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6008B1 -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용 기수분리장치 및 이를 갖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용 기수분리장치 및 이를 갖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6008B1
KR101646008B1 KR1020140088394A KR20140088394A KR101646008B1 KR 101646008 B1 KR101646008 B1 KR 101646008B1 KR 1020140088394 A KR1020140088394 A KR 1020140088394A KR 20140088394 A KR20140088394 A KR 20140088394A KR 101646008 B1 KR101646008 B1 KR 1016460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cooling fluid
diameter
section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8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8348A (ko
Inventor
오창욱
예창우
Original Assignee
(주)오씨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씨티 filed Critical (주)오씨티
Priority to KR1020140088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6008B1/ko
Publication of KR20160008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83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6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6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1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an adsorption ste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5/00Apparatus in which the axial direction of the vortex is rever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용 기수분리장치 및 이를 갖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교반 과정에서 유기성 폐기물로부터 발생 된 증기에 함유된 수분분리 효율을 높여 교반공간 내 유기성 폐기물의 수분함유량을 적정수준으로 유지함으로써 미생물의 활성화를 극대화시키고, 이와 동시에 수분 분리과정에서 증기에 함유된 분진이나 기타 미세 부산물도 함께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증기가 이동되는 배관의 막힘 현상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용 기수분리장치 및 이를 갖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Water separation apparatus and processing unit of organic waste}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등의 유기성 폐기물을 미생물에 의해 분해하여 처리하는 처리장치에 적용되는 기수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기성 폐기물로부터 발생 되는 증기에 함유된 수분분리 효율을 높이고 기수분리 과정에서 증기에 함유된 분진이나 미세 부산물의 분리도 함께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관의 막힘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 쓰레기 등의 유기성 폐기물은 매립하거나 건조시켜 퇴비화시켜 재 사용하는 형태로 처리되고 있었다.
매립방식은 유기성 폐기물에 함유된 수분에 의한 취출수로 인해 토양의 오염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고 퇴비화하는 방식 또한 별도의 건조과정 등의 여러 공정을 거쳐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도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처리 방식 외에 유기성 폐기물을 교반공간 내에서 교반시키는 과정에서 미생물을 투입하여 미생물이 유기성 폐기물을 분해함으로써 유기성 폐기물이 액화되도록 하고 액상의 폐기물을 수 처리과정을 통해 정화 후 방류하는 방식의 미생물분해방식이 많이 적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미생물 분해방식은 교반 과정에서 교반공간 내 온도를 적정수준으로 가열된 상태에서 유기성 폐기물의 수분 함유량이 약 40%정도를 유지해야지만 미생물에 의한 분해효율이 극대화된다.
따라서 기존에는 교반 과정에서 유기성 폐기물로부터 발생된 증기를 외부로 배출 및 수집한 뒤 별도의 기수분리장치를 이용해 증기에 함유된 수분을 분리시키고, 이렇게 수분이 분리된 증기를 적정수준으로 가열한 뒤 교반공간에 재 투입시킴으로써 증기에 의한 유기성 페기물의 적정 온도를 유지함과 동시에 유기성 폐기물의 수분함유량도 적정수분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렇게 사용되는 기존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의 기수분리장치는 교반장치로내 유기성 폐기물로부터 배출된 고온의 증기가 별도 케이스 내에 지그재그 형태로 배설된 냉각파이프를 따라 이동하면서 열교환에 의해 수분이 분리되어 수분함유량이 저하된 뒤 교반장치 내부로 다시 유입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러한 기존의 기수분리장치는 증기의 열교환 구간을 최대화하기 위해 냉각파이프가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어 있고, 교반장치로부터 배출된 증기에는 미생물과 함께 투입되는 톱밥이나 왕겨 등의 분진이나 유기성 폐기물에 함유된 미세 부산물 등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증기가 냉각파이프를 지나는 과정에서 분진이나 미세 부산물이 냉각파이크의 곡선 구간 내부면에 점차 쌓이게 되고, 이로 인해 장기간 사용 시 분진이나 미세 부산물에 의해 냉각파이프의 막힘 현상이 발생 된다.
