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7340B1 - Circular temporary earth retaining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multiple block - Google Patents
Circular temporary earth retaining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multiple block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47340B1 KR101647340B1 KR1020160018257A KR20160018257A KR101647340B1 KR 101647340 B1 KR101647340 B1 KR 101647340B1 KR 1020160018257 A KR1020160018257 A KR 1020160018257A KR 20160018257 A KR20160018257 A KR 20160018257A KR 101647340 B1 KR101647340 B1 KR 10164734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ircular
- blocks
- block assembly
- angle
- fasten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07—Shapes round, e.g. circle
- E02D2200/1621—Shapes round, e.g. circle made from multiple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원형 흙막이 구조물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간 활용이 극대화 될 수 있으며, 작업의 효율성 증가 및 공사기간 단축 효과를 확보할 수 있는 원형 흙막이 구조물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method of constructing a circular retention structure, more specifically, to a method of constructing a circular retention structure capable of maximizing space utilization and securing an effect of increasing work efficiency and shortening a construction period.
일반적으로 구조물의 기초는 H-파일이나 시트(sheet)-파일을 지중에 박은 후 목재 토류벽을 형성하여 흙막이 가시설을 제작하는 방식이 이용되고 있다.
In general, the foundation of the structure is formed by forming H-file or sheet-file into the ground and then forming a wooden earth wall to make a temporary earthwork.
구체적인 예로서, 종래의 흙막이 시공 방법에 따르면, 먼저 지면을 통해 다수 개의 H 빔을 박는다. 그리고 상기 다수 개의 H 빔의 사이로 토류벽을 설치하고, 이후 포크레인 등과 같은 중장비를 동원하여 터파기 작업을 실시하였다.
As a concrete example, according to a conventional earth retaining method, a plurality of H beams are first put through the ground. Then, a plurality of H beams were installed between them and a heavy equipment such as a fork-lift was used to carry out the ter- minating work.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시공 방식에 따르면, 주로 천공 작업이나 타격식 근입 작업으로 인해 소음과 진동이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흙막이 시공에는 흙막이 배면을 지지해주는 띠장, 그리고 이 띠장의 모서리에 설치되는 사보, 그리고 각 면의 측면 저항을 지지해주는 버팀대 등과 같은 다양한 부재의 설치 이용이 필수적으로 요구되었다. 이러한 연유로, 흙막이 시공을 위해서는 많은 장비와 인력이 필요하게 되고, 시공에 필요한 면적이 증가되어 공간 활용도를 저해하는 원인이 되어, 작업 효율성의 저하는 물론, 시공 비용 상승의 원인이 되었다.
However, according to such a conventional construction method, there is a problem that noise and vibration are inevitably generated mainly due to punching operation or striking operation. 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retention construction, it is essential to install various members such as a wale for supporting the backing of the retention wall, a slope installed on the edge of the belt, and a brace for supporting the lateral resistance of each side. Because of this, many equipment and manpower are required for the construction of the retaining walls, and the area required for construction is increased, which is a cause of hindering the space utilization, which causes a decrease in work efficiency and an increase in construction cost.
나아가, 이러한 종래의 흙막이 시공 방식에 따라 시공된 흙막이 구조는 일 측 면이 붕괴되거나 또는 구조의 사면 중에 상대적으로 약한 면에 나머지 면들의 토압이 쏠리면서 전체가 붕괴되는 문제가 유발될 우려가 있었다.
Further, there is a fear that the retaining structure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retaining construction method may collapse on one side or collapse on the relatively weak side of the structure due to the earth pressure of the remaining sides.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03350호(2014.05.28, 공개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문헌에는 흙막이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A related prior art is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403350 (published on May 28, 2014), which discloses a retaining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의 목적은, 공간 활용이 극대화 될 수 있으며, 작업의 효율성 증가 및 공사기간 단축 효과를 확보할 수 있는 원형 흙막이 구조물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constructing a circular retaining structure capable of maximizing space utilization, increasing efficiency of work, and shortening construction period.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nother problem (s) not mentioned here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형 흙막이 구조물 시공 방법은, (a) 설정 깊이로 터파기를 실시하는 단계; (b) 상기 터파기 된 외측 지면을 통해 다수의 블록을 원형으로 배치하는 단계; (c) 상기 원형으로 배치된 다수의 블록의 내주 면을 따라 L형 브라켓의 상부를 결합하는 단계; (d) 상기 L형 브라켓의 하부에서 상기 터파기 된 영역을 향해 다수의 연결블록을 종 방향으로 체결하는 동시에 상기 다수의 연결블록을 원주 방향으로 연결하여 원형의 블록 조립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e) 상기 원형의 블록 조립체의 하부로 상기 설정 깊이로 터파기를 추가 실시하고, 상기 추가로 터파기 된 영역을 통해 상기 원형의 블록 조립체를 추가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constructing a circular earth retaining structure, comprising the steps of: (a) (b) arranging a plurality of blocks in a circular pattern through the outer surface of the ground; (c) engaging an upper portion of the L-shaped bracket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lurality of blocks arranged in a circle; (d) longitudinally connecting a plurality of connecting blocks in a direction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L-shaped bracket toward the tearable region and connecting the plurality of connecting blocks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form a circular block assembly; And (e) further performing a trench at the set depth to a lower portion of the circular block assembly, and further forming the circular block assembly through the further touched reg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터파기가 실시되는 설정 깊이는 0.5m ~ 1.5m 범위 내에서 정해지는 것이 좋은데, 더욱 바람직한 예로서, 상기 터파기가 실시되는 깊이는 1m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연유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형 흙막이 구조물 시공 방법의 경우 지면 하로 목표하는 깊이의 터파기를 단번에 실시하는 것이 아니라 1m 등으로 정해진 일부의 깊이로 터파기를 실시하고 원형의 블록 조립체를 설치한 다음, 다시 설정 깊이로 터파기를 추가한 후 원형의 블록 조립체를 다시 연결 설치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set depth at which the waveguide is implemented is preferably within a range of 0.5 m to 1.5 m. As a more preferred example, the depth at which the waveguide is implemented is preferably 1 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the method of constructing the circular retain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ead of performing the treading operation at a desired depth, the treading operation is performed at a certain depth determined by 1 m, Next, you can add a turf to the reset depth and then reconnect the circular block assembly.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블록은 사각 형상으로 연결된 4개의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블록 간의 연결 부위에는 삼각 형상의 삽입블록이 연결되되, 상기 삽입블록은, 2개의 경사 플레이트와, 상기 경사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연결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상기 블록이 연결되어 원형으로 배치될 때 상기 블록 각각의 측면을 지지해줄 수 있다.
