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4153B1 - 문 - Google Pate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4153B1
KR101644153B1 KR1020140148600A KR20140148600A KR101644153B1 KR 101644153 B1 KR101644153 B1 KR 101644153B1 KR 1020140148600 A KR1020140148600 A KR 1020140148600A KR 20140148600 A KR20140148600 A KR 20140148600A KR 101644153 B1 KR101644153 B1 KR 101644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blocking
door
presen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8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0460A (ko
Inventor
이대희
유종근
윤자문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48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4153B1/ko
Publication of KR20160050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04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4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4153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문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문은 판상형으로 형성되는 몸체부;상기 몸체부의 두께 방향으로 상기 몸체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개구부; 상기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상기 개구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차단부; 및 상기 개구부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차단부에 결합되는 작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문{DOOR}
본 발명은 문에 관한 것이다.
문의 양측에 각각 가해지는 압력이 다른 경우 문에 형성되는 압력차에 의해서 문을 개방하는 것이 곤란해 질 수 있다. 특히, 선박의 경우, 선실의 각 구역은 용접시공 등을 통하여 밀폐되도록 지어지므로 자연 환기를 기대하기 어렵다.
또한, 선실의 강제 환기를 위한 공조 장치의 균형이 어긋날 경우 문의 양측에 형성되는 압력차는 육상에 설치되는 구조물의 경우보다 훨씬 큰 값을 갖게 된다.
한편, 문의 개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문의 일부에 개구 영역을 형성하여 문의 압력차를 해소하는 방법이 있으나, 상기 개구 영역은 항상 개방되어 있어 에너지 효율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상기 개구 영역을 통과하는 유속이 증가하는 경우 소음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을 야기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7-92306호(2007.04.12)
본 발명은 문의 양측에 발생하는 압력차를 선택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문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판상형으로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두께 방향으로 상기 몸체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개구부; 상기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상기 개구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차단부; 및 상기 차단부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차단부에 결합되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문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개구부의 일 영역만을 차단하도록 상기 개구부에 설치되는 제1 차단부재; 및 상기 일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차단하도록 상기 제1 차단부재의 적어도 일 측에 배치되는 제2 차단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제1 차단부재 및 상기 제2 차단부재를 상대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몸체부는 상기 차단부를 수용하도록 상기 개구부의 내측면으로부터 리세스되게 형성되는 수용홈을 포함하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개구부의 개방 시, 상기 차단부를 상기 수용홈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차단부에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차단부에 결합되는 복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부는 복수로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의 양측을 각각 차단하도록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개구부에 결합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되는 제1 링크부재; 및 상기 제1 링크부재와 연동하여 상기 차단부를 상기 개구부의 내측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제1 링크부재와 상기 차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제2 링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단부에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작동부에 결합되는 복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몸체부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차단부를 포함하므로, 문의 양측에 형성되는 압력차를 해소하여 문을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고, 에너지 효율 및 소음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부와 작동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라인 Ⅰ-Ⅰ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차단부의 이동으로 개구부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라인 Ⅱ-Ⅱ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차단부의 이동으로 개구부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에 따른 문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은 용어는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 기호에 불과하며,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이 제1, 제2 등의 용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10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문(100)은 몸체부(110), 개구부(120), 차단부(130) 및 작동부(140)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문은 공간을 구획하도록 설치된 구조물을 총칭한다. 따라서 사람이 드나드는 곳에 개폐할 수 있도록 설치된 구조물뿐만 아니라 특정 구역을 구획하기 위하여 개폐되는 모든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문(100)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문(100)은 판상형으로 형성되는 몸체부(110)를 포함한다. 몸체부(110)는 어느 일 공간이 다른 공간에 대해서 열리거나 닫히도록 일 공간을 개폐하는 부분이다. 몸체부(110)는 문틀을 포함하는 지지부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으며, 몸체부(110)는 지지부에 대해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10)의 형상은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판상이란 일정한 두께를 갖는 판 모양의 모든 형상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110)가 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판상형으로 형성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고, 일정 두께를 갖는 판상형이라면 그 단면 형상은 제한되지 않을 것이다.