특허문헌 공개실용신안공보 10-2011-0006550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본적으로 교반 과정에서 유기성 폐기물로부터 발생 된 증기에 함유된 수분분리 효율을 높여 교반공간 내 유기성 폐기물의 수분함유량을 적정수준으로 유지함으로써 미생물의 활성화를 극대화시키고, 이와 동시에 수분 분리과정에서 증기에 함유된 분진이나 기타 미세 부산물도 함께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증기가 이동되는 배관의 막힘 현상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제안된 본 발명 중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용 기수분리장치는,
상측에는 교반부 내 유기성 폐기물로부터 발생 된 증기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단면에는 증기배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부에는 수분 및 이물질 낙하구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수용공간 중 상기 유입구와 상기 수분 및 이물질 낙하구 사이 구간은 하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줄어드는 형태의 직경감소구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공간과 상기 직경감소구간의 내벽면이 원형곡면을 이루는 회전유도케이스, 상기 회전유도케이스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회전유도케이스 내 증기와의 열교환을 위한 냉각유체를 공급하는 냉각유체 공급부, 일단부가 상기 냉각유체 공급부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직경감소구간 내에 배설되어 있으며 타단부가 상기 냉각유체 공급부와 연결되어 냉각유체가 상기 냉각유체 공급부와 직경감소구간을 거치도록 순환시키는 냉각유체 순환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유입구는 외부로부터 유입된 증기가 상기 수용공간의 내벽면 둘레를 따라 이동될 수 있는 방향을 향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각유체 순환관 중 상기 직경감소구간 내에 위치하는 구간은 나선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단부가 상기 수분 및 이물질 낙하구와 연결되어 있는 수거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거함의 상부면은 상기 수분 및 이물질 낙하구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수거함의 상부면 중 상기 수분 및 이물질 낙하구 주변에는 역유입방지턱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기수분리장치를 갖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는,
유기성 폐기물이 수용되어 교반이 이루어지는 교반장치, 상기 교반장치 일측에 위치하고 내부가 증기공급배관을 통해 상기 교반장치 내부와 연통되어 있으며 상기 교반장치 내 유기성 폐기물로부터 발생된 증기가 내부로 유입되되 내부에는 하단부로 갈수록 내부직경이 감소되는 원형의 직경감소구간이 형성되어 있고 유입된 상기 증기가 내벽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직경감소구간 내에서 증기에 함유된 수분이 분리되고 이물질은 낙하되며 수분과 이물질이 분리된 증기는 상승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회전유도케이스와, 상기 기수분리장치 일측에 위치하고 냉각유체를 공급하는 냉각유체 공급부와, 상기 냉각유체 공급부와 연결되어 있고 일부 구간이 상기 직경감소구간 내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냉각유체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냉각유체가 직경감소구간을 지나도록 하며 직경감소구간 내에서 상기 기수분리장치 내부로 유입된 증기와 상기 냉각유체 간의 간접접촉에 의해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냉각유체 순환관을 갖는 기수분리장치, 상기 회전유도케이스와 상기 교반장치를 연결하고 있으며 상기 회전유도케이스로부터 배출된 증기를 상기 교반장치로 이동시키는 증기회수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회전유도케이스는 상측에는 교반부 내 유기성 폐기물로부터 발생 된 증기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단면에는 증기배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부에는 수분 및 이물질 낙하구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수용공간 중 상기 유입구와 상기 수분 및 이물질 낙하구 사이 구간은 하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줄어드는 형태의 직경감소구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공간과 상기 직경감소구간의 내벽면이 원형곡면을 이룰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각유체 순환관 중 상기 직경감소구간 내에 위치하는 구간은 나선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여러 실시 예를 갖는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교반장치 내 유기성 폐기물로부터 배출된 증기가 회전유도케이스 내부로 유입됨과 동시에 직경감소구간 내 내벽면을 따라 회전되면서 냉각유체 순환관 내 냉각유체와 열교환됨에 따라 증기에 함유된 수분이 냉각유체 순환관 외벽면에 응결되어 분리되고,
