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0859B1 - Structure for supporting guardrail - Google Patents

Structure for supporting guardrai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0859B1
KR101640859B1 KR1020160034995A KR20160034995A KR101640859B1 KR 101640859 B1 KR101640859 B1 KR 101640859B1 KR 1020160034995 A KR1020160034995 A KR 1020160034995A KR 20160034995 A KR20160034995 A KR 20160034995A KR 101640859 B1 KR101640859 B1 KR 1016408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force reinforcing
support
stru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49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희수
Original Assignee
에스더블류도로안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더블류도로안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더블류도로안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34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085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0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0859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61Supports, e.g.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76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84Installing; Repairing; Adju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드레일 지주의 지지력 보강 구조에 관한 것으로, 가드플레이트의 지지고정을 위해 도로의 노측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개가 설치되는 메인지주에 결합되어 상기 메인지주의 지지력을 보강할 수 있는 가드레일 지주의 지지력 보강 구조에 있어서, 상기 가드플레이트와 대향되고 상기 메인지주 주위의 지면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보조지주 및 일정 두께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일단은 상기 메인지주가 끼워지도록 상기 메인지주의 단면 형상과 일치하는 홈이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보조지주가 끼워지도록 상기 보조지주의 단면 형상과 일치하는 홈이 형성된 지지력 보강판을 포함하는 가드레일 지주의 지지력 보강 구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uardrail reinforcement structure for a guard rail, and more particularly, to a guardrail reinforcement structure for a guard rail, which comprises a plurality of guard rails, A support structure for supporting a support of a column, comprising: a support column which is opposed to the guard plate and inserted into the ground around the main column and has a plate shape of a predetermined thickness, one end of which has a sectional shape of the main column And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rail is formed with grooves corresponding to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auxiliary support so that the auxiliary support is fitted in the support rail reinforcing structure of the guard rail support.

Description

가드레일 지주의 지지력 보강 구조{Structure for supporting guardrail}{Structure for supporting guardrail}

본 발명은 가드레일 지주의 지지력 보강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변에 설치되어 있는 차량 이탈방지를 위한 가드레일의 구조적 성능이 지주의 지지력에 크게 영향을 받고, 특히 성토부에 설치되는 가드레일 지주의 지지력이 흙의 종류, 다짐정도, 함수비 등의 달라짐에 따라 그 차이가 크기 때문에 현장에 시공된 지주의 지지력을 보강하여야만 가드레일이 제 성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되므로, 가드레일 지주의 지지력을 보강하여 가드레일 지주가 차량 충돌로 넘어지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차량이 가드레일을 타고 넘어가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이차 피해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가드레일 지주의 지지력 보강 구조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structure for guard rails, and more particularly, Since the difference in the bearing capacity of the rail strut varies depending on the type of soil, the degree of compaction, and the water content, the guard rail can exhibit its performance only when the supporting force of the strut is appli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uardrail reinforcement structure of a guard rail support which prevents secondary damage by preventing the vehicle from falling over the guard rail by preventing the guardrail support from falling or being deformed by a vehicle collision.

일반적으로 가드레일은 차량방호 안전시설 중의 하나로서, 차량 주행 중 사고와 같은 돌발 상황에 부딪혔을 때 차량이 도로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탑승자의 상해 및 차량의 파손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차량을 정상 진행 방향으로 복귀시킴으로써 추가적인 이차사고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된다.Generally, the guard rail is one of the vehicle safety protection facilities. It prevents the vehicle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road when an unexpected situation such as an accident occurs while driving the vehicle, minimizes the injury of the passenger and damage to the vehicle, So as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additional secondary accidents.

가드레일은 이러한 작용을 할 수 있도록 차량이 충돌할 때 가드레일 자체에서 변형이 일어나도록 하여 충격에너지를 흡수하게 하고 있다. 때문에 가드레일은 주로 철, 알루미늄과 같은 연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빔 또는 케이블과 이러한 빔을 고정시키는 지주로 이루어진다.The guard rail absorbs impact energy by causing deformation in the guard rail itself when the vehicle collides to enable such action. Therefore, the guard rail is mainly composed of a beam or cable made of a soft material such as iron or aluminum and a support for fixing the beam.

이러한 종래의 가드레일은 다수개의 지주를 도로의 가장자리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하고 설치된 지주에 케이블 또는 빔을 결합하는 방식으로 설치한다. 그런데, 도로의 가장자리 성토부에 설치되는 가드레일의 구조적 성능은 지면에 설치된 지주의 지지력에 크게 영향을 받게 되는데, 구체적으로는 평지와는 다른 성토경사가 갖는 기하학적인 차이, 흙의 종류, 다짐정도, 함수비 등에 의한 차이 등에 의해 가드레일이 갖는 구조적 성능이 차이가 나게 된다. Such conventional guard rails are installed in such a manner that a plurality of struts ar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edges of roads and a cable or a beam is coupled to the installed struts. However, the structural performance of the guard rail installed at the edge of the road is greatly influenced by the supporting force of the ground installed on the ground. Specifically, the geometric difference of the ground inclination different from the flat ground, , The difference in the water content, and the like,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structural performance of the guard rail.

그 중에서도 성토경사가 갖는 기하학적인 차이에 대하여 살펴보면, 성토경사의 시작점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 안쪽에 가드레일이 시공되어야 가드레일 지주의 수평지지력이 평지에서의 값과 차이가 없게 되는데, 국내 도로 사정상 성토경사의 시작점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 이격시켜 가드레일의 지주를 공사하는 것이 불가능한 곳이 많아 대부분 성토경사의 시작점 근처에 가드레일을 시공하고 있다.Among them, the geometrical difference of the inclined slope is that when the guard rail is constructed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starting point of the inclined slope, the horizontal support force of the guard rail slope does not differ from that in the flat slope. It is impossible to construct the guard rail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starting point of the guard rail. Therefore, the guard rail is usually installed near the starting point of the slope of the embankment.

위와 같이 성토경사의 시작점 근처에 설치된 종래의 가드레일 지주는 지면과의 결합에 의해 갖게 되는 지지력이 약해지고 그에 따라서 가드레일의 차단효과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충돌 에너지의 흡수 또한 용이하지 못하게 되므로 결국은 실제 차량과의 충돌 시 차량과 탑승자를 보호하고자 하는 가드레일 본연의 역할을 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The conventional guardrail pillar installed near the starting point of the inclined slope has a weak supporting force due to the coupling with the ground and thus the shielding effect of the guardrail is deteriorated and the collision energy can not be easily absorb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can not act as a guard rail to protect the vehicle and the passenger in the event of a collision with the vehicle.

특히, 위와 같은 문제점 때문에 국토교통부에서 발행한 도로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 지침에는, 성토부의 경사 시작점 부근에 설치하는 연성 방호울타리는 지주의 수평지지력(현장지지력)을 측정하여야 하며 그 값은 실물충돌시험장에서 측정한 수평지지력의 90%이상이 되어야 하고, 현장지지력이 시험장지지력의 90% 이상을 확보하지 못할 경우 지주의 매입깊이 증대나 기타 보강시설 추가 등의 보강방안을 세워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어, 성토부에 설치되는 종래의 가드레일 지주에는 보강방안을 세워야 할 필요성이 있게 된다.In particular, in the guidelines for the installation and management of road safety facilities issued by the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the flexible support fence installed near the starting point of the embankment should measure the horizontal support force of the support (field support force) Of the horizontal support force measured at the site, and if the field support force can not secure at least 90% of the site support force, it is stipulated that a reinforcement plan should be established such as an increase in the depth of the landfill or addition of other reinforcement facilities. There is a need to establish a reinforcement plan for the conventional guardrail pillar installed in the vehicle.

관련 선행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 10-1475777호(등록일: 2014. 12. 17)가 있다.A related prior art is Korean Patent No. 10-1475777 (registered on December 17, 2014).

본 발명은 성토경사의 시작점 근처에 설치되는 가드레일 메인지주 주위의 지면에 보조지주를 설치하고 상기 메인지주와 상기 보조지주 사이에 지지력 보강판을 장착하여 종래에 설치된 가드레일 메인지주의 수평지지력을 간단하게 보강할 수 있는 가드레일의 지지구조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n auxiliary strut is provided on the ground around the main rail of the guardrail installed near the starting point of the inclined slope and a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is mounted between the main strut and the auxiliary strut, And to provide a support structure for a guardrail which can be simply reinforced.