한편, 몸체부(110)는 두께 방향(D1)과 각각 교차하는 폭 방향(D2) 및 길이 방향(D3)을 가지고, 몸체부(110)의 폭 방향(D2)과 길이 방향(D3) 또한 서로 교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문(100)은 몸체부(110)의 두께 방향(D1)으로 몸체부(110)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개구부(120)를 포함한다. 개구부(120)는 몸체부(110)의 어느 일 영역에도 형성될 수 있으며, 몸체부(110)에 복수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110)는 두께 방향(D1)을 따라 교차하도록 형성되는 전면과 후면을 포함하고, 개구부(120)는 몸체부(110)의 두께 방향(D1)으로 몸체부(110)를 관통하여 형성되므로, 몸체부(110)의 전면과 후면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이때, 개구부(120)의 단면 형상은 몸체부(110)의 두께 방향(D1)을 따라 변화할 수 있다.
차단부(130)는 개구부(120)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개구부(12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차단부(130)는 개구부(120)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도록 개구부(120)에 설치된다. 차단부(130)에 의해서 개구부(120)가 개방되는 경우, 개구부(120)를 통하여 유체가 흐를 수 있다.
즉, 문(100)의 양측에 형성되는 압력이 다른 경우, 개구부(120)는 유체가 흐르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고, 이러한 유로를 통하여 높은 압력을 유지하는 측에서 낮은 압력을 유지하는 측으로 공기 또는 그 밖에 기체가 흐를 수 있다. 이로써, 문(100)의 양측에 형성되는 압력차는 해소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문(100)의 양측에 발생하는 압력차를 해소하기 위한 유로를 형성하도록 차단부(130)는 개구부(120)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으며, 차단부(130)는 개구부(120)를 개폐하도록 개구부(12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작동부(140)는 차단부(130)를 이동시키도록 차단부(130)에 결합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작동부(140)는 개구부(120)에 설치되는 차단부(130)를 이동시킴으로써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작동부(140)는 개구부(120)를 개폐하도록 차단부(130)를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작동부(140)가 차단부(130)에 결합되는 결합 형태는 다양할 수 있다. 즉, 작동부(140)는 차단부(130)에 나사 체결과 같은 기계적 방식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으며, 용접 또는 열 융착 등에 의하여 결합될 수도 있다.
도 1은 몸체부(110)에 형성되는 개구부(120)가 차단부(130)의 이동으로 인하여 개방된 상태가 도시하고 있다. 또한, 작동부(140)가 점선으로 표시된 제1 위치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제2 위치로 회전 이동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작동부(140)가 제1 위치를 유지하는 경우, 개구부(120)는 차단부(130)에 의해서 폐쇄된다. 작동부(140)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회전 이동하는 경우, 작동부(140)에 의해서 차단부(130)는 개구부(120)를 개방시키도록 이동한다. 이로써,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120)는 개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개구부(120) 및 작동부(140)는 문에 설치되는 문고리 또는 문 손잡이 등과 별도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개구부(120)는 문에 문고리 또는 문 손잡이 등을 설치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개구 영역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또한, 문고리 또는 문 손잡이는 본 실시예에 따른 작동부(140)가 될 수도 있다. 도 1은 몸체부(110)에 별도의 문고리 또는 문 손잡이가 설치되어 있지 않고, 본 실시예에 따른 작동부(140)가 문고리 또는 문 손잡이의 기능도 하는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작동부(140)가 문고리 또는 문 손잡기의 기능도 할 수 있도록 형성됨으로써, 보다 간편한 구조를 구현할 수도 있으며, 기존에 설치된 문에 본 실시예에 따른 차단부(130) 및 작동부(140)를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부(130)와 작동부(14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즉,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단부(130)와 작동부(140)의 구조를 상세히 도시하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단부(130)는 개구부(120)의 일 영역만을 차단하도록 개구부(120)에 설치되는 제1 차단부재(131) 및 제1 차단부재(131)에 의해서 차단되는 일 영역을 제외한 개구부(120)의 나머지 영역을 차단하도록 제1 차단부재(131)의 적어도 일측에 배치되는 제2 차단부재(13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단부(130)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 차단부재(131)는 개구부(120)의 일 영역만을 차단하도록 형성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차단부재(131)에는 제1 개구 영역(132)이 형성된다.