증기의 회전과정에서 증기에 함유된 분진 등의 이물질은 증기에 비해 높은 중량으로 인해 아래로 낙하함에 따라 증기와 분리되기 때문에,
기존과 달리 증기와 수분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싸이클론 방식에 의해 증기에 함유된 이물질도 함께 분리될 수 있으므로 이물질에 의한 배관 막힘 현상이 방지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냉각유체 순환관이 직경감소구간 내에서 나선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증기와 냉각유체 간의 열교환 구간이 증대되므로, 결국 수분분리효율도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더불어 회전유도케이스와 연결된 수거함의 상부면의 면적이 회전유도케이스의 이물질 배출구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이로 인해 이물질 배출구 주변에는 역유입방지턱이 형성됨으로써,
수거함으로 낙하되어 저장된 이물질이 회전유도케이스 내부와의 압력차이로 인해 상승되더라고 역유입방지턱에 걸려 회전유도케이스 내부로 유입되기 어려우므로 이물질의 회수 효율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1은 본 발명 중 기수분리장치를 갖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의 전체 개략도
도2는 기수분리장치의 확대 개략도
도3은 증기가 기수분리장치로 유입되는 모습을 나타낸 개략도
도4는 도3의 평면 개략도
도5는 증기가 회전유도케이스 내에서 회전하면서 수분이 분리되고 이물질이 싸이클론 원리에 의해 낙하되어 수거함에 저장되는 모습을 나타낸 개략도
이하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교반장치(100)와 기수분리장치(300), 증기공급배관(200) 및 증기회수배관(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교반장치(100)는 음식물 쓰레기 등의 유기성 폐기물(1)이 수거된 뒤 교반과 더불어 미생물에 의한 분해 과정이 이루어지는 부분으로, 다시 교반케이스(110)와 교반구동부(120)로 나뉘어 구성된다.
먼저 교반케이스(110)는 유기성 폐기물(1)의 교반 공간 및 분해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내부에 교반공간(112)이 형성되어 있고 일측에는 폐기물투입구(114)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분해된 폐기물의 배출구(116)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교반구동부(120)는 교반케이스(110) 내부로 유입된 유기성 폐기물(1)을 교반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다시 교반스크류(122)가 교반케이스(110) 내부 전후측을 횡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형태로 설치되고 교반스크류(122)는 일측에 연결된 구동모터(124)에 의해 회전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교반케이스(110) 내에는 유기성 폐기물(1)의 분해를 위한 미생물(미도시)이 투입되는데 미생물은 왕겨나 톱밥 등과 혼합된 형태로 투입되어 왕겨나 톱밥 표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유기성 폐기물과 함께 교반이 이루어지고, 교반 과정에서 미생물이 유기성 폐기물과 접촉됨에 따라 유기성 폐기물을 분해하며, 결국 유기성 폐기물은 분해에 의해 액상 상태로 변화된 후 배출구(116)를 통해 배출된다.
이렇게 교반 과정에서 유기성 폐기물이 미생물에 의해 원활하게 분해되기 위해서는 유기성 폐기물이 적정 온도로 가열됨과 동시에 유기성 폐기물의 수분함유량이 약 40%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교반과정에서 교반케이스(110) 내부를 가열함에 따라 유기성 폐기물로부터 증기가 발생 되고 증기는 교반케이스 외부로 배출된 후 후술하는 기수분리장치를 거치면서 수분함유량이 저하된 채로 다시 교반케이스에 공급되어 유기성 폐기물의 가열원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교반장치(100)에는 증기공급배관(200)이 연결된다.
증기공급배관(200)은 교반과정에서 유기성 폐기물(1)로부터 발생된 증기를 후술하는 기수분리장치(300)로 공급하기 위한 증기의 이동경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단순 배관 형태이고 일단부가 교반케이스(110)에 연결되어 교반공간(112) 내 증기가 증기공급배관(200) 내부로 유입되어 교반케이스(110) 외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증기공급배관(200)의 타단부에는 기수분리장치(300)가 연결된다.
기수분리장치(300)는 교반과정에서 유기성 폐기물(1)로부터 발생된 증기를 수거하여 증기에 함유된 수분을 분리해냄과 동시에 증기에 함유된 기타 미세 이물질도 함께 분리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참고적으로 본 발명의 기수분리장치는 싸이클론 원리 및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기수분리장치(300)는 [도 2]와 같이 다시 회전유도케이스(310)와 냉각유체 공급부(330) 및 냉각유체 순환관(3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 중 회전유도케이스(310)는 싸이클론 현상으로 인해 증기와 수분 및 이물질의 분리가 실질적으로 이루어지는 부분으로, 전체적으로 원통 형태이고 내부 상측에는 수용공간(312)이 형성되고 상측둘레면 일측에는 유입구(314)가 형성되며 유입구(314)에는 증기공급배관(200)의 타단부가 연결된다.