In the step (b), the block includes four plates connected in a rectangular shape, and a triangular insertion block is connected to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blocks, wherein the insertion block includes two inclined plates, And a connecting plate connecting the blocks to each other to support the side surfaces of the blocks when the blocks are connected and arranged in a circular shape.
또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삽입블록은, 상기 블록과 적어도 2개 이상의 체결볼트에 의해 체결되며, 상기 체결볼트는 상기 경사 플레이트의 폭 중심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체결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step (b), the insertion block may be fastened to the block by at least two fastening bolts, and the fastening bolt may be fastened with a gap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center of the width of the slanted plate .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L형 브라켓은, 직으로 상향 돌출된 수직 플레이트와, 상기 수직 플레이트의 하단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 형성된 수평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 플레이트는 상기 블록의 내주 면을 형성하는 플레이트와 다수의 체결볼트로 체결될 수 있다.
In the step (c), the L-shaped bracket includes a vertical plate protruding upward in a straight line and a horizontal plate extending horizontally from a lower end of the vertical plate, the vertical plate forming an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lock Plate and a plurality of fastening bolts.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연결블록은, 상하로 간격을 두고 형성하는 2개의 가로 플레이트; 상기 가로 플레이트의 양단에 교차하도록 연결되는 2개의 세로 플레이트; 및 상기 가로 플레이트 및 상기 세로 플레이트의 내측에 형성된 사각의 개방부위를 차폐하여 형성된 사각 프레임을 포함한다. In the step (d), the connection block may include two horizontal plates formed at upper and lower intervals; Two vertical plate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horizontal plate so as to cross each other; And a rectangular frame formed by shielding a square opening portion formed inside the transverse plate and the vertical plate.
또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다수의 연결블록이 원주 방향으로 연결하여 원형의 블록 조립체를 형성하되, 상기 원형의 블록 조립체는 상기 터파기가 실시되는 설정 깊이에 대응하는 높이를 갖는 원통 형상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만일 터파기 된 깊이가 1m인 경우 다수의 연결블록을 원주 방향으로 조립하여 완성시킨 원형의 블록 조립체의 높이는 1m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In addition, in the step (d), the plurality of connection blocks may be connect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form a circular block assembly, and the circular block assembly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height corresponding to a setting depth ≪ / RTI > For example, if the trench depth is 1 m, the height of the circular block assembly, which is completed by assembling a plurality of connecting block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may be 1 m,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연결블록의 상단은 상기 L형 브라켓의 수평 플레이트와 다수의 체결볼트로 체결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step (d), an upper end of the connection block may be fastened with a horizontal plate of the L-type bracket and a plurality of fastening bolts.
또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원형의 블록 조립체를 형성하는 상기 다수의 연결블록 각각의 사이에는 앵글스페이서가 결합되며, 상기 앵글스페이서는 상기 다수의 연결블록 사이의 틈새를 메워줄 수 있는 삼각형 또는 부채꼴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Further, in the step (d), an angle spacer is coupled between each of the plurality of connection blocks forming the circular block assembly, and the angle spacer includes a triangle Or a fan-shaped cross-section.
또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앵글스페이서는 양 측면을 통해 한 쌍의 연결블록의 측면과 밀착되도록 상기 앵글스페이서와 상기 한 쌍의 연결블록은 다수의 앵글볼트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In the step (d), the angle spacer and the pair of connection blocks may be fastened by a plurality of angle bolts such that the angle spacer is in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s of the pair of connection blocks through both side surfaces.
또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앵글볼트는 상기 앵글스페이서와 상기 앵글스페이서를 중심으로 양측에 밀착 배치된 상기 한 쌍의 연결블록을 동시에 관통하도록 설정 각도로 구부러진 형상을 갖는 경사 몸체; 상기 경사 몸체의 일단부에 고정되는 제1 너트 몸체; 및 상기 경사 몸체의 타단부를 통해 체결되어 상기 앵글스페이서와 상기 한 쌍의 연결블록을 고정시키는 제2 너트 몸체;를 포함한다.
In addition, in the step (d), the angle bolt may include an inclined body having a shape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so as to simultaneously penetrate the pair of connection blocks closely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angle spacer and the angle spacer; A first nut body fixed to one end of the inclined body; And a second nut body coupled through the other end of the inclined body to fix the angle spacer and the pair of connection blocks.
본 발명에 의한 원형 흙막이 구조물 시공 방법에 의하면, 작업 시 공간 활용이 극대화 될 수 있으며, 작업의 효율성 증가 및 공사기간 단축 효과를 확보할 수 있는 유리한 기술적 효과를 갖는다. According to the method of constructing a circular reten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aximize space utilization during operation, and to obtain an advantageous effect of increasing work efficiency and shortening construction period.
