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2782B1 - 심도별 퇴적물 공극수를 추출하기 위한 공극수 추출장치 - Google Patents

심도별 퇴적물 공극수를 추출하기 위한 공극수 추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2782B1
KR101642782B1 KR1020150161822A KR20150161822A KR101642782B1 KR 101642782 B1 KR101642782 B1 KR 101642782B1 KR 1020150161822 A KR1020150161822 A KR 1020150161822A KR 20150161822 A KR20150161822 A KR 20150161822A KR 101642782 B1 KR101642782 B1 KR 1016427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late
pore water
cover plate
plate
extra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1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윤석
한형균
조윤식
김영태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50161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27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27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27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1/12Dippers; Dredg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1/18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with provision for splitting samples into por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2001/1006Dispersed solids
    • G01N2001/1012Suspensions
    • G01N2001/1025Liquid suspensions; Slurries; Mud; Sludge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양면을 가진 판 형상의 베이스 플레이트(20); 공극수 추출장치가 설치된 퇴적물에서 공극수를 추출할 수 있는 멤브레인 필터(30); 를 포함하며,베이스 플레이트(20)의 양면 중 일면에는 복수의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멤브레인 필터(30)는복수의 개구부가 형성된 일면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극수 추출장치가개시된다. 이로써 현장에서 직접 갯벌 퇴적물의 공극수를 심도별로 추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심도별 퇴적물 공극수를 추출하기 위한 공극수 추출장치{Pore water extraction apparatus for extracting of deposit pore water at a certain depth}
본 발명은 갯벌 퇴적물 및 해양환경 오염물질을 분석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퇴적물의 깊이에 따라 공극수 추출이 가능한 공극수 추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갯벌 퇴적물 및 해양환경의 오염물질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심도별 퇴적물이 구비되어야 하는데, 심도별 퇴적물을 채취하기에는 어려움이 있고, 또한 퇴적물만으로는 오염도를 측정할 수 없으며, 퇴적물 입자 사이의 빈 공간에 침투되어 있는 공극수가 구비되어야 한다. 즉, 각 심도별 공극수가 구비되어야만 오염의 확산도를 예측할 수 있다.
채취된 퇴적물에서 공극수를 추출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크게 퇴적물에 외부의 압력을 가하여 공극수를 짜내는 방법과 퇴적물을 원심분리 하여 공극수를 분리 해내는 방법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원심분리 추출법은 공극수를 포함한 퇴적물을 한꺼번에 원심분리기에 넣어 원심분리 함으로써, 공극수와 퇴적물 입자를 분리시키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공기와의 접촉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시험방법이 비교적 쉽다는 장점은 있으나, 추출하여 얻을 수 있는 공극수의 부피에 제한이 있고, 원심분리기를 따로 구비해야 하며, 그에 따라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다.
퇴적물에 외부로부터의 압력을 가하여 공극수를 짜내는 방법이 있는데, 그 중에서도 특히 기체압력 추출법에 대해 살펴보면, 퇴적물 내 공극에 있는 공극수에 질소기체를 주입하여 그 압력으로 밀어냄으로써 퇴적물로부터 공극수를 분리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공극수를 추출하는 용기가 클수록 공극수를 원하는 양만큼 추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종래의 기체압력 추출법은 공극수의 배출이 용이하지 않고, 시료의 유출에 따른 필터의 고정이 쉽지 않으며, 가스 투입 후 가스 배출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원심분리 추출법 및 기체압력 추출법에 의한 공극수 추출장치는 현장에서 채취된 시료를 실험실로 가져와서 공극수를 추출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갯벌 퇴적물 및 해양환경 오염물질을 분석할 수 있는 장치로서, 현장에서 직접 갯벌 퇴적물의 공극수를 심도별로 추출할 수 있는 공극수 추출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심도별 퇴적물 공극수를 추출하기 위한 공극수 추출장치에 있어서, 양면을 가진 판 형상의 베이스 플레이트(20); 및
공극수 추출장치가 설치된 퇴적물에서 공극수를 추출할 수 있는 멤브레인 필터(30); 를 포함하며, 베이스 플레이트(20)의 양면 중 일면에는 복수의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멤브레인 필터(30)는 복수의 개구부가 형성된 일면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극수 추출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관통구(33)를 가진 판 형상을 가지고, 베이스 플레이트(20)와 결합되는 커버 플레이트(40); 를 더 포함하며,
멤브레인 필터(30)는 커버 플레이트(30)와 베이스 플레이트(20) 사이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극수 추출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 플레이트(20)의 하단에는, 커버 플레이트(40)가 결합할 때 커버 플레이트(40)의 하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부(27)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극수 추출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 플레이트(20)의 상단에는 제1손잡이부(201)가 형성되어 있고, 커버 플레이트(40)의 상단에는 제1손잡이부(201)와 대응되어 결합되는 제2손잡이부(30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극수 추출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 플레이트(20)는 양 측면(29)을 가지며,양 측면의 적어도 일부에는 복수의 개구부들(23)에 추출된 공극수를 채취하기 위한 추출홀(25)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고, 추출홀(25)은 베이스 플레이트(20)를 관통하여 베이스 플레이트의 개구부(23)와 연결되어 개구부(23)에 추출된 공극수가 추출홀(25)을 경유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극수 추출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 플레이트(20)의 개구부들(23)을 제외한 영역(22a, 22b)에는,베이스 플레이트(20)와 커버 플레이트(30)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 나사(60)가 결합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끼움홈(21); 을 더 포함하고, 커버 플레이트(40)의 관통구(33)들을 제외한 영역(32a, 32b)에는,