따라서 교반케이스(110)에서 배출된 증기는 증기공급배관(200)을 따라 이동한 뒤 유입구(314)를 통해 회전유도케이스(310)의 상측 수용공간(312)으로 유입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유입구(314)는 회전유도케이스(310)의 내벽면과 정면으로 마주보도록 형성되지 않고 [도 4]와 같이 각도가 약간 틀어진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유입구를 통해 배출된 증기가 수용공간(312)의 내벽면 둘레면을 따라 원형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회전유도케이스(310)의 하단부에는 수분과 이물질의 배출을 위한 수분 및 이물질 낙하구(315)가 형성되는데, 이때 회전유도케이스(310)의 내부 중 유입구(314)와 수분 및 이물질 낙하구(315) 사이 구간은 아래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줄어드는 형태의 직경감소구간(316)이 형성된다.
즉 수용공간(312)과 직경감소구간(316)은 전체적으로 내벽면이 원형곡면을 이루는 형태이되, 직경감소구간(316)은 내부 직경이 아래쪽으로 갈수록 줄어드는 깔대기 형태를 갖는다.
이 상태에서 회전유도케이스(310)의 상부면에는 증기배출구(317)가 형성되고, 회전유도케이스(310)의 하부에는 수거함(320)이 연결설치된다.
수거함(320)은 회전유도케이스(310) 내부로 유입된 증기로부터 분리된 수분과 이물질이 수분 및 이물질 낙하구(315)를 통과해 낙하하여 수거 저장되는 부분으로, 전체적으로 내부에 저장공간(322)이 형성되어 있는 박스 형태이고 상단면 중앙이 회전유도케이스(310)의 수분 및 이물질 낙하구(315)와 연통된 형태로 연결된다.
그리고 수거함(320)의 바닥면에는 최종배출공(325)이 형성되어 저장된 이물질과 수분이 최종배출공(325)을 통해 회부로 최종 수거 처리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수거함(320)의 상부면은 회전유도케이스(310)의 수분 및 이물질 낙하구(315) 직경보다 크게 형성됨에 따라 수거함(320)의 상부면 중 수분 및 이물질 낙하구(315) 주변에는 직경차이로 인한 역유입방지턱(324)이 자연스럽게 형성된다.
이렇게 수거함(320)까지 연결된 회전유도케이스(310)에는 냉각유체 공급부(330)와 냉각유체 순환관(340)이 연결된다.
냉각유체 공급부(330)는 회전유도케이스(310)로 유입된 증기로부터 열교환을 통해 수분을 분리해내기 위한 냉각유체를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회전유도케이스(310) 일측에 위치된다.
참고로 냉각유체는 냉각수나 기타 냉동사이클에 사용되는 냉각용 열매체가 적용될 수 있다.
냉각유체 순환관(340)은 냉각유체 공급부(330)로부터 공급된 냉각유체를 회전유도케이스 내부로 공급함과 동시에 다시 냉각유체 공급부(330)로 공급하는 순환 경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단순 배관 형태이고 일단부가 냉각유체 공급부(330)의 유체배출공(미도시)와 연결된 상태에서 일부 구간이 회전유도케이스(310)의 직경감소구간(316) 내에 배설된다.
이때 냉각유체 순환관(340) 중 회전유도케이스(310)의 직경감소구간(316) 내에 배설되느 구간은 나선형태로 배설됨에 따라 냉각유체가 직경감소구간(316)을 지나는 경로가 최대한 길게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냉각유체 순환관(340)의 타단부는 회전유도케이스(310)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냉각유체 공급부(330)의 유체회수공(미도시)와 연결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냉각유체 공급부(330)로부터 공급된 냉각유체는 냉각유체 순환관(340)을 따라 이동하면서 회전유도케이스(310)의 직경감소구간(316)을 지난 후 냉각유체 공급부(330)로 다시 회수된 후 다시 회전유도케이스(310) 쪽으로 공급되는 순환 구조를 갖는다.