예를 들면, 본 발명에 의한 원형 흙막이 구조물의 경우 기존의 사각형 흙막이 구조물에 설치되는 띠장 및 가로/세로 방향을 가로지르는 버팀대 등의 추가 부재 사용이 배제되어 작업의 효율성이 증가하고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circular reten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 of additional members such as a wale installed on a conventional rectangular retention structure and a brace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eliminated, thereby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the work and shortening the construction period .
또한, 굴착한 수직면에 설치된 원형의 블록 조립체는 바깥 원 지름과 내측 원지름의 크고 작음을 이용하여 부재 자체의 버팀 능력뿐만 아니라 전체 토압에 의한 압축응력이 작용하여 버팀 능력이 증가하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이로써 안전한 작업공간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circular block assembly installed on the excavated vertical surface provides a structure in which the compressive stress due to the total earth pressure acts not only by the bending ability of the member itself but also by the large and small outer and inner diameters . This has the advantage of providing a safe working space.
또한, 설정 깊이로 터파기가 실시된 후 터파기 된 방향, 즉 종 방향으로 원형의 블록 조립체가 시공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터파기를 위한 장비만 있다면 원형의 블록 조립체를 조립하는 작업은 인력을 통해 수행될 수 있어 강 자재들을 다루는 장비와 인력이 다수 소요되는 여타 다른 공법 보다 시공비가 저렴하며 공사 기간이 짧다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circular block assembly is constructed in the direction of the trench after the trenching is performed at the set depth, that i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assembly of the circular block assembly is performed through the workforce And it is advantageous in that the construction cost is low and the construction period is shorter than other equipments that require a lot of equipments and manpower to handle steel materials.
특히, 수작업으로 원형의 블록 조립체를 시공할 수 있어 장비 운영으로 인한 운영소음, 근입 작업으로 인한 작업소음 등이 발생하지 않아 공사 주변의 소음 공해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 circular block assembly by hand, so there is no noise generated due to operational noise due to equipment operation, operation noise due to insertion operation, and thus noise pollution around the construction can be prevented.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 시공 방법에 비하여 자재와 장비 사용이 현저 하게 줄어들기 때문에 공사비용을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으며, 공간 활용의 극대화로 인해 작업 효율이 향상되며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 공사 소음과 공사 기간에 대하여 민감하게 반응하는 도심지 시공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use of materials and equipment is remarkably reduced compared with existing construction methods, the construction cost can be effectively lowered, the working efficiency can be improved due to maximization of space utilization, It can be used effectively in urban construction, which is sensitive to noise and construction period.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형 흙막이 구조물 시공 방법에 관하여 간략히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블록 원형 배치 단계를 간략히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브라켓 결합 단계를 간략히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원형의 블록 조립체 형성 단계를 간략히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원형의 블록 조립체의 부분 조립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P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앵글볼트의 체결 형상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터파기 추가 실시 및 블록 조립체 추가 형성 단계를 간략히 도시한 공정도들이다. FIG. 1 is a flowchart briefly showing a method of constructing a circular earth retain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rocess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block circular placement step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rocess diagram briefly showing a bracket coupling step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rocess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tep of forming a circular block assembly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showing a partially assembled state of the circular block assembly shown in Fig. 4. Fig.
6 is an enlarged view of the area P shown in FIG.
7 is an enlarged view of the fastening shape of the angle bolt shown in Fig.
FIGS. 8 and 9 are flow charts schematically showing steps of performing additional terraces and forming additional blocks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It is provided to inform.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형 흙막이 구조물 시공 방법에 관하여 간략히 도시한 순서도이다.FIG. 1 is a flowchart briefly showing a method of constructing a circular earth retain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형 흙막이 구조물 시공 방법은 터파기 단계(S100), 블록 원형 배치 단계(S200), 브라켓 결합 단계(S300), 블록 조립체 형성 단계(S400), 및 터파기 추가 실시 및 블록 조립체 추가 형성 단계(S50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a method of constructing a circular earth retain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enching step S100, a block rounding step S200, a bracket coupling step S300, a block assembly forming step S400, And a step of performing additional ter- minator and forming an additional block assembly (S500).
터파기 단계(S100)In step S100,
본 단계는 터파기 단계로서, 설정 깊이로 터파기를 실시하는 단계에 해당한다. This step corresponds to the step of performing the terahertz at the set depth as the terahertz step.
바람직하게는, 상기 터파기가 실시되는 설정 깊이는 0.5m ~ 1.5m 범위 내에서 정해지는 것이 좋다. Preferably, the setting depth at which the terahertz wave is applied is preferably set within a range of 0.5 m to 1.5 m.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터파기는 1m 정도의 깊이로 실시될 수 있다. As a specific example, the terahertz wave can be conducted at a depth of about 1 m.
즉, 기존의 흙막이 시공과 달리 터파기 작업 시 필요한 깊이를 단번에 파내는 형태가 아니라, 후술될 원형의 블록 조립체(300, 도 4 참조)가 설치될 높이에 대응하는 깊이만큼만 터파기가 실시될 수 있다. That is, unlike the conventional earth retaining structure, the depth required for the terra corrugation operation is not limited to one time, but the terrain can be implemented only by the depth corresponding to the height at which the circular block assembly 300 (see FIG.