또한, 본 발명은 성토경사의 시작점 근처에 설치되는 가드레일의 메인지주 일측에 보조지주를 설치하고 상기 메인지주와 보조지주 사이를 보강패널과 가로지지관으로 결합함으로써 메인지주의 수평지지력을 크게 향상하여 차량충돌시 상기 메인지주가 넘어가거나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하는 가드레일의 지지구조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uxiliary stru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strut of the guardrail installed near the start point of the inclined slope, and the horizontal support force of the main strut is greatly improved by joining the main strut and the auxiliary strut with the reinforcement panel.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ain support from being deformed or deformed in the event of a vehicle collision.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는다.The technical object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s.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드레일 지주의 지지력 보강 구조는, 가드플레이트의 지지고정을 위해 도로의 노측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개가 설치되는 메인지주에 결합되어 상기 메인지주의 지지력을 보강할 수 있는 가드레일 지주의 지지력 보강 구조에 있어서, 상기 가드플레이트와 대향되고 상기 메인지주 주위의 지면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보조지주 및 일정 두께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일단은 상기 메인지주가 끼워지도록 상기 메인지주의 단면 형상과 일치하는 홈이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보조지주가 끼워지도록 상기 보조지주의 단면 형상과 일치하는 홈이 형성된 지지력 보강판을 포함할 수 있다. 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upport force reinforcing structure for a guard rail support, which is coupled to a main support having a plurality of spaced- The auxiliary support has a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is inserted into the ground around the main support. The support has a first end and a second end, A groove corresponding to a cross-sectional shape of the support may be formed, and the other end may include a support-reinforcing plate having a groov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auxiliary support so as to fit the auxiliary support.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력 보강판은, 상기 보조지주와 끼워지는 부위에는 상기 지지력 보강판을 가로로 관통하는 다수개의 위치조절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지주는, 상기 지지력 보강판과 결합되는 부위에 상기 보조지주를 가로로 관통하는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다수개의 위치조절 통공 중 어느 하나와 상기 보조지주의 통공을 함께 관통하는 체결수단에 의하여 상기 지지력 보강판과 상기 보조지주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may be formed with a plurality of position adjusting holes through which the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is inserted, at a portion where the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is fitted to the auxiliary supporting plate, A through hole passing through the auxiliary struts is formed and the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and the auxiliary struts are coupled by a fastening means that passes through one of the plurality of position adjusting holes and the through holes of the auxiliary struts together .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력 보강판은, 두 개로 분리되는 제1 지지력 보강판과 제2 지지력 보강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 지지력 보강판이 상기 제2 지지력 보강판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is composed of a first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and a seco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first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is inserted into the seco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have.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지지력 보강판은, 상기 제2 지지력 보강판으로 삽입되는 종단부에 상기 제1 지지력 보강판을 가로로 관통하는 다수개의 위치조절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지지력 보강판은, 상기 제1 지지력 보강판이 삽입되는 종단부에 상기 제2 지지력 보강판을 가로로 관통하는 다수개의 위치조절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제1 지지력 보강판의 위치조절 통공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제2 지지력 보강판의 위치조절 통공 중 어느 하나를 함께 관통하는 체결수단에 의하여 상기 제1 지지력 보강판과 상기 제2 지지력 보강판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may include a plurality of position adjusting holes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the position adjusting holes passing through the first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laterally, And a plurality of position adjusting apertures passing through the seco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laterally at a longitudinal end of the first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And the first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and the seco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fastening means passing through any one of the position adjusting holes of the reinforcing plate.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드레일 지주의 지지력 보강 구조는, 가드플레이트의 지지고정을 위해 도로의 노측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개가 설치되는 메인지주에 결합되어 상기 메인지주의 지지력을 보강할 수 있는 가드레일 지주의 지지력 보강 구조에 있어서, 일정 두께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W' 모양으로 절곡되되, 상기 가드플레이트와 대향되고 상기 메인지주 주위의 지면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보조지주 및 일정 두께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일단은 상기 메인지주가 끼워지도록 상기 메인지주의 단면 형상과 일치하는 홈이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보조지주의 중심부에 삽입되도록 종단부가 삼각형 형상을 하는 지지력 보강판을 포함하되, 상기 지지력 보강판은, 삼각형 형상을 한 종단부 하부면에 일정 두께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중심부에 결합부재 통공이 형성된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지주는, 상기 결합부재와 맞닿는 위치에 통공이 형성되어서, 상기 결합부재 통공과 상기 보조지주의 통공을 함께 관통하는 체결수단에 의하여 상기 지지력 보강판과 상기 보조지주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upport force reinforcing structure for a guard rail support, which is coupled to a main support having a plurality of spaced- The auxiliary support has a plate-like shape of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is bent into a W 'shape. The auxiliary support is disposed on the ground around the main support, A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having a plate shape and one end having a groove conforming to the sectional shape of the main support so that the main support is inserted and the other end having a triangular shape at the end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center of the auxiliary support, The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is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on the lower surface of the end portion of the triangular shape Wherein the auxiliary support has a through hole at a position where the auxiliary support is in contact with the engaging member so that the through hole of the auxiliary member and the through hole of the auxiliary support penetrate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auxiliary support, And the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and the auxiliary support are coupled to each other.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력 보강판은, 두 개로 분리되는 제1 지지력 보강판과 제2 지지력 보강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 지지력 보강판이 상기 제2 지지력 보강판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is composed of a first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and a seco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first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is inserted into the seco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have.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지지력 보강판은, 상기 제2 지지력 보강판으로 삽입되는 종단부에 상기 제1 지지력 보강판을 가로로 관통하는 다수개의 위치조절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지지력 보강판은, 상기 제1 지지력 보강판이 삽입되는 종단부에 상기 제2 지지력 보강판을 가로로 관통하는 다수개의 위치조절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제1 지지력 보강판의 위치조절 통공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제2 지지력 보강판의 위치조절 통공 중 어느 하나를 함께 관통하는 체결수단에 의하여 상기 제1 지지력 보강판과 상기 제2 지지력 보강판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first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may include a plurality of position adjusting hole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the position adjusting holes extending through the first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laterally, Wherein a plurality of position adjusting holes are formed in a longitudinally extending end portion of the first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so as to pass through the seco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laterally, And the first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and the seco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fastening means passing through any one of the position adjusting holes of the plate.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드레일 지주의 지지력 보강 구조는, 가드플레이트의 지지고정을 위해 도로의 노측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개가 설치되는 메인지주와, 상기 메인지주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메인지주 표면에 결합되는 보강패널과, 상기 가드플레이트와 대향되고 상기 메인지주 주위의 지면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보조지주 및 일단은 상기 메인지주와 보강패널을 동시에 가로로 관통하며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보조지주를 가로로 관통하며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가로지지관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guardrail reinforcement structure for a guard rail, comprising: a main support having a plurality of main support members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a road side of a road for supporting and fixing the guard plate; A reinforcing panel coupled to the main support surface; an auxiliary support, which is opposed to the guard plate and inserted into the ground around the main support, and one end is coupled to the main support and the reinforcement panel laterally at the same time, And may include one or more traversing branches that are transversely threaded and joined together.

구체적으로, 상기 가로지지관은, 일단은 상기 메인지주와 보강패널을 동시에 관통하며 결합되도록 하고 타단은 두 개 이상으로 갈라져 상기 보조지주를 두 곳 이상 관통하며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traversing branch pipe may be formed so that one end thereof penetrates through the main support and the reinforcement panel at the same time, and the other end is divided into two or more ends to penetrate the auxiliary support more than two place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드레일 지주의 지지력 보강 구조는, 가드레일 메인지주 주위의 지면에 보조지주를 설치하고 상기 메인지주와 상기 보조지주 사이에 지지력 보강판을 장착하기 때문에, 종래에 설치된 가드레일 메인지주의 수평지지력을 간단하게 보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support force reinforcing structure of the guard rail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auxiliary support is provided on the ground around the guard rail main support and the support force reinforcement plate is mounted between the main support and the auxiliary support, The horizontal support force of the main rail of the guardrail can be simply reinforced.