이상 설명한 기수분리장치(300)에는 증기회수배관(400)이 연결된다.
증기회수배관(400)은 회전유도케이스(310) 내에서 수분과 이물질이 분리된 상태의 증기를 교반케이스(110)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이동 경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단순 배관 형태이고 일단부는 회전유도케이스(310)의 증기배출구(317)와 연결되며 타단부는 교반케이스(110) 내부와 연결된다.
이때 증기회수배관(400)에는 흡기장치(410)가 연결됨에 따라 흡기장치(410)의 흡기력에 의해 회전유도케이스(310) 내에 위치한 증기가 증기회수배관(400)을 따라 쉽게 교반케이스 쪽으로 이동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이 상태에서 교반케이스(110) 내부 중 증기회수배관(400)과의 연결지점 부근에는 히터(500)가 설치됨으로써 증기회수배관(400)을 통해 교반케이스(110) 내부로 유입되는 증기를 적정온도로 가열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에 의한 본 실시 예의 작용 및 그 과정에서 발생 되는 특유의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교반케이스(110) 내부로 유입된 유기성 폐기물(1)은 미생물과 혼합된 상태로 교반구동부(120)에 의해 교반 되고, 교반 과정에서 미생물과의 반응으로 인해 액상화 과정을 거친다.
이러한 교반 과정에서 히터(500)에 의해 교반케이스(110) 내부가 가열되고 이로 인해 유기성 폐기물(1)로부터 증기가 발생 된다.
이렇게 발생 된 증기에는 수분과 더불어 기타 미세 이물질이 함유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증기는 증기공급배관(200)을 통해 교반케이스(110) 외부로 배출된 뒤 증기공급배관(200)을 따라 이동하여 회전유도케이스(310)의 유입구(314)를 통해 회전유도케이스(310)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증기회수배관(400)의 흡기장치(410)가 작동됨에 따라 흡기장치에 의한 흡기력이 회전유도케이스(310) 내 수용공간(312)까지 작용 되므로, 증기공급배관(200) 내 증기는 이러한 흡기력에 의해 빠른 속도록 회전유도케이스(310)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유입구(314)는 회전유도케이스(310)의 내벽면과 정면으로 마주하지 않고 약간 틀어진 형태로 위치됨에 따라, 유입구(314)를 통과한 증기는 곧바로 수용공간(312)의 내벽면 둘레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회전하게 된다.
이렇게 증기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직경감소구간(316)의 내벽면과도 접촉되면서 회전하게 되는데, 직경감소구간(316)은 아래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되는 형태이기 때문에, 이러한 회전 과정에서 증기는 냉각유체 순환관(340) 중 회전유도케이스(310) 내부에 위치한 나선구간 표면과 접촉된다.
이로 인해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증기와 냉각유체가 간접 열교환됨에 따라 증기에 함유된 수분이 냉각유체 순환관 표면에 응결됨으로써 증기와 분리된다.
이때 냉각유체 순환관이 나선형태를 이룸에 따라 그만큼 냉각유체와 증기 간의 접촉면적이 최대화 되므로, 결국 그만큼 수분의 분리효율도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렇게 증기의 회전 과정에서 수분의 분리, 즉 기수분리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증기는 직경감소구간(316)의 내벽면과도 접촉되어 직경감소구간(316)의 내벽면을 따라 회전되는데,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직경감소구간(316)의 직경이 아래쪽으로 갈수록 줄어드는 형태이기 때문에,
회전 과정에서 증기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은 상대적으로 중량이 크므로 그만큼 증기에 비해 원심력이 크게 작용하게 되고 이로 인해 [도 5]와 같이 회전 과정에서 직경감소구간(316)의 내부면을 따라 점차 아래로 하강하게 된다.
반면 수분과 이물질이 분리된 상태의 증기는 증기배출구(317)에 작용되는 흡기력에 의해 점차 상승하여 증기배출구(317)로 유입됨과 동시에 증기회수배관(400)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직경감소구간의 내부면을 따라 점차 하강 되던 이물질은 수분 및 이물질 낙하구(315)를 통해 낙하하여 수거함(320) 내 저장공간(322) 내에 수용되어 쌓이게 된다.