끼움홈(21)들과 크기 및 형상이 같은 제2끼움홈(31)들;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극수 추출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멤브레인 필터(30)를 보호하기 위하여 그물형상으로 형성되는 망사부재(50); 를 더 포함하며, 망사부재(50)는 베이스 플레이트(20)에 결합되고, 베이스 플레이트(20)는 망사부재(50)와 멤브레인 필터(30) 사이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극수 추출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현장에서 직접 갯벌 퇴적물의 공극수를 심도별로 추출할 수 있는 공극수 추출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가 간편한 멤브레인 필터를 이용함으로써 퇴적물로부터 간편하게 공극수를 추출할 수 있는 공극수 추출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극수 추출장치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공극수 추출장치의 분해 사시도 이다.
도 3은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공극수 추출장치의 A-A’선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공극수 추출장치의 B-B’선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직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극수 추출장치는 추출된 공극수가 채취되기 전까지 보관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퇴적물로부터 공극수를 추출하기 위한 멤브레인 필터, 베이스 플레이트와 멤브레인 필터의 결합을 고정시키기 위한 커버 플레이트 및 멤브레인 필터를 보호하기 위한 망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극수 추출장치는 베이스 플레이트, 멤브레인 필터, 커버 플레이트 및 망사부재 중 일부 또는 전부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극수 추출장치(1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극수 추출장치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공극수 추출장치의 분해사시도 이고, 도 3은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공극수 추출장치의 A-A'선의 단면도 이고, 도 4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공극수 추출장치의 B-B'선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원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공극수 추출장치(10)는, 실험실이 아닌 현장 즉, 갯벌(100)에서 직접 공극수 추출이 가능한 것으로, 갯벌(100)의 지면과 수직 방향으로 심도를 조절하여 삽입되며, 심도별 퇴적물로부터 공극수를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도별 퇴적물 공극수를 추출하기 위한 공극수 추출장치(10)는, 베이스 플레이트(20) 및 멤브레인 필터(3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20)는 양면을 가진 판 형상을 가지며 베이스 플레이트의 양면 중 일면에는 복수의 개구부(23)들이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개구부(23)들은 베이스 플레이트(20)에 홈이 파인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소정의 간격을 두고 각각 이격되어 있다. 개구부(23)들의 형태는 대략 사각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멤브레인 필터(30)는 공극수 추출장치가 설치된 퇴적물에서 멤브레인 필터보다 큰 입자는 걸러내고 공극수만 추출할 수 있는 기능을 하며, 베이스 플레이트의 개구부를 모두 덮을 수 있도록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멤브레인 필터(30)는 베이스 플레이트(20)의 양면 중 복수의 개구부(23)가 형성된 일면에 결합되어, 멤브레인 필터(30)를 통과한 공극수들이 베이스 플레이트의 복수의 개구부(23)에 추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계속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극수 추출장치(10)는 베이스 플레이트(20)와 멤브레인 필터(30)가 결합된 상태를 고정 시키기 위해, 커버 플레이트(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멤브레인 필터(30)는 베이스 플레이트(20)와 커버 플레이트(40) 사이에 위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 플레이트(40)는 커버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소정의 간격을 두고 각각 이격되어 있는 복수의 관통구(33)를 가진다. 복수의 관통구(33)의 형태는 대략 사각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 플레이트(40)는 커버 플레이트(40)의 복수의 관통구(33)가 베이스 플레이트(20)의 양면 중 일면에 형성된 복수의 개구부(23)에 정렬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20)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커버 플레이트(40)의 복수의 관통구(33)가 베이스 플레이트(20)의 복수의 개구부(23)와 크기 및 형상이 같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공극수 추출장치(10)가 갯벌의 퇴적물에 삽입되면, 퇴적물은 커버 플레이트(40)의 복수의 관통구(33)를 경유하며, 관통구(33)를 경유한 퇴적물 중 멤브레인 필터(30)를 통과하는 퇴적물 내의 공극수들이 베이스 플레이트(20)의 복수의 개구부(23)에 추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20) 및 커버 플레이트(40)는 상단, 하단 및 두께를 가지며, 베이스 플레이트(20)의 하단에는 커버 플레이트(40)가 결합할 때 커버 플레이트(40)의 하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부(27)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27)는 베이스 플레이트(20)의 하단부가 커버 플레이트(40)와 결합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커버 플레이트(40)의 두께와 같거나 또는 커버 플레이트(40)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두께를 가지는 베이스 플레이트(20)는 두께에 의해 형성되는 양 측면(29)을 가지며, 양 측면(29)의 적어도 일부에는 추출홀(25)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양 측면(29)에 형성된 추출홀(25)은 베이스 플레이트(20)를 관통하여 베이스 플레이트(20)의 개구부(23)와 연결되어, 베이스 플레이트(20)의 개구부(23)에 추출된 공극수는 추출홀(25)을 