따라서 본 단계에서 1m 정도로 터파기가 실시되면, 해당 깊이만큼 원형의 블록 조립체를 설치할 수 있으며, 이후 다시 해당 깊이만큼 터파기를 실시하고서 추가로 원형의 블록 조립체를 설치하는 방식에 따를 수 있다. 즉, 터파기 작업과 원형의 블록 조립체 설치 작업은 교대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refore, if a trench is formed at a depth of about 1 m in this step, a circular block assembly can b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epth, and then a trench may be formed at a depth corresponding to the depth, followed by installing a circular block assembly. That is, the tearing operation and the circular block assembly installation work can be performed alternately.
도 2를 참조하면, 설정 높이(예: 1m 등)로 지면 아래로 홀(H)이 형성되어 터파기 된 영역(A1)의 예시적인 형상을 확인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a hole H is formed below the ground at a set height (for example, 1 m) to confirm an exemplary shape of the turfed area A1.
블록 원형 배치 단계(S200)Block circular placement step S200
본 단계는 블록 원형 배치 단계로서, 이전 단계에서 터파기 된 외측 지면을 통해 다수의 블록을 원형으로 배치하는 단계에 해당한다. This step corresponds to the step of arranging a plurality of blocks in a circular shape through the outer ground cut off in the previous step as a block circular placement step.
도 2를 참조하면, 이전 단계에서 터파기 된 영역(A1)의 가장자리 바깥쪽 지면을 따라 다수의 블록(110)이 연결되어 원형으로 배치된 구조물(100)의 구체적인 형상을 확인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a plurality of
구체적인 예로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블록(110)은 사각 형상으로 연결된 4개의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블록(110) 간의 연결 부위에는 삼각 형상의 삽입블록(120)이 연결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the
여기서, 삽입블록(120)은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의 블록(110)이 도 2와 같이 원형으로 배치될 경우 서로 간의 이격된 공간을 메워주어 다수의 블록(110)의 배치 위치를 가이드 해줄 수 있으며, 다수의 블록(110) 간의 연결상태를 견고하게 해줄 수 있다. Here, when the
이러한 삽입블록(12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경사 플레이트(121)와, 경사 플레이트(121)를 연결하는 연결 플레이트(1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2개의 경사플레이트(121)는 소정의 중심각(a)만큼 벌어지도록 연결됨에 따라 상기 삽입블록(120)은 등변 삼각형과 같은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이러한 삽입블록(120)은 다수의 블록(110)이 연결되어 원형으로 배치될 때 블록(110) 각각의 측면을 지지해준다. This
그리고, 상기 삽입블록(120)은 다수의 블록(110)과 적어도 2개 이상의 체결볼트(130)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The
다수의 체결볼트(130)는 경사 플레이트(121)의 폭 중심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일자 형태로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plurality of fastening
브라켓 결합 단계(S300)Bracket coupling step S300
본 단계는 브라켓 결합 단계로서, 원형으로 배치된 다수의 블록의 내주 면을 따라 L형 브라켓의 상부를 결합하는 단계에 해당한다. This step is a bracket coupling step, which corresponds to the step of joining the upper portion of the L-shaped bracket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plurality of blocks arranged in a circle.
도 3을 참조하면, 본 단계의 공정도로서 이전 단계에서 원형으로 배치된 다수의 블록(110)의 내주 면을 따라 다수의 L형 브라켓(210)의 상부가 결합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이로써, 다수의 L형 브라켓(210)은 터파기 홀(H)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된 브라켓 배치 구조물(200)을 형성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as a process of this step, it can be seen that a plurality of L-shaped
구체적인 예로서, L형 브라켓(21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플레이트(211)와 수평 플레이트(21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수직 플레이트(211)는 수직으로 상향 돌출된 부위로서, 이전 단계에서 원형으로 배치된 블록(110)과 다수의 체결볼트(220)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As a specific example, the L-shaped
한편, 수평 플레이트(213)는 수직 플레이트(211)의 하단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the
원형의 블록 조립체 형성 단계(S400)In the circular block assembly forming step S400,
본 단계는 원형의 블록 조립체 형성 단계에 해당한다. This step corresponds to a round block assembly forming step.
도 4를 참조하면, 이전 단계에서 설치된 L형 브라켓(210)의 하부에서 터파기 된 영역(A1, 도 2 참조)을 향해 다수의 연결블록(310)을 종 방향으로 체결한다. 이와 동시에, 다수의 연결블록(310)을 원주 방향으로 연결해주는데, 이로써 원형, 더 구체적으로는 띠 형상의 블록 조립체(300)가 조립 완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a plurality of connection blocks 310 are longitudinally fastened to the tearable region A1 (see FIG. 2)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L-shaped
이러한 원형의 블록 조립체(300)의 조립이 완성된 다음에는, 추가적으로 설정 깊이만큼 터파기가 실시되어 추가로 터파기 된 영역(A2)이 제공될 수 있다. After the assembly of this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원형의 블록 조립체의 부분 조립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P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FIG. 5 is a view showing a partially assembled state of the circular block assembly shown in FIG. 4, and FIG. 6 is an enlarged view of the P region shown in FIG.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연결블록(310)은 상하로 간격을 두고 형성하는 2개의 가로 플레이트(311, 도 6 참조)와, 가로 플레이트의 양단에 교차하도록 연결되는 2개의 세로 플레이트(313, 도 6 참조)를 포함한다. 그리고 가로 플레이트(311, 도 6 참조) 및 세로 플레이트(313, 도 6 참조)의 내측에 형성된 사각의 개방부위를 차폐하여 형성된 사각 프레임(315, 도 6 참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5 and 6, the
이와 같이 구성된 연결블록(310, 도 6 참조) 다수 개가 터파기 된 영역을 통해 원주 방향으로 하나씩 조립되어 설치됨에 따라 전체적으로 띠 형상을 이루는 원형의 블록 조립체(300, 도 4 참조)를 형성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connection blocks 310 (see FIG. 6) thus constructed are assembl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e by on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that a circular block assembly 300 (see FIG. 4) having a strip shape as a whole can be formed .