더불어 냉각유체 순환관(340) 표면에 응결된 수분은 응결량이 증가 됨에 따라 낙하하여 수분 및 이물질 낙하구(315)를 통해 수거함 내에 수용된다.
그리고 증기회수배관(400)을 통해 이동된 증기는 교반케이스(110) 내로 다시 유입됨과 동시에 히터에 의해 적정온도로 가열된 상태에서 유기성 폐기물에 공급된다.
이렇게 재차 공급되는 증기는 수분은 물론 이물질도 분리된 상태이기 때문에 이동 및 교반케이스 내부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이물질이 증기회수 배관 내 벽면에 쌓이는 현상이 최소화되며, 이로 인해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이물질에 의해 증기회수배관이 막히는 등의 현상이 방지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특징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거나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나, 이러한 변형 및 조합이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에 포함된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되어야 한다.
100 : 교반장치 110 : 교반케이스
112 : 교반공간 114 : 폐기물투입구
116 : 배출구 120 : 교반구동부
122 : 교반스크류 124 : 구동모터
200 : 증기공급배관 300 : 기수분리장치
310 : 회전유도케이스 312 : 수용공간
314 : 유입구 315 : 수분 및 이물질 낙하구
316 : 직경감소구간 317 : 증기배출구
320 : 수거함 322 : 저장공간
324 : 역유입방지턱 330 : 냉각유체 공급부
340 : 냉각유체 순환관 400 : 증기회수배관
410 : 흡기장치 500 : 히터
325 : 최종배출공

Claims (7)

  1. 상측에는 교반부 내 유기성 폐기물로부터 발생 된 증기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단면에는 증기배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부에는 수분 및 이물질 낙하구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수용공간 중 상기 유입구와 상기 수분 및 이물질 낙하구 사이 구간은 하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줄어드는 형태의 직경감소구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공간과 상기 직경감소구간의 내벽면이 원형곡면을 이루는 회전유도케이스,
    상기 회전유도케이스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회전유도케이스 내 증기와의 열교환을 위한 냉각유체를 공급하는 냉각유체 공급부,
    일단부가 상기 냉각유체 공급부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직경감소구간 내에 배설되어 있으며 타단부가 상기 냉각유체 공급부와 연결되어 냉각유체가 상기 냉각유체 공급부와 직경감소구간을 거치도록 순환시키는 냉각유체 순환관을 포함하고,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단부가 상기 수분 및 이물질 낙하구와 연결되어 있는 수거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수거함의 상부면은 상기 수분 및 이물질 낙하구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수거함의 상부면 중 상기 수분 및 이물질 낙하구 주변에는 역유입방지턱이 형성되어 있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용 기수분리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유입구는 외부로부터 유입된 증기가 상기 수용공간의 내벽면 둘레를 따라 이동될 수 있는 방향을 향해 형성되어 있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용 기수분리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냉각유체 순환관 중 상기 직경감소구간 내에 위치하는 구간은 나선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용 기수분리장치.