또한, 상기 지지력 보강판은 상기 보조지주와 결합되는 일단에 상기 지지력 보강판을 가로로 관통하는 다수개의 위치조절 통공을 형성하여 상기 지지력 보강판의 설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종래에 설치된 메인지주 위치와 보조지주가 설치될 위치에 구애받지 않고 상기 지지력 보강판을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has a plurality of position adjusting apertures passing through the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at one end coupled to the auxiliary support, the spacing of the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can be adjuste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support force reinforcing plate can be installed regardless of the holding position and the position where the auxiliary support is to be installed.

또한, 가드플레이트가 지지 고정되는 메인지주의 일측에 보조지주를 설치하고 상기 메인지주와 보조지주를 관통하며 결합되는 지지력 보강판 또는 가로지지관으로 상기 메인지주와 보조지주를 결합하여 메인지주의 수평지지력을 상기 보조지주가 보강하여 주기 때문에, 차량 충돌시 메인지주가 넘어지거나 크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차량이 가드레일을 타고 넘지 않도록 할 수 있어 이차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 the auxiliary suppor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support to which the guard plate is supported and fixed, and the main support and the auxiliary support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a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or a cross- The main support is prevented from being torn or greatly deformed at the time of a vehicle collision, so that the vehicle can be prevented from riding over the guard rail, thereby preventing secondary accident.

또한, 메인지주에는 보강패널이 상기 메인지주를 감싸며 표면에 결합되기 때문에, 차량 충돌시 상기 메인지주가 휘어지는 것을 억제함과 동시에 상기 메인지주를 상기 가로지지관이 충분히 지탱할 수 있도록 결합력을 크게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reinforcement panel is coupled to the surface of the main strut, the reinforcement panel is coupled to the surface of the main strut, so that the main stru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bent at the time of a vehicle collision, There is an effect.

또한, 메인지주의 일측에 설치되는 보조지주가 땅속으로 완전히 삽입되어 지반에 견고히 고정되기 때문에, 성토부 경사면 시작점에서와 같은 지반의 지지력이 약한 노측에서도 가드레일의 메인지주가 충분한 수평지지력을 갖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auxiliary strut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ain strut are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ground and are firmly fixed to the ground, the main strut of the guardrail has a sufficient horizontal supporting force even on the side where the supporting force of the ground is weak, It is effectiv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 지주의 지지력 보강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드레일 지주의 지지력 보강 구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가드레일 지주의 지지력 보강 구조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1에 도시된 지지력 보강판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 지주의 지지력 보강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가드레일 지주의 지지력 보강 구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 지주의 지지력 보강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가드레일 지주의 지지력 보강 구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가드레일 지주의 지지력 보강 구조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 지주의 지지력 보강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보강패널과 메인지주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 지주의 지지력 보강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가드레일 지주의 지지력 보강 구조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structure of a guard rail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structure of the guard rail support shown in Fig. 1;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support force reinforcing structure of the guard rail support shown in Fig.
FIG. 4 is a view showing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support force reinforcing plate shown in FIG. 1. 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structure of a guard rail suppo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structure of the guard rail support shown i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structure of a guard rail suppo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structure of the guard rail support shown in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support force reinforcing structure of the guard rail support shown in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structure of a guard rail suppo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einforcing panel and the main support shown in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structure of a guard rail suppo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support force reinforcing structure of the guard rail support shown i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whenever possibl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 지주의 지지력 보강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드레일 지주의 지지력 보강 구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가드레일 지주의 지지력 보강 구조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가드플레이트(900)의 지지고정을 위해 도로의 노측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개가 설치되는 메인지주(110)에 결합되어 상기 메인지주(110)의 지지력을 보강할 수 있는 가드레일 지주의 지지력 보강 구조(100)는, 상기 가드플레이트(900)와 대향되고 상기 메인지주(110) 주위의 지면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보조지주(140)와, 일정 두께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일단은 상기 메인지주(110)가 끼워지도록 상기 메인지주(110)의 단면 형상과 일치하는 홈이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보조지주(140)가 끼워지도록 상기 보조지주(140)의 단면 형상과 일치하는 홈이 형성된 지지력 보강판(120)을 포함할 수 있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structure of a guard rail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structure of a guard rail support shown in FIG. 1, The guard plate 900 is coupled to a main support 110 which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road side in order to support and support the guard plate 900 of the present invention, A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structure 100 of a guard rail support which can reinforce the supporting force of the main support 110 includes an auxiliary support 101 which is opposed to the guard plate 900 and inserted into the ground around the main support 110 And the other end of the auxiliary strut 140 is inserted into the groove of the main strut 110 so that the main strut 110 is inserted into the groove. So may comprise a supporting force reinforcement plate 120, grooves are formed to match the sectional shape of the sub-holding unit 140.

메인지주(110)는, 차량 충돌 시 적당하게 변형되어서 충돌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도록 연성 재질의 금속으로 이루어진 원통형 파이프가 바람직하며, 상부에는 가드플레이트(900)가 결합 고정되고 하부는 지면 속으로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차량이 가드레일을 타고 넘을 수 없도록 지면에서 일정 높이까지 돌출되는 일정한 길이를 갖도록 할 수 있다. The main support 110 is preferably a cylindrical pipe made of a metal of a soft material so that it can be appropriately deformed in the event of a vehicle collision to absorb impact energy. The guard plate 900 is fixed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support 110, . Further, the vehicle can have a constant length protruding from the ground to a certain height so that the vehicle can not ride over the guard rails.

보조지주(140)는, 상기 가드플레이트(900)와 대향되고 상기 메인지주(110) 주위의 지면에 삽입되어 설치되는데, 메인지주(110)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에너지를 이차적으로 감당할 수 있도록 금속 재질의 원통형 파이프가 바람직할 수 있다. The auxiliary struts 140 are installed on the ground around the main strut 110 so as to be opposed to the guard plate 900. The auxiliary strut 140 is made of a metal material Cylindrical pipes may be preferred.

보조지주(140)는, 후술하게 될 지지력 보강판(120)과 결합되는 부위에 상기 보조지주(140)를 가로로 관통하는 통공(141)이 형성된다. The auxiliary strut 140 has a through hole 141 passing through the auxiliary strut 140 at a position where it is coupled with the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120 to be described later.

지지력 보강판(120)은, 상기 메인 지주(110)와 보조지주(140) 사이에 장착되어서 메인지주(110)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에너지를 분산하여 보조지주(140)로 전달하는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일정 두께와 강도를 갖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직사각형의 판 형상을 갖고 있는 것을 예로 들었다. 하지만 그 형상은 얼마든지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The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120 is installed between the main support 110 and the auxiliary support 140 to distribute the impact energy transmitted from the main support 110 to the auxiliary support 140 And has a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strength.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xemplified that it has a rectangular plate shape. However, the shape can be changed as much as possible.

지지력 보강판(120)은, 수평으로 위치하면서 일단이 상기 메인지주(110)에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메인지주(110)의 단면 형상과 일치하는 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메인지주(110)가 원통형 기둥 형상을 하고 있고, 그 단면은 원형이므로 지지력 보강판(120)의 일단은 반원의 홈이 형성되도록 하였다. 물론 상기 홈은 메인지주(110)의 형상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The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120 is formed horizontally and has a groove corresponding to a cross-sectional shape of the main support 110 so that one end of the support shaft 120 can be fitted into the main support 110.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strut 110 has a cylindrical column shape, and the cross section of the main strut 110 is circular, so that one end of the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120 is formed with a semicircular groove. Of course, the groove can be changed as much as possible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main support 110.

지지력 보강판(120)의 일단에 형성된 반원형의 홈에 의하여 상기 지지력 보강판(120)이 메인지주(110)에 결합되고 나면 상기 메인지주(110)에 충격이 가해질 때 반원형의 형상으로 인하여 좌우 방향 및 뒤편 방향으로 전달되는 충격량을 상기 지지력 보강판(120)이 감당하여 흡수하고 흡수한 충격 에너지는 뒤편에 결합되는 보조지주(140)로 분산하여 전달하게 된다. When the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120 is coupled to the main support 110 by a semi-circular groove formed at one end of the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120, when the main support 110 is impacted, The shock energy absorbed and absorbed by the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120 is dispersed and transmitted to the auxiliary struts 140 coupled to the rear side.