경유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공극수 추출장치(10)가 갯벌에 삽입되어 공극수를 추출하는 동안에는, 추출홀(25) 안에는 제거가 용이한 연질의 재료 예를 들면, 실리콘과 같은 재료가 채워져 있어 추출된 공극수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공극수 추출이 완료된 이후 추출홀(25)안에 채워진 실리콘을 제거한 후, 추출된 공극수를 채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 플레이트(20)에는 베이스 플레이트(20)와 커버 플레이트(40)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나사(60)가 결합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끼움홈(21)들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커버 플레이트(40)는 제2끼움홈(31)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끼움홈(21)들은 베이스 플레이트(20)의 복수의 개구부(23)들을 제외한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베이스 플레이트(20)의 외연(22a)에 소정의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위치되거나, 베이스 플레이트(20)의 복수의 개구부(23)들이 이격 됨으로써 생기는 복수의 개구부(23)들 사이 영역(22b)에 위치될 수 있다.
제2끼움홈(31)들은 커버 플레이트(20)의 복수의 관통구(33)들을 제외한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커버 플레이트(40)의 외연(32a)에 소정의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위치되거나, 커버 플레이트(40)의 복수의 관통구(33)들이 이격 됨으로써 생기는 복수의 관통구(33)들 사이 영역(32b)에 위치되거나, 제1끼움홈(21)들에 정렬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커버 플레이트(40), 멤브레인 필터(30) 및 베이스 플레이트(20)를 고정하기 위해, 결합나사(60)는 커버 플레이트(40)의 제2끼움홈(31)을 관통하여 멤브레인 필터(30)를 뚫고 베이스 플레이트(20)의 제1끼움홈에 도달하여 결합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멤브레인 필터(30)를 보호하기 위하여 그물형상으로 형성되는 망사부재(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망사부재(50)는 베이스 플레이트(20)에 결합되고 멤브레인 필터(30)는 망사부재(50)와 베이스 플레이트(2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40)가 더 포함된 공극수 추출장치(10)인 경우, 커버 플레이트(40)는 멤브레인 필터(30)와 망사부재(5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갯벌
10: 공극수 추출장치
20: 베이스 플레이트
30:멤브레인 필터
40:커버 플레이트
50:망사부재
60: 결합 나사
201, 301: 손잡이부
203, 303:추출부
205: 삽입부
21, 31: 끼움홈
23: 개구부
25:추출홀(extraction hole)
27: 지지부
33: 관통구

Claims (10)

  1. 심도별 퇴적물 공극수를 추출하기 위한 공극수 추출장치에 있어서,
    양면을 가진 판 형상을 가지며, 양면 중 일면에는 복수의 개구부(23)가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 플레이트(20);
    상기 공극수 추출장치가 설치된 퇴적물에서 공극수를 추출할 수 있는 멤브레인 필터(30); 및
    복수의 관통구(33)를 가진 판 형상을 가지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와 결합되는 커버 플레이트(40);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개구부(23)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각각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는 양 측면(29)을 가지며,
    상기 양 측면(29)의 적어도 일부에는 상기 복수의 개구부들(23)에 추출된 공극수를 채취하기 위한 추출홀(25)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추출홀(25)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를 관통하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개구부(23)와 연결되어 상기 개구부(23)에 추출된 공극수가 상기 추출홀(25)을 경유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고,
    상기 멤브레인 필터(30)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4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복수의 관통구(33) 중 적어도 하나의 관통구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의 복수의 개구부(23)에 정렬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와 상기 커버 플레이트(40)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극수 추출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의 하단에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40)가 결합할 때 상기 커버 플레이트(40)의 하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부(27)가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극수 추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의 상단에는제1손잡이부(20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40)의 상단에는 상기 제1손잡이부(201)와 대응되어 결합되는 제2손잡이부(30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극수 추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의 하단에는 삽입부(205)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부(205)는상기 공극수 추출장치를 퇴적물에 삽입하기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하부 쪽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극수 추출장치.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의 개구부들(23)을 제외한 영역(22a, 22b)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와 상기 커버 플레이트(30)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 나사(60)가 결합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끼움홈들(21);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40)의 관통구(33)들을 제외한 영역(32a, 32b)에는,
    상기 끼움홈(21)들과 크기 및 형상이 같은제2끼움홈(31)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극수 추출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끼움홈(31)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끼움홈이 상기 제1 끼움홈에 정렬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와 상기 커버 플레이트(40)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극수 추출장치.