  4. 삭제
  5. 유기성 폐기물이 수용되어 교반이 이루어지는 교반장치,
    상기 교반장치 일측에 위치하고 내부가 증기공급배관을 통해 상기 교반장치 내부와 연통되어 있으며 상기 교반장치 내 유기성 폐기물로부터 발생된 증기가 내부로 유입되되 내부에는 하단부로 갈수록 내부직경이 감소되는 원형의 직경감소구간이 형성되어 있고 유입된 상기 증기가 내벽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직경감소구간 내에서 증기에 함유된 수분이 분리되고 이물질은 낙하되며 수분과 이물질이 분리된 증기는 상승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회전유도케이스와, 상기 회전유도케이스의 일측에 위치하고 냉각유체를 공급하는 냉각유체 공급부와, 상기 냉각유체 공급부와 연결되어 있고 일부 구간이 상기 직경감소구간 내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냉각유체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냉각유체가 직경감소구간을 지나도록 하며 직경감소구간 내에서 상기 회전유도케이스 내부로 유입된 증기와 상기 냉각유체 간의 간접접촉에 의해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냉각유체 순환관을 갖으며,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단부가 상기 수분 및 이물질 낙하구와 연결되어 있는 수거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거함의 상부면은 상기 수분 및 이물질 낙하구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수거함의 상부면 중 상기 수분 및 이물질 낙하구 주변에는 역유입방지턱이 형성되어 있는 기수분리장치,
    상기 회전유도케이스와 상기 교반장치를 연결하고 있으며 상기 회전유도케이스로부터 배출된 증기를 상기 교반장치로 이동시키는 증기회수배관,
    을 포함하는
    기수분리장치를 갖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회전유도케이스는,
    상측에는 교반부 내 유기성 폐기물로부터 발생 된 증기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단면에는 증기배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부에는 수분 및 이물질 낙하구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수용공간 중 상기 유입구와 상기 수분 및 이물질 낙하구 사이 구간은 하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줄어드는 형태의 직경감소구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공간과 상기 직경감소구간의 내벽면이 원형곡면을 이루는
    기수분리장치를 갖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7. 제6항에서,
    상기 냉각유체 순환관 중 상기 직경감소구간 내에 위치하는 구간은 나선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기수분리장치를 갖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KR1020140088394A 2014-07-14 2014-07-14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용 기수분리장치 및 이를 갖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KR1016460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8394A KR101646008B1 (ko) 2014-07-14 2014-07-14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용 기수분리장치 및 이를 갖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8394A KR101646008B1 (ko) 2014-07-14 2014-07-14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용 기수분리장치 및 이를 갖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8348A KR20160008348A (ko) 2016-01-22
KR101646008B1 true KR101646008B1 (ko) 2016-08-12

Family

ID=55308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8394A KR101646008B1 (ko) 2014-07-14 2014-07-14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용 기수분리장치 및 이를 갖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60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09977A (zh) * 2021-01-19 2021-04-27 南京聚拓化工科技有限公司 一种汽包及废热锅炉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8044B1 (ko) * 2002-07-05 2005-03-22 고천일 유기 폐기물 처리 장치
KR101344148B1 (ko) * 2013-05-09 2014-01-15 김점희 다목적 원심 집진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7839U (ja) * 1993-04-07 1994-11-01 森永乳業株式会社 分離機能を有する粉体熱交換器
KR20110006550A (ko) 2009-07-13 2011-01-20 강성탁 나선형 기수분리 구조를 가지는 증기가열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8044B1 (ko) * 2002-07-05 2005-03-22 고천일 유기 폐기물 처리 장치
KR101344148B1 (ko) * 2013-05-09 2014-01-15 김점희 다목적 원심 집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8348A (ko) 2016-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260998B (en) High speed treatment machine for organic waste
CN103643910B (zh) 一种废弃油基泥浆中泥浆及柴油基的回收装备
KR101276405B1 (ko) 탈수성능이 향상된 진공 드럼 농축기
CN108105790B (zh) 含油污泥阴燃处理装置
JP2010195590A (ja) ローターを備えた移送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生ごみ処理装置
KR101217795B1 (ko) 인을 제거하기 위한 폐수 처리장치
KR101646008B1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용 기수분리장치 및 이를 갖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US11772987B2 (en) System and method for multi-functional slurry processing
JP2008284483A (ja) 乾燥装置
KR20140100824A (ko) 연속 탈수형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
KR100825994B1 (ko) 축산 폐수 및 분뇨 처리시스템
KR20140096495A (ko) 직접건조방식의 사이클론 건조장치
KR100409230B1 (ko) 음식물쓰레기 초고속 유동 건조 및 발효장치
JP5932288B2 (ja) 吸着分離装置
KR101855615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107253791A (zh) 智能环保厕所用的污物分离干燥装置
KR100847067B1 (ko) 축산폐수 처리 시스템
JP2006007220A (ja) 嫌気性水処理装置
JP7003192B1 (ja) 有機性汚泥の処理設備および処理方法
CN214528556U (zh) 一种废水零排放处理装置
CN209702464U (zh) 废水蒸发工艺母液的处理系统
KR101544730B1 (ko) 간접건조방식의 사이클론 건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건조시스템
RU79976U1 (ru) Промышленный технологический комплекс по переработке и утилизации нефтесодержащих отходов
KR102522459B1 (ko) 개선된 반응조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건조 응축수의 재활용 시스템
CN110078283A (zh) 含盐矿井水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