또한, 지지력 보강판(120)의 타단은 상기 보조지주(140)가 끼워지도록 상기 보조지주(140)의 단면 형상과 일치하는 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보조지주(140)가 원통형 기둥 형상을 하고 있고, 그 단면은 원형이므로 지지력 보강판(120)의 타단은 반원의 홈이 형성되도록 하였다. 물론 상기 홈은 보조지주(140)의 형상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The other end of the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120 is formed with a groove corresponding to the sectional shape of the auxiliary strut 140 so that the auxiliary strut 140 is inserte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xiliary struts 140 have a cylindrical column shape, and the cross section of the auxiliary struts 140 is circular,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120 is formed with a semicircular groove. Needless to say, the grooves can be changed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auxiliary struts 140.

지지력 보강판(120)의 타단에 형성된 반원형의 홈에 의하여 상기 지지력 보강판(120)이 보조지주(140)에 결합되고 나면 상기 메인지주(110)로부터 지지력 보강판(120)을 통해 전달되는 충격에너지를 보조지주(140)가 흡수 분산하여 감당하게 된다. When the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120 is coupled to the auxiliary support 140 by a semi-circular groove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120, the impact force transmitted from the main support 110 through the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120 Energy is absorbed and dispersed by the auxiliary strut 140 and is handled.

지지력 보강판(120)은, 상기 보조지주(140)와 끼워지는 부위에는 상기 지지력 보강판(120)을 가로로 관통하는 다수개의 위치조절 통공(121)이 형성되도록 하고, 보조지주(140)에는, 상기 지지력 보강판(120)과 결합되는 부위에 상기 보조지주(140)를 가로로 관통하는 통공(141)이 형성될 수 있다. The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12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position adjusting holes 121 passing through the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120 at a position where the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120 is fitted with the auxiliary supporting member 140, A through hole 141 passing through the auxiliary support 140 may be formed at a portion coupled to the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120.

이는 지지력 보강판(120)에 형성된 위치조절 통공(121)에 의하여 보조지주(140)가 메인지주(110)와 설치된 간격이 변화하더라도 그 변화에 구애 받지 않고 설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is for the purpose of allowing the auxiliary support 140 to be installed regardless of the change in the spacing provided between the auxiliary support 140 and the main support 110 by the position adjusting hole 121 formed in the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120.

구체적으로, 상기 다수개의 위치조절 통공(121) 중 어느 하나와 상기 보조지주(140)의 통공(141)이 서로 결합되도록 하는데, 메인지주(110)와의 간격이 좁을수록 안쪽에 형성된 위치조절 통공(121) 중 어느 하나에 보조지주(140)가 결합되고, 간격이 넓을수록 지지력 보강판(120)의 종단 부분에 형성된 위치조절 통공(121) 중 어느 하나에 보조지주(140)가 결합되도록 하는 방식이다. Specifically, one of the plurality of positioning holes 121 and the through hole 141 of the auxiliary strut 140 are coupled to each other. As the distance between the main strut 110 and the main strut 110 becomes narrower, The auxiliary struts 140 are coupled to any one of the position adjusting holes 121 formed in the longitudinal end portion of the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120 as the gap is wider, to be.

또한, 상기 다수개의 위치조절 통공(121) 중 어느 하나와 상기 보조지주(140)의 통공(141)을 함께 관통하는 결합핀(131)과 결합핀(131)의 양 종단에 체결되는 너트(132)로 이루어지는 체결수단(140)에 의하여 상기 지지력 보강판(120)과 상기 보조지주(140)가 결합되도록 하는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예시된 강성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결합핀(131)과 너트(132)로 구성되는 체결수단(140)은, 볼트, 너트, 리벳 등과 같이 얼마든지 다른 체결 부품으로 변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A coupling pin 131 passing through one of the plurality of positioning holes 121 and the through hole 141 of the auxiliary support 140 and a nut 132 fastened to both ends of the coupling pin 131 The reinforcing plate 120 and the auxiliary strut 140 are coupled by the fastening means 140 formed of a rigid metal material such as a coupling pin 131 made of a rigid metal material as show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fastening means 140 constituted by the nut 132 can be replaced with any fastening parts such as bolts, nuts, rivets and the like.

도 4는 도1에 도시된 지지력 보강판(12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기 지지력 보강판(120)은, 두 개로 분리되는 제1 지지력 보강판(220)과 제2 지지력 보강판(230)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 지지력 보강판(220)이 상기 제2 지지력 보강판(230)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FIG. 4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120 shown in FIG. 1, wherein the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120 includes a first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220 and a seco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220, The first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220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230 and coupled thereto.

제1 지지력 보강판(220)은, 상기 제2 지지력 보강판(230)으로 삽입되는 종단부에 상기 제1 지지력 보강판(220)을 가로로 관통하는 다수개의 위치조절 통공(221)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The first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220 is formed such that a plurality of position adjusting holes 221 passing through the first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220 are formed at the end portion of the first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220 inserted into the seco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230 can do.

제2 지지력 보강판(230)은, 상기 제1 지지력 보강판(220)이 삽입되는 종단부에 상기 제2 지지력 보강판(230)을 가로로 관통하는 다수개의 위치조절 통공(231)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The seco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230 may be formed such that a plurality of position adjusting holes 231 passing through the seco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230 are formed at the end of the seco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230 at which the first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220 is inserted can do.

이와 같이 형성된 위치조절 통공(221, 231)에 의해서, 상기 제1 지지력 보강판(220)과 제2 지지력 보강판(230)은 길이가 유동적으로 변화하면서 서로 결합될 수 있는데,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메인지주(110)와 보조지주(140)가 설치되는 위치의 간격 변화에 구애 받지 않고 지지력 보강판(120)이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first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220 and the seco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230 can be coupled with each other while varying in length by the position adjusting holes 221 and 231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120 can be mounted without being affected by a change in the interval between the positions where the main support 110 and the auxiliary support 140 are installed.

즉, 제1 지지력 보강판(220)의 위치조절 통공(221)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제2 지지력 보강판(230)의 위치조절 통공(231) 중 어느 하나를 함께 관통하는 체결수단(240)에 의하여 상기 제1 지지력 보강판(220)과 상기 제2 지지력 보강판(230)이 결합될 수 있다. That is, the fastening means 240 passing through any one of the position adjusting holes 221 of the first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220 and the position adjusting holes 231 of the seco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230 The first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220 and the seco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230 may be combined.

체결수단(24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강성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결합핀(241)과 너트(242)로 구성되도록 하였지만, 볼트, 너트, 리벳 등과 같이 얼마든지 다른 체결 부품으로 변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lthough the fastening means 240 is composed of the coupling pin 241 and the nut 242 made of a rigid metal material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fastening means 240 may be any other fastening part such as bolts, nuts, rivets, Of course.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제1 지지력 보강판(220)에 위치조절 통공(221)이 3개가 형성되어 있고, 제2 지지력 보강판(230)에 위치조절 통공(231)이 3개가 형성되어 있다(도 4의 b 참조). 이어서, 제1 지지력 보강판(220)이 제1 지지력 보강판(230) 내부로 삽입되되, 제1 지지력 보강판(220)의 두 번째 위치조절 통공(221)과 제2 지지력 보강판(220)의 첫 번째 위치조절 통공(231)이 일치하도록 위치하고, 상기 위치조절 통공(221, 231)을 결합핀(241)이 관통한 후, 관통된 결합핀(241)의 종단에 너트(242)가 체결된다(도 4의 c 참조). 4, three positioning holes 221 are formed in the first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220 and the position adjusting holes 231 are formed in the seco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230. As shown in FIG. 4, (See Fig. 4 (b)). The first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220 is inserted into the first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230 and the second position adjusting hole 221 and the seco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220 of the first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220 are inserted into the first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230, And the nut 242 is fastened to the end of the penetrating engagement pin 241 after the engagement pin 241 passes through the position adjustment through holes 221 and 231. [ (C in Fig. 4).