도 2는 제1 차단부재(131)가 원형의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으나, 제1 차단부재(131)는 개구부(120)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므로, 제1 차단부재(131)는 도 2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제1 개구 영역(132)은 제1 차단부재(131)의 어느 일 영역에도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차단부재(131)의 내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차단부재(133)는 제1 차단부재(131)와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다만, 개구부(120)의 단면 형상이 일정하지 않은 경우, 제 2 차단부재(133)는 제2 차단부재(133)가 설치되는 개구부(120)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제2 차단부재(133)는 제1 차단부재(131)에 형성되는 제1 개구 영역(132)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제2 개구 영역(134)을 포함한다. 제2 차단부재(133)에 형성되는 제2 개구 영역(134)은 제1 차단부재(13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2 차단부재(133)의 어느 일 영역에도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차단부재(131)는 개구부(120)의 일 영역만을 차단하도록 형성되고, 제2 차단부재(133)는 제1 차단부재(131)에 의해서 차단되는 일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차단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2 차단부재(133)는 제1 차단부재(131)의 일 측에 배치된다.
제1 및 제2 차단부재(131, 133)가 상기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개구부(120)는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차단부재(131, 133)에 각각 형성되는 제1 및 제2 개구 영역(132, 134)이 서로 일치하도록 배치되는 경우, 개구부(120)는 개방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제1 및 제2 차단부재(131, 133)에 각각 형성되는 제1 및 제2 개구 영역(132, 134)이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경우에는 개구부(120)는 폐쇄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차단부재(131, 133)가 중첩되어 배치됨으로 어느 일 차단부재의 이동으로 제1 및 제2 개구 영역(132, 134)은 서로 일치하거나 교차할 수 있다.
도 2는 제2 차단부재(133)가 제1 차단부재(131)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으나, 제2 차단부재(133)는 제1 차단부재(131)의 적어도 일 측에 배치되면 충분하므로, 단수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작동부(140)는 제1 차단부재(131) 및 제2 차단부재(133)를 상대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즉, 작동부(140)는 제1 차단부재(131)에 결합되어 제2 차단부재(133)에 대하여 제1 차단부재(131)를 회전시키거나, 제2 차단부재(133)에 결합되어 제1 차단부재(131)에 대하여 제2 차단부재(133)를 회전시킬 수 있다.
작동부(140)에 의해서 적어도 하나의 차단부재가 다른 하나의 차단부재에 대하여 회전함으로써, 각각의 차단부재에 형성되는 개구 영역은 서로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개구부(120)를 개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20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문(200)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몸체부(210), 개구부(220), 차단부 및 작동부(240)를 포함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작동부(240)는 점선으로 표시된 제1 위치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제2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부(140, 도1 참조)는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회전 이동하는 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작동부(240)는 병진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작동부(240)가 좌우로 병진 이동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고 상하로 병진 이동하는 경우도 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단부(230) 및 작동부(240)를 나타내도록 도 3의 라인 Ⅰ-Ⅰ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차단부(230)에 의해서 개구부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차단부(230)의 이동으로 개구부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210)는 차단부(230)를 수용하도록 개구부(220)의 내측면으로부터 리세스되게 형성되는 수용홈(212)을 포함한다. 즉, 몸체부(210)는 개구부(220)가 개방되기 위하여 차단부(230)가 이동하는 경우, 차단부(230)의 이동 공간을 제공하도록 수용홈(212)을 포함한다.
몸체부(210)에 형성되는 수용홈(212)은 차단부(230)가 안착될 수 있도록, 차단부(230)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수용홈(212)은 개구부(220)의 내측면으로부터 몸체부(210)의 폭방향(D2)으로 리세스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작동부(240)가 상하로 병진 이동하는 경우에는 몸체부(210)의 수용홈은 개구부(220)의 내측면으로부터 몸체부(210)의 길이 방향(D3)을 따라 리세스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4및 도 5에 도시된 작동부(240)는 차단부(230)의 양 측에 결합되어 있다. 도 4는 차단부(230)에 의해서 개구부(220)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부(240)는 차단부(230)를 몸체부(210)의 수용홈(212)으로 삽입시켜 개구부(220)를 개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문(200)은 차단부(230)에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차단부(230)에 결합되는 복원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단부(230)가 이동하여 개구부(220)가 개방된 경우, 개구부(220)를 다시 폐쇄하기 위해서 작동부(240)를 통하여 차단부(230)를 원 위치로 이동시킬 수도 있으나, 복원부(250)를 더 포함함으로써, 개구부(220)를 용이하게 폐쇄할 수도 있다.
