reduction type crib in which plant can be planted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25109B1 (en) | 2001-10-25 | 2004-03-3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 controlling of washing machine |
KR200441555Y1 (en) * | 2008-02-15 | 2008-08-26 | (주) 일신네이쳐 | Gabion for water purification |
KR20120112306A (en) * | 2012-08-27 | 2012-10-11 | 유한회사 태일토건 | Eco-friendly storage type agricultural channel |
KR20130113058A (en) * | 2012-04-05 | 2013-10-15 | (주)대길산업 | Multi-usable vegitation structure and method of constructing revetment with the same |
KR20150109701A (en) * | 2014-03-20 | 2015-10-02 | 변찬우 | An ecologocal check dam having zigzag-typed fishways and the method for the construction |
-
2015
- 2015-12-24 KR KR1020150186617A patent/KR101649454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25109B1 (en) | 2001-10-25 | 2004-03-3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 controlling of washing machine |
KR200441555Y1 (en) * | 2008-02-15 | 2008-08-26 | (주) 일신네이쳐 | Gabion for water purification |
KR20130113058A (en) * | 2012-04-05 | 2013-10-15 | (주)대길산업 | Multi-usable vegitation structure and method of constructing revetment with the same |
KR20120112306A (en) * | 2012-08-27 | 2012-10-11 | 유한회사 태일토건 | Eco-friendly storage type agricultural channel |
KR20150109701A (en) * | 2014-03-20 | 2015-10-02 | 변찬우 | An ecologocal check dam having zigzag-typed fishways and the method for the constructio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24674B1 (en) * | 2017-02-23 | 2018-02-01 | 이강덕 | Eco-friendly stone net using barbed anchor panel and u-shaped shackle, preventing a scouring of the slope of river and ford |
KR20190083290A (en) * | 2018-01-03 | 2019-07-11 | (주) 일신네이쳐 | Water-energy reduction type crib in which plant can be planted |
KR102084488B1 (en) * | 2018-01-03 | 2020-03-04 | (주) 일신네이쳐 | Water-energy reduction type crib in which plant can be planted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29234B1 (en) | A Gabion Shelter for Sea Cucumbers and Octopuses Capable of Inducing Sediment and Preventing Beach Erosion | |
US5269254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growing oyster reef | |
US20180245300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erosion control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 |
JP2007029058A (en) | Artificial floating island for submerged plant, method for forming submerged plant community by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cleaning water by using the same | |
JP5746545B2 (en) | Fry protection and reef | |
KR101649454B1 (en) | Fishway with biological habitat by use of eco-friendly gabion | |
KR101816075B1 (en) | Porous Eco Fish Nest Block made of Biopolymer, and Constructing Method for Fish Nest using such Block | |
KR20140004207U (en) | the abalone aquaculture shelter for water cistern | |
KR101326437B1 (en) | Artificial sea cucumber farm unit | |
KR101582443B1 (en) | Ecological gabion having place for fishes | |
JP3721455B2 (en) | Fish run-up structure and waterway member used therefor | |
KR20160001443A (en) | High-density three-dimensional medium-growing abalone shelter | |
JP4787868B2 (en) | Seawall structure with terrace structure | |
KR100315165B1 (en) | Box reef | |
JP3836771B2 (en) | Pond ecosystem conservation method and floating structure used in the method and its attached equipment | |
KR100762355B1 (en) | Structure for constructing a spawning ground block | |
JP4065442B2 (en) | Ecosystem-friendly waterway structure | |
CN109819928B (en) | Method for field facility transformation for comprehensive rice field planting of procypris merus | |
KR101050994B1 (en) | Multipurpose fish-breeding ground made by oak | |
KR20190041889A (en) | A Gabion Shelter for Sea Cucumbers and Octopuses Capable of Inducing Sediment and Preventing Beach Erosion | |
JP4125221B2 (en) | Coral sea culture method and apparatus | |
KR101223653B1 (en) | Multistage weir having rapids and puddles for an ecological river and construction method of rapids and puddles | |
KR101297419B1 (en) | ecology block for providing refugeof fish and terrestrial animal | |
JP3081169B2 (en) | Artificial waterways for aquatic life | |
JP2001152428A (en) | Environment revetment considering entire ecological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for water passag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12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