이 때, 지지력 보강판(220)의 길이에 따라 일치되는 제1,2 지지력 보강판(220, 230)의 위치조절 통공(221)은 변경이 되는 방식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length adjustment holes 221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s 220 and 230, which coincide with the length of the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220, can be adjusted in such a manner as to be changed.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 지주의 지지력 보강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가드레일 지주의 지지력 보강 구조의 분해 사시도로서, 가드플레이트(900)의 지지고정을 위해 도로의 노측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개가 설치되는 메인지주(310)에 결합되어 상기 메인지주(310)의 지지력을 보강할 수 있는 가드레일 지주의 지지력 보강 구조(300)는, 일정 두께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W' 모양으로 절곡되되, 상기 가드플레이트와 대향되고 상기 메인지주 주위의 지면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보조지주(350) 및 일정 두께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일단은 상기 메인지주(310)가 끼워지도록 상기 메인지주(310)의 단면 형상과 일치하는 홈이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보조지주(350)의 중심부에 삽입되도록 종단부가 삼각형 형상을 하는 지지력 보강판(315)을 포함할 수 있다.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structure of the guard rail support shown in FIG. 5, and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guard rail supporting structure of the guard rail 9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structure 300 of a guard rail support which is coupled to a main support 310 which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road side of the road for supporting and supporting the main support 310, The auxiliary strut 350 is formed in a plate-like shape and is bent in a 'W' shape. The auxiliary strut 350 has a predetermined thickness. The auxiliary strut 350 is installed on the ground around the main strut and faces the guard plate. A groove corresponding to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main strut 310 is formed so that the strut 310 is inserted and the other end is formed into a triangular shape so that the other end is inserted in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auxiliary strut 350 And the like.

메인지주(310)는, 차량 충돌 시 적당하게 변형되어서 충돌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도록 연성 재질의 금속으로 이루어진 원통형 파이프가 바람직하며, 상부에는 가드플레이트(900)가 결합 고정되고 하부는 지면 속으로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차량이 가드레일을 타고 넘을 수 없도록 지면에서 일정 높이까지 돌출되는 일정한 길이를 갖도록 할 수 있다. The main post 310 is preferably a cylindrical pipe made of a metal of a soft material so that it can be appropriately deformed in the event of a vehicle collision so as to absorb impact energy. A guard plate 900 is fixed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post 310, . Further, the vehicle can have a constant length protruding from the ground to a certain height so that the vehicle can not ride over the guard rails.

보조지주(350)는, 상기 가드플레이트(900)와 대향되고 상기 메인지주(310) 주위의 지면에 삽입되어 설치되는데, 지지력 보강판(315)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 에너지를 충격 방향의 전후로 감당하여 구부러지지 않도록 강성 재질의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일정 두께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W' 모양으로 절곡될 수 있다. The auxiliary strut 350 is installed to be inserted into the ground around the main strut 310 and opposed to the guard plate 900. The auxiliary strut 350 supports the impact energy transmitted from the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315, And is made of a rigid metal and has a plate shape of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can be bent into a 'W' shape.

또한, 보조지주(350)의 상단부에는, 후술하게될 결합부재(332)와 맞닿는 위치에 통공(351)이 형성될 수 있다. A through hole 351 may be formed in the upper end of the auxiliary strut 350 at a position where it abuts the engaging member 332 to be described later.

지지력 보강판(315)은 메인지주(310)와 보조지주(350) 사이에 장착되어서 메인지주(310)로부터 전달되는 충격 에너지를 보조지주(350)를 분산 및 전달하는 기능을 할 수 있도록, 강성 재질의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일정 두께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일단은 상기 메인지주(310)가 끼워지도록 상기 메인지주(310)의 단면 형상과 일치하는 홈이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보조지주(350)의 중심부에 삽입되도록 종단부가 삼각형 형상을 하고 있다. The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315 is installed between the main strut 310 and the auxiliary strut 350 so that the impact energy transmitted from the main strut 310 can function as a stiffness The main strut 310 is formed of a metal and has a predetermined thickness. One end of the main strut 310 is formed with a groove corresponding to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main strut 310 and the other end of the auxiliary strut 350 And the end portion has a triangular shape to be inserted into the center portion.

지지력 보강판(315)은, 두 개로 분리되는 제1 지지력 보강판(320)과 제2 지지력 보강판(330)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 지지력 보강판(320)이 상기 제2 지지력 보강판(330)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The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315 includes a first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320 and a seco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330 which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320 contacts the seco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330 To be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제1 지지력 보강판(320)은, 상기 제2 지지력 보강판(330)으로 삽입되는 종단부에 상기 제1 지지력 보강판(320)을 가로로 관통하는 다수개의 위치조절 통공(321)이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32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position adjusting holes 321 passing through the first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320 at the end portion of the first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320 inserted into the seco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330 .

제2 지지력 보강판(330)은, 상기 제1 지지력 보강판(320)이 삽입되는 종단부에 상기 제2 지지력 보강판(330)을 가로로 관통하는 다수개의 위치조절 통공(331)이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33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position adjusting holes 331 passing through the seco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330 at a longitudinal end of the seco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330 at which the first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320 is inserted .

이와 같이 형성된 상기 제1 지지력 보강판(320)의 위치조절 통공(321)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제2 지지력 보강판(330)의 위치조절 통공(331) 중 어느 하나를 함께 관통하는 체결수단(340)에 의하여 상기 제1 지지력 보강판(320)과 상기 제2 지지력 보강판(330)이 결합될 수 있다. The first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320 and the seco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330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fastening means 340 The first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320 and the seco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33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즉, 상기 제1 지지력 보강판(320)과 제2 지지력 보강판(330)은 길이가 유동적으로 변화하면서 서로 결합될 수 있는데,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메인지주(310)와 보조지주(350)가 설치되는 위치의 간격 변화에 구애 받지 않고 지지력 보강판(315)이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at is, the first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320 and the seco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33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while varying the length thereof. As described above, the main support 310 and the auxiliary support 350, The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315 can be mounted without being affected by a change in the interval of the position where the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315 is installed.

체결수단(34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강성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제1 결합핀(341)과 너트(343)로 구성되도록 하였지만, 볼트, 너트, 리벳 등과 같이 얼마든지 다른 체결 부품으로 변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lthough the fastening means 340 is composed of the first coupling pin 341 and the nut 343 made of a rigid metal material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Needless to say, other fastening parts can be used.

지지력 보강판(315) 중 삼각형 형상을 한 제2 지지력 보강판(330)의 종단부 하부면에 결합부재(3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재(332)는, 일정 두께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중심부에 결합부재 통공(333)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어서 체결수단(340) 중에 제2 결합핀(342)이 보조지주(350)에 형성된 통공(351)과 상기 결합부재 통공(333)을 관통하고, 그 후에 제2 결합핀(342) 종단에 너트(343)가 체결되어서 상기 지지력 보강판(315)과 상기 보조지주(350)가 결합될 수 있다. 체결수단(34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유사 부품으로 얼마든지 변용이 가능하다.The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315 may further include a coupling member 332 on the lower surface of the end portion of the seco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330 having a triangular shape. The engaging member 332 is formed in a plate-lik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the engaging member hole 333 is formed at the center portion. The second engaging pin 342 in the engaging means 340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351 formed in the auxiliary strut 350 and the engaging member through hole 333 and then the nut The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315 and the auxiliary strut 350 can be engaged with each other. As described above, the fastening means 340 can be replaced with a similar part.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 지주의 지지력 보강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가드레일 지주의 지지력 보강 구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7에 도시된 가드레일 지주의 지지력 보강 구조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가드레일 지주의 지지력 보강 구조(400)는, 가드플레이트(900)의 지지고정을 위해 도로의 노측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개가 설치되는 메인지주(410)와, 상기 메인지주(410)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메인지주 표면에 결합되는 보강패널(420)과, 상기 가드플레이트(900)와 대향되고 상기 메인지주(410) 주위의 지면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보조지주(450) 및 일단은 상기 메인지주(410)와 보강패널(420)을 동시에 가로로 관통하며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보조지주(450)를 가로로 관통하며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가로지지관(430)을 포함할 수 있다.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structure of the guard rail suppo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structure of the guardrail support shown in FIG. 7, The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structure 400 of the guard rail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guard plate 900 is fix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road side in order to support and hold the guard plate 900 A reinforcing panel 420 which is formed to surround the main support 410 and is coupled to the main support surface 410 and the main plate 410 facing the guard plate 900, And one end of the main strut 410 is coupled to the reinforcing panel 420 through the side of the auxiliary strut 450 while the other end of the auxiliary strut 450 is laterally passed through the auxiliary strut 450 Combination One or more traversing branches 430 may be provided.