그리고, 이러한 원형의 블록 조립체(300, 도 4 참조)는 이전 단계에서 실시된 터파기 된 영역의 설정 깊이에 대응하는 높이를 갖는 원통(또는 띠) 형상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circular block assembly 300 (see FIG. 4) is preferably formed of a cylindrical (or band) structure having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set depth of the touched region performed in the previous step, but is not limited thereto .
또한, 상기 연결블록(310, 도 6 참조)의 상단은 전술한 L형 브라켓(210, 도 6 참조)의 수평 플레이트(213, 도 6 참조)와 다수의 체결볼트(230, 도 6 참조)로 체결될 수 있다. 6) of the L-type bracket 210 (see FIG. 6) and a plurality of fastening bolts 230 (see FIG. 6) .
여기서, 다수의 체결볼트(230, 도 6 참조)는 L형 브라켓(210, 도 6 참조)의 수평 플레이트(213, 도 6 참조)의 폭 중심에서 길이 방향으로 일자 형태로 체결될 수 있는데, 동일 간격을 두고 관통 체결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fastening bolts 230 (see FIG. 6) can be faste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center of the width of the horizontal plate 213 (see FIG. 6) of the L-shaped
한편, 본 단계에서, 원형의 블록 조립체(300, 도 4 참조)를 형성하는 다수의 연결블록(310, 도 6 참조) 각각의 사이에는 앵글스페이서(320, 도 6 참조)가 결합될 수 있다. Meanwhile, in this step, an angle spacer 320 (see FIG. 6) may be coupled between each of the plurality of connection blocks 310 (see FIG. 6) forming the circular block assembly 300 (see FIG. 4).
이러한 앵글스페이서(320, 도 6 참조)는 다수의 연결블록(310, 도 6 참조) 사이의 틈새를 메워줄 수 있는 삼각형 또는 부채꼴형 단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The angle spacer 320 (see FIG. 6) is preferably, but not limited to, a triangular or fan-shaped cross section that can fill the gap between the plurality of connection blocks 310 (see FIG. 6).
이와 같은 앵글스페이서(320, 도 6 참조)는 양 측면을 통해 한 쌍의 연결블록(310, 도 6 참조)의 측면과 밀착되도록 앵글스페이서(320, 도 6 참조)와 한 쌍의 연결블록(310, 도 6 참조)은 다수의 앵글볼트(330, 도 6 참조)에 의해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다.6) and the pair of connection blocks 310 (see FIG. 6) are form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s of the pair of connection blocks 310 (see FIG. 6) through both sides of the
구체적인 예로서, 앵글볼트(330, 도 6 참조)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 몸체(331), 제1 너트 몸체(333), 제2 너트 몸체(335), 연장 몸체(337)로 구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7, the angle bolt 330 (see FIG. 6) includes an
경사 몸체(331)는 앵글스페이서(320)와 앵글스페이서(320)를 중심으로 양측에 밀착 배치된 한 쌍의 연결블록, 연결블록의 세로 플레이트(313)를 동시에 관통하여 연결시키도록 설정 각도(b)로 구부러진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앵글스페이서(320)와 한 쌍의 세로 플레이트(313)는 빈틈없이 밀착될 수 있으며, 구조물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제1 너트 몸체(333)는 경사 몸체(331)의 일단부에 고정될 수 있으며, 제2 너트 몸체(335)는 경사 몸체(331)의 타단부를 통해 체결되어 앵글스페이서(320)와 한 쌍의 연결블록을 고정시켜 줄 수 있다. The
이와 같은 방식으로 본 단계를 통해 형성되는 원형의 블록 조립체(300, 도 4 참조)는 완벽한 원을 이루게 되고, 각각의 연결블록(310) 자체의 하중은 원형 바깥쪽에서 받는 토압으로 인해 감소하게 되고 하중 분산 효과가 향상되어 보다 안정적인 구조를 확보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circular block assembly 300 (see FIG. 4) formed through this step becomes a perfect circle, and the load of each connecting block 310 itself decreases due to the earth pressure received from the outside of the circle, The dispersion effect is improved and a more stable structure can be secured.
특히, 연결블록(310)과 앵글스페이서(320)가 빈틈없이 단단히 연결되어 완전한 원형(300)을 이루게 되면 일종의 차수벽을 형성하게 되고, 이러한 차수벽은 공사 과정의 임시 물막이로도 사용 할 수 있으며, 심각한 누수로 인하여 지반함몰이 예상되는 지역에서는 지수제를 사전에 도포하여 공사 현장에서 요구하는 차수성을 확보 할 수 있는 유리한 기술적 효과를 가진다.
Particularly, when the
터파기 추가 실시 및 블록 조립체 추가 형성 단계(S500)In the step of adding additional teracas and forming a block assembly (S500)
본 단계는 터파기 추가 실시 및 블록 조립체 추가 형성 단계이다. This step is an additional step of performing terahertz and an additional step of forming a block assembly.