  10. 제1항, 제4항 내지 제6항, 및 제8,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 필터(30)를 보호하기 위하여 그물형상으로 형성되는 망사부재(5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망사부재(50)는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에 결합되고, 상기 멤브레인 필터(30)는 상기 망사부재(5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 사이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극수 추출장치.
KR1020150161822A 2015-11-18 2015-11-18 심도별 퇴적물 공극수를 추출하기 위한 공극수 추출장치 KR1016427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1822A KR101642782B1 (ko) 2015-11-18 2015-11-18 심도별 퇴적물 공극수를 추출하기 위한 공극수 추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1822A KR101642782B1 (ko) 2015-11-18 2015-11-18 심도별 퇴적물 공극수를 추출하기 위한 공극수 추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2782B1 true KR101642782B1 (ko) 2016-08-10

Family

ID=56713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1822A KR101642782B1 (ko) 2015-11-18 2015-11-18 심도별 퇴적물 공극수를 추출하기 위한 공극수 추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278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0989A (ja) * 1996-08-26 1998-03-03 Hiroshi Igarashi 地上水の土壌地下浸透用導入筒
KR20080086194A (ko) * 2007-03-22 2008-09-25 한국해양연구원 공극수 추출기
CN102507262A (zh) * 2011-10-22 2012-06-20 中国科学院南京地理与湖泊研究所 一种获取和保存沉积物间隙水样品的装置和方法
KR101483602B1 (ko) * 2014-05-26 2015-01-19 대한민국 다중 미세먼지 포집을 위한 정보저장형 필터 홀더 모듈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0989A (ja) * 1996-08-26 1998-03-03 Hiroshi Igarashi 地上水の土壌地下浸透用導入筒
KR20080086194A (ko) * 2007-03-22 2008-09-25 한국해양연구원 공극수 추출기
CN102507262A (zh) * 2011-10-22 2012-06-20 中国科学院南京地理与湖泊研究所 一种获取和保存沉积物间隙水样品的装置和方法
KR101483602B1 (ko) * 2014-05-26 2015-01-19 대한민국 다중 미세먼지 포집을 위한 정보저장형 필터 홀더 모듈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0063704A3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sample analysis
US11504716B2 (en) Multiwell device and method of use
KR101642782B1 (ko) 심도별 퇴적물 공극수를 추출하기 위한 공극수 추출장치
KR102156747B1 (ko) 미세 입자 포집용 필터 홀더 장치
US9962706B2 (en) Sample tube adapters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101892380B1 (ko) 3차원 미세입자 분리소자 및 이를 이용한 입자 분리 방법
US8544348B2 (en) Tube for separating portions of a sample
Kuroda et al. Microfluidic sedimentation system for separation of plasma from whole blood
KR101271474B1 (ko) 공극수 채취를 위한 스퀴저셀용 받침대
KR101770991B1 (ko) 슬라이드 조립체
CN211347614U (zh) 微流控芯片检测装置
CN218726603U (zh) 一种生物样品分析仪器
US20020179529A1 (en) Water separation from solvent
CN108348914B (zh) 用于控制接收流体样本小盒中过量流体流动的系统和方法
Singh et al.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HAR microfluidic device to concentrate microalgae
CA2413799C (en) Water separation from solvent
KR102558002B1 (ko)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장치
JP5229665B2 (ja) 血漿又は血清分離方法、及び血漿又は血清分離装置
CN210221991U (zh) 一种水质在线监测装置
CN210322884U (zh) 一种基于pcb电极的插拔式电泳微芯片
CN107037480A (zh) 一种滤波通带的低频截止频率的判识方法及装置
US11559808B2 (en) Microfluidic device
KR101517582B1 (ko) 채혈관 마개
CN206746079U (zh) 一种过滤装置易固定的测油仪的分离器
JP6588602B2 (ja) 血漿分離装置及び血漿分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