메인지주(410)는, 차량 충돌 시 적당하게 변형되어서 충돌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도록 연성 재질의 금속으로 이루어진 원통형 파이프가 바람직하며, 상부에는 가드플레이트(900)가 결합 고정되고 하부는 지면 속으로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차량이 가드레일을 타고 넘을 수 없도록 지면에서 일정 높이까지 돌출되는 일정한 길이를 갖도록 할 수 있다. The main post 410 is preferably a cylindrical pipe made of a metal of a soft material so that it can be appropriately deformed to collide with a collision energy in the event of a vehicle collision. A guard plate 900 is fixed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post 410, . Further, the vehicle can have a constant length protruding from the ground to a certain height so that the vehicle can not ride over the guard rails.

메인지주(410)에는 후술하게 될 가로지지관(430)이 체결될 수 있도록 통공(411)이 형성된다. 상기 통공(411)은 메인지주(410)를 가로 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서 가로지지관(430) 또는 체결수단(440)의 결합핀(441)이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A through hole 411 is formed in the main support 410 so that a later-described branch pipe 430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fastened. The through hole 411 is formed so as to pass through the main support 410 in the lateral direction so that the traverse branch pipe 430 or the coupling pin 441 of the coupling means 440 can be inserted and fastened.

보강패널(420)은, 메인지주(410)의 외부를 감쌀 수 있도록 메인지주(410)의 외형의 형상과 일치하고 일정 두께를 갖는 금속 재질의 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길이에 있어서는 메인지주(410)의 길이와 일치하거나 더 짧을 수 있고 메인지주(410)를 감싸는 부분에 있어서는 메인지주(410)의 단면을 기준으로 반 이상을 감싸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reinforcing panel 420 is preferably made of a metallic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a shape conforming to the shape of the main support 410 so as to cover the outside of the main support 410. In the length of the main support 410, It is preferable that the length of the main strut 410 is equal to or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main strut 410 and that more than half of the main strut 410 is wrapped around the main strut 410.

보강패널(420)은, 차량 충돌시 메인지주(410)에 가해지는 충격에너지를 보강패널(420)이 이차적으로 감당함으로써 메인지주(410)가 심하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후술할 가로지지관(430)과의 체결부위를 강화시켜 차량 충돌 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The reinforcement panel 420 prevents the main support 410 from being severely deformed by the secondary reinforcement panel 420 covering the impact energy applied to the main support 410 in the event of a vehicle collision, 430 can be strengthened to prevent breakage in the event of a vehicle collision.

또한, 보강패널(420)에도 메인지주(410)의 통공(411)이 형성된 위치와 일치한 부위에 통공(421)이 형성되도록 하여, 가로지지관(430)이 메인지주(410)와 보강패널(420)의 결합체에 동시에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메인지주(410)에 형성된 통공(411)과 보강패널(420)에 형성된 통공(421)을 가로지지관(430) 또는 체결수단(440)의 결합핀(441)이 동시에 관통하면서 체결되도록 한다. The reinforcing panel 420 is also formed with a through hole 421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through hole 411 of the main support 410 is formed so that the main support 410 and the reinforcing panel 420 at the same time. That is, the through hole 411 formed in the main strut 410 and the through hole 421 formed in the reinforcing panel 420 are fastened to each other while passing through the traverse branch pipe 430 or the coupling pin 441 of the fastening means 440 .

보조지주(450)는, 상기 가드플레이트(900)와 대향되고 상기 메인지주(410) 주위의 지면에 삽입되어 설치되는데, 메인지주(410)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에너지를 이차적으로 감당할 수 있도록 금속 재질의 원통형 파이프가 바람직할 수 있다. The auxiliary struts 450 are installed on the ground around the main struts 410 so as to face the guard plate 900. The auxiliary struts 450 are made of a metal material so as to be able to secondarily absorb the impact energy transmitted from the main strut 410. [ Cylindrical pipes may be preferred.

보조지주(450)의 상부에는 가로지지관(430)이 체결될 수 있도록 통공(451)이 형성된다. 이러한 통공(451)은 보조지주(450)를 가로 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서 가로지지관(430) 또는 체결수단(440)의 결합핀(441)이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A through hole 451 is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auxiliary strut 450 so that the traverse branch pipe 430 can be fastened. The through hole 451 is formed so as to pass through the auxiliary struts 450 in the transverse direction so that the traverse branch pipe 430 or the coupling pin 441 of the coupling means 440 can be inserted and fastened.

가로지지관(430)은, 일단은 상기 메인지주(410)와 보강패널(420)을 동시에 가로로 관통하며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보조지주(450)를 가로로 관통하며 결합되는데, 메인지주(410)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에너지를 보조지주(450)로 전달할 수 있도록 강성 재질의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막대 형상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가로지지관(430)은 하나 이상이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수개의 가로지지관(430)이 체결되는 실시예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The transverse branch pipe 430 is connected at one end to the main support 410 and the reinforcing panel 420 at the same time while being transversely passed through the auxiliary support 450. The main support 410, So that the impact energy transmitted from the support pillars 450 can be transmitted to the auxiliary pillars 450. [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of the horizontal branch pipes 430 is fastened, and an embodiment in which a plurality of the horizontal branch pipes 430 are fastened will be described later.

또한, 가로지지관(430)은, 상기 메인지주(410)와 보강패널(420) 및 보조지주(450)를 관통하는 결합핀(441)과, 상기 가로지지관(430)과 상기 결합핀(441)을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너트(442)로 구성되는 체결수단(4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traversing branch pipe 430 includes an engaging pin 441 passing through the main support 410, the reinforcing panel 420 and the auxiliary struts 450 and the engaging pin 441 and the engaging pin 441, And a nut 442 for fastening the fastening means 440 to the fastening means 440.

즉, 가로지지관(430)은 일체로 이루어져서 메인지주(410)와 보조지주(450)에 체결될 수도 있고 여러 개의 부품을 결합시켜 체결할 수도 있다. 여러 개의 부품을 결합 시켜서 체결하는 방법은, 우선 일자형의 가로지지관(430)의 양단 끝에 체결수단(440)이 결합될 수 있는 형상을 형성한 후, 결합핀(441)을 메인지주(410)와 보조지주(450)의 통공(411, 451)을 관통시킨다. 그 후 상기 일자형의 가로지지관(430)과 상기 결합핀(441)을 너트(442)로 결합하는 것이다. 이 때 체결수단(150)으로는 너트 또는 리벳 등과 같은 다양한 체결 부품으로 변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at is, the traverse paper tube 430 may be integrally formed, and may be fastened to the main strut 410 and the auxiliary strut 450, or may be joined by joining several parts. A method of joining and fastening several parts is to form a shape in which the fastening means 440 can be coupled to both ends of the straight type of traverse paper tube 430 and then to fix the coupling pin 441 to the main post 410 The through holes 411 and 451 of the auxiliary strut 450 are passed through. And then the flat braid tube 430 and the coupling pin 441 are coupled with the nut 442. Needless to say, the fastening means 150 may be modified into various fastening parts such as a nut or a rivet.

이와 같이, 일자형의 가로지지관(430)과 결합핀(441)을 너트(442)로 결합하게 되면 일체형의 가로지지관(430)보다 실제 현장에서의 시공을 보다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by joining the straight traversing branch pipe 430 and the coupling pin 441 with the nut 442,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perform the actual installation in the field than the integral traversing branch pipe 430.

도 10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 지주의 지지력 보강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보강패널과 메인지주의 사시도로서, 가드레일의 메인지주(410)와 보조지주(450) 사이에 가로지지관(430)이 다수개가 결합된 일예이다.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structure of a guard rail suppo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einforcing panel and the main support shown in FIG. 10, And a plurality of traversing branch pipes 430 are coupled between the auxiliary supports 450.

즉, 메인지주(410)와 보조지주(450) 사이에 체결되는 가로지지관(430)을 상하 길이 방향으로 다수 개를 평행하게 설치함으로써 메인지주(410)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에너지를 분산시키게 되어 메인지주(410)가 감당할 수 있는 충격 에너지량과 수평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at is, a plurality of traverse branch pipes 430, which are fastened between the main struts 410 and the auxiliary struts 450, are installed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by dispersing the impact energy transmitted from the main struts 410,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amount of shock energy and the horizontal support force that can be accommodated by the motor 410.