도 8을 참조하면, 이전 단계에서 설치 조립한 원형의 블록 조립체(300)의 하부로 터파기가 추가 실시될 수 있으며, 추가로 터파기 된 영역을 통해 원형의 블록 조립체(300)가 교대로 추가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a turbulator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즉, 도 8에 도시된 원형의 블록 조립체(300)는 4차례 반복하여 지면 아래로 연결된 모습을 나타내는데, 이후 다섯 번째 터파기가 추가로 실시되어 A5와 같은 터파기 영역이 확보될 수 있다. 그리고 별도로 도시하진 않았으나 A5와 같이 확보된 터파기 영역을 통해 5번째 원형의 블록 조립체(300)가 조립 설치될 수 있다. That is, the
이와 같이, 설정 깊이(예: 1m 등)로 터파기가 추가 되고, 터파기 된 영역으로 다수의 연결블록을 이용하여 원형의 블록 조립체(300)를 추가 형성하는 조립 작업이 별도의 장비 없이 수작업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이들 작업은 필요한 만큼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그 결과 도 9에 도시된 형태와 같은 원형 흙막이 구조물의 설치가 완료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 tread pattern is added at a predetermined depth (for example, 1 m), and the assembling work for further forming the
종전의 경우 실시되었던 H-파일이나 시트(Sheet)-파일을 이용한 기존의 흙막이 공법은 터파기 작업 시 땅속 지장물이 노출되면 지장물의 회피를 위한 별도의 추가 공정이 요구되었다. Existing cladding method using H-file or sheet-file, which had been performed in the past, required an additional process for avoiding obstacles when exposed to the ground obstruction during the terrasing operation.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구조물 시공 공법에 의하면 지장물이 노출된 위치에 설치해야 할 연결블록(310, 도 6 참조)으로서, 사각 프레임(315, 도 6 참조)이 미리 탈거된 형상, 예를 들면 도 2의 블록(110)과 같은 형태로 교체 설치할 수 있어 원형 구조의 변형 없이도 지장물의 회피가 용이한 유리한 기술적 효과가 있다.
However, according to the method of constructing the retain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block 310 (see FIG. 6) to be installed at a position where the obstacle is exposed,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작업 시 공간 활용이 극대화 될 수 있으며, 작업의 효율성 증가 및 공사기간 단축 효과를 확보할 수 있는 유리한 기술적 효과를 갖는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space utilization in the operation, and to have an advantageous technological effect of securing the efficiency of the work and shortening the construction period.
예를 들면, 본 발명에 의한 원형 흙막이 구조물의 경우 기존의 사각형 흙막이 구조물에 설치되는 띠장 및 가로/세로 방향을 가로지르는 버팀대 등의 추가 부재 사용이 배제되어 작업의 효율성이 증가하고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circular reten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 of additional members such as a wale installed on a conventional rectangular retention structure and a brace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eliminated, thereby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the work and shortening the construction period .
또한, 굴착한 수직면에 설치된 원형의 블록 조립체는 바깥 원 지름과 내측 원지름의 크고 작음을 이용하여 부재 자체의 버팀 능력뿐만 아니라 전체 토압에 의한 압축응력이 작용하여 버팀 능력이 증가하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이로써 안전한 작업공간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circular block assembly installed on the excavated vertical surface provides a structure in which the compressive stress due to the total earth pressure acts not only by the bending ability of the member itself but also by the large and small outer and inner diameters . This has the advantage of providing a safe working space.
또한, 설정 깊이로 터파기가 실시된 후 터파기 된 방향, 즉 종 방향으로 원형의 블록 조립체가 시공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터파기를 위한 장비만 있다면 원형의 블록 조립체를 조립하는 작업은 인력을 통해 수행될 수 있어 강 자재들을 다루는 장비와 인력이 다수 소요되는 여타 다른 공법 보다 시공비가 저렴하며 공사 기간이 짧다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circular block assembly is constructed in the direction of the trench after the trenching is performed at the set depth, that i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assembly of the circular block assembly is performed through the workforce And it is advantageous in that the construction cost is low and the construction period is shorter than other equipments that require a lot of equipments and manpower to handle steel materials.
특히, 수작업으로 원형의 블록 조립체를 시공할 수 있어 장비 운영으로 인한 운영소음, 근입 작업으로 인한 작업소음 등이 발생하지 않아 공사 주변의 소음 공해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 circular block assembly by hand, so there is no noise generated due to operational noise due to equipment operation, operation noise due to insertion operation, and thus, it is possible to prevent noise pollution around the construction.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 시공 방법에 비하여 자재와 장비 사용이 현저 하게 줄어들기 때문에 공사비용을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으며, 공간 활용의 극대화로 인해 작업 효율이 향상되며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 공사 소음과 공사 기간에 대하여 민감하게 반응하는 도심지 시공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use of materials and equipment is remarkably reduced compared with existing construction methods, the construction cost can be effectively lowered, the working efficiency can be improved due to maximization of space utilization, It can be used effectively in urban construction, which is sensitive to noise and construction perio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is obvious that a transformation can be made. 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explicitly described and described, but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effects that can be predicted by the configurations should also be recognized.