또한, 복원부(250)는 차단부(230)가 개구부(220)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차단부(230)를 가압할 수도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원부(250)의 일단은 수용홈(212)의 내측면에 결합되고, 복원부(250)의 타단은 수용홈(212)의 내측면과 대향하는 차단부(230)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복원부(250)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복원부(250)는 작동부(240)에 결합되어, 작동부(240)를 가압하거나 원 위치로 복귀하도록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문(200)은 몸체부(210)를 지지하는 지지부(211)와 몸체부(210)를 지지부(211)에 고정하는 고정부(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211)는 문틀을 포함할 수 있으며, 지지부(211)에는 고정부(260)가 삽입되는 고정홈(213)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30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라인 Ⅱ-Ⅱ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차단부(330)가 이동함으로써 개구부(320)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문(30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단부(330)는 복수로 형성되어 개구부(320)의 양측을 각각 차단하도록 이격되게 배치된다.
즉, 개구부(320)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으며, 유로의 입구부와 출구부를 각각 차단하도록 차단부(330)는 제1 및 제2 차단부재(334, 335)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유로의 입구부는 상대적으로 높은 압력을 유지하는 몸체부(310)의 일측에 형성될 것이다.
도6,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부(330)는 몸체부(310)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차단부(330)가 원추형의 기둥 형태인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차단부(330)는 앞서 언급한 바 대로 개구부(320)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작동부(340)는 지지부재(341), 제1 링크부재(342) 및 제2 링크부재(34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341)는 개구부(320)에 결합된다. 즉, 지지부재(341)는 제1 링크부재(342)를 지지하도록 개구부(320)의 내측 또는 몸체부(310)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제1 링크부재(342)는 지지부재(341)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부재(341)에 결합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1 링크부재(342)는 지지부재(341)를 중심으로 회전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1 링크부재(342)는 지지부재(341)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지지부재는 개구부(320)에 결합되는 슬라이드 조인트와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제1 링크부재는 지지부재를 따라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병진 이동할 수 있다.
제2 링크부재(343)는 제1 링크부재(342)와 연동하여 차단부(330)를 개구부(320)의 내측으로 이동시키도록 제1 링크부재(342)와 차단부(330)에 각각 결합된다. 즉, 제2 링크부재(343)는 제1 링크부재(342)가 지지부재(341)에 대하여 이동함에 따라 함께 이동하여 차단부(330)를 개구부(320)의 내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2 링크부재(343)의 일단은 제1 링크부재(342)에 결합되고, 제2 링크부재(343)의 타단은 차단부(330)의 일측에 결합된다. 제2 링크부재(343)가 이와 같이 결합됨으로써, 제2 링크부재(343)는 제1 링크부재(342)와 연동될 수 있고, 차단부(330)를 개구부(320)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차단부(330)가 개구부(320)의 내측으로 이동함으로써 개구부(320)를 개방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나, 차단부(330)는 개구부(320)의 외측으로 이동함으로써 개구부(320)를 개방할 수도 있다. 즉, 차단부(330)는 누름 동작 또는 당김 동작에 의해서 개구부(320)를 개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앞서 설명된 실시예와는 달리 작동부(340)가 개구부(32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어, 사용자는 차단부(330)를 누르거나 당김으로써 개구부(320)를 개폐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작동부(340)를 회전 또는 병진 이동시킬 필요 없이 차단부(330)를 누르거나 당김으로써 개구부(320)를 개방할 수 있으므로, 보다 신속하게 문(300)의 양측의 압력차를 해소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문(300)은 차단부(330)에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작동부(340)에 결합되는 복원부(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복원부(350)는 복수로 형성된 제1 차단부재(342)의 양 단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결합됨으로써, 복수의 제1 차단부재(342)가 지지부재(341)에 대하여 각각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각각의 양단이 멀어지는 경우 복원부(350)는 복수의 제1 차단부재(342) 양단이 가까워지도록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복원부(350)는 차단부(330)가 개구부(320)를 차단하도록 차단부(330)를 개구부(320)의 외측으로 가압하는 힘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로써, 문(300)의 어느 일 측의 압력이 상승하여도 차단부(330)는 복원부(350)에 의해서 개구부(320)의 외측으로 가압되므로 개구부(320)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모든 실시예에 따른 차단부 및 작동부는 전자식 개폐장치로 구성되어, 전원의 인가에 따라 개구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으며, 개구부는 문의 몸체부 뿐만 아니라 문틀을 포함하는 지지부에 형성되어 문의 양측 압력차를 해소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문 110: 몸체부