가로지지관(430)이 메인지주(410)와 보조지주(450)에 다수개가 결합되기 위해서는, 메인지주(410)와 보강패널(420)에 다수개의 통공(411, 421)이 형성되도록 하고, 보조지주(450)에도 다수개의 통공(451)이 형성되도록 한다. 형성된 통공(411, 421, 451)으로는 결합핀(441)이 삽입된 후 가로지지관(430)이 너트(442)에 의해 결합된다.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411 and 421 are formed in the main strut 410 and the reinforcement panel 420 so that the main strut 410 and the auxiliary strut 450 are coupled to each other,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451 are also formed in the support 450. After the engaging pins 441 ar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s 411, 421 and 451, the traversing branch pipe 430 is engaged by the nuts 442.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 지주의 지지력 보강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가드레일 지주의 지지력 보강 구조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가드레일의 메인지주(410)와 보조지주(440) 사이를 결합시켜주는 가로지지관(430)의 형상을 달리한 일예이다.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structure of a guard rail suppo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structure of the guard rail support shown in FIG. 12, The shape of the traversing branch pipe 430 for coupling the main struts 410 and the auxiliary struts 440 is different.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가로지지관(430)은 삼각지지관(435)으로 대체 될 수 있는데, 삼각지지관(435)은, 일단은 상기 메인지주(410)와 보강패널(420)이 결합된 결합체를 동시에 관통하며 결합되도록 하고 타단은 두 개 이상으로 갈라져 상기 보조지주(450)를 두 곳 이상 관통하며 결합 되도록 할 수 있다. Specifically,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versing branch pipe 430 may be replaced with a triangular branch pipe 435. The triangle branch pipe 435 may have one end connected to the main support 410 and the reinforcement panel 420, And the other end is divided into two or more portions so that the auxiliary struts 450 can be penetrated through at least two portions.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드레일 지주의 지지력 보강 구조는, 가드레일 메인지주 주위의 지면에 보조지주를 설치하고 상기 메인지주와 상기 보조지주 사이에 지지력 보강판을 장착하기 때문에, 종래에 설치된 가드레일 메인지주의 수평지지력을 간단하게 보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support force reinforcing structure of the guard rail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auxiliary support is provided on the ground around the guard rail main support and the support force reinforcement plate is mounted between the main support and the auxiliary support, The horizontal support force of the main support can be simply reinforced.

또한, 상기 지지력 보강판은 상기 보조지주와 결합되는 일단에 상기 지지력 보강판을 가로로 관통하는 다수개의 위치조절 통공을 형성하여 상기 지지력 보강판의 설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종래에 설치된 메인지주 위치와 보조지주가 설치될 위치에 구애받지 않고 상기 지지력 보강판을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has a plurality of position adjusting apertures passing through the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at one end coupled to the auxiliary support, the spacing of the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can be adjuste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support force reinforcing plate can be installed regardless of the holding position and the position where the auxiliary support is to be installed.

또한, 가드플레이트가 지지 고정되는 메인지주의 일측에 보조지주를 설치하고 상기 메인지주와 보조지주를 관통하며 결합되는 지지력 보강판 또는 가로지지관으로 상기 메인지주와 보조지주를 결합하여 메인지주의 수평지지력을 상기 보조지주가 보강하여 주기 때문에, 차량 충돌시 메인지주가 넘어지거나 크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차량이 가드레일을 타고 넘지 않도록 할 수 있어 이차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 the auxiliary suppor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support to which the guard plate is supported and fixed, and the main support and the auxiliary support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a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or a cross- The main support is prevented from being torn or greatly deformed at the time of a vehicle collision, so that the vehicle can be prevented from riding over the guard rail, thereby preventing secondary accident.

또한, 메인지주에는 보강패널이 상기 메인지주를 감싸며 표면에 결합되기 때문에, 차량 충돌시 상기 메인지주가 휘어지는 것을 억제함과 동시에 상기 메인지주를 상기 가로지지관이 충분히 지탱할 수 있도록 결합력을 크게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reinforcement panel is coupled to the surface of the main strut, the reinforcement panel is coupled to the surface of the main strut, so that the main stru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bent at the time of a vehicle collision, There is an effect.

또한, 메인지주의 일측에 설치되는 보조지주가 땅속으로 완전히 삽입되어 지반에 견고히 고정되기 때문에, 성토부 경사면 시작점에서와 같은 지반의 지지력이 약한 노측에서도 가드레일의 메인지주가 충분한 수평지지력을 갖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auxiliary strut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ain strut are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ground and are firmly fixed to the ground, the main strut of the guardrail has a sufficient horizontal supporting force even on the side where the supporting force of the ground is weak, It is effective.

상기와 같은 가드레일의 지지구조체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The support structure of the guard rail as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so that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100: 가드레일 지주의 지지력 보강 구조
110: 메인지주 120: 지지력 보강판
130: 체결수단 140: 보조지주
220: 제1 지지력 보강판 230: 제2 지지력 보강판
420: 보강패널 430: 가로지지관
435: 삼각 지지관 900: 가드 플레이트
100: Supporting structure of guard rail support
110: Main column 120: Supporting reinforcement plate
130: fastening means 140: auxiliary strut
220: first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230: seco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420: reinforcing panel 430:
435: triangular support tube 900: guard plate

Claims (9)