S100: 터파기 단계
S200: 블록 원형 배치 단계
S300: 브라켓 결합 단계
S400: 블록 조립체 형성 단계
S500: 터파기 추가 실시 및 블록 조립체 추가 형성 단계
100: 블록 원형 배치 구조물
110: 블록
120: 삽입블록
121: 경사 플레이트
123: 연결 플레이트
130: 체결볼트
200: 브라켓 배치 구조물
210: 브라켓
211: 수직 플레이트
213: 수평 플레이트
220, 230: 체결볼트
300: 원형의 블록 조립체
310: 연결블록
311: 가로 플레이트
313: 세로 플레이트
315: 사각 프레임
320: 앵글스페이서
330: 앵글볼트
331: 경사 몸체
333: 제1 너트 몸체
335: 제2 너트 몸체
337: 연장 몸체S100:
S200: block circular placement step
S300: Bracket coupling step
S400: Block assembly formation step
S500: Additional construction of the digging machine and additional forming steps of the block assembly
100: block circular arrangement structure
110: block
120: Insertion block
121: Inclined plate
123: connecting plate
130: fastening bolt
200: Bracket arrangement structure
210: Bracket
211: Vertical plate
213: Horizontal plate
220 and 230: fastening bolts
300: circular block assembly
310: connection block
311: Horizontal plate
313: Vertical plate
315: Square frame
320: Angle spacer
330: Angle bolt
331: inclined body
333: first nut body
335: second nut body
337: Extension body
Claims (10)
(b) 상기 터파기 된 외측 지면을 통해 다수의 블록을 원형으로 배치하는 단계;
(c) 상기 원형으로 배치된 다수의 블록의 내주 면을 따라 L형 브라켓의 상부를 결합하는 단계;
(d) 상기 L형 브라켓의 하부에서 상기 터파기 된 영역을 향해 다수의 연결블록을 종 방향으로 체결하는 동시에 상기 다수의 연결블록을 원주 방향으로 연결하여 원형의 블록 조립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e) 상기 원형의 블록 조립체의 하부로 상기 설정 깊이로 터파기를 추가 실시하고, 상기 추가로 터파기 된 영역을 통해 상기 원형의 블록 조립체를 추가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블록은 사각 형상으로 연결된 4개의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블록 간의 연결 부위에는 삼각 형상의 삽입블록이 연결되되, 상기 삽입블록은, 2개의 경사 플레이트와, 상기 경사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연결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상기 블록이 연결되어 원형으로 배치될 때 상기 블록 각각의 측면을 지지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흙막이 구조물 시공 방법.
(a) performing a terahertz to a set depth;
(b) arranging a plurality of blocks in a circular pattern through the outer surface of the ground;
(c) engaging an upper portion of the L-shaped bracket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lurality of blocks arranged in a circle;
(d) longitudinally connecting a plurality of connecting blocks in a direction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L-shaped bracket toward the tearable region and connecting the plurality of connecting blocks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form a circular block assembly; And
(e) further performing a trough at the set depth to a lower portion of the circular block assembly, and further forming the circular block assembly through the further tear-off region,
In the step (b), the block includes four plates connected in a rectangular shape,
The insertion block includes a pair of inclined plates and a connecting plate connecting the inclined plates. When the blocks are connected and are arranged in a circular shape, And the side walls are supported by the side walls.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삽입블록은,
상기 블록과 적어도 2개 이상의 체결볼트에 의해 체결되며, 상기 체결볼트는 상기 경사 플레이트의 폭 중심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체결되는 원형 흙막이 구조물 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tep (b)
The insertion block includes:
And the fastening bolts are fastened to the block by at least two fastening bolts, and the fastening bolts are fastened at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center of the width of the slanted plate.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L형 브라켓은,
수직으로 상향 돌출된 수직 플레이트와, 상기 수직 플레이트의 하단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 형성된 수평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 플레이트는 상기 블록의 내주 면을 형성하는 플레이트와 다수의 체결볼트로 체결되는 원형 흙막이 구조물 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In the step (c)
The L-
A vertical plate protruding vertically upwardly and a horizontal plate horizontally extending from a lower end of the vertical plate,
Wherein the vertical plate is fastened with a plate formi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lock and a plurality of fastening bolts.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연결블록은,
상하로 간격을 두고 형성하는 2개의 가로 플레이트;
상기 가로 플레이트의 양단에 교차하도록 연결되는 2개의 세로 플레이트; 및
상기 가로 플레이트 및 상기 세로 플레이트의 내측에 형성된 사각의 개방부위를 차폐하여 형성된 사각 프레임을 포함하는 원형 흙막이 구조물 시공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In the step (d)
The connection block includes:
Two lateral plates formed at an interval in the vertical direction;
Two vertical plate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horizontal plate so as to cross each other; And
And a rectangular frame formed by shielding a square opening portion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horizontal plate and the vertical plate.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다수의 연결블록이 원주 방향으로 연결하여 원형의 블록 조립체를 형성하되,
상기 원형의 블록 조립체는 상기 터파기가 실시되는 설정 깊이에 대응하는 높이를 갖는 원통 형상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흙막이 구조물 시공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In the step (d)
Wherein the plurality of connection blocks are connect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form a circular block assembly,
Wherein the circular block assembly comprises a cylindrical structure having a height corresponding to a set depth at which the terra cotta is implemented.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연결블록의 상단은 상기 L형 브라켓의 수평 플레이트와 다수의 체결볼트로 체결되는 원형 흙막이 구조물 시공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In the step (d)
And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on block is fastened by a horizontal plate of the L-type bracket and a plurality of fastening bolts.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원형의 블록 조립체를 형성하는 상기 다수의 연결블록 각각의 사이에는 앵글스페이서가 결합되며,
상기 앵글스페이서는 상기 다수의 연결블록 사이의 틈새를 메워줄 수 있는 삼각형 또는 부채꼴형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흙막이 구조물 시공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In the step (d)
An angle spacer is coupled between each of the plurality of connection blocks forming the circular block assembly,
Wherein the angle spacer has a triangular or sectorial cross-section that can fill a gap between the plurality of connection blocks.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앵글스페이서는 양 측면을 통해 한 쌍의 연결블록의 측면과 밀착되도록 상기 앵글스페이서와 상기 한 쌍의 연결블록은 다수의 앵글볼트에 의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흙막이 구조물 시공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In the step (d)