120: 개구부 130: 차단부
131: 제1 차단부재 132: 제1 개구영역
133: 제2 차단부재 134: 제2 개구영역
140: 작동부 211: 지지부
212: 수용홈 213: 고정홈
250: 복원부재 260: 고정부
260: 고정부 334: 제1 차단부재
335: 제2 차단부재 341: 지지부재
342: 제1 링크부재 343: 제2 링크부재
350: 복원부재

Claims (6)

  1. 판상형으로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두께 방향으로 상기 몸체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개구부;
    상기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상기 개구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차단부; 및
    상기 차단부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차단부에 결합되는 작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부는 복수로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의 양측을 각각 차단하도록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개구부에 결합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되는 제1 링크부재; 및
    상기 제1 링크부재와 연동하여 상기 차단부를 상기 개구부의 내측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제1 링크부재와 상기 차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제2 링크부재를 포함하는 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에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작동부에 결합되는 복원부를 더 포함하는 문.
KR1020140148600A 2014-10-29 2014-10-29 KR101644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8600A KR101644153B1 (ko) 2014-10-29 2014-10-29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8600A KR101644153B1 (ko) 2014-10-29 2014-10-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0460A KR20160050460A (ko) 2016-05-11
KR101644153B1 true KR101644153B1 (ko) 2016-07-29

Family

ID=56025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8600A KR101644153B1 (ko) 2014-10-29 2014-10-29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415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27563A1 (en) 2001-10-26 2003-07-10 Laconte Richard J. Differential pressure sensing release system
KR101252016B1 (ko) * 2013-02-08 2013-04-08 주식회사 대고원이앤씨 선택적 개폐가 가능한 건축물의 통풍 가능 도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5392U (ja) * 1992-03-13 1993-10-15 丹野 正 変わり窓付き建具
JP4097159B2 (ja) 2005-09-27 2008-06-11 近畿車輌株式会社 ドアの通気装置
KR101122547B1 (ko) * 2009-09-11 2012-03-1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내 압력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27563A1 (en) 2001-10-26 2003-07-10 Laconte Richard J. Differential pressure sensing release system
KR101252016B1 (ko) * 2013-02-08 2013-04-08 주식회사 대고원이앤씨 선택적 개폐가 가능한 건축물의 통풍 가능 도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0460A (ko) 2016-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661914B (zh) 一种模块化外壳
TW200700644A (en) Composite fan and frame thereof
WO2007052082A3 (en) Blowout preventer
JP6677738B2 (ja) 真空バルブ
KR20170065500A (ko) 감마 방사선 촬영용 보호 장치
US9897327B2 (en) Anti-spill oven door vents
JP7037954B2 (ja) 建具
CN105721745A (zh) 用于摄像机或摄像头的凹入式安装的封壳和装置
KR101563464B1 (ko) 소프트 시트 나이프 게이트 밸브
US10032572B2 (en) Sealing mechanism and push-button device
ATE510992T1 (de) Aufsatz-rollladenkasten
ATE517284T1 (de) Absperrschieber
KR101644153B1 (ko)
PE20040966A1 (es) Valvula de purga de gas
AR032532A1 (es) Perfil mejorado, en particular para unidades de refrigeracion
JP2007311594A (ja) 電気機器収納用キャビネット
GB2517704B (en) Damper for an airflow duct having a closing mechanism
KR101671999B1 (ko)
JP5372592B2 (ja) 換気装置及びそれを有するサッシ
ATE394816T1 (de) Mit einem deckel verschliessbares winkelsteckverbindergehäuse
KR101055632B1 (ko) 창문 연결 장치
US20170268680A1 (en) Vacuum valve
FR3019579B1 (fr) Actionneur lineaire et dispositif d’occultation associe
JP2016078557A (ja) 空調用レジスタ
TW200746566A (en) Table ta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