가드플레이트의 지지고정을 위해 도로의 노측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개가 설치되는 메인지주에 결합되어 상기 메인지주의 지지력을 보강할 수 있는 가드레일 지주의 지지력 보강 구조에 있어서,
상기 가드플레이트와 대향되고 상기 메인지주 주위의 지면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보조지주; 및
일정 두께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일단은 상기 메인지주가 끼워지도록 상기 메인지주의 단면 형상과 일치하는 홈이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보조지주가 끼워지도록 상기 보조지주의 단면 형상과 일치하는 홈이 형성된 지지력 보강판;을 포함하되,
상기 지지력 보강판은, 두 개로 분리되는 제1 지지력 보강판과 제2 지지력 보강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 지지력 보강판이 상기 제2 지지력 보강판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제1 지지력 보강판은, 상기 제2 지지력 보강판으로 삽입되는 종단부에 상기 제1 지지력 보강판을 가로로 관통하는 다수개의 위치조절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지지력 보강판은, 상기 제1 지지력 보강판이 삽입되는 종단부에 상기 제2 지지력 보강판을 가로로 관통하는 다수개의 위치조절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제1 지지력 보강판의 위치조절 통공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제2 지지력 보강판의 위치조절 통공 중 어느 하나를 함께 관통하는 체결수단에 의하여 상기 제1 지지력 보강판과 상기 제2 지지력 보강판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 지주의 지지력 보강 구조.
A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structure of a guard rail support which is coupled to a main support provid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a road side of a road for supporting and fixing the guard plate to reinforce a supporting force of the main support,
An auxiliary support which is opposed to the guard plate and inserted into the ground around the main support; And
A groov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a cross-sectional shape of the main strut is formed so that the main strut is fitted in one end thereof, and a groove having a groove shape corresponding to a cross-sectional shape of the auxiliary strut is inserted into the other strut, A reinforcing plate,
The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is composed of a first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and a seco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which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first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is inserted into the seco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Wherein the first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has a plurality of position adjusting holes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to be inserted into the seco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The seco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may have a plurality of position adjusting holes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The first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and the seco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fastening means passing through any one of the position adjusting holes of the first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and the position adjusting hole of the seco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Wherein the guard rail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guide rail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력 보강판은, 상기 보조지주와 끼워지는 부위에는 상기 지지력 보강판을 가로로 관통하는 다수개의 위치조절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지주는, 상기 지지력 보강판과 결합되는 부위에 상기 보조지주를 가로로 관통하는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다수개의 위치조절 통공 중 어느 하나와 상기 보조지주의 통공을 함께 관통하는 체결수단에 의하여 상기 지지력 보강판과 상기 보조지주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 지주의 지지력 보강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may have a plurality of position adjusting holes through which the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is inserted,
Wherein the auxiliary strut has a through hole penetrating the auxiliary strut laterally at a portion coupled to the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Wherein the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and the auxiliary support are coupled by one of the plurality of position adjusting holes and a fastening means that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auxiliary support.
삭제delete 삭제delete 가드플레이트의 지지고정을 위해 도로의 노측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개가 설치되는 메인지주에 결합되어 상기 메인지주의 지지력을 보강할 수 있는 가드레일 지주의 지지력 보강 구조에 있어서,
일정 두께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W' 모양으로 절곡되되, 상기 가드플레이트와 대향되고 상기 메인지주 주위의 지면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보조지주; 및
일정 두께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일단은 상기 메인지주가 끼워지도록 상기 메인지주의 단면 형상과 일치하는 홈이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보조지주의 중심부에 삽입되도록 종단부가 삼각형 형상을 하는 지지력 보강판;을 포함하되,
상기 지지력 보강판은, 삼각형 형상을 한 종단부 하부면에 일정 두께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중심부에 결합부재 통공이 형성된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지주는, 상기 결합부재와 맞닿는 위치에 통공이 형성되어서,
상기 결합부재 통공과 상기 보조지주의 통공을 함께 관통하는 체결수단에 의하여 상기 지지력 보강판과 상기 보조지주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 지주의 지지력 보강 구조.
A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structure of a guard rail support which is coupled to a main support provid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a road side of a road for supporting and fixing the guard plate to reinforce a supporting force of the main support,
An auxiliary strut having a plate shape of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bent in a 'W' shape, the main strut being opposed to the guard plate and inserted into the ground around the main strut; And
A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having a plate shape of a predetermined thickness, one end of which is formed with a groove corresponding to a cross-sectional shape of the main strut so that the main strut is inserted thereinto,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triangularly shaped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center of the auxiliary strut; Including,
The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may further include a joining member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on a lower surface of the end portion of the triangular shape and having a coupling member hole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thereof,
Wherein the auxiliary strut has a through hole at a position where it abuts the engaging member,
Wherein the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and the auxiliary strut are engaged with each other by fastening means which penetrates the through hole of the coupling member and the through hole of the auxiliary strut together.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지지력 보강판은,
두 개로 분리되는 제1 지지력 보강판과 제2 지지력 보강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 지지력 보강판이 상기 제2 지지력 보강판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 지주의 지지력 보강 구조.
The method of claim 5,
The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is a plate-
Wherein the first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is inserted into the seco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and the first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is inserted into the seco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력 보강판은, 상기 제2 지지력 보강판으로 삽입되는 종단부에 상기 제1 지지력 보강판을 가로로 관통하는 다수개의 위치조절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지지력 보강판은, 상기 제1 지지력 보강판이 삽입되는 종단부에 상기 제2 지지력 보강판을 가로로 관통하는 다수개의 위치조절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제1 지지력 보강판의 위치조절 통공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제2 지지력 보강판의 위치조절 통공 중 어느 하나를 함께 관통하는 체결수단에 의하여 상기 제1 지지력 보강판과 상기 제2 지지력 보강판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 지주의 지지력 보강 구조.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first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has a plurality of position adjusting holes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and inserted into the seco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The seco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may have a plurality of position adjusting holes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The first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and the seco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fastening means passing through any one of the position adjusting holes of the first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and the position adjusting hole of the seco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late Wherein the guard rail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guide rails.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60034995A 2016-03-24 2016-03-24 Structure for supporting guardrail Active KR10164085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4995A KR101640859B1 (en) 2016-03-24 2016-03-24 Structure for supporting guardrai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4995A KR101640859B1 (en) 2016-03-24 2016-03-24 Structure for supporting guardrai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0859B1 true KR101640859B1 (en) 2016-07-19

Family

ID=56616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4995A Active KR101640859B1 (en) 2016-03-24 2016-03-24 Structure for supporting guardrai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0859B1 (en)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7140B1 (en) * 2016-08-18 2017-02-15 정도산업 주식회사 Apparatus for reinforcing guard rail
KR101751336B1 (en) * 2016-12-23 2017-06-27 주식회사 비앤엘개발 Guard rail with supporting bracket
KR101763115B1 (en) * 2017-02-16 2017-07-31 주식회사 비앤엘개발 Guard rail with supporting bracket
KR101830839B1 (en) * 2017-06-08 2018-02-21 채진아 Structure for assembly type reinforcing of guard rail for protection of a vehicle
KR20180059589A (en) 2016-11-25 2018-06-05 주식회사 포스코 Guardrail post structure
KR20180113437A (en) 2017-04-06 2018-10-16 조양산업 주식회사 Reinforcing post for reinforcing guardrail post
KR101947964B1 (en) 2018-08-08 2019-05-20 이용 Reinforcement Structure for Support of Guard Rail
KR102270229B1 (en) 2021-04-02 2021-06-28 주식회사 국제에스티 Guardrail post reinforcem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1735U (en) * 1998-12-03 1999-03-25 허삼도 Recycling stock of guardrail prop
KR101036416B1 (en) * 2010-07-21 2011-05-24 (주) 에스에스 Guard rail support structure
KR20130076415A (en) * 2011-12-28 2013-07-08 한승진 Guard assembly for flower garden protection
KR20140014309A (en) * 2014-01-16 2014-02-05 이광영 Structure for supporting guard rail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1735U (en) * 1998-12-03 1999-03-25 허삼도 Recycling stock of guardrail prop
KR101036416B1 (en) * 2010-07-21 2011-05-24 (주) 에스에스 Guard rail support structure
KR20130076415A (en) * 2011-12-28 2013-07-08 한승진 Guard assembly for flower garden protection
KR20140014309A (en) * 2014-01-16 2014-02-05 이광영 Structure for supporting guard rail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7140B1 (en) * 2016-08-18 2017-02-15 정도산업 주식회사 Apparatus for reinforcing guard rail
KR20180059589A (en) 2016-11-25 2018-06-05 주식회사 포스코 Guardrail post structure
KR101751336B1 (en) * 2016-12-23 2017-06-27 주식회사 비앤엘개발 Guard rail with supporting bracket
KR101763115B1 (en) * 2017-02-16 2017-07-31 주식회사 비앤엘개발 Guard rail with supporting bracket
KR20180113437A (en) 2017-04-06 2018-10-16 조양산업 주식회사 Reinforcing post for reinforcing guardrail post
KR101927499B1 (en) * 2017-04-06 2018-12-10 조양산업 주식회사 Reinforcing post for reinforcing guardrail post
KR101830839B1 (en) * 2017-06-08 2018-02-21 채진아 Structure for assembly type reinforcing of guard rail for protection of a vehicle
KR101947964B1 (en) 2018-08-08 2019-05-20 이용 Reinforcement Structure for Support of Guard Rail
KR102270229B1 (en) 2021-04-02 2021-06-28 주식회사 국제에스티 Guardrail post reinforce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0859B1 (en) Structure for supporting guardrail
KR101709576B1 (en) Reinforcement Structure for Support of Guard Rail
KR101707139B1 (en) Apparatus for reinforcing guard rail
KR101737470B1 (en) System strengthening/controlling the horizontal bearing power of a guard rail on the scarp and structure comprised the guard rail thereof and method constructing the guard rail thereof
KR101830839B1 (en) Structure for assembly type reinforcing of guard rail for protection of a vehicle
KR20170079867A (en) Fence
KR200432896Y1 (en) Guardrail Shoring Reinforcement Structure Using Wire Cable
KR102057125B1 (en) Crash-Cushion
KR101902962B1 (en) An Impact Absorbing Structure
KR100970934B1 (en) Vehicle protection fence
JP5705171B2 (en) Protective fence for vehicle
KR101835859B1 (en) Structure of reinforcement post with guard rail for dyke
KR101718139B1 (en) On-gutter installed type supporting sturucture for roadside vehicle barrier
KR20160029447A (en) Support reinforcing apparatus for guardrail post
KR101217832B1 (en) Vehicle protection fence
KR101825387B1 (en) Soft-banking's pillar and, the building method by the pillar
KR20160027702A (en) Rail frame for guardrailes
KR101909860B1 (en) System strengthening/controlling the horizontal bearing power of a guard rail on the scarp and structure comprised the guard rail thereof and method constructing the guard rail thereof
KR102770691B1 (en) Guardrail Easy to Install in Curved Sections Of Roads
KR101669595B1 (en) Direction of the guide member is provided with a guard rail
KR101353774B1 (en) Guard beam connection member and guard fence having the same
KR101091544B1 (en) crash barrier
KR20180009905A (en) Improved guardrail
KR100542541B1 (en) Cable guard structure of road guardrail
JP6262444B2 (en) Guard fence suppo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3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32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6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70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7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7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6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