Wherein the angle spacer and the pair of connection blocks are fastened by a plurality of angle bolts such that the angle spacer is in close contact with a side surface of the pair of connection blocks through both side surfaces thereof.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앵글볼트는 상기 앵글스페이서와 상기 앵글스페이서를 중심으로 양측에 밀착 배치된 상기 한 쌍의 연결블록을 동시에 관통하도록 설정 각도로 구부러진 형상을 갖는 경사 몸체;
상기 경사 몸체의 일단부에 고정되는 제1 너트 몸체; 및
상기 경사 몸체의 타단부를 통해 체결되어 상기 앵글스페이서와 상기 한 쌍의 연결블록을 고정시키는 제2 너트 몸체;를 포함하는 원형 흙막이 구조물 시공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In the step (d)
Wherein the angle bolt includes an inclined body having a shape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so as to simultaneously pass through the pair of connection blocks closely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angle spacer and the angle spacer;
A first nut body fixed to one end of the inclined body; And
And a second nut body fastened through the other end of the inclined body to fix the angle spacer and the pair of connection block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18257A KR101647340B1 (en) | 2016-02-17 | 2016-02-17 | Circular temporary earth retaining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multiple block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18257A KR101647340B1 (en) | 2016-02-17 | 2016-02-17 | Circular temporary earth retaining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multiple block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47340B1 true KR101647340B1 (en) | 2016-08-11 |
Family
ID=56714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18257A KR101647340B1 (en) | 2016-02-17 | 2016-02-17 | Circular temporary earth retaining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multiple block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47340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52669B1 (en) | 2018-04-27 | 2019-02-27 | (주)이산 | Temporary facility circular retaining wall method using arched steel plate and guide structure |
WO2022016720A1 (en) * | 2020-07-22 | 2022-01-27 | 深圳市工勘岩土集团有限公司 | Temporary passage construction method employing support structure in deep foundation pit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51408Y1 (en) * | 2001-07-14 | 2001-11-17 | 주식회사 대흥종합엔지니어링건축 | A pier structure using a prefabrcated steel mould |
KR200298107Y1 (en) * | 2002-09-16 | 2002-12-12 | 윤흥규 | Filler spacer |
KR200379954Y1 (en) * | 2004-12-16 | 2005-03-28 | (주) 선암기술연구소 | Standardization Caission Block |
JP2005127006A (en) * | 2003-10-23 | 2005-05-19 | Jfe Metal Products & Engineering Inc | Immersion earth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immersion earth retaining wall |
-
2016
- 2016-02-17 KR KR1020160018257A patent/KR101647340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51408Y1 (en) * | 2001-07-14 | 2001-11-17 | 주식회사 대흥종합엔지니어링건축 | A pier structure using a prefabrcated steel mould |
KR200298107Y1 (en) * | 2002-09-16 | 2002-12-12 | 윤흥규 | Filler spacer |
JP2005127006A (en) * | 2003-10-23 | 2005-05-19 | Jfe Metal Products & Engineering Inc | Immersion earth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immersion earth retaining wall |
KR200379954Y1 (en) * | 2004-12-16 | 2005-03-28 | (주) 선암기술연구소 | Standardization Caission Block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52669B1 (en) | 2018-04-27 | 2019-02-27 | (주)이산 | Temporary facility circular retaining wall method using arched steel plate and guide structure |
WO2022016720A1 (en) * | 2020-07-22 | 2022-01-27 | 深圳市工勘岩土集团有限公司 | Temporary passage construction method employing support structure in deep foundation pi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58520B1 (en) | Earth retaining wall using phc pile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 |
KR20170005991A (en) | soil retaining wall using PHC pil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101341679B1 (en) | Device for constructing an underground structure and method thereof | |
KR101612521B1 (en) | Method for constructing underground structures restraining transformation and using external wall | |
KR20100068597A (en) | A shoring method using arch plate pile and h-pile | |
KR101572561B1 (en) | Steel assembly for Pile | |
KR100789210B1 (en) | Land-side protection wall using composite pile connected two piles in a body | |
KR20150060079A (en) | Wall Shoring Structure | |
KR101647340B1 (en) | Circular temporary earth retaining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multiple block | |
JP6650257B2 (en) | Mountain retaining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0633013B1 (en) | Pile for retaining wall having connector bolt, connection structure and method of retaining wall | |
JP2012036720A (en) | Open-cut excavation structure using lining panel, and open-cut excavation construction method | |
KR20140015019A (en) | Arch wall shoring structure | |
KR101069702B1 (en) | Method for installing waterproofing steel plate and soil-drop preventing plate in construction of undergound tunnel | |
KR100711576B1 (en) | Reinforcement structure for entrance of tunne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200369479Y1 (en) | The land-side protection wall panel | |
KR100789209B1 (en) | Land-side protection wall using composite pile connected two piles in a body | |
KR101348339B1 (en) | The pressing device of underground strucyure for non-excavation method and its construccting methods thereof | |
KR102091972B1 (en) | H-pile for earth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of earth retaining wall using the same | |
KR200399769Y1 (en) | Steel frame revetment using earth anchor | |
KR102195496B1 (en) | Pile for earth self-retaining wall using cast in place concrete pile with double I beam | |
KR20190084633A (en) | Top-down construction method for concrete building structure using steel pile underground wall and shear support plate | |
KR101952669B1 (en) | Temporary facility circular retaining wall method using arched steel plate and guide structure | |
KR101266161B1 (en) | Retaining method using two rows pile and connector of two rows pile for the same | |
KR102575701B1 (en) | A method of open cut excavation tunnel using